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6553Y1 - 축전지용 접속단자 - Google Patents

축전지용 접속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6553Y1
KR200176553Y1 KR2019990023901U KR19990023901U KR200176553Y1 KR 200176553 Y1 KR200176553 Y1 KR 200176553Y1 KR 2019990023901 U KR2019990023901 U KR 2019990023901U KR 19990023901 U KR19990023901 U KR 19990023901U KR 200176553 Y1 KR200176553 Y1 KR 2001765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ion
battery
storage battery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39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숙이
Original Assignee
조숙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숙이 filed Critical 조숙이
Priority to KR20199900239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65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65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65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제너레이터에서 전기를 수급받거나 셀모터,각종 표시등 및 조명등으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서 축전지(10)의 터미널(4)에 이들 외부의 각종 장치로 연결되어 있는 접속단자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21)를 일측이 개방된 원판의 내측으로 상기 축전지(10)의 터미널(4)을 끼우기 위해 형성한 접속부(22)와, 상기 축전지(10)의 터미널(4)이 끼워진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볼트(2)와 너트(3)를 이용하여 조여지도록 하기 위한 고정체결부(23)와, 상기 고정체결부(23)에 대향되게 상기 접속부(22)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외부 장치의 와이어(30)를 연결하도록 관통홀(24a)로 통과시킨 볼트(2a)에 접속편(31)를 통과시켜 너트(3a)로 체결하고 상기 볼트(2a)의 머리를 하부면 양측에 형성된 절첩편(24b)으로 고정하며 돌출단 (24c)이 상기 접속편(31)의 끼움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와이어체결부(24)를 일체로 프레스 가공하여 구조의 간단함과 조립이 용이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접속부 (22)의 내외주연 중앙 측부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2개의 접속부홀(22a)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축전지용 접속단자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축전지용 접속단자{A CONNECTION TERMINAL FOR STORAGE BATTERY}
본 고안은 자동차와 같은 곳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축전지의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차량의 제너레이터에서 전기를 수급받거나 셀모터,각종 표시등 및 조명등으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서 축전지의 터미널에 이들 외부의 각종 장치로 연결되어 있는 접속단자에 있어, 상기 접속단자를 일측이 개방된 원판부의 내측으로 축전지의 터미널을 끼우기 위해 형성한 접속부와, 외부 장치의 와이어를 체결하는 와이어체결부와,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체결부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형성하고, 상기 접속부의 외주연 중앙 측부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2개의 접속부홀이 형성됨으로써, 결합력의 강화로 차량의 주행중 진동으로 인한 축전지와의 이탈을 방지하고, 접촉 저항이 적어 전도율이 상승될 뿐만 아니라 접속부의 일체로 크랙(CRACK)의 발생을 방지하여 축전지의 수명을 연장하는 동시에 접속단자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성 및 견고성이 향상되며, 이로 인해 제품의 원가절감 및 생산성과 사용상의 신뢰도를 극대화하도록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전지는 자동차 또는 중장비와 같이 기동력을 갖는 차량에 장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통상의 축전지 터미널에 결합되어 있는 접속단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으로 둥글게 구부려서된 접속단자(1)의 양단에 볼트(2) 및 너트(3)로 조여서 축전지(10)의 터미널(4)과 접속하여 사용되는데 이는 장시간이 경과되거나 차량의 주행시에 발생되는 기계적 진동에 의하여 상기 접속단자(1)가 상기 축전지(10)의 터미널 (4)에서 손쉽게 이탈되어 접촉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접속단자(1)가 납제이므로 납은 연질성이고 탄력성이 없어서 사용도중에 접속단자(1)의 접촉 상태가 자연 이완되기 때문에 상기 접촉을 위해서 상기 접속단자(1)를 수시로 때려 박아서 접촉시켜야 하는 번거로움과, 이로 인한 상기 축전지(10)의 파손이 종종 발생되고,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제시된 첨부도면 도 2의 접속단자(11)는 중심이 비어있는 원판부의 내측으로 상기 축전지(10)의 터미널(4)을 끼우기 위해 형성한 2개의 접속부재(12a,12b)를 상하로 일정간격 떨어져 그 중심축이 일치되게 배열하되, 상기 상측 접속부재(12a)는 하측 접속부재(12b)보다 직경이 작도록 접속부 (1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접속부(12)의 상하 접속부재(12a,12b) 일측방을 절결하여 일정한 폭을 갖는 절결부(13)가 형성되되, 상기 절결부(13)는 상기 상하 접속부재(12a,12b)와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되도록 환형으로 구부려져 이루어진다.
