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9751B1 - 배터리 케이블 단자 체결 구조 - Google Patents

배터리 케이블 단자 체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9751B1
KR100399751B1 KR10-2001-0057527A KR20010057527A KR100399751B1 KR 100399751 B1 KR100399751 B1 KR 100399751B1 KR 20010057527 A KR20010057527 A KR 20010057527A KR 100399751 B1 KR100399751 B1 KR 100399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ttery
cable terminal
lever
circula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7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4391A (ko
Inventor
주원중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7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9751B1/ko
Publication of KR20030024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4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7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기에 사용되는 배터리 단자와 이에 연결되는 케이블단자 사이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진동으로 인한 체결구조의 풀림을 방지하고, 진동하에서도 배터리단자 및 케이블단자의 전기적인 접속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케이블단자의 착탈 작업이 매우 용이한 배터리 케이블 단자 체결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배터리 단자와 이에 연결되는 케이블 단자와의 체결 구조에 있어서, 배터리(30)는 원통형 측면을 가지고 그 측면 일부가 절단되어 J형 홈(42)이 형성된 체결부(40)와, 이 체결부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배치된 배터리 단자들(32, 34)을 포함하며; 케이블 단자(50)는 케이블의 말단에 연결되어 배터리 단자들(32, 34)과 각각 결합하는 단자접속부(12, 22)와, 이 단자접속부가 고정된 단자프레임(60)과, 손잡이부의 기능을 하는 상부(72)와 이 상부(72)의 주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한 원형 바(bar; 74) 및 원형 바(74)의 하부측에 돌출된 돌기(76)를 구비한 레버(lever; 70)와, 원형 바(74)의 상부측에 끼워져 레버(70)에 상하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80)과, 원형 바(74)의 대략 중심에 고정적으로 끼워져 상기 레버(70)의 분리를 방지하는 와셔(washer; 9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배터리 케이블 단자 체결 구조{STRUCTURE OF BATTERY CABLE CONNECTION}
본 발명은 차량, 항공기 등의 동력기 계통에 사용되는 배터리 단자와 이에 연결되는 케이블단자 사이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진동으로 인한 체결구조의 풀림을 방지하고, 비교적 큰 진동하에서도 배터리단자 및 케이블단자의 전기적인 접속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케이블단자의 착탈 작업이 매우 용이한 배터리 케이블 단자 체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는 차량, 항공기 등에 장착되며, 점화계통을 포함한 각종의 전기계통에 전기를 공급한다. 그러한 배터리와 전기계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배터리에는 단자가 마련되어 있고, 전기계통으로부터의 전기 케이블이 배터리 단자에 연결된다.
이러한 배터리단자와 케이블단자를 결합함에 있어서 체결구조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는, 첫째 양호한 전기적 연결을 이루어져야 하고, 둘째 전기 케이블을 단자에 체결하거나 단자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여야 하며, 셋째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서 결합이 헐거워지거나 이로 인해 분리되지 않고 고정적인 결합을 유지하여야 한다. 특히 항공기의 배터리 케이블 단자 체결 구조에는 더욱 안정적인 결합이 요구된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케이블 단자 체결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터리 케이블 단자 체결 구조는 배터리측에 설치된 너트형상의 체결부(140)와 케이블 단자측에 형성된 볼트 형상의 바(bar; 174)에 나사산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배터리 케이블 단자 체결 구조에 있어서, 배터리(30)는배터리 단자들(32, 34)을 포함하고 상부에 형성된 오목부(142)와 이 오목부(142)의 측면에 형성된 나사산(144)에 의해 너트 기능을 하는 체결부(140)를 포함한다.
케이블 단자는 케이블(10, 20)의 말단에 연결되어 배터리 단자들(32, 34)과 각각 결합하는 단자접속부(12, 22)와, 상술한 체결부(40)가 삽입되는 내부 공간(152) 및 상부면 중심부에 형성된 구멍(154)을 구비하고 단자접속부(12, 22)가 고정 부착되어 있는 단자프레임(150)을 포함한다.
또한, 케이블 단자는 손잡이부의 기능을 하는 상부(172)와 상부(172)의 주면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한 원형 바(bar; 174) 및 원형 바(74)의 하부측에 형성된 나사산(176)을 구비하고 단자프레임(150)의 구멍(154)에 원형 바(174)가 삽입되어 있는 레버(lever; 17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레버(170)의 상부(172)와 단자프레임(150)과의 사이에는 레버(170)의 기울어짐을 억제하는 레버지지부(178)가 설치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단자프레임(150)과 레버(170)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단자프레임(150)의 상부면 중심부의 구멍(154)이 그 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배터리 케이블 단자 체결 구조는 나사산 결합 구조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배터리 단자와 케이블 단자의 전기적인 결합을 형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종래 기술에서는, 진동이 심한 경우에 나사산 결합이 풀려 케이블 단자(50)가 배터리 체결부(40)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있다.
