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969Y1 - 리드프레임용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리드프레임용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969Y1
KR200221969Y1 KR2020000034422U KR20000034422U KR200221969Y1 KR 200221969 Y1 KR200221969 Y1 KR 200221969Y1 KR 2020000034422 U KR2020000034422 U KR 2020000034422U KR 20000034422 U KR20000034422 U KR 20000034422U KR 200221969 Y1 KR200221969 Y1 KR 2002219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frame
taping
plating
lead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4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창일
Original Assignee
성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44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9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9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969Y1/ko

Links

Landscapes

  • Lead Frames F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드프레임용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속되는 소재 박판의 니켈합금을 이용하여 리드프레임을 프레스 장치에 의해 리드프레임의 형상을 만드는 스템핑 공정과, 소정부위를 도금장치에 의해 도금하는 도금하는 공정과, 도금이 완료된 리드프레임을 절단장치에 의해 복수개의 리드가 형성된 단위체로 절단하는 절단공정으로 이루어진 리드프레임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단공정에 의해 복수개의 리드가 형성된 단위체로 절단된 리드프레임의 리드에 테이프를 부착시키는 테이핑장치와, 리드프레임의 도금면 불량여부 및 테이프면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인스펙션장치를 일련의 라인에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여 테이프의 손실됨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공정이 일련되게 이루러지므로 제조공정에 따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리드프레임용 제조장치{Production appararus for read frame}
본 고안은 리드프레임용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드프레임의 리드에 테이프(폴리이미드 테이프)를 부착하는 테이핑장치와 도금면의 불양여부 및 테이핑면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인스펙션장치를 일련의 공정라인에 설치함으로써 리드프레임의 제조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리드프레임의 도금면 불량여부를 테이프 부착전에 미리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테이프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리드프레임용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리드프레임(Lead Frame)은 트랜지스터나 IC의 팰릿 조립에 사용되는 금속프레임으로서, 금속박판을 적당한 패턴으로 도포애칭 혹은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하며, 보통 복수개의 패턴이 연속한 리드프레임 스트립으로 만들어진다.
한편, 리드프레임을 제조하기 위한 리드프레임 제조장치는 연속되는 소재 박판의 니켈합금을 이용하여 리드프레임을 프레스 장치에 의해 리드프레임의 형상을 만드는 스템핑공정과, 소정부위를 도금장치에 의해 도금하는 도금공정과, 도금이 완료된 리드프레임을 절단장치에 의해 복수개의 리드가 형성된 단위체로 절단하는 절단공정으로 대분할 수 있다.
절단공정에 의해 단위체로 절단된 리드프레임(10)의 리드(11) 일면에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은도금(12)이 된 상태이고 이의 다른 면에는 리드프레임(10)의 리드(11) 변형을 방지하고 아울러, 리드(10)의 하면에 안착되어 접속되는 반도체 어셈블리시 다이어태치를 위한 테이프(13)가 부착된 후, 이의 은도금 상태 및 테이프작업의 불량여부를 검사가 행해지게 되며, 이는 도면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장치에 의해 행해지게 된다.
즉, 첨부된 도면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리드프레임용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테이핑장치 및 그 주변부의 구성도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3은 종래의 인스펙션장치 및 그 주변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핑작업은 리드수납함(15)의 리드프레임 사이에 개재된 간지(미도시)를 제거시켜 간지수납(14)함에 수납시키고 리드프레임(10)을 미도시된 진공로딩장치로 흡착하여 가이드레일(17) 위치로 이동시킨 후 제1그립퍼부재(16)가 작동하여 리드(11)에 테이핑작업을 하기 위한 테이핑장치가 설치된 테이핑존(18)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테이핑존(18) 앞에는 존(zone)(18) 내부측으로 리드프레임(10)이 진입됨을 알리기 위한 센서가 구비된 스토퍼(19)가 설치되어 있어서, 리드프레임(10)이 상기 스토퍼(19)에 위치하게 되면 스토퍼(19)에 구비된 센서는 이를 인식하여 존(18)내에 설치된 테이핑장치측으로 감지된 신호를 인가시키게 되고, 이 인가된 값에 의해 테이핑장치는 테이핑작업을 위한 예비 작업을 행하게 된다.
