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4421A - 대장암 발병 억제용 영양 보충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대장암 발병 억제용 영양 보충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4421A
KR20020074421A KR1020020014739A KR20020014739A KR20020074421A KR 20020074421 A KR20020074421 A KR 20020074421A KR 1020020014739 A KR1020020014739 A KR 1020020014739A KR 20020014739 A KR20020014739 A KR 20020014739A KR 20020074421 A KR20020074421 A KR 20020074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pergillus
composition
rice bran
fine powder
coz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4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1591B1 (ko
Inventor
테루아끼 이와사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겐마이고오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겐마이고오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겐마이고오소
Publication of KR20020074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4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5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62Ascomycot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5Vegetable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23L33/21Addition of substantially indigestible substances, e.g. dietary fibres
    • A23L33/22Comminuted fibrous parts of plants, e.g. bagasse or pul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암을 극복하는 기본 사항이라는 인식으로부터, 균형있는 영양을 함유하고, 발암 물질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며, 영양 보충물로서 연속하여 투여되더라도 부작용이 없으며 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조성물의 총량에 관하여 15중량% 내지 30중량% 범위의 식이성 섬유가, 아스퍼질러스에 의해 생성된 효소군의 촉매작용 능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아스퍼질러스 사균체를 함유하는 건조 코지 미분말에 함유되어 있는 대장암 억제용 영양 보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대장암 발병 억제용 영양 보충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 방법 {NUTRITIOUS SUPPLEMENTAL COMPOSITION FOR SUPPRESSION AGAINST ONSET OF LARGE INTESTINAL CANC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1.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대장암의 발병에 대한 우수한 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대장암 발병 억제용 영양 보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서는, 쌀겨를 증기로 가열하고, 예를 들어 아스퍼질러스(Aspergillus), 예를 들어 아스퍼질러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균주를 상기 쌀겨와 혼합하고, 이들을 배양하고 숙성시켜 쌀겨 코지(koji)를 제조하고, 아스퍼질러스를 사멸시키고, 아스퍼질러스에 의해 생성된 효소군이 효소 자체의 고유한 촉매작용 능력이 상실되지 않는 상태의 건조 코지 미분말로 한다.
조성물중에는 돌연변이원의 제거를 목적으로 하는 식이성 섬유 또는 영양소로서 작용하는 식물성 단백질이 함유되어 있는 바, 본 발명은 대장암의 발병을 억제하기 위한 영양 보충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2. 관련 기술의 설명
암은 일반적으로 악성 종양으로 정의되고 있다. 발암 원인으로서, 발암 물질로 인한 화학성 발암 및 바이러스성 발암으로 대별된다.
화학성 발암 물질로서, 엄청나게 많은 발암 물질을 들 수 있다. 또한, 바이러스성 발암에 관하여도, 그 종류의 수가 100종이 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또한, 암이 발생하는 원인은 화학성 발암 물질과 특정인이 갖고 있는 유전자간의 조합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고 100종 이상의 발암 유전자가 보고되어 있다.
근년, 발암 물질(예를 들어, 아족시메탄=AOM)의 투여 초기에 랫트에서 출현하는 변이 음와 병소(aberrant crypt foci; ACF)가 대장의 전암성 병변으로서 주목되었고, 이 병변은 사람에도 존재하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어서, 이것은 대장암의 발병의 예방을 위한 중요한 지표중의 하나인 것으로 추정된다.
돌연변이원은 세포 자체의 고유한 특성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세포의 유전자에 직접적인 장해를 주는 니트로소 화합물 또는 방부제와 같은 "직접적인 돌연변이원"; 및 태운 고기 또는 생선 등에서 발견되는 아미노산 또는 단백질의 분해 생성물과 같이, 효소에 의해 인체에서 활성화되는 "간접적인 돌연변이원"이 존재한다.
"돌연변이원"에 의해 생성되는 변이 음와 병소는 대장의 전암성 병변이며 장래에 대장암으로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험에 따르면, 이러한 "변이 음와 병소"에 대한 억제 물질은 "변이 음와 병소"에 의해 발병하는 대장암을 약 70%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함암 화학요법에 대하여, 최근에는 살해 세포 또는 면역담당 세포에의한 숙주의 생체방어 기능을 이용하여 암세포의 직접적인 파괴 또는 생체의 기능을 강화시킴으로써 암을 간접적으로 물리치는 생체 기능의 강화에 관점을 두고 생물학적 반응 조정제(biological response modifier; BRM)를 이용하는 개념이 의학 분야에서 제창되었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면역계를 활성화하기 위한 의약 또는 식품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종종 세균 또는 진균 유래의 식품, 예를 들어 유산간균 (Lactobacillus lactis), 유산구균, 담자균 균사체 배양물(아스퍼질러스), 버섯의 자실체 등이 백혈구 막의 표면에 대해 자극 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물질의 대표적인 예로서, 유산균 등과 같은 그람 음성 세균 또는 식물에 함유된 β-글루칸의 세포벽을 이루는 성분(일반적으로 LPS로 불림)을 사용한 면역계의 자극에 의한, 사이토카인(이것은 특이적 항원과 접촉하여 감작된 림프구에 의해 방출되는 가용성 물질군으로 단핵구 또는 마크로파지 등을 자극시킴으로써 세포성 면역의 작용을 보조하는 림포카인과 같은 비항체 단백질의 총칭이다. 이것은 면역 반응이 일어나는 경우 세포간 조절 인자로서 작용할 수 있다)의 생성 및 방출을 들 수 있다.
또한, 식물 또는 동물 유래의 일부 식품들, 예를 들어 클로렐라, 네마시스터스 데시피언스(Nemacystus decipiens) 및 기타 해조(황산 다당류), 녹황색 채소(카로티노이드 등), 과일 등(폴리페놀 등), 콩류(대두 펩티드), 쌀겨(아라비노크실란 등), 핵산(연어 DNA), 갑각류(키틴, 키토산), 조개류(아연, 셀레늄) 등이 백혈구 세포에서 대사 활성을 조정하는 메카니즘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전형적인 예로서, 채소에 함유된 설파이드에 의한 대사 효소의 활성화가 있다.
한편, 채소(시금치, 필드피(field pea), 우엉, 참마(yam), 팽나무(nettle tree) 버섯, 버섯, 은행, 옥수수, 그린피스(green peas) 등) 또는 과일(오렌지, 포도, 만다린 오렌지, 사과 등)이 인체에서 돌연변이원의 생성 억제, 돌연변이원의 불활성화, 돌연변이원의 대사 활성화 억제, 대사 활성화 돌연변이원의 불활성화, 유전자 등의 돌연변이 고정화 억제에 대한 우수한 작용 및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암화 세포는 증식에 대한 특정 신호가 증식과 관련된 수용체의 이상 상태로 인해 수용되지 않는 경우에도 세포 자체내에서 특이적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세포분열을 나타낸다. 이 경우, 채소즙 등에 함유된 카로티노이드 등의 색소계는 세포 수용체의 이상 상태를 개선시킬 수 있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채소 등에 함유된 항돌연변이원 물질로서 작용하는 효과적인 성분으로서, 비타민, 예를 들어 비타민 C, 프롤린(α-아미노산의 일종), 티오프롤린, 글루타치온(환원 작용을 가짐), 시스테인(황 원자를 함유하는 α-아미노산으로서, 그 구조중 -SH가 생물활성에 중요하다), 황 및 수소로 된 화합물 및 식이성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영양에 관한 대사 기능의 장해로서 탄수화물 대사 기능의 감소는 노화에 대한 지표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고령화가 진행되는 동안 사람의 탄수화물 대사 기능이 저하되는 최고 연령은 약 65세이며, 탄수화물 대사를 포함한 영양 대사의전체 기능의 저하는 각 분비 기관에서 에너지 부족을 초래할 수 있고, 이것은 건강 상태 부조의 주원인이 되어 일련의 증후군을 야기할 수 있다.
