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3013B1 - 자동차용 배터리의 케이블 접속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배터리의 케이블 접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3013B1
KR100313013B1 KR1019990056861A KR19990056861A KR100313013B1 KR 100313013 B1 KR100313013 B1 KR 100313013B1 KR 1019990056861 A KR1019990056861 A KR 1019990056861A KR 19990056861 A KR19990056861 A KR 19990056861A KR 100313013 B1 KR100313013 B1 KR 100313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fastening
cable
terminal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5615A (ko
Inventor
김동식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90056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3013B1/ko
Publication of KR20010055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3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30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자동차의 전장품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케이블(3)을 배터리의 전극 단자(2)에 연결하는 접속구는, 그 내부에 배터리의 단자를 수용하도록 일측이 개구된 환형의 수용부(11)와, 수용부의 양측 개구단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볼트(1)8와 너트(19)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수용부를 배터리의 단자에 고정하는 한 쌍의 체결 바(12)와, 수용부의 체결 바 반대측에 형성되어 케이블이 연결되는 연결부(16)를 가지며, 한 쌍의 체결 바는 그 대향면의 내측단(14) 사이의 간격(a)보다 외측단(13) 사이의 간격(b)이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체결 바들의 체결시, 대향면들이 그 내측단과 외측단에서 동시에 서로 밀착되므로, 체결 바들이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배터리의 케이블 접속구{Connector for connecting pole of battery and electric cable in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배터리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전장품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케이블을 배터리의 전극 단자에 연결하는 접속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차에 있어서, 배터리는 엔진의 구동에 의해 작동되는 발전기와 더불어 자동차의 각종 전장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매우 중요한 부품이다. 이러한 배터리(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육면체 형상의 외관을 가지고 있으며, 그 상면으로 돌출된 양극 및 음극 단자(2)에 자동차의 각종 전장품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케이블(3)이 접속구(4)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전력 케이블(3)을 배터리(1)의 전극 단자(2)에 접속하는 접속구(4)는, 스틸(steel) 재질의 부재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배터리의 단자를 수용하도록 일측이 개구된 환형의 수용부(5)와 이러한 수용부(5)의 양측 개구단으로부터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체결 바(6)와, 수용부(5)의 체결 바(6) 반대측으로 연장된 연결부(7)를 포함하고 있다.
한 쌍의 체결 바(6)에는 체결 바(6)들을 동시에 관통하는 방향으로 관통공(6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7)에 형성된 나사봉에 전력 케이블(3)의 끝단이 삽입되어 너트로 체결되는 것에 의해 전력 케이블(3)은 연결부(7)에 연결된다.
그리고, 접속구(4)의 수용부(5)가 단자(도 1의 2)의 둘레로 끼워져 배터리의 단자가 수용부(5)에 수용된 다음, 체결 볼트(8)를 한 쌍의 체결 바(6)의 관통공(6a)을 관통시켜 너트(9)로 체결하는 것에 의해, 수용부(5)의 내경이 축소되면서 수용부(5)의 내주면이 단자의 외주면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고정된다. 이에 따라 전력 케이블(3)과 배터리 단자의 접속이 완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배터리의 케이블 접속구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었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체결 바(6)는 볼트(8)로 체결되기 전에는 그 대향면이 서로 평행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수용부(5)를 배터리의 단자(2)에 고정하기 위해 볼트(8)로 체결하면, 체결 바(6)의 대향면이 서로 밀착되면서 수용부(5)의 내경이 축소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면의 내측단(6b)보다 외측단(6c)이 먼저 접촉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그리고, 체결 작업이 더 진행되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바(6)의 외측단(6c)에 가해지는 체결력에 의해 체결 바(6)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고, 심하게는 체결 바(6)가 파손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단자에 고정하기 위해 체결 바들을 체결할 때, 체결 바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자동차용 배터리의 케이블 접속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용 배터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배터리용 케이블 접속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b는 종래의 케이블 접속구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용 케이블 접속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케이블 접속구의 체결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구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구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전극 단자 3 ; 전력 케이블
11 ; 수용부 12 ; 체결 바
13 ; 체결 바의 외측단 14 ; 체결 바의 내측단
16 ; 연결부 18 ; 볼트
19 ; 너트 20 ; 와셔
21 ; 와셔붙이 너트
상기의 목적은, 그 내부에 배터리의 단자를 수용하도록 일측이 개구된 환형의 수용부와, 수용부의 양측 개구단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수용부를 배터리의 단자에 고정하는 한 쌍의 체결 바와, 수용부의 체결 바 반대측에 형성되어 케이블이 연결되는 연결부를 가지며, 자동차의 전장품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을 배터리의 전극 단자에 연결하는 접속구에 있어서, 한 쌍의 체결바는 그 대향면의 내측단 사이의 간격보다 외측단 사이의 간격이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의 케이블 접속구에 의해 달성된다.
