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4469A - 가요성을 갖는 평평한 인장 부재용 계지부 - Google Patents

가요성을 갖는 평평한 인장 부재용 계지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4469A
KR20020074469A KR1020027008717A KR20027008717A KR20020074469A KR 20020074469 A KR20020074469 A KR 20020074469A KR 1020027008717 A KR1020027008717 A KR 1020027008717A KR 20027008717 A KR20027008717 A KR 20027008717A KR 20020074469 A KR20020074469 A KR 20020074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member
socket
wedge
elevator ca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8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6305B1 (ko
Inventor
트락토벤코보리스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020074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4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3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8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connection to the cars or cages, e.g.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8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connection to the cars or cages, e.g. couplings
    • B66B7/085Belt termination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9Cord and rope holders
    • Y10T24/3969Sliding part or wedge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평평한 가요성 인장 부재들을 위한 계지 장치의 몇 가지 실시예는 웨지형 계지 장치, 조임 계지 장치, 그리고 마찰식 계지 장치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요성을 갖는 평평한 인장 부재용 계지부{TERMINATION FOR FLAT FLEXIBLE TENSION MEMBER}
종래의 견인 승강기 시스템(traction elevator system)은 카(car), 균형추, 카와 균형추를 연결하는 두 개 이상의 인장 부재들; 카와 균형추의 연결부에서 인장 부재의 각 단부를 위한 계지부, 인장 부재를 이동시키는 견인 활차(traction sheave), 그리고 견인 활차를 회전시키는 장치를 포함한다. 종래의 승강기 로프 시스템의 두 번째 형태는 로프가 균형추와 카가 아닌 막힌 히치(dead hitch)에 계지되는 2대1 로프식 시스템으로 알려져 있다. 인장 부재들은 일반적으로 압축 계지부 및 포트식 계지부와 같은 수단에 의해 용이하고 안전하게 계지되는 꼬아진 또는 밧줄형의 철사로 만들어진다.
대직경을 갖는 강 인장 부재(종래의 강 승강기 인장 부재들)들을 위한 압축형 계지부(compression-type termination)는 상당히 효율적이고 신뢰성을 갖는다. 그러한 계지부에 가해지는 압력의 범위는 역효과없이 상당히 넓다. 인가되는 압력이 인장 부재를 유지하는 임계 압력보다 상당히 높으면, 계지부가 효과적이다.
클램프형 및 현존하는 웨지형 계지 장치들은 가요성 인장 부재들을 위해 채용되어 왔으며, 신뢰성 있는 계지를 제공한다. 그러나, 그들은 고가이며 조작 후 분해하기가 어렵다. 클램프형 계지부에 관한 비용은 수많은 개개의 구성 요소들과 그 요소들을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기인한다. 현존하는 웨지형 계지부는 클램프형 계지부에 비해 제조하는데 비용이 적게 들고 설치하는데 시간이 적게 걸리지만, 예를 들어 웨지가 뜻하지 않게 매끄러워졌을 때 웨지 상의 마찰 계수가 인장 부재의 이동을 막는데 요구되는 수치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한 표면의 조직화(texturing) 때문에 산업상 바람직한 비용에 비해 여전히 고가이다. 그리고, 평평한 인장 부재들과 함께 사용될 때, 현존하는 웨지형 계지부는 하중이 가해진 후 유지 보수를 위한 해체가 어렵다. 이렇게 해서, 비용면에서 이점을 갖고, 쉽고 빠르게 체결 및 해체할 수 있는 계지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승강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가요성을 갖는 평평한 인장 부재를 계지시키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동일한 구성 요소들이 동일한 도면 부호로 지시되는 도면들을 참조한다.
도1a는 1대1 승강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1b는 2대1 승강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분해된 부분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4는 동일 발명의 평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부분 정면 입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7은 인장 부재 상에 압축력을 가하는 지레 장치를 채용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 입면도이다.
도8은 도7의 실시예와 유사하나 더 강화된 압축 영역을 제공하는 제4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9는 지레의 작용점보다 먼저 장치 내의 마찰이 상승되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11은 도10의 실시예에서 경계선 11-11 내에서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12는 도10의 절단선 12-12를 따라 취한 도10의 단면도이다.