일본 사람에게 발병하는 암으로서, 위암을 앓고 있는 사람의 수가 압도적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본에서 근년에는 육식을 하는 사람의 수가 증가하였고 채식을 하는 사람의 수는 감소하여 식사의 불균형이 초래된 결과, 대장암의 발병율이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다량의 지방을 섭취하는 나라에서는 유방암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일본에서 유방암의 발병율도 증가 경향을 보이고 있다.
최근 일본에서 통계학적 연령에 의해 분류된 암으로 인한 사망율은 24세 또는 25세의 경우를 1로 정의할 때, 40세 이상의 사망율이 일거에 9배를 넘는다. 이 수치는 50대에서는 29배, 60대에서는 70배, 그리고 70대에서는 152배로 비약적으로 증가한다.
이러한 수치는 전술한 노화로 인한 대사 기능의 감소에 수반되는 면역 기능의 감소 경향에 비례한다고 할 수 있다.
다량의 육류 섭취로 인해 장내에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 또는 대장균이 우세하게 되고 또한 유해균(toxbacteria)의 증식을 조장하는 결과, 조직의 장해 또는 유해균으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에 의한 괴저에 의해 혈액 장해가 생기고 대장암이 발병하게 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고기 또는 햄버거에 존재하는 단백질을 가열에 의해 태우면 Trp-p-1, Trp-p-2 등과 같은 발암원 물질이 생성되고, 발암원 물질이 대장암 뿐만 아니라 유방암 및 전립선암을 진행시킬 수 있다.
그러나, 다량의 채소 또는 식이성 섬유를 섭취하는 것은 식사 구성의 면에서도 소화 능력의 면에서도 심각한 문제를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인체의 노화 억제가 균형있는 영양 섭취 및 생체에서 조직 세포의 환경 개선을 통한 대사의 활성화에 의해 달성되고, 건강 유지 그 자체가 다양한 종류의 질환을 예방 및 억제하는 면역 기능의 활성화를 가져온다는 연구상의 인식으로부터, 모든 사람이 쉽게 섭취할 수 있으며 영양가 높고 흡수성이 우수한 영양 보충 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광범위하고 심도깊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쌀겨 코지를 주원료로 사용한, 실활되지 않은 효소를 함유하는 곡류 조성물에 식이성 섬유를 포함시켰다. 이 조성물은 영양 균형이 잘 이루어져 있어, 세포의 환경을 개선하는데 기여하여 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추가로 대사 기능 및 면역 기능의 활성화를 촉진한다. 추가로, 이 조성물은 돌연변이원의 하나인 인체 활성 산소를 억제할 수 있고, 추가로 변이 음와 병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조성물중 아스퍼질러스에 의해 생성된 6-파이타아제(6-phytase)가 식물중의 피틴(phytin)(미오이노시트헥사포스페이트의 칼슘염 및 마그네슘염)을 분해시키고, 이것의 흡수를 촉진시켜, 다량의 채소 또는 식이성 섬유를 섭취할 필요가 없음을 규명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 기술적 수단을 구성하였다.
즉, 쌀겨를 찌고, 아스퍼질러스 균주 콜로니를 배양하고 숙성시켜 쌀겨 코지를 수득하고, 아스퍼질러스를 사멸시켜 사균체를 포함하는 건조물을 수득하고, 아스퍼질러스 균주 콜로니에 의해 생성된 효소군이 효소 자체의 촉매작용이 상실되지 않은 상태의 건조 코지 미분말로 한다. 이 조성물은 식이성 섬유 또는 식물성 단백질을 포함한다.
이 경우, 현미와 같은 곡류 등을 쌀겨와 함께 아스퍼질러스를 배양하고 유산균을 아스퍼질러스와 배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1) 아스퍼질러스에 의해 생성된 효소군의 촉매작용 능력이 그대로 유지되고 아스퍼질러스 사균체를 포함하는 건조 코지 미분말에 조성물의 총량에 대해 15중량% 내지 30중량% 범위의 식이성 섬유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의 발병을 억제하기 위한 영양 보충 조성물.
(2) 아스퍼질러스에 의해 생성된 효소군의 촉매작용 능력이 그대로 유지되고 아스퍼질러스 사균체를 포함하는 건조 코지 미분말에 조성물의 총량에 대해 15중량% 내지 30중량% 범위의 식물성 단백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의 발병을 억제하기 위한 영양 보충 조성물.
(3) 아스퍼질러스에 의해 생성된 효소군의 촉매작용 능력이 그대로 유지되고 아스퍼질러스 사균체를 포함하는 건조 코지 미분말에 조성물의 총량에 대해 15중량% 내지 30중량% 범위의 식이성 섬유 및 조성물의 총량에 대해 15중량% 내지 30중량% 범위의 식물성 단백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의 발병을억제하기 위한 영양 보충 조성물.
(4) (1) 내지 (3)중 어느 한 경우에 있어서, 유산균의 사균체가 건조 코지 미분말에 추가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의 발병을 억제하기 위한 영양 보충 조성물.
(5) (1) 내지 (4)중 어느 한 경우에 있어서, 건조 코지가 쌀겨 코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의 발병을 억제하기 위한 영양 보충 조성물.
(6) (5)의 경우에 있어서, 쌀겨 코지, 보리 코지, 옥수수 코지, 콩 코지, 및 보리겨 코지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혼합 곡물 코지가 쌀겨 코지에 5중량% 내지 30중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의 발병을 억제하기 위한 영양 보충 조성물.
