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9243A - 탈취 장치 - Google Patents

탈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9243A
KR20020039243A KR1020010071678A KR20010071678A KR20020039243A KR 20020039243 A KR20020039243 A KR 20020039243A KR 1020010071678 A KR1020010071678 A KR 1020010071678A KR 20010071678 A KR20010071678 A KR 20010071678A KR 20020039243 A KR20020039243 A KR 20020039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deodorizing
electrode
counter electrode
o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1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4832B1 (ko
Inventor
핫또리다까오
오이까와다꾸미
오까다다이신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20020039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9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4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48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5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deodori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6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using an ozone generator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기체가 순환되지 않는 폐쇄 공간에 있어서도 효율적으로 기체 속의 악취 성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탈취 장치(9)는 덕트(26)의 내부에 직류 방전 기구(27), 광촉매 모듈(28), 오존 분해 촉매 필터(29)를 배치하여 구성된다. 직류 방전 기구(27)를 와이어형의 방전 전극(30)과 한 쌍의 대극(31)으로 구성한다. 상기 방전 전극(30)은 상기 대극(31)의 좌우 방향의 중심선(A)보다도 좌측으로 옮겨 배치한다. 상기 방전 전극(30)에 직류 고압 전위를 인가하면, 전극(30, 31) 사이에 고전압 방전이 생겨 이온풍이 발생해 덕트(26) 내를 화살표 B 방향으로 흐르는 기류가 발생된다. 이 결과, 유입구(26a)로부터 저장고 내의 냉기가 덕트(26) 내로 유입하여, 광촉매 모듈(28) 및 오존 분해 촉매 필터(29)를 통과할 때에 탈취되어 유출구(26b)로부터 저장고 내로 배출된다.

Description

탈취 장치{Deodorization Device}
본 발명은 기체 속의 악취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기체를 탈취하는 탈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냉장고에 있어서는, 저장고 내의 식품에 기인하는 각종 악취의 저감이나 다른 식품으로의 냄새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부터 활성탄 등의 흡착제로 이루어지는 탈취 장치를 저장고 내에 배치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흡착제는 그 흡착 성능이 포화되면 효과가 떨어지게 되므로, 적절하게 교환해야만 한다. 또한, 흡착 성능이 포화된 상태로 방치하면, 반대로 흡착제 자신으로부터 악취가 재방출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탈취 성능을 연장시키는 방법으로서, 백금 촉매를 서리 제거 히터의 근방에 조립하여 저장고 내의 공기 속에 포함되는 악취 물질을 흡착하고, 서리 제거시에 히터에 의해 악취 물질을 가열 분해하는 방법이 채용되어 있다. 또, 최근에는 보다 강력한 탈취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서, 오존의 산화력을 이용한 탈취 장치나 일본 특허 출원2000-181518에 제안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방전광과 광촉매를 조합시킨 탈취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한 어떠한 탈취 장치에 있어서도, 악취 물질과 흡착제나 촉매, 오존 분자와의 접촉 효율을 상승시킴으로써 탈취 효과가 향상된다. 이로 인해, 상기 탈취 장치를 저장고 내부 중 냉기의 순환 경로 중에 조립하여, 장치 내에 악취를 포함하는 냉기를 유통시키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탈취 장치를 저장고 내를 냉기(기체)가 순환하지 않는 직냉식 냉장고나 신발장 등에 적용할 경우에는 탈취 장치 전용의 송풍 팬을 설치하여 탈취 장치 내에 기체를 유통시켜야만 해, 그 만큼 장치 전체가 대형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송풍 팬에 의해 냉기를 순화시키는 타입의 냉장고일지라도, 탈취 장치의 설치 장소가 냉기의 순환 경로에 한정되므로, 탈취 장치의 설치 자유도가 낮다는 문제가 있다. 또, 송풍 팬이 정지하여 냉기가 순환되고 있지 않을 때에는 탈취 효율이 저하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체가 순환되지 않는 폐쇄 공간에서도 효율적으로 기체 속의 악취 성분을 제거할 수 있는 탈취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의 탈취 장치는 대극(對極)과 방전 전극을 갖고, 상기 방전 전극과 상기 대극과의 사이에 직류 고전압이 인가되어 고전압 방전을 일으킴으로써 이온풍을 발생시키는 이온풍 발생 수단과, 기체에 포함되는 악취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탈취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이온 발생 수단에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발생하는 이온풍에 의해 기체를 유통시켜 탈취 수단을 향하게 할 수 있으므로, 기체가 순화되지 않는 폐쇄 공간에 배치해도, 기체에 포함되는 악취 성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게다가, 팬 장치를 이용하여 기체를 유통시키는 구성에 비해 조밀하게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저소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방전 전극과 대극과의 사이의 고전압 방전에 의해 오존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오존의 산화력을 이용하여 악취 성분을 분해 및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에 기체의 유통 경로를 갖고, 이온풍 발생 수단 및 탈취 수단을 수용하는 덕트를 구비하고, 상기 이온풍 발생 수단은 방전 전극을 대극의 기류 방향 중심보다도 상류측에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탈취 수단은 상기 이온 발생 수단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청구항 2의 발명).
상기 구성에 따르면, 이온풍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이온풍에 의해 덕트내에 기류를 발생시켜, 덕트 내로 효율적으로 기체를 취입해 탈취 수단을 향하게 할 수 있으므로 탈취 효율이 한 층 향상된다.
또한, 상기 탈취 수단은 고전압 방전에 의해서 자외선을 발생하는 자외선 발생용 방전 수단과, 상기 자외선이 조사됨으로써 생기는 광촉매 작용에 의해 기체 속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 성분이나 유해 물질 등의 분해를 행하는 광촉매 모듈 로 이루어지는 광촉매 모듈을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청구항 3의 발명).