또한, 나사산 결합은 조임과 풀음을 반복되는 동안에 나사산 결합이 나사산의 마모 등에 의해 비교적 쉽게 헐거워져 그 결합력이 약화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진동으로 인한 체결구조의 풀림을 방지하고, 진동이 심한 경우에도 배터리단자 및 케이블단자의 전기적인 접속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케이블단자의 착탈 작업이 매우 용이한 배터리 케이블 단자 체결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케이블 단자 체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단자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단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20 ... 케이블 12, 22 ... 단자접속부
30 ... 배터리 32, 34 ... 배터리 단자
40 ... 체결부 42 ... 홈
50 ... 케이블단자 60 ... 단자프레임
62 ... 구멍 70 ... 레버(lever)
74 ... 바(bar) 76 ... 돌기
80 ... 스프링 90 ... 와셔(washer)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케이블 단자 체결 구조는, 배터리 단자와 이에 연결되는 케이블 단자와의 체결 구조에 있어서, 배터리는 그 측면에 J형 홈이 형성된 원통형의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양측에 배치된 배터리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단자는, 케이블의 말단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단자들과 각각 결합하는 단자접속부와, 상기 체결부가 삽입되는 내부 공간과 상부면 중심부에 형성된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단자접속부가 고정되는 단자프레임과, 손잡이부의 기능을 하는 상부와 상기 상부의 주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한 원형 바(bar) 및 상기 원형 바의 하부측에 돌출된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 프레임의 구멍에 상기 원형 바가 삽입되도록 구성된 레버(lever)와, 상기 레버의 상부와 상기 단자프레임과의 사이에서 상기 원형 바에 끼워져 상기 레버에 상하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단자프레임의 구멍 안쪽에서 상기 원형 바에 고정적으로 끼워져 상기 단자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레버의 분리를 방지하는 와셔(wash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케이블 단자 체결 구조는, 상기 스프링의 아래쪽 말단부에 배치된 스프링 와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버를 하부측으로 눌러 상기 원형 바의 돌기가 상기 배터리의 체결부의 J형 홈에 들어가고 상기 레버를 회전시켜 상기 돌기가 상기 J형 홈의 말단부에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스프링에 의해 홈의 말단부에 삽입된 돌기가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배터리 케이블 단자 체결 구조는 진동으로 인한 체결구조의 풀림을 방지하고, 진동이 심한 경우에서도 배터리단자 및 케이블단자의 전기적인 접속을 장시간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케이블단자의 착탈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단자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단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30)는 케이블의 단자접속부(12, 22)와 결합되는 배터리 단자들(32, 34) 및 이것들 사이에 배치된 체결부(40)를 포함한다.
체결부(40)는 원통 형상으로 위쪽 개구부(44)를 통해 그 내부에 케이블 단자(50)의 원형 바(74)가 삽입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고 그 측면의 일부가 절단되어 J형 홈(42)을 형성한다.
상술한 J형 홈(42)은 원형 바(74)의 돌기(76)가 위쪽의 돌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어 홈의 바닥을 거쳐 홈의 끝에 걸려 고정되도록 J형상으로 형성된다.
케이블 단자(50)는 케이블(10, 20)의 말단에 연결되어 아래의 단자프레임(60)에 고정되는 단자접속부(12, 22) 및 상술한 체결부(40)가 삽입되는 내부 공간(62)과 상부면 중심부에 형성된 구멍(64)을 구비한 단자프레임(6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단자접속부(12, 22)는 금, 은, 알루미늄, 구리 등의 적절한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고 배터리 단자들(32, 34)과 각각 결합하여 전기적인 회로를 구성한다. 또한, 단자프레임(60)은 나무, 고무, 플라스틱, 복합재료 등을 이용한 일반적인 비도전성 재료로 형성되고, 단자프레임(60)의 상부면 중심부에 형성된 구멍(64)에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레버(70)의 원형 바(74)가 삽입된다.
또한, 케이블 단자(50)는 손잡이부의 기능을 하는 상부(72)와 상기 상부(72)의 주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한 원형 바(74) 및 원형 바(74)의 하부측에 돌출된 돌기(76)를 구비한 레버(70)와, 레버(70)의 상부(72)와 상기 단자프레임(60)과의 사이에서 상기 원형 바(74)에 끼워져 상기 레버(70)에 상하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80), 및 단자프레임(60)의 구멍(64) 안쪽에서 상기 원형 바(74)에 고정적으로 끼워져 상기 단자프레임(60)으로부터 상기 레버(70)의 분리를 방지하는 와셔(90)를 더 포함한다.
도 3에서 케이블(10, 20), 원형 바(74), 돌기(76), 스프링(80), 와셔(90) 및 스프링 와셔(92)는 단면으로 표시하지 않고 입면으로 표시하여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상술한 배터리 체결부(40)의 J형 홈과 케이블 단자(50)의 돌기(76) 및 스프링(80)에 의한 배터리 케이블 단자 체결 구조는 진동으로 인한 체결구조의 풀림을 방지하고, 진동하에서도 배터리단자 및 케이블단자의 전기적인 접속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케이블단자의 착탈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 단자프레임(60)의 형상은 원기둥 형상 또는 정방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레버(70)의 상부(72)의 아래쪽 주면에는 레버의 기울어짐을 억제하는 돌출부(78)가 형성된다.
