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0601A - 스피닝 릴의 스풀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의 스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60601A KR20020060601A KR1020020001228A KR20020001228A KR20020060601A KR 20020060601 A KR20020060601 A KR 20020060601A KR 1020020001228 A KR1020020001228 A KR 1020020001228A KR 20020001228 A KR20020001228 A KR 20020001228A KR 20020060601 A KR20020060601 A KR 200200606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ool
- flange
- flange portion
- spinning reel
- ree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MCMNRKCIXSYSNV-UHFFFAOYSA-N Zircon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Zr]=O MCMNRKCIXSYSN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00861 Mg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348 incor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1—Spool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과제] 스피닝 릴의 스풀에 있어서, 앞 플랜지부에서의 내마모성이나 내구성을 유지하고, 스풀을 가급적 경량화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스피닝 릴의 스풀(4)은, 스피닝 릴의 릴 본체(2)에 대해서 전후 이동하는 스풀축(15)의 선단에 장착되는 줄 권취용의 스풀에 있어서, 줄 권취용 몸통부(4a)와, 앞 플랜지부(4c)와, 플랜지 고정 부재(47)를 가지고 있다. 줄 권취용 몸통부(4a)는, 스풀축(15)의 선단에 장착되는 것이다. 앞 플랜지부(4c)는 줄 권취용 몸통부(4a)의 전단부의 외주측에 플랜지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된 제1 플랜지부(45)와, 제1 플랜지부의 외주부에 착탈 가능한 경질 재료제의 링 형상의 제2 플랜지부(46)를 가진다. 플랜지 고정 부재(47)는 제2 플랜지부(46)를 제1 플랜지부(45)에 고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풀, 특히,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대해서 전후 이동하는 스풀축의 선단에 장착되는 줄 권취용 스풀에 관한 것이다.
스피닝 릴은, 일반적으로, 낚싯대에 장착되는 릴 본체와, 릴 본체에 대해서 전후 이동하는 스풀축의 선단에 장착된 줄 권취용 스풀과,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스풀에 낚싯줄을 감기 위한 로터를 가지고 있다. 이런 종류의 스피닝 릴의 스풀은, 낚싯줄이 감겨지는 줄 권취용 몸통부와, 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줄 권취용 몸통부보다 큰 직경의 스커트부와, 줄 권취용 몸통부의 전단부(前端部)에 설치된 앞 플랜지부를 가지고 있다.
줄 권취용 몸통부나 스커트부는, 경량화를 꾀하기 위해서 알루미늄 합금이나 마그네슘 합금 등의 경금속제의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앞 플랜지부는, 낚싯줄을 풀어 낼 때에 외주부(外周部)가 낚싯줄에 접촉하여 마모하거나 손상되기 쉽기 때문에, 줄 권취용 몸통부와 별체로 링 형상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앞 플랜지부를 줄 권취용 몸통부와 별체로 하는 경우, 종래, 내구성이나 내마모성을 고려해, 스테인레스 등의 경질 금속이나 지르코니아(zirconia) 등의 경질 세라믹 등, 경질의 재료가 앞 플랜지부에 사용되고 있다.
스테인레스나 지르코니아 등의 경질의 재료는, 일반적으로 비중이 큰 재료이다. 이 때문에, 앞 플랜지부를 경질의 재료로 제작한 상기 종래의 스풀에서는, 줄 권취용 몸통부나 스커트부를 경량화하더라도 스풀 전체로서 경량화를 꾀하기는 어렵다. 특히, 심구(深溝) 스풀로 불리는, 줄 권취용 몸통부의 외경에 대해서 앞 플랜지부의 외경이 큰 스풀의 경우, 링 형상의 앞 플랜지부의 내외경의 차이가 커지기 때문에, 앞 플랜지부의 체적이 커져서, 스풀 중량의 증가를 야기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스피닝 릴의 스풀에 있어서, 앞 플랜지부에서의 내마모성이나 내구성을 유지하고, 스풀을 가급적 경량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의 좌측면도.
도 2는 도1의 스피닝 릴의 좌측면 단면도.
도 3은 릴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릴 본체의 후부(後部) 단면 부분도.
도 5는 커버 부재의 고정 방법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연결 기구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7은 연결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스풀 및 로터 중심부의 단면 부분도.
도 9는 스풀의 치수를 나타내는 단면 부분도.
도 10은 드래그 기구의 마찰부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다른 실시예의 도 8에 상당하는 도.
도 12는 도 11의 XII-XII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릴 본체4: 스풀
4a: 줄 권취용 몸통부4b: 스커트부
4c: 앞 플랜지부15: 스풀축
45: 제1 플랜지부46: 제2 플랜지부
47: 플랜지 고정 부재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대해서 전후 이동하는 스풀축의 선단에 장착된 줄 권취용 스풀에 있어서, 줄 권취용 몸통부와, 앞 플랜지부와, 플랜지 고정 부재를 가지고 있다. 줄 권취용 몸통부는 스풀축의 선단에 장착된 것이다. 앞 플랜지부는, 줄 권취용 몸통부의 전단부의 외주측에 플랜지 형상으로 설치된 제1 플랜지부와, 제1 플랜지부의 외주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줄 권취용 몸통부 및 제1 플랜지부보다 비중이 큰 경질 재료제의 링 형상의 제2 플랜지부를 가지고 있다. 플랜지 고정 부재는, 제2 플랜지부를 제1 플랜지부에 고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상기 스풀에서는, 앞 플랜지부 중 제1 플랜지부는 줄 권취용 몸통부에 설치되며, 줄 권취용 몸통부 및 제1 플랜지부보다 비중이 큰 제2 플랜지부가 제1 플랜지부와 별체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줄 권취용 몸통부와 함께 제1 플랜지부의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줄을 풀어 낼 때에 낚싯줄이 주로 접촉하는 것은, 앞 플랜지부의 외주 부분이고, 그 부분에 경질 재료제의 제2 플랜지부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으므로, 외주 부분에서의 손상이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앞 플랜지부를 두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낚싯줄에 접촉해 손상되기 쉬운 외주 부분에 경질 재료제의 비중이 큰 제2 플랜지부를 배치하고, 그 외의 내주 부분에 비중이 작은 제1 플랜지부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앞 플랜지부에서의 내마모성이나 내구성을 유지하며, 스풀을 가급적 경량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상기 제1 형태의 스풀에 있어서, 제1 플랜지부는, 줄 권취용 몸통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플랜지부와 줄 권취용 몸통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경량화를 꾀하더라도 일체로 형성된 것에 의해 제1 플랜지부의 강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상기 제1 형태 또는 제2 형태의 스풀에 있어서, 줄 권취용 몸통부의 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줄 권취용 몸통부보다 직경이 큰 스커트부를 더 가진다. 이 경우에는, 줄 권취용 몸통부와 함께 스커트부의 경량화도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상기 제1 형태 또는 제2 형태의 스풀에 있어서, 제1 플랜지부의 외경은, 제2 플랜지부의 외경과 줄 권취용 몸통부의 외경의 중간값보다 크다. 