또한, 상기 탈취 수단은 고전압 방전에 의해서 오존을 발생하는 오존 발생용 방전 수단과, 상기 오존을 분해하는 오존 분해 촉매 필터로 이루어지는 오존 탈취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청구항 5의 발명). 상기 구성에 따르면, 오존의 산화력에 의해서 기체 속의 악취 성분을 분해할 수 있다.
게다가 또한, 상기 탈취 수단은 기체 속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 성분이나 유해 물질 등을 흡착하는 활성탄 필터를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청구항 6의 발명).
그리고, 상기 청구항 3, 청구항 4 및 청구항 6 중 어느 한 구성에 있어서도, 악취 성분을 포함한 기체를 적극적으로 탈취 수단을 향하게 할 수 있으므로, 기체를 효율적으로 탈취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의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광촉매 모듈의 광촉매 모듈을 다공질형의 세라믹으로 구성되는 기체의 표면에 광촉매 입자를 고정하여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자외선 발생용 방전 수단을 상기 광촉매 모듈을 거쳐서 대향 배치된 방전 전극과 대극으로 구성하고, 상기 자외선 발생용 방전 수단의 대극을 이온 발생 수단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자외선 발생용 방전 수단의 대극 및 상기 이온 발생 수단의 대극을 접지 전위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4의 발명).
상기 구성에 따르면, 광촉매 모듈을 기체의 유통 경로 내에 배치해도 기체의 유통을 그다지 방해하는 일이 없다. 또한, 광촉매 모듈의 방전 전극 및 대극 사이의 고전압 방전에 의해서 발생하는 무지향성의 자외선을 효율적으로 광촉매 모듈에 조사시킬 수 있어 광촉매 반응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 이온풍 발생 수단과 광촉매 모듈과의 사이에 방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온 발생 수단을 기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대향 배치된 한 쌍의 판형의 대극과, 상기 한 쌍의 판형의 대극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대극과 평행 방향 또는 기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형의 방전 전극으로 구성하면 좋다(청구항 7의 발명).
상기 구성에 따르면, 방전 전극을 양측으로부터 협지하도록 대극을 설치했으므로, 상기 방전 전극의 한 쪽에만 대극을 설치하는 구성에 비해 이온풍의 발생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판형의 대극은 기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있으므로, 대극에 의해서 기류가 방해되는 것을 가능한 한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또한, 이온 발생 수단을 기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대향 배치된 한 쌍의 판형의 대극과, 상기 한 쌍의 판형의 대극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대극과 평행 방향 또한 기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형의 방전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방전 유닛을 기류 방향으로 복수개, 직렬 배치함으로써 구성해도 좋다 (청구항 8의 발명).
상기 구성에 따르면, 덕트 내를 기체의 유통이 방해되는 것을 가능한 한 방지하면서 이온풍의 발생량을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이온 발생 수단을 기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병렬 배치된 복수매의 판형의 대극과, 상기 복수매의 대극 중 대향하는 2매의 대극 사이의 각각에 배치되어 상기 대극과 평행 방향 또는 기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형의 복수의 방전 전극으로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청구항 9의 발명).
상기 구성에 따르면, 장치가 기류 방향으로 대형화하는 일없이 이온풍의 발생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온 발생 수단의 방전 전극에는 부(負)의 고압 전위가 인가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좋은 구성이다(청구항 10의 발명). 상기 구성에 따르면, 오존의 발생량이 증가되므로 탈취 성능이 향상된다.
이에 대하여, 이온 발생 수단의 방전 전극에는 정(正)의 고압 전위가 인가되도록 구성해도 좋다(청구항 11의 발명). 상기 구성에 따르면, 오존의 발생량을 적게 할 수 있으므로, 오존 분해 촉매를 마련하지 않아도 되어, 그 만큼 장치의 조밀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오존의 발생량이 적으면 그 만큼 탈취 성능은 저하하므로, 본 발명은 기체 속의 악취 성분량이 비교적 적은 장소에 설치되는 탈취 장치에 적합하다.
또한, 이온 발생 수단의 방전 전극과 대극과의 사이에 인가되는 고압 전위를변화시키는 전압 변화 수단을 구비하는 것도 좋은 구성이다(청구항 12의 발명). 상기 구성에 따르면, 기체에 포함되는 악취 성분량에 따라서 탈취 성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청구항 1 내지 12의 탈취 장치는 직냉식 냉장고의 저장고 내에 조립할 수 있다. 직냉식 냉장고는 저장고 내에 냉기를 강제적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팬 장치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저장고 내를 냉기가 순환하지 않더라도 덕트 내에 저장고 내의 냉기를 적극적으로 취입하여, 냉기 속의 악취 성분을 효율적으로 탈취 수단과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탈취 효과가 향상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탈취 장치의 개략적인 종단 단면도.
도2는 탈취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직냉식 냉장고의 종단 측면도.
도4는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럭도.
도5는 냉동 사이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1 상당도.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1 상당도.
도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1 상당도.
도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도1 상당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도1 상당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를 도시한 도1 상당도.
