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418Y1 - 와이어 본딩기의 불량품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본딩기의 불량품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418Y1
KR960001418Y1 KR92018015U KR920018015U KR960001418Y1 KR 960001418 Y1 KR960001418 Y1 KR 960001418Y1 KR 92018015 U KR92018015 U KR 92018015U KR 920018015 U KR920018015 U KR 920018015U KR 960001418 Y1 KR960001418 Y1 KR 9600014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frame
camera
marking
lea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80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8673U (ko
Inventor
박상빈
Original Assignee
문정환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환,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문정환
Priority to KR920180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418Y1/ko
Publication of KR9400086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6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4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4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10Measuring as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 H01L22/12Measuring as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structural parameters, e.g. thickness, line width, refractive index, temperature, warp, bond strength, defects, optical inspection, electrical measurement of structural dimensions, metallurgic measurement of diffus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30Structur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r specially adapted for reliability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와이어 본딩기의 불량품 검출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와이어 본딩기를 나타낸 정면도.
제 2 도는 종래 와이어 본딩기의 리드프레임 이송부를 나타낸 평면도.
제 3 도는 본고안장치가 장착된 와이어 본딩기의 정면도.
제 4 도는 본고안장치가 장착된 와이어 본딩기의 리드프레임 이송부를 나타낸 평면도.
제 5 도는 본고안장치의 자동모니터가메라부릍 나타낸 사시도.
제 6 도는 본고안장치의 마킹부를 나타낸 사시도.
제 7 도는 제 6 도의 "A"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리드프레임 6 : 칩
11 : 리드프레임 이송부 12 : 카메라
14 : 리드선 15 : 영상처리기
16 : 솔레노이드 17 : 마킹블럭
본 고안은 칩과 리드프레임의 인너리드 사이를 금선으로 연결하는 와이어 본딩기의 불량품 검출 장치에 관한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불량품을 초기에 검출하므로서 불량품이 양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첨부도면 제 1 도및 제 2 도는 종래의 와이어본딩기및 리드프레임이송부릍 나타낸 정면도및 평면도로서, 베이스(1)의 일측에 리드프레임(2)을 순차적으로 1매씩 와이어본딩기로 공급하는 로딩엘리베이터(3)가 설치되어 있고 반대측에는 와이어 본딩된 리드프레임(2)을 적재시키는 언로딩 엘리베이터(4)가 실치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는 스풀(5)에 감긴 금선으로 칩(6)과 리드프레임의 인너리드사이를 연결시키는 본딩헤드(7)가 설치되어 있어 X-Y테이블(9)을 자동으로 이송시키면서 와이어 본딩작업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리드프레임(2)의 이송은 모터(도시는 생략함)의 구동으로 다수개의 이송로을러(10)가 회전하므로서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공정이 진행되는 상태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와이어 본딩부에 현미경(8)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로딩엘리베이터(3)을 통해 칩본딩이 완료된 1개의 리드프레임(2)이 리드프레임이송부(11)로 공급되어 이송로울러(10)의 회전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스풀(5)에 감긴 금선을 본딩헤드(7)가 칩(6)과 리드프레임(2)의 인너리드를 연결시킴에 따라 리드프레임(2)은 언로딩부측으로 1스텝씩 이송된다.