(7) 찐 쌀겨에서 아스퍼질러스를 배양하고 숙성시킨 후, 숙성된 생성물의 온도를 44℃ 내지 46℃로 유지시키고, 숙성된 생성물(코지)을 아스퍼질러스에 의해 생성된 효소군의 촉매작용 능력을 유지시킨 채로 아스퍼질러스 사균체를 함유하는 건조 쌀겨 코지로 형성시키고, 미분말로 추가로 변화시키고, 식이성 섬유 분말을 습도 차이가 없는 상태에서 건조 쌀겨 코지 미분말과 균일하게 혼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의 발병을 억제하기 위한 영양 보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8) 찐 쌀겨에서 아스퍼질러스를 배양하고 숙성시킨 후, 숙성된 생성물의 온도를 44℃ 내지 46℃로 유지시키고, 숙성된 생성물(코지)을 아스퍼질러스에 의해 생성된 효소군의 촉매작용 능력을 유지시킨 채로 아스퍼질러스 사균체를 함유하는 건조 쌀겨 코지로 형성시키고, 미분말로 추가로 변화시키고, 식물성 단백질을 습도차이가 없는 상태에서 건조 쌀겨 코지 미분말과 균일하게 혼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의 발병을 억제하기 위한 영양 보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9) (7) 또는 (8)의 경우에 있어서, 아스퍼질러스 및 유산균을 배양하고 숙성시킨 후, 숙성된 생성물을 아스퍼질러스에 의해 생성된 효소군의 촉매작용 능력을 유지시킨 채로 아스퍼질러스와 유산균의 사균체를 함유하는 건조 쌀겨 코지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의 발병을 억제하기 위한 영양 보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현미 표면은 현미 전체의 약 5%를 차지하는 외피, 종피 및 분말층 및 현미 전체의 약 3%인 배아를 함유하며, 정미 작업에 의해 박리되는 이들 부분은 쌀겨로 정의된다. 쌀겨의 배아 및 종피는, 당단백질, 무기질 또는 비타민에 부가하여, 피틴 형태(피틴산(phytic acid)의 칼슘염, 마그네슘염)의 피틴산(미오이노시트헥사포스페이트, 약칭 기호 IP6), 미오이노시톨(이것은 인산이 피틴산으로부터 제거된 부분, 효모의 성장 또는 마우스의 성장에 필요한 비타민 B 복합체의 일부, 및 항암 물질로 알려져 있음), 아라비노크실란, 페룰산(항응고물질의 라디칼을 제거하고, 활성 산소를 제거하며, 대장암의 발병을 예방하는 기능을 가짐), 아미노부티르산(단백질에 소량 존재하는 α-아미노산, 이것은 뇌조직의 호흡과 관련이 있음), 다당류, 항산화제, 및 불포화 지방산 등을 함유한다.
배아에 함유된 대부분의 천연 단백질은 당과 결합된 당단백질이다. 당단백질의 당쇄의 생리적 의미는 아직 잘 해명되어 있지 않지만, 당쇄의 기능은 이미 알려져 있으며 당쇄의 형태의 차이에 의한 세포간 인식, 생체에서 이동 및 세포 등의 단백질 대사에 깊이 관여하고, 활성 산소 또는 세균 등과 같은 돌연변이원 물질에 의해 유발된 염증은 당쇄 결합의 변화 및 세포간 인식 장해를 유도할 수 있어, 면역부전 또는 대상부전이 초래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유산균은 쌀겨에 함유된 당분을 분해시킨다. 유산균은 41℃ 이상의 열에 의해 사멸하고 사균체는 세포를 구성하는 성분에 대해 생체내의 각종 면역 반응을 활성화하여 높은 항암 작용 또는 감염 보호가 달성되는 효과를 갖는다는 학술 보고가 있다.
식이성 섬유에 부가하여 유산균의 단독 투여는 간 전이를 나타내는 암세포의 수가 억제되는 스캐빈저 효과(청소 작용)를 갖는다는 또다른 학술 보고도 있다.
본 발명의 성분으로서, 섬유 성분이 많은 식물의 잎, 줄기, 열매(콩, 종자) 등의 건조 분말이 식이성 섬유로서 적용될 수 있다.
단백질로 구성된 주된 식이성 섬유로서, 식물의 세포벽의 주성분으로서 작용하는 셀룰로오스(식물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는 식물 섬유의 기본 성분인 다당류), 헤미셀룰로오스(이것은 크실란, 만난, 갈락탄 등과 밀접하게 관련된 식물의 세포벽 다당류임), 리그닌(목질 세포벽에 존재하는 방향족 중합체 성분), 펙틴(식물의 세포간 물질로 존재하는 젤라틴 유사 산성 다당류), 알긴산(해조류의 세포막을 형성하는 점액질 다당류), 및 글루코만난(주성분으로서 만노오스를 함유하는 다당류) 등이 있다.
다당류(고분자 당쇄)가 백혈구를 활성화시키고, 사이토카인 네트워크를 자극하며, 호르몬계를 활성화시키고, 추가로 면역 기능을 활성화한다는 것은 명백히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식이성 섬유는 수용성 식이성 섬유 및 불용해성 식이성 섬유로 분류된다. 수용성 식이성 섬유는 혈청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작용 및 식후 혈당치의 증가를 억제하는 작용을 갖는다.
불용해성 식이성 섬유는 장에서 발암 물질 또는 발암 촉진 물질을 흡착하고 이들을 인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수용성 식이성 섬유인 펙틴은 대장암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또한, 식물에서 피틴의 형태로 함유된 다량의 피틴산 및 미오이노시톨은 항암 물질로서 공지되어 있다.
대장암 유발 동물 모델에서 모든 피틴산, 미오이노시톨, 및 이노시톨 화합물이 변이 음와 병소 발생의 예방에 우수한 것으로 인정되었고 이들 물질을 병용 투여한 누드 마우스를 사용한 실험에서는 대장암, 섬유육종, 및 유방암 등의 발병을 억제하는 효과가 보고되었다.
사람에서, 피틴산 및 미오이노시톨 1일 1 내지 2g 투여는 대장암의 예방 효과를 나타내며, 대장암의 발병 위험이 있는 사람에서는, 이 용량의 2배량이 대장암의 예방에 충분하다.
이러한 피틴산은 항암 물질일 뿐만 아니라, 동맥경화증의 예방, 노화 예방 및 항산화 작용을 갖는다는 학술 보고가 있다.
이러한 학술 보고에 따르면, 생체는 화학 물질, 즉 외부 환경으로부터 인체내로 들어온 돌연변이원을 해독시켜 이를 불활성화시키는 작용을 갖는 글루타치온-S-트랜스페라아제(GST)라는 효소를 갖고 있으며, 실험용 랫트에게 피틴산(사료의 2%)을 투여한 경우, 랫트의 간에서 이들 발암 물질을 함유하는 화학 물질을 불활성화하는 GST 활성이 유의한 차이로 증가하여 돌연변이원 물질을 감소시킨다.
피틴산 그 자체는 대장암에 대한 예방 효과를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녹차(2% 농도)와 병용시 대장암 억제에 유효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대장암 억제 효과는 피틴산으로부터 인산이 제거된 미오이노시톨과 병용시에 더욱 개선된다는 학술 보고가 있다.
랫트의 경우, 이러한 피틴산은 소장 점막 유래의 6-피타아제(가수분해에 의해 6-인산을 제거하는 효소)에 의해 분해되고 흡수되지만, 사람의 경우에는 소장 점막 유래의 6-피타아제의 활성화는 랫트의 경우에 비해 매우 낮아, 식사 유래의 6-피타아제가 존재하지 않으면 섭취하더라도 피틴산이 거의 흡수되지 않는다. 또한, 피틴산은 단백질과 결합된 상태에서는 흡수되기 어려운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중 단백 분해 효소는 단백질을 분해하고, 아스퍼질러스에 의해 생성된 6-피타아제가 피틴과 피틴산에 대한 가수분해 작용을 수행하여 피틴산(IP6)을 흡수시키지만, 이것은 IP5, IP4, IP3및 미노이노시톨 등으로 분해되어 쉽게 흡수될 수 있다. 또한 마그네슘 또는 칼슘 등은 인산기로부터 분리되어 쉽게 흡수된다.
이로써, 피틴을 함유한 다량의 식이성 섬유를 섭취하지 않더라도, 피틴산의 실질적인 효과 및 미오이노시톨의 실질적인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피틴산은섭취후 약 1시간 내에 생체의 각종 장기에 도달하고 그 작용을 발휘하는 즉효성을 나타낸다.
