KR100449867B1 - 자동차의 루프 캐리어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루프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9867B1
KR100449867B1 KR10-2002-0009353A KR20020009353A KR100449867B1 KR 100449867 B1 KR100449867 B1 KR 100449867B1 KR 20020009353 A KR20020009353 A KR 20020009353A KR 100449867 B1 KR100449867 B1 KR 100449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racket body
bolt
coupled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4681A (ko
Inventor
차국모
Original Assignee
차국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국모 filed Critical 차국모
Priority to KR10-2002-0009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9867B1/ko
Publication of KR20020084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4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8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63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adhesive means, e.g. hook and loop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성품의 형태로 제공되는 각 구성품을 공구의 사용없이 용이한 조립과정을 통해 차량에 설치할 수 있는 자동차의 루프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 패널 상에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지지 브래킷(10)이, 관통구(21a)를 갖는 상측의 수평면(21)과 그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벽체(22)로 이루어져 그 내측으로 수용공간을 갖는 브래킷 본체(20); 상기 수용공간을 가로질러 그 양단이 상기 벽체의 좌우측면에 지지되는 힌지축(25)에 순차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누름부재(30), 승하강 부재(40) 및 회동부재(50); 상기 회동부재 하부에 힌지 결합되는 날개부재(60)를 구비하는 일체형 구조를 가지되,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시에 상기 누름부재가 하강되어 상기 브래킷 본체의 수평면과 슬라이드 결합되는 레일바(90)를 가압하므로서, 상기 레일바의 저부를 상기 수평면에 밀착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날개부재와 브래킷 본체를 차례로 관통하는 체결볼트(70) 및 상기 체결볼트에 결합되는 조임구(71)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볼트의 조임에 의해 상기 날개부재가 브래킷 본체의 내면에 지지되면서 상기 회동부재가 회동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루프 캐리어 {Roof Carrier for Car}
본 발명은 자동차에 제공되는 루프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루프 캐리어의 각 구성품이 완성된 제품의 형태로 제공되며, 이같은 구성품들을 공구의 사용없이 용이한 조립과정을 통해 차량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루프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프 캐리어는 차량의 루프 패널 상면에 설치되며, 스키 장비와 같이 차량 내부에 적재하기 어려운 물품을 적재하는 용도로 제공되는 것이었다.
이같은 루프 캐리어는, 차량의 루프 패널과 도어 패널이 상호 융착되는 부위에 좌우 대칭되게 부착되는 한 쌍의 구성을 가지며,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 브래킷과, 상기 좌우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지지 브래킷을 연결하며, 상하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천공된 레일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레일바에는, 보조 캐리어 및 그에 결합되는 지지봉과, 차량의 전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레일바에 그 양단을 각기 결합한체 상호 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토록 설치되는 안치봉 등이 제공되어 적재되는 물품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루프 캐리어는, 지지 브래킷과 그에 결합되는 레일이 상호 분리가 안되는 일체형 구조를 이루는 것이었으며, 그에 따라 차폭을 달리하는 다양한 차종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없게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각종 차량의 폭에 준하는 다양한 길이의 루프 캐리어를 개별적으로제공함에 따라 생산공정이 복잡해지는 것이었다. 또한, 이렇게 제공된 일체형 루프 캐리어는 그 구성품의 부분적인 교체가 불가능한 것이므로, 소정 부위의 파손에 의해서도 새 것으로 교체해야 하는 등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지적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지지 브래킷과 레일바가 독립된 구성품으로 이루어져 상호 간에 분리가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며, 이같은 두 구성품을 차량의 루프 패널 상에 결합 설치하는 루프 캐리어가 제공되었다.