이 경우에는, 내측의 제1 플랜지부의 외경이 앞 플랜지부 전체의 외경 차이에 대해서 중간값 이상이므로, 제1 플랜지부가 앞플랜지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커지고, 스풀 전체의 경량화를 꾀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상기 제4 형태의 스풀에 있어서, 제2 플랜지부의 내경과 외경의 차이가 3 mm 내지 25 mm이다. 내외경의 차이가 3 mm 미만이면, 제2 플랜지부가 너무 가늘어지고 강도가 부족해진다. 또한, 25 mm를 초과하면 비중이 큰 제2 플랜지부의 앞 플랜지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커지고, 스풀 전체가 대형화되며, 스풀 전체의 중량의 증가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제6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상기 제1 또는 제2 형태의 스풀에 있어서, 제1 플랜지부는, 스풀축 방향의 단면에 있어서 대략 직선이 되는 윤곽 부분을 가진다. 이 경우에는, 대략 직선의 윤곽 부분에 의해 제1 플랜지부의 외경을 크게 할 수가 있어 스풀을 보다 경량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제1 형태 또는 제2 형태의 스풀에 있어서, 플랜지 고정 부재는, 줄 권취용 몸통부의 내주면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플랜지 고정 부재가 줄 권취용 몸통부에 나사 고정되어 있으므로, 플랜지 고정 부재를 나사못으로 고정하는 구성에 대해서 균일하게 제2 플랜지부를 압압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 고정 부재를 돌리는 것만으로 제2 플랜지부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제2 플랜지부의 착탈이 용이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은, 낚싯대에 장착가능한 릴 본체(2)와, 릴 본체(2)에 좌우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조립체(1)와, 로터(3)와, 스풀(4)을 가지고 있다. 로터(3)는, 줄 개방 자세와 줄 권취 자세로 요동 가능한 베일 암(40)을 가지고 있고, 핸들 조립체(1)의 회전에 연동해 회전하여 낚싯줄을 스풀(4)로 안내하는 것이다. 로터(3)는, 릴 본체(2)의 앞 부분에 전후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4)은, 로터(3)에 의해 안내된 낚싯줄을 외주면에 권취하는 것이고, 로터(3)의 앞 부분에 전후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릴 본체의 구성]
릴 본체(2)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릴 본체(2)의 주요부를 구성하고 측부에 개구(2c)를 가지는 마그네슘 합금제의 릴 몸체(2a)와, 릴 몸체(2a)로부터 비스듬히 상전방(上前方)으로 일체로 연장하는 T자 형상의 장대 장착 다리(2b)와, 개구(2c)를 가리도록 릴 몸체(2a)에 나사 고정된 마그네슘 합금제의 뚜껑 부재(2d)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릴 몸체(2a), 장대 장착 다리(2b) 및 뚜껑 부재의 표면에는 내식 피막으로서의 양극 산화 피막이 형성되고, 그 위에 도막층이 더 형성되어 있다.
릴 몸체(2a)는, 내부에 개구(2c)로 이어지는 기구 장착용 공간을 가지고 있고, 그 공간 내에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터(3)를 핸들 조립체(1)의 회전에 연동해 회전시키는 로터 구동 기구(5)와, 스풀(4)을 전후로 이동시켜 낚싯줄을 균일하게 권취하기 위한 오실레이팅 기구(6)와, 로터 구동 기구(5)와 오실레이팅 기구(6)를 연결하는 연결 기구(7; 도 6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릴 몸체(2a)의 앞 부분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플랜지부(2e)와, 제1 플랜지부(2e)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통상부(2f; 筒狀部)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플랜지부(2e)는, 현(弦)과 원호로 구성되는 부분이 없는 것과 같은 대략 반원 형상이고, 개구(2c)의 전단(前端)으로 이어져 형성되어 있다. 통상부(2f)는 삼단계로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원통형 부분이고, 그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터(3)가 줄을 풀어 내는 방향으로 회전(역전)하는 것을 금지·해제하기 위한 역전 방지 기구(50)의 단방향 클러치(51)가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통상부(2f)의 전단부에는, 절결부(2i; 도 3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2i)는, 베일 암(40)을 줄 권취 자세로 복귀시키는 베일 반전 기구(16)의 복귀 부재(16a)의 편입시에, 복귀 부재(16a)의 선단(16b)을 교환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있다. 즉, 통상부(2f)의 전단부 외경은, 복귀 부재(16a)의 선단(16b)의 직경 방향 위치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절결부(2i)가 없으면, 편입시에 복귀 부재(16a)가 전단부에 닿아서 복귀 부재(16a)의 선단을 통상부(2f)의 안쪽에 배치할 수 없기 때문이다. 복귀 부재(16a)는, 선재의 양단을 역방향으로 절곡시킨 형상의 부재이고, 선단(16b)은 구부려져 있다. 중간의 직선 부분의 스풀 직경 방향 바깥쪽에는, 누름 부재(77)가 장착되어 있다. 누름 부재(77)는, 제1 로터 암(31) 내에 장착되어 있고, 복귀 부재(16a)의 스풀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있다.
통상부(2f)의 후단부에는 다른 부분보다 약간 작은 직경의 D자 형상의 단면의 홈부(2h)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2h)에는, 복귀 부재(16a)의 선단(16b)에 접촉가능한 탄성체제의 링 형상의 로터 제동 부재(17a)가 장착되어 있다. 홈부(2h)의 후면은 뚜껑 부재(2d) 장착 부분이 개구(2c)에 연통하여 개방되어 있다.
뚜껑 부재(2d)는, 전단부에 제1 플랜지부(2e)에 없는 현과 원호로 구성되는 대략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제2 플랜지부(2g)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2 플랜지부(2g)에서 제1 플랜지부(2e) 및 통상부(2f)의 후면과 접촉하는 면에는, 이것들과의 틈새를 밀봉하기 위한 탄성체제의 방수 씰(81)이 장착되어 있다. 방수 씰(81)은, 제2 플랜지부(2g)의 전면으로부터 후면에 걸쳐 제1 플랜지부(2e)와의 접촉면 및 홈부(2h)의 후면과의 접촉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연속하여 대략 반원호의 띠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방수 씰(81)은, 제2 플랜지부(2g)의 전면에 형성된 대략 반원호 모양의 장착홈(81a)에 장착되어 있다. 릴 몸체(2a) 및 장대 장착 다리(2b)를 일체 성형할 때, 통상부(2f)의 후면에 거푸집을 빼내기 위한 제거 구배가 되어 있다. 또한, 뚜껑 부재(2d)의 제2 플랜지부(2g)에도 동일한 제거 구배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대로는, 제거 구배를 위해서 뚜껑 부재(2d)의 제2 플랜지부(2g)와 통상부(2f)의 후면과의 사이에 틈새가 벌어져 밀봉하기 어렵기 때문에, 방수 씰(81)이 제공되어 있다. 또한, 제1 플랜지부(2e)와 제2 플랜지부(2g)와의 사이에는, 베일 반전 기구(16)의 복귀 돌기(17b)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복귀 돌기(17b)는, 복귀 부재(16a)에 접촉하여 베일 암(40)을 줄 권취 자세로 복귀하기 위한 것이다.
릴 본체(2)의 후부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금속제 또는 합성 수지제의 보호 커버(13)에 의해 가려져 있다. 보호 커버(13)는,릴 몸체(2a) 및 뚜껑 부재(2d)의 하부로부터 배면 그리고 장대 장착 다리(2b)에 걸쳐 릴 본체(2)의 하부 및 배면을 가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보호 커버(13)는, 릴 본체(2)의 후부 및 하부의 두 군데에 소나사(18, 19)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측의 소나사(18)는 M3(JIS) 소나사이고, 릴 본체(2)의 장대 장착 다리(2b)의 배면에 직접 나사 결합된다. 하측의 소나사(19)는 M2(JIS) 소나사이고,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릴 몸체(2a)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너트 부재(20)에 나사 결합된다.