도1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를 도시한 도3 상당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 탈취 장치
26 : 덕트
27, 51 : 직류 방전 기구(이온풍 발생 수단)
28 : 광촉매 모듈(탈취 수단)
29 : 오존 분해 촉매 필터(오존 탈취 수단)
30 : 방전 전극(오존 발생용 방전 수단, 오존 탈취 수단)
31 : 대극(오존 발생용 방전 수단, 오존 탈취 수단)
32 : 방전 전극(자외선 발생용 방전 수단, 오존 탈취 수단, 오존 발생용 방전 수단)
33 : 대극(자외선 발생용 방전 수단, 오존 탈취 수단, 오존 발생용 방전 수단)
34 : 광촉매 모듈
35 : 제어 장치(전압 변화 수단)
43 : 고전압 인가부(전압 변화 수단)
52 : 활성탄 필터(탈취 수단)
이하, 본 발명의 탈취 장치를 냉장고에 설치한 제1 실시예를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도3은 본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의 종단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3에 있어서, 단열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냉장고 본체(1)의 내부는 단열 칸막이 벽(2)에 의해 상부의 냉장실(3)과 하부의 냉동실(4)로 분리되어 있다.
상기 냉장실(3) 내의 하부에는 칸막이 판(5)에 의해 야채실(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야채실(6) 내에는 하부 케이스(7) 및 이 하부 케이스(7)의 상부에 탑재된 상부 케이스(8)가 수납되어 있다. 또, 상기 냉장실(3) 내부 상기 칸막이 판(5)의 상부의 후방부에는 탈취 장치(9)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탈취 장치(9)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상기 칸막이 판(5)의 상방부에는 냉동 케이스(1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3)의 안 쪽 벽부에는 냉각 배관으로 이루어지는 냉장실용 냉각기(11)[이하, R 냉각기(11)라 함]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냉동실(4) 내부는 칸막이 판(12)에 의해 상하 이단으로 구획되어 있고, 상부의 냉동실(4) 내에는 케이스(13)가 배치되어 대극 하부의 냉동실(4) 내에는 상부 케이스(14) 및 하부 케이스(1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냉동실(4) 내부 상기 칸막이 판(12)의 후방에는 부착판(16)을 거쳐서 냉동실용 냉각기(17)[이하, F 냉각기(17)라 함]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 본체(1)의 하부의 후방부에는 기계실(1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계실(18) 내에는 냉동 사이클의 압축기(19)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압축기(19)는 콤프 모터(20)(도4 참조)를 구동원으로 하는 왕복형인 것이다.
도5는, 본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의 냉동 사이클을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압축기(19)의 토출구는 콘덴서(21)를 거쳐서 유로 밸브(22)의 입력 포트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유로 밸브(22)는 RF 출력 포트 및 F 출력 포트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것으로, 그 절환 동작은 밸브 모터(23)(도4 참조)의 정역전에 기초로 하여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로 밸브(22)의 RF 출력 포트는 RF 캐필러리 튜브(24)를 거쳐서 R 냉각기(11)의 입구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R 냉각기(11)의 출구에는 F 냉각기(17)의 입구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F 냉각기(17)의 출구는 압축기(19)의 흡입구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RF 출력 포트의 개방시에는 상기 압축기(19)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는 R 냉각기(11) 및 F 냉각기(17)의 쌍방에 공급된다.
한편, 상기 유로 밸브(22)의 F 출력 포트는 F 캐필러리 튜브(25)를 거쳐서상기 R 냉각기(11)의 출구와 F 냉각기(17)의 입구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유로 밸브(22)의 F 출력 포트의 개방시에는 상기 압축기(19)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는 F 냉각기(17)에만 공급된다.
다음에,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서 탈취 장치(9)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1 및 도2는, 각각 탈취 장치(9)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탈취 장치(9)는 직사각형의 통형상을 이루는 덕트(26)의 내부에, 직류 방전 기구(27), 광촉매 모듈(28), 오존 분해 촉매 필터(29)가 도1 중 좌측으로부터 차례로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덕트(26)의 도1 중 좌우 양단부에는 각각 개구부(26a, 26b)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개구부(26a, 26b)를 통하여 덕트(26) 내에 저장고 내의 냉기(기체)가 유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직류 방전 기구(27)는, 예를 들면 텅스텐 등으로 와이어형으로 형성된 방전 전극(30)과, 대향 배치된 한 쌍의 평판형의 대극(31)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대극(31)은 상기 덕트(26) 내를 냉기가 유통되는 방향(즉 좌우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방전 전극(30)은 상기 대극(31)과 평행으로서 냉기의 유통 방향을 가로 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상기 대극(31)의 대향 방향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방전 전극(30)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대극(31)의 좌우 방향의 중심선(A)보다도 일방측, 이 경우 좌측으로 어긋난 부위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직류 방전 기구(27)에 있어서는, 상기 대극(31)을 접지 전위로 하는 동시에 상기 방전 전극(30)에 부의 직류 고압 전위, 예를 들어 -4.5 kV의 직류 고압전위가 인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결과, 상기 방전 전극(30)과 대극(31)과의 사이에 코로나 방전이 생겨 상기 방전 전극(30) 부근에 이온[부(-) 이온]이 발생된다.
상기 방전 전극(30) 부근에 발생한 이온은 전계의 작용에 의해서 상기 대극(31)을 향하는 동시에 기체 속의 중성 분자(주로 산소 분자)에 충돌하여 운동 에너지를 부여하고, 중성 분자와 동시에 대극(31)으로 향한다. 이러한 이온 및 중성 분자의 대극(31)으로의 이동은 이온풍이라 불리우고 있다. 따라서, 상기 직류 방전 기구(27)가 이온풍 발생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방전 전극(30)을 상기 대극(31)의 중심선(A)보다도 좌측에 배치했으므로, 상기 이온풍은 방전 전극(30)으로부터 대극(31)을 향해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한 방향으로 흐른다.
이로 인해, 덕트(26) 내에는 이온풍에 인장되어 도1에 화살표 B로 도시한 방향으로 유통하는 기류가 발생하고, 이 결과 좌측의 개구부(26a)로부터 저장고 내의 냉기가 상기 덕트(26) 내로 유입한다. 그리고, 덕트(26) 내로 유입한 냉기는 덕트 내를 기류를 타고 화살표 B 방향으로 유통한 후, 우측의 개구부(26b)로부터 유출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개구부(26a 및 26b)를 각각 유입구(26a) 및 유출구(26b)라 한다.
