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3931A - 전자 건강 상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건강 상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3931A
KR20020063931A KR1020027009181A KR20027009181A KR20020063931A KR 20020063931 A KR20020063931 A KR 20020063931A KR 1020027009181 A KR1020027009181 A KR 1020027009181A KR 20027009181 A KR20027009181 A KR 20027009181A KR 20020063931 A KR20020063931 A KR 20020063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client
server
data
counse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9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0871B1 (ko
Inventor
미끼오 오까모또
시게루 요시다
사또시 안도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3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3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0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08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92Nutri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로부터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바이탈 데이터와 식사의 사진 이미지를 입력하여 서버(50)에 보존하고, 영양사의 클라이언트(30)로, 영양사가 식사의 전자 화상을 보고 분석 결과를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10)에 통지하여 서버(50)에 저장하고, 건강 상담자의 바이탈 데이터와 영양사가 행한 건강 상담자의 식사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서버(50)가 건강이상 유무를 판정하여,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는 의사측의 클라이언트(20)에 통지되는 전자 건강 상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 건강 상담 방법{ELECTRONIC HEALTH COUNSELING METHOD}
현재 상황에서는 당뇨병 등의 만성 질환을 갖고 있는 건강 상담자에 대한 대응은 의료진(의사, 간호사, 영양사, 운동 요법사 등)의 의료 팀에서 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 팀 의료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의료진이 병원에 있어야만 하기 때문에, 상당한 시간과 비용을 필요로 하고, 매년 증가하고 있는 이들 만성 질환자에게, 우수한 팀 의료를 어떻게 많은 건강 상담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지가 과제로 되어 있다.
현재 상황에서는 건강 상담자가 병원에 가서, 우선 의사의 진료로, 혈당, 헤모글로빈 A1C, 소변 검사, 심전도 등의 검사가 이루어지고, 그 검사 결과를 보고 의사가 판단하여, 건강 상담이 필요하다고 판단이 이루어진 경우, 병원에서, 의료진이 대면하여 건강 상담자의 치료 방침에 대하여 검토하고, 의료진이 건강 상담자에게 당뇨병 등의 만성병의 교육으로서, 만성병의 개념적인 문제와 실제적인 셀프 매니지먼트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교육하고, 의료진이 월 1회 정도의 비율로 면접을 하여, 경과를 진단한다.
또한, 현재, 건강 상담자가 병원에 가지 않아도 좋은 방법으로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건강 상담을 행하는 다음과 같은 방법도 알려져 있다.
제1 방법은 건강 상담자가 가정에 설치된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병원에 설치된 퍼스널 컴퓨터로, 전자 메일을 보내는 방법이다. 전자 메일에는 건강 상담의 내용을 기재한다.
제2 방법은 건강 상담자가 자택의 퍼스널 컴퓨터를 사용하여 제약 회사의 선전을 행하는 홈페이지에 액세스하여, 자신의 증상에 해당하는 기술을 찾아내는 방법이다.
제1 방법은 의사가 아니어도, 예를 들면 영양사 등이 회답을 할 수 있는 건강 상담에 대한 상담도 많고, 건강 상담자의 상담 횟수가 많으면 병원측 의사는 본래의 의료 업무를 수행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제2 방법은 의료 지식이 없는 건강 상담자가 진단을 행하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발명의 개시〉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료진의 부담을 증대시키지 않고, 매년 증가하고 있는 건강 상담자에게 우수한 팀 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신규 전자 건강 상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 건강 상담 방법을 사용하여 건강 상담을 행할 경우에 적합한 전자 건강 상담용 서버, 건강 상담자용 클라이언트 및 의료진용 클라이언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강 상담자와 의료진측에 설치한 클라이언트 및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건강 지원 시스템으로서, 건강 상담자가 자신의 건강에 관련된 데이터를 자신의 클라이언트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 저장된 상기 건강 상담자의 건강에 관련된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를 상기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건강 상담자 및/또는 상기 의료진의 클라이언트를 통해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자신의 건강에 관련된 데이터는 상기 건강 상담자의 식사의 전자 화상 데이터이어도 되고, 상기 분석 결과는 상기 의료진이 상기 식사 전자 화상 데이터를 눈으로 확인하여 분석한 식사의 영양 분석 데이터이어도 된다. 즉, (네트 영양사)의 시스템의 제공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건강 상담자는 상기 식사의 전자 화상에 대한 자신의 영양 분석을 자신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 가능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입력된 건강 상담자에 의한 영양 분석 데이터와, 상기 의료진에 의한 영양 분석 데이터의 양방 모두 표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영양 분석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여 저장하여도 되고, 상기 의료진의 클라이언트로 입력되고, 상기 서버에 저장된 영양 분석 데이터와, 상기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고, 저장된 영양 분석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자동 비교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버에 의한 비교 결과를 적어도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에 통지시켜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버에 저장된 상기 전자 화상과 분석 결과에 관한 어드바이스를 상기 의료진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에게, 직접 또는 상기 서버를 통해 제공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담자측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건강 상담자의 바이탈 데이터를 입력하고, 이 입력된 바이탈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여 저장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전송된 바이탈 데이터와 식사의 분석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이용하여 건강이상을 나타내는지를 사전에 정해진 판별 규칙에 기초하여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가 이상을 나타낸 경우에는 그 취지를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전에 정해진 관계자의 클라이언트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버가 사용하는 상기 판별 규칙이 상기 의료진의 클라이언트로부터 건강 상담자별로 설정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상을 나타낸 취지를 통지하기 위한 통신 방법은 사전에 정한 복수 종류의 통신 방법 중에서 선택 가능하게 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버에 저장된 바이탈 데이터에 대하여 판독 제한을 행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의료진은 의사 및 영양사를 포함하고, 상기 의사와 영양사의 각각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건강에 관련된 분석 데이터를 입력 가능하게 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의료진에 대한 건강 상담 예약을 상기 서버에 입력하고, 상기 서버는 이 입력된 예약을 상기의료진의 클라이언트에 통지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의료진의 클라이언트는 자신의 형편 상 불가능한 건강 상담 일시를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에 통지 가능하게 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의료진과 상기 건강 상담자 사이에서 행해진 건강 상담에 대한 어드바이스를 상기 의료진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에게, 직접 또는 상기 서버를 통해 전송 가능하게 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네트워크에는 급식 택배 업자의 클라이언트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건강 상담자 또는 상기 의료진측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서버를 통해 급식 또는 식품 재료를 주문, 레시피(recipe) 배신을 가능하게 하여도 된다. 레시피 배신은 건강 상담자에 따른, 적합한 식사 메뉴의 제공이다.