상기 절결부(13)의 측방에는 상기 축전지(10)의 터미널(4)이 끼워진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볼트(2)와 너트(3)를 이용하여 조여지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절결부(13)에 대향되게 상기 상하 접속부재(12a,12b)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와이어체결부(14)가 형성되되, 상기 와이어체결부(14)의 상단부(14a)에는 관통홀(14-1)과 2개의 하방향돌기(14-2)가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체결부(14)의 하단부 (14b)에는 상기 상단부(14a)와 대응되어 일치되는 관통홀(미도시)과 상기 하방향돌기(14-2)가 삽입되는 2개의 삽입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관통홀을 통해 볼트(2a)가 끼워지고, 와이어를 연결한 다음 너트(미도시)를 이용하여 체결하되, 상기 볼트(2a)의 머리는 상기 상단부(14a)의 하부면 양측에 형성된 절첩편으로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경우에는 상기 축전지(10)의 터미널(4)에 상기 접속단자 (11)를 장착하기 위해 상기 접속부(12)의 상하 접속부재(12a,12b)를 끼우도록 되어 있으나, 상기 상부 접속부재(12a)와 상기 하부 접속부재(12b) 사이의 간격이 많이 떨어져 있고 상기 절결부(13)의 측방으로 상기 볼트(2) 및 너트(3)를 체결하여 조였을시 심한 일그러짐과 같은 크랙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고, 이로 인한 접촉 저항의 증가에 의해 전도율이 저하되어 전체적인 축전지의 충전 및 방전이 원할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축전지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를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접속단자(11)를 제조하기 위해 하나의 금속재에 상기 상부 접속부재(12a)와 상기 하부 접속부재(12b)를 별도로 형성해야 하고, 상기 절결부(13)와 같이 일정한 폭을 갖게끔 둘로 절결한 후 구부려 이루게 하며, 상기 와이어체결부 (14)의 상단부(14a)와 하단부(14b)에 정확히 일치시키기 위해 별도의 관통홀, 삽입홀 및 하방향돌기를 각각 형성해야되는 제조상의 번거로운 문제와, 이로 인한 생산성의 저하는 물론 정확히 맞추어야 되는 조립성의 불편함과, 여러 공정의 제조로 인해 제품의 원가비용 상승을 초래하여 제품의 단가 상승을 야기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접속단자(1,11)는 결합력이 떨어져 차량의 주행중 진동으로 인한 축전지(10)와의 이탈을 방지하지 못하고, 상기 볼트(2) 및 너트(3)의 체결하여 조임으로 접촉 저항이 커져 전도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2개의 접속부재(12a,12b)사이에 간격의 일그러짐에 의해 크랙(CRACK)이 발생되어 축전지의 수명이 단축되는 동시에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성 및 견고성이 저하되고, 이들로 인해 제품의 비용 상승 및 생산성과 사용상의 신뢰성이 극소화되는 문제점들이 항상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은 차량의 제너레이터에서 전기를 수급받거나 셀모터,각종 표시등 및 조명등으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서 축전지의 터미널에 이들 외부의 각종 장치로 연결되어 있는 접속단자에 있어, 상기 접속단자를 일측이 개방된 원판부의 내측으로 축전지의 터미널을 끼우기 위해 형성한 접속부와, 외부 장치의 와이어를 체결하는 와이어체결부와,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체결부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형성하고, 상기 접속부의 외주연 중앙 측부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2개의 접속부홀이 형성됨으로써, 결합력의 강화로 차량의 주행중 진동으로 인한 축전지와의 이탈을 방지하고, 접촉 저항이 적어 전도율이 상승될 뿐만 아니라 접속부의 일체로 크랙(CRACK)의 발생을 방지하여 축전지의 수명을 연장하는 동시에 접속단자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성 및 견고성이 향상되며, 이로 인해 제품의 원가절감 및 생산성과 사용상의 신뢰도를 극대화하도록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접속단자를 축전지의 터미널에 접속한 상태도,
도 2는 다른 종래의 접속단자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접속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접속단자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접속단자를 실시하는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21 : 접속단자 2,2a : 볼트
3,3a : 너트 4 : 터미널
10 : 축전지 12,22 : 접속부
13 : 절결부 14,24 : 와이어체결부
22a : 접속부홀 23 : 고정체결부
24a : 관통홀 24b : 절첩편
