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8367A - 자동차의 짐칸 수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짐칸 수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8367A
KR20020088367A KR1020020026709A KR20020026709A KR20020088367A KR 20020088367 A KR20020088367 A KR 20020088367A KR 1020020026709 A KR1020020026709 A KR 1020020026709A KR 20020026709 A KR20020026709 A KR 20020026709A KR 20020088367 A KR20020088367 A KR 20020088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luggage compartment
receiving structure
wall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6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스펠클라우스
Original Assignee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20088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836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60R7/12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for supporting umbrell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2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separate luggage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짐칸 수용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짐칸 수용장치는 선행기술로부터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용 구조물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 구조물은 정지위치와 적어도 수용위치 사이의 짐칸의 내벽에서 움직일 수 있게 위치하며, 상기 수용 구조물은 상기 정지위치에서 상기 짐칸의 내벽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차의 짐칸 수용장치는 승용차에 삽입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짐칸 수용장치{Storage facility in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짐칸 수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수용장치는 메르세데스 에스(Mercedes-S) 승용차 짐칸용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수용장치에서 짐칸의 백미러 영역 내의 수용망은 짐칸용 해치(hatch)의 폭 이상으로 펼쳐진다. 상기 수용망은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주머니 형태의 수용망 개구부의 상부 가장자리는 탄력적인 버팀목(당기는 줄)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줄은 운반할 물체를 삽입 또는 제거할 필요에 따라 손을 사용하여 펼 수있다. 상기 수용망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뒷쪽의 짐칸용 해치의 대부분을 차단한다. 따라서, 트렁크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부피가 큰 물체를 상기 짐칸에 밀어넣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 수용망을 제거해야 한다.
본 발명은 처음에 언급한 종류의 자동차의 짐칸 수용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물체의 수용 및 운반을 가능케하고 부피가 큰 물체가 들어 있는 짐칸의 적재가 방해받지 않도록 배치하게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한 수용장치가 구비된 승용차의 뒷쪽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수용장치를 제1 위치에서 확대하여 도시하고,
도 3은 수용위치에 있는 도 2의 수용장치를 도시하며,