본 발명은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의료진과 건강 상담자를 효율적으로 연결하여 행하는 전자 건강 상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전자 건강 상담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서버(50)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게이트웨이 프로그램의 기능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4는 클라이언트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5는 클라이언트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6은 클라이언트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7은 클라이언트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8은 클라이언트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9는 클라이언트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10은 클라이언트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11은 클라이언트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12는 클라이언트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13은 클라이언트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14는 클라이언트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15는 클라이언트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16은 클라이언트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17은 클라이언트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18은 클라이언트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19는 클라이언트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본 발명을 적용한 건강 상담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에서, 클라이언트(10, 20, 30, 40, 60) 및 서버(50)가 인터넷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및 서버는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 및 통신 기능을 갖는 시판의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하드웨어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클라이언트(10)는 건강 상담자의 자택에 설치된다. 또한, 클라이언트(10)는 PAD(휴대 단말기)나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 전화라도 가능하다. 클라이언트(20)는 의사가 사용하는 클라이언트로, 병원이나 자택측에 설치한다. 클라이언트(30)는 영양사의 자택 또는 회사에 설치된다. 클라이언트(40)는 급식 택배 업자의 회사에 설치된다. 서버(50)는 컴퓨터 센터측에 설치된다. 클라이언트(60)는 스포츠 클럽 시설 내에 설치되고, 스포츠 지도원이 건강 상담자에게 트레이닝 메뉴를 입력한다.
클라이언트(10∼40, 60)에는 브라우저라고 하는 홈페이지(HTML 문서, XML 문서 등)를 열람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탑재되고, 클라이언트(10, 20)에는 텔레비전 전화(텔레비전 회의라고도 함)용 프로그램이 탑재되고, 텔레비전 전화용 비디오 카메라가 접속되어 있다.
서버(50)는 건강 상담용 홈페이지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건강 상담자가 클라이언트(10)를 사용하여 서버(50)의 홈페이지에 액세스하고, 건강 상담에 관한 정보를 입력한다. 입력하는 정보는 식사의 요리를 촬영한 식사 화상, 혈압 측정 결과 등, 후술하는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 등이다.
입력된 정보는 서버(50)에 개인별로 저장된다. 서버(50)에 있어서, 혈압 등의 측정치는 사전에 설정된 허용치와 비교되고, 허용치를 초과하면 그 취지의 메시지가 병원측의 클라이언트(20)와 해당자의 클라이언트(10)에 전자 메일로 자동 통지된다.
영양사측의 클라이언트(30)는 센터측의 서버(50)의 홈페이지에 액세스하고,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건강 상담자의 식사를 영양사가 눈으로 확인하여 분석한다.보다 구체적으로는, 건강 상담자로부터 보내지고, 서버(50)에 저장되어 있는 식사의 사진의 이미지 파일을 판독하여, 클라이언트(30)에 표시시킨다. 이 표시로부터, 영양사는 식사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입력하여 서버(50)에 등록한다. 이 등록된 분석 결과도 서버(50)에 있어서 허용치와 비교되고, 허용치를 초과하면 그 취지의 메시지가 병원측의 클라이언트(20)와 해당자의 클라이언트(10)에 전자 메일로 자동 통지된다.
또한, 영양사는 홈페이지 내의 어드바이스 기입란을 사용하여, 식사에 관한 어드바이스를 입력한다. 이 어드바이스는 센터측의 서버(50)에 저장됨과 함께, 건강 상담자가 서버(50)의 홈페이지에 액세스하였을 때,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10)에 표시된다.
의사는 병원측의 클라이언트(20)로 본인 수신의 전자 메일의 내용을 확인하면, 센터측의 서버(50)의 홈페이지에 액세스하고, 어드바이스 입력란에 건강에 관한 어드바이스를 기입한다. 또한, 필요하다면, 병원에 오도록 하는 메시지를 기입한다. 입력된 어드바이스는 센터측의 서버(50)에 저장됨과 함께 건강 상담자가 서버(50)의 홈페이지 액세스하였을 때,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10)에 표시된다.
센터측의 서버(50)의 홈페이지에는 혈압 등의 측정치와 비교하는 허용치를 설정하는 페이지가 준비되어 있으며, 의사는 클라이언트(20)로 이 페이지에 액세스하여, 건강 상담자별로 허용치를 설정할 수 있다.
건강 상담자는 클라이언트(10)로 예를 들면, 1일 1회 정기적으로 센터측의 서버(50)에 액세스한다. 이 액세스 시, 사용자 ID와 패스워드에 의한 대조가서버(50)측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서버(50)에서는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상술한 어드바이스 정보를 판독하여 건강 상담자에게 전송한다. 이에 의해, 건강 상담자는 의사나 영양사로부터 보내진 어드바이스 정보를 볼 수 있다.
이 후, 상술한 바와 같이 사전에 디지털 카메라 등으로 촬영한 식사의 요리의 이미지 및 바이탈 데이터를 서버(50)로 송신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10), 영양사의 클라이언트(20)와 의사의 클라이언트(30) 사이에서 텔레비전 전화를 행할 수 있는데, 이 때문에, 텔레비전 전화 예약을 행하기 위한 페이지를 센터측의 클라이언트(50)의 홈페이지 내에 준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건강 상담자가 의사나 영양사의 어드바이스에 따라 적절한 식사를 행할 수 있도록, 건강 상담자 또는 의료진이 급식이나 식품 재료의 택배를 주문하기 위한 페이지를 센터측의 클라이언트(50)의 홈페이지 내에 준비하고 있다.
도 2에, 이상 설명한 처리를 행하기 위한 서버(50) 내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도시한다. 서버 자체는 주지의 범용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에서, 서버(50) 내에는 WEB 서버라고 하는 통신용 프로그램 및 게이트웨이 프로그램이 인스톨되어 있다. WEB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브라우저로부터 URL이라고 하는 어드레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홈페이지를 구성하는 HTML 문서(XML 문서도 포함함)의 어드레스 지정을 받으면, 이 어드레스로 지정되는 HTML 문서를 내부의 하드디스크 상의 홈페이지 파일군으로부터 판독하여, 브라우저에 인도하는 주지의 프로그램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메일 기능을 갖는 WEB 서버를 사용한다.
게이트웨이 프로그램은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라고도 불리며, 브라우저로부터 보내지는 커맨드를 WEB 서버를 통해 수신하여 실행하는 주지의 프로그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게이트웨이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후술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기입 및 판독을 행하거나, 소정의 키워드에 따른 검색 처리 등을 행한다. 게이트웨이 프로그램의 기능을 도 3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서버(50)에 대하여 내부/외부 접속의 기억 장치에는, 이하의 데이터 베이스가 설치된다.
건강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건강 상담자로부터 입력된 정보, 의사, 영양사, 스포츠 지도원으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건강 상담자명(또는 사용자 ID)에 관련지어 기억하고 있다.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건강 상담자명(또는 사용자 ID)에 관련지어, 건강 상담자의 주소, 성명, 전화 번호, 병력 등 개인에 관계된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기타 데이터베이스에는 텔레비전 전화를 위한 예약 스케줄을 의사명(또는 의료 기관명 등)에 관련지어 기억하고 있으며, 기타, 시스템 관리를 위해 사용하는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도 3은 게이트웨이 프로그램의 기능을 도시한다.
게이트웨이 프로그램에는 급식 배송 의뢰 접수 기능(101), 식사·영양 데이터 기입 및 판독 기능(102), 건강 상담 데이터 기입 및 판독 기능(103), 건강 데이터 기입 및 판독 기능(104), 통신 기록 기능(105), 건강 상담 예약 접수 기능(106) 및 개인 환경 설정 기능(107)을 갖는다.
