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9663Y1 - 배터리의 단자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의 단자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9663Y1
KR200169663Y1 KR2019960049197U KR19960049197U KR200169663Y1 KR 200169663 Y1 KR200169663 Y1 KR 200169663Y1 KR 2019960049197 U KR2019960049197 U KR 2019960049197U KR 19960049197 U KR19960049197 U KR 19960049197U KR 200169663 Y1 KR200169663 Y1 KR 2001696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ttery
cable
fixing r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91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6199U (ko
Inventor
한완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491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9663Y1/ko
Publication of KR199800361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61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96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96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의 단자 연결장치는 배터리 단자(1)에 끼워지는 고정링(2)과, 상기 고정링(2)과 수평으로 연장형성된 판상몸체(3)와, 상기 판상몸체(3)에 설치되어 케이블단자(10)가 삽입고정됨으로써 상기 배터리단자(1)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단자 연결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별도의 부품이 없이도 배터리의 단자연결을 할 수 있고, 단순히 배터리단자(1)에 고정링(2)을 끼움으로써 단자간 접촉상태가 고정될 수 있으며, 단자 연결장치의 탈장착이 보다 간편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배터리의 단자 연결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 배터리의 단자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 단자에 고정링을 끼우고 케이블 단자를 밀어 넣음으로써 간편하게 단자연결을 할 수 있도록 한 배터리의 단자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다양한 전기장치가 장착되어 있고 이들을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가 구비되어야 한다. 자동차는 엔진이 어떤 회전수 이상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는 충전장치 즉, 배터리가 작동하여 각부로 전기를 공급하나 엔진이 정지 또는 저속 회전일 때는 충전장치를 대신하여 시동시와 마찬가지로 배터리에서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배터리는 자동차의 전원이지만 발전기 또한 자동차의 전원이다. 이 2가지 전원은 병렬로 접속되어 엔진의 상태에 따라 이 2가지 전원으로부터 전기가 공급된다. 따라서 자동차가 주행할 때의 전력 공급은 발전기가 하는 것이지만 차가 정지하고 있을 때는 배터리가 맡게 된다.
배터리의 기본 구조는 극판, 격리판, 전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해액이 채워져 있다. 배터리 탱크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는데 자동차용 12V 배터리 전조의 내부는 6개의 셀로 분할되어 있다. -극판은 납분말로 도장되어 있으며 회색빛을 띠고 있으며, +극판은 납산화물의 분말을 묽은 황산과 함께 혼합한 페이스트로 도장되어 있으며 갈색 빛을 띠고 있다. 격리판은 양극판와 음극판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두 극판 사이에 집어 넣은 것으로 작은 구멍이 뚫려 고무 또는 강화섬유 등이 사용된다. 양극판이 면하는 쪽에는 유리매트를 집어 넣어 양극판의 활성 물질의 탈락을 방지한다.
전해액은 완전 충전시에 있어서 20으로 환산하였을 때 비중이 1.230 - 1.280의 묽은 황산을 사용하고, 단자는 -단자와, +단자로 구분되어 있으며 +단자가 -단자보다 지름이 크다.
한편, 배터리의 단자연결은 도1에 보인 것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케이블 단자(20)는 배터리단자(1)를 감싸고 볼트로 죄어 주게 되며 케이블 단자(20)의 상단에는 커버(30)가 설치되어 단자 사이의 이물질 주입으로 인한 단자의 단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단자 연결부의 경우 케이블 단자(20)를 연결하는 데 있어서 볼트로 최대한 조이는 것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때 힘이 많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최대한 조인 후라도 다시 볼트가 헐거워지는 경우가 생기게 되므로 단자 연결 상태가 불량해지게 되며, 부품이 다수 필요함에 따라 단자 연결작업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배터리 단자 연결 작업을 간편하게 하고 단자 연결 후 그 연결 상태가 지속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마련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배터리의 단자 연결장치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의 단자 연결장치에 케이블단자가 연결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의 단자 연결장치가 케이블단자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터리 단자 2 : 고정링
3 : 판상몸체 4 : 수직벽
5 : 고정부재 6 : 탄성고정편
7 : 틈새 8 : 안내경사면
10, 20 : 케이블 단자 11 : 케이블
30 : 커버 100 : 배터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배터리 단자에 끼워지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과 수평으로 연장형성된 판상몸체와, 상기 판상몸체에 설치되고 케이블 단자가 삽입고정됨으로써 상기 배터리단자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단자 연결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단자 연결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케이블단자 연결고정부는 상기 판상몸체 중 상기 고정링의 입구 양측에 수직으로 연장형성되고, 케이블단자가 삽입될 경우 충분히 조여질 만큼의 틈새를 이루는 각각의 탄성고정편과, 상기 각각의 탄성고정편중 상기 틈새를 이루는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단자의 출입을 가이드 하는 안내경사면과, 상기 판상몸체의 타단의 양측에 수직형성되고 상기 케이블단자의 삽입 후 중앙으로 각각 접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삽입상태를 보다 견고히 하는 탄성적 재질의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의 단자 연결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의 단자 연결장치가 케이블단자와 연결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3은 케이블 단자와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의 단자 연결 장치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장치는 배터리단자에 끼워지는 고정링(2)과, 상기 고정링(2)과 연장형성된 판상몸체(3) 및 상기 판상몸체(3)상에 설치되어 케이블단자(10)가 삽입되고 상기 고정링(2)에 끼워지는 배터리단자(1)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단자 연결고정부를 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링(2)은 배터리 단자(1)의 크기를 고려하여 단단하게 고정될 정도의 지름으로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판상몸체(3)는 상기 고정링(2)과 수평으로 연장형성되었으며, 양측에는 수직벽(4)이 일정높이로 각각 연장형성된다.
