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511Y1 - 휴대폰 배터리 충전거치대의 충전단자 접속구조 - Google Patents

휴대폰 배터리 충전거치대의 충전단자 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511Y1
KR200444511Y1 KR2020080009673U KR20080009673U KR200444511Y1 KR 200444511 Y1 KR200444511 Y1 KR 200444511Y1 KR 2020080009673 U KR2020080009673 U KR 2020080009673U KR 20080009673 U KR20080009673 U KR 20080009673U KR 200444511 Y1 KR200444511 Y1 KR 2004445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ttery
connection
charg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6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권
Original Assignee
금비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비전자(주) filed Critical 금비전자(주)
Priority to KR20200800096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5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5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5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측에 배터리가 끼워져 거치되며, 배터리의 접속단자와 대응하는 지점에 충전연결 및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충전단자가 설치된 충전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충전거치대는: 상기 배터리의 접속단자와 대향되는 충전거치대의 지점에 결합되고 배터리의 접속단자와 접속되기 위한 단자구성이 내부에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배터리의 접속단자와 대응하는 위치에 양극단자, 접지단자, ID단자가 일렬 배치된 단자어레이와; 상기 본체의 내부로 끼워져 양극단자, 접지단자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어, 배터리에 의해 양극단자, 접지단자, ID단자가 가압되면 접지단자, ID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스위칭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 거치대, 충전단자