또한, 상기 대극(31)에 대한 상기 방전 전극(30)의 위치는, 상기 방전 전극(31)과 상기 대극(31)과의 사이에 -4.5 kV의 직류 고압 전위를 인가한 때, 상기 덕트(26) 내에 0.1 내지 0.2 m/sec 정도의 기류가 발생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광촉매 모듈(28)은 텅스텐 등으로 와이어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방전 전극(32)과, 평판형으로 형성된 2매의 대극(33)과, 상기 방전 전극(32)과 대극(33)과의 사이의 각각에 배치된 2매의 광촉매 모듈(3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방전 전극(32)은 상기 방전 전극(30)과 마찬가지로 냉기의 유통 방향을 가로 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2매의 대극(33)은 그리드형을 이루며, 냉기의 유통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방전 전극(32)을 전후로부터 협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좌측의 대극(33)은 상기 직류 방전 기구(27)를 향하도록 덕트(26)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광촉매 모듈(34)은 다공질형의 세라믹(예를 들어, 알루미나나 실리카 등)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와, 이 베이스의 표면에 도포되어 건조 또는 소결함으로써 고정된 산화 티탄 등의 광촉매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광촉매 모듈(28)에 있어서는, 상기 대극(33)을 접지 전위라 하는 동시에 상기 방전 전극(32)에 정의 펄스형 직류 고전압, 예를 들어 +10 kV 정도의 펄스형 고전압이 인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결과, 상기 방전 전극(32)과 상기 대극(33)과의 사이에 방전이 생겨, 자외선(파장 380 nm 이하)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방전 전극(32)은 자외선 발생용 방전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그런데, 상기 직류 방전 기구(27)의 방전 전극(30)에 -4.5 kV의 직류 고압 전위가 인가되어 방전이 발생하면, 이온과 함께 오존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광촉매 모듈(28)의 방전 전극(32)에 +10 kV 정도의 펄스형의 직류 고압 전위가 인가되어 방전이 일어나면, 자외선과 함께 오존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방전 전극(30 및 32) 및 상기 오존 분해 촉매(23)는 오존 탈취 수단을 구성하고, 상기 방전 전극(30 및 32)은 오존 발생용 방전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도4는, 본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제어 장치(35)에는 R 온도 센서(36), F 온도 센서(37), R 증발기 온도 센서(38), F 증발기 온도 센서(39), R 도어 스위치(40), V 도어 스위치(41)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R 온도 센서(36) 및 F 온도 센서(37)는 모두 서미스터로 구성되어, 각각 냉장실(3) 및 냉동실(4) 내의 온도에 따른 전압 레벨의 온도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R 증발기 온도 센서(38) 및 F 증발기 온도 센서(39)는 모두 서미스터로 구성되어, 각각 R 냉각기(11) 및 F 냉각기(17)의 표면 온도에 따른 전압 레벨의 온도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R 도어 스위치(40) 및 V 도어 스위치(41)는 각각 냉장실 도어(3a) 및 야채실 도어(6a)의 개폐를 검출하는 스위치이며, 그 개폐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 장치(35)의 내부 R0M에는 냉장고의 운전 제어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고,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온도 센서(36 내지 39)로부터의 온도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콤프 모터(20), 상기 밸브 모터(23)를 구동 회로(42)를 거쳐서 구동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35)는 고전압 인가부(43)를 구동 제어하여 상기 직류 방전 기구(27)의 방전 전극(30)에 부의 직류 고전압을 인가하는 동시에, 고전압 인가부(44)를 구동 제어하여 상기 광촉매 모듈(28)의 방전 전극(32)에 정의 펄스형 직류 고전압을 인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을 상기 탈취 장치(9)에 있어서의 탈취 작용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어 장치(35)에 의해 탈취 장치(9)의 운전이 개시되면, 직류 방전 기구(27)에 있어서의 방전 전극(30)과 대극(31)과의 사이에서 고전압 방전이 생겨, 이온풍이 발생하는 동시에 오존이 발생된다. 또, 상기 광촉매 모듈(28)에 있어서의 방전 전극(32)과 대극(33)과의 사이에서도 고전압 방전이 생겨, 자외선 및 오존이 발생된다.
이 결과, 상기 덕트(26) 내에 화살표 B 방향의 기류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악취 성분을 포함한 냉장실(3) 내의 냉기가 상기 유입구(26a)로부터 상기 덕트(26) 내로 유입하고, 상기 직류 방전 기구(27)에 이른다. 그리고, 상기 직류 방전 기구(27)를 통과할 때 고전압 방전에 의해 발생한 오존과 냉기는 혼합되어 후단의 광촉매 모듈을 향한다.
상기 광촉매 모듈(28)에 있어서는, 고전압 방전에 의해 발생한 자외선이 광촉매 모듈(34)에 조사되고, 산화 티탄이 그 자외선의 빛 에너지를 받아 활성을 띠어 광촉매 작용을 이룬다. 이 결과, 냉기속에 포함되는 암모니아 등의 악취 성분이 산화 분해된다.
