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6746B1 -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 - Google Patents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6746B1
KR102136746B1 KR1020190111856A KR20190111856A KR102136746B1 KR 102136746 B1 KR102136746 B1 KR 102136746B1 KR 1020190111856 A KR1020190111856 A KR 1020190111856A KR 20190111856 A KR20190111856 A KR 20190111856A KR 102136746 B1 KR102136746 B1 KR 102136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member
fastening member
ship
frame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원협
김동수
김한구
김성준
박주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케이
(주)푸른중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케이, (주)푸른중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케이
Priority to KR1020190111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7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0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an auxiliary bolt or threaded element whose action provokes the deformation of the main bolt or nut and thereby its blo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3/00Features common to bolt and nut
    • F16B33/02Shape of thread; Special thread-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30Locking exclusively by special shape of the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나사부가 구비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제1 프레임과 제1 프레임의 양 단부에 제공되는 제2 프레임을 서로 연결시켜서 상호 고정하기 위한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에 있어서, 삽입홈에 삽입되어 제1 나사부에 계합되고, 적어도 1회 이상 권취되며, 중공부를 갖는 코일 부재; 및 코일 부재의 중공부에 삽입되고, 코일 부재와 계합될 수 있는 제2 나사부를 구비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DEVICE FOR FIXING OUTFIT OF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단은 높이가 다른 두 바닥면을 연결하는 단형(段形)의 통로를 의미한다. 이때, 선박에 설치되는 계단의 경우, 선원들의 이동로 등으로 활용될 수 있고, 철골 구조를 가지며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계단은 평판 형상을 갖는 복수의 발판 및 복수의 발판의 양 단부를 고정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발판은 용접을 통해 지지 프레임에 각각 고정되거나, 볼트 및 너트 등과 같은 체결구를 매개로 하여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그러나, 복수의 발판과 지지 프레임이 용접에 의해 상호 고정되는 경우, 복수의 발판이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각각 용접되어야 하므로,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볼트 및 너트 등과 같은 체결구를 통해 복수의 발판과 지지 프레임이 상호 고정되는 경우, 지지 프레임에 미리 형성된 체결홈에 볼트가 체결되는데 계단이 오랜 시간 동안 사용되면, 체결홈과 볼트의 면마찰로 인해 체결홈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진동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볼트 및 너트의 결합 상태가 쉽게 해제됨에 따라, 복수의 발판과 지지 프레임 사이의 고정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선박용 의장재들을 상호 결합시킬 때, 작업 효율을 기존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외력이 가해지거나 오랜 시간이 경과하여도 선박용 의장재들 간의 체결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나사부가 구비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양 단부에 제공되는 제2 프레임을 서로 연결시켜서 상호 고정하기 위한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삽입부에 밀착되게 삽입되고, 중공부를 구비하는 강화 부재; 및 상기 강화 부재의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제2 나사부를 구비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강화 부재는, 상기 제1 나사부에 맞물리는 제1 맞물림부; 및 상기 제1 맞물림부와 대향하고, 상기 제2 나사부에 맞물리는 제2 맞물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가 삽입되는 상기 강화 부재의 입구 측 직경 및 상기 체결 부재가 삽입되어 돌출되는 상기 강화 부재의 출구 측 직경은, 상기 체결 부재가 삽입된 상기 강화 부재의 중심 측 직경보다 작게 설정되고, 상기 강화 부재의 입구 측의 상기 제2 맞물림부의 나사산 피치 및 상기 강화 부재의 출구 측의 상기 제2 나사부의 나사산 피치는, 상기 강화 부재의 중심에 위치하는 나사산 피치보다 작게 설정되며, 상기 강화 부재의 입구 측의 상기 제2 맞물림부의 나사산 높이 및 상기 강화 부재의 출구 측의 상기 제2 나사부의 나사산 높이는 상기 강화 부재의 중심에 위치하는 나사산 높이보다 낮게 설정되는,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가 제공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강화 부재는, 상기 제1 맞물림부 및 상기 제2 맞물림부와 연결되고,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는 상기 체결 부재에 의해 확장되어 상기 삽입부의 외측 테두리에 밀착되는 밀착 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 걸림부는, 상기 제2 맞물림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나사부와 맞물리는 제3 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나사부가 형성하는 직경은 상기 제2 맞물림부가 형성하는 직경 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 걸림부는, 상기 제1 맞물림부와 연결되고,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 부재가 삽입되는 상기 강화 부재의 입구 측 직경은 상기 체결 부재가 삽입되어 돌출되는 상기 강화 부재의 출구 측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에 따르면, 선박용 의장재들을 상호 결합시킬 때, 작업 효율을 기존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외력이 가해지거나 오랜 시간이 경과하여도 선박용 의장재들 간의 체결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에 의해 상호 고정된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B-B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5의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의 사용 상태도들이다.