상기 성분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영양 균형이 우수하고 다량의 생체방어 활성화 물질을 함유한다. 사람이 본 조성물을 연속적으로 영양 보충 식품으로서 매일 약 20g 섭취하는 경우, 이 보충 식품과 함께 정규 식사가 상승 작용에 의해 세포의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세포에 에너지가 부여되고, 대사 기능 및 면역 기능 등이 개선되어 건강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조성물에 다량 함유된 "돌연변이원"을 억제하는 물질이 "돌연변이원"을 제거하고, 대장암의 전암성 병변의 발생을 억제하여, 대장암의 억제에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특히, 아스퍼질러스에 의해 생성된 6-피타아제를 섭취하는 경우, 피틴 형태의 피틴산에 대한 가수분해 작업을 수행하여, 피틴산을 잘 흡수시키므로, 다량의 채소 또는 식이성 섬유를 섭취하지 않아도, 본 조성물에 함유된 미오이노시톨 및 피틴산의 효과적인 약물학적 작용를 얻을 수 있다.
본원에서 정의된 "생성물 온도"는 아스퍼질러스 배양에 의해 배양상(culture bed)에 발열되어 있는 원료의 온도를 의미한다. "쌀겨 코지"는 곡물 코지가 30% 이하의 비율로 혼합되어 있는 코지도 포함한다.
실시예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기와 같이 설명된다.
방법 실시예 1
선별한 쌀겨를 가수기에 넣고, 원료에 대해 약 25중량% 내지 30중량%의 물을 첨가하고, 상기 선별한 쌀겨에 물을 충분히 흡수시켜 쌀겨를 팽윤시켰다. 팽윤된 쌀겨를 찜기에 넣고, 석회질 분말(구운 굴껍질 분말 = 입도 #250메쉬 내지 #400메쉬)을 각각 약 0.5중량% 내지 1중량% 첨가하고, 수분을 점검하면서 이 재료를 100℃ 내지 120℃의 증기로 약 50 내지 60분 쪘다. 현미와 같은 곡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들을 쌀겨와 함께 찐다.
완전히 찐 쌀겨를 약 37℃ 내지 40℃로 방냉시키고, 아스퍼질러스 균주 콜로니, 예를 들어 아스퍼질러스 오리제 균주를 약 0.1중량% 첨가하고 서로 잘 혼합시켰다.
이 경우, 다른 코지로부터 선택된 아스퍼질러스(A. kawachii, A. awamori, A. usami)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소량의 유산균(약 2.5x10개/g 내지 3.0x102개)을 첨가하였다. 필요에 따라, 아스퍼질러스의 양과 동량의 효모 및 유산균을 첨가할 수 있다.
아스퍼질러스 균주 콜로니는 아밀라아제, 프로테아제 및 리파아제 등의 분해 효소를 활발하게 분비하여 쌀겨중의 당 및 단백질을 저분자로 분해시킨다. 유산균은 당을 분해시킨다. 아스퍼질러스 및 유산균의 배양에 적합한 온도는 35℃ 내지 37℃이며 습도는 85%RH 내지 90%RH이고, 균의 활성은 70%RH 이하의 습도에서 정지된다. 온도와 습도를 35℃ 내지 37℃의 온도 범위 및 50%RH 내지 90%RH의 습도 범위에서 단계적으로 조정하면서 아스퍼질러스 및 유산균을 갖는 원료를 32 내지 36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배양상에서 쌀겨를, 적당한 정도의 통기 간격을 형성하도록, 쌀겨의 표면에 균일하게 부착된 석회질 분말과 서로 밀착되지 않게 하고, 아스퍼질러스 균주 콜로니를 공기 흐름이 평균적으로 잘 유지되는 상태에서 배양시켰다.
배양상에서, 아스퍼질러스 균주 콜로니의 배양열에 의해 온도가 25℃의 온도로부터 38℃까지 자동적으로 서서히 증가하였다. 이 상태를 최소 8시간 유지시켰다. 생성물의 온도(배양상에서 원료의 온도)가 40℃ 내지 41℃가 되었을 때, 종균의 활성이 둔화되지 않도록 배양상을 교반시켜 생성물 온도를 강제로 감소시켰다. 이 때, 생성물의 온도를 약 32℃로 하강시키고 다시 특정 온도까지 상승시켰다.
아스퍼질러스 균주 콜로니의 숙성이 촉진되는 성장기는 생성물의 온도가 40℃를 초과하지 않도록 31℃ 내지 36℃의 실온으로 조절하고, 6시간 후에 생성물의 온도가 40℃ 내지 42℃로 되었을 때, 배양상을 교반시켜 생성물의 온도를 감소시켰다. 이 작업 후에, 온도 및 습도 둘 모두를 생성물의 온도가 39℃ 내지 40℃의 범위가 될 수 있도록 조정한 후, 이 재료를 11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아스퍼질러스속 균주 콜로니는 호기성이기 때문에, 이 기간 동안 산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배양상의 교반을 정해진 시간(8시간) 마다 3 내지 4회 수행하였고, 색 점검 및 향 점검을 수행하고, 추가로 숙성 및 건조 정도를 배양상의 교반에 의해 조정하였다.
아스퍼질러스 균주 콜로니의 성장이 정지된 휴지기에, 습도를 아스퍼질러스의 활성이 둔화되는 70%RH 이하로 조정하고 실온을 36℃ 내지 37℃로 증가시켰다.생성물의 온도를 39.5℃ 내지 40℃의 범위로 조정하고 생성물을 6시간 동안 숙성시켜 쌀겨 코지를 수득하였다. 이때, 배양상의 pH는 6 내지 7로 유지시켰다.
그 후에, 배양상의 쌀겨 코지를 46℃ 내지 53℃의 실온에서 그대로 9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생성물의 온도는 44℃ 내지 46℃의 범위로 제한하고, 아스퍼질러스 및 유산균의 활성을 완전히 정지시키고 사멸시켰다. 건조 처리 완료시, 생성물은 수분 함량이 4% 이하, 2.5% 내지 3.6%인 건조물로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통상적인 쌀겨의 수분 함량은 13 내지 14%이다.
상기 건조 쌀겨 코지를 체에 걸러 5mm 이상 크기의 단단한 덩어리를 제거하고, 분쇄기에 넣어 미분말 입도를 점검하면서 건조 코지 미분말로 하였다.
사용된 현미로서, 산지가 다른 3종의 쌀을 서로 혼합하였다. 석회질 분말로서, 구운 굴껍질 분말을 선택하였다. 그러나, 골분, 칼슘 락테이트, 게껍질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원료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방법의 경우에, 아스퍼질러스 이외에 첨가한 유산균은 혐기성이기 때문에, 배양상의 원료에서 공기 흐름이 적게 생성되는 층에서는 당이 분해되어 감소된다. 이러한 유산균도 건조 단계에서 열에 의해 사멸한다.
방법 실시예 2
현미, 보리, 옥수수, 대두 및 보리겨로부터 선택된 단독 곡물 또는 혼합 곡물을 5 내지 30중량%의 범위로 쌀겨와 혼합하여 찌고, 바람직한 구현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아스퍼질러스 및 유산균과 배양하였다. 숙성 후 건조 단계도 바람직한 구현예 1의 경우와 동일하였다. 이러한 곡물을 쌀겨로부터 분리한 아스퍼질러스와배양하고 혼합시킬 수 있다.
