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1628A - 변형가능한 빌딩 시트 배튼 - Google Patents

변형가능한 빌딩 시트 배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1628A
KR20020021628A KR1020017013146A KR20017013146A KR20020021628A KR 20020021628 A KR20020021628 A KR 20020021628A KR 1020017013146 A KR1020017013146 A KR 1020017013146A KR 20017013146 A KR20017013146 A KR 20017013146A KR 20020021628 A KR20020021628 A KR 20020021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on
sheet
web
batte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3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6906B1 (ko
Inventor
이튼피터프란시스
Original Assignee
제임스 하디 리서치 피티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임스 하디 리서치 피티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제임스 하디 리서치 피티와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21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1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9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2/00Non-structural supports for roofing materials, e.g. battens, boards
    • E04D12/004Batt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이나 프레임에 피복 시트를 장착하기 위한 배튼(100)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배튼은, 중간 웨브(110)에 의해 접합되는 한쌍의 이격된 측벽(120, 140)과, 상기 웨브(110)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측벽(120, 140)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대응하는 장착 플랜지(125, 145) 쌍을 구비하는 긴 채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웨브(110)는 벽이나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플랜지(125, 145)는 피복 시트(300)에 연결되고, 상기 배튼(100)은 사용중인 피복 시트(300)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배튼의 변형을 초래하도록 형상을 갖는다.

Description

변형가능한 빌딩 시트 배튼{Deformable building sheet batten}
배튼(batten)은 이전에 그 정면 및 띠 피복 시스템(facade and fascia cladding system)에서 사용되어왔다. 이들 배튼은 그 거꾸로된 U자형 단면 및 바깥쪽으로 벌어진 에지 플랜지로 인해 "탑 햇(top hats)"으로 지칭된다. 이들 배튼 또는 탑 햇의 기능은 피복 시트의 연결을 위한 평면(planar) 고정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당업자라면 알수 있듯이, 불균일한 표면 위에 피복 시트를 도포할 때는 피복 시트가 장착되는 프레임이 평면일 것이 중요하다. 탑 햇 배튼과 함께 패킹 재료와 스페이서를 추가하므로써, 그러한 평면 고정 프레임이 달성될 수 있다.
종래의 피복 시스템의 공지 예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은 다수의 피복 시트(11)로 커버된 벽(10)의 정면도이다. 각각의 피복 시트는 배튼(20)에 의해 그 종방향 에지(12)를 따라서 지지된다. 이는 인접하는 두 시트(11)를 연결하는 배튼의 단면도인 도 2 에서 보다 명료하게 알 수 있다. 각각의 배튼은, 에지 플랜지(27)를 통해 연장되는 장착 스크루(26)에 의해 은폐되도록, 프레임이나 벽에 연결되기 위한 한쌍의 측벽(23)을 갖는 채널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중간 웨브(28)는, 나사(29)에 의해 고정되는 피복 시트를 지지하기 위해, 벽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된 플랫폼을 형성한다. 상기 웨브(28)는 두장의 시트(11) 사이에서 조인트(30)를 가로질러 연장하기에 충분한 폭을 갖는다. 배튼(20)은 일반적으로 피복 시트상에 윈드 로딩(wind loading)을 적합하게 하기 위해 이격되어 있다. 필요하다면, (도 1 및 도 3 에 도시되어 있듯이) 추가적인 중간 배튼(21)이 제공될 수도 있다.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탑 햇 배튼 섹션들에 의해 벽(10)의 주요 구조적 프레임형성(framing) 부재들이 추가로 이격될 수 있으며, 탑 햇 배튼은 피복 시트에 대한 고정 지점을 제공하기 위해 구조적 부재들에 걸쳐 있다(span). 이것이 프레임형성에 필요한 재료와 노동력에 대해 실질적인 비용 절감을 제공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탑 햇 배튼은 여러가지 결점을 갖는다. 우선, 이들 배튼은 피복 시스템이 비바람에 견디게 하기 위해 가스켓(31)과, 배킹 스트립(32), 및 밀봉제를 필요로 한다. 그러한 가스켓 및 배킹 스트립과 연관된 추가적인 비용과는 별도로, 서투른 설치 기술은 피복 시트의 오정렬을 초래하고 또한 시트의 에지에 연하는 과도한 스트레스형성 및 부적절한 방수처리로 인한 시트의 손상을 초래한다. 이 과정은 또한 노동 집약적이다.