상기한 선행 기술의 문제점들은 본 발명의 계지 장치에 의해 극복되거나 경감된다. 본 발명의 계지 장치는 웨지가 일측에서는 소켓의 하중면에 의해, 그리고 타측에서는 두 개의 핀에 의해 제 자리를 유지(인장력이 그 주위를 감싼다)하는 단일 웨지 장치다. 소켓상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두 개의 핀 중 하나는 고정되고 하나는 제거될 수 있다. 그 장치는 소켓과 웨지 사이에 걸려있는 인장 부재 상에 압축력을 제공하기 위해 웨지를 소켓 속으로 끌어내린다는 점에서 다른 단일 웨지 계지 장치와 유사하게 작동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장치는 더 적은 재료와 높이를 사용하면서도 인장 부재를 안전하게 계지시키고, 평로프를 바람직한 위치에서 조이며(더 강한 고정 능력), 또한 장치의 조립과 해체를 용이하게 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종래의 웨지 장치들이 조립하기는 쉽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해체하기는 어렵다. 본 발명의 장치를 위해 제거 가능한 핀 배열을 채용함으로써, 웨지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인장 부재 덮개의 변형과는 관계없이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제거 가능한 핀이 설치되었을 때는 웨지에 대한 우수한 지지력을 제공하고, 해체될 때는 소켓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인장 부재 상의 "조임(pinching)" 효과는 계지 장치의 비하중면 상에 있는 돌출부 또는 범프에 의해 제공된다. 그 범프는 더 강한 고정 능력을 제공하면서 인장 부재를 조인다. 그리고, 범프의 위치는 계지 장치의 하중면과 관련된 수직력의 재분포로 인해 압축력을 인장력이 덜 미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의 계지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 인장 부재를 계지시키기 위해 웨지와 같은 추가적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는 레버 개념이 채용된다. 레버 실시예에서는 인장 부재가 단지 장치 안으로 삽입되고 하중이 그 인장 부재에 가해지기만 하면 된다. 그 하중은 장치의 일단부를 끌어 당기는데, 그 일단부는 타단부에 있는 인장 부재에 압축력을 부가한다. 그 개념은 낮은 높이의 경우에 주로 적용할 수 있지만, 당연히 어떠한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인장 부재 내의 인장력을 제거하는 상당한 마찰 표면 영역을 제공하는 동시에, 마찰 표면 영역을 갖는 그 장치의 구성 요소들이 회전하는 한편 제2 구성 요소들에 접하는 인장 부재의 절삭 단부에 클램핑 또는압축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계지 장치가 개시된다.
도1a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인장 부재 계지 장치의 상대적인 위치가 확인될 수 있다. 명확히, 승강기 시스템(12)은 카(14), 균형추(16), 견인 구동기(18)와 기계 장치(20)를 구비한 것으로 도시된다. 견인 구동기(18)는 카(14)와 균형추(16)를 상호 연결하는 인장 부재(22)를 포함하는데, 그 부재는 슬리브(24)에 의해 구동된다. 도1b를 참조하면, 대안의 구성으로, 2대1 로프식 시스템이 도시된다. 그러한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 요소들은 카(15)와, 아이들러(idler)(21)를 통해 인장 부재(22)에 의해 견인 활차(19)와 연결되는 균형추(17)이다. 그러한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보정 라인(25) 및 활차(23)에 의해 보정된다. 이러한 형상의 인장 부재는 막힌 단부 히치(29)에 연결된다. 인장 부재(22)의 양 단부, 즉 카 단부(26)와 균형추 단부(28) 또는 2대1 로프식 시스템에서 두 개의 막힌 단부 히치(29)가 계지되어야 한다. 가요성의 평평한 인장 부재를 위한 이러한 계지점들 중 어느 하나가 본 발명에 관련된다. 본 출원에서 고려되는 형태의 전형적인 인장 부재는 본 명세서에서 참조하는 1998년 2월 26일자 미국 출원 제09/031,108호인 "승강기용 인장 부재(Tension Member For An Elevator)"와, 동일한 명칭의 1998년 12월 22일자 미국 출원 제09/218/990호에서 상세하게 논의된다. 기술된 승강기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된다.