이후, 제1그립퍼부재(16)가 리드프레임(10)을 테이핑존(18)으로 인입시키면 존(18)내에 설치된 테이핑장치에 의해 리드프레임(10)의 리드(11)측에 테이프(13)(폴리이미드테이프;Polyimide tape)가 부착되어짐과 동시에 제1그립퍼부재(16)에 물려있는 리드프레임(10)을 제2그립퍼부재(20)가 존(18)내측으로 이동하여 인계받게 된다. 즉, 제1그립퍼부재(16)는 존(18)내측까지 리드프레임(10)을 이동시키게 되고 이후 제2그립퍼부재(20)가 리드프레임(20)을 인계받아 복수개 형성된 리드(11)의 계속적인 테이핑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리드프레임(10)의 리드(11)측에 테이핑작업이 완료되면 제2그립퍼부재(20)에 의해 이송된 리드프레임은 진공로딩장치(미도시)에 위해 다음 즉, 도 3에 도시된 인스펙션장치가 설치된 공정으로의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벨트(21)에 안착구비된 리드프레임 수납함(15a)으로 수납시키게 된다. 이때 리드프레임 수납함(15a)에 리드프레임(10)이 수납될 때 상기 리드프레임(10)의 표면을 보호(이물질 부착방지)하기 위해 간지수납함(14a)으로부터 간지를 흡착하여 개재시켜 수납하게 된다.
이후, 컨베이어벨트(21)에 의해 이송된 리드프레임 수납함(15a)은 리드프레임(10)의 불량여부 판단을 위한 공정측으로 작업자에 의해 이동되어 진다.
이와 같이 불량여부 판단을 위한 공정측으로 이동되어진 리드프레임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수납함(15b)에 수납된 리드프레임(10) 사이에 개재된 간지를 제거시켜 간지수납함(14b)에 수납시키고 리드프레임(10)을 진공로딩장치로 흡착하여 가이드레일(23) 위치로 이동시킨 후, 이 가이드레일(23)을 따라 상기 제1그립퍼부재(22)에 의해 인스펙션장치가 설치된 검사구역(24)으로 이동되어 진다.
이때 검사구역(24) 앞에는 이 검사구역(24) 내부측으로 리드프레임(10)이 진입됨을 알리기 위한 센서가 구비된 스토퍼(25)가 설치되어 있어서, 리드프레임(10)이 상기 스토퍼(25)에 위치하게 되면 이의 스토퍼(25)는 이를 인식하여 검사구역(24)내에 설치된 인스펙션장치측으로 감지된 신호를 인가시키게 되고, 이 인가된 값에 의해 인스펙션장치는 검사를 위한 대기 상태를 행하게 된다.
이후, 제1그립퍼부재(22)가 리드프레임(10)을 검사구역(24)으로 인입시키면 이의 검사구역(24)내에 설치된 인스펙션장치의 검사카메라(26)가 리드프레임(10)의 도금면 불량여부를 검사함과 동시에 제2그립퍼부재(27)가 리드프레임(10)을 인계하게 된다.
검사카메라(26)가 설치된 검사구역(24)을 통과한 리드프레임(10)은 이의 불량여부가 판단되며, 이의 판단에 따라 불량 리드프레임(10)은 블량 수납함(29)에 수납되고, 양호한 리드프레임은 양품수납함(30)에 간지수납함(31)으로부터 제공된 간지를 개재시켜 수납되어 진다.
