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0790A - 녹차 및 천연산물을 이용한 기능성 항산화 면식품류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녹차 및 천연산물을 이용한 기능성 항산화 면식품류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0790A
KR20020080790A KR1020010020554A KR20010020554A KR20020080790A KR 20020080790 A KR20020080790 A KR 20020080790A KR 1020010020554 A KR1020010020554 A KR 1020010020554A KR 20010020554 A KR20010020554 A KR 20010020554A KR 20020080790 A KR20020080790 A KR 20020080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green tea
antioxidant
starch
tea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0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4016B1 (ko
Inventor
김종덕
김민용
Original Assignee
김종덕
김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덕, 김민용 filed Critical 김종덕
Priority to KR10-2001-0020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4016B1/ko
Publication of KR20020080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0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0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Noodl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차 및 천연산물을 이용한 기능성 항산화 면식품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밀가루 81~93중량%, 전분 4~16중량%, 녹차분말 1~3중량%를 혼합하는 공정과,
다른 한편으로는 정제수 84.5~92.5중량%에 산수유 1.3~2.0중량%, 백작약 1.3~2.0중량%, 황기 1.3~2.0중량%, 감초 1.7~2.5중량%, 계피 1.7~2.5중량%, 오가피 0.5~1.0중량%, 솔잎 0.7~2.1중량%를 첨가한 후 115~125℃에서 1~2시간동안 추출하여 항산화액을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 제조한 항산화액 31~34중량%와 NaCl 1.5~2.5 중량%를 상기 밀가루, 전분 및 녹차분말 혼합물 64.5~66.5중량%에 첨가하여 반죽하는 공정과,
상기 반죽을 면류식품 등으로 가공하는 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차 및 천연산물을 이용한 기능성 항산화 면식품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밀가루에 전분 및 녹차 분말을 첨가함으로써 면류식품의 노화도 감소 및 저작감 향상의 효과를 도출할 수 있으며, 반죽시 천연산물의 추출액을 사용함으로써 향미 증진 효과뿐만 아니라 항산화 기능이 부여된 면식품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녹차 및 천연산물을 이용한 기능성 항산화 면식품류의 제조방법{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ntioxidative noodle products with green tea powder and natural products}
본 발명은 녹차 및 천연산물을 이용한 기능성 항산화 면식품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반죽 제조시 녹차 분말과 천연산물의 추출액을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항산화 기능 및 향미 증진, 품질 향상의 효과를 가진 면식품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녹차는 카페인, 테아닌, 탄닌 등의 특유한 향기성분과 다량의 비타민이 함유된 기호 식품인 동시에 건강 증진에도 도움을 주는 건강 음료로서도 널리 애용되고 있다. 녹차는 항암효과,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동맥경화 억제 작용, 혈중 및 간장 지질 저하 작용, 과산화지질 저하 작용, 동맥 지질 저하 작용 그리고 녹차에 포함된 카테킨 성분에 의한 혈압 상승 억제 효과, 데아플라빈류 및 데아플라빈모노 갈레이트와 같은 차 잎 성분에 의한 혈소판 응집 억제 작용 등 건강에 이로운 여러 가지 효능이 있으며, 이와 같은 녹차의 여러가지 효능을 이용하고자 식품류에 녹차를 첨가하여 녹차 고유의 맛 또는 향이 도출되도록 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면류식품이란 곡분 또는 전분을 주원료로 하고 필요에 따라 식품첨가물 등을 혼합한 후 면발을 성형하거나 이를 열처리, 유탕처리, 건조 등의 방법으로 가공한 것을 말하는 것으로, 밀가루 등의 곡분을 주원료로 하여 제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국수, 우동, 칼국수, 수제비 등의 면류식품의 반죽의 원료로는 주로 밀가루가 쓰이고 있는데, 이와 같은 밀가루는 전분이 약 70~75%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 전분의 변화로 반죽의 특성이 형성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면식품류용 반죽은 밀가루에만 의존하여 제품을 제조함으로써 제품의 물리적 특성 및 향미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시도에 한계점이 있었으며, 반죽시 통상적인 물을 사용하여 반죽하는 제품이 지배적이어서 보다 고급화된 기능성을 부여한 면식품류의 제품을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었다.
