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244Y1 - 접지용 도선의 터미날 링 - Google Patents

접지용 도선의 터미날 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244Y1
KR970002244Y1 KR2019940003704U KR19940003704U KR970002244Y1 KR 970002244 Y1 KR970002244 Y1 KR 970002244Y1 KR 2019940003704 U KR2019940003704 U KR 2019940003704U KR 19940003704 U KR19940003704 U KR 19940003704U KR 970002244 Y1 KR970002244 Y1 KR 9700022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ing
screw
chassis
fastening
grou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37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5953U (ko
Inventor
박의순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037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244Y1/ko
Publication of KR9500259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59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2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2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83Terminal blocks specially adapted for ground connection

Landscapes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접지용 도선의 터미날 링
제1도는 종래의 기술구성을 예시한 사시도.
제2도의 (a)는 종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체결상태도.
(b)는 종래 스크류를 이용한 체결상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터미널링에 도선을 체결한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터미널링에 스크류를 이용한 체결상태 단면도.
제5도의 (a),(b), (c)는 본 고안의 변형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0 : 체결부 3 : 접속부
3a : 클램프 3b : 지지구
5 : 섀시 21 : 결합홈
본 고안은 접지용 도선의 터미널 링(TERMINAL RING)에 관한 것으로, 국제 규격에도 통과되고 조립성이 향상되도록 한 접지용 도선의 터미널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 각종 부품의 접지용 도선의 단자에 터미널링을 연결하여 접지역할을 하는 섀시 등에 고정시키고 있는데, 통상 접지용 도선의 단부를 터미널링에 압착시켜 고정하고, 그 터미널링을 볼트와 너트로 또는 스크류등으로 섀시에 고정시켜 접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종래 접지용 도선의 터미널링은 도선(4)의 절연피복부분을 압착시켜 고정시키는 지지구(3b)와 그 지지구(3b)에 고정되는 도선(4)의 와이어(4a)를 압착시켜 고정시키는 클램프(3a)로 형성된 접속부(3)와, 그 접속부(3)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고정용 삽입공(2a)이 형성된 체결부(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터미널링(1)을 섀시(5)에 고정시키는 방식에는 제2도의 (a)와 (b)에서 예시한 바와같이 볼트(6)와 너트(7)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식과 스크류(8)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식의 2가지가 있는데, 상기의 볼트너트 체결방식은 국내 및 국제규격기관에서 권장하고 있는 방식으로서, 터미널링(1)의 체결부(2)에 볼트(6)를 끼워서 접지역할을 하는 섀시(5)의 통공에 끼운후에 그 섀시(5)의 배면에서 너트(7)를 상기 볼트(6)의 단부에서 체결시켜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스크류 체결방식은 섀시(5)상에 암나사가 형성된 버링(BURRING((5a)을 형성하고, 터미널링(1)에 스크류(8)를 끼워서 상기 섀시(5)의 버링(5a)에 체결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와같은 스크류 체결방식은 메인전원을 접지하는데는 불합리하지만 일반적으로 조립이 간편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상기 스크류(8)는 주로 탭핑스크류(TAPPING SCREW)를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볼트너트 체결방식은 볼트(6)를 끼운후 섀시(5)의 배면에서 너트(7)를 체결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져 생산성저하의 문제점과, 스크류 체결방식은 도선(4)을 접지할 경우에 유럽전기협회(CEE)의 권장 규정에 의하면, 하나의 스크류(8)만으로 체결하면 고정성이 떨어져 유동이 있기 때문에 2개의 스크류(8)로 접지용 터미널링(1)을 고정시키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유럽전기협회의 규격대로 하자면 도선(4)을 분리시켜 2개의 터미널링(1)에 연결시킨후, 각각의 터미널링(1)을 스크류(8)로 섀시(5)에 각각 체결시키기 때문에 조립성이 떨어지고 터미널링(1)을 고정시키는 섀시(5)의 면적이 넓어져 원가상승 및 생산성저하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크류(8)를 터미널링(1)에 끼워 섀시(5)에 체결할 때, 상기 터미널링(1)의 삽입공(2a)에 상기 스크류(8)를 끼운후에 그 터미널링(1)의 스크류(8)를 상기 섀시(5)의 버링(5a)이 형성된 통공에 끼우게 된다.
따라서 이중으로 상기 스크류(8)를 삽입공(2a)과 통공에 끼우는 번거로운 작업을 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져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하나의 터미널링에 2개의 결합홈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홈에 스크류를 체결할 수 있게 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접지용 도선의 터미널링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접속부의 지지구 및 클램프와 일체로 이루어져 스크류를 끼우기 위한 2개의 개구된 결합홈이 형성된 체결부를 형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볼트너트 및 스크류가 체결되는 체결부(2)와 클램프(3a) 및 지지구(3b)가 형성된 접속부(3)를 일체로 구성한 터미널링(1)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링(1)의 상측에 소정길이의 폭을 두고 절개되어 개구된 2개의 결합홈(21)을 형성한 체결부(20)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체결부(20)의 형태와 결합홈(21)의 개구방향은 제5도의 (a), (b), (c)등에서 처럼 임의로 변형형성할 수 있지만, 특히 상기 2개의 결합홈(21)의 입구는 상기 체결부(20)에서 반대방향으로 형성하여 태핑스크류(8)를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터미널링(1)은 접지를 위한 도선(4)의 절연피복부를 소정길이만큼 벗겨내고, 상기 절연피복부를 지지구(3b)에 압착고정하며, 상기의 벗겨져 드러난 도선(4)의 와이어(4a)를 클램프(3a)에 압착고정한후, 버링(5a)이 형성된 섀시(5)의 통공에 스크류(8)를 송정길이 만큼 삽입한후, 상기 스크류(8)에 터미널링(1)의 결합홈(21)이 개구된쪽으로 끼우고 상기 스크류(8)를 체결한다.
상기와 같이 2개의 결합홈(21)에 각각 스크류(8)를 끼워서 섀시(5)에 체결하기 때문에 종래 볼트너트 방식과 비교하면, 스크류(8) 2개를 체결하는 것이 볼트(6)를 끼운후 배면에서 너트(7)를 체결하는 것보다는 훨씬 작업이 간편하여 작업성이 좋아져 생산성이 향상되고, 또한 도선(4)을 분리하여 2개의 터미널링(1)을 도선(4)에 압착고정한후 각각을 스크류(8)로 체결하는 것에 비해서는 하나의 터미널링(1)에 도선(4)을 압착고정한후 2개의 스크류(8)를 체결하는 본 고안이 훨씬 간편하여 조립성이 향상되고 터미널링(1)을 고정시키는 섀시(5)의 면적을 좁혀 원가절감 및 생산성향의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스크류(8)를 터미널링(1)에 끼워 섀시(5)에 체결할 때, 상기 스크류(8)를 터미널링(1)의 삽입공(2)과 섀시(5)의 통공에 끼우는 이중의 번거로운 작업을 해야하기 때문에 조립성이 떨어져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제5도에서 처럼 결합홈(21)의 개구방향을 일측으로 형성하면, 스크류(8)를 섀시(5)에 체결한후 상기 결합홈(21)을 일측에서 밀어넣을 수 있어 조립성이 좋아지고, 결합홈(21)의 개구방향을 서로 반대로 형성하면, 한쪽의 스크류(8)가 약간 느슨해지더라도 반대쪽의 결합홈(21)에 끼워진 스크류(8)가 지지역활을 하여 유동없이 더욱 확실하게 고정되고 결합홈(21)이 개구되어 있어 조립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터미널링(1)의 상측에 소정길이의 폭을 두고 절개되어 개구된 2개의 결합홈(21)을 형성한 체결부(20)를 형성하되, 상기 체결부(20)의 형태와 결합홈(21)의 개구방향은 임의로 형성한다. 따라서 국제규격에도 맞고 종래 볼트너트 방식보다 간편하게 조립되고 종래 스크류 방식보다 상기 터미널링(1)이 체결되는 섀시(5)의 면적이 적어져 원가가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며, 또한 상기 절개되어 개구된 결합홈(21)을 형성함으로서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볼트너트 및 스크류가 결합되는 유자형의 체결부나 터미널링에 있어서 터미널링(1)의 상측에 소정길이의 폭을 두고 동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절개되어 개구된 2개의 결합홈(21)이 형성된 체결부(20)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 접지용 도선의 터미널링.
KR2019940003704U 1994-02-28 1994-02-28 접지용 도선의 터미날 링 KR9700022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3704U KR970002244Y1 (ko) 1994-02-28 1994-02-28 접지용 도선의 터미날 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3704U KR970002244Y1 (ko) 1994-02-28 1994-02-28 접지용 도선의 터미날 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953U KR950025953U (ko) 1995-09-18
KR970002244Y1 true KR970002244Y1 (ko) 1997-03-20