또한, 상기 상부 햇 배튼의 플랫폼 섹션(28)의 좁은 폭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fastener)가 시트 에지에 근접하여 배치될 것을 요구한다. 그러한 체결부재가 시트 에지에 수 밀리미터 더 가깝게 배치되거나 시트가 정확히 체결되지 않는다면, 체결부재의 라인을 따라서 시트 에지의 손상이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중인 피복 시트에는 내부적으로 또는 외부적으로 스트레스가 가해질 수 있는데 이는 종래의 피복 시스템의 강도, 비바람에 대한 견딤 특성, 또는 내구성을 손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복 시트에는 서브-프레임이나 배튼 자체의 열팽창 또는 열수축에 의해 또는 윈드 로딩에 의해 외부 스트레스가 가해질 수 있다. 내부 스트레스는 예를 들어 수분의 이동, 탄산화반응 수축 등으로 인해 섬유 보강 형성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그러한 스트레스는 너무 이른 마모, 누설 또는 시스템내 여러 부재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하나 이상의 결점을 극복하거나 실질적으로 개선하고 또는 유용한 대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돌쌓기(masonry) 또는 스틸 프레임 워크위에 클래딩 시트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로 파이버 강화 시멘트 피복 시트와 함께 사용하기 위해 발전되어 왔으며, 본원을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른 피복 재료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은 종래의 피복 시스템의 정면도 및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탑 햇 배튼의 단면도.
도 5 는 도 4 에서의 탑 햇 배튼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밀봉 스트립의 단면도.
도 6 은 본래 위치에 있는 도 4 의 탑 햇 배튼과 도 5 의 밀봉 스트립을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피복 시트 장착 시스템의 정면도.
도 8 은 피복 시트의 중간 영역이나 내부 영역을 지지하기 위해 역배향으로 배치되는 탑 햇 배튼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9 는 수직 평면에서 플랜지에서의 장착 나사의 피봇 운동을 도시하는, 도 6 의 배튼을 수직으로 단면 도시한 종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탑 햇 배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6 과 유사한 단면도.
도 11 은 도 10 의 탑 햇 배튼을 역배향으로 도시하는 도면.
넓은 의미에서 본 발명은 벽이나 프레임에 피복 시트를 장착하기 위한 배튼을 제공하며, 상기 배튼은, 중간 웨브에 의해 결합되는 한쌍의 이격된 측벽과, 상기 웨브로부터 바깥쪽으로 이격되고 상기 측벽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대응하는 장착 플랜지 쌍을 갖는 긴 채널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웨브는 벽이나 프레임에 연결되고, 플랜지는 피복 시트에 연결되며, 배튼은 사용중인 피복 시트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배튼의 선택적인 변형을 초래하도록 형상을 갖는다.
상기 변형은 통상 탄성적인(elastic) 모드이지만, 소성적(plastic)이거나 또는 이들 탄성 및 소성의 조합적인 변형일 수도 있다. 배튼의 측벽중 하나의 측벽을 변위시키는데 필요한 힘은, 통상 수분 함량의 변화로 인한 예견되는 이동이나 수축으로 인해 피복 시트에 손상을 유도하는 힘보다 작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배튼은, 미리선택된 크기, 두께 , 재료 조성, 수분 함량 및 기타 특정한 특성을 갖는 대응 피복 시트에 의해 적용될 스트레스에 따라서, 측벽이 소정량 휘어지도록 형상을 갖는다. 이런 식으로, 배튼은 각각 피복 시트 및 그 특정한 적용에 적합해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채널 부재는 U 형상, Ω형상 또는 V 형상이다. 통상적으로, 측벽들은 웨브로부터 장착 플랜지쪽으로 외향 발산(diverge)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평행하거나 내측으로 수렴될 수도 있다. 상기 측벽들은 또한 이격된 아암, 태브, 핑거 또는 손잡이(lugs)에 의해 단속적으로 천공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추가로 밀봉 스트립을 제공하는 바, 이는 사용시에 측벽 사이에 개재되는 배튼의 개방 채널부를 폐쇄한다. 또한, 양호한 실시예에서, 피복 시트는 개별적인 체결 부재에 의해 이상적으로는 자기-태핑(self-tapping) 나사 형태로 장착 플랜지에 연결된다.
통상적으로, 장착 플랜지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한 채널이 제공되는 바, 이들 채널은 피복 시트와 장착 플랜지 사이에 간극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상을 갖는다. 이 간극 공간을 통해 연장되므로써, 장착 나사는 통상 제한된 정도의 피봇 운동을 수용하도록 배치되며, 따라서 시트의 평면에서 피복 시트와 배튼 사이에두가지 치수의 제한된 정도의 상대적 측방향 변위가 가능하다. 상기 오목한 채널은 또한 배수(drainage)를 용이하게 하며 따라서 불리한 날씨 조건에서 물의 침입 방지를 보조한다.
