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3001A -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의바인더 및 그것들을 이용한 리튬이온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의바인더 및 그것들을 이용한 리튬이온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3001A
KR20020093001A KR1020027012656A KR20027012656A KR20020093001A KR 20020093001 A KR20020093001 A KR 20020093001A KR 1020027012656 A KR1020027012656 A KR 1020027012656A KR 20027012656 A KR20027012656 A KR 20027012656A KR 20020093001 A KR20020093001 A KR 20020093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ion secondary
lithium ion
mjm
surface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2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6881B1 (ko
Inventor
오타나오토
소가베도시아키
구로다고지
Original Assignee
도요탄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탄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탄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93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3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8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1Physical characteristics, e.g. porosity, surface are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진법에서 얻을 수 있는 X선 파라미터 내, d002가 0.3370nm 이하의 흑연을 포함하는 탄소재를 활성물질의 일부로서 이용하고, 표면에너지(γs)가 30mJm-2이상의 고분자재료를 바인더로 하여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의 바인더 및 그것들을 이용한 리튬이온 이차전지{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ATHODE, BINDER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ATHODE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USING THEM}
근래, 전자기기, 특히 휴대전화나 노트북 등의 휴대기기는 소형화, 경량화의 경향이 눈부시다. 이에 수반하여 이것들을 구동시키는 이차전지가 매우 중요한 부품이 되고 있다. 이들 이차전지 중에서도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경량이고 에너지 밀도가 높은 점에서 이들 휴대기기의 구동용 전원으로서 연구·공업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 리튬이온 이차전지 음극에는 안전성이라는 점 등에서 흑연을 포함하는 탄소재의 활성물질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 흑연은 리튬과 층간화합물을 형성하는활성물질이다. 리튬이온 이차전지 음극에서는 전해액 중에서 음극활성물질에 포함되는 흑연층간에 리튬을 전기화학적으로 삽입(인터컬레이션/탈(脫)인터컬레이션)하는 것에 의해 충방전이 실행되고 있다. 이 흑연층간에 리튬을 전기화학적으로 삽입(인터컬레이션/탈인터컬레이션)할 때에 중요한 것은 이 리튬의 삽입(인터컬레이션/탈인터컬레이션) 이외의 부반응, 예를 들면 전해액의 분해 등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다.
리튬이온 이차전지에서는 리튬이 물과 반응하기 때문에, 전해액으로서 유기용매를 주체로 하는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 전해액으로서는 전위창이 넓고 안정된 프로필렌카보네이트(이하, PC)라는 유기용매에 리튬염(LiClO4, LiPF6, LiBF4, LiAsF6등)을 용해한 것이 기대되고 있다.
그런데, PC는 리튬을 탄소재에 인터컬레이션하기 전에 분해반응이 우선적으로 발생되어 버려 리튬의 탄소재로의 인터컬레이션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이를 대신하는 용매로서 에틸렌카보네이트(이하, EC)와 에테르계 용매와의 혼합전해액이 흑연을 포함하는 탄소재를 음극활성물질로서 사용하고 있는 리튬이차전지의 전해액으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에테르계 전해액은 비점이 낮기 때문에, 고온분위기에서 사용할 수 없고, 전지의 자기발열에도 약하다는 결점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노트북이나 휴대용 비디오 카메라 등과 같이 장시간 사용하는 것에는 부적합하기 때문에, 고온분위기나 자기발열에도 강한 전해액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PC는 이 점에서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흑연으로 이루어지는 음극활성물질과 반응하여 분해되어 버리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PC를 전해액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흑연을 포함하는 탄소재로 이루어지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의 바인더 및 그것들을 이용한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 그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의 바인더 및 그것들을 이용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특히, 표면에너지(γs)가 30mJm-2이상의 고분자 재료를 바인더에 이용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 및 그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의 바인더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한 바인더의 표면에너지(γs)를 측정할 때에 이용한 물(θW) 및 요오드화 메틸렌(θMI)에 대한 접촉각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이차전지의 충전곡선을 나타낸 도면 및
도 3은 바인더의 종류와 용량 및 충방전효율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전해액의 PC와 음극활성물질 중의 흑연과의 직접 접촉을 피하고, PC의 분해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활성물질 중에 흑연을 결합하는 고분자재료로 이루어지는 바인더의 표면에너지를 제어하고, 흑연과 바인더의 계면 에너지를 제어하여 PC의 분해반응이 억제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본 발명의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은 학진법에서 얻을 수 있는 X선 파라미터 내, d002가 0.3370nm 이하의 탄소재를 활성물질의 일부로서 이용하고, 표면에너지(γs)가 30mJm-2이상의 고분자재료를 바인더로 하여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음극활성물질의 일부에 이용되는 탄소재로서는 학진법에서 얻을 수 있는 X선 파라미터 내, d002가 0.3370nm 이하의 천연흑연, 인조흑연, 수지탄, 천연물의 탄화물, 석유 코크스, 석탄 코크스, 피치 코크스, 메소카본 마이크로비즈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천연흑연 또는 인조흑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안정성이 높고 또한 높은 용량의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학진법에서 얻을 수 있는 X선 파라미터 내, d002가 0.3370nm 이하의 탄소재는 흑연화도가 0.4 이상이고, 리튬의 인터컬레이션 과정이 지배적인 영역이 된다.
