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4534A - 망간복합 수산화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양극활물질 - Google Patents

망간복합 수산화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양극활물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4534A
KR20020054534A KR1020000083655A KR20000083655A KR20020054534A KR 20020054534 A KR20020054534 A KR 20020054534A KR 1020000083655 A KR1020000083655 A KR 1020000083655A KR 20000083655 A KR20000083655 A KR 20000083655A KR 20020054534 A KR20020054534 A KR 20020054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ganese composite
composite hydroxide
hours
manganese
prep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3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8576B1 (ko
Inventor
양호석
김종섭
이영기
Original Assignee
안복현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복현,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안복현
Priority to KR20000083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8576B1/ko
Publication of KR20020054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4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8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85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망간복합 수산화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양극활물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증류수가 담긴 반응기 안에 금속염의 농도가 1.5∼3.0M인 금속염 용액을 입자체류시간이 3∼10시간이 되도록 일정속도로 주입하고, 더불어 암모니아 수용액을 암모니아와 금속염의 몰비가 1∼4가 되도록 일정속도로 주입하면서, 반응온도를 30∼50℃로, pH를 11.0∼11.99로 조절하여 입자를 생성시키고, 생성된 입자를 오버플로우시켜 수집하여 세척, 여과 및 건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망간복합 수산화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에 의해 초기 용량이 높고 고율특성이 좋은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화학식 1]
Ni1-v-w-x-y-zMnvCowMxM'yM"z(OH)2
상기 식에서 M, M' 및 M"은 각각 Al, Mg, Sr 또는 Ca이며, v, w, x, y 및 z는 0.1 ≤v ≤0.40, 0.01 ≤w ≤0.2, 0 ≤x+y+z ≤0.05을 만족시키는 값이다.

Description

망간복합 수산화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양극활물질 {Manganese composite hydroxide,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and cathod active materials containing thereof}
본 발명은 망간복합 수산화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양극활물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증류수가 담긴 반응기 안에 금속염의 농도가 1.5∼3.0M인 금속염 용액을 입자체류시간이 3∼10시간이 되도록 일정속도로 주입하고, 더불어 암모니아 수용액을 암모니아와 금속염의 몰비가 1∼4가 되도록 일정속도로 주입하면서, 반응온도를 30∼50℃로, pH를 11.0∼11.99로 조절하여 입자를 생성시키고, 생성된 입자를 오버플로우시켜 수집하여 세척, 여과 및 건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망간복합 수산화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Ni1-v-w-x-y-zMnvCowMxM'yM"z(OH)2
상기 식에서 M, M' 및 M"은 각각 Al, Mg, Sr 또는 Ca이며, v, w, x, y 및 z는 0.1 ≤v ≤0.40, 0.01 ≤w ≤0.2, 0 ≤x+y+z ≤0.05을 만족시키는 값이다.