제 2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앞서 정의되었듯이 배튼을 사용하는 벽이나 프레임에 피복 시트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각 배튼의 웨브를 벽이나 프레임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배튼을 이격 평행 관계로 배치하는 단계와, 피복 시트에 가해진 스트레스가 하나 이상의 배튼의 변형을 초래하도록 각 피복 시트의 종방향 에지를 선택된 배튼의 각 장착 플랜지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시트의 외측 에지 사이에 배치되는 배튼은 시트에 대해 중간의 내부 지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역배향으로 사용되게 되어 있다. 이 역 배향에서, 플랜지들은 통상 프레임이나 벽에 연결되며, 피복 시트는 웨브에 연결된다.
상기 웨브는 또한, 통상적으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한 채널을 구비하는바, 이 채널은 정상 배향에서는 벽이나 프레임과 웨브 사이에 간극 공간을 제공하고 역 배향에서는 피복 시트와 웨브 사이에 간극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웨브내로 연장되는 장착 나사가 전술한 방식으로 피봇 운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측벽의 휨변형에 의해 수용되는 상대적 변위와 무관하게, 역 배향에서는 피복 시트와 배튼 사이에서 또한 정상 배향에서는 벽이나 프레임과 배튼 사이에서 2차원적으로 제한된 정도의 상대적인 측방향 변위가 가능해진다.
제 3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벽이나 프레임에 피복 시트를 장착하기 위한배튼을 제공하며, 상기 배튼은, 중간 웨브에 의해 접합되는 한쌍의 이격된 측벽과, 상기 웨브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측벽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장착 플랜지를 구비하는 긴 채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웨브는 벽이나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플랜지는 체결 부재에 의해 피복 시트에 연결되고, 상기 플랜지중 적어도 하나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한 채널을 구비하며, 이 채널은 피복 시트와 배튼 사이에서의 2차원적인 제한된 정도의 상대적 측방향 변위가 체결 부재의 피봇 운동에 의해 수용되도록 피복 시트와 장착 플랜지 사이에 간극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형상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한 채널을 구비한다.
통상적으로, 양 플랜지는 각각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한 채널을 구비하며, 체결 부재는 통상 나사이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배튼의 웨브는 또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한 채널을 구비하며, 이 채널은 마찬가지로, 각 장착 나사의 피봇 운동에 의해, 정상 배향에서는 배튼과 벽이나 프레임 사이에서 또는 역 배향에서는 배튼과 피복 시트 사이에서 제한된 정도의 2차원적인 측방향 변위를 허용하도록 형상을 갖는다.
내용상 명백히 달리 요구되지 않는다면, 본원의 명세서와 청구범위에 걸쳐서, "포함한다"라는 표현은 배타적인 의미와 반대되는 의미로서, 즉 "구비하지만, 그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적인 예에 의해 기술될 것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튼(100)은 중간 웨브(110)에 의해 연결되는 아암이나 측벽(120, 140)을 갖는 U자 형상의 채널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측벽들은 웨브로부터 외측으로 발산되며, 그 자유 에지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대응 플랜지(125, 145)에서 종료된다. 이들 플랜지는 후술하듯이 피복 시트에 연결되게 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측벽은 평행하거나, 수렴형태이거나, 곡선형이거나, V자형이거나, Ω형이거나 또는 다른 적절한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에 도시되어 있듯이, 착탈가능한 밀봉 스트립(200)은 채널의 개방 섹션(160)을 가로질러 연장되고 이를 폐쇄하게 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호 대향하는 홈(170)에는 종방향 에지(165)가 포획 및 밀봉식으로 유지된다. 이러한 웨더 밀봉 스트립(200)의 적절한 설치가 도 6 에 도시되어 있다.
도 6 은 또한 배튼(100)의 설치를 도시한다. 우선 중간 웨브 부분(110)이 벽이나 서브 프레임(50)에 밀봉되도록 연결된다. 이는 종래 기술에서 요구되는 이격된 체결부재의 이중 라인과 구별되듯이, 체결 부재(250)의 단일 라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 참조). 이러한 특징 하나만으로 실질적인 비용 및 시간 절감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그 각각의 플랜지(125, 145)를 갖는 외향 연장 측벽(120, 140)은 피복 시트(300)를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각 피복 시트의 종방향 에지(310)는 대응하는 열의 체결 나사(325)에 의해 고정된다.
도 7 에 보다 명료히 도시되어 있듯이, 배튼의 간격 및 배향은 시트 조인트의 의도된 레이아웃에 기초하고 있다. 따라서, 배튼은 각 시트 조인트에서의 인접하는 피복 시트(300) 사이에서 연장되어 이들 시트를 지지하는데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배튼과 시트는 피복되기 위해 벽을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것이다. 그러나, 배튼(100)과 시트(300) 각각 또는 둘다는 수평으로 또는 중간 경사와 같은 다른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도 7 에 도시되어 있듯이, 중간 배튼(105)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배튼(105)은 도 4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배튼(100)과 동일하지만, 시트의 내부 영역을 지지하도록 역배향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중간 배튼의 배치는 도 8 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웨브(110)는 관련 피복 시트(300)의 내부 영역에 직접 연결되며, 측벽(120, 140)은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착 플랜지(125, 145)에 의해 프레임이나 벽에 연결된다.
