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452Y1 - 접지선의 링터미날 - Google Patents

접지선의 링터미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452Y1
KR960007452Y1 KR2019930027446U KR930027446U KR960007452Y1 KR 960007452 Y1 KR960007452 Y1 KR 960007452Y1 KR 2019930027446 U KR2019930027446 U KR 2019930027446U KR 930027446 U KR930027446 U KR 930027446U KR 960007452 Y1 KR960007452 Y1 KR 9600074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ixing
ring terminal
screw
cri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74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1576U (ko
Inventor
이종철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274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452Y1/ko
Publication of KR9500215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15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4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4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2Screw-ring or screw-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요약 없음

Description

접지선의 링터미날
제1도는 종래의 링터미날의 예시도.
제2도는 제1도의 링터미날이 스크류에 의해 체결된 상태의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링터미날의 다른 예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링터미날의 일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선1a : 도선와이어
12 : 도선고정부13 : 와이어압착부
14 : 고정부15 : 스크류공
본 고안은 전자렌지등의 각종 부품의 접지단자에 연결되는 링터미날에 관한 것으로 특히 2개의 스크류체결공을 고정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균등하게 형성함으로써 스크류체결시 접지력을 높히며 안정감 있게 체결되게 한 접지선의 링터미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등의 각종 부품의 접지단자에 링터미날을 연결하여 접지역할을 하는 샤시등에 고정시키고 있는데, 통상 접지용 도선의 단부를 링터미날에 압착시켜 고정하고, 그 링터미날을 볼트, 너트나 스크류 등으로 접지가 되는 샤시에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1도는 종래 접지선의 링터미날 구조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선(1)의 절연피복부분을 압착시켜 고정시키는 도선고정부(2a)와, 그 도선고정부(2a)에 고정되는 도선(1)의 와이어를 압착시켜 고정시키는 와이어압착부(2b)와, 그 도선 고정부(2a)및 와이어압착부(2b)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고정용 구멍이 형성된 링부(2c)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링터미날을 고정시키는 방식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체결방식이 있는데, 이는 샤시(3)상에 암나사가 형성된 버링(Burring)(3a)을 형성하고, 링터미날(2)에 스크류(6)를 끼워서 상기 샤시(3)의 버링(3a)에 체결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메인전원 접지에는 불합리하지만 일반적으로 조립이 간편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스크류는 주로 텝타이트 스크류(Taptipte Screw)를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스크류 체결방식은, 파워선 접지등의 경우에 유럽전기협회(CEE)의 권장 규정에 따르면, 텝타이트 스크류 사용시 2개를 사용하여 조립하도록 되어 있다. 그 이유는 하나의 스크류만으로 체결하면 고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2개의 스크류로 접지선을 고정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접지선을 분리시켜 2개의 링터미날을 연결시킨 후 각각의 링터미날을 스크류로 샤시에 각각 체결시키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유럽전기협회(CEE)의 권장 규정에 맞게 2개의 스크류를 사용하여 접지선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2개의 링터미날을 연결시켜야 하므로, 조립성이 떨어지고, 링터미날을 고정시키는 면적이 넓어지는 단점이 있어 왔다.
이에 대한 해소책으로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링터미날에 2개의 스크류공을 형성하여 2개의 스크류를 체결할 수 있게 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접지선 링 터미날을 제공케 한 것인 바, 이는 도선의 절연피복부를 압착 고정시키기 위한 도선고정부(21)와, 그 도선고정부(21)에 고정된 도선(1)의 와이어(1a)를 압착 고정시키기 위한 와이어압착부(22)와, 그 도선고정부(21) 및 와이어압착부(22)와 일체로 이루어져 스크류를 끼우기 위한 2개의 스크류공(23)이 형성된 고정부(2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링터미날은 고정부(24)에 형성된 2개의 스크류공(23)에 각각 스크류를 끼워서 접지가 이루어지는 샤시에 2개의 스크류를 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하에서는 고정부(24)가 일측으로만 형성되어 있어 일측의 스크류공(23)에 스크류를 체결할 시 길게 돌출된 고정부(24)가 휘거나 중심잡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접지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체결에 많은 어려움이 있어 왔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링터미날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크류공이 고정부 양측에 균형있게 배치된 링터미날을 형성함으로써 스크류체결시 안정되게 접지력을 향상시키며 체결토록 한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링터미날은 도선의 일단 절연피복부를 압착 고정하는 도선고정부가 최하단에 형성되고, 이의 상측에 도선의 와이어를 압착 고정하는 와이어압착부와, 상기 도선고정부 및 와이어압착부가 일체로 되며 와이어압착부 전방으로부터 양측으로 분지되게 고정부가 형성되며, 이 고정부(14)의 양측에 각각의 스크류공(15)을 형성하되, 이 고정부 양측에 각각의 스크류공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접지선의 링터미날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선(1)의 일단 절연피복부를 압착 고정하는 도선 고정부(12)가 최하단에 구비되고, 이의 상측에 도선와이어(1a)를 압착 고정시키기 위한 와이어압착부(13)가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압착부(13)의 전방으로부터 양측으로 분지되는 고정부(14)가 형성되며, 이 고정부(14)의 양측에 각각의 스크류공(15)을 형성하되, 이 고정부(14)는 상기 도선고정부(12) 및 와이어압착부(13)와 일체로 구성되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링터미날은 접지를 위한 도선(1)의 절연피복부를 소정길이만큼 벗겨낸 상태로 벗기지 않은 도선일단의 절연피복부를 도선고정부(21)에 압착 고정하고 도선(1)의 와이어(1a)는 와이어고정부(13)에 고정한다.
이후 양측으로 분지되는 고정부(14)의 스크류공(15)에 각각의 스크류를 끼워 샤시에 고정하면 접지되는데, 이 때 고정부(14)가 양측으로 분지되어 균형있게 스크류공(1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안정되게 스크류를 채울 수 있음은 물론 종래의 링터미날에서와 같이 고정부(14)가 휘거나 중심잡기가 곤란한 문제가 없으면 접지력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최하단의 도선고정부(12)와, 이 상측의 와이어압착부(13)가 일체로 되는 고정부(14)를 구비하되, 이 고정부 있게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선의 링터미날.
KR2019930027446U 1993-12-13 1993-12-13 접지선의 링터미날 KR9600074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7446U KR960007452Y1 (ko) 1993-12-13 1993-12-13 접지선의 링터미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7446U KR960007452Y1 (ko) 1993-12-13 1993-12-13 접지선의 링터미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576U KR950021576U (ko) 1995-07-28
KR960007452Y1 true KR960007452Y1 (ko) 1996-08-28

