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1868A - 정보기록매체, 정보기록방법 및 정보기록매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정보기록매체, 정보기록방법 및 정보기록매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1868A
KR20020051868A KR1020010082454A KR20010082454A KR20020051868A KR 20020051868 A KR20020051868 A KR 20020051868A KR 1020010082454 A KR1020010082454 A KR 1020010082454A KR 20010082454 A KR20010082454 A KR 20010082454A KR 20020051868 A KR20020051868 A KR 20020051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agnetization
magnetic
recording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2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시카와마사카즈
우스키카즈유키
우사미요시히사
나가오마코토
Original Assignee
무네유키 가코우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6137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25172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7423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25180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7423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25181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7423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251809A/ja
Application filed by 무네유키 가코우,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무네유키 가코우
Publication of KR20020051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186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86Re-recording, i.e. transcribing information from one magnetisable record carrier on to one or more similar or dissimilar record carriers
    • G11B5/865Re-recording, i.e. transcribing information from one magnetisable record carrier on to one or more similar or dissimilar record carriers by contact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02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operation to be executed
    • G11B11/10526Bulk initialisation or erasing, e.g. at least one whole information track with a single a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5Disposition or mounting of transducer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G11B11/10556Disposition or mounting of transducer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or switching or masking the transducers in or out of their operative position
    • G11B11/10563Access of indexed parts
    • G11B11/10565Marks for track change, e.g. prepits, gray co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5Disposition or mounting of transducer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G11B11/10576Disposition or mounting of transducer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transducers for maintaining alignment or spacing relative to the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5Disposition or mounting of transducer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G11B11/10576Disposition or mounting of transducer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transducers for maintaining alignment or spacing relative to the carrier
    • G11B11/10578Servo format, e.g. prepits, guide tracks, pilot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8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r by the structure or for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4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 G11B5/55Track change, selection or acquisition by displacement of the head
    • G11B5/5521Track change, selection or acquisition by displacement of the head across disk tracks
    • G11B5/5526Control therefor; circuits, track configurations or relative disposition of servo-information transducers and servo-information tracks for control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5/59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 disks
    • G11B5/59677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 disks with optical servo track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7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e.g. sheet shaped to wrap around a drum
    • G11B5/743Patterned record carriers, wherein the magnetic recording layer is patterned into magnetic isolated data islands, e.g. discrete trac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7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e.g. sheet shaped to wrap around a drum
    • G11B5/82Disk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7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e.g. sheet shaped to wrap around a drum
    • G11B5/82Disk carriers
    • G11B5/825Disk carriers flexi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5/0002Special dispositions or recording techniques
    • G11B2005/0005Arrangements, methods or circuits
    • G11B2005/0021Thermally assisted recording using an auxiliary energy source for heating the recording layer locally to assist the magnetization revers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oving Of The Head To Find And Align With The Track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 Manufacturing Of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적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자기기록층을 구비하고, 이 자기기록층이 자화방향이 다른 자화영역이 반경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도록, 디스크 중심에 대하여 동심원상 또는 나선형상으로 미리 자화되어 있기 때문에, 트래킹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어 정확한 트래킹서보를 행할 수 있는 정보기록매체, 그 정보기록방법 및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정보기록매체, 정보기록방법 및 정보기록매체의 제조방법{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정보기록매체 및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에 관한 것이고, 특히 트래킹용 서보정보를 자기적으로 프리포맷 기록한 정보기록매체 및 이 정보기록매체를 사용하여 서보정보를 판독하여 트래킹을 행하면서 정보의 기록 및 재생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처리를 행하는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특히 이 정보기록매체에 근접장광(近接場光)을 이용한 광자기에 의해 정보의 기록을 행하는 정보기록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정보기록매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고, 특히 트래킹용 서보정보를 자기적으로 프리포맷 기록한 정보기록매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퍼서널컴퓨터로 취급하는 정보량의 비약적인 증가에 따라, 대용량이고 저렴하며, 액세스 시간이 짧은 정보기록매체가 계속해서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대용량의 정보기록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등의 내장형의 자기기록매체, 아이오메가사가 개발한 ZIP 등의 리무벌한 자기기록매체를 들 수 있다. 이들 하드디스크나 ZIP에서는, 트랙폭을 좁혀 트랙 밀도를 크게 함으로써 대용량화를 실현하고 있고, 좁은 트랙을 자기헤드가 정확하게 주사하여 양호한 S/N으로 기록신호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자기헤드와 트랙의 상대적인 오차를 검출하여 자기헤드의 위치를 보정하는 트래킹서보기술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하드디스크나 ZIP에서는, 트래킹용 서보신호나 어드레스정보신호, 재생클럭신호 등이 자기기록매체의 제조시에 미리 높은 위치정밀도로 기록(프리포맷 기록)되어 있다. 이들 신호가 기록된 영역(서보영역)은 디스크면에 대하여 이산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자기헤드는 이들 신호를 재생함으로써 헤드의 위치를 확인, 수정하면서 트랙상을 정확하게 주사하고 있다.
한편, 차세대의 고밀도 기록방식으로서는, 근접장광을 이용한 기록방식(근접장광 기록방식)이 유력시되고 있다. 이 기록방식에서는 100기가비트/인치2이상의고밀도화가 가능하게 되리라고 기대되고 있다.
근접장광은, 파장 이하의 미소개구로 빛이 산란, 회절되었을 때에 발생하고, 미소개구의 근방(미소개구의 출사단에서 그 빛의 파장 이하의 영역 내)에 국소존재하는 비전파광이다. 또, 고체침적렌즈(SIL)에 빛을 집광하는 것에 의해서도 근접장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근접장광을 사용하여 광기록을 행함으로써 통상의 광기록에 의한 기록마크 보다도 작은 기록마크를 형성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정보의 면기록밀도를 대폭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그 한편, 근접장광은 기록헤드로 되는 미소개구나 SIL의 출사단에서 빛의 파장 이하의 영역 내에만 존재하기 때문에, 근접장광의 발생수단 및 그 검출기(헤드)를 기록매체의 극근방(구체적으로는, 수10㎚ 이내의 영역)에 배치하여, 기록 및 재생을 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새로운 고밀도화에 따라 트랙폭은 좁아지기만 할 뿐이고, 종래의 서보방식에서는, 자기헤드는 트랙상을 정확히 주행하는 것(서보팔로잉)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100기가비트/인치 2이상의 기록정밀도에서는, 서보팔로잉에 문제를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또, 디스크 면적에 대한 서보영역의 면적의 비율을 높임으로써 서보팔로잉을 확실히 행하려고 하면, 기록영역의 감소를 초래하여 기록용량을 높게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또, 광디스크에서는 디스크 내에 동심원상 또는 나선형상으로 설치된 랜드/그루브 구조의 트래킹가이드를 이용하여 트래킹을 행하는 서보방식을 채용하고 있지만, 이 방식에서는 디스크 표면에 큰 요철이 존재하게 된다. 이 때문에 검출기를기록매체의 극근방에 배치할 필요가 있는 차세대의 고밀도 기록방식에서는 안정된 헤드주행상태를 실현하는 것이 어렵다.
또, 프리포맷 기록에는 정확한 위치결정 정밀도 요구되기 때문에, 종래 자기기록매체를 드라이브에 조성한 후, 전용의 서보기록장치를 사용하여 엄밀하게 위치제어된 자기헤드에 의해 기록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자기기록밀도의 증대에 따라서 프리포맷 기록해야 할 신호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프리포맷 기록에 막대한 시간을 요하고, 생산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자성층에 의해 소정의 자화패턴이 형성된 자기전사용 마스터캐리어를 사용하고, 소정의 자화패턴을 종속매체로 전사하여 프리포맷 기록을 행하는 방법도 제안되고 있지만, 종래의 전사방법은 외부로부터의 자계로 여자(勵磁)하여도 자기전사용 마스터캐리어의 자화패턴이 소자되는 일이 없도록, 종속매체의 보자력(Hc)보다도 3배 이상 큰 보자력을 갖는 자기전사용 마스터캐리어를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 평면상의 자성체를 부분적으로 자화하는 경우에는 고밀도 기록용의 자기기록매체에 사용되고 있는 자성체의 항자력은 2000Oe정도로 높고, 자기전사용 마스터캐리어의 보자력은 6000Oe이상으로 된다. 이 때문에 자기전사용 마스터캐리어에는 일정한 자성재료밖에 사용할 수 없어 미세한 자화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사실상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목적은 정확하게 트래킹서보를 행할 수 있는 정보기록매체, 특히 검출기를 기록매체의 극근방에 배치하는 경우에도 안정된 헤드주행을 가능하게 한 정보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확하게 트래킹서보를 행하면서 정보의 기록 및 재생의 적어도 한쪽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양호한 S/N으로 신호의 기록(고밀도 기록) 및 재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은, 정확하게 트래킹서보를 행할 수 있는 정보기록매체를 단시간에 정밀하게 제조할 수 있는, 정보기록매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의 (A)부분은 본 실시예에 관한 광자기디스크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B)부분은 (A)부분의 영역 A의 자기기록층 표면의 자화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C)부분은 (B)부분의 A-A선 단면도,
도 2는 자기전사의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트래킹신호의 판독원리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4는 광변조방식에 의해 정보의 기록을 행한 경우의 기록패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관한 광자기디스크로의 정보의 기록 및 재생에 사용하는 기록재생장치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기록재생장치의 기록재생 헤드부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광축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자계변조방식에 의해 정보의 기록을 행한 경우의 기록패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실시예에 관한 광자기디스크로의 정보의 기록 및 재생에 사용하는기록재생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3빔 방식에 의한 트래킹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트래킹 오차신호를 출력하는 회로의 입출력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자기기록층에 이산적으로 서보정보가 기록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의 (A)부분은 기록용 자화영역의 폭을 트래킹용의 자화영역의 폭보다 넓게 한 경우의 자기기록층 표면의 자화상태(광변조기록)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평면도, (B)부분은 기록용 자화영역에 복수의 트랙이 내재하는 경우의 자기기록층 표면의 자화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정보기록방법에 사용할 수 있는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4는 마스터캐리어의 제조공정을 차례로 설명하는 단면도,
도 15는 마스터캐리어의 제조공정의 일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 내지 제39의 발명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의 발명은, 자기적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자기기록층을 지지체상에 구비하고, 상기 자기기록층이 트래킹을 위하여 미리 디스크 중심에 대하여 동심원상 또는 나선형상으로 자화됨과 동시에, 자화방향이 다른 자화영역이 반경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도록 자화된 정보기록매체이다.
본 발명의 제2의 발명은, 제1의 발명에 있어서, 트래킹을 위한 자화방향을 디스크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한 정보기록매체이다.
본 발명의 제3의 발명은, 제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디스크상의 가요성 비자성 지지체인 정보기록매체이다.
본 발명의 제4의 발명은, 제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기기록층에 미리 이산적인 서보필드가 자기적으로 기록된 정보기록매체이다.
본 발명의 제5의 발명은, 제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화영역이 일정주파수로 사행하도록 형성된 정보기록매체이다.
본 발명의 제6의 발명은, 제1의 발명에 있어서, 소정의 자화방향으로 자화된 자화영역을, 다른 자화방향으로 자화된 자화영역보다 넓게 한 정보기록매체이다.
