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8058A -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폐카톤팩으로부터 고급 펄프를재생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폐카톤팩으로부터 고급 펄프를재생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8058A
KR20020048058A KR1020000077321A KR20000077321A KR20020048058A KR 20020048058 A KR20020048058 A KR 20020048058A KR 1020000077321 A KR1020000077321 A KR 1020000077321A KR 20000077321 A KR20000077321 A KR 20000077321A KR 20020048058 A KR20020048058 A KR 20020048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tant
ether
carton pack
polyoxy
polyoxy 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7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평원
최광수
송호섭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주) 에이엔티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주) 에이엔티케미칼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20000077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8058A/ko
Publication of KR20020048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8058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CPRODUCTION OF CELLULOSE BY REMOVING NON-CELLULOSE SUBSTANCES FROM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REGENERATION OF PULPING LIQUORS; APPARATUS THEREFOR
    • D21C5/00Other processes for obtaining cellulose, e.g. cooking cotton linters ;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cellulose-containing starting materials
    • D21C5/02Working-up waste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CPRODUCTION OF CELLULOSE BY REMOVING NON-CELLULOSE SUBSTANCES FROM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REGENERATION OF PULPING LIQUORS; APPARATUS THEREFOR
    • D21C3/00Pulping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 D21C3/003Pulping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with organic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CPRODUCTION OF CELLULOSE BY REMOVING NON-CELLULOSE SUBSTANCES FROM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REGENERATION OF PULPING LIQUORS; APPARATUS THEREFOR
    • D21C3/00Pulping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 D21C3/22Other features of pulping processes
    • D21C3/224Use of means other than pressure and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DTREATMENT OF THE MATERIALS BEFORE PASSING TO THE PAPER-MAKING MACHINE
    • D21D5/00Purification of the pulp suspension by mechanical means; Apparatus therefor
    • D21D5/02Straining or screening the pul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4Pap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per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순수 계면 활성제를 이용하여 폐카톤팩으로부터 고급 재생 펄프를 얻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펄프 재생법의 경우에는 Pulper의 기계적 힘과 유해 화학 약품을 이용한 강제 분리 방식이었으나 본 발명은 계면 활성제의 뛰어난 침투력으로 폐카톤팩의 폴리에틸렌 수지의 분리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공정 시간의 단축과 재생 펄프의 질 개선 및 폐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환경 친화적인 고급의 펄프 재생법이다.

Description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폐카톤팩으로부터 고급 펄프를 재생하는 방법{THE RECYCLING METHOD OF ORIGINAL PULP FROM USED MILK CARTON USING SURFACTANTS}
본 발명은 폐카톤팩으로부터 고급의 펄프를 재생함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유, 쥬스 등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식음료용 종이팩을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폴리에틸렌 막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여줌으로써 천연 펄프와 유사한 양질의 고급 펄프를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펄프 재생에 사용되는 폐카톤팩은 일반적으로 식음료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카톤팩은 천연 펄프와 양면에 폴리에틸렌 수지로 코팅되어 있어서 장시간 음료를 안정한 상태로 유지,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사용되는 펄프는 전량 외국에서 수입되는 100% 천연 펄프로 이루어지며, 카톤팩의 재생률 또한 20%선에 그치기 때문에 자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우리나라의 국가 경제에 있어서 커다란 손실이라 할 수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카톤팩 재생 방법들은 펄프와 폴리에틸렌 막의 분리를 돕기 위하여 팩을 작게 자르거나 천공하는 과정을 거친 후 고해기(Pulper)로 고해및 해리하고, 스크린을 통해 펄프와 폴리에틸렌 막을 분리 제거하여 유해 물질인 가성소다(NaOH) 와 차염소산소다(NaOCl)을 다량 이용한 여러 공정들을 거쳐 재생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방법들은 카톤팩을 세절 또는 천공하여 기계적이고 강제적인 방법으로 고해 및 해리시키므로 폴리에틸렌 수지가 너무 미세화되어 스크린 공정시 완전히 분리, 제거가 되지 않고 섬유소에 수지가 혼입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펄프의 섬유 조직이 손상되어 펄프의 질 저하를 초래한다. 더구나 다량의 폐수를 발생시켜 인체 및 환경에 큰 영향을 끼치는 NaOH, NaOCl 등의 사용은 현재 세계적으로 환경에 대한 문제가 심각히 대두되고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시점으로 점점 감소화될 전망이며, 이에 따른 새로운 펄프 재생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계면활성제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이용하여 카톤팩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아주 쉽게 분리하여 섬유 조직 손상이 거의 없는 고급의 재생 펄프를 얻을 수 있는 자연 해리에 가까운 펄프 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펄프 재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폐카톤팩을 세절이나 천공을 하지 않고 카톤팩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며, 계면활성제의 침투 및 분산성을 극대화시켜 이용함으로써 카톤팩의 폴리에틸렌 수지와 펄프 사이에 물이 자연적으로 빠르게 침투되게 하였다. 이렇게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카톤팩의 물의 흡수는 카톤팩 자체만으로는 물의 흡수가 전혀 일어나지 않은 것과는 달리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경우 우유팩 무게에 대해 약 2배 가까이 흡수하였으며, Pulper로 고해(Pulping)하였을 때 펄프와 폴리에틸렌 수지가 아주 쉽게 분리되어 펄프의 섬유 조직에 손상이 거의 없었다.