도2를 참조하면, 계지 장치(30)의 분해된 부분 사시도가 도시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소켓(32)의 크기가 작음을 알 것이다. 소켓(32)은 바람직하게는 인장 부재를 계지시키기 위해 웨지와 세 개의 핀에 대한 지지부를 제공한다. 도면의 상부에서, 소켓(32)은 일반적으로 막힌 히치(29)(도1b) 또는 도1a의 카 및 균형추에 부착되는 볼트(37)(도5)와 핀(35)을 지지하는 핀 장착부(34)를 제공한다. 소켓(32)은 또한 (제거할 수 없는) 고정 핀(38)을 지지하는 고정 핀 장착부(36)와 제거가능 핀(42)을 지지하는 제거가능 핀 장착부(40)를 포함한다. 평평한 인장 부재(22)와 함께 소켓(32) 안으로 삽입되는 웨지(44)에 대한 핀(38, 42)들의 위치는 소켓(32)에 대해 웨지(22)에 의해 인장 부재(22) 상에 가해지는 수직 압력의 분포를 제어한다. 이는 본 발명에 있어 중요하고 산업상 유리하다. 계지되는 인장 부재 내의 총 응력은 인장 부재 상의 하중에 의해 가해지는 인장력과 웨지 또는 다른 클램핑 장치에 의해 가해지는 수직 압축 응력의 조합이기 때문이다. 그 부재 내의 인장력은 인장 부재(22)가 계지 장치(30)로 들어가는 곳에서 가장 높다. 인장 부재(22) 내의 인장력은 그 장치(30)의 하중면(54)(도3) 상에 있는 웨지(44)와 소켓(32) 사이의 마찰 때문에 인장 부재(22)가 계지 장치 내로 연장될 때 경감된다. 이렇게 해서, 인장 부재(22)가 웨지(44)의 곡면부(46)에 도달할 때까지, 매달린 승강기 카 또는 중량추에 의한 하중에 기인하여 인장 부재(22) 내에 원래 존재하던 인장력이 마찰에 의해 많이 제거된다. 수직 압축 응력을 계지 장치(30)의 입구(48)로부터 멀리 분포시킴으로써, 리로핑 동작(re-roping operation)이 줄면서 총 부재 응력은 감소될 수 있다.
인장 부재(22) 상의 수직 압축 응력을 제어하는 것은 핀(38 및 42)들의 위치와 함께 웨지(44)의 크기 및 각도의 함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배치는 인장력이 높은 곳에서 압축 응력은 감소되고, 더 높은 압축력을 인장 부재(22) 내에서 인장력이 낮은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핀(38)은웨지(44)가 소켓(32)의 개구에서 더 적은 압축 하중을 인장 부재(22)에 작용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핀(42)은 웨지(44)가 소켓(32)의 입구(48)보다는 웨지(44) 상의 더 높은 위치에서 인장 부재(42) 상에 더 큰 압축 하중을 발생시키도록 설치된다. 핀(38)은 지점(52)의 빈 공간에서 웨지(44)가 도3의 왼쪽으로 약간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소켓(32)의 입구(48)에서 인장 부재에 대한 하중(압축력)을 제거한다. 당업자는 핀 위치와 웨지(44)의 각은 압축 하중의 분포를 생성하기 위해 함께 작용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30)의 여러 구성 요소들을 둘러싸는 인장 부재(22)의 형태 또한 압축 응력을 영역(50)으로 편향시키는 요인이다.
도3에 있어서, 인장 부재(22)는 입구(48)에서 소켓(32)으로 들어가고 소켓(32)/웨지(44)의 하중면(54) 상에 마찰식으로 압축 고정된다. 이러한 배치에서, 승강기 카의 하중에 의해 인장 부재(22) 내에 존재하던 인장 응력의 대부분은 그로부터 제거된다. 바람직하게는 (마찰 계수가 약 0.25라고 가정했을 때) 부재(22) 내의 인장 응력의 약 50%가 이 부분에서 제거된다. 그 때 인장 부재(22)는 더 많은 마찰력이 유효하나 압축력은 유효하지 않은 웨지(44)의 만곡부(46)를 넘어 연장된다. 인장 부재(22)는 이 영역에서 남은 인장력의 약 60% 이상을 잃는다. 웨지(44) 아래로 제2 평면(56)까지 진행하면, 인장력의 나머지는 인장 부재(22)로부터 제거된다. 또한,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평면(56)의 영역 내에서 부재 상에 가해지는 압축력과 핀(38 및 42)으로부터의 추가적인 조임력이 존재한다. 또한 조임력은 인장 부재(22)를 계지 장치(30) 안에 가두도록 돕는다. 그 조임부는 만곡부(46) 뒤에 위치되어야 하는데, 그 위치에서 로프 내의 인장력이 마찰과 압축에 의해 감소되며 파손될 위험 없이 국부적으로 상당히 압축된 영역을 허용하기 때문이다. 