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3539A - 절곡기의 안전운전방법 - Google Patents

절곡기의 안전운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3539A
KR20020093539A KR1020010032341A KR20010032341A KR20020093539A KR 20020093539 A KR20020093539 A KR 20020093539A KR 1020010032341 A KR1020010032341 A KR 1020010032341A KR 20010032341 A KR20010032341 A KR 20010032341A KR 20020093539 A KR20020093539 A KR 20020093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frame
bending
work
detection area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2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현
Original Assignee
캐리어엘지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리어엘지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캐리어엘지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2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3539A/ko
Publication of KR20020093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353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5/00Safety devices protecting the machine or the operator, specially adapted for apparatus or machine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02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1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etween rams and anvils or abu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곡기의 안전운전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작업 테이블 및 가동 프레임에 임의의 작업 금형을 각각 장착하는 금형 장착단계와, 상기 가동 프레임의 상하 이동거리인 상사점과 하사점사이의 거리 중 임의의 거리를 검출영역으로 설정하는 검출영역 설정단계와, 상기 작업 테이블에 가공물을 올려놓고 작업 스위치를 온하여 상기 가동 프레임을 하강시키는 하강단계와, 상기 가동 프레임이 하강하는 과정 중 설정된 검출영역에서 물체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물체 감지단계와, 상기 물체 감지단계에서 물체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그대로 하강하여 그 가동 프레임에 장착된 절곡날로 가공물을 절곡하는 절곡단계와, 상기 물체 감지단계에서 물체가 감지될 경우 하강 중인 가동 프레임을 정지시키고 감지된 물체를 작업자가 확인하여 안전 문제를 해결하는 문제해결단계와, 상기 문제해결단계에서 작업자가 안전 문제를 해결한 후 정지된 가동 프레임을 계속 하강시켜 그 가동 프레임에 장착된 절곡날로 가공물을 절곡하는 절곡단계를 포함하도록 진행하여 가공물을 절곡하는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높이고 또한 작업자의 안전 문제 및 기타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절곡기의 안전운전방법{SAFTY DRIVING METHOD OF BANDING MACHINE}
본 발명은 절곡기의 안전운전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절곡기의 안전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 제품 또는 부품 제작시 일정 두께를 갖는 금속 판재 혹은 비금속 판재를 절단하는 절단 작업과 그 판재를 절곡하는 절곡 작업 그리고 그 판재에 구멍을 뚫는 펀칭 작업 등이 수행된다. 상기 절단 작업과 절곡 작업 그리고 펀칭 작업은 프레스나 절곡기 등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1, 2는 일반적인 절곡기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곡기는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 절곡기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장착되는 작업 테이블(20)과, 상기 작업 테이블(2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상하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 프레임(30)과, 상기 작업 테이블(20)에 장착되는 다이(40)와 상기 가동 프레임(30)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다이(40)와 함께 한 쌍의 작업 공구를 구성하는 절곡날(41)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 프레임(30)에 표시등(50)이 장착되며 상기 절곡기 본체(10)의 하부에 작업 스위치(6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절곡기의 작동은 먼저 작업자가 작업 형태에 맞는다이(40) 및 절곡날(41)을 상기 작업 테이블(20)과 가동 프레임(30)에 각각 고정 결합하고 가공물, 즉 판재를 상기 작업 테이블(20) 및 다이(40)에 위치시킨 다음 상기 가동 프레임(30)을 아래로 하강시키면서 그 가동 프레임(30)에 고정 결합된 절곡날(41)이 상기 다이(40)와 함께 형합되면서 그 판재를 절곡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작업자가 판재를 