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8555A - 피기록 매체, 피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및 이 피기록매체를 사용한 화상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피기록 매체, 피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및 이 피기록매체를 사용한 화상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8555A
KR20020038555A KR1020010071570A KR20010071570A KR20020038555A KR 20020038555 A KR20020038555 A KR 20020038555A KR 1020010071570 A KR1020010071570 A KR 1020010071570A KR 20010071570 A KR20010071570 A KR 20010071570A KR 20020038555 A KR20020038555 A KR 20020038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ink
alumina hydrate
pulp
cation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1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1112B1 (ko
Inventor
히또시 요시노
히로유끼 오기노
Original Assignee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20020038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8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1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11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35Uncoated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02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materials
    • B41M5/508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18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inorganic additives, e.g. pigments, c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45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mers containing cationic or anionic groups, e.g. mordants

Landscapes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 Paper (AREA)

Abstract

충전재료를 포함하지 않는 섬유상 물질을 주체로 한 무사이즈의 단층 섬유질 구조의 잉크 수용면의 적어도 표면 근방에 뵈마이트 구조를 갖는 알루미나 수화물과 양이온성 수지를 존재시켜 피기록 매체를 형성한다.

Description

피기록 매체, 피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및 이 피기록 매체를 사용한 화상 형성 방법 {Recording Medium,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and Image-Forming Method Employing th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잉크를 사용한 기록에 적합한 피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며, 잉크 흡수 능력이 우수하고, 피기록 매체 표면이 보통지의 감촉을 보유하고 있는 데다가 화상을 기록했을 경우에 화상 농도가 높고, 색조가 선명하여 잉크-젯용으로서 특히 적합한 피기록 매체와 그 제조 방법, 및 상기 피기록 매체를 사용한 화상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잉크-젯 기록 방식은 잉크의 미소 액적을 각종 작동 원리에 의해 비상시키고 종이 등의 피기록 매체에 부착시켜 화상, 문자 등의 기록을 행하는 것이다. 이 기록 방식을 적용한 인쇄 장치는 고속 저소음이고, 또한, 다색화가 용이하며 기록 패턴의 융통성도 커서 현상, 정착이 불필요하다는 등의 특징이 있어 각종 화상의 인쇄 장치로서 정보 기기를 비롯하여 각종 용도로 급속히 보급되고 있다.
또한, 다색 잉크-젯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화상은 제판 방식에 의한 다색 인쇄나 컬러 사진 방식에 의한 인화와 비교하여 손색이 없는 기록을 얻는 것도 가능하고, 작성 부수가 적은 경우에는 통상의 다색 인쇄나 인화에 의한 것보다도 값이 싸기 때문에 풀 컬러 화상 기록 분야로까지 널리 응용되고 있다.
잉크-젯 기록 방식에서, 기록의 고속화, 고정밀화, 풀 컬러 인쇄 등의 기록특성이 향상되었다. 이에 따라, 피기록 매체에 대하여도 고도한 특성이 요구되게 되었다.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종래부터 다종 다양한 피기록 매체의 형태가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소55-5830호 공보에는 지지체 표면에 잉크 흡수성의 도공층을 마련한 잉크-젯 기록 용지가 제안되어 있고, 특개소55-51583호 공보에는 피복층중의 안료로서 비정질 실리카를 사용한 예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피기록 매체는, 기재 위에 알루미나 또는 실리카 등의 안료를 포함하는 잉크 수용층을 형성하는 형태를 취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에서는, 기재상에 잉크 수용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재로서 종이 기재를 사용한 경우에도 보통지의 감촉이 얻어지지 않는다.
보통지의 감촉을 갖는 피기록 매체를 얻기 위한 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개평6-312572호 공보, 동7-25131호 공보, 동7-25132호 공보에는, 종이 기재 위에 초미립자를 미량 도공하여 기록면에 펄프의 섬유 형상을 남기고, 또한 초미립자 안료의 피복율을 70 % 이상으로 한 매체가 제안되어 있다. 다른 형태로는, 예를 들면 특개평1-141783호 공보에는 무정형 실리카 및 알루미나 수화물을 온 머신(on-machine) 코팅한 잉크-젯 기록 용지가, 동11-174718호 공보에는 피그먼트 사이즈 도공된 정보 기록 용지가 제안되어 있다.
반면 종이에 충전재료 등을 첨가한 매체도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개소 53-49113호 공보에는, 우레아 포르말린 수지 분말을 첨가한 시트상에 수용성 고분자를 도포·함침한 인쇄 용지가 제안되어 있다. 특개소58-8685호 공보에는 합성 규산염, 유리 섬유를 첨가한 시트에 수용성 고분자를 도포·함침한 인쇄 용지가 제안되어 있다. 이들은 무사이즈(non-sized) 종이에 특정한 미세분말을 첨가함으로써 잉크 흡수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첨가지의 다른 형태로서는, 다층 구성의 종이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개소 63-118287호 공보와 미국 특허(USP) 4,734,336호 명세서에는 펄프 섬유로 이루어지는 지지체층과 실리카 등의 충전재료와 섬유상 물질로 이루어지는 표층을 중첩시킨 무도공지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개평1-78877호 공보, 동2-243381호 공보, 동2-243382호 공보, 동5-106197호 공보에는 함께 초지한 다층지로 기층 또는 기층과 표면층의 경계면에 사이즈 처리가 된 인쇄 용지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개평6-219043호 공보에는 표면층에 난용성 또는 수불용성의 무기물을 담지한 다층지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개평6-287886호 공보, 동7-5430호 공보, 동8-258400호 공보에는, 벌키(bulky) 셀룰로스, 머서가공된(mercerized) 셀룰로스, 활엽수 표백 술파이트 펄프 등의 특정한 펄프를 사용한 다층지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개평9-170190호 공보에는 표층에 친수성 섬유와 소수성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여 기층이 주로 셀룰로스 섬유로 이루어지는 다층지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피기록 매체에서는 고속 인자를 행했을 경우에 잉크 흡수성, 발색 농도, 번짐 등의 특성을 전부 만족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잉크 흡수 능력이 우수하고, 피기록 매체 표면이 보통지의 감촉을 보유하고 있는 데다가 화상을 기록했을 경우에 화상 농도가 높고, 색조가 선명하여 잉크-젯용으로서 특히 적합한 피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피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피기록 매체를 사용한 화상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목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잉크 흡수 능력이 우수하고, 가루 날림이나 컬이 적고, 종이 표면이 보통지의 감촉을 보유하고 있으며 화상을 기록했을 경우에 화상 농도가 높고, 색조가 선명하여 잉크-젯용으로서 특히 적합한 피기록 매체와 그 제조 방법, 및 상기 피기록 매체를 사용한 화상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피기록 매체 표면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섬유
2섬유사이의 간극
3알루미나 수화물