상기 수직벽(4)은 상기 고정링(2) 측으로 케이블 단자(10)를 고정삽입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상기 수직벽(4)은 상기 고정링(2)의 바같쪽 원주를 따라 양쪽으로 일정 길이 만큼 연장된 후 다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고정링(2)의 안쪽 원주를 따라 내려오게 된다.
이러한 연장면은 탄성적 성격을 가지게 되며 소정의 틈새(7)를 이룬 상태에서 다시 일정 경사면, 즉 안내 경사면(8)을 형성하며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수직벽(4)의 타측, 즉 고정링(2)의 반대편측은 케이블 단자(10)가 삽입된 후 안쪽으로 절곡하여 눌러 고정할 수 있도록 일정길이로 더 높게 연장된 고정부재(5)를 이루며 이 고정부재(5) 역시 탄성적 재질을 가짐으로써 접힘과 펴짐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의 단자 연결장치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배터리 단자(1)를 연결하는 경우 우선 케이블 단자(10)를 상기 판상 몸체(3)상에 일단 놓는다. 이 때 상기 안내 경사면(8)을 지나 양측에 형성된 각각의 탄성고정편(6) 사이에 형성된 틈새(7) 사이로 상기 케이블 단자(10)를 밀어 넣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블 단자(10)가 탄성고정편(6)사이에 끼워진 후 본 고안에 의한 장치에 형성된 고정링(2)을 장기 배터리 단자(1)에 끼운다. 이후 케이블 단자(10)와 배터리단자(1)가 충분히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블(11)을 상기 틈새(7)사이로 더욱 밀어 넣은 후, 상기 판상몸체(3)의 후단에 형성된 고정부재(5)를 내측을 향하여 수직방향으로 접어 케이블(11)을 눌러 고정한다.
한편, 케이블단자(10)를 탈거할 때는 상기 고정부개(5)를 다시 펴고 상기 케이블(11)을 뒤로 당긴다. 그러면 상기 케이블(11)을 조이고 있던 상기 탄성고정편(6)사이의 틈새가 벌어지면서 케이블(11)이 분리되고, 이 후 고정링(2)을 빼내면 본 장치가 분해되게 되는 것이다.
즉, 배터리의 단자 연결에 있어 볼트 등의 별도의 부품이 필요하지 않게 되고, 볼트를 조이기 위해 힘이 들거나 하는 일이 없이도 단자 연결조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제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의 단자 연결장치는 배터리단자에 끼워지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과 수평으로 연장형성된 판상몸체와, 상기 판상몸체에 설치되어 케이블 단자가 삽입고정됨으로써 상기 배터리단자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단자 연결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함으로서 별도의 부품이 없이도 배터리의 단자연결을 할 수 있고 단순히 배터리단자에 고정링을 끼움으로써 단자간 접촉상태가 고정될 수 있으며 단자 연결 및 분리조작이 보다 간편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배터리단자에 끼워지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과 수평으로 연장형성된 판상몸체와, 상기 판상몸체에 설치되어 케이블 단자가 삽입고정됨으로써 상기 배터리단자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단자 연결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단자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단자 연결고정부는 상기 판상몸체 중 상기 고정링의 입구 양측에 연장형성되고 케이블단자가 삽입될 경우 충분히 조여질 만큼의 틈새를 이루는 각각의 탄성고정편과, 상기 각각의 탄성고정편 중 상기 틈새를 이루는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단자의 출입을 가이드 하는 안내경사면과, 상기 판상몸체의 타단의 양측에 수직형성되고 상기 케이블단자의 삽입 후 중앙으로 각각접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삽입상태를 보다 견고히 하는 탄성적 재질의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단자 연결장치.
KR2019960049197U 1996-12-14 1996-12-14 배터리의 단자 연결장치 KR2001696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9197U KR200169663Y1 (ko) 1996-12-14 1996-12-14 배터리의 단자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9197U KR200169663Y1 (ko) 1996-12-14 1996-12-14 배터리의 단자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199U KR19980036199U (ko) 1998-09-15
KR200169663Y1 true KR200169663Y1 (ko) 2000-02-01

Family

ID=19479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9197U KR200169663Y1 (ko) 1996-12-14 1996-12-14 배터리의 단자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966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199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4410A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터미널 접속장치
KR200169663Y1 (ko) 배터리의 단자 연결장치
KR200169664Y1 (ko) 배터리 단자연결장치
CN202034557U (zh) 一种电动车的电连接器
CN110635075B (zh) 一种快换电池及电池壳体
CN113629340A (zh) 可快换动力电池包及便携式换电电动车电池拆装方法
KR200180580Y1 (ko) 배터리 단자연결장치
KR200162475Y1 (ko) 배터리의 단자이탈방지장치
KR19980036205U (ko) 배터리 단자 연결장치
CN214542737U (zh) 一种便于安装拆卸的usb充电模块
KR100229153B1 (ko) 전기자동차의 배터리팩 연결구조
CN218420243U (zh) 一种轮椅的电源盒结构
CN110534983B (zh) 一种电池包组件及车辆
CN218548952U (zh) 一种插座及连接器
KR100257015B1 (ko) 배터리 장착장치
CN218769908U (zh) 一种应急电源的电池盖、应急电源壳体及应急电源
CN217544849U (zh) 一种蓄电池的接电结构
CN210272817U (zh) 一种单独防水的电连接器插座
CN212625952U (zh) 电池连接头的防尘结构及便携式换电电动车
CN212648407U (zh) 一种电池盒结构
CN209766727U (zh) 充电连接器
KR200148784Y1 (ko) 차량의 배터리단자 체결장치
KR200180577Y1 (ko) 배터리 단자 결합장치
KR200194108Y1 (ko) 밧데리 접속구
KR200169665Y1 (ko) 배터리 단자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