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7063A - 가동부재에 장착하기 위한 광학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가동부재에 장착하기 위한 광학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7063A
KR19990077063A KR1019980705196A KR19980705196A KR19990077063A KR 19990077063 A KR19990077063 A KR 19990077063A KR 1019980705196 A KR1019980705196 A KR 1019980705196A KR 19980705196 A KR19980705196 A KR 19980705196A KR 19990077063 A KR19990077063 A KR 19990077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light
movable member
mute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5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트 머레디스 애플야드
케빈 스테펜 데이비스
Original Assignee
애플야드 토마스 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9176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9007706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애플야드 토마스 존 filed Critical 애플야드 토마스 존
Publication of KR19990077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06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press brakes without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PSAFETY DEVICES IN GENERAL; SAFETY DEVICES FOR PRESSES
    • F16P3/00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 F16P3/12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with means, e.g. feelers, which in case of the presence of a body part of a person in or near the danger zone influence the control or operation of the machine
    • F16P3/14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with means, e.g. feelers, which in case of the presence of a body part of a person in or near the danger zone influence the control or operation of the machine the means being photocells or other devices sensitive without mechanical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5/00Safety devices protecting the machine or the operator, specially adapted for apparatus or machine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PSAFETY DEVICES IN GENERAL; SAFETY DEVICES FOR PRESSES
    • F16P3/00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 F16P3/12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with means, e.g. feelers, which in case of the presence of a body part of a person in or near the danger zone influence the control or operation of the machine
    • F16P3/14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with means, e.g. feelers, which in case of the presence of a body part of a person in or near the danger zone influence the control or operation of the machine the means being photocells or other devices sensitive without mechanical contact
    • F16P3/144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with means, e.g. feelers, which in case of the presence of a body part of a person in or near the danger zone influence the control or operation of the machine the means being photocells or other devices sensitive without mechanical contact using light gr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esses And Accessory Devices Thereof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Control Of Presse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스 브레이크(10)에서 운동 블레이드의 경로안에 들어가는 목적물을 보호하는 방법 및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전장치는 블레이드(18)의 앞에서 다수의 광선들(26)을 제공하도록 블레이드(18)의 선단과 고정관계로 장착하는 레이저 발광기(22) 및 수광기(24)를 포함한다. 임의의 우발사고에 대한 응답으로 블레이드의 전진 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수단(57)을 포함하는 컨트롤러(51)가 제공된다. 이런 우발사고는 프레스 및 안전장치의 고장을 나타내는 광선(26)의 장애와 방해를 포함한다. 또한, 컨트롤러(51)는 정지수단과 협력조작하는 레이저 제어 또는 처리 수단(54), 블레이드 운동 조절 수단(56), 및 블레이드 위치처리 수단(58)을 구비하여 블레이드(18)의 운동을 오보라이딩 제어한다. 레이저 제어 및 처리수단은 각 방출광선(26)이 다른 광선과 차별화되고 또한 주변광원과 차별화되느 특유의 방식으로 방출광선을 펄스하기 위한 수단(55)을 포함한다. 또한 레이저 발광기(22)와 수광기(24)의 정상 진동과 비정상 진동을 구별하기 위하여 진동감지수단이 제공된다.
본 방법은 프레스될 재료 위의 규정된 높이에 설정된 뮤트포인트의 사용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정지수단(57)의 조작이 뮤트포인트에 대한 블레이드(18)의 위치와 관계되고, 방해 또는 장애에 대한 레이저광선의 감지는 블레이드가 뮤트포인트에 도달한 후에 뮤트된다. 뮤트포인트를 설정하기 위한 다른 구성이 또한 기술된다.

Description

가동부재에 장착하기 위한 광학 안전장치
본 발명은 특히 프레스 브레이크에서 유용하지만, 다른 형태의 기계류에도 유용하다. 예를 들어 작용부재의 횡단이동 중에 또는 업스트로킹 프레스 브레이크에서 발생하듯이 작용부재로 수렴되는 상호협력부재의 횡단이동 중에, 작업자가 근접 작업하는 작용부재(active member)를 구비하거나 작업자의 신체 일부분이 작용부재의 근처에 들어갈 수 있는 작용부재를 구비하는 기계류에도 유용하다. 본 발명은 여기에 참고문헌으로 제시되는 호주특허출원 제 27084/92에 기술된 안전장치를 개량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동부재(moving member)를 갖는 기계의 안전장치 및 보호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계의 작용 부재의 부근에 들어가 작용부재에 의해 또는 작용부재와 상호협력부재 간의 운동을 수렴하는 작용부재와 상호협력부재에 의해 방해되는 것으로부터 물체를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태양에 의하면, 작용부재 및 가동부재를 구비하는 기계의 안전장치로서, 상기 가동부재는 또한 기계의 작용부재이거나, 또는 상기 가동부재는 작용부재와 상호작동하는 부재이며, 선택적으로 기계의 작용부재 쪽으로 집중운동하는 부재인 기계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작용부재로부터 일정 간격진 보호영역을 한정하기 위하여 작용부재의 선단과 고정된 관계로 장착하기 위한 대응하는 발광수단 및 수광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수단은 광선을 방출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대응하는 수광수단은 이 광선을 수신하도록 설계되어서, 정상적으로 광은 작용부재의 선단에서 일정간격진 연속된 경로를 따라 상기 대응하는 발광수단 및 수광수단에 의해 방출되고 수신될 수 있으며; 가동부재의 일정범위의 규정된 운동중에 소정상기 발광수단이 광선을 방출도록 활성화시키고 상기 수광수단이 방출된 광선을 감지하도록 활성화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감지되는 우발사고에 응답하여 가동부재의 전진운동을 정지시키는 정지수단을 구비하는 기계안전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가동부재는 뮤트 포인트(mute point)에서 상기한 범위의 규정된 운동을 완료하고, 상기 정지수단이 특정 우발사고들에 대한 가동부재의 전진운동을 정지하는 것을 무력화하는 동안 상기 뮤트 포인트를 지나 추가 범위의 규정된 운동을 통해 이동을 계속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수단은 연속적으로 가동부재의 운동을 트랙하여 상기 운동이 상기 규정된 실시태양에 따르는지를 체크하기 위한 위치처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정지수단은 상기 전진운동이 상기 규정된 운동에 따르지 않는 것을 측정한 상기 위치처리수단에 응답하여 가동부재의 진입운동을 정지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 처리 수단은 상기 가동수단의 순간운동을 측정하기 위한 트래킹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 처리 수단은 상기 트래킹 수단에 의해 측정된 가동부재의 위치에 대한 상기 뮤트 포인트를 기록하고나서 상기 가동부재의 운동의 제어를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트래킹 수단에 의해 측정된 뮤트 포인트의 측정된 장소의 발생을 연속적으로 체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발광수단의 광선발생을 유발하여 이 광선이 규정된 방식으로 펄스되게 하는 펄싱수단을 구비하고, 그리고 방출광선이 상기 규정된 방식으로 수신되지 않거나 또는 펄스되지 않을 때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수광수단에 의해 수신된 프로세스 신호와 상기 펄싱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광 제어 처리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정지수단은 방출광선이 상기 범위의 규정된 운동중에 상기 규정된 방식으로 수신되지 않거나 또는 펄스되지 않은 것을 측정하는 상기 광 제어 처리 수단에 응답하여 가동부재의 진입운동을 정지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전장치는 선단 둘레에서 광 경로의 장벽을 한정하기 위하여 배치될 다수개의 대응하는 발광수단 및 수광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펄싱수단은 상기 대응하는 발광수단 및 수광수단 각각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펄스되는 것을 유발하도록 제어되어 상기 광 제어 처리 수단이 이들을 차별화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수단은 진동감지수단을 구비하여 광선의 수신을 감지하는 수광수단에 응답하여 신호를 분석하고 광선의 정상 진동과 비정상 단속을 구분하고, 상기 정지수단은 상기한 범위 규정된 운동중에 광선의 비정상 단속을 감지하는 상기 진동감지수단에 응답하여 가동부재의 전진운동을 정지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광수단은 작용부재의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수광수단은 작용부재의 대향단에 장착되어서, 방출광선의 진동운동을 유발하는 상기 대응하는 발광수단 및 수광수단의 진동운동이 상기 광선의 경로에 대한 일차원 횡단에서 감쇄되어, 본질적으로 광선의 합성 진동운동을 상기 일차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단일 횡단차원으로 제한함으로써 광선의 상기 비정상 단속을 감지하는데 걸리는 검출시간을 감소시킨다.
바람직하게, 다수개의 상기 대응하는 발광수단 및 수광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발광수단들은 작용부재에 대하여 독립 유니트(discrete unit)로서 서로 인접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일체로 장착되고, 상기 수광수단들은 작용부재 및 상기 독립 유니트 양자에 대하여 개별적인 독립 유니트로서 서로 인접하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평행관계로 장착되데, 상기 대응하는 발광수단에서 방출되는 각각의 광선을 받아들이도록 발광수단과 실질적으로 정렬되고, 진동운동이 각각의 독립유니트 전부에 부여되도록, 상기 광선에 대한 동기적으로 대응하는 진동을 유발하고,상기 광선의 연속된 경로의 동기적이고 대응하는 감지를 유발하여서, 상기 진동 감지 수단에 의한 수신광선의 분석 및 식별을 용이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동 부재 트래킹수단은 가동부재가 만약 방출광선의 수신이 상기 언급한 최대 거리 신호안에서 가동부재의 더나은 전진운동을 멈추기 위한 상기 정지수단을 단락되지 않고, 미리 정해진 최대거리인 뮤트 포인트를 지나 전진된 거리를 계속적으로 체크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다른 태양에 있어서, 작용부재를 구비하는 기계의 가동부재의 경로로 들어가는 목적물을 보호하는 방법으로, 상기 가동부재는 또한 기계의 작용부재이거나, 또는 상기 가동부재는 작용부재와 상호작동하는 부재이며, 선택적으로 기계의 작용부재 쪽으로 수렴 운동하는 부재인 목적물 보호방법에 있어서,
가동부재가 일정범위의 규정된 운동을 통해 이동하는 중에 작용부재의 선단 앞에서 정상적으로 연속된 경로를 따라 작용부재의 일단에서 광선을 방출시키고;
작용부재의 대향단에서 상기 광선의 수신을 연속적으로 감지하여;
상기한 범위의 규정된 운동중의 임의의 시점에서 작용부재의 탄단에서 방출광선의 임의의 수신 및 감지 실패에 대한 응답 또는 우발사고에 대한 응답으로 가동부재의 전진운동을 정지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선을 규정된 방식으로 펄스하고, 작용부재의 타단에서 상기 규정된 방식으로 펄스되는 방출광선을 수신 및 감지하는데 실패한 것에 응답하여 가동부재의 진입을 정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다.
바람직하게, 가동부재가 상기 범위의 한계를 한정하는 포인트를 초과하여 전진된 후에 정지되는 것을 방지하여서 가동부재가 추가 범위의 규정된 운동을 통해 계속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다.
바람직하게, 가동부재의 운동을 연속적으로 트랙하고, 상기 운동이 상기 규정된 운동에 따르는 지를 체크하며, 이 운동이 상기 규정된 운동에 따르지 않을 때마다 가동부재의 전진운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다.
바람직하게, 작용부재의 선단 둘레에서 광경로의 장벽을 한정하기 위하여 배치된 다수의 광선들을 방출하고 그 수신을 감지하고, 각 광선은 이들을 차별화하기 위하여 다른 방식으로 펄스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다.
바람직하게, 수신된 광선을 분석하여 광선의 정상진동과 비정상단속을 구분하고, 상기 범위의 규정된 운동중에 상기 비정상 단속을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가동부재의 전진운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선의 경로에 대한 일차원 횡단에서 광선의 진동운동을 감쇄하고, 본질적으로 광선의 합성 진동운동을 상기 일차원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단일 횡단차원으로 제한함으로써 광선의 상기 비정상 단속을 감지하는데 걸리는 검출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다.
바람직하게, 상호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당수의 광선들을 방출하여, 기계로부터의 진동운동이 상기 광선들에 균등하게 부여하고, 상기 광선의 동기적이고 대응하는 진동을 유발하여 분석 및 식별을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다.
바람직하게, 뮤트 포인트에서 상기한 범위의 규정된 운동을 완료하고, 가동부재의 전진운동이 특정 우발사고들에 의해 정지되지 않는 중에 상기 뮤트 포인트를 지나 추가 범위의 규정된 운동을 통한 가동부재의 운동을 계속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다.
바람직하게, 규정된 최대거리로 상기 뮤트 포인트를 초과하여 가동부재에 의해 전진된 거리를 연속적으로 체크하고, 광선의 단속이 상기 규정된 최대거리내에서 감지되지 않는 경우 가동부재의 전진운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다.
바람직하게, 가동부재의 순간운동을 연속적으로 측정하고, 이와는 별도로 가동부재가 거기에 물리적으로 배치될 때 뮤트 포인트의 위치를 검출하고, 뮤트 포인트 상태가 감지될 때마다 검출된 뮤트 포인트가 측정된 뮤트 포인트와 일치하는지를 체크하고, 이 둘 사이의 발생에서의 차이를 확인하는 즉시 가동부재의 전진운동을 추가로 정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들을 참조한 두 개의 특정 실시태양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것이다. 첨부도면들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안전장치가 설치된 프레스 브레이크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프레스 브레이크에 장착된 제1실시태양의 안전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a, 도 3b, 및 도 3c는 프레스 브레이크의 부분 개략적인 측단면도들로서, 이 도면들에서 블레이드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 프레스 조작중에 블레이드의 선단에 대한 광선의 상대적인 로케이션을 보여주고 있고,
도 4a, 도 4b, 및 도 4c는 프레스 조작을 하는 동안 프레스 브레이크의 부분 개략적인 측단면도들로서, 거기에서 가동 블레이드의 경로는 물체에 의해 방해를 받고 있고,
도 5는 송수신 회로의 레이저(laser)의 정렬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안전 장치의 콘트롤박스의 정면도이고,
도 7은 접속되는 다양한 입출력을 보여 주는 제1실시태양의 컨트롤러의 개략도이고,
도 8은 제1실시태양의 콘트롤러의 논리배열(logical configuration)을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9a는 광학 엔코더(optical encoder)의 디스크 및 샤프트의 개략적인 말단도이고,
도 9b는 광학 엔코더를 통합하고 있는 블레이드 트래킹 수단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10는 제1실시태양에 따른 프레스의 정상조작중 컨트롤러의 다양한 입출력 신호들에 대한 블레이드의 상대위치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11은 제1실시태양에 따른 프레스의 정상조작중 컨트롤러의 다양한 조작상태들을 보여 주는 블럭도이고,
도 12는 제1실시태양에 따른 프레스의 셋업과정중 컨트롤러의 다양한 입출력 신호들에 대한 블레이드의 상대 위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표시이고,
도 13은 제1실시태양에 따른 프레스의 셋업과정중 컨트롤러의 다양한 조작상태들을 보여 주는 블럭도이고,
도 14는 제1실시태양에 따른 프레스의 뮤트강제 조작모드중에 컨트롤러의 다양한 입출력 신호들에 대한 블레이드의 상대 위치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15는 제1실시태양에 따른 프레스의 뮤트강제조작모드중에 컨트롤러의 다양한 조작상태들을 보여 주는 블럭도이고,
도 16은 제2실시태양에 따른 프레스의 정상조작중 컨트롤러의 다양한 입출력 신호들에 대한 블레이드의 상대 위치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17은 제2실시태양에 따른 프레스의 정상조작중 컨트롤러의 다양한 조작상태들을 보여 주는 블럭도이고,
도 18은 제2실시태양에 따른 프레스의 뮤트강제조작모드중에 컨트롤러의 다양한 조작 상태를 보여 주는 블럭도이다.
제1실시태양은 블레이드가 작용부재일 뿐만아니라 프레스의 가동부재인 통상적인 프레스 브레이크에 설치된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며, 또한 블레이드의 운동 경로에 들어가는 물체를 보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블레이드는 가동 부재이되 고정되어있고 프레스의 베드가 블레이드에 대해 가동 부재인 업스트로킹 프레스 브레이크와 반대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프레스 브레이크(10)은 하우징(12), 블레이드 프레임(14), 베이스(16), 프레스의 작용부재이면서 가동 부재인 블레이드(18), 페달(34)내에 배치되는 한쌍의 운동제어스위치, 그리고 블레이드를 가동시키기 위한 유압 시스템 및 프레스 컨트롤러(도시 안됨)를 구비한다.
블레이드 프레임(14)은 블레이드(18)를 수용하고, 프레스 컨트롤러를 조작하고 페달(34)을 통해 운동제어스위치를 사용하는 유압시스템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하우징(12)내에서 수직평면으로 블레이드와 협력하여 움직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18)는 실제적으로 직립방식으로 장착되며, 선단(36)을 갖고 있다. 베이스(16)는 다이로서 기능하는 리세스(recess)(40)가 형성된 상호협력베드부재(38)를 구비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40)내로 프레스될 재료, 예를 들어 판재(42)가 제공될 수 있다. 리세스(40)은 재료가 소망형상으로 프레스되도록 하는데 필요한 임의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실시태양에서, 리세스는 도 3c에 도시된바와 같이 앵글부재를 형성시키는 직각 V-형태이다.
도 4에는 판재(42)를 다루는 사용자의 손(44)이 도시되어 있다. 안전장치의 기능은 조작자의 수족이 블레이드(18)의 운동경로 안으로 침범하여 블레이드와 충돌하는 것을 방비하는 것이며, 블레이드가 베드(38)와 직면하기 전에 멈추지 않는다면 대개 수족이 절단될 것이다.