또한, 레버(70)의 원형 바(74)의 상부측에 끼워진 스프링(80)은 그 아래쪽 말단이 단자프레임(60)의 구멍(64)에 삽입되지 않는 크기와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더욱이 상술한 스프링(80)의 아래쪽 말단부에 스프링 와셔(92)를 배치하여 레버(70)의 상부(72)와 단자프레임(60)의 구멍(64)의 상단과의 사이에서 스프링(80)이 원활하게 동작하도록 한다.
또한, 배터리 단자(32, 34)는 직방체 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배터리 단자(32, 34)와 단자접속부(12, 22)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 체결부에 형성된 홈과 이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돌기를 케이블단자의 레버에 형성하고 레버를 스프링으로 지지함으로써 진동으로 인한 체결구조의 풀림을 방지하고, 진동하에서도 배터리단자 및 케이블단자의 전기적인 접속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케이블단자의 착탈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배터리 단자와 이에 연결되는 케이블 단자와의 체결 구조에 있어서,
    배터리(30)는 그 측면에 J형 홈(42)이 형성된 원통형의 체결부(40)와 상기 체결부의 양측에 배치된 배터리 단자(32, 34)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단자(50)는,
    케이블(10, 20)의 말단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단자들(32, 34)과 각각 결합하는 단자접속부(12, 22)와,
    상기 체결부(40)가 삽입되는 내부 공간(62)과 상부면 중심부에 형성된 구멍(64)을 구비하고 상기 단자접속부(12, 22)가 고정되는 단자프레임(60)과,
    손잡이부의 기능을 하는 상부(72)와 상기 상부(72)의 주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한 원형 바(bar; 74) 및 상기 원형 바(74)의 하부측에 돌출된 돌기(76)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 프레임(60)의 구멍(64)에 상기 원형 바(74)가 삽입되도록 구성된 레버(lever; 70)와,
    상기 레버(70)의 상부(72)와 상기 단자프레임(60)과의 사이에서 상기 원형 바(74)에 끼워져 상기 레버(70)에 상하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80), 및
    상기 단자프레임(60)의 구멍(64) 안쪽에서 상기 원형 바(74)에 고정적으로 끼워져 상기 단자프레임(60)으로부터 상기 레버(70)의 분리를 방지하는 와셔(washer; 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케이블 단자 체결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80)의 아래쪽 말단부에 배치된 스프링 와셔(9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케이블 단자 체결 구조.
KR10-2001-0057527A 2001-09-18 2001-09-18 배터리 케이블 단자 체결 구조 KR100399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527A KR100399751B1 (ko) 2001-09-18 2001-09-18 배터리 케이블 단자 체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527A KR100399751B1 (ko) 2001-09-18 2001-09-18 배터리 케이블 단자 체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391A KR20030024391A (ko) 2003-03-26
KR100399751B1 true KR100399751B1 (ko) 2003-09-29

Family

ID=27724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7527A KR100399751B1 (ko) 2001-09-18 2001-09-18 배터리 케이블 단자 체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97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251Y1 (ko) * 2010-02-12 2012-01-31 김윤환 조립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391A (ko) 2003-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1479B1 (en) Bussed electrical center with combination electrical and mechanical connection
CA2396075A1 (en) Battery fuse bus bar assembly
JP5299698B2 (ja) 電気接続箱
US6234850B1 (en) Electrical terminal arrangement
US5458512A (en) Mounting and grounding connectors for electrical components
KR100399751B1 (ko) 배터리 케이블 단자 체결 구조
KR100399752B1 (ko) 배터리 케이블 단자 체결 구조
JP2832133B2 (ja) 電気接続箱
KR100755031B1 (ko) 배터리용 퓨즈박스의 장착구조
JP2004208429A (ja) 電気接続箱のアース接続構造
KR101912701B1 (ko) 차량용 파워 릴레이
JPH0950836A (ja) ヒューズの接続構造
JP3574916B2 (ja) バッテリアダプター
US7447043B2 (en) Power cabling assembly
KR101445307B1 (ko) 전기접속용 단자대
KR0132350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CN220753323U (zh) 高压控制盒及用电装置
KR200439074Y1 (ko) 퓨즈박스
KR200219907Y1 (ko) 자동차용 배터리단자 체결구조
KR100671735B1 (ko) 자동차용 커넥터의 볼트 및 너트 구조
KR100488700B1 (ko) 아크 방전 저감용 콘넥터
KR200484121Y1 (ko)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
KR200408771Y1 (ko) 스터드볼트의 구조
KR200208539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KR0132966Y1 (ko) 축전지단자와 케이블단자의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