또한 최근 경제 발전과 소비자들의 인식 변화로 단순히 식사 대용으로서만 식품을 찾는 과거의 관습에서 벗어나 좀 더 고급화되고 건강에 유익한 제품을 원하는 현재의 추세에 비추어 볼 때, 면식품류의 조미성분 및 부가재료 등을 고급화시킨 제품은 많이 시도되어 유통되고 있지만, 반죽 자체의 특성과 영양적 기능성을 향상시킨 제품을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항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밀가루에 전분 및 녹차 분말을 첨가함으로써 조직감, 저작감, 탄력성 등 제품의 물리적 특성들을 향상시키고 호화도를 감소시켜 전분의 노화 지연 효과를 도모할수 있는 녹차 및 천연산물을 이용한 기능성 항산화 면식품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반죽시 물 대신 천연산물의 추출액을 사용함으로써 항산화력을 증가시켜 제품에 기능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맛과 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녹차 및 천연산물을 이용한 기능성 항산화 면식품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녹차 및 천연산물을 이용한 기능성 항산화 면식품류의 제조방법은, 밀가루 81~93중량%, 전분 4~16중량%, 녹차분말 1~3중량%를 혼합하는 공정과,
다른 한편으로는 정제수 84.5~92.5중량%에 산수유 1.3~2.0중량%, 백작약 1.3~2.0중량%, 황기 1.3~2.0중량%, 감초 1.7~2.5중량%, 계피 1.7~2.5중량%, 오가피 0.5~1.0중량%, 솔잎 0.7~2.1중량%를 첨가한 후 115~125℃에서 1~2시간동안 추출하여 항산화액을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 제조한 항산화액 31~34중량%와 NaCl 1.5~2.5 중량%를 상기 밀가루, 전분 및 녹차분말 혼합물 64.5~66.5중량%에 첨가하여 반죽하는 공정과,
상기 반죽을 면류식품 등으로 가공하는 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차 및 천연산물을 이용한 기능성 항산화 면식품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밀가루에 전분 및 녹차 분말을 첨가함으로써 면류식품의 노화도 감소 및 저작감 향상의 효과를 도출할 수 있으며, 반죽시 천연산물의 추출액을 사용함으로써 향미 증진 효과뿐만 아니라 항산화 기능이 부여된 면식품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밀가루, 전분, 녹차분말의 혼합 공정
밀가루 81~93중량%에 전분 4~16중량%, 녹차분말 1~3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한다.
밀가루만으로 반죽을 제조하게 되면 맛의 특이성 및 기능성 등이 크게 향상될 수 없으므로 전분과 녹차분말을 첨가하여 반죽의 재료로서 사용하되, 전분을 4중량% 이하로 첨가할 경우와 16중량% 이상으로 첨가할 경우 기호도 및 특유의 쫄깃함과 같은 특성에 상승 효과가 미미하므로 상기 범위내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녹차 분말의 경우에도 1중량% 이하로 첨가하여 반죽할 경우 반죽의 텍스쳐 변화에 큰 차이가 없고 3중량% 이상으로 첨가하여 반죽할 경우 반죽의 강도가 너무 강해지므로 상기 범위 내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항산화 추출액 제조 공정
정제수 84.5~92.5중량%에 산수유 1.3~2.0중량%, 백작약 1.3~2.0중량%, 황기 1.3~2.0중량%, 감초 1.7~2.5중량%, 계피 1.7~2.5중량%, 오가피 0.5~1.0중량%, 솔잎 0.7~2.1중량%를 첨가한 후 115~125℃에서 1~2시간동안 추출하여 항산화액을 제조한다.
첨가된 각 조성물의 효능은 아래와 설명한 바와 같다.
산수유는 동의 보감, 본초학 등에 의하면 신장 요로 계통, 각종 성인병 예방, 부인병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말산, 주석산, 몰식자산, 지방산 등과 사포닌, 탄닌, 비타민 A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오래 두고 먹어도 부작용이 없고 독특한 향기와 단맛을 지니고 있어 먹기에도 좋다.
