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4849A - 유기 실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실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4849A
KR20020034849A KR1020010043753A KR20010043753A KR20020034849A KR 20020034849 A KR20020034849 A KR 20020034849A KR 1020010043753 A KR1020010043753 A KR 1020010043753A KR 20010043753 A KR20010043753 A KR 20010043753A KR 20020034849 A KR20020034849 A KR 20020034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alyst
formula
mmol
chloride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3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3211B1 (ko
Inventor
정일남
유복렬
한준수
강승현
Original Assignee
박호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박호군
Publication of KR20020034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4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3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32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C07F7/12Organo silicon halides
    • C07F7/121Preparation or treatment not provided for in C07F7/14, C07F7/16 or C07F7/20
    • C07F7/122Preparation or treatment not provided for in C07F7/14, C07F7/16 or C07F7/20 by reactions involving the formation of Si-C lin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1/00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 B01J31/02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 B01J31/0234Nitrogen-, phosphorus-, arsenic- or antimony-containing compounds
    • B01J31/0255Phosphorus containing compounds
    • B01J31/0267Phosphines or phosphonium compounds, i.e. phosphorus bonded to at least one carbon atom, including e.g. sp2-hybridised phosphorus compounds such as phosphabenzene, the other atoms bonded to phosphorus being either carbon or hydrogen
    • B01J31/0268Phosphonium compounds, i.e. phosphine with an additional hydrogen or carbon atom bonded to phosphorous so as to result in a formal positive charge on phosphoro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실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4차 유기 포스포늄 염을 촉매로 사용하여 수소-규소 결합을 갖는 클로로실란 화합물과 유기 할로겐 화합물을 탈할로겐화수소 반응에 의해 결합시켜서 유기 규소화합물을 합성함으로서, 종래의 제법에 비하여 소량의 촉매를 사용하고, 또 반응 후 촉매의 회수도 용이하기 때문에 실리콘 고분자나 결합제로 유용한 유기 실란을 매우 경제적이고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는 개선된 방법이다.

Description

유기 실란의 제조방법{A process for preparing organic silanes}
본 발명은 유기 실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4차 유기 포스포늄 염을 촉매로 사용하여 수소-규소 결합을 갖는 클로로실란 화합물과 유기 할로겐 화합물을 탈할로겐화수소 반응에 의해 결합시켜서 유기 규소화합물을 합성함으로서, 종래의 제법에 비하여 소량의 촉매를 사용하며 촉매의 사용 후 별도의 공정을 거치지 않고 회수하여 재사용하기도 용이하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이고 고수율로 유기 실란을 제조하는 개선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 실란화합물은 실리콘 고분자의 원료물질의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로서, 벤케서와 그의 공동연구자들은 1969년에 벤질 클로라이드와 1,1,1-트리클로로에탄이 트리클로로실란과 트리알킬아민의 1:1 혼합물과 반응하여 탈염화수소반응으로 클로로 대신에 트리클로로실릴기가 치환된 화합물이 생성된다고 보고하였다[Benkeser, R. A.; Gaul, J. M.; Smith, W. E.J. Am. Chem. Soc.1969,91,3666].
그 후, 1975년에는 보다 발전된 유기실란의 제법으로 일본의 후루야와 수카와가 알릴 클로라이드에 트리클로로실란과 트리알킬아민의 1:1 혼합물을 반응시키는데 구리염화물을 촉매로 사용하면 높은 수율로 알릴트리클로로실란이 얻어진다고 보고한 바 있다[Furuya, N.; Sukawa, T.J. Organomet. Chem.1975,96,C1].
최근들어서는, 유기 실란화합물의 합성을 위해 비교적 개선된 촉매를 사용하는 기술로서, 프랑스의 꼬류와 그의 공동연구자들은 과량의 트리부틸아민을 사용하고 클로로포름과 트리클로로실란을 반응시켜 비스(트리클로로실릴)메탄과 트리스(트리클로로실릴)메탄을 합성하였다고 보고하였다[Corriu, R. J. P.; Granier, M.; Lanneau, G. F.J. Organomet. Chem.1998,562,79].
이와 같이,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유기 실란의 제조방법은 대체로 벤질 클로라이드나 알릴클로라이드와 같은 활성화된 유기염화물만 트리클로로실란과 탈염화수소반응으로 결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활성을 높이는 치환기가 없는 유기 할로겐 화합물을 사용한 반응으로 유기 실란을 합성하는 방법은 알려지지 않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기 실란 제조방법에서는 촉매성분으로 강한 염기성을 갖는 3차 아민을 과량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반응 중 발생된 염화수소가 아민과 염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과량의 촉매 사용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은 물론이거니와 촉매로 사용된 아민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염화수소를 중화시켜야 하므로 많은 비용이 들어 공업적으로 실용화하기에는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소량을 사용하여 반응시킬 수 있는 촉매를 찾는 것이 상기 공정의 경제성을 높이는 관건이라는데 착안하여 3차 유기포스핀을 반응물질에 대하여 10% 정도, 즉 반응물이 아닌 촉매로 사용하고온도를 150 ℃ 정도로 높여서 반응시켰더니 탈할로겐화수소 반응으로 유기규소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는 개선된 방법을 발명하여 한국특허출원 제99-13006호(1999. 4. 13.)로 출원한 바 있으며, 그 후에 3차 유기아민을 촉매로 사용하여도 3차 유기포스핀을 사용할 때보다 수율은 낮지만 소량의 촉매 사용으로도 목적하는 유기 실란의 합성 반응은 일어난다는 사실을 알게되어 역시 한국특허출원 제2000-13090호(2000. 