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3512A - 다극잭, 다극플러그, 및 다극잭과 다극플러그와의 접속구조 - Google Patents

다극잭, 다극플러그, 및 다극잭과 다극플러그와의 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3512A
KR20020033512A KR1020010063170A KR20010063170A KR20020033512A KR 20020033512 A KR20020033512 A KR 20020033512A KR 1020010063170 A KR1020010063170 A KR 1020010063170A KR 20010063170 A KR20010063170 A KR 20010063170A KR 20020033512 A KR20020033512 A KR 20020033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ole
ring
jack
diamet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3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1103B1 (ko
Inventor
나가타타카유키
Original Assignee
후루하시 켄지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하시 켄지,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하시 켄지
Publication of KR20020033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3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1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11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Waveguide Switches, Polarizers, And Phase Shifter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과제〕
다극(6극)의 잭, 플러그, 및 양자의 접속구조를 제공한다.
잭에 있어서는, 보디의 통형상부를 이용해서 2개의 극수를 추가하는 경우에, 플러그축의 근원부분에 링형상전극을 구비한 다극플러그를 접속했을때에 2개의 추가전극이 단락되지않도록한다. 플러그에 있어서는 소형화를 도모한다. 접속구조에 있어서는 콤팩트의 형으로 접속할 수 있게한다.
〔해결수단〕
잭쪽보디의 안쪽의 4개의 주전극(21∼24)에, 플러그쪽축의 4개의 주전극(61∼64)이 접촉한다. 잭쪽통형상부(12)의 좌우양쪽에 제 2추가전극(25)과 제 2추가전극(26)을 전후 및 안팎으로 위치를 비켜서 배치한다. 플러그쪽기부(40)에 동심형상으로 제 1링형상 전극(65)과 제 2링형상전극(66)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다극잭, 다극플러그, 및 다극잭과 다극플러그와의 접속구조{MULTIPOLE JACK, MULTIPOLE PLUG, AND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MULTIPOLE JACK AND THE MULTIPOLE PLUG}
본 발명은, 다극잭, 다극플러그, 및 다극잭과 다극플러그와의 접속구조에 관한것이다.
특허 제 2875617호 공보에 종래의 다극잭이나 그 상대방이 되는 단두형(單頭型)의 다극플러그에 대한 기재가있다. 이 공부에 기재되어 있는 다극잭은, 보디의 안쪽에 4극을 형성하는 4개의 전극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보디의 통형상부의 바깥둘레에 꼭지쇠라고 칭하여지는 5극째의 고정전극이 링형상으로 장착되고, 또한, 그 고정전극의 바깥쪽에 간격을 두고 탄성변형 가능한 6극째의 가동전극이 배치되어있다. 또, 이 다극잭의 상대방이 되는 다극플러그는, 다극잭의 4개의 상기 전극에 각별히 접촉되는 4개의 접점을 구비한 축의 근원부분의 바깥쪽에, 그 근원부분과 동심형상으로 5극째와 6극째를 형성하는 링형상의 2개의 접속단자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5극째 및 6극째의 2개의 접속단자가, 다극잭의 5극째의 고정전극과 6극째의 가동전극에 각별히 접촉하도록 되어있다.
또, 일본국 특개평8-138807호 공보에 종래의 다른 다극잭이나 그 상대방이 되는 단두형의 다극플러그에 대한 기재가 있다. 이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다극잭은 슬리브(Sleeve)의 바깥둘레부분의 2개소에 2개의 전극을 가지고있다. 또, 이 다극잭의 상대방이 되는 다극플러그에는, 축의 근원부분의 바깥쪽에, 그 근원부분과 동심형상으로 링형상의 2개의 접점을 가지고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평10-335010호 공보나 실등제2548613호 공보등에도, 다극잭이나 다극플러그등에 관한 기재가있다.
특허 제2875617호 공보에 기재되어있는 다극잭은, 보디에 구비된 통형상부의 바깥둘레에 5극째의 고정전극이 장착되고, 또한, 그 고정전극의 바깥쪽에 6극째의 가동전극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예를들면 축에 4극, 축의 근원부분에 링형상의 5극째의 고정전극을 구비한 5극의 다극플러그를 접속했을때에, 다극플러그의 5극째의 고정전극의 내면과 외면이 다극잭쪽의 상기 고정전극과 상기 가동전극과의 양쪽에 접촉해서 그들의 고정전극과 가동전극을 단락하여 버린다고하는 문제가 있다.
일본국 특개평8-138807호 공보에 기재되어있는 다극잭에 대해서도, 예를들면 축에 4극, 축의 근원부분에 링형상의 5극째의 고정전극을 구비한 5극의 다극플러그를 접속했을때에, 다극플러그의 5극째의 고정전극의 내면의 2개소에 다극잭쪽의 슬리브의 바깥둘레부분의 2개의 전극이 접촉해서 그들의 전극이 단락하여 버린다고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상황이나 문제에 비추어서 이루어진것으로서, 다극잭의 보디에 구비되어있는 통형상부를 이용해서 2개의 극수를 추가할 경우에, 상기한 바와같은 축의 근원부분에 링형상전극을 구비한 다극플러그를 접속했을때에도, 통형상부를 이용해서 추가된 2개의 전극이, 다극플러그쪽의 링형상전극에 의해서 단락되는일이 없는 다극잭을 제공하는것을 목적으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다극잭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동 정면도.
도 3은 동 횡단평면도.
도 4는 회로패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다극플러그의 측면도.
도 6은 동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다극잭과 다극플러그와의 접속구조의 횡단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보디 주부분.12: 통형상부
10: 보디P: 다극(多極)플러그.