다른 배튼이 도 10(정상 배향)과 도 11(역배향)에 도시되어 있는 바, 여기서 대응하는 특징들은 유사한 도면부호로 표시된다. 이 배튼은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기능하지만, 단면 프로파일이 보다 Ω형상이며, 따라서 다른 변형 특성을 나타낼 것이다.
당업자에게 명백하듯이, 본 발명에 따른 배튼(100)은 도 2 에 도시된 종래의 배튼에 비해 실질적인 장점을 제공한다. 우선, 배튼은 이미 논의되었듯이 한줄의 체결부재(250)에 의해 프레임이나 벽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배튼(100)은 또한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인접하는 피복 시트상의 체결부재(325) 사이의 간격이 종래 기술에 의해 허용되는 간격보다 크게 제공한다. 체결부재(325)를 각각의 피복 시트의 에지로부터 추가로 이격시키므로써 체결부재의 라인을 따라서 시트(300)가 파괴되거나 파손될 가능성이 현저히 감소된다.
전술한 것에 더하여, 배튼(100)의 측벽(120, 140)은 시트에 가해지거나 시트에 의해 가해지는 스트레스의 결과로 인해, 피복 시트 위에서 변형하도록 형상을 갖는다. 특히, 섬유 보강 시멘트 피복 시트와 같은 피복 시트의 치수가 시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FRC 시트는 수분이나, 탄산화반응으로 인해 팽창 또는 수축할 수 있다. 피복 시트(300)가 수축할 때, 스트레스는 지지 배튼 및 프레임과의 연결을 통하여 시트의 에지(310)에 가해진다. 공지의 배튼에 의하면, 이러한 수축은 변형을 초래하고, 피복 시트(300)에 대해 그 에지나 기타 부위에서 크래킹이나 심지어는 파괴를 초래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배튼(100)이 피복 시트(300)의 변형이나 파손보다 우선하여 가해지는 스트레스와 같은 것을 생성하도록 형상화하므로써 이 문제를 해결한다. 피복 시트가 수축하면, 이에 반응하여 예를 들어 지지 배튼(100)의 측부(120, 140)가 외측으로 변형될 것이다.
유사한 변형이 외부 스트레스로부터 유발될 것이다. 예를 들어, 배튼(100)은 통상적으로 프레임이나 벽(50)의 열팽창, 윈드 로딩 등을 특정한 공차내에서 생성하며, 따라서 피복 시트를 그러한 스트레스로부터 실질적으로 격리시킨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듯이, 피복 시트(300)는 패킹이나 가스켓 등이 없이 배튼(100)에 직접 연결되기도 한다. 이는 재료 비용을 절감시키고, 노동 시간을 감소시키고, 체결 나사를 과도하게 타이트하게 하는 것에 따른 잠재적인 곤란함을 해결한다. 피복 시트를 나사조임에 의해 배튼에 연결할 때, 피복 시트가 플랜지(125, 145)상에 정방형으로 안착하면, 나사는 더 이상 조여질 필요가 없다. 이는 도 2 에 도시된 종래 기술과 대조되며, 따라서 시트와 배튼 사이에서 패킹이나, 밀봉 가스켓 등에 의한 나사 체결부재의 과도한 조임이 발생할 수 없다.
도 4 내지 도 11 에 도시된 양호한 형상들은 또한 비바람에 대한 견딤과 같은 몇가지 장점을 갖는다. 설치 도중에, 특히 도 6을 참조하면, 밀봉 스트립(200)은 초기에 배튼(100)의 숄더부에 형성된 상호 대향하는 홈(170)에 스프링 방식으로 끼워진다. 이 위치에서, 밀봉 스트립(200)은 플랜지(125, 145)를 부풀린다. 피복 시트(300)는 이후 적소에 나사로 결합되고 따라서 일차 접촉 시일(122, 142)을 제공하며 이곳에서 밀봉 스트립(200)은 각 피복 시트(300)의 뒤(back)와 접촉한다.
