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689Y1 - 축전지용 접속단자 - Google Patents

축전지용 접속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689Y1
KR0134689Y1 KR2019960006247U KR19960006247U KR0134689Y1 KR 0134689 Y1 KR0134689 Y1 KR 0134689Y1 KR 2019960006247 U KR2019960006247 U KR 2019960006247U KR 19960006247 U KR19960006247 U KR 19960006247U KR 0134689 Y1 KR0134689 Y1 KR 01346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ttery
bolt
main frame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62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6100U (ko
Inventor
김환창
Original Assignee
김환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환창 filed Critical 김환창
Priority to KR20199600062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689Y1/ko
Publication of KR9700561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61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6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6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01R11/283Bolt, screw or threaded ferrule parallel to the battery pos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01R11/284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comprising means for preventing corrosion, e.g. covers, enclosures filled with g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접촉저항과 크랙의 발생 및 부식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나사캡(31)과, 일측에는 축전지의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구멍(34)에 따라 상기 나사캡(31)으로 조여지는 나사산(32)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보울트(37)가 삽입되는 보울트 구멍(35)이 형성된 메인프레임(33)과, 일측에 축전지의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구멍(34')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33)에 조립되는 하부프레임(36)과, 적용전선(L)이 연결되어 상기 메인프레임(33)에 조립되는 보울트(37)와 너트(38)로 고정되는 배선단자(39) 및 상기 배선단자(39)와 리벳트(R)로 체결되어 상기 보울트(37) 및 너트(38)를 감싸는 상부프레임(40)으로 구성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축전지용 접속단자
제1a도는 종래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사시도.
제1b도는 제1a도의 단면도.
제2도는 다른 종래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나사 캡 32 : 나사산
33 : 메인 프레임 34,34' : 단자구멍
35 : 보울트 구멍 36 : 하부 프레임
37 : 보울트 38 : 너트
39 : 배선단자 40 : 상부 프레임
R : 리벳트 L : 적용전선
본 고안은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축전지의 단자에 조립되는 접속단자를 축전지에 전체적으로 밀착시켜 접촉저항의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또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 축전지용 접속단자로서는,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89-532호의 축전지용 접속단자가 있다. 이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제1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협하광형의 원통체(1)로 이루어진 탄성체를 볼트 너트(3,3')로 고정시킴으로써 축전지와 접속단자를 체결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고안은 축전지 단자에 접속단자를 볼트 너트(3,3')로 죄어서 결합시킬 때, 제1b도의 점선 (가)로 표시된 바와 같이 단자가 휘어지게 되어 B부분에 기계적힘이 집중적으로 가해지므로 크랙이 발생되어 탄성력이 저하될 뿐 아니라, 그 크랙은 사용 중 기계적 진동에 의하여 점점 더 전개되어 결국은 단자가 절단되어 버리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상기 탄성력의 저하로 인하여 축전지 단자와 접속단자와의 결합력이 떨어져서, 특히 주행시의 기계적 진동에 의해 접촉이 불안정하여 접촉 저항이 크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95-21519호의 축전지용 접속단자가 있다. 이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협하광형의 원통체(10)로 이루어진 탄성체를 상하로 배치하여 탄성력을 키움으로써 접속단자의 이탈방지 및 접촉저항을 대폭적으로 줄였으며, 와이어 단자를 접속단자와 분리시킴으로써 다양한 차종의 축전지 단자 접속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고안은 상기 탄성체를 축전지 단자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볼트 너트를 옆에서 조이므로 크랙이 발생함과 동시에, 조립 작업이 불편하고, 볼트 너트의 힘만으로 탄성체를 조이므로 볼트 너트가 느슨하게 되는 경우 축전자 단자와 접속단자와의 결합력이 떨어져서 접촉저항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염수 및 황산가스의 침투에 의해 접속단자가 부식되어 접촉저항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축전지 단자와 겁속단자의 조립시 상단에서 나사캡으로 나사산을 조여 접속시키므로 접촉저항의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축전지용 접속단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축전지에서 발생되는 염수 및 황산가스의 침투에 