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0546U - 차량 접지단자의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접지단자의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0546U
KR19990030546U KR2019970043238U KR19970043238U KR19990030546U KR 19990030546 U KR19990030546 U KR 19990030546U KR 2019970043238 U KR2019970043238 U KR 2019970043238U KR 19970043238 U KR19970043238 U KR 19970043238U KR 19990030546 U KR19990030546 U KR 199900305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terminal
clamp nut
bolt insertion
insertion hol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32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희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432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0546U/ko
Publication of KR199900305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546U/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접지단자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체에 접지단자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볼트와 너트를 조립시 별도의 지지공구 예로, 스패너 등의 사용없이 하나의 공구로 간단히 접지단자를 차체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 접지단자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체(20)에 볼트삽입공(21)을 형성하고, 이 볼트삽입공(21)에 접지선(10)에 연결된 접지단자(14)를 연결시키는 고정구조에 있어서;
내부에 축선상으로 관통된 나사공(41)과 원주상에 축선방향으로 분할등분된 수나사부(42)를 갖는 클램프 너트(40)를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 너트(40)의 수나사부(42)를 상기 볼트삽입공(21)에 삽입하고, 상기 클램프 너트(40)에 상기 접지단자(14)를 위치시키고 나사(50)를 상기 접지단자(14)의 볼트삽입공(13)에 삽입시킴과 동시에 클램프 너트(40)의 나사공(41)에 나사결합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접지단자의 고정구조
본 고안은 차량 접지단자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체에 접지단자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볼트와 너트를 조립시 별도의 지지공구 예로, 스패너 등의 사용없이 하나의 공구로 간단히 접지단자를 차체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 접지단자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각종 전자장비 및 전기적 장치를 차량의 배터리 전원과 연결시키기 위해 차체를 접지로 사용한다.
이럴 경우 종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선(10)에는 중앙에 단자측 볼트삽입공(13)을 갖는 원형 플레이트의 접지단자(14)를 연결하고, 차체(20)측에는 차체측 볼트삽입공(21)을 형성하고, 상기 볼트공(21)의 축선상에 접지단자(14)를 위치시키고 볼트(16)를 접지단자(14)의 볼트삽입공(13) 및 차체(20)의 볼트삽입공(21)에 삽입하고, 볼트(16)의 나사부에 너트(30)를 나사결합시켜서 접지단자(14)가 차체(20)에 고정 설치되게 되어있다.
이같이 종래의 접지단자(14)는 볼트(16)와 너트(30)의 나사 조임력에 의해 차체(20)에 고정됨으로써 해서 접지단자(14)의 설치시 다음과 같은 어려움이 있다.
즉, 볼트(16)와 너트(30)의 나사체결시 너트(3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고정공구 예로, 스패너 등으로 너트(30)를 잡고 볼트(16)를 돌려야 볼트(16)와 너트(30)의 조임력이 확실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접지선(10)을 차체에 연결시키는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차체(20)의 진동에 의해 볼트(16)와 너트(30)이 체결력이 자력으로 풀리게 되어 접지가 불량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체에 접지단자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볼트와 너트를 조립시 별도의 지지공구 예로, 스패너 등의 사용없이 하나의 공구로 간단히 접지단자를 차체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 접지단자의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차체(20)에 볼트삽입공(21)을 형성하고, 이 볼트삽입공(21)에 접지선(10)에 연결된 접지단자(14)를 연결시키는 고정구조에 있어서;
내부에 축선상으로 관통된 나사공(41)과 원주상에 축선방향으로 분할등분된 수나사부(42)를 갖는 클램프 너트(40)를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 너트(40)의 수나사부(42)를 상기 볼트삽입공(21)에 삽입하고, 상기 클램프 너트(40)에 상기 접지단자(14)를 위치시키고 나사(50)를 상기 접지단자(14)의 볼트삽입공(13)에 삽입시킴과 동시에 클램프 너트(40)의 나사공(41)에 나사결합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수단에 의하면, 차체의 볼트삽입공에 클램프 너트를 삽입시키고 나사에 접지단자를 끼움하고, 나사를 클램프 너트의 나사공에 나사체결하게 되면 클램프 너트의 나사부가 벌어지면서 차체의 볼트삽입공에 고정 설치되고, 접지단자는 나사와 클램프 너트의 사이에서 밀착되어 접지연결이 되고, 따라서 종래와 같이 별도의 너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 공구의 필요없이 작업을 마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접지단자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접지단자 고정구조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접지단자 고정구조의 조립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클램프 너트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접지선 14 : 접지단자
13,21 : 볼트삽입공 20 : 차체
40 : 클램프 너트 41 : 나사공
42 : 수나사부 42A : 단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20)에 볼트삽입공(21)을 형성하고, 이 볼트삽입공(21)에 접지선(10)에 연결된 접지단자(14)를 연결시키는 고정구조에 있어서;
도면 부호 40은 금속 도체성의 클램프 너트로서, 클램프 너트(40)는 내부에 축선상으로 관통된 나사공(41)과 원주상에 축선방향으로 다수개 분할등분된 절결홈(43)에 의해 수나사부(42)를 형성하고 있다.
즉, 상기 클램프 너트(40)의 수나사부(42)의 직경은 상기 나사공(41)내의 직경을 강제로 확장시키게 되면 탄반력을 발휘하면서 증가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 너트(40)의 수나사부(42)의 선단에는 단턱(42A)이 형성되어 클램프 너트(40)를 상기 차체(20)의 볼트삽입공(21)에 삽입시키면 단턱(42A)이 차체(20)의 저면에 밀착되어 강제적으로 이 단턱(42A)을 축소시키지 않는 한 클램프너트(40)가 차체(20)에서 빠지지 않게 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 너트(40)의 나사공(41)에는 나사(50)가 나사체결 가능하게 도어 있다.
이같은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 너트(40)의 수나사부(42)를 상기 볼트삽입공(21)에 삽입하고, 상기 클램프 너트(40)에 상기 접지단자(14)를 위치시키고 나사(50)를 상기 접지단자(14)의 볼트삽입공(13)에 삽입시킴과 동시에 클램프 너트(40)의 나사공(41)에 나사결합시키면 클램프 너트(40)의 수나사부(42)의 직경은 확대되면서 차체(20)의 볼트삽입공(21)에 고정된다.
그리고 접지단자(14)는 나사(50)와 클램프 너트(40)의 사이에서 밀착되어 접지연결이 완료된다.
이같이 차체(20)의 볼트삽입공(21)에 클램프 너트(40)를 삽입시키고 나사(50)에 접지단자(14)를 끼움하고, 나사(50)를 클램프 너트(40)의 나사공(41)에 나사체결하게 되면 클램프 너트(40)의 나사부(42)가 벌어지면서 차체(20)의 볼트삽입공(21)에 고정 설치되고, 접지단자(14)는 나사(50)와 클램프 너트(40)의 사이에서 밀착되어 접지연결이 되고, 따라서 종래와 같이 별도의 너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 공구의 필요없이 작업을 마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차체의 볼트삽입공에 클램프 너트를 삽입시키고 나사에 접지단자를 끼움하고, 나사를 클램프 너트의 나사공에 나사체결하게 되면 클램프 너트의 나사부가 벌어지면서 차체의 볼트삽입공에 고정 설치되고, 접지단자는 나사와 클램프 너트의 사이에서 밀착되어 접지연결이 되고, 따라서 종래와 같이 별도의 너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 공구의 필요없이 작업을 마칠 수 있어 조립 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Claims (2)