인장 부재(22)는 핀(38) 주위로 감기고 계지를 완성하기 위해 핀(42)과 웨지(44) 사이를 통과한다. 인장 부재(22)의 한 폭이 핀(38)과 웨지(44) 사이에 배치되는 반면, 2배의 두께가 핀(38)과 웨지(44) 사이에 배치된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이는 핀(42)과 웨지(44) 사이에서 그리고 웨지(44)와 영역(50) 내의 소켓(32) 사이에서 인장 부재(22)의 압축 하중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고정 클램프(도시되지 않음)는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인장 부재(22)의 절삭 단부(60)에 부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치의 장점은 핀(42)이 확실하게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조절 또는 리로핑 동작을 위한 해체 때문에 중요하다. 핀(42)을 제거함으로써, 웨지(44)는 인장 부재(22) 상의 계지 압력을 경감시키기 위해 단지 약간 들어올려질 필요가 있다. 그 때 웨지(4)는 계지 장치(30)로부터 쉽게 제거되고 인장 부재는 해제된다. 그 장치를 해체하는데 노력과 시간이 상당히 감소되기 때문에, 비용이 감소되고 유리하다. 그리고, 계지 장치(30) 자체는 간단한 구성 요소들 때문에 제조하는데 비용이 덜 든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소켓(70)은 웨지(72)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데, 하중(도시되지 않은 승강기 카)이 핀 구멍(76)의 중심을 통해 막힌 히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매달리도록 소켓(70)의 하중면(74)이 인장 부재(22)의 하중면을 지나 막힌 히치의 핀 구멍(76)에 상대적으로 배치된다. 그 때, 굽힘 때문에 이 장치는인장 부재(22) 상에 추가적인 응력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인장 부재 고정은 마찰과 소켓(70)의 하중면(74) 상의 압축력, 그리고 소켓(70)의 비하중면(80) 상에 배치된 조임부에 의해 제공된다.
소켓(70)의 하중면(74)은 바람직하게는 높은 마찰 계수를 갖는다. 작은 영역으로부터 웨지의 길이와 같은 영역이 될 수 있는 거리에 대해 하중면(74)의 안쪽 표면을 조직화 함으로써 마찰 계수를 높일 수 있는데, 요구되거나 또는 바람직하다면 소켓(70) 재료의 자연적인 마찰 계수를 증가시키도록 조직화 될 수 있다. 하중면(70)은 모든 측면에서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게 작동한다.
소켓(70)의 비하중면(80)에서 웨지(72)는 하나의 범프(78) 또는 웨지(72)에 대해 인장 부재(22) 상에 조임 효과를 제공하는 상승된 표면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범프 자체의 봉우리가 인장 부재(22)를 완전히 가로지르도록 측면으로 연장된다. 범프는 바람직하게는 인장 부재(22) 상에서 더 좋은 고정력을 제공하도록 둥근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범프(78)의 위치는 또한 소켓(70)의 하중면(74) 상에 부과되는 압축 하중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중요하다. 범프(78)를 주의깊게 위치시킴으로써, 압축 하중은 승강기 카(도시되지 않음)의 하중으로부터 인장 응력을 덜 받는 하중면(74) 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응력 분포는 이미 논의되었고 이 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계지 장치가 도시된다. 이 실시예는 레버 장치를 통해 인장 부재(22)에 압축력을 가한다. 레버 장치는 하단 레버(140)로부터 받침대(142)를 통해 상단 레버(144)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단" 및 "하단"은 상대적이고 장치의 마찰을 변경시키지 않고 역전될 수 있다.