3. 15.)로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서는 물론 본 발명자들이 기존에 개발한 방법의 경우 촉매로 사용하는 3차 유기 아민이나 3차 유기 포스핀은 종래의 다른 촉매에 비하여 비교적 소량 사용하더라도 종래와 유사한 정도 이상의 수율로 목적하는 탈할로겐화 수소 반응이 이루어져서 경제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는 있었으나,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촉매는 산이 발생하는 반응에서는 산과 함께 염을 형성하는 것은 물론이고 알킬 할라이드와도 4차 염을 형성하므로 반응이 끝난 후 사용된 촉매를 회수하거나 다시 3차 아민이나 3차 포스핀으로 환원하여 재사용 하는데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르면 클로로메틸기를 갖는 유기규소화합물이 3차 유기 아민이나 3차 유기 포스핀과 같은 유기염기 존재 하에서 수소-규소 결합을 가진 클로로실란과 반응하여 탈할로겐화 수소반응으로 결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경우 염의 형성으로 재사용을 위해 환원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어서 이를 해결한 새로운 촉매의 개발이 필요하였는 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더 활성이 좋은 촉매를 찾는 연구를 하던 중, 반응에서 부산물로 얻어지는 산이나 반응시작물질인 알킬할라이드와 염을 형성하는 3차 유기아민이나 3차 유기포스핀 보다는 4차 유기포스포늄 염을 촉매로 사용하면 반응 후에 촉매의 회수나 재사용이 용이하며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본 공정의 경제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와는 달리 4차 유기 포스포늄 염을 촉매로 사용하여 수소-규소 결합을 갖는 클로로실란 화합물과 유기 할로겐 화합물을 탈할로겐화 수소반응에 의해 결합시켜서, 소량의 촉매를 사용할 수 있고, 또 촉매의 사용 후 회수도 용이하기 때문에 종래의 제법에 비하여 매우 경제적이고 고수율로 유기 실란을 제조하는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촉매를 사용하여 클로로실란 화합물과 유기 할로겐 화합물을 반응시켜서 유기 실란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촉매로서 4차 유기 포스포늄 염을 촉매로 사용하여 수소-규소 결합을 갖는 다음 화학식 1의 클로로실란 화합물과 다음 화학식 2의 유기 할로겐 화합물을 탈할로겐화 수소 반응으로 결합시켜서 다음 화학식 3의 유기 실란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응식 1에서 :
R1은 수소, 클로로 또는 메틸기이고; X는 클로로 또는 브로모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17개의 알킬기, 플루오르가 1개 이상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개의 알킬기, 불포화 결합을 가지고 있는 탄소수 2 내지 5개의 알켄기, (CH2)nSiMe3-mClm으로 표시되는 알킬기(이때, n은 0 내지 2의 정수, m이 0 내지 3의 정수임), Ar(R')q로 표시되는 방향족기(이때, Ar은 탄소수 6 내지 14개의 방향족 탄화수소이고 R'은 탄소수 1 내지 4개의 알킬기, 할로겐, 알콕시 또는 비닐이며, q는 0 내지 5의 정수임), (CH2)pX로 표시되는 할로알킬기(이때, p는 1 내지 9의 정수이고, X는 클로로 또는 브로모임), 또는 ArCH2X로 표시되는 할로메틸 방향족기(이때, Ar은 탄소수 6 내지 14까지의 방향족 탄화수소이고, X는 클로로 또는 브로모임)이며; R3는 수소,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킬기, Ar(R')q로 표시되는 방향족기(이때, Ar은 탄소수 6 내지 14개의 방향족 탄화수소이고, R'은 탄소수 1 내지 4개의 알킬기, 할로겐, 알콕시 또는 비닐이며, q는 0 내지 5의 정수임)이고; R4는 R2와 동일하나 단, R2가 반응성이 있는 할로겐이 치환된 알킬기로서 (CH2)pX 또는 ArCH2X인 경우 R4는(CH2)pSiR1Cl2또는 ArCH2SiR1Cl2가 될 수 있고; 또한, 상기 화학식 2에서의 R2와 R3 서로 공유결합으로 연결되어 사이클로펜틸이나 사이클로헥실기를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상기 화학식 3에서의 R3과 R4도 역시 서로 공유결합으로 연결되어 사이클로펜틸이나 사이클로헥실기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종래에 촉매를 사용하여 클로로실란 화합물과 유기 할로겐 화합물을 반응시켜서 유기 실란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촉매로서 종래 사용된 바 없는 4차 유기 포스포늄 염을 사용하여 탈할로겐화수소 반응으로 유기 실란을 효과적으로 제조하고, 촉매는 용이하게 회수하여 재활용하기 편리한 경제적인 방법이다.
본 발명에서는 압력에 견디는 반응조에 화학식 1의 클로로실란 화합물과 화학식 2의 유기 할로겐 화합물, 그리고 촉매로서 4차 유기 포스포늄 염을 화학식 2의 화합물에 대해 1 ∼ 100 몰%, 바람직하게는 5 ∼ 20 몰% 정도 넣고 10 ∼ 250 ℃, 바람직하게는 100 ∼ 200 ℃로 가열시키면 상기 반응식 1과 같이 화학식 3의 유기 실란 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촉매로 사용하는 4차 유기 포스포늄 염은 활성이 우수하여 벤질 클로라이드나 알릴 클로라이드와 같은 활성화된 유기 염화물 뿐만 아니라 단순한 유기 할로겐 화합물과 할로겐이 치환된 알킬기를 갖는 유기규소 화합물도 Si-H 결합을 갖는 실란과 탈할로겐화수소 반응으로 결합시키도록 하여 목적하는 유기 실란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4차 유기포스포늄 염을 촉매로 사용하여 할로겐 원소가 치환된 유기화합물과 Si-H 결합을 갖는 실란을 반응시켜 화학식 2의 할로겐을 실릴기로 치환시킴으로써 유기 실란 화합물을 합성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전형적인 합성공정은 질소 대기 하에서 화학식 2와 같은 할로겐이 치환된 유기화합물과 4차 유기 포스포늄 염 촉매를 압력에 견디는 스텐레스 관으로 된 반응조에 넣고, 화학식 1의 클로로실란 화합물을 넣은 후에 마개를 닫고 반응시키는 것으로 진행된다. 이때, 상기 화학식 1의 클로로실란 화합물은 화학식 2의 유기 할로겐 화합물에 대하여 몰비로 1 ∼ 5배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4차 유기 포스포늄 염 촉매는 화학식 2의 화합물에 대해 1 ∼ 100 몰%의 양으로 사용하나 바람직하게는 3 ∼ 15 몰%를 사용한다. 이 과정에서 반응 용매는 반응물에 따라서 예컨대 방향족 탄화수소와 같은 반응용매를 사용하기도 하고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반응온도는 10 ∼ 250 ℃, 바람직하게는 100 ∼ 200 ℃로 유지시키고 1 ∼ 48시간 정도 반응시킨 다음, 반응이 끝나면 마개를 열어서 할로겐화 수소 가스를 내어 보내고 상압 또는 감압 하에서 증류하여 생성물을 분리하면 목적물을 얻을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생성물을 제조, 분리한 다음 촉매를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생성물을 분리하고 남은 잔류물을 별다른 절차 없이 촉매로 다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촉매로 사용한 4차 유기 포스포늄 염을 간단하게 회수할 수가 있으며, 그 회수율은 80%까지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어서 경제적으로 매우 유리하다. 유기 포스포늄 염을 실리콘 수지나 실리카 혹은 제올라이트에 고정화시켜서 사용하면 반응 후에 회수하여 재사용하기가 매우 편리하다[Jung, I. N.;Cho, K. D.; Lim, J. C. Yoo, B. R. US Patent 4,613,491].
