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539Y1 - 축전지용 접속단자 - Google Patents

축전지용 접속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539Y1
KR200208539Y1 KR2019980019544U KR19980019544U KR200208539Y1 KR 200208539 Y1 KR200208539 Y1 KR 200208539Y1 KR 2019980019544 U KR2019980019544 U KR 2019980019544U KR 19980019544 U KR19980019544 U KR 19980019544U KR 200208539 Y1 KR200208539 Y1 KR 2002085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portion
bolt
elastic body
inner elastic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95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4001U (ko
Inventor
김환창
Original Assignee
김환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환창 filed Critical 김환창
Priority to KR20199800195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539Y1/ko
Publication of KR199900040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0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5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539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기계적인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접속단자의 이탈 및 축전지 단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접속단자의 접촉 저항 및 조립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다중 배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축전지 단자와 접속되는 볼트(31); 상기 볼트(31)의 나사부가 위로 오도록 끼워지는 구멍(W1)이 상단면의 중앙에 형성된 원추형의 끼움부(32a)와, 상기 끼움부의 후측에 형성되는 원통부(32b)와, 상기 끼움부(32a)의 주면(周面) 일측에서 원통부(32b)의 주면 일측에 걸쳐 형성되는 슬릿(32c)과, 상기 끼움부(32a)의 하단면 좌우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끼움부의 내측으로 접음선(32e)을 중심으로 구부려 넣을 수 있게 된 지지편체(32d)로 이루어진 내측 탄성체(32); 상기 내측 탄성체(32)의 끼움부(32a) 상단면에 형성된 구멍(W1)과 대응하는 구멍(W2)이 상단면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 탄성체(32)의 끼움부를 상방에서 덮게 되는 상협하광의 타원형 형태로 형성된 외측덮개(33a)와, 주변기기와 접속된 도선이 연결되는 와이어 단자(33c)가 일체로 형성된 접속부재(33); 그리고, 상기 내측 탄성체(32)와 외측덮개(33a)에 형성된 구멍(W1)(W2)을 통해 상방으로 돌출되는 볼트(31)에 끼워지는 링 형태의 누름부재(34)와 너트(3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축전지용 접속단자
본 고안은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기계적인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접속단자의 이탈 및 축전지 단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접속단자의 접촉 저항 및 조립성(생산성 향상)을 개선함과 동시에 다중 배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종래 기술로는, 예컨대 실용신안 공보 제89-532호에 개시된 "축전지용 접속단자"가 공지되어 있다.
이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상협하광(上狹下廣)형의 원통체(1)로 이루어진 탄성체를 볼트(3)와 너트(3a)로 고정시키므로써 접속단자의 이탈 및 전기적 접촉을 개선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고안은 축전지 단자에 접속단자를 결합시킬 때, 도 1b에 점선으로 도시한 것처럼, 단자가 휘어지게 되어 B부분에서 응력집중에 의한 균열(crack)이 발생되고, 이 균열에 의해서 탄성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게다가, 이 균열은 차량 주행시의 진동으로 점차 커지게 되어, 결국에는 단자가 떨어져 나가는 경우도 있었으며, 단자가 떨어져 나가지 않더라도 이 부분의 탄성력이 저하되어 축전지 단자와 접속단자 간의 불안정한 접촉으로 인해서 접촉 저항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차량에서 발생되는 기계적 진동으로 축전지 단자가 변형될 우려도 있었고, 다중 배선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제품의 조립성을 향상할 수 있고(생산성 향상), 탄성체와 외측덮개간의 접촉저항 정도 및 전압강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차량에서 발생되는 기계적 진동에 의한 크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축전지용 접속단자를 제공함이 목적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수단을 강구하였다.
즉, 본 고안에서는, 탄성체와 외측덮개간의 접촉저항 정도를 개선시키기 위해, 탄성체가 끼워지는 외측덮개를 타원형의 뿔형태로 제작하였으며, 기계적 진동에 의해 볼트와 너트가 분리되는 일이 없도록, 탄성체의 좌우측에, 이 탄성체의 내측으로 구부려 넣어서 볼트의 머리부분을 지탱할 수 있는 지지편체를 일체로 형성하였다.