Description

휴대폰 배터리 충전거치대의 충전단자 접속구조 {Terminal contact structure of battery charging holder for mobile-phone}
본 고안은 휴대폰 배터리 충전거치대의 충전단자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본 고안은, 휴대폰 배터리를 충전할 때 ID를 인식하기 위한 ID단자의 스위치 구성을 충전단자의 내측에서 일체화되도록 설치하여 휴대폰 배터리의 충전연결과 스위칭기능이 충전단자 내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부품의 개수를 감소시켜 생산원가를 절감하고, 구조의 단순화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폰 배터리 충전거치대의 충전단자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충전단자 내에서 스위칭 기능이 수행될 때 단자간의 접속이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 접촉불량률이 낮은 고품질의 제품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 충전거치대의 충전단자 접속구조를 제시한다.
국내 휴대폰의 충전컨넥터와 표준형 충전기의 컨넥터는 한국정보통신표준협회(Telecommunication Technology Association; TTA)표준에 의해 규격화되어 있다. 이 규격에 의해 제작된 TTA표준형 충전기는 대체로 휴대폰 배터리 팩(배터리와 그 외의 기능이 포함된 구성으로 이하, "배터리"로 기재함)을 끼워서 거치한 상태에서 충전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충전거치대를 포함하여 공급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충전기의 충전거치대는 휴대폰 배터리의 접속단자(충전을 하기 위한 단자)와 대응하는 접속단자를 갖는 충전단자가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충전단자는 양극단자와 접지단자가 구분되어 장착되며, 특히, 최근에 출시되는 휴대폰은 그 기능이 확장됨에 따라 배터리 내부에 특정의 ID가 내장되기 때문에 상기 충전거치대에는 배터리의 ID를 검출하기 위한 ID단자가 충전단자에 부가되어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충전단자가 충전거치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충전거치대(1)는 배터리(B)가 끼워지기 위한 수납홈(2)이 내측에 형성되며, 배터리(B)의 접속단자와 대응하는 접속단자(양극단자, 접지단자, ID단자)를 갖는 충전단자(3)가 수납홈(2)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충전단자(3)는 충전거치대(1)와 전술한 충전기가 연결되기 위해 충전거치대(1)의 일측에 설치된 컨넥터(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때, 상기 충전단자(3)의 ID단자는 배터리(B)가 수납홈(2)에 끼워지면 스 위칭되어 배터리(B)의 ID를 검출(충전 거치대에 내장된 ID 저항값을 검출하여 ID 인식함)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충전단자(3)와 이격된 충전거치대(1)의 지점에는 배터리(B)가 끼워질 때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는 스위칭유닛(5)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충전단자는 ID단자에서 배터리의 ID를 인식하기 위해 충전단자와 별도로 설치된 스위칭유닛의 구성을 수반하기 때문에 많은 부품수에 따른 제작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와 같이 많은 부품수는 충전단자를 채용하는 충전거치대의 구성을 복잡하게 하여 제작 공정수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제품의 생산성을 낮추는 문제점을 노출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스위칭유닛은 충전단자와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되고, 주로 충전거치대의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사소한 외력이나 잦은 배터리의 착탈행위에 의해 접촉지점이 쉽게 파손되거나 빈번한 접촉불량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휴대폰 배터리를 충전할 때 휴대폰 배터리의 충전연결과 ID단자의 스위칭기능이 충전단자 내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 부품의 개수 감소 및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도록 한 충전단자 접속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배터리의 ID를 인식하기 위한 스위치 구성을 충전단자 내측으로 은폐시켜 외력에 대해 보호하고, 충전연결 및 스위칭 기능을 수 행하기 위한 단자간의 접속이 장기간 경과 후에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충전단자 접속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아래의 구성을 갖는다. 본 고안은, 내측에 배터리가 끼워져 거치되며, 배터리의 접속단자와 대응하는 지점에 충전연결 및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충전단자가 설치된 충전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접속단자와 대향되는 충전거치대의 지점에 결합되고 배터리의 접속단자와 접속되기 위한 단자구성이 내부에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배터리의 접속단자와 대응하는 위치에 양극단자, 접지단자, ID단자가 일렬 배치된 단자어레이와; 상기 본체의 내부로 끼워져 양극단자, 접지단자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어, 배터리에 의해 양극단자, 접지단자, ID단자가 가압되면 접지단자, ID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스위칭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기 양극단자, 접지단자, ID단자가 일단은 본체의 전방측에, 타단은 본체의 후방측에 위치되어 그 내측에 스위칭단자가 배치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절곡되고, 일구간이 배터리의 접속단자와 접촉되기 위해 본체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탄성접속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스위칭단자가 본체의 외부에서 내측으로 끼워져 접지단자와 ID단자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어 탄성접속부가 배터리의 접속단자에 의해 가압되면 접지단자, ID단자와 전 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스위칭단자는 "∩" 형태로 절곡되어 본체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구성된다. 특히, 상기 양극단자, 접지단자, ID단자는 본체의 후방측 타단은 고정결합되고, 본체의 전방측 일단은 본체의 내주면에 탄력적으로 걸려진 자유단이 되어, 적어도 접지단자, ID단자의 자유단에는 배터리의 접촉단자에 의해 탄성접속부가 가압되면 스위칭단자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접속단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위칭단자는 배터리에 의해 탄성접속부가 가압되면, 접지단자와 ID단자가 동시접촉되어 전기적으로 결선되도록 하기 위한 결선단부가 일측에 형성된다.