본 발명에서 사용한 화학식 1의 클로로실란 화합물로서는 트리클로로실란, 메틸디클로로실란, 디클로로실란이며, 화학식 2의 유기 할로겐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1-클로로옥탄, 1-클로로-3,3,3-트리플루오로프로판, (클로로메틸)트리클로로실란, (클로로메틸)메틸디클로로실란, (클로로메틸)디메틸클로로실란, (클로로메틸)트리메틸실란,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틸실란, 알릴클로라이드, 알릴브로마이드, 크로틸클로라이드, 벤질클로라이드, 4-플루오로벤질클로라이드, 4-클로로벤질클로라이드, 4-메톡시벤질클로라이드, 4-페닐벤질클로라이드, 디페닐-1-클로로메탄, 1-클로로에틸벤젠, 사이클로펜틸클로라이드, 2-클로로부탄, 이소프로필클로라이드,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1,3-디클로로프로판, 1-브로모-3-클로로프로판, 1,4-디클로로부탄, 1,4-비스(클로로메틸)벤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징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촉매성분으로서 4차 포스포늄 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다음 화학식 4 또는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PR"4X'
상기 화학식 4에서 : X'는 클로로, 브로모 또는 아이오도이고; R"은 탄소수 1 내지 12개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킬기가 포함된 방향족기, 또는 페닐기이고, 2개의 R"이 서로 공유결합으로 연결되어 환형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의 R"은 서로 같거나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X'R"3P-Y-PR"3X'
상기 화학식 5에서 : X'는 클로로, 브로모 또는 아이오도이고; Y는 탄소수 1 내지 12개의 알킬, 알킬기가 포함된 방향족기, 또는 방향족기이며; R"은 탄소수 1 내지 12개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킬기가 포함된 방향족기, 또는 페닐기이고, 2개의 R"이 서로 공유결합으로 연결되어 환형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의 R"은 서로 같거나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촉매인 4차 유기 포스포늄 염의 구체적인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벤질트리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테트라메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테트라에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벤질트리포스포늄 클로라이드, 고형화 4급 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에틸렌비스(벤질디메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벤질트리페닐포스포늄 클로라이드, 벤질트리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촉매로서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레진, 실리카, 무기 착제, 유기고분자 등에 4차 유기 포스포늄 염이 고정화된 구조를 갖는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3의 유기 실란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바와 같은 여러 종류의 실란 화합물로서 제조될 수 있는 바, 이러한 유기 실란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실리콘 고분자의 원료물질 및 실란 결합제 등의 용도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에 유기 실란 화합물의 제조에 적용된 바 없는 촉매로서 4차 유기 포스포늄 염을 사용하여 활성이 없는 유기 할로겐 화합물을 사용하여서도 탈할로겐화 수소반응을 통해 유기 실란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된 촉매는 소량 사용할 수 있고 또 용이하게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며, 활성이 높은 유기 염화물 뿐만 아니라 활성이 낮은 유기 할로겐 화합물도 비교적 고수율로 반응을 진행시킬 수가 있으므로, 이러한 점들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하여 매우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다양한 유기 규소 화합물의 합성에 적용할 수가 있고 공정 진행이 매우 용이하고 생산비도 저렴하여, 이 공정으로 생산된 단량체는 유기 규소고분자 합성에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클로로옥탄과 트리클로로실란의 반응(촉매: 벤질트리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오븐에서 건조된 25 ml들이 스텐리스 관으로 된 반응조를 건조된 질소기체하에서 냉각시킨 후에 0.22 g(0.67 mmol)의 벤질트리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와 1.00 g(6.73 mmol)의 1-클로로옥탄 그리고 2.71 g(20.0 mmol)의 트리클로로실란을 넣었다. 반응조의 주둥이를 마개로 밀봉하고 170 ℃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반응물을 감압하에서 증류하여 1.45 g(수율 87%)의 n-옥틸트리클로로실란을 얻었다.
n-옥틸트리클로로실란의 MS(70eV EI) m/z (상대강도): 250(1), 248(3), 246(4), 179(12), 177(35), 175(34), 135(53), 133(54), 85(100), 71(57), 57(98).
실시예 2: 1-클로로옥탄과 트리클로로실란의 반응(촉매: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0.20 g(0.68 mmol)의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와 1.00 g(6.73 mmol)의 1-클로로옥탄 그리고 2.71 g(20.0 mmol)의 트리클로로실란을 170 ℃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켜 1.42 g(수율 85%)의 n-옥틸트리클로로실란을 얻었다.