본 안전장치는 일반적으로 한쌍의 조정가능한 브래킷 아암(20)과, 여기에 장착되는 한쌍의 조정가능한 수직서포트(21)와, 대응하는 발광 및 수광수단(22,24)과,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수단의 일부는 컨트롤박스(25)에 수용된다.
한쌍의 브래킷 아암(20)은 블레이드 프레임(14)에 고정되고, 블레이드 프레임의 대향면들에서 외부 대향적으로 연장하여 대응하는 발광 및 수광수단(22,24)이 장착될 수직 서포트(21)의 위치를 각각 정한다. 따라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및 수광수단(22,24)은 블레이드(18)의 말단에서 하우징(28)내에 배치되고 정확하게 정렬되어, 발광수단(22)으로부터 방출된 광선(26)이 블레이드(18)의 선단(36)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전진된 관계로 배열된 경로를 횡단한다. 수광수단(24)은 그 경로가 연속적일 때 광선(26)을 정상적으로 수신하도록 대응적으로 배치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선은 블레이드(18)의 선단에 수평으로 근접 배치되어 방출된다. 본 실시태양에 있어서, 경로(26a,26b 및 26c)로 표시되는 세개의 광선이 제공되어, 블레이드의 센터라인의 양측으로 약 20mm에 배치된 전면 및 배면 광선과 블레이드의 선단아래 약 4mm로 되는 평면에서 배리어를 한정한다.
발광 및 수광수단(22,24)을 위한 하우징(28)은 발광수단에 미치는 주변광으로부터 반사광 산란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덮개로 씌워져 있다.
본 실시태양에 있어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수단(22)은 3개의 레이저로 구성되며, 그 각각은 잘 한정되고 정확한 초점이 맞추어져 베드와 블레이드의 표면에서 광선이 산란 및 반사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태양에 있어서, 레이저들은 0.04° 이하의 발산각을 가지며, 블레이드(18)의 수직면에 대한 수평면으로 광선을 배치하기 위하여 측방향으로 간격져 있다. 한 레이저는 방출 광선이 도면의 라인(26a)으로 표시되는 경로를 따라서 지향하도록 블레이드(18)의 전면측(18a)의 앞에서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레이저는 방출광선이 라인(26b)으로 표시되는 경로를 따라서 지향하도록 블레이드(18)의 앞에서 동일 평면상으로 배치되고; 마지막으로 제3레이저는 방출광선이 도면의 라인(26c)으로 표시되는 경로를 따라서 지향하도록 블레이드의 배면측(18b)의 앞에서 인접하게 배치된다.
레이저들은 밀리세컨드 범위에서 주기를 갖는 펄스광선을 생성시키기 위하여 킬로헤르쯔(kiloherz) 범위의 주파수에 정해진 방식으로 스위치되도록 특별하게 설계된 레이저 다이오드(39a)(39b)(39c)를 구비한다. 이러한 주파수에서 광선의 펄싱은 육안으로 구별되지 않고 연속된 광선으로 보여진다.
수광수단(24)는 렌즈(43)를 포함하는 레이전 광센서(41)와 3개의 개구(47a,47b,(47c)를 갖는 마스크(45)를 구비하여, 상기 개구들은 방출광선을 받기 위해 각각의 레이저 다이오드(39a,39b,39c)와 대응하는 관계로 정확하게 정렬되도록 설정된다. 마스크(45)는 정확하게 정렬된 광선만이 개구(47)를 통하여 레이저광센서(41)로 진행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제공된다.
레이저 다이오드는 광선을 초점을 맞추고 각각의 경로를 따라서 지향하도록 하기 위한 적절한 사이트(sights)(도시안됨)에 장착된다. 사이트는 솔리드 나일론 마운팅 블럭(solid nylon mounting block)내로 프레스 피팅에 의해 별개의 독립유니트를 형성하도록 일체적으로 고착된다. 마운팅 블럭들은 발광수단(22)에 미치는 임의의 진동효과가 레이저들 모두에 균등하게 그리고 동시에 전달되도록 서로 간에 상대적인 그 위치들을 설정한다.
레이저 센서(41)는 렌즈(43)를 갖는 실린더 내에 장착되고, 마스크(45)는 실린더의 전방에 일체로 장착되며, 이에 의해 수광수단(24)의 모든 부품들은 수광수단(24)애 적용된 임의의 진동효과를 레이저센서들에 최소화하면서 균등하게 전달하기 위해 또하나의 솔리드 나일론 마운팅블럭에 유사한 방식으로 프레스 피팅되는 것에 의해 별개의 독립유니트를 형성한다.
렌즈(43)은 모든 3 개의 광선을 수신할 수 있고, 단일 센서(41)를 사용 할 수 있도록 마스크와 실린더 전방에 상대적으로 가장 가깝게 정렬되어진다. 상기 렌즈는 광선이 신빙성 있는 센서가 개별적인 센서들의 사용을 얻을 수 없을 때 각각으로 부분적으로 가장 가까운 상대적으로 배열될 때 요구된다. 그러나 이런 경우 광선이 먼 부분에 정렬되어 질 때 개별의 센서와 렌즈가 각각의 광선으로 대신 사용될 수 있다.
발광 및 수광수단(22,24)의 대응하는 하우징(28)은 수직 서포트(21)에 관련된 수직 수평 평면에 적합하게 장착되어진다. 다른 블레이드안에 틀어지도록 허락된 하우징은 프레스 브레이크에 끼워질 것이다.
브래킷 아암(20)과 수직 서포트(21), 하우징(28)과 결합 , 레이저 마운팅 정렬은 (21)는 레이저 다이오드가 블레이드(18)의 분리되게 진동하지 않게 안전하도록 충분히 강하며, 블레이드의 끝의 진동 주파스가 너무 많이 줄어들지 않도록 충분히 가볍다. 아울러 블레이드 끝에 증가하는 매스는 레이저의 감지 시간이 증가하는 결과가 발생한다.
레이저 광선은 대체로 지향 안정적이지 못하고, 방출광선은 일반적으로 대응하는 마스크 개구(47)에 대해 평균 감지 포인트 둘레에서 두 횡단 차원으로 진동한 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전형적인 평균 진동시간은 14ms이고, 진동 간격는 3 cm 만큼 넓을 수 있다. 이것은 레이저 감지시간을 너무 과도하게 하여 본 출원에서 작업할 수 없게 한다. 그러나 이것은 본 실시태양에서 전술된 바 있는 브래킷 아암(20)과 수직 서포트(21)를 사용하여 발광 및 수광수단(22,24)을 블레이드 프레임(14)에 직접 설치 고정하는 것에 의해 극복된다. 이런 방식에서, 수직면에서 블레이드(18)와 블레이드 프레임(14)의 주요부(mass)는 횡단면에 비해 커서 거의 수직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진동은 횡단면에 있게 되고, 따라서 레이저 감지시간이 만족스러운 수준으로 감소된다.
수직 진동은 무시할 수 있으므로, 레이저는 블레이드(18)의 선단(36)에 근접하여 수직으로 배치된다. 이것은 프레스될 재료에 유사한 공차로 장치의 "뮤트 포인트"를 설정한다는 점에서 특별한 장점인 것이다. 뮤트 포인트는 나중에 더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유의적인 수평 진동은 여전히 레이저들과 레이저 센서들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수평면에서 서로 근접하여 배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평 진동은 인접한 레이저에 대해 마스크 개구(47)와 레이저 광선의 임시 크로스 정렬(occasional cross aligning)을 가져올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레이저 다이오드(39)가 스위치되는 방식이 그 레이저에 특유한 것이되어, 레이저 센서(41)는 특정 광선의 수신과 인접하는 임의의 타 레이저에서 방출된 광선의 수신을 구별할 수 있게 되고, 이에 의해 단일 센서(41) 및 렌즈(43)를 다중 광선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각 레이저는 대응하는 드라이버 회로(52a,52b,52c)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들 회로는 거기에 방출된 광선을 다른 광선과 구별하기 위한 특별한 방식으로 접속된 레이저 다이오드(39)를 스위칭하기 위한 제어 수단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레이저센서(41)은 대응하는 레이저 수신회로(53a,53b,53c)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모든 회로는 또한 레이저 수신 회로와 일치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된 광선의 수신을 감지하기 위한 제어 수단 부분을 형성한다.
본 실시태양에서 발광수단(22)은 세대의 레이저와 마스크(45)를 사용하고, 마스크에는 실린더의 전방에 렌즈(43)를 근접배치하는 것에 의해 광선(26a,26b,26c)의 각각에 대응하는 개구(47a,47b,47c)가 제공되는 것이 설명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태양에서는 대응하는 레이저 드라이버 회로(52)와 레이저 수신회로(53)를 가지는 다르게 변조된 레이저들을 더 추가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태양에서, 발광수단을 바르게 설치하고 이를 독립적인 일체형 유니트로서 형성함으로써 일단 외부광선이 수광수단(24)에 대해 바르게 정렬되면 인접하는 광선들이 서로간에 바르게 정렬되기 때문에, 마스크는 외측 레이저들만 마스크할 필요가 있게된다. 따라서, 대응하는 개구들정렬하도록 대립시킨 그들 특유의 변조 및 엔코딩의 의해 서로 다른 레이저들의 수신을 구별할 수 있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수단은 메인 컨트롤러(51)을 구비한다. 이 콘트롤러(51)는
프레스 브레이크의 조작과 본 장치의 미리 결정된 안전 파라미터들에 영향을 미치는 센서 신호를 제어하는 다양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장치되어 있으며, 이런 신호들을 처리하고, 프레스 브레이크 조작, 레이저 조작, 어떤 예견된 우발사고들의 발생에 대한 응답으로 블레이드의 전진 동작을 정지, 안전 장치와 프레스 브레이크의 조작에 관한 관련된 정보를 제공을 위한 관련된 출력 신호를 발생시킨다.
본 실시태양에서 컨트롤러(51)는 트윈 마이크로프로세서 시스템 형태로서, 두 개 사이의 논리적 기능불량이 없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서로 일정한 크로스체킹을 위해 제공하는 이중 마스터-슬레이브 시스템으로 형성된다. 마스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컨트롤러와 슬레이브 프로세서에 연결된 입출력 장치를 체크하도록 설계되어 있고, 슬레이브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마스터프로세서와 PLD를 체크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도 8에 논리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다음의 특별한 프로세스들을 제공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즉 레이저 제어 및 처리 수단 (54)은 펄싱수단(55)를 통합하여 규정된 방식으로 레이저 드라이버 회로(52)를 스위치하게 하고, 블레이드 운동 제어수단(56)은 프레스 브레이크의 블레이드(18)의 일반적 운동을 제어하게 하고, 정지 수단(57)은 블레이드의 전진 운동을 정지시키게 하며, 블레이드 위치처리 수단(58)은 트랙킹 수단(59)을 포함하여 블레이드의 정확한 운동을 분리해서 트랙 및 체크하게 하고, 세팅수단(60)은 안전장치의 제어 파라미터를 설정하게 하며, 뮤트 포인트를 포함시키고 이를 테스트하게 하는 프로세스들을 제공하도록 프로그램되어있다.
뮤트 포인트는 베이스(16)를 향한 전진에 따른 블레이드(18)의 선단(36)에 의해 도달되는 위치를 베드(38)에서 프레스되어 질 공작물(42) 위에서 규정된 거리에 있게 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 포인트에서, 정지수단은 무력화되어, 광선의 보호감지를 중지하고, 블레이드가 초기 규정된 보호 운동범위를 넘어서 추가 규정된 운동 범위를 통해 전진하게 하여 공작물(42)을 맞물게 하고 프레스브레이크의 베드(38)에 대고 프레스한다.
뮤트 포인트는 보통 공작물의 외표면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설정되며, 이 간격은 안전장치로 보호되도록 의도된 물체의 높이 보다 작다. 본 발명의 실시태양에서, 상기 물체는 작업자의 손가락이고, 따라서 뮤트포인트는 프레스 되어진 공작물의 외표면 위의 6내지 7mm의 간격에 보통 설정된다.
레이저 제어 및 처리 수단(54)는 펄싱수단을 조작하여 레이저 드라이버 회로(52)가 레이저 광선을 규정된 형태로 발생시키도록 설계되어있다. 펄싱 수단(55)는 각 방출광선들을 구별하기 위하여 동일 또는 상이한 주파수에서 특유한 코드로 각각의 레이저 드라이버 회로(52)를 변조한다. 이 코드는 수광 수단의 대응하는 레이저수신회로(53)에 의해 정확하게 감지되고, 광선들중 임의의 하나로 물체의 침입에 의해 발생된 단락을 검출하기 위하여 레이저제어처리수단(54)에 의해 처리되는 규정된 반복 디지탈 코드이다. 따라서, 레이저 제어 및 처리수단(54)는 펄싱수단(55)과 협력작동하여 레이저 수신회로(53)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받아 연속적으로 모니터하고, 세가지 광이 모두 정해진 기간 동안 동시에 수신되고 감지되는 측정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만약 이것이 발생하지 않으면 그때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광선이 방해를 받는다고 가정하고, 우발사고 절차는 레이저 제어 및 처리 수단(54)으로 하여금 정지수단(57)을 즉시 트리거하여 블레이드(18)의 전진을 정지하도록 한다. 그러면 블레이드의 운동제어수단(56)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될 상이한 프레스 브레이크 조작 모드를 유발한다.
레이저 제어 및 처리 수단(54)는 진동감지수단을 포함시켜 프레스 브레이크의 조작에 의해 야기된 광선의 정상 진동과 장애에 의해 야기된 임의의 광선의 비정상적 단락 사이를 구별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상기 진동 감지 수단은 또한 광선의 오감지에 대한 약간의 공차를 제공하여서, 정지 수단의 트리거 잘못의 발생을 감소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 광선의 정확한 초점 맞춤으로 인해 유의적인 수평 진동이 있고, 광선은 수광수단에 의해 단지 주기적으로 수신되고 감지 된다. 그러나, 레이저 다이오드와 마스크 개구을 가지는 레이저 센서의 일체적 장착으로 인해, 광선이 대응하는 마스크 개구와 일시적으로 정렬되고, 대응하는 레이저 수신 회로(53)로 수신되고 감지될 때, 3 개의 모든 센서들 사이에서 순간적으로 그리고 동시에 발생시키고 비정렬 기간에 있게 된다. 따라서, 진동 감지 수단은 레이저 수신 회로(53)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해석하고, 광선의 정상적이며 연속적인 전송을 표시하는 신호들의 특별한 특성들을 인식한다. 이런 특성들은 세가지 광선, 광선의 순간적이며 동시적인 수신 및 그 주기성을 차별화하는 특유 코딩 및 펄싱을 포함한다. 이런 해석으로부터 진동감지수단은 광선의 오감지, 광선의 실제 방해, 또는 정시수단의 트리거를 요하는 몇몇 다른 비정상의 표시로서 이러한 특성들로부터의 이탈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선들중 하나가 비정렬기간중에 반사로부터 실제적으로 감지되어는 경우에, 진동감지수단의 해석 결과로서 레이저 제어 및 처리 수단(54)는 이를 오감지된 광선인 것으로서 인식할 것이고, 만약 다른 광선들중 어느 것도 그 순간에 정렬되어 있지 않으면, 임의의 광선이 그 순간에 그렇게 정렬되어 있다는 것이 예측되지 않는다. 이와 마찬가지로, 만약 광선중의 하나가 정렬되지 않은 기간동안 그것 자체와 다른 마스크 개구을 통하한 레이저 센서에 의해 충돌어지면, 그때 이것은 특별한 센서에 대해 정확하게 변조되어짐에 따라, 틀리게 감지된 선으로 인식할 것이다.
감지시간은 레이저 제어와 광선의 연속된 전달 사이에서 구별하도록 처리하는 수단과 레이저에 의해 걸리고, 광선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제적 장애시간은 블레이드가 베드(38)위의 공작물(42)의 충돌에서 부터 뮤트 포인터 까지 전진하는 동안 걸린 시간보다 덜 요구됨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이것은 수족에 의해 광선의 방해가 블레이드가 뮤트 포인더에 접근하는 것과 같이 발생하는 상황을 위해 공급하는데 필요하다. 명백하게 만약 레이저 제어 및 처리 수단(54)이 방해가 발생하는 것과 같이 감지 할 수 없다면 그때 블레이드가 이것이 정지수단(57)로 정지 할 수 있기 전에 공작물(42) 충돌할 것이다.
레이저 제어 및 처리 수단(54)은 또한 어떤 둘러싼 광선의 수신을 위해 감지하도록 프로그램 되어 있고, 레이저 다이오드가 커져있고 어떤 광선이 전달되지 않는 기간동안 합법적인 광선으로 감지 될 수 있다. 이것은 용접 프래쉬와 프레스의 근처에서와 같이 드러날 것이다. 만약 수신된 광선 이 합법적으로 감지된다면 광선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실제적으로 전진하는 블레이드의 경로 안으로 물체의 충돌로 방해되어지는 동안 잘못의 원인이 되고, 심하게 안전 장치의 완전복구에 반대한다. 만약 이런 틀린 둘러싼 광선이 레이저 제어 및 처리 수단(54)으로 감지되고 처리된다면 그때 적당한 우발사고는 정지 수단(57)를 트리거한다.
레이저 제어 및 처리 수단(54)는 부가적으로 펄싱수단(55)이 레이저 드라이버 회로(52)가 육안으로 단지 감지 할 수 있는 부분적으로 빛을 발할 때 광선이 진행하는 주파수에서 레이저를 스위치하도록 조작되게 프로그램 되어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의 스위칭은 연속적으로 그것들을 스위칭하고 미리 정해진 처럼 다른 레이저의 유일한 변조를 허락하는 반대처럼 수명이 향상된다.