그 후, 조성물 총량의 2중량% 내지 30중량%의 비가열 건조 식이성 섬유 미분말(수분 함량 2.5% 내지 3.6%)를 상기 방식으로 제조한 건조 코지 분말에, 건조 코지 미분말과 비가열 건조 식이성 섬유 미분말간의 습도차가 없도록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즉, 이들은 미분말이므로, 이들 재료간에 현저한 습도차가 있는 경우에는, 서로 혼합시 소정의 덩어리가 쉽게 형성될 수 있고 균일한 혼합이 일어나기 어려울 수 있다.
건조 코지 미분말에 첨가된 식이성 섬유로서, 예를 들어 모든 건조 버섯 미분말(표고버섯, 마이타케(maitake), 에린기(eringi), 영지버섯 등), 덩굴차(G. pentaphyllum), 강낭콩, 필드피, 신선초, 쑥, 시금치, 소송채(Brassica Rapa var.pervidis), 차엽, 우엉, 죽순, 당근, 양파, 피망, 곤약, 고구마, 생강, 채소 열매(대두), 쌀겨, 밀겨 분말, 대두피 분말, 해조, 과일, 감엽, 죽엽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재료는 전체 건조물의 분말이기 때문에, 섬유 이외에 다른 여러가지 영양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이들 채소 및 과일의 식이성 섬유는 대사성 질환을 회복하는데 중요한 관계를 나타내며, 대장에서 발암 물질을 흡착하여 이들을 제거하므로, 이들의 생리적인 기능이 주목되고 있다. 또한, 식이성 섬유는 장벽을 자극하여 과연동운동을 촉진시키고 변비를 제거한다.
채소 및 과일에 대한 건조 단계로서, 비가열 냉동 저온 건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채소를 건조시킨 식이성 섬유 미분말을 조성물의 총량에 대해 2중량% 내지 30중량%의 범위로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채소로부터 추출한 식이성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배합 실시예 1
건조 쌀겨 코지 미분말 75중량%
건조 쌀 코지 미분말 10중량%
대두 미분말 10중량%
덩굴차 미분말 3중량%
쑥 미분말 2중량%
배합 실시예 2
건조 쌀겨 코지 미분말 80중량%
건조 곡물 코지 미분말 10중량%
신선초엽 미분말 4중량%
스피룰리나 미분말 4중량%
차엽 미분말 2중량%
배합 실시예 3
건조 쌀겨 코지 미분말 70중량%
건조 쌀 코지 미분말 10중량%
버섯(영지버섯) 미분말 5중량%
신선초엽 미분말 7중량%
차엽 미분말 2중량%
생강 분말 1중량%
대두 단백질 5중량%
배합 실시예 4
건조 쌀겨 코지 미분말 80중량%
신선초엽 미분말 2중량%
강낭콩 미분말 2중량%
해조 미분말 1중량%
대두 단백질 15중량%
배합 실시예 5
건조 쌀겨 코지 미분말 80중량%
건조 쌀 코지 미분말 10중량%
해조(Hizikia fusiforme) 미분말 3중량%
스피룰리나 5중량%
버섯(마이다케, 영지버섯, 아가리스쿠(Agarisk), 표고버섯(Lentinus edodes), 등)은 발암 물질을 억제하는 성분, 예를 들어 섬유 성분, 피틴 형태의 피틴산, β-글루칸 등을 다량 함유한다. 특히, β-글루칸이 생체의 면역담당 세포를 활성화함으로써 종양 세포를 파괴하여, 암의 후퇴를 초래한다는 것은 이미 밝혀져 있다. 또한, 사람의 전립선암 세포에 대한 실험에서 β-D-글루칸이 자기파괴 유도 작용을 초래하는 것이 인정된다는 보고도 있다.
생강은 단백 분해 효소를 함유하며 항균 작용을 갖는다.
해조는 다량의 섬유 성분을 함유하며, 뇌하수체 호르몬의 활성화를 촉진하는 요오드도 다량 함유한다. 성인에서 1일 요오드 필요량은 300 내지 400㎍으로 되어 있다.
또한, 조성물을 총량에 대하여 5중량% 내지 30중량%의 비가열 식물성 단백질을 건조 코지 미분말과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식물성 단백질로서, 대두 분말, 대두 단백질, 스피룰리나 및 옥수수 분말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은 비가열 단백질을 공급하여 아미노산을 흡수시키기 위해 인체내에서 효소분해된다.
상기 스피룰리나는 염수에서 잘 성장하는 남조류이며, 섬유 성분 및 클로로필을 함유하고, 그 전체 용적의 60%가 안정한 아미노산을 갖는 단백질이다.
배합 실시예 1
건조 쌀겨 코지 미분말 70중량%
건조 쌀 코지 미분말 10중량%
대두 단백질 20중량%
배합 실시예 2
건조 쌀겨 코지 미분말 65중량% 내지 80중량%
대두 단백질 20중량% 내지 35중량%
배합 실시예 3
건조 쌀겨 코지 미분말 70중량%
스피룰리나 분말 5중량%
대두 단백질 25중량%
배합 실시예 4
건조 쌀겨 코지 미분말 85중량%
건조 곡물 코지 미분말 10중량%
스피룰리나 분말 5중량%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2중량% 내지 30중량% 범위의 식이성 섬유 미분말 및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5중량% 내지 30중량% 범위의 식물성 단백질 미분말을 건조 코지 미분말과 혼합하였다.
배합 실시예 1
건조 쌀겨 코지 미분말 70중량%
건조 쌀 코지 미분말 10중량%
대두 단백질 15중량%
해조 미분말 2중량%
신선초 미분말 3중량%
배합 실시예 2
건조 쌀겨 코지 미분말 65중량%
건조 쌀 코지 미분말 10중량%
대두 단백질 20중량%
곤약 분말 1중량%
보리겨 미분말 1중량%
표고버섯(Lentinus edodes) 미분말 3중량%
배합 실시예 3
건조 쌀겨 코지 미분말 70중량%
건조 쌀 코지 미분말 5중량%
대두 단백질 10중량%
보리겨 미분말 1중량%
곤약 미분말 3중량%
신선초 미분말 3중량%
표고버섯(Lentinus edodes) 미분말 5중량%
해조 미분말 2중량%
차엽 미분말 1중량%
후술하는 부형제를 단독 건조 코지 미분말 및 혼합 미분말에 첨가하고, 이들을 조립기에 의해 입도 1.2 내지 1.3mm의 입자로 형성시키고, 건조후에 분포기에 의해 1포 3.5g, 5g 등의 중량으로 포장하거나, 과립으로 형성하지 않고 타정기에 의해 정제로 형성시켰다.
상기 부형제로서, 원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후술되는 원료를 일정 혼합 범위에서 임의적으로 선택하고, 입자를 형성(정제 형성)시키기 전에 배합하여 예를 들어 입자를 제조하거나 정제를 형성시킨다.
글루코오스 4중량% 내지 12중량%
락토오스 12중량% 내지 20중량%
식물유지 2중량% 내지 6중량%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한 조성물(쌀겨 코지 65%, 쌀 코지 10%, 대두 단백질 20%, 및 표고버섯(Lentinus edodes) 분말 5%) 100g당 주성분의 누적 분석 결과는 하기와 같았다.
