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8483Y1 - 전기접속장치의 접속단자 - Google Patents

전기접속장치의 접속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8483Y1
KR200318483Y1 KR20-2003-0010053U KR20030010053U KR200318483Y1 KR 200318483 Y1 KR200318483 Y1 KR 200318483Y1 KR 20030010053 U KR20030010053 U KR 20030010053U KR 200318483 Y1 KR200318483 Y1 KR 2003184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io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bod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00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대
Original Assignee
상도전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도전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상도전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100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84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84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84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6Fastening of connecting parts to base or case; Insulating connecting parts from base or case
    • H01R9/18Fastening by means of screw or nut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입 또는 인출 전선을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전기접속장치의 접속단자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전기접속장치의 단자몸체가 접속나사의 조이는 압력에 변형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양호한 전기적 접속이 유지되도록 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체결공을 갖는 버링부와 삽입홀을 형성한 접속단자의 단부를 상단부에 위치시키고, 버링부를 삽입홀에 삽입하여 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단자몸체의 단부가 견고하게 상호 결합되어 접속나사의 조임 압력에 의한 단자몸체의 내부 압력이 증가되어도 결합된 단부가 벌어지지 않게 되며, 그 결과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안정적인 전기적 접속이 유지되고, 제품의 불량이 예방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접속장치의 접속단자{Connect Terminal of Electricity Connector}
본 고안은 전기접속장치의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입 또는 인출 전선을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전기접속장치의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접속단자는 누전차단기, 콘센트, 분전반, 스위치 등의 전기접속장치에 설치되어 인입 또는 인출 전선을 체결하여 전기적인 접속을 유지시켜주는 것으로, 이러한 전기접속장치를 첨부한 도면 도 1 내지 도 3으로 도시하였다.
이에 의하면 전기접속장치(100)는 내부에 접속단자(101)를 포함한 전기적 장치들이 설치되어 있고, 접속단자(101)는 금속재로 되며 내부에 인입 또는 인출 전선(105)이 삽입되는 단자몸체(103)의 상측에 체결공(107)을 갖는 버링부(106)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107)에 접속나사(102)가 삽입 체결된 것이다.
이러한 접속단자(101)는 전선(105)의 단부 피복을 벗긴 후 상기 전선(105)의 단부를 단자몸체(103)에 삽입하고 접속나사(102)를 조임으로써, 전선(105)이 접속단자(101)에 체결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접속단자(101)는 접속나사(102)를 강하게 조일 경우, 접속단자(101)의 맞닿은 단부(104)가 벌어져 전기적인 접속이 불안전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즉, 접속단자(101)의 단부(104)가 상기 단자몸체(101)의 하측에 위치되며, 아울러 상기 단부(104)를 물리적으로 결합시키는 수단 없이 맞닿아 있는 것에 불과하므로, 접속나사(102)의 조임으로 전선(105)과 접속을 이룰 때 접속나사(102)를 강하게 조일 경우, 전선(105)을 압박하는 접속나사(102)의 압력이 단자몸체(103)의 하측으로 전달되고, 그 결과 단부(104)가 하측으로 눌리며 벌어지게 되어 접속면적이 축소됨은 물론, 접속단자(101)의 변형으로 접속이 불량하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전기접속장치의 단자몸체가 접속나사의 조이는 압력에 변형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양호한 전기적 접속이 유지되도록 하는 전기접속장치의 접속단자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전기접속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전기접속장치의 접속단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 전기접속장치의 접속단자에 전선이 삽입 접속됨을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전기접속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전기접속장치의 접속단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전기접속장치의 접속단자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전기접속장치의 접속단자에 전선이 삽입 접속됨을 나타낸 설명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전기접속장치의 접속단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기접속장치 11 : 접속단자
12 : 접속나사 13 : 단자몸체
14 : 체결공 15 : 버링부
16 : 삽입홀 17 : 전선
18,19 : 접촉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체결공을 갖는 버링부와 삽입홀을 형성한 접속단자의 단부를 상단부에 위치시키고, 버링부를 삽입홀에 삽입하여 되는 전기접속장치의 접속단자를 제안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접속나사의 조이는 압력에도 단부가 벌어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아 제품의 불량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전기접속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전기접속장치의 접속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전기접속장치의 접속단자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전기접속장치의 접속단자에 전선이 삽입 접속됨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본 고안은 인입 또는 인출 전선(17)이 삽입 될 수 있도록 앞뒤 양면이 개방된 함체형상의 단자몸체(13)를 형성하되, 상기 단자몸체(13)의 일측 단부에 체결공(14)을 가지며 상측으로 돌출된 버링부(15)를 형성하고, 타측 단부에 삽입홀(16)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홀(16)에 버링부(15)를 삽입시켜 접속단자(11)를 형성하고, 이러한 접속단자(11)를 전기접속장치(10)에 설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단자몸체(13)의 단부가 중첩되고, 버링부(15)가 삽입홀(16)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단자몸체(13)의 단부가 견고하게 상호 체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전선(17)을 연결할 때에는 먼저, 전선(17)의 단부 피복을 벗긴 후, 상기 전선(17)의 단부를 단자몸체(13) 내부로 삽입시킨 다음, 접속나사(12)를 조여 전선(17)을 단자몸체(13)에 결합 고정시킴으로써 전선(17)과 단자몸체(13)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다.
또한, 단자몸체(13)의 단부가 상측에서 중첩됨과 아울러 버링부(15)가 체결홀(14)에 삽입 결합되고, 접속나사(12)의 조임 압력이 집중되는 단자몸체(13)의 하측에는 평탄면으로 되어 상기 접속나사(12)를 강한 힘으로 조여 단자몸체(13)의 내부 압력이 증가되더라도 상기 단자몸체(13)의 단부가 벌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접속나사(12)의 조임 압력에 의하여 전선(17)의 단면이 원형에서 타원의 형상으로 눌리며, 그 결과 전선(17)의 상, 하에서 각각 접속나사(12)의 단부와 단자몸체(13)의 내부 하측면과 접촉되는 접촉부(18,19)의 면적이 증대되어 접속이 양호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으로 첨부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접속단자(1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체결공(14)을 갖는 버링부(15)를 단자몸체(13)의 일측 단부에 하향 돌출되도록 형성하고, 삽입홀(16)이 형성된 타측 단부를 상기 버링부(15)가 형성된 일측 단부 하측에 중첩시켜 버링부(15)가 삽입홀(16)에 삽입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도 단자몸체(13)의 단부 결합력이 우수하여 상기 단자몸체(13)의 내부 압력이 증가되어도 단부가 벌어지지 않으므로 양호한 접속력이 유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체결공을 갖는 버링부와 삽입홀이 형성된 접속단자의 단자몸체 단부를 상측에 위치시키고, 버링부를 삽입홀에 삽입 결합시켜 된것으로, 상기 단부가 견고하게 상호 결합되어 접속나사의 조임 압력에 의한 단자몸체의 내부 압력이 증가되어도 결합된 단부가 벌어지지 않게 되며, 그 결과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안정적인 전기적 접속이 유지되고, 제품의 불량이 예방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단자몸체(13)로 삽입된 인입 또는 인출 전선(17)을 접속나사(12)로 전기접속장치(10)에 체결 접속하는 공지의 것에 있어서,
    단자몸체(13)의 일측 단부에 체결공(14)을 갖는 버링부(15)와, 타측단부에 버링부(15)가 삽입되는 삽입홀(1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장치의 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단자몸체(13)의 일측 단부에 버링부(15)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그 상측에 삽입홀(16)이 형성된 단자몸체(13)의 타측 단부가 중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장치의 단자.
  3. 제 1 항에 있어서,
    단자몸체(13)의 일측 단부에 버링부(15)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그 하측에 삽입홀(16)이 형성된 단자몸체(13)의 타측 단부가 중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장치의 단자.
KR20-2003-0010053U 2003-04-02 2003-04-02 전기접속장치의 접속단자 KR2003184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053U KR200318483Y1 (ko) 2003-04-02 2003-04-02 전기접속장치의 접속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053U KR200318483Y1 (ko) 2003-04-02 2003-04-02 전기접속장치의 접속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8483Y1 true KR200318483Y1 (ko) 2003-06-27