하지만, 상기한 루프 캐리어의 경우, 지지 브래킷을 구성하는 각 부품이 상호 분리된 상태로 제공되며, 이러한 다수의 부품을 작업자가 공구를 사용하여 차량에 조립 설치하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루프 캐리어의 설치시 그 작업과정이 복잡해지는 동시에 작업 소요시간이 장시간을 요하게 되는 것이었다. 또한, 각 부품의 조립에 필요한 공구를 구비하지 못한 경우에는 루프 캐리어의 설치가 불가능한 것이었고, 그밖에도 설치 과정에서 부품 분실의 우려가 높은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독립된 완성품의 형태로 제공되는 루프 캐리어의 각 구성품을 공구의 사용없이 체결볼트를 조여주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차량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루프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캐리어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캐리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캐리어의 구조 및 그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지 브래킷 20: 브래킷 본체 21: 수평면 21a: 관통구 22: 벽체 22a: 수직장홀 23: 함몰부 24: 볼트끼움홀 25: 힌지축 26: 완충부재 30: 누름부재 31: 가이드부 32: 끼움돌기부 32a: 결합홀 40: 승하강 부재 41: 수직부 41a: 장홀 42: 연결부 43: 삽입구 50: 회동부재 51: 몸체부 52: 힌지결합부 52a: 축홀 60: 날개부재 61: 볼트삽입홀 62: 거치홈부 63: 손잡이부 70: 체결볼트 70a: 머리부 71: 조임구 72: 나선관 73: 사각걸림부 74: 키뭉치 75: 로킹링 80: 접합판재 81: 볼트체결홀 82: 절곡부 90: 레일바 91: 상측 가이드레일 92: 하측 가이드레일 93: 캡 95: 로킹홀 96: 로킹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 패널 상에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용 브래킷과, 상기 좌우 한 쌍의 지지브래킷을 연결하는 레일바를 포함하는 루프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브래킷은, 상측의 수평면에 관통구를 형성한체 그 벽면이 절곡되어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좌우측 벽체는 마주보도록 수직장홀을 천공하고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을 가로질러 상기 수직장홀로 끼워지는 힌지축을 구비하는 브래킷 본체; 상기 브래킷 본체의 수평면 상측에 거치되어 상기 레일바와 슬라이드 결합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저부에서 수직 연장되는 끼움돌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끼움돌기부는 결합홀을 천공한체 상기 수평면의 관통구를 통해 브래킷 본체의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누름부재; 수직 연장된 장홀을 각기 천공하고 있는 좌우측의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누름부재의 끼움돌기부 삽입용의 삽입구를 형성한 승하강 부재; 몸체부 및 몸체부 상단에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힌지결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하강 부재의 장홀 및 상기 누름부재의 결합홀을 차례로 관통하는 상기 브래킷 본체의 힌지축 상에 편심 결합되어, 회동시 상기 힌지결합부의 상부가 상기 승하강 부재의 연결부 저면에 규제되면서 하방향으로 누름력을 제공하게 되며, 그 하부에 볼트끼움홀이 천공되는 회동부재;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볼트끼움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삽입홀을 천공하고 있는 날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부재와 브래킷 본체를 차례로 관통하는 체결볼트 및 상기 체결볼트에 결합되는 조임구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볼트의 조임에 의해 상기 날개부재가 고정 지지되어 상기 회동부재가 회동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브래킷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브래킷 본체의 볼트끼움홀 및 날개부재의 볼트삽입홀과 대응되도록 볼트삽입홀을 천공하고 있으며, 하측에 상기 브래킷 본체의 하단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용 내향 절곡부를 형성한 접합판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캐리어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캐리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캐리어의 구조 및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루프 캐리어는, 쌍을 이루도록 제공되어 차량의 루프 패널 상면에 좌우 대칭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지 브래킷(10)과, 이같은 좌우측의 지지 브래킷(10)을 연결하는 상태로 지지 브래킷(1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레일바(90)와, 상기 지지 브래킷(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체결볼트(70)와 조임구(71), 그리고 접합판재(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 브래킷(10)은 그를 구성하는 브래킷 본체(20), 누름부재(30), 승하강 부재(40), 회동부재(50) 및 날개부재(60)가 상호 결합되어 일체형 구조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각 구성품 간의 결합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브래킷 본체(20)는, 중앙부에 관통구(21a)가 천공된 상부의 수평면(21)에서 벽체(22)가 하향 연장되며, 이같은 벽체(22)는 일면을 개방한 절곡형 구조로 이루어져 그 내측으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면(21)을 중심으로 그 좌우측의 벽체(22)에는 한 쌍의 수직장홀(22a)이 상기 수평면(21)의 저부와 인접하는 위치에 상호 마주보도록 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같은 브래킷 본체(20)의 하부는 좌우측 방향으로 확장 형성되어 부채살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며, 이렇게 부채살을 이루는 하부 표면에는 그와 대응되도록 부채살 형상을 이루는 함몰부(23)를 형성하여, 후술되는 접한판재(80)가 상기 함몰부(23) 내측으로 거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23)에는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장홀 구조를 갖는 볼트끼움홀(24)이 천공되는 것이다.