표면에너지(γs)가 30mJm-2이상이면, 탄소재의 표면에너지(γs)(예를 들면, 천연흑연은 120mJm-2정도)와의 차를 작게 할 수 있어 계면 에너지를 감소시켜 안정화시키고, 접착업무를 크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은 상기 표면에너지(γs)가 물 및 요오드화 메틸렌을 시험액체로 하는 실온에서의 접촉각 측정에서 하기 수학식 1, 수학식 2, 수학식 3을 이용하여 계산된 값이다.
단, θ는 각각의 시험액체에서의 접촉각, γsd와 γLd는 각각 고분자재료와 시험액체의 표면에너지의 분산성분, γsp와 γLp는 각각 고분자재료와 시험액체의 표면에너지의 극성성분이다. 또, 물 및 요오드화 메틸렌의 표면에너지값은
물: γLd=21.8mJm-2, γLp=51.0mJm-2
요오드화 메틸렌: γLd=48.5mJm-2, γLp=2.3mJm-2
을 이용한 것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은 상기 고분자재료가 주사슬(主鎖) 또는 측사슬(側鎖)에 전기화학적으로 활성인 카르보닐기를 갖는 고분자재료에 있어서, 하기 수학식 4에서 나타낸 상기 카르보닐기의 상기 고분자재료 중의 함유율이 0.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학식 4에서 나타내는 카르보닐기의 상기 고분자재료 중의 함유율이 0.05 이상, 바람직하게는 0.10 이상의 것을 사용하여 용량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고분자재료가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아미드 중 어느 하나 또는 두개 이상을 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들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아미드 중에서도 특히 방향족 폴리이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이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 중 어느 하나 또는 두개이상을 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은 상기 활성물질 중의 다른 물질에 금속 또는 금속을 포함한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전해액의 PC를 분해하는 것이 없고, 흑연을 포함하는 탄소재를 활성물질의 일부로서 이용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의 바인더는 물 및 요오드화 메틸렌을 시험액체로 하는 실온에서의 접촉각측정에서 하기 수학식 1, 수학식 2, 수학식 3을 이용하여 계산된 표면에너지(γs)가 30mJm-2이상의 값인 고분자재료이다.
(수학식 1)
(수학식 2)
(수학식 3)
단, θ는 각각의 시험액체에서의 접촉각, γsd와 γLd는 각각 고분자재료와 시험액체의 표면에너지의 분산성분, γsp와 γLp는 각각 고분자재료와 시험액체의 표면에너지의 극성성분이다. 또, 물 및 요오드화 메틸렌의 표면에너지값은
물: γLd=21.8mJm-2, γLp=51.0mJm-2
요오드화 메틸렌: γLd=48.5mJm-2, γLp=2.3mJm-2
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표면에너지(γs)가 30mJm-2이상이면, 탄소재의 표면에너지(γs)(예를 들면, 천연흑연은 120mJm-2정도)와의 차를 작게 할 수 있어 계면에너지를 감소시켜 안정화시키고 접착업무를 크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의 바인더는 상기 고분자재료가 주사슬 또는 측사슬에 전기화학적으로 활성인 카르보닐기를 갖는 고분자재료에 있어서, 하기 수학식 4에서 나타낸 상기 카르보닐기의 상기 고분자재료 중의 함유율이 0.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학식 4)
상기 수학식 4에서 나타내는 카르보닐기의 상기 고분자재료 중의 함유율이 0.05 이상, 바람직하게는 0.10 이상의 것을 사용하여 용량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고분자재료가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아미드 중 어느 하나 또는 두개 이상을 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들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아미드 중에서도 특히 방향족 폴리이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이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 중 어느 하나 또는 두개이상을 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이들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및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의 바인더를 이용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이다.