또한, 상기 광촉매 모듈(28)에 있어서는 고전압 방전에 의해 자외선과 함께 오존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직류 방전 기구(27)에 있어서 오존과 혼합된 냉기는 광촉매 모듈(28)을 통과할 때에 오존과 혼합되어 후단의 오존 분해 촉매 필터(29)에 이른다. 상기 오존 분해 촉매 필터(29)에 있어서는 오존이 분해되어 활성 산소가 발생되고, 그 활성 산소의 산화력에 의해서 악취 성분 등이 산화 분해된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하여 탈취된 냉기는 덕트(26)의 유출구(26b)로부터 냉장실(3) 내로 유출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전압 방전에 의해서 이온풍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이 이온풍에 의해서 덕트(26) 내에 화살표 B 방향의 기류를 발생시키는 직류 방전 기구(27)를 설치하고, 상기 이온풍에 의해 저장고 내의 냉기를 덕트(26) 내로 적극적으로 취입하여 탈취한 후, 저장고 내로 배출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저장고 내를 냉기가 순환하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은 직냉식 냉장고일지라도, 냉기 속의 악취 성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직류 방전 기구(27)는 방전 전극(30)을 대극(31)의 중심선(A)보다도 한 쪽에 배치한다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덕트(26) 내에 화살표 B 방향의 기류가 발생하도록 구성했다. 이로 인해, 팬 장치에 의해 덕트(26) 내에 냉기를 유통시키는 구성에 비하여 정음화 및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류 방전 기구(27)를 상기 광촉매 모듈(28)의 상류측에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방전 전극(30)을 상기 대극(31)의 중심선(A)보다도 상류측에 배치했다. 이로 인해, 상기 대극(31)을 상기 광촉매 모듈(28)로부터 멀리할 수 있으며, 상기 대극(31)과 상기 광촉매 모듈(28)의 방전 전극(32) 및 대극(33)과의 사이에 방전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방전 전극(30)을 상기 대극(31) 및 상기 광촉매 모듈(28)의 대극(33)을 각각 접지 전위로 했다. 이로 인해, 상기 대극(31 및 33) 사이에서 방전이 일어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직류 방전 기구(27)에 부의 직류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오존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광촉매 모듈(28)을 설치하여 자외선 및 오존을 발생시켜, 자외선과 오존에 의한 악취 성분 등의 분해 및 제거를 행하도록 구성했다. 이로 인해, 여러 가지의 악취 성분 등을 분해 및 제거할 수 있어 강력한 탈취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활성탄 등의 흡착제를 이용한 탈취 장치와 달리, 흡착제의 교환이나 약제 성분의 보충 등의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다.
게다가 또한, 오존 분해 촉매 필터(29)를 설치하여 오존을 분해하도록 구성했으므로, 냉장실(3) 내의 오존 농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저장고 내의 각 부재가 부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직류 방전 기구(27)를 와이어형의 방전 전극(30)과 판형의 대극(31)으로 구성했으므로, 절연물을 거쳐서 방전을 행하는 연면(沿面) 방전 방식에 비교하여 덕트(26) 내에 탈취 처리를 행하는 공간을 많이 취할 수 있다. 또, 2매의 대극(31)을 상기 방전 전극(30)의 양측에 배치했으므로, 방전 전극(30)에 한 쪽에만 대극을 배치한 구성에 비하여 이온풍의 발생량을 많게 할 수 있어 탈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광촉매 모듈(28)에 있어서는 광촉매 모듈(34)을 방전 전극(32)과 대극(33)과의 사이에 배치했으므로, 상기 방전 전극(32)과 대극(33) 사이의 고전압 방전에 의해서 발생하는 무지향성의 자외선을 효율적으로 광촉매 모듈(34)에 조사시킬 수 있어 광촉매 반응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전 전극(32)의 상류측 및 하류측의 쌍방에 상기 대극(33) 및 상기 광촉매 모듈(34)을 배치했으므로, 광촉매 모듈(28)에 있어서 발생한 자외선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덧붙여서, 상기 광촉매 모듈(34)을 다공질의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의 표면에 산화 티탄을 고정하여 구성했으므로, 냉기의 유통 경로 내에 배치해도, 상기 냉기의 유통을 그다지 방해하는 일이 없다. 게다가, 베이스에 산화 티탄을 고정하기 위한 면적을 보다 크게 취할 수 있으므로, 산화 티탄의 사용료를 가능한 한 적게 한 상태라도 효율적으로 광촉매 반응을 행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 제2 실시예에서는 탈취 장치(9)의 이온풍 발생 수단을 복수, 예를 들어 2개의 직류 방전 기구(27)를 덕트(26) 내에 배치함으로써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직류 방전 기구(27)는 기체의 유통 방향으로 직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직류 방전 기구(27)는 방전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직류 방전 기구(27)에 있어서의 이온풍의 발생량이 증대되어 덕트(26) 내로 유입하는 냉기의 양을 증대할 수 있으므로, 탈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제1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또, 제1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 제3 실시예에서는 탈취 장치(9)의 이온풍 발생 수단으로서의 직류 방전 기구(27)를 기류의 유통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병렬 배치된 복수, 예를 들어 4매의 대극(31)과,상기 대극(31) 중 대향하는 2매의 대극(31) 사이에 배치된 방전 전극(30)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도, 상기 방전 전극(30)은 상기 대극(31)의 중심선(A)보다도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직류 방전 기구(27)에 있어서의 이온풍의 발생량이 증대되어, 덕트(26) 내로 유입하는 냉기의 양을 증대할 수 있으므로, 탈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2 실시예와 달리, 장치가 대형화되는 일이 없다. 또한,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제1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 제4 실시예에서는 탈취 장치(9)의 직류 방전 기구(27)에 있어서의 상기 방전 전극(30)에 인가하는 직류 고전압을 가변 제어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즉, 상기 제어 장치(35)는 상기 고전압 인가부(43)를 구동 제어하여, 상기 방전 전극(30)에 -4 내지 -6 kV의 직류 고전압을 인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 장치(35) 및 상기 고전압 인가부(43)는 전압 변화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저장고 내의 악취 성분, 예를 들어 암모니아 농도를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센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인가 전압을 변화시키도록 구성하면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저장고 내의 악취 성분량에 따라서 탈취 성능을 변화시킬 수 있어, 냉기 속의 악취 성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또한,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제1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또, 제1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 제5 실시예에서는 탈취 장치(9)에 있어서의 광촉매 모듈(28)을 생략하고 있다. 즉, 이 탈취 장치(9)에서는 오존만을 이용하여 악취 성분의 분해 및 제거를 행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1 실시예의 탈취 장치(9)에 비해 탈취 성능이 떨어지지만, 광촉매 모듈(28)을 생략한 만큼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 제6 실시예에서는 덕트(26) 내에 직류 방전 기구(51) 및 활성탄 필터(52)를 배치함으로써 탈취 장치(9)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직류 방전 기구(51)는 제1 실시예에서 나타낸 상기 직류 방전 기구(27)와 마찬가지로, 방전 전극(30) 및 대극(31)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상기 방전 전극(30)에는 정의 직류 고압 전위, 예를 들어 +4.5 kV의 직류 고압 전위가 인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방전 전극(30)에 +4.5 kV의 직류 고압 전위가 인가되면, 이온풍이 발생되고 덕트(26) 내를 화살표 B 방향의 기류가 흐른다. 이 결과, 유입구(26a)를 거쳐서 저장고 내의 냉기가 덕트(26) 내로 유입하여, 직류 방전 기구(51)를 통과한 후, 활성탄 필터(52)에 이른다.