30 : 와이어 31 : 접속편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고안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은 본 고안의 접속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접속단자를 보여주는 측면도 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접속단자를 실시하는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은 차량의 제너레이터에서 전기를 수급받거나 셀모터,각종 표시등 및 조명등으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서 축전지(10)의 터미널(4)에 이들 외부의 각종 장치로 연결되어 있는 접속단자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21)를 일측이 개방된 원판의 내측으로 상기 축전지(10)의 터미널(4)을 끼우기 위해 형성한 접속부(22)와, 상기 축전지(10)의 터미널(4)이 끼워진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볼트(2)와 너트(3)를 이용하여 조여지도록 하기 위한 고정체결부(23)와, 상기 고정체결부(23)에 대향되게 상기 접속부(22)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외부 장치의 와이어(30)를 연결하도록 관통홀(24a)로 통과시킨 볼트(2a)에 접속편(31)를 통과시켜 너트(3a)로 체결하고 상기 볼트(2a)의 머리를 하부면 양측에 형성된 절첩편(24b)으로 고정하며 돌출단 (24c)이 상기 접속편(31)의 끼움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와이어체결부(24)를 일체로 프레스 가공하여 구조의 간단함과 조립이 용이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접속부 (22)의 내외주연 중앙 측부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2개의 접속부홀(22a)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 및 작동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축전지(10)의 터미널(4)에 접속부(22)를 끼운 후 상기 고정체결부(23)의 측방으로 상기 볼트(2)와 너트(3)를 체결하여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도록 하고, 상기 고정체결부(23)에 대향되게 형성된 와이어체결부(24)에 외부장치의 와이어(30)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접속편(31)을 상기 볼트(2a)에 삽입한 다음 상기 너트(3a)를 조여서 이루되, 상기 와이어체결부(24)의 돌출단(24c)이 상기 접속편(31)의 끼움홀에 삽입되어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체결부(23)에서 볼트(2)와 너트(3)의 체결하는 과정에서 과다한 조임으로 인해 발생되는 크랙의 방지와 상기 접속부(22)에서 발생하는 접촉 저항의 커짐을 방지하고, 이로 인한 전도율이 향상되도록 상기 접속단자(21)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였고, 상기 접속부(22)의 내외주연에 접속부홀(22a)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접속부(22)의 내부면에 상기 터미널(4)과 접촉할 때 밀착되도록 상하로 홈이나 돌기를 형성하는 것과, 상기 접속단자(21)가 적용되는 전위 (+,-)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접속부(22)의 측면과 같은 적정한 부위에 표시하는 것은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의 제너레이터에서 전기를 수급받거나 셀모터,각종 표시등 및 조명등으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서 축전지의 터미널에 이들 외부의 각종 장치로 연결되어 있는 접속단자에 있어, 상기 접속단자를 일측이 개방된 원판부의 내측으로 축전지의 터미널을 끼우기 위해 형성한 접속부와, 외부 장치의 와이어를 체결하는 와이어체결부와,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체결부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형성하고, 상기 접속부의 외주연 중앙 측부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2개의 접속부홀이 형성됨으로써, 결합력의 강화로 차량의 주행중 진동으로 인한 축전지와의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와, 접촉 저항이 적어 전도율이 상승되는 효과를 갖을 뿐만 아니라 접속부의 일체로 크랙(CRACK)의 발생을 방지하여 축전지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와, 상기 접속단자가 일체로 형성되어져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성 및 견고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제품의 원가절감 및 생산성과 사용상의 신뢰도를 극대화하도록 하는 등의 여러 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임이 명백하다 .