본 발명의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에 이용되는 음극활성물질의 일부에 이용되는 탄소재로서는 학진법에서 얻을 수 있는 X선 파라미터 내, d002가 0.3370nm 이하의 천연흑연, 인조흑연, 수지탄, 천연물의 탄화물, 석유코크스, 석탄코크스, 피치코크스, 메소카본마이크로비즈 중 어느 하나 또는 두개 이상을 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천연흑연 또는 인조흑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안전성이 높고 또한 높은 용량의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학진법에서 얻을 수 있는 X선 파라미터 내, d002가 0.3370nm 이하의 탄소재는 흑연화도가 0.4 이상이고, 리튬의 인터컬레이션 과정이 지배적인 영역이 된다.
이들 탄소재를 결합하는 바인더로서는 물 및 요오드화 메틸렌을 시험액체로하는 실온에서의 접촉각측정에서 하기 수학식 1, 수학식 2, 수학식 3을 이용하여 계산된 표면에너지(γs)가 30mJm-2이상의 고분자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학식 1)
(수학식 2)
(수학식 3)
단, θ는 각각의 시험액체에서의 접촉각, γsd와 γLd는 각각 고분자재료와 시험액체의 표면에너지의 분산성분, γsp와 γLp는 각각 고분자재료와 시험액체의 표면에너지의 극성성분이다. 또, 물 및 요오드화 메틸렌의 표면에너지값은
물: γLd=21.8mJm-2, γLp=51.0mJm-2
요오드화 메틸렌: γLd=48.5mJm-2, γLp=2.3mJm-2
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표면에너지(γs)가 30γmJm-2이상이면, 탄소재의 표면에너지(γs)(예를 들면, 천연흑연은 120mJm-2정도)와의 차를 작게 할 수 있고, 계면에너지를 감소시켜 안정화시키고 접착업무를 크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은 상기 고분자재료가 주사슬 또는 측사슬에 전기화학적으로 활성인 카르보닐기를 갖는 고분자재료에 있어서, 하기 수학식 4에서 나타낸 상기 카르보닐기의 상기 고분자재료 중의 함유율이 0.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학식 4)
상기 수학식 4에서 나타내는 카르보닐기의 상기 고분자재료 중의 함유율이 0.05 이상, 바람직하게는 0.10 이상의 것을 사용하여 용량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고분자재료는 그 화합물에 따라 공지방법, 예를 들면 저온중축합법을 이용하여 합성할 수 있고, 그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고분자재료 중에서는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아미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서는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이들 중에서도 특히, 방향족 폴리이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이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에서 선택된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방향족 폴리이미드가 바람직하다. 이들 방향족기를 포함하여 전자이동이 비교적 용이하게 실행된다.
이들 방향족 폴리이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이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도 공지방법, 예를 들면 저온중축합법을 이용하여 합성할 수 있다.
저온중축합법에 있어서는 테트라카본산 이무수물, 산클로라이드와 디아민을 반응시켜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아미드를 합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용하는 테트라카본산 이무수물로서는 피로메리트산 이무수물, 3,3',4,4'-디페닐테트라카본산 이무수물, 2,2',3,3'-디페닐테트라카본산 이무수물, 3,4,9,10-페릴렌테트라카본산 이무수물, 비스(3,4-디카르복시페닐)에테르 이무수물, 벤젠-1,2,3,4-테트라카본산 이무수물, 3,4,3',4'-벤조페논테트라카본산 이무수물, 2,3,2',3-벤조페논테트라카본산 이무수물, 2,3,3',4'-벤조페논테트라카본산 이무수물, 1,2,5,6,-나프탈렌테트라카본산 이무수물, 2,3,6,7,-나프탈렌테트라카본산 이무수물, 1,2,4,5-나프탈렌-테트라카본산 이무수물, 1,4,5,8-나프탈렌-테트라카본산 이무수물, 페난스렌-1,8,9,10-테트라카본산 이무수물, 피라진-2,3,5,6-테트라카본산 이무수물, 티오펜-2,3,4,5-테트라카본산 이무수물, 2,3,3',4'-비페닐테트라카본산 이무수물, 3,4,3',4'-비페닐테트라카본산 이무수물, 2,3,2',3'-비페닐테트라카본산 이무수물 등이 있고, 2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산클로라이드로서는 테레프탈산클로라이드, 이소프탈산클로라이드, 무수트리멜리트산모노클로라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디아민화합물로서는 3,3'-디아미노디페닐메탄, 3,3'-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3,3'-디아미노디페닐설폰, 3,3'-디아미노디페닐설피드, p-페닐렌디아민, m-페닐렌디아민, 4,4'-디아미노디페닐프로판,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3,3'-디아미노벤조페논, 4,4'-디아미노디페닐설피드, 4,4'-디아미노디페닐설폰, 4,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3,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1,5-디아미노나프탈렌 등이 있고, 2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이들을 합성하는 용매는 이들 원료수지 및 생성하는 고분자가 용해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반응성 및 음극제작시의 분산매체인 점에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2-피롤리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음극활성물질 중에 탄소재 이외에 필요에 따라 붕소나 규소 등의 금속이 첨가되어 열처리된 것이어도 좋다. 이들을 소정의 분쇄, 분급 등의 처리에 의해 필요한 입도로 조정하여 이차전지용 음극재의 활성물질로 한다.