본 발명의 제7의 발명은, 자기적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자기기록층을 지지체상에 구비하고, 상기 자기기록층이 트래킹을 위하여 미리 디스크 중심에 대하여 동심원상 또는 나선형상으로 자화됨과 동시에, 자화방향이 다른 자화영역이 반경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도록 자화된 정보기록매체를 사용하고, 상기 자기기록층의 자화영역의 자화방향의 상위에 기초하여 트래킹을 행하면서 정보의 기록 및 재생의 적어도 한쪽의 처리를 행하는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8의 발명은, 제7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화영역에 직선편광을 조사하여 상기 자화방향의 상위에 따른 반사광의 편광면의 회전방향을 검출하고, 검출한 반사광의 편광면의 회전방향에 기초하여 트래킹을 행하는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9의 발명은, 제8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직선편광이 근접장광인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10의 발명은, 제7의 발명에 있어서, 2개의 트래킹빔에 의한 반사광의 편광면 회전방향을 각각 검출함과 아울러 2개의 검출값을 비교하는 3빔법에 의해 상기 트래킹을 행하는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11의 발명은, 자기적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자기기록층을 지지체상에 구비하고, 상기 자기기록층이 트래킹을 위하여 미리 디스크 중심에 대하여 동심원상 또는 나선형상으로 자회됨과 동시에, 자화방향이 다른 자화영역이 반경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도록 자화되고, 상기 자기기록층에 미리 이산적인 서보필드가 자기적으로 기록된 정보기록매체를 사용하여, 상기 자기기록층의 자화영역의 자화방향의 상위에 기초하여 트래킹을 행하면서 정보의 기록 및 재생의 적어도 한쪽 처리를 행하는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으로서, 상기 이산적으로 기록된 서보필드에 기초하여 섹터서보(sector servo)를 행하는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12의 발명은, 자기적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기록층을 지지체상에 구비하고, 상기 자기기록층이 트래킹을 위하여 미리 디스크 중심에 대하여 동심원상 또는 나선형상으로 자화됨과 동시에, 자화방향이 다른 자화영역이 반경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도록 자화되고, 상기 자화영역이 일정 주파수로 사행하도록 형성된 정보기록매체를 사용하여 상기 자기기록층의 자화영역의 자화방향의 상위에 기초하여 트래킹을 행하면서 정보의 기록 및 재생의 적어도 한쪽 처리를 행하는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으로서,
상기 일정주파수로 사행하는 자화영역의 상기 주파수에 기초하여 클럭신호 및 어드레스신호의 적어도 한쪽을 생성하는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13의 발명은, 제7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화영역에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14의 발명은, 제7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화영역에 광변조방식또는 자계변조방식에 의해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15의 발명은, 제7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기기록층의 자화영역에 근접장광을 조사함으로써 광조사부분을 퀴리온도 부근까지 가열함과 동시에, 자기헤드에서 소정방향의 자계를 인가하여 자기적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16의 발명은, 제7의 발명에 있어서 소정의 자화방향으로 자화된 자화영역에만 자기적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17의 발명은, 제16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자화방향으로 자화된 자화영역을 다른 자화방향으로 자화된 자화영역보다 넓게 하는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18의 발명은, 제16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자화방향으로자화된 자화영역을 복수의 트랙으로 나누어 기록하는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19의 발명은, 제7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화영역에 직선편광을 조사하여 상기 자화방향의 상위에 따른 반사광의 편광면 회전방향을 검출하고, 검출된 반사광의 편광면 회전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자화영역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20의 발명은, 제7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화영역의 자기로부터 전자유도에 의해 전류를 발생시키고, 상기 자화방향의 상위에 따른 전류의 방향을 검출하며, 검출된 전류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자화영역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21의 발명은, 제7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화영역의 자기에 의해 전기저항을 변화시켜 전기저항의 변화를 검출하고, 검출된 전기저항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자화영역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22의 발명은, 제7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기기록층의 표면과 자기헤드를 디스크면 평균으로 100㎚이하로 근접시켜서 정보의 기록 및 재생의 적어도 한쪽 처리를 행하는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23의 발명은, 제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디스크상의 평활한 지지체인 정보기록매체이다.
본 발명의 제24의 발명은, 제23의 발명에 있어서 트래킹을 위한 자화방향 및 정보를 기록재생하기 위한 자화방향을, 디스크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한 정보기록매체이다.
본 발명의 제25의 발명은, 제23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기기록층상에 보호층을 형성한 정보기록매체이다.
본 발명의 제26의 발명은, 제25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상에 윤활막을 형성한 정보기록매체이다.
본 발명의 제27의 발명은, 제26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 및 윤활막을 합친 두께가 100㎚이하인 정보기록매체이다.
본 발명의 제28의 발명은, 제 23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와 상기 자기기록층의 사이에 반사막을 형성한 정보기록매체이다.
본 발명의 제29의 발명은, 제23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가요성 비자성 기판인 정보기록매체이다.
본 발명의 제30의 발명은, 제7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기기록층의 자화영역에 근접장광을 조사함으로써 광조사 부분을 퀴리온도 부근까지 가열함과 동시에, 자기헤드에서 소정방향의 자계를 인가하여 자기적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기록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31의 발명은, 제30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정방향의 자계는 디스크면에 대하여 수직인 자계인 정보기록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32의 발명은, 제30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는 반대측에서 소정방향으로 자계를 인가하여 자기기록층에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기록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33의 발명은, 제30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기기록층의 자화영역에, 자기헤드에서 소정방향의 자계를 인가한 상태에서, 기록신호에 따라서 변조된 근접장광을 조사하여 자기적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기록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34의 발명은, 제30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기기록층의 자화영역에 근접장광을 조사한 상태에서 자기헤드에서 기록신호에 따라서 변조된 소정방향의 자계를 인가하여 자기적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기록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35의 발명은, 제30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판이 가요성 비자성 기판인 정보기록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36의 발명은, 제30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기기록층의 표면과상기 자기헤드를 100㎚이하로 근접시켜서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기록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37의 발명은, 제30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자기기록층의 사이에 반사막이 형성되고, 상기 정보기록매체에 근접장광을 조사하였을 때의 상기 자기기록층 표면에서의 반사광과 아울러 상기 자기기록층을 투과하여 상기 반사막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검출하고, 상기 트래킹을 행하는 정보기록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38의 발명은, 제30의 발명에 있어서, 소정의 자화방향으로 자화된 자화영역을 복수의 트랙으로 나누어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기록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39의 발명은, 자기적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자기기록층을 구비하고, 상기 자기기록층이 트래킹을 위하여 미리 디스크 중심에 대하여 동심원상 또는 나선형상으로 자화됨과 동시에, 자화방향이 다른 자화영역이 반경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도록 자화된 정보기록매체를 제조하는 정보기록매체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자기기록층 전체를 소정방향으로 자화하고, 중심에 대하여 동심원상 또는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며, 또한 적어도 볼록부가 자성층에 의해 피복된 요철패턴이 형성된 디스크상의 마스터캐리어의 상기 자성층을, 상기 정보기록매체의 자기기록층 표면에 밀착시키고, 상기 자성층을 통하여 상기 소정방향과 다른 방향의 자계를 자기기록층에 인가하여 자성층을 밀착시킨 부분의 자화방향을 반전시켜서 정보기록매체를 제조하는 정보기록매체의 제조방법이다.
제1발명에 기재된 정보기록매체는, 자기적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자기기록층을 지지체상에 구비하고 있다. 이 자기기록층이 트래킹을 위하여 미리 자화방향이 다른 자화영역이 반경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도록 자화되어 있기 때문에, 자화영역의 자화방향의 상위에 기초하여 트래킹을 행할 수 있다. 또, 자기기록층이 트래킹을 위하여 미리 디스크 중심에 대하여 동심원상 또는 나선형상으로 자화되어 있기 때문에, 트래킹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어, 정확한 트래킹서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자화영역의 자화방향의 상위에 기초하여 트래킹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매체 표면에 요철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검출기를 자기기록매체의 극근방에 배치하는 경우에도 안정된 헤드주행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의 정보기록매체에 있어서, 트래킹을 위한 경화방향을 디스크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화방향을 디스크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함으로써 반경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 자화방향이 다른 자화영역이, 서로 그 자력을 약하게 맞추는 일이 없어져서 각 자화영역의 자력이 안정화 된다.
정보기록매체의 지지체로서는 일반적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이 알루미늄, 유리,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사용하여도 좋지만, 디스크상의 가요성 비자성 지지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지지체로서 가요성 비자성 지지체를 사용함으로써 헤드와 디스크가 접촉하였을 때의 충격이 저감되어, 부동헤드(flying head)를 사용하는 차세대의 고밀도 기록방식과 같이 헤드기록매체의 극근방에 배치하는 경우에도, 헤드와 디스크가 안정되게 접촉 슬라이딩하여, 안정된 헤드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또, 가요성 비자성 지지체를 기재로서 사용하고 있으므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지지체와 자기기록층의 사이에는 반사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록 및 재생광으로서 근접장광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비전파광인 근접장광은 변환되어 반사막에 의해 반사되기 때문에, 자기력 효과를 이용하여 근접장광의 자기기록층 표면에서의 반사광을 검출할 때에, 전파광에 의한 반사광이 패러데이효과(faraday effect)에 의해 검출되어 검출신호의 S/N이 향상되는, 이른바 향상효과를 억을 수 있다.
자기기록층에는 미리 이산적으로 서보필드를 자기적으로 기록하여 두는 것이 가능하다. 자기기록층에 미리 이산적으로 서보필드를 자기적으로 기록하여 둠으로써, 기록시 또는 재생시에 커효과(kerr effect) 등의 자기광학효과를 이용하여 서보필드를 판독하여 섹터서보를 행할 수 있다. 트래킹서보와 섹터서보를 병용함으로써 정확한 트래킹이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소정 영역으로의 액세스속도가 빨라진다.
자화영역은 일정 주파수로 사행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른바 워블을 실시하는 것으로 트래킹신호를 검출함과 동시에 클럭신호나 어드레스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7발명에 기재된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은, 본 발명의 정보기록매체를 사용하고, 상기 자기기록층의 자화영역의 경화방향의 상위에 기초하여 트래킹을 행하면서 정보의 기록 및 재생의 적어도 한쪽의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기록매체는 그 자기기록층이 트래킹을 위하여 미리 디스크 중심에 대하여 동심원상 또는 나선형상으로 경화됨과 아울러, 경화방향이 다른 경화영역이 반경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도록 자화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정보기록매체를 사용하여 정보의 기록 및 재생의 적어도 한쪽의 처리를 행할 때에는, 자화영역의경화방향의 상위에 기초하여 정확하게 트래킹서보를 행하면서 정보의 기록 및 재생의 적어도 한쪽의 처리를 행할 수 있어, 양호한 S/N으로 신호의 기록 및 재생을 행할 수 있다.
상기 기록재생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자화영역에 직선편광을 조사하여 상기 자화방향의 상위에 따른 반사광의 편광면의 회전방향을 검출하고, 검출된 반사광의 편광면의 회전방향에 기초하여 트래킹을 행할 수 있다. 정보의 기록 및 재생의 적어도 한쪽의 처리를 행할 때에는, 자기 커효과를 이용하고, 자화영역에 직선편광을 조사하여 자화방향의 상위에 따른 반사광의 편광면 회전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한 반사광의 편광면 회전방향에 기초하여 트래킹을 행할 수 있다.
트래킹을 행하기 위한 직선편광으로서는 근접장광을 사용할 수 있다. 또, 트래킹을 행하기 위한 트래킹오류 검출방법으로서는 2개의 트래킹빔에 의한 반사광의 편광면 회전방향을 각각 검출함과 아울러 2개의 검출값을 비교하는 3빔법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록재생방법에 있어서는, 자화영역에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래킹을 위하여 미리 자화된 자화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때문에 서보영역의 면적증가에 의한 기록용량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은, 상기 자화영역에 광변조방식 또는 자계변조방식에 의해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보기록매체의 자화기록층에 빛을 조사함으로써 광조사 부분을 퀴리온도 부근까지 가열함과 동시에, 자기헤드에서 자계를 인가함으로써 자기적으로 정보의 기록을 행하고, 그 방식은 광변조방식이어도좋고, 자계변조방식이어도 좋다. 또, 기록에 사용하는 빛은 반도체 레이저 등으로 발진시킨 레이저광을 광학렌즈로 집광한 일반적인 방법이어도 좋지만, 근접장광을 조사하면서 기록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레이저광원으로서는, 예를 들면 400~780㎚ 범위의 발진파장을 보유하는 반도체 레이저가 사용될 수 있다. 기록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청자색 반도체 레이저, 적외반도체 레이저와 파장변환소자(SHG)로 구성되는 청자색 SHG레이저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파장 405㎚ 전후의 청자색 반도체 레이저가 특히 바람직하다.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에, 소정의 자화방향으로 경화된 자화영역에만 자기적으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이 때 소정의 자화방향으로 경화된 자화영역을, 다른 자화방향으로 자화된 자화영역보다 넓게 함으로써 포맷 효율이 향상된다. 또, 상기 소정의 자화방향으로 자화된 자화영역을 복수의 트랙으로 나누어 기록할 수도 있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포맷효율이 향상된다.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방법으로서는, 상기 자화영역에 직선편광을 조사하여 상기 자화방향의 상위에 따른 반사광의 편광면 회전방향을 검출하고, 검출된 반사광의 편광면 회전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자화영역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자화영역에 정보를 기록한 정보는, 자기 커효과를 이용하여 재생할 수 있다.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외의 방법으로서는, 상기 자화영역의 자기에서 전자유도에 의해 전류를 발생시켜, 상기 자화방향의 상위에 따른 전류의 방향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류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자화영역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자화영역에 정보가 기록된 정보는, 전자유도를 이용하여 재생할 수 있다.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는, 상기 자화영역의 자기에 의해 전기저항을 변화시켜, 전기저항의 변화를 검출하고, 검출된 전기저항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자화영역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자화영역에 기록된 정보는 자기저항효과를 이용하여 재생할 수 있다.