그리고, 활성탄 필터(52)를 통과할 때, 냉기 속의 악취 성분은 활성탄필터(52)에 흡착되고, 탈취된 냉기가 유출구(26b)로부터 저장고 내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탈취 장치(9)에 따르면, 저장고 내의 악취 성분을 포함한 냉기를 적극적으로 덕트(26) 내에 취입할 수 있으므로, 저장고 내의 악취 성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따르면, 덕트(26) 내에 직류 방전 기구(51) 및 활성탄 필터(52)를 배치함으로써 탈취 장치(9)를 구성했으므로,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탈취 장치(9)에 있어서는 활성탄 필터(52)의 흡착 성능이 포화될 때에는 그 교환 작업이 필요해진다. 그러나, 활성탄 필터만을 구비한 종래의 탈취 장치에 비하여, 덕트(26) 내에 냉기를 적극적으로 유입시키는 구성이므로 탈취 성능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방전 전극(30)에 +4.5 kV의 직류 고압 전위가 인가된 때 상기 직류 방전 기구(51)에 있어서 발생하는 오존 농도는 상기 직류 방전 기구(27)에 있어서 발생하는 오존 농도의 약 1/5로 저감한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탈취 장치(9)에 있어서는, 오존 분해 촉매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저장고 내의 오존 농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일은 없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제6 실시예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또한, 제6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즉, 이 제7 실시예에서는 탈취 장치(9)에 있어서의 상기 활성탄 필터(52)로 바꿔 광촉매 모듈(28)을 상기 직류 방전 기구(51)의 하류측에 배치하고 있다.
상기 광촉매 모듈(28)의 방전 전극(32) 및 대극(33) 사이에 정의 펄스형 직류 전압을 인가하면, 자외선과 함께 오존이 발생되지만, 오존의 발생량은 적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따르면 유입구(26a)를 거쳐서 덕트(26) 내로 유입한 냉기는, 주로 광촉매 모듈(28)을 통과할 때 그 광촉매 작용에 의해서 암모니아 등의 악취 성분이 산화 분해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직류 방전 기구(51)에 있어서의 오존의 발생량도 적다. 이로 인해, 오존 분해 촉매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저장고 내의 오존 농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일이 없다.
도12는 본 발명을 저장고 내를 냉기가 순환되는 타입의 냉동 냉장고에 적용한 제8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냉동 냉장고에 있어서는 냉장실(3) 및 야채실(6) 내의 냉각은 냉동실용 냉각기(61)[이하, R 냉각기(61)]에 의해서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야채실(6) 안 쪽에는 칸막이 벽(62)에 의해 냉장실용 냉각기실(6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냉각기실(63) 내의 상부에는 냉장실용 팬 장치(64)가 배치되어 있고, 이 팬 장치(64)에 대응하여 상기 칸막이 벽(62)의 상부에는 원통형의 냉기 토출부(62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냉기 토출부(62a)의 선단부 개구부는 야채실(6) 내에 수용된 상부 케이스(8) 내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8)의 상부면에는 냉기 유출 구멍(8a)을 갖는 커버(8b)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냉각기실(63) 내의 하부에는 상기 R 냉각기(61)가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칸막이 벽(62)의 하부의 전방부에는 루버형의 냉기 흡입구(65)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냉장실(3) 내의 안 쪽 및 상부에는 대략 L자형의 덕트 커버(66)에 의해 냉기 덕트(6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덕트 커버(66)에는 복수의 냉기 토출 구멍(66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팬 장치(64)가 운전되면, 냉각기실(63) 내의 냉기의 일부는 도12 중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냉기 토출구(62a)로부터 상부 케이스(8) 내로 토출되고, 냉기 유출 구멍(8a)을 통하여 상부 케이스(8)와 칸막이 판(5)과의 사이의 공간으로 방출된다. 그 후, 일부의 냉기는 하부 케이스(7) 내로 유입하고, 나머지는 하부 케이스(7)의 전방면 및 하부면에 따라서 흐른 후, 냉기 흡입구(65)를 거쳐서 냉각기실(63) 내로 복귀된다.