실시예 3: 1-클로로-3,3,3-트리플루오로프로판과 트리클로로실란의 반응(촉매: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0.20 g(0.68 mmol)의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와 0.89 g(6.72 mmol)의 1-클로로-3,3,3-트리플루오로프로판, 그리고 2.71 g(20.0 mmol)의 트리클로로실란을 150 ℃에서 10시간 동안 반응시켜 1.24 g(수율 80%)의 (3,3,3-트리풀루오로프로필)트리클로로실란을 얻었다.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트리클로로실란의 MS(70eV EI) m/z (상대강도): 137(24), 135(71), 133(72), 98(11), 78(87), 77(100), 69(20), 63(21), 59(26), 51(11).
실시예 4: (클로로메틸)트리클로로실란과 트리클로로실란의 반응(촉매: 벤질트리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0.22 g(0.67 mmol)의 벤질트리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와 1.23 g(6.69 mmol)의 (클로로메틸)트리클로로실란, 그리고 2.71 g(20.0 mmol)의 트리클로로실란을 160 ℃에서 15시간 동안 반응시켜 1.13 g(수율 68%)의 1,1,1,3,3,3-헥사클로로-1,3-디실라프로판을 얻었다.
1,1,1,3,3,3-헥사클로로-1,3-디실라프로판의 H-NMR(CDCl3, ppm): 1.87(s, SiCH 2Si)
실시예 5: (클로로메틸)메틸디클로로실란과 트리클로로실란의 반응(촉매: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0.18 g(0.61 mmol)의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와 1.00 g(6.12 mmol)의 (클로로메틸)메틸디클로로실란 그리고 2.52 g(18.6 mmol)의 트리클로로실란을 150 ℃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켜 0.96 g(수율 60%)의 1,1,1,3,3-펜타클로로-1,3-디실라부탄을 얻었다.
1,1,1,3,3,-펜타클로로-1,3-디실라부탄의 H-NMR(CDCl3, ppm): 0.94(s, 3H, SiCH 3), 1.58(s, SiCH 2Si)
실시예 6: (클로로메틸)디메틸클로로실란과 트리클로로실란의 반응(촉매: 테트라에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0.27 g(1.5 mmol)의 테트라에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와 2.15 g(15.0 mmol)의 (클로로메틸)디메틸클로로실란, 그리고 6.10g(45.0 mmol)의 트리클로로실란을 150 ℃에서 10시간 동안 반응시켜 2.18 g(수율 60%)의 1,1,1,3-테트라클로로-3-메틸-1,3-디실라부탄을 얻었다.
1,1,1,3-테트라클로로-3-메틸-1,3-디실라부탄의 H-NMR(CDCl3, ppm): 0.62(s, 6H, SiCH 3), 1.28(s, 2H, SiCH 2Si)
실시예 7: (클로로메틸)트리메틸실란과 트리클로로실란의 반응(촉매: 벤질트리페닐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0.29 g(0.75 mmol)의 벤질트리페닐포스포늄 클로라이드와 0.92 g(7.5 mmol)의 (클로로메틸)트리메틸실란, 그리고 3.05 g(22.5 mmol)의 트리클로로실란을 150 ℃에서 10시간 동안 반응시켜 1.20 g(수율 72%)의 1,1,1-트리클로로-3,3-디메틸-1,3-디실라부탄을 얻었다.
1,1,1-트리클로로-3,3-디메틸-1,3-디실라부탄의 H-NMR(CDCl3, ppm): 0.25(s, 9H, SiCH 3), 0.85(s, 2H, SiCH 2Si).
실시예 8: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틸실란과 트리클로로실란의 반응(촉매: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0.22 g(0.75 mmol)의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와 1.13 g(7.50 mmol)의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틸실란 그리고 3.05 g(22.5 mmol)의 트리클로로실란을 150 ℃에서 10시간 동안 반응시켜 1.57 g(수율84%)의 [(3-트리클로로실릴)프로필]트리메틸실란을 얻었다.
[(3-트리클로로실릴)프로필]트리메틸실란의 H-NMR(CDCl3, ppm): 0.02(s, 9H, SiCH 3), 0.66(m, 2H, Me3SiCH 2), 1.47(m, 2H, CH 2), 1.61(m, 2H, CH. 2SiCl3).
실시예 9: 알릴 클로라이드와 트리클로로실란의 반응(촉매: 테트라메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0.16 g(1.3 mmol)의 테트라메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와 1.00 g(13.1 mmol)의 알릴 클로라이드 그리고 5.31 g(39.2 mmol)의 트리클로로실란을 150 ℃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켜 1.72 g(수율 75%)의 알릴트리클로로실란을 얻었다.
알릴트리클로로실란의 H-NMR(CDCl3, ppm): 2.35∼2.37(d, 2H, CH 2), 5.18∼5.24(m, 2H, CH 2=), 5.71∼5.85(m, 1H, -CH=).
실시예 10: 알릴클로라이드와 트리클로로실란의 반응(촉매: 고형화 4급 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0.30 g의 4급 포스포늄염을 포함한 고형화 촉매인 실리콘 레진[(RSiO3/2)n, R={3-(트리부틸포스포늄)프로필}클로라이드]과 1.00 g(13.1 mmol)의 알릴 클로라이드, 그리고 5.31 g(39.2 mmol)의 트리클로로실란을 150 ℃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켜 1.20 g(수율 52%)의 알릴트리클로로실란을 얻었다.
실시예 11: 알릴 클로라이드와 메틸디클로로실란의 반응(촉매: 테트라에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0.24 g(1.31 mmol)의 테트라에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와 1.00 g(13.1 mmol)의 알릴 클로라이드 그리고 4.52 g(39.3 mmol)의 메틸디클로로실란을 150 ℃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켜 0.45 g(수율 22%)의 알릴메틸디클로로실란을 얻었다.
알릴메틸디클로로실란의 MS(70eV EI) m/z (상대강도): 156(13), 154(18), 141(13), 139(20), 117(13), 115(70), 114(9), 113(100), 65(7), 63(22).
실시예 12: 알릴 클로라이드와 디클로로실란의 반응(촉매: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0.36 g(1.22 mmol)의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와 0.94 g(12.3 mmol)의 알릴 클로라이드 그리고 6.22 g(61.6 mmol)의 디클로로실란을 150 ℃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켜 0.38 g(수율 22%)의 알릴디클로로실란과 0.32 g(수율 15%)의 알릴트리클로로실란을 얻었다.