볼트 및 너트와 한 쌍의 체결 바 사이에는 볼트와 너트에 의한 체결력을 체결 바들의 대향면에 균일하게 작용시키기 위한 탄성 와셔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너트가 와셔붙이 너트로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의 케이블 접속구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구는, 수용부(11)와 한 쌍의 체결 바(12)와 연결부(16)를 포함하고 있으며, 체결 바(12)가 볼트(18)와 너트(19)로 체결되는 것에 의해 배터리의 단자(2)에 접속된다.
수용부(11)는 일측이 개구된 환형 부재로서, 그 내부에 배터리의 단자(2)를 수용한다. 한 쌍의 체결 바(12)는 수용부(11)의 양측 개구단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체결 바(12)에는 체결 바들(12)을 동시에 관통하는 방향으로 관통공(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체결 바(12)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8)와 너트(19)에 의해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 대향면의 내측단(14) 사이의 간격(a)보다 외측단(13) 사이의 간격(b)이 더 크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내측단(14) 사이의 간격(a)과 외측단(13) 사이의 간격(b)의 크기의 비는 수용부(11)가 배터리의 단자(2)의 외주면에 충분히 밀착되도록 수용부(11)의 내경이 축소되었을 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면들이 내측단(14)으로부터 외측단(13)까지 정확하게 서로 접촉될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16)는 수용부(11)의 체결 바(12)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로 돌출된 나사봉을 통해 케이블(3)이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구는, 수용부(11)를 배터리의 단자(2) 둘레로 끼워서 배터리의 단자(2)를 수용부(11)에 수용한 다음, 볼트(18)와 너트(19)를 이용하여 한 쌍의 체결 바(12)를 서로 체결하는 것에 의해 수용부(11)의 내경이 축소되어 수용부(11)는 단자(2)에 고정된다.
여기서, 한 쌍의 체결 바(12)의 대향면은, 그 내측단(14) 사이의 간격(a)보다 외측단(13) 사이의 간격(b)이 더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체결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대향면들이 그 내측단(14)과 외측단(13)에서 동시에 서로 접촉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체결 바(6)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속구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속구는, 도 4에 도시된 접속구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면서 한 쌍의 와셔(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와셔(20)는 볼트(18)의 머리와 체결 바(12) 사이, 그리고 너트(19)와 체결 바(12) 사이에 각각 위치된다. 이에 따라 볼트(18)와 너트(19)에 의해 체결 바들(12)에 가해지는 체결력이, 체결 바들(12)의 내측단(14)에서 외측단(13)까지 균일하게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볼트(18)와 너트(19)의 체결력이 체결 바(12)에 불균일하게 가해짐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체결 바들(12)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별도의 부재로 제공되는 와셔(20)를 사용하지 않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셔붙이 너트(21)를 사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체결부들의 대향면의 내측단 사이의 간격보다 외측단 사이의 간격을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대향면들이 그 내측단과 외측단에서 동시에 서로 밀착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체결 바들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와셔에 의해서는 볼트와 너트에 의한 체결력이 체결 바들의 내측단과 외측단에 균일하게 가해지므로, 체결 바의 변형 및 파손 현상이 더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그 내부에 배터리의 단자를 수용하도록 일측이 개구된 환형의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양측 개구단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수용부를 상기 배터리의 단자에 고정하는 한 쌍의 체결 바와, 상기 수용부의 체결 바 반대측에 형성되어 케이블이 연결되는 연결부를 가지며, 자동차의 전장품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상기 케이블을 상기 배터리의 전극 단자에 연결하는 접속구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체결바는 그 대향면의 내측단 사이의 간격보다 외측단 사이의 간격이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터리의 케이블 접속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및 너트와 한 쌍의 체결 바 사이에는 상기 볼트와 너트에 의한 체결력을 상기 체결 바들의 대향면에 균일하게 작용시키기 위한 탄성 와셔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터리의 케이블 접속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는 와셔붙이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터리의 케이블 접속구.