또, 탄소재 이외에 금속 또는 금속의 화합물을 유기고분자 이외의 활성물질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금속으로서는 주석, 규소 등을 들 수 있다. 또, 금속의 화합물로서는 각종 금속의 산화물, 염화물, 질화물, 붕화물, 인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들 바인더가 되는 방향족 폴리이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이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 특히 방향족 폴리이미드의 상기 수학식 1, 수학식 2 및 수학식 3에서 요구되는 표면에너지(γs)가 30mJm-2이상의 것을 사용하여 전해액 중의 PC가 분해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전지의 자기발열 등에 의해 온도가 높아진 경우에 있어서도 리튬을 탄소재에 인터컬레이션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고온분위기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이차전지용 음극으로 할 수 있다. 또, 이차전지용 음극재의 활성물질을 높은 전기용량을 갖는 상기 수학식 4에서 나타나는 카르보닐기의 상기고분자재료 중의 함유율이 0.05 이상, 바람직하게는 0.10 이상인 방향족 폴리이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이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 보다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폴리이미드를 바인더로서 이용하여 음극으로서의 활성물질의 양을 줄이지 않고 이들 방향족 폴리이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이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가 갖는 전기용량을 이차전지로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이 방향족 폴리이미드 등의 바인더는 이차전지용 음극의 활성물질의 바인더로서만이 아니라, 동(銅) 등의 집전체로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결합재로서도 작용한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이차전지용 음극에 리튬을 포함하는 비정질 화합물을 형성하여 이차전지용 음극의 표면반응을 억제하고, 또한 전체 용량을 높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겔형상 금속알콕시드에 용액분과 함께 수산화리튬 등을 첨가하고, 이것을 본 발명에 관련된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의 표면에 도포한다. 그 후, 용액분을 건조시켜서 더욱 고용량의 이차전지용 음극으로 할 수 있다. 또, 이들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 및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의 바인더를 이용한 리튬이온 이차전지로 할 수 있다. 또, 비정질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금속 알콕시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이하의 셀 제작 및 측정은 모두 노점(露点)이 -70℃ 이하의 아르곤 글로브박스 속에서 실행하고, 양음극 사이즈는 4×4cm로 했다.
(실시예 1)
바인더로서 불소계 폴리이미드(이하, 6FDA-PDA)를 사용했다. 이를 미리 합성한 합성용매의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에 첨가했다. 6FDA-PDA와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합성용액을 유리판 상에 도포했다. 건조후, 표면을 n-헥산으로 세정하고, 80℃에서 10분간 건조한 후, 물 및 요오드화 메틸렌을 시험액체로 하여 실온에서 각각의 접촉각을 측정했다. 각 접촉각을 측정한 후, 하기 수학식 1, 수학식 2, 수학식 3에 의해 바인더 6FDA-PDA의 표면에너지(γs)를 계산하여 구했다. 이것에서 구한 표면에너지(γs)는 35.1mJm-2였다.
(수학식 1)
(수학식 2)
(수학식 3)
이것에 바인더가 10질량%가 되도록, 평균입자직경 20㎛, 학진법에서 얻을 수 있는 X선 파라미터 내, d002가 0.3354nm의 비늘형상 천연흑연분말을 첨가하여 슬러리를 조정했다. 이어서, 두께 20㎛의 동박으로 이루어지는 집전체의 표면에 도포하고, 이것을 1.3kPa, 135℃에서 17시간 건조시켜 합성용매인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를 제거했다. 그리고, 또, 300℃에서 1시간, 불활성 기체분위기 하에서 폴리아미드산의 폴리이미드로의 전화(轉化)처리를 실행하고, 압연후 소정 형상으로 가공하여 목적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음극을 얻었다. 이 이차전지용 음극을 이용하여 삼극셀을 조립했다. 대극(對極) 및 참조극에는 리튬금속을 이용했다. 전해액에는 LiClO4를 1mol/리터 포함하는 에틸렌카보네이트/PC(1/1vol%)의 혼합액을 이용했다.