도 10은 도 5의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5의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고정'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고정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측, 타 측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1)는 제1 프레임(2)과 제2 프레임(3)을 서로 연결시켜서 상호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코일 부재(10) 및 체결 부재(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프레임(2)과 제2 프레임(3)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제1 프레임(2)은 사람이 발을 디딜 수 있는 디딤면을 제공하는 부분으로, 사각 형상의 프레임일 수 있다.
이때, 제1 프레임(2)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1 프레임(2)은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2 프레임(3) 사이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프레임(2)의 내측면에는 제1 나사부(213a)를 구비하는 삽입홈(2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홈(21)은 코일 부재(10)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삽입홈(21)의 형상은 코일 부재(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삽입홈(21)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2)은 소정의 항복 강도를 갖는 알루미늄(Al)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레임(3)은 체결 부재(20)를 매개로 하여 제1 프레임(2)의 양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프레임(3)에는 제1 프레임(2)의 삽입홈(21)에 대응되는 관통홀(3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레임(3)은 제1 프레임(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질, 예컨대, 소정의 항복 강도를 갖는 알루미늄(Al)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코일 부재(10)는 삽입홈(21)에 삽입된 상태로 체결 부재(20)와 직접 맞물림으로써, 체결 부재(20)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코일 부재(10)에는 중공부(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중공부(11)를 통해 체결 부재(10)가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일 부재(10)는 별도의 삽입 장치(미도시)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삽입홈(21)에 삽입되어 제1 나사부(213a)에 계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 부재(20)가 제1 프레임(2)에 직접 체결되는 것이 아니라 코일 부재(10)와 체결되므로, 제1 프레임(2)과 체결 부재(20)가 결합될 때 체결 부재(20)와의 접촉으로 인해 제1 프레임(2)에 유발될 수 있는 손상, 예컨대, 삽입홈(21)의 제1 나사부(213a)가 마모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코일 부재(10)가 삽입되는 삽입홈(21)에 대하여 설명하면, 삽입홈(21)은 체결 부재(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게 형성되는 개방부(211), 개방부(211)와 대향하고, 개방부(211)를 통해 삽입되는 체결 부재(20)의 단부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체결 부재(20)의 삽입을 제한하는 폐쇄부(212) 및 개방부(211)와 폐쇄부(212)를 연결하는 연결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코일 부재(10)의 개방부 측 외경(D1)은 코일 부재(10)의 폐쇄부 측 외경(D2)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코일 부재(10)의 개방부 측 외경(D1)은 개방부(211) 측에 위치하는 코일 부재(10)가 형성하는 외경을 의미하고, 코일 부재(10)의 폐쇄부 측 외경(D2)은 폐쇄부(212) 측에 위치하는 코일 부재(10)가 형성하는 외경을 의미한다.