부가적으로 레이저의 제어 및 처리수단(54)는 부분적인 레이저 다이오드의 스위칭 주파수를 증가시키고, 광선이 대응하는 레이저 센서로 받기 못했을 때 더 높은 빛을 발하는 광선을 생산시키게 프로그램 되어 있고, 이것이 레이저 제어 및 처리수단로 결정되어질 때 이것은 그렇게 수신 할 것이다. 이것은 만약 광선이 어떤 이유로 감지 하지 못하고 물체로 단락되어질 때 드러날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것은 광선의 사건에서 물체로 방해 되어지고, 광선이 일시적으로 빛발하는 메이킹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고, 이것이 블레이드의 전진을 멈추는 우발사고한 행동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위험과 문제에 그들을 바꾸게 작용하게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런 견해의 더 낳은 장점은 대응하는 마스크 개구(47)과 함께 레이저의 초기의 배열의 상황에서 더 높은 발광이 레이저의 어떤 비정렬의 조작자의 즉시 피드백이 주어지고 그들의 적응력을 촉진시킴에 따라서 광선과 선들은 즉시 정확하게 배열되어짐에 의존하여 그들의 발광이 증가된다.
레이저 드라이버 회로(52)와 레이저 수신회로(53)가 서로 작용에 더하여 레이저 제어 및 처리 수단은 지시 등의 시리즈에 의해 레이저 감지 요소의 상태를 예측하도록 프로그램되어있다. 따라서, 제어러(51)은 콘트롤박스(25)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램프(107)의 시리즈에 연결된 출력을 가지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트롤박스(25)의 좌측 사이드에 2개의 센서등이 있는데 하나는 광선의 모두가 명백하는지 즉, 레이저 센서들로 수신되어지는 표시하기 위해 하나의 그린 센서등(46) 이고 다른 하나는 광선의 어떤 하나가 방해를 받는지를 지시하는 하나의 빨간색 지시등(48)이다. 따라서, 레이저 제어 처리 수단(54)이 광선이 명백하다고 결정하면 상기 그린 지시등이 빛나게 되어있고 어떤 광선이 레이저 제어 및 처리수단이 방해되어지므로 결정되면 상기 그린 지시등은 소멸되고, 빨강 지시등(48)은 광선이 명백하지 않다고 표시하게 빛난다.
콘트롤박스(25)의 우측면에는 대표적으로 각각의 광선에 대응하는 3개의 그린등(50a,50b,50c)로 구성된 명백한 등들의 레이저 센서의 한세트다. 따라서, 등(50a)은 광선의 프론트 정면에 일치하고, 등(50b)는 광선의 중앙에 일치하고,등(50c)는 광선의 배면에 일치한다. 상기 레이저 제어 및 처리 수단(54)는 대응하는 레이저 수신 회로(53)으로 깨끗한 광선의 수신를 감지하는데 관련하여 지지되어지게 관련된 그린 등을 동작시킨다. 상기 일정한 광선은 방해되면 될수록 상기 레이저 제어 및 처리수단(54)는 대응하는 등이 소멸되도록 동작시킨다. 블레이드 운동 제어 수단(56)은 정지수단(57)의 조작의 무시를 가정하여 블레이드(18)의 운동 효과를 입력 신호로 받기위하여 프레스 브레이크의 운동의 방향을 제어하는 효과를 가지게 설계되어있다.
이런 입력 신호는 페달(34)에 의해 조작할 수 있는 블레이드(18)의 전진 운동을 일으키기 위한 블레이드의 전진 스위치(61)와 블레이드의 후진 운동을 정상적으로 일으키기 위한 블레이드 후진 스위치(62)로 구성된 한쌍의 운동 제어스위치와; 하우징 내부에 제공되는 뮤트 스위치(63), 어퍼 리미트 스위치(64)와 로워 리미트 스위치(65)로 구성된 블레이드 후진 스위치(62) 다수의 리미트 스위치들과; 콘트롤박스(25)위에 제공되는 모드스위치(31)와 블레이드 속도 스위치(32)로 구성된 한 쌍의 제어 스위치로부터 유래된다. 따라서, 컨트롤러(51)는 이런 스위치들과 연결된 입력들과 프레스 브레이크의 유압시스템의 전자적 제어 라인에 연결된 릴레이 스위치(66)의 뱅크(bank)로 절연된 다수의 출력을 가지고 있다.
뮤트 스위치(63)는 정해진 위치에서 하우징(12)내부에 제어할 수 있게 장착되고, 블레이드 프레임(14)에 고정되게 장착된 스트라이커(30)에 의해 조작되어진다. 프레이스의 베드(38) 정면에 블레이드 프레임(14)와 블레이드(18)의 전진 운동에 따라 블레이드(18)의 선단(36)이 뮤트 포인트에 도달될 때 스트라이커에 의해 언제라도 닫혀질 수 있도록 상대적이고 정확하게 정해진다.
어퍼 리미트 스위치(64)와 로워 리미트 스위치(65)는 하우징(12) 내부에 유사하게 장착되고, 유압시스템에 연결된 압력 센서(도시안됨) 및 스트라이커(30)에 의해 조작되어서, 유압시시템의 압력이 블레이드의 최대 승강 또는 하강을 표시하는 규정된 쓰레스홀드(threshold)를 초과할 때 적합한 리미트 스위치가 트리거된다. 어퍼 리미트 스위치(64)는 블레이드 프레임(14)에 대해 상대 배치되어, 블레이드가 하우징(12) 내에서 최대로 상승된 위치에 있을 때 스트라이커에 의해 또는 관련 압축센서의 활성화에 의해 잠정적으로 폐쇄된다. 로워 리미트 스위치(65)는 블레이드 프레임(14)에 대해 상대 배치되어 블레이드의 선단이 최대로 압축된 위치에서 프레스의 베드(38)와 마주칠 때 또는 관련 압축센서의 활성화에 의해 잠정적으로 폐쇄된다.
모드 스위치(31)는 두 개의 선택가능한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키 조작된다. 그 한 위치는 안전장치 및 프레스 브레이크에 대한 정상 보호 조작모드를 나타내고, 다른 한 위치는 뮤트 강제 조작 모드를 나타낸다. 뮤트 강제 조작 모드에서 프레스는 정상 보호 모드에서와 동일한 정도로 안전장치에 의해 보호되지 않는다. 정상 조작 모드는 풀 보호로 프레스의 정상 동작으로 선택되어진다.뮤트 강제 모드는 단지 기형(odd shaped) 재료를 프레스하는 것과 셋팅 수단에 대해 후술한 어퍼와 로워 리미트 스위치(64 및 65)의 초기화, 블레이드의 교체, 프레스의 유지와 같은 특별한 경우에 대해 선택된다. 앞서 진술한 바와 같이, 모드 스위치(31)은 단지 키로 조작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키는 관리로 유지되어 있고,작업자는 앞서 진술한 특별한 경우에서 뮤트 강제 위치에 대해 모드 스위치(31)의 스위칭에 리미트 하지 않는다.
뮤트 강제 모드에서, 레이저 제어 및 처리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감지는 전적으로 정지된다. 그러나 프레스 동작의 다른 형상의 감지는 유지되어서 블레이드의 전진이 우발사고에 관련한 프레스에 대한 응답으로 잠긴다. 나중에 더 상세히 묘사할 것이다. 상기 줄어든 보호를 공급하기 위하여, 블레이드의 전진은 모드 스위치가 정규 위치에 있을 때 와는 다르다.더구나 블레이드는 뮤트 포인트의 정해진 거리에 최대 속도중에 전진된후 조작 모드의 크롤중에 진행된다.
블레이드 속도 스위치(32)는 두 개의 선택가능한 위치들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키 조작된다. 한 위치는 블레이드의 전진 스위치(61)는 페달(34)의 조작으로 폐쇄될 때 블레이드(18)의 정상 계속되는 전진을 위해 제공되고, 다른 한 위치는 페달에 의해 조작될 때 블레이드의 전진의 펄싱과 크롤을 위해 제공된다. 뮤트 모드에서 발생된것과 같이 그러나
블레이드의 운동의 전체 범위를 통하여 전진 모드 채택한다.
뮤트 강제 조작 모두의 경우에, 크롤 위치에서 프레스는 정상 보호 모드에서와 동일한 정도로 안전장치에 의해 보호되지 않는다.
모드 스위치(31)가 뮤트 강제 위치에 배열되거나 블레이드 스피트 스위치(32)가 크롤 전진 위치에서 배열될 때 정지 수단(57)는 레이저 제어 및 처리 수단(54)에 의해 처리로부터 드러나는 유연한 것에 책임지지 않는다. 이런 이유로 프레스 브레이크는 때때로 기형으로 프레스 되는 것을 요구하거나 수직 평면에서 불규칙한 윤곽을 가진 재료의 종류를 구브린다. 이런 상황에서 가공을 위해 준비된 베드에 장착될 때의 재료 표면의 어떤 부분들은 재료의 다른 부분들보다 블레이드의 선단에 고려할 정도로 가까이 배열된다.더 근접한 부분들은 블레이드에 의해 맞물리게 되고, 블레이드가 재료의 다른 부분에 전적으로 맞물리기 전에 베드를 향하여 작용하게 된고,베드 안으로 재료의 전체 세로의 한계로 프레스된다. 결과적으로 만약 상기 장치가 레이저 감지 시스템에 응답되어지는 정지수단으로 조작되어진다면, 뮤트 포인트는 재료의 최상의 부분에 상대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요구된다. 재료의 표면의 잔여분에 맞물리고, 베드안에 같이 압축되기 전에 고려해야 할 거리를 움직이기에 블레이드가 요구된다. 조작자가 전혀 보호되지 않는 기간동안
상기 문제는 이런 상황의 대부분의 사실로 한층 악화시킨다. 작업자는 재료의 옳은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블레이드가 블레이드가 베드를 압축하기 전에 재료의 전적인 표면에 전적으로 맞물릴 때가지 블레이드의 선단에 근접해서 작업하기를 요구한다.
안전장치가 블레이드의 크롤 전진으로 조작되어짐에 따라, 프레스는
레이저 제어 및 처리 수단(54)에 의해 제공되는 레이저 감지 요소의 전체 정지으로 조작되도록 되어 있고,전혀 뮤트 포인트에 상관없다. 블레이드의 전진 감지와 크롤으로 블레이드는 상대적인 느린 속도에 조작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혀 작업자를 보호하는 감지하는 레이저가 없는 동안, 보호는 간접적으로 블레이드의 전진의 늦은 속도로 제공되고, 여전히 직접적으로 블레이드 위치처리 수단(58)에 의해 처리하는 응답으로 제공된다.
블레이드의 정규 전진를 나타내거나 블레이드의 전진을 크롤하거나 감지하는 두 개의 선택할 수 있는 위치사에 있는 블레이드 속도 스위치(32)의 스위칭은 조작자의 안전이 고려되는 만큼 임계 만으로는 아니다. 따라서, 블레이드 속도 스위치(32) 조작을 위한 키는 작업자에 의해 요구되는 두 개의 속도 위치사이에 스위칭이 용이하게 작업자의 왼쪽으로 확장되어 있다.
상대적으로 큰 영역에 뮤트된 광(35)은 스위치들(31 및 32)과 연결되어, 뮤트 강제 모드와 크롤 전진 위치에 대응되게 배열된다. 따라서, 컨트롤러(51) 광(35)에 연결된 출력을 가지고 있으며, 같은 조작을 할 수 있는 호박색으로 되어있다. 상기 광은 광선의 감지가 약해질 때 블레이드의 선단 주위에 보호 광선이 멈출 때 작업에 의해 인지가 멈출 때 나타나며 스위치들이 앞서 진술한 위치에 배열되는 경우일 것이다. 출력라인은 또한 멈춘 광 실패 센서(35a)의 영역에 연결되며, 멈춘 광 (350의 영역에 연결된 회로 열린때마다 알람이 트리거 된다. 만약 광선이 흩어졌건자 반면에 불안전해진다면 그경우와 같이 폐쇄될 때
릴레이(66)들은 유압시스템의 블레이드 전진 터미널에 연결된 한 쌍의 같은 블레이드 전진 제어 라인(69 및 70)을 가진 한 쌍의 블레이드의 전진 릴레이(67 및 68)들과; 유압시스템의 프레스 로킹 터미널에 연결된 프레스 로킹 제어라인(72)를 가진 제2프레스 로킹 릴레이(71)와; 유압시스템의 블레이드 크롤 터미널에 연결된 블레이드 크롤 제어 라인(74)를 가진 블레이드 크롤 제어 릴레이(73)과; 유압시스템의 블레이드 후진 터미널에 연결된 블레이드 후진 제어 라인(76)를 가진 블레이드 후진 릴레이로 구성된다.
블레이드 전진 릴레이 (67 및 68)의 폐쇄가 블레이드(18)이 전진하기 위해 유압시스템을 조작하고, 그에 종속되어 2차릴레이(71)이 폐쇄와 개방은 블레이드의 운동을 멈춘다.
제2프레스 로킹 릴레이(71)은 안전장치의 안전 조작이 실패의 부분으로 프레스의 조작이 로킹 아웃을 제공하고,컨트로 라인(63)에 대하여 유압 모터의 어떤 조작에 의해 폐쇄되어야 한다.따라서, 2차릴레이(71)이 개발될 때 블레이드(18)의 운동이 절대적으로 멈춰져 블레이드 전진 릴레이(67 및 68)와 블레이드 크롤 릴레이(73) 또는 블레이드 후진 릴레이(75)의 어떤 작용이 효과가 없게된다.
2차릴레이(71)의 폐쇄에 종속되어 블레이드 크롤 릴레이(73)의 폐쇄는 블레이드가 정해진 범위에 전략된 형태에 기간적으로 전진하게 안내하도록 유압 시스템을 조작시킨다. 이에 대해서는 후에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블레이드 후진 릴레이(73)의 폐쇄는 2차릴레이(71)의 폐쇄에 다시 종속되게 블레이드가 후진하게 유압시스템을 조작시킨다.
정지 수단(57)의 조작에 종속하고 연결된 블레이드 운동 제어 수단(56)은 간단하게 진술한 블레이드 전진 스위치(61)와 블레이드 후진 스위치(62), 뮤트 포인트 스위치(63)의 폐쇄와 모드 스위치(31)과 블레이드 속도 스위치(32)의 위치에 대한 릴레이(67,68,73 및 75)의 개폐로 블레이드 프레임(14)과 블레이드(18)의 운동에 영향을 미친다.
모드 스위치(31)가 정규 모드 위치에 있을 때, 블레이드 운동 제어 수단(56)은 블레이드 전진 스위치(61)의 폐쇄에 대한 응답으로 블레이드 전진 릴레이(67 및 68)와 블레이드 후진 스위치(62)에 대한 응답으로 블레이드 후진 릴레이(75)의 활동하는 정규 상태에서 조작된다. 레이저 제어 및 처리 수단(54), 정지수단(57) 및 블레이드 위치제어 수단(58)는 통해 프레스 브레이크의 풀 보호를 제공하고 부분적으로 우발사고하게 발생에 대한 블레이드 운동 제어 수단(56)의 조작을 극복하는 정규적으로 조작된다.
뮤트 강제 모드 위치에서 광선이 레이저 제어 및 처리 수단(54)에 의해 제공되는 요소를 감지하는 광선이 약하되고, 정지된다. 그러나 블레이드 위치처리 수단(58)과 보호 장치의 다른 프레스 편리한 모니터링이 유지되고, 블레이드 전진 릴레이(67 및 68)과 블레이드 후진 릴레이(75)는 여전히 블레이드 운동 제어 수단(56)에 레이저 제어 및 처리 수단(54)으로 처리하는 것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우발사고한 일이 발생에 대하여 정지 수단(57)이 블레이드 운동 제어 수단의 극복하는 조작 효과를 가진 효과를 기대한 전과 같은 양식으로 조작된다.
이런 우발사고한 일에 대하여 이런 릴레이들의 조작의 특별한 형태는 후에 더상세히 진술할 것이다.
정지수단(57)은 안전장치의 중심이며,어떤 미리결정된 우발사고한 일이 감지 되었을 때 트리거 되어지는 답변에 블레이드(18) 운동 전진을 멈추기 위해 안전 모드 실패에서 조작되게 설계되어있다. 위와 같이 정지 수단은 다양한 릴레이(66)의 조작에 효과를 미치고, 블레이드 전진의 멈추고, 특별한 우발사고한 일에 의존하여 블레이드 전진을 멈추기 위해 다양한 릴레이(66)의 조작에 영향을 미치도록 자동적으로 블레이드 운동 제어 수단(56)의 조작을 극복할 수 있다.
모드 스위치(31)로 선택되었을 때, 정규 보호 모드에서, 정지 수단(57)이 전술한 것처럼 레이저 제어 및 처리 수단(54)에 의해 수신된 레이저 광선의 처리 및 또는 간단하게 진술할 블레이드 위치처리 수단(58)에 의해 처리하는 결과로, 프레스의 낮은 파워 감지와 컨트롤러(51)에 입력된 것과 같이 연결된 낮은 전압 센서(101)의 수단으로 안전장치로부터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우발사고한 일에 대응한다.