도 4는 상기 승용차의 짐칸이 개방될 경우에 도 1 내지 도 3의 수용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5는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수용장치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상기 목적은 수용 구조물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 구조물은 정지위치와 적어도 수용위치 사이의 짐칸의 내벽에서 움직일 수 있게 위치하며, 상기 수용 구조물은 상기 정지위치에서 상기 짐칸의 내벽에 접착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수용 구조물을 내벽에 배치하고 상기 수용 구조물의 정지위치에서 상기 내벽에 접착함으로써 상기 수용 구조물은 가장 공간절약적으로 보관되며 트렁크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부피가 큰 물체의 적재가 방해받지 않는다. 따라서, 부피가 큰 물체를 상기 짐칸에 밀어 넣을 경우에 상기 수용 구조물을 제거해서는 안된다. 상기 수용 구조물은 주머니 형태로 가요성있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 구조물은 최소한 포괄적으로 외형이 단단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승용차 짐칸 내의 상기 수용 구조물은 상부,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의 덮개 내벽의 하측 영역에 배치된다. 또한, 특히, 상기 수용 구조물은 상기 짐칸을 상부방향으로 제한하는 모자걸이의 하측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특히, 최소한 포괄적으로 외형이 단단한 수용 구조물에 적합하다. 주머니 또는 망 형태의 가요성 수용 구조물을 구비할 경우, 상기 수용 구조물은 자체 모서리 또는 가장자리 단면 영역 내 상기 모자걸이 하측에 고정되어야 하므로, 상기 수용 구조물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단지 한 측면으로만, 바람직하게는, 뒷쪽으로 상기 적재 및 제거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적재 및 제거 개구부는 앞서 설명한 선행기술에 따라 버팀목(당기는 줄)을 구비한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아직 사용되지 않은 상태의 개구부는 상기 줄의 팽창력에 의해 차단된다. 상기 수용 구조물을 상기 상부 덮개 내벽 영역 내에 배치함으로써 부피가 큰 물체를 적재 또는 제거할 때 어떠한 방해작용이 일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 구조물은 복원 스프링장치에 의해 상기 정지위치 방향에서 지속적으로 움직인다. 이로써, 상기 수용 구조물이 하나의 물체 또는 다수개의 물체를 수용하여 적재되는 한, 상기 수용 구조물은 강제적으로 자체 공간절약적인 정지위치로 이전될 수 있다. 상기 복원 스프링장치는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원 스프링장치의 모든 실시예에 따르면, 해당 스프링수단을 작동함으로써 상기 수용 구조물은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 최소한 포괄적으로 상기 짐칸 내벽에 접착되는 정지위치로 이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 구조물은 움푹 패인 형태로 굽어져 형성된다. 본 실시예는 특히, 외형이 단단한 수용 구조물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움푹 패인 형태로 인해 충분한 수용 공간이 보장된다. 상기 수용 구조물을 정지위치에서 최소한 포괄적으로 상기 짐칸의 내벽에 접착하기 위해서 상기 수용 구조물은, 상기 움푹 패인 형태가 상기 짐칸의 경계면의 대략 하나의 계단, 모서리 또는 가장자리로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물론 상기 정지위치와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 구조물은 가장자리에서 상기 내벽에 평행한 힌지(hinge) 축 주위를 회전 가동할 수 있게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수용 구조물은 단지 한 측면에만 고정할 수 있어서 상기 짐칸의 해당 내벽을 구비한 연결부 또는 고정부의 수는 최소로 감소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원 스프링장치는 상기 힌지 축 영역에 위치한다. 상기 복원 스프링장치는 나사 또는 다리형 스프링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복원 스프링장치의 스프링 내벽은 상기 힌지 장치의 힌지 축과 동축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복원 스프링장치로 인해 가장 공간절약적인 보관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 구조물은 손잡이부로, 특히 금속 철사로 이루어진 손잡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 구조물은 철사의 휘는 부분에 의해 특히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 구조물은 상기 힌지 축 영역에서 차량을 고정하도록 배치된 베어링부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베어링부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및 금속 부품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수용 구조물이 마찬가지로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었다면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수용 구조물와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수용 구조물에 적합한 힌지 장치로서 필름(film) 힌지가 구비된다. 