Claims (1)

  1. 차량의 제너레이터에서 전기를 수급받거나 셀모터,각종 표시등 및 조명등으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서 축전지(10)의 터미널(4)에 이들 외부의 각종 장치로 연결되어 있는 접속단자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21)를 일측이 개방된 원판의 내측으로 상기 축전지(10)의 터미널(4)을 끼우기 위해 형성한 접속부(22)와,
    상기 축전지(10)의 터미널(4)이 끼워진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볼트(2)와 너트(3)를 이용하여 조여지도록 하기 위한 고정체결부(23)와,
    상기 고정체결부(23)에 대향되게 상기 접속부(22)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외부 장치의 와이어(30)를 연결하도록 관통홀(24a)로 통과시킨 볼트(2a)에 접속편(31)를 통과시켜 너트(3a)로 체결하고 상기 볼트(2a)의 머리를 하부면 양측에 형성된 절첩편(24b)으로 고정하며 돌출단(24c)이 상기 접속편(31)의 끼움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와이어체결부(24)를 일체로 프레스 가공하여 구조의 간단함과 조립이 용이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접속부(22)의 내외주연 중앙 측부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2개의 접속부홀(22a)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KR2019990023901U 1999-11-03 1999-11-03 축전지용 접속단자 KR2001765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901U KR200176553Y1 (ko) 1999-11-03 1999-11-03 축전지용 접속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901U KR200176553Y1 (ko) 1999-11-03 1999-11-03 축전지용 접속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6553Y1 true KR200176553Y1 (ko) 2000-04-15

Family

ID=19594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3901U KR200176553Y1 (ko) 1999-11-03 1999-11-03 축전지용 접속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65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436B1 (ko) 2008-08-07 2010-10-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터미널 클립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436B1 (ko) 2008-08-07 2010-10-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터미널 클립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08182B (zh) 散热风扇
EP0834944B1 (en) Covering element for connectors of battery poles
US6483054B2 (en) Pressure-sensitive sensor, connector and combining structure thereof
KR200282855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WO2001003246A1 (fr) Connecteur pour cartes avec contact a la masse
KR200176553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JPH05166564A (ja) コネクタの防水栓
CN112768960A (zh) 模组输出极结构
JP3276607B2 (ja) 差込プラグ端子
KR200176552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JP3307512B2 (ja) バッテリ用端子
CN219918593U (zh) 一种用于电机的紧固压线结构总成
KR200214400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CN215777205U (zh) 电源底座及烹饪器具
CN218817490U (zh) 一种绝缘紧固组件
CN214588462U (zh) 一种防止引线弯折磨损的电容器胶塞
JP2975989B1 (ja) ピン型ac電源用プラグ
KR100453954B1 (ko) 조립식플러그 제조방법 및 그 결합구조
KR0132350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KR200142569Y1 (ko) 배터리 단자 및 커넥터
CN217545003U (zh) 时钟弹簧连接装置和车辆
KR200208539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KR930005304Y1 (ko) 자동차용 전구 소켓
JPH09283105A (ja) 電池ホルダ−
JP3773638B2 (ja) ボルト締め型多極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