본 발명의 공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폐카톤팩을 계면활성제와 함께 물에 침지시키는 제 1단계; 상기 단계에서 물이 침투된 카톤팩을 Pulper를 통해 고해, 해리시키는 제 2단계; 둘째 단계에서 고해, 해리시킨 펄프와 폴리에틸렌 막을 스크린을 통하여 분리시키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의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1 단계에서는 본 발명의 핵심 기술이라 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의 강력한 침투력을 이용한 팩의 전면에 물을 침투시키는 과정을 도입하여, 종래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카톤팩을 세절하거나 천공 과정을 하지 않아도 빠르게 물을 침투시킬 수 있게 되어 종래보다 고해 및 해리 과정시에 폴리에틸렌 막을 보다 더 쉽게 분리 할 수 있으며, 펄프의 질도 높일 수 있다. 제 2단계에서는 고해 과정으로, 카톤팩에서 폴리에틸렌 막을 분리하는 단계이며, 본 발명은 제 1단계에서 설명했듯이 카톤팩을 세절하거나 천공하지 않고 그대로 고해시켜 해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카톤팩의 세절 및 천공이 없이 펄프를 재생하는 방법은 본 발명에서만 가능한 재생법으로 펄프의 손상을 최소화시켜 보다 더 질 좋은 고급의 펄프를 얻을 수 있게 한다. 제 3단계에서는 두 번째 과정에서 고해된 펄프와 폴리에틸렌 막을 분리하는 과정으로, 고해된 펄프를 스크린을 통하여 폴리에틸렌 막을 분리하여 제거하는데 있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작게 자르거나천공하는 방식이 아니므로 폴리에틸렌 막의 미세화가 방지되어 폴리에틸렌 막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의 방법을 통하여 펄프의 섬유 조직에 손상이 거의 없는 고급의 재생 펄프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다음 일반식 ( I ):
R-COONa, R-OSO3Na , R-SO3Na, R-OPO3Na2( I )
(여기서 R은 탄소수가 1∼50인 알킬기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것이다.
이들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더 구체적인 예로서는 고급 알콜 황산 에스테르의 염, 라우릴 황산 트리에탄올 아민, 도데실 벤젠 술폰산의 염 , 알킬 나프탈렌 술폰산의 염 , 술포숙신산의 염 , 모노 알킬숙신산의 염, 디알킬숙신산의 염, 디알킬 벤젠 술포숙신산의 염, 폴리옥시 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황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염은 : Na, K, Ca, Mg, NH4 +, TEA, DEA 를 나타낸다.)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다음 일반식 (Ⅱ):
R-O-( C2H4O )nH, R-C6H5( C2H4O )mH (Ⅱ)
(여기서 R은 탄소수가 1∼50인 알킬기를 나타낸다. 또한 n,m은 1∼60인 수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것이다.
이들 계면활성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폴리옥시 에틸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알킬아릴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알킬아미노 에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롤 지방산 모노 또는 디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다음 일반식 (Ⅲ):
R1-O-( C2H4O )n( C3H6O )mH (Ⅲ)
(여기서 R1은 수소원자, 탄소수 1∼20의 직쇄 지방족 탄화수소기, 탄소수 1∼12의 측쇄 지방족 탄화수소기, 탄소수 1∼12의 알킬페닐기를 나타내며 n과 m은 각각 0-60의 정수기를 나타내고, n과 m의 합은 1보다 큰 수를 나타낸다.)으로 표시 되는 것이다.