50: 축
61,62,63,64: 제 1극에서부터 제 4극까지의 전극(다극플러그쪽의 주전극)
21,22,23,24: 제 1극에서부터 제 4극까지의 전극(다극잭쪽의 주전극)
J: 다극잭(多極jack)P: 다극플러그(多極plug)
12a: 큰직경부분12b: 작은직경부분
12c: 단차25: 제 5극(제 1추가전극)
25a: 장착편(片)(제 1추가전극장착편)25d: 접점
26: 제 6극(제 2추가전극)26a: 장착편(제 2추가전극장착편)
26d: 접점65: 제 5극(제 1링형상전극)
65a: 접점66: 제 6극(제 2링형상전극)
66a: 접점
본 발명에 관한 다극잭J는, 보디주부분과 이 보디주부분의 앞쪽으로 돌출된 통형상부를 일체로 가진 보디의 안쪽에, 상기 통형상부를 통해서 그 통형상부와 동심위치 또는 대략 동심위치에 삽입되는 다극플러그의 축에 전후로 배열해서 형성된 복수의 주전극에 각별히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주전극을 가지고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다극잭J에 있어서는, 상기 통형상부가 기부쪽의 큰직경부분과 이 큰직경부분의 전단부로부터 돌출한 작은 직경부분에 의해서 형성되고, 또한, 상기 큰직경부분과 작은직경부분과의 경계에 단붙이형상으로 단차가 형성되어있는 동시에, 큰직경부분의 바깥쪽에 제 1추가전극이, 작은직경부분의 바깥쪽에 제 2추가전극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통형상부의 축선으로부터 상기 제 1추가전극의 접점까지의 간격치수가 상기 통형상부의 축선으로부터 상기 제 2추가전극의 접점까지의 간격치수보다도 길고, 또한, 제 1추가전극의 접점이 상기 단차의 뒤쪽에 위치하고, 제 2추가전극의 접점이 상기 단차의 앞쪽에 위치하고있다. 이와같이 되어있으면, 축(50)의 근원부분에 링형상전극(제 5극)을 구비한 다극플러그P를 접속했을때라도, 그 링형상전극이 통형상부를 이용해서 추가된 제 1 및 제 2의 2개의 추가전극에 접촉해서 양쪽의 추가전극이 단락되어버린다고하는 사태가 일어날수없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다극잭에 있어서는, 상기 제 1추가전극의 접점이, 상기 다극플러그의 축의 주위에 형성된 제 1링형상전극의 내면쪽의 접점에 접촉하고, 상기 제 2추가전극의 접점이, 상기 제 1링형상전극의 안쪽에서 상기 다극플러그의 축의 주위에 동심형상으로 형성된 제 2링형상전극의 내면쪽의 접점에 접촉하도록 되어있다. 이때문에, 당해 다극잭에, 이 다극잭과 동일한 극수의 다극플러그를 접속하는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제 1추가전극의 선단부가, 상기 단차의 뒤쪽에 위치하고 있는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구성을 채용하면, 축(50)의 근원부분에 링형상전극(제 5극)을 구비하고, 또한, 그 링형상전극이 상기 통형상부의 작은직경부분에는 끼워맞춤하지만 큰직경부분에는 끼워맞춤할 수 없는 안둘레직경을 가지고있는 다극플러그P의 상기 축을 보디에 삽입했을경우, 이 다극플러그P의 링형상전극은 다극잭쪽의 큰직경부분의 선단부에 닿을때까지, 즉 다극잭쪽의 단차에 닿을때까지 삽입될뿐이므로, 그 링형상전극이 다극잭쪽의 제 1추가전극에 접촉한다고하는 사태가 일어날수없다. 그때문에, 다극플러그의 1개의 링형상전극에 다극잭의 제 1 및 제 2의 2개의 추가전극이 접촉해서 그들의 추가전극이 단락한다고하는 사태가 일어나지않는다.
본 발명에 관한 다극잭에 있어서, 상기 큰직경부분의 바깥둘레직경이 상기다극플러그의 제 1링형상전극의 안둘레직경보다도 짧고 상기 제 2링형상전극의 안둘레직경보다도 긴치수로 형성되고, 상기 작은직경부분의 바깥둘레직경이 상기 제 2링형상전극의 안둘레직경보다도 짧은치수로 형성되어 있는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다극잭J에 있어서는, 상기 보디주부분이, 상기 통형상부의 좌우양쪽으로 내밀은 직6면체형상의 외형을 가지고, 상기 제 1추가전극과 상기 제 2추가전극이 상기 통형상부의 좌우로 배분해서 각별히 배치되어있는 동시에, 상기 제 1추가전극으로부터 뒤쪽으로 뻗어나온 모양으로 형성된 제 1추가전극장착편과 상기 제 2추가전극으로부터 뒤쪽으로 뻗어나온 모양으로 형성된 제 2추가전극장착편과의 각각이, 상기 통형상부의 양쪽에서 상기 보디주부분에 고정되어있는것이 바람직하다. 이에의하면, 제 1 및 제 2의 2개의 추가전극을, 원래 통형상부(12)의 좌우양쪽으로 내밀어져있는 보디주부분(11)을 이용해서 장착할수있으므로, 이들의 각 전극(26),(25)을 장착하는 개소가 보디(10)의 바깥쪽으로 돌출한다고하는 사태가 일어나지않고, 그것이, 다극잭J의 대형화를 억제하는일에 도움이된다.
본 발명에 관한 다극잭J에 있어서는, 상기 보디의 안쪽에 구비되어있는 당해 다극잭쪽의 복수의 상기 주전극에 의해서 4극이 형성되고, 그주의 3극이 상기 보디주부분의 안쪽에 배치된 3개의 주전극에 의해서 형성되고, 나머지의 1극이 상기 통형상부의 통벽에 개설된 개구부를 통해서 그 통형상의 안쪽으로 돌출된 1개의 주전극에 의해서 형성되어있다고하는 구성을 채용하는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의하면, 소형화를 촉진하기 쉬운 6극의 다극잭을 얻을수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다극플러그P는, 전후로 배열하는 복수의 주전극을 구비한 축을 구비하고, 그들의 주전극이 다극잭쪽으로 구비되어있는 복수의 주전극에 각별히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있다. 이와같은 다극플러그는 단두형의 다극플러그로서 알려져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다극플러그에 있어서는, 상기 축의 근원부분의 바깥쪽에, 제 1링형상전극과 그 제 1링형상전극의 안쪽에 간격을 두고 동심형상으로 배치된 제 2링형상전극이 형성되고, 제 1링형상전극의 내면쪽에 형성된 접점이, 잭쪽의 제 1추가전극의 접점에 접촉하고, 제 2링형상전극의 내면쪽에 형성된 접점이, 잭쪽의 제 2추가전극의 접점에 접촉하도록 되어있는 동시에, 상기 제 1링형상전극의 접점과 상기 제 2링형상전극의 접점이 상기 축의 축선방향으로 위치 엇갈려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다극플러그에 있어서는, 상기 제 1링형상전극이 상기 다극잭쪽의 상기 큰직경부분에 끼워맞춤 가능한 안둘레직경을 가지고, 또한, 상기 제 2링형상전극이 상기 다극잭쪽의 상기 작은직경부분에 끼워맞춤 가능하며 상기 큰직경부분에 끼워맞춤 불가능한 안둘레직경을 가지고, 상기 다른잭쪽의 상기 작은긱경부분에 대한 상기 제 2링형상전극의 깨워맞춤값이, 상기 다극잭쪽의 상기 박은직경부분의 축길이보다도 짧게되어있는것이 바람직하다.