  1. 차체(20)에 볼트삽입공(21)을 형성하고, 이 볼트삽입공(21)에 접지선(10)에 연결된 접지단자(14)를 연결시키는 고정구조에 있어서;
    내부에 축선상으로 관통된 나사공(41)과 원주상에 축선방향으로 분할등분된 수나사부(42)를 갖는 클램프 너트(40)를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 너트(40)의 수나사부(42)를 상기 볼트삽입공(21)에 삽입하고, 상기 클램프 너트(40)에 상기 접지단자(14)를 위치시키고 나사(50)를 상기 접지단자(14)의 볼트삽입공(13)에 삽입시킴과 동시에 클램프 너트(40)의 나사공(41)에 나사결합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접지단자의 고정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너트(40)의 수나사부(42)의 선단에 단턱(42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접지단자의 고정구조.
KR2019970043238U 1997-12-30 1997-12-30 차량 접지단자의 고정구조 KR1999003054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238U KR19990030546U (ko) 1997-12-30 1997-12-30 차량 접지단자의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238U KR19990030546U (ko) 1997-12-30 1997-12-30 차량 접지단자의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546U true KR19990030546U (ko) 1999-07-26

Family

ID=69681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3238U KR19990030546U (ko) 1997-12-30 1997-12-30 차량 접지단자의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0546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080B1 (ko) * 2010-10-25 2011-07-1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샌드위치 패널 체결용 인서트 장치 및 그 조립방법
WO2020138682A1 (ko) * 2018-12-27 2020-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터드
KR102136746B1 (ko) * 2019-09-10 2020-07-22 주식회사 엔케이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
KR20210087240A (ko) * 2020-01-02 2021-07-12 주식회사 경신 차량 접지용 앵커장치
US11634854B2 (en) 2018-11-14 2023-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ter transmission device and wash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080B1 (ko) * 2010-10-25 2011-07-1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샌드위치 패널 체결용 인서트 장치 및 그 조립방법
US11634854B2 (en) 2018-11-14 2023-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ter transmission device and wash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WO2020138682A1 (ko) * 2018-12-27 2020-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터드
US11867221B2 (en) 2018-12-27 2024-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ud
KR102136746B1 (ko) * 2019-09-10 2020-07-22 주식회사 엔케이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
KR20210087240A (ko) * 2020-01-02 2021-07-12 주식회사 경신 차량 접지용 앵커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2264A (en) Earthing stud
US6227914B1 (en) Power distribution block assembly for accommodating multiple gauge wires
US5266057A (en) Electronic power distribution device
US5655936A (en) Self locking, constant pressure electrical terminal for threaded studs
US4046054A (en) Flarable threaded fastener
KR19990030546U (ko) 차량 접지단자의 고정구조
US5697797A (en) Device for grounded securing of an element at a hole in a metal plate
US4525014A (en) Aircraft grounding receptacle
US20030230294A1 (en) Ignition coil assembly for engine
JP3574916B2 (ja) バッテリアダプター
JPH08121451A (ja) 弛み防止ナット
JP3209893B2 (ja) バッテリー端子
KR100313013B1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케이블 접속구
JP3023822B2 (ja) バッテリー電極用端子金具
JPH0676867A (ja) アース用端子
US4541684A (en) Aircraft grounding receptacle
KR200236109Y1 (ko) 점퍼선용 스페이서
JPH047567Y2 (ko)
JP3324511B2 (ja) 電気接続箱の固定構造
KR100997368B1 (ko) 전기 기계의 접촉을 위한 접속 장치
JPH0515297U (ja) ヒユーズボツクス
KR0132966Y1 (ko) 축전지단자와 케이블단자의 체결구조
JP3009982B2 (ja) 緩み止めナット
JPH0428061Y2 (ko)
KR19980033811U (ko) 스터드볼트(Stud Bolt)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