Family

ID=49409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053U KR200318483Y1 (ko) 2003-04-02 2003-04-02 전기접속장치의 접속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848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31676A1 (en) Casing for an electrical connector
CN106953185A (zh) 电连接器
US6638090B2 (en) Waterproof connector used for a flexible flat cable
US20040110426A1 (en) Two wire folder line plugs and connectors
JPH11273764A (ja) ねじ接続部を持つコンタクト部材
US7056137B1 (en) Electrical connectors having a sealing element
KR200318483Y1 (ko) 전기접속장치의 접속단자
KR200209229Y1 (ko)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
KR200390292Y1 (ko) 전선결속용 고정단자
KR200247022Y1 (ko) 전기 기기의 전선 취부기구
JP4203616B2 (ja) 開閉器の端子装置
JP2003217703A (ja) モールド端子
JPH10106538A (ja) バッテリポスト用カバー
JPH10302882A (ja) 接続構造
JPH08130041A (ja) 端子装置
KR20190126006A (ko) Pe-접점을 갖는 장착 프레임
JP4218852B2 (ja) 回路ユニット
KR200225094Y1 (ko) 어스 단자
KR970002244Y1 (ko) 접지용 도선의 터미날 링
JP4220668B2 (ja) 端子台
KR20090003046U (ko) 전선 접속구의 접지단자 구조
KR101830420B1 (ko) 조인트 커넥터
JPH10189179A (ja) コネクタの固定構造
KR200318482Y1 (ko) 전기접속장치의 단자구조
KR200428337Y1 (ko) 포선타입 와이어플레이트용 압접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