그러한 형상은 또한 밀봉 스트립의 어느 한 측부에 두 개의 압력 균등한 배수 채널(123)을 제공한다. 일차 접촉 시일(122, 142)을 지나 이동하는 모든 수분은 인접하는 배수 채널을 통해 배수될 수 있다. 각각의 피복 시트와 접촉하는 대응 플랜지 부분(125, 145)에 의해 추가적인 이차 접촉 시일(124, 144)쌍이 제공된다. 이들 이차 접촉 시일쌍의 사이에는 각각의 이차 배수 채널(126, 146)이 배수 채널(123, 143)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배튼(100)이 비바람에 대해 견딜 수 있는 시일을 제공하기 위해 추가적인 패킹, 가스켓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또한 이를 위해 하나의 접촉 영역에만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오히려 본 발명의 배튼은 수분이 피복 시트를 지나서 이동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그 사이에 배수 채널이 배치되는 일련의 일차 및 이차 접촉 시일을 제공한다. 상기 배튼(100)이 다양한 패킹 및 가스켓 재료의 제공 및 정렬을 요하는 도 2 에 도시된 종래 시스템 위에 보다 간단한 설치 기구를 제공하는 것도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배튼(100)이 피복 시트에 대한 체결 나사의 이동을 허용하는 능력에 관한 것이다. 도 6, 9, 10 에 가장 명료하게 도시되어 있듯이,시트 에지(310)를 따라서 위치하는 각각의 체결부재(325)는 인접하는 배튼의 플랜지 부분(125, 145)에 제공되는 오목한 홈 또는 배수 채널(126, 146)중 하나를 통해 연장된다. 이들 체결부재(325)를 피복 시트의 뒷면이 플랜지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 오목한 홈에 배치함으로써, 체결부재(325)는 경사지거나 피봇되어 시트가 배튼에 대해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어느정도 측방향 이동하는 것을 수용하는 능력을 갖는다. 따라서, 시트가 수축하면, 체결부재 나사의 외부는 시트의 중심쪽으로 견인된다. 시트가 배튼 플랜지와 직접 접촉하면 종래기술에서 처럼 나사의 현저힌 피봇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체결부재는 플랜지와의 그 접촉점 주위로 경사지거나 피봇되어, 가해지는 스트레스에 대응하여 인접하는 시트사이에서 그리고 시트와 배튼 사이에서 2차원적인 상대적 변위를 제한된 정도로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배튼의 웨브는 유사한 종방향 리세스 또는 홈(150)을 포함하며, 이는 마찬가지로 관련 체결 나사들이 관통하여 피봇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이는 특히 도 8 및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튼이 역 배향으로 중간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에 유리하지만, 정상 배향에서 배튼의 웨브를 벽이나 프레임에 체결하는 나사의 피봇운동을 가능하게 하므로써 또한 유익하다(도 6, 도 9 및 도 10 참조).
게이지 두께를 변화시키므로써, 보다 높거나 낮은 강도를 사용하므로써, 상이한 재료를 사용하므로써, 또는 단면 프로파일을 변화시키므로써, 배튼은 피복 시트에 의해 가해지거나 피복 시트에 가해질 것으로 기대되는 스트레스와 매치되도록특정하게 재단될 수 있다. 또한, 오목한 고정 홈과 배수 채널(126/146)의 형상은 배튼이 피복 시트의 추가적인 수축이나 팽창을 수용할 수 있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점에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비해 실제적이고 상업적으로 현저한 개선을 나타낸다.
본 발명이 특정한 예를 참조하여 기술되었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특히, 밀봉 스트립 및 배튼은 금속이나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임의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배튼은 필요에 따라 탄성적으로 또는 소성적으로 변형되도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Claims (44)

  1. 피복 시트를 벽이나 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한 배튼으로서,
    상기 배튼은, 중간 웨브에 의해 접합되는 한쌍의 이격된 측벽과, 상기 웨브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측벽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대응하는 장착 플랜지 쌍을 구비하는 긴 채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웨브는 벽이나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플랜지는 피복 시트에 연결되고, 상기 배튼은 사용중인 피복 시트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배튼의 변형을 초래하도록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은 실질적으로 탄성적인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소성적인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튼의 측벽중 하나를 변위시키는데 요구되는 힘은 수분 함량의 변화의 결과로 예견되는 이동이나 수축으로 인해 손상을 초래할 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도된 적용에 맞춰 재단되도록 적용될 것으로 기대되는 스트레스에 따라 측벽에 소정의 휨 변형을 유도하기 위해, 미리선택된 특성의 피복 시트에 맞게 재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U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튼.
  7.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Ω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튼.