대표적인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활물질인 코발트계 양극활물질 LiCoO2는 우수한 수명특성 및 전도도를 가지고 있지만 용량이 작고 원료가 고가인 단점이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LiNiO2의 일부를 코발트로 치환시킨 LiNiCoO2활물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나 만족할만한 고율충방전 특성 및 고온특성을 얻지 못해 아직까지 전지 안전성을 확립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 LiNiCoO2의 안전성이 스피넬(spinel) LiMn2O4의 첨가를 통해 크게 향상된다는 보고 이후 니켈망간계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니켈망간수산화물 제조법으로는 일본특허 95-335214, 96-225328, 99-312519 에 보고된 것처럼 pH 12 이상의 조건에서 수산화니켈망간 2성분계를 제조한 방법이 있다. 또한 일본특허 96-315822, 98-81520 등에는 킬레이트를 이용한 공침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소성시 NOx나 COx등의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알루미늄이 첨가된 3성분계 제조법이 일본특허 96-225328에 보고되어 있으나 이 경우 알루미늄 첨가시 사이클에 따른 용량 저하가 크다. 또한 일본특허99-260364호에서는 수산화 니켈망간분말을 니켈이나 코발트 용액에 분산시킨 후 침전시켜 니켈이나 코발트를 수산화망간표면에 피복시키는 2단계 제조법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니켈구조를 안정화시켜주는 효과가 있는 코발트를 함유한 3성분계 망간복합 수산화물을 대략 pH 11.00∼11.99 정도의 낮은 pH 조건에서 제조하는 방법은 아직까지 보고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pH 11.0∼11.99 조건에서 망간, 니켈 및 코발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망간복합 수산화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망간복합 수산화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망간복합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양극활물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즉,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측면은 증류수가 담긴 반응기 안에 금속염의 농도가 1.5∼3.0M인 금속염 용액을 입자체류시간이 3∼10시간이 되도록 일정속도로 주입하고, 더불어 암모니아 수용액을 암모니아와 금속염의 몰비가 1∼4가 되도록 일정속도로 주입하면서, 반응온도를 30∼50℃로, pH를 11.0∼11.99로 조절하여 입자를 생성시키고, 생성된 입자를 오버플로우시켜 수집하여세척, 여과 및 건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망간복합 수산화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Ni1-v-w-x-y-zMnvCowMxM'yM"z(OH)2
상기 식에서 M, M' 및 M"은 각각 Al, Mg, Sr 또는 Ca이며, v, w, x, y 및 z는 0.1 ≤v ≤0.40, 0.01 ≤w ≤0.2, 0 ≤x+y+z ≤0.05을 만족시키는 값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망간복합 수산화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망간복합 수산화물을 리튬화합물과 혼합하여 400∼600℃에서 전처리한 후, 다시 750∼900℃에서 열처리하여 제조된 양극활물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망간복합 수산화물의 전자현미경사진, 및
도 2는 실시예 5, 6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전지의 방전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조되는 망간복합 수산화물은 하기 화학식 1과 같다.
Ni1-v-w-x-y-zMnvCowMxM'yM"z(OH)2
상기 식에서 M, M' 및 M"은 각각 Al, Mg, Sr 또는 Ca이며, v, w, x 및 y는 0.1 ≤v ≤0.40, 0.01 ≤w ≤0.2, 0 ≤x+y+z ≤0.05을 만족시키는 값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망간복합 수산화물은 니켈-망간-코발트 3성분계 주성분으로 하고 알루미늄, 마그네슘, 스트론튬, 칼슘 중 적어도 한 종류를 소량 함유하고 있다. 상기 망간복합 수산화물을 제조하기 위한 원료물질로서는 니켈, 코발트 및 망간은 이들의 황산염 또는 질산염을 사용하고, 알루미늄, 마그네슘, 스트론튬 및 칼슘은 이들의 황산염, 질산염 또는 아세테이트염을 사용한다.
상기 망간복합 수산화물을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반응기의 pH는 11.0∼11.99, 보다 바람직하게는 11.4∼11.8로 조절하고, 반응물의 온도는 30∼50℃, 보다 바람직하게는 40∼45℃로 조절하면서, 금속혼합용액과 암모니아 수용액을 계속적으로 투입하여 망간복합 수산화물 입자를 생성시킨다. 상기 투입되는 금속혼합용액은 금속농도가 1.5∼3.0몰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금속혼합용액의 투입속도는 입자체류시간이 3∼10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4∼7시간이 되도록 조절한다. 암모니아 수용액은 암모니아와 금속의 몰비가 1∼4가 되도록 속도를 조절하여 투입한다.
상기와 같은 조건 하에서 제조된 망간복합 수산화물의 입자는 반응기에서 오버플로우시켜 수집하였으며, 여과액의 pH가 7 이하가 될 때까지 물로 반복하여 세척, 여과하였다. 여과된 망간복합 수산화물 입자는 100∼130℃사이에서 20 시간 이상 건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입자는 구형의 형상을 갖고 있으며 탭(tap) 밀도는 1.8g/cc 이상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망간복합 수산화물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양극활물질을 제조할 수 있다.