움직여 가면서 원하는 형태로 제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기의 다른 형태로, 상기 가동 프레임(30)이 고정되고 상기 작업 테이블(20)이 상하로 움직이면서 판재를 절곡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절곡기는 작업시 작업 에너지가 매우 크고 기계구조 및 작업 특성상 위험성이 매우 높음으로 인하여 작업자의 산업 재해 발생 가능성이 상당히 높고 또한 재해가 발생하게 되면 중상의 재해이거나 신체 장해를 수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업의 안정성을 위한 종래 방식은 먼저 상기 가동 프레임(30)의 일측에 광전자 센서를 구성하는 발광부 및 수광부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업 테이블(20)과 가동 프레임(30)에 금형, 즉 다이(40)와 절곡날(41)이 각각 장착된 상태에서 작업이 시작되어 상기 가동 프레임(30)이 하강하게 된다. 상기 가동 프레임(30)이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광전자 센서가 작동하면서 물체 또는 신체의 일부가 작업 공간에 위치하는가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광전자 센서에 의해 물체가 있는 것이 감지되면 표시등(50)에 표시되면서 비상 정지시키게 되며 이어 안전 문제를 해결한 다음 상기 가동 프레임(30)이 상사점에서 다시 작업이 진행되고 이때 광전자 센서에 의해 작업 공간에 물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가동 프레임(30)이 하강하여 가공물, 즉 판재를 절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광전자 센서가 물체를 감지하는 과정은 상기 가동 프레임(30)에 장착된 발광부에서 발사되는 빛이 반사부를 통해 반사되면서 상기 수광부에서 그 반사된 빛을 감지함에 의해 그 사이에 신체의 일부가 위치하는가의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즉, 상기 가동 프레임(30)이 하강하는 과정에서 작업자 신체의 일부가 작업 테이블(20) 위에 위치하게 될 경우 그 신체의 일부에 의해 상기 발광부에서 발사되는 빛이 수광부로 반사되어 오지 못하게 됨으로 인하여 신체의 일부가 작업 공간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표시등(50)에 표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방식은 물체를 감지하기 위해 발사되는 광원이 확산될 뿐만 아니라 그 광원이 발사되는 지점과 그 발사된 빛이 반사되는 반사부의 사이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손가락 같은 적은 물체를 검출하는데 정확하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손가락이 아닌 기타 작업 재료에 의해서도 표시등에 표시가 되며 아울러 진동이 발생하게 될 경우 광전자 센서의 반사부나 발광부 및 수광부의 흔들림으로 인하여 빛의 반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정확한 검출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작업자의 안전성 확보 정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작업을 불편하게 만들어 작업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절곡기의 안전운전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2는 일반적인 절곡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종래 절곡기의 안전운전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절곡기 안전운전방법이 적용되는 절곡기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절곡기 안전운전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절곡기 안전운전방법에 적용되는 레이저 센서의 적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절곡기 안전운전방법에 적용되는 위치감지센서의 적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작업 테이블 30 ; 가동 프레임
40 ; 다이 41 ; 절곡날
60 ; 작업 스위치 R1,R2 ; 레이저 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작업 테이블 및 가동 프레임에 임의의 작업 금형을 각각 장착하는 금형 장착단계와, 상기 가동 프레임의 상하 이동거리인 상사점과 하사점사이의 거리 중 임의의 거리를 검출영역으로 설정하는 검출영역 설정단계와, 상기 작업 테이블에 가공물을 올려놓고 작업 스위치를 온하여 상기 가동 프레임을 하강시키는 하강단계와, 상기 가동 프레임이 하강하는 과정 중 설정된 검출영역에서 물체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물체 감지단계와, 상기 물체 감지단계에서 물체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그대로 하강하여 그 가동 프레임에 장착된 절곡날로 가공물을 절곡하는 절곡단계와, 상기 물체 감지단계에서 물체가 감지될 경우 하강 중인 가동 프레임을 정지시키고 감지된 물체를 작업자가 확인하여 안전 문제를 해결하는 문제해결단계와, 상기 문제해결단계에서 작업자가 안전 문제를 해결한 후 정지된 가동 프레임을 계속 하강시켜 그 가동 프레임에 장착된 절곡날로 가공물을 절곡하는 절곡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기의 안전운전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절곡기 안전운전방법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절곡기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 절곡기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장착되는 