개인 환경 설정 기능(107)은 개인 기호 학습 기능(108), 시큐러티 기능(109) 및 배신 조건 설정 기능(110)을 갖는다. 상술한 기능 중에서 기능(101∼104, 106)은 도 1 및 도 2의 시스템 설명에서 언급하였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통신 기록 기능(105)은 홈페이지에 액세스한 클라이언트의 사용자 ID, 액세스 시각, 어떤 페이지에 액세스하였는지를 기록(통신 로그)하여 기억하는 기능이다. 개인 기호 학습 기능(108)은 클라이언트(10∼40)의 사용자가 빈번하게 사용하는 홈페이지 상의 페이지를 학습하고, 빈번하게 사용하는 페이지에 액세스하기 위한 표시 화면 상의 버튼을 상측에 자동 배치하는 기능으로, XML 문서 등이 갖는 기능과 관련하여 실행된다.
시큐러티 기능(109)은 클라이언트가 서버(50)에 액세스하였을 때,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의 접수, 대조를 행하는 기능으로,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가 도 2의 기타 데이터베이스에 기재되어 있는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와 일치한 경우에, 홈페이지의 열람이 허가된다.
배신 조건 설정 기능(110)은 건강 상담자나 영양사, 의사에 대한 정보의 배신 방법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 호출기, 브라우저에서의표시, 전자 메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건강 상담자는 브라우저에 의해, 건강 상담에 대한 어드바이스를 클라이언트(10)에 표시하고, 서버(50)로부터 의사로의 허용치 오버의 취지의 배신은 전자 메일로 행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도 4∼도 19를 사용하여 브라우저로 표시되는 대표적인 정보 표시 화면이나 정보 입력 화면을 설명한다. 이들 표시 화면의 기초가 되는 문서는 HTML이나 HTML을 확장한 XML의 언어로 기재된다. 통상 이들 언어로 기재되는 문서에는 표시를 위한 문자열 및 태그라고 불리는 커맨드가 기재된다. 태그에는 이미지를 판독하는 명령이나, 표시를 위한 문자열의 크기나 서체를 설정하는 명령, 버튼이라고 불리며, 표시 화면 상에서, 이 버튼이 마우스에 의해 조작되면, 다른 문서(페이지)로 이행하는 명령 등이 있다.
문서에 기재된 태그의 종류를 브라우저가 식별하고, 태그의 지시에 따라,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이미지를 브라우저가 합성하거나 커맨드를 서버(50)로 송신한다. 이들 태그는 이미 주지이고, 도 4∼도 19에 관한 설명에 따라 당업자이면 홈페이지용 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도 4는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10)가 서버(50)에 로그인(패스워드 대조)한 후 처음으로 클라이언트(10)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4에서, 중앙에 의사, 영양사 및 스포츠 지도원으로부터의 어드바이스 정보가 표시되고, 하측에, 정보 입력하기 위한 기능 버튼군(401), 우측에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버튼군(402)이 배치되어 있다.
도 5는 기능 버튼군(401) 중의 기능 버튼의 조작에 따라 이행하는 화면으로, 식사의 요리 이미지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다. 건강 상담자는 사전에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촬영한 일상의 요리 사진 이미지를 사전에 정한 클라이언트(10)의 하드디스크 기억 영역(홀더라고 함)에 기억해 둔다.
건강 상담자는 이 화면에서, 자신의 이름을 키보드를 통해 기입란(501)에 기입한다. 또, 복수의 건강 상담자가 하나의 클라이언트를 공유할 수 있도록, 복수의 이름이 기입된 경우에는 그 이름이 클라이언트 내에 보존되고, 사용자 선택 버튼(502)으로 보존된 이름을 선택하고, 대상 사용자 기입란(501)에 기입할 수 있도록 이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문서의 태그가 규정되어 있다.
참조 부호(503)는 송신 개시 버튼으로, 이 버튼을 마우스로 건강 상담자가 조작하면, 사전에 정해진 홀더에 기억되어 있는 사진 이미지와, 대상 사용자 기입란(501)에 기입된 사용자명이 서버(50)로 보내진다.
서버(50)에서는 건강 관리 데이터베이스 내의 사용자명에 대응하는 기억 영역에 송신된 사진 이미지를 기억(저장)한다.
참조 부호(504)는 되돌아가기 버튼으로, 이 버튼이 조작되면, 표시 화면이 도 4의 표시 화면으로 되돌아간다.
도 6은 바이탈 데이터 입력 화면을 도시한다. 이 화면은 도 4의 기능 버튼의 조작으로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건강 상담자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로서, 혈압, 체온, 체중, 맥박, 심전도, 혈당, 운동량 등 몇 개의 요소가 정해져 있으며, 이들 요소의 수치를 총칭하여 바이탈 데이터라고 부르기로 한다. 참조부호(601)는 바이탈 데이터를 입력하는 기입란이다. 참조 부호(602)는 바이탈 데이터 기입 후, 서버(50)로의 등록을 지시하는 버튼이다. 참조 부호(603)는 도 4의 표시 화면으로의 이동을 지시하는 버튼이다.
이 화면에서 입력된 데이터가 서버(50)에 보내지고, 건강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데이터가 서버(50)의 게이트웨이 프로그램에 의해 허용치와 비교되어, 허용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취지의 메세지가 병원측의 의사의 클라이언트에게 연락된다. 연락은 환경 설정 조건에 기초하여, 무선 호출기, 전자 메일, 홈페이지에서의 안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건강 상담자도 자신이 선택한 배신 방법으로, 바이탈 데이터가 허용치를 초과한 것을 통지받을 수 있다.
도 7은 서버(50)의 건강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식사의 사진 이미지를 건강 상담자, 영양사, 의사가 재표시시키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다. 이 화면은 도 4의 기능 버튼의 조작으로 표시된다.
도 7에서, 대상 사용자명 및 보존 일시를 기입란(701)에 입력하고, 개시 버튼(702)을 조작자가 마우스로 조작하면, 입력된 대상 사용자명 및 보존 일시 정보 및 검색 명령이 클라이언트로부터 서버(50)에 보내진다. 서버(50)의 게이트웨이 프로그램은 검색 명령에 따라 대상 사용자명 및 보존 일시에 합치하는 사진 이미지를 건강 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요구원인 클라이언트에 회신한다. 회신된 사진 이미지가 도 8의 표시 화면으로 표시된다. 참조 부호(703)는 도 4의 표시 화면으로의 이동을 지시하는 버튼이다.
도 8의 화면에서, 참조 부호(801)는 현재의 사진보다 이전의 식사의 사진을 지시하는 버튼이다. 참조 부호(802)는 식사 분석 표시 화면으로 이행하도록 지시하는 버튼이다. 참조 부호(803)는 이전의 도 7의 화면으로 되돌아가도록 지시하는 버튼이다. 참조 부호(804)는 현재의 다음의 식사의 사진을 표시하도록 지시하는 버튼이다.
도 9는 도 4의 기능 버튼의 조작에 따라 이행하는 화면으로, 이 화면은 영양사 및 건강 상담자가 사용한다.
이 화면은 식사의 사진 이미지로부터 분석되는 데이터를 영양사 및 건강 상담자가 입력한다. 등록 버튼(901)을 영양사 또는 건강 상담자가 조작하면, 입력 데이터가 건강 상담자의 이름에 관련지어 건강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보존된다. 참조 부호(902)는 도 8의 표시 화면으로 이행하도록 지시하는 버튼이다. 건강 상담자는 자신의 식사에 대하여 사전에 스스로 분석을 하여, 데이터를 입력해 두고, 영양사의 분석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자신의 분석 능력을 높일 수 있다.