이에의하면, 당해 다극플러그를 다극잭에 접속시켠 경우에, 다극플러그의 제 2링형상전극이 다극잭쪽의 제 1추가전극에 접촉한다고하는 사태가 일어날수 없으므로, 그 제 2링형상전극에 다극잭의 제 1및 제 2의 2개의 추가전극이 접촉해서 그들의 추가전극이 단락한다고하는 사태가 일어나지않는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다극플러그에 있어서는, 상기 제 1링형상전극과 상기 제 2링형상전극이, 그들의 전극간에 개재된 전극간 수지몰드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있는동시에, 그 전극간 수지몰드의 단부면이 상기 제2링형상전극의 전단부보다도 앞으로 돌출하지 않는 개소에 위치하고 있는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다극플러그에 있어서는, 상기 축에 구비되어있는 복수의 상기 주전극에 의해서 4극이 형성되고, 상기 제 1링형상전극과 상기 제 2링형상전극에 의해서 다른 2극이 형성되어있다고하는 구성을 채용하는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다극잭과 다극플러그와의 접속구조는, 보디주부분과 이 보디주부분의 앞쪽으로 돌출된 통형상부를 일체로 가진 다극잭쪽 보디의 안쪽에 배열해서 배치된 복수의 주전극에, 상기 통형상부를 통해서 그 통형상부와 동심위치 또는 대략 동심위치에 삽입된 단두형의 다극플러그의 축에 전후로 배열해서 형성된 복수의 주전극이 각별히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다극잭의 통형상부가 기부쪽에 큰직경부분과 이 큰직경부분의 전단부로부터 돌출한 작은직경부분에 의해서 형성되고, 또한, 상기 큰직경부분과 작은직경부분과의 경계에 단붙이형상으로 단차가 형성되어있는동시에, 상기 큰직경부분의 바깥쪽에 배치된 제 1추가전극의 접점이, 상기 다극플러그의 축의 주위에 형성된 제 1링형상전극의 내면쪽의 접점에 상기 단차의 뒤쪽에 접촉하고, 상기 작은직경부분의 바깥쪽에 배치된 제 2추가전극의 접점이, 상기 제 1링형상전극의 안쪽에 동심형상으로 형성된 제 2링형상전극의 내면쪽의 접점에 상기 단차의 앞쪽에서 접촉하고있다. 이 접속구조에 있어서는, 다극잭쪽의 주전극 및 다극플러그쪽의 주전극의 각수가 4개라고하는구성을 채용하는것이 가능하다.
상기 접속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제 1추가전극의 선단부가, 상기 단차의 뒤쪽에 위치하고있는것이 바람직하고, 또, 상기 제 1링형상전극이 상기 다극잭쪽의 상기 큰직경부분에 끼워맞춤 가능한 안둘레직경을 가지고, 또한, 상기 제 2링형상전극이 상기 다극잭쪽의 상기 작은직경부분에 끼워맞춤 가능하며 상기 큰직경부분에 끼워맞춤 불가능한 안둘레직경을 가지고, 상기 다극잭쪽의 상기 작은직경부분에 대한 상기 제 2링형상전극의 끼워맞춤값이, 상기 다극잭쪽의 강기 작은직경부분의 축길이보다도 짧게 되어있는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속구조에 의하면, 다극플러그를 다극잭에 접속한 경우에, 다극플러그의 제 2링형상전극이 다극잭쪽의 제 1추가전극에 접촉한다고하는 사태가 일어날수없으므로, 그 제 2링형상전극에 다극잭의 제 1 및 제 2의 2개의 추가전극이 접촉해서 그들의 추가전극이 단락한다고하는 사태가 일어나지않는다.
이와같은 다극잭과 다극플러그와의 접속구조는, 상기한 다극잭과 다극플러그를 접속하므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다극잭쪽의 주전극 및 다극플러그쪽의 주전극의 각수를 4개로 해두면, 전체로는 6극의 접속구조를 얻을수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도 1∼도 4를 참조해서 본 발명에 관한 다극잭J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다극잭J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동 정면도, 도 3은 동 횡단평면도이다. 이 다극잭J는, 전기절연성이 풍부한 합성수지의 일체성형체로 이루어진 보디(10)을 가진다. 이 보디(10)는, 보디주부분(11)과 이 보디주부분(11)의 앞쪽으로 돌출된 통형상부(12)를 일체로 가지고, 보디주부분이 통형상부(12)의 좌우양쪽으로 내밀은 직6면체형상의 외형을 가지고있다. 또, 다극잭J에는 6개의 전극이 구비되어있으며, 도 1에는 그들의 각 전극을 부호(21∼26)로 표시되어있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들의 각 전극을 제 1극(21), 제 2극(22), 제 3극(23), 제 4극(24), 제 5극(25), 제 6극(26)으로하여 간략화해서 표기한다.
제 1극(21)에서부터 제 4극(24)까지의 4개의 전극은 전체로 4극의 주전극을 형성하고, 그 중의 제 1극(21)과 제 2극(22)은, 도 1과 같이 보디주부분(11)의 후단부 개구부로부터 보디(10)의 안쪽으로 삽입되고, 제 3극(23)은, 도 1과 같이 보디주부분(11)의 아래쪽(바닥면쪽)으로부터 보디(10)의 안쪽으로 삽입되어서, 도 3과 같이 각각 조립되어있다. 또, 제 1극(21)과 제 2극(22)과 제 3극(23)에 각각 연달아 설치되어있는 장착편(21a),(22a),(23a)이 보디주부분(11)의 소정개소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고, 제 1극(21)과 제 2극(22)과 제 3극(23)이 이런 순서대로 보디(10)의 안쪽에서 뒤쪽으로부터 앞쪽을 향해서 배열되어있다. 그리고, 제 1극(21)과 제 2극(22)과 제 3극(23)에 각각 구비되어있는 납땜단자(21b),(22b),(23b)가 보디주부분(11)의 하단부로부터 그 바깥쪽을 향해서 돌출되어있다. 또, 제 1극(21)과 제 2극(22)에는 각각 1개씩의 전극(27),(28)이 짜맞추어져있고, 한쪽의 가동쪽의 제 1극(21)과 고정쪽의 전극(27)에 의해서 제 1상폐(常閉)스위치(SW1)가 형성되고, 다른쪽의 가동쪽의 제 2극(22)과 고정쪽의 전극(28)에 의해서 제 2상폐스위치(SW2)가 형성되어있다. 또한, 전극(27),(28)에도 정착편(27a),(28a)이나 납땜단자(27b),(28b)가 연달아설치되어있어서,장착편(27a),(28a)이 보디주부분(11)의 안쪽의 소정개소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고, 또한, 납땜단자(27b),(28b)가 보디주부분(11)의 하단부로부터 그 바깥쪽 또는 뒤쪽을 향해서 돌출되어있다. 도 1에서 알수있는 바와같이, 제 4극(24)의 장착편(24a)은 보디주부분(11)의 상부면쪽 오목한곳(13a)이나 세로홈(13b)에 수용된 상태로 그 보디주부분(11)의 바깥쪽에 장착된다.