  8.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V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웨브로부터 장착 플랜지를 향하여 외향 발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별개의 체결 부재에 의해 피복 시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자기 태핑(self tapping) 나사에 의해 피복 시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플랜지는 사용할 때에 피복 시트와 장착 플랜지의 대응 부분 사이에 간극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상을 갖는 각각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한 채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튼.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나사는, 나사와 플랜지 사이의 제한된 피봇운동을 수용하여 피복 시트의 평면에서 피복 시트와 배튼 사이에서 제한된 2차원적인 상대적인 측방향 변위를 허용하기 위해 사용시에 간극 공간을 통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튼.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채널은 불순한 일기 조건에서 배수를 용이하게 하여 물의 침입을 배제하도록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튼.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는 벽 또는 프레임과 웨브의 일부분 사이에 간극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상을 갖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한 채널을 구비하며, 상기 간극 공간은, 측벽의 변형에 의해 수용되는 상대적 변위와 무관하게, 웨브를 통해 연장되는 장착 나사의 피봇 운동을 제한된 정도만큼 수용하여 배튼과 벽 또는 프레임 사이에서의 2차원적인 상대적인 측방향 변위의 제한된 정도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튼.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튼은 판금으로 형성되며, 전체 치수, 두께 및 재료 조성은 의도하는 적용에 따라 소정의 변형 특성을 제공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튼.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중 어느 한 항의 배튼을 사용하여 벽이나 프레임에 피복 시트를 장착하는 방법으로서,
    각 배튼의 웨브를 벽이나 프레임에 체결하므로써 다수의 배튼을 이격된 평행 관계로 배치하는 단계와, 사용시에 피복 시트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하나 이상의 배튼의 변형을 초래하도록 각 피복 시트의 종방향 에지를 배튼의 각 장착 플랜지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시트 장착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각 시트의 외측 에지 사이의 중간 위치에 선택된 배튼을 배치하여 시트에 대한 내부 지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시트 장착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배튼의 적어도 일부는 역 배향으로 체결되며, 플랜지는 프레임이나 벽에 체결되고, 피복 시트는 웨브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시트 장착 방법.
  20. 제 17 항 내지 제 1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한 채널을 구비하며, 이 채널은 정상 배향에서는 벽이나 프레임과 웨브 사이에 간극 공간을 제공하고 역 배향에서는 피복 시트와 웨브 사이에 간극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시트 장착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배튼을 벽이나 프레임에 대해 그리고 피복 시트를 배튼에 대해 장착 나사로 체결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고, 상기 웨브 채널은 측벽의 휨 변형에 의해 수용되는 상대적 변위와 무관하게, 웨브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장착 나사의 피봇 운동을 제한된 만큼 수용하여, 역배향에서는 피복 시트와 배튼 사이에서 또는 정배향에서는 벽이나 프레임과 배튼 사이에서 제한된 정도의 2차원적인 상대 측방향 변위를 허용하도록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시트 장착 방법.
  22. 피복 시트를 벽이나 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한 배튼으로서,
    상기 배튼은, 중간 웨브에 의해 접합되는 한쌍의 이격된 측벽과, 상기 웨브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측벽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장착 플랜지를 구비하는 긴 채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웨브는 벽이나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플랜지는 체결 부재에 의해 피복 시트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한 채널을 구비하며, 이 채널은 피복 시트와 배튼 사이에서의 상대적인 2차원 측방향 변위의 제한된 정도가 체결 부재의 피봇 운동에의해 수용되도록 피복 시트와 장착 플랜지의 일부분 사이에 간극 공간을 제공하도록 사용시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튼.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각각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한 채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튼.
  24.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한 채널을 구비하며, 이 채널은 웨브를 통해 연장되는 체결 부재의 피봇 운동에 의해, 정상 배향에서는 배튼과 벽이나 프레임 사이에서 또는 역 배향에서는 배튼과 피복 시트 사이에서 2차원적인 측방향 변위의 제한된 정도를 허용하도록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튼.
  25. 제 22 항 내지 제 2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튼은 피복 시트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배튼의 변형을 초래하도록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튼.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은 실질적으로 탄성적인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튼.
  27.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소성적인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튼.
  28. 제 25 항 내지 제 2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튼의 측벽중 하나의 측벽을 변위시키는데 필요한 힘은 수분 함량의 변화의 결과로서 기대되는 이동이나 수축으로 인해 피복 시트에 손상을 유도하게 될 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튼.
  29. 제 25 항 내지 제 2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튼은 의도하는 적용에 맞게 재단되도록, 본래의 장소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되는 스트레스에 다라 측벽에 소정 정도의 휨 변형을 유도하기 위해, 미리선택된 특성의 피복 시트에 맞게 재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튼.
  30. 제 25 항 내지 제 2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U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튼.
  31. 제 25 항 내지 제 2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Ω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튼.
  32. 제 25 항 내지 제 2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V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튼.
  33. 제 25 항 내지 제 3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웨브로부터 장착 플랜지를 향하여 외측으로 발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튼.
  34. 제 25 항 내지 제 3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자기 태핑 나사에 의해 피복 시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튼.