도 10은 의사가 건강 해석을 행하기 위한 초기 화면으로, 도 4의 기능 버튼을 조작하면 이행한다.
환자 일람 표시 버튼(1004)을 조작하면, 환자 일람이 표시된다. 일람 중에서 건강 해석하고자 하는 건강 상담자명을 선택한 후, 버튼(1001∼1006)(1004을 제외함) 중 어느 하나를 목적에 맞게 의사가 조작하면, 각 버튼에 대응한 후술의 화면이 나타난다. 버튼(1001)은 건강 상담자가 입력한 바이탈 데이터, 영양사가 입력한 식사의 분석 결과,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과 비교하는 임계치(허용치)를 설정하는 화면으로 이행하기 위한 버튼이다.
참조 부호(1002)는 상기 바이탈 데이터 또는 상기 식사의 분석 결과와 임계치의 비교를 위한 논리 조건을 설정하는 화면으로 이행하기 위한 버튼이다. 참조 부호(1003)는 건강 상담자에 대한 어드바이스를 입력하는 화면으로 이행하기 위한 버튼이다. 참조 부호(1005)는 건강이상자, 즉 바이탈 데이터가 임계치를 초과한 건강 상담자만을 리스트업하는 화면으로 이행하도록 지시하는 버튼이다. 참조 부호(1006)는 통계 해석 처리를 지시하는 화면으로 이행하기 위한 버튼이다.
도 11은 도 10의 버튼(1001)의 조작으로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11에서, 참조 부호(1101)는 건강 관리 항목(바이탈 데이터의 종류)에 대응시켜 임계치를 입력하는 입력란이다. 참조 부호(1102)는 입력한 임계치의 등록을 지시하는 버튼으로, 이 버튼 조작에 따라 입력 데이터가 의사의 클라이언트(20)로부터 서버(50)에 보내지고, 건강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다.
참조 부호(1103)는 과거 일정 기간의 바이탈 데이터를 그래프 표시하도록 지시하는 버튼이다. 참조 부호(1104)는 도 10의 화면으로 되돌아가도록 지시하는 버튼이다.
도 12는 도 10의 버튼(1002)의 조작에 따라 이행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12에서, 참조 부호(1201)는 임계치와 바이탈 데이터의 비교 조건, 예를 들면, 대소 관계나 바이탈 데이터의 조합 방법을 정의하는 논리식을 기입하는 입력이다. 참조 부호(1202)는 입력란으로부터 입력된 논리식을 서버(50)의 건강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도록 지시하는 버튼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건강 상담자별 건강/이상의 판정을 행하기 위한 판별식(임계치를 포함함)을 건강 상담자별로 가변 설정하기 때문에, 건강 상담자에게 적합한 건강 진단을 행할 수 있다. 참조 부호(1203)는 도 10의 화면으로 되돌아가도록 지시하는 버튼이다.
도 13은 도 8의 식사 분석 버튼(802)의 조작에 따라 이행하는 화면이다. 식사 분석 버튼(802)의 조작에 따라, 도 9의 화면에서 입력된 식사 분석 데이터의 판독 명령과 건강 상담자명이 조작자의 클라이언트, 즉 클라이언트(10, 20, 3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서버(50)에 보내진다. 서버(50)의 게이트웨이 프로그램에 의해 해당하는 데이터가 건강 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독되어 요구원인 클라이언트에 반송된다. 클라이언트에서는 수신한 식사 분석 데이터를 표시한다. 도 13에서, 참조 부호(1301)는 식사 화상의 화면으로 이행하도록 지시하는 버튼이다. 참조 부호(1302)는 현재의 다음 식사의 분석 결과를 표시하도록 지시하는 버튼이고, 참조 부호(1303)는 현재의 이전의 식사의 분석 결과를 표시하도록 지시하는 버튼이다.
또한, 건강 상담자는 사전에 자신이 입력한 자신의 식사 화상의 분석 결과와, 영양사가 분석한 결과로 서버(50)로부터 판독한 동일한 식사 화상에 대한 분석 결과를 동일 화면 상에 표시하여, 비교할 수 있다.
또한, 건강 상담자는 사전에 자신이 입력한 자신의 식사 화상의 분석 결과와, 영양사가 분석한 결과의 차분을 서버(50)에 저장하고, 의료진이 건강 상담자의 셀프 매니지먼트의 학습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4는 도시되지 않는 화면의 버튼과 관련지어, 그 버튼 조작으로 표시되는 바이탈 데이터 표시 화면을 도시한다. 상기 버튼 조작으로, 건강 상담자명과 최신바이탈 데이터의 검색 명령이 클라이언트로부터 서버(50)에 보내지고, 서버(50)로부터 판독된 바이탈 데이터가 클라이언트에 되돌려진다. 도 14에서, 참조 부호(1401)는 바이탈 데이터의 복수의 표시 전환을 지시하는 버튼이고, 참조 부호(1402)는 그래프 표시를 지시하는 버튼이고, 참조 부호(1403)는 표시의 종료를 지시하는 버튼이다. 이 화면은 건강 상담자와 의사가 사용한다.
도 15는 도시되지 않는 화면의 버튼과 관련된 표시 화면으로, 상기 버튼의 조작으로 표시된다. 이 화면은 의사만이 사용한다. 버튼 조작으로 건강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건강 해석 데이터(의사의 카르테(Karte) 정보나 바이탈 데이터, 식사의 분석 결과로부터 얻어지는 건강 해석 결과)가 표시된다. 참조 부호(1501)는 건강 해석 데이터의 표시의 전환을 지시하는 버튼이고, 참조 부호(1502)는 그래프 표시를 지시하는 버튼이고, 참조 부호(1503)는 표시의 종료를 지시하는 버튼이다.
도 16은 도 10의 버튼(1003)의 조작에 따라 이행하는 복수의 건강 어드바이스 입력 화면의 하나를 도시한다. 이 화면에서 의사는 건강 상담자에 대한 건강 어드바이스를 입력한다. 어드바이스는 문자에 의한 메시지의 기입뿐만 아니라, 일러스트, 그래프, 동화상 등 각종 정보(콘텐츠라고 함)를 첨부하는 형태로 작성된다. 작성된 어드바이스 정보는 의사의 클라이언트(20)로부터 서버(50)에 보내지고 건강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다. 등록된 어드바이스가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10)에 판독되어 표시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참조 부호(1601)는 이미 작성되어 있는 콘텐츠의 일람 표시를 지시하는 버튼, 참조 부호(1602)는 선택된 콘텐츠의 표시를 지시하는 버튼, 참조 부호(1603)는 표시되어 있는 콘텐츠의 등록을 지시하는 버튼이다. 참조 부호(1604)는 도 10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지시하는 버튼이다.