또, 정보의 기록 및 재생의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자기기록층의 표면과 자기헤드를 디스크면 평균으로 100㎚이하로 근접시켜서, 기록 및 재생의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정보기록매체와 자기헤드가 안정되게 접촉 슬라이딩하고 있는 상태에서, 정보의 기록이나 재생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태는 예를 들면 디스크상의 가요성 비자성 지지체를 사용하는 경우에 실현할 수 있다. 자기기록층의 표면과 자기헤드를 디스크면 평균으로 100㎚이하로 근접시켜서 비로서 근접장광 등을 이용한 고밀도 기록이 가능하게 된다.
제23발명에 기재된 정보기록매체는, 트래킹서보용이나 데이터기록용의 홈이나 구멍을 갖지 않는 디스크상의 평활한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형성된 자기적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자기기록층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제1발명에 기재된 정보기록매체와 같이, 자화영역의 자화방향의 상위에 기초하여 트래킹을 행할 수 있다. 또, 트래킹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어, 정확한 트래킹서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상의 평활한 기판에 요철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검출기를 기록매체의 극근방에 배치하는 경우에도 안정된 헤드주행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제24발명에 기재된 정보기록매체에서는, 자화방향을 디스크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경화영역의 자력이 안정화된다.
제25, 26발명에 기재된 정보기록매체에서는, 자기기록층의 부식이나 정보의 기록 및 재생시에 있어서의 헤드와 디스크의 의사접촉 또는 접촉 슬라이딩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고, 주행내구성, 내식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판은 홈이나 구멍을 사용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자기기록층의 표면과 헤드를 디스크영역 전체에 있어서 100㎚이하로 근접시켜서, 즉 정보기록매체와 헤드가 안정되게 접촉 슬라이딩되고 있는 상태에서, 정보의 기록이나 재생을 행할 수 있어, 근접장광을 이용한 고밀도 기록이 가능하게 된다.
제28발명에 기재의 정보기록매체에서는, 반사막을 형성함으로써 통상의 빛을 이용한 광자기기록에 있어서 반사율이 높아져서 신호강도가 증대할 뿐만 아니라, 근접장광을 이용할 때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자기 커효과를 이용하여 근접장광의 자기기록층 표면에서의 반사광을 검출할 때에 향상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9발명에 기재된 정보기록매체에서는, 기판에 가요성 비자성 기판을 사용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와 디스크가 접촉하였을 때의 충격이 저감되어, 헤드를 기록매체의 극근방에 배치하는 경우에도 헤드와 디스크가 안정되게 접촉 슬라이딩하여 안정된 헤드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정보기록매체의 자기기록층에는 동심원 또는 나선형상의 트래킹신호와 함께,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이산적 서보필드를 자기적으로 기록하여 두어도 좋다.
또, 상기 정보기록매체의 자기기록층의 자화영역은 일정 주파수로 사행하도록 형성하여 두어도 좋다. 이와 같이, 이른바 워블을 실시함으로써 트래킹신호를 검출함과 동시에, 클럭신호나 어드레스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트래킹을 행하기 위한 트래킹오류 검출방식으로서는 3빔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이 정보기록매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자화방향으로 자화된 자화영역에만 자기적으로 정보를 기록하도록 이용하여도 좋다.
또, 이 정보기록매체의 정보의 기록이나 재생에 사용하는 빛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반도체 레이저 등으로 발진시킨 레이저광을 광학렌즈로 집광한 일반적인 방법이라도 좋지만, 근접장광을 조사하면서 기록을 행할 수도 있다.
제30발명에 기재된 정보기록방법으로 사용하는 정보기록매체는, 디스크상의 평활한 기판상에 형성된 자기기록층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제1발명에 기재된 정보기록매체와 같이, 자화영역의 자화방향의 상위에 기초하여 트래킹을 행할 수 있다. 또, 트래킹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어 정확한 트래킹서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상의 평활한 기판에 요철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검출기를 기록매체의 극근방에 배치하는 경우에도 안정된 헤드 주행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이 정보기록매체를 사용하여, 트래킹을 위하여 미리 자화된 자화영역에 정보를 자기적으로 기록하기 때문에, 서보영역의 면적증가에 의한 기록용량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근접장광을 조사함으로써 광조사 부분을 퀴리온도 부근까지 가열함과 동시에, 자기헤드에서 소정방향의 자계를 인가하여 자기적으로 정보를 기록하기 때문에, 통상의 광기록에 의한 자기마크보다도 작은 기록마크를 형성할 수 있고, 고밀도 기록을 행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트래킹을 연속적으로 행하므로 정확한 트래킹서보를 행할 수 있어, 양호한 S/N으로 신호의 기록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정보의 기록에 사용하는 상기 정보기록매체의 자기기록층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심원 또는 나선형상의 트래킹신호와 아울러, 미리 이산적 서보필드를 자기적으로 기록하여 두어도 좋다.
또, 상기 정보기록매체의 자기기록층의 자화영역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주파수로 사행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정보기록매체의 소정의 자화방향으로 자화된 자화영역을,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자화방향으로 자화된 자화영역보다 넓게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제31발명에 기재된 정보기록방법은, 디스크면에 대하여 수직인 자계를 인가하여 자기적으로 정보를 기록함(즉, 수직자화한다)으로써, 자화방향이 다른 기록헤드가 인접하여 서로 그 자력을 약화시키는 일이 없어져서 기록영역의 자력이 안정화된다.
재32발명에 기재된 정보기록방법에서는, 근접장광은 출사단에서 빛의 파장 이하의 영역 내에밖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출사단 및 검출기를 기록매체의 극근접에 배치하여 기록을 행해야만 한다.
제33발명에 기재된 정보기록방법에서는, 이른바 광변조 기록방식에 의해 정보의 기록을 행할 수 있다.
제34발명에 기재의 정보기록방법에서는, 이른바 자계변조 기록방식에 의해정보의 기록을 행할 수 있다.
제35발명에 기재의 정보기록방법에서는, 기판에 가요성 비자성 기판을 사용하고 있다.
제36발명에 기재의 정보기록방법에서는, 즉 정보기록매체와 자기헤드가 안정되게 접촉 슬라이딩 하고 있는 상태에서, 정보의 기록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태는, 예를 들면 디스크상의 가요성 비자성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에 실현할 수 있다.
제37발명에 기재의 정보기록방법에서는, 비전파광인 근접장광은 전파광으로 변환되어서 반사막에 의해 반사되기 때문에, 자기 커효과를 이용하여 근접장광의 자기기록층 표면에서의 반사광을 검출할 때에, 상술한 바와 같이 향상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자기 커효과를 이용하여 정보를 재생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향상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트래킹을 행하기 위한 트래킹오류 검출방식으로서는, 예컨대 3빔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제38발명에 기재의 정보기록방법에서는, 소정의 자화방향으로 자화된 자화영역에 정보를 기록할 때에, 상기 자화영역을 복수의 트랙으로 나누어 기록함으로써 포맷효과가 향상된다.
제39발명에 기재의 정보기록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정보기록매체는, 자기적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자기기록층을 구비하고 있다. 이 자기기록층이 트래킹을 위하여 미리 자화방향이 다른 자화영역이 반경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도록 자화되어 있기 때문에, 자화영역 자화방향의 상위에 기인하여 트래킹을 행할 수 있다. 또, 자기기록층이 트래킹을 위하여 미리 디스크 중심에 대하여 동심원 또는 나선형상으로 자화되어 있기 때문에, 트래킹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고, 정확한 트래킹서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자화영역 자화방향의 상위에 기초하여 트래킹을 행할 수 있으므로, 매체 표면에 요철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검출기를 기록매체의 극근방에 배치하는 경우에도 안정된 헤드주행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제39발명에 기재의 제조방법에서는, 이 정보기록매체를 상기 자기기록층 전체를 소정방향으로 자화하고, 중심에 대하여 동심원상 또는 나선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적어도 볼록부가 자성층에 의해 피복된 요철패턴이 형성된 디스크상의 마스터캐리어의 상기 자성층을, 상기 정보기록매체의 자기기록층 표면에 밀착시켜 상기 자성층을 통하여 상기 소정방향과 다른 방향의 자계를 자기기록층에 인가하고, 자성층을 밀착시킨 부분의 자화방향을 반전시켜서 제조하는 것이고, 마스터캐리어의 자성층을 통하여 자기기록층에 자계를 인가함으로써 대량의 정보를 매우 단시간에 기록할 수 있어 생산성이 우수하다. 또, 마스터캐리어와 정보기록매체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화시키지 않고 정적으로 기록을 행할 수 있어 정밀하게 프리포맷 기록을 행할 수 있다.
대상물이 광자기기록매체인 경우에는, 특히 마스터캐리어 및 종속매체의 적어도 한쪽을 가열한 상태에서, 마스터캐리어와 종속매체를 밀착하고, 전사자계를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온도는 100℃~3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250℃의 범위이다. 이러한 온도범위에서는 보자력(Hc)이 저하되어 기록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의 정보기록매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정방향을 디스크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할 수 있다. 자화방향을 디스크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함으로써 반경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 자화방향이 다른 자화영역이 서로 그 자력을 약화시키는 일이 없어져서 각 자화영역의 자력이 안정화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정보기록매체의 제1실시예에 관한 광자기디스크(10)는 일반적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형태로 사용하여도 좋지만, 가환성을 보유하고 또한 접촉기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도 1의 (A)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부에 센터홀이 형성된 이른바 플렉시블 디스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플렉시블 디스크는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된 카트리지(12) 내에 격납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12)에는 통상 금속성의 셔터(도시하지 않음)로 피복된 액세스창(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고, 이 액세스창을 통하여 광자기디스크(10)로의 기록이나 재생이 행해진다.
광자기디스크(10)는 도 1의 (C)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상의 지지체, 바람직하게는 디스크상의 평활한 지지체(14)상에, 자기적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자기기록층(16), 자기기록층(16)을 열화나 마모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층(18) 및 윤활제의 부여에 의해 주행내구성 및 내식성을 개선하는 윤활막(20)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자기기록층(16)은 디스크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자화(프리포맷 자화)되어 있고, 디스크 지지체(14)와 반대측의 표면을 기록면으로 한 경우, 지지체측이 S극이고 기록면측이 N극이 되는 방향으로 자화된 자화영역(16A)과,지지체측이 N극이고 기록면측이 S극으로 되는 방향으로 자화된 자화영역(16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자화영역(16A) 및 자화영역(16B)은 디스크 반경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또, 도 1의 (B)부분에 도 1의 (A)부분의 영역 A에서의 자기기록층(16)의 기록면의 자화상태를 나타내지만, 도 1의 (B)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화영역(16A) 및 자화영역(16B)의 각각은, 디스크 중심에 대하여 동심원상 또는 나선형상으로 형성되어, 각각이 트랙을 구성하고 있다. 즉, 자화영역(16A) 및 자화영역(16B)은 그 자화방향의 상위에 의해 트래킹 가이드로서 사용됨과 동시에, 기록영역으로서 사용된다. 이 광자기디스크(10)에 있어서는, 자기기록층(16)의 측에서 레이저광이 조사되어 정보의 기록 및 재생이 행해진다.
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화영역(16A) 및 자화영역(16B)은, 일정주파수로 사행하도록(워블을 실시하도록) 형성하여도 좋다. 이 워블의 사행주파수를 검출하여 선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주에서 외주까지 동일 주기의 워블을 넣음으로써 반경위치에 관계없이 선속도가 일정하게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내주에서 외주에 걸쳐서 주기를 길게 하도록 워블을 넣음으로써 각속도가 일정하게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워블을 넣음으로써 클럭신호나 어드레스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지지체(14)는 헤드와의 접촉시의 충격을 회피하기 위하여 가요성을 구비한 수지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수지필름으로서는, 방향족 폴리이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설폰,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트리아세테이트셀룰로오스, 불소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수지필름이 있다.
또, 지지체(14)에 다른 수지막을 래미네이트하여도 좋다. 다른 수지막을 래미네이트 함으로써 지지체 자신에 기인하는 휨이나 물결침을 경감할 수 있고, 자기기록층의 내상성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 래미네이트 방법으로서는 열롤러에 의한 롤래미네이트, 평판열프레스에 의한 래미네이트, 접착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래미네이트하는 드라이래미네이트, 미리 시트상으로 성형된 접착시트를 사용하는 래미네이트 등이 있다. 접착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열용해접착제, 열경화성 접착제, UV경화형 접착제, EB경화형 접착제, 점착시트, 혐기성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지지체(14)의 두께는 10㎛~200㎛, 바람직하게는 20㎛~15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100㎛이다. 지지체(14)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으면 고속회전시의 안정성이 저하되어 면편차가 증가한다. 한편, 지지체(14)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우면 회전시의 강성이 높아져서 접촉시의 충격을 회피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기록헤드의 도약을 초래한다.