한편, 코일 부재(10)는 금속선이 적어도 1회 이상 권취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개방부(211) 측에서 권취되며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금속선 사이의 거리(a)는 폐쇄부(212) 측에서 권취되며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금속선 사이의 거리(b)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방부(211) 측에 위치하는 코일 부재(10)의 개방부 측 말단 직경(c)은 폐쇄부(212) 측에 위치하는 상기 코일 부재의 폐쇄부 측 말단 직경(d)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코일 부재(10)는 일 예로 단면 형상이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적어도 일부가 제1 나사부(213a)에 계합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코일 부재(10)의 형상으로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체결 부재(20)는 코일 부재(10)와 계합되는 부분으로, 제2 나사부(20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2 나사부(201)는 중공부(11)에 삽입되어 코일 부재(10)와 맞물릴 수 있다. 이를 위해, 체결 부재(20)는 제2 나사부(201)가 구비되는 몸체부(20') 및 몸체부(20')와 연결되는 머리부(20'')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의 변형예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삽입홈(21a)의 개방부(211') 측에 위치하는 코일 부재(10a)가 형성하는 코일 부재(10a)의 개방부 측 외경(D3)은 삽입홈(21a)의 폐쇄부(212') 측에 위치하는 코일 부재(10a)가 형성하는 코일 부재(10a)의 폐쇄부 측 외경(D4)과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 부재(10a)의 폐쇄부 측 외경(D4)은 코일 부재(10a)의 개방부 측 외경(D3)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대응되도록 제2 나사부(201a)가 형성하는 직경 역시 머리부(20'')에 인접될수록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삽입홈(21a)의 개방부(211')는 삽입홈(21a)의 폐쇄부(21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코일 부재(10a)는 금속선이 적어도 1회 이상 권취되어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개방부(211') 측에서 권취되는 금속선 중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금속선 사이의 거리(e)는 폐쇄부(212') 측에서 권취되는 금속선 중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금속선 사이의 거리(f)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방부(211') 측에 위치하는 코일 부재(10a)의 개방부 측 말단 직경(g)은 폐쇄부(212') 측에 위치하는 코일 부재(10a)의 폐쇄부 측 말단 직경(h)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에 비하여 강화 부재(40)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이러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강화 부재(40)는 적어도 일부가 삽입부(21b)에 삽입되어 체결 부재(20b)와 직접 맞물림으로써, 체결 부재(20b)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강화 부재(40)는 제1 나사부(213a)에 맞물리는 제1 맞물림부(411) 및 제1 맞물림부(411)와 대향하고, 제2 나사부(201b)에 맞물리는 제2 맞물림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체결 부재(20b)가 삽입되는 강화 부재(40)의 입구 측 직경(D5)은 체결 부재(20b)가 삽입되어 돌출되는 강화 부재(40)의 출구 측 직경(D6)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체결 부재(20b)가 삽입되는 강화 부재(40)의 입구 측 및 체결 부재(20b)가 삽입되어 돌출되는 강화 부재(40)의 출구 측에서 제1 맞물림부(411) 및 제2 맞물림부(412)의 나사산 피치 및 나사산 높이는 각각 동일할 수 있다.
제1 맞물림부(411) 및 제2 맞물림부(412)는 각각 제1 나사부(213a) 및 제2 나사부(201b)에 맞물리도록 제1 나사부(213a) 및 제2 나사부(201b)에 대응하는 복수의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강화 부재(40)는 제1 맞물림부(411) 및 제2 맞물림부(412)와 연결되고, 체결 부재(20b)에 의해 선택적으로 확장되어 삽입부(21b)의 외측 테두리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밀착 걸림부(413)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밀착 걸림부(413)는 내부에 중공을 가지고, 이러한 중공에는 체결 부재(20b)가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밀착 걸림부(413)는 제1 맞물림부(411)와 연결되고,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4131) 및 경사부(4131)의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4132)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4131)는 제1 맞물림부(411) 및 제2 맞물림부(412)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일 방향으로 갈수록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부(4131)는 일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밀착 걸림부(413)가 삽입부(21b)로 수월하게 진입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4132)는 경사부(4131)에 대하여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절개부(4132)를 사이에 두는 두 개의 경사부(4131) 사이의 거리는 밀착 걸림부(413)의 중공에 진입되는 체결 부재(20b)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절개부(4132)에 의해 경사부(4131)의 일부가 절개된 상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경사부(4131)가 선택적으로 외측으로 확장될 수 있다. 여기서, 외측은 중공의 반경 방향 외측을 의미한다.
