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782Y1 - 축전지용 접속단자 - Google Patents

축전지용 접속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782Y1
KR200238782Y1 KR2020010009924U KR20010009924U KR200238782Y1 KR 200238782 Y1 KR200238782 Y1 KR 200238782Y1 KR 2020010009924 U KR2020010009924 U KR 2020010009924U KR 20010009924 U KR20010009924 U KR 20010009924U KR 200238782 Y1 KR200238782 Y1 KR 2002387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battery
terminal
connection terminal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9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환창
Original Assignee
김환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환창 filed Critical 김환창
Priority to KR20200100099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7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7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782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축전지용 포스트 단자와 결합되는 접속단자의 포스트 체결부(3) 옆면을 밀폐시키고, 상기 포스트 체결부(3)의 원통형 체결공(2)를 조여주기 위해 장착되는 볼트(5)와 너트(6) 사이에 사각 와셔(7)를 삽입함으로써, 기계적 진동에 의한 상기 접속단자의 크랙 발생 및 이탈 불량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킨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축전지용 접속단자{A Connecting Terminal for Storage Battery}
본 고안은 자동차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축전지용 포스트 단자와 결합되는 접속단자의 포스트 체결부를 구성할 때, 상기 포스트 체결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원통형의 체결공의 옆면을 밀폐시켜줌으로써, 기계적 진동에 의한 상기 접속단자의 크랙 발생 및 이탈 불량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킨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축전지용 포스트 단자에 결합되어 있는 접속단자는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있으나, 종종 자동차가 주행할 때 기계적 진동에 의해 크랙이 발생되거나, 접속상태의 불량으로 접촉저항을 증대시킬 수 있어 축전지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종래기술로써, 상기 접속단자의 일반적인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 중의 하나로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89-532호에 기재된 축전지용 접속단자가 알려져 있다.
상기의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 형상의 원통체(31)로 이루어진 체결공을 볼트(33)와 너트(33a)로 고정시킴으로써,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와 접속단자를 체결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축전지용 접속단자도 또한 차량의 주행에 따른 진동 등의 외력이 도면에 도시된 'B' 부분에 집중되어, 이 부분에서 크랙이 발생되는 일이 많았다.
이와 같이, 'B' 부분에서 일단 크랙이 발생되면 탄성력이 저하될 뿐 아니라, 계속 사용에 의한 진동으로 크랙이 점점 더 커져, 결국에는 단자가 절단되어 버리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축전지 단자와 접속단자와의 결합력이 떨어져 접촉불량을 야기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또 다른 종래기술로써, 커넥터 체결부(10)의 일단으로 이어지는 포스트 체결부(30)에 일측이 개방되어 이어지는 원통형의 체결공(20)을 나란히 형성한 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포스트 체결부(30)의 한 쪽 절반을 일방향으로 완전히 접어 상기 원통형 체결공(20)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하며, 상기 원통형 체결공(20)을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에 삽입하고 포스트 체결부(30)의 접혀지는 안 쪽 공간으로 볼트(50)와 너트(60)를 삽입하여 조여줌으로써 상기 포스트 단자에 접속단자를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포스트 단자에 접속단자의 포스트 체결부를 고정하기 위해 볼트를 계속해서 조여주게 되면, 위 쪽에 있는 원통형의 체결공이 밀려서 올라가게 되어 진동에 약해져 크랙이 발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스트 체결부의 접혀지는 부분이 틀어질 수도 있고, 또한 원통형의 체결공이 서로 떨어져 있기 때문에 전도성이 좋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서로 마주보는 원통형의 체결공의 옆면이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원통형의 체결공이 일체와 같이 구성되도록 한 축전지용 접속단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또 다른 종래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커넥터 체결부, 2,2a,2b....원통형 체결부,
3,3a,3b...포스트 체결부, 4...고정편,
5...볼트, 6...너트,
7...사각 와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일측에는 커넥터를 체결하는 커넥터 체결부(1)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마주보면서, 일측이 개방되어 서로 이어진 원통형 체결공(2)이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에 삽입되는 포스트 체결부(3)를 형성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있어서,
원통형 체결공(2a)이 위치하는 아래 쪽 포스트 체결부(3a)의 양 옆면을 연장한 후 상향으로 직각되게 절곡하여, 포스트 체결부(3)의 옆면이 밀폐되도록 하되, 연장된 면의 양 쪽에서 돌출된 고정편(4)을 직각으로 절곡하여, 또 다른 원통형 체결공(2b)이 위치하는 위 쪽 포스트 체결부(3b)의 상면 양 쪽에 밀착시킴으로써 연장된 면이 고정되도록 되도록 하고, 원통형 체결공(2)을 조여주기 위해 포스트 체결부(3)의 일측에 장착되는 볼트(5)와 너트(6) 사이에 사각 와셔(7)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포스트 체결부(3)의 옆면이 밀폐됨으로써 위 쪽과 아래 쪽의 원통형의 체결공(2a)(2b)이 일체와 같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목적과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의하면, 서로 마주보는 원통형 체결공이 일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진동에 의한 포스트 체결부의 떨림 현상이 줄어들게 되어 크랙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볼트로 원통형 체결공을 조여줄 때 위 쪽의 원통형 체결공이 밀려 올라가는 일이 없게 되며, 서로 마주보는 원통형 체결공이 서로 이어져 있어 전도성도 좋아지게 된다.
또한, 볼트와 너트의 사이에 사각 와셔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포스트 체결부의 일측이 조여주는 힘에 의해 일방적으로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일측에는 커넥터를 체결하는 커넥터 체결부(1)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마주보면서, 일측이 개방되어 서로 이어진 원통형 체결공(2)이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에 삽입되는 포스트 체결부(3)를 형성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있어서,
    원통형 체결공(2a)이 위치하는 아래 쪽 포스트 체결부(3a)의 양 옆면을 연장한 후 상향으로 직각되게 절곡하여, 또 다른 원통형 체결공(2b)이 위치하는 위 쪽 포스트 체결부(3b)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체결부(3)의 일측에 장착되는 볼트(5)와 너트(6) 사이에 사각 와셔(7)을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KR2020010009924U 2001-04-10 2001-04-10 축전지용 접속단자 KR2002387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924U KR200238782Y1 (ko) 2001-04-10 2001-04-10 축전지용 접속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924U KR200238782Y1 (ko) 2001-04-10 2001-04-10 축전지용 접속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782Y1 true KR200238782Y1 (ko) 2001-10-11

