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569Y1 - 배터리 단자 및 커넥터 - Google Patents

배터리 단자 및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569Y1
KR200142569Y1 KR2019940029156U KR19940029156U KR200142569Y1 KR 200142569 Y1 KR200142569 Y1 KR 200142569Y1 KR 2019940029156 U KR2019940029156 U KR 2019940029156U KR 19940029156 U KR19940029156 U KR 19940029156U KR 200142569 Y1 KR200142569 Y1 KR 2001425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nnector
positive
terminal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91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9189U (ko
Inventor
권호성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400291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569Y1/ko
Publication of KR9600191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91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5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5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4Electrodes for lead-acid accum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보 고안은 배터리 단자 및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배터리 내부에 지지돌기가 돌출형성된 양극 및 음극단자가 삽입 장착되고, 이 양단자에 슬롯홈 및 키이홈이 형성된 커넥터를 접속시킴으로써, 자동차 요동시 단자에 접속된 커넥터 이탈로 초래되는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차체내에 장착되는 배터리의 부피를 줄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배터리 교환시 탈,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battery) 단자 및 커넥터(connector)
제1도는 종래의 배터리 단자 및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단자 및 커넥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 나타낸 배터리 단자 및 커넥터의 조립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 : 배터리(battery) 11,12,21,22 : 양극 및 음극단자
13,25 : 커넥터(connector) 13a : 삽입홀
14 : 케이블 23 : 지지돌기
24 : 니켈합금 25a : 중공부
26 : 슬롯(slot)홈 27 : 키이(key)홈
본 고안은 배터리 단자 및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에 사용되는 배터리의 단자와 이에 접속되는 케이블이 연결된 커넥터의 구조를 변경시킴으로써, 커넥터의 체결력을 강화시킴은 물론 탈,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배터리 단자 및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각 전기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장치는 충전장치와 배터리의 두가지 계통이 사용되는 바, 전자는 자동차의 엔진운전중에 알터네이터(alternator : 교류발전기)에서 전력을 공급하고, 후자는 정지하고 있는 엔진을 시동할때 배터리에 의해서 전력을 공급한다.
제1도 자동차 시동이 엔진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종래의 배터리 단자 및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배터리(10) 상면에 일정거리로 이격되어 돌출형성된 양극단자(11) 및 음극단자(12)에는 단자의 외경과 지름이 같거나 또는 약간 작은 내경의 삽입홀(13a)을 갖는 커넥터(13)가 억지끼워맞춤되며, 상기 커넥터(13)에는 케이블(14)이 연결되고, 이 케이블(14)은 발전기에 연결되어 발전기의 발전량에 따라 충전되거나 충전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정지된 자동차에 시동을 걸기 위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 단자 및 커넥터는 주행중인 자동차의 심한 요동으로 인하여 배터리 단자에서 케이블이 연결된 커넥터가 이탈되어 차체내에 설치된 동력구동부 및 전자부품들과의 접촉으로 단락이 발생되어 위험성 항상 초래됨은 물론 배터리의 크기가 일정하게 한정되어 있어 장착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고, 수명이 다한 배터리의 교환시 커넥터의 탈,장착이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ㄷ.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양극 및 음극단자 부위를 배터리 내부로 삽입시키고, 상기 단자에 접속되는 커넥터에 키이(key)홈과 탄성기능을 갖도록 슬롯(slot)홈을 형성함으로써, 커넥터 이탈로 초래되는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차체내에 장착되는 배터리의 부피를 줄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배터리 교환시 탈,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배터리 단자 및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자동차의 시동을 걸기 위해 각 전기계통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단자와, 이에 접속하는 케이블이 연결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내부에 내측방향으로 지지돌기가 돌출형성된 양극 및 음극단자가 삽입 장착되고, 상기 양극 및 음극단자에 접속시 체결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커넥터의 선,후단부에 슬롯홈 및 키이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단자 및 커넥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단자 및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자동차의 시동을 걸기 위해 각 전기계통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0) 내부에는 양극 및 음극단자(21)(22)가 삽입 장착되고, 상기 양단자의 내주면 상단부에는 지지돌기(23)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음극단자(21)(22) 저면에는 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니켈(24)이 도금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양극 및 음극단자(21)(22)에 접속되는 중공부(25a)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커넥터(25)가 구비되고, 이 커넥터(25) 선단부에는 단자에 접속시 스프링등의 탄성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슬롯홈(26)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단부에는 양,음극단자(21)(22)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지지돌기(23)에 걸려 자동차의 요동에 의한 이탈이 방지되도록 키이홈(27)이 형성되고, 커넥터(25) 끝단에는 발전기(도시되지 않음)에 접지되는 케이블(14)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단자 및 커넥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배터리920) 내부로 장착된 양극단자(21) 및 음극단자(22)에 중공부(25a)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커넥터(25)를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양극 및 음극단자(21)(22) 상단부에 돌출형성된 지지돌기(23)의 내경(d)보다 커넥터(25)의 외경(D)이 크므로 커넥터(265)를 압박하여 오므리면, 다수의 슬롯홈(26)에 의해 커넥터(25) 선단부가 내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지지돌기(23)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을 수 있다. 이와같이, 외경을 작게 한 커넥터(25)를 양,음극단자(21)(22)에 삽입 완료시키면, 압축되었던 커넥터(25)의 선단부가 인장되어 단자의 내면에 접촉하게 되므로 커넥터(25)의 체결력이 강화됨과 동시에 상기 커넥터(25) 후단부에 형성된 키이홈(27)에 지지돌기(23)가 걸리므로 자동차의 요동에 이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다른 배터리 단자 및 커넥터에 의하면, 주행중인 자동차의 요동시 양극 및 음극단자에 접속된 커넥터 이탈로 초래되는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차체내에 장착되는 배터리의 부피를 줄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배터리 교환시 탈,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3)