(실시예 2)
바인더로서 폴리아미드(이하, PA)를 사용했다. 이것을 합성용매인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에 첨가하여 합성용액을 합성했다. 표면에너지(γs)는 42.8mJm-2이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이차전지용 음극으로 했다.
(실시예 3)
바인더로서 폴리이미드(이하, BPDA-PDA)를 사용했다. 이것을 합성용매인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에 첨가하여 합성용액을 합성했다. 표면에너지(γs)는 41.4mJm-2였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이차전지용 음극으로 했다.
(실시예 4)
바인더로서 시판되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분말(이하, PVC)을 사용했다. 이것을 합성용매인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에 첨가하여 합성용액을 합성했다. 표면에너지(γs)는 40.8mJm-2였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이차전지용 음극으로 했다.
(비교예 1)
바인더로서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이하, PVdF)을 사용했다. 이것을 합성용매인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에 첨가하여 합성용액을 합성했다. 표면에너지(γs)는 28.4mJm-2였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이차전지용 음극으로 했다.
(비교예 2)
바인더로서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고무(이하, EPDM)를 사용했다. 이것을 시클로헥산에 용해하여 합성용액을 조정했다. 표면에너지(γs)는 23.6mJm-2였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이차전지용 음극으로 했다.
또,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및 2에 사용한 바인더의 표면에너지(γs)를 측정할 때에 이용한 물 및 요오드화 메틸렌에 대한 접촉각을 도 1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여기에서 표 중에 있어서 θW는 물의 접촉각, θMI는 요오드화 메틸렌의 접촉각이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및 2에 의한 이차전지를 전류밀도 1.56mAcm-2에서 4mV까지 충전하고, 그 후 0mA까지 정전위에서 충전하고, 1.5V까지 1.56mAcm-2에서 방전했다. 충전곡선을 도 2에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에서는 PC의 분해에 의한 0.8V 부근의 평탄역은 볼 수 없다. 한편, 비교예에서는 평탄역이 존재하여 PC가 분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바인더의 표면에너지를 30mJm-2이상으로 제어하여 탄소재와의 계면에너지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전해액 중에 포함되는 PC가 탄소재와 직접 접촉하지않게 되어 PC의 분해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실시예 5 내지 실시예 12 및 비교예 3, 4에 의해 표면에너지가 30mJm-2이상의 바인더를 이용하고(비교예 3을 제외), 그 고분자 재료 중의 카르보닐기의 하기 수학식 4에서 나타낸 함유율과 용량 및 충방전 효율의 관계에 대해 나타낸다.
(수학식 4)
(실시예 5)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이하, PMDA)과 p-페닐렌디아민(이하, PDA)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아미드산을 바인더로 했다. 이것을 농도가 10중량%가 되도록 합성용매인 N-메틸-2-피롤리돈(이하, NMP)에 첨가하여 합성용액을 합성했다.
다음에 평균입자직경이 20㎛인 비늘형상 흑연분 95g에 바인더가 5g, 즉 바인더량이 5질량%가 되도록 비늘형상 흑연분을 이 용액에 첨가하여 조정했다. 이어서 두께 20㎛의 동박으로 이루어지는 집전체의 표면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NMP을 제거했다. 그리고, 300℃에서 1hr, 불활성 기체분위기 하에서 폴리아미드산의 폴리이미드로의 전화처리를 실행하고, 압연후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하여 목적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음극을 얻었다. 이 이차전지용 음극을 이용하여 삼극셀을 조립했다. 대극 및 참조극에는 리튬금속을 이용하고, 25mA에서 0V까지 충전하고 리튬을 흑연에 인터컬레이션했다. 그 후 3V까지 방전하여 디인터컬레이션을 실행했다. 전해액에는 LiClO4를 1mol/L 포함하는 에틸렌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1:1(체적비)의 혼합액을 이용했다. 1사이클째의 충전용량은 469mAh/g, 방전용량은 396mAh/g이고, 이들의 비에서 정의되는 방전효율은 84.4%였다. 또, 이들 값은 이하에 나타내는 비교예와의 대응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폴리이미드가 가진 용량을 흑연분의 용량에 가산하여 폴리이미드 자체는 바인더로서만 기능하는 것으로 하여 계산했다. 300사이클 후의 방전용량의 저하는 20% 이내였다.
(실시예 6)
실시예 5에 있어서 PDA를 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이하, DDE)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같은 순서로 셀조립과 충방전시험을 실행했다. 1사이클째의 충전용량은 424mAh/g, 방전용량은 368mAh/g, 방전효율은 86.8%였다. 300사이클 후의 방전용량의 저하는 20% 이내였다.