도 1a는 가장 널리 사용되던 종래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사시도,
도 1b는 상기 도 1a의 단면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신규 구성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분해 사시도,
도 2b는 상기 도 2a의 결합상태 정면도,
도 2c는 상기 도 2a의 결합상태 측면도.
〔도면 부호의 설명〕
31...볼트, 32...내측 탄성체,
32a...끼움부, 32b...원통부,
32c...슬릿, 32d...지지편체,
33...접속부재, 33a...외측덮개,
33c...와이어 단자, 34...누름부재,
35...너트, W1...구멍,
W2...구멍.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중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는 그의 결합상태에서의 정면도이며, 도 2c는 그의 측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축전지 단자(미도시)와 접속되는 볼트(31);
상기 볼트(31)의 나사부가 위로 오도록 끼워지는 구멍(W1)이 상단면의 중앙에 형성된 원추형의 끼움부(32a)와, 상기 끼움부의 후측(도면에서 보았을 때)에 형성된 원통부(32b)와, 상기 끼움부(32a)의 주면(周面) 일측에서 원통부(32b)의 주면 일측에 걸쳐 형성된 슬릿(32c)과, 상기 끼움부(32a)의 하단면 좌우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끼움부의 내측으로 접음선(32e)을 중심으로 구부려 넣을 수 있게 된 지지편체(32d)로 이루어진 내측 탄성체(32);
상기 내측 탄성체(32)의 끼움부(32a) 상단면에 형성된 구멍(W1)과 대응하는 구멍(W2)이 상단면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 탄성체(32)의 끼움부를 상방에서 덮게 되는 상협하광의 타원형 형태로 형성된 외측덮개(33a)와, 주변기기와 접속된 도선이 연결되는 와이어 단자(33c)가 일체로 형성된 접속부재(33);
그리고, 상기 내측 탄성체(32) 및 외측덮개(33a)에 형성된 구멍(W1)(W2)을 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된 볼트(31)에 끼워지는 링 형태의 누름부재(34)와 너트(3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우선 축전지 단자에 볼트(31)를 접속시킨 다음, 상기 볼트(31)가 내측 탄성체(32)의 끼움부(32a)에 형성된 구멍(W1)을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내측 탄성체(32)를 끌어내린다. 이어서, 상기 내측 탄성체(32)의 구멍(W1)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한 볼트(31)의 나사부가 접속부재(33)의 외측덮개(33a)에 형성된 구멍(W2)을 관통하도록 상기 내측 탄성체(32)의 끼움부(32a) 상에 외측덮개(33a)를 덮고, 이후 상기 접속부재(33)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 단자(33c)에 주변기기와 접속된 도선(미도시)을 연결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접속부재(33)의 외측덮개(33a) 위로 볼트(31)의 나사부가 노출되면, 이 볼트(31)의 나사부에 누름부재(34)를 끼운 다음 너트(35)를 체결하고, 상기 누름부재(34)를 하강시킨다.