하단 레버(140)는 바람직하게는 평평한 인장 부재를 위한 최소 굽힘 반경의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도록 선택된 반경을 갖는 하중 단부(148)를 구비한 상부 표면(146)을 제공한다. 받침대(142)용으로 핀(150)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레버(140)를 수용하기 위해 레버(144)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152)과 인장 부재(22)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제공된다. 아암(152)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레버(140)의 표면(146)과 레버(144)의 하부 표면(154) 사이에서 인장 부재(22)가 감싸지도록 하는데 충분한 최소한의 공간을 제공할 만큼 충분히 길다. 레버(144)는 바람직하게는 인장 부재(22)의 하중 방향 위에 중심을 갖는 핀 구멍(156)을 형성하기 위해 레버(140)보다 더 길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8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기본 개념은 같지만 그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압축력은 그러한 힘의 발생 위치에 기인해 상승된다. 이 실시예는 한 에지에서 반경(166)을 갖는 마찰 표면(164)을 구비한 하부 레버(162)과 또 다른 에지 상의 각진 표면(168)을 포함한다. 피봇핀(170)은 하부 레버(162)의 길이에 상대적인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된다. 핀(170)의 적절한 배치는 계산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하 논의된다. 상부 레버(172)는 바람직하게는 핀 구멍(174)을 형성하기 위해 일단부에서 레버(162)보다 길다. 레버(172)의 타단부에서 부분(176)은 각지고, 각진 접촉 표면(178)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레버(172) 및 하부 레버(162)가 서로 평행한 관계에 있을 때, 접촉 표면(178)이 각진 표면(168)과 거의 평행하다. 아암(180)(하나만 도시됨)들은 바람직하게는 평행한 표면 사이에서가 아닌 표면(168 및 178)들 사이에서 로프의 압축이 일어나도록 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레버(162)로부터 레버(172)를 이격시킬 만큼 충분히 길다.
이 실시예에서, 인장 부재(22)는 도면에서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걸린다. 인장 부재 위에 작용하는 (도시되지 않은 승강기 카) 하중은 계지 장치가 레버(162)의 오른쪽을 아래로 끌어 당김으로써 레버(162)의 왼쪽이 표면(178)에 닿도록 작동하게 한다. 표면(168 및 178) 사이에서 인장 부재 상의 클램핑 또는 압축력은로 지시되는데, F는 인장 부재(22) 상의 하중이고, R은 하중(F)의 중심과 피봇점(170) 사이의 거리, S는 피봇점(170)과 도8에 도시된 클램핑 힘(FN)의 바람직한 위치 사이의 거리, α는 레버(172)에 수직한 선분과 표면(178) 사이의 각도이다.
예시되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힘이득비(mechanical advantage)가 증가된다. 나중의 실시예에서 힘이득비는 3이고, α=20도인 각진 표면은 8.8의 힘이득비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장치를 복잡하게 하지 않고도 상당한 향상이 이루어진다.
도9에 따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계지 장치(190)는 만곡된 접촉 표면을 통해 마찰력을 부가함으로써 앞선 두 개보다 더 짧게 만들어 진다. 이 장치는 도7 및 도8의 실시예보다 피봇상에서 더 큰 하중을 경험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상부 레버(192)는 하부 레버(198) 상에서 굴곡된 접촉 표면(196)에 접근하는 하부 표면 상에서 굴곡된 접촉 표면(194)을 제공한다. 굴곡된 표면들은 향상된 마찰 특성을 제공함으로써 인장 부재(22)로부터 인장 응력을 제거한다. 이러한 응력의 제거로, 장치(190)의 전체 길이가 더 짧기 때문에 하부 레버(198) 안에 있는 피봇핀(200) 상의 레버 장치는 더 높아지지 않는다. 막힌 단부 히치(도시되지 않음)에 장치(190)를 부착하도록 상부 레버(192) 내에 핀구멍(202)이 제공된다.
도10 내지 도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계지 장치가 도시된다. 장치(210)는 캠(214) 상의 마찰 표면에 의한 회전 운동 뿐 아니라 캠(214)과 소켓(218) 사이에 있는 인장 부재(22)의 절삭 단부(216) 상에서의 클램핑 동작을 채용한다.
캠(214)은 내부에 소켓(218)의 보스(224)를 담는 구멍(222)을 구비한 복잡한 운형자 형태이다. 구멍(222)은 바람직하게는 캠(214)의 중심에서 벗어나 있다. 구멍(222)의 위치는 r1과 r2 사이의 비를 최대화 하도록 결정된다. 캠(214)은 캠 연장부(226)가 소켓(218)(접촉 영역)의 노브(228)와 압축 접촉하도록 하는 보스(224) 주위로 회전할 수 있다. 인장 부재(22)의 절삭 단부(216)는 캠 연장부(226)와 노브(228) 사이를 통과하기 때문에, 캠(214)이 인장 부재(22) 위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회전할 때 압축력을 받는다.
인장 부재(22)를 유지하는 힘은 F2로 정의된다.
F2 = K fric ×F norm
여기서이다. R1과 R2는 도10에 도시된 거리이고 각도 a는 캠이 보스(224) 주위로 회전할 때 접촉점에서 노브 표면과 캠 연장부(226)의 이동 궤적이 이루는 각도이다.
양호한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과 대체가 만들어 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한을 가하는 것이 아니라 실례를 제시하는 방법으로 설명한 것이다.