너트 부재(20)는, 플랜지를 구비한 원통형의 알루미늄 합금제의 부재이다. 너트 부재(20)의 플랜지부(20a)에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릴 몸체(2a)의 하부에 형성된 회전 멈춤 돌기(2j)에 계지되는 서로 평행한 모따기부(20b)가 형성되어 있다. 너트 부재(2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20c)가 형성되어 있고, 이 암나사부(20c)가 소나사(19)에 나사 결합한다. 장착되어 릴 몸체(2a)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하다. 또한, 너트 부재(20)의 통상부(20d)의 하단측에는, 발지(拔止: 뽑히는 것을 방지한다는 의미이다.)를 위한 스냅 링(26)이 장착되는 환형의 발지홈(20e)이 형성되어 있다. 통상부(20d)는, 릴 몸체(2a)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2k)에 장착된다. 이 관통공(2k)은, 보호 커버(13)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 장착공(13b)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너트 부재(20)를 장착한 상태에서, 스냅 링(26)과 보호 커버(13)의 사이에는 절연링(27)이 장착되어 있다. 절연링(27)은, 보호 커버(13)가 금속제인 경우에 릴 몸체(2a)와 보호 커버(13)를 절연하여 전해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너트 부재(20)를 플랜지부(20a)가 릴 몸체(2a)에 접촉할 때까지 관통공(2k)에 장착하고, 절연링(27)을 장착한 후에 스냅 링(26)을 장착한다. 이것에 의해 플랜지부(20a)에 형성된 모따기부(20c)가 회전 멈춤 돌기(2j)에 계지되어 너트 부재(20)의 회전이 방지된다. 이 상태로 릴 몸체(2a)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한 통상부(20d)에 절연링(27)을 장착한 후에 스냅 링(26)을 발지홈(20e)에 장착한다. 이것에 의해, 너트 부재(20)가 발지되고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된다.
보호 커버(13)와 릴 본체(2)의 사이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제의 스페이서(13a)가 개재되어 장착되어 있다. 스페이서(13a)는, 보호 커버(13)와 릴 본체(2)의 틈새를 채우는 것과 함께, 보호 커버(13)가 금속제인 경우에 절연하여 전해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 개재되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13a)를 개재하여 장착시키는 것으로, 보호 커버(13)를 합성 수지로 제작하여도, 그 제작 오차에 의한 틈새의 변동을 흡수할 수가 있다.
보호 커버(13)는, 릴 몸체(2a)에 뚜껑 부재(2d)를 장착한 후에 릴 본체(2)에 장착된다. 이 때, 상측 소나사(18)는 장대 장착 다리(2b)에 직접적으로 나사 고정 된다. 한편, 소경의 하측 소나사(19)는, 너트 부재(20)에 장착된다. 너트 부재(20)에 소나사(19)가 장착되면 플랜지부(20a)가 릴 몸체(2a)에 강하게 밀착해 보호 커버(13)가 릴 본체(2)에 장착된다.
[로터 구동 기구의 구성]
로터 구동 기구(5)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핸들 조립체(1)가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마스터 기어(11)와, 이 마스터 기어(11)에 치합하는 피니언 기어(12)를 가지고 있다.
마스터 기어(11)는, 정면 기어이고, 마스터 기어축(1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마스터 기어축(10)은 중심에 핸들 조립체(1)가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되는 계지공(10a)이 형성된,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제의 중공 부재이고, 그 양단이, 베어링을 거쳐 릴 몸체(2a) 및 뚜껑 부재(2d)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 형상의 부재이고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릴 몸체(2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의 앞 부분(12a)은 로터(3)의 중심부를 관통하고 있고, 이 관통 부분에서 너트(33)에 의해 로터(3)와 고정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축방향의 중간부와 후단부에서 각각 베어링(14a, 14b)을 개재하여 릴 몸체(2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피니언 기어(12)의 내부를 스풀축(15)이 관통하고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마스터 기어(11)에 치합하는 것과 함께 연결 기구(7)를 거쳐 오실레이팅 기구(6)에도 치합하고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 및 연결 기구의 구성]
오실레이팅 기구(6)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풀축(15)의 아래쪽에 평행하게 배치된 나선축(21)과, 나선축(2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22)와, 나선축(21)의 선단에 고정된 중간 기어(23)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22)는, 나선축(21)의 나선 형상의 홈에 계합하는 계합 부재(도시되지 않음)를가지고 있다. 슬라이더(22)는, 나선축(21)과 평행하게 배치된 상하 두 개의 가이드축(24, 24; 한 개만 도시)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슬라이더(22)에는 스풀축(15)의 후단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중간 기어(23)는, 연결 기구(7)을 거쳐 피니언 기어(12)에 치합하고 있다.
연결 기구(7)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12)에 치합하는 제1 기어(37)와, 중간 기어(23)에 치합하는 제2 기어(38)와, 양 기어(37, 38)를 연결하는 연결축(39)을 가지고 있다. 연결축(39)은, 릴 몸체(2a)의 앞 부분에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있고, 양단이 릴 몸체(2a) 및 그 저측부(底側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캡(28)에 베어링(29a, 29b)을 거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기어(38)는, 연결축(39)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축(39)에는, 도 7 상부로부터 직경이 작은 제1 축지부(39a; 軸支部), 제1 축지부(39a)보다 직경이 큰 계지부(39b), 계지부(39b)보다 직경이 큰 중간부(39c), 제2 기어(38) 및 제2 축지부(39d)가 형성되어 있다. 계지부(39b)는, 제1 기어(37)를 회전 불가능에 계지하는 것이고, 거기에는, 계지용의 서로 평행한 모따기부(39e)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기어(37)에는, 계지부(39b)와 대략 직경이 동일한 돌출부(37a)와, 제1 축지부(39a)가 통과 가능한 관통공(37c)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37a)에는 서로 평행한 슬롯부(37b)가 형성되어 있고 슬롯부(37b)의 내측면에 모따기부(39e)가 삽입되고 계지되어 제1 기어(37)가 연결축(39)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다. 돌출부(37a)의 외주 측에는, 슬리브(48)가 장착되어 있다. 슬리브(48)의 내경은 돌출부(37a)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고, 외경은 중간부(39c)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다. 이 슬리브(48)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슬롯부(37b)를 돌출부(37a)에 제공해도 강도가 저하하기 어려워지고, 토크가 연결축(39)에 작용해도 슬롯부(37b)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로터의 구성]
로터(3)는, 피니언 기어(12)에 고정된 원통부(30)와, 원통부(30)의 측방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제1 및 제2 로터 암(31, 32)과, 낚싯줄을 스풀(4)로 안내하기 위한 베일 암(40)을 가지고 있다. 원통부(30)와 양 로터 암(31, 32)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이고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통부(30)의 앞 부분에는 전벽(41; 前壁)이 형성되어 있고 전벽(41)의 중심부에는, 후방으로 돌출하는 보스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스부(42)의 중심부에는 피니언 기어(12)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공을 피니언 기어(12)의 앞 부분(12a) 및 스풀축(15)이 관통하고 있다.
피니언 기어(12)의 앞 부분(12a)에는 너트(33)가 나사 결합하고 있고, 이 너트(33)에 의해 피니언 기어(12)의 선단부에 로터(3)가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너트(33)의 내주측에는, 베어링(35)이 배치되어 있다. 베이링(35)은, 스풀축(15)과 피니언 기어(12)의 내면과의 사이에 틈새를 확보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있다. 너트(33) 및 베이링(35)의 전면에는, 내주측에 립을 가지는 밀봉 부재(36)가 장착되어 있다. 밀봉 부재(36)의 선단은 스풀축(15)에 접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스풀축(15)으로부터 릴 본체(2)의 내부로의 액체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
보스부(42)에 인접하여 전술한 역전 방지 기구(50)가 배치되어 있다. 역전 방지 기구(5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방향 클러치(51)와, 단방향 클러치(51)를 작동 상태(역전 금지 상태)와 비작동 상태(역전 허가 상태)로 절환하는 절환 기구(52)를 가지고 있다.