이와 같이 종래의 리드프레임의 리드에 테이프부착을 위한 테이핑공정과 도금면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공정이 독립된 라인에 설치되어 있어서, 각 공정이 끝나면 간지리드프레임을 수납함에 간지를 개재시켜 수납한 후, 작업자가 검사공정측으로 이송시키고 다시 인스펙션 공정을 하여야 하므로 각 공정으로 이동되는 시간 및 각 공정으로 작업자에 의해 이동되어 지므로 리드프레임 제조에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테이프 부착에 따른 불량여부의 판단과 무관하게 이루어지는 리드프레임의 도금면 불량 검사는 전술한 바와 같이 테이핑공정이 이루어진 후에 검사하게 되므로 리드프레임의 은도금 불량판단시 테이프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테이프면 불량검사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각각 독립된 공정라인에 설치된 테이핑장치와 인스펙션장치를 일련의 공정라인에 설치함으로써 리드프레임의 제조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리드프레임의 도금면 불량여부(도금유무, 도금포지션, F/M, Contamination, Lead space, Lead position, 제품방향성, 리드프레임 겹침 등)를 테이프 부착전에 미리 파악할 수 있음으로써 테이프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테이프면 불량(테이프유무, 테이프포지션, F/M, Contamination, Lead space, Lead position, 이중 테이핑 등)을 검사할 수 있도록 한 리드프레임용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a은 종래의 일반적인 리드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리드프레임의 배면도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리드프레임용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테이핑장치 및 그 주변부의 구성도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종래의 일반적인 리드프레임용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인스펙션장치 및 그 주변부의 구성도를 보인 평면도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리드프레임용 제조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평면도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리드프레임용 제조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가이드레일 105 : 제1그립퍼부재
110 : 스토퍼 115 : 제1검사카메라
120 : 제2그립퍼부재 125 : 제3그립퍼부재
130 : 테이핑존 135 : 제4그립퍼부재
140 : 제5그립퍼부재 145 : 제2검사카메라
150 : 제6그립퍼부재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연속되는 소재 박판의 니켈합금을 이용하여 리드프레임을 프레스장치에 의해 리드프레임의 형상을 만드는 스템핑공정과, 소정부위를 도금장치에 의해 도금하는 도금공정과, 도금이 완료된 리드프레임을 절단장치에 의해 복수개의 리드가 형성된 단위체로 절단하는 절단공정으로 이루어진 리드프레임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단공정에 의해 복수개의 리드가 형성된 단위체로 절단된 리드프레임의 리드에 테이프를 부착시키는 테이핑장치와, 상기 리드프레임 도금면의 불량여부 및 테이핑면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인스펙션장치를 일련의 라인에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 제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즉, 가이드레일측으로 리드프레임을 이동시키고 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리드프레임을 인계받아 이동시키기 위해 복수개 구비되는 그립퍼부재와, 이 그립퍼부재에 의해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리드프레임의 위치를 감지하여 이 감지된 신호를 각 장치로 인가시키는 스토퍼와, 이 스토퍼의 후단으로 리드프레임의 리드측에 도금면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제1검사카메라와, 이 제1검사카메라의 후단으로 리드프레임의 리드측에 테이프를 테이핑하도록 테이핑존내에 설치된 테이핑장치와, 이 테이핑장치 후단으로 이의 테이핑면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제2검사카메라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중인 리드프레임의 도금면의 불량여부 및 테이핑면의 불량여부 검사를 일련의 공정라인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 제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리드프레임용 제조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리드프레임용 제조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리드프레임과 이에 부여된 부호를 동일하게 병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리드프레임 제조장치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도니 복수개의 리드(11)가 형성된 단위체로 절단된 리드프레임(10)의 리드(11)에 테이프(13)를 부착시키기 전에 도금면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제1검사카메라를 설치하고, 이의 후단으로 테이프를 부착시키는 테이핑장치를 설치하여 테이프 부착전에 도금면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프레임 수납함(90)으로부터 간지를 간지수납함(95)측으로 제거된 리드프레임(10)을 흡착하여 가이드레일(100)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진공로딩장치(미도시)가 구비되고, 이 진공로딩장치로부터 리드프레임(10)을 물어 가이드레일(100)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1그립퍼부재(105)가 설치되며, 이 제1그립퍼부재(105)에 의해 이동되는 리드프레임(10)의 위치를 센싱하여 멈춤시키는 스토퍼(110)가 설치되며, 이 스토퍼(110)의 후단으로는 이의 센싱된 신호에 의해 리드프레임(100의 리드(11)측에 도금면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제1검사카메라가(115) 설치된다. 상기 제1검사카메라(115)에 의해 검사된 리드프레임(10)을 인계받아 이동시키기 위해 제2그립퍼부재(120)가 상기 제1검사카메라(115)라 후단에 구비되고, 이 제2그립퍼부재(120)로부터 리드프레임(10)을 다시 인계받아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그립퍼부재(120) 후단에 제3그립퍼부재(125)가 구비되며, 이 제3그립퍼부재(125)의 후단에는 이의 제3그립퍼부재(125)에 의해 이동된 리드프레임(10)의 리드(11)측에 테이핑을 위한 테이핑장치가 구비된 테이핑존(130)이 형성된다.