상기 수용 구조물은 분리할 수 있게 상기 베어링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써 상기 수용 구조물에 손상이 있을 경우, 상기 수용 구조물을 교체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또한, 상기 베어링부는 분리할 수 있게 상기 짐칸의 내벽에 고정된다. 이로써, 상기 베어링부가 상기 짐칸에 영속적으로 더이상 필요하지 않을 경우, 상기 수용 구조물을 포함한 상기 베어링부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장점과 특징은 특허청구범위 및 이하 설명부에서 나타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승용차 형태의 자동차는 트렁크 형태의 짐칸(1)을 구비한다. 상기 승용차는 계단식 후미 리무진으로 실현되며, 상기 승용차에는 상기 짐칸(1)의 적재 개구부를 폐쇄하는 후미 덮개(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짐칸(1)은 짐칸 바닥(2), 진행방향에서 앞쪽의 전면 벽(3), 및 모자걸이의 하측에 형성된 상부방향의 덮개 내벽(4)을 구비한다. 뒷쪽으로의 진행방향에서 상기 짐칸(1)은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백미러와, 하부로 당겨진 짐칸 덮개(5)의 단면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짐칸(1)의 상부,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의 경계면은 한편으로는 상기 덮개 내벽(4)에 의해,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후미 덮개(5)의 수평방향의 단면에 의해 형성된다. 적재 개구부의 가장자리 영역에는 상기 덮개 내벽(4)이, 상기 짐칸 덮개(5)의 탄력적인 폐쇄물에 의해 차단되는, 상부로 당겨진 가장자리 플랜지(7)(도 2 및 도 3)에 의해 끝난다. 상기 가장자리 플랜지(7)는 상기 짐칸(1)의 상부의 수평방향의 경계면의 계단을 형성하는데, 이는 상기 짐칸 덮개(5)의 수평방향의 단면이 자동차의 높은 방향에서 상기 덮개 내벽(4)의 평면에 따라 상부로 이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덮개 내벽(4)의 하측에는 상기 수용 구조물(8)을 구비한 수용장치(6)가 배치되는데, 상기 수용장치(6)는 수용시 상대적으로 작은 물건이 제공되며 특히, 우산 또는 양산(S)이 걸쇠로 사용된다. 상기 수용 구조물(8)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 4 및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단일의 손잡이부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는 두 개의 측방향의, 동일형태 및 동일종류의 굽어진 손잡이 다리와, 상기 손잡이 다리를 서로 연결하는 단일의 횡방향 브릿지를 구비하는데, 상기 횡방향 브릿지에는 손잡이 부재(11)가 달려 있다. 상기 두개의 손잡이 다리를 굽힘으로써 상기 수용 구조물(8)을 위한 움푹 패인 형태의 굽어진 수용면이 형성되는데, 상기 수용면으로 상기 우산(S)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횡방향 브릿지의 맞은 편에 위치한 말단에는 상기 손잡이 다리가 직각의 힌지 회전부(12)와 일체로 이전되는데, 상기 힌지 회전부(12)는 각각 상기 수용 구조물(8)을 위한 베어링부의 베어링 받침대(10)에서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된다. 상기 두개의 힌지 회전부(12)는 도 5에서 내부를 향해 포개져 제공되며 상기 베어링부 및 상기 베어링 받침대(10)의 공통 힌지 축(9)을 따라서 서로 일직선상에 놓여 있다. 상기 베어링부의 두개의 베어링 받침대(10)는 고정수단(15)에 의해 상기 덮개 내벽(4)에 단단히 연결된다. 나사못 연접부 및 클립(clip)부와 같은, 분리가능한 연결부, 또한 조임부, 용접부, 땜질부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분리할 수없는 연결부가 고정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 구조물(8)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금속 철사로 이루어지고 굽어지는데, 상기 금속 철사는 상대적으로 큰 강도를 가지므로 상기 수용 구조물(8)은 최소한 포괄적으로 외형이 단단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 구조물(8)은 왜곡되어 상기 베어링부, 즉, 상기 베어링 받침대(10)는 상기 가장자리 플랜지(7)에 대해 간격을 두고 상기 덮개 내벽(4)의 하측에 위치함으로써 횡방향 브릿지와 손잡이 부재(11)를 구비한 상기 수용 구조물(8)은 상기 짐칸 바닥 덮개(5)의 수평방향의 단면 아래에 위치한 상부방향으로 계단식으로 이루어진 영역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 구조물(8)은, 상기 수용 구조물(8)이 상기 가장자리 플랜지(7)의 영역 내 모서리에 인접하는 정지위치에서 최소한 포괄적으로 상기 덮개 내벽(4), 및 상기 가장자리 플랜지(7) 영역 내 해당 계단에 접착되어, 상기 덮개 내벽(4) 부근의 이러한 위치에서는 하부방향으로 어떠한 방해가 될만한 구조가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 짐칸(1)의 개방된 횡방향 단면은 상기 수용 구조물의 정지위치에서 상기 수용장치에 의해 거의 손상되지 않는다.