4양이온성 물질
상기한 목적은, 이하의 본 발명에 의해서 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피기록 매체는 섬유상 물질을 주체로 하고, 또한 충전재료를 포함하지 않은 무사이즈의 단층 섬유질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층 섬유질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면을 잉크 수용면으로 하는 피기록 매체로서, 적어도 상기 섬유상 물질의 표면 근방에 뵈마이트 구조의 알루미나 수화물과 양이온성 수지가 존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은, 섬유상 물질을 주체로 하고, 또한 충전재료를 포함하지 않은 단층 섬유질 구조의 기재에 뵈마이트 구조를 갖는 알루미나 수화물과 양이온성 수지를 부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방법은, 잉크의 액적을 피기록 매체의 잉크 수용면에 부여하여 인자를 행하는 화상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기록 매체로서 상기한 구성의 피기록 매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잉크 흡수 능력이 우수하고, 가루 날림이나 컬이 적고, 종이 표면이 보통지의 감촉을 보유하고 있는 데다가 화상을 기록했을 경우에 화상 농도가 높고, 색조가 선명한 피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가 있다. 이 피기록 매체는, 잉크를 부여하여 기록을 행하는 방법, 특히 잉크-젯 기록 방법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며, 보통지의 감촉을 가지며, 화상 농도도 높고, 색조도 선명한 기록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미 알루미나 수화물을 섬유상 물질에 첨가한 피기록 매체를제안하였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제2714350호 내지 동 제2714352호, 특개평9-99627호 공보, 동2000-211250호 공보). 이들 중에서, 일본 특허 제2714350호 내지 동 제2714352호, 특개평9-9962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피기록 매체는 특정 물성값을 나타내는 알루미나 수화물이 섬유상 물질 전체에 첨가되어 있는 피기록 매체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을 취함으로써 양호한 발색이 얻어진다는 발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특개2000-21125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피기록 매체는, 표면층과 기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구성의 종이 매체이고, 표면층에만 뵈마이트 구조의 알루미나 수화물이 첨가된 피기록 매체이다. 상기 공보의 피기록 매체는 표면층에만 알루미나 수화물을 첨가하고 기층이 액체 흡수성이 좋은 재료로 구성된 다층 구성의 알루미나 수화물을 첨가한 기록 용지에 의해 우수한 고속 인자의 발색, 해상도가 성취될 수 있다는 발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명의 개량이다. 즉, 본 발명자들은 충전재료를 포함하지 않고, 알루미나 수화물과 양이온성 수지가 그 표면 근방에 존재하는 섬유상 물질로 형성된 단층 구조의 무사이즈 피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알루미나 수화물을 첨가한 피기록 매체의 구성을 개량함으로써 우수한 잉크 흡수성과 발색성, 도트 재현성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기록 매체는, 풀 라인 헤드 등을 사용한 초고속 프린터로 인자를 행할 때에 특히 유효하다. 본 발명의 피기록 매체의 보다 바람직한 형태는 무사이즈 종이에 알루미나 수화물과 양이온성 수지를 온 머신(on-machine) 도공하는 형태이다. 본 발명의 피기록 매체는 단층 구성이고, 알루미나 수화물과 양이온성 수지를 온 머신 도공하고 있기 때문에 통상의 초지기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가 있어 생산성이 현저히 개선되는 것도 그 이점의 하나이다. 특히, 알루미나 수화물과 양이온성 수지의 기재로의 양면 도공을 쉽게 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본 발명에서 섬유상 물질은 종이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합성 펄프 등을 사용한 합성지, 천, 부직포 등 섬유상의 재료를 사용한 형태 모두에 적용되는 것이다. 여기서 무사이즈 종이란 스톡키트(Stoeckigt) 사이즈도의 측정에서 0초라는 것을 가리키고 있다. 스톡키트 사이즈도의 측정은 JIS P-8122의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관한 피기록 매체는, 충전재료를 포함하지 않은 섬유를 주체로 한 단층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무사이즈 섬유상 물질의 적어도 표면 근방에 알루미나 수화물과 양이온성 수지를 존재시킨 피기록 매체이다. 본 발명의 피기록 매체에서는 인자된 잉크 중의 색재는 피기록 매체의 잉크 수용면의 표면 근방에서 흡착되어, 잉크 중의 용매 성분이 피기록 매체 내부로 흡수되는 것이다. 섬유상 물질의 각 섬유 사이의 간극에는 알루미나 수화물 및 양이온성 수지 등의 첨가 재료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상 물질의 각 섬유 사이의 간극에 충전재료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의 확인 방법은, 예를 들면 특개평6-312572호 공보, 동7-25131호 공보, 동7-2513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피기록 매체 표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관찰 배율은 200 내지 500배의 범위내이다. 본 발명에서는 섬유상 물질의 간극은 잉크-젯으로 인자시 잉크 흡수를 최대한으로 하도록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을위하여 각 섬유 사이의 간극에 충전재료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통상의 종이나 천으로 사용되고 있는 사이즈 프레스 등의 통상의 수지 성분의 도공은 행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피기록 매체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루미나 수화물 (3) 및 양이온성 수지가 섬유의 표면에 부착되어 이것을 피복하고 있다. 여기서, 알루미나 수화물 또는 양이온성 수지는 섬유상 물질의 사이에 있는 간극 (2)을 매립하지 않도록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섬유상 물질을 주체로 하는 단층 섬유질 구조의 잉크 수용면의 적어도 표면 근방에 알루미나 수화물과 양이온성 수지를 존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나 수화물과 양이온성 수지는 단층 구조를 갖는 피기록 매체 기재에 내부적으로 첨가될 수 있거나, 또는 기재의 소정 면 상에 또는 소정면으로 이들 물질을 코팅 또는 함침시킴으로써 첨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나 수화물 및 양이온성 수지는 기록 매체 기재 상에 도공하고 거기에 함침됨으로써 부여될 수 있다. 도공법은 적어도 표면 근방에 보다 많은 알루미나 수화물 및 양이온성 수지를 존재시킬 수가 있어 발색 등이 좋아진다. 보다 바람직한 방법은, 알루미나 수화물과 양이온성 수지를 온 머신 도공하는 방법이다. 그 이유는 분명하지 않다. 온 머신 도공을 행했을 경우는 종이와 같은 섬유상 물질이 초지 후 금방이기 때문에 섬유상 물질의 화학적·물리적인 활성이 높아 접촉한 알루미나 수화물이나 양이온성 수지를 부여하고 나서 섬유상 물질에 부착하기까지의 시간이 짧기 때문에 기재의 내부로 도공액이 침투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피기록 매체 시트상의 도공시 바람직한 도공 중량은 각각 한쪽 면당 1 내지5 g/㎡이다. 온 머신 도공의 경우는 시트의 양면이 동시에 도공된다. 그 경우의 알루미나 수화물과 양이온성 수지 각각의 바람직한 전체 도공 중량은 양면 합하여 2 내지 10 g/㎡이다. 이 범위내이면 알루미나 수화물 또는 양이온성 수지는 섬유상 물질 사이의 간극을 보다 적합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온 머신 도공함으로써 적은 도공 중량으로 보통지의 감촉을 보유한 채로도 양호한 발색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보통지의「감촉」이란, 표면에 섬유상 물질의 섬유 형상이 노출되어 있고 촉감으로 미립자 등을 도공한 것과 같은 느낌이 없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온 머신 도공이란, 초지 공정에서 수지상 물질 위에 사이즈 프레스 도공을 행하는 대신 알루미나 수화물과 양이온성 수지를 포함하는 도공액을 머신으로 연속적으로 도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피기록 매체는 그 표면에 사이즈 프레스층은 갖지 않는다.
특개평1-141783호 공보에는, 지지체상에 무정형 실리카와 평균 입자경 5 내지 200 nm의 알루미나 수화물을 중량비로 100:5 내지 100:35의 비율로 포함하는 도공액을 온 머신 도공하여 얻어진 잉크-젯용 기록지가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서는 초지기상에서의 온 머신 코팅에서의 생산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도공하는 무정형 실리카의 바인더로서 알루미나졸을 사용하고 있다. 이 기록지는, 본 발명의 피기록 매체와는 온 머신 코팅을 행하는 점에서 일치하고 있지만, 본 발명과 같이 충전재료를 포함하지 않은 무사이즈 종이에 알루미나 수화물과 양이온성 수지를 온 머신 도공하는 점에서는 다른 것이다.