의한 접속단자의 부식을 방지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축전지 단자와 접속단자의 조립시 나사캡과 나사산을 이용하여 균일한 힘으로 접속시키므로 크랙의 발생을 방지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갭(31)과, 일측에는 축전지의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구멍(34)에 따라 상기 나사캡(31)으로 조여지는 나사산(32)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보울트(37)가 삽입되는 보울트 구멍(35)이 형성된 메인프레임(33)과, 일측에 축전지의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구멍(34')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33)에 조립되는 하부프레임(36)과, 적용전선(L)이 연결되어 상기 메인프레임(33)에서 보울트(37)와 너트(38)로 고정되는 배선단자(39) 및 상기 배선단자(39)와 리벳트(R)로 체결되어 상기 보울트(37) 및 너트(38)를 감싸는 상부프레임(4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메인 프레임(33)의 일측에 형성된 보울트 구멍(35)에 보울트(37)를 삽입하여 고정시킨 후, 상기 메인프레임(33)의 다른 일측에 형성된 단자구멍(34)과 하부프레임(36)의 일측에 형성된 단자구멍(34')이 일치하도록 메인프레임(33)과 하부프레임(36)을 체결한다.
다음, 체결된 메인프레임(33)과 하부프레임(36)의 단자구멍(34,34')으로 축전지의 단자를 삽입한 후, 나사캡(31)으로 상기 메인프레임(33)의 나사산(32)을 조여서 체결된 메인프레임(33)과 하부프레임(36)을 축전지에 밀착시킨다.
이어서, 적용전선(L)이 연결된 배선단자(39)를 상기 보울트(37)에 조립하여 너트(38)로 고정시킨 후, 상부프레임(40)으로 상기 보울트(37) 및 너트(38)를 덮은 상태에서 리벳트(R)를 이용하여 상기 배선단자(39)와 상부프레임(40)을 체결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축전지의 상단에서 나사캡을 이용하여 축전지의 단자와 접속단자를 견고하게 접속하므로 접촉저항의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나사산과 나사캡을 이용하여 축전지의 단자와 접속단자를 균일한 힘으로 접속하므로 크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나사캡과 상부프레임을 사용하므로 염수 및 황산가스의 침투에 의한 접속단자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나사캡(31)과, 일측에는 축전지의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구멍(34)에 따라 상기나사캡(31)으로 조여지는 나사산(32)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보울트(37)가 삽입되는 보울트 구멍(35)이 형성된 메인프레임(33)과, 일측에 축전지의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구멍(34')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33)에 조립되는 하부프레임(36)과, 적용전선(L)이 연결되어 상기 메인프레임(33)에서 보울트(37)와 너트(38)로 고정되는 배선단자(39) 및 상기 배선단자(39)와 리벳트(R)로 체결되어 상기 보울트(37) 및 너트(38)를 감싸는 상부프레임(40)을 구비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KR2019960006247U 1996-03-28 1996-03-28 축전지용 접속단자 KR01346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6247U KR0134689Y1 (ko) 1996-03-28 1996-03-28 축전지용 접속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6247U KR0134689Y1 (ko) 1996-03-28 1996-03-28 축전지용 접속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100U KR970056100U (ko) 1997-10-13
KR0134689Y1 true KR0134689Y1 (ko) 1999-01-15

Family

ID=19452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6247U KR0134689Y1 (ko) 1996-03-28 1996-03-28 축전지용 접속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68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100U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9123B2 (en) Connector attachment structure
KR200282855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JP2002184387A (ja) 上締バッテリターミナル
KR0134689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JP2832133B2 (ja) 電気接続箱
JPH049736Y2 (ko)
US20020094728A1 (en) Connecting terminal for storage battery
JP3180722B2 (ja)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US5616433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storage batteries
KR200238782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KR200182810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JP3209893B2 (ja) バッテリー端子
KR200268266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KR200147506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JP2580946Y2 (ja) 蓄電池
KR200187920Y1 (ko) 발전기의 터미널 조립구조
CN217848332U (zh) 一种连接稳定的d-sub连接器
KR200229064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JPH11224707A (ja) 端子台
KR0132350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JP2003031108A (ja) ヒューズの取付構造
KR100235706B1 (ko) 차량용 배터리의 터미널 구조
KR0132937Y1 (ko) 자동차용 배터리 터미널구조
JPH1116565A (ja) バッテリーポスト
JPH1140229A (ja) 導体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