뮤트 강제 모드에서, 정지 수단(57)은 블레이드 위치처리 수단(58)과 낮은 전압 센서(101)로 처리되는 결과로 일어나는 이런 우발사고한 일에 대응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 수단(57)은 제어 라인(102)에 의해 논리적으로 표현되는 모드 스위치(31)의 상태에서 뿐만 아니라, 제어 라인(103)에 의해 논리적으로 표현되는 레이저 제어 및 처리 수단(54)과, 제어 라인(104)에 의해 논리적으로 대표하는 블레이드 위치처리 수단(58)과, 제어 라인(105)에 의해 논리적으로 대표하는 낮은 전압 센서(101)에 반응한다.
우발사고한 일의 특별한 자연적인 것에 의존하여, 레이저 제어 및 처리 수단(54)에 의해 처리되는 것과 블레이드 위치처리 수단(58)에 의해 처리되는 것으로부터 발생되는 우발사고한 것에 대하여 정지수단(57)의 효과적인 작용은 다르다.
전자와 관련한 광선의 어떤 방해의 감지와 정지 수단의 트리거 하는 레이저 제어 및 처리 수단(56)에 의해 정지 수단 (57)은 즉시,블레이드 운동 제어 수단(56)의 블레이드 전진 및 블레이드 크롤 릴레이(67,68 또는 73)의 어떤 열림과, 블레이드의 후진하는데 짧은 시간동안 블레이드 후진 릴레이(75)의 닫침을 발생시키는 조작을 되어 극복되어 정해진 거리 뒤로 효과적으로 바운드된다.
블레이드 전진 릴레이(67 및 68)나 블레이드 크롤 릴레이(73)가 폐쇄되게 발생된다.
블레이드 전진 스위치(61)이 페달의 제거에 의해 열려진후 다시 페달을 밟으면 당친다.
만약 광선이 블레이드가 다시 같은 포인트에 도달될 때 방해를 받는 다면 정지 수단 57은 다시 블레이드의 운동을 멈추는 전진과 크롤 릴레이(67,68 나 73)의 개폐를 발생시킨다.
블레이드가 뒤로 바운드 대신에 정지 수단이 크롤 또는 펄싱 운동에 의해 전진하도록 블레이드를 허락되고, 페달의 조작으로 블레이드 전진 스위치(61)의 다음폐쇄에 대하여 크롤 릴레이(73)이 폐쇄된다. 조작의 특별한 방법은 도 10 이후에 관련하여 설명할 것이다.
프레스 브레이크와 안전장치의 조작불가가 나타내는 다른 우발사고한 경우와 관련하여, 정지수단(57)이 프레스의 잠김의 발생시키는 다른 형태에서 블레이드 운동 제어 수단(56)의 우선하는 조작 효과를 미친다. 이것은 블레이드 위치처리 수단과 관련하여 후에 여기에서 진술할 것이다.
블레이드 위치처리 수단(58)은 블레이드 트래킹 수단(59)를 사용하여 프레스 브레이크의 블레이드(18)의 운동을 연속적으로 트랙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이것은 리미트 스위치(63,64 및 65)로부터 발생된 대응하는 신호의 발생과 비교하여 블레이드 트래킹 수단(59)으로부터 발생된 블레이드의 키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의 발생의 불일치를 감지하기 위한 응답에서 정지 수단(57)를 트리거 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 위치제어 수단(58)은 전체 운동 범위를 통하여 블레이드의 운동 결과로써 앞서 진술한 리미트 스위치로부터 발생된 신호의 발생에 일치하는 시간에 서, 블레이드 트래킹 수단(59)로 발생되는 것과 같이 블레이드(18)의 위치를 저장도록 세팅 수단(60)의 조작에 의해 초기화 되도록 요구된다. 이러한 초기화 처리는 후에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태양에서 블레이드 트래킹 수단(59)는 광학 엔코더(77)와 블레이드 프레임(14)에 연결된 직선-회전운동(rectilinear-to-rotational motion) 트랜스퍼 수단(79)로 구성된다.
도 8a 및 도 8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엔코터는블레이드(18)의 직선운동에 따라 직접적으로 회전하도록 직선-회전 운동 트랜스퍼 수단(79)에 연결된 회전축에 고착된 디스크(81)와 발광 디바이스(85), 광학 전기 센서(87)과 디지털 업/다운 카운터(89)로 구성한 광 전자 카운터로 구성되는 통상적인 설계로 되어있다. 디스크(81)는 원둘레에 횡방향으로 배열된 등간격 개구(91)의 시리즈를 가지고 있으며, 광학 전자 카운터에 대응적으로 장착되어 발광 디바이스(85)가 디스크의 한 면에서 부터 디스크의 다른 면까지 개구(91)를 통하여 축방향으로 광 전자 센서(87)로 중심을 맞춘 광선이 방출된다. 따라서, 카운터(89)는 순서적으로 디스크(81)의 회전 방향과 블레이드의 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 반경에 따라 상대적으로 증가 및 감소 형태에서 지난 광학-전자 카운터가 회전하는 성공적인 개구(91)를 통하여 통과된 광의 펄스를 카운트 한다.
본 발명의 실시태양의 직선-회전 운동 트랜스퍼 수단(79)는 스프로킷(93)과 맞물린 체인(95)으로 조립 구성하여 조작되는 체인과 스프로킷으로 구성되어 있다.체인의 한쪽 끝(95a)은 블레이드 프레임(14)에 연결되고, 다른 끝(95b)은 하우징(12)에 고착된 리턴 스프링으로 연결되어 있다. 스프로킷(93)은 하우징(12)에 대응되는 회전할 수 있게 체인(95)의 끝의 중간에 위치하여 사프트(83)에 고착되어서, 샤프트가 스프로킷 주위의 체인의 길이방향의 운동에 대하여 일치되도록 되어있다. 상기 리턴 스프링(97)은 체인에 일정한 장력을 공급하여 양 전진 및 후진 방향에서 블레이드의 운동이 리턴 스프링으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에서 체인(95)의 길이방향의 운동을 직접적으로 발생시키고 각각,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에서 스프로킷(93)의 회전을 차례로 발생시킨다.
스프로킷(93)과 샤프트(83)의 회전은 특별한 포인트시에 블레이드(18)의 위치의 정확한 측정을 제공하는 카운터(85)의 결과와 일치되어 디스크(81)을 직접적으로 회전시킨다. 전형적으로 측정의 정확성은 0.4mm에 잇다. 또한 펄스가 감지된 비율을 해석으로 블레이드의 속도의 수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런 것은 크롤 모드에서 블레이드의 운동 속도의 제어 효과를 위해 특히 유용한다. 후에 증명하게 될 것이다.
블레이드 위치처리 수단(58)는 광학 엔코더(77)로 공급되는 정보를 계속적으로 해석하고, 두 개의 소스로부터 발생된 정보에서 감지된 불일치에 대한 응답으로 블레이드를 멈추기 위한 정지수단을 트리거하는 뮤트 스위치(63)로부터 분리로 발생된 정보로 구성된다. 후에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세팅수단에 의해 최초로 설정된 로케이션들에서 블레이드 트래킹 수단(59)에 의해 감지된 블레이드(18)의 대응하는 로케이션들과 리미트 스위치(64,65 및 66)의 폐쇄의 감지된 발생과의 사이에서 규정된 허용오차를 벗어나는 불일치가 있는 경우, 블레이드 위치처리 수단(58)은 블레이드의 운동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정지수단을 트리거하는 신호를 이슈하고, 장애가 제거될 때까지 추가 조작으로부터 프레스 브레이크를 로크한다.
앞에 진술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 위치처리 수단(58)으로부터 트리거 신호와 같이 정지 수단(57)의 응답은 앞에 진술한 바와 같이 다른 상황에서 보다 다르다. 더구나 정지수단 (57)은 폐쇄되어질 블레이드 전진, 블레이드 크롤 및 블레이드 후진 릴레이(67,68,73, 및 75)의 어떤 개폐와 제2프레스 로킹 릴레이(71)의 폐쇄로 블레이드 운동 제어 수단(56)의 동작을 즉시 무시한다.
정지수단(57)의 이러한 조작은 레이저 제어 및 처리수단으로 수신된 광선의 처리와 관련하여 실행되며,장애의 감지에 반대로써, 레이저 감지 시스템이 조작되지 않음과 같은 정규 조작에 영향을 미치는 우발사고한 일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 다이오드가 꺼져 있는 동안 레이저센서에 의한 오감지를 일으킨 주변광의 감지잘못으로부터 야기된 전술한 우발사고에서, 정지수단(57)은 2차릴레이의 폐쇄와 전술한 방식의 프레스의 로킹을 발생시키도록 유사하게 트리거된다.
블레이드 위치처리 수단(58)의 크로스체킹 조작이 효과적으로 한쪽에서 프레스 브레임크의 조작의 장애와 한 쪽에서 그 자체 안전장치의 블레이드 트래킹 수단(59)의 장애 덮는 이중 보호를 제공함에 있어서, 양 차이에서 장애는 우발사고에서 발생한고, 정지수단(57)의 트리거 결과이다.
이와 같은 크로스 체킹은 또한 뮤트 포인트의 위치에 적용하는 것을 인식해야한다. 아울러, 정지수단은 블레이드 위치처리 수단(58)의 작용을 무시하므로 트리거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뮤트 포인트는 초기적으로 뮤트 스위치(63)에 대하여 설치되며, 후에 연속적으로 확인하고 블레이드 트래킹 수단(59)에 대해 부분적으로 결정됨에 따라 블레이드의 위치세트에 대한 블레이드 위치처리수단(58)로 크로스 체크한다. 따라서, 뮤트 포인트의 뮤트 스위치표시 발생과 뮤트 포인트의 뮤트 트래킹 수단 표시 사이에 앞에 설명한 차이를 넘어서 어떤 불일치가 감지됨에 따라, 블레이드 위치처리 수단은 정지 수단을 트리거 한다. 그러나, 트리거중에 정지 수단(57)은 다른 리므트 스위치에 불일치들을 감지하는 경우보다 눈에 띄게 다르게 응답한다.더구나. 정지수단(57)은 폐쇄되어질 블레이드 전진, 블레이드 크롤 및 블레이드 후진 릴레이(67,68,73, 및 75)의 어떤 개폐로 정규 조작을 멈추기 위해 프레스 브레이크를 발생시킨은 일반적인 경우이다. 그러나 제2프레스 로킹 릴레이(71)의 폐쇄 대신에 이것은 뮤트 포인트의 재설치를 일으키는 테스트 모드로 복귀시키는 제어 수단을 발생시키고 세팅 수단(60)과 관련하여 후에 설명될 것이다.
세팅 수단(60)은 컨트롤러로부터 감지된 장애에 인지 뿐만 아니라 블레이드 위치처리 수단(58)의 조작에 대한 블레이드의 키 위치의 초기화와 프레스 브레이크의 뮤트 포이트의 설치와 테스팅이 제공되도록 설계되어진다. 따라서, 컨트롤러(51)는 프레스의 멤인 파워 온/리셋 스위치(98)에 연결된 입력을 가지며, 거기에 연결된 동반하는 감시 회로(99), 안전장치와 프레스의 리미트 스위치의 초기화를 위한 셋업 링크(100), 및 테스트/로크 스위치(33)를 가지며, 세팅 수단(60)의 작용할 수 있는 콘트롤박스(25)위에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램프9107)의 시리즈의 부분을 형성하는 테스트 램프 (37)에 연결된 출결을 가진다.
세팅 수단(60) 셋업링크(100)에 활성화에 의해 프레스의 스위칭 온에 따라 리미트 스위치들의 초기화에 영향을 미친다.셋팅 수단은 루팅에 따라 프로그램되어 있음에 따라, 최대 승강한 위치에서 작업자에 의해 후진시키는 것을 요구한다. 이 점에서 어퍼 리미트 스위치(64)가 활성화 될 것이고, 블레이드의 최대 승간한 위치로서, 블레이드 트래킹 수단(59)에 의해 결정됨으로써 블레이드의 특별한 위에서 설치되도록 블레이드 위치처리 수단(59)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이점이 블레이드 트래킹 수단(59)에 의해 도착되는 언제든지 블레이드 위치처리 수단(58)은 어퍼리미트 스위치(64)가 허락할 수 있는 공차 가깝게 기대할 수있다.
다음단계는 작업자에 의해 최대로 압축된 블레이드가 최대적으로 압축된 위치에서 베드(38)를 스트라이크하는 것이 요구되나. 이런점에서 로워 리미트 스위치(65)는 활성화될 것이고,블레이드의 최대 압축 위치만큼, 블레이드 트래킹 수단(58)에 의해 결정된 블레이드의 특별한 위치를 세트하는 블레이드 위치처리 수단(58)에 나타낸다. 이점이 블레이드 트래킹 수단(59)에 의해 도달되면 블레이드 위치처리 수단(58)은 로워 리미트 스위치가 허용공차안에 근접되는 것을 기대한다.
셋업 링크(100)은 안전 장치의 내부의 회로안에 협력된 전자 회로이며, 뮤트 강제 위치가 무능하도록 컨트로 박스(25)에 모드 스위치(31)를 스위칭 없이 또는 레이저 제어 및 처리 수단을 멈추도록 작업자에 의해 조작될수 없다. 셋업 과정은 완성될 때 셋업 링크(100)은 비활성화 되어지고 모드 스위치(31)은 정규 위치로 돌아온다.
뮤트 포인트 세팅에 관련하여, 테스트/로크 스위치(33)는 테스트 램프(37)과 관련되어 사용된다.따라서, 세팅 수단(60)은 프레스가 처음에 켜졌을 때, 테스트 램프(37)가 프레스가 조작되기 전에 뮤트 포인트가 설치됨을 표시하는 빛이 발하도록 프로그램 되어있다. 또한 여전히 세팅 수단이 프레스 브레이크의 정규 자동을 하는 동안 뮤트 포인트가 세팅과 리셋팅이 요구될 때 플래시되게 테스트 램프(37)을 발생시킨다. 이것은 작업시 또는 파워 온/리셋 스위치(98)의 조작에 의해 프레스의 리셋팅하는 동안 작업에 대한 프레스 브레이크와 안전장치를 처음에 켤 때 발생되며 또한 ,블레이드 위치처리 수단이 도 7에 나타난 제어 라인(106)이 논리적으로 표현된것처럼, 뮤트포인트가 리미트 스위치(30)의해 상술되는 것과 블레이드 트래킹 수단으로 크로스 체크되는 것 가이에 감지되어지는 위치에서 유연한 일이 일어날 때 세팅 수단이 트러거할 때 발생된다.
뮤트 포인트를 세트하기 위하여, 세팅 수단(60)은 테스트 램프(37)가 프래싱하는 동안 프레스 브레이크위에 뮤트 스위치(63)에 대하여 수동으로 셋트되게 뮤트 포인트를 허락되도록 프로그램되어있다. 앞에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점은 전형적으로 세트(6)는 재료의 외표면으모 부터 7mm까지 압축되어진다. 뮤트 포인트가 뮤트 스위치(63)에 의해 세트 된후, 테스트/로크 스위치(63)은세팅 수단이 연속적으로 상태에 플래싱 상태로부터 변화하기에 테스트 램프(37)를 발생시키는 것에 대하여 압축되는 것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블레이드 전진 스위치(61)는 블레이드(18)이 전진하도록 작업자가 페달(34)를 밟음으로 폐쇄되도록 요구된다. 세팅수단(60)은 뮤트 스위치(63)에 의해 세트되는 뮤트 포인트에서 블레이드가 자동적으로 멈추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이 점에서, 테스트/로크(33) 스위치는 눌려짐이 요구되며, 다시 테스트 램프(37)가 소멸될 것이다. 테스트/로크 스위치(33)의 제2눌려짐은 블레이드 트래킹 수단(59)에 의해 결정된 것과 같이, 블레이드 위치처리 수단(58)에 과 같이 새로운 포인트의 위치를 확인하는 세팅 수단(60)에 신호를 제공하고, 프레스는 조작준비 한다.
셋팅 수단(60)은 또한 테스트 램프(37)의 다른 프래싱 순차적인 수단으로 나타내도록 프로그램 되며, 만약 발생되면, 레이저 광센서(46 내지 50)가 다른 장애에 관해서 시스템과 프레스 브레이크의 잠김의 원인으로 감지된다. 장애들은 중요하든 중요치 않든 양쪽 다 랭크되고 마스커와 슬래이브 프로세서들로 구성된 컨트롤러(51)의 순차적으로 하나 또는 다른 프로세서로 감지된 장애로 나누어진다. 마스터 프로세서로 감지된 장애의 경우에서 세팅 수단은 테스트 램프(37)에 플래시되도록 한다. 슬레이브 프로세서로 감지된 장애의 경우에서 세팅 수단은 레이저 광센서(46 내지 50)에 플래시되도록 발생시킨다.
마스터 프로세서와 관련하여, 중요치 않은 장애들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1회 플래시 : 전력상승감지
2회 플래시 : 뮤트 강제 모드 변화
3회 플래시 : 낮은 전력
4회 플래시 : 뮤트 스위치 이동
5회 플래시 : 레이저가 주변광 감지
중요한 장애들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7회 플래시 : 성능정지
9회 플래시 : 릴레이 불균형
10회 플래시 : 광학 엔코더 너무 빠름
11회 플래시 : 광학 엔코더가 일방향으로 너무 멀리 이동
12회 플래시 : 뮤트 LED 고장
13회 플래시 : 셋업 링크모드가 조작중에 변화
14회 플래시 : 마스터 프로세서가 무용 모드를 실행하려 함
슬레이브 프로세서에 관련하여, 모든 장애는 중요하며,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1회 플래시 : 센서들이 마스터에 의해 체크안됨
2회 플래시 : PLD 고장
3회 플래시 : 레이저 선이 이전의 500ms에서 단락되었을 때 마스터가 뮤트에
서 중단하지 않음.
