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576Y1 - 전원 콘센트를 설치한 배터리 - Google Patents

전원 콘센트를 설치한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576Y1
KR200142576Y1 KR2019930020769U KR930020769U KR200142576Y1 KR 200142576 Y1 KR200142576 Y1 KR 200142576Y1 KR 2019930020769 U KR2019930020769 U KR 2019930020769U KR 930020769 U KR930020769 U KR 930020769U KR 200142576 Y1 KR200142576 Y1 KR 2001425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erminal
insulating plate
power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07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2616U (ko
Inventor
이성기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300207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576Y1/ko
Publication of KR9500126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6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5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5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고안은 전원 콘센트 설치한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상면에 전원 콘센트를 설치하여 터미널의 접촉하는 부분을 보호하고 한 개의 배터리에 다수의 전원 케이블을 사용할 때 안전성과 편리성을 부여하는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절연체로 이루어진 덮개 형태의 절연판을 배터리의 크기에 맞게 형성하고, 절연판의 내부에는 터미널과 연결되는 플러스, 마이너스 도체를 형성하며 상기 도체가 터미널에 고정될 수 있게 슬라이딩 가능한 절연판에 나사조립된 볼트가 형성되고 시험장비의 전원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해 고정판을 도체에 나사조립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원 콘센트를 설치한 배터리
제1도는 종래의 배터리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배터리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전원 콘센트를 중앙을 절개하여 보인 평면도
제4도는 제2도 A부의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50a : 절연판 52 : 조임볼트
56,58 : 도체 60 : 고정판
64 : 전원케이블 100 : 콘센트
본 고안은 전원 콘센트를 설치한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상면에 전원 콘센트를 설치하여 터미널의 접촉하는 부분을 보호하고 한개의 배터리에 다수의 전원 케이블을 사용할 때 안전성과 편리성을 부여하는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배터리는 자동차의 모든 전기를 공급하는 데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에 반하여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여 각종 장비의 시험시에도 상용되고 있다. 이와같이 배터리의 사용을 각종 장비의 시험시에 사용할 경우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0)에 형성된 터미널(12)에 각 장비의 집게(14)를 집어 전원을 인가받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집게(14)들을 다수의 장비를 통해 한꺼번에 터미널(12)에 많이 연결하는 경우에 각각의 집게(14)의 플러스단자와 마이너스어스된 몸체가 합선될 경우에는 고가장비에 치명적 손상을 입힐 수 있고, 더 나아가서 많은 집게(14)들이 불안전한 상태로 터미널(12)에 연결되면 파스크현상이 발생되어 터미널(12)이 소손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배터리의 상부에 덮개 형태로 이루어진 콘센트를 형성하여 각종 시험장비의 전원을 연결시켜 많은 장비를 한개의 배터리에 용이하고 안정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콘센트를 설치한 배터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절연체로 이루어진 덮개 형태의 절연판을 배터리의 크기에 맞게 형성하고 절연판의 내부에는 터미널과 연결되는 플러스, 마이너스 도체를 형성하며 상기 도체가 터미널에 고정될 수 있게 슬라이딩 가능한 절연판에 나사조립된 볼트가 형성되고 시험장비의 전원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해 고장판을 도체에 나사조립되게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배터리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전원 콘센트를 중앙을 절개하여 보인 평면도이며, 제4도는 제2도 A부의 상세도이다.
배터리(10)의 상부에 절연체로 이루어진 덮개 형태의 절연판(50)을 배터리(10)의 크기에 부합되게 형성하되, 절연판(50)의 일측이 전,후 슬라이딩 가능한 절연판(50a)을 형성하고 이들 절연판(50,50a)에 조임볼트(52)를 삽입하여 너트(54)로 조일 수 있도록 형성하며 절연판(50,50a)사이에 플러스 도체(56)와 마이너스 도체(58)를 각각 형성하고 이들 도체(56,58) 사이에는 고정판(60)이 절연판(50)에 나사(62)조립되어 구성된 콘센트(100)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조임볼트(52)를 너트(54)로 조임에 따라 절연판(50,50a)에 형성된 도체(56,58)가 터미널(12)에 압압되어 전원연결 안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각종 시험장비의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64)을 배터리(10)에 연결하려면 나사(62)를 풀어 고정판(60)을 털거하여 케이블(64)의 단부를 도체(56,58)에 연결시킨 상태로 하여 고정판(60)을 다시 나사(62)로 고정 시키면 시험장비에 전원이 인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전원 콘센트를 설치한 배터리에 의하면 한개의 배터리에 각종 장비의 전원 케이블을 편리하고 안정되게 연결할 수 있게 되었으며, 종래와 같은 장비의 손상 또는 터미널의 소손 등이 전혀 발생되지 않아 배터리는 물론 고가장비를 보호할 수 있는 잇점을 얻게 되었다.

Claims (1)

  1. 배터리(10)의 상부에 절연체로 이루어진 덮개 형태의 절연판(50)을 형성하되 절연판(50)의 일측이 전,후 슬라이딩 가능한 절연판(50a)을 형성하여 이들 절연판(50,50a)에 조입볼트(52)를 삽입하고 너트(54)로 조일 수 있도록 형성하며 절연판(50,50a)사이에 플러스도체(56)와 마이너스 도체(58)를 각각 형성하고 도체(56,58)사이에는 고정판(60)이 절연판(50)에 나사(62)조립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콘센트를 설치한 배터리
KR2019930020769U 1993-10-11 1993-10-11 전원 콘센트를 설치한 배터리 KR2001425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0769U KR200142576Y1 (ko) 1993-10-11 1993-10-11 전원 콘센트를 설치한 배터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0769U KR200142576Y1 (ko) 1993-10-11 1993-10-11 전원 콘센트를 설치한 배터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616U KR950012616U (ko) 1995-05-17
KR200142576Y1 true KR200142576Y1 (ko) 1999-06-01

Family

ID=19365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0769U KR200142576Y1 (ko) 1993-10-11 1993-10-11 전원 콘센트를 설치한 배터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57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616U (ko) 199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6380B1 (en) Electrical fuse box for motor vehicles
CA1095159A (en) Busway plug assembly
US4422706A (en) Electrical connector plug with receptacle assembly
US4744765A (en) High voltage ground stud
US4673240A (en) Side mount universal battery terminal
CN111656480B (zh) 模块化单螺栓熔断件保持器
US4093970A (en) Main lug assembly for circuit breaker load centers
US4859192A (en) Easily removable high voltage ground stud insulator
US4174873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 vehicle
KR200142576Y1 (ko) 전원 콘센트를 설치한 배터리
US4822289A (en) Easily removable high voltage ground stud insulator
RU2507656C2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ая коробка,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осветительных кабелей в туннелях
US4105272A (en) High current grounding assembly having rigid interconnecting conductors
JP2000308242A (ja) バスダクト接続部
US6062917A (en) Versatile cable connector system for medium voltage underground electrical transmission distribution and the like
US4941834A (en) Universal high voltage ground stud insulating system
KR100313013B1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케이블 접속구
JP3112416B2 (ja) 電気接続箱の接続構造
JP2003304626A (ja) プラグイン分岐構造
CN218471685U (zh) 绝缘护套
RU2091930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модуль
US3518615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218677703U (zh) 一种铜排安全防护装置
US20210249738A1 (en) Interlock structure of battery pack
KR200305508Y1 (ko) 배전용 피뢰기의 접속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