도 17은 상술한 온라인에서의 텔레비전 전화의 예약을 신청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다. 이 화면은 도 4의 기능 버튼의 조작으로 표시된다. 이 화면은 건강 상담자측이 사용한다. 참조 부호(1701)는 자신의 이름을 기입하는 란이며, 스케줄 정보 표시 선택부(1703)에는 캘린더가 표시되어 있으며, 이 란 중의 소정의 날을 지정함으로써 텔레비전 전화의 예약 일시를 지정한다. 참조 부호(1702)는 의사의 성명이나 의료 기관명(진료과)을 기입하는 란이다. 의료 기관 또는 의사명과 예약 희망일을 입력하면, 비어 있는 시간대를 나타내는 표시가 나타나기 때문에, 그 중에서 시간을 지정함으로써 일시 예약을 행한다. 등록 버튼(1704)을 조작하면 예약이 확정된 일시가 서버(50)의 기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다. 또, 서버(50)에서는 후술한 의사측의 스케줄 등록에 기초하여, 건강 상담자에게 예약 가능한 일시 및 시간대 및 불가능한 일시 및 시간대를 알린다. 건강 상담자는 취소 버튼(1705)으로 예약을 취소할 수 있고, 되돌아가기 버튼(1706)으로 도 4의 화면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도 18은 의사측의 클라이언트에서 표시하는 스케줄 조정용 화면으로, 도 4의 기능 버튼의 조작으로 표시된다. 도 4에서, 참조 부호(1801)는 의료진의 성명을 입력하는 란이다. 참조 부호(1802)는 스케줄을 입력하는 대상이 되는 의사, 진료 과목 또는 의료 기관명을 선택 입력하는 부분이다. 참조 부호(1803)는 참조부호(1802)로 선택한 대상의 스케줄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의료진이 등록 버튼(1804)을 조작하면 지정된 일시가 클라이언트(20)로부터 서버(50)에 보내지고 기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다. 의료진은 취소 버튼(1805)으로 입력한 예정을 취소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프로그램 내의 건강 상담 예약 접수·열람 기능에 의해 건강 상담자가 예약을 행할 때에, 기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형편 상 불가능한 일시를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10)에 송신한다.
또한, 서버(50)의 기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건강 상담자의 예약 일시가 의사의 클라이언트(20)에 보내지고, 도 18의 스케줄 정보 표시 선택부(1803)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의사와 건강 관리자 사이에서 스케줄 조정이 행해지고, 예약일에는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10)와 의사의 클라이언트(20) 사이에서 직접 텔레비전 전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회화가 행해진다. 텔레비전 전화 자체는 주지이고, 상세한 설명을 필요로 하지 않을 것이다. 되돌아가기 버튼(1806)으로 도 4의 화면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도 19는 TV 전화에서의 전자 건강 상담을 행하는 화면으로, 도 4의 화면의 기능 버튼의 조작으로 표시된다. 전화 종료 후, 「되돌아가기」 버튼으로 도 4의 화면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표시 화면 외, 도 4의 기능 버튼의 조작으로 급식의 택배(배송)를 의뢰하는 화면이 나타나, 이 화면에서 급식의 요리를 선택하고, 배달 장소 정보를 입력하면, 선택된 요리명이나, 배달 장소 정보가 급식 택배 업자의 클라이언트(40)에게, 직접 또는 서버(50)를 통해 전송된다. 급식 택배 업자는 전송된 정보(급식명이나 식품 재료명)에 기초하여 급식을 건강 상담자에게 보낸다.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10)로부터 택배 업자의 클라이언트(40)로의 정보 전송 방법은 전자 메일의 형태이어도 되고, 서버(50)의 그 밖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데이터 전송하는 형태이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1) 건강 상담자가 저장하는 식사의 전자 화상을 영양사가 분석하는 것,
(2) 건강 상담자가 스스로 행한 식사 분석과 영양사의 식사 분석을 비교함으로써 식사 분석의 자기 학습을 할 수 있는 것
(3) 건강 상담자가 저장하는 바이탈 데이터나 영양사가 저장하는 건강 상담자의 식사의 전자 화상의 분석 결과를 서버(50)가 자동 건강 진단하고, 건강 상담자, 의사에게 연락하는 것
(4)의사가 상기 자동 건강 진단의 판별 규칙 및 기준을 건강 상담자별로 설정하는 것
(5) 의사, 영양사와 건강 상담자 사이에서 온라인으로 예약의 스케줄 조정을 행하고, 그것에 기초하여 텔레비전 전화로 건강 상담을 행하는 것
(6) 상기 (4)의 처리에서 이상이 발견되었을 때 및 상기 (5)의 텔레비전 전화의 결과 필요하다고 판단되었을 때 의료진이 건강 상담자에게 어드바이스를 보내는 것
을 실현 가능하게 하였다.
이에 의해, 건강 상담자는 적절한 건강 어드바이스를 받을 수 있음과 함께의사측에서는 필요한 경우에만, 건강 진단자에게 어드바이스를 보내면 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병원에서의 진료 업무에 종사할 수 있는 시간이 증대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건강 상담자는 급식의 의뢰도 가능해지므로, 밖에 나올 수 없는 건강 상담자에게 많은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건강 상담자는 의사 또는 영양사로부터 업자에게 직접 발주된 급식이나 식품 재료를 수취할 수도 있어, 전문가의 지시에 의한 식사로 건강 상태의 유지 개선을 도모할 수도 있다.
본 발명 외에 다음의 실시예를 실시할 수 있다.
1) 본 실시예에서는 건강 상담자의 건강 상담을 받는 영양사나 의사는 사전에 전화나 전자 메일로, 건강 상담자의 성명을 시스템 관리자로부터 연락받는데, 서버(50) 상에 건강 상담자의 사용자 ID와 영양사 및 의사의 사용자 ID의 대응표를 준비해 두면, 영양사 및 의사의 클라이언트 사이의 정보 통신을 자동화하여 각각의 조작을 보다 간략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양사가 건강 상담자로부터 보내진 식사의 이미지를 자신의 클라이언트에게 표시하기 위해서는 건강 상담자 일람으로부터 성명을 그 때마다 지정해야 하지만, 상기 대응표가 있으면, 자신에게 할당된 건강 상담자의 송신 이미지만 자동 송신할 수 있어, 영양사는 이미지 판독을 위한 조작으로부터 해방된다. 또한, 자신의 담당 이외의 건강 상담자의 송신 이미지는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건강 상담자의 프라이버시도 지켜진다.
2)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건강 상담자와 의사 사이의 직접적인 통신은 텔레비전 전화로 행하고 있었지만, 통신 방법에는 음성 메일(voice mail), 통상의 전화를사용하여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3) 상술한 표시 화면은 설명을 위한 일례로, 버튼의 배치나 형상이나 표시 영역의 배치 및 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4)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영양사로부터 의사, 건강 상담자로의 식사의 분석 결과의 통지 또는 어드바이스는 홈페이지에의 표시를 이용하여 행하였지만, 전자 메일, 기타 주지의 통신 방법으로 직접적으로 클라이언트나 건강 상담자가 보유하는 통신 기기, 예를 들면, 전화, FAX, 전자 메일을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서버로부터 간접적으로 통지하는 경우도 전화, FAX, 전자 메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의사측으로부터 건강 상담자에게 행하는 어드바이스도 직접 행하여도 되고, 그 통신 형태는 인터넷 이외의 통신 방법을 사용하여도 된다.