알릴디클로로실란의 H-NMR(CDCl3, ppm): 2.17∼2.19(d, 2H, SiCH 2), 5.13∼5.18(m, 2H, CH 2=), 5.47(t, J=1.8Hz, 1H, SiH), 5.71∼5.85(m, 1H, CH=).
실시예 13: 알릴 브로마이드와 트리클로로실란의 반응(촉매: 테트라메틸포스포늄 브로마이드)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0.21 g(1.2 mmol)의 테트라메틸포스포늄 브로마이드와 1.50 g(12.4 mmol)의 알릴 브로마이드 그리고 5.04 g(37.2 mmol)의 트리클로로실란을 150 ℃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켜 1.85 g(수율 85%)의 알릴트리클로로실란을 얻었다.
실시예 14: 크로틸 클로라이드와 트리클로로실란의 반응(촉매: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0.32 g(1.1 mmol)의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와 1.00 g(11.0 mmol)의 크로틸 클로라이드 그리고 4.47 g(33.0 mmol)의 트리클로로실란을 130 ℃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켜 1.04 g(수율 50%)의 크로틸트리클로로실란을 얻었다.
크로틸트리클로로실란의 MS(70eV EI) m/z (상대강도): 190(7), 188(7), 135(10), 133(10), 63(7), 56(6), 55(100), 54(11), 53(8).
실시예 15: 벤질 클로라이드와 트리클로로실란의 반응(촉매: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0.23 g(0.78 mmol)의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와 1.00 g(7.90 mmol)의 벤질 클로라이드 그리고 3.21 g(23.7 mmol)의 트리클로로실란을 130 ℃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켜 1.48 g(수율 83%)의 벤질트리클로로실란을 얻었다.
벤질트리클로로실란의 H-NMR(CDCl3, ppm) 2.92(s, 2H, CH 2), 7.29∼7.36(m, 5H, ArH).
실시예 16: 벤질 클로라이드와 트리클로로실란의 반응(촉매: 벤질트리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0.26 g(0.79 mmol)의 벤질트리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와 1.00 g(7.90 mmol)의 벤질 클로라이드 그리고 3.21 g(23.7 mmol)의 트리클로로실란을 150 ℃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켜 1.43 g(수율 80%)의 벤질트리클로로실란을 얻었다.
실시예 17: 벤질 클로라이드와 트리클로로실란의 반응(촉매: 벤질트리페닐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0.31 g(0.80 mmol)의 벤질트리페닐포스포늄 클로라이드와 1.00 g(7.90 mmol)의 벤질 클로라이드 그리고 3.21 g(23.7 mmol)의 트리클로로실란을 150 ℃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켜 0.07 g(수율 4%)의 벤질트리클로로실란을 얻었다.
실시예 18: 벤질 클로라이드와 트리클로로실란의 반응(촉매: 에틸렌비스(벤질디메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0.16 g(0.40 mmol)의 에틸렌비스(벤질디메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와 1.00 g(7.90 mmol)의 벤질 클로라이드 그리고 3.21 g(23.7 mmol)의 트리클로로실란을 150 ℃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켜 1.51 g(수율 85%)의 벤질트리클로로실란을 얻었다.
실시예 19: 벤질 클로라이드와 메틸디클로로실란의 반응(촉매: 벤질트리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0.26 g(0.79 mmol)의 벤질트리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와 1.00 g(7.90 mmol)의 벤질 클로라이드 그리고 2.73 g(23.7 mmol)의 메틸디클로로실란을 200 ℃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켜 0.39 g(수율 24%)의 벤질메틸디클로로실란을 얻었다.
벤질메틸디클로로실란의 H-NMR(CDCl3, ppm): 0.96(s, 3H, SiCH 3), 2.85(s, 2H, CH 2), 7.29∼7.36(m, 5H, ArH).
실시예 20: 벤질 클로라이드와 디클로로실란의 반응(촉매: 벤질트리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0.26 g(0.79 mmol)의 벤질트리부틸포스포늄클로라이드와 1.01 g(7.98 mmol)의 벤질 클로라이드 그리고 2.42 g(24.0 mmol)의 디클로로실란을 150 ℃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켜 0.29 g(수율 19%)의 벤질디클로로실란과 0.95 g(수율 53%)의 벤질트리클로로실란을 얻었다.
벤질디클로로실란의 H-NMR(CDCl3, ppm): 2.76(s,J= 2.0 Hz, 2H, CH 2), 5.54(t,J= 2.0 Hz, 1H, SiH), 7.18∼7.37(m, 5H, ArH).
실시예 21: 4-플루오로벤질 클로라이드와 트리클로로실란의 반응(촉매: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0.20 g(0.68 mmol)의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와 1.00 g(6.92 mmol)의 4-플루오로벤질 클로라이드 그리고 2.80 g(20.7 mmol)의 트리클로로실란을 130 ℃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켜 1.19 g(수율 82%)의 (4-플루오로벤질)트리클로로실란을 얻었다.
(4-플루오로벤질)트리클로로실란의 H-NMR(CDCl3, ppm): 2.89(s, 2H, CH 2), 7.00∼7.20(m, 4H, ArH).
실시예 22: 4-클로로벤질 클로라이드와 트리클로로실란의 반응(촉매: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0.22 g(0.75 mmol)의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와 1.21 g(7.51 mmol)의 4-클로로벤질 클로라이드 그리고 3.05 g(22.5mmol)의 트리클로로실란을 130 ℃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켜 1.37 g(수율 81%)의 (4-클로로벤질)트리클로로실란을 얻었다.
(4-클로로벤질)트리클로로실란의 H-NMR(CDCl3, ppm): 2.93(s, 2H, CH 2), 7.29∼7.38(m, 4H, ArH).