지지체(14)의 표면은 자기헤드에 의한 기록을 행하기 때문에, 가능한 한 평활한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14) 표면의 요철은 기록재생특성을 저하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초벌층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학식의 표면조도계로 측정한 표면조도가 평균 중심선조도(Ra)로 5㎚이내, 바람직하게는 2㎚이내, 촉침식 조도계로 측정한 돌기높이가 1㎛이내, 바람직하게는 0.1㎛이내이다. 또, 초벌막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광학식의 표면조도계로 측정한 표면조도가 평균 중심선조도(Ra)로 3㎚이내, 바람직하게는 1㎚이내, 촉침식 조도계로 측정한 돌기높이가 0.1㎛이내, 바람직하게는 0.06㎛이내이다.
자기기록층(16)이 설치되는 층의 지지체 표면에는 평면성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여 초벌층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기기록층(16)을 스퍼터링 등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초벌층은 내열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고, 초벌층의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이미드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수지, 실리콘수지, 불소계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열경화형 폴리이미드수지, 열경화형 실리콘수지는 평활화 효과가 높아서 특히 바람직하다. 초벌층의 두께는 0.1㎛~3.0㎛가 바람직하다. 지지체(14)에 다른 수지막을 래미네이트하는 경우에는 래미네이트 가공전에 초벌층을 형성하여도 좋고, 래미네이트 가공후에 초벌층을 형성하여도 좋다.
열경화성 폴리이미드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마루센 석유화학회사 제품의 비스알릴나디이미드(BAN1)와 같이, 분자내에 말단불포화기를 2개 이상 보유하는 이미드 단량체를, 열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이미드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이미드 단량체는 단량체의 상태로 지지체 표면에 도포한 후에 비교적 저온에서 열중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원료로 되는 단량체를 지지체상에 직접 도포하여 경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범용용제를 사용할 수 있고, 요철에 대한 결합도 좋고 평활화 효과가 높다.
열경화성 실리콘수지로서는, 유기기가 도입된 규소화합물을 원료로 하여 졸겔법으로 중합한 실리콘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실리콘수지는 이산화규소의 결합의 일부를 유기기로 치환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실리콘고무 보다도 대폭으로 내열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이산화규소막 보다도 유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가요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체상에 수지막을 형성하여도 크랙이나 박리가 발생하기 어렵다. 또, 원료로 되는 단량체를 지지체상에 직접 도포하여 경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범용 용제를 사용할 수 있고, 요철에 대한 결합도 좋아 평활화 효과가 높다. 또한, 축중합반응은 산이나 킬레이트제 등의 촉매의 첨가에 의해 비교적 저온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단시간에 경화시킬 수 있고, 범용의 도포장치를 사용하여 수지막을 형성할 수 있다.
초벌층의 표면에는, 헤드와의 진실 접촉면적을 저감하고, 슬라이딩 특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미소돌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미소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지지체의 핸드링성도 양호하게 된다. 미소돌기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구상 실리카입자를 도포하는 방법, 에멀젼을 도포하여 유기물의 돌기를 형성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지만, 초벌층의 내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구상 실리카입자를 도포하여 미소돌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소돌기의 높이는 5㎚~60㎚가 바람직하고, 10㎚~30㎚가 보다 바람직하다. 미소돌기의 높이가 지나치게 높으면 기록재생헤드와 매체의 간격손실에 의해서 신호의 기록재생특성이 열화되고, 미소돌기가 지나치게 낮으면 슬라이딩 특성의 개선효과가 적어진다. 미소돌기의 밀도는 0.1~100개/㎛2가 바람직하고, 1~10개/㎛2가 보다 바람직하다. 미소돌기의 밀도가 지나치게 낮은 경우는 슬라이딩 특성의 개선효과가 적어지고, 지나치게 높으면 응집입자의 증가에 의해서 높은 돌기가 증가하여 기록재생특성이 열화한다.
또, 바인더를 사용하여 미소돌기를 지지체 표면에 고정할 수도 있다. 바인더에는 충분한 내열성을 갖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열성을 구비한 수지로서는 열경화형 폴리이미드수지, 열경화형 실리콘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기판(14)과 자기기록층(16)의 사이에는 일반적인 광자기디스크와 같이, 반사막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막에는 레이저광에 대한 반사율이 높은 광반사성 물질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광반사성 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Al, Al-Ti, Al-In, Al-Nb, Au, Ag, Cu 등의 금속 및 반금속을 들 수 있다. 이들 물질은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하여도 좋다. 또, 합금으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그중에서도 Al합금, Ag합금 등의 광반사성 물질로 반사막을 구성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비전파광인 근접장광은 전파광으로 변환되어 반사막에 의해 반사되기 때문에, 자기 커효과를 이용하여 근접장광의 자기기록층 표면에서의 반사광을 검출할 때에, 전파광에 의한 반사광이 패러데이효과에 의해 검출되어 검출신호의 S/N이 향상된다(향상효과). Al합금, Ag합금 등으로 구성된 반사막은 반사율이 높기 때문에 높은 향상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반사막은 상기 광반사성 물질을 기판(12)상에 스퍼터링, 또는 전자빔 진공증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반사막의 막두께는 10㎚~200㎚가 바람직하다.
자기기록층(16)에는 광자기기록매체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금속합금등의 자기기록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자기기록재료는 수직자기이방성을 보유하고, 광자기특성이 우수하며, 퀴리점이 200℃ 전후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은 자기기록재료로서는, 희토류 천이금속 비정질재료가 있고, 구체적으로는 TbFeCo, NdFeCo, GdFeCo, DyFeCo 등이 바람직하다. 또 이들 합금에 내식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Cr을 첨가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중에서도 TbFeCo계 합금은 높은 수직자기 이방성을 보유하고 있고, 매우 작은 기록마크라도 안정되게 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자기기록층(16)은 예를 들면 스퍼터링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자기기록층(16)의 층두께로서는 10㎚~50㎚가 바람직하다.
자기기록층(16)상에는 기록마크를 작게 하여 기록밀도를 높일 목적으로 초해상층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해상층은 레이저광의 스폿(spot) 중심부에 있어서 그 층 구성물질의 성질이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초해상을 발생시키는 것이고, 초해상에는 광학적인 초해상과 자기적인 초해상의 2종류가 존재한다. 광학적인 초해상은 신호의 기록과 재생의 양쪽에 사용할 수 있고, 열에 의한 작용(열모드)과 광자에 의한 작용(광자모드)의 양쪽이 사용가능하다. 광학적인 초해상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Ag-O박막, 포토크로믹 중합체 박막 등이 예시된다. 자기적인 초해상은 빛에 의한 신호의 판독에 이용된다. 예를 들면 복수층의 자기기록층이 적층되어 있는 경우에, 각 자기기록층의 열에 대한 자화변화의 차이를 이용하여 일부의 자기기록층에 기록된 자기신호만을 꺼낼 수 있다.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자기광학효과를 증진하고 자기기록층(16)의 기록특성을 개선할 목적으로, 자기기록층(16)에 인접하여 유전체 보호막을 설치하는 것이바람직하다. 유전체 보호막에는 광자기기록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전체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Si-N, Si-O, Al-N, Al-O, Zn-S 등이 있지만, 자기기록층에 포함되는 금속재료와 산소와의 반응을 억제하고, 또한 높은 열전도율을 보유하는 재료가 바람직하고, Si-N 또는 Al-N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유전체 보호막은 스퍼터링법이나 화학기상반응법(CVD법)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유전체 보호막의 막두께는 10㎚~200㎚가 바람직하다.
보호층(18)은 자기기록층(16)에 함유되는 금속재료의 부식을 방지하고, 헤드와 디스크의 의사접촉 또는 접촉슬라이딩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고, 주행내구성, 내식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특히, 자기기록층(16)에 희토류 금속을 사용하는 경우, 희토류 천이금속은 매우 부식되기 쉽기 때문에 보호층(18)은 필수이다.
보호층(18)에는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산화코발트, 산화니켈 등의 산화물, 질화티탄, 질화규소, 질화붕소 등의 질화물, 탄화규소, 탄화크롬, 탄화붕소 등의 탄화물, 흑연, 무정형 카본 등의 탄소 등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보호층(18)으로서는 헤드재질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경도를 보유하는 경질막이고, 슬라이딩중에 눌러붙음이 발생하기 어렵고 그 효과가 안정되게 지속되는 것이, 슬라이딩 내구성이 우수하여 바람직하다. 또, 동시에 핀홀이 적은 것이 내식성이 우수하여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보호막으로서는 CVD법으로 제작되는 DLC(다이아몬드형 카본)이라 불리는 경질탄소막이 있다. 또, 광학특성을 고려하면 질화규소가 바람직하다.
보호층(18)상에는 주행내구성 및 내식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윤활막(20)이 설치되어 있다. 윤활막(20)은 공지의 탄화수소계 윤활제, 불소계 윤활제, 극압첨가제 등의 윤활제가 사용된다.
탄화수소계 윤활제로서는,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등의 카르복실산류, 스테아린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옥타데실설폰산 등의 설폰산류, 인산모노옥타데실 등의 인산에스테르류, 스테아릴알콜, 올레일알콜 등의 알콜류, 스테아릴산아미드 등의 카르복실산 아미드류, 스테아릴아민 등의 아민류 등이 예시된다.
불소계 윤활제로서는, 상기 탄화수소계 윤활제의 알킬기의 일부 또는 전부를 플루오로알킬기 또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로 치환한 윤활제가 있다.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로서는, 퍼플루오로메틸렌옥시드 중합체, 퍼플루오로에틸렌옥시드 중합체, 퍼플루오로-n-프로필렌옥시드 중합체(CF2CF2CF2O)n, 퍼플루오로이소프로필렌옥시드 중합체(VF(CF3)CF2O)n,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등이다. 구체적으로는 분자량 말단에 수산기를 보유하는 퍼플루오로메틸렌-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아우디몬트사 제품, 상품명 「FOMBLIN Z-DOL」)등이 있다.
극압 첨가제로는, 인산트리라우릴 등의 인산에스테르류, 아인산트리라우릴 등의 아인산에스테르류, 트리티오아인산트리라우릴 등의 티오아인산에스테르나 티오인산에스테르류, 이황화디벤질 등의 유황계 극압제 등이 있다.
상기 윤활제는 단독 또는 복수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윤활제를 유기용제에 녹인 용액을, 스핀코트법, 와이어퍼코트법, 그라비어코트법, 딥코트법 등으로 보호층(18) 표면에 도포하거나, 진공증착법에 의해 보호층(18) 표면에 부착시키면된다. 윤활제의 도포량으로서는 1~30㎎/㎡가 바람직하고, 2~20㎎/㎡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내식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녹방지제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녹방지제로서는, 벤조트리아졸, 벤즈이미다졸, 풀린, 피리미딘 등의 질소함유 복합고리류 및 이들의 모핵에 알킬측쇄 등을 도입한 유도체, 벤조티아졸, 2-메르캅톤벤조티아졸, 테트라자인덴환 화합물, 티오우라실 화합물 등의 질소 및 유황함유 복합고리 및 그 유도체 등이 예시된다. 이들 녹방지제는 윤활제에 혼합하여 보호막상에 도포하여도 좋고, 윤활제를 도포하기 전에 보호막상에 도포하고, 그 위에 윤활제를 도포하여도 좋다. 녹방지제의 도포량으로서는 0.1~10㎎/㎡가 바람직하고, 0.5~5㎎/㎡가 특히 바람직하다.