폴리옥시 에틸렌 옥틸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데실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팔미틸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미리스틸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올레일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톨릴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크실레닐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옥틸페닐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데실페닐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도데실페닐 에테르, 폴리옥시 프로필렌, 폴리옥시 에틸렌-폴리옥시 프로필렌 코폴리머, 폴리옥시 에틸렌-폴리옥시 프로필렌 옥틸페닐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폴리옥시 프로필렌 노닐페닐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폴리옥시 프로필렌 데실페닐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폴리옥시 프로필렌 도데실페닐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폴리옥시 프로필렌 옥틸페닐 에테르, 폴리옥시 프로필렌 옥틸페닐 에테르, 폴리옥시 프로필렌 노닐페닐 에테르, 폴리옥시 프로필렌 데실페닐 에테르, 폴리옥시 프로필렌 도데실페닐 에테르, 폴리옥시 프로필렌 부틸 에테르, 폴리옥시 프로필렌 헥실 에테르, 폴리옥시 프로필렌 옥틸 에테르, 폴리옥시 프로필렌 도데실 에테르, 폴리옥시 프로필렌 라우릴 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다음 일반식 (Ⅳ):
R3NHX, [NR4]X (Ⅳ)
(여기서 R은 탄소수가 1∼50인 알킬기를 말하며, X는 Br 또는 Cl을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것이다.
이들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알킬아민 아세테이트, 알킬아민 염산염, 4급 암모늄염 이외에도 술포늄염과 포스포늄염 등이 있다.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다음 일반식 (V):
R-NH-CH2-CH2COOH, R-N+CH3CH3-CH2COO-(V)
(여기서 R은 탄소수가 1∼50인 알킬기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것이다. 리옥시 에틸렌 데실페닐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도데실페닐 에테르, 폴리옥시 프로필렌, 폴리옥시 에틸렌-폴리옥시 프로필렌 코폴리머, 폴리옥시 에틸렌-폴리옥시 프로필렌 옥틸페닐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폴리옥시 프로필렌 노닐페닐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폴리옥시 프로필렌 데실페닐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폴리옥시 프로필렌 도데실페닐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폴리옥시 프로필렌 옥틸페닐 에테르, 폴리옥시 프로필렌 옥틸페닐 에테르, 폴리옥시 프로필렌 노닐페닐 에테르, 폴리옥시 프로필렌 데실페닐 에테르, 폴리옥시 프로필렌 도데실페닐 에테르, 폴리옥시 프로필렌 부틸 에테르, 폴리옥시 프로필렌 헥실 에테르, 폴리옥시 프로필렌 옥틸 에테르, 폴리옥시 프로필렌 도데실 에테르, 폴리옥시 프로필렌 라우릴 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다음 일반식 (Ⅳ):
R3NHX, [NR4]X (Ⅳ)
(여기서 R은 탄소수가 1∼50인 알킬기를 말하며, X는 Br 또는 Cl을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것이다.
이들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알킬아민 아세테이트, 알킬아민 염산염, 4급 암모늄염 이외에도 술포늄염과 포스포늄염 등이 있다.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다음 일반식 (V):
R-NH-CH2-CH2COOH, R-N+CH3CH3-CH2COO-(V)
(여기서 R은 탄소수가 1∼50인 알킬기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것이다.
이들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알킬 디메틸아민 옥사이드류, 알킬 카르복시 메틸 히드록시 에틸 이미다졸리움 베타인 이외에도 황산에스테르염 형, 설폰산염형, 인산에스테르염형 양성계면활성제 등이 있다.
위에 기술한 계면활성제를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정 비율로 배합 또는 혼합 사용하면 압착된 폴리에틸렌 막과 원단 펄프 사이에 물이 골고루 신속하게 침투하게 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배합 또한 혼합된 계면활성제의 투입량은 카톤팩 중량에 대해 0.01wt%∼30wt%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계면활성제의 침투력을 극대화시켜 펄프와 폴리에틸렌 수지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여러 계면활성제 중에서도 특히 음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1종 또는 2종 이상을 배합 또는 혼합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를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하여 카톤팩에 대한 물의 침투율 및 함수율을 조사하였다.