그리고, 이 제 4극(24)이, 통형상부(12)의 통벽에 개설된 개구부(14)를 통해서 통형상부(12)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다음에, 제 5극(25)과 제 6극(26)과의 2개의 전극에 의해서 추가전극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5극(25)을 제 1추가전극, 제 6극(26)을 제 2추가전극으로서 규정한다. 이들 2개의 추가전극은 통형상부(12)를 이용해서 그 통형상부(12)의 주위의 2개소에 각별히 배치되어있다.
통형상부(12)는 기부쪽의 큰직경부분(12a)과 이 큰직경부분(12a)의 전단부로부터 돌출한 작은직경부분(12b)에 의해서 형성되어있다. 또, 큰직경부분(12a)과 작은직경부분(12b)과의 경계에 단붙이형상으로 단차(12c)가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큰직경부분(12a)의 바깥쪽에 제 1추가전극인 제 5극(25)이, 작은직경부분(12b)의 바깥쪽에 제 2추가전극인 제 6극(26)이, 각각 배치되어있다.
즉, 도 2와 같이, 제 5극(25)은, 통형상부(12)의 바깥둘레의 우측부분을 제거(소위 D커트)함으로써 형성된 평탄면(17)에 대해서 약간의 간격을 두고 대향배치된 탄성을 구비한 가동전극으로서 형성되어있다. 또, 도 1 또는 도 3과 같이, 제 5극(25)에는, 그 뒤쪽으로 뻗어나온 모양으로 형성된 장착편(25a)이나납땜단자(25b)가 구비되어있고, 장착편(25a)이 통형상부(12)의 우측에서 보디주부분(11)의 장착홈(18)에 끼워넣어져서 고정되므로써 제 5극(25)이 통형상부(12)에 대해서 접촉분리방향으로 탄성변위 가능하게 되어있으며, 납땜단자(25b)가 보디주부분(11)의 하단부로부터 그 바깥쪽으로 돌출되어있다. 한편, 제 6극(26)은, 통형상부(12)의 바깥둘레의 좌측에 형성된 오목한곳(15)내에 수용되어있다. 도 1 또는 도 3과 같이, 제 6극(26)에도, 그 뒤쪽으로 뻗어나온 모양으로 형성된 장착편(26a)이나 납땜단자(26b)가 구비되어있다. 그리고, 장착편(26a)이 통형상부(12)의 좌측에서 보디주부분(11)의 장착홈(16)에 끼워넣어져서 고정되어있고, 그 장착편(26a)에 연달아 설치되어있는 납땜단자(26b)가 보디주부분(11)의 하단부로부터 그 바깥쪽으로 돌출되어있다.
여기서, 도 3에 표시한 통형상부(12)의 축선L로부터 제 5극(25)의 접점까지의 간격치수(A1)는, 통형상부(12)의 축선으로부터 제 6극(26)의 접점(26d)까지의 간격치수(A2)보다도 길다. 또, 제 5극(25)의 접점(25d)이 단차(12c)의 뒤쪽에 위치하고, 제 6극(26)의 접점(26d)이 단차(12c)의 앞쪽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 5극(25)의 선단부(25f)는 상기 단차(12c)의 뒤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렇게해두면, 축의 근원부분에 정원형의 링형상전극을 구비한 다극플러그(도시생략)를 접속했을때에도, 그 링형상전극에 제 5극(25)과 제 6극(26)과의 양쪽이 접촉해서 그들이 단락한다고하는 사태가 일어나지않는다. 즉, 상기 다극플러그의 전원형의 링형상전극이 통형상부(12)의 큰직경부분(12a)의 바깥쪽에 끼워맞춰진 때에는, 그 링형상전극에 접촉하는 전극은 제 5극(25)뿐으로서, 제 6극(26)은 접촉하지 않는다.또, 다극플러그의 링형상전극이 통형상부(12)의 작은직경부분(12b)에는 끼워맞출수있으나, 큰직경부분(12a)에는 끼워맞출수없는 안둘레직경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그 링형상전극이 작은직경부분(12b)만에 끼워맞춤되어서 링형상전극이 제 6극(26)만에 접촉하고, 제 5극(25)에는 접촉하지 않는다. 즉, 링형상전극이 단차(12c)에 닿아서 큰직경부분(12a)에 끼워맞춤해서 제 5극(25)에 접촉하거나 제 5극의 선단부(25f)에 접촉하는 일은 있을수없기때문이다. 그때문에, 정원형의 링형상전극에 제 5극(25)과 제 6극(26)과의 양쪽에 접촉해서 그들이 단락한다고 하는 사태가 일어나지않는다.
또, 상기와 같이 제 6극(26)이 통형상부(12)의 바깥둘레의 오목한곳(15)내에 수용되어서 그 통형상부(12)의 두꺼운부분내에 수납되어 있으므로, 그 제 6극(26)이 통형상부(12)의 바깥쪽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더구나, 제 5극(25)이 통형상부(12)를 D커트함으로써 형성된 평탄면(17)에 근접해서 배치되어 있으므로, 그 제 5극(25)이 통형상부(12)로부터 많이 떨어진 개소에 위치하는 일은 없다. 이들의 일로해서, 제 5극(25)과 제 6극(26)과는, 통형상부(12)가 만일 정원통형상이라고 한 경우의 통형상부 형성스페이스내에 거의 수납되도록 되므로, 통형상부(12)의 바깥쪽의 스페이스를 제 5극(25)과 제 6극(26)이 점유해서 다극잭J가 대형화한다고하는 사태로는 되지않는다.
또한, 제 6극(26)의 장착편(26a)이 통형상부(12)의 좌측에서 보디주부분(11)의 장착홈(16)에 끼워넣어져서 고정되어있고, 제 5극(25)의 장착편(25a)이 통형상부(12)의 우측에서 보디주부분(11)의 장착홈(18)에 끼워넣어져서 고정되어있으므로써, 제 5극(25)과 제 6극(26)을 장착하는 개소가 보디(10)의 바깥쪽으로 돌출한다고 하는 사태가 일어나지않게 되어서 다극잭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는다고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다극잭J는, 그 제 1∼제 6의 각전극에 의해서 도 4에 표시한 회로패턴을 형성하고있다.