상기 수용 구조물(8)이 상기 덮개 내벽(4)에 접착되는 정지위치에서, 상기 수용 구조물(8)이 물체의 수용으로 인해 부하받지 않는 한, 상기 수용 구조물(8)이 머물도록 하기 위해서, 복원 스프링장치(13, 14)가 구비되는데, 상기 복원 스프링장치(13, 14)는 정지위치로의 복원기능을 상기 수용 구조물(8) 위에서 수행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복원 스프링장치(13, 14)는 두개의 다리형 스프링(13,14)에 의해 형성되는데, 상기 두개의 다리형 스프링(13, 14)은 각각 베어링 받침대(10)에 일체화되어 있다. 상기 다리형 스프링(13, 14)은 소정 수의 나사 내벽(13)을 구비하며, 상기 나사 내벽(13)은 상기 힌지 축(9)과 동축으로 상기 베어링 받침대(10) 내부에서 상기 각각의 힌지 회전부(12) 주위에 감겨져 있다. 도시되지 않은, 차량을 고정하도록 지지된 지지대가 상기 베어링 받침대(10) 내부에 인접해 있다. 맞은 편에 위치한 작동 다리부(14)가 상기 각각의 손잡이 다리로 돌출하고, 해당 복원력을 상기 손잡이 다리 및 상기 수용 구조물(8) 위로 이전하기 위해서, 상기 작동 다리부(14)는 상기 각각의 손잡이 다리의 끝을 잡게 된다. 상기 복원 스프링장치(13, 14)의 복원력이 선택됨으로써, 긴 물체는 우산(S)의 무게에 의해 안전히 수용되며 상기 덮개 내벽(4)의 하측에 대해 또한 정상적인 주행작동시, 다시 말해서, 진동, 제동, 및 가속 부하시에도 유지된다. 상기 복원력은 제한되지만, 거대한 힘을 필요로 하지 않고도 손으로 개방, 다시 말해서, 상기 손잡이 부재(11) 및 상기 수용 구조물(8)(화살표 방향 P2)에 하부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우산(S) 또는 다른 물체를 상기 수용 구조물(8)에 삽입하기 위해서, 상기 수용 구조물(8)은 상기 손잡이 부재(11)에 의해 화살표 방향 P2로 하부로 압력을 받는다. 이어서, 상기 우산(S) 또는 다른 물체는 화살표 방향 P1으로 상기 움푹 패인 형태의 수용부에 삽입된다. 이어서, 상기 손잡이 부재(11)가 해제됨으로써 상기 복원 스프링장치(13, 14)의 복원력은 상기 우산(S) 또는 다른 물체를 상부방향으로 상기 덮개 내벽(4)에 대해 압력을 가하며 이러한 위치에서 안전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짐칸 수용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물체의 수용 및 운반을 가능케하고 부피가 큰 물체가 들어 있는 짐칸의 적재가 방해받지 않도록 배치할 수 있다.

Claims (12)

  1. 수용 구조물(8)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 구조물(8)은 정지위치와 적어도 수용위치 사이의 짐칸(1)의 내벽(4)에서 움직일 수 있게 위치하며, 상기 수용 구조물(8)은 상기 정지위치에서 상기 짐칸(1)의 내벽(4)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짐칸 수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용차 짐칸(1) 내의 수용 구조물(8)은 상부,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의 덮개 내벽(4)의 하측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짐칸 수용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구조물(8)은 외형이 단단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짐칸 수용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구조물(8)은 복원 스프링장치(13, 14)에 의해 상기 정지위치 방향에서 지속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짐칸 수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구조물(8)은 움푹 패인 형태로 굽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짐칸 수용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구조물(8)은 가장자리에서 상기 내벽(4)에 평행한 힌지(hinge) 축(9) 주위를 회전 가동할 수 있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짐칸 수용장치.
  7. 제4항 및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스프링장치(13, 14)는 상기 힌지 축(9)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짐칸 수용장치.
  8.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구조물(8)은 손잡이부로, 특히 금속철사로 이루어진 손잡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짐칸 수용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구조물(8)을 위한 상기 힌지 축(9) 영역에는 차량을 고정하도록 배치된 베어링부(1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짐칸 수용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10)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짐칸 수용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구조물(8)은 분리할 수 있게 상기 베어링부(1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짐칸 수용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10)는 분리할 수 있게 상기 짐칸(1)의 내벽(4)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짐칸 수용장치.