또한, 특개평11-174718호 공보에는, 3 내지 8 g/㎡의 피그먼트 사이즈 도공이 실시된 용지에서, 마무리 밀도가 0.75 내지 0.90 g/㎤의 범위, 섬유 배향비가 1.05 내지 1.25의 범위, 평활도가 50 내지 120초의 범위, 및 질의 지수(formation index)가 20 이상인 정보 용지가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서는 풀 컬러 복사기의 컬러 화상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강도를 유지하고, 평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용지의 밀도를 낮게 했을 때에 정착된 토너가 종이의 간극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피그먼트 사이즈 도공을 행하고 있다. 이 용지는, 본 발명의 피기록 매체와는 특정 범위의 종이에 피그먼트 사이즈 도공을 행하는 점에서는 일치하고 있다. 그러나, 특개평11-174718호 공보에는 본 발명과 같이 잉크 흡수성이나 발색, 보통지의 감촉 등의 특성을 만족할 수 있는 특성인 충전재료 무첨가 종이에 알루미나 수화물과 양이온성 수지를 온 머신 도공하는 사상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알루미나 수화물은 양전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잉크 중의 염료 등의 색재 정착이 좋고, 발색성이 우수한 화상이 얻어지고, 또한 흑색 잉크의 갈변, 내광성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키지 않는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 때문에, 알루미나 수화물을 포함하는 피기록 매체는, 잉크-젯용 기록에 사용하는 것으로서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기록 매체 중에 존재하는 알루미나 수화물로서는, (X선 회절법에서 검출가능한) 뵈마이트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 잉크 흡수성과 및 색재의 흡착성, 발색성이 좋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하다.
알루미나 수화물은 하기 화학식 1에 의해 정의된다.
Al2O3-n(OH)2n·mH2O
식 중, n은 0 내지 3 중 하나의 정수를 나타내고, m은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내지 5인 값을 나타내며, mH2O의 표현은, 대부분의 경우에 결정 격자의 형성에 관여하지 않는 이탈가능한 수상을 나타내는 것이며, 그 때문에, m은 또 정수가 아닌 값을 취할 수도 있으며, 단, m과 n은 동시에 0이 되지는 않는다.
뵈마이트 구조의 알루미나 수화물의 결정은, 그 (020)면이 거대 평면을 형성하는 층상 화합물이고, X선 회절 패턴에 특유의 회절 피크를 나타낸다. 뵈마이트 구조로서는, 완전 뵈마이트 외에 유사 뵈마이트라고 칭하는 과잉의 물을 (020)면의 층간에 포함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이 유사 뵈마이트의 X선 회절 패턴은 완전 뵈마이트보다도 넓은 회절 피크를 나타낸다. 완전 뵈마이트와 유사 뵈마이트는 명확히 구별할 수 없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양자를 포함하여 뵈마이트 구조의 알루미나 수화물이라 한다(이하, "알루미나 수화물"이라 함).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뵈마이트 구조의 알루미나 수화물로서는, X선 회절법으로 뵈마이트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 색농도나 해상도, 잉크 흡수성이 좋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뵈마이트 구조를 나타내는 알루미나 수화물이면 이산화티탄이나 실리카 등의 금속 산화물을 함유한 알루미나 수화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알루미나 수화물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뵈마이트 구조의 알루미나 수화물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예를 들면 알루미늄히드록시드의 가수 분해, 알루민산나트륨의 가수 분해 등의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특개소56-12050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X선 회절적으로 무정형의 알루미나 수화물을 물 존재하에 50 ℃ 이상에서 가열 처리함으로써 뵈마이트 구조로 바꿔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기록 매체를 구성하는 단층 섬유질 구조로 이루어지는 무사이즈의 기재는, 사이즈 처리되어 있지 않은 섬유상 물질을 주체로 하여 얻을 수 있다. 이 섬유상 물질로서는 셀룰로스 펄프를 사용할 수 있다.
기재의 구체예를 들면 활엽수재 및 침엽수재로부터 얻어지는 술파이트 펄프(SP), 알칼리 펄프(AP), 크래프트 펄프(KP) 등의 화학 펄프, 세미케미컬 펄프, 세미메카니컬 펄프, 기계펄프 등, 탈묵된 이차 섬유인 고지(故紙) 펄프가 사용 가능하다. 또한, 펄프는 미표백 펄프 또는 표백 펄프, 및 고해(叩解) 또는 미고해 펄프일 수 있다. 또한, 셀룰로스 펄프로서는 비목재 펄프인 풀, 잎, 인피, 종모 등의 섬유, 예를 들면 짚, 대나무, 삼, 바가스, 케나프, 삼지닥나무, 코튼 린터 등의 펄프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충전재료를 포함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의 흡수성 수지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재료와 흡수성 수지를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인자 도트가 양호한 재현성을 얻을 수 있다.
피기록 매체 전체의 평량으로서는, 평량이 적고 피기록 매체가 극단적으로 얇지 않으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40 내지 300 g/㎡의 범위가 프린터 등으로 인자하는 경우의 피기록 매체의 반송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45 내지 200 g/㎡의 범위이고, 이 범위에서는 종이의 절곡 강도가 높아지지 않아불투명도를 높게 할 수가 있으며, 다수매 인자 샘플을 겹쳤을 때에 점착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피기록 매체로서는 상기 셀룰로스 펄프에 덧붙여 미세 피브릴화 셀룰로스, 결정화 셀룰로스, 활엽수 또는 침엽수를 원료로 하는 황산염 펄프, 아황산염 펄프, 소다 펄프, 헤미셀룰라아제 처리 펄프, 효소 처리 화학 펄프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펄프의 첨가에 의해서 피기록 매체 표면의 평활성이 향상되거나, 질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는 데다가, 인자 직후의 피기록 매체 표면의 태크(tacking)나 팽윤 변형이 없어지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셀룰로스펄프 외에 벌키 셀룰로스 섬유, 머서가공된 셀룰로스, 플러프화 셀룰로스, 서모메카니컬 펄프 등의 기계 펄프 등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펄프의 첨가에 의해 피기록 매체의 잉크 흡수 속도, 잉크 흡수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피기록 매체의 잉크 흡수 속도는 공지된 동적 주사 흡수계에 의해 측정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피기록 매체는 액체에 대하여 접촉 시간 25밀리초에서 50 ㎖/㎡ 이상의 흡수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내이면 잉크 조성에 의하지 않고 비딩(beading)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촉 시간 100 밀리초에서 100 ㎖/㎡ 이상의 흡수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고속으로 다중 인자하는 경우에도 번짐이나 튀김, 비딩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액체의 흡수 속도, 흡수량은 사용하는 셀룰로스 펄프의 종류, 고해도에 따라목적으로 하는 값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피기록 매체에서는 상기 벌키 셀룰로스, 머서가공된 셀룰로스, 플러프화 셀룰로스, 기계 펄프의 첨가로 특히 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피브릴화 셀룰로스, 결정화 셀룰로스, 황산염 펄프, 아황산염 펄프, 소다 펄프, 헤미셀룰라아제 처리 펄프, 효소 처리된 화학 펄프를 첨가함으로써 피기록 매체의 표면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이의 제조 방법을 적용할 수가 있다. 초지 장치로서는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장망 초지기, 환망 초지기, 원통 초지기, 트윈 와이어 초지기 등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기록 매체에서는 통상의 종이 제조 방법에서 이루어지는 사이즈 프레스 공정에서의 전분 등의 도공은 행하지 않는다. 그 대신 알루미나 수화물과 양이온성 수지를 도공한다. 이 도공에는 온 머신 도공이 바람직하다. 