이러한 브래킷 본체(20)의 상기 수용공간 내측으로 전술한 세개의 부재〈누름부재(30), 승하강부재(40), 회동부재(50)〉가 상기 브래킷 본체(20)의 수직장홀(22a)로 끼워져 결합되는 힌지축(25)에 의해 상호 연결된 체 설치되는 것이며, 이같은 세 부재의 결합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누름부재(30)는 "T"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전술한 브래킷 본체(20)의 수평면 상측에 거치되는 가이드부(31)와, 상기 가이드부(31)의 저부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면(21)에 제공된 관통구(21a)로 끼워지는 끼움돌기부(32)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끼움돌기부(32)에 결합홀(32a)이 천공되는 것이다.
상기 승하강 부재(40)는, 상기 브래킷 본체(20)의 수직장홀(22a)과 대응되도록 하방향으로 연장된 장홀(41a)을 각기 천공한체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제공되는 한 쌍의 수직부(41)와, 이같은 수직부(41)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42)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42)의 중앙에는 삽입구(43)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브래킷 본체(20)의 수평면(21)에 천공된 관통구(21a)를 통과한 끼움돌기부(32)가 상기 삽입구(43)로 끼워지는 것이다.
상기 회동부재(50)는, 판을 절곡하여 형성한 몸체부(51)와, 이같은 몸체부(51)의 좌우측 상단에서 연장되는 힌지결합부(52)로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결합부(52)가 상기 승하강 부재(40)의 수직부(41) 및 상기 누름부재(30)의 끼움돌기부(32)로 사이로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세개의 구성품은 상기 승하강 부재(40)의 장홀(41a), 상기 누름부재(30)의 결합홀(32a) 및 상기 회동부재(50)의 축홀(52a)을 차례로 관통하는 전술한 브래킷 본체(20)의 힌지축(25)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브래킷 본체(20)의 수용공간 내측으로 설치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회동부재(50)의 축홀(52a)은 편심된 위치에 천공되는 것이므로, 회동부재(50)는 상기 힌지축(25)과 편심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50)의 하단에 전술한 날개부재(60)가 회동 가능한 상태로 힌지 결합되는 것이다. 이같은 날개부재(60)는 그 하부에 상기 브래킷 본체(20)의 볼트끼움홀(24)과 대응되도록 볼트삽입홀(61)을 천공하되, 상기 볼트삽입홀(61)은 볼트가 보다 다양한 각도에서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장홀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볼트삽입홀(61)의 주연부는 상기 날개부재(60)의 표면보다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져 볼트의 머리가 앉착되는 거치홈부(62)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밖에, 상기 날개부재(60)의 상단부는 돌출 형성되어 손잡이부(63)를 형성하는 것이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브래킷 본체(20), 누름부재(30), 승하강 부재(40), 회동부재(50), 날개부재(60)가 일체형 구조를 갖도록 상호 결합되어 지지 브래킷(10)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재(60)의 볼트삽입홀(61)과 상기 브래킷 본체(20)의 볼트끼움홀(24)을 차례로 관통하는 체결볼트(70) 및 그에 나사 결합되는 조임구(71)가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볼트(70)는 머리부(70a)를 상기 내면에 지지시킨 상태로 상기 조임구(71)와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머리부(70a)와의 연결부위는 사각걸림부(73)로 이루어져 상기 날개부재(60)에 장홀 형태로 천공되는 볼트삽입홀(61)로 끼워져 지지되므로서, 상기 체결볼트(70)가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되면서 조임구(71)와의 결합이 느슨해지는 현상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체결볼트(70)와 나사 결합되는 조임구(71)는 공구를 사용하여 체결볼트(70)와 결합되는 형태로 제공하여도 무방하겠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중앙에 나선관(72)을 갖는 레버의 형태로 구성하여 작업자가 공구의 사용없이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조임구(71)에는 키뭉치(74)에 의한 잠금수단을 제공하므로서, 조임구(71)를 인위적으로 자유롭게 조작하여 지지 브래킷(10)을 포함한 루프 캐리어의 구성품을 차량으로부터 분리하는 동작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잠금수단은 본 실시예와 같이 편심축 상에 로킹링(75)을 결합하고, 이같은 로킹링(75)의 조임작용에 의해 조임구(71)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그밖에 키뭉치에 상기 체결볼트와 밀착되어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누름편을 형성하여 