실시예 23: 4-메톡시벤질 클로라이드와 트리클로로실란의 반응(촉매: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0.19 g(0.64 mmol)의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와 1.00 g(6.39 mmol)의 4-메톡시벤질 클로라이드 그리고 2.46 g(18.2 mmol)의 트리클로로실란을 130 ℃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켜 1.22 g(수율 86%)의 (4-메톡시벤질)트리클로로실란을 얻었다.
(4-메톡시벤질)트리클로로실란의 MS(70eV EI) m/z (상대강도): 256(7), 254(7), 135(5), 133(5), 122(9), 121(100), 78(10), 77(8), 51(6).
실시예 24: 4-페닐벤질 클로라이드와 트리클로로실란의 반응(촉매: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0.22 g(0.75 mmol)의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1.52 g(7.5 mmol)의 4-페닐벤질 클로라이드, 10 ml의 벤젠 그리고 3.05 g(22.5 mmol)의 트리클로로실란을 150 ℃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켜 1.70 g(수율 85%)의 (4-페닐벤질)트리클로로실란을 얻었다.
(4-페닐벤질)트리클로로실란의 H-NMR(CDCl3, ppm): 2.90(s, 2H, CH 2), 7.20∼7.40(m, 9H, ArH).
실시예 25: 이소프로필클로라이드와 트리클로로실란의 반응(촉매: 노말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0.37 g(1.25 mmol)의 노말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촉매와 1.00 g(12.73 mmol)의 이소프로필클로라이드 그리고 5.17 g (38.20 mmol)의 트리클로로실란을 180 ℃에서 13시간 동안 반응시켜 1.72 g(수율; 76%)의 이소프로필트리클로로실란을 얻었다.
이소프로필트리클로로실란의 H-NMR(CDCl3, ppm): 1.18∼1.20(d, 6H, (CH3)2CH-), 1.49∼1.58(m, -CHSiCl3).
실시예 26: 2-클로로부탄과 트리클로로실란의 반응(촉매: 노말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0.32 g(1.09 mmol)의 노말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촉매와 1.00 g(10.90 mmol)의 2-클로로부탄 그리고 4.43 g (32.71 mmol)의 트리클로로실란을 180 ℃에서 13시간 동안 반응시켜 0.82 g(수율; 39%)의 2-트리클로로실릴부탄을 얻었다.
2-트리클로로실릴부탄의 MS (70eV EI) m/z (상대강도): 190(2), 139(4), 137(6),135(16), 133(16), 98(4), 63(6), 57(100), 56(19), 41(25), 39(7).
실시예 27 : 사이클로펜틸클로라이드와 트리클로로실란의 반응(촉매: 노말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0.29 g(0.98 mmol)의 노말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촉매와 1.01 g(9.66 mmol)의 사이클로펜틸클로라이드 그리고 3.92 g(28.94 mmol)의 트리클로로실란을 180 ℃에서 8시간 동안 반응시켜 0.43 g의 사이클로펜틸트리클로로실란(수율; 22 %)을 얻었다.
사이클로펜틸트리클로로실란의 MS (70eV EI) m/z (상대강도): 202(2), 176(11), 174(11), 135(14), 133(14), 69(100), 68(23), 67(14), 65(4), 63(5).
실시예 28 : 1-클로로에틸벤젠과 트리클로로실란의 반응(촉매: 노말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0.20 g(0.68 mmol)의 노말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촉매와 0.96 g(6.83 mmol)의 1-클로로에틸벤젠 그리고 2.71 g(20.00 mmol)의 트리클로로실란을 150 ℃에서 6시간 동안 반응시켜 0.58 g(수율; 35%)의 1-트리클로로실릴에틸벤젠을 얻었다.
1-트리클로로실릴에틸벤젠의 MS (70eV EI) m/z (상대강도): 238(10), 133(5), 106(12), 105(100), 103(10), 79(12), 77(14), 63(5), 51(6).
실시예 29 : 디페닐-1-클로로메탄과 트리클로로실란의 반응(촉매: 노말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0.14 g (0.47 mmol)의 노말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촉매와 0.95 g(4.69 mmol)의 디페닐-1-클로로메탄 그리고 1.91 g(14.10 mmol)의 트리클로로실란을 150 ℃에서 6시간 동안 반응시켜 0.31 g(수율; 22%)의 디페닐-1-트리클로로실릴메탄을 얻었다.
디페닐-1-트리클로로실릴메탄의 MS (70eV EI) m/z (상대강도): 300(8), 168(17), 167(100), 166(15), 165(39), 152(18), 133(3), 115(4), 63(5).
실시예 30: 디클로로메탄과 트리클로로실란의 반응(촉매: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0.44 g(1.50 mmol)의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와 0.64 g(7.5 mmol)의 디클로로메탄 그리고 10.16 g(75.0 mmol)의 트리클로로실란을 150 ℃에서 6시간 동안 반응시켜 소량의 비스(트리클로로실릴)메탄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1: 1,2-디클로로에탄과 트리클로로실란의 반응(촉매: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0.44 g(1.50 mmol)의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와 0.74 g(7.5 mmol)의 1,2-디클로로에탄 그리고 10.16 g(75.0 mmol)의 트리클로로실란을 150 ℃에서 10시간 동안 반응시켜 1.09 g(수율 54%)의 1,2-비스(트리클로로실릴)에탄을 얻었다.
1,2-비스(트리클로로실릴)에탄의 H-NMR(CDCl3, ppm): 1.59(s, 4H, SiCH 2).
실시예 32: 1,3-디클로로프로판과 트리클로로실란의 반응(촉매: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0.44 g(1.50 mmol)의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와 0.85 g(7.5 mmol)의 1,3-디클로로프로판 그리고 10.16 g(75.0 mmol)의 트리클로로실란을 150 ℃에서 10시간 동안 반응시켜 0.22 g(수율 14%)의 (3-클로로프로필)트리클로로실란과 1.68 g(수율 72%)의 1,3-비스(트리클로로실릴)프로판을 얻었다.
1,3-비스(트리클로로실릴)프로판의 H-NMR(CDCl3, ppm): 1.56(m, 4H, SiCH 2), 1.92(m, 2H, CH 2).