Family

ID=19377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3704U KR970002244Y1 (ko) 1994-02-28 1994-02-28 접지용 도선의 터미날 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2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460B1 (ko) * 2012-03-21 2013-04-19 유한회사 조양전구 난방필름용 압착단자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7026B1 (ko) * 1999-06-03 2001-12-22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와이어 접속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460B1 (ko) * 2012-03-21 2013-04-19 유한회사 조양전구 난방필름용 압착단자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953U (ko) 1995-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8690B2 (en) Terminal end structure for shielded wire
CA1062784A (en) Separable power cable splice connector with means facilitating attachment to system components
US6004172A (en) Two piece pin/socket contact
US6126493A (en) Electrical fastener
TW478218B (en) Terminal connector
PL175306B1 (pl) Klinowe złącze uziemiające
US4162819A (en) Electrical terminal
KR970002244Y1 (ko) 접지용 도선의 터미날 링
KR900001062A (ko) 선택형 측면 케이블 도입부를 갖춘 전기케이블 결합체
WO1996028869A3 (de) Vorrichtung zum anschluss von leitungen oder geräten an einer stromsammelschiene eines stromsammelschienensystems
JP2832133B2 (ja) 電気接続箱
US6264503B1 (en) Coaxial cable connector
KR960008926Y1 (ko) 접지선의 링 터미날
KR960007452Y1 (ko) 접지선의 링터미날
KR200445019Y1 (ko) 단자대
KR200225094Y1 (ko) 어스 단자
US5429512A (en) Terminal arrangement
KR200283100Y1 (ko) 형광등용 전선 접속구의 접지단자 구조
CN2195799Y (zh) 一种带锁紧弹片的电线连线器
KR200330624Y1 (ko) 특고압 배전선로용 피로기의 접속단자 구조
KR200318483Y1 (ko) 전기접속장치의 접속단자
KR950011614B1 (ko) 다중 케이블 접속장치
KR890007490Y1 (ko) 알루미늄 배전선용 인장 클램프
JPH08172708A (ja) 端子台装置
KR100319573B1 (ko) 중간 접속함 체결형 도체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