한편, 밀착 걸림부(413)의 중공에는 제3 나사부(413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3 나사부(4133)는 제2 맞물림부(412)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나사부(201b)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나사부(4133)가 형성하는 직경은 제2 나사부(201b)가 형성하는 직경 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체결 부재(20b)가 밀착 걸림부(413)에 진입되면 체결 부재(20b)의 제2 나사부(201b)가 제3 나사부(4133)를 외측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경사부(4131)가 외측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확장된 경사부(4131)는 삽입부(21b)의 테두리, 예컨대, 삽입부(21b)의 외측에 해당하는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한편, 체결 부재(20b)의 제2 나사부(201b) 중 적어도 일부는 제2 맞물림부(412)와 맞물릴 수 있으며, 제2 나사부(201b) 중 나머지는 관통홀(31b)의 나사산(311)과 맞물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나사부(201b)의 적어도 일부가 제2 맞물림부(412)에 정합됨에 따라, 제1 프레임(2b)과 제2 프레임(3b) 사이의 체결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 7을 참조하면, 별도의 삽입 장치(미도시)를 통해 강화 부재(40)가 제1 프레임(2b)의 삽입부(21b)에 삽입된다. 이때, 강화 부재(40)는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삽입부(21b)에 삽입되는데 밀착 걸림부(413)가 삽입부(21b)의 외측으로 노출되면, 삽입부(21b)에 대한 강화 부재(40)의 삽입이 완료된다.
한편, 강화 부재(4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삽입부(21b)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강화 부재(40)의 제1 맞물림부(411)가 삽입부(21b)의 제1 나사부(213a)에 맞물리면서, 강화 부재(40)가 제1 프레임(2b)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프레임(3b)의 관통홀(31b)과 제1 프레임(2b)의 삽입부(21b)가 연통되도록 제2 프레임(3b)이 제1 프레임(2b)에 접촉된다. 다음으로, 제1 프레임(2b)과 제2 프레임(3b)이 접촉된 상태에서 관통홀(31b)을 통해 체결 부재(20b)가 체결된다. 이때, 관통홀(31b)을 통과한 체결 부재(20b)의 나사산(311)이 강화 부재(40)의 제2 맞물림부(412)에 진입되어 제2 맞물림부(412)와 맞물림으로써, 체결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맞물림부(412)를 통과한 체결 부재(20b)는 밀착 걸림부(413)에 진입된다. 이 과정에서 체결 부재(20b)의 제2 나사부(201b)가 밀착 걸림부(413)의 제3 나사부(4133)와 계합된다. 이때, 제3 나사부(4133)가 형성하는 직경이 제2 나사부(201b)가 형성하는 직경 보다 작으므로, 체결 부재(20b)에 의해 방사 방향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절개부(4132)의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면서 밀착 걸림부(413)가 외측으로 확장된다. 그리고, 확장된 밀착 걸림부(413)는 삽입부(21b)의 외측 테두리에 밀착됨에 따라, 제1 프레임(2b)과 제2 프레임(3b) 사이의 체결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의 변형예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에 비하여 체결 부재(20c) 및 강화 부재(40a)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이러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1c)는 체결 부재(20c) 및 강화 부재(4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2c)의 내측면에는 제1 나사부(213b)가 형성되는 삽입부(21c)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나사부(213b) 및 삽입부(21c)의 형상은 강화 부재(40a) 및 강화 부재(40a)의 제1 맞물림부(411a)의 형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강화 부재(40a)는 적어도 일부가 삽입부(21c)에 밀착되게 삽입될 수 있으며, 강화 부재(40a)의 내측면에는 제2 나사부(201c)가 구비되는 체결 부재(20c)가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강화 부재(40a) 및 체결 부재(20c)는 강화 부재(40a)의 입구 측에서 출구 측을 향하는 방향, 예컨대, 도 10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에서 하측 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체결 부재(20c)가 삽입되는 강화 부재(40a)의 입구 측 직경(D7)은 체결 부재(20c)가 삽입되어 돌출되는 강화 부재(40a)의 출구 측 직경(D8)보다 클 수 있다.