KR1020020026709A 2001-05-18 2002-05-15 자동차의 짐칸 수용장치 KR200200883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25726.0 2001-05-18
DE10125726A DE10125726A1 (de) 2001-05-18 2001-05-18 Aufnahmevorrichtung für einem Laderaum eines Kraftfahrzeug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8367A true KR20020088367A (ko) 2002-11-27

Family

ID=7686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6709A KR20020088367A (ko) 2001-05-18 2002-05-15 자동차의 짐칸 수용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020170934A1 (ko)
EP (1) EP1258397B1 (ko)
JP (1) JP4139132B2 (ko)
KR (1) KR20020088367A (ko)
DE (2) DE101257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6965B2 (ja) * 2003-03-10 2009-11-18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KR100706392B1 (ko) * 2005-11-18 2007-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해치백 스타일 차량의 리어 패키지 트레이 구조
DE102008019867B4 (de) * 2008-04-16 2012-12-20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Staufach
FR2949402B1 (fr) 2009-08-25 2011-11-1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upport pour triangle de pre signalisation
US9115969B2 (en) * 2012-06-20 2015-08-25 Philip R. Goodwin Multi-use urgent response resource kit
US8789868B1 (en) 2013-03-06 2014-07-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uggage retention system
US9079513B2 (en) 2013-03-06 2015-07-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uggage retention system
US8801073B1 (en) 2013-03-06 2014-08-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uggage retention system
US9862329B2 (en) * 2016-02-23 2018-01-09 Fesler Holding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articulating storage system
EP3254686A1 (en) 2016-06-06 2017-12-13 Charsire Biotechnology Corp. Soybean seed extract,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CN111746405A (zh) * 2019-03-29 2020-10-09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固定装置及车辆
EP3735980B1 (en) 2019-05-06 2022-11-02 Charsire Biotechnology Corp. Uses of soybean seed extract composition for alleviating skin pain caused by skin inflammation induced by cancer radiation therapy
US11643024B1 (en) * 2019-09-04 2023-05-09 Roy Wells Bay buddy
US11338755B2 (en) * 2020-09-29 2022-05-24 Lear Corporation Energy absorbing feature for seatback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92601A (en) * 1928-12-29 1932-12-27 Beehler William Automobile umbrella holder
US1777046A (en) * 1929-08-21 1930-09-30 Louis T Koerner Hat and coat holder
US2043620A (en) * 1934-04-28 1936-06-09 Grover C Hoffman Garment holder
US3082033A (en) * 1961-10-10 1963-03-19 Benjamin A Bosher Automobile utility trunk
US3473680A (en) * 1967-10-11 1969-10-21 David L Downer Travel tray
DE2545385A1 (de) 1975-10-10 1977-04-14 Ernst Wackenhut Ablage mit einer durch einen deckel verschliessbaren einfuehroeffnung bei fahrzeugen oder flugzeugen
JPS5550031Y2 (ko) * 1976-09-20 1980-11-21
US4139231A (en) * 1978-05-08 1979-02-13 Irvin Industries Inc. Automobile rear compartment cover
US4681247A (en) * 1983-03-03 1987-07-21 Prosen Gildo G Load support pedestal
US4671557A (en) * 1985-10-31 1987-06-09 Colt Industries Inc. Vehicle interior cover panel means
DE8804416U1 (ko) * 1988-04-02 1988-09-01 Uhr, Claus Juergen, 6339 Bischoffen, De
DE8813791U1 (ko) 1988-11-04 1989-02-23 Adam Opel Ag, 6090 Ruesselsheim, De