다음에, 도 5 및 도 6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관한 다극플러그P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5는 다극플러그P의 일부파단측면도, 도 6은 동정면도이다. 이 다극플러그P는 단두형의 다극플러그로서, 전기절연성이 풍부한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된 원형의 기부(40)를 가지고있다. 또, 이 다극플러그P에는 6개의 전극이 구비되어있고, 도 5에는 그들의 각 전극을 부호(61∼66)로 표시하고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들의 각전극을 제 1극(칩전극)(61), 제 2극(62), 제 3극(63), 제 4극(64), 제 5극(65), 제 6극(66)으로해서 간략화하여 표기한다.
제 1극(61)에서부터 제 4극(64)까지의 4개의 전극은 전체로 4극의 주전극을 형성하고, 이들의 각 전극은, 상기 기부(40)로부터 똑바로 돌출된 축(50)에, 그 선단부쪽으로부터 근원부분을 향하여 이 순서대로 배열해서 구비되어있는 동시에, 각 전극의 상호간에 절연체로 이루어진 스페이서 (67),(68),(69)가 개재되어있다.
축(50)의 근원부분에 배치되어있는 상기 제 4극(64)의 바깥쪽에, 제 5극(65)을 형성하고 있는 제 1링형상전극과, 그 제 5극(65)의 안쪽에 간격을 두고 동심형상으로 배치된 제 6극(66)을 형성하고 있는 제 2링형성전극이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제 5극(65)의 내면쪽에 형성되어있는 접점(65a)과 제 6극(66)의 내면쪽에 형성되어 있는 접점(66a)이 축(50)의 축선방향으로 위치엇갈림되어있다. 또, 제 5극(65)과 제 6극(66)이, 그들의 전극간에 개재된 전극간수지몰드(45)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있다. 도면예에 있어서, 전극간수지몰드(45)의 단부면(45a)은 그 전후방향에서의 위치가 제 6극(66)의 전단부와 동일한 위치로 되어잇으나, 이런점은, 전극간수지몰드(45)의 단부면(45a)이 제 6극(66)의 전단부보다도 뒤쪽에 위치하고 있어도된다. 즉, 제 6극(66)의 전극간수지몰드(45)의 단부면(45a)으로부터 돌출하고 있어도된다.
상기 다극플러그P에 있어서는, 제 5극(65)이 도 3등에서 설명한 다극잭J쪽의 큰직경부분(12a)에 끼워맞춤 가능한 안둘레직경을 가지고, 제 6극(66)이 동 다극잭J쪽의 작은직경부분(12b)에 끼워맞춤 가능하고 큰직경부분(12a)에 끼워맞춤 불가능한 안둘레직경을 가진다. 또, 다극잭J쪽의 작은직경부분(12b)에 대한 상기 제 6극(66)의 끼워맞춤값이, 다극잭J쪽의 작은직경부분(12b)의 축길이보다도 짧게되어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른잭J쪽의 작은직경부분(12b)에 대한 상기 제 6극(66)의 끼워맞춤값은, 기부(40)의 단부면으로부터의 제 6극(66)의 돌출길이(B1)에 의해서 규정되어있으며, 그 돌출길이(B1)를 도 3에 표시한 단차(12c)로부터의 작은직경부분(12b)의 돌출길이(B2)보다도 짧게하고있다(B1〈B2).
다음에, 도 7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관한 다극잭J와 다극플러그P와의 접속구조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상기 접속구조에 있어서는, 도 1∼도 4에서 설명한 다극잭J와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 단두형의 다극플러그P가 짜맞추어진다. 즉, 다극플러그P의 축(50)을, 다극잭J의 통형상부(12)를 통해서 그 통형상부(12)와 동심위치 또는 대략 동심위치에 삽입하면, 도 7과 같이, 다극잭J쪽의 주전극인 제 1극(21)에서부터 제 4극(24)까지의 각전극에, 다극플러그P쪽의 주전극인 제 1극(61)에서부터 제 4극(64)까지의 각전극이 각별히 탄성접촉한다. 이 상태에서는, 다극잭J쪽에 제 1극(21)와 제 2극(22)이 바깥쪽으로 탄성변형하므로, 다극잭J쪽의 제 1상폐스위치(SW1)와 제 2상폐스위치(SW2)가 개방한다. 또, 다극잭J쪽의 가동전극인 제 5극(25)의 접점(25d)에, 다극플러그P쪽의 제 5극(65)의 접점(65a)이 접촉하는데 대하여, 다극잭J쪽의 제 6극(26)의 접점(26d)에, 다극플러그P쪽의 제 6극(66)의 접점(66d)이 접촉한다. 이 때문에, 전체로서 6극의 접속구조가 얻어진다.
이 접속구조에 있어서는, 도 3이나 도 5등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다극잭J쪽의 작은직경부분(12b)에 대한 상기 제 6극(66)의 끼워맞춤값(B1)이, 다극잭J쪽의 작은직경부분(12b)의 축길이(B2)보다도 짧게되어있다. 또한, 제 5극(25)의 선단부(25f)가 상기 단차(12c)의 뒤쪽에 위치하고있다. 이때문에, 다극잭J쪽의 제 6극(26)에 접촉한 다극플러그P쪽의 제 6극(66)이, 다극잭J쪽의 제 5극(25)에도 접촉한다고하는 사태가 일어나지 않게되어서, 다극잭J쪽의 제 5극(25)과 제 6극(26)이 다극플러그P쪽의 제 6극(66)에 의해서 뜻밖에 단락되어버린다고하는 여지가 없게된다.
그런데, 도 3과 같이, 다극잭J의 제 6극(26)과 제 5극(25)과는,보디주부분(11)의 전단부로부터 그 앞쪽으로 비교적 길게 돌출한위치에 배치되어있다. 이렇게해두면, 보디(10)에 삽입되어온 다극플러그P쪽의 칩전극인 제 1극(61)이 보디(10)의 안쪽의 가장 뒤쪽에 위치한 다극잭J쪽의 제 1극(21)에 접촉하기 전에, 다극잭J의 제 6극(26) 또는 제 5극(25)이, 다극플러그P쪽의 제 6극(66) 또는 제 5극(65)에 접촉하게된다. 이와같이 다극잭J에 다극플러그P를 접속할때의 제 5극(25),(65)이나 제 6극(26),(66)의 접촉타이밍을, 제 1극(21),(61)이 접촉하는것보다도 먼저 되도록 정해두면, 통형상부(12)를 이용해서 추가된 제 5극(25) 또는 제 6극(26)을, 예를들면 오디오기기의 스테레오모드와 모노랄모드와의 인식용전극으로서 사용할수있게되고, 그와같이 해둠으로써, 그들의 모드가 인식되지 않는동안은, 다극플러그P쪽의 제 1극(61)이 다극잭J쪽의 제 1극(21)에 접촉해서 음성신호의 수수가 행하여지지않게 하는것이 가능하게된다.