(실시예 7)
실시예 5에 있어서 PDA를 1,4-비스(4-아미노페녹시)벤젠(이하, BAPB)으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같은 순서로 셀조립과 충방전 시험을 실행했다. 1사이클째의 충전용량은 400mAh/g, 방전용량은 352mAh/g, 방전효율은 88.0%였다. 300사이클 후의 방전용량의 저하는 20% 이내였다.
(실시예 8)
실시예 5에 있어서 PMDA를 3,4,3',4,4',-비페닐테트라카본산 이무수물(이하, BPDA)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같은 순서로 셀조립과 충방전 시험을 실행했다. 1사이클째의 충전용량은 468mAh/g, 방전용량은 405mAh/g, 방전효율은 86.5%였다. 300사이클 후의 방전용량의 저하는 20% 이내였다.
(실시예 9)
실시예 8에 있어서 PDA를 DDE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같은 순서로 셀조립과 충방전 시험을 실행했다. 1사이클 째의 충전용량은 451mAh/g, 방전용량은 387mAh/g, 방전효율은 85.8%였다. 300사이클 후의 방전용량의 저하는 20% 이내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8에 있어서 PDA를 BAPB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같은 순서로 셀조립과 충방전 시험을 실행했다. 1사이클 째의 충전용량은 459mAh/g, 방전용량은 389mAh/g, 방전효율은 84.7%였다. 300사이클 후의 방전용량의 저하는 20% 이내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5에 있어서 바인더량을 10질량%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같은 순서로 셀조립과 충방전시험을 실행했다. 1사이클 째의 충전용량은 553mAh/g, 방전용량은 471mAh/g, 방전효율은 85.2%였다. 300사이클 후의 방전용량의 저하는 20% 이내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8에 있어서, 바인더량을 10질량%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같은 순서로 셀조립과 충방전시험을 실행했다. 1사이클째의 충전용량은 567mAh/g,방전용량은 510mAh/g, 방전효율은 89.9%였다. 300사이클 후의 방전용량의 저하는 20% 이내였다.
(비교예 3)
실시예 5에 있어서, 바인더에 비교에 1과 같은 PVdF를 이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같은 순서로 셀조립과 충방전시험을 실행했다. 1사이클 째의 충전용량은 388mAh/g, 방전용량은 360mAh/g, 방전효율은 92.8%였다. 300사이클 후의 방전용량의 저하는 20% 이내였다.
(비교예 4)
실시예 5에 있어서, 바인더에 폴리스틸렌을 이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같은 순서로 셀조립과 충방전 시험을 실행했다. 1사이클째의 충전용량은 376mAh/g, 방전용량은 347mAh/g, 방전효율은 92.3%였다. 300사이클 후의 방전용량의 저하는 20% 이내였다.
이상의 결과를 도 3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도 3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음극활성물질의 일부에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아미드류를 이용한 실시예 5 내지 실시예 12는 종래의 음극활성물질을 이용한 비교예 3 및 비교예 4와 비교하면, 고용량인 것을 알 수 있다. 또, 300사이클 후의 충방전효율도 동등 이상의 효율인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고, 전해액에 PC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PC의 분해반응이 억제되고, 전지의 장시간 사용에 의한 자기발열에 의한 고온화, 또는 고온분위기 하에 있어서도 사용할 수 있는 충방전 효율이 높은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의 바인더 및 이들을 이용한 리튬이온 이차전지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바인더를 첨가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 때문에, 이차전지용 음극 전체의 음극활성물질재의 양을 감소시키는 일도 없어져서 전지의 용량을 높이고, 또한 충방전 효율을 향상시킨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의 바인더 및 이들을 이용한 리튬이온 이차전지로 할 수 있다.