온 머신 도공의 방법으로서는, 일반적인 도공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 롤코터, 사이즈 프레스, 바코터, 블레이드 코터, 에어나이프 코터, 롤 코터, 브러시 코터, 커튼 코터, 그라비아 코터, 스프레이 장치 등에 의한 도공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알루미나 수화물과 양이온성 수지는 혼합하여 도공하는 방법, 독립하여 온 머신 도공하는 방법의 중에서 자유롭게 선택하여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온 머신 도공된 피기록 매체에 필요에 따라 캘린더 처리나 수퍼 캘린더 처리를 하여 표면을 평활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알루미나 수화물은 뵈마이트 구조의 알루미나 수화물이다. X선 회절법으로 뵈마이트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면 이산화티탄이나 실리카 등의 금속 산화물을 함유한 알루미나 수화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산화티탄을 함유하는 뵈마이트 구조의 알루미나 수화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제2714351호 공보에 기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실리카를 함유한 뵈마이트 구조의 알루미나 수화물로서는 예를 들면 특개2000-79755호 공보에 기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형태로서는 이산화티탄이나 실리카 대신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바륨, 아연, 붕소, 실리콘, 게르마늄, 주석, 납, 지르코늄, 인듐, 인, 바나듐, 니오븀, 탄탈, 크롬, 몰리브덴, 텅스텐, 망간, 철, 코발트, 니켈, 루테늄 등의 산화물을 함유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알루미나 수화물의 형상(입자형, 입자경, 어스펙트비)는, 알루미나 수화물을 탈이온수에 분산시켜 콜로디온막 위에 적하하여 측정용 시료를 만들고, 이 시료를 투과형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함으로써 측정할 수가 있다. 알루미나 수화물 중에서의 유사 뵈마이트에는 상기 문헌 [Rocek J., et al., Applied Catalysis, 74권, 29 내지 36페이지, 1991년]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섬모상과 그 이외의 형상이 있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섬모상 또는 평판 형상 중 어느쪽 형상의 알루미나 수화물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평판 형상의 입자의 어스펙트비는, 특공평5-16015호 공보에 정의되어 있는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어스펙트비는 입자의 두께에 대한 직경의 비를 나타낸다. 여기서 직경이란, 알루미나 수화물을 현미경 또는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의 입자의 투영 면적과 같은 면적을 갖는 원의 직경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종횡비는 어스펙트비와 동일하게 측정될 수 있는, 평판면의 최소치를 나타내는 직경과 최대치를 나타내는 직경의 비이다. 또한 털다발 형상의 경우에는, 어스펙트비를 구하는 방법은 털다발 형상을 형성하는 알루미나 수화물의 개개의 바늘형 입자를 원주로 하고 상하의 원의 직경과 길이를 구하여, 직경에 대한 길이의 비로 구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알루미나 수화물의 형상은, 평판상에서는 평균 어스펙트비가 3 내지 10의 범위이며, 평균 입자 직경이 1 내지 50 n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털형 다발에서는 평균 어스펙트비가 3 내지 10의 범위이고, 평균 입자 길이가 1 내지 50 n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평균 어스펙트비가 상기 범위이면, 섬유상 물질에 첨가하였을 때 입자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때문에, 알루미나 수화물로 이루어지는 층에 세공 반경 분포가 넓은 다공질 구조를 쉽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평균 입자 직경 또는 평균 입자 길이가 상기 범위내이면, 마찬가지로 세공 용적이 큰 다공질 구조를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알루미나 수화물의 BET 비표면적은 70 내지 300 ㎡/g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BET 비표면적이 상기 범위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인자된 부분이 백탁되거나, 화상의 내수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BET 비표면적이 상기 범위보다도 큰 경우에는, 가루 날림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알루미나 수화물의 BET 비표면적, 세공 반경 분포, 세공 용적은 질소 흡착-탈착 방법에 의해서 구할 수 있다.
피기록 매체 중의 알루미나 수화물의 결정 구조는 일반적인 X선 회절법에 의해서 측정할 수가 있다. 알루미나 수화물을 첨가한 피기록 매체를 측정 셀에 부착하여 회절 각도 2θ가 14 내지 15°로 나타나는 (020)면의 피크를 측정하고, 피크의 회절 각도 2θ와 반값폭 B로부터, (020)면의 면 간격은 브래그(Bragg)의 식, (O1O)면에 수직 방향의 결정 두께는 쉐라(Scherrer)의 식을 사용하여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피기록 매체 중의 알루미나 수화물의 (020)면의 면 간격은 0.617 nm 초과 0.620 nm 이하인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서는 사용하는 염료 등의 색재의 선택폭이 넓어져 소수성, 친수성의 어느 쪽 색재를 사용하여 인자하더라도 인자부의 광학 농도가 높아지고, 또한 번짐이나 비딩, 튀김의 발생이 적어진다. 또한 소수성, 친수성의 색재를 병용하여 인자하더라도 광학 농도나 인자 도트 직경이 색재의 종류에 상관없이 균일해진다. 또한 잉크 중에 친수성 또는 소수성의 재료를 포함하고 있어도 인자부의 광학 농도나 도트 직경이 균일해진다. (010)면에 수직 방향의 결정 두께는 6.0 내지 10.0 n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서는 잉크 흡수성 및 색재의 흡착성이 좋고, 가루 날림이 적어진다. 알루미나 수화물의 (020)면의 면간격과 (010)면에 수직 방향의 결정 두께를 상기 범위내로 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특개평9-99627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피기록 매체 중의 알루미나 수화물의 결정화도는 마찬가지로 X선 회절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알루미나 수화물을 첨가한 피기록 매체를 분말화하고 측정 셀에 부착하여 회절 각도 2θ가 10°인 피크 강도와 2θ가 14 내지 15°로 나타나는 (020)면의 피크 강도를 측정하고, 2θ=10°의 피크 강도에 대한 (020)면의 피크 강도로부터 결정화도를 구할 수 있다. 피기록 매체 중의 알루미나 수화물의 결정화도는 15 내지 8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 범위내에서 있으면 잉크 흡수성이 좋아지는 데다가 인자된 화상의 내수성이 좋아진다. 피기록 매체 중의 알루미나 수화물의 결정화도를 상기 범위내로 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특개평8-132731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하는 알루미나 수화물의 바람직한 세공 구조는 이하의 3 종류가 있고, 필요에 따라 이 중 1 종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제1의 세공 구조는, 상기 알루미나 수화물의 평균 세공 반경이 2.0 내지 20.0 nm이고, 세공 반경 분포의 반값폭은 2.0 내지 15.0 nm인 것이다. 여기서 평균 세공 반경은 특개소51-38298호 공보, 특개평4-202011호 공보에 개시되는 것이다. 또한 세공 반경 분포의 반값폭이란, 세공 직경 분포의 측정 결과에서 평균 세공 직경의 빈도의 반의 빈도인 세공 반경의 폭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범위의 평균 세공 반경과 반값폭이면, 사용할 수 있는 색재의 선택폭이 넓어져 번짐이나 비딩, 튀김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광학 농도나 도트 직경이 균일해진다. 상기 세공 구조를 갖는 알루미나 수화물은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제2714352호에 기재된 방법으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제2의 세공 구조는, 세공 반경 분포에서 반경 10.0 nm 이하와 반경 10.0 내지 20.0 nm의 범위에 극대를 각각 갖고 있는 것이다. 반경 10.0 내지 20.0 nm의 비교적 큰 세공으로 잉크 중의 용매 성분을 흡수하고, 반경 10.0 nm 이하의 비교적 작은 세공으로 잉크 중의 색재 등의 색재 성분을 흡착한다. 그 때문에 색재의 흡착과 용매 흡수가 모두 빨라진다. 반경 10.0 nm 이하의 극대는 반경1.0 내지 6.0 nm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이 범위이면 색재의 흡착이 빠르게 된다. 세공 반경 10.0 nm 이하의 극대 부분의 세공 용적비(극대 2의 용적비)는, 전체 세공 용적의 0.1 내지 10.0 %인 것이 잉크 흡수성과 색재 정착성의 양자를 만족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의 범위이고, 이 범위에서는 잉크 흡수 속도와 색재의 흡착 속도가 빨라진다. 상기 세공 구조를 갖는 알루미나 수화물은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제2714350호에 기재된 방법으로 만들 수 있다. 그 이외의 방법으로서 반경 10.0 nm에 피크를 갖는 알루미나 수화물과 반경 10.0과 20.0 nm 사이에 피크를 갖는 알루미나 수화물을 병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제3의 세공 구조는 상기 알루미나 수화물이 세공 반경 분포에서 반경 2.0 내지 20.0 nm의 범위에 최대 피크를 갖는 것이다. 이 범위에 피크를 가지면 잉크 흡수성과 색재 흡착의 양쪽을 만족하며 알루미나 수화물의 투명성이 좋아져 화상의 백탁을 방지할 수가 있다. 최대 피크의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6.0 내지 20.0 nm이고, 이 범위내이면 색재로서 안료를 사용한 잉크, 염료를 사용한 잉크, 염료 잉크와 안료 잉크의 병용 잉크, 혼합 잉크의 어느쪽 잉크로 인자를 행하더라도 번짐, 비딩, 튀김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범위는 반경 6.0 내지 16.0 nm의 범위이다. 이 범위내이면 색재 농도가 다른 3종류 이상의 잉크를 사용했을 경우라도 농도에 의한 색의 차이가 없어진다. 상기 세공 구조를 갖는 알루미나 수화물은 예를 들면 특개평9-6664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으로 만들 수 있다.