또한, 상기한 다극잭J나 다극플러그P는, 주전극에 의해서 4극을 형성하고, 추가전극에 의해서 2극을 형성함으로써, 전체로서 6극을 형성시키고 있지만, 주전극에 의해서 형성된 극수는 4극에 한정되지않고, 예를들면 2극이어도, 3극이어도된다.
본 발명에 관한 다극잭에 의하면, 보디의 통형상부를 이용해서 2개의 극수를 추가하는 경우에, 축의 근원부분에 링형상전극을 구비한 다극플러그를 접속했을때에, 2개의 추가전극이 그 링형상전극에 의해서 단락된다고하는 사태가 일어나지않게 되는데도 불구하고, 소형화가 촉진된다.
본 발명에 관한 다극플러그에 의하면, 축의 근원부분의 주위에 2개의 전극이 추가되어있는데도 불구하고, 소형화를 촉진하기 쉽게된다.
본 발명에 관한 다극잭과 다극플러그와의 접속구조에 의하면, 다극잭과 다극플러그를 콤팩트인 형으로 접속할수있게된다. 또, 다극잭쪽의 2개의 추가전극이 다극플러그쪽의 링형상전극에 의해서 단락된다고하는 사태가 일어나지않게 되는데도 불구하고, 소형화가 촉진된다.

Claims (13)

  1. 보디주부분과 이 보디주부분의 앞쪽으로 돌풀된 통형상부를 일체로 가진 보디의 안쪽에, 상기 통형상부를 통해서 그 통형상부와 동심위치 또는 대략 동심위치에 삽입되는 다극플러그의 축에 전후로 배열해서 형성된 복수의 주전극에 각별히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주전극을 가진 다극잭으로서,
    상기 통형상부가 기부쪽의 큰직경부분과 이 큰직경부분의 전단부로부터 돌출한 작은직경부분에 의해서 형성되고, 또한, 상기 큰직경부분과 작은직경부분과의 경계에 단붙이형상으로 단차가 형성되어있는 동시에, 큰직경부분의 바깥쪽에 제 1추가전극이, 작은직경부분의 바깥쪽에 제 2추가전극이, 각가 배치되고, 상기 통형상부의 축선으로부터 상기 제 1추가전극이 접점까지의 간격치수가 상기 통형상부의 축선으로부터 상기 제 2추가전극의 접점까지의 간격치수보다도 길고, 또한, 제 1추가전극의 접점이 상기 단차의 뒤쪽에 위치하고, 제 2추가전극의 접점이 상기 단차의 앞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제 1추가전극의 접점이, 상기 다극플러그의 축의 주위에 형성된 제 1링형상전극의 내면쪽의 접점에 접촉하고, 상기 제 2추가전극의 접점이, 상기 제 1링형상전극의 안쪽에서 상기 다극플러그의 축의 주위에 동심형상으로 형성된 제 2링형상전극의 내면쪽의 접점에 접촉하도록 되어있는것을 특징으로하는 다극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추가전극의 선단부가, 상기 단차의 뒤쪽에 위치하고 있는것을 특징으로하는 다극잭.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큰직경부분의 바깥둘레직경이 상기 다극플러그의 제 1링형상전극의 안둘레직경보다도 짧고 상기 제 2링형상전극의 안둘레직경보다도 긴 치수로 형성되고, 상기 작은직경부분의 바깥둘레직경이 상기 제 2링형상전극의 안둘레직경보다도 짧은치수로 형성되어있는것을 특징으로하는 다극잭.
  4. 제 1항∼제 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주부분이, 상기 통형상부의 좌우양쪽으로 내밀은 직6면체형상의 외형을 가지고, 상기 제 1추가전극과 상기 제 2추가전극이 상기 통형상부의 좌우로 배분해서 각별히 배치되어있는 동시에, 상기 제 1추가전극으로부터 뒤쪽으로 뻗어나온 모양으로 형성된 제 1추가전극장착편과 상기 제 2추가전극으로부터 뒤쪽으로 뻗어나온 모양으로 형성된 제 2추가전극 장착편과의 각각이, 상기 통형상부의 양쪽에서 상기 보디주부분에 고정되어있는것을 특징으로하는 다극잭.
  5. 제 1항∼제 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의 안쪽에 구비되어있는 당해 다극잭쪽의 복수의 상기 주전극에 의해서 4극이 형성되고, 그 중의 3극이 상기 보디주부분의 안쪽에 배치된 3개의 주전극에 의해서 형성되고, 나머지의 1극이 상기 통형상부의 통벽에 개설된 개구부를 통해서 그 통형상부의 안쪽으로 돌출된 1개의 주전극에 의해서 형성되어있는것을 특징으로하는 다극잭.
  6. 전후로 배열되는 복수의 주전극을 구비한 축을 구비하고, 그들의 주전극이 다극잭쪽에 구비되어있는 복수의 주전극에 각별히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있는 단두형의 다극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축의 근원부분의 바깥쪽에, 제 1링형상전극과 그 제 1링형상전극의 안쪽에 간격을 두고 동심형상으로 배치된 제 2링형상전극이 형성되고, 제 1링형상전극의 내면쪽에 형성된 접점이, 잭쪽의 제 1추가전극의 접점에 접촉하고, 제 2링형상전극의 내면쪽에 형성된 접점이, 잭쪽의 제 2추가전극의 접점에 접촉하도록 되어있는 동시에, 상기 제 1링형상전극의 접점과 상기 제 2링형상전극의 접점이 상기 축의 축선방향으로 위치엇갈림되어있는것을 특징으로하는 다극플러그.