작업 테이블(20)과, 상기 작업 테이블(2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상하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 프레임(30)과, 상기 작업 테이블(20)에 장착되는 다이(40)와 상기 가동 프레임(30)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다이(40)와 함께 한 쌍의 작업 공구를 구성하는 절곡날(4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동 프레임(30)에 표시등(50)이 장착되며 상기 절곡기 본체(10)의 하부에 작업 스위치(60)와 해제 스위치(70)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절곡기 안전운전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곡기 안전운전방법은 먼저 상기 작업 테이블(20) 및 가동 프레임(30)에 임의의 작업 금형을 각각 장착하는 금형 장착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작업 금형은 다이(40)와 절곡날(41)로 구성되며 그 다이(40)는 작업 테이블(20)에 장착하고 상기 절곡날(41)은 상기 가동 프레임(30)에 장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동 프레임(30)은 상사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진행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 프레임(30)의 상하 이동거리인 상사점과 하사점사이의 거리 중 임의의 거리를 검출영역으로 설정하는 검출영역 설정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검출영역은 물체의 존재 유무, 즉 신체의 일부가 작업공간에 위치하는가에 대한 여부를 감지하는 영역이며 그 검출영역은 상기 가동 프레임(30)의 상사점과 하사점의 전구간에 걸쳐 이루어지지 않고 물체가 존재하면 위험할 수 있는 영역을 설정하여 그 영역에서 물체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검출영역에서 물체의 존재를 감지하는 것은 레이저 센서 또는 열감응 센서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이저 센서로 물체를 검출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레이저 센서를 구성하는 투광체(R1)와 수광체(R2)가 상기 가동 프레임(30)의 수평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투광체(R1)에서 발사되는 레이저가 수광체(R2)에 수광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그사이에 물체, 즉 신체의 일부가 존재 유무가 감지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 테이블(20)에 가공물을 올려놓고 작업 스위치를 온(ON)하여 상기 가동 프레임(30)을 하강시키는 하강단계가 진행되고 그 가동 프레임(30)이 하강하는 과정 중 설정된 검출영역에서 물체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물체 감지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가동 프레임(30)이 하강하는 위치는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며 그 위치감지센서의 장착위치에 따라 검출영역의 시작점이 인지된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곡기 본체(10)의 임의 위치에 위치감지센서를 구성하는 제1 감지부(P1)가 장착되고 상기 절곡기 본체(10)의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가동 프레임(30)에 상기 위치감지센서를 구성하는 제2 감지부(P2)가 장착되어 그 가동 프레임(30)이 하강시 그 가동 프레임(30)에 장착된 제2 감지부(P2)가 상기 본체(10)에 장착된 제1 감지부(P1)에 접촉됨에 의해 그 가동 프레임(30)의 위치, 즉 하강 위치가 감지된다.
그리고 상기 물체 감지단계에서 물체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가동 프레임(30)이 정지하지 않고 그대로 하강하여 그 가동 프레임(30)에 장착된 절곡날(41)로 가공물을 절곡하는 절곡단계가 진행진다.
그리고 상기 물체 감지단계에서 물체가 감지될 경우 하강 중인 가동 프레임(30)을 정지시키고 감지된 물체를 작업자가 확인하여 안전 문제를 해결하는 문제해결단계가 진행된다.
그리고 상기 문제해결단계에서 작업자가 안전 문제를 해결한 후 정지된 가동프레임(30)을 계속 하강하도록 진행시켜 그 가동 프레임(30)에 장착된 절곡날(41)로 가공물을 절곡하는 절곡단계가 진행진다.
상기 문제해결단계에서 검출된 물체가 신체의 일부일 경우 검출영역에서 빼내고 그 물체가 가공물일 경우 무시하여 그 안전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상기 검출영역에서 물체의 감지 및 문제 해결은 여러 번 반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곡단계가 진행되고 나면, 즉 하사점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가동 프레임(30)이 다시 상승하여 상사점에 위치하게 되며 이어 위와 같은 사이클이 반복된다. 상기 작업 금형을 교체시 상기 가동 프레임(30)이 상사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금형 교체작업이 진행된다.
본 발명의 절곡기 안전운전방법은 안전 문제를 유발시킬 수 있는 영역에서 물체, 또는 신체 일부의 안전 유무를 작업자가 확인하는 검출영역을 설정한 다음 그 검출영역에서 물체, 즉 신체의 안전 유무를 점검하면서 가공물을 절곡하게 되므로 작업자 안전 사고 및 기타 사고 발생을 방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검출영역, 즉 상기 가동 프레임의 상하 이동거리인 상사점과 하사점의 전 영역에 걸쳐 검출하지 않고 안전 사고가 발생할 영역에서만 검출하게 되므로 작업이 간편하게 된다.