특히, 상기 각 단자는 자체 탄성을 갖는 도전성 금속을 절곡하여 형성하므로써, 배터리의 접속단자에 의해 양극단자, 접지단자, ID단자가 가압될 때, 접지단자, ID단자가 스위칭단자와 결합될 때, 이들은 상호 자체 탄성력을 내재하며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휴대폰 배터리의 충전연결을 구성 및 ID 단자의 스위치 구성이 단일의 충전단자 내에서 일체화되어 부품의 개수 감소에 따른 제품의 제작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부품의 개수 감소에 따라 그 구성이 보다 단순화되어 제조 공정수 감소에 따른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배터리의 ID를 인식하기 위한 스위치 구성이 충전단자 내측으로 은폐되어 외력에 대해 안전하며, 접속단자와 스위치단자가 각각 단일체의 탄성재질로 제작되어 상호 접촉되기 때문에 단자간의 접속이 빈번한 상태에서 장기간 경과 후에도 보다 안정적인 접속이 보장되므로써 제품의 품질향상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충전단자가 적용된 충전거치대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충전단자가 적용되는 충전거치대의 회로구성도이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은 상기 충전단자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충전단자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충전단자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충전단자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충전단자가 적용된 충전거치대(10)는 전술 한 것과 같이 배터리(B)가 끼워지기 위한 수납홈(11)이 내측에 형성되고, 배터리(B)의 접속단자(T)와 대응하는 단자어레이(array)(20)가 설치된 충전단자(30)가 수납홈(11)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충전단자(30)가 충전거치대(10)에 충전기를 연결하기 위한 컨넥터(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은 주지된 것과 같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충전단자(30)는 단자어레이(20)의 구성으로 양극(B+)단자(21), 접지(GND)단자(22), ID단자(23)를 포함한다. 즉, 상기 충전단자(30)는 본체(31)의 내부에 단자어레이(20)를 내장하고, 본체(31) 내부에서 접지단자(22)와 ID단자(23)를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단자(24)를 수용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31)는 배터리(B)의 접속단자(T)와 대향되는 충전거치대(10)의 지점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본체(31)는 배터리(B)의 접속단자(T)와 접속되기 위한 상기 단자어레이(20)가 내부에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단자어레이(20)가 설치될 공간은 본체(31)에 각 단자(21-23)에 대응하여 형성된 결합홈(32)의 형태로 구현된다. 또한, 상기 본체(31)는 양측면에 충전거치대(10)에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결합돌기(33)가 형성되며, 이 결합돌기(33)는 끝단이 쐐기형태로 형성된 걸림턱의 구성으로 제시된다.
상기 단자어레이(20)는 전술한 것과 같이 양극단자(21), 접지단자(22), ID단자(23)의 집합체 적인 명칭으로 기재한 것이며, 이러한 각 단자(21-23)는 본체(31)의 각 결합홈(32)에 끼워져 배치된다. 이 때, 상기 각 단자(21-23)는 일단이 본체(31)의 전방측에, 타단은 본체(31)의 후방측에 위치되어 그 내측에 스위칭단자(24)가 배치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절곡되어 구성된다. 특히, 상기 각 단자(21-23)는 일구간이 배터리(B)의 접속단자(T)와 접촉되기 위해 본체(31)의 결합홈(32) 내에서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탄성접속부(25)가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스위칭단자(24)는 본체(31)의 외부에서 내측으로 끼워져 접지단자(22)와 ID단자(23)의 내측 공간에 배치된 구성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각 단자(21-23)의 탄성접속부(25)가 배터리(B)의 접속단자(T)에 의해 가압되면 접지단자(22), ID단자(23)가 스위칭단자(2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 단자(21-23)는 본체(31)의 후방측 타단은 고정결합되고, 본체(31)의 전방측 일단은 본체(31)의 내주면에 탄력적으로 걸려진 자유단이 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자유단은 탄성접속부(25)가 배터리(B)의 접속단자(T)에 의해 가압될 때 접지단자(22), ID단자(23)가 스위칭단자(24)에 접촉되는 단부이다. 따라서, 상기 접지단자(22), ID단자(23)의 자유단에는 스위칭단자(24)와 접촉시 보다 정확한 접속을 수행하기 위한 접속단부(26)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스위칭단자(24)는 본체(31)의 내부로 끼워져 양극단자(21), 접지단자(22)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스위칭단자(24)는 "∩" 형태로 절곡되어 본체(31)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형성된다.
특히, 상기 스위칭단자(24)는 배터리(B)에 의해 탄성접속부(25)가 가압되면, 접지단자(22)와 ID단자(23)가 동시접촉되어 전기적으로 결선되도록 하기 위해 일측에 결선단부(27)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결선단부(27)는 상기 접지단자(22)와 ID단자(23)에 대한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접지단자(22)와 ID단자(23)의 이격된 간격에 대응하는 너비로 형성됨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각 단자(21-24)는 자체 탄성을 갖는 도전성 금속을 절곡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은 탄성체의 각 단자(21-24)는 배터리(B)의 접속단자(T)에 의해 양극단자(21), 접지단자(22), ID단자(23)가 가압될 때와, 접지단자(22), ID단자(23)가 스위칭단자(24)와 결합될 때, 이들은 상호 자체 탄성력을 내재하며 견고한 접속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충전단자의 접속구조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배터리(B)가 충전거치대(10)의 수납홈(11)에 끼워지면, 배터리(B)의 접속단자(T)와 충전단자(30)의 양극단자(21), 접지단자(22), ID단자(23)가 접속되어 충전을 수행하 게 된다.
이 때, 상기 양극단자(21), 접지단자(22), ID단자(23)는 각각의 탄성접속부(25)에 의해 배터리(B)의 접속단자와 탄력적으로 견고히 접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접지단자(22)와 ID단자(23)는 스위칭단자(24)와 접속되어 스위칭 기능이 수행되는데, 상기 스위칭 기능에 의해 ID단자(23)는 ID저항(R)과의 접속을 통해 배터리(B)의 ID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단일의 충전단자(30) 내에서 충전연결과 배터리(B)의 ID를 인식 및 접지단자(22)와 ID단자(23)를 결선하기 위한 스위칭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스위칭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 충전단자(30)의 본체(31) 내부에 은폐되어 외력에 대해 보호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은 상기 각 단자(21-24)의 탄력구성에 의해 전기적 접속이 보다 견고하게 수행되어 배터리(B)의 잦은 착탈이 장기간 경과되어도 보다 안정적인 충전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충전단자가 적용된 충전거치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충전단자가 적용된 충전거치대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충전단자가 적용되는 충전거치대의 회로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충전단자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충전단자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충전단자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충전거치대 20: 단자어레이
21: 양극단자 22: 접지단자
23: ID단자 24: 스위칭단자
30: 충전단자 31: 본체
B: 배터리 T: 접속단자