  1. 자동차의 시동을 걸기 위해 각 전기계통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단자오, 이에 접속하는 케이블이 연결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내부에 내측방향으로 지지돌기가 돌출형성된 양극 및 음극단자 삽입 장착되고, 상기 양극 및 음극단자에 접속시 체결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커넥터의 선,수단부에 슬롯홈 및 키이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단자 및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및 음극단자 저면에는 배터리의 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니켈등의 재질이 도금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단자 및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선단부에 형성된 슬롯홈은 바깥방향으로 확장되어 자동차 요동시 쉽게 이탈이 방지되도록 탄성력을 갖음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단자 및 커넥터.
KR2019940029156U 1994-11-03 1994-11-03 배터리 단자 및 커넥터 KR2001425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9156U KR200142569Y1 (ko) 1994-11-03 1994-11-03 배터리 단자 및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9156U KR200142569Y1 (ko) 1994-11-03 1994-11-03 배터리 단자 및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189U KR960019189U (ko) 1996-06-19
KR200142569Y1 true KR200142569Y1 (ko) 1999-06-01

Family

ID=19397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9156U KR200142569Y1 (ko) 1994-11-03 1994-11-03 배터리 단자 및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5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896B1 (ko) * 2006-08-09 2007-11-30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건설중장비 옵션장치용 배선 콘넥터 더미 플러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896B1 (ko) * 2006-08-09 2007-11-30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건설중장비 옵션장치용 배선 콘넥터 더미 플러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189U (ko) 199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1937B2 (en) Connector
EP0634821B1 (en) Bulb socket
KR200142569Y1 (ko) 배터리 단자 및 커넥터
US6287142B1 (en) Bracket for attaching sun visor provided with electric equipment onto vehicle body
CN111834829A (zh) 一种设有可拆卸式电阻套体的防火花电连接件
KR100488700B1 (ko) 아크 방전 저감용 콘넥터
CN108767533A (zh) 汽车充电座及汽车
CN215266772U (zh) 一种充电连接器、充电器及电动车
CN214542737U (zh) 一种便于安装拆卸的usb充电模块
CN216750035U (zh) 电池养护器
KR200189160Y1 (ko) 자동차용 배터리
CN209747837U (zh) 一种设有可拆卸式电阻套体的防火花电连接件
KR19990052096A (ko) 전기자동차용 충전커넥터 체결구조
KR920004732B1 (ko) 차량의 탑재기기용 계합장치
JP2990366B2 (ja) バッテリ端子の接続構造
KR100507014B1 (ko) 자동차의 축전지 및 그 연결구조
KR200176553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KR200255300Y1 (ko) 전자레인지용 휴즈 및 그 장착장치
KR200144480Y1 (ko) 와이어 콘넥터의 단자 유동 방지구조
KR200194108Y1 (ko) 밧데리 접속구
KR19980036202U (ko) 배터리 단자연결장치
JPH11195442A (ja) 電力接続装置及び電力接続装置を使用した電源装置
KR970003750Y1 (ko) 자동차용 밧데리 충전용 점프케이블 보관함
KR200169663Y1 (ko) 배터리의 단자 연결장치
KR200142575Y1 (ko) 밧데리단자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