알루미나 수화물의 전체 세공 용적은 0.4 내지 1.0 ㎤/g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 범위내이면 잉크 흡수성이 충분하고, 다색 인자를 행하더라도 색이 손상되는 일이 없다.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0.4 내지 0.6 ㎤/g의 범위인 것이 가루 날림이나 화상의 번짐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알루미나 수화물의 반경 2.0 내지 20.0 nm 범위의 세공 용적이 전체 세공 용적의 80 % 이상이면 인자된 화상에 백탁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다른 형태로서 알루미나 수화물을 응집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입자경이 0.5 내지 50 ㎛이고 BET 비표면적/세공 용적의 값이 50 내지 500 ㎡/㎖인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 범위내이면 알루미나 입자의 흡착점이 수많이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인자 환경(온도, 습도)에 상관없이 비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세공 구조를 갖는 응집 입자는, 예를 들면 특개평8-174993호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커플링제 처리된 알루미나 수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하는 커플링제로서는 실란계, 티타네이트계, 알루미늄계, 지르코늄계 커플링제 중에서 1종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커플링제에 의해 알루미나 수화물이 소수화되어 있으면 화상의 색농도가 높아 선명한 화상이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알루미나 수화물 전체의 표면적 환산으로 0.1 내지 30 %의 범위에서 커플링제 처리되어 있으면 잉크의 흡수성을 손상시키지 않아 발색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커플링제 처리 방법은 예를 들면 특개평9-76628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알루미나 수화물에 금속 알콕시드, 수산기를 가교할 수있는 물질을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금속 알콕시드로서는 예를 들면 테트라에톡시실란, 테트라메톡시실란과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물질 중에서 자유롭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산기를 가교할 수 있는 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붕산 또는 붕산 화합물, 포르말린 화합물 등에서 자유롭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예를 들면 특개평9-86035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계면활성제를 다량 첨가한 침투성이 좋은 잉크를 사용하여 인자했을 경우라도 번짐이나 비딩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양이온성 수지로서는 4급 암모늄염, 폴리아민, 알킬아민, 할로겐화 4급 암모늄염, 양이온성 우레탄 수지, 염화 벤잘코늄, 염화 벤제토늄, 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중합물 등의 물질 중에서 자유롭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기록 매체의 표면 저항성은 바람직하게는 2 ×1011Ω/□ 내지 1 ×1013Ω/□의 범위이다. 피기록 매체는 기록 장치의 수송 동안에 대전될 수 있다. 대전된 피기록 매체로의 잉크-젯 인쇄는 도트된 잉크의 튀김을 일으켜 잉크 안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표면 저항성 범위 내에서는 잉크 안개가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 형성 방법에 사용되는 잉크는, 주로 색재(염료 또는 안료),수용성 유기 용매 및 물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염료로서는, 예를 들면 직접 염료, 산성 염료, 염기성 염료, 반응성 염료,식용 색소 등으로 대표되는 수용성 염료가 바람직하고, 상기한 피기록 매체와의 조합으로 정착성, 발색성, 선명성, 안정성, 내광성 등 그 밖의 요구되는 성능을 만족하는 화상을 제공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어도 좋다. 안료로서는 카본블랙 등이 바람직하다. 안료와 분산제를 병용하는 방법도 자기 분산형 안료를 사용하는 방법, 마이크로 캡슐화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수용성 염료는, 일반적으로 물 또는 물과 수용성 유기 용매로 이루어지는 용매중에 용해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용매 성분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물과 수용성의 각종 유기 용매 등으로의 혼합물이 사용되는데 잉크 중의 수분 함유량이 20 내지 90 중량%의 범위내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유기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 알코올 등의 탄소원자가 1 내지 4개인 알킬 알코올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아세톤 등의 케톤 알코올류,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에테르류,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류, 에틸렌글리콜 등의 알킬렌기가 2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렌글리콜류,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등의 다가 알코올의 저급 알킬에테르류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수용성 유기 용매 중에서도, 디에틸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등의 다가 알코올의 저급 알킬에테르류가 바람직하다. 다가 알코올류는 잉크 중의 물이 증발하여 수용성 염료가 석출하는 것에 기초하는 노즐의 막힘 또는 감소를 방지하기 위한 윤활제로서의 효과가 크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잉크에는 가용화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대표적인 가용화제는 질소 함유 복소환식 케톤류이다. 가용화제는 수용성 염료의 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예를 들면 N-메틸-2-피롤리돈,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특성의 개선을 위하여 점도 조정제, 계면활성제, 표면 장력 조정제, pH 조정제, 비저항 조정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피기록 매체에 상기 잉크를 부여하여 화상 형성을 행하는 방법으로는 잉크-젯 기록 방법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잉크-젯 기록 방법으로서는, 잉크를 미세 구멍(노즐)에서 효과적으로 이탈 분리시켜 피기록 매체에 잉크를 부여할 수 있는 방법이면 어떠한 방법이라도 좋다. 특히 특개소 54-5993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으로 열에너지의 작용을 받은 잉크가 급격한 체적 변화를 발생시키고, 이 상태 변화에 의한 작용력에 의해 잉크를 노즐로부터 토출시키는 잉크-젯 방식을 특히 유효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체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여러 물질의 측정은 하기의 요령으로 행하였다.