단방향 클러치(51)는, 피니언 기어(12)에 내륜(51a)이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고, 통상부(2f)에 외륜(51b)이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내륜유전형의 롤러 형태의 단방향 클러치이다. 내륜(51a)과 로터(3)의 보스부(42)와의 사이에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합금제의 간극 부재(43)가 개재되어 있다. 간극 부재(43)는, 통상부(43a)와 원판부(43b)를 가지는 두께가 얇은 원통 부재이고, 통상부(43a)가 보스부(42)의 외주에는 끼워 넣어지고, 원판부(43b)가 내륜(51a)의 전단면과 보스부(42)와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통상부(2f)의 내부에 있어서, 단방향 클러치(51)의 전방에는, 립이 달려 있는 축씰(85)이 장착되어 있다. 축씰(85)의 선단 립은, 간극 부재(43)의 통상부(43a)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있다. 여기서, 간극 부재(43)의 내주측은, 원판부(43b)가 보스부(42)와 내륜(51a)에 끼워져 있으므로, 액체가 침입하기 어렵다. 따라서, 간극 부재(43)의 외주면을 밀봉하면, 통상부(2f)의 내부로 액체가 침입하기 어려워진다. 여기서, 간극 부재(43)를 제공하는 것은, 축씰(85)을 직접 보스부(42)에 접촉시키면, 로터(3)를 피니언 기어(12)에 고정할 때, 로터(3)의 센터링(centering)을 정확하게 행하지 않으면, 축씰(85)과의 밀봉성이 나빠진다. 그래서, 간극 부재(43)를 장착하여 축씰(85)과의 센터링을 미리 행하는 것으로,축씰(85)의 밀봉 성능을 안정시킬 수가 있다.
절환 기구(52)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토퍼축(53)을 가지고 있다. 스토퍼축(53)은, 릴 몸체(2a)에 비작동 자세와 작동 자세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토퍼축(53)은, 조작을 위해서 릴 몸체(2a) 및 보호 커버(13)를 관통해 후방으로 돌출한 스토퍼 손잡이(53a)와, 스토퍼 손잡이(53a)가 고정된 축부(53b)와, 축부(53b)의 선단에 고정된 캠부(53c)를 가지고 있다.
스토퍼 손잡이(53a)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육각공 멈춤 나사(58)에 의해 축부(53b)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스토퍼 손잡이(53a)를 축부(53b)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한 것은, 뚜껑 부재(2d)를 벗기기 위해서 보호 커버(13)를 제거할 때에 스토퍼 손잡이(53a)를 제거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 스토퍼 손잡이(53a)의 고정에 육각공 멈춤 나사(58)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나사의 머리부가 없기 때문에, 스폿 페이싱(spot facing) 구멍에서 나사의 머리부를 숨기지 않고, 낚싯줄을 걸리기 어렵게 할 수가 있다.
캠부(53c)는 토글 스프링 기구(59)에 의해 비작동 자세와 작동 자세에 배분해 압박되어 있다. 캠부(53c)의 선단은, 단방향 클러치(51)에 계합하고, 스토퍼축(53)의 요동에 의해 단방향 클러치(51)를 비작동 상태와 작동 상태로 절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풀의 구성]
스풀(4)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심구형이고, 로터(3)의 제1 로터 암(31)과 제2 로터 암(3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스풀(4)은, 스풀축(15)의선단부에 드래그 기구(60)를 거쳐 연결되어 있다. 스풀(4)은, 외주에 낚싯줄이 감겨지며, 예를 들어, 경량인 알루미늄 합금제의 줄 권취용 몸통부(4a)와, 줄 권취용 몸통부(4a)의 후부에 일체로 형성된 스커트부(4b)와, 줄 권취용 몸통부(4a)의 전단에 설치된 앞 플랜지부(4c)를 가지고 있다.
줄 권취용 몸통부(4a)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주에 배치된 줄 권취용 외통부(4d; 外筒部)와, 중심에 배치된 통 모양의 보스부(4e)와, 외통부(4d)와 보스부(4e)를 연결하는 후벽부(4f; 後壁部)를 가지고 있다. 외통부(4d)는, 스풀축(15)과 평행한 주위면에서 구성되어 있다. 줄 권취용 몸통부(4a)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보스부(4e)의 내주측에 전후로 나란히 장착된 두 개의 베어링(56, 57)에 의해 스풀축(1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베어링(56, 57)은, 베어링 지지부(55)를 거쳐 스풀축(15)에 장착되어 있다. 베어링 지지부(55)는, 스풀축(15)에 회전 불가능하고 축방향으로 이동이 불가능하게 장착된 부재이다. 베어링 지지부(55)는, 스풀축(15)에 장착된 통상부(55a)와, 통상부(55a)의 축방향의 중간부에 형성된 플랜지부(55b)를 가지고 있다. 통상부(55a)는, 스풀축(15)에 나사 고정된 스풀 핀(54)에 의해 스풀축(15)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고 회전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통상부(55a)의 후단에는, 후측의 베어링(57)이 축방향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코킹 고정부(55c)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55b)는, 베어링(57)의 내륜의 전측면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다.
스커트부(4b)는, 줄 권취용 몸통부(4a)의 후단부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펴진 후에, 로터(3)의 원통부(30)를 가리도록 후방으로 연장하는, 바닥을 가진 원통 부재이다.
앞 플랜지부(4c)는, 낚싯줄이 전방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앞 플랜지부(4c)는, 줄 권취용 몸통부(4a)의 전단부로부터 직경 방향 바깥쪽에 일체로 형성된 제1 플랜지부(45)와, 제1 플랜지부(45)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 플랜지부(45) 및 줄 권취용 몸통부(4a)보다 비중이 큰 제2 플랜지부(46)를 가지고 있다.
제1 플랜지부(45)는, 줄 권취용 몸통부(4a)의 외통부(4d)의 전단으로부터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펴지는 직선부(45c)를 가지고 있다. 직선부(45c)는, 스풀축 방향의 단면(斷面)에 있어서 대략 직선이 되는 부분이다. 제1 플랜지부(45)의 외주부는, 전단측이 스풀축(15)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후단측이 직경 방향 바깥쪽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고, 그 평행면(45a)이 제2 플랜지부(46)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직경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돌출부(45b)가 제2 플랜지부(46)의 내주부(內周部) 후단면에 접촉하여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제2 플랜지부(46)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등의 경질 금속 또는 지르코니아 등의 경질 세라믹제 등의 경질 재료제의 제1 플랜지부(45)보다 비중이 큰 부재이다. 제2 플랜지부(46)는, 줄 권취용 몸통부(4a)의 내주면에 나사 고정된 플랜지 고정 부재(47)에 의해 제1 플랜지부(45)에 고정되어 있다. 제2 플랜지부(46)의 외주 엣지는 둥그스름하게 전방으로 경사진 링 형상이고, 낚싯줄이 전방으로 미끄러지기쉬운 형상이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플랜지부(45)의 외경(D2)은, 제2 플랜지부(46)의 외경(D1)과 줄 권취용 몸통부(4a)의 외경(D3)과의 중간값((D1+D3)/2) 보다 크다.(D2≥(D1+D3)/2) 또한, 제2 플랜지부(46)의 내외경의 차이(D1-D2)는, 3 mm 내지 25 mm의 범위이다. 제1 플랜지부(45)의 외경(D2)을, 제2 플랜지부(46)의 외경(D1)과 줄 권취용 몸통부(4a)의 외경(D3)과의 중간값((D1+D3)/2) 미만으로 하면, 경량인 제2 플랜지부(46)가 앞 플랜지부(4c)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작아져서, 경량화를 꾀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제2 플랜지부(46)의 내외경의 차이가 3 mm미만이면, 제2 플랜지부(46)가 너무 가늘어져서 강도가 저하된다. 또한, 25 mm를 초과하면 비중이 큰 제2 플랜지부(46)가 앞 플랜지부(4c)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커져서, 스풀(4) 전체가 대형화되고, 스풀(4) 전체 중량의 증가를 초래한다.