이처럼, 상기 누름부재(34)를 하강시키면, 상기 접속부재(33)의 외측덮개(33a)가 하강함과 동시에 내측 탄성체(32)가 조여지는데, 이 때, 내측 탄성체(32)는 단면형상이 원형인 원추뿔 형태임에 반해, 이를 덮는 외측덮개(33a)는 타원형 형태여서 단축(短軸)방향으로 큰 밀착력이 발생하게 되어, 본 고안의 목적인 접촉저항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끼움부(32a)의 하단면 좌우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지지편체(32d)를 접음선(32e)을 중심으로 안쪽으로 구부려서, 이 지지편체(32d)의 끝단부분이 볼트(31)의 머리부분에 닿을듯 말듯한 상태에 있게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인 볼트와 너트의 결합상태 유지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본 출원인의 선출원 실용신안 제97-262호에 개시된 축전지용 접속단자와 마찬가지로 차량의 기계적인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접속단자의 이탈 및 축전지 단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접속단자의 접촉 저항 및 조립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다중 배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내측 탄성체(32)와 외측덮개(33a)의 형상차이에서 오는 단축(短軸)방향으로의 밀착 효과를 볼 수 있어 접촉저항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끼움부(32a)의 하단면 좌우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지지편체(32d)를 접음선(32e)을 중심으로 안쪽으로 구부려 넣음으로서, 이 지지편체(32d)의 끝단부분이 볼트(31)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인 볼트와 너트의 결합상태 유지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있어서,
    축전지 단자와 접속되는 볼트(31);
    상기 볼트(31)의 나사부가 위로 오도록 끼워지는 구멍(W1)이 상단면의 중앙에 형성된 원추형의 끼움부(32a)와, 상기 끼움부의 후측에 형성되는 원통부(32b)와, 상기 끼움부(32a)의 주면(周面) 일측에서 원통부(32b)의 주면 일측에 걸쳐 형성되는 슬릿(32c)과, 상기 끼움부(32a)의 하단면 좌우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끼움부의 내측으로 접음선(32e)을 중심으로 구부려 넣을 수 있게 된 지지편체(32d)로 이루어진 내측 탄성체(32);
    상기 내측 탄성체(32)의 끼움부(32a) 상단면에 형성된 구멍(W1)과 대응하는 구멍(W2)이 상단면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 탄성체(32)의 끼움부를 상방에서 덮게 되는 상협하광의 타원형 형태로 형성된 외측덮개(33a)와, 주변기기와 접속된 도선이 연결되는 와이어 단자(33c)가 일체로 형성된 접속부재(33);
    그리고, 상기 내측 탄성체(32)와 외측덮개(33a)에 형성된 구멍(W1)(W2)을 통해 상방으로 돌출되는 볼트(31)에 끼워지는 링 형태의 누름부재(34)와 너트(3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KR2019980019544U 1998-10-13 1998-10-13 축전지용 접속단자 KR2002085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544U KR200208539Y1 (ko) 1998-10-13 1998-10-13 축전지용 접속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544U KR200208539Y1 (ko) 1998-10-13 1998-10-13 축전지용 접속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001U KR19990004001U (ko) 1999-01-25
KR200208539Y1 true KR200208539Y1 (ko) 2001-01-15

Family

ID=69709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9544U KR200208539Y1 (ko) 1998-10-13 1998-10-13 축전지용 접속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5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054B1 (ko) * 2006-11-13 2011-11-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낮은 접촉 저항의 전기적 접속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054B1 (ko) * 2006-11-13 2011-11-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낮은 접촉 저항의 전기적 접속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001U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7485A (en) Battery connector cover
JPS62193071A (ja) アングルプラグ
JPH1155823A (ja) 自動車用ワイヤハーネスのジョイント装置
KR200208539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JP2002184387A (ja) 上締バッテリターミナル
US5753996A (en) Gas discharge lamp with handle construction
JP3574916B2 (ja) バッテリアダプター
JPH0878098A (ja) 機器直付用シールドコネクタ
JP3783148B2 (ja) 導体の接続構造
JPH10106538A (ja) バッテリポスト用カバー
KR100399752B1 (ko) 배터리 케이블 단자 체결 구조
KR100313013B1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케이블 접속구
CN212136577U (zh) 动力电池盖板结构及电池
JP2003092101A (ja) バッテリターミナル
KR200147506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KR100997368B1 (ko) 전기 기계의 접촉을 위한 접속 장치
KR0132350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KR100399751B1 (ko) 배터리 케이블 단자 체결 구조
KR200176553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KR100217588B1 (ko) 자동차용 안테나의 잭과 플러그의 구조
KR100997863B1 (ko) 기기접속용 케이블 커넥터 및 이를 위한 기기접속유닛
JP2587079Y2 (ja) バッテリー用端子
JP4549544B2 (ja) ラインポスト碍子
CN207603206U (zh) 一种易装配的模块式浪涌保护器
JPH10106649A (ja) バッテリ接続端子用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