1. 인자 특성
라인 헤드를 사용한 초고속 인자를 행하는 카드 프린터 P-400 CII(캐논 업텍스사 제품)를 인쇄 장치로서 사용하여 인자를 행하였다. 인자하는 시료의 크기는 프린터가 카드 프린터이기 때문에 99 ×150 mm의 크기로 행하였다. 이 인자 조작및 인자에 의해 얻어진 인자물에 대하여 이하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1) 잉크 흡수성
상기 프린터를 사용하여 단색부터 4색까지의 밀착 인자를 행하였다. 인자 직후에 피기록 매체 표면의 인자 부분에 손가락을 대어 잉크 건조 상태를 확인하여 잉크 흡수성을 조사하였다. 단색 밀착 인자에서의 잉크량을 100 %로 하였다. 잉크량 300 %(3색 혼합)에서 잉크가 손가락에 부착되지 않는 것을 "우수", 잉크량 200 %(2색 혼합)에서 잉크가 손가락에 부착되지 않는 것을 "양호", 잉크량 100 %에서 잉크가 손가락에 부착되지 않는 것을 "보통", 잉크량 100 %에서 잉크가 손가락에 부착되면 "불량"으로 하였다.
2) 화상 농도
상기 프린터를 사용하여 Y, M, C, Bk 잉크 단색으로 잉크량 100 %에서 밀착 인자한 화상의 화상 농도를, 맥베스 반사 농도계 RD-918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3) 인쇄 균일성, 번짐, 비딩, 튀김, 잉크 통과
상기 프린터로 1O mm ×10 mm의 정방형의 패턴을 단색 또는 다색으로 밀착 인자한 기록부의 인쇄 균일성, 번짐, 비딩, 튀김을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밀착 인쇄부의 농도가 균일하면 "양호", 흰 공간이나 농도 얼룩, 줄기상 얼룩이 있으면 "불량"으로 하였다. 인자부에서 색재의 번짐이 없으면 "양호", 색재의 번짐이 보이면 "불량"으로 하였다. 마찬가지로 밀착 인자부에 비딩이나 튀김이 없으면 "양호", 발생하였으면 "불량"으로 하였다. 피기록 매체의 이면을 관찰하여 색재의 잉크 통과를 육안으로 조사하였다. 잉크 통과가 관찰되지 않으면 "양호", 관찰되면 "불량"으로 하였다.
4) 인자후 컬 (curling)
상기 프린터로 50 mm ×50 mm의 정방형의 패턴을 피기록 매체의 중앙부에 단색 100 %로 밀착 인자를 행하였다. 평평한 받침 위에 정치하여 높이 게이지로 휘어짐 량을 측정하였다. 휘어짐이 1 mm 이하면 "양호", 3 mm 이하면 "보통", 3 mm 이상이면 "불량"으로 하였다.
5) 인자후의 태크
상기 프린터로 1O mm ×10 mm의 정방형의 패턴을 단색 1OO %로 밀착 인자를 행하였다. 피기록 매체의 표면을 손가락으로 만져 부착하지 않으면 "양호", 부착하면 "불량"으로 하였다.
6) 인자후의 가루 날림
피기록 매체를 10매 거듭 상기 프린터로 반송하여 10매 각각의 가루 날림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가루 날림이 없으면 "양호", 가루 날림이 발생하였으면 "불량"으로 하였다.
7) 인자후의 점착
상기 프린터로 50 mm ×50 mm의 정방형의 패턴을 피기록 매체의 중앙부에 단색 100 %로 밀착 인자를 행하였다. 10매 연속 인자하여 인자 샘플을 중첩시켰다. 각 시료 모두 점착이 없으면 "양호", 점착이 발생하였으면 "불량"으로 하였다.
8) 인자후의 표면 변화(팽윤, 코클링, 주름, 변형)
상기 프린터로 50 mm ×50 mm의 정방형의 패턴을 피기록 매체의 중앙부에 단색 100 %로 밀착 인자를 행하였다. 인자 직후의 피기록 매체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인자면에 변화 또는 변형이 없으면 "양호", 인자면에 팽윤, 주름이나 변형, 코클링 등의 변화가 관찰되면 "불량"으로 하였다.
9) 피기록 매체의 표면 저항
25 ℃ 및 50 % 상대습도(RH)의 환경에서 표면 저항 시험기를 사용하여 피기록 매체의 표면 저항을 측정하였다.
2. 액체 흡수 속도
동적 주사 흡수계(KM350-D1, 상품명, 교와 세이꼬사 제품)를 사용하여 시료에 액체를 접촉시켜 액체 흡수량을 구한다. 접촉 시간 약 10 밀리초에서 10 초까지 범위에서의 액체 흡수량을 측정하여 접촉 시간의 평방근을 횡축에, 액체 전이량을 종축으로 잡아 액체 흡수 곡선을 구하였다.
측정하는 액체로서는 하기 조성의 수성 잉크를 사용하였다.
수성 잉크 조성(합계 100 부)
염료(C.I. 식용 블랙 2): 3 부
계면활성제(서피놀 465, 닛신 가가꾸사 제품): 1 부
디에틸렌글리콜: 5 부
폴리에틸렌글리콜: 10 부
탈이온수: 잔부
(실시예 1)
원료 펄프로서 시판 중인 LBKP를 더블 디스크 리파이너에 의해 고해하여 캐나디안 스탠다아드 프리네스(C.S.F)300 ㎖의 고해 원료(A)를 얻었다. 마찬가지로 시판 중인 LBKP를 기층과 동일 장치로 고해하여 동 450 ㎖의 고해 원료(B)를 얻었다. 고해 원료(A)와 고해 원료(B)를 건조 중량비 환산으로 9:1의 비율로 혼합하여 초지 원료를 제조하였다.
특개평9-99627호 공보의 실시예 1에 기재되어 있는 뵈마이트 구조의 알루미나 수화물을 탈이온수에 분산하여 고형분 농도 10 중량%의 알루미나 수화물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양이온성 수지로서 와이스텍스 H-90(상품명, 나가세 가세이 고교사 제품, 유효 성분 45 %)을 탈이온수에 분산시켜 양이온성 수지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이 알루미나 수화물 분산액과 양이온성 수지 분산액을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온 머신 도공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초지 원료를 사용하여 장망 초지기로 평량 80 g/㎡로 조절하여 초지하고, 2 롤 사이즈 프레스 장치로 상기 온 머신 도공액을 한쪽 면당 4 g/㎡ (알루미나 수화물 2 g/㎡, 양이온성 수지 2 g/㎡)의 양으로 도공하고, 다시 수퍼 캘린더로 표면을 평활화하여 피기록 매체를 얻었다. 감촉은 보통지와 동일하였다. 피기록 매체의 물성값을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2)
벌크 셀룰로스 섬유로서 비틀림 구조를 갖는 가교 펄프(High Bulk Additive, 상품명, 웨이어하우져사 제품)를 제조하여 고해 원료(C)를 얻었다. 고해 원료(A)와 고해 원료(C)를 건조 중량비 환산으로 9:1의 비율로 혼합하여 초지 원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초지기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 평량이 되도록 초지하고, 실시예 1과 동일 온 머신 도공액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 방법으로 실시예 1과 동일양을 도공하였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평활화 처리를 하여 피기록 매체를 얻었다. 감촉은 보통지와 동일하였다. 피기록 매체의 물성값을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3)
특개평8-284090호 공보의 실시예 1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C.S.F. 300 ㎖의 고해 펄프 슬러리를 지립판 마찰 장치로 미세화를 행하였다. 이어서 고압 호모게나이저로 초미세화 처리를 하여 피브릴화 셀룰로스로 이루어진 고해 원료(D)를 얻었다. 고해 원료(A)와 고해 원료(D)를 건조 중량비 환산으로 9:1의 비율로 혼합하여 초지 원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초지기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 평량이 되도록 초지하고, 실시예 1과 동일 온 머신 도공액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 방법으로 실시예 1과 동일량을 도공하였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평활화 처리를 하여 피기록 매체를 얻었다. 감촉은 보통지와 동일하였다. 피기록 매체의 물성값을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4)
고해 원료(A), 고해 원료(C) 및 고해 원료(D)를 건조 중량비 환산으로 8: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초지 원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초지기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 평량이 되도록 초지하고, 실시예 1과 동일 온 머신 도공액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 방법으로 실시예 1과 동일량을 도공하였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평활화 처리를 하여 피기록 매체를 얻었다. 감촉은 보통지와 동일하였다. 피기록 매체의 물성값을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잉크흡수성 우수 우수 우수 우수
화상 농도 (Y) 1.12 1.14 1.14 1.15
(M) 1.11 1.14 1.13 1.15
(C) 1.12 1.14 1.14 1.15
(Bk) 1.11 1.13 1.14 1.15
인쇄균일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번짐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비딩 양호 양호 양호 양호
튀김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잉크 통과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인자 후 컬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인자 후 태크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인자 후 가루날림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인자 후 점착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인자 후 표면 변화 양호 양호 양호 양호
표면 저항 (Ω/□) 3.0 ×1011 4.0 ×1011 3.5 ×1011 3.0 ×1011
액체 흡수 속도 (㎖/㎡)
(접촉 시간: 25 msec.) 80 72 71 60
(접촉 시간: 100 msec.) 170 150 155 146
본 발명의 대표적인 효과는 이하와 같다.