이와 같이, 앞 플랜지부(4c)를 두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낚싯줄에 접촉하여 손상되기 쉬운 외주 부분에 경질 재료제의 비중이 큰 제2 플랜지부(46)를 배치하고, 그 외의 내주 부분에는 줄 권취용 몸통부(4a)와 일체인 비중이 작은 제1 플랜지부(45)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앞 플랜지부(4c)에서의 내마모성이나 내구성을 유지하고, 스풀(4)을 가급적 경량화할 수 있다.
플랜지 고정 부재(47)는, 줄 권취용 몸통부(4a)의 외통부(4d) 선단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4g)에 나사 결합되는 통 모양의 장착부(47a)와, 장착부(47a)의 선단으로부터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플랜지부(47b)를 가지고 있다. 플랜지 고정 부재(47)는, 플랜지부(47b)의 외주측 후단면에서 제2 플랜지부(46)를 압압하여 제1 플랜지부(45)에 고정하고 있다.
[드래그 기구의 구성]
드래그 기구(60)는, 스풀(4)과 스풀축(15)과의 사이에 장착되고, 스풀(4)에 드래그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드래그 기구(60)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드래그력을 손으로 조정하기 위한 손잡이부(61)와, 손잡이부(61)에 의해 스풀(4)측으로 압압되는 복수 개의 디스크로 구성되는 마찰부(62)를 가지고 있다.
스풀축(15)의 베어링 지지부(55)의 전방에는 서로 평행한 모따기부(15a)가 형성되어 있고, 모따기부(15a)의 선단에는 수나사부(15b)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61)는, 모따기부(15a)에 회전 불가능하고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제1 부재(63)와, 제1 부재(63)의 축방향 전방에 배치되고 스풀축(15)에 나사 결합하는 제2 부재(64)와, 제1 부재(63)와 제2 부재(64)의 사이에 장착된 발음 기구(65)를 가지고 있다.
제1 부재(63)는, 원통부(63a)와 원통부(63a)보다 직경이 큰 링 형상의 플랜지부(63b)를 가지는 플랜지를 구비한 원통형 부재이다. 원통부(63a)의 내주부에는, 스풀축(15)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하는 타원 형상의 계지 구멍(66)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부재(63)의 원통부(63a)의 후단면이 마찰부(62)에 맞닿아 접한다. 제1 부재(63)의 원통부(63a)와 줄 권취용 몸통부(4a)의 내측의 원통 부분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마찰부(62)측으로 액체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판(71)이 장착되어 있다. 밀봉판(71)은,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제의 링 부재의 주위에 NBR제의 접시 모양의 탄성 부재를 아웃 서트 성형하여 얻어지는 밀봉 부재이고, 외주부에 립을 가지고 있다. 밀봉판(71)은, 스냅 링(79)에 의해 도 8 왼쪽으로 압박되어 있다. 밀봉판(71)의 도 8 좌측면에는, 링 형상의 돌기부(71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71c)는, 후술하는 커버 부재(68)에 맞닿아 접해 내주측으로의 액체의 침입을 방지하고 있다.
제2 부재(64)는, 제1 부재(63)와 대향하고 또한 제1 부재(63)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있다. 제2 부재(64)는, 제1 부재(63)의 스풀축(15) 방향 전방에 나란히 배치된 손잡이 본체(67)와, 손잡이 본체(67)의 외주부에 선단이 고정되고 제1 부재(63)를 내부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수납하는 커버 부재(68)를 가지고 있다.
손잡이 본체(67)는 원반 형상의 부재이고, 전면(前面)에 전방으로 돌출한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손잡이(67a)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 본체(67)의 내부에는, 스풀축(15)의 선단의 수나사부(15b)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69)가 회전 불가능하고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1 부재(63)와 너트(69)와의 사이에 있어서 스풀축(15)의 외주에는 코일 스프링(70)이 압축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커버 부재(68)는, 바닥에 계단부가 형성된 통 형상의 부재이고, 그 바닥부를 제1 부재(63)의 원통부(63a)가 관통하고 있다. 또한, 바닥부에 밀봉판(71)의 돌기부(71c)가 맞닿아 접하고 있다. 커버 부재(68)의 통상부(68a)는, 손잡이 본체(67)의 외주면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커버 부재(68)의 통상부(68a)의 선단부와 손잡이 본체(67)와의 사이에는 O 링(73)이 장착되어 있다. O 링(73)은, 예를 들어 NBR제의 탄성 부재이고, 제1 부재(63)와 제2 부재(64)의 손잡이 본체(67)의 틈새로부터 내부로 액체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 틈새로부터 액체가 침입하면, 비록 밀봉판(71)을 제공하더라도, 제1 부재(63)와 스풀축(15)의 틈새를 통과해 마찰부(62)까지 물이 침입하여, 마찰부(62)가 젖고 드래그력이 변동하는 경우가 있다.
마찰부(62)는, 도 8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부재(63)에 접촉하는 제1 디스크(91)와, 제1 디스크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된 제2 디스크(92)와, 제1 디스크(91)와 제2 디스크(92)의 사이에 배치된 제3 디스크(94)와, 제1 디스크(91)에 장착된 드래그 발음 기구(93)를 가지고 있다.
제1 디스크(91)는, 내부 원판부(91a)와, 내부 원판부(91a)의 외주측으로부터 줄 권취용 몸통부(4a)의 보스부(4e)의 외주를 따라 후방으로 연장하는 원통부(91b)와, 원통부(91b)의 후단부로부터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외부 원판부(91c)를 가지고 있다. 제1 디스크(91)는, 내부 원판부(91a)의 중심에 형성된 대략 장방형의 계지공(91d)이 모따기부(15a)에 계지되는 것에 의해 스풀축(15)에 회전 불가능하고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외부 원판부(91c)에 드래그 발음 기구(93)가 장착되어 있다. 제1 디스크(91)의 외부 원판부(91c)의 내주측 배면에는,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예를 들어, 네 개의 원호홈(91e)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디스크(92)는, 통상부(92a)와 플랜지부(92b)를 가지는 플랜지를 구비한원통형의 부재이다. 통상부(92a)는, 보스부(4e)의 외주측에 배치되어 있고, 보스부(4e)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통상부(92a)의 선단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네 개의 돌기 조부(92c; 突起爪部)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 조부(92c)는, 원호홈(91e)에 계지된다. 이것에 의해, 제2 디스크(92)는, 제1 디스크(91)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된다. 따라서, 제2 디스크(92)도 스풀축(15)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하다.