한편, 냉각기실(63) 내의 냉기의 나머지는 도12 중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냉기 덕트(67)를 통하여 상승하고, 냉기 토출 구멍(66a) 및 냉기 덕트(67)의 상단부로부터 냉장실(3) 내로 토출된다. 그리고, 냉동 케이스(10)와 칸막이 판(5)과의 사이를 통해, 유입구(26a)로부터 탈취 장치(9)의 덕트(26) 내로 유입한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탈취 장치(9)는 냉기의 순환 경로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따르면 직류 방전 기구(27)에 있어서 발생하는 이온풍에다가, 저장고 내를 순환하는 냉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덕트(26) 내로 냉기를 취입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냉동 냉장고에서는 팬 장치(64)의 구동이 정지되면, 저장고 내를 냉기가 순환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탈취 장치(9)에 있어서는 저장고 내를 순환하는 냉기의 흐름이 정지되어 있을 때라도, 직류 방전 기구(27)에 있어서 발생하는 이온풍에 의해, 저장고 내의 냉기를 적극적으로 덕트(26) 내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저장고 내의 탈취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서술하고 또한 도면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변형 또는 확장이 가능하다.
직류 방전 기구에 있어서는, 방전 전극을 양측으로부터 협지하도록 대극을 설치했지만, 한 쪽에만 대극을 설치해도 좋다. 또, 상기 대극은 그리드형 혹은 와이어형이라도 좋다. 이 경우는 기체의 유통을 그다지 방해하지 않으므로, 기류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방전 전극의 기류 방향 일방측에 대극을 설치할 수 있다.
대극을 부전위로 해도 좋다. 이 경우는, 방전 전극에 있어서 발생한 이온과 대극과의 사이에 반발력이 작용한다. 이로 인해, 직류 방전 기구에 있어서, 방전 전극을 대극의 기류 방향 중심보다도 일방측에 배치한 경우는 방전 전극으로부터 일방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흐르는 이온풍이 발생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직류 방전 기구(27)의 대극(31)을 부전위로 하면, 이온풍은 반대의 화살표 B 방향으로 흐른다.
제6 및 제7 실시예에 있어서는, 직류 방전 기구(51)를 탈취 수단[활성탄 필터(52), 광촉매 모듈(28)]의 하류측에 배치해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직류 방전 기구(51)는 오로지 송풍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므로, 탈취 수단의 상류측 혹은 하류측 중 어느 쪽에 배치해도 같은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광촉매 모듈(28)의 방전 전극(32)에 인가하는 전압의 극성은 부극성이라도 좋다. 이 경우는 오존의 발생량이 증가하므로, 오존(활성 산소)에 의한 탈취 효율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탈취 장치는 냉장고 이외의 폐쇄 공간, 예를 들어 신발장이나 벽장, 화장실, 스포츠 센터의 탈의실 등에 적용해도 좋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탈취 장치에 따르면, 이온풍 발생 수단의 방전 전극과 대극과의 사이에서 고전압 방전을 일으켜 이온풍을 발생시키도록 구성하고, 기체를 적극적으로 탈취 수단을 향하게 하여 효율적으로 접촉시키도록 구성했으므로, 탈취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팬 장치를 설치하여 기체를 유통시키는 구성에 비해 소형화 및 저소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고전압 방전에 의해 오존도 발생하므로, 오존의 산화력을 이용하여 악취 성분을 분해 및 제거할 수 있다.

Claims (13)

  1. 대극과 방전 전극을 갖고, 상기 방전 전극과 상기 대극과의 사이에 직류 고전압이 인가되어 고전압 방전을 일으킴으로써 이온풍을 발생시키는 이온풍 발생 수단과,
    기체에 포함되는 악취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탈취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내부에 기체의 유통 경로를 갖고, 이온풍 발생 수단 및 탈취 수단을 수용하는 덕트를 구비하고,
    상기 이온풍 발생 수단은 방전 전극을 대극의 기류 방향 중심보다도 상류측에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탈취 수단은 상기 이온 발생 수단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탈취 수단은 고전압 방전에 의해서 자외선을 발생하는 자외선 발생용 방전 수단과, 상기 자외선이 조사됨으로써 생기는 광촉매 작용에 의해서 기체 속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 성분이나 유해 물질 등의 분해를 행하는 광촉매 모듈로 이루어지는 광촉매 모듈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광촉매 모듈의 광촉매 모듈은 다공질형의 세라믹으로 구성되는 기체의 표면에 광촉매 입자가 고정되어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자외선 발생용 방전 수단은 상기 광촉매 모듈을 거쳐서 대향 배치된 방전 전극과 대극으로 구성되고,
    상기 자외선 발생용 방전 수단의 대극은 이온 발생 수단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자외선 발생용 방전 수단의 대극 및 상기 이온 발생 수단의 대극은 접지 전위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탈취 수단은 고전압 방전에 의해서 오존을 발생하는 오존 발생용 방전 수단과, 상기 오존을 분해하는 오존 분해 촉매 필터로 이루어지는 오존 탈취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탈취 수단은 기체 속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 성분이나 유해 물질 등을 흡착하는 활성탄 필터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온 발생 수단은 기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대향 배치된 한 쌍의 판형의 대극과, 상기 한 쌍의 판형의 대극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대극과 평행 방향 또한 기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형의 방전 전극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온 발생 수단은 기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대향 배치된 한 쌍의 판형의 대극과, 상기 한 쌍의 판형의 대극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대극과 평행 방향 또한 기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형의 방전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방전 유닛을 기류 방향으로 복수개, 직렬 배치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온 발생 수단은 기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병렬 배치된 복수매의 판형의 대극과, 상기 복수매의 대극 중 대향하는 2매의 대극 사이의 각각에 배치되어 상기 대극과 평행 방향 또한 기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형의 복수의 방전 전극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온 발생 수단의 방전 전극에는 부의 고압 전위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온 발생 수단의 방전 전극에는 정의 고압 전위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온 발생 수단의 방전 전극과 대극과의 사이에인가되는 고압 전위를 변화시키는 전압 변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냉식 냉장고의 저장고 내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