이 테이핑존(130)의 후단에는 테이핑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제3그립퍼부재(125)로부터 리드프레임(10)을 인계받아 다음 공정으로 리드프레임(10)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4그립퍼부재(135)가 구비되고, 상기 제4그립퍼부재(135)로부터 리드프레임(10)을 흡착 인계받아 계속적인 이동을 시키기 위해 제5그립퍼부재(140)가 제4그립퍼부재(135)의 후단에 구비되며, 이 제5그립퍼부재(140)의 후단에는 이에 의해 이동되는 리드프레임(10)의 테이핑면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제2검사카메라(145)가 설치된다.
제2검사카메라(145)에 의해 검사된 리드프레임(10)을 후단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제2검사카메라(145) 후단에 제6그립퍼부재(150)가 구비되며, 이 제6그립퍼부재(150)에 의해 공정라인의 끝단으로 이동된 리드프레임(10)을 각 수납함에 수납시키기 위한 진공로딩장치가 일련의 공정라인에 설치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1검사카메라(115)에 의해 리드프레임(10)의 리드(11)측에 은도금(12) 상태 불량상태로 판단되면, 테이핑작업과 제2감사카메라의 작동은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각 그립퍼부재(120,125,135,140,150)에 의해 이동되어 제1불량수납함(155)으로 수납시키게 되며, 테이핑장치에 의해 테이핑이 이루어진 리드프레임(10)은 제2검사카메라(145)의 검사에 의해 테이핑 불량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이때 불량으로 판단되면 이 또한 진공로딩장치가 제2불량수납함(160)으로 수납시키게 된다.
즉, 본 고안은 제1그립퍼부재(105)에 의해 리드프레임(10)이 가이드레일(100)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동안 스토퍼(110)에 위치하게 되면 이 스토퍼(110)는 이의 후단으로 설치된 제1검사카메라(115)와 테이핑장치 및 제2검사카메라(145)를 준비상태를 취하도록 신호를 인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리드프레임(10)이 제1검사카메라(115)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검사카메라(115)는 도금면의 불량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이때 도금면이 불량으로 검사되면 이는 테이핑작업을 하지 않고 각 그립퍼부재(120,125,135,140,150)에 의해 이 공정 라인 끝단에 설치된 리드프레임 제1불량수납함(155)측으로 수납하게 된다.
한편, 도금면이 양호하게 검사되면, 제2,3그립퍼부재(120,125)가 리드프레임(10)을 계속적으로 인계받아 테이핑존(130)으로 이동시켜 테이핑장치에 의해 테이핑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테이핑작업이 이루어지면 제4 및 제5그립퍼부재(135,140)에 의해 리드프레임(10)은 테이핑면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제2검사카메라(145)측으로 이동되어 진다. 제2검사카메라(145)에 의해 검사된 리드프레임(10)이 양호하면 양품 수납함측으로 수납되고 불량하면 불량 수납함)160)측으로 수납되어 공정이 완료되어 진다.