제3 디스크(94)는, 제2 디스크(92)의 통상부(92a)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3 디스크(94)는, 외주측에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계지 조부(94a; 係止爪部, 한 쪽만 도시)를 가지고 있다. 이 계지 조부(94a)는, 줄 권취용 몸통부(4a)의 외통부(4d)의 내주면에 형성된 계지홈(4h)에 계지된다. 이것에 의해, 제3 디스크(94)는, 스풀축(15)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고 스풀(4)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하다.
드래그 발음 기구(93)는, 띠 형상의 금속판을 만곡하여 절곡한 형상의 스프링 부재(93a)와, 외통부(4d)의 내주면에 장착된 금속제의 요철 부재(93b)를 가지고 있다. 스프링 부재(93a)는, 제1 디스크(91)에 계지되어 스풀축(15)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드래그 작동시 즉, 스풀(4)이 스풀축(15)에 대해서 회전하면, 이 스프링 부재(93a)의 절곡된 정점이 금속제의 요철 부재(93b)에 충돌을 반복해 발음한다.
제1 디스크(91)와 제3 디스크(94)의 사이, 제3 디스크(94)와 제2 디스크의 사이, 및 제2 디스크(92)와 줄 권취용 몸통부(4a)의 후벽부(4f)의 사이에는, 흑연제 또는 펠트제의 드래그 디스크(95, 96, 97)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릴의 조작 및 동작]
이 스피닝 릴에서는, 캐스팅할 때 등과 같이 줄을 풀어내는 때에는 베일 암(40)을 줄 개방 자세로 넘어뜨린다. 이 결과, 낚싯줄은 장치의 자중에 의해 스풀(4)의 선단측으로부터 차례대로 풀려 나간다. 이 때, 앞 플랜지부(4c)를 두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낚싯줄에 접촉하여 손상되기 쉬운 외주 부분에 경질 재료제의 비중이 큰 제2 플랜지부(46)를 배치하였으므로, 앞 플랜지부(4c)에서의 내마모성이나 내구성을 유지할 수가 있다.
줄 권취시에는, 베일 암(40)을 줄 권취 자세측으로 복귀한다. 이것은, 핸들 조립체(1)를 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베일 반전 기구(16)의 움직임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핸들 조립체(1)의 회전력은, 마스터 기어축(10) 및 마스터 기어(11)를 거쳐 피니언 기어(12)로 전달된다. 피니언 기어(12)로 전달된 회전력은, 그 앞 부분(12a)으로부터 로터(3)로 전달되는 것과 함께 피니언 기어(12)에 치합하는 연결 기구(7)를 거쳐 중간 기어(23)에 의해 오실레이팅 기구(6)로 전달된다. 이 결과, 로터(3)가 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함과 함께 스풀(4)이 전후로 왕복 이동한다.
낚시를 하고 있을 때, 파도 등이 릴에 걸려 릴이 젖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도, 밀봉판(71)이나 밀봉 밴드(75)가 드래그 기구(60)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앞 부분이나 뒷 부분으로부터 마찰부(62)로 물이 침입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한 번 드래그력을 조정하면, 물에 젖어 드래그력이 변동하는 경우가 적다.
또한, 뚜껑 부재(2d)와 릴 몸체(2a)의 사이에 방수 씰(81)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내부의 기구 장착 공간 내로 액체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내부에 해수 등이 들어가기 어려워지고, 소금의 결정이 기어나 가이드 부분이나 베어링 내부 등에서 석출되기 어려워진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면 드래그 형태의 스피닝 릴을 예로서 설명했지만, 후면 드래그 형태의 스피닝 릴이나 드래그를 가지지 않는 스피닝 릴이나 레버 드래그 형태의 스피닝 릴 등의 모든 스피닝 릴의 스풀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2 플랜지부(46)를 플랜지 고정 부재(47)에 의해 제1 플랜지부(45)에 고정했지만, 접착이나 코킹 등의 적당한 고정 수단으로 고정해도 좋다. 또한, 제1 플랜지부(45)를 합성 수지제로 하고, 제2 플랜지부(46)를 제1 플랜지부(45)에 인서트 성형하여 고정해도 좋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줄 권취용 몸통부(4a)를 알루미늄 합금제로 했지만 마그네슘 합금 등의 다른 경량 합금제이어도 좋고, 또한 합성 수지제라도 좋다. 또한, 합성 수지의 표면에 금속 박막을 형성한 것이라도 좋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플랜지부(45)를 줄 권취용 몸통부(4a)와 일체로 형성했지만 별체로 해도 괜찮다. 이 경우, 제1 플랜지부(45)는, 제2 플랜지부(46)보다 비중이 작은 것이면 좋다.
(e) 스풀(104)은,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천구형(淺溝形)이어도좋다. 이 스풀(104)은, 냉간 단조된 알루미늄 합금제의 천구형이고, 로터(3)의 제1 로터 암(31)과 제2 로터 암(3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스풀(104)은, 스풀축(115)의 선단부에 드래그 기구(160)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스풀(104)은, 외주에 낚싯줄이 감겨지는 줄 권취용 몸통부(104a)와, 줄 권취용 몸통부(104a)의 후부에 일체로 형성된 스커트부(104b)와, 줄 권취용 몸통부(4a)의 전단에 제공된 플랜지부(104c)를 가지고 있다.
줄 권취용 몸통부(104a)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심에 통 형상의 보스부(104g)를 가지고, 보스부(104g) 외주와의 사이에 통 형상의 드래그 수납부(104h)를 가지는 대략 삼중 원통형 부재이고, 외주측의 원통 부분의 외주면(104n)은 스풀축(115)과 평행한 주위면에서 구성되어 있다. 줄 권취용 몸통부(104a)는,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보스부(104g)에 장착된 두 개의 베어링(56, 57)에 의해 스풀축(11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드래그 수납부(104h)와 외주부를 연결하는 벽부(104i)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원형의 투공(104j; 透孔)이 형성되어 있다. 이 투공(104j)에 의해 스풀(4)의 강도를 유지하고 경량화를 꾀하고 있다. 또한, 드래그 수납부(104h)와 보스부(104g)를 연결하는 벽부(104k)의 전면에는, 드래그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동심(同芯)으로 배치된 두 개의 환형홈(195)이 형성되어 있다.
스커트부(104b)는, 줄 권취용 몸통부(104a)의 후단부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펴진 후에 후방으로 연장하는 바닥 있는 원통 부재이다. 스커트부(104b)의 후부에도 경량화와 의장의 향상을 꾀하기 위해서 투공(104m)이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104c)는, 줄 권취용 몸통부(104a)의 전단부로부터 직경 방향 바깥쪽에 일체로 형성된 제1 플랜지부(104d)와, 제1 플랜지부(104d)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금속 또는 세라믹제의 제2 플랜지부(104e)를 가지고 있다. 제2 플랜지부(104e)는, 줄 권취용 몸통부(104a)의 내주면에 나사 고정된 플랜지 고정 부재(104f)에 의해 제1 플랜지부(104d)에 고정되어 있다.
스풀(104)은, 스풀축(15)에 장착된 위치 결정 와셔(154)에 맞닿아 접하여 위치 결정되어 있다.
[드래그 기구의 구성]
드래그 기구(160)는, 스풀(4)과 스풀축(115)의 사이에 장착되고 스풀(104)로 드래그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드래그 기구(160)는,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드래그력을 손으로 조정하기 위한 손잡이부(161)와 손잡이부(161)에 의해 스풀(104)측으로 압압되는 복수 개의 디스크로 구성되는 마찰부(162)를 가지고 있다.