상기한바와같은 반복작업에 따라 리드프레임상의 칩과 인너리드의 결선작업이 완료되면 이를 언로딩 엘리베이터(4)를 이용하여 언로딩 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칩(6)과 인너리드의 결선작업이 완료된후에 작업자가 육안검사(Visualinspection)를 통해 결선상태의 불량유무를 판별하도록 되어 있어 기기의 오동작이나 조작불량등으로 불량품이 발생되더라도 공정완료후에나 이를 작업자가 판별할 수 있게 되므로 불량품이 양산되었음은 물론 육안검사로 인해 공정시간이 지연되므로 싸이클 타임(cycle time)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고안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와이어 본딩기의 언로딩부에 와이어의 결선상태를 판별하여 불량품에 자동으로 마킹하는 장치를 설치하므로서 양질의 제품을 양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리드프레임이송부의 언로딩부측에 칩과 리드프레임인너리드사이의 결선상태를 판별하는 자동모니터카메라부를 설치하고 일측으로는 상기 자동모니터카메라부의 검사결과에 따라 불량유무를 해당되는 리드프레임에 마킹하는 마킹부를 차례로 설치하여서 된 와이어 본딩기의 불량품 검출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고안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 3 도 내지 제 6 도를 참고로하여 더욱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 3 도는 본고안장치가 장착된 와이어 본딩기의 정면도이고 제 4 도는 본고안장치인 리드프레임이송부의 평면도이며 제 5 도 및 제 6 도는 본고안장치의 요부인 자동모니터카메라부와 마킹부의 사시도로서, 종래의 와이어 본딩기와 동일한 구조는 그설명을 생략하고 동일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로딩부의 로딩엘리베이터(3)에 의해 리드프레임(2)이 1매씩 순차적으로 이송됨에 따라 칩(6)과 리드프레임(2)의 인너리드사이를 금선으로 와이어 본딩작업을 하는 리드프레임 이송부(11)의 언로딩측에 십(6)과ㄹ리드프레임 인너리드사이의 결선상태를 판별하는 자동모니터카메라부가 설치되어 있고 그 일측으로는 상기 자동모니터카메라부의 검사결과에 따라 결선상태의 불량유무를 해당되는 리드프레임(2)에 마킹하는 마킹부가 차례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칩(6)과 리드프레임(2) 인너리드의 결선상태를 판별하는 자동모니터카메라부는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칩(6)과 리드프레임(2) 인너리드의 결선상태를 식별하는 카메라(12)와, 상기 카메라의 촛점거리를 조절하는 촛점조정나사(13)와, 상기 카메라(12)와 리드선(14)으로 연결되어 카메라(12)에 의해 식별된 결선부의 결선상태를 판별하는 영상처리기(15)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자동모니터카메라부에 의해 불량으로 판별된 리드프레임부위를 마킹하는 마킹부는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16)와, 상기 솔레노이드(16)와 연결되어 승강하면서 불량품에 마킹을 하는 마킹블럭(17)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때 마킹블럭(17)은 솔레노이드(16)의 축(16a)끝단에 고정나사(18)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한편 자동 모니터카메라부 및 마킹부의 카메라(12)와 솔레노이드(16)는 공히 리드프레임이송부(11)의 언로딩부에 고정수단으로 지지고정되는데, 상기 고정수단으로는 별도의 브라켓이나 지지편등이 사용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의 와이어본딩기와 마찬가지로 로딩엘리베이터(3)를 통해 칩본딩된 1개의 리드프레임(2)이 공급되어 와이어 본딩하는 공정까지 동일하다.
그후 와이어본딩된 리드프레임(2)이 이송로울러(10)의 회전으로 1스탭씩 언로딩부측으로 이송되어 와이어결선부가 카메라(12)직하방에 위치되면 카메라(12)가 결선상태를 식별하여 영상처리기(15)로 정보를 보내게 되므로 영상처리기(15)에서 입력된 데이터와 이를 비교하여 결선상태의 불량유무릍 판별하게된다.
이때 카메라(12)의 촛점은 춧점조정나사(13)를 회전하여 최상의 상태로 유지시켜 놓으므로서 보다 정확한 화상을 영상처리기로 보낼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은 검사결과에 따라 불량품이라고 판멸될경우에는 이를 마킹부에 신호를 보내 리드프레임(2)이 다음 1스텝 이송되어 마킹부의 직하방에 위치될 때 압축공기에 의해 축이 하강하면서 불량부위에 마킹블럭(17)이 마킹을 실시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와이어결선상태를 한눈에 쉽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이에따라 불량상태를 즉시 조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고안장치는 언로딩부에 와이어의 결선상태를 자동으로 식별하는 자동 모니터카메라부와 마킹부를 차례로 설치하여 와이어 결선상태틀 자동으로 검출한 다음 불량품에 마킹을 하도록 되어있어 초기 상태에서 불량품을 식별할 수 있게 되므로 불량품이 양산되는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된다.