1) 풀 라인 헤드 등을 사용한 초고속기로 인자했을 경우에도 접착이나 뒷면으로 번짐이 없는 우수한 잉크 흡수성이 얻어진다.
2) 고속 인자를 행하더라도 색재가 피기록 매체 표면에서 고속으로 분리되기때문에 우수한 발색성과 도트 재현성이 얻어지는 데다가 잉크 통과가 발생하지 않는다.
3) 본 발명의 피기록 매체는 단층 구성이기 때문에 제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높다.
4) 본 발명의 피기록 매체는 알루미나 수화물과 양이온성 수지를 온 머신 도공하고 있기 때문에 통상의 초지 기계로 간단히 생산할 수가 있다. 한번 권취하여 도공을 하는 종래의 제조 방법보다도 생산성이 높다.

Claims (14)

  1. 섬유상 물질을 주체로 하며, 충전재료를 포함하지 않은 무사이즈(non-sized)의 단층 섬유질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층 섬유질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면을 잉크 수용면으로 하는 피기록 매체로서, 적어도 상기 섬유상 물질의 표면 근방에 뵈마이트 구조의 알루미나 수화물과 양이온성 수지가 존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기록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잉크-젯용인 피기록 매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층 섬유질 구조에 포함되는 섬유상 물질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고, 그 간극에는 상기 알루미나 수화물 및 상기 양이온성 수지가 존재하지 않는 피기록 매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나 수화물 및 상기 양이온성 수지가 상기 섬유상 물질의 표면에 접하여 존재하고 있는 것인 피기록 매체.
  5. 제1항에 있어서, 시트상이고, 상기 알루미나 수화물 및 상기 양이온성 수지의 부여량이 각각 시이트의 한쪽 면 당 1 내지 5 g/㎡인 피기록 매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나 수화물 및 상기 양이온성 수지가 온 머신(on-machine) 도공 부여되어 있는 것인 피기록 매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층 섬유질 구조가 벌키 셀룰로스, 또는 간극을 다량 포함하는 셀룰로스 섬유를 포함하는 것인 피기록 매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스 섬유가 머서가공된(mercerized) 셀룰로스, 플러프화(fluffed) 셀룰로스, 벌키 셀룰로스 및 기계 펄프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셀룰로스를 포함하는 것인 피기록 매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층 섬유질 구조가 미세 피브릴화 셀룰로스; 활엽수 또는 침엽수를 원료로 하는 황산염 펄프, 아황산염 펄프 및 소다 펄프; 헤미셀룰라아제 처리 펄프; 및 효소 처리 펄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피기록 매체.
  10. 섬유상 물질을 주체로 하고, 또한 충전재료를 포함하지 않은 단층 섬유질 구조의 기재에 뵈마이트 구조를 갖는 알루미나 수화물과 양이온성 수지를 부여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피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나 수화물 및 상기 양이온성 수지를 상기 기재에 부여하는 공정이 온 머신 도공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인 피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12. 잉크의 액적을 피기록 매체의 잉크 수용면에 부여하여 인자를 행하는 화상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기록 매체로서 제1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의 피기록 매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잉크 액적의 피기록 매체로의 부여가 미세 구멍을 통해 작은 잉크 방울을 토출시킴으로써 부여되는 것인 화상 형성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액적이 잉크에 열에너지를 가함으로써 토출되는 것인 화상 형성 방법.
KR10-2001-0071570A 2000-11-17 2001-11-17 피기록 매체, 피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및 이 피기록매체를 사용한 화상 형성 방법 KR1004811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51732 2000-11-17
JPJP-P-2000-00351732 2000-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555A true KR20020038555A (ko) 2002-05-23
KR100481112B1 KR100481112B1 (ko) 2005-04-07

Family

ID=18824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1570A KR100481112B1 (ko) 2000-11-17 2001-11-17 피기록 매체, 피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및 이 피기록매체를 사용한 화상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706340B2 (ko)
EP (1) EP1207047B1 (ko)
KR (1) KR100481112B1 (ko)
CN (1) CN119290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33377A1 (en) * 2002-06-10 2004-02-19 Koenig Michael F. Waterfast dye fixative compositions for ink jet recording sheets
US20040009312A1 (en) * 2002-06-10 2004-01-15 Koenig Michael F. Waterfast compositions for ink jet recording sheets
US20040126572A1 (en) * 2002-09-20 2004-07-01 Cabot Corporation Zirconium-containing metal oxide dispersions for recording media with improved ozone resistance
JP4898433B2 (ja) * 2004-06-01 2012-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被記録媒体、該被記録媒体の製造方法、及び該被記録媒体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FR2876394B1 (fr) * 2004-10-07 2008-05-02 Eastman Kodak Co Materiau destine a la formation d'images par impression par jet d'encre
US20060092210A1 (en) * 2004-10-29 2006-05-04 Selvan Maniam Color sensor counterfeit ink detection
US7815984B2 (en) * 2005-07-12 2010-10-19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medium and image forming method using the same
WO2007099865A1 (ja) * 2006-03-01 2007-09-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スピーカ用抄紙部品の製造方法、スピーカ用抄紙部品、スピーカ用振動板、スピーカ用サブコーン、スピーカ用ダストキャップおよびスピーカ
WO2009014241A1 (en) * 2007-07-23 2009-01-29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image-forming method, ink jet color image-forming method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EP2173823B1 (en) * 2007-07-23 2017-05-17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ink
US8328341B2 (en) * 2007-07-23 2012-12-11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ink, ink jet image-forming method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S8252393B2 (en) * 2007-12-28 2012-08-28 Canon Kabushiki Kaisha Surface-modified inorganic pigment, colored surface-modified inorganic pigment, recording medium and production processes thereof, and image forming method and recorded image
US8163360B2 (en) * 2007-12-28 2012-04-24 Canon Kabushiki Kaisha Pigment dispersion and inkjet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DE202018104195U1 (de) * 2018-07-20 2018-07-30 Uwe D'Agnone Druckträger für den Einsatz im Offsetdruck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23173A (en) 1974-09-09 1982-05-11 Nalco Chemical Company Controlling the pore diameter of precipitated alumina
JPS6026720B2 (ja) 1976-10-08 1985-06-25 十條製紙株式会社 水性インキを用いるインキジェット記録用紙
JPS5451583A (en) 1977-09-30 1979-04-23 Hitachi Ltd Air collector
CA1127227A (en) 1977-10-03 1982-07-06 Ichiro Endo Liquid jet recording process and apparatus therefor
JPS5459936A (en) 1977-10-03 1979-05-15 Canon Inc Record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JPS555830A (en) 1978-06-28 1980-01-17 Fuji Photo Film Co Ltd Ink jet type recording sheet
JPS6050721B2 (ja) 1980-02-19 1985-11-09 千代田化工建設株式会社 多孔質無機酸化物の製造方法
JPS588685A (ja) 1981-07-10 1983-01-18 Jujo Paper Co Ltd インキジエット記録用紙
US4433048A (en) 1981-11-12 1984-02-21 Eastman Kodak Company Radiation-sensitive silver bromoiodide emulsions, photographic elements, and processes for their use