백작약은 작약과에 속하는 다년생풀로서 예로부터 뿌리는 보혈, 진정, 부인과, 외과의 귀한 약재로 쓰여져 왔으며, 입맛이 떨어지고 기운이 없게되고 소화 불량 증세에 효과가 있다.
황기는 가래나무과 식물로서 인삼과 달리 열성인 사람이 복용해도 무리가 없는 식품이며 기와 혈을 보강하는데 특효가 있다.
감초는 폐를 윤활케 하고, 해열 작용을 하며, 목이 아픈 것을 치료하는 한약재로서 염증을 없애주고 해독 작용도 있어 위궤양과 십이지장궤양 등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약물의 쓴맛을 없애고, 인체에 해가 되는 독성을 제거하며, 약이 장에서 잘 흡수 되도록 하기 때문에 한약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계피는 건위, 발한, 해열, 진통제로 중추신경 계통의 흥분을 진정시키며 수분대사를 조절하는 탁월한 효능이 있으므로 한방에서 감기나 신체의 동통 등에 쓰고 있으며 향신료로서 고급 과자에 쓰이기도 한다.
오가피는 항암, 간기능 장애, 지방간, 동맥경화, 신경 장애, 신경통, 관절염 등에 뛰어난 효능이 있으며 신체 전반의 운동 효과를 일으키는 작용을 하므로 노화 방지, 당뇨 등에 탁월하다.
솔잎은 비타민 A, K, C와 철분, 효소 등이 주로 함유되어 있으며 고혈압, 저혈압, 빈혈, 조혈, 정혈작용, 강장, 콜레스테롤 저하에 효능이 있다.
한편, 통상의 밀가루 반죽에 사용되는 일반 수돗물에는 항산화력이 없으나 상기 조성물 각각의 항산화력이 모두 수돗물보다 높으며 이들 조성물들을 첨가하여 추출한 추출액의 항산화력은 수돗물의 3배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들을 첨가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되 맛과 향의 기호도를 고려하여 상기 범위내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이 제조된 항산화액은 각각의 천연산물 자체의 약효와 항산화력에 의한 free radical 제거 작용으로 생체의 노화지연 및 질병 예방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3) 반죽 공정
상기 제조한 항산화액 31~34중량%와 NaCl 1.5~2.5 중량%를 상기 밀가루, 전분 및 녹차분말 혼합물 64.5~66.5중량%에 첨가하여 반죽한다.
반죽의 함수량이 31중량%보다 적은 경우 수분이 너무 적어 보통 사람의 힘으로는 반죽하기 힘들만큼 반죽이 단단하여 적당하지 않으며 함수량이 34중량%보다 많은 경우 반죽의 응집성이 너무 커서 형태를 만들기 어려울 정도로 수분이 많으므로 항산화액을 상기 범위내로 첨가하여 반죽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33중량%로 첨가하였을 경우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통상의 수돗물을 사용한 경우보다 항산화액을 사용한 제품의 맛, 향, 조직의 측면에서 더욱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가공 공정
상기 반죽을 국수, 우동, 칼국수, 수제비 등과 같이 목적하는 면식품류의 종류에 따라 적당히 가공하여 제품화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녹차의 첨가량 결정 및 텍스쳐 특성 실험
밀가루에 녹차 분말을 각각 1중량%, 3중량%, 5중량% 및 8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수돗물 및 천연산물의 항산화 추출액으로 각각 반죽하여 Texture Meter로 반죽의 gel strength 실험을 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녹차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control군에 비교하여 녹차분말을 1중량%로 첨가한 반죽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3중량%의 녹차분말 첨가량에서 적당한 강도를 나타내었다. 5중량%와 8중량%를 첨가한 반죽에서는 강도가 너무 강하게 나타나 녹차분말 첨가량이 3중량%일때가 최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녹차분말을 3중량%로 첨가하고 항산화 추출액으로 반죽하였을 때가 가장 적당한 강도를 나타내어 최적의 조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녹차분말을 3중량%로 첨가한 시료에 대하여 저작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녹차를 넣지 않은 control군(384887.75dyne/cm2) 이 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돗물로 반죽한 것(426716.59dyne/cm2)보다 항산화액으로 반죽한 것(496639.43dyne/cm2)이 더 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gumminess(껌성: 반고체 식품을 삼킬 수 있는 상태까지 씹는데 필요한 에너지)는 항산화액으로 반죽한 것(656.1g)이 수돗물로 반죽한 것(735.9g)보다 낮아 저작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나 항산화액으로 반죽하는 것이 더 좋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2] 전분 배합의 적정성 실험
밀가루 자체만으로서는 더 이상 조직감이나 특이한 쫄깃함 등의 변화를 시도할 수 없어 밀가루, 쌀가루, 전분, 녹차분말의 원료를 12종류로 배합한 다음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그 중 기호도가 좋은 것으로 나온 상위 4그룹을 선택하여 다시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각각의 시료를 구성하는 재료의 배합비율은 아래 표 3과 같다.