한편, 강화 부재(40a)의 외측면에는 제1 나사부(213b)에 맞물리는 제1 맞물림부(411a)가 구비될 수 있고, 강화 부재(40a)의 내측면에는 제2 나사부(201c)에 맞물리는 제2 맞물림부(412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맞물림부(411a)는 강화 부재(40a)의 입구 측에 위치하는 입구 측 제2 맞물림부(4111a) 및 강화 부재(40a)의 출구 측에 위치하는 출구 측 제2 맞물림부(4112a)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입구 측 제2 맞물림부(4111a)의 나사산 피치(k)는 출구 측 제2 맞물림부(4112a)의 나사산 피치(l)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입구 측 제2 맞물림부(4111a)의 나사산 높이 역시 출구 측 제2 맞물림부(4112a)의 나사산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의 또 다른 변형예에 대하여 도 11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에 비하여 체결 부재(20e) 및 강화 부재(40c)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이러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1e)는 체결 부재(20e) 및 강화 부재(4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2e)의 내측면에는 제1 나사부(213d)가 형성되는 삽입부(21e)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나사부(213d) 및 삽입부(21e)의 형상은 강화 부재(40c) 및 강화 부재(40c)의 제1 맞물림부(411c)의 형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이때, 강화 부재(40c)의 적어도 일부는 삽입부(21e)에 밀착되게 삽입되고, 강화 부재(40c)의 내측면에는 제2 나사부(201e)가 구비되는 체결 부재(20e)가 밀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강화 부재(40c) 및 체결 부재(20e)는 강화 부재(40c)의 출구 측에서 입구 측을 향하는 방향, 예컨대, 도 11을 기준으로 하측 방향에서 상측 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체결 부재(20e)가 삽입되는 강화 부재(40c)의 입구 측 직경(D11) 및 체결 부재(20c)가 삽입되어 돌출되는 강화 부재(40c)의 출구 측 직경(D12)은 체결 부재(20c)가 삽입된 강화 부재(40c)의 중심 측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강화 부재(40c)의 외측면에는 삽입부(21e)에 맞물리는 제1 맞물림부(411c)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강화 부재(40c)의 내측면에는 제2 나사부(201e)에 맞물리는 제2 맞물림부(412c)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맞물림부(101c)는 강화 부재(40c)의 입구 측에 위치하는 입구 측 제2 맞물림부(4111c) 및 강화 부재(40c)의 출구 측에 위치하는 출구 측 제2 나사부(4112c)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입구 측 제2 맞물림부(4111c)의 나사산 피치(o) 및 출구 측 제2 나사부(4112c)의 나사산 피치(p)는 일 예로 강화 부재(10c)의 중심에 위치하는 나사산 피치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입구 측 제2 맞물림부(4111c)의 나사산 높이 및 출구 측 제2 나사부(4112c)의 나사산 높이는 강화 부재(10c)의 중심에 위치하는 나사산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1a, 1b, 1c, 1d, 1e: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
2, 2a, 2b, 2c, 2d, 2e: 제1 프레임
21, 21a: 삽입홈
21b, 21c, 21d, 21e: 삽입부
211, 211': 개방부 212, 212': 폐쇄부
213, 213': 연결부
213a, 213b, 213c, 213d: 제1 나사부
3, 3a: 제2 프레임 31, 31a: 관통홀
311: 나사산 10, 10a: 코일 부재
11: 중공부
40, 40a, 40b, 40c: 강화 부재
411, 411a, 411b, 411c: 제1 맞물림부
412, 412a, 412b, 412c: 제2 맞물림부
4111a, 4111b, 4111c: 입구 측 제1 맞물림부
4112a, 4112b, 4112c: 출구 측 제2 맞물림부
413: 밀착 걸림부 4131: 경사부
4132: 절개부 4133: 제3 나사부
20, 20a, 20b, 20c, 20d, 20e: 체결 부재