(3-클로로프로필)트리클로로실란의 H-NMR(CDCl3, ppm): 1.58(m, 2H, SiCH 2), 2.06(m, 2H, CH 2), 3.61(t,J= 6.48 Hz, 2H, CH 2Cl).
실시예 33: 1-브로모-3-클로로프로판과 트리클로로실란의 반응(촉매: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0.44 g(1.50 mmol)의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와 1.18 g(7.50 mmol)의 1-브로모-3-클로로프로판 그리고 10.16 g(75.0 mmol)의 트리클로로실란을 150 ℃에서 4시간 반응시켜 0.16 g(수율 10%)의 (3-클로로프로필)트리클로로실란, 0.17 g(수율 9%)의 (3-브로모프로필)트리클로로실란 및 1.21 g(수율 52%)의 1,3-비스(트리클로로실릴)프로판을 얻었다.
실시예 34: 1,4-디클로로부탄과 트리클로로실란의 반응(촉매: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0.44 g(1.50 mmol)의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와 0.95 g(7.5 mmol)의 1,4-디클로로부탄 그리고 10.16 g(75.0 mmol)의 트리클로로실란을 150 ℃에서 20시간 반응시켜 2.02 g(수율 83%)의 1,4-비스(트리클로로실릴)부탄을 얻었다.
1,4-비스(트리클로로실릴)부탄의 H-NMR(CDCl3, ppm): 1.46(m, 4H, SiCH 2), 1.73(m, 4H, CH 2).
실시예 35: 1,4-비스(클로로메틸)벤젠과 트리클로로실란의 반응(촉매: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0.059 g(0.20 mmol)의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0.35 g(2.0 mmol)의 1,4-비스(클로로메틸)벤젠, 10 ml의 벤젠 그리고 1.35 g(10.0 mmol)의 트리클로로실란을 150 ℃에서 2시간 반응시켜 0.16 g(수율30%)의 1-클로로메틸-4-(트리클로로실릴메틸)벤젠과 0.19 g(수율 25%)의 1,4-비스(트리클로로실릴메틸)벤젠을 얻었다.
1-클로로메틸-4-(트리클로로실릴메틸)벤젠의 MS(70eV EI) m/z(상대강도): 274(23), 272(17), 241(37), 239(99), 238(17), 237(100), 139(33), 104(39), 103(32), 77(20).
1,4-비스(트리클로로실릴메틸)벤젠의 MS(70eV EI) m/z(상대강도): 372(15), 241(38), 240(16), 239(99), 238(17), 237(100), 134(13), 132(14), 104(27), 103(19).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유기 실란 제법과는 달리 4차 유기 포스포늄 염을 촉매로 사용하여 수소-규소 결합을 갖는 클로로실란 화합물과 유기 할로겐 화합물을 탈할로겐화수소 반응에 의해 결합시켜서 유기 규소화합물을 합성하므로서, 종래의 제법에 비하여 소량의 촉매를 사용하고, 또 촉매의 사용 후 회수도 용이하여 매우 경제적으로도 고수율로 유기 실란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8)

  1. 촉매를 사용하여 클로로실란 화합물과 유기 할로겐 화합물을 반응시켜서 유기 실란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촉매로서 4차 유기 포스포늄 염을 촉매로 사용하여 수소-규소 결합을 갖는 다음 화학식 1의 클로로실란 화합물과 다음 화학식 2의 유기 할로겐 화합물을 탈할로겐화수소 반응으로 결합시켜서 다음 화학식 3의 유기 실란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실란의 제조방법.
    상기 화학식에서 :
    R1은 수소, 클로로 또는 메틸기이고; X는 클로로 또는 브로모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17개의 알킬기, 플루오르가 1개 이상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개의 알킬기, 불포화 결합을 가지고 있는 탄소수 2 내지 5개의 알켄기, (CH2)nSiMe3-mClm으로 표시되는 알킬기(이때, n은 0 내지 2의 정수, m이 0 내지 3의정수임), Ar(R')q로 표시되는 방향족기(이때, Ar은 탄소수 6 내지 14개의 방향족 탄화수소이고 R'은 탄소수 1 내지 4개의 알킬기, 할로겐, 알콕시 또는 비닐이며, q는 0 내지 5의 정수임), (CH2)pX로 표시되는 할로알킬기(이때, p는 1 내지 9의 정수이고, X는 클로로 또는 브로모임), 또는 ArCH2X로 표시되는 할로메틸 방향족기(이때, Ar은 탄소수 6 내지 14까지의 방향족 탄화수소이고, X는 클로로 또는 브로모임)이며;
    R3는 수소,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킬기, Ar(R')q로 표시되는 방향족기(이때, Ar은 탄소수 6 내지 14개의 방향족 탄화수소이고, R'은 탄소수 1 내지 4개의 알킬기, 할로겐, 알콕시 또는 비닐이며, q는 0 내지 5의 정수임)이고;
    R4는 R2와 동일하나 단, R2가 반응성이 있는 할로겐이 치환된 알킬기로서 (CH2)pX 또는 ArCH2X인 경우 R4는 (CH2)pSiR1Cl2또는 ArCH2SiR1Cl2가 될 수 있고;
    또한, 상기 화학식 2에서의 R2와 R3 서로 공유결합으로 연결되어 사이클로펜틸이나 사이클로헥실기를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상기 화학식 3에서의 R3과 R4도 역시 서로 공유결합으로 연결되어 사이클로펜틸이나 사이클로헥실기가 될 수 있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4차 유기 포스포늄 염으로 다음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실란의 제조방법.
    [화학식 4]
    PR"4X'
    상기 화학식 4에서, X'는 클로로, 브로모 또는 아이오도이고, R"은 탄소수 1 내지 12개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킬기가 포함된 방향족기, 또는 페닐기이고, 2개의 R"이 서로 공유결합으로 연결되어 환형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의 R"은 서로 같거나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4차 유기 포스포늄 염으로 다음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실란의 제조방법.