유산균수 248,000개/g 내지 253,000개/g
아밀라아제 역가 3200U/g 내지 3400U/g
중성 프로테아제 역가 366U/g 내지 383U/g
리파아제 역가 524U/g 내지 536U/g
당질 18.2g 내지 18.5g
단백질(아미노산 포함) 22.4g 내지 24.8g
식이성 섬유 18.5g 내지 19.3g
피틴산 3.86g 내지 4.23g
수분 2.6g 내지 3.4g
에너지 426 내지 445Kcal
건조 채소가 70% 이상의 섬유를 함유하기 때문에, 배합량과 관련하여 조성물중 식이성 섬유의 함유량을 20% 내지 40%로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증가된 섬유량에 따라, 피틴산의 양도 증가시킬 수 있다.
식물성 단백질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중 단백질의 함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배합량 각각은 지정된 값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항돌연변이 물질을 사용하여, 특히 대장암의 전암성 병변을 지표로 한 발암 예방 및 발병의 억제를 조사하기 위하여, 랫트를 사용한 단기간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발암원으로 작용하는 대상 아족시메탄(AOM)에 의해, 랫트의 대장에서 유발된 변이 음와 병소를 지표로 하여 대장암의 발생을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억제하는 시험을 수행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쌀겨 코지 65%, 쌀 코지 10%, 대두 단백질 20% 및 영지버섯 미분말 5중량%을 사용하였다.
(1) 실험 방법
5개군의 5주령 랫트 수컷 F344를 사용하였고 1군 내지 4군의 각 12마리 랫트에게 실험 시작후 1주 및 2주에 15mg/kg의 아족시메탄을 피하투여하였다.
2군 내지 4군의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을 각각 1.25%, 2.5% 및 5%의 농도로 기본 식이와 혼합하고 각 실험 기간 동안 사료중에 투여하였다(5주).
5군의 경우, 아족시메탄을 사용하지 않았고, 단지 본 발명의 조성물만을 5% 혼합하여 랫트에게 공급하였다.
실험 완료시에, 랫트를 도살하고 대장을 포르말린에 고정시킨 후, 메틸렌 블루로 염색시키고 변이 음와 병소의 정량적 관찰을 수행하였다.
(2) 실험 결과
각 군에서, 평균 체중에 유의차는 없었다. 대장의 변이 음와 병소가 1군 내지 4군에서만 인정되었다. 1군 내지 4군에서 대장에 대한 평균 변이 음와 병소는 각각 다음과 같았다:
1군 : 139.5 ±27.7
2군 : 122.6 ±27.7
3군 : 99.0 ±24.1
4군 : 79.0 ±18.4
3군 및 4군의 변이 음와 병소의 수는 각각 1군에 비해 유의하게 적었다(P<0.01).
변이 음와 병소를 구성하는 병소의 수에 관하여 이들을 분류할 경우, 그 값은 1개 병소의 경우 2군 내지 4군 모두 1군에 비해 적었고(P<0.01), 2개 병소의 경우 3군 및 4군 모두 1군에 비해 적었으며(P<0.05 또는 P<0.01), 4개 이상 병소의 경우 3군 및 4군 모두 1군에 비해 적었다(P<0.05).
(3) 고찰
본 실험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가 랫트 대장에 유발되는 변이 음와 병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이러한 변이 음와 병소의 발생 억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조성물이 인체의 대장암 예방 작용을 갖는 것으로 예측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자들은 대장암에 대한 발암원, 즉 아족시메탄(AOM)에 의해 유발되는 랫트 대장암의 발암 모델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장기간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1) 실험 방법
5주령 랫트 수컷 F344를 군당 30마리 랫트로 구성되는 7개군으로 나누고, 6군 및 7군을 제외하고 실험 시작후 1주 내지 3주까지 매주 1회, 총 3회 15mg/kg의아족시메탄을 피하투여하였다.
1군은 실험 기간 동안 기본식으로 사육하였다. 2군 및 3군 각각은 실험 시작후 5주 동안 본 발명의 조성물 5% 및 2.5%의 혼합물로 사육하고, 이어서 기본식으로 사육하였다.
4군 및 5군은 5주까지는 기본식으로 사육하고, 이후 본 발명의 조성물 각 5% 및 2.5%를 기본식에 혼합하여 사육하였다.
6군 및 7군은 아족시메탄(AOM)을 투여하지 않고, 실험 기간 동안 본 발명의 조성물 5%와 기본식으로 사육하였다.
40주 동안 사육한 후, 모든 랫트를 도살하고 대장에서 종양의 발생율 및 발생수를 비교하였다.
(2) 실험 결과
랫트 도살시, 각 군의 평균 체중은 아족시메탄 비처리군(7군)에 비해 아족시메탄 처리 군에서 약간 감소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장기간 투여한 군들(4군, 5군 및 6군)에서, 각군의 간 및 신장 중량비에 유의차는 없었다.
육안 검사에서는, 1군 내지 5군에서만 대장 종양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군 및 5군에서 종양 발생율(incidence)은 하기와 같았다:
1군 : 51.9%(14/27)
2군 : 55.6%(15/27)
3군 : 47.8%(11/23)
4군 : 18.5%(5/27)
5군 : 34.6%(9/26).
4군 및 5군에서 종양의 발생 억제 경향은 1군과 비교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일어났고, 4군은 유의차있는 감소를 나타내었다(P<0.05).
각 군에서 랫트당 평균 종양의 발생수(multiplicity)는 다음과 같았다:
1군 : 0.77 ±0.89
2군 : 0.70 ±0.91
3군 : 0.68 ±0.83
4군 : 0.18 ±0.39
5군 : 0.42 ±0.58.
4군은 1군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P<0.01).
(3) 고찰
아족시메탄에 의해 유발되는 랫트의 대장암의 발생 모델의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초기 단계에서 본 조성물로 사육한 군들(2군 및 3군)에서 억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조성물로 촉진 단계에서 사육한 군들(4군 및 5군)에서는 농도의존적으로 반응하여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더욱이 본 발명의 조성물 5%로 사육한 군(4군)에서 명백한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사람에서 대장암의 발병에 대한 억제 물질로서 유망한 것으로 예측된다. 사람이 섭취후 효과적인 본 발명의 조성물의 양은 1일 약 14g 내지 28g이며, 건강 유지를 위하여 섭취하는 영양 보충 식품으로서는 약 14g으로 충분하다. 표준 값으로서, 1일 21g이 바람직하다.
이 21g중 상기 시험물질중 피틴산의 함유량은 0.84g 내지 0.93g이다. 따라서, 식이성 섬유의 첨가량의 증가는 피틴산의 함유량도 증가시킬 수 있다.
대조적으로, 동일한 조건하에서 아족시메탄에 의해 유발되는 대장암의 발병 모델에게 다량의 피틴산을 함유하는 겨 및 겨중에 함유된 것과 동량의 단독 피틴산을 투여함으로써 29주 동안 실험을 수행한 결과, 피틴산을 투여한 군은 유의차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었으나, 겨를 투여한 군은 유의차(암 발생 빈도 70%)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지 않았다.
상기 사실로부터, 다량의 피틴산을 함유하는 다량의 식물을 섭취하더라도, 양에 대응하는 대장암의 발병 억제 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다.