  35. 제 25 항 내지 제 34 항중 어느 한 항의 배튼을 사용하여 벽이나 프레임에 피복 시트를 장착하는 방법으로서,
    각 배튼의 웨브를 체결 나사로 벽이나 프레임에 체결하므로써 다수의 배튼을 이격된 평행 관계로 배치하는 단계와, 피복 시트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체결 부재의 피봇 운동 및 피복 시트와 배튼 사이의 상대적인 측방향 변위에 의해 수용되도록 각 피복 시트의 종방향 에지를 체결 나사로 배튼의 각 장착 플랜지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시트 장착 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시트의 외측 에지 사이의 중간 위치에 선택된 배튼을 배치하여 시트에 대한 내부 지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시트 장착 방법.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배튼의 적어도 일부는 역 배향으로 체결되며,플랜지는 프레임이나 벽에 체결되고, 피복 시트는 웨브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시트 장착 방법.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한 채널을 구비하며, 이 채널은 정상 배향에서는 벽이나 프레임과 웨브 사이에 간극 공간을 제공하고 역 배향에서는 피복 시트와 웨브 사이에 간극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시트 장착 방법.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 채널은 웨브를 통해 연장되는 체결 부재의 피봇 운동을 제한된 정도 수용하여 역배향에서 피복 시트와 배턴 사이에서의 2차원적인 상대적인 측방향 변위를 제한된 정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시트 장착 방법.
  40. 제 35 항 내지 제 3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튼은 사용시에 피복 시트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배튼의 변형을 초래하도록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시트 장착 방법.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은 실질적으로 탄성적인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시트 장착 방법.
  42. 제 40 항 또는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소성적인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시트 장착 방법.
  43. 제 40 항 내지 제 4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은 주로 배튼의 측벽에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시트 장착 방법.
  44. 제 40 항 내지 제 4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튼은 하나의 측벽을 변위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수분 함량의 변화의 결과로서 본래 위치에서 기대되는 이동이나 수축으로 인해 피복 시트에 손상을 유도하게 될 힘보다 작도록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시트 장착 방법.
KR1020017013146A 1999-04-16 2000-04-14 변형가능한 빌딩 시트 배튼 KR1006969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P9803 1999-04-16
AUPP9803A AUPP980399A0 (en) 1999-04-16 1999-04-16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building sheets
PCT/AU2000/000320 WO2000063506A1 (en) 1999-04-16 2000-04-14 Deformable building sheet bat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628A true KR20020021628A (ko) 2002-03-21
KR100696906B1 KR100696906B1 (ko) 2007-03-20

Family

ID=3814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3146A KR100696906B1 (ko) 1999-04-16 2000-04-14 변형가능한 빌딩 시트 배튼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7191570B1 (ko)
EP (1) EP1185747B1 (ko)
JP (1) JP4717220B2 (ko)
KR (1) KR100696906B1 (ko)
CN (1) CN1204326C (ko)
AT (1) ATE269922T1 (ko)
AU (2) AUPP980399A0 (ko)
BR (1) BR0010678B1 (ko)
CA (1) CA2370233C (ko)
CZ (1) CZ299127B6 (ko)
DE (1) DE60011769D1 (ko)
HK (1) HK1044359B (ko)
MX (1) MXPA01010523A (ko)
NZ (1) NZ514832A (ko)
PL (1) PL351435A1 (ko)
WO (1) WO20000635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5176A (ko) * 2003-02-20 2004-08-27 주식회사 미앤지산업 내외장패널 조립용 서브프레임과 패널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9643B1 (en) 2000-02-28 2003-04-01 James Hardie Research Pty Limited Surface groove system for building sheets
AU2002250516B2 (en) 2001-04-03 2008-04-03 James Hardie Technology Limited Reinforced fiber cement article, methods of making and installing
US20050284339A1 (en) * 2001-04-03 2005-12-29 Greg Brunton Durable building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same
AUPR562201A0 (en) * 2001-06-13 2001-07-12 Bhp Steel (Jla) Pty Limited Impact absorbing canopy
GB0212734D0 (en) * 2002-05-31 2002-07-10 Lafarge Plasterboard Ltd Wall stud
US8281535B2 (en) 2002-07-16 2012-10-09 James Hardie Technology Limited Packaging prefinished fiber cement articles
EP1534511B1 (en) 2002-07-16 2012-05-30 James Hardie Technology Limited Packaging prefinished fiber cement products
US7993570B2 (en) 2002-10-07 2011-08-09 James Hardie Technology Limited Durable medium-density fibre cement composite
CN1809674B (zh) * 2003-04-24 2011-02-23 史蒂文·凯奈谢伊 成形构件及方法
NZ533948A (en) * 2004-07-06 2006-12-22 Mark Neville Biddle Spacer for suspended ceiling with body and upwardly extending flanges to locate respectively over mounting means and against sides of bearer
US7998571B2 (en) 2004-07-09 2011-08-16 James Hardie Technology Limited Composite cement article incorporating a powder coating and methods of making same
ES1062160Y (es) * 2006-02-08 2006-08-16 Frons Ventilo S A Dispositivo de fijacion de elementos de pequeño espesor en fachadas.