상기 표 3의 시료들에 대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쌀가루를 첨가한 시료, 즉 밀가루+쌀가루+녹차분말, 밀가루+쌀가루+전분+녹차분말의 시료에 대해서는 기호도가 낮게 나왔으며 쌀가루를 첨가하지 않은 시료, 즉 밀가루+전분+녹차분말의 배합 시료에 대한 기호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관능검사 결과 상위 4그룹을 선택하여 다시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밀가루 85중량%+전분 12중량%+녹차 3중량%의 비율로 배합한 시료가 12종류의 시료 중 기호도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 항산화액의 구성 성분 및 항산화 효과 실험
항산화액을 구성하는 천연산물들의 항산화력의 정도를 용존산소법(D.O. analysis)으로 시간에 따른 용존 산소의 감소 곡선을 표 5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5의 용존 산소 감소 곡선에 따라 AUC(area under curve: 곡선 아래의 면적)로 나타내면 감초는 450.27, 계피는 592.23, 오가피는 555.90, 백작약은 788.73, 산수유는 984.50, 녹차는 557.93, 솔잎은 491.2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때 AUC가 클수록 항산화력이 강한 것이 된다(표 5의 (가)).
그리고 표 5의 (나)는 control인 수돗물과 항산화 추출액의 용존산소 곡선으로써, 수돗물의 AUC(표 5의 (나)-(B))는 223.17이었고 항산화 추출액의 AUC(표 5의 (나)-(A))는 669.03이었다.
이와 같이 항산화액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의 AUC는 모두 control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로부터 추출한 항산화액의 항산화력도 control보다 3배 정도의 항산화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돗물 대신 항산화액을 사용하는 경우 천연산물 자체의 약효와 항산화력에 의한 free radical 제거 작용으로 생체의 노화지연 및 질병 예방 효과 등의 기대를 할 수 있다.
[실시예 4] 항산화액의 조성비 결정 실험
정제수 150ml에 산수유 2.4g(1.6중량%), 백작약 2.4g(1.6중량%), 황기 2.4g(1.6중량%), 감초 3.0g(2.0중량%), 계피 3.0g(2.0중량%), 오가피 1.05g(0.7중량%)와 솔잎을 각각 1.05g(0.7중량%), 2.1g(1.4중량%), 3.15g(2.1중량%), 5.25g(3.5중량%), 7.35g(4.9중량%), 10.5g(7.0중량%)씩 넣고 120℃에서 60분간 열수 추출하였다.