  7. 제 6항에 있어서,
    상대방잭이, 보디주부분과 이 보디주부분의 앞쪽으로 돌출된 통형상부를 일체로 가지고, 이 통형상부가 기부쪽의 큰직경부분과 이 큰직경부분의 전단부로부터 돌출한 작은직경부분에 의해서 형성되고, 또한 ,상기 큰직경부분과 작은직경부분과의 경계에 단붙이형상으로 단차가 형성되어있는동시에, 큰직경부분의 바깥족에 상기 제 1추가전극이, 작은직경부분의 바깥쪽에 상기 제 2추가전극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 1추가전극의 선단부가, 상기 단차의 뒤쪽에 위치하고있는 다극잭인 다극플러그로서,
    상기 제 1링형상전극이 상기 다극잭쪽의 상기 큰직경부분에 끼워맞춤 가능한 안둘레직경을 가지고, 또한, 상기 제 2링형상전극이 상기 다른잭쪽의 상기 작은직경부분에 끼워맞춤가능하며 상기 큰직경부분에 끼워맞춤 불가능한 안둘레직경을 가지고,
    상기 다극잭쪽의 상기 작은직경부분에 대한 상기 제 2링형상전극의 끼워맞춤값이, 상기 다극잭쪽의 상기 작은직경부분의 축길이보다도 짧게 되어있는것을 특징으로하는 다극플러그,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링형상전극과 상기 제 2링형상전극이, 그들의 전극간에 개재된 전극간 수지몰드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있는 동시에, 그 전극간수지몰드의 단부면이 상기 제 2링형상전극의 전단부보다도 앞으로 돌출하지않은 개소에 위치하고 있는것을 특징으로하는 다극플러그.
  9. 제 6항∼제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에 구비되어있는 복수의 상기 주전극에 의해서 4극이 형성되고, 상기 제 1링형상전극과 상기 제 2링형상전극에 의해서 다른 2극이 형성되어있는것을 특징으로하는 다극플러그.
  10. 보디주부분과 이 보디주부분의 앞쪽으로 돌출된 통형상부를 일체로 가진 다른잭쪽 보디의 안쪽에 전후로 배열해서 배치된 복수의 주전극에, 상기 통형상부를 통해서 그 통형상부와 동심위치 또는 대략 동심위치에 삽입된 단두형의 다극플러그의 축에 전후로 배열해서 형성된 복수의 극전극이 각별히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다극잭의 통형상부가 기부쪽의 큰직경부분과 이 큰직경부분의 전단부로부터 돌출한 작은직경부분에 의해서 형성되고, 또한, 상기 큰직경부분과 작은직경부분과의 경계에 단붙이형상으로 단차가 형성되어있는 동시에,
    상기 큰직경부분의 바깥쪽에 배치된 제 1추가전극의 접점이, 상기 다극플러그의 축의 주위에 형성된 제 1링형상전극의 내면족의 접점에 상기 단차의 뒤쪽에서 접촉하고, 상기 작은직경부분의 바깥쪽에 배치된 제 2추가전극의 접점이, 상기 제 1링형상전극의 안쪽에 동심형상으로 형성된 제 2링형상전극의 내면쪽의 접점에 상기 단차의 앞쪽에서 접촉하고 있는것을 특징으로하는 다극잭과 다극플러그와의 접속구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추가전극의 선단부가, 상기 단차의 뒤쪽에 위치하고 있는것을 특징으로하는 다극잭과 다극플러그와의 접속구조.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링형상전극이 상기 다극잭쪽의 상기 큰직경부분에 끼워맞춤 가능한 안둘레직경을 가지고, 또한, 상기 제 2링형상전극이 상기 다극잭쪽의 상기 작은직경부분에 끼워맞춤 가능하며 상기 큰직경부분에 끼워맞춤 불가능한 안둘레직경을 가지고, 상기 다극잭쪽의 상기 작은직경부분에 대한 상기 제 2링형상전극의 끼워맞춤값이, 상기 다른잭쪽의 상기 작은직경부분의 축길이보다도 짧게 되어있는것을 특징으로하는 다극플러그.
  13. 제 10항∼제 1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극잭쪽의 주전극 및 다극플러그쪽의 주전극의 각수가 4개인것을 특징으로하는 다극잭과 다극플러그의 접속구조.
KR1020010063170A 2000-10-30 2001-10-13 다극잭, 다극플러그, 및 다극잭과 다극플러그와의 접속구조 KR1004511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30159 2000-10-30
JP2000330159A JP3733286B2 (ja) 2000-10-30 2000-10-30 多極ジャック、多極プラグ、並びに多極ジャックと多極プラグとの接続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3512A true KR20020033512A (ko) 2002-05-07
KR100451103B1 KR100451103B1 (ko) 2004-10-06

Family

ID=18806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3170A KR100451103B1 (ko) 2000-10-30 2001-10-13 다극잭, 다극플러그, 및 다극잭과 다극플러그와의 접속구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595804B2 (ko)
EP (1) EP1202400B1 (ko)
JP (1) JP3733286B2 (ko)
KR (1) KR100451103B1 (ko)
CN (1) CN1177394C (ko)
AT (1) ATE370533T1 (ko)
DE (1) DE60129910T2 (ko)
ES (1) ES2291250T3 (ko)
HK (1) HK1043444B (ko)
TW (3) TW5036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32591U (en) * 2001-12-26 2003-05-11 Hon Hai Prec Ind Co Ltd Voice socket connector
US7090510B1 (en) * 2002-04-02 2006-08-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dio input jack assembly in a vehicle
US7241179B2 (en) 2003-03-05 2007-07-1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Universal audio jack and plug
TWM252150U (en) * 2003-07-11 2004-12-01 Hon Hai Prec Ind Co Ltd Audio jack connector
DE20310786U1 (de) * 2003-07-14 2003-10-09 Rosenberger Hochfrequenztech HF-Kuppler zum Verbinden eines Koaxialsteckers mit einer HF-Übertragungsleitung auf einer Leiterplatte
JP2005063869A (ja) * 2003-08-18 2005-03-10 Sony Corp スイッチ付入出力プラグ
US6908343B1 (en) * 2004-05-26 2005-06-21 Excel Cell Electronic Co., Ltd. Earphone jack
TWM259352U (en) * 2004-07-12 2005-03-11 Excel Cell Elect Co Ltd Ear phone plug
KR100619969B1 (ko) * 2004-12-13 2006-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
TWI253216B (en) * 2005-04-21 2006-04-11 Molex Taiwan Ltd Combination of the plug and socket electric connector
CN100452562C (zh) * 2005-05-18 2009-01-14 莫列斯公司 插头电连接器、插座电连接器及其组合
TWM289246U (en) * 2005-08-26 2006-04-01 Advanced Connectek Inc Vertical-plug-in-type audio socket connector
WO2007090069A2 (en) * 2006-01-27 2007-08-09 David Robert Goetz Releasable plug connector system
US7285024B1 (en) * 2006-03-29 2007-10-23 Speed Tech Corp. Audio jack connector
US20070248034A1 (en) * 2006-04-25 2007-10-25 Mediatek Inc. Method for controlling a station and station using the same
US7238059B1 (en) * 2006-06-06 2007-07-03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Audio jack connector
US7371125B2 (en) * 2006-07-24 2008-05-1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Miniature audio jack connector
JP2008066175A (ja) 2006-09-08 2008-03-21 Sony Corp プラグ
JP5151100B2 (ja) * 2006-09-08 2013-02-27 ソニー株式会社 プラグ、音声入出力装置及びノイズキャンセルシステム
US7316588B1 (en) * 2006-09-25 2008-01-08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Unitary multi-pole connector
US7316589B1 (en) * 2006-09-27 2008-01-08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Modular multi-pole connector assembly
