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7506Y1 - 축전지용 접속단자 - Google Patents

축전지용 접속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7506Y1
KR200147506Y1 KR2019970000262U KR19970000262U KR200147506Y1 KR 200147506 Y1 KR200147506 Y1 KR 200147506Y1 KR 2019970000262 U KR2019970000262 U KR 2019970000262U KR 19970000262 U KR19970000262 U KR 19970000262U KR 200147506 Y1 KR200147506 Y1 KR 2001475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lt
elastic body
inner elastic
out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02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5383U (ko
Inventor
김환창
Original Assignee
김환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환창 filed Critical 김환창
Priority to KR20199700002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506Y1/ko
Publication of KR9700153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53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5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5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차량의 기계적 진동에 의한 접속단자의 이탈 및 축전지 단자의 변형을 방지하고,접속단자의 조립 작업성을 개선하며, 다중 배선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축전지 단자와 접속되는 볼트(51)와, 상기 볼트(51)가 삽입 관통되는 구멍(Hl)이 상단면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상단면과 수직방향에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축전지 단자를 감싸는 6개의 부재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상협하광 형태의 내측 탄성체(52)와, 상기 내측 탄성체(52)의 구멍(Hl)에 대응하는 구멍 (H2)이 상단면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 탄성체(52)를 상방에서 덮는 상 협하광의 원통형태로. 형성되는 외측덮개(53a), 주변기기와 접속된도선이 연결 되는 와이어 단자(53c) 및 좌우측에 각각 하나의 흠(G)이 형성됨과 동시에, 한쪽에는 상기 외측덮개(53a)가, 다른 한쪽에는 상기 와이어 단자(53c)가 일 체로 형성되는 지지프레임(53b)으로 이루어지는 접속부재(53)와, 상기 내측 탄성체(52) 및 외측덮개(53a)에 형성된 구멍(Hl,H2)을 관통해서 상방으로 돌출된 볼트(51)에 끼워지는 링 형태의 누름부재(54)와, 상기 누름부재(54)의 상방으로 돌출된 볼트(51)에 조립되는 너트(5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축전지용 접속단자
제1a도는 종래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사시도.
제1b도는 제1a도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볼트 52 : 내측 탄성체
53a : 외측덮개 53b : 지지프레임
52c : 와이어 단자 53 : 접속부재
74 : 누름부재 55 : 너트
G : 홈 H1, H2 : 구멍
본 고안은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기 계 적 인 진 동에 의 해 발생되는 접속단자의 이탈 및 축전지 단자의 변형을 방지 함과 동 시에 조립 작업성을 개선하고, 다중 배선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한 축전지 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 축전지용 접속단자로서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89-532호의 축전지용 접속단자가 있다. 이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제1a도 및 제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협하광형의 원통체(1)로 이루어진 탄성체를 볼트 너트(3, 3r)로 고정시킴으로써 접속용 단자의 이탈 및 전기적 접촉을 개선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고안은 축전지 단자에 접속단자를 볼트 너트로 죄어서 결합시킬 때, 제1b도의 점선(가)로 표시된 바와 같이 단자가 휘어지게 되어 B부분에 기계적 힘이 집중적으로 가해져서 이 부분에 크랙이 발생되어 탄성 력 이 저하 될 뿐만 아니라, 이 크랙은 사용중 기계적 진동에 의하여 점점 더 전개되어 결국은 단자가 절단되어 버리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상기 탄성력의 저하 로 인하여 축전지 단자와 접속단자와의 결합력이 떨어져서, 특히 주행시의 기계적 진동에 의해 접촉이 불안정 하여 접촉 저 항이 크게 되는 것은 종전의 경우와 마찬가지였다. 또한, 기 계 적 진동에 의 해 축전지 단자가 변형 되거나 전속단자의 조립시 다중 래선의 조림 자업 이 촌란하다근 문제 점 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기계적 진동에 의 한 접속단자의 이탈 및 축전지 단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축전지용 접속단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접속단자의 조립 작업성을 개선하고, 다중 배선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축전지용 접속단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있 어서, 축전지 단자와 접속되는 볼트(고)와, 상기 볼트(51)가 삽입 관통되는 구멍(Hl)이 상단면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상단면과 수직방향에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축전지 단자를 감싸는 6개의 부재가 등간격으로 형성 되는 상협하광 형태의 내측 탄성체(52)와,상기 내측 탄성체(52)의 구멍(Hl) 에 대웅하는 구멍(H2)이 상단면의 중앙에 형성되고,상기 내측 탄성체(52)를 상방에서 덮는 상협하광의 원통형태로 형성되는 외측덮개(53a), 주변기기와 접속된도선이 연결되는 와이어 단자(53c) 및 좌우측에 각각 하나의 흠(G)이 형성됨과 동시에, 한쪽에는 상기 외측덮개(53a)가, 다른 한쪽에는 상기 와이 어 단자(53c)가 일체로 형 성 되 는 지지 프레 임(53b)으로 이루어지 는 접속부재(53)와, 상기 내폭 탄실체(5'f) 및 외측덮 개(53a)에 형 성 된 구멍(Hl,Hf)을 관통 해서 상방으로 돌출된 볼트(51)에 끼워지는 링 형태의 누름부재(i4)와, 상기 누름부재(54)의 상방으로 돌출된 볼트(51)에 조립되는 너트(5i)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축전지 단자상에 볼트(51)를 접속한 후, 상기 볼트(51)가 내측 탄성 체(52)의 상단면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Hl)을 관통하도록 상기 상협하광 형 태의내측 탄성체(52)를 밀어내린다. 이때, 상기 볼트(51)는 내측 탄성체(52) 의 구멍(펴1)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고, 상기 볼트(51)의 아래에 접속된 축전지 단자는 상기 내측 탄성체(52)의 6개의 부재에 의해 글 일한 힘으로 감싸여진다 이어서, 내측 탄성체(52)의 구멍(Hl)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한 상기 볼 트(51)가 접속부재(53)의 한쪽에 형성된 외측덮개(53a)의 구멍(H2)을 관통하 도록 상기 내측 탄성체(52)상에 외측덮개(52a)를 덮고, 또 상기 접속부재(53) 의 다른 한쪽에 형성된 와이어 단자(inc)에 주변기기와 접속된 도선을 연결 한다. 이때,상기 내측 탄성체(52)는 외측덮개(53a)에 의해 덮여지므로 상기 축전지 단자를 균일한 힘으로 조이고, 상기 볼트(51)는 외측덮개(53a)의 상단 중앙에 쳔성긴 구멍(H2)을 관퐁해서 상방향으로 놀출된파. 또한 상기 점속 부재(53)의 와이 어 단자(53c)에 주변기 기 와 접속된 도선을 연결하여 하나의 배선이 완성 되 지 만, 상기 외측덮개(53a)의 구멍(H2)을 관통해서 상방향으로 돌출된 볼트(51)에 다른 주변기기와 접속되는 도선을 연결하여 다중배선을 실현할 수 도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덮개(53a)의 구멍(브2)을 관통해서 상방향으로 돌출된 볼트(51)상에 링 형태의 누름부재(55)를 끼운 후 너트(54)를 상기 볼트(51)상에 조립하여 상기 누름부재(55)를 하강시키면, 상기 접속부재(53)의 외측덮개 (53a)가 하강함과 동시에 내측 탄성체(52)가 더 조여지므로, 이것에 의해 내 측 탄성체(52)를 형성하는 6개의 부재가 축전지 단자를 균일한 힘으로 확실 하게조인다. 이때, 상기 접속부재(53)는 지지프레임(53b)의 좌우측에 형성된 흠(G)에 의해 축전지의 상단면에 양호하게 밀착 고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내측 탄성체로 축전지 단자를 균일하게 조이므로 차량의 기계적 진동에 의한 접속단자의 이탈 및 축전지 단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볼트 너트를 상단에서 조립하므로 접속단자의 조링 작업성을 개선하고, 누름부재 및 볼트를 이용해서 다중 배선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측 탄성체 및 외측덮개를 통해 축전지 단자와 연결되므로 가스에 의한 부식에도 강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있어 서, 축전지 단자와 접속되는 볼트(il)와, 상기 볼트(51)가 삽입 관통되는 구멍 (Hl)이 상단면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상단면과 수직방향에서 소정의 길 이를 가지면서 상기 축전지 단자를 감싸는 6개의 부재가 등간격으로 형성되 는 상협하광 형태의 내측 탄성체(52)와,상기 내측 탄성체(52)의 구멍(171)에 대응하는 구멍(H2)이 상단면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 탄성체(52)를 상 방에서 덮는 상협하광의 원통형태로 형성되는 외측덮개(53a), 주변기기와 접속된도선이 연결되는 와이어 단자(53c) 및 좌우측에 각각 하나의 흠(G)이 형성됨과 동시에, 한쪽에는 상기 외측덮개(53a)77, 다른 한쪽에는 상기 와이어 단자(53c)가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프레임(53b)으로 이루어지는 접속부재(53) 와, 상기 내측 탄성체(52) 및 외측덮개(53a)에 형성된 구멍(Hl,H2)을 관통해 서 상방으로 돌출된 볼트(51)에 끼워지는 링 형태의 누름부재(54)와,상기 누름부재(54)의 상방으로 돌출된 볼트(51)에 조립되는 너트(5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KR2019970000262U 1997-01-10 1997-01-10 축전지용 접속단자 KR2001475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262U KR200147506Y1 (ko) 1997-01-10 1997-01-10 축전지용 접속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262U KR200147506Y1 (ko) 1997-01-10 1997-01-10 축전지용 접속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383U KR970015383U (ko) 1997-04-28
KR200147506Y1 true KR200147506Y1 (ko) 1999-06-15