각각의 열수 추출물에 대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6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솔잎 0.7중량%를 첨가한 항산화액의 기호도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솔잎의 첨가량이 2.1중량%까지는 좋은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그 이상의 솔잎 첨가량에서는 솔잎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보다 더 좋지 않은 결과가 나타남에 따라 산수유 1.6중량%, 백작약 1.6중량%, 황기 1.6중량%, 감초 2.0중량%, 계피 2.0중량%, 오가피 0.7중량% 및 솔잎 0.7중량%로 구성된 항산화액의 맛과 향이 가장 우수하여 가장 바람직한 구성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원료 배합을 위한 적정 수분 실험
최적의 품질을 도출해낼 수 있는 반죽의 수분 첨가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밀가루 100중량%의 시료와, 상기 실시예 4까지의 실험 결과에 따라 본 발명의 최적 조건으로 결정된 밀가루 85중량%, 전분 12중량%, 녹차분말 3중량%를 혼합한 것을 시료로 하여 각각 수돗물과 항산화 추출액을 첨가하여 반죽한 다음 그 첨가량에 따른 물리적 특성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7에서 알 수 있듯이 원료에 관계없이 수돗물과 항산화액 모두 35%의 함수량에서는 응집성이 너무 커서 형태를 만들 수 없을 정도로 수분이 많았다. 30%의 함수량에서는 수분이 적어 보통사람의 힘으로써는 반죽하기 힘든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gumminess(껌성: 반고체 식품을 삼킬 수 있는 상태까지 씹는데 필요한 에너지(g))는 함수량 30%에서는 너무 높은 결과가 나왔고 35%에서는 강도에 비해 비교적 높게 나온 반면에, 30%의 함수량에서는 껌성 자체만으로 볼 때는 35%보다 강한 것으로 나왔지만 강도와 함께 비교해 볼 때 적당한 껌성을 가진 것으로 판단되어 쫄깃한 특성을 가진 적당한 조직감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밀가루 자체의 원료보다 전분 및 녹차분말이 첨가된 원료가 동일한 함수량에서 볼 때 그 강도가 더 강한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반죽의 수분 첨가량은 33%가 최적의 조건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항산화 추출액으로 반죽할 경우 더욱 좋은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최적 수분함량(33%)에서의 원료배합의 적정성 실험
밀가루 100중량%로 제조한 반죽을 control로 하여 상기 실시예 2의 실험 결과 좋은 결과가 나온 상위 4종류에 대하여 33%의 최적 수분 함량으로 제조된 시료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8의 결과를 보면 전반적으로 동일한 원료를 수돗물(33T)로 혼합한 것보다 항산화액(33H)로 혼합한 것이 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항산화액이 면의 조직감을 강하게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원료의 배합에 따른 5종류의 시료 중에서 밀가루(85중량%)+전분(12중량%)+녹차(3중량%)로 이루어진 원료를 항산화액으로 반죽한 것이 강도(917g)나 경도(301364.4 dyne/cm2)면에서 밀가루(강도: 408.7g, 경도: 163008.3dyne/cm2)보다도 강함을 보였고, 또한 Gumminess(껌성)에서 253.3g으로서 밀가루의 313.3g보다도 낮은 에너지를 보여 면의 쫄깃한 특성을 잘 나타내었다.
따라서 원료의 배합은 밀가루 85중량%+전분 12중량%+녹차 3중량%로 하며, 항산화액으로 함수율이 33%가 되도록 반죽한 것을 기능성 항산화 면식품으로 가공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7] 효소반응에 의한 호화도 비교 실험
상기 실시예 6과 동일한 시료에 대하여 식품 분석 핸드북의 방법에 따라 호화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9의 결과와 같이 수돗물로써 제조한 것보다 항산화액으로 제조한 것이 호화도가 낮아 항산화액이 전분의 노화를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분의 첨가 비율에 따른 호화도도 수돗물로 제조한 것보다 항산화액으로 제조한 것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항산화액의 노화 지연 효과에 따른 조직감의 유지 효과가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8] DSC(시차주사형 열량분석계)에 의한 gel화 열량의 비교
면류의 일반적일 조리시간 중 반죽이 익는 동안의 열량, 즉 gel화 열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6과 동일한 시료에 대하여 면류의 조리 시간인 8∼15분 정도로 가열할 수 있는 조건인 10℃/min의 가열 속도로 가열한 DSC 측정 결과를 표 10 및 표 11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10에는 각각의 시료에 대하여 DSC에 의한 DSC에 의한 To(겔화 시작온도), Tp(겔화 속도 최대 온도), Tc(겔화 종료 온도) 및 △Hg(겔화 소요 열량)등의 값을 나타내었다.