5)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텔레비전 전화에 의한 건강 상담의 신청을 행하였지만, 전화에 의한 건강 상담의 신청, 기타 원격의 통신 방법에 의한 건강 상담의 신청을 행하여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6) 본 명세서에서의 의료진은 의사, 간호원, 영양사, 운동 요법사(스포츠 지도원을 포함함) 등의 의료에 종사하는 사람을 말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건강 상담자는 상담자 본인 및 상담자의 가족과 그 밖의 관계자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클라이언트는 통신 기능을 갖는 정보 처리 기기이면 어떤 것이라도 되고,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인터넷 접속 기능이 부가된 텔레비전 등 모든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네트워크는, LAN, WAN, VAN, 일반 공중 전화망, CATV 네트워크, 그 외에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로부터 서버에 접속할 때, 프로바이더와 같은 네트워크 접속 업자를 통해 접속하여도 된다. 또한, 사전에 정하는 통지 관계자는 건강 상담자와 의사 이외에도, 건강 상담자의 가족, 긴급 의료 기관의 의사, 그 밖의 관계자로 할 수 있다.
7) 바이탈 데이터, 식사의 전자 화상 및 그 분석 결과는 건강 상담자 본인, 건강 상담자의 가족, 의료진, 긴급 의료 기관의 의사, 그 밖의 관계자 이외에 대하여 판독 제한을 설정한다. 판독 제한의 방법으로서는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 등의 통상 이용되고 있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형태 이외에도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 변형이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에 기초하는 것인 한, 그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양사에 의한 건강 상담을 온라인으로 행함으로써 의사의 부담이 감소된다. 또한, 영양사로부터의 식사의 분석 결과를 의사가 취득함으로써, 의사가 건강 상담을 행할 때에 그 분석 결과를 참고로 할 수 있고, 또한 자신의 식사 분석과 영양사의 식사 분석을 비교할 수 있어 자신의 식사 분석 능력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영양사로부터의 어드바이스를 온라인으로 건강 상담자에게 전송함으로써, 건강 상담자는 집에서 건강 상담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등록한 식사의 사진 이미지가 서버에 보존되어 있기 때문에, 건강 상담자는 편한 시간에 식사의 사진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버가 비이탈 데이터에 기초하는 자동 건강 진단을 행하기 때문에, 의사의 부담이 경감된다. 이상 유무의 판별식은 의사가 건강 상담자별로 설정하기 때문에, 적절한 건강 진단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상이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복수 종류의 통신 방법 중에서 의사에게 적합한 통지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의사측으로부터 건강 상담자에게 어드바이스를 보낼 수도 있고, 그 때 서버에 보존된 바이탈 데이터도 참고로 할 수 있다. 또한, 원격 회화 등에 의한 건강 상담도 건강 상담자와 의사 사이에서 스케줄 조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건강 상담자는 의사로부터 지시가 있을 때까지 일부러, 병원까지 갈 필요가 없다.

Claims (60)

  1. 건강 상담자와 의료진측에 설치한 클라이언트 및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건강 지원 시스템에서,
    상기 건강 상담자가 자신의 건강에 관련된 데이터를 자신의 클라이언트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 저장된 상기 건강 상담자의 건강에 관련된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를 상기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건강 상담자 및/또는 상기 의료진의 클라이언트를 통해 공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건강 상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신의 건강에 관련된 데이터는 상기 건강 상담자의 식사의 전자 화상 데이터이고, 상기 분석 결과는 상기 의료진이 상기 식사 전자 화상 데이터를 눈으로 확인하여 분석한 식사의 영양 분석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건강 상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상담자는 상기 식사의 전자 화상에 대한 자신의 영양 분석을 자신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 가능하고, 상기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는 해당 입력된 건강 상담자에 의한 영양 분석 데이터와, 상기 의료진에 의한 영양 분석 데이터의 양방을 표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건강 상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영양 분석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여 저장하고, 상기 의료진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어 상기 서버에 저장된 영양 분석 데이터와, 상기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어 저장된 영양 분석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자동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건강 상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의한 비교 결과를 적어도 상기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에 통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건강 상담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저장된 전자 화상과 분석 결과에 관한 어드바이스를 상기 의료진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에게, 직접 또는 상기 서버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건강 상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상담자측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건강 상담자의 바이탈 데이터를 입력하고, 이 입력된 바이탈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여 저장하고, 상기 서버는 이 전송된 바이탈 데이터와 식사의 분석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이용하여 건강이상을 나타내는지를 사전에 정해진 판별 규칙에 기초하여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가 건강이상을 나타낸 경우에는 그 취지를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전에 정해진 관계자의 클라이언트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건강 상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사용하는 상기 판별 규칙을 상기 의료진의 클라이언트로부터 건강 상담자별로 설정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건강 상담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건강이상을 나타낸 취지를 통지하기 위한 통신 방법은 사전에 정한 복수 종류의 통신 방법 중에서 선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건강 상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저장된 바이탈 데이터에 대하여 판독 제한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건강 상담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진은 의사 및 영양사를 포함하고, 이 의사 및 영양사의 각각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건강에 관련된 분석 데이터를 입력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건강 상담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의료진에 대한 건강 상담 예약을 상기 서버에 입력하고, 상기 서버는 이 입력된 예약을 상기 의료진의 클라이언트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건강 상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진의 클라이언트는 자신의 형편 상 불가능한 건강 상담 일시를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에 통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건강 상담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진과 상기 건강 상담자 사이에서 행해진 건강 상담에 대한 어드바이스를 상기 의료진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에게, 직접 또는 상기 서버를 통해 전송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건강 상담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는 급식 택배 업자의 클라이언트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건강 상담자 또는 상기 의료진측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서버를 통해 급식 또는 식품 재료를 주문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건강 상담 방법.
  16. 건강 상담자와 의료진측에 설치한 클라이언트 및 건강 상담용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건강 지원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건강 상담용 서버에 있어서,
    외부의 클라이언트로부터의 데이터를 접수하는 통신 수단과,
    해당 접수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건강 상담자로부터의 자신의 건강에 관련된 데이터를 자신의 클라이언트 및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접수하고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하여, 해당 저장된 상기 건강 상담자의 건강에 관련된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하고, 해당 저장 수단에 의해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건강 상담자 및/또는 상기 의료진의 클라이언트를 통해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건강 상담용 서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자신의 건강에 관련된 데이터는 상기 건강 상담자의 식사의 전자 화상 데이터이고, 상기 분석 결과는 상기 의료진이 상기 식사 전자 화상 데이터를 눈으로 확인하여 분석한 식사의 영양 분석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건강 상담용 서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상담자는 상기 식사의 전자 화상에 대한 자신의 영양 분석을 자신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 가능하며, 상기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는 해당 입력된 건강 상담자에 의한 영양 분석 데이터와, 상기 의료진에 의한 영양 분석 데이터의 양방을 표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건강 상담용 서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영양 분석 데이터를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접수하고, 이 접수한 영양 분석 데이터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의료진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어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영양 분석 데이터와, 상기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어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영양 분석 데이터를 자동 비교하는 비교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건강 상담용 서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수단에 의한 비교 결과를 적어도 상기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에 통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건강 상담용 서버.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전자 화상과 분석 결과에 관한 어드바이스를 상기 의료진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에게, 직접 또는 상기 서버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건강 상담용 서버.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상담자측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건강 상담자의 바이탈 데이터를 입력하고, 이 입력된 바이탈 데이터를 상기 전자 건강 상담용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전자 건강 상담용 서버는 이 전송된 바이탈 데이터와 식사의 분석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이용하여 건강이상을 나타내는지를 사전에 정해진 판별 규칙에 기초하여 판별하는 수단과, 그 판별 결과가 건강이상을 나타낸 경우에는 그 취지를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전에 정해진 관계자의 클라이언트에 통지하는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건강 상담용 서버.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규칙을 상기 의료진의 클라이언트로부터 건강 상담자별로 설정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건강 상담용 서버.