4회 플래시 : 릴레이 불균형
5회 플래시 : 마스터 프로세서로부터의 레이저 상태 체크코드가 부정확
6회 플래시 : 마스터로부터의 시리얼 데이터가 고장
이런 각각의 예에서, 세팅 수단(60)은 프레스가 다시 조작되도록 가능해지기 전에 상기 장애는 회소가 요구되도록 프로그램되어있다. 작은 장애 조작에 대하여 작업자는 장애가 복구되는 세팅 수단을 표시하기 위해 테스트/로크 스위치(33)을 조작이 요구되고 세팅 수단은 장애와 연결된 컨트롤러의 파라메타(parameters)들을 리셋하는 셋업 과정의 선부분의 집행과 관련하여 진행된다. 결과적으로 테스트 램프의 플래시의 순차는 소멸되어지고 정지수단(57)은 프레스 브레이크가 계속적인 조작을 허락할 것이다. 만약 불완전한 상태가 널리 보급되면, 정지수단이 다시 트리거 되고 한 더 프레스를 잠근다. 그러면, 이것은 한 번 더 전체 조작이 되도록 프레스 하도록 장애를 적합하게 바로잡는 것이 필요하다.
중요하게, 컨트롤러(51)은 정렬되어 조작자에 의해 프레스 동작을 안내하는 블레이드 전진 및 블레이드 후진 스위치(61 및 62)와 직접적인 응답에서 정규적으로 프레스 브레이크의 효과적인 작용하는 모터 릴레이(66)사이에 전체 상호 적으로 구성되어 프레스의 안전장치가 절대적 장애를 성공하는데 가능하게 한다. 프레스 조작 방법은 도9부터 18까지 관련하여 설명할 것이다.
첫째 정규사용에서 안전 장치에 관련하여 자료는 도 9 및 도 10에 으로 만들었다. 정규사용에서 컨트롤러(51)의 상태는 초기적으로 모드 스위치(31)과 블레이드 스피트 스위치(32)를 가지고 상태적으로 정규 위치에 배열되어있고, 최대 승강된 위치(111)에 배열된 블레이드(18)은 블레이드 전진 릴레이(67및68) 오픈, 블레이드가 전진 제어라인(70)을 약시키고, 필트 뮤트된 램프(35)켜저 블럭(112)이 상태로 표시되므로 컨트롤러(51)의 상태와 블레이드 전진의 변화는, 조작자가 블레이드 전진 스위치(61)이 닫혀지게 페달(34)를 눌림이 요구된다. 그때 적어도 300밀리세컨(milliseconds)기간동안 스위치(61)을 열기 위해 페달을 제거된다. 그리고 나서 다시 한 번 스위치(61)를 닫게하기위한 포인트(113)를 나타내는 것과 같이 다시 페달(34)이 눌려진다. 블레이드 위치제어 수단(56)은 블레이드 릴레이들의 전진, 블럭(114)로 대표하는 블레이드 전진 제어 라인(69및70)어소팅(asserting), 페달(34)이 눌려진 상태를 유지하거나 스위치(61)이 닫혀지는 동안 최대 속도에서 블레이드 전진을 폐쇄한다.
만약 장애가 없다면, 2차릴레이(71)는 프레스 로킹 제어 라인(72)의 어소팅이 닫혀지면 블레이드(18)이 라인 116에 의해 나타내는데 정지없이 뮤트포인트 115를 곧장 통과하는 전진이 계속될 것이다. 따라서, 프레싱 조작은 라인 117에 의해 나타내는 베드(38)에 완전할 것이다.
뮤트포인트에서 컨트롤러(51)의 상태 변화는 블레이드 전진 제어 라인(69 및 70)이 강제적으로 어써트된다.
블레이드 크롤 제어 라인(74)가 후진 제어 라인(76)과 필드 뮤트 램프는 상태 블럭(118)로 나타나는 레이저 감지 시스템는 그점에서 정지되는 것을 알리도록 켜지는 뮤트된 램프 영역과 함께 강제적으로 제거되어진다.
블레이드가 뮤트 포인터(115)에 도달 되고, 레이저 수신회로(53)에 의해 광성의 수신할 도록 레이저 제어 및 처리 수단(54)의 응답은 무시되어 광선은 그것이 프레스된 것과 같이 재료(42)와 함께 재실행되지 않는다.
로워 리미트 스위치(65)의 활성화와 프레스의 대응하는 압력 센서는 자동적으로 프레스의 정규 조작중에 충분하게 재실행되게 블레이드를 발생시킨다. 프레스 조작이 완성된후 상태라인(120)로 표현되는 상태 112에 다시돌아가는 필트 뮤트된 램프(35)는 다시 턴 호프 된다. 게다가, 블레이드 후진 스위치(62)가 폐쇄되고, 상태 라인 (112)에 의해 표시된 블레이드 후진 제어 라인 (76)를 어써트하도록 페달(34)를 누르므로 상태 (114)로부터 어떤 시간에 뮤트 포인트에 있는 동안 블레이드가 후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정규사용에서 안전 장치는 어떤 방법에서 압력 조작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광선이 블레이드의 20mm 안에 위치될 수 있을 때풀 보호가 유지되는 동안 작업자가 블레이드 과 프레스에 매우근접해서 일할 수 있다.
119에 표시된 것 같이 상승된 위치로부터 전진된후 상태(114)에서 블레이드가 뮤트 포인트(115)에 도달되기 전에 빔의 하나인(121)단락되고, 정지 수단(57)은 상태 블럭(124)에 표시된 블레이드 전진 제어 수단(69 및 70)과 블레이드 후진 라인(76)에 어써트가 무시되어 블레이드가 후진하도록 트리거 할 것이다. 그러므로 블레이드(18)은 일시적으로 장애로부터 멀리 변환된다.
평균 응답시간은 블레이드의 처리가 정지에 가까워지고 방향이 변화되는 동안 0.77mm의 최대 블레이드 영역과 함께 초당 15에서 30mm 의 평균응답시간은 시스템에 설계되어 있다. 이런 상태에서 이것은 블레이드가 광선의 단락 물체를 터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정지수단(57)은 예를 들어 블레이드 후진 제어 라인(76)을 무력화하여 123에서 블레이드의 운동을 중지시키기 전에 블레이드가 100mm의 간격에 대해 그 이동을 반전시키기 위하여 규정된 시간 동안 이 상태(124)를 유지시킨다.
그러면 블레이드 전진은 페달을 떼는 것에 의해서 적어도 300ms(milisecond) 동안 무력화되고 125에서 다시 페달을 내려누르는 것에 의해 복귀되어야 하며, 그 후 정지 수단이 다시 블레이드를 전진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그다음 블레이드 전진 릴레이가 폐쇄되고 블레이드 전진 제어 라인들(69 및 70)이 어써트되는 한편, 블레이드 후진 제어 라인이 상태블럭(126)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무력화된다.
만일 더이상의 방해가 없으면, 상태라인(128)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블레이드가 뮤트 포인트(115)에 도달할 때까지 상태(126)이 유지될 것이다. 앞선 방해와 동일한 포인트(121)일 수 있는 127에서처럼 또 한번의 방해가 있으면, 상태라인(130)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정지수단은 컨트롤러(51)의 상태변화를 유발하고, 이에 의해 블레이드 전진 릴레이(67 및 68)는 개방되어 블레이드전진 제어라인(76)을 무력화하고 그 대신에 블레이드 후진제어라인(76)을 어써트하고 무력화된 상태를 유지시켜, 상태블럭(130)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129에서 블레이등의 운동정지를 야기한다.
상태(114)의 경우에서 처럼, 상태라인(134)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블레이드 후진 제어라인(76)을 어써트하는 것에 의해 뮤트포인트(115)에 도달하기전에는 언제든지 블레이드는 그 전진상태(126)에서 후진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태(132)로부터, 블레이드는 상태라인(136)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블레이드 후진 제어라인을 어써트하는 것에 의해 후진되어 상태(112)로 복귀될 수 있다.
정지된 상태(132)로부터 블레이드를 전진시키기 위하여, 블레이드 전진 스위치는 131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페달을 떼는 것에 의해서 적어도 300ms 동안 무력화되고 페달을 내려누르는 것에 의해 이를 재차 어써트되게 할 필요가 있다. 그 후, 컨트롤러의 상태는 상태블럭(14)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블레이드 전진 제어라인(69 및 70)과 블레이드 크롤 제어 라인(74)을 어써트하는 것에 의해 상태라인(1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환된다.
따라서, 블레이드는 13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크롤링 또는 펄싱 방식으로 포인트(127) 이상으로 전진하는 것만이 허용된다. 이러한 조건에서, 블레이드는 예를 들어 10 mm/sec 이하의 감소된 속도로 이동한다. 참고로 블레이드의 정상 전진속도는 보통 20 내지 50mm/sec이다. 이러한 감소된 속도는 평균 속도를 허용가능한 수준으로 낮추기 위하여 블레이드 제어라인들을 선택적으로 어써트 및 무력화하고 이에 의해 블레이드의 운동을 반복적으로 시작 및 정지시는 정지수단에 의해 달성된다. 본 실시태양의 경우 블레이드 위치 처리 수단(58)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상기 허용가능한 수준은 10 mm/sec 이하이다.
이러한 크롤 전진 상태(140)은 상태라인(142)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블레이드가 뮤트포인트(115)에 도달할 때까지 유지된다. 그러나 이 상태(140)에 있는 동안에, 블레이드는 상태라인(144)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블레이드 후진 제어 라인을 어써트하는 것에 의해 후진되어 완전히 상승된 상태(112)로 복귀할 수 있다.
뮤트포인트(115)에 도달하면, 상태라인(128)이나 상태라인(142)을 경유하여, 정지수단은 블레이드 전진 제어 라인(69 및 70)을 무력화하기 위하여 블레이드 전진 릴레이(67 및 68)을 개방하는 것에 의해 컨트롤러의 또 다른 상태변화를 실행하고, 이에 의해 13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의 운동이 정지되고, 상태블럭 146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필드 뮤티드 램프가 켜진다. 이 포인트에서, 블레이드의 운동이 137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중지되고, 그 후 상태라인(148)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블레이드 후진 제어 라인(148)을 어써트하고 상태(122)로 복귀시키는 것에 의해 완전히 후진되게 하거나, 또는 상태라인(150)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태(118)로 진행시키는 것에 의해 149에서 다시 전진시켜 프레스 조작을 완료할 수 있다.
후자에 있어서, 정지수단은 블레이드를 뮤트 포인트(115)에 유지시키고, 블레이드 전진스위치가 139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발페달을 떼어 적어도 300ms동안 한번도 무력화되고 발페달을 내려누르는 것에 의해 다시 어써트될 때까지 블레이드가 전진되는 것을 허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는 이러한 방식으로 프레스를 조작하도록 프로그램되어, 베드상에 놓여진 외표면을 지나 뮤트포인트 간격을 넘어서 돌출한 윤곽을 가지는 파형재료로 형성된 것과 같은 특이한 윤곽의 재료를 수용한다. 따라서, 본 안전장치가 이러한 펄스 모드 설비를 갖추지 않으면, 본 안전장치는 블레이드를 정지시키고 프레스조작이 완료되지 못하게 한다. 이러한 이유로, 프레스가 크롤링 또는 펄싱 전진 모드를 채택하여서 조작자가 방해를 일으킨 사고의 경우에 손이나 손가락을 빼거나, 또는 프레스조작이 완료되기 전에 페달에서 발을 떼는 데 충분한 시간을 이용할 수 있는 것에 의해 안전이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장치의 정상 조작을 설명하면서, 장치를 구성하고 시험한 후 파워온 또는 리세트하는 것이 포함되는 다양한 상태 및 절차를 도 11 및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파워온/리세트스위치에 의해 제공된 파워온 또는 리세트신호에 응답하여, 컨트롤러(51)는 초기상태를 채택하며, 이 초기상태에서 블레이드가 최대 상승위치(151)에 위치하고, 블레이드 운동 제어 수단(56)은 블레이드 전진 제어라인(69 및 70)을 무력화하고, 세팅수단(60)은 테스트램프(37)가 플래시되게 하며, 정지수단(57)은 2차릴레이(71)가 폐쇄되게 하여 상태블럭 15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프레스 로킹 제어란인을 어서트한다.
그러면, 조작자는 테스트/로크 스위치를 누르는 것이 요구되고, 블레이드 속도스위치는 커트롤러(51)의 상태를 별환시키기 위한 크롤 위치가 아니라 정상 위치에 놓여진다. 그 다음 153에 보여진 바와 같이 조작자가 페달을 내리누르고 블레이드 전진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세팅수단(60)이 블레이드 운동제어수단이 블레이드 전진 제어라인(69 및 70)을 어써트하고 블레이드 크롤 제어 라인(74)을 무력화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 변환은 상태블럭(154)에 나타내어진다. 따라서, 블레이드는 155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베드쪽으로 전진한다.
블레이드가 10mm 이동한 후에, 상태블럭(156)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정지수단(57)이 2차릴레이(71)를 개방하고 프레스로크제어라인(72)을 무력화하여 블레이드의 추가 운동을 로크하는 것에 의하여 컨트롤로의 상태가 157에서 다시 변화한다. 블레이드 위치처리수단(58) 및 블레이드 트래킹 수단(59)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가 충분히 빠른 속도로 멈추지 않을 경우에, 컨트롤러는 정지성능에러를 발생시키도록 프로그램되어있다.
로크된 상태(156)는 161에서 변화되고, 조작자가 프레스를 재가동한 후에야 비로서 정지수단이 프레스 로크 제어라인(72)를 재차 어써트하게 하고, 페달을 밟아 누르는 것에 의해 블레이드 전진스위치를 다시 폐쇄한다.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팅수단은 블레이드 크롤제어라인(74)이 어써트되게 하여, 상태블럭(158)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크롤전진모드로 블레이드를 전진시킨다. 이와 같이 로크된 상태가 2차릴레이(71)의 이중안전을 보정하는 동안에 블레이드 전진제어라인(69 및 70)이 어써트된 상태로 유지된다.
161에서 상태변환에 있어서, 블레이드는 16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진하고 뮤트포인트(115)에 도달하기 전에 조작자에 의해 방해되고 있는지를 신중히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방해는 165에서 발생하는 것을 보여주고, 이에 따라 정지수단은 레이저 제어 및 처리 수단(54)에 의해 정상적으로 트리거되어 상태변화를 유발하고, 이에 의해 블레이드 전진 제어라인(69 및 70)은 무력화되고 상태블럭(160)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블레이드의 추가 전진을 정지시킨다.
상태(160)은 모드 스위치가 뮤트 강제 모드 위치로 변환될 때 마다, 또는 중요치 않은 결함, 예를들어 전력상승, 낮은 전력, 뮤트스위치의 이동 등의 감지 또는 레이저 센서에 의한 주변광의 감지 등이 발생할 때마다, 167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에 의해 입력되고 유지되는 본 장치의 표준 로크상태이다. 이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테스트 램프스위치(33)를 누르는 것이 필요하며, 169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페달을 조작하여 블레이드전진스위치(61)를 개폐한다.
표준로크상태가 뮤트포인트 위에서 입력되면, 컨트롤러는 선행전진상태(158)로 복귀시키고, 17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를 다시 베드크롤모드 쪽으로 전진시킨다.
일단 뮤트포인트(115)에 도달하면, 17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뮤트스위치(63)의 폐쇄에 의해 표시되고, 컨트롤러는 표준로크상태(160)을 다시 입력한다. 테스트/로크 스위치(33)가 다시 눌려지고 블레이드 전진스위치가 177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페달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개폐될때까지 17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상태를 유지한다.
뮤트포인트(115)에 있는 동안, 블레이드 위치처리수단(158)은 블레이드 트래킹 수단에 의해 지시되는 뮤트포인트위치를 기록하고나서, 뮤트스위치(63)가 이동되지 않은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임의의 불일치에 대하여 활성화될 때마다 체크한다.
그 후 컨트롤러는 상태블럭(162)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은 상태를 채택하고, 블레이드를 정상속도에서 한번 더 번진시키기 위하여 블레이드 크롤 제어라인 을 무력화하여 179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베드에 대해서 프레스를 완료한다. 프레스를 완료하면, 블레이드 후진 제어라인(76)이 조작자가 페달을 적절히 밟아 누르는 것에 의해 어써트될 때까지 베드와 접촉하고, 그 후 블레이드는 최대상승위치(151)로 후진복귀한다. 블레이드 전진 제어라인(59 및 70)은 블레이드가 뮤트포인트 위로 이동할 때 무력화되고, 블레이드 전진스위치(61)이 폐쇄될 때 어써트된다.
어떤 중요한 과실이 발생하면 컨트롤러는 상태를 입력하고, 이에 의해 프레스는 블레이드 로크 컨트롤 제어 라인(72)과 모든 블레이드 전진,크롤 및 후진 제어라인을 무력화하는 것에 의해 로크된다. 이 상태에서 콘트롤러를 변환시키기 위하여, 조작자는 테스트/로크 스위치(33)를 눌러 5초동안 폐쇄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의해 간단하게 세팅수단이 감시 회로(99)의 스트로빙을 중단시킬 수 있어, 양 프로세서를 자동적으로 리세트되게 하고, 완전한 셋업절차를 실시한다.
뮤트강제모드에서 안전 장치의 조작은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모드에서, 모드스위치(31)는 뮤트강제위치에 배치되고, 테스트/로크 스위치(33)는 이를 눌러 프레스를 해제하는 것에 의해 일시적으로 폐쇄된다. 초기에, 컨트롤러(151)는 블레이드 전진제어라인(69 및 70)이 18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무력화되는 상태블럭(180)에 의해 나타내어진 상태를 채택한다.