망간복합 수산화물과 리튬수산화물을 적정비율로 균일하게 혼합후 400∼6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550℃ 사이에서 10∼30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15∼25시간 공기분위기 하에서 전처리를 한다. 전처리를 한 분말은 다시 750∼900℃, 보다 바람직하게는 830∼880℃ 사이에서 20∼60 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30∼45 시간 공기분위기 하에서 소성하여 양극활물질을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양극활물질의 X선 회절분석 결과 좋은 층상구조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와 같은 양극활물질을 사용하여 전지를 제조하는 경우 높은 초기용량 및 좋은 고율특성을 얻을 수 있다.
하기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실시예는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40℃로 유지된 5L 반응기에 증류수 4L를 넣고, 28% NH4OH를 400㎖를 가하였다. 여기 니켈, 코발트 및 망간의 몰비가 60:20:20인 2.5M 금속염용액을 정량펌프를 이용하여 입자체류시간이 7시간으로 유지되도록 일정속도로 주입하고, 28% 암모니아 수용액도 암모니아 대 금속의 몰비가 2∼2.5가 되도록 일정속도로 주입하였다. 이때 pH 전극과 수산화나트륨 주입 펌프를 연결하여 반응기의 pH가 11.8로 자동적으로 유지되도록 하였다. 생성된 입자는 반응기에서 오버플로우시켜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입자를 여과액의 pH가 6.5가 될때까지 물로 반복하여 세척, 여과한 후, 110℃ 오븐에서 20시간 이상 건조하여 1∼50 마이크론 입도 분포를 갖는 구형의 망간복합 수산화물을 얻었다. 이때 탭밀도는 1.9g/cc 였다. 상기 제조된 망간 복합 수산화물의 전자현미경사진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40℃로 유지된 5L 반응기에 증류수 4L를 넣고, 28% NH4OH를 400㎖를 가하였다. 여기 니켈, 코발트, 망간,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의 몰비가 58.5:10:30:0.3:1.2 인 2.5M 금속염용액을 정량펌프를 이용하여 입자체류시간이 7시간으로 유지되도록 일정속도로 주입하고, 28% 암모니아수용액도 암모니아 대 금속의 몰비가 2∼2.5가 되도록 일정속도로 주입하였다. 이때 pH 전극과 수산화나트륨 주입 펌프를 연결하여 반응 pH가 11.5로 유지되도록 하였다. 생성된 입자는 반응기에서 오버플로우시켜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입자를 여과액의 pH 가 6.5가 될때까지 물로 반복하여 세척, 여과한 후, 110℃ 오븐에서 20시간이상 건조하여 1∼50 마이크론 입도 분포를 갖는 구형의 망간복합 수산화물을 얻었다. 이때 탭밀도는 2.0g/cc 였다.
실시예 3
니켈, 코발트, 망간, 알루미늄, 스트론튬 및 마그네슘의 몰비가 56:10:30:1:1:2 를 갖는 2.5몰 금속용액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망간복합 수산화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망간복합 수산화물은 1∼50 마이크론 입도 분포를 갖는 구형 형상을 갖고 있었으며 tap 밀도는 2.0g/cc 였다.
실시예 4
니켈, 코발트, 망간 및 칼슘의 몰비가 58:10:30:2를 갖는 2.5몰 금속용액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망간복합 수산화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망간복합 수산화물은 1 ∼ 50 마이크론 입도 분포를 갖는 구형 형상을 갖고 있었으며 tap 밀도는 2.0g/cc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망간복합 수산화물 20g과 리튬수산화물 모노하이드레이트 9.48g을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승온 2℃/분 속도로 500℃까지 승온한 후 20시간동안 공기분위기 하에서 열처리하였다. 그런 다음 2℃/분 속도로 실온까지 강온한 후 열처리된 분말을 다시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상기 열처리된 분말을 다시 2℃/분 속도로 850℃까지 승온하여 공기분위기 하에서 40시간 열처리 후 다시 2℃/분 속도로 강온하여 양극활물질을 얻었다. 이 양극활물질의 X선 회절분석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양극활물질 9.2g, 도전제 0.4g 및 바인더 0.4g을 9g의 N-메틸 피롤리돈에 녹인 다음 슬러리가 될 때까지 혼합한 후 250마이크론 두께로 알루미늄 호일에 코팅하여 양극판을 제조하였다. 이 극판을 130℃에서 N-메틸피롤리돈이 완전히 휘발될때까지 건조시킨 다음 40℃로 가열된 프레스를 사용하여 두께를 90마이크론까지 압착시켰다.