    [화학식 5]
    X'R"3P-Y-PR"3X'
    상기 화학식 5에서, X'는 클로로, 브로모 또는 아이오도이고, Y는 탄소수 1 내지 12개의 알킬, 알킬기가 포함된 방향족기, 또는 방향족기 이며, R"은 탄소수 1 내지 12개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킬기가 포함된 방향족기, 또는 페닐기이고, 2개의 R"이 서로 공유결합으로 연결되어 환형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의 R"은서로 같거나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4. 제 1 항, 제 2 항 및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4차 유기 포스포늄 염의 촉매는 실리콘 레진, 실리카, 무기착제, 유기 고분자 중에서 선택된 것에 고정화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실란의 제조방법.
  5. 제 1 항, 제 2 항 및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4차 유기 포스포늄 염의 촉매는 조촉매와 함께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실란의 제조방법.
  6. 제 1 항, 제 2 항 및 제 3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4차 유기 포스포늄 염의 촉매는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에 대해 1 ∼ 100 몰%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실란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할로겐화수소반응은 반응온도 10 ∼ 250℃에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실란의 제조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탈할로겐화수소반응은 반응용매 존재하에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실란의 제조방법.
KR10-2001-0043753A 2000-11-01 2001-07-20 유기 실란의 제조방법 KR1004532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64692 2000-11-01
KR1020000064692 2000-11-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849A true KR20020034849A (ko) 2002-05-09
KR100453211B1 KR100453211B1 (ko) 2004-10-15

Family

ID=19696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753A KR100453211B1 (ko) 2000-11-01 2001-07-20 유기 실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612504B2 (ko)
KR (1) KR10045321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8009A2 (ko) * 2009-07-13 2011-01-20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유기 클로로하이드로실란과 이의 제조방법
KR101719340B1 (ko) * 2016-01-27 2017-03-23 제이에스아이실리콘주식회사 지문 돋보임 방지 피막용 친수성 및 친유성 기 실리콘 결합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10928A (ko) * 2018-09-06 2021-01-28 와커 헤미 아게 디클로로실란의 탈수소화 방법
KR20220022349A (ko) * 2020-08-18 2022-02-25 제이에스아이실리콘주식회사 알킬아렌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04470B2 (en) * 2004-08-31 2009-03-17 Silecs Oy Polyorganosiloxane dielectric materials
KR100974037B1 (ko) * 2008-04-25 2010-08-04 제이에스아이실리콘주식회사 신규한 1,4-디실라사이클로헥산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28942B1 (ko) * 2008-05-26 2009-11-30 제이에스아이실리콘주식회사 직선형이나 고리형의 트리실라알칸의 제조방법
JP7348285B2 (ja) * 2018-12-10 2023-09-20 インテグリ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トリヨードシランの調製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43966B (sv) * 1984-07-31 1986-03-17 Tetra Dev Co Sett och anordning vid forpackningsmaskin
US4725420A (en) * 1985-09-25 1988-02-16 Toa Nenryo Kogyo Kabushiki Kaish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ilanes
JP2795122B2 (ja) * 1993-02-25 1998-09-10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tert−ブチルジメチルクロロシランの回収方法
DE19544730A1 (de) * 1995-11-30 1997-06-05 Wacker Chemi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iH-haltigen Organylchlorsilanen
KR100356692B1 (ko) * 2000-03-15 2002-10-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탈할로겐화수소 반응에 의한 유기실란의 합성방법
KR100306574B1 (ko) * 1999-04-13 2001-09-13 박호군 탈할로겐화수소 반응으로 유기할로겐 화합물에 실란을 결합시키는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8009A2 (ko) * 2009-07-13 2011-01-20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유기 클로로하이드로실란과 이의 제조방법
WO2011008009A3 (ko) * 2009-07-13 2011-06-23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유기 클로로하이드로실란과 이의 제조방법
KR101719340B1 (ko) * 2016-01-27 2017-03-23 제이에스아이실리콘주식회사 지문 돋보임 방지 피막용 친수성 및 친유성 기 실리콘 결합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10928A (ko) * 2018-09-06 2021-01-28 와커 헤미 아게 디클로로실란의 탈수소화 방법
KR20220022349A (ko) * 2020-08-18 2022-02-25 제이에스아이실리콘주식회사 알킬아렌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167391A (ja) 2002-06-11
JP3612504B2 (ja) 2005-01-19
KR100453211B1 (ko) 2004-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3789B1 (ko) 유기 클로로하이드로실란과 이의 제조방법
KR950002860B1 (ko) 클로로알켄닐실란들과그제조방법
KR940010291B1 (ko) 비스실릴알칸 및 그들의 제조방법
KR100453211B1 (ko) 유기 실란의 제조방법
JPS6250404B2 (ko)
US6392077B1 (en) Process for preparing organochlorosilanes by dehydrohalogenative coupling reaction of alkyl halides with chlorosilanes
US6251057B1 (en) Dehydrohalogenative coupling reaction of organic halides with silanes
JP4336674B2 (ja) (有機チオメチル)クロロシラン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06574B1 (ko) 탈할로겐화수소 반응으로 유기할로겐 화합물에 실란을 결합시키는 방법
JP5474945B2 (ja) 直線状や環状トリシラアルカンの製造方法
CN1298725C (zh) 制备苯基有机硅中间体的方法
KR100356692B1 (ko) 탈할로겐화수소 반응에 의한 유기실란의 합성방법
JP7168766B2 (ja) ジクロロシランを脱水素化する方法
KR100491960B1 (ko) 이중 규소화반응에 의한 유기 규소화합물의 제조방법
JP2010531833A (ja) Si−ハロゲン化合物へのSi−H化合物の転化法
KR20200015644A (ko) 폴리실릴알칸의 제조방법
JP4001282B2 (ja) 共役ジエン類のシリル化反応による有機ケイ素化合物の製造方法
KR20160036020A (ko) 폴리실릴알칸의 제조방법
KR20150101288A (ko) 폴리실릴알칸의 제조방법
KR950004175B1 (ko) 트리스실릴알칸들과 그 제조방법
JP2768609B2 (ja) オキシムシランの連続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