Claims (19)

  1. 하중면과 절삭면을 구비한 소켓과,
    상기 소켓의 하중면의 적어도 일부분 상에 있는 마찰 표면과,
    소켓과 합체되는 웨지와,
    상기 웨지가 상기 소켓과 합체될 때 소켓 입구와 인접한 곳에 압축력이 덜 가해지도록 하는 예정된 분포로 압축력을 작용하기 위해 상기 웨지를 편향시키는 웨지 위치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카 인장 부재 계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표면은 소켓의 하중면을 따라 압축력을 제공하는 상기 웨지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만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카 인장 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표면은 1.0의 마찰 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카 인장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 위치 제어기는 압축력의 상기 예정된 분포가 일어나도록 상기 웨지를 편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카 인장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 위치 제어기는 소켓에 장착된 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카 인장 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제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카 인장 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 위치 제어기는 상기 압축력의 예정된 분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계산된 위치에서 상기 웨지와 접촉하도록 배치된, 상기 소켓 내에 있는 범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카 인장 부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분리된 인장 부재가 상기 계지 장치를 통해 걸린 때 상기 인장 부재를 조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카 인장 부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는 분리된 인장 부재가 상기 계지 장치를 통해 걸린 때 상기 인장 부재를 조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카 인장 부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는 공업 표준 웨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카 인장 부재.
  11. 하중면과 절삭면을 구비한 소켓과,
    상기 소켓의 하중면의 적어도 일부분 상에 있는 마찰 표면과,
    소켓과 합체되는 웨지를 포함하고,
    상기 웨지와 소켓 중 하나는 상기 소켓 내에 걸린 인장 부재 내에 압축 하중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만들어지고, 상기 하중은 마찰 표면에 걸쳐 불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카 인장 부재 계지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은 소켓의 입구로부터 멀리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카 인장 부재.
  13. 적어도 하나의 하중면 마찰 표면을 갖는 소켓과,
    상기 소켓 내에 수용 가능한 웨지를 포함하고,
    웨지와 소켓은 이를 통해 걸려 있는 인장 부재에 마찰력과 압축력을 제공하기 위해 협력하고, 상기 압축력은 상기 소켓 내에서 상기 소켓의 입구로부터 멀리 편향되도록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카 인장 부재 계지 장치.
  14. 제1 레버와,
    상기 제1 레버로부터 이격된 제2 레버와,
    제2 레버에 부착된 한 쌍의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아암이 상기 제1 레버와 피봇식으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계지 장치 내에 걸린 인장 부재가 상기 레버들을 따로 끌어 당기면서 상기 장치의 일단부에 하중을 가하고 상기 제1 및 제2 레버 사이에 있는 상기 장치의 제2 단부에서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카 인장 부재 계지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제2 레버는 각각 상기 장치의 제2 단부 상에 각진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그 연장부에 걸린 인장 부재 상에서 조임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카 인장 부재.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제2 레버는 각각 그 표면에 만곡부를 포함하고, 서로 상보적인 레버 내에 있는 각각의 만곡부를 대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카 인장 부재.
  17. 마찰 영역을 갖는 소켓과,
    상기 소켓에 연결되고, 상기 소켓 마찰 영역과 상보적인 형상의 마찰 영역을 갖는 캠과,
    상기 장치에 하중이 가해질 때 서로에 대해 접촉하는 소켓 표면과 캠 표면을 포함하는 접촉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 표면과 상기 캠 표면이 접촉함으로써, 인장 부재가 상기 장치를 통해 걸릴 때, 상기 부재가 상기 접촉 영역 내에 마찰 압축식으로 부착되고 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카 인장 부재 계지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캠과 상기 소켓은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카 인장 부재.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막힌 히치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카 인장 부재.