Family

ID=73064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924U KR200238782Y1 (ko) 2001-04-10 2001-04-10 축전지용 접속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78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96075A1 (en) Battery fuse bus bar assembly
KR200238782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KR100620081B1 (ko) 납축전지의 단자
KR200187920Y1 (ko) 발전기의 터미널 조립구조
KR20100137921A (ko) 조임너트를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단자 결합구
US5310365A (en) Terminal connecting device
KR0134689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KR200182810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JP2523683Y2 (ja) 電気接続箱の固定構造
KR100313013B1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케이블 접속구
JP2598091Y2 (ja) ボルト締めコネクタ
KR200268266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KR100399752B1 (ko) 배터리 케이블 단자 체결 구조
KR200294679Y1 (ko) 헛돌림 방지기능을 가진 오디오 및 비디오 접속단자
JPH0136294Y2 (ko)
JP3324511B2 (ja) 電気接続箱の固定構造
JP2580946Y2 (ja) 蓄電池
JPH0126068Y2 (ko)
JP3060360B2 (ja) バッテリ電極用接続端子
KR100235706B1 (ko) 차량용 배터리의 터미널 구조
JPS6339849Y2 (ko)
JPH1140229A (ja) 導体の接続構造
JP3786087B2 (ja)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KR200444240Y1 (ko) 배터리 터미널
JPH08124616A (ja) 二輪車のバッテリー接続用端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