KR1019990056861A 1999-12-11 1999-12-11 자동차용 배터리의 케이블 접속구 KR100313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861A KR100313013B1 (ko) 1999-12-11 1999-12-11 자동차용 배터리의 케이블 접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861A KR100313013B1 (ko) 1999-12-11 1999-12-11 자동차용 배터리의 케이블 접속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615A KR20010055615A (ko) 2001-07-04
KR100313013B1 true KR100313013B1 (ko) 2001-11-05

Family

ID=19625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861A KR100313013B1 (ko) 1999-12-11 1999-12-11 자동차용 배터리의 케이블 접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30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729Y1 (ko) * 2007-12-26 2009-08-2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배터리 터미널의 구조
CN109969110B (zh) * 2019-04-12 2021-08-27 李楠楠 一种自适应可调电瓶夹
KR102190178B1 (ko) * 2019-05-22 2020-12-11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축전지용 접속단자
KR102540388B1 (ko) * 2022-12-26 2023-06-05 박찬희 자동차 성능개선 보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5890A (ja) * 1995-05-16 1996-11-29 Sumitomo Wiring Syst Ltd バッテリターミナル
KR970047285U (ko) * 1995-12-31 1997-07-31 축전지 단자의 중간 접속구
KR970050356U (ko) * 1996-01-09 1997-08-12 김환창 축전지용 접속단자
JPH11219696A (ja) * 1998-02-03 1999-08-10 Yazaki Corp バッテリー接続用端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5890A (ja) * 1995-05-16 1996-11-29 Sumitomo Wiring Syst Ltd バッテリターミナル
KR970047285U (ko) * 1995-12-31 1997-07-31 축전지 단자의 중간 접속구
KR970050356U (ko) * 1996-01-09 1997-08-12 김환창 축전지용 접속단자
JPH11219696A (ja) * 1998-02-03 1999-08-10 Yazaki Corp バッテリー接続用端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615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0375A (en) Connection construction for a battery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box
JP3371359B2 (ja) 端子の接続固定構造
KR100313013B1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케이블 접속구
CN112106259A (zh) 用于机动车的插拔式连接元件以及用于制造这种插拔式连接元件的方法
KR101366118B1 (ko)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
US4830624A (en) Twist-on battery connector
JPH0878098A (ja) 機器直付用シールドコネクタ
JP3783148B2 (ja) 導体の接続構造
KR200198944Y1 (ko) 배터리 터미널
KR100997368B1 (ko) 전기 기계의 접촉을 위한 접속 장치
JP2003304626A (ja) プラグイン分岐構造
GB2297206A (en) Interconnection terminal fixing structure for electronic switch
KR200187920Y1 (ko) 발전기의 터미널 조립구조
KR19990030546U (ko) 차량 접지단자의 고정구조
KR200142576Y1 (ko) 전원 콘센트를 설치한 배터리
JP2000100418A (ja) 蓄電池
KR200142575Y1 (ko) 밧데리단자의 결합구조
KR200194108Y1 (ko) 밧데리 접속구
KR0121641Y1 (ko) 교류발전기의 밧데리단자어셈블리
JP2003068272A (ja) 電気自動車用ワイヤハーネスをバッテリーに接続するための端末用端子、その端末用端子を用いた取付構造及びその端末用端子のためのプロテクタ
KR100507014B1 (ko) 자동차의 축전지 및 그 연결구조
KR0132966Y1 (ko) 축전지단자와 케이블단자의 체결구조
KR0132964Y1 (ko) 배터리 단자와 케이블 체결구조
KR200180572Y1 (ko) 차량용 배터리와 케이블 결합구조
KR0135602Y1 (ko) 밧데리케이블 단자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