이와 같이 제조된 양극과 Li 포일 음극, 분리막 및 전해액(에틸카보네이트:디메틸카보네이트=1:1, LiPF6농도 1.0M)를 사용하여 0.1C, 0.2C, 0.5C, 1.0C에서 충방전하여 충방전 용량을 측정하고 이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충방전 전압영역은 2.75 ∼ 4.3V였다.
실시예 6
실시예 2에서 얻어진 망간복합 수산화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5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극활물질을 제조하고 그 X선 회절분석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다시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전지를 제조하여 평가하고 이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코발트수산화물 20g과 리튬카보네이트 7.95g을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승온 2℃/분 속도로 500℃까지 승온한 후 10시간 동안 공기분위기 하에서 열처리하였다. 다음으로 2℃/분 속도로 실온까지 강온한 후 열처리된 분말을 다시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상기 열처리된 분말을 다시 2℃/분 속도로 850℃까지 승온하였으며 공기분위기 하에서 20시간 열처리 후 다시 2℃/분 속도로 강온하여 양극활물질을 얻었다. 이 양극활물질의 X선 회절분석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양극활물질을 사용하여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전지를 제조하여 평가하고 이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mAh/g) 실시예 6(mAh/g) 비교예 1(mAh/g)
0.1C 181 172 150
0.2C 177 170 149
0.5C 170 164 146
1.0C(첫번째 주기) 164 155 139
1.0C(스무번째 주기) 157 154 131
본 발명에 의해 비교적 낮은 pH조건 하에서도 다성분계 망간복합 수산화물을 제조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전지를 제조하는 경우 높은 초기용량 및 좋은 고율특성을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증류수가 담긴 반응기 안에 금속염의 농도가 1.5∼3.0M인 금속염 용액을 입자체류시간이 3∼10시간이 되도록 일정속도로 주입하고, 더불어 암모니아 수용액을 암모니아와 금속염의 몰비가 1∼4가 되도록 일정속도로 주입하면서, 반응온도를 30∼50℃로, pH를 11.0∼11.99로 조절하여 입자를 생성시키고, 생성된 입자를 오버플로우시켜 수집하여 세척, 여과 및 건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망간복합 수산화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1]
    Ni1-v-w-x-y-zMnvCowMxM'yM"z(OH)2
    상기 식에서 M, M' 및 M"은 각각 Al, Mg, Sr 또는 Ca이며, v, w, x, y 및 z는 0.1 ≤v ≤0.40, 0.01 ≤w ≤0.2, 0 ≤x+y+z ≤0.05을 만족시키는 값이다.
  2. 제 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망간복합 수산화물.
  3. 제 2항의 망간복합 수산화물을 리튬화합물과 혼합하여 400∼600℃에서 10∼30시간 공기분위기 하에서 전처리한 후, 다시 750∼900℃에서 20∼60시간 공기분위기 하에서 열처리하여 제조된 양극활물질.