20': 몸체부 20'': 머리부
201, 201a, 201b, 201c, 201d, 201e: 제2 나사부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 나사부가 구비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양 단부에 제공되는 제2 프레임을 서로 연결시켜서 상호 고정하기 위한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삽입부에 밀착되게 삽입되고, 중공부를 구비하는 강화 부재; 및
    상기 강화 부재의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제2 나사부를 구비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강화 부재는,
    상기 제1 나사부에 맞물리는 제1 맞물림부; 및
    상기 제1 맞물림부와 대향하고, 상기 제2 나사부에 맞물리는 제2 맞물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가 삽입되는 상기 강화 부재의 입구 측 직경 및 상기 체결 부재가 삽입되어 돌출되는 상기 강화 부재의 출구 측 직경은, 상기 체결 부재가 삽입된 상기 강화 부재의 중심 측 직경보다 작게 설정되고,
    상기 강화 부재의 입구 측의 상기 제2 맞물림부의 나사산 피치 및 상기 강화 부재의 출구 측의 상기 제2 나사부의 나사산 피치는, 상기 강화 부재의 중심에 위치하는 나사산 피치보다 작게 설정되며,
    상기 강화 부재의 입구 측의 상기 제2 맞물림부의 나사산 높이 및 상기 강화 부재의 출구 측의 상기 제2 나사부의 나사산 높이는 상기 강화 부재의 중심에 위치하는 나사산 높이보다 낮게 설정되는,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 부재는,
    상기 제1 맞물림부 및 상기 제2 맞물림부와 연결되고,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는 상기 체결 부재에 의해 확장되어 상기 삽입부의 외측 테두리에 밀착되는 밀착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걸림부는,
    상기 제2 맞물림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나사부와 맞물리는 제3 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나사부가 형성하는 직경은 상기 제2 맞물림부가 형성하는 직경 보다 작은,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걸림부는,
    상기 제1 맞물림부와 연결되고,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가 삽입되는 상기 강화 부재의 입구 측 직경은 상기 체결 부재가 삽입되어 돌출되는 상기 강화 부재의 출구 측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90111856A 2019-09-10 2019-09-10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 KR102136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856A KR102136746B1 (ko) 2019-09-10 2019-09-10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856A KR102136746B1 (ko) 2019-09-10 2019-09-10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6746B1 true KR102136746B1 (ko) 2020-07-22

Family

ID=71892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856A KR102136746B1 (ko) 2019-09-10 2019-09-10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6746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9266A (ja) * 1974-08-08 1976-02-16 Nozawa Shuji Kinteimokuneji
JPH06346910A (ja) * 1993-06-04 1994-12-20 Kayou Kogyo Kk ねじ具
KR950033136A (ko) * 1994-03-22 1995-12-22 던햄 케이쓰 삽입체 너트 및 패스너
JPH0996308A (ja) * 1995-09-29 1997-04-08 Japan Drive-It Co Ltd インサートナットとその埋設方法
KR19990030546U (ko) * 1997-12-30 1999-07-26 양재신 차량 접지단자의 고정구조
JP2004130011A (ja) * 2002-10-08 2004-04-30 Nippon Power Kk 螺旋コイル状挿入体