  24. 제22항에 있어서,
    건강이상을 나타낸 취지를 통지하기 위한 통신 방법은 사전에 정한 복수 종류의 통신 방법 중에서 선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건강 상담용 서버.
  2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바이탈 데이터에 대하여 판독 제한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건강 상담용 서버.
  26.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진은 의사 및 영양사를 포함하고, 이 의사 및 영양사의 각각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건강에 관련된 분석 데이터를 입력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건강용 서버.
  2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의료진에 대한 건강 상담에 대한 예약을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접수하고, 이 접수된 예약을 상기 의료진의 클라이언트에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건강 상담용 서버.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진의 클라이언트는 자신의 형편 상 불가능한 건강 상담 일시를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에 통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건강 상담용 서버.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진과 상기 건강 상담자 사이에서 행해진 건강 상담에 대한 어드바이스를 상기 의료진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에게, 직접 또는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전송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건강 상담용 서버.
  3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는 급식 택배 업자의 클라이언트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건강 상담자 또는 상기 의료진측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급식 또는 식품 재료를 주문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건강 상담용 서버.
  31. 건강 상담자와 의료진측에 설치한 클라이언트 및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건강 지원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건강 상담자용 클라이언트에 있어서,
    건강에 관련된 데이터를 입력 가능한 입력 수단과,
    해당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통신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건강 상담자가 자신의 건강에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입력 수단 및 상기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서버에 저장하고, 상기 서버에 저장된 상기 건강 상담자의 건강에 관련된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를 상기 서버에 저장해 두고, 상기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건강 상담자 및/또는 상기 의료진의 클라이언트를 통해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담자용 클라이언트.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자신의 건강에 관련된 데이터는 상기 건강 상담자의 식사의 전자 화상 데이터이고, 상기 분석 결과는 상기 의료진이 상기 식사 전자 화상 데이터를 눈으로 확인하여 분석한 식사의 영양 분석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담자용 클라이언트.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상담자는 상기 식사의 전자 화상에 대한 자신의 영양 분석을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 가능하고, 해당 입력된 상기 건강 상담자에 의한 영양 분석 데이터와, 상기 의료진에 의한 영양 분석 데이터의 양방을 표시 가능한 표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담자용 클라이언트.
  34. 제33항에 있어서,
    입력된 영양 분석 데이터를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서버에 전송하여 저장하고, 상기 의료진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어 상기 서버에 저장된 영양 분석데이터와, 상기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어 저장된 영양 분석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자동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담자용 클라이언트.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의한 비교 결과가 상기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에 통지되고, 상기 비교 결과를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담자용 클라이언트.
  36.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저장된 해당 전자 화상과 분석 결과에 관한 어드바이스를 상기 의료진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에게, 직접 또는 상기 서버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담자용 클라이언트.
  37.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상기 건강 상담자의 바이탈 데이터를 입력하고, 해당 입력된 바이탈 데이터를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서버에 전송하여 저장하고, 상기 서버는 해당 전송된 바이탈 데이터와 식사의 분석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건강이상을 나타내는지를 사전에 정해진 판별 규칙에 기초하여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가 건강이상을 나타낸 경우에는 그 취지를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전에 정해진 관계자의 클라이언트에 통지하고, 상기 건강 상담자용 클라이언트에있어서는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판별 결과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담자용 클라이언트.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사용하는 상기 판별 규칙을 상기 의료진의 클라이언트로부터 건강 상담자별로 설정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담자용 클라이언트.
  39. 제37항에 있어서,
    이상을 나타낸 취지를 통지하기 위한 통신 방법은 사전에 정한 복수 종류의 통신 방법 중에서 선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담자용 클라이언트.
  40.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저장된 바이탈 데이터에 대하여 판독 제한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담자용 클라이언트.
  41.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진은 의사 및 영양사를 포함하고, 이 의사 및 영양사의 각각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건강에 관련된 분석 데이터를 입력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담자용 클라이언트.
  4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상기 의료진에 대한 건강 상담에 대한 예약을 상기 서버에 입력하고, 상기 서버는 이 입력된 예약을 상기 의료진의 클라이언트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담자용 클라이언트.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진의 클라이언트는 자신의 형편 상 불가능한 건강 상담 일시를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에 통지 가능하고, 상기 일시를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담자용 클라이언트.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진과 상기 건강 상담자 사이에서 행해진 건강 상담에 대한 어드바이스를 상기 의료진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직접 또는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담자용 클라이언트.
  4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는 급식 택배 업자의 클라이언트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입력 수단 및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급식 또는 식품 재료를 주문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건강 상담자용 클라이언트.
  46. 건강 상담자와 의료진측에 설치한 클라이언트 및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건강 지원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의료진용 클라이언트에 있어서,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적어도 상기 서버와 데이터를 통신하는 통신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건강 상담자가 자신의 건강에 관련된 데이터를 자신의 클라이언트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저장하고, 상기 서버에 저장된 상기 건강 상담자의 건강에 관련된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를 상기 서버에 저장해 두고, 상기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건강 상담자 및/또는 상기 의료진용 클라이언트를 통해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진용 클라이언트.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자신의 건강에 관련된 데이터는 상기 건강 상담자의 식사의 전자 화상 데이터이고, 상기 식사 전자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석 결과는 상기 의료진이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상기 식사 전자 화상 데이터를 눈으로 확인하여 분석한 식사의 영양 분석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진용 클라이언트.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상담자는 상기 식사의 전자 화상에 대한 자신의 영양 분석을 자신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 가능하고, 상기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는 해당 입력된 상기 건강 상담자에 의한 영양 분석 데이터와, 상기 의료진에 의한 영양 분석 데이터의 양방을 상기 표시 수단으로 표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진용 클라이언트.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영양 분석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여 저장하고, 상기 의료진의 클라이언트의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되어 상기 서버에 저장된 영양 분석 데이터와, 상기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어 저장된 영양 분석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자동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진용 클라이언트.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의한 비교 결과를 적어도 상기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진용 클라이언트.
  51.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저장된 전자 화상과 분석 결과에 관한 어드바이스를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하고,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의료진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에게, 직접 또는 상기 서버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의료진용 클라이언트.
  52.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상담자측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건강 상담자의 바이탈 데이터를 입력하고, 이 입력된 바이탈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여 저장하고, 상기 서버는 이 전송된 바이탈 데이터와 식사의 분석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건강이상을 나타내는지를 사전에 정해진 판별 규칙에 기초하여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가 건강이상을 나타낸 경우에는 그 취지를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전에 정해진 관계자의 클라이언트에 통지하고,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판별 결과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진용 클라이언트.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사용하는 상기 판별 규칙을 상기 의료진의 클라이언트로부터 건강 상담자별로 설정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진용 클라이언트.
  54. 제52항에 있어서,
    건강이상을 나타낸 취지를 통지하기 위한 통신 방법은 사전에 정한 복수 종류의 통신 방법 중에서 선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진용 클라이언트.
  55.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저장된 바이탈 데이터에 대하여 판독 제한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진용 클라이언트.