자기기록층(16)을 프리포맷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자기헤드에 의해 자화영역을 기입하여도 좋고, 자기전사에 의해 자화영역을 형성하여도 좋다. 미세한 패턴의 자화영역을 단시간에 형성하기 위해서는, 자기전사에 의해 자화영역을 형성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자기전사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성층(28)이 형성된 마스터캐리어(24)에서, 자화되기 전의 자기기록층(16)을 구비한 종속매체(22)에 자기를 전사하여 소정패턴의 자화영역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마스터캐리어(24)는 실리콘, 알루미늄 등의 비자성 재료로 구성된 기판(26)상에, 전사패턴에 따라 형성된 자속밀도가 큰 Co, Fe 등의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볼록형상의 자성층(28)을 형성한 것이고, 기판(26)과 자성층(28)의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서 Cr, Ti 등의 비자성 금속재료로 구성된 도전성층을 설치할 수 있다. 마스터캐리어(24)는 사진제작이나 광디스크의 기판형성에 사용하는 스탬퍼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탬퍼에 의해 소정패턴이 형성된 니켈기판에 자성층을 형성하여 마스터캐리어(24)를 얻을 수 있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정보기록매체의 제2실시예에 관한 광자기디스크는, 이른바 하드디스크이고, 하드디스크로서 구성한 이외는 제1실시예에 관한 광자기디스크와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상위점만 설명한다.
지지체(14)에는 알루미늄기판, 유리기판, 폴리카보네이트기판, 카본기판 등, 비교적 경도가 높은 기판이 사용된다. 지지체(14)의 두께는 0.2㎜~2.0㎜가 바람직하고, 0.3㎜~1.2㎜가 보다 바람직하다. 지지체(14)의 표면은 자기헤드에 의한 기록을 행하기 위하여 가능한 한 평활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하드디스크 기판제작시에 광택처리를 행하고, 광학식의 표면조도계로 측정한 표면조도가 평균 중심선조도(Ra)로 5㎚이내, 바람직하게는 2㎚이내, 촉침식 조도계로 측정한 돌기높이가 1㎛이내, 바람직하게는 0.1㎛이내로 한다.
또, 이 광자기디스크로의 정보의 기록 및 재생은, 제1실시예에 관한 광자기디스크와 같이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실시예에 관한 광자기디스크는,
(1) 자기기록층이 트래킹을 위하여 미리 자화방향이 다른 자화영역이 반경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도록 자화되어 있기 때문에, 자화영역의 자화방향의 상위에기초하여 트래킹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화영역의 자화방향의 상위에 기초하여 트래킹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매체표면에 요철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검출기를 기록매체의 극근방에 배치하는 경우에도 안정된 헤드주행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2) 자기기록층이 트래킹을 위하여 미리 디스크 중심에 대하여 동심원상 또는 나선형상으로 자화되어 있기 때문에, 트래킹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고, 정확한 트래킹서보를 행할 수 있어, 양호한 S/N으로 신호의 기록 및 재생을 행할 수 있다. 또, 트래킹을 위하여 미리 자화된 자화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때문에, 서보영역의 면적증가에 의한 기록용량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자화방향을 디스크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함으로써 반경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 자화방향이 다른 자화영역이, 상호 그 자력을 약화시키는 일이 없어져서 각 자화영역의 자력이 안정화된다.
(3)자화영역의 자화방향의 상위에 기초하여 트래킹을 행할 수 있으므로, 디스크상의 평활한 기판에 요철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근접장광(예를 들면 에바네센트광)을 이용한 차세대의 고밀도 기록방식 등과 같이, 검출기를 기록매체의 극근방에 배치하는 경우에도 안정된 헤드주행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4) 제1실시예의 광자기디스크는, 가요성을 구비한 수지필름 등의 지지체를 기재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자기헤드와의 접촉시의 충격이 회피되어, 광자기디스크와 자기헤드는 매우 약한 힘으로 안정되게 접촉슬라이딩 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가요성을 구비한 수지필름 등의 지지체를 기재로 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자기디스크를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5) 자화영역을 이른바 자기전사에 의해 형성하고 있으므로, 자계를 인가한 시점에서 대량의 서보정보를 일괄하여 복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문에 매우 단시간에 자화영역을 자화할 수 있다. 또, 정적으로 자화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프리포맷 기록이 가능하다.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에서는, 자기기록층의 측에서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정보의 기록 및 재생을 행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기판측에서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정보의기록 및 재생을 행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지지체의 경우, 지지체에는 기록 및 재생에 사용하는 소정파장의 레이저광에 대하여 투과율이 높은 재료를 사용한다.
또,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에서는, 지지체의 한쪽면에 자기기록층을 설치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지지체의 양면에 자기기록층을 설치하여도 된다. 또, 한쪽면에 자기기록층을 설치한 지지체끼리를 지지체측을 내측으로 하여 맞붙여서 디스크의 양면에 자기기록층을 설치하여도 된다.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에서는, 근접장광을 사용하여 기록이나 재생을 행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광정보기록장치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레이저광원을 사용하여 기록이나 재생을 행할 수도 있다.
또, 미소개구에 의해 근접장광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사용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SIL에 빛을 집광하여 근접장광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사용하여 기록이나 재생을 행할 수도 있다. 이 장치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상형슬라이더(32) 내부에는 그 출사면이 부상형 슬라이더(32)의 부상면(40)에 노출되도록 SIL(60)이 메워넣어져 있다. SIL(60)의 윗쪽에는 부상형 슬라이더(32) 외부에서의 빛을 집광하는 집광렌즈(62)가 부상면(40)에 노출된 SIL(60)의 출사면에서 집점을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집광렌즈(62)에 의해 부상형 슬라이더(32) 외부로부터의 빛을 집광하고, SIL(60)의 출사면에서 집점을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 집점근방에 근접장광(54)이 발생한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장치와 같은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1 및 제2의 실시예에서는 자계변조방식에 의해 정보의 기록을 행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화영역(16A) 및 자화영역(16A)의 어느 한쪽에 그 자화방향과 반대의 자계를 인가하고, 레이저광(30)을 조사한 부분만 자화를 반전시켜서 자기적으로 정보의 기록을 행할 수도 있다(광변조방식). 이 때 레이저광의 강도분포는 가우스분포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강도가 큰 스폿의 중심부분에 기록신호(31)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레이저광(30)의 스폿보다 작은 기록신호(31)가 기록신호에 대응하여 기록된다. 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S형의 자화영역(16B)에만 기록하고, N형의 자화영역(16A)은 트래킹을 위하여 사용하는 등, 트래킹을 위한 자화영역과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자화영역으로 나누어, 자화영역의 일부에 정보를 기록하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에서는 자기기록층을 트래킹을 위하여 미리 디스크 중심에 대하여 동심원상 또는 나선형상으로 자화하고, 트래킹을 연속적으로 행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자기기록층을 트래킹을 위하여 미리 디스크 중심에 대하여 동심원상 또는 나선형상으로 자화함과 아울러, 자기기록층에 미리 이산적으로 서보필드를 자기적으로 기록하여 둘 수 있다.
도 11은 서보필드를 이산적으로 배치한 예이지만, 이 서보필드에는 어드레스정보나 트랙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또, 이 서보필드와는 달리 트래킹을 연속적으로 행하기 위한 동심원상의 서보밴드가 기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커효과 등의 자기광학효과를 이용하여 서보필드를 판독하고, 섹터서보를 행할 수 있다. 트래킹서보와 섹터서보를 병용함으로써 정확한 트래킹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소정영역으로의 액세스속도가 빨라진다.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에서는, N형의 자화영역(16A) 및 S형의 자화영역(16B)은 대략 같은 폭으로 하였지만, N형의 자화영역(16A)에만 기록하고 S형의 자화영역(16B)은 트래킹을 위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12의 (A)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래킹용 자화영역(16B)의 폭을, 기록용 자화영역(16A)의 폭보다 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록용 자화영역(16A)의 폭을 보다 넓게 함으로써 포맷효율이 향상된다. 예를 들면, 트래킹용 자화영역(16B)의 폭을 0.1㎛로 하고, 기록용 자화영역(16A)의 폭을 약 0.2㎛로 할 수 있다. 또, 도 12의 (B)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용 자화영역(16A)의 폭을 더욱 넓혀 기록용 자화영역(16A)에 복수의 트랙(16A1~16A5)이 내재하는 것으로 하여, 복수의 자기헤드를 구비한 이른바 멀티헤드로 기입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자기기록층(16)상에는 초해상에 의해 기록마크를 소형화하기 위한 초해상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자기기록층(16)의 양측에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자기광학효과를 향상하기 위하여, 그리고 기록막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유전체 보호층 등이 자기기록층(16)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유전체 보호층으로서는 기록에 이용하는 빛의 흡수가 적고, 굴절율이 높은 재료가 바람직하고, 그와 같은 재료로서는 질화규소, 질화알루미늄, 산화규소, 황화아연이나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광자기디스크(10)로의 정보의 기록 및 광자기디스크(10)로부터의 정보의 재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에 상기 광자기디스크910)로의 정보의기록, 및 기록한 정보의 재생에 사용할 수 있는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의 개략구성을 나타낸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자기디스크(10)의 광입사면측(자기기록층측)에는 자기헤드(50) 및 광검출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 후술하는 광자기헤드(100)가 배치되어 있다. 광자기디스크(10)는 마그넷 체킹 등으로 스핀들모터(118)에 지지되고, 회전축 둘레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광자기헤드(100)의 광검출기로 검출된 검출신호는, 정보재생신호와 서보신호로 분리된다. 정보재생신호는 제1증폭기(102)로부터 재생신호 처리계의 A/D변환기(104)에 공급되고, 디지털신호로 변환되어 디지털 이퀄라이저(106)에 공급되고, 디지털 이퀄라이저(106)에서 신호처리된다. 디지털 이퀄라이저(106)에서 신호처리된 데이터는 디코더(108)에서 디코드되어, 재생된 기록정보가 출력된다. 서보신호는 제2증폭기(110)에 입력되고, 제2증폭기(110)에서 트래킹오류신호, 회전제어신호, 클럭신호 등이 생성된다.
클럭신호는 PLL회로에 공급되고, PLL회로에 의해 장치 내의 기준신호(마스터클럭)로 되는 클럭신호가 A/D변환기(104), 디지털 이퀄라이저(106), 헤드서보회로(114), 스핀들서보회로(116) 및 인코더(122)에 공급된다.
회전제어신호는 스핀들서보회로(116)에 입력되고, 스핀들서보회로(116)에 의해 모터구동회로(120)가 PLL제어되어 스핀들모터(118)가 소정 회전수로 회전된다.
트래킹오류신호는 헤드서보회로(114)에 입력되어 헤드서보회로(114)에 의해 트랙 상에 빔스폿이 위치하도록 트래킹서보가 행해지고, 광자기헤드(100)의 디스크 지름방향의 위치가 제어된다. 광자기디스크(10)를 사용하여 정보의 기록 및 재생을 행하는 경우에는 트래킹서보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자기 커효과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도 3의 (A)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체측이 S극이고 기록면측이 N극으로 되는 방향으로 자화된 자화영역(16A)에 직선편광을 조사하면, 자기 커효과게 의해 그 반사광의 편광면은 입사광의 편광면에서 소정각도(θ)(예를 들면 오른쪽 방향)만큼 회전한다. 한편, 도 3의 (B)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체측이 N극이고 기록면측이 S극이 되는 방향으로 자화된 자화영역(16B)에 같은 직선편광을 조사하면, 자기 커효과에 의해 그 반사광의 편광면은 입사광의 편광면에서 소정각도(-θ)(예를 들면 왼쪽 방향)만큼 회전한다.
따라서, 기록광으로서 조사된 근접장광은 광자기디스크(10)에 의해 반사되지만, 편광판 등을 통하여 이 반사광으로부터 편광면이 소정각도만큼 회전한 반사광을 검출하고, 이 반사광의 강도에 의해 헤드와 트랙의 상대적인 오차를 검출하여,트래킹서보를 행할 수 있다. 즉, 동심원상 또는 나선형상으로 설치된 자화영역(16A) 및 자화영역(16B)은 트래킹 가이드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한, 트래킹오류 검출방식으로서는, 2분할 광검출기구(photo-detector)를 사용하여 트래킹 오차신호를 얻는 푸시풀(push-pull)법, 3빔법 등, 광디스크에 있어서 사용되는 트래킹오류 검출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중에서도 생성하는 서보오류신호 품위가 가장 높게 되는 3빔법이 특히 바람직하다.
도 9를 참조하여 3빔에 대하여 설명한다. 3빔법은 레이저광원으로부터 발생시킨 레이저광을, 신호의 기록재생에 사용하는 메인빔과 트래킹을 행하기 위한 2개의 서브빔으로 분광되어 트래킹을 행하는 방식이다. 도 9의 (A)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빔에 의한 스폿(100)이 기록트랙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는, 서브빔에 의한 스폿(A) 및 스폿(B)은 같은 자화방향의 트랙에 같은 정도로 겹쳐 있고, 검출한 반사광의 편광면의 회전각도는 대략 동등하고, 도 10에 나타내는 회로에서의 트래킹 오차신호의 출력은 제로로 된다. 이것에 대하여, 도 9의 (B)부분 및 (C)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같은 자화방향의 트랙에 겹치는 정도가 스폿 A 및 스폿 B에서 다른 경우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회로에서의 트래킹 오차신호의 출력은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로 된다. 따라서, 트래킹 오차신호의 출력에 의해 메인빔의 기록 트랙중심에서의 오차를 검출할 수 있다.