조임구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그밖에, 상기 브래킷 본체(20)의 함몰부(23)로 수용되는 접합판재(80)가 제공되는 것으로서, 이같은 접합판재(80)는 상기 브래킷 본체(20) 및 함몰부(23)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부채살의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접합판재(80)는 상기 날개부재(60)의 볼트삽입홀(61) 및 브래킷 본체(20)의 볼트끼움홀(24)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체결홀(81)이 천공되는 것이며, 이러한 접합판재(80)의 하단에는 내향 절곡부(82)가 형성되어 소정 부위에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브래킷 본체(20)의 볼트끼움홀(24), 상기 날개부재(60)의 볼트삽입홀(61) 및 상기 접한판재(80)의 볼트체결홀(81)은 장홀(41a)의 형태로 제공되어 전술한 체결볼트(70)가 보다 다양한 각도에서 원활하게 끼위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 브래킷(10)을 구성하는 브래킷 본체(20)의 수평면(21)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는 레일바(90)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같은 레일바(90)는 상하부에 가이드 레일(91,92)이 각기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하측의 가이드 레일(92)이 상기 수평면(21)의 관통구(21a)를 통해 돌출되는 전술한 누름부재(30)의 가이드부(31)와 슬라이드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레일바(90)가 상기 수평면(21)과 직접 접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겠으며, 본 실시예와 같이 레일바(90)와 수평면(21)과의 사이에 완충부재(26)를 제공하여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두 부재간의 마찰이 완화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레일바(90)의 양측 단부에는 캡(93)이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캡(93)은 레일바(90)에 단순 억지끼움되는 구조로 제공하여도 무방하겠으며,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캡(93)의 내측에 로킹편(96)을 설치하고, 상기 레일바(90)에 로킹홀(95)을 천공하여 잠금 가능하도록 구성하므로서,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발명의 루프 캐리어가 차량에 설치되는 과정 및 그 작용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도 3의 (a)는 체결볼트와 조임구 및 접합판재가 지지 브래킷에 가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체결볼트와 조임구 및 접합판재가 지지 브래킷과 결합되어 본 발명의 루프 캐리어가 차량에 완전하게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에서는 루프 캐리어가 승합차와 같이 차체 측면에 빗물받이 몰딩부가 제공되는 차량에 적용하였음을 밝혀둔다.
먼저, 브래킷 본체(20)의 함몰부(23)로 접합판재(80)가 수용되도록 한 상태에서 체결볼트(70)와 조임구(71)를 결합하며, 이같은 체결볼트(70)와 조임구(71)의 조임력에 의해 상기 접합판재(80)가 브래킷 본체(20)의 함몰부(23) 상에 걸쳐져 지지되는 동시에 날개부재(60)가 상기 브래킷 본체(20)의 내면과 인접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결볼트(70)와 조임구(71)를 완전하게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상기 브래킷 본체(20)와 접합판재(80)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로 조여주는 것이며, 상기 접합판재(8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절곡부(82)는 브래킷 본체(20)의 하단을 벗어나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레일바(90)를 상기 브래킷 본체(20)의 수평면 상측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거치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레일바(90)는 그 하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92)이 상기 수평면(21) 상측으로 돌설되는 누름부재(30)의 가이드부(31)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므로서, 상기 브래킷 본체(20)의 상측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브래킷 본체(20)의 상면에 레일바(90)를 전술한 방식으로 거치시킨 다음, 상기 체결볼트(70)와 조임구(71)에 의해 접합판재(80)를 브래킷 본체(20) 상에 지지시키는 방식을 취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와 같이, 지지 브래킷(20)과 접합판재(80)가 체결볼트(70) 및 조임구(71)에 의해 상호 조립되어 일체형 구조를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제공되는 상기 지지 브래킷(10)을 그에 결합되는 상기 접합판재(80)의 절곡부(82)가 차체 측면의 빗물받이 몰딩부에 걸려져 지지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다.