한방약의 효과는 즉효성이 없으나, 사람의 건강을 회복시키면서 질병을 개선시킨다. 본 발명의 조성물도 대량의 영양소 및 다량의 항암 물질을 함유하고, 특히 피틴산에 대한 분해 효소를 함유한다는 사실은 대장암에 대한 발병 억제에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여, 조직 세포의 환경을 개선시키기 위한 영양 및 에너지를 제공하고 대사 기능 및 면역 기능을 개선시키므로, 한방약으로서의 효과도 아울러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식이성 섬유 및 식물성 단백질 등과 각은 원료의 선택 및 이들의 배합 비율 모두 상황에 따라 임의적으로 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주에서 일탈없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하기의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1) 제 1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체내에 다량 섭취한 경우, 다량 함유되어 있는 각 효소가 체내에서 촉매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단백질은 저분자로 분해되어 아미노산을 공급할 수 있고, 그 후 단백질은 생체의 세포를 위한 아미노산을 구성하기 위해 유기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식이성 섬유의 일부는 효소에 의해 분해되고, 다른 일부는 불용해성으로 대장으로 이동하여 발암물질을 흡착하고 이것을 체외로 배출시키며 장벽을 자극하여 변비를 해소시킨다.
사균체는 체내에서 효소에 의해 분해되고, 체내로 흡수되어 면역 반응을 활성화시킨다.
본 발명의 조성물중 아스퍼질러스에 의해 생성된 6-피타아제는 피틴 형태의 피틴산에 대한 가수분해 작용을 수행하여 이것이 쉽게 흡수되도록 한다.
따라서, 다량의 채소 또는 식이성 섬유를 섭취하지 않아도, 피틴산 또는 미오이노시톨이 효율적으로 흡수될 수 있고, 사람이 본 조성물을 섭취한 후 약 1시간내에 조성물이 각종 장기에 도달할 수 있으며, 즉효적인 방식으로 작용을 발휘할 수 있는 축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다량 함유된 비타민, 무기질, 및 기타 영양소가 생체내에서 세포의 에너지로 되고, 세포 환경의 개선, 세포 고유의 대사 기능 및 면역 기능의 개선 효과를 제공하며, 이러한 축적 효과는 노화를 방지하여 인체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고, 동시에 대장암의 발병을 억제하는 작용을 갖는 본 조성물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2) 제 2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효소 고유의 촉매작용 능력을 유지하는 건조 코지 분말에 식물성 단백질을 함유하여, 상기 (1)에서 기재한 효과에 부가하여, 단백질을 추가로 공급하지 않더라도, 본 조성물만을 섭취함으로써, 충분한 식물성 단백질을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서 세포에 공급되어 세포의 당쇄 및 아미노산 조성에 유기적으로 작용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건강을 회복시키고 유지하는데 기여하고 축적 작용을 통해 대장암의 발병을 억제하는 조성물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3) 제 3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이성 섬유 및 식물성 단백질을 함유하므로, 상기 (1) 및 (2)에 기재된 효과를 겸비한 효과를 갖는다.
(4) 제 4항에 기재된 조성물은 유산균에 의해 당분이 적은 조성물이 되며, 유산균의 사균체는 유산균의 세포벽 성분에 의한 면역계 자극, 사이토카인 생성 및 방출 등을 달성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5) 제 5항에 기재된 발명은 현미의 배아의 영양을 집중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6) 제 6항에 기재된 조성물은 쌀겨 코지, 보리 코지, 옥수수 코지, 콩 코지, 및 보리겨 코지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혼합 곡물 코지를 함유하므로, 식품중 각 부족한 성분을 보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축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7) 제 7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은 균일한 쌀겨 코지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건조 쌀겨 코지 미분말은 아스퍼질러스에 의해 생성된 효소군이 효소 고유의 촉매작용 능력을 상실하지 않도록 제공된다. 식이성 섬유 미분말을 쌀겨 코지 미분말과 혼합하는 경우, 이들 둘을 온도 및 습도차가 없는 상태에서 혼합함으로써, 균일한 밀도로 혼합할 수 있어, 상기 혼합된 조성물은 대장암 발병 억제에 우수한 조성물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8) 제 8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은 일정한 쌀겨 코지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건조 쌀겨 코지 미분말은 아스퍼질러스에 의해 생성된 효소군이 효소 고유의 촉매작용 능력을 상실하지 않도록 제공된다. 식물성 단백질 미분말을 쌀겨 코지 미분말과 혼합하는 경우, 이들 둘을 온도 및 습도차가 없는 상태에서 혼합함으로써, 일정한 밀도로 혼합할 수 있어, 상기 혼합된 조성물은 대장암 발병 억제에 우수한 조성물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9) 제 9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은 유산균에 의해 생성된 당을 분해시킴으로써 당분량이 적은 건조 쌀겨 코지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9)

  1. 아스퍼질러스에 의해 생성된 효소군의 촉매작용 능력이 그대로 유지되고 아스퍼질러스 사균체를 포함하는 건조 코지 미분말에 조성물의 총량에 대해 15중량% 내지 30중량% 범위의 식이성 섬유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의 발병을 억제하기 위한 영양 보충 조성물.
  2. 아스퍼질러스에 의해 생성된 효소군의 촉매작용 능력이 그대로 유지되고 아스퍼질러스 사균체를 포함하는 건조 코지 미분말에 조성물의 총량에 대해 15중량% 내지 30중량% 범위의 식물성 단백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의 발병을 억제하기 위한 영양 보충 조성물.
  3. 아스퍼질러스에 의해 생성된 효소군의 촉매작용 능력이 그대로 유지되고 아스퍼질러스 사균체를 포함하는 건조 코지 미분말에 조성물의 총량에 대해 15중량% 내지 30중량% 범위의 식이성 섬유 및 조성물의 총량에 대해 15중량% 내지 30중량% 범위의 식물성 단백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의 발병을 억제하기 위한 영양 보충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산균의 사균체가 건조 코지 미분말에 추가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의 발병을 억제하기 위한 영양 보충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 코지가 쌀겨 코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의 발병을 억제하기 위한 영양 보충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쌀겨 코지, 보리 코지, 옥수수 코지, 콩 코지, 및 보리겨 코지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혼합 곡물 코지가 쌀겨 코지에 5중량% 내지 30중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의 발병을 억제하기 위한 영양 보충 조성물.
