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663B1 - 자동차의 케이블접속 및 스티어링휠과 컬럼조립용 컨넥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케이블접속 및 스티어링휠과 컬럼조립용 컨넥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663B1
KR0138663B1 KR1019950015090A KR19950015090A KR0138663B1 KR 0138663 B1 KR0138663 B1 KR 0138663B1 KR 1019950015090 A KR1019950015090 A KR 1019950015090A KR 19950015090 A KR19950015090 A KR 19950015090A KR 0138663 B1 KR0138663 B1 KR 0138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connector
steering wheel
assembl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5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4152A (ko
Inventor
문보석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15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663B1/ko
Publication of KR970004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6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6End pieces terminating in a screw clamp, screw or n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Steering Control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케이블접속 및 스티어링휠과 컬럼조립용 컨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스티어링휠 및 컬럼에 마련되는 원격조정스위치, 방향지시등스위치, 경음기스위치 등에 케이블을 접속하는 한편 스티어링휠과 컬럼을 조립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동차의 케이블접속 및 스티어링휠과 컬럼조립용 컨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티어링휠(100)과 컬럼(200)을 장착시킬 수 있는 기능이 있는 자동차의 케이블접속 및 스티어링휠(100)과 컬럼(200)연결용 컨넥터(300)로서,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조립성이 향상되고, 케이블릴이 필요없으므로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케이블접속 및 스티어링휠과 컬럼조립용 컨넥터
제 1 도는 종래에 스티어링휠과 커럼이 조립되는 상태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컨넥터를 이용하여 스티어링휠과 컨넥터가 조립되는 상태의 사시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스티어링휠200:컬럼
210:나사체결부220:홈
300:컨넥터310:컨네터너트
320:컨넥터볼트321:링스프링
본 발명은 자동차의 케이블접속 및 스티어링휠과 컬럼조립용 컨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스티어링휠 및 컬럼에 마련되는 원격조정스위치, 방향지시등스위치 등에 케이블을 접속하는 한편 스티어링휠과 컬럼을 조립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동차의 케이블접속 및 스티어링휠과 컬럼조립용 컨넥터에 관한 것이다.
제 1 도는 종래에 스티어링휠과 컬럼이 조립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에 스티어링휠(10)과 컬럼(20)을 조립할 때에는 컬럼(20)에 취부된 볼트(21)의 자리면에 케이블릴(30)을 안착시키고나서, 스티어링휠(10)을 안착시키고 컬럼(20)에 있는 볼트(21)에 너트(22)를 체결한다. 이때, 케이블릴(30)은 스티어링휠(10)및 컬럼(20)에 마련된 각종 스위치(SW)에 접속하게 된다. 미설명부호 11은 에어백어셈블리이다.
이와같이, 종래에는 스티어링휠(10) 및 컬럼(20)에 마련된 각종 스위치(SW)에 케이블(40)을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릴(30)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며 스티어링휠(10)과 컬럼(20)의 조립작업이 지연되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별도의 간단한 구조로 되며, 스티어링휠과 컬럼을 장착시킬 수 있는 기능이 있는 자동차의 케이블접속 및 스티어링휠과 컬럼조립용 컨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컨넥터를 이용하여 스티어링휠과 컨넥터가 조립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제 3 도는 제 2 도의 조립상태 단면도이다.
제 2 도 및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컬럼(200)의 상단부 내경에 단차를 두어 홈(220)과 나사체결부(210)를 형성시키며, 상기 나사체결부(210)에 나사체결할 수 있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되며 중공(311)이 형성된 컨넥터너트(310)와, 상기 컨넥터너트(310)의 중공(311)을 통하여 상기 컬럼(200)의 홈(220)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단 외경에 링스프링(321)을 가지며 스티어링휠(100)에 마련된 각종 스위치(SW)에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400)가 접속되는 컨넥터볼트(320)로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컨넥터(300)는 스티어링휠(100)과 컬럼(200)을 조립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제 2 도 및 제 3 도를 참조하여 조립순서를 상세히 설명한다. 미설명 부호는 컬럼(200)의 커버이다.