JP2005509115A (ja) * 2001-11-02 2005-04-07 ニューフレイ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螺旋コイル状チタンワイヤファスナインサート
JP2008038937A (ja) * 2006-08-02 2008-02-21 Tsugami Corp インサートねじ
KR20140006371U (ko) * 2013-06-12 2014-12-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의장품 설치구조
KR20150078564A (ko) * 2013-12-31 2015-07-08 (주)엘지하우시스 플라스틱 패널 체결을 위한 인서트 너트 체결구조 및 인서트 너트
KR20150078565A (ko) * 2013-12-31 2015-07-08 (주)엘지하우시스 플라스틱 패널 체결을 위한 인서트 너트 체결구조 및 인서트 너트
JP2018135994A (ja) * 2017-02-23 2018-08-30 株式会社フォーエス 雄ネジ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9266A (ja) * 1974-08-08 1976-02-16 Nozawa Shuji Kinteimokuneji
JPH06346910A (ja) * 1993-06-04 1994-12-20 Kayou Kogyo Kk ねじ具
KR950033136A (ko) * 1994-03-22 1995-12-22 던햄 케이쓰 삽입체 너트 및 패스너
JPH0996308A (ja) * 1995-09-29 1997-04-08 Japan Drive-It Co Ltd インサートナットとその埋設方法
KR19990030546U (ko) * 1997-12-30 1999-07-26 양재신 차량 접지단자의 고정구조
JP2005509115A (ja) * 2001-11-02 2005-04-07 ニューフレイ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螺旋コイル状チタンワイヤファスナインサート
JP2004130011A (ja) * 2002-10-08 2004-04-30 Nippon Power Kk 螺旋コイル状挿入体
JP2008038937A (ja) * 2006-08-02 2008-02-21 Tsugami Corp インサートねじ
KR20140006371U (ko) * 2013-06-12 2014-12-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의장품 설치구조
KR20150078564A (ko) * 2013-12-31 2015-07-08 (주)엘지하우시스 플라스틱 패널 체결을 위한 인서트 너트 체결구조 및 인서트 너트
KR20150078565A (ko) * 2013-12-31 2015-07-08 (주)엘지하우시스 플라스틱 패널 체결을 위한 인서트 너트 체결구조 및 인서트 너트
JP2018135994A (ja) * 2017-02-23 2018-08-30 株式会社フォーエス 雄ネ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1461B2 (en) Button head tie
JP7489182B2 (ja) イージーロックp字型クランプ
KR102136746B1 (ko) 선박용 의장재의 체결구
JP3488550B2 (ja) エレベータガイドレールの接続装置
EP3462056B1 (en) Drive belt
US4498222A (en) Clinching process of buckle base and wire rope
JP2016069135A (ja) エレベーター装置の三方枠、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の三方枠の組立方法
JP2009084029A (ja) エレベータの乗場敷居装置
KR102407557B1 (ko) 승객 컨베이어의 언더플로어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플로어 커버 배열체
JP2004104924A (ja) クランプ
KR20180051034A (ko) 부재 연결 장치
US20090205172A1 (en) Cable termination with an elliptical wall profile
JP7004606B2 (ja) 乗客コンベアのステップ及び乗客コンベア
JP5911552B1 (ja) フェッシャープレート及びその据え付け方法
KR100472603B1 (ko) 콘트리트 측벽 거푸집 및 그의 결합구조
JPS626067Y2 (ko)
KR102456637B1 (ko) 빔 클램프
JP7191053B2 (ja) 乗客コンベア用スカートモール先端キャップ
KR102311968B1 (ko) 차량용 부품 고정장치
KR102074573B1 (ko)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JP2010189099A (ja) エスカレータ
JPH1137367A (ja) ブーツバンド
KR20170125199A (ko)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레일과 렁의 결합 구조 및 결합구조를 이용한 체결방법
KR200294794Y1 (ko) 콘트리트 측벽 거푸집 및 그의 결합구조
WO2020115811A1 (ja) エレベ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