Family

ID=19370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7446U KR960007452Y1 (ko) 1993-12-13 1993-12-13 접지선의 링터미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45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576U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4589A (en) Power bus bar for providing a low impedance connection between a first and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US6648690B2 (en) Terminal end structure for shielded wire
TW478218B (en) Terminal connector
MY107612A (en) Mounting and grouding connectors for electrical components.
KR960007452Y1 (ko) 접지선의 링터미날
US5580277A (en) Antenna cable connector
JP2832133B2 (ja) 電気接続箱
US20070032133A1 (en) Cable connector with ant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US4613192A (en) Power cord strain relief
KR200357907Y1 (ko) 자동차용 멀티 어스 터미널
KR960008926Y1 (ko) 접지선의 링 터미날
KR970002244Y1 (ko) 접지용 도선의 터미날 링
KR200233193Y1 (ko) 변압기용 부싱 터미널
US6386911B1 (en) Board mounted connector
KR20190126006A (ko) Pe-접점을 갖는 장착 프레임
CN221126305U (zh) 一种动力电池高压端子
KR200225094Y1 (ko) 어스 단자
KR940005274Y1 (ko) 전기 플러그
KR200248226Y1 (ko) 220v용 접지 콘센트의 접지단자 결선구조
KR910005793Y1 (ko) 전기 배선용 접속구
EP0247006B1 (en) A blade connector structure for electrical apparatus
KR0123938Y1 (ko) 모니터의 시그널 케이블 고정용 리어브라켓
KR200146837Y1 (ko) 컨넥터를 겸한 배선장착용 클립
JPH10248152A (ja) ケーブル接続用ブッシングの取付構造
JPH1140229A (ja) 導体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