조립시, 먼저 컬럼(200)에 컨넥터너트(310)를 컬럼(200)의 나사체결부(210)에 나사식으로 체결한다. 이때, 렌치를 이용하여 컨넥터너트(310)를 조이면 된다. 그리고 컬럼(200)의 내경으로 부터 와이어(400)를 인출시켜 컨넥터볼트(320)의 하단에 접속시킨 다음, 컨넥터볼트(320)의 중공(311)을 통하여 삽입하면 링스프링(321)이 홈(220)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후, 스티어링휠(100) 및 에어백어셈블리(110)를 차례로 결합시킨다.
이와같이 컨넥터(300)를 이용하여 스티어링휠(100)과 컬럼(200)을 조립하게 되면, 와이어(400)가 접속된 컨넥터볼트(320)가 컨넥터너트(310)에 접촉되며 이 컨넥터너트(310)는 스티어링휠(100) 및 컬럼(200)에 마련된 각종 스위치(SW)와 접속이 이루어지므로, 임의의 스위치(SW)를 조작하게 되면 전기신호가 와이어(400)를 통하여 전달되므로 해당되는 전기기구를 작동시킨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스티어링휠(100)과 컬럼(200)을 장착시킬 수 있는 기능이 있는 자동차의 케이블접속 및 스티어링휠(100)과 컬럼(200)연결용 컨넥터(300)로서,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조립성이 향상되고, 케이블릴이 필요없으므로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컬럼(200)의 상단부 내경에 단차를 두어 홈(220)과 나사체결부(210)를 형성시키며, 상기 나사체결부(210)에 나사체결할 수 있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되며 중공(311)이 형성된 컨넥터너트(310)와, 상기 컨넥터너트(310)의 중공(311)을 통하여 상기 컬럼(200)의 홈(220)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단 외경에 링스프링(321)을 가지며 스티어링휠(100)에 마련된 각종 스위치(SW)에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400)가 접속되는 컨넥터볼트(32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케이블접속 및 스티어링휠과 컬럼조립용 컨넥터
KR1019950015090A 1995-06-09 1995-06-09 자동차의 케이블접속 및 스티어링휠과 컬럼조립용 컨넥터 KR0138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5090A KR0138663B1 (ko) 1995-06-09 1995-06-09 자동차의 케이블접속 및 스티어링휠과 컬럼조립용 컨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5090A KR0138663B1 (ko) 1995-06-09 1995-06-09 자동차의 케이블접속 및 스티어링휠과 컬럼조립용 컨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152A KR970004152A (ko) 1997-01-29
KR0138663B1 true KR0138663B1 (ko) 1998-06-15

Family

ID=19416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5090A KR0138663B1 (ko) 1995-06-09 1995-06-09 자동차의 케이블접속 및 스티어링휠과 컬럼조립용 컨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6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0516B1 (ko) 2017-12-06 2022-09-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휠과 컬럼의 결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152A (ko) 1997-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41413B1 (en) Antenna device mounted on vehicle
JP2547670Y2 (ja) 端子カバー
KR0138663B1 (ko) 자동차의 케이블접속 및 스티어링휠과 컬럼조립용 컨넥터
US5458512A (en) Mounting and grounding connectors for electrical components
US5003129A (en) Protecting structure for harness wired along telescopic steering column
KR910007557Y1 (ko) 단자볼트 둘레의 방수장치
JPH0731036A (ja) 電気接続箱
EP0874416B1 (en) "A system for connecting electrical cables to electrical apparatus, in particular, to the starter motor of a motor vehicle"
KR100299153B1 (ko) 자동차의라디오에사용되는안테나
KR200323287Y1 (ko) 변속기 케이블 조립체의 장착 소켓
KR19990030546U (ko) 차량 접지단자의 고정구조
KR100317168B1 (ko) 제동등 스위치 장치
JP2596432Y2 (ja) 自動車用ノブスイッチ
JPH0713291Y2 (ja) 自動車用アンテナにおけるベース機構
JPH0132627Y2 (ko)
KR960007452Y1 (ko) 접지선의 링터미날
JPH0935773A (ja) 端子ボルトの締結構造
KR100742081B1 (ko)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유압펌프용 압력스위치
KR0132966Y1 (ko) 축전지단자와 케이블단자의 체결구조
KR100399751B1 (ko) 배터리 케이블 단자 체결 구조
KR200147506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KR930000294Y1 (ko) 수지제 지지구
JPH0423355B2 (ko)
KR0115651Y1 (ko) 크러치 케이블 고정구조
KR100422539B1 (ko) 자동차의 접지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