이렇게 각 구성품이 결합된 상태의 루프 캐리어를 차체에 지지시킨 다음, 상기 체결볼트(70)와 조임구(71)를 완전하게 결합하여 브래킷 본체(20)와 접합판재(80)에 강한 조임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조임력에 의해 상기 접합판재(80)의 절곡부(82)가 상기 빗물받이 몰딩부에 밀착 지지되므로서 본 발명의 루프 캐리어는 차량에 견고하게 설치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체결볼트(70)의 조임력에 의해 상기 브래킷 본체(20)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날개부재(60)는 브래킷본체(20)의 내면에 밀착 지지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체결볼트(70) 및 조임구(71)의 조임 결합시에, 전술한 회동부재(50) 내지는 날개부재(60)를 가압하여 상기 회동부재(50)가 브래킷 본체(20)의 내측면을 향해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회동부재(50)는 그 힌지결합부가 상기 브래킷 본체(20)에 구비되는 힌지축(25)에 편심 결합된 구조이므로, 상기와 같이 브래킷 본체(20) 방향으로의 회동시 그 상부가 승하강 부재(40)의 연결부(42)를 상측으로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이같이 연결부(42)에 작용하는 상승력에 의해 상기 승하강 부재(40)가 상방향으로 밀리면서 상기 브래킷 본체(20)의 수평면 저부로 밀착되는 것이며, 상기 수평면(21)에 의해 더이상의 상승이 규제되는 상기 연결부(42)와 밀착되면서 상기 힌지결합부(52)는 계속적으로 회전동작하게 되는 것이며, 그로 인해 상기 힌지결합부(52)는 하방향으로 누름력을 가하면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누름력에 의해 상기 힌지결합부(52)에 끼워진 상기 브래킷 본체(20)의 힌지축(25)이 하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힌지축(25)에 끼움돌기부(32)를 결합한 누름부재(30)가 하향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누름부재(30)의 가이드부(31)가 하방향으로 당겨지면서 레일바(90)를 누르게 되어 상기 레일바(90)의 저면이 브래킷 본체(20)의 수평면(21)과 길밀하게 밀착되는 것이고, 그 마찰력에 의해 상기 레일바(90)는 이동이 억제되는 상태로 상기 수평면(21) 상측에 고정 지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 부재(40)의 수직부(41)에 장홀(41a)이 천공되어 있으며, 이같은 장홀(41a)을 관통하는 상기 힌지축(25) 역시 브래킷 본체(20)의 수직장홀(22a)에 끼워져 지지되는 것이므로, 회동부재(50)의 회동시 상기 힌지축(25)이 상기 장홀(41a)과 수직장홀(22a)을 따라 안내되므로서 상기와 같은 승하강 부재(40)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같이 레일바(90)가 지지 브래킷(10)에 유동이 방지된 상태로 안정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누름력을 제공하는 상기 회동부재(50)는, 상기 체결볼트(70)의 조임력에 의해 브래킷 본체(20)의 내면으로 밀착 지지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전술한 날개부재(60)에 의해서, 그 회동부재(50)가 자유로운 회동이 방지된체 상기 브래킷 본체(20)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므로, 루프 캐리어의 차량 설치후 상기 레일바(90)는 지지 브래킷(10)에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레일바(90)의 설치위치를 변경하거나 기타 다른 이유에 의하여 상기 회동부재(50)의 회전이 필요한 경우, 상기 조임구(71) 및 체결볼트(70)를 완전하게 분리시킬 필요 없이 약간만 회동시켜 조임력을 풀어준 상태에서 상기 날개부재(60)의 상단에 형성된 손잡이부(63)를 파지하여 회전시키므로서 용이하게 회동부재를 회전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날개부재(60)의 볼트 삽입홀(61) 및 브래킷 본체(20)의 볼트끼움홀(24)로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상기 체결볼트(70)는, 그 머리부(70a) 및 사각걸림부(73)가 상기 볼트 삽입홀(61) 및 그 주연에 형성되는 거치홈부(62)로 끼워져 앉착되므로서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거치홈부(62)의 절곡된 각도는 상기 브래킷 본체(20) 하부의 경사각과 유사한 각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이같은 거치홈부(62)로 상기 체결볼트(70)의 머리부(70a)가 끼워지면서 안정적인 면접촉을 이루도록 하므로서, 브래킷 본체(20)의 경사각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위치하는 