도 9의 (D)부분 및 (E)부분은, 빔배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9의 (D)부분의 경우는, 메인빔과 서브빔의 배치를 변경한 예이며, 도 9의 (E)부분의 경우는, 서브빔이 판독하는 서보트랙이 기록트랙에서 멀어진 예이다.
광자기디스크(10)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신호(레코딩데이터)는, 인코더(122)에서 클럭신호에 의해 인코드된다. 인코드된 신호는 시스템컨트롤러(126)에 접속된 자기헤드(50)에 기록자계 제어회로(36)를 통하여 공급됨과 아울러, 마찬가지로 시스템컨트롤러(126)에 접속된 LD구동회로(124)에도 공급된다. LD구동회로(124)는 시스템컨트롤러(126)의 지시에 기초하여 광자기헤드(100)에 반도체 레이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레이저광을 공급한다.
이 기록재생장치의 광자기헤드부(100)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윙암(34)의 선단에 부착되고, 광자기디스크(10)의 회전에 따라 부상하는 부상형 슬라이더(32)를 구비하고 있다. 이 부상형 슬라이더(32)는 서스펜션(38)의 선단부에 고정된 박형의 판스프링인 짐벌즈(52)의 하면에 부착되고, 서스펜션(38)은 스윙암(34)에 지지되어 있다. 또, 부상형 슬라이더(32)는 그 부상면(ABS : Air Bearing Surface)(40)이 광자기디스크(10)의 기록면에 마주보도록, 광자기디스크(10)의 기록면 윗쪽에 배치되고, 화살표 C방향을 따른 스윙암(34)의 회전에 의해 광자기디스크(10)의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광자기헤드부(10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자기디스크(10)의 회전에 따라 부상하는 부상형 슬라이더(32)를 구비하고 있고, 그 부상면(40)에는 양압 또는 음압을 부여하기 위한 레일패턴(42)이 설치되어 있다. 부상형 슬라이더(32)의 부상면(40)에는 빛의 파장보다도 작은 지름의 미소개구(4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미소개구(46)에 외부로부터의 빛(외부에 설치된 반도체 레이저(도시생략)로부터의 빛)을 안내하기 위하여, 서스펜션(38)과 평행하게 광섬유(44)가 설치되어 있다. 광섬유(44)의 출사단은 부상형 슬라이더(32) 내부에 배치되고, 광섬유(44)의 출사단 아래쪽에는 미소개구(46)에 빛을 집광하기 위한 집광렌즈(47)가 배치되어 있다. 또, 부상면(40)에는 여자코일을 구비하여 디스크면에 수직인 방향의 자계를 인가하기 위한 자기헤드(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자기헤드(50)는 정보기록시에 인가하는 자계를 제어하는 기록자계 제어회로(36)에 접속되어 있다. 이 장치에서는 광섬유(44)에 의해 안내된 빛을, 집광렌즈(47)로 미소개구(46)에 집광하고, 미소개구(46)로부터 출사시킴으로써 미소개구(46)의 근방에 근접장광(54)을 발생시킬 수 있다.
광자기디스크(10)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이 광자기디스크910)에 대하여 부상형 슬라이더(32)를 눌러 붙이면, 광자기디스크(10)와 부상형 슬라이더(32)는 매우 약한 힘으로 안정되게 접촉슬라이딩한다. 이와 같이, 안정된 접촉슬라이딩 상태로 함으로써 광자기디스크(10)의 자기기록층(16)과 자기헤드(50)의 거리는 디스크면 평균으로 100㎚이하로까지 근접시킬 수 있다. 헤드의 안정주행을 위하여, 디스크의 회전수는 1000rpm~10000rpm이 바람직하고, 2000rpm~7500rpm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디스크의 면흔들림은 작은 쪽이 바람직하고, 약 50㎛정도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자계변조방식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이 안정되게 접촉슬라이딩하고 있는 상태에서, 자기기록층(16)에 근접장광을 펄스화하여 조사함으로써 광조사 부분을 퀴리온도 이상까지 가열하고, 가열부분의 항자력을 충분히 저하시켜 비교적 작은 자계강도에서도 자화반전하기 쉽게 한다. 광자기디스크(10)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신호가 인코더(122)에 공급되면, 광자기디스크(10)에 자계를 인가하는 자기헤드(50)의 자화전류가, 기록자계 제어회로(36)에 의해 기록신호에 따라서 반전하도록 변조된다. 이 기록신호에 대응하여 변조된 자계를, 자기기록층(16)의 자화반전하기 쉽게 된 영역에 인가함으로써 수직방향에 있어서 자계를 반전하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랙인 자화영역(16A) 및 자화영역(16B)의 각각을 따라서 근접장광(54)에 의한 가열부분과 대략 같은 크기의 기록비트(58)(자계 반전부분)가 형성된다.
또, 자계변조방식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기록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근접장광을 조사하는 펄스간격을 광빔의 스폿 사이즈보다 작게 한다. 이것에 의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형성된 기록비트의 일부에 뒤에 기록된 기록비트의 일부가 겹치고, 디스크 원주방향에서는 오버라이트되게 된다. 이와 같이, 자계변조방식에서는 원주방향의 기록마크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어 보다 고밀도화에 적합하다.
한편, 광변조방식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자화영역(16A) 또는 자화영역(16B)에 자기헤드(50)로부터 그 자화방향과 반대의 자계를 인가한다. 그리고, LD구동회로(124)에 의해 반도체 레이저(도시하지 않음)를 변조구동하여 기록신호에 대응하여 강도변조된 근접장광을 발생시킨다. 경화영역에는 그 자화방향과 반대의 자계가 인가되어 있기 때문에, 이 기록신호에 대응하여 강도변조된 근접장광을 자기기록층(16)의 자화영역에 조사함으로써 광빔(30)을 조사한 부분만큼 자화가 반전되어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랙인 자화영역(16A) 및 자화영역(16B)의 각각을 따라서 기록비트(31)가 형성된다. 이 때 광빔의 강도분포는 가우스분포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강도가 큰 스폿의 중심부분에 기록비트(31)가 형성된다. 이때문에 광빔(30)의 스폿보다 작은 기록비트(31)가 기록신호에 따라서 기록된다.
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S형의 자화영역(16B)에만 기록하고, N형의 자화영역(16A)는 트래킹을 위하여 사용하는 등, 트래킹을 위한 자화영역과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자화영역으로 나누고, 자화영역의 일부에 정보를 기록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자계변조방식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자화영역의 일부에 정보를 기록하도록 하여도 된다.
정보재생시에는, 마찬가지로 안정되게 접촉슬라이딩하고 있는 상태에서, 트래킹서보의 경우와 같이, 기록신호가 기록된 자화영역에 직접편광인 근접장광을 조사하고, 자기 커효과를 이용하여 자화방향의 상위에 따른 반사광의 편광면의 회전방향을 검출함으로써, 자기적으로 기록된 기록신호를 판독할 수 있다. 또, 정보의 재생은 자계의 강도에 따라서 전기저항이 변화하는 자기저항효과를 이용한, MR(Magneto Resistive)헤드, GMR(Giant Magneto Resistive)헤드, TMR(Tunnel Magneto Resistive)헤드 등의 자기헤드를 사용하여 행하여도 좋다. 그중에서도 고감도인 GMR헤드 및 TMR헤드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보기록방법에 사용되는 정보기록매체는, 자기기록층이 트래킹을 위하여 미리 자화방향이 다른 자화영역이 반경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도록 자화되어 있기 때문에, 자화영역의 자화방향의 상위에 기초하여 트래킹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화영역의 자화방향의 상위에 기초하여 트래킹을 행할 수 있으므로, 매체 표면에 요철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검출기를 기록매체의 극근방에 배치하는 경우에도 안정된 헤드주행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자기기록층이 트래킹을 위하여 미리 디스크 중심에 대하여 동심원상 또는 나선형상으로 자화되어 있기 때문에, 트래킹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고, 정확한 트래킹서보를 행할 수 있어, 양호한 S/N으로 신호의 기록 및 재생을 행할 수 있다. 또, 트래킹을 위하여 미리 자화된 자화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때문에, 서보영역의 면적증가에 의한 기록용량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자화방향을 디스크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함으로써 반경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 자화방향이 다른 자화영역이 서로 그 자력을 약화시키는 일이 없어져서 각 자화영역의 자력이 안정화된다.
또한, 자화영역의 자화방향의 상위에 기초하여 트래킹을 행할 수 있으므로, 디스크상의 평활한 기판에 요철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근접장광을 이용한 차세대의 고밀도 기록방식 등과 같이 검출기를 기록매체의 극근방에 배치하는 경우에도, 안정된 헤드주행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또, 광자기디스크는 가요성을 구비한 수지필름 등의 지지체를 기재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자기헤드와의 접촉시의 충격이 회피되어 광자기디스크와 자기헤드는 매우 약한 힘으로 안정되게 접촉 슬라이딩한다. 또한, 가요성을 구비한 수지필름 등을 기재로 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자기디스크를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보기록방법은, 이 정보기록매체를 사용하여 트래킹을 위하여 미리 자화된 자화영역에 정보를 자기적으로 기록하기 때문에, 서보영역의 면적증가에 의한 기록용량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근접장광을 조사함으로써 광조사부분을퀴리온도 부근까지 가열함과 동시에 자기헤드에서 소정방향의 자계를 인가하여 자기적으로 정보를 기록하기 때문에, 통상의 광기록에 의한 자기마크보다도 작은 기록마크를 형성할 수 있어 고밀도 기록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트래킹을 연속적으로 행하므로 정확한 트래킹서보를 행할 수 있어 양호한 S/N으로 신호의 기록을 행할 수 있다.
또, 디스크면에 대하여 수직인 자계를 인가하여 자기적으로 정보를 기록하기(즉, 수직자화 하기) 때문에, 자화방향이 다른 기록비트가 인접하여 서로 그 자력을 약화시키는 일이 없게 되어 기록영역의 자력이 안정화된다.
또한, 근접장광은 출사단에서 빛의 파장이하의 영역 내에밖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검출기를 기록매체의 극근방에 배치하여 기록을 행하여야만 하지만, 기판과는 반대측에서 자기기록층에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이른바 고속표면기록)에는 두꺼운 기판을 통하여 자기기록층에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보다도 자기기록층을 검출기에 가까이 할 수 있다.
이상, 광자기디스크를 카트리지 내에 격납하고, 가환매체로서 사용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정보기록매체는 하드디스크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자성층측에 자기헤드를 설치하였지만, 광변조기록의 때에는 자기헤드를 디스크의 이면측에 배치하여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정보기록매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정보기록매체(10)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의 (A)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부에 센터홀이 형성된 디스크상의 정보기록매체이다. 또, 정보기록매체(10)는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른바 하드디스크로 하여도 좋다.
정보기록매체(10)를 플렉시블디스크로 하는 경우에는 제1실시예에 같이, 지지체(14)는 헤드와의 접촉시의 충격을 회피하기 위하여 가요성을 구비한 수지필름으로 구성된다.
또, 정보기록매체(10)를 하드디스크로 하는 경우에는, 제2실시예와 같이 지지체(14)를 알루미늄기판, 유리기판, 폴리카보네이트기판, 카본기판 등, 비교적 경도가 높은 재료로 구성한다. 이들 기판의 두께는 0.2㎜~2.0㎜가 바람직하고, 0.3㎜~1.2㎜가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 정보기록매체의 자기기록층(16)을 프리포맷하여 정보기록매체를 제조하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기전사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자성 재료로 구성되어 요철패턴이 형성된 기판(26)을 구비하고, 이 기판(26)상에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자성층(28)이 형성된 마스터캐리어(24)로부터, 자화되기 전의 자기기록층(16)을 구비한 종속매체(22)에 자기를 전사하여 소정패턴의 자화영역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이하, 자기전사에 의해 자화영역을 형성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2의 (A)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체(14)상에 자화되기 전의 자기기록층(16), 보호층(도시하지 않음) 및 윤활층(도시하지 않음)을 적층한 종속매체(22)에, 화살표 A방향의 직류자계를 인가하여 종속매체(22)의 자기기록층(16)을 화살표 A방향으로 여자한다(초기자화). 또한, 자기기록층(16)은 초기자화되어전체가 자화영역(16A)으로 된다.