시험방법
가로, 세로를 각각 5cm로 자른 카톤팩을, 온도가 60℃±5℃인 물 50g에 10%의 계면활성제와 함께 넣어 60초간 침지하였다. 침지한 팩을 꺼내어 마른 헝겊이나 깨끗한 화장지로 겉표면에 물기가 없도록 잘 닦은 후, 다음 식에 따라 그 침투율 및 함수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침투율=B/A×100(식 I)
(식Ⅰ에서 A는 침지한 팩의 총면적, B는 침투된 면적이다.)
함수율=(D-C)/C×100(식 Ⅱ)
(식Ⅱ에서 C는 침지 전의 팩의 무게, D는 침지한 후의 팩의 무게이다.)
[a: 무첨가, b: 도데실 벤젠 술폰산 나트륨(음이온 계면활성제), c: 폴리옥시 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비이온 계면활성제), d: b+c (중량비로 1대1 혼합)]
본 실시예 1의 실험 결과 침투율과 함수율이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보다는 첨가하는 것이 훨씬 효과가 좋으며, 계면활성제가 단독으로 사용되는 것의 침투율 85∼90%보다는 서로 적절히 배합 하여 사용하는 것의 침투율이 95%로 더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폐카톤팩 100kg을 물 500kg와 함께 침투조에 넣고 계면활성제(실시예 1에서 사용된 d) 3kg을 적하시킨다. 적하시킨 후 2시간 동안 60℃±5℃로 유지시켰다. 물이 침투된 카톤팩 100kg을 Pulper를 통하여 약 1시간 고해를 실시한후 스크린을 통해 폴리에틸렌 막을 분리 제거하였다.
[실시예 3∼6]
실시예 3∼6은 실시예 1을 응용하여 계면활성제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재생(Recycling) 할 수 있는 경제적인 펄프 재생 방법이다.
표 2에서 카톤팩의 수분 침투율은 약 100% 정도이기 때문에 각 뱃치별로 물을 적당량 보충해 주면서 계면활성제의 양을 소량씩 첨가해 주었다. 이하 과정은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의 과정을 반복한 결과 계면활성제의 사용량과 물의 사용량이 현저히 감소하며 뱃치별 폴리에틸렌 수지의 제거율도 거의 차이가 나지 않으므로 실질적 현장도입 단계에서 본 실시예의 방법이 더욱 경제적이고 획기적인 재생 방법이다. 이렇게 얻어진 재생 펄프는 천연펄프와 거의 유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 사용되는 폐카톤팩의 세절이나 천공 없이 카톤팩 그대로 사용해도 물의 침투력이 뛰어나 폴리에틸렌 막의 분리시 효과적이며, 계면활성제 수용액이 1회 사용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소량의 계면활성제와 물의 보충으로 최소 5회 이상 재활용할 수 있어서 폐수의 양을 극소화할 수 있는 효율적이고 친환경적 발명인 동시에 천연 펄프와 유사한 고급의 재생 펄프를 얻을 수 있는 우수한 기술이다. 본 발명의 펄프 재생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배합하거나 혼합 사용함으로써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해결할 수 있었다. 이렇게 계면활성제를 배합하거나 혼합하여 사용하면 물의 흡수가 빠르게 진행되어 펄프와 폴리에틸렌 수지의 분리가 용이하게 되고, 종래의 세절이나 천공법을 쓰지 않고 팩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공정의 단축으로 인한 시간의 절약과 더불어 고해 및 해리시에 폴리에틸렌 수지의 미세화가 방지되어 스크린을 통한 분리와 제거가 쉽고, 또한 미세 수지가 섬유에 혼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섬유 조직의 손상이 거의 없는 천연 펄프와 유사한 고급의 재생 펄프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0)

  1. 계면활성제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이용하여 카톤팩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아주 쉽게 분리하여 섬유 조직 손상이 거의 없는 고급의 재생 펄프를 얻을 수 있는 방법에 있어서,
    폐카톤팩을 계면활성제와 함께 물에 침지시키는 제 1단계;
    상기 단계에서 물이 침투된 카톤팩을 Pulper를 통해 고해, 해리시키는 제 2단계; 및
    제 2단계에서 고해, 해리시킨 펄프와 폴리에틸렌 막을 스크린을 통하여 분리 및 제거시키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카톤팩으로부터 고급의 재생 펄프를 얻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세절이나 천공하지 않고 카톤팩 자체를 가지고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카톤팩으로부터 고급의 재생 펄프를 얻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첨가되는 계면활성제의 종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이며 이들을 1종 또는 2종 이상 배합하거나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카톤팩으로부터 고급의 재생 펄프를 얻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종류는
    일반식 R-COONa, R-OSO3Na, R-SO3Na, R-OPO3Na2로 표시되는 것으로 R은 탄소수가 1∼50인 알킬기를 나타내며, 이들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더 구체적인 예로는 Na, K, Ca, Mg, NH4 +, TEA, DEA 등의 염을 사용한 고급 알콜 황산 에스테르의 염, 라우릴 황산 트리에탄올 아민, 도데실 벤젠 술폰산의 염 , 알킬 나프탈렌 술폰산의 염 , 술포숙신산의 염 , 모노 알킬숙신산의 염, 디알킬숙신산의 염, 디알킬 벤젠 술포숙신산의 염, 폴리옥시 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황산나트륨 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카톤팩으로부터 고급의 재생 펄프를 얻는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종류는