US7322858B1 (en) * 2006-09-29 2008-01-29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Multi-functional receptacle
JP2008098018A (ja) * 2006-10-13 2008-04-24 Hosiden Corp コネクタ
TWM319560U (en) * 2007-04-27 2007-09-21 Advanced Connectek Inc Radio-frequency socket connector
JP4134247B1 (ja) 2007-06-20 2008-08-20 株式会社エクセル電子 多極ジャック及び多極プラグ
CN201113066Y (zh) * 2007-07-03 2008-09-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1359784B (zh) * 2007-08-03 2010-12-1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2009048922A (ja) * 2007-08-22 2009-03-05 D D K Ltd ジャック用コネクタ
CN101884145A (zh) * 2007-12-06 2010-11-10 Ex想士电子有限公司 多极插座和多极插头
CN201142390Y (zh) * 2007-12-06 2008-10-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1142396Y (zh) * 2007-12-11 2008-10-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导电端子
CN201197031Y (zh) * 2008-04-02 2009-02-1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导电端子
CN201397935Y (zh) * 2008-11-21 2010-02-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7887375B1 (en) * 2010-02-23 2011-02-15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Audio jack having improved contact
US7922542B1 (en) * 2010-04-09 2011-04-12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Audio jack connector
JP5683419B2 (ja) * 2011-09-14 2015-03-11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CN102623825B (zh) * 2012-03-16 2015-04-0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音频连接器
KR101939873B1 (ko) * 2012-12-20 2019-01-17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전기 연결 장치를 구비한 전기 조립체
JP6004949B2 (ja) * 2013-01-15 2016-10-12 株式会社エクセル電子 多極ジャ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CN104241984A (zh) * 2013-06-17 2014-12-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连接器支架及连接器组合
JP6580991B2 (ja) * 2013-11-22 2019-09-25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接続装置および受信装置
US9774152B2 (en) 2014-02-24 2017-09-26 Oleg Los Forward and backward compatible 5 pole audio plug and jack system
US9484654B2 (en) * 2014-04-10 2016-11-01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CN105337090B (zh) * 2014-06-09 2018-03-0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KR102243235B1 (ko) * 2014-08-14 2021-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상기 전자 장치와 연동되는 이어잭 단자 캡
US10128585B1 (en) * 2017-09-29 2018-11-13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Audio jack connector
CN208797230U (zh) * 2018-08-29 2019-04-26 富鼎精密工业(郑州)有限公司 电连接器
US11824304B2 (en) * 2022-01-05 2023-11-21 System One Innovations Inc. Electrical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3208U (ko) * 1986-05-28 1987-12-08
JPH0449834Y2 (ko) * 1988-05-16 1992-11-24
JP2548613B2 (ja) 1989-03-02 1996-10-30 小池酸素工業 株式会社 開先切断方法及びその装置
JP2875617B2 (ja) 1990-09-07 1999-03-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接続装置
NL9302115A (nl) * 1993-12-06 1995-07-03 Connector Systems Tech Nv Coax-connector met impedantiesturing.
JP3274033B2 (ja) 1994-11-15 2002-04-15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6極ジャック・プラグ
JP3261448B2 (ja) 1997-06-02 2002-03-04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多極コネクター
US5919052A (en) * 1998-01-08 1999-07-06 Ho; Ching-Chih Earphone jack
JP3265262B2 (ja) * 1998-05-22 2002-03-11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ジャック
TW453528U (en) * 1999-07-02 2001-09-01 Hon Hai Prec Ind Co Ltd Socket connector
JP2000100529A (ja) * 1999-10-29 2000-04-07 Smk Corp ジャック
JP3546162B2 (ja) * 2000-02-14 2004-07-21 ホシデン株式会社 多極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91250T3 (es) 2008-03-01
EP1202400A2 (en) 2002-05-02
ATE370533T1 (de) 2007-09-15
US20020052148A1 (en) 2002-05-02
US6595804B2 (en) 2003-07-22
CN1177394C (zh) 2004-11-24
TW503604B (en) 2002-09-21
TW508875B (en) 2002-11-01
KR100451103B1 (ko) 2004-10-06
JP2002134237A (ja) 2002-05-10
JP3733286B2 (ja) 2006-01-11
DE60129910D1 (de) 2007-09-27
DE60129910T2 (de) 2008-05-08
HK1043444B (zh) 2005-04-08
HK1043444A1 (en) 2002-09-13
EP1202400A3 (en) 2002-10-30
TW508874B (en) 2002-11-01
EP1202400B1 (en) 2007-08-15
CN1351394A (zh) 2002-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1103B1 (ko) 다극잭, 다극플러그, 및 다극잭과 다극플러그와의 접속구조
US6616487B1 (en) Plug connector having retention structure
JP2008066175A (ja) プラグ
KR100274129B1 (ko) 다극잭
JP3261448B2 (ja) 多極コネクター
US20050208826A1 (en) Multi-pole jack
JP3686826B2 (ja) 多極ジャックと多極プラグ
KR200444511Y1 (ko) 휴대폰 배터리 충전거치대의 충전단자 접속구조
JP3313034B2 (ja) 多極プラグ、多極ジャックおよび多極コネクタ
JPH04118879A (ja) 接続装置
KR20060083737A (ko) 멀티 폴 플러그 및 잭 커넥터
TWI416819B (zh) 插座連接器及與其配合之插頭連接器
JPH02192680A (ja) 小型多極プラグの中継用のアダプターソケット
JPH0557787U (ja) プラグおよびジャック
JP2548613Y2 (ja) 多極プラグ
JP2014120268A (ja)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およびレセプタクル
KR200172371Y1 (ko) 이어폰용 다극화 플러그
KR200301715Y1 (ko) 3극 및 4극 겸용 플러그
KR200293414Y1 (ko) 이어폰 소켓
KR200310386Y1 (ko) 접속안정성을 증진한 이어폰잭
CN214505932U (zh) 卡扣式电源连接器
KR20030047499A (ko) 다극용 플러그 및 잭
KR200262639Y1 (ko) 몰드 이어폰 잭
KR200310909Y1 (ko) 3극 및 4극 겸용 잭
KR200280041Y1 (ko) 3극 및 4극 겸용 이어폰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