이상태로부터 변화시키고 블레이드(18)를 베드(38)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블레이드 전진스위치(61)를 적어도 300ms 동안 개방하고 183에서 보여지고 상태라인(182)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발페달(34)을 조작하여 폐쇄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면 컨트롤러는 상태블럭(184)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은상태를 채택하고, 여기서 블레이드 전진제어라인(69 및 70)은 어써트되어 블레이드를 18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한계 높이(187)로 전진시킨다. 본 실시태양에서 이 높이는 뮤트포인트의 15mm 내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다.
한계 높이(187)에서, 컨트롤러는 블레이드 크롤 제어라인(74)을 어써트하는 것에 의해 189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의 크롤 전진이 채택되게 한다. 그 다음 크롤전진은 정지수단(57) 및 블레이드 위체 처리수단(58)에 의해 조절되어 189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 전진제어라인(69 및 70)을 무력화하고 어써트하는 것에 의해 평균전진속도를 10mm/s 이하로 제한한다. 블레이드 전진제어라인은 189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어써트되고, 이때 블레이드는 10mm/s 이하의 속도로 정상적으로 전진한다.
컨트롤러(51)는 블레이드가 19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뮤트포인트에 도달할 때까지 이러한 크롤전진상태를 유지한다. 뮤트포인트에서, 컨트롤러는 상태라인(186)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원상태(180)로 복귀하고, 여기서 블레이드 전진제어라인은 정지수단에 의해 무력화되고 19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의 추가 전진을 정지시킨다.
이 상태(180)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블레이드 전진스위치(61)를 195에서 보여지고 상태라인(188)에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조작자가 페달을 조작하여 적어도 30mm/s 동안 개방하고 나서 폐쇄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결과, 컨트롤러는 상태블럭(190)에 의해 나타내어진 상태를 채택하고, 197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전진제어라인(69 및 70)은 어써트되고, 블레이드 크롤제어라인(74)은 무력화되며, 베드내로 재료의 프레스가 완료된다.
그 후, 블레이드는 후진하고, 블레이드 전진제어라인(69 및 70)은 199에서 보여지고 상태블럭(192)에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블레이드가 뮤트포인트(115)를 넘어 후진한 후에 자동적으로 무력화된다. 컨트롤러는 그 상태를 변화시켜 상태(184)를 채택하는 것에 의해 블레이드를 뮤트포인트 쪽으로 한번 더 전진시키고, 조작자는 초기상태로 복귀시키지 않고 상태라인(194)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페달을 조작하여 블레이드 전진스위치(61)를 적어도 300ms동안 개방하고나서 폐쇄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태양은 프레스의 정상 조작중에 조작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보호시스템의 바이패스를 방지하기 위하여 뮤트 포인트를 결정하는 것을 프레스 브래이크의 하우징(12) 내에 배치된 상대 고정된 리미트 스위치에 의존하는 것 대신에 안전장치가 실조작중에 상이한 뮤트포인트의 확인 및 체크 기법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태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실시태양에 따르는 안전장치의 물리적 구성요소들은 다음의 것을 제외하고는 앞선 실시태양의 것과 동일하다. 즉, 다른점은 뮤트 스위치와 관련 스트라이커 바가 생략되고, 제어수단이 동일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배열로 만들어진 콘트롤러를 포함하나, 뮤트포인트를 위한 다른 측정 및 모니터 방법을 제공 및 수용하기 위하여 레이저 제어 및 처리 수단, 블레이드 위치 처리 수단 및 세팅 수단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의 관점에서 약간 상이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태양에서 사용되었던 참조번호와 동일한 참조번호를 이번 실시태양의 다양한 구성부품들에 대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본 실시태양의 안전장치는 프레스 브레이크의 유압 시스템을 조작하기 위한 비교적 복잡한 전자 제어 시스템을 구비하며 기계적 리미트 스위치의 설비에 의존하지 않거나 이러한 설비를 제공하지 않는 프레스 브레이크 형태에 특별히 유용하다.
본 실시태양의 레이저 제어 및 처리 수단(54)은 전술한 실시태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펄싱수단(55) 및 레이저 드라이버-수신 회로(52)와 협력하여 작동하며, 종전과 동일한 방식으로 광선의 장애 및 방해를 검출한다. 그러나 레이저 제어 및 처리 수단은 블레이드가 조작방식에 있어서 다른 점이 있으며, 그것은 프레스의 에정된 뮤트 포인트에 도달한 후에 비뮤트(unmuted) 방식으로 레이저 수신 회로 정보를 계속 처리한다는 점이다. 더우기, 레이저 제어 및 처리 수단(54)은 블레이드 위치 처리 수단의 도움으로 뮤트 포인트를 벗어난 규정된 전진거리 내에서 단속되고, 만일 이러한 거리 내에서 단속되지 않으면 광선의 비뮤트 감지를 유지하고 광선들중 어느 하나에 장애를 감지하는 즉시 정지수단(57)을 트리거한다. 중앙 광선이 규정된 거리내에서 단속되는 경우, 광선의 추가 감지가 뮤트되어 블레이드가 전진을 계속하는 것을 허용하고 그 프레스 조작을 추정적으로 완료하는 것을 허용한다.
다시 블레이드 위치 처리 수단(58)은 브레이드 트래킹 수단과 함께 작동하여 블레이드의 운동을 모니터하고 콘트롤러(51)의 다른 처리 요소에 대한 상대 위치 및 속도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태양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본 실시태양의 블레이드 위치 수단은 뮤트 스위치와 뮤트 포인트를 크로스체크하는 것을 제공하지 않고, 그 대신에 블레이드 트래킹 수단(59)으로부터 구한 위치 데이터에 대해서 세팅수단(60)에 의한 초기 설정에 단순히 의존한다.
결국, 블레이드 위치 처리 수단(58)은 전술한 실시태양의 경우와 약간 다른 방식으로 정지수단(57)과 상호작용한다. 즉, 블레이드의 선단(36)이 뮤트 포인트에 도달한 후에 뮤트 포인트 정보는 광선의 비뮤트 감지를 측정하는데 이용되고, 광선의 추가 감지의 뮤팅은 중앙 광선이 전술한 바와 같이 규정된 거리내에서 딘속되는 것을 조건으로 한다.
세팅수단(60)은 뮤트포인트에 설정에 관한한에 있어서는 전술한 실시태양의 것과 다를뿐, 기타의 모든 측면에서 전술한 실시예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본 실시태양의 세팅수단(60)은 전술한 실시태양에서와 같이 프레스 브레이크 자체의 콘트롤러 시스템 또는 리미트 스위치 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블레이드의 산한 및 하한을 구동시키고, 안전장치가 사용되는 것에 프레스의 실제형태에 의존하여 상한과 하한을 설정하는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본 실시태양에서 뮤트 포인트는 프레스 정상조작의 일부로서 확립되고, 전술한 실시태양의 경우에서와 같은 개별적인 세팅업 절차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세팅수단은 연속적으로 조작되어 블레이드의 선단에 의해 도달된 특정 포인트가 뮤트포인트로 인식되고 기록될때를 표시한다. 이것은 중앙광선(26b)의 수신이 단속될때까지 블레이드의 전진에 의한 프레스의 정상 조작으로 간단하게 달성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상인 경우에, 블레이드는 정지수단의 오버라이드 조작(overiding operation)의 결과로서 규정된 거리를 회복할 것이다. 그러면 블래이드는 다시 전진되고 중앙광선(16b)이 동일한 포인트에서 깨지면, 규정된 공차내에서 정지수단이 그 포인트에서 블레이드를 정지시키고 세팅수단(60)이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세팅수단은 필드 뮤티드 램프(field muted lamp: 37)가 플래시하도록 하여 뮤트포인트가 테스크/로크 스위치(33)를 누르는 것에 의해 이 포인트에서 설정될 수 있다는 것을 조작자에게 알려준다. 만일 테스트/로크 스위치(33) 이때 폐쇄되면, 블레이드 위치 처리 수단(58)은 블레이드의 위치가 뮤트포인트인 것을 기록한다. 그후, 브레이드 위치 처리 수단은 규정된 공차를 할당하고 뮤트포인트를 구획하여, 이 안에서 중앙광선의 단속이 잘못 기록된 뮤트포인트가 아니라 프레스 조작을 위한 실제 뮤트포인트인 기록된 뮤트포인트와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도15 내지 도18을 참조하여 본 실시태양에 따르는 다양한 상태들에 관한 프레스의 조작 및 뮤트 포인트의 설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전 프레스의 정상조작을 고려하면, 모드 스위치(31)와 블레이드 속도 스위치(32)는 모두 정상위치에 배치되고, 상태 블럭(200)로 나타낸 바와 같이 controller는 초기상태를 채택하고, 블레이드(18)는 베드(38) 위에서 최대로 상승된 위치(201)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블레이드 전진 제어 라인들(69 및 70)이 무력하게되고, 필드 뮤티드 램프가 꺼진다.
이 상태(200)를 변환시키기 위하여, 블레이드 전진 스위치는 적어도 300ms 동안 개방된 다음 발페달(34)을 조작하는 조작자에 의해 폐쇄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상태라인(202)에 의해 나타내지고 203에서 보여진다. 결국, 블레이드 전지 제어 라인들(69 및 70)이 어써트(assert)되고 블레이드는 베드(38)을 향하여 전진한다. 이것은 상태블럭(204)에 의해 나타내지고 205에서 보여진다. 이 상태(204)로부터 블레이드는 완전히 후진되어 최대상승위치(201)인 초기상태로 복귀할 수 있는데, 이는 상태 라인(206)에 의해 나타낸바와 같이 뮤트포인트에 도달하기 전의 임의의 시점에서 조작자에 의한 블레이드 후진스위치의 폐쇄에 응답하여 블레이드 후진제어라인(76)을 어써트하고 블레이드 전진제어라인들(69 및 70)을 무력하게하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블레이드는 207에서 보여지고 상태라인(208)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광선(26b)가 방해될때 까지 전진상태(204)에서 베드 쪽으로 전진을 계속한다. 주위하여야 할 것은 뮤트포인트는 아직 이 단게에서 설정되지 않아서 단속이 감지되도록 요구되는 허용 존이 없다.
이 포인트에서 상태 블럭(210)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임의의 상태를 채택할 것이고, 여기에서 정지수단(57)은 블레이드 전진 제어라인들(69 및 70)을 무력화하고, 블레이드를 본 실시태양에서 4.5mm의 규정거리로 후진시키는 데 소요되는 규정된 기간 동안, 또는 블레이드 전진스위치(61)가 적어도 300ms 의 기간 동안 발페달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개방되었을 때 까지, 이중 어느 것이 먼저 발생하여도 , 블레이드 후진 제어라인(76)을 어써트하는 것에 의하여 블레이드 운동 제어수단(56)의 오버라이드 제어를 실행한다. 상태의 변환은 상태라인(212)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여기에서 블레이드는 블레이드 전진 스위치(61)가 필수적인 300ms 기간동안 개방되고 21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다시 폐쇄될 때 까지 정지수단(57)에 의해 정지되어, 블레이드 전진 제어 라인들(69 및 70)이 한번 더 어써트되도록 유발하고, 상태 블럭(214)의해 나타내진 바와 같이 블레이드를 베드쪽으로 전진시킨다.
블레이드는 이 상태(212)를 213에서 보여지고 상태 라인(216)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광선이 한번더 단속 또는 방해될 때까지 유지한다. 이러한 전진 운동중에, 전술되고 상태 라인(218)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조작자가 블래이드 후진 스위치를 폐쇄하는 것에 의해, 블레이드는 초기 위치로 후진될 수 있고 controller는 그 초기상태를 채택한다.
이 단계에서 뮤트 포인트는 아직 설정되어 있지 않고, 방해가 감지되도록 요구되는 허용존이 없다. 결국, 컨드롤러는 상태블럭(220)에 의해 나타내어진 상태를 선택하고, 여기에서 정지수단은 블레이드 전진 제어 라인들(69 및 70)을 무력화하고 215에서 보여지는 위치에서 블레이드를 머무르게 하는 것에 의해서 블레이드의 추가 전진을 정지시킨다. 전술한 상태 블럭(214)에서와 같이, 블레이드는 전술한 방식으로, 상태라인(222)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초기 위치로 완전히 후진될 수 있다.
이 포인트에서 컨트롤러의 상태를 변환시키기 위하여, 블레이드 전진 스위치는 적어도 300ms 동안 개방되고, 217에서 보여지고 상태라인(224)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조작자가 페달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다시 폐쇄되어야 한다.
그러면 컨트롤러는 뮤트 포인트가 설정될 수 있는 상태 블럭(226)에 의해 나타내어진 상태로 변화시킨다. 즉, 컨트롤러는 블레이드 전진 릴레이들(69 및 70)이 어스트되게 하고, 블레이드가 블레이드 크롤(crawl) 제어 라인(74)을 어서트하는 것에 의해 크롤 운동하도록 한다. 세팅 수단(60)은 필드 뮤티드 램프(37)의 플래시를 유발함과 동시에 레이저 제어 및 포로세싱 수단이 중앙 광선(26b)이 방해된 채 유지하는 것을 계속 어서트한다. 이 것은 블레이드가 앞서 정지되었던 포인트(215)가 그 후 처리 조작의 뮤트포인트가 될것인 지를 조작자에게 표시한다.
이 포인트(215)를 뮤트 포인트로서 받아 들이기 위하여, 조작자는 테스트/로크 스위치(33)를 눌러 이를 잠정적으로 폐쇄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면, 블레이드 위치 처리 수단은 정지되었던 블레이드의 특별한 위치를 상태 블럭(228)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뮤트포인트로서 기록한다.
이 포인트(215)가 뮤트포인트로서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컨트롤러는 상태(226)을 단순하기 유지할 것이고 ,이 상태에서 블레이드는 전술한 방식으로 조작자에 의해 또는 프레스조작의 완료시 프레스의 자동조작에 의해 후진될 때까지 크롤 모드로 단순하게 계속 전전할 것이다. 블레이드의 후진을 포함하는 이러한 상태 변환은 상태 라인(230)으로 나타낸다. 주지할 것은 블레이드의 이러한 크롤 전진중에 필드 뮤티드 램프(37)는 계속적으로 플래시하고 블레이드가 뮤티드 모드로 전진하고 있음을 표시할 것이다.
뮤트포인트가 상태(228)에서 설정되면, 컨트롤러는 상태 블럭(232)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한번 더 상태를 변환시킨다. 그 결과, 블레이드 전진 제어 라인들(69 및 70)이 계속 어서트되고, 블레이드 크롤 제어 라인(74)이 무력화되며, 필드 뮤티드 램프(37)가 계속적으로 조명하도록 켜진다. 따라서, 블레이드는 219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정상속도로 진입하는 것이 허용되어 프레스 작용을 완료한다. 그 후, 블레이드는 22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초기위치(201)로 후진되고, 컨트롤러는 상태 라인(234)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초기상태(200)로 복귀한다.
뮤트포인트가 설정되더라도, 중앙광선이 단속 또는 방해되는 것이 요구되는 허용 존은 실제 포인트 위 및 아래에서 규정된 간격으로 한정된다. 도 16에서, 이 것은 음영을 준 면적(223)으로 표시된다. 도 16에 세가지 다른 시나리오가 실제 묘사된다. 그 첫번째는 223a로 나타낸 허용존으로 뮤트 포인트가 너무 높게 설정된 것을 보여주고 있고, 두번째는 허용존(223b)으로 뮤트 포인트가 너무 낮게 설정된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세번째는 허용존(223c)으로 뮤트 포인트가 올바르게 설정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실시태양의 안전장치가 이러한 틀린 설정들을 수용하고 조작자를 완전하게 보호하는 방식은 본 장치가 설정된 뮤트포인트에 대해 어떻게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지를 설명하는 것에 의해 명백하게 될 것이다.
즉, 초기 위치(201)로 블레이드(18)가 복귀하고, 컨트롤러(51)가 상태(200)에 있을 때, 조작자는 225에서 보여지는 상태(204)를 처리하기 위하여 전과 같이 프레스를 조작한다. 그러면 블레이드는 도 15에 도시되는 예들의 각각에서 227에서보여지는 바와 같으 허용존(223)을 향하여 전진한다.
허용존(223) 내에서 설정된 뮤트포인트를 도달하기 전에 레이저 제어 및 처리 수단(54)이 장애를 감지하면, 이 존의 외부(도시 안됨)에서 컨트롤러는 상태(210)으로 복귀하고, 블레이드가 전술한 방식으로 규정된 거리를 회복하도록 한다. 그러면 조작자는 종전과 같이 프레스를 조작하여 상태(214)로 진행시키고, 그 결과로 블레이드는 한번더 정상적으로 전진하게 된다.
만일 추가 장애가 없으면, 블레이드는 허용존(223)에 도달할 때 까지 계속 전진하게 된다.
허용존(223c)내에서 발생하는 것과 같이 바르게 설정된 뮤트포인트의 경우에, 중앙 광선(26b)는 허용존(223c)내에서 방해되어 상태 라인(236)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컨트롤러가 상태를 변화시켜 상태블럭(238)에 의해 나타내어진 상태를 채택하게한다.
상태(238)에서, 정지수단(57)은 블레이드 전진 제어 라인들(69 및 70)을 무력하게 하여 블레이드의 전진을 정지시키고, 세팅수단(60)은 필드 뮤티드 램프가 켜지도록 한다. 이것이 컨트롤러가 뮤트포인트전에 광선의 장애를 후속 감지하는 것을 입력도록 하는 명령적 상태(mandatory state)이다.