KR1020027008717A 2000-01-19 2000-12-13 승강기 카 인장 부재 종결 장치 KR1007363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487,915 US6345419B1 (en) 2000-01-19 2000-01-19 Termination for flat flexible tension member
US09/487,915 2000-0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469A true KR20020074469A (ko) 2002-09-30
KR100736305B1 KR100736305B1 (ko) 2007-07-06

Family

ID=23937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8717A KR100736305B1 (ko) 2000-01-19 2000-12-13 승강기 카 인장 부재 종결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345419B1 (ko)
EP (1) EP1252086B1 (ko)
JP (1) JP4892154B2 (ko)
KR (1) KR100736305B1 (ko)
CN (1) CN1219693C (ko)
DE (1) DE60009162T2 (ko)
ES (1) ES2217012T3 (ko)
PT (1) PT1252086E (ko)
TW (1) TW575016U (ko)
WO (1) WO200105318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4487B2 (en) * 2001-04-18 2006-02-07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load bearing termination assembly
US6662408B2 (en) * 2001-09-07 2003-12-1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load bearing termination assembly with gripping inserts
ZA200506660B (en) 2004-09-13 2006-05-31 Inventio Ag Belt end connection for fastening a belt end in a lift installation and method for protecting and checking a belt end connection in a lift installation
EP2053007B1 (de) * 2004-09-13 2011-10-05 Inventio AG Tragmittelendverbindung zur Befestigung eines Endes eines Tragmittels in einer Aufzugsanlage und Verfahren zur Befestigung eines Endes eines Tragmittels in einer Aufzugsanlage
SG129351A1 (en) * 2005-07-22 2007-02-26 Inventio Ag Lift installation with a support means end connection and a support means, and a method of fasteningan end of a support means in a lift installation
EP1760027B1 (de) * 2005-09-02 2009-09-30 Inventio Ag Tragmittelendverbindung für einen Aufzug
ZA200606234B (en) * 2005-09-02 2007-12-27 Inventio Ag Suspension means end connector for an elevator
ATE493362T1 (de) * 2005-10-21 2011-01-15 Inventio Ag Aufzugstürvorrichtung
US8505173B2 (en) * 2006-08-29 2013-08-1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load bearing termination assembly
RU2461512C2 (ru) * 2006-08-29 2012-09-20 Отис Элевейтэ Кампэни Замок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конца удлиненного несущего элемента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замка лифтовой системы
EP2000431A1 (de) * 2007-06-04 2008-12-10 Inventio Ag Endverbinder und Verfahren zur Befestigung eines flachriemenartigen Tragmittels eines Aufzugsystems
US8181312B2 (en) 2007-06-04 2012-05-22 Inventio Ag End-connector and method for fastening a flat-belt type suspension means of an elevator system
US8096024B2 (en) * 2008-08-13 2012-01-17 Thyssenkrupp Elevator Capital Corporation Rope termination device
WO2011073152A1 (de) * 2009-12-14 2011-06-23 Inventio Ag Tragmittelendverbindung für eine aufzugsanlage
EP2354073A1 (de) * 2010-02-10 2011-08-10 Inventio AG Tragmittelbefestigungseinrichtung einer Aufzugsanlage
CN102992120A (zh) * 2012-11-26 2013-03-27 吴江市金真缝纫机有限公司 纺织用可调张紧装置
EP2935070B1 (de) * 2012-12-18 2016-12-07 Inventio AG Befestigungseinrichtung für ein ausgleichselement einer aufzugsanlage
US10131521B2 (en) * 2016-10-24 2018-11-20 Thyssenkrupp Elevator Ag Belt end termination with a cone clamp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80800A (en) * 1921-06-07 Worth
US1011423A (en) 1908-03-27 1911-12-12 Otis Elevator Co Belt-drive elevator.
US926926A (en) * 1908-05-11 1909-07-06 John C Dawson Cable-grip.
US975790A (en) 1908-11-25 1910-11-15 Charles O Pearson Multiple metallic belt for traction-elevators.
US1164115A (en) 1909-01-21 1915-12-14 Charles O Pearson Traction-elevator.
US1035230A (en) 1911-10-24 1912-08-13 Charles O Pearson Traction-elevator.