Claims (14)

  1. 학진법에서 얻을 수 있는 X선 파라미터 내, d002가 0.3370nm 이하의 탄소재를 활성물질의 일부로서 이용하고, 표면에너지(γs)가 30mJm-2이상의 고분자재료를 바인더로 하여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에너지(γs)가 물 및 요오드화 메틸렌을 시험액체로 하는 실온에서의 접촉각측정에서 하기 수학식 1, 수학식 2, 수학식 3을 이용하여 계산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
    (수학식 1)
    (수학식 2)
    (수학식 3)
    (상기 수학식에서, 단, θ는 각각의 시험액체에서의 접촉각, γsd와 γLd는 각각 고분자재료와 시험액체의 표면에너지의 분산성분, γsp와 γLp는 각각 고분자재료와 시험액체의 표면에너지의 극성성분이다. 또, 물 및 요오드화 메틸렌의 표면에너지값은
    물: γLd=21.8mJm-2, γLp=51.0mJm-2
    요오드화 메틸렌: γLd=48.5mJm-2, γLp=2.3mJm-2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재료가 주사슬 또는 측사슬에 전기화학적으로 활성인 카르보닐기를 갖는 고분자재료에 있어서, 하기 수학식 4에서 나타낸 상기 카르보닐기의 상기 고분자재료 중의 함유율이 0.0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
    (수학식 4)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재료가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아미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재료가 방향족 폴리이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이미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재가 천연흑연, 인조흑연, 수지탄, 천연물의 탄화물, 석유코크스, 석탄코크스, 피치코크스, 메소카본마이크로비즈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재가 천연흑연 또는 인조흑연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물질이 금속 또는 금속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
  9. 물 및 요오드화 메틸렌을 시험액체로 하는 실온에서의 접촉각측정에서 하기 수학식 1, 수학식 2, 수학식 3을 이용하여 계산된 표면에너지(γs)가 30mJm-2이상인 고분자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의 바인더.
    (수학식 1)
    (수학식 2)
    (수학식 3)
    (상기 수학식에서, 단, θ는 각각의 시험액체에서의 접촉각, γsd와 γLd는 각각 고분자재료와 시험액체의 표면에너지의 분산성분, γsp와 γLp는 각각 고분자재료와 시험액체의 표면에너지의 극성성분이다. 또, 물 및 요오드화 메틸렌의 표면에너지값은
    물: γLd=21.8mJm-2, γLp=51.0mJm-2
    요오드화 메틸렌: γLd=48.5mJm-2, γLp=2.3mJm-2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재료가 주사슬 또는 측사슬에 전기화학적으로 활성된 카르보닐기를 갖는 고분자재료에 있어서, 하기 수학식 4에서 나타낸 상기 카르보닐기의 상기 고분자재료 중의 함유율이 0.0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의 바인더.
    (수학식 4)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재료가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아미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의 바인더.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재료가 방향족 폴리이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이미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의 바인더.
  13. 제 1 항에 기재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을 이용한 리튬이온 이차전지.
  14. 제 9 항에 기재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의 바인더를 이용한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20027012656A 2000-03-29 2001-03-29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의바인더 및 그것들을 이용한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07168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095287 2000-03-29
JP2000095287 2000-03-29
JP2000310011 2000-10-11
JPJP-P-2000-00310011 2000-10-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3001A true KR20020093001A (ko) 2002-12-12
KR100716881B1 KR100716881B1 (ko) 2007-05-09

Family

ID=26588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2656A KR100716881B1 (ko) 2000-03-29 2001-03-29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의바인더 및 그것들을 이용한 리튬이온 이차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30049535A1 (ko)
EP (1) EP1274141A4 (ko)
KR (1) KR100716881B1 (ko)
CN (1) CN1213496C (ko)
TW (1) TW507394B (ko)
WO (1) WO20010738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6804A (ko) * 2009-03-31 2011-12-21 우베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전극용 바인더 수지 전구체 용액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74764B (en) * 2002-01-25 2004-02-01 Toyo Tanso Co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O2005089422A2 (en) * 2004-03-17 2005-09-29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s for purifying carbon materials
US7972725B2 (en) * 2004-11-08 2011-07-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lyimide electrode binders
CN100416897C (zh) * 2005-01-17 2008-09-0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二次电池的负极及包括该负极的锂离子二次电池
US20060216596A1 (en) * 2005-03-25 2006-09-28 Michael Cheiky PTFE copolymer and binding for coating cathode particles
US20070218364A1 (en) * 2005-10-05 2007-09-20 Whitacre Jay F Low temperature electrochemical cell
US7794880B2 (en) 2005-11-16 2010-09-14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Fluorination of multi-layered carbon nanomaterials
US7563542B2 (en) 2005-10-05 2009-07-21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Subfluorinated graphite fluorides as electrode materials
US8232007B2 (en) 2005-10-05 2012-07-31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Electrochemistry of carbon subfluorides
US8377586B2 (en) 2005-10-05 2013-02-19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Fluoride ion electrochemical cell
US20100221603A1 (en) * 2006-03-03 2010-09-02 Rachid Yazami Lithium ion fluoride battery