이 상태를 변환시키기 위하여, 블레이드는 상태 라인(240)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같이 블레이드 후진 제어 라인을 조작자가 폐쇄하는 것에 의해 통상의 방식으로 후진되거나, 또는 상태 라인(242)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조작자가 적어도 300ms 동안 블레이드 전진 스위치를 개방하고나서 페달을 사용하여 이를 폐쇄한 후에 전진될 수 있다. 후자를 수행하면 컨트롤러는 상태(232)를 진행시켜 프레스 조작을 완료한다.
뮤트포인트가 지나치게 높은 허용존(223a)에서 발생하는 것과 같이 틀리게 설정된 뮤트포인트의 경우에, 블레이드는 장애 없이 허용존(223a)을 통해 전진하게 된다. 블레이드가 허용존(223a)를 통과하는 즉시, 레이저 제어 및 처리 수단(54)는 활성을 유지하여 뮤트되지 않고, 추가 음영을 준 영역(229)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조작자에게 지속적으로 완전한 보호를 제공한다.
만일 광선들(26)중 임의의 것이 블레이드가 허용존에 도달하기 전에 미리 방해받으면, 컨트롤러는 허용존을 통과하기 때문에 상태(214)에 있게된다. 만일 미리 방해된 광선이 없으면, 컨트롤러는 허용존(223a)을 통과하기 때문에 상태(204)에 있게된다.
따라서, 전자의 경우에 중앙광선(36b)의 후속 방해는 콘트롤러가 블레이드가 정지되는 상태(220)을 통해 진행하도록 하고나서, 조작자에 의한 적절한 조작으로 컨트롤러는 상태(226)로 진행하여 상태(228) 및 (232)를 통해 진행하는 것에 의해 새로운 뮤트포인트가 설절되게 하거나, 또는 후진전에 프레스 조작을 완료하기 위하여 블레이드가 크롤 모드로 전진할 것을 요구하며, 여기서 컨트롤러는 상태라인(230)을 따른다.
컨트롤러가 도 15에 도시된 실제 시나리오인 상태(204)에 있는 후자의 경우에, 중앙관선(26b)의 후속 방해는 23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되고, 컨트롤러가 상태(210)으로 진행하게 하여 블레이드를 방해로부터 회복시키고나서, 상태(214)로 진행시켜 위치(213)에서 블레이드를 중지시킨다. 조작자에 의한 프레스의 적절한 조작시에, 컨트롤로는 상태(220)을 통해 진행시키고, 여기서 다시 방해를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블레이드의 전진이 컨트롤러 채택 상태(226)에 의해 포인트(235)에서 다시 정지된다. 그러면, 조작자는 상태(238) 및 계속해서 상태(232)를 통해 컨트롤러를 프로그레스하는 것에 의해 이 위치에서 새로운 뮤트포인트를 설정할 기회를 갖게 되어, 237에서 보여지는 프레스조작을 완료하고 221에서 블레이드를 후진시키거나, 또는 후진전에 컨트롤러가 상태 라인(230)을 따르는 크롤모드에서 프레스조작을 완료한다.
뮤트포인트가 너무 낮은 허용존(223b)에서 발생하는 것과 같이 부정확하게 설정된 뮤트포인트의 경우에, 컨트롤러는 허용존에 실제 도달하기 전에 방해를 감지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컨트롤러는 상태(204)로부터 상태(210)으로 진행하여 239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진행하게 되고 239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회복하여, 결국 24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태(214)를 채택하게 된다. 조작자가 프레스를 적절히 조작하면, 컨트롤러는 상태(220)을 통하여 진행하게 되고, 여기서 다시 방해를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블레이드의 전진이 컨트롤러 채택 상태(226)에 의해 포인트(243)에서 다시 정지된다. 그러면, 조작자는 상태(228) 및 계속해서 상태(232)를 통해 컨트롤러를 프로그레스하는 것에 의해 이 위치에서 새로운 뮤트포인트를 설정할 기회를 갖게 되어, 245에서 보여지는 프레스조작을 완료하고 221에서 블레이드를 후진시키거나, 또는 후진전에 컨트롤러가 상태 라인(230)을 따르는 크롤모드에서 프레스조작을 완료한다.
223c에서 보여지는 바르게 설정된 뮤트포인트의 경우, 227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가 블레이드를 방해받지 않고 상태(204)로 전진하면, 블레이드는 중앙광선(26b)이 방해되도록 되어 있는 허용존(223c)에 도달한다. 이 결과, 뮤트포인트가 허용존에 대하여 요구되는 공차로 바르게 설정될 경우, 블레이드가 정지수단에 의해 정지됨이 없이 컨트롤러가 직접 상태(232)로 진행하게 된다. 결국, 필드 뮤티드 램프(37)이 247에서 켜져서 레이저 감지 설비(facility) 그 포인트에서 뮤트된 것을 표시하고, 블레이드는 249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계속 전진하는 것이 허용되어 프레스 조작을 완료하고, 22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후진되며, 컨트롤러는 상태라인(234)을 따라 초기상태(200)로 복귀한다.
가장 채택하기 쉬운 프레스 조작은 후자임이 명백하며, 이 경우 뮤트 포인트는 바르게 설정되고, 장애가 없어서, 본 안전장치는 조작자에게 완전한 보호를 제공한다. 이 것은 조작자가 안전장치를 의도된 방식으로 사용하도록 하여, 장치의 오용 및 남용을 제지한다.
본 실시태양의 컨트롤러에 대한 셋업 조작은 전술한 바와 같이 뮤트포인트의 설정이 없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앞서의 실시태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컨트롤러에 의해 수행되는 상태들은 셋업 절차가 상태(158)로 완료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2와 관련하여 앞선 실시태양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모드 스위치가 뮤트 강제 위치에 있는 뮤트 강제 절차는 컨트롤러의 상태의 추가 표시를 제공하도록 상이한 상태들에서 필드 뮤티드 램프(37)의 부수적인 플래싱 설비를 갖는 것은 앞서의 실시태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단지 새로운 뮤트 포인트가 중앙광선(26b)의 장애감지를 수반하는 상이한 상태들에서 설정되도록 허용된다는 점에서 다르다. 따라서, 도 17은 도14에 관해서 앞서의 실시태양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컨트롤러에 의해 동일한 상태들이 수행되나, 다음의 같은 예외들이 있다.
·상태블럭(244)는 필드 뮤티드 램프(37)가 세팅수단에 의해서도 켜지는 것이 추가된다는 것이외에는 상태블럭(180)과 동일하다.
· 상태라인(246)은 상태라인(182)와 동일하다.
· 상태블럭(248)은 블레이드 전진 스위치가 개방될 때 필드 뮤티드 램프(37)가 세팅수단에 의해서도 플래시되고 그렇지 않으면 온이 되는 것이 추가된다는 것이외에는 상태블럭(180)과 동일하다.
· 상태라인(250)은 상태라인(186)과 동일하고, 상태라인(252)은 상태라인(188)과 동일하다.
· 상태블럭(254)는 블레이드 전진 스위치가 개방될 때 필드 뮤티드 램프(37)가 플래시되고 그렇지 않으면 온이 되는 것이 추가된다는 것이외에는 상태블럭(190)과 동일하다.
· 상태라인(256)은 상태라인(192)와 동일하고, 상태라인(258)은 상태라인(194)와 동일하다.
· 상태라인(248) 및 상태라인(254)로부터, 컨트롤러는 새로운 뮤트포인트가 테스트/로크 스위치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허용하고, 이에 따라 블레이드 위치처리수단(58)은 중앙광선(26b)이 방해된 시점에서 블레이드가 있었던 위치를 기록하는 한편 상태블럭(258)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블레이드 트래킹 수단(59)에 의해 새로운 뮤트포인트로서 측정된다.
· 컨트롤러는 상태9244)로 복귀하고 새로운 뮤트포인트를 설정한다.
본 발명의 영역은 전술한 바와 같은 특정 실시태양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본 안전장치 및 방법은 다운스트로킹 프레스 브레이크와 협력하여 사용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업스트로킹에서도 유용하며, 사지 또는 몸통부분이 공구부재의 운동경로에 들러가게 되면 상해를 입힐수 있는 가동공구와 가까운 위치에서 조작자가 작업하는 것이 요구되는 선반, 드릴, 다른 형태의 프레스, 밀링머신 등과 같은 다른 종류의 공작기계에도 유용하다. 따라서, 다른 기계에 적합시키기 위하여 본 안전장치 및 방법을 적당히 수정 및 변화시키는 것이 제작 및 설비분야의 전문가에게 자명하다면, 이러한 것들도 본 발명 의 영역내에 있다 할 것이다.

Claims (33)

  1. 작용부재 및 가동부재를 구비하는 기계의 안전장치로서, 상기 가동부재는 또한 기계의 작용부재이거나, 또는 상기 가동부재는 작용부재와 상호작동하는 부재이며, 선택적으로 기계의 작용부재 쪽으로 수렴 운동하는 부재인 기계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작용부재로부터 일정 간격진 보호영역을 한정하기 위하여 작용부재의 선단과 고정된 관계로 장착하기 위한 대응하는 발광수단 및 수광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수단은 광선을 방출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대응하는 수광수단은 이 광선을 수신하도록 설계되어서, 정상적으로 광은 작용부재의 선단에서 일정간격진 연속된 경로를 따라 상기 대응하는 발광수단 및 수광수단에 의해 방출되고 수신될 수 있으며;
    가동 부재의 일정범위의 규정된 운동중에 소정상기 발광수단이 광선을 방출하는 것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수광수단이 방출된 광선을 감지하는 것을 활성화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감지되는 우발사고에 응답하여 가동부재의 전진운동을 정지시키는 정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안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가동부재는 뮤트 포인트(mute point)에서 상기한 범위의 규정된 운동을 완료하고, 상기 정지수단이 특정 우발사고들에 대한 가동부재의 전진운동을 정지불능으로 하는 동안 상기 뮤트 포인트를 지나 추가 범위의 규정된 운동을 통해 이동을 계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안전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연속적으로 가동부재의 운동을 트랙하여 상기 운동이 상기 규정된 운동에 따르는지를 체크하기 위한 위치 처리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정지수단은 상기 전진운동이 상기 규정된 운동에 따르지 않는 것을 측정한 상기 위치 처리 수단에 응답하여 가동부재의 전진운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안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처리 수단은 상기 가동수단의 순간운동을 측정하기 위한 트래킹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 처리 수단은 상기 트래킹 수단에 의해 측정된 가동부재의 위치에 대한 상기 뮤트 포인트를 기록하고 나서 상기 가동부재의 운동의 제어를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트래킹 수단에 의해 측정된 뮤트포인트의 측정된 장소의 발생을 연속적으로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안전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킹 수단은 가동수단에 연결을 위하여 모션 트랜스퍼 수단에 직접 링크된 회전샤프트에 장착된 광학디스크를 구비하여서, 상기 광학 디스크는 가동부재의 운동에 직접 응답하여 회전하고, 그리고 상기 광학 디스크의 순간각운동을 감지하고 측정하기 위한 전자 카운터를 포함하는 광학감지수단을 구비하여서, 상기 전자카운터의 순간 카운트가 상기 가동부재의 운동의 척도로서 상기 위치 처리 수단에 의해 연속적으로 모니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안전장치.
  6. 제 3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처리 수단은 상기 뮤트 포인트의 상기 측정된 장소의 발생을 연속적으로 체크하고 이것을 상기 뮤트 포인트에 접근하는 가동부재의 별도로 측정된 표시(signification) 대해서 비교하여 이들 둘의 발생이 실질적으로 동시적인지를 측정하고, 그리고 상기 정지수단은 상기 발생이 실질적으로 동시적이 아닌 것을 확인하는 즉시 상기 가동부재의 진인운동을 추가로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안전장치.
  7. 제 5항 또는 6 항에 있어서, 상기 뮤트 포인트에 접근하는 상기 가동부재의 상기 별도로 측정된 표시가 가동부재에 인접한 기계에 고정하기 위한 뮤트 스위치와 상기 뮤트 스위치에 인접한 가동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스트라이커(striker)를 포함하며, 상기 뮤트 스위치 또는 스트라이커는 그 타방에 대하여 조정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가동부재가 뮤트포인트에 실제로 위치할 때 상기 스트라이커가 뮤트 스위치를 정확하게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안전장치.
  8. 제 3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처리 수단은 가동부재가 규정된 최대거리로 상기 뮤트 포인트를 넘어 전진한 거리를 체크하여 방출광선의 수신이 상기 규정된 최대거리내에서 단속되는지의 여부를 측정하고, 상기 정지수단은 방출광선이 상기 규정된 최대거리내에서 수신되지 않은 것을 측정하는 위치 처리 수단에 응답하여 가동부재의 전진운동을 추가로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안전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광선이 상기 가동부재의 전진중에 단속되는 것으로 감지되는 포인트에서 위치 처리 수단에 의한 기록을 위하여 뮤트포인트를 임의선택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세팅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안전장치.
  10. 선행 청구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발광수단의 광선발생을 유발하여 이 광선이 규정된 방식으로 펄스되게 하는 펄싱 수단을 구비하고, 그리고 방출광선이 상기 규정된 방식으로 수신되지 않거나 또는 펄스되지 않을 때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수광수단에 의해 수신된 프로세스 신호와 상기 펄싱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광 제어 처리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정지수단은 방출광선이 상기 범위의 규정된 운동중에 상기 규정된 방식으로 수신되지 않거나 또는 펄스되지 않은 것을 측정하는 상기 광 제어 처리 수단에 응답하여 가동부재의 전진운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안전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선단 둘레에서 광 경로의 장벽을 한정하기 위하여 배치될 다수개의 대응하는 발광 수단 및 수광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펄싱수단은 상기 대응하는 발광수단 및 수광수단 각각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펄스되는 것을 유발하도록 제어되어 상기 광 제어 처리 수단이 이들을 차별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안전장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제어 처리 수단은 방출광선이 상기 규정된 방식으로 수신되지 않을 때를 측정한 것에 응답으로 상기 펄싱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펄싱의 진동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방출광선의 휘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안전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펄싱수단은 육안으로 바로 인지할 수 있는 특정 휘도를 산출하는 진동수에서 광선을 정상적으로 펄스하도록 설계되어서 광선의 펄싱의 진동수가 증가될 때 조작자가 명백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안전장치.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제어 처리 수단은 또한 상기 수광수단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규정된 강도 역치(treshold of intensity)를 초과하는 주변광의 수신을 측정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정지수단은 가동부재의 전진운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안전장치.
  15. 선행 청구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진동감지수단을 구비하여 광선의 수신을을 감지하는 수광수단에 응답하여 신호를 분석하고 광선의 정상 진동과 비정상 단속을 구분하고, 상기 정지수단은 상기한 범위 규정된 운동중에 광선의 비정상 단속을 감지하는 상기 진동감지수단에 응답하여 가동부재의 전진운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안전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은 작용부재의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수광부재는 작용부재의 대향단에 장착되어서, 방출광선의 진동운동을 유발하는 상기 대응하는 발광수단 및 수광수단의 진동운동이 상기 광선의 경로에 대한 일차원 황단에서 감쇄되어, 본질적으로 광선의 합성 진동운동을 상기 일차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단일 횡단차원으로 제한함으로써 광선의 상기 비정상 단속을 감지하는데 걸리는 검출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안전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시간은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추가 범위의 규정된 운동을 완료하는데 걸리는 시간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안전장치.
  18. 선행 청구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상기 대응하는 발광수단 및 수광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발광수단들은 작용부재에 대하여 독립 유니트로서 서로 인접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일체로 장착되고, 상기 수광수단들은 작용부재 및 상기 독립 유니트 양자에 대하여 개별적인 독립 유니트로서 서로 인접하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평행관계로 일체로 장착되데, 상기 대응하는 발광수단에에서 방출되는 각각의 광선을 받아들이도록 발광수단과 실질적으로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안전장치.
  19. 제 15 항에 종속되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 유니트들이 진동운동이 각각의 독립유니트 전부에 부여되도록 상기 작용부재에 대하여 장착되어, 상기 광선에 대한 동기적이고 대응하는 진동을 유발하고, 상기 수광수단에 의한 상기 광선의 연속된 경로의 동기적이고 대응하는 감지를 유발하여서, 상기 진동 감지 수단에 의한 수신광선의 분석 및 식별을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안전장치.