또한, 와이어 결선작업후에 결선상태를 별도로 검사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싸이클 타임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3)

  1. 리드프레임 이송부(11)의 언로딩부측에 칩(6)과 리드프레임(2) 인너리드사이의 결선상태를 판별하는 자동모니터카메라부를 설치하고 그일측으로는 상기 자동모니터카메라부의 검사결과에 따라 결선상태의 불량유무를 해당되는 리드프레임(2)에 마킹하는 마킹부를 차레로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하는 와이어 본딩기의 불량품 검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자동모니터카메라부는 칩(6)과 리드프레임의 인너리드 결선상태를 식별하는 카메라(12)와, 상기 카메라와 리드선(14)으로 연결되어 카메라에 의해 식멸된 결선부의 결선상태를 판별하는 영상처리기(1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본딩기의 불량품 검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마킹부는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16)와, 상기 솔레노이드와 연결되어 승강하면서 불량품에 마킹을 하는 마킹블럭(17)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와이어 본딩기의 불량품 검출장치.
KR92018015U 1992-09-22 1992-09-22 와이어 본딩기의 불량품 검출장치 KR9600014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8015U KR960001418Y1 (ko) 1992-09-22 1992-09-22 와이어 본딩기의 불량품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8015U KR960001418Y1 (ko) 1992-09-22 1992-09-22 와이어 본딩기의 불량품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673U KR940008673U (ko) 1994-04-21
KR960001418Y1 true KR960001418Y1 (ko) 1996-02-15

Family

ID=19340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8015U KR960001418Y1 (ko) 1992-09-22 1992-09-22 와이어 본딩기의 불량품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41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673U (ko) 199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9591B1 (ko) 반도체 제조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JP7225337B2 (ja) 半導体製造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11278020A (ja) マーキング検査装置
KR960001418Y1 (ko) 와이어 본딩기의 불량품 검출장치
JP3635168B2 (ja) リードフレームのテーピング装置
JP2010078574A (ja) 板状金属表面自動検査装置
US5772040A (en) Workpiece conveying apparatus used with workpiece inspection device
JP2005337887A (ja) 頭部付き軸体の検査装置
US4982728A (en) Apparatus for assembling semiconductor devices
KR102516586B1 (ko) 다이 본딩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JP4308736B2 (ja) 電子部品供給方法、同装置および表面実装機
KR940005440Y1 (ko) 와이어 본딩상태 검사장치
JPH05338616A (ja) 電子部品のテーピング装置
JP2668734B2 (ja) ワイヤボンデイング方法
JP3886205B2 (ja) リードフレームの検査装置
JP2009008596A (ja) 板状金属表面自動検査装置
TWI823297B (zh) 黏晶裝置及半導體裝置的製造方法
JP3786552B2 (ja) 電子部品実装用フィルムキャリアテープの検査装置
JP3914879B2 (ja) 電子部品実装用フィルムキャリアテープの検査装置および電子部品実装用フィルムキャリアテープの検査方法
JPH10244428A (ja) リード付き電子部品の実装方法
KR0170325B1 (ko) 칩 장착 상태 검사방법
KR100363855B1 (ko) Bga 반도체패키지용 로딩장치
JP2001358180A (ja) テープ状物の処理装置およびテープ状物の処理方法
KR0171668B1 (ko) 반도체 패키지 검사장치
KR100362364B1 (ko) 반도체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마킹작업과 볼 마운팅 작업을하기 위한 인-라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