DE3923690A1 (de) * 1989-07-18 1991-01-24 Hohen Hinnebusch Hans Ingo Zwischenboden, um.- und wegklappbar, eine vorrichtung zur unterteilung von insbes. hoher pkw kofferraeume u. anderer gepaeckbehaelter
US5544797A (en) * 1990-01-04 1996-08-13 Silva; John H. Fishing rod transport apparatus
DE4442042A1 (de) * 1994-11-25 1996-05-30 Naeher Georg Gmbh Kofferraumverstauvorrichtung
US5762245A (en) * 1996-11-06 1998-06-09 Hurst; Andrew Trunk tray
US6092704A (en) * 1997-01-15 2000-07-25 Baumeister; Joseph A. Bag and accessory handling system
US5703316A (en) * 1997-01-21 1997-12-30 Madden, Jr.; James R. Trunk lid, bullet resistant apparatus
DE19714498A1 (de) * 1997-04-08 1998-10-15 Bayerische Motoren Werke Ag Kraftfahrzeug mit einem von einem Gepäckraumdeckel überdeckbaren Gepäckraum
JP2002511357A (ja) * 1998-04-08 2002-04-16 ベーオーエ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 自動車の荷物室と区分装置
US5992718A (en) * 1998-04-23 1999-11-30 Zaranek; Fred Container attachment
DE19908314C1 (de) 1999-02-26 2000-10-12 Audi Ag Stauraum zur Aufnahme kleiner Gegenstände
DE29923024U1 (de) * 1999-12-30 2000-03-16 Maile Bjoern Ladeguthaltevorrichtung für lose Gegenstände in Personenkraftwagen
AU2001281942A1 (en) * 2000-07-05 2002-01-14 Bos Gmbh And Co. Kg Luggage compartment for a motor vehicle
DE10038807A1 (de) * 2000-08-09 2002-02-21 Volkswagen Ag Kofferraum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m Netz zum Positionieren von Ladegut
US6669067B2 (en) * 2001-03-15 2003-12-30 William E. Schuster Flexible bag carrier for vehicles
US6502731B1 (en) * 2001-08-03 2003-01-07 Collins & Aikman Products Co. Shopping bag holders for vehicles
US6572168B1 (en) * 2001-11-09 2003-06-03 Thomas Radstake Combination slidable, pivotal and lockable drawer engageable with a ceiling su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70934A1 (en) 2002-11-21
US7073836B2 (en) 2006-07-11
EP1258397A3 (de) 2003-10-01
DE10125726A1 (de) 2002-12-05
JP2003025923A (ja) 2003-01-29
EP1258397B1 (de) 2006-06-14
EP1258397A2 (de) 2002-11-20
US20060045698A1 (en) 2006-03-02
DE50207161D1 (de) 2006-07-27
JP4139132B2 (ja) 200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3836B2 (en) Carrying device for a load space of a motor vehicle
US6832799B2 (en) Loading compartment for a motor vehicle
US6609744B2 (en) Collapsible storage apparatus for vehicle cargo compartments
EP1140561B1 (en) Loading compartment
US20080185870A1 (en) Vehicle With an Additional Cargo Carrier Located in the Rear Area
WO2004020245A2 (en) Vehicle cargo panel having retractable belt
JP2000118308A (ja) 自動車の荷物室用カバ―装置
JP3579723B2 (ja) 車両のミドゲートのガラス収納構造
US20020000456A1 (en) Arrangement for transporting objects in a motor vehicle
JP2002114103A (ja) 自動車用トノボード装置
EP1068996A2 (en) Cover for a vehicle storage compartment
KR0142945B1 (ko) 해치 백 자동차의 트렁크 셀프 트림 구조
KR200181744Y1 (ko) 트렁크 룸 내의 화물 고정 장치
KR0136853Y1 (ko) 자동차 트렁크내에 장착되는 수화물 고정장치
JPH07285382A (ja) 車両用仕切り装置
JPH09328039A (ja) 自動車用ラック
KR0123276Y1 (ko) 자동차 간이 물품 보관 기구
JP2961606B1 (ja) 自動車用荷物格納装置
KR200160670Y1 (ko) 자동차용 트렁크리드(trunk lid)
GB2468644A (en) Storage device for a vehicle
GB2295992A (en) Motor vehicle package tray convertible into a container
KR100387884B1 (ko) 차량의 미드게이트 글래스 수납장치
JPH03262747A (ja) ルーフキャリア
KR19990018602A (ko) 자동차의 트렁크 수화물 유동방지장치
KR19980020022U (ko) 자동차 트렁크의 화물 보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