다음에 도 2의 (B)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터캐리어(24)를, 초기자화된 종속매체(22)에 밀착시키고, 전사자계로서 화살표 B방향의 직류자계 또는 교류바이어스자계 등을 인가하고, 자성층(28)을 화살표 B방향으로 여자한다. 이것에 의해 도 2의 (C)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속매체(22)와 자성층(28)이 접촉하고 있는 부분에서 자기기록층(16)의 대응하는 부분에 화살표 B방향의 자계가 인가되어, 그 부분의 자화방향이 반전되고, 자화영역(16A) 속에 자화영역(16B)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종속매체(22)의 정밀한 프리포맷이 행해진다.
마스터캐리어(24)의 기판(26)으로서는, 후술하는 스탬퍼 제작기술에 의해 제작한 패턴화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탬퍼 제작기술에 의해 기판을 제작하는 경우, 기판(26)은 Ni 혹은 Ni를 주체로 하는 자성금속, 또는 비자성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Ni를 함유하는 금속재료로 금형을 형성하고, 이 금형을 사용하여 합성수지의 기판을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하여도 좋다. 합성수지의 기판을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하는 경우에는, 버니시처리, 폴리시처리에 의해 버(burr)를 제거하여 표면을 평활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반도체 제조공정에 있어서 사용되는 포토퍼블리케이션의 방법에 의해 기판(26)을 제작하는 경우, 기판(26)으로서는 실리콘, 석영판, 유리, 알루미늄 등의 비자성 금속 또는 합금, 세라믹,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된 표면이 평활한 판상체이고, 후술하는 에칭공정, 막형성공정에서의 온도 등의 처리환경에 내성을 보유하는 것을 사용한다.
이 기판(26)의 표면에는 자성층(28)에 자기이방성을 형성하기 위한 비자성의 하지층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층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하지층의 결정구조와 격자상수는 자성층과 같은 것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층의 재료로서는 구체적으로는 Cr, CrTi, CoCr, CrTa, CrMo, NiAl, Ru 등이 바람직하고, 이들 재료를 스퍼터링으로 성막함으로써 하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자성층(28)에는 자속밀도가 큰 코발트, 철, 니켈 또는 그들의 합금 등의 강자성체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Co, CoNiZr, CoNbTaZr, Fe, FeCo, FeCoNi, FeNiMo, FeAlSi, FeAl, FeTaN, Ni, NiFe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FeCo, FeCoNi가 특히 바람직하다. 자성층(28)의 두께로서는 20~1000㎚이고, 바람직하게는 30~500㎚이다. 너무 두꺼우면 기록분해능이 저하된다.
자성층(28)에 사용하는 재료는, 전사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자속밀도가 크고, 종속매체와 같은 방향, 예를 들면 수평자화를 행하는 경우는 수평방향, 수직자화를 행하는 경우에는 수직방향의 자기이방성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미세한 자기입자 또는 아몰파스구조를 보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성층(28)의 표면에는 마찰에 의한 깍임 등의 자성층의 손상을 적게 할 목적으로 보호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보호막은 흑연구조 또는 다이아몬드형 구조의 탄소보호막을, 메탄, 에탄, 프로판, 부탄 등의 알칸, 또는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알켄, 또는 아세틸렌 등의 알킨을 비롯한 탄소함유화합물을 원료로 한 플라즈마 CVD에 의해서 형성하여도 좋다. 이때, 기판에 50~400V의 마이너스 전압을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보호막은 5~30㎚의 두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또, 이 탄소보호막상에는 윤활제를 부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윤활제가 부여된 경우에는 마스터캐리어와 종속매체가 접촉할 때에 발생하는 마찰에 의한 내구성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마스터캐리어와 종속매체를 밀착시키는데는, 고무판을 끼워서 알루미늄판 등의 비자성체상에서 가압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고, 마스터캐리어와 종속매체를 중합시켜서 그 사이에 개재하는 공기를 감압하에서 흡인하는 방법이 유효하다. 또, 마스터캐리어와 종속매체의 전사시의 위치관계는 어느쪽이 위 또는 아래로 되어도 좋다.
마스터캐리어(24)는 레지스트마스크를 사용한 포토퍼블리케이션이나 광디스크의 기판형성에 사용하는 스탬퍼 제작기술 등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스탬퍼 제작기술을 사용한 마스터캐리어(24)의 제작방법의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14의 (A)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이 평활한 스탬퍼 제작용 디스크(70)상에 포토레지스트(72)를 스핀코트 등에 의해 도포한다. 포토레지스트(72)는 포지티브 레지스트, 네거티브 레지스트의 어느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다음에,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72)를 형성한 스탬퍼 제작용 디스크(70)를 회전시키면서 프리포맷의 정보에 따라서 변조된 광빔(L)(예를 들면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포토레지스트(72)를 노광한다. 노광후의 포토레지스트(72)를 현상하면, 도 14의 (B)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리포맷의 정보에 따른 요철패턴이 형성된 원반(74)이 얻어진다. 즉, 원반(74)에는 도 1의(A)~(C)부분에 나타내는, 디스크 중심에 대하여 동심원상 또는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는 자화영역(16A) 및 자화영역(16B)의 어느 한쪽에 대응하여 요철패턴이 형성된다.
다음에 도 14의 (C)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반(74)의 표면에 얇은 은도금층(76)을 형성한 후, 이 원반(74)을 모형으로 하여 사용하고, 예를 들면 석출금속으로서 니켈 등을 사용한 전주에 의해 소정두께의 금속반을 형성한다. 이 금속반을 원반(74)에서 이형하면, 도 14의 (D)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터캐리어(24)의 기판(26)이 얻어진다. 기판(26)의 표면에는 원반(74)의 요철패턴이 반전되어 전사되고 있다.
다음에, 도 14의 (E)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성재료를 스퍼터링, 진공증착, 도금 등의 방법에 의해서 성막하여 자성층(28)을, 요철패턴이 형성된 기판(26)의 표면 전면에 형성하여 마스터캐리어(24)가 완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정보기록매체의 제조방법은, 자기기록층 전체를 소정방향으로 자화하고, 중심에 대하여 동심원상 또는 나선형상으로 자성층이 형성된 디스크상의 마스터캐리어의 자성층을, 정보기록매체의 자기기록층 표면에 밀착시켜 자성층을 통하여 소정방향과 다른 방향의 자계를 자기기록층에 인가하여 자성층을 밀착시킨 부분의 자화방향을 반전시키고, 정보기록매체를 제조하는 것이다. 즉, 마스터캐리어의 자성층을 통하여 자기기록층에 자계를 인가하는 것만으로, 대량의 정보를 일괄 전사하는 것이 가능하여 매우 단시간에 프리포맷 기록을 행할 수 있어 생산성이 우수하다.
또, 마스터캐리어와 정보기록매체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화시키지 않고 정적으로 기록을 행할 수 있으므로, 정밀하게 프리포맷 기록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강자성체 패턴을 자기적으로 여기하기 위하여 패턴단에 자속이 수속되고, 인가되는 자계 이상의 자계강도가 표현된다. 또한, 외부에서 인가되는 자계에 의해 자계강도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고, 기록매체 자체의 저항력의 영향을 그다지 받지 않는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정보기록매체는, 자기기록층이 트래킹을 위하여 미리 자화방향이 다른 자화영역이 반경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도록 자화되어 있기 때문에, 자화영역의 자화방향의 상위에 기초하여 트래킹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화영역의 자화방향의 상위에 기초하여 트래킹을 행할 수 있으므로, 매체 표면에 요철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검출기를 기록매체의 극근방에 배치하는 경우에도 안정된 헤드주행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자기기록층이 트래킹을 위하여 미리 디스크 중심에 대하여 동심원상 또는 나선형상으로 자화되어 있기 때문에, 트래킹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고, 정확한 트래킹서보를 생할 수 있어 양호한 S.N으로 신호의 기록 및 재생을 행할 수 있다. 또, 트래킹을 위하여 미리 자화된 자화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때문에, 서보영역의 면적증가에 의한 기록용량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자화방향을 디스크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함으로써 반경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 자화방향이 다른 자화영역이 상호 그 자력을 약화시키지 않게 되어 각 자화영역의 자력이 안정화된다.
그리고, 자화영역의 자화방향의 상위에 기초하여 트래킹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크상의 평활한 기판에 요철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근접장광을 이용한 차세대의 고밀도 기록방식 등과 같이, 검출기를 기록매체의 극근방에 배치하는 경우에도 안정된 헤드주행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보기록매체는, 정확히 트래킹서보를 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발명의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은 정확히 트래킹서보를 행하면서 정보의 기록 및 재생의 적어도 한쪽 처리를 행함으로써, 양호한 S/N으로 신호의 기록 및 재생을 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발명의 정보기록매체는 정확히 트래킹서보를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검출기를 기록매체의 극근방에 배치하는 경우에도 안정된 헤드주행상태로 된다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발명의 정보기록매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정확히 트래킹서보를 행할 수 있는 정보기록매체를 단시간에 정밀하게 제조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9)

  1. 자기적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자기기록층을 지지체상에 구비하고,
    상기 자기기록층이 트래킹을 위하여 미리 디스크 중심에 대하여 동심원상 또는 나선형상으로 자화됨과 동시에, 자화방향이 다른 자화영역이 반경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도록 자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트래킹을 위한 자화방향을 디스크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디스크상의 가요성 비자성 지지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기록층에 이산적인 서보필드가 미리 자기적으로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영역이 일정주파수로 사행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6.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자화방향으로 자화된 자화영역을, 다른 자화방향으로 자화된 자화영역보다 넓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7. 자기적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자기기록층을 지지체상에 구비하고, 상기 자기기록층이 트래킹을 위하여 미리 디스크 중심에 대하여 동심원상 또는 나선형상으로 자화됨과 동시에, 자화방향이 다른 자화영역이 반경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도록 자화된 정보기록매체를 사용하고, 상기 자기기록층의 자화영역 자화방향의 상위에 기초하여 트래킹을 행하면서 정보의 기록 및 재생의 적어도 한쪽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영역에 직선편광을 조사하여 상기 자화방향의 상위에 따른 반사광의 편광면 회전방향을 검출하고, 검출된 반사광의 편광면 회전방향에 기초하여 트래킹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편광은 근접장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2개의 트래킹빔에 의한 반사광의 편광면 회전방향을 각각 검출함과 아울러 2개의 검출값을 비교하는 3빔법에 의해 상기 트래킹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11. 자기적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자기기록층을 지지체상에 구비하고, 상기 자기기록층이 트래킹을 위하여 미리 디스크 중심에 대하여 동심원상 또는 나선형상으로 자화됨과 동시에, 자화방향이 다른 자화영역이 반경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도록 자화되고, 상기 자기기록층에 이산적인 서보필드가 미리 자기적으로 기록된 정보기록매체를 사용하여, 상기 자기기록층의 자화영역의 자화방향의 상위에 기초하여 트래킹을 행하면서 정보의 기록 및 재생의 적어도 한쪽 처리를 행하는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으로서,
    상기 이산적으로 기록된 서보필드에 기초하여 섹터서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12. 자기적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기록층을 지지체상에 구비하고, 상기 자기기록층이 트래킹을 위하여 미리 디스크 중심에 대하여 동심원상 또는 나선형상으로 자화됨과 동시에, 자화방향이 다른 자화영역이 반경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도록 자화되고, 상기 자화영역이 일정 주파수로 사행하도록 형성된 정보기록매체를 사용하여, 상기 자기기록층의 자화영역의 자화방향의 상위에 기초하여 트래킹을 행하면서 정보의 기록 및 재생의 적어도 한쪽 처리를 행하는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으로서,
    상기 일정주파수로 사행하는 자화영역의 상기 주파수에 기초하여 클럭신호 및 어드레스신호의 적어도 한쪽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영역에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영역에 광변조방식 또는 자계변조방식에 의해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기록층의 자화영역에 근접장광을 조사함으로써 광조사부분을 퀴리온도 부근까지 가열함과 동시에, 자기헤드로부터 소정방향의 자계를 인가하여 자기적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16. 제7항에 있어서, 소정의 자화방향으로 자화된 자화영역에만 자기적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자화방향으로 자화된 자화영역을 다른 자화방향으로 자화된 자화영역보다 넓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자화방향으로 자화된 자화영역을 복수의 트랙으로 나누어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1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영역에 직선편광을 조사하여 상기 자화방향의 상위에 따른 반사광의 편광면 회전방향을 검출하고, 검출된 반사광의 편광면 회전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자화영역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2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영역의 자기로부터 전자유도에 의해 전류를 발생시켜서 상기 자화방향의 상위에 따른 전류의 방향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류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자화영역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2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영역의 자기에 의해 전기저항을 변화시켜 전기저항의 변화를 검출하고, 검출된 전기저항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자화영역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2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기록층의 표면과 자기헤드를 디스크면 평균으로 100㎚이하로 근접시켜서 정보의 기록 및 재생의 적어도 한쪽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디스크상의 평활한 지지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24. 제23항에 있어서, 트래킹을 위한 자화방향 및 정보를 기록재생하기 위한 자화방향을, 디스크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기록층상에 보호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상에 윤활막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 및 윤활막을 합친 두께가 10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와 상기 자기기록층 사이에 반사막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2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가요성 비자성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3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기록층의 자화영역에 근접장광을 조사함으로써 광조사 부분을 퀴리온도 부근까지 가열함과 동시에, 자기헤드로부터 소정방향의 자계를 인가하여 자기적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방향의 자계는 디스크면에 대하여 수직인 자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소정방향의 자계를 인가하여 자기기록층에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방법.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기록층의 자화영역에, 자기헤드로부터 소정방향의 자계를 인가한 상태에서, 기록신호에 따라서 변조된 근접장광을 조사하여 자기적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방법.