    일반식 R-O-( C2H4O )nH, R-C6H5( C2H4O )mH 로 표시되는 것으로, R은 탄소수가 1∼50인 알킬기를 나타내고, 또한 n, m은 1∼60인 수를 나타내며, 더 구체적으로는 폴리옥시 에틸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알킬아릴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알킬아미노 에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롤 지방산 모노 또는 디에스테르 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카톤팩으로부터 고급의 재생 펄프를 얻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한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일반식 R1-O-(C2H4O)n(C3H6O)mH 로 표시되는 것으로, R1은 수소원자, 탄소수 1∼20의 직쇄 지방족 탄화수소기, 탄소수 1∼12의 측쇄 지방족 탄화수소기, 탄소수 1∼12의 알킬페닐기를 나타내며 n과 m은 각각 0-60의 정수기를 나타내고, n과 m의 합은 1보다 큰 수를 나타내며, 더 구체적으로는 폴리옥시 에틸렌 헥실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폴리옥시 프로필렌 옥틸페닐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폴리옥시 프로필렌 노닐페닐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폴리옥시 프로필렌 데실페닐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폴리옥시 프로필렌 도데실페닐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폴리옥시 프로필렌 옥틸페닐 에테르, 폴리옥시 프로필렌 옥틸페닐 에테르 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카톤팩으로부터 고급의 재생 펄프를 얻는 방법
  7. 제 3항에 있어서,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종류는
    일반식 R3NHX, [NR4]X 로 표시되는 것으로, R은 탄소수가 1∼50인 알킬기를 나타내고, X는 Br 또는 Cl을 나타내며, 더 구체적인 예로서는 알킬아민 아세테이트, 알킬아민 염산염, 4급 암모늄염 이외에도 술포늄염과 포스포늄염 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카톤팩으로부터 고급의 재생 펄프를 얻는 방법
  8. 제 3항에 있어서,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종류는
    다음 일반식 R-NH-CH2-CH2COOH, R-N+CH3CH3-CH2COO-로 표시되는 것으로, R은탄소수가 1∼50인 알킬기를 나타내며, 더 구체적으로 알킬 디메틸아민 옥사이드류, 알킬 카르복시 메틸 히드록시 에틸 이미다졸리움 베타인 이외에도 황산에스테르염 형, 설폰산염형, 인산에스테르염형 양성 계면활성제 등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카톤팩으로부터 고급의 재생 펄프를 얻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첨가되는 계면활성제의 양은 카톤팩 중량에 대해 0.01wt%∼30wt%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카톤팩으로부터 고급의 재생 펄프를 얻는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실시예 2∼6과 같이 폐카톤팩을 침지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 수용액을 최소 5회 이상 재생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카톤팩으로부터 고급의 재생 펄프를 얻는 방법
KR1020000077321A 2000-12-15 2000-12-15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폐카톤팩으로부터 고급 펄프를재생하는 방법 KR200200480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321A KR20020048058A (ko) 2000-12-15 2000-12-15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폐카톤팩으로부터 고급 펄프를재생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321A KR20020048058A (ko) 2000-12-15 2000-12-15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폐카톤팩으로부터 고급 펄프를재생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058A true KR20020048058A (ko) 2002-06-22

Family

ID=27682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7321A KR20020048058A (ko) 2000-12-15 2000-12-15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폐카톤팩으로부터 고급 펄프를재생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805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9555A (ko) * 2008-08-15 2011-04-19 허큘레스 인코포레이티드 크라프트 펄프로부터 수지를 감소시키기 위한 펄핑 첨가제