손잡이부(161)는, 스풀축(115)에 회전 불가능하고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부재(163)와, 제1 부재(163)의 축방향 전방에 배치되고 스풀축(115)에 나사 결합하는 제2 부재(164)와, 제1 부재(163)와 제2 부재(164)의 사이에 장착된 발음 기구(165)를 가지고 있다.
제1 부재(163)는, 원통부(163a)와 원통부(163a)보다 직경이 큰 링 형상의 플랜지부(163b)를 가지는 플랜지를 구비한 원통형 부재이다. 원통부(163a)의 내주부에는, 스풀축(115)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하는 타원 형상의 계지공(166)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부재(163)의 원통부(163a)의 후단면이 마찰부(162)에 맞닿아 접한다. 제1 부재(163)의 원통부(163a)와 줄 권취용 몸통부(104a)의 내측의 드래그 수납부(104h)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마찰부(162)측으로 액체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판(171)이 장착되어 있다. 밀봉판(171)은,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제의 링 부재의 주위에 NBR제의 접시 모양의 탄성 부재를 아웃 서트 성형하여 얻을 수 있는 밀봉 부재이고, 외주부에 립을 가지고 있다. 밀봉판(171)은, 스냅 링(179)에 의해 도 11 왼쪽으로 압박되어 있다. 밀봉판(171)의 도 11 좌측면에는, 링 형상의 돌기부(171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171c)는, 후술하는 커버 부재(168)에 맞닿아 접하여 내주측으로의 액체의 침입을 방지하고 있다. 밀봉판(171)의 립은, 드래그 수납부(104h)의 내주면에 강하게 끼워 넣어진 통 형상의 당접 부재(176)에 맞닿아 접하고 있다. 당접 부재(176)는, 내주면이 기계 가공된 고정밀도의 부품이고, 이러한 당접 부재(176)의 내주면에 립을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밀봉 성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제2 부재(164)는, 제1 부재(163)와 대향하고 또한 제1 부재(163)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부재(164)는, 제1 부재(163)의 스풀축(115) 방향 전방에 나란히 배치된 손잡이 본체(167)와, 손잡이 본체(167)의 외주부에 선단이 고정되고 제1 부재(163)를 내부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수납하는 커버 부재(168)를 가지고 있다.
손잡이 본체(167)는 원반 형상의 부재이고,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한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손잡이(167a)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 본체(167)의 내부에는, 스풀축(115)의 선단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169)가 회전 불가능하고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1 부재(163)와 너트(169)의 사이에 있어서 스풀축(115)의 외주에는 코일 스프링(170)이 압축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커버 부재(168)는, 바닥에 계단부가 형성된 통 형상의 부재이고, 그 바닥부를 제1 부재(163)의 원통부(163a)가 관통하고 있다. 또한, 바닥부에 밀봉판(171)의 돌기부(171c)가 맞닿아 접하고 있다. 커버 부재(168)의 통상부(168a)는, 손잡이 본체(167)의 외주면에 예를 들어, 두 개의 스프링 핀(17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중공 스프링 핀(174)은, 중심 구멍으로부터 철사 형상의 지그를 삽입하여 걸어서 해체될 수가 있다. 스프링 핀(174)의 선단 외주측에는, 스프링 핀(174)의 발지와 커버 부재(168)의 선단 외주부로부터의 액체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 밴드(175)가 장착되어 있다. 밀봉 밴드(175)는 단면이 장방형인 탄성체제의 환형체이고, 약간 신장(伸長)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마찰부(162)는, 제1 부재(163)에 접촉하는 디스크(191)와, 디스크(191)에 장착된 드래그 발음 기구(193)와, 스풀(104)의 원판 형상의 벽부(104k)를 가지고 있다. 디스크(191)는 내부 원판부(191a)와, 내부 원판부(191a)의 외주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원통부(191b)와, 원통부(191b)의 후단부로부터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외부 원판부(191c)를 가지고 있다. 디스크(191)는, 내부 원판부(191a)가 스풀축(115)에 계지되고 스풀축(115)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하다. 또한, 외부 원판부(191c)에 드래그 발음 기구(193)가 장착되는 것과 동시에, 흑연제의 드래그 디스크(92)를 거쳐 벽부(104k)의 전면이 접촉하고 있다. 드래그 발음기구(193)는, 스풀축(115)과 스풀(104)의 상대 회동시, 즉 드래그 작동시에 발음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드래그 기구(160)에서는, 벽부(104k)에 두 개의 환형홈(19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정마찰 계수와 동마찰 계수가 가까운 값이 되어 설정된 드래그 성능을 안정되게 발휘할 수 있다. 즉, 정마찰 계수와 동마찰 계수가 크게 다르면, 드래그 작동 개시시의 드래그력이 그 후의 드래그력보다 30 내지 60%정도 커지지만, 환형홈(195)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그 값을 10 내지 20%정도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 플랜지부를 두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낚싯줄에 접촉하여 손상되기 쉬운 외주 부분에 경질 재료제의 비중이 큰 제2 플랜지부를 배치하고, 그 외의 내주 부분에 비중이 작은 제1 플랜지부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앞 플랜지부에서의 내마모성이나 내구성을 유지하고, 스풀을 가급적으로 경량화할 수 있다.
Claims (7)
-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대해서 전후 이동하는 스풀축의 선단에 장착되는 줄 권취용 스풀에 있어서,상기 스풀축의 선단에 장착되는 줄 권취용 몸통부와,상기 줄 권취용 몸통부의 전단부의 외주측에 플랜지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외주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줄 권취용 몸통부 및 상기 제1 플랜지부보다 비중이 큰 경질 재료제의 링 형상의 제2 플랜지부를 가지는 앞 플랜지부와,상기 제2 플랜지부를 상기 제1 플랜지부에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스피닝 릴의 스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부는 상기 줄 권취용 몸통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스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줄 권취용 몸통부의 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줄 권취용 몸통부보다 직경이 큰 스커트부를 더 포함하는, 스피닝 릴의 스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외경은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외경과 상기 줄 권취용 몸통부의 외경의 중간치보다 큰, 스피닝 릴의 스풀.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랜지부의 내경과 외경의 차이가 3 mm 내지 25 mm인, 스피닝 릴의 스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부는 상기 스풀축 방향의 단면에 있어서 대략 직선으로 되는 부분을 가지는, 스피닝 릴의 스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고정 부재는 상기 줄 권취용 몸통부의 내주면에 나사 고정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스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1-00002567 | 2001-01-10 | ||
JPJP-P-2001-00002566 | 2001-01-10 | ||
JP2001002567A JP2002204641A (ja) | 2001-01-10 | 2001-01-10 |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機構 |
JP2001002566A JP2002204640A (ja) | 2001-01-10 | 2001-01-10 |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
JPJP-P-2001-00015599 | 2001-01-24 | ||
JP2001015599A JP4553495B2 (ja) | 2001-01-24 | 2001-01-24 | 釣り用部品の締結構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60601A true KR20020060601A (ko) | 2002-07-18 |
KR100776892B1 KR100776892B1 (ko) | 2007-11-19 |
Family
ID=27345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01228A KR100776892B1 (ko) | 2001-01-10 | 2002-01-09 | 스피닝 릴의 스풀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6679445B2 (ko) |
EP (1) | EP1222855B1 (ko) |
KR (1) | KR100776892B1 (ko) |
CN (1) | CN1223264C (ko) |
AT (1) | ATE280494T1 (ko) |
DE (1) | DE60201690D1 (ko) |
MY (1) | MY127803A (ko) |
SG (1) | SG107572A1 (ko) |
TW (1) | TW518203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67028A (ja) * | 2001-03-07 | 2002-09-18 | Shimano Inc | 部品組立体 |
JP2004081097A (ja) | 2002-08-27 | 2004-03-18 | Shimano Inc | スピニングリールの発音機構 |
JP2004141103A (ja) * | 2002-10-25 | 2004-05-20 | Shimano Inc |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