US7732095B2 (en) * 2005-12-01 2010-06-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ode compositions based on an amorphous alloy having a high silicon content
JPWO2007125712A1 (ja) * 2006-04-27 2009-09-10 デュポン帝人アドバンスドペーパー株式会社 電極シートの製造方法
US8658309B2 (en) * 2006-08-11 2014-02-25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Dissociating agents, formulations and methods providing enhanced solubility of fluorides
JP5305503B2 (ja) * 2008-05-22 2013-10-02 株式会社ピーアイ技術研究所 電池の電極の導電剤、それを含む電極及び電池
US20100141211A1 (en) * 2008-11-04 2010-06-10 Rachid Yazami Hybrid electrochemical generator with a soluble anode
KR101383948B1 (ko) 2009-11-16 2014-04-10 고쿠리츠다이가쿠호진 군마다이가쿠 리튬 이차 전지용 부극 및 그의 제조 방법
JP5338924B2 (ja) * 2010-11-30 2013-11-13 東レ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電極用バインダー、リチウムイオン電池負極用ペースト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負極の製造方法
KR101733744B1 (ko) * 2012-01-17 2017-05-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JP6523609B2 (ja) * 2013-03-26 2019-06-05 株式会社東芝 非水電解質電池用電極、非水電解質二次電池及び電池パック
ES2672305T3 (es) * 2013-06-21 2018-06-13 Cabot Corporation Carbonos conductores para baterías de iones de litio
CN110128653A (zh) * 2019-05-28 2019-08-16 汕头市鲁汕化工原料有限公司 一种高性能聚酰亚胺制备方法及其在锂电池电极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6880A (ja) * 1992-03-18 1993-10-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の製造法
JP3311402B2 (ja) * 1992-11-19 2002-08-05 三洋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
JP3133530B2 (ja) * 1992-12-28 2001-02-13 三洋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
JPH10188992A (ja) * 1996-12-24 1998-07-21 Sony Corp 非水電解液電池
JPH1173968A (ja) * 1997-08-29 1999-03-16 Hitachi Chem Co Ltd 二次電池
JPH1197028A (ja) * 1997-09-16 1999-04-09 Pi Gijutsu Kenkyusho:Kk 二次電池
JPH11158277A (ja) * 1997-12-01 1999-06-15 Kanegafuchi Chem Ind Co Ltd 電池電極用バインダー樹脂とその製造方法
JPH11185751A (ja) * 1997-12-16 1999-07-09 Asahi Glass Co Ltd 二次電源
EP0973180A3 (en) * 1998-07-14 2003-11-19 Asahi Glass Company Ltd. Secondary power source
US6632569B1 (en) * 1998-11-27 2003-10-14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Carbonaceous material for electrode and non-aqueous solvent secondary battery using this materi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6804A (ko) * 2009-03-31 2011-12-21 우베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전극용 바인더 수지 전구체 용액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13496C (zh) 2005-08-03
KR100716881B1 (ko) 2007-05-09
TW507394B (en) 2002-10-21
EP1274141A4 (en) 2009-02-18
EP1274141A1 (en) 2003-01-08
CN1422446A (zh) 2003-06-04
WO2001073874A1 (fr) 2001-10-04
US20030049535A1 (en) 200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93001A (ko)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의바인더 및 그것들을 이용한 리튬이온 이차전지
US6218050B1 (en) Cabonaceous material for negative electrode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same
US8771873B2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67786B1 (ko) 표면 코팅된 양극 활물질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EP3944391A1 (en) Electrolyte solution, lithium-ion battery, and device containing lithium-ion battery
US10381648B2 (en) Polyimide coated lithium titanate particles and use thereof in a lithium ion battery
US9225037B2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ionic liquid
EP2602848A1 (en)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US9991506B2 (en) Electrode binder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using same, lithium secondary battery, automobile, method for producing electrode binder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thium secondary battery
US11223041B2 (en) Anode active material and anode, electrochemic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2279820B1 (ko) 폴리아믹산 수용액 조성물
JP3621061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のバインダー及びそれら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2001345103A (ja) 二次電池用負極材及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二次電池用負極材の製造方法
KR101709697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JP4503807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の製造方法
KR20200031304A (ko)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EP3605674B1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material, and negative electrode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using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material
EP3790095A1 (en) Solid electroly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905940B1 (ko) 표면 코팅된 양극 활물질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US20230238573A1 (en) Secondary Battery
KR101733747B1 (ko) 이차전지 음극재용 폴리이미드 바인더
JPH1083807A (ja) 非水リチウム二次電池
JP7371970B1 (ja) リチウム二次電池
JP2005310662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US20230361302A1 (en) Positive electrode additiv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omprising same, positive electrod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