KR20000083655A 2000-12-28 2000-12-28 망간복합 수산화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양극활물질 KR100388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83655A KR100388576B1 (ko) 2000-12-28 2000-12-28 망간복합 수산화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양극활물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83655A KR100388576B1 (ko) 2000-12-28 2000-12-28 망간복합 수산화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양극활물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4534A true KR20020054534A (ko) 2002-07-08
KR100388576B1 KR100388576B1 (ko) 2003-06-25

Family

ID=27687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00083655A KR100388576B1 (ko) 2000-12-28 2000-12-28 망간복합 수산화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양극활물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857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475B1 (ko) * 2005-05-07 2006-08-2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리튬이차전지 양극활물질 전구체, 이를 이용한 양극활물질및 리튬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WO2006109940A1 (en) * 2005-03-30 2006-10-19 Sk Energy Co., Ltd. Process of precipitation for spheric manganese carbonate and the products produced thereby
WO2006126854A1 (en) * 2005-05-27 2006-11-30 Dae-Jung Chemicals & Metals Co., Ltd. Processes of preparing manganese oxides and processes of preparing spinel type cathode active material using the same
KR100959589B1 (ko) * 2008-04-03 2010-05-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복합 전이금속 산화물 제조용 신규 전구체
US8394299B2 (en) 2008-04-03 2013-03-12 Lg Chem, Ltd. Precursor for the preparation of a lithium composite transition metal oxid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4643A (en) * 1995-02-14 1997-10-07 Sanyo Electric Co., Ltd. Non-sintered nickel electrode for alkaline storage cell
JP3408008B2 (ja) * 1995-02-14 2003-05-19 三洋電機株式会社 アルカリ蓄電池用非焼結式ニッケル極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15233A (ko) * 1997-08-04 1999-03-05 손욱 이중구조 수산화니켈 활물질의 제조방법
KR100261509B1 (ko) * 1997-10-30 2000-07-15 김순택 리튬복합산화물,그제조방법및그것을활물질로하는양극을채용한리튬이온이차전지
KR19990051812A (ko) * 1997-12-20 1999-07-05 손욱 알칼리 2차전지의 양극슬러리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9940A1 (en) * 2005-03-30 2006-10-19 Sk Energy Co., Ltd. Process of precipitation for spheric manganese carbonate and the products produced thereby
JP2008534423A (ja) * 2005-03-30 2008-08-28 エスケー エネルギー 株式会社 球状の炭酸マンガン沈殿方法及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生成物
US8211397B2 (en) 2005-03-30 2012-07-03 Sk Innovation Co., Ltd Process of precipitation for spheric manganese carbonate and the products produced thereby
KR100616475B1 (ko) * 2005-05-07 2006-08-2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리튬이차전지 양극활물질 전구체, 이를 이용한 양극활물질및 리튬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WO2006126854A1 (en) * 2005-05-27 2006-11-30 Dae-Jung Chemicals & Metals Co., Ltd. Processes of preparing manganese oxides and processes of preparing spinel type cathode active material using the same
KR100959589B1 (ko) * 2008-04-03 2010-05-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복합 전이금속 산화물 제조용 신규 전구체
US8394299B2 (en) 2008-04-03 2013-03-12 Lg Chem, Ltd. Precursor for the preparation of a lithium composite transition metal ox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8576B1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75537B1 (en) Method for preparing layered core-shell cathode active materials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EP0806397B1 (en) Lithium-nickel composite oxide,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positive active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KR101066185B1 (ko) 리튬 복합 산화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051066B1 (ko) 리튬이차 전지용 금속 복합 산화물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양극활물질
KR100739921B1 (ko) 비수 전해질 전지
KR100274236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10143200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ath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1-d nanocluster cathode active material with chestnut type morphology obtained by the method
CN107148690B (zh) 正极活性物质的制备方法及其根据此方法制备的正极活性物质
KR20040044170A (ko) 리튬 이차 전지의 양극용 활성 물질
KR20130059029A (ko) 복합 금속 수산화물의 제조방법
TWI622212B (zh) 用於鋰離子電池的陰極組成物
KR20110044936A (ko) 리튬 이온 전지용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 그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리튬 이온 전지용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KR20010024357A (ko) 스피넬형 망간산 리튬의 제조 방법
KR20150078672A (ko) 리튬 이차 전지용 복합금속 전구체, 그 제조방법, 이로부터 형성된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639060B1 (ko) 스피넬형 망간산리튬의 제조방법
KR101848979B1 (ko) 전이금속 산화물 전구체, 리튬 복합 전이금속 산화물, 이를 포함하는 양극 및 이차전지
KR100872370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스피넬형 양극 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KR100388576B1 (ko) 망간복합 수산화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양극활물질
KR100668051B1 (ko) 공침법을 이용한 망간산화물,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스피넬형 양극 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KR100424635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 제조 방법
CN114715957B (zh) 铌包覆镍钴锰三元前驱体及制备方法及应用
KR101392525B1 (ko)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KR101893956B1 (ko) 회분식 반응기를 사용한 전극 활물질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전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R101466448B1 (ko) 리튬금속산화물의 제조방법
JP2001328814A (ja) リチウムマンガン系複酸化物、その製法及び二次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