또한, 검출영역에서 물체, 또는 신체 일부가 감지되어 비상 정지시 작업자가 그 안전 문제를 해결하고 연속적으로 작업을 진행하게 되어 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절곡기의 안전운전방법은 가공물을 절곡하는 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됨으로써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작업자의 안전 문제 및 기타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성을 높이게 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로 하여금 안정된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게 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작업 테이블 및 가동 프레임에 임의의 작업 금형을 각각 장착하는 금형 장착단계와, 상기 가동 프레임의 상하 이동거리인 상사점과 하사점사이의 거리 중 일정 거리를 검출영역으로 설정하는 검출영역 설정단계와, 상기 작업 테이블에 가공물을 올려놓고 작업 스위치를 온하여 상기 가동 프레임을 하강시키는 하강단계와, 상기 가동 프레임이 하강하는 과정 중 설정된 검출영역에서 물체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물체 감지단계와, 상기 물체 감지단계에서 물체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그대로 하강하여 그 가동 프레임에 장착된 절곡날로 가공물을 절곡하는 절곡단계와, 상기 물체 감지단계에서 물체가 감지될 경우 하강 중인 가동 프레임을 비상 정지시키고 감지된 물체를 작업자가 확인하여 안전 문제를 해결하는 문제해결단계와, 상기 문제해결단계에서 작업자가 안전 문제를 해결한 후 정지된 가동 프레임을 계속 하강시켜 그 가동 프레임에 장착된 절곡날로 가공물을 절곡하는 절곡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기의 안전운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영역에서 물체를 감지하는 것은 레이저를 이용하는 레이저 센서 또는 열 감지에 의해 물체를 감지하는 열감응 센서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기의 안전운전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영역에서 물체의 감지 및 문제 해결은 여러 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기의 안전운전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해결단계에서 검출된 물체가 신체의 일부일 경우 검출영역에서 빼내고 그 물체가 가공물일 경우 무시하여 그 안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기의 안전운전방법.
KR1020010032341A 2001-06-09 2001-06-09 절곡기의 안전운전방법 KR200200935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341A KR20020093539A (ko) 2001-06-09 2001-06-09 절곡기의 안전운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341A KR20020093539A (ko) 2001-06-09 2001-06-09 절곡기의 안전운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3539A true KR20020093539A (ko) 2002-12-16

Family

ID=27708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2341A KR20020093539A (ko) 2001-06-09 2001-06-09 절곡기의 안전운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353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5942A (ja) * 1994-04-06 1995-10-24 Amada Co Ltd 曲げ機械の安全運転方法および安全装置
KR19980069035U (ko) * 1998-09-30 1998-12-05 김성주 프레스의 작동 제어장치
KR19990077063A (ko) * 1996-01-05 1999-10-25 애플야드 토마스 존 가동부재에 장착하기 위한 광학 안전장치
KR200180570Y1 (ko) * 1998-04-29 2000-06-01 이승용 프레스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5942A (ja) * 1994-04-06 1995-10-24 Amada Co Ltd 曲げ機械の安全運転方法および安全装置
KR19990077063A (ko) * 1996-01-05 1999-10-25 애플야드 토마스 존 가동부재에 장착하기 위한 광학 안전장치
KR200180570Y1 (ko) * 1998-04-29 2000-06-01 이승용 프레스 안전장치
KR19980069035U (ko) * 1998-09-30 1998-12-05 김성주 프레스의 작동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0979A (ko) 레이저를 이용한 절곡기 방호장치
KR20020093539A (ko) 절곡기의 안전운전방법
KR101707795B1 (ko) 프레스 안전장치
CN103084512A (zh) 折弯机光电保护安全装置
ITPN980075A1 (it) Dispositivo per evitare infortuni all'operatore di unapressa piegatrice
CN216463347U (zh) 一种用于数控机床的数控系统实时防护装置
CN105710243A (zh) 一种冲压整形模具
JPH06206197A (ja) 切断機における切断準備の最適化方法及び装置
KR20020093538A (ko) 절곡기의 안전운전방법 및 그 장치
JPH11300421A (ja) プレスブレーキ
CN208051313U (zh) 一种高精密c型压装机
DE60016569D1 (de) Eine kombination einer stanzpresse und einer lasermaschine
KR102277112B1 (ko) 서보모터를 이용한 프레스의 안전장치
JP2005296966A (ja) 曲げ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496326Y1 (ko) 자동 재단기용 보조대
JPH07214172A (ja) プレスブレーキ用の光線式安全装置
JPH0524408Y2 (ko)
CN216540604U (zh) 一种折弯机保护装置
CN216324745U (zh) 一种折弯机防误伤激光装置
JP4647049B2 (ja) 光線式安全装置
JPH09192744A (ja) 折曲加工装置の光線式安全装置
KR840000885Y1 (ko) 프레스 브레이크의 안전장치
JP2019202330A (ja) プレス加工装置、プレス加工ライン、及びプレス加工方法
CN220196180U (zh) 一种安全冲压模具
JP4623814B2 (ja) 光線式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