상기 표 10과 표 11로부터 전분의 함량이 높아 질수록 gel화의 시작 온도가 낮아짐을 볼 수 있고, 또 소요 열량도 감소됨을 보아 control보다 적은 열량으로 gel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체적으로는 밀가루(85%)+전분(12%)+녹차(3%)를 항산화액으로 반죽한 것이 겔화가 가장 낮은 온도에서 끝나고, 소요 열량이 다른 sample들에 비교하여 낮고, control 군에 비교하여 5배정도 낮아 원료의 최적 배합비로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최적 실시예는,
밀가루 85중량%, 전분 12중량%, 녹차분말 3중량%를 혼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정제수 89.8중량%에 산수유 1.6중량%, 백작약 1.6중량%, 황기 1.6중량%, 감초 2.0중량%, 계피 2.0중량%, 오가피 0.7중량%, 솔잎 0.7중량%를 첨가한 후 115~125℃에서 1~2시간동안 추출하여 항산화액을 제조 한 다음,
상기 항산화액 33중량%와 NaCl 2중량%를 상기 밀가루, 전분, 녹차분말 혼합한 것 65중량%에 넣고 반죽하여 면류식품으로 가공하는 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면류식품용 반죽은 조직감 향상 및 노화 지연 효과, 천연산물 자체의 약효 이용 효과 및 항산화 효과 등 여러가지 측면에서 기존의 밀가루 반죽보다 우수한 고기능성 제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원료 배합시 전분 첨가에 의한 조직감 향상 효과, 녹차분말 첨가에 의한 녹차의 기능성 부여 및 저작감 향상 효과를 부여한 면류식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최적의 원료 배합 비율을 제시하고, 천연산물의 추출액으로 반죽하여 면제품의 향미 향상 및 천연산물의 약효와 항산화력에 의한 노화지연 및 질병의 예방 효과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녹차 및 천연산물을 이용한 기능성 항산화 면식품류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면식품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밀가루 81~93중량%, 전분 4~16중량%, 녹차분말 1~3중량%를 혼합하는 공정과,
    다른 한편으로는 정제수 84.5~92.5중량%에 천연산물 8.5~14.1중량%를 첨가한 후 115~125℃에서 1~2시간동안 추출하여 항산화액을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 제조한 항산화액 31~34중량%와 NaCl 1.5~2.5 중량%를 상기 밀가루, 전분 및 녹차분말 혼합물 64.5~66.5중량%에 첨가하여 반죽하는 공정과
    상기 반죽을 면류식품 등으로 가공하는 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차 및 천연산물을 이용한 기능성 항산화 면식품류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산물은 산수유 1.3~2.0중량%, 백작약 1.3~2.0중량%, 황기 1.3~2.0중량%, 감초 1.7~2.5중량%, 계피 1.7~2.5중량%, 오가피 0.5~1.0중량%, 솔잎 0.7~2.1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차 및 천연산물을 이용한 기능성 항산화 면식품류의 제조방법.
KR10-2001-0020554A 2001-04-17 2001-04-17 녹차 및 천연산물을 이용한 기능성 항산화 면식품류의제조방법 KR100414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0554A KR100414016B1 (ko) 2001-04-17 2001-04-17 녹차 및 천연산물을 이용한 기능성 항산화 면식품류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0554A KR100414016B1 (ko) 2001-04-17 2001-04-17 녹차 및 천연산물을 이용한 기능성 항산화 면식품류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0790A true KR20020080790A (ko) 2002-10-26
KR100414016B1 KR100414016B1 (ko) 2004-01-07

Family

ID=27701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0554A KR100414016B1 (ko) 2001-04-17 2001-04-17 녹차 및 천연산물을 이용한 기능성 항산화 면식품류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401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480A (ko) * 2001-05-17 2002-11-29 임봉학 한방 호떡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021321A (ko) * 2001-09-05 2003-03-15 배금주 황기냉면 국수재료 및 그 제조방법과 황기냉면
KR100438470B1 (ko) * 2002-02-21 2004-07-03 김홍열 녹차국수의 조성물과 녹차생면 및 녹차건면의 제조방법
KR100441797B1 (ko) * 2002-05-17 2004-07-27 하종우 오가피 냉면 제조방법
KR20040101791A (ko) * 2003-05-27 2004-12-03 박종훈 황기가 함유된 올챙이 국수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의해 만들어진 올챙이 국수
CN102805294A (zh) * 2012-07-13 2012-12-05 李三川 一种营养面条