Family

ID=19494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0262U KR200147506Y1 (ko) 1997-01-10 1997-01-10 축전지용 접속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50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383U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23025B2 (ja) バッテリ間接続用バスバー
JPH11312568A (ja) ステアリング用電気的接続装置における電線とフラットケーブルの接続コネクタ
JPH097668A (ja) 電気コネクタ
KR200147506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US4799899A (en) Connective structure for conductive wire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180723B2 (ja)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JP2946264B2 (ja) 電気接続用ボルトの固定構造
JPH09320694A (ja) 集合コネクタ装置
JP3180722B2 (ja)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JP3783148B2 (ja) 導体の接続構造
JPH1189052A (ja) 電気接続箱
JPH1042423A (ja) フラット導体の配線構造
JPH10106538A (ja) バッテリポスト用カバー
JPH03164017A (ja) 分岐接続箱
JPH0129725Y2 (ko)
JPH05300627A (ja) 配線板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KR0134689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JPH0110860Y2 (ko)
JPH0312214Y2 (ko)
JPS6233358Y2 (ko)
JPH0614437A (ja) バスダクト装置
KR200208539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JPH08148234A (ja) バッテリ間接続具
JP2002033166A (ja) コネクタの固定構造
KR0138663B1 (ko) 자동차의 케이블접속 및 스티어링휠과 컬럼조립용 컨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