  20. 작용부재를 구비하는 기계의 가동부재의 경로로 들어가는 목적물을 보호하는 방법으로, 상기 가동부재는 또한 기계의 작용부재이거나, 또는 상기 가동부재는 작용부재와 상호작동하는 부재이며, 선택적으로 기계의 작용부재 쪽으로 수렴 운동하는 부재인 목적물 보호방법에 있어서,
    가동부재가 일정범위의 규정된 운동을 통해 이동하는 중에 작용부재의 선단 앞에서 정상적으로 연속된 경로를 따라 작용부재의 일단에서 광선을 방출시키고;
    작용부재의 대향단에서 상기 광선의 수신을 연속적으로 감지하여;
    상기한 범위의 규정된 운동중의 임의의 시점에서 작용부재의 탄단에서 방출광선의 임의의 수신 및 감지 실패에 대한 응답 또는 우발사고에 대한 응답으로 가동부재의 전진운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목적물 보호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선을 규정된 방식으로 펄스하고, 작용부재의 타안에서 상기 규정된 방식으로 펄스되는 방출광선을 수신 및 감지하는데 실패한 것에 응답하여 가동부재의 전진을 정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2. 제 20 항 또는 21 항에 있어서, 가동부재가 상기 범위의 한계를 한정하는 포인트를 초과하여 전진된 후에 정지되는 것을 방지하여서 가동부재가 추가 범위의 규정된 운동을 통해 계속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3. 제 20 항 내지 2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동부재의 운동을 연속적으로 트랙하고, 상기 운동이 상기 규정된 운동에 따르는 지를 체크하며, 이 운동이 상기 규정된 운동에 따르지 않을 때마다 가동부재의 전진운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4. 제 20 항 내지 2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용부재의 선단 둘레에서 광경로의 장벽을 한정하기 위하여 배치된 다수의 광선들을 방출하고 그 수신을 감지하고, 각 광선은 이들을 차별화하기 위하여 다른 방식으로 펄스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5. 제 20 항 내지 2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신된 광선을 분석하여 광선의 정상 진동과 비정상 단속을 구분하고, 상기 범위의 규정된 운동중에 상기 비정상 단속을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가동부재의 전진운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선의 경로에 대한 일차원 황단에서 광선의 진동운동을 감쇄하고, 본질적으로 광선의 합성 진동운동을 상기 일차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단일 횡단차원으로 제한함으로써 광선의 상기 비정상 단속을 감지하는데 걸리는 검출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7.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상호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당수의 광선들을 방출하여, 기계로부터의 진동운동이 상기 광선들에 균등하게 부여하고, 상기 광선의 동기적이고 대응하는 진동을 유발하여 분석 및 식별을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8. 제 20 항 내지 2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뮤트 포인트에서 상기한 범위의 규정된 운동을 완료하고, 가동부재의 전진운동이 특정 우발사고들에 의해 정지되지 않는 중에 상기 뮤트 포인트를 지나 추가 범위의 규정된 운동을 통한 가동부재의 운동을 계속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규정된 최대거리로 상기 뮤트 포인트를 초과하여 가동부재에 의해 전진된 거리를 연속적으로 체크하고, 광선의 단속이 상기 규정된 최대 거리내에서 감지되지 않는 경우 가동부재의 전진운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가동부재의 전진중에 광선의 단속이 감지되는 포인트에서 임의로 뮤트포인트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1. 제 1 항에 있어서, 가동부재의 순간운동을 연속적으로 측정하고, 이와는 별도로 가동부재가 거기에 물리적으로 배치될 때 뮤트 포인트의 위치를 검출하고, 뮤트 포인트 상태가 감지될 때마다 검출된 뮤트 포인트가 측정된 뮤트 포인트와 일치하는지를 체크하고, 이 둘 사이의 발생에서의 차이를 확인하는 즉시 가동부재의 전진운동을 추가로 정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2.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계안전장치.
  33.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가동부재의 경로로 들어가는 목적물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
KR1019980705196A 1996-01-05 1997-01-06 가동부재에 장착하기 위한 광학 안전장치 KR199900770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N7446 1996-01-05
AUPN7446A AUPN744696A0 (en) 1996-01-05 1996-01-05 Safety apparatus and protection method for machin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063A true KR19990077063A (ko) 1999-10-25

Family

ID=3791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5196A KR19990077063A (ko) 1996-01-05 1997-01-06 가동부재에 장착하기 위한 광학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316763B1 (ko)
EP (1) EP0871836B1 (ko)
JP (1) JP4031042B2 (ko)
KR (1) KR19990077063A (ko)
CN (2) CN1081311C (ko)
AT (1) ATE320574T1 (ko)
AU (1) AUPN744696A0 (ko)
CA (1) CA2242350C (ko)
DE (1) DE69735472T2 (ko)
WO (1) WO199702556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538A (ko) * 2001-06-09 2002-12-16 캐리어엘지 유한회사 절곡기의 안전운전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93539A (ko) * 2001-06-09 2002-12-16 캐리어엘지 유한회사 절곡기의 안전운전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0993B2 (en) * 1999-04-16 2003-12-09 Tirops Safety-Technology Inc. Safety apparatus and protection method for machines
AUPQ022199A0 (en) 1999-05-05 1999-06-03 Lazer Safe Pty Ltd Industrial press safety system
AT408026B (de) * 2000-02-04 2001-08-27 Trumpf Maschinen Austria Gmbh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e fertigungsmaschine, z.b. eine abkantpresse
DE10027156A1 (de) 2000-05-31 2001-12-06 Fiessler Elektronik Ohg Schutzeinrichtung für Maschinen, wie Abkantpressen, Schneidmaschinen, Stanzmaschinen oder dergleichen
US6734981B1 (en) 2000-11-28 2004-05-1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ultiple laser optical systems and methods
US6875993B2 (en) * 2001-04-12 2005-04-0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ptically detecting and identifying objects in an environment
FR2824285B1 (fr) * 2001-05-02 2003-10-24 Amada Europ Sa Machine de pliage a gestion optimisee
DE10123562A1 (de) * 2001-05-15 2002-11-21 Fiessler Elektronik Ohg Schutzeinrichtung für Maschinen, wie Abkantpressen, Schneidemaschinen, Stanzmaschinen oder dergleichen
US6817528B2 (en) * 2001-07-17 2004-11-1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Reflective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cally sensing relative torque employing Moirè fringes
DE10138223A1 (de) * 2001-08-03 2003-02-20 Sick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Lichtgitters
DE10143505B4 (de) * 2001-09-05 2010-07-08 Sick Ag Sicherungsverfahren und optoelektronischer Sensor
DE10152543A1 (de) 2001-10-24 2003-05-08 Sick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einer sicherheitsrelevanten Funktion einer Maschine
DE50205432D1 (de) 2001-12-13 2006-02-02 Fiessler Elektronik Gmbh & Co Schutzeinrichtung für Maschinen, wie Biegepressen, Schneidemaschinen, Stanzmaschinen oder dergleichen
AU2003215410B2 (en) * 2002-03-27 2008-07-10 Lazer Safe Pty Ltd. Multiple laser safety system
AUPS140902A0 (en) * 2002-03-27 2002-05-09 Lazer Safe Pty Ltd Multiple laser safety system
US7211975B2 (en) * 2002-05-10 2007-05-01 Wayne-Dalton Corp. Motorized barrier operator system adaptable to different safety configurations and methods for programming the same
WO2003104711A1 (en) * 2002-06-11 2003-12-18 Kevin Stephen Davies A safety system
ES2260550T3 (es) * 2002-07-31 2006-11-01 FIESSLER ELEKTRONIK GMBH & CO. KG Dispositivo de proteccion para maquinas, tales como maquinas plegadoras, cizalladoras, troqueladoras o similares.
DE10247136A1 (de) * 2002-10-09 2004-04-22 Sick Ag Schutzvorrichtung zur Überwachung eines mit einem Bauteil zu bewegenden Schutzbereichs
DE20217426U1 (de) 2002-11-05 2003-01-16 Pilz Gmbh & Co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e Maschine, insbesondere für eine Biegepresse
DE10311066B4 (de) * 2003-03-13 2006-06-08 Schwing Gmbh Rohrreinigungssystem mit Sicherheitseinrichtung
DE10342431A1 (de) 2003-09-13 2005-04-07 Fiessler Elektronik Ohg Schutzeinrichtung für Maschinen, wie Abkantpressen, Schneidemaschinen, Stanzmaschinen oder dergleichen
CN100386160C (zh) * 2003-12-11 2008-05-07 凯文·斯蒂芬·戴维斯 控制系统
DE102004017285A1 (de) * 2004-04-08 2005-10-27 Sick Ag Verfahren zur Justage einer Sicherheitseinrichtung und optoelektronische Sicherheitseinrichtung
DE102004058472B4 (de) 2004-11-24 2006-12-14 Pilz Gmbh & Co. Kg Sicherheits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Bestimmen eines Nachlaufweges bei einer Maschine
DE102004058471A1 (de) 2004-11-24 2006-06-08 Pilz Gmbh & Co. Kg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e automatisiert arbeitende Anlage mit zumindest einem automatisiert bewegbaren Anlagenteil
US7402793B2 (en) * 2005-02-28 2008-07-22 Arachnid,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energizing a rotating object
DE102006028158A1 (de) * 2006-06-16 2007-12-20 Kokemor, Manfred, Dipl.-Ing. (FH) Verfahren zur gleichzeitigen Ermittlung und Überwachung von Positionen, Niveaus, Räumen oder Gegenständen mittels optischem Kombisensor
US7439512B2 (en) * 2006-06-26 2008-10-21 Qualex Manufacturing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unsafe conditions
US8101917B2 (en) * 2006-06-26 2012-01-24 Qualex Manufacturing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unsafe conditions
DE102007006306A1 (de) * 2007-01-30 2008-07-31 Pilz Gmbh & Co. Kg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e Maschine
DE202008003444U1 (de) 2007-03-05 2008-07-10 Pilz Gmbh & Co. Kg Sicherheitseinrichtung zum Absichern einer Maschine
US8314393B2 (en) 2008-12-23 2012-11-20 Qualex Manufacturing, 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unsafe conditions
DE102008063079A1 (de) * 2008-12-24 2010-07-01 Pantron Instruments Gmbh Lichtschranke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Lichtschranke
CN102072969A (zh) * 2009-11-25 2011-05-25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一种面向纳米观测及纳米操作无损自动逼近装置
DE102010011786A1 (de) 2010-03-17 2011-09-22 Sick Ag Verfahren und Sicherheitsvorrichtung zur Steuerung und Absicherung einer Maschine
DE202010004438U1 (de) 2010-03-29 2011-08-11 Pilz Gmbh & Co. Kg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e Maschine, bei der ein erstes Maschinenteil eine Arbeitsbewegung gegen ein zweites Maschinenteil ausführt
CN102441849B (zh) * 2010-10-13 2014-02-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玻璃加工设备
CN102527876A (zh) * 2010-12-31 2012-07-04 中国科学院金属研究所 冲床安全显示装置
CN103359345A (zh) * 2012-03-29 2013-10-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标贴压紧装置
US9103496B2 (en) * 2012-10-29 2015-08-11 167811 Canada Inc. Light curtain with machine sensing
CN102921833A (zh) * 2012-11-23 2013-02-13 昆山腾宇鑫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自动缩管机用保护装置
CN103111550B (zh) * 2013-01-28 2015-06-24 孙振刚 折弯机用安全保护器
JP6408924B2 (ja) * 2015-02-02 2018-10-17 株式会社アマダホールディングス プレスブレーキにおける安全装置取り付け構造及びプレスブレーキ
JP6530922B2 (ja) * 2015-02-13 2019-06-12 株式会社プリントパック 断裁機
NZ737741A (en) * 2015-07-13 2018-05-25 Koch Agronomic Services Llc Highly concentrated phosphoric or thiophosphoric triamide formulation
JP6243954B2 (ja) * 2016-04-14 2017-12-06 株式会社アマダホールディングス プレスブレーキの安全装置
ITUA20163520A1 (it) * 2016-05-17 2017-11-17 Comau Spa "Dispositivo automatizzato con una struttura mobile, particolarmente un robot"
AT518639B1 (de) 2016-07-26 2017-12-15 Trumpf Maschinen Austria Gmbh & Co Kg Werkstückbearbeitungsmaschin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 Werkstückbearbeitungsmaschine
CN106247154A (zh) * 2016-08-29 2016-12-21 山东穆柯传感器有限公司 一种光电保护装置
CN106345355B (zh) * 2016-08-30 2023-03-14 中国检验认证集团宁波有限公司 控温型可变振幅水平振荡器
AT519646B1 (de) * 2017-03-09 2018-09-15 Trumpf Maschinen Austria Gmbh & Co Kg Sicherheitssystem für eine Fertigungsanlage
DE102017111066A1 (de) * 2017-05-22 2018-11-22 Khs Gmbh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s Prozesses
US10197219B1 (en) 2017-08-04 2019-02-05 Jason Boyer Secondary light curtain for detecting crush zone intrusion in a secondary process and associated method for use
NL2019681B1 (en) * 2017-10-06 2019-04-15 Nicole Serafine Zeldenrust A system,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cting an object
CN108049330B (zh) * 2017-12-20 2019-09-24 李芳华 一种城市道路用安全限高装置
DE202018103290U1 (de) 2018-06-12 2019-09-16 Pilz Gmbh & Co. Kg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e Maschine, insbesondere für eine Biegepresse
AT521530B1 (de) * 2018-07-27 2020-04-15 Trumpf Maschinen Austria Gmbh & Co Kg Biegepress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iegepresse
US11406548B2 (en) * 2018-09-27 2022-08-09 Hill-Rom Services, Inc. Obstacle detection IR beam filter
JP6674997B1 (ja) * 2018-12-25 2020-04-01 株式会社アマダホールディングス 光学式安全装置、プレスブレーキ、及びワーク検出方法
DE102019102004B3 (de) * 2019-01-28 2020-06-10 Pilz Gmbh & Co. Kg Verbessertes Zugangsabsicherungssystem zum Absichern einer Maschine oder Anlage
JP7247731B2 (ja) * 2019-04-24 2023-03-29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プレス機械用安全装置該安全装置を備えたプレス機械
CN111151177B (zh) * 2020-01-11 2021-11-19 仲东明 一种用于种子与农药搅拌混合的农机装置
CN113145697B (zh) * 2021-04-18 2022-06-03 南京盛大重工机械有限公司 一种单伺服泵控电液折弯机
CN114325203B (zh) * 2022-01-12 2023-07-14 江苏本川智能电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改善测试压床安全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58128A (en) * 1930-07-08 1934-05-08 Goodrich Co B F Safety device for machines
DE852037C (de) * 1942-11-20 1952-10-09 Heinz Georg Waldschmidt Elektrische Lichtgitterschutzvorrichtung fuer mittlere und grosse Werkzeugmaschinen mit geringer Drehzahl, insbesondere Pressen
GB1307078A (en) * 1970-04-10 1973-02-14 Price Machine Guards Ltd Guards for up-stroking presses
US3970846A (en) 1973-10-29 1976-07-20 Xenex Corporation Presence detecting system with self-checking
SE7507246L (sv) * 1974-07-04 1976-01-05 Vega Cantley Instr Co Ltd Sekerhetsanordningar och i synnerhet men icke uteslutande till pulsmodulerade ljusskydd for anvendning pa maskiner och maskinverktyg.
AU509436B2 (en) * 1976-05-05 1980-05-15 3M Australia Pty Limited Optoelectronic detection apparatus
US4166369A (en) * 1978-04-06 1979-09-04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Safety device for press brake
JPS59102298U (ja) * 1982-12-27 1984-07-1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プレス機械のスライド停止位置制御装置
AU566795B2 (en) * 1983-11-07 1987-10-29 Nevio Filcich Safety sensing for presses
US4660703A (en) * 1983-11-07 1987-04-28 Nevio Filcich Method and apparatus for machine safety
WO1990008333A1 (en) * 1988-11-04 1990-07-26 Mats Linger Safety guard beam light switch
AU667057B2 (en) * 1991-10-18 1996-03-07 Thomas John Appleyard Brake press safety apparatus
DE4338978C2 (de) * 1993-11-15 1998-05-07 Sick Ag Verfahren zur Feststellung defekter Lichtsender und/oder Lichtempfänger eines Lichtgitters und Lichtgit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538A (ko) * 2001-06-09 2002-12-16 캐리어엘지 유한회사 절곡기의 안전운전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93539A (ko) * 2001-06-09 2002-12-16 캐리어엘지 유한회사 절곡기의 안전운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35472D1 (de) 2006-05-11
JP4031042B2 (ja) 2008-01-09
EP0871836A1 (en) 1998-10-21
CN1396404A (zh) 2003-02-12
CN100491803C (zh) 2009-05-27
WO1997025568A1 (en) 1997-07-17
US6316763B1 (en) 2001-11-13
JP2000502782A (ja) 2000-03-07
DE69735472T2 (de) 2006-12-14
ATE320574T1 (de) 2006-04-15
EP0871836A4 (en) 2002-05-22
CA2242350C (en) 2005-08-09
CA2242350A1 (en) 1997-07-17
EP0871836B1 (en) 2006-03-15
AUPN744696A0 (en) 1996-02-01
CN1081311C (zh) 2002-03-20
CN1211307A (zh) 1999-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7063A (ko) 가동부재에 장착하기 위한 광학 안전장치
US6660993B2 (en) Safety apparatus and protection method for machines
EP0865636B1 (en) Continuous real time safety-related control system
US7412861B2 (en) Device for monitoring an area of coverage on a work tool
JP5473044B2 (ja) 安全光電スイッチ
JP4099419B2 (ja) 物体認識方法及び光グリッド
US5434457A (en) Foot pedal safety switch and safety circuit
US6047634A (en) Fail-safe automatic sliding operation control apparatus for press
WO1997021182A9 (en) Continuous real time safety-related control system
JP6560528B2 (ja) 成形装置及び成型装置を作動させる方法
JP2010503096A (ja) 工作機械監視装置
TWI473681B (zh) 工具設定或分析裝置
US7454935B2 (en) Safety method and optoelectronic sensor
JP5572319B2 (ja) 安全光電スイッチ
JP5478085B2 (ja) 光走査型光電スイッチ及びこれを組み込んだ外乱光表示装置
AU2008249222A1 (en) Optical safety device for mounting on a moving member
JP5393184B2 (ja) 安全光電スイッチ
US7578156B2 (en) Safety method and safety device for a machine, especially a bending press
AU774428B2 (en) Optical safety device for mounting on a moving member
US11517951B2 (en) Safety device for a machine and method of operating a safety device
AU1186697A (en) Optical safety device for mounting on a moving member
EP0931975B1 (en) Light-controlled safety switch
JP5393183B2 (ja) 安全光電スイッチ及びこれを使った安全制御方法
JPH1190696A (ja) プレス機械の運転装置
EP4170438A1 (en) Safety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