날개부재(60)의 표면에 상기 체결볼트(70)의 머리부(70a)가 직접 접촉될 경우 발생되는 틈새 및 이같은 틈새로 인해 체결볼트(70)의 결합작업이 용이치 못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지지 브래킷(10) 및 레일바(90)를 차량의 루프 패널 상에 고정 설치한 다음, 기타 보조 캐리어 및 안치봉 등을 통상의 방법에 의해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합판재(80)의 절곡부(82)가 차량의 빗물받이 몰딩부에 걸려 지지되는 형태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인 것이며, 접합판재(80)의 상기 절곡부(82)가 차량의 루프 패널과 도어 패널과의 융착부에 걸려 지지되도록 구성하는 등 빗물받이 몰딩부가 구비되지 않은 차량에서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밖에,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 브래킷(10)을 구성하는 브래킷 본체(20)에 접합판재(80)를 설치하여, 상기 접합판재(80)의 절곡부(82)가 차량의 소정 부위에 걸려 지지되는 형태로 설명하였으나, 그외에도 브래킷 본체(20)의 하부가 차량에 직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등 다양한 결합구조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따른 자동차의 루프 캐리어에 의하여, 루프 캐리어를 이루는 각 구성품이 독립적인 완성품의 형태로 제공되며, 이같은 각 구성품을 체결볼트 및 그에 결합되는 조임구를 상호 결합시키는 간단한 조작과정을 통해 차량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므로, 작업상의 편의성이 향상될 뿐만아니라, 설치에 전문성을 요하지 않아 누구나 손쉽게 차량에 설치할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Claims (2)

  1. 차량의 루프 패널 상에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용 브래킷과, 상기 좌우 한 쌍의 지지 브래킷을 연결하는 레일바를 포함하는 루프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브래킷은, 상측의 수평면에 관통구를 형성한체 그 벽면이 절곡되어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좌우측 벽체는 마주보도록 수직장홀을 천공하고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을 가로질러 상기 수직장홀로 끼워지는 힌지축을 구비하는 브래킷 본체; 상기 브래킷 본체의 수평면 상측에 거치되어 상기 레일바와 슬라이드 결합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저부에서 수직 연장되는 끼움돌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끼움돌기부는 결합홀을 천공한체 상기 수평면의 관통구를 통해 브래킷 본체의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누름부재; 수직 연장된 장홀을 각기 천공하고 있는 좌우측의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누름부재의 끼움돌기부 삽입용의 삽입구를 형성한 승하강 부재; 몸체부 및 몸체부 상단에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힌지결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하강 부재의 장홀 및 상기 누름부재의 결합홀을 차례로 관통하는 상기 브래킷 본체의 힌지축 상에 편심 결합되어, 회동시 상기 힌지결합부의 상부가 상기 승하강 부재의 연결부 저면에 규제되면서 하방향으로 누름력을 제공하게 되며, 그 하부에 볼트끼움홀이 천공되는 회동부재;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볼트끼움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삽입홀을 천공하고 있는날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부재와 브래킷 본체를 차례로 관통하는 체결볼트 및 상기 체결볼트에 결합되는 조임구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볼트의 조임에 의해 상기 날개부재가 고정 지지되어 상기 회동부재가 회동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루프 캐리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브래킷 본체의 볼트끼움홀 및 날개부재의 볼트삽입홀과 대응되도록 볼트삽입홀을 천공하고 있으며, 하측에 상기 브래킷 본체의 하단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용 내향 절곡부를 형성한 접합판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루프 캐리어.