JPS6067190A (ja) 1983-09-22 1985-04-17 Ricoh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媒体
US4734336A (en) 1986-10-02 1988-03-29 Xerox Corporation Twin ply papers for ink jet processes
JPH082686B2 (ja) 1987-09-21 1996-01-17 日本製紙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US5180624A (en) 1987-09-21 1993-01-19 Jujo Paper Co., Ltd. Ink jet recording paper
JPH0698824B2 (ja) 1987-11-30 1994-12-07 本州製紙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JPH0725191B2 (ja) 1989-03-17 1995-03-22 日本製紙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ート
JPH02243382A (ja) 1989-03-17 1990-09-27 Jujo Paper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ート
US5032225A (en) 1989-11-28 1991-07-16 Kanzaki Paper Mfg. Co., Ltd. Temperature controlled method of coating a paper web
JP3046060B2 (ja) 1990-11-30 2000-05-29 水澤化学工業株式会社 微粉末状アルミナ系複合酸化物、その製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紙用填料
JP3045818B2 (ja) 1991-07-10 2000-05-29 ローム株式会社 電気部品のリード線切断刃
JP2985909B2 (ja) 1991-10-14 1999-12-06 日本製紙株式会社 多層抄きによる機械パルプの色戻り防止法
JPH06219043A (ja) 1993-01-25 1994-08-09 New Oji Paper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JP3021227B2 (ja) 1993-04-01 2000-03-15 花王株式会社 吸収紙及びそれを具備する吸収性物品
CA2122099C (en) 1993-04-28 1999-08-17 Hitoshi Yoshino Recording medium, ink-jet record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dispersion of alumina hydrate
JP2714352B2 (ja) 1993-04-28 1998-02-16 キヤノン株式会社 被記録媒体、被記録媒体の製造方法、この被記録媒体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印字物及びアルミナ水和物の分散物
JP2714350B2 (ja) 1993-04-28 1998-02-16 キヤノン株式会社 被記録媒体、被記録媒体の製造方法、この被記録媒体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印字物及びアルミナ水和物の分散物
JP2714351B2 (ja) 1993-04-28 1998-02-16 キヤノン株式会社 被記録媒体、被記録媒体の製造方法、この被記録媒体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印字物及びアルミナ水和物の分散液
JP3198196B2 (ja) 1993-04-30 2001-08-13 三菱製紙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ート
JPH0725132A (ja) 1993-07-13 1995-01-27 Mitsubishi Paper Mills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ート
JPH0725131A (ja) 1993-07-13 1995-01-27 Mitsubishi Paper Mills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ート
JP2511243B2 (ja) 1993-11-08 1996-06-26 株式会社東芝 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形液晶表示装置
JP2883299B2 (ja) 1994-09-16 1999-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被記録媒体、その製造方法、被記録媒体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H0890900A (ja) * 1994-09-28 1996-04-09 Asahi Glass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媒体および記録物
JP2887098B2 (ja) 1994-10-26 1999-04-26 キヤノン株式会社 被記録媒体、その製造方法及び画像形成方法
JP2877740B2 (ja) 1994-10-27 1999-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被記録媒体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印字物
JP3599818B2 (ja) 1995-03-24 2004-12-08 三菱製紙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JP2921785B2 (ja) 1995-04-05 1999-07-19 キヤノン株式会社 被記録媒体、該媒体の製造方法及び画像形成方法
JPH0995044A (ja) * 1995-04-10 1997-04-08 Canon Inc 記録紙及びこ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2921786B2 (ja) 1995-05-01 1999-07-19 キヤノン株式会社 被記録媒体、該媒体の製造方法、該媒体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JP3546530B2 (ja) * 1995-05-22 2004-07-28 旭硝子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布帛の製造方法
JPH096664A (ja) 1995-06-22 1997-01-10 Ricoh Co Ltd ネットワークバックアップ装置
JP2921787B2 (ja) 1995-06-23 1999-07-19 キヤノン株式会社 被記録媒体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JP3036420B2 (ja) 1995-12-18 2000-04-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記録用紙および記録方法
JPH1120304A (ja) * 1997-06-27 1999-01-26 Canon Inc インク受容層用塗工液、インクジェット用被記録媒体及びインクジェット用被記録媒体の製造方法
JP3799150B2 (ja) 1997-12-15 2006-07-1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子写真方式用情報記録用紙
US6177188B1 (en) 1998-03-31 2001-01-23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medium and ink jet recording process using it
DE69914259T2 (de) 1998-06-22 2004-11-18 Canon K.K. Aufzeichnungsmedium und Bilderzeugungsverfahren damit
JP2000079755A (ja) 1998-06-22 2000-03-21 Canon Inc 被記録媒体、およびこの被記録媒体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JP4289746B2 (ja) 1998-11-20 2009-07-01 キヤノン株式会社 被記録媒体およびこの被記録媒体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US6720041B2 (en) * 1998-11-20 2004-04-13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producing image using the same
JP3745150B2 (ja) * 1999-02-23 2006-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用被記録媒体、画像形成方法及び印字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06340B2 (en) 2004-03-16
CN1356212A (zh) 2002-07-03
CN1192904C (zh) 2005-03-16
EP1207047B1 (en) 2013-01-09
KR100481112B1 (ko) 2005-04-07
EP1207047A1 (en) 2002-05-22
US20020089578A1 (en) 200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7150B1 (ko) 잉크 젯 기록 장치 및 피기록 매체
US6502935B1 (en) Ink-jet recording material comprising pigment layers
KR100481112B1 (ko) 피기록 매체, 피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및 이 피기록매체를 사용한 화상 형성 방법
JP4914134B2 (ja) 被記録媒体及び該被記録媒体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JP3022173B2 (ja) インクジェット用記録紙
US6720041B2 (en)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producing image using the same
US9242497B2 (en) Inkjet recording medium
JP4898433B2 (ja) 被記録媒体、該被記録媒体の製造方法、及び該被記録媒体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JP4289746B2 (ja) 被記録媒体およびこの被記録媒体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CA1333033C (en) Recording paper and ink jet recording method by use thereof
JP5615901B2 (ja) 上質マット印刷用紙及びその調製方法
JP2002211121A (ja) 被記録媒体、被記録媒体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被記録媒体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JP5501151B2 (ja) 黒色インクジェット用記録シートの製造方法
JPH0333298A (ja) ノンコートタイプ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及びその製造法
JP4054565B2 (ja) 被記録媒体
JP2007118289A (ja) 被記録媒体及び画像形成方法
JPH01264886A (ja) 被記録材
JP2002067485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JPH11277883A (ja) 記録媒体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2011000733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