Claims (6)

  1. 내측에 배터리(B)가 끼워져 거치되며, 배터리(B)의 접속단자와 대응하는 지점에 충전연결 및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충전단자(30)가 설치된 충전거치대(10)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B)의 접속단자(T)와 대향되는 충전거치대(10)의 지점에 결합되고 배터리(B)의 접속단자(T)와 접속되기 위한 단자구성이 내부에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31)와; 상기 본체(31)의 내부에서 배터리(B)의 접속단자(T)와 대응하는 위치에 양극단자(21), 접지단자(22), ID단자(23)가 일렬 배치된 단자어레이(20)와; 상기 본체(31)의 내부로 끼워져 양극단자(21), 접지단자(22)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어, 배터리(B)에 의해 양극단자(21), 접지단자(22), ID단자(23)가 가압되면 접지단자(22), ID단자(23)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스위칭단자(24);
    를 포함하며,
    상기 양극단자(21), 접지단자(22), ID단자(23)는: 일단이 본체(31)의 전방측에, 타단은 본체(31)의 후방측에 위치되어 그 내측에 스위칭단자(24)가 배치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절곡되고, 일구간이 배터리(B)의 접속단자(T)와 접촉되기 위해 본체(31)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탄성접속부(25)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스위칭단자(24)가 "∩" 형태로 절곡되어 본체(31)의 외부에서 내측으로 탄력적으로 끼워져 접지단자(22)와 ID단자(23)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어 탄성접속부(25)가 배터리(B)의 접속단자(T)에 의해 가압되면 접지단자(22), ID단자(2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 충전거치대의 충전단자 접속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단자(21), 접지단자(22), ID단자(23)는: 본체(31)의 후방측 타단은 고정결합되고, 본체(31)의 전방측 일단은 본체(31)의 내주면에 탄력적으로 걸려진 자유단이 되어, 적어도 접지단자(22), ID단자(23)의 자유단에는 배터리(B)의 접속단자(T)에 의해 탄성접속부(25)가 가압되면 스위칭단자(24)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접속단부(2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 충전거치대의 충전단자 접속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단자(24)는: 배터리(B)에 의해 탄성접속부(25)가 가압되면, 접지단자(22)와 ID단자(23)가 동시접촉되어 전기적으로 결선되도록 하기 위한 결선단부(27)가 일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 충전거치대의 충전단자 접속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자(21-24)는: 자체 탄성을 갖는 도전성 금속을 절곡하여 형성하므로써, 배터리(B)의 접속단자(T)에 의해 양극단자(21), 접지단자(22), ID단자(23)가 가압될 때, 접지단자(22), ID단자(23)가 스위칭단자(24)와 결합될 때, 이들은 상호 자체 탄성력을 내재하며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 충전거치대의 충전단자 접속구조.
KR2020080009673U 2008-07-21 2008-07-21 휴대폰 배터리 충전거치대의 충전단자 접속구조 KR2004445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673U KR200444511Y1 (ko) 2008-07-21 2008-07-21 휴대폰 배터리 충전거치대의 충전단자 접속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673U KR200444511Y1 (ko) 2008-07-21 2008-07-21 휴대폰 배터리 충전거치대의 충전단자 접속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511Y1 true KR200444511Y1 (ko) 2009-05-18

Family

ID=41348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673U KR200444511Y1 (ko) 2008-07-21 2008-07-21 휴대폰 배터리 충전거치대의 충전단자 접속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51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937A (ko) * 2010-06-28 2012-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265583B1 (ko) 2006-09-18 2013-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팩 컨넥터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
CN114209571A (zh) * 2020-01-08 2022-03-22 微传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入体式理疗训练装置及其应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583B1 (ko) 2006-09-18 2013-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팩 컨넥터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
KR20120000937A (ko) * 2010-06-28 2012-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635029B1 (ko) 2010-06-28 2016-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14209571A (zh) * 2020-01-08 2022-03-22 微传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入体式理疗训练装置及其应用
CN114209571B (zh) * 2020-01-08 2024-03-15 微传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入体式理疗训练装置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22152B1 (en) Connector
CN104733956B (zh) 插座连接器及插头连接器
EP3483987B1 (en) Power interface, mobile terminal, and power adapter
EP3467947B1 (en) Power interface, mobile terminal and power adapter
US7789712B1 (en) Audio jack connector
US20080280499A1 (en) Jack
CN205355339U (zh) 正反插usb插座
CN102044774B (zh) 电源插座
CN105490059A (zh) 正反插usb插座
KR200444511Y1 (ko) 휴대폰 배터리 충전거치대의 충전단자 접속구조
US20130244498A1 (en) Audio jack connector with small size for space saving
US7806734B1 (en) Audio jack connector
CN219393766U (zh) 一种带中夹片Type-C电连接器
CN109565127B (zh) 一种电插接装置及电动汽车
CN218041712U (zh) 一种充电装置及骨传导耳机
CN214625627U (zh) 一种防火花电连接器
CN210201058U (zh) 插头、电连接器及终端设备
CN113067185A (zh) 一种Type-C电连接器
EP3836339B1 (en) Charging device
CN107069285B (zh) 公头连接器及数据线
CN109659737B (zh) 一种电阻可拆卸式防火花电连接件
CN213484029U (zh) Usb插座
CN209805052U (zh) 一种转换结构及插座转换器
CN214374912U (zh) 连接器及具有其的测试装置
US20130072069A1 (en) Char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