US2130040A (en) * 1935-12-31 1938-09-13 Macwhyte Company Wire line sling and fitting therefor
US2482231A (en) * 1944-07-13 1949-09-20 Joseph T White Cable lock
US2540887A (en) * 1948-12-31 1951-02-06 Auld D L Co Cable-anchoring and -tightening device
US2977654A (en) * 1957-12-02 1961-04-04 Page Engineering Company Rope wedge socket
GB1362514A (en) 1970-03-16 1974-08-07 Teleflex Ltd Winches
DE2136540A1 (de) 1971-07-22 1973-02-01 Rudolf Dr Ing Vogel Aufzug
DE2333120A1 (de) 1973-06-29 1975-01-23 Rudolf Dr Ing Vogel Treib- und/oder umlenkrollen fuer stahlbaender als traeger von transportmitteln
FR2293392A1 (fr) 1974-12-04 1976-07-02 December 4 Drotmuevek Cables et dispositifs d'arret de cables pour systeme de levage en particulier koepe
US4536921A (en) * 1981-10-30 1985-08-27 Geroh Gmbh, Mechanische Systeme Cable clamp
US4602891A (en) * 1985-05-10 1986-07-29 Mcbride Arlen P Open wedge socket
DE3623407A1 (de) 1986-07-11 1988-01-21 Heuer Hammer Gmbh & Co Kg Klemmkausche
DE3643968A1 (de) * 1986-12-22 1988-06-30 Neynaber Chemie Gmbh Partialester gesaettigter, geradekettiger c(pfeil abwaerts)2(pfeil abwaerts)(pfeil abwaerts)2(pfeil abwaerts)-c(pfeil abwaerts)3(pfeil abwaerts)(pfeil abwaerts)4(pfeil abwaerts)-monocarbonsaeuren mit polyol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diese enthaltende trennmittel fuer kunststoffe, insbesondere auf basis von pvc oder pvc-copolymerisaten
JPH0215066Y2 (ko) * 1987-05-21 1990-04-24
JPS6392412A (ja) 1987-08-21 1988-04-22 旭化成株式会社 Alcコ−ナ−パネルの製造方法
JPH01137383A (ja) 1987-11-25 1989-05-30 Oki Electric Ind Co Ltd 文字認識装置
US4887337A (en) * 1988-12-30 1989-12-19 Polytech Netting Industries Cord cinching device
JP2900457B2 (ja) 1989-12-22 1999-06-02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
US5199137A (en) * 1991-03-25 1993-04-06 Nylube Products, Co. Rope guard assembly for wedge clamp
US5112933A (en) 1991-04-16 1992-05-12 Otis Elevator Company Ether-based polyurethane elevator sheave liner-polyurethane-urea made from polyether urethane prepolymer chain extended with polyester/diamine blend
JPH05172190A (ja) * 1991-12-26 1993-07-09 Hitachi Constr Mach Co Ltd ロープ連結具
ES2189986T3 (es) 1996-12-30 2003-07-16 Kone Corp Disposicion de cable de ascensor.
AU7403798A (en) 1996-12-30 1998-07-31 Kone Oy Elevator rope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45419B1 (en) 2002-02-12
ES2217012T3 (es) 2004-11-01
CN1219693C (zh) 2005-09-21
EP1252086A2 (en) 2002-10-30
PT1252086E (pt) 2004-06-30
DE60009162D1 (de) 2004-04-22
CN1424975A (zh) 2003-06-18
WO2001053185A3 (en) 2002-03-21
JP2003520170A (ja) 2003-07-02
EP1252086B1 (en) 2004-03-17
KR100736305B1 (ko) 2007-07-06
DE60009162T2 (de) 2004-08-12
TW575016U (en) 2004-02-01
WO2001053185A2 (en) 2001-07-26
JP4892154B2 (ja) 201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6305B1 (ko) 승강기 카 인장 부재 종결 장치
US6195848B1 (en) Slidable ratchet tensioning device and tie-down assembly
JP4874487B2 (ja) 引張り部材用の終端装置
KR100796431B1 (ko) 평평한 가요성 인장 부재용 종결부
US7811040B2 (en) Safety device applied to appliances for lifting boards onto ceilings and walls
JP4662676B2 (ja) エクステンションアーム
US4845814A (en) Wedge socket
US6418685B1 (en) Anchor strap frame clamp
US5199137A (en) Rope guard assembly for wedge clamp
US6695098B1 (en) Self-locking wrap termination for tension member
KR0135946B1 (ko) 수동식 체인블럭
US8918966B2 (en) Failsafe system for raising and lowering at least one object
US4719672A (en) Clamp body for cable conductor
US11118655B2 (en) Assembling structure for timely and securely locking and releasing a rope
EP2020399A1 (en) Compact fixing element for elevator ropes
KR20220105086A (ko) 리프트 추락 방지 장치
US3861650A (en) Stringing puller
CA1057031A (en) Spring-biased take-up clamp assembly for mobile home tie-down straps
JP2749282B2 (ja) ケーブル延線作業用ケーブル案内具
KR20190110293A (ko) 배관의 흔들림방지버팀대용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배관연결장치
JPH09103022A (ja) 楔式引留クランプ
KR100250262B1 (ko) 하향 견인지그
JPH02151225A (ja) マンホール用架台
JP2000044182A (ja) バック制動付滑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