이와 이루어진 공정라인을 설치함에 따라 리드프레임의 도금면의 불량여부를 테이핑작업 전에 검사하게 되므로 불량시에는 테이핑작업을 행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일련된 공정 라인에서 리드프레임의 도금면 불량여부 및 테이핑작업 그리고 이의 테이핑면의 불량여부를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중에 판단하여 도금면이 불량이면 다음 공정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불량 수납함에 수납시키고 양호한 상태라고 판단되면 계속적인 공정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리드측의 은도금 불량여부 판단전에 테이핑공정을 수행하게 되므로 불량으로 제조된 리드프레임임에도 불구하고 테이핑작업을 수행하는 공정을 배제시킬 수 있어서 테이프의 손실됨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공정이 일련되게 이루어지므로 제조공정에 따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본 고안은 테이핑작업 이후 이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므로 종래에서와 같이 테이핑작업 이후에 이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공정없이 제품의 제조가 완료됨에 따른 테이핑작업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연속되는 소재 박판의 니켈합금을 이용하여 리드프레임을 프레스장치에 의해 리드프레임의 형상을 만드는 스템핑공정과, 소정부위를 도금장치에 의해 도금하는 도금공정과, 도금이 완료된 리드프레임을 절단장치에 의해 복수개의 리드가 형성된 단위체로 절단하는 절단공정으로 이루어진 리드프레임 제조장치에 있어서,
    가이드레일측으로 리드프레임을 이동시키고 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리드프레임을 인계받아 이동시키기 위해 복수개 구비되는 그립퍼부재와;
    상기 그립퍼부재에 의해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리드프레임의 위치를 감지하여 이 감지된 신호를 각 장치로 인가시키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후단으로 리드프레임의 리드측에 도금면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제1검사카메라와;
    상기 제1검사카메라의 후단으로 리드프레임의 리드측에 테이프를 테이핑하도록 테이핑존내에 설치된 테이핑장치와;
    상기 테이핑장치 후단으로 이의 테이핑면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제2검사카메라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중인 리드프레임의 도금면의 불량여부 및 테이핑면의 불량여부 검사를 일련의 공정라인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 제조장치.
KR2020000034422U 2000-12-08 2000-12-08 리드프레임용 제조장치 KR2002219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422U KR200221969Y1 (ko) 2000-12-08 2000-12-08 리드프레임용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422U KR200221969Y1 (ko) 2000-12-08 2000-12-08 리드프레임용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1969Y1 true KR200221969Y1 (ko) 2001-04-16

Family

ID=73092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422U KR200221969Y1 (ko) 2000-12-08 2000-12-08 리드프레임용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9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117B1 (ko) 2019-07-26 2019-10-31 성우테크론 주식회사 리드프레임 등속검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117B1 (ko) 2019-07-26 2019-10-31 성우테크론 주식회사 리드프레임 등속검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87485A1 (ja) 電子部品搬送装置及びテーピングユニット
JP3635168B2 (ja) リードフレームのテーピング装置
KR200221969Y1 (ko) 리드프레임용 제조장치
KR20190011973A (ko) 리드 프레임 자동 검사 시스템
KR100372118B1 (ko) 리드프레임 검사장치
JP4336151B2 (ja) テープキャリア型の半導体装置
KR100439309B1 (ko) 와이어 본딩된 칩 테스트 장치 및 방법
JP4025490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225067B2 (ja) リード測定方法
KR20010055922A (ko) 반도체 패키지의 불량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0414518B1 (ko) 칩 마운팅 방법 및 장치
JPH03104252A (ja) テープキャリアの製造方法
JPH056348B2 (ko)
KR100520005B1 (ko) 그리퍼 불량 검사 장치및 검사 방법
CN216793632U (zh) 一种半导体产品打标设备
KR100707717B1 (ko) 반도체 칩 적층 방법 및 장치
JP4984332B2 (ja) Icパッケージ基板検査装置
JPH11157504A (ja) キャリアテープの検査方法
JPH06161372A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検査装置
KR0145126B1 (ko) 반도체 장비의 대형칩용 플렌지 업 스테이지
KR940005440Y1 (ko) 와이어 본딩상태 검사장치
JPH04199666A (ja) 半導体装置のリードフォーミング装置
JPH04364918A (ja) フープ成形品の検査装置
JPH01217269A (ja) 半導体デバイス製造装置
KR960001418Y1 (ko) 와이어 본딩기의 불량품 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