KR20190006302A (ko) 2017-07-10 2019-01-18 원플랫 주식회사 흰강낭콩 면류식품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988B1 (ko) 2006-11-07 2008-02-15 한봉수 오가피면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3995B1 (ko) * 1985-05-08 1989-10-16 사이따마 요우호우 가부시끼가이샤 꽃가루의 처리방법
KR970000060A (ko) * 1995-06-12 1997-01-21 손옥태 녹차국수
KR970019881A (ko) * 1997-02-05 1997-05-28 김진수 국수를 제조하는 방법
JPH10229838A (ja) * 1997-02-20 1998-09-02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緑茶粉末を含有する着色麺類
JPH10323164A (ja) * 1997-05-23 1998-12-08 Akira Yamauchi 薬効成分含有麺
KR980000116A (ko) * 1997-12-23 1998-03-30 손종업 면의 제조방법
KR100276350B1 (ko) * 1998-08-11 2000-12-15 성호정 녹차냉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00018459A (ko) * 1998-09-02 2000-04-06 손옥태 녹차국수의 제조방법
KR20010084126A (ko) * 2000-02-23 2001-09-06 황의엽 면의 제조방법
KR20000058538A (ko) * 2000-06-12 2000-10-05 김현규 양념을 첨가한 녹차찜국수 제조방법
JP2002238482A (ja) * 2001-02-19 2002-08-27 Sanwa Foods Kk 茶葉入りうどん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480A (ko) * 2001-05-17 2002-11-29 임봉학 한방 호떡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021321A (ko) * 2001-09-05 2003-03-15 배금주 황기냉면 국수재료 및 그 제조방법과 황기냉면
KR100438470B1 (ko) * 2002-02-21 2004-07-03 김홍열 녹차국수의 조성물과 녹차생면 및 녹차건면의 제조방법
KR100441797B1 (ko) * 2002-05-17 2004-07-27 하종우 오가피 냉면 제조방법
KR20040101791A (ko) * 2003-05-27 2004-12-03 박종훈 황기가 함유된 올챙이 국수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의해 만들어진 올챙이 국수
CN102805294A (zh) * 2012-07-13 2012-12-05 李三川 一种营养面条
KR20190006302A (ko) 2017-07-10 2019-01-18 원플랫 주식회사 흰강낭콩 면류식품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4016B1 (ko) 200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85816A (zh) 一种红菇面条及其制作方法
KR101551304B1 (ko) 원지와 석창포를 이용한 건강 기능 식품용 환 및 그 제조 방법
CN107692124A (zh) 山药挂面及其制备方法
EP3238548B1 (en) Method for producing raw pills of fermented minerals having functions of improving constipation and recovery from fatigue, and raw pills of fermented minerals produced thereby
KR100414016B1 (ko) 녹차 및 천연산물을 이용한 기능성 항산화 면식품류의제조방법
KR20110132871A (ko) 건강기능성 스넥성형원료 및 팽화곡류 활용 영양스넥 제조방법
CN108157547A (zh) 一种改善阴虚体质的黄精茶及其制备工艺
CN107712619B (zh) 一种大麦青汁粉面条及其制备方法
CN106173981A (zh) 一种桂花糕及其制作方法
KR100742502B1 (ko) 아토피 치료 한방 조성물
CN107410577A (zh) 一种能稳定降血压的保健茶及其制备方法
CN104187378A (zh) 一种降糖保健面条及其制备方法
KR102054487B1 (ko) 오디 메밀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79646A (ko) 홍삼박을 주재로 한 홍삼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100419121B1 (ko) 여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 기능을 갖는 생약조성물을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CN104054788A (zh) 一种芹菜保健饼干
Singh et al. Lepidium sativum: Its nutritional composition and therapeutic properties
KR20190077802A (ko) 감, 잡곡 및 약용식물을 이용한 찹쌀떡의 제조방법
KR102300720B1 (ko) 대추밀면용 면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대추밀면 제조방법
JP2000166499A (ja) 山伏茸を配合した健康食品
Singh et al. Amazing health benefit of fenugreek (Trigonella foenum-graecum LINN.)
CN106262146A (zh) 一种紫薯黄粑及其制作方法
KR101402600B1 (ko) 즉석국수 제조방법
KR101144753B1 (ko) 다시마, 시래기 및 된장을 이용한 국수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국수
KR20040000709A (ko) 쌀국수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