KR10-2002-0009353A 2002-02-21 2002-02-21 자동차의 루프 캐리어 KR100449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353A KR100449867B1 (ko) 2002-02-21 2002-02-21 자동차의 루프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353A KR100449867B1 (ko) 2002-02-21 2002-02-21 자동차의 루프 캐리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751U Division KR200242603Y1 (ko) 2001-05-02 2001-05-02 자동차의 루프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681A KR20020084681A (ko) 2002-11-09
KR100449867B1 true KR100449867B1 (ko) 2004-09-22

Family

ID=27725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353A KR100449867B1 (ko) 2002-02-21 2002-02-21 자동차의 루프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98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2750B1 (ko) 2023-05-12 2023-09-22 차재호 차량 루프레일용 가로바 고정장치
KR102582751B1 (ko) 2023-05-12 2023-09-22 차재호 차량용 가로바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112B1 (ko) * 2002-11-13 2004-1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공기압을 이용한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조절 구조
KR101858843B1 (ko) 2016-11-28 2018-05-16 윤일식 자동차의 루프바 고정장치
RU2735745C1 (ru) * 2018-08-29 2020-11-06 Джан Отомотив Иншаат Италат Ираджат Санайи Вэ Тиджарет Лимитед Щиркети Несущий нагрузку верхний багажник дл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856U (ja) * 1993-10-01 1995-04-25 日産アルティア株式会社 車両用ルーフラックの取付け部
JPH08132975A (ja) * 1994-11-09 1996-05-28 Nissan Altia Co Ltd 自動車用ルーフラックの取付け構造
JPH08324346A (ja) * 1995-06-05 1996-12-10 Daihatsu Motor Co Ltd ルーフキャリアの取付構造
JPH0920181A (ja) * 1995-07-07 1997-01-21 Seiko Kogyo Kk 自動車用荷台の支持装置
JPH10157521A (ja) * 1996-12-03 1998-06-16 Osaka Banbaa Seisakusho:Kk ルーフキャリアの取付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856U (ja) * 1993-10-01 1995-04-25 日産アルティア株式会社 車両用ルーフラックの取付け部
JPH08132975A (ja) * 1994-11-09 1996-05-28 Nissan Altia Co Ltd 自動車用ルーフラックの取付け構造
JPH08324346A (ja) * 1995-06-05 1996-12-10 Daihatsu Motor Co Ltd ルーフキャリアの取付構造
JPH0920181A (ja) * 1995-07-07 1997-01-21 Seiko Kogyo Kk 自動車用荷台の支持装置
JPH10157521A (ja) * 1996-12-03 1998-06-16 Osaka Banbaa Seisakusho:Kk ルーフキャリアの取付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2750B1 (ko) 2023-05-12 2023-09-22 차재호 차량 루프레일용 가로바 고정장치
KR102582751B1 (ko) 2023-05-12 2023-09-22 차재호 차량용 가로바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681A (ko) 2002-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9867B1 (ko) 자동차의 루프 캐리어
KR100959414B1 (ko) 슬라이딩식 등주 수납개방부 커버
JP4941816B2 (ja) ドアミラーの取付構造
KR200242603Y1 (ko) 자동차의 루프 캐리어
KR200424942Y1 (ko) 침대의 프레임체결구조
KR200486963Y1 (ko) 도어락 케이스의 장착구조체
KR101712851B1 (ko) 건축물의 내,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236274Y1 (ko) 자동차의 루프 캐리어
AU2017279837A1 (en) Tile fixing device and method for disassembling tile fixed by the same
JP3133662U (ja) 仕切板用固定具
CN110758307B (zh) 车护架连接组件
CN112549942A (zh) 动力电池安装组件及汽车
KR102313914B1 (ko) 리더용 패드 결합구조체
CN211000871U (zh) 一种遮阳板支座
JP3983157B2 (ja) パネルの取り付け構造及びパネルセット
CN211869264U (zh) 行李架安装组件
CN218259262U (zh) 一种拼装木箱的钢带锁扣装置
CN210555612U (zh) 飞机舱内内饰挂接结构
KR200401470Y1 (ko) 인테리어 작업용 우마사다리
CN215369606U (zh) 一种便于安装的百叶窗
CN213509922U (zh) 一种牢固型金属护栏组合固定部件
CN209872095U (zh) 一种斜拉式的电梯门机
KR200200348Y1 (ko) 조립식 건축물용 캐노피 지지대
CN215889684U (zh) 一种新型门内饰板拉手盒
CN211342412U (zh) 一种门框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