KR20220103091A (ko) * 2019-12-03 2022-07-21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펄프시트의 제조방법 및 펄프 슬러리용 탈수향상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729A (ko) * 1987-06-29 1989-03-16 정봉수 폐카톤팩으로부터 펄프를 재생하는 방법
KR910003217A (ko) * 1989-07-14 1991-02-27 김순학 음료용기 팩에서 폴리에틸렌과 지층을 분리 회수하는 방법
WO1992021821A1 (fr) * 1991-06-06 1992-12-10 Centre D'etudes Techniques De L'equipement De L'est (C.E.T.E. De L'est) Dispositif pour fermer un passage routier
JPH06228894A (ja) * 1993-01-29 1994-08-16 New Oji Paper Co Ltd ポリオレフィンラミネート古紙の処理方法
KR960018060A (ko) * 1994-11-10 1996-06-17 정기영 마그네틱 테이프가 부착된 폐전철표로 부터 펄프를 재생하는 방법
WO1996027045A1 (en) * 1995-02-21 1996-09-06 Watson Dana L System and method for recycling materials
JPH09105087A (ja) * 1995-10-04 1997-04-22 Aroota:Kk 再生紙、再生紙用材料の処理剤および再生紙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729A (ko) * 1987-06-29 1989-03-16 정봉수 폐카톤팩으로부터 펄프를 재생하는 방법
KR910003217A (ko) * 1989-07-14 1991-02-27 김순학 음료용기 팩에서 폴리에틸렌과 지층을 분리 회수하는 방법
WO1992021821A1 (fr) * 1991-06-06 1992-12-10 Centre D'etudes Techniques De L'equipement De L'est (C.E.T.E. De L'est) Dispositif pour fermer un passage routier
JPH06228894A (ja) * 1993-01-29 1994-08-16 New Oji Paper Co Ltd ポリオレフィンラミネート古紙の処理方法
KR960018060A (ko) * 1994-11-10 1996-06-17 정기영 마그네틱 테이프가 부착된 폐전철표로 부터 펄프를 재생하는 방법
WO1996027045A1 (en) * 1995-02-21 1996-09-06 Watson Dana L System and method for recycling materials
JPH09105087A (ja) * 1995-10-04 1997-04-22 Aroota:Kk 再生紙、再生紙用材料の処理剤および再生紙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9555A (ko) * 2008-08-15 2011-04-19 허큘레스 인코포레이티드 크라프트 펄프로부터 수지를 감소시키기 위한 펄핑 첨가제
KR20220103091A (ko) * 2019-12-03 2022-07-21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펄프시트의 제조방법 및 펄프 슬러리용 탈수향상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4949A (en) Deinking composition for reclamation of waste paper
KR20010031478A (ko) 굴수제로서 헥실 글리코시드를 함유하는 고 알카리성 조성물
CN106283635A (zh) 一种棉用精练剂
JP2013519804A (ja) 紙からのインキの除去方法
KR20020048058A (ko)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폐카톤팩으로부터 고급 펄프를재생하는 방법
KR960007320B1 (ko) 폐지 재생 탈묵제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CA2313870A1 (en) Novel method of cleaning and disinfecting a haemodialysis apparatus with an aqueous solution comprising a surfactant and an active oxygen generator and novel composition
EP3080235B1 (en) Ape-free surfactant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in textile applications
CA1285105C (en) Deinking composition for reclamation of waste paper
AU699453B2 (en) Recycling of fibre products
WO1990004674A1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deinking recycled paper pulp
AU750386B2 (en) Liquid de-ink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alkoxylated terpenic compounds and their use for de-inking
JP4256524B2 (ja) 古紙再生処理用添加剤
EP2947200B1 (en) Deinking agent for flotation and method of producing regenerated pulp
KR19990076974A (ko) 탈묵방법
JPH08311488A (ja) 界面活性剤混合物
JP2536832B2 (ja) 古紙再生用脱墨剤
JP5457290B2 (ja) 脱インキパルプの製造方法
CN114790413A (zh) 一种高效除油的表面活性剂组合物
JP3367941B2 (ja) 脱墨剤
KR960007321B1 (ko) 신문지 고지 탈묵제
JPS60155793A (ja) 古紙の脱インキ剤
JP4042873B2 (ja) 脱墨剤組成物
Zika Using Nonionic Surfactants.
JP2003166186A (ja) オフィス古紙処理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