  7. 찐 쌀겨에서 아스퍼질러스를 배양하고 숙성시킨 후, 숙성된 생성물의 온도를 44℃ 내지 46℃로 유지시키고, 숙성된 생성물(코지)을 아스퍼질러스에 의해 생성된 효소군의 촉매작용 능력을 유지시킨 채로 아스퍼질러스 사균체를 함유하는 건조 쌀겨 코지로 형성시키고, 미분말로 추가로 변화시키고, 식이성 섬유 분말을 습도 차이가 없는 상태에서 건조 쌀겨 코지 미분말과 균일하게 혼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의 발병을 억제하기 위한 영양 보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8. 찐 쌀겨에서 아스퍼질러스를 배양하고 숙성시킨 후, 숙성된 생성물의 온도를 44℃ 내지 46℃로 유지시키고, 숙성된 생성물(코지)을 아스퍼질러스에 의해 생성된 효소군의 촉매작용 능력을 유지시킨 채로 아스퍼질러스 사균체를 함유하는 건조 쌀겨 코지로 형성시키고, 미분말로 추가로 변화시키고, 식물성 단백질을 습도 차이가 없는 상태에서 건조 쌀겨 코지 미분말과 균일하게 혼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의 발병을 억제하기 위한 영양 보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아스퍼질러스 및 유산균을 배양하고 숙성시킨 후, 숙성된 생성물을 아스퍼질러스에 의해 생성된 효소군의 촉매작용 능력을 유지시킨 채로 아스퍼질러스와 유산균의 사균체를 함유하는 건조 쌀겨 코지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의 발병을 억제하기 위한 영양 보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02-0014739A 2001-03-19 2002-03-19 가공된 곡물 코지를 지니는 영양 보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4915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79104 2001-03-19
JP2001079104A JP4309073B2 (ja) 2001-03-19 2001-03-19 大腸癌発症抑制栄養補助組成物並びに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421A true KR20020074421A (ko) 2002-09-30
KR100491591B1 KR100491591B1 (ko) 2005-05-27

Family

ID=18935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4739A KR100491591B1 (ko) 2001-03-19 2002-03-19 가공된 곡물 코지를 지니는 영양 보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6843994B2 (ko)
JP (1) JP4309073B2 (ko)
KR (1) KR1004915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86988A1 (en) * 2000-12-19 2003-05-08 Teruaki Iwasaki Method for manufacturing nutricious supplement food and nutricious supplement food
JP4309073B2 (ja) * 2001-03-19 2009-08-05 株式会社玄米酵素 大腸癌発症抑制栄養補助組成物並びに製造方法
WO2005097967A1 (ja) * 2004-04-09 2005-10-20 Asahi Breweries, Ltd. 液体麹の製造方法
KR100661032B1 (ko) * 2005-04-19 2006-12-22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간 기능 개선, 혈중 알코올 감소 및 항산화에 유효한조성물
EP1908818B1 (en) * 2005-07-22 2014-10-15 Asahi Breweries, Ltd. Process for production of liquid koji
WO2007040008A1 (ja) * 2005-10-05 2007-04-12 Asahi Breweries, Ltd. 糸状菌培養物の製造方法
JP4096009B2 (ja) * 2005-10-12 2008-06-04 アサヒビール株式会社 組換えタンパクの製造方法
US20080003265A1 (en) 2006-06-28 2008-01-03 John Francis Casey Protein and fiber containing dietary supplement
JP4036385B1 (ja) * 2007-02-19 2008-01-23 株式会社済度 パパイア果実発酵物の製造方法
US20090175967A1 (en) * 2008-01-04 2009-07-09 Nutracea Methods for treatment of intestinal carcinogenesis with rice bran
US20090252830A1 (en) * 2008-04-02 2009-10-08 William Baik Process of producing probiotic enhanced brown rice bran nutritional suppliment to promote increased levels of intestinal flora
MY144538A (en) * 2008-12-23 2011-09-30 Univ Putra Malaysia Anti-cancer nutraceutical composition
JP2012019775A (ja) * 2010-07-14 2012-02-02 Bansei Shokuhin:Kk 酵素食品の培養方法と酵素食品
KR101408568B1 (ko) * 2012-06-05 2014-06-17 (주)하이모 황국균 및 유산균 복합발효기술을 이용한 발효효소식품의 제조 방법
GB201213801D0 (en) 2012-08-03 2012-09-12 Dupont Nutrition Biosci Aps Feed additive composition
JP6288837B2 (ja) * 2014-03-27 2018-03-07 三和油脂株式会社 米糠麹穀物粉糖化物ないし米糠麹糖化物の乳酸菌発酵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8160702A1 (en) * 2017-02-28 2018-09-07 Cg-Bio Genomics, Inc. Healthful supplement food
JP6607409B2 (ja) * 2017-03-31 2019-11-20 株式会社東洋新薬 経口用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17096A (en) * 1978-02-27 1979-09-11 Masahisa Takeda Brewing of alcoholic drink
US5656310A (en) * 1992-10-02 1997-08-12 Santillo, Jr.; Humbart D. Process for producing a powdered food supplement
US5498412A (en) * 1993-12-10 1996-03-12 A.O.A. Japan Co., Ltd. Antioxidant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same
JP3383718B2 (ja) * 1995-02-15 2003-03-04 ニチモウ株式会社 大豆蛋白を原料とした生成物の製造方法
US5561993A (en) 1995-06-14 1996-10-08 Honeywell Inc. Self balancing rotatable apparatus
WO1998043498A1 (fr) * 1997-04-01 1998-10-08 Nichimo Co., Ltd. Produit comprenant un ingredient favorable a la sante et son procede de production
KR20000002847A (ko) * 1998-06-19 2000-01-15 정순택 키토산을 이용한 황국과 백국 속성 제조방법
JP2001231551A (ja) * 2000-02-28 2001-08-28 Takashi Kondo 胚芽酵素の製造方法
AU780037B2 (en) * 2000-07-18 2005-02-24 Masahiro Yamamoto Livestock feed composition and its production method
JP4132635B2 (ja) * 2000-10-24 2008-08-13 株式会社玄米酵素 未失活酵素強化組成物
JP4309073B2 (ja) * 2001-03-19 2009-08-05 株式会社玄米酵素 大腸癌発症抑制栄養補助組成物並びに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43994B2 (en) 2005-01-18
KR100491591B1 (ko) 2005-05-27
US20020172667A1 (en) 2002-11-21
US20030157127A1 (en) 2003-08-21
JP4309073B2 (ja) 2009-08-05
JP2002272414A (ja) 2002-09-24
US7045135B2 (en) 200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1591B1 (ko) 가공된 곡물 코지를 지니는 영양 보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0771825A (zh) 一种用于减脂、降血糖、降血压和降血脂的综合营养粉及其制备方法
CN106858132A (zh) 一种促进蛋鸡消化器官发育的育成期饲料及其制备方法
KR20070117629A (ko) 면역 조절 작용을 갖는 발효 조성물
KR101956516B1 (ko) 닭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157616B (zh) 一种降低青蛙发病率提高青蛙体色的膨化配合饲料
KR102430901B1 (ko) 식용곤충을 배지로 이용하여 재배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건조 분말이 함유된 반려동물용 영양간식
US5487894A (en) Composition of dehydrated powdered mung bean sprout and plant fiber for use as dietary supplement in healthcare
KR101467539B1 (ko) 삼채분말이 함유된 가금류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7890117A (zh) 一种浓缩乳清蛋白复合低聚肽营养粉
CN108783465A (zh) 一种具有肿瘤治疗功能的营养配方产品
JP2002209553A (ja) 制癌性健康食品及び健康食品添加剤
JP2004331641A (ja) 霊芝胞子にリグニン.タンニン柿渋等を入れた混合食品と飼料添加剤と抗肺炎ビールス剤
CN114903128B (zh) 一种小龙虾复合饲料及其制备方法
KR20130048505A (ko) 동물성 단백질의 발효기술을 이용한 쌀라면 제조방법
CN115025134A (zh) 一种含有植物乳杆菌的组合物及制备方法与应用
KR20140045673A (ko) 통곡물 발효 다이어트 식품
KR20100037309A (ko) 유산균을 이용한 환형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20100037312A (ko) 유산균을 이용한 분말형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101882229B1 (ko) 실크 단백질이 혼합된 이유식 제조방법
JP2004065156A (ja) 肝臓ガン発症抑制組成物の製造方法並びに組成物
JP4473462B2 (ja) フィチン酸強化栄養補助組成物
KR20190118057A (ko) 황국균으로 발효한 현미-해조류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090097981A (ko) 쑥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N109430838A (zh) 一种肠道调理杂粮粉冲剂及其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