JP3981325B2 (ja) * | 2002-12-06 | 2007-09-26 | 株式会社シマノ |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支持構造 |
US7232087B2 (en) * | 2005-04-15 | 2007-06-19 | Shimano Inc. | Spinning reel drag mechanism |
JP4627680B2 (ja) * | 2005-04-15 | 2011-02-09 | 株式会社シマノ | スピニングリール |
CN2798588Y (zh) * | 2005-05-20 | 2006-07-26 | 陶宁 | 组合式渔线轮的线轮组件 |
US7275706B2 (en) * | 2005-09-22 | 2007-10-02 | Shimano Inc. | Spool for spinning reel |
JP4863928B2 (ja) * | 2007-05-21 | 2012-01-25 | 株式会社シマノ |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
JP5746462B2 (ja) * | 2009-08-20 | 2015-07-08 | 株式会社シマノ |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連結構造 |
US20110098704A1 (en) * | 2009-10-28 | 2011-04-28 | Ethicon Endo-Surgery, Inc. | Electrical ablation devices |
JP4886066B2 (ja) * | 2010-01-19 | 2012-02-29 |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
JP5349348B2 (ja) * | 2010-01-22 | 2013-11-20 | 株式会社シマノ |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支持構造 |
JP5906017B2 (ja) * | 2011-01-28 | 2016-04-20 |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 魚釣用リール、魚釣用リールの構成部材、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
US8746604B2 (en) * | 2011-03-04 | 2014-06-10 | Shimano Inc. | Fishing reel |
CN102550511A (zh) * | 2011-12-29 | 2012-07-11 | 宁波羚祐渔具有限公司 | 一种钓鱼卷线器的导线轮轴结构 |
EP2745685B1 (en) * | 2012-12-20 | 2015-08-05 | Shimano Inc. | Spinning reel and spinning reel spool |
JP6046481B2 (ja) * | 2012-12-20 | 2016-12-14 | 株式会社シマノ | スピニングリール、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
CN103210890B (zh) * | 2013-05-10 | 2015-08-05 | 佛山市南海中宇渔具有限公司 | 一种双螺旋导杆型渔轮 |
JP6352618B2 (ja) * | 2013-11-19 | 2018-07-04 | 株式会社シマノ | スピニングリール |
JP6688603B2 (ja) * | 2015-12-14 | 2020-04-28 | 株式会社シマノ |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
JP6979785B2 (ja) * | 2017-04-26 | 2021-12-15 | 株式会社シマノ | スピニングリール |
JP7065626B2 (ja) * | 2018-01-31 | 2022-05-12 | 株式会社シマノ | ドラグつまみ |
JP7032225B2 (ja) * | 2018-04-26 | 2022-03-08 |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 釣り用リールのトルク制限装置、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186656A (en) * | 1962-06-13 | 1965-06-01 | James R Venable | Preloaded ball bearing casting reel |
US4222534A (en) * | 1978-02-04 | 1980-09-16 | Shimano Industrial Company, Limited | Fishing reel |
CA1269356A (en) * | 1986-07-29 | 1990-05-22 | Hiroshi Ohtake | Fishing reel |
US5875986A (en) * | 1994-09-08 | 1999-03-02 | Daiwa Seiko, Inc. | Fishing reel of double bearing type having improved fishline releasing characteristic |
AT503U1 (de) * | 1994-12-01 | 1995-12-27 | Davorin Sonenvald | Vorrichtung zum abwickeln von schnur |
JP3033414U (ja) * | 1996-07-10 | 1997-01-28 | ダイワ精工株式会社 |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
US5785266A (en) * | 1996-11-08 | 1998-07-28 | Bowersox; Ross W. | Variable diameter fishing line reel flange |
US6286772B1 (en) * | 1997-11-26 | 2001-09-11 | Robert W. Koelewyn | Fly fishing reel with adjustable drag system, removable spool and selectable anti-reverse |
JP2000050774A (ja) * | 1998-08-06 | 2000-02-22 | Daiwa Seiko Inc |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
JP2000209986A (ja) * | 1999-01-19 | 2000-08-02 | Daiwa Seiko Inc |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
JP4002356B2 (ja) * | 1999-01-28 | 2007-10-31 | 株式会社シマノ |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
JP4272295B2 (ja) * | 1999-03-29 | 2009-06-03 | 株式会社シマノ |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
JP3616300B2 (ja) | 2000-03-30 | 2005-02-02 | ダイワ精工株式会社 |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
JP2002000136A (ja) * | 2000-06-26 | 2002-01-08 | Shimano Inc |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
-
2001
- 2001-11-07 TW TW090127681A patent/TW518203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12-28 SG SG200108113A patent/SG107572A1/en unknown
-
2002
- 2002-01-08 US US10/038,809 patent/US667944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01-08 MY MYPI20020045A patent/MY127803A/en unknown
- 2002-01-09 EP EP20020250120 patent/EP1222855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2-01-09 DE DE60201690T patent/DE60201690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2-01-09 KR KR1020020001228A patent/KR10077689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2-01-09 AT AT02250120T patent/ATE280494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2-01-10 CN CNB021016259A patent/CN1223264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364411A (zh) | 2002-08-21 |
US6679445B2 (en) | 2004-01-20 |
TW518203B (en) | 2003-01-21 |
CN1223264C (zh) | 2005-10-19 |
KR100776892B1 (ko) | 2007-11-19 |
SG107572A1 (en) | 2004-12-29 |
EP1222855A1 (en) | 2002-07-17 |
US20020088889A1 (en) | 2002-07-11 |
EP1222855B1 (en) | 2004-10-27 |
DE60201690D1 (de) | 2004-12-02 |
MY127803A (en) | 2006-12-29 |
ATE280494T1 (de) | 2004-1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76892B1 (ko) | 스피닝 릴의 스풀 | |
EP0924318B1 (en) | Mechanical assembly with incompatible metallic materials | |
JP5124435B2 (ja) | 両軸受リール | |
TWI452966B (zh) | 雙軸承捲線器的牽引機構 | |
US8678308B2 (en) | Dual-bearing reel drag sound producing device | |
TW518204B (en) | Sealing structure for fishing reel | |
KR101265999B1 (ko) | 스피닝 릴의 드랙 기구 | |
KR101442569B1 (ko) |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 |
JP5205120B2 (ja) |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 | |
KR100737885B1 (ko) | 스피닝 릴의 로터 | |
KR20110086496A (ko) |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 | |
JP2011147396A5 (ko) | ||
JP2009261367A5 (ko) | ||
JP4553495B2 (ja) | 釣り用部品の締結構造 | |
EP1500330A1 (en) | Dual-bearing reel | |
US6655622B2 (en) | Spinning reel spool | |
JP2002204640A (ja) |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 |
KR101403928B1 (ko) | 스피닝 릴의 드랙 손잡이 조립체 | |
JP4365981B2 (ja) | 両軸受リールのハンドル軸支持構造 | |
JP4272489B2 (ja) |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 |
JP4572033B2 (ja) |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 |
JP4638716B2 (ja) |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つまみ | |
JP3439137B2 (ja) |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 |
US4196870A (en) | Drag click device for fishing reel | |
JP4029027B2 (ja) |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