  3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기록층의 자화영역에, 근접장광을 조사한 상태에서, 자기헤드로부터 기록신호에 따라서 변조된 소정방향의 자계를 인가하여 자기적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방법.
  35.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가요성 비자성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방법.
  3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기록층의 표면과 상기 자기헤드를 100㎚이하로 근접시켜서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방법.
  37.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자기기록층 사이에 반사막이 형성되고, 상기 정보기록매체에 근접장광을 조사하였을 때의 상기 자기기록층 표면에서의 반사광과 함께 상기 자기기록층을 투과하여 상기 반사막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검출하여, 상기 트래킹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방법.
  38. 제30항에 있어서, 소정의 자화방향으로 자화된 자화영역을 복수의 트랙으로 나누어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방법.
  39. 자기적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자기기록층을 구비하고, 상기 자기기록층이 트래킹을 위하여 미리 디스크 중심에 대하여 동심원상 또는 나선형상으로 자화됨과 동시에, 자화방향이 다른 자화영역이 반경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도록 자화된 정보기록매체를 제조하는 정보기록매체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자기기록층 전체를 소정방향으로 자화하고,
    중심에 대하여 동심원상 또는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며, 또한 적어도 볼록부가 자성층에 의해 피복된 요철패턴이 형성된 디스크상의 마스터캐리어의 상기 자성층을, 상기 정보기록매체의 자기기록층 표면에 밀착시키고,
    상기 자성층을 통하여 상기 소정방향과 다른 방향의 자계를 자기기록층에 인가하여 자성층을 밀착시킨 부분의 자화방향을 반전시켜서 정보기록매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의 제조방법.
KR1020010082454A 2000-12-22 2001-12-21 정보기록매체, 정보기록방법 및 정보기록매체의 제조방법 KR200200518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91342 2000-12-22
JPJP-P-2000-00391343 2000-12-22
JP2000391344 2000-12-22
JP2000391343 2000-12-22
JP2000391342 2000-12-22
JPJP-P-2000-00391341 2000-12-22
JP2000391341 2000-12-22
JPJP-P-2000-00391344 2000-12-22
JP2001161371A JP2002251725A (ja) 2000-12-22 2001-05-29 情報記録媒体の製造方法
JPJP-P-2001-00161371 2001-05-29
JP2001274234A JP2002251808A (ja) 2000-12-22 2001-09-10 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記録媒体の処理方法
JPJP-P-2001-00274236 2001-09-10
JPJP-P-2001-00274234 2001-09-10
JP2001274235A JP2002251810A (ja) 2000-12-22 2001-09-10 情報記録方法
JP2001274236A JP2002251809A (ja) 2000-12-22 2001-09-10 情報記録媒体
JPJP-P-2001-00274235 2001-09-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868A true KR20020051868A (ko) 2002-06-29

Family

ID=27573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2454A KR20020051868A (ko) 2000-12-22 2001-12-21 정보기록매체, 정보기록방법 및 정보기록매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29201B2 (ko)
EP (1) EP1220204A3 (ko)
KR (1) KR20020051868A (ko)
CN (1) CN1257490C (ko)
SG (1) SG1164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16437A1 (en) * 2000-12-22 2005-11-28 Fuji Photo Film Co Lt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2003263804A (ja) * 2002-03-08 2003-09-19 Pioneer Electronic Corp 誘電体記録媒体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2004152466A (ja) * 2002-10-07 2004-05-27 Sharp Corp 磁気記録媒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磁気記録装置
JP4089904B2 (ja) * 2004-06-15 2008-05-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の製造方法
JP4427392B2 (ja) * 2004-06-22 2010-03-03 株式会社東芝 磁気記録媒体、その製造方法及び磁気記録再生装置
JP2006031856A (ja) * 2004-07-16 2006-02-02 Toshiba Corp 垂直磁気記録用のパターンドディスク媒体及び同媒体を搭載した磁気ディスクドライブ
JP2006099932A (ja) * 2004-09-03 2006-04-13 Tdk Corp 磁気記録媒体、磁気記録再生装置及び磁気記録媒体製造用スタンパ
JP4402054B2 (ja) * 2005-03-28 2010-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の記録・再生装置、情報の記録媒体及び記録装置
JP4649262B2 (ja) * 2005-04-19 2011-03-09 株式会社東芝 磁気記録媒体の製造方法
JP2007172691A (ja) * 2005-12-20 2007-07-05 Tdk Corp 磁気記録媒体、スタンパー、記録再生装置およびパラメータ測定方法
JP4585476B2 (ja) * 2006-03-16 2010-11-24 株式会社東芝 パターンド媒体および磁気記録装置
JP4675812B2 (ja) * 2006-03-30 2011-04-27 株式会社東芝 磁気記録媒体、磁気記録装置および磁気記録媒体の製造方法
DE102006037216B4 (de) * 2006-04-04 2017-07-13 Tesa Scribo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unkteverteilung in einem Speichermedium sowie ein Speichermedium
JP4557994B2 (ja) * 2007-02-22 2010-10-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磁気記録媒体の製造方法
JP2008282512A (ja) * 2007-05-14 2008-11-20 Toshiba Corp 磁気記録媒体及び磁気記録再生装置
JP4382843B2 (ja) * 2007-09-26 2009-12-16 株式会社東芝 磁気記録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182376A (ja) * 2009-02-05 2010-08-19 Tdk Corp 磁気記録媒体、記録再生装置およびスタンパー
US8094403B2 (en) * 2009-05-04 2012-01-10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Correcting errors in position of an HDD write-head
EP2355102A1 (en) * 2010-02-02 2011-08-10 Thomson Licensing Near-field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pickup for this optical recording medium
US8760980B2 (en) * 2012-11-20 2014-06-24 Seagate Technology Llc Protective overcoat layer of carbon and a selected transition metal
EP3681695A1 (en) 2017-09-11 2020-07-22 Raytheon Company Magnetic encoding of physical objects in an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
JP7036323B2 (ja) * 2018-03-29 2022-03-15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記録方法、記録装置、再生方法、及び、再生装置
US11635746B2 (en) 2020-03-25 2023-04-25 Raytheon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physical objects with randomized embedded inform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1621A (ja) * 1996-03-18 1997-09-22 Toshiba Corp 磁気抵抗効果素子及び磁気情報再生方法
JPH11191246A (ja) * 1997-12-25 1999-07-13 Fujitsu Ltd 情報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283231A (ja) * 1998-03-27 1999-10-15 Victor Co Of Japan Ltd 垂直磁気記録媒体
EP1220204A2 (en) * 2000-12-22 2002-07-03 Fuji Photo Film Co., Lt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6346A (en) * 1971-08-30 1972-10-03 Honeywell Inc Beam addressed optical memory
JPS59191128A (ja) * 1983-04-13 1984-10-30 Fujitsu Ltd 磁気デイスク装置
US4559570A (en) * 1984-05-14 1985-12-17 Compusonics Corporation Magnetic storage system
US4642709A (en) * 1985-10-16 1987-02-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win track vertical magnetic recording servo control method
JPS62239622A (ja) * 1986-04-11 1987-10-20 Hitachi Ltd 磁気式エンコ−ダ
JPS63306535A (ja) * 1987-06-05 1988-12-14 Sharp Corp 光学的記録再生装置
WO1989001685A1 (en) * 1987-08-17 1989-02-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Magnetic storage device with tracker system
JP2714244B2 (ja) * 1990-10-02 1998-02-16 三洋電機株式会社 トラッキング制御方法
JP3426034B2 (ja) * 1994-07-20 2003-07-14 シャープ株式会社 光磁気記録媒体および記録再生方法並びに光磁気記録媒体の製造方法
US6014296A (en) * 1995-07-24 2000-01-11 Kabushiki Kaisha Toshiba Magnetic disk, method of manufacturing magnetic disk and magnetic recording apparatus
TW342495B (en) * 1996-07-22 1998-10-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aster information carrier,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method for recording master information signal on magnetic recording medium
AU3460497A (en) * 1996-09-26 1998-04-17 Sanyo Electric Co., Ltd. Recording medium and its reproducer
WO1999030318A1 (en) * 1997-12-12 1999-06-17 Seagate Technology, Inc. Photo servo patterning on magneto-optical media
US6560168B1 (en) * 1998-09-02 2003-05-06 Hitachi, Ltd.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device
JP3964571B2 (ja) * 1999-04-13 2007-08-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記録再生ヘッドおよび記録再生ディスク装置
US6490111B1 (en) * 1999-08-25 2002-12-03 Seagate Technolog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freshing servo patterns in a disc driv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1621A (ja) * 1996-03-18 1997-09-22 Toshiba Corp 磁気抵抗効果素子及び磁気情報再生方法
JPH11191246A (ja) * 1997-12-25 1999-07-13 Fujitsu Ltd 情報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283231A (ja) * 1998-03-27 1999-10-15 Victor Co Of Japan Ltd 垂直磁気記録媒体
EP1220204A2 (en) * 2000-12-22 2002-07-03 Fuji Photo Film Co., Lt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81461A1 (en) 2002-06-27
EP1220204A2 (en) 2002-07-03
CN1360304A (zh) 2002-07-24
US6829201B2 (en) 2004-12-07
SG116437A1 (en) 2005-11-28
EP1220204A3 (en) 2007-04-04
CN1257490C (zh) 200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9201B2 (en) Magnetic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having regions magnetized in different directions, a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for the sam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567227B2 (en) Master information carrier, method for producing the carrier, method and apparatu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magnetic record medium using the carrier
KR20020088375A (ko) 자기전사용 마스터담체 및 자기전사방법, 그리고자기전사용 마스터담체의 제작방법
JP2008251157A (ja) 凹形状部および/または凸形状部を含む記憶ディスク
US6791774B1 (en) Contact magnetic transfer of servo pattern to rigid perpendicular magnetic recording disk
US6775100B1 (en) Laser assisted track width definition and radial control with magnetic recording
US6967815B2 (en) Method of depicting a pattern with electron beam and disc-like substrate and magnetic recording medium
KR100665001B1 (ko) 자기전사방법
US6833969B2 (en) Master information carrier for magnetic transfer
JP2008065910A (ja) マスター記録媒体、磁気転写方法、磁気転写装置、及びこれにより作製された磁気記録媒体、磁気記録再生装置
JPH11328662A (ja) 磁気記録媒体及び磁気記録装置
US6977786B2 (en)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using a vertical magnetic system
JP2002251808A (ja) 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記録媒体の処理方法
JP2002251809A (ja) 情報記録媒体
JP2002251810A (ja) 情報記録方法
JP2002251725A (ja) 情報記録媒体の製造方法
JP2004220691A (ja) 情報記録媒体
KR20030065352A (ko) 자기기록매체
JP2004199737A (ja) 情報記録媒体及びその情報記録再生方法
JP2007299461A (ja) サーボ信号検査方法、磁気記録媒体及び磁気記録再生装置
JPH09282648A (ja) 磁気ディスク及び磁気ディスク装置
JP2004199736A (ja) 情報記録媒体及びその情報記録再生方法
JP2003067993A (ja) 情報記録媒体
JP2004220690A (ja) 情報記録媒体製造方法および情報記録媒体
JP2007310943A (ja) 磁気転写用マスター担体、磁気転写方法、及びこれにより作製された磁気記録媒体、磁気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