KR10-2001-0071678A 2000-11-20 2001-11-19 탈취 장치 KR1004548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52885A JP2002153552A (ja) 2000-11-20 2000-11-20 脱臭装置
JPJP-P-2000-00352885 2000-1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9243A true KR20020039243A (ko) 2002-05-25
KR100454832B1 KR100454832B1 (ko) 2004-11-05

Family

ID=18825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1678A KR100454832B1 (ko) 2000-11-20 2001-11-19 탈취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2153552A (ko)
KR (1) KR100454832B1 (ko)
CN (1) CN1354019A (ko)
SG (1) SG90787A1 (ko)
TW (1) TW4992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3525B2 (ja) * 2002-05-30 2007-06-20 株式会社東芝 脱臭装置
CN100498152C (zh) * 2003-05-20 2009-06-10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电冰箱用等离子体空气净化/除臭装置
CN101929786B (zh) * 2009-06-22 2013-01-30 株式会社东芝 冰箱
JP5467152B2 (ja) * 2010-06-22 2014-04-09 京セラ株式会社 イオン風発生体及びイオン風発生装置
KR101374673B1 (ko) 2013-08-29 2014-03-17 주식회사 이에스티 공기정화장치
CN103977677B (zh) * 2014-04-18 2016-01-13 青岛中通臭氧科技有限公司 一种催化氧化臭氧除臭系统
CN104279829B (zh) * 2014-10-31 2016-07-06 张伟 一种带臭氧除药剂残留功能的冰箱
CN104645401A (zh) * 2015-01-16 2015-05-27 德清新明辉电光源有限公司 一种冰箱除臭灯
CN105170327B (zh) * 2015-08-13 2017-03-15 南通河海大学海洋与近海工程研究院 电晕放电空气净化装置
CN108993106A (zh) * 2018-08-13 2018-12-14 黄仕叶 生物离子除臭异味控制器
CN113996146B (zh) * 2020-12-05 2023-09-22 日照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有机废气处理的吸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9056A (en) * 1983-11-23 1987-08-25 Nippon Soken, Inc. Air cleaner using ionic wind
JPS61257251A (ja) * 1985-05-08 1986-11-14 Nippon Denso Co Ltd イオン風発生装置
JPS6257662A (ja) * 1985-09-05 1987-03-13 Nippon Denso Co Ltd 空気清浄器
AU610566B2 (en) * 1987-03-13 1991-05-23 Sharp Kabushiki Kaisha Deodorizing apparatus
JPH01260277A (ja) * 1988-04-11 1989-10-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
JPH0420773A (ja) * 1990-05-15 1992-01-24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JPH04279169A (ja) * 1991-03-07 1992-10-05 Toshiba Corp オゾン脱臭装置
KR950003816B1 (ko) * 1992-01-25 1995-04-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살균탈취장치
KR950003816A (ko) * 1993-07-02 1995-02-17 조말수 용액내 중금속 크롬 정성분석용 흡착지 및 그 제조방법
JP2637693B2 (ja) * 1994-04-05 1997-08-06 三星電子株式会社 冷蔵庫の多機能付加装置
JP3481770B2 (ja) * 1996-03-19 2003-12-22 株式会社テルモ工業 空気清浄装置
JPH1043628A (ja) * 1996-07-31 1998-02-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オン風空気清浄機
JPH10309493A (ja) * 1997-05-08 1998-11-24 Daikin Ind Ltd イオン風式空気清浄機の集塵部
JP3754601B2 (ja) * 2000-06-16 2006-03-15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US7056476B2 (en) * 2000-06-15 2006-06-06 Kabushiki Kaisha Toshiba Refrigerator and deodorizer producing ozone by high-voltage dischar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153552A (ja) 2002-05-28
SG90787A1 (en) 2002-08-20
KR100454832B1 (ko) 2004-11-05
CN1354019A (zh) 2002-06-19
TW499297B (en) 2002-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37693B2 (ja) 冷蔵庫の多機能付加装置
KR100438885B1 (ko) 냉장고 및 탈취 장치
US7056476B2 (en) Refrigerator and deodorizer producing ozone by high-voltage discharge
US20090042502A1 (en) Vehicle Air Purifier with a Negative and Positive Ion Generato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0454832B1 (ko) 탈취 장치
KR100582127B1 (ko) 냉장고
US9717816B2 (en) Deodorization and steriliza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06151046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20070094026A (ko) 공기조화장치
JP2005262085A (ja) 空気浄化装置
KR101214771B1 (ko) 음/양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1174520B1 (ko) 음/양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JPH05157444A (ja) 冷蔵庫用脱臭除菌装置
JP2604798B2 (ja) 冷蔵庫
JP2002277152A (ja) 冷蔵庫
JPH0692825B2 (ja) 空気浄化装置
JP2008014572A (ja) 冷蔵庫
JP2972421B2 (ja) 冷蔵庫等の脱臭装置
KR20080007988A (ko) 차량 공조장치용 클러스터 음/양이온 발생기의 제어방법
KR10200334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의 이온발생기 제어방법
JP2547698B2 (ja) ヒータ
CN116989515A (zh) 冰箱
JPH0811527A (ja) 車両コンテナ用オゾン脱臭殺菌装置
KR0122139Y1 (ko) 냉장고의 공기 청정장치
JPH07104094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