  56.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진은 의사 및 영양사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상기 건강에 관련된 분석 데이터를 입력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진용 클라이언트.
  5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의료진에 대한 건강 상담 예약을 상기 서버에 입력하고, 상기 서버는 이 입력된 예약을 상기 의료진의 클라이언트에 통지하고,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예약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진용 클라이언트.
  58. 제57항에 있어서,
    자신의 형편 상 불가능한 건강 상담 일시를 상기 입력 수단, 상기 통신 수단 및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에 통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진용 클라이언트.
  59.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진과 상기 건강 상담자 사이에서 행해진 건강 상담에 대한 어드바이스를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하고,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건강 상담자의 클라이언트에게, 직접 또는 상기 서버를 통해 전송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진용 클라이언트.
  60.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는 급식 택배 업자의 클라이언트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입력 수단 및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급식 또는 식품 재료를 주문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진용 클라이언트.
KR10-2002-7009181A 2000-01-17 2001-01-17 전자 건강 상담 방법 KR1005208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008311 2000-01-17
JP2000008311 2000-0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3931A true KR20020063931A (ko) 2002-08-05
KR100520871B1 KR100520871B1 (ko) 2005-10-12

Family

ID=18536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9181A KR100520871B1 (ko) 2000-01-17 2001-01-17 전자 건강 상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30004756A1 (ko)
KR (1) KR100520871B1 (ko)
AU (1) AU2001227051A1 (ko)
WO (1) WO20010540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396B1 (ko) * 2004-09-08 2006-08-17 이경혜 아동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한 인터넷 영양교육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5289A (ja) * 2001-09-13 2003-03-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生活改善支援装置
JP2003085293A (ja) * 2001-09-13 2003-03-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生活管理装置
JP2003122852A (ja) * 2001-10-11 2003-04-25 Sanyo Electric Co Ltd 健康管理支援方法及びカメラ付き携帯情報端末
US20030074224A1 (en) * 2001-10-11 2003-04-17 Yoshinori Tanabe Health care support system, pet-type health care support terminal, vital data acquisition device, vital data acquisition Net transmission system, health care support method,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with camera
US7970368B2 (en) * 2002-02-07 2011-06-28 Qualcomm Incorporated Wired cellular telephone system
JP3926778B2 (ja) * 2003-08-28 2007-06-06 株式会社亀田医療情報研究所 医療情報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6048664A (ja) * 2004-07-02 2006-02-16 Pharmedico Kk 販売支援システムおよび販売支援プログラム
US7941200B2 (en) * 2005-12-08 2011-05-10 Roche Diagnostics Oper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drug administration information
US7590550B2 (en) * 2006-09-08 2009-09-15 American Well Inc. Connecting consumers with service providers
US20090113312A1 (en) * 2006-09-08 2009-04-30 American Well Systems Connecting Providers of Legal Services
US20170213003A9 (en) 2006-09-08 2017-07-27 American Well Corporation Next Consumer Processing for Brokered Engagements
US20090138317A1 (en) * 2006-09-08 2009-05-28 Roy Schoenberg Connecting Providers of Financial Services
US20080306350A1 (en) * 2007-06-11 2008-12-11 Larry David Yogel Methods for Implementing a Weight Loss Program
JP2009122814A (ja) * 2007-11-13 2009-06-04 Tadao Abe 在宅健康管理システム
JP6021223B2 (ja) * 2013-01-09 2016-11-09 Kddi株式会社 マッチングサーバ
US9212996B2 (en) * 2013-08-05 2015-12-15 Tellspec, Inc. Analyzing and correlating spectra, identifying samples and their ingredients, and displaying related personalized information
JP2016024611A (ja) * 2014-07-18 2016-02-08 花王株式会社 食事内容のチェック用シート
WO2017165621A1 (en) * 2016-03-24 2017-09-28 Anand Subra Real-time or just-in-time online assistance for individuals to help them in achieving personalized health goals
US10713372B1 (en) * 2019-07-25 2020-07-14 Biolink Systems, Llc System for monitoring incontinent patient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98530A (ja) * 1988-02-03 1989-08-10 Secom Co Ltd 健康管理装置
US5065315A (en) * 1989-10-24 1991-11-12 Garcia Angela M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and reporting patient related services including prioritizing services
US5233520A (en) * 1990-12-19 1993-08-0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Method and system for measurement of intake of foods, nutrients and other food components in the diet
JPH0549603A (ja) * 1991-08-22 1993-03-02 Fujitsu General Ltd 健康管理システム
AU7092294A (en) * 1993-04-30 1994-11-21 Arnold J Goldman Personalized method and system for storage, communication, analysis and processing of health-related data
JPH07271857A (ja) * 1994-03-29 1995-10-20 Olympus Optical Co Ltd 統合栄養管理カードシステム
US5845263A (en) * 1995-06-16 1998-12-01 High Technology Solutions, Inc. Interactive visual ordering system
JPH0962740A (ja) * 1995-08-22 1997-03-07 Hitachi Ltd 相談システム
JP3493847B2 (ja) * 1995-11-15 2004-02-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広域医療情報システム
JPH1147096A (ja) * 1997-07-30 1999-02-23 Omron Corp 健康管理システム
JPH11250161A (ja) * 1998-03-04 1999-09-17 Hitachi Ltd 医療相談システム
AU2001288902A1 (en) * 2000-09-07 2002-03-22 Healthetech, Inc. Portable computing apparatus particularly useful in a weight management progra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396B1 (ko) * 2004-09-08 2006-08-17 이경혜 아동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한 인터넷 영양교육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04756A1 (en) 2003-01-02
KR100520871B1 (ko) 2005-10-12
WO2001054011A1 (fr) 2001-07-26
AU2001227051A1 (en) 2001-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0871B1 (ko) 전자 건강 상담 방법
US8224669B2 (en) Chronic disease management system
Kassirer Patients, Physicians, And The Internet: Coming generations of doctors are ready to embrace new technology, but few incentives now exist to encourage their older peers to do likewise.
US20170140105A1 (en) Federated Collaborative Medical Records System
Dixon Enhancing primary care through online communication
US20140129255A1 (en) Medical Information and Scheduling Communication
US200700330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rehensive remote patient monitoring and management
US20140249850A1 (en) Critical condition module
US20080046286A1 (en) Computer implemented healthcare monitoring, notifying and/or scheduling system
WO2003085570A1 (en) Cooperative diagnosis system
US20060106648A1 (en) Intelligent patient context system for healthcare and other fields
WO2001093140A1 (fr) Reseau d'examen medical
CN101325906A (zh) 提供自动化医疗援助的方法
US20200118680A1 (en) Software application for patient care and related device, system, and method
US20030175666A1 (en) Nutritional guidance system, nutritional guidance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200502514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sultation on dermatological disorders
US2018012183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ordinating the flow of events in a health care setting using a workflow module
US20070011029A1 (en) Access to inpatient medical information for patient and proxies
JP202106816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353088A (ja) 電子健康相談方法、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
WO2007035646A2 (en) Medical diagnosis feedback tool
US200501076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xternal input of disease management algorithm
JP2001290890A (ja) 医療情報検索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記憶媒体
JP6661045B1 (ja) 医療関係者マッチングシステム
JP2003242258A (ja) コントロール食提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