GB0606824D0 (en) * 2006-04-05 2006-05-17 Lechasseur Andre Cladding method and system for building
EP2010730A4 (en) 2006-04-12 2013-07-17 Hardie James Technology Ltd SURFACE-SEALED, REINFORCED BUILDING ELEMENT
AU2012100178B4 (en) * 2007-04-18 2012-06-07 Gregory Stanley Oliver A spacer
AU2009201303A1 (en) * 2008-04-03 2009-10-22 Kinetics Noise Control Vibration isolation mounting clip
JP5345680B2 (ja) * 2008-05-15 2013-11-20 サン−ゴバン パフォーマンス プラスティ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壁および天井用消音取付具およびチャンネル
FR2932829B1 (fr) * 2008-06-24 2013-11-15 Claude Darracq Dispositif tel que poteau ou poutre formant des elements porteurs d'ossature de batiments
CN102149881A (zh) * 2008-09-12 2011-08-10 优米科尔公司 使直立锁边底板位于木材或木材衍生品的载体上的保持片
US20100170181A1 (en) * 2008-09-17 2010-07-08 William Dale Nichols Protective shield assembly
US8549809B2 (en) 2009-04-07 2013-10-08 Kinetics Noise Control, Inc. Vibration isolation mounting clip
WO2011150035A2 (en) 2010-05-28 2011-12-01 The Diller Corporation Cladding system for building laminates
US8973334B2 (en) 2010-12-06 2015-03-10 Scott Croasdale System and methods for thermal isolation of components used
US8429866B2 (en) * 2010-12-06 2013-04-30 Douglas James Knight Modular system for cladding exterior walls of a structure and insulating the structure walls
US9863139B2 (en) 2011-08-01 2018-01-09 Darek Shapiro Building module, a method for making same, and a method for using same to construct a building
US9957712B1 (en) * 2011-09-01 2018-05-01 Sustainable Solutions of North Georgia LLC Purlin, roofing system, and method of building a roofing system
US8959859B2 (en) 2012-09-17 2015-02-24 Steelcase Inc. Floor-to-ceiling partition wall assembly
JP5981831B2 (ja) * 2012-10-26 2016-08-31 日鐵住金建材株式会社 外壁パネルの取付構造
JP6103882B2 (ja) * 2012-10-26 2017-03-29 日鐵住金建材株式会社 ハット形鋼
CN102912960A (zh) * 2012-11-21 2013-02-06 苏州苏明装饰有限公司 用于旧房改造的墙体装饰结构及施工方法
CA2820970C (en) 2013-03-14 2020-09-15 Douglas James Knight Improved modular system for continuously insulating exterior walls of a structure and securing exterior cladding to the structure
US9267294B2 (en) 2013-03-15 2016-02-23 Darek Shapiro Bracket, a building module, a method for making the module, and a method for using the module to construct a building
US9140007B2 (en) * 2013-04-23 2015-09-22 MOTO Extrusions, Inc. Rain screen framing system
US9140008B2 (en) * 2013-04-23 2015-09-22 MOTO Extrusions, Inc. Multi-layered cladding frame system
CN103572936B (zh) * 2013-10-26 2015-09-16 安徽省根源光大节能建材有限公司 装饰板的安装结构
GB2522694A (en) * 2014-02-03 2015-08-05 Barco Nv Positioning and alignment device for tiled displays
CA2886550A1 (en) * 2014-03-31 2015-09-30 Manfred Klein Intumescent sealing element for head-of-wall joints
JP6654356B2 (ja) * 2015-03-31 2020-02-26 ニチハ株式会社 外壁部材の防水部材
US10619353B1 (en) * 2016-01-29 2020-04-14 Metal Sales & Service, Inc. Integrated wall assembly
AU2017203636A1 (en) * 2016-05-30 2017-12-14 Weeks Holdings Pty Ltd Roof Batten
JP7315328B2 (ja) * 2016-06-30 2023-07-26 クナウフ ギプス カーゲー ばねレールを備えた乾式壁構造システム
WO2018178324A1 (en) * 2017-03-30 2018-10-04 James Hardie Technology Limited Multifunction structural furring system
CN107246116A (zh) * 2017-07-18 2017-10-13 苏州美瑞德建筑装饰有限公司 石膏玻璃纤维增强石膏造型安装结构
DE102018126669A1 (de) * 2018-10-25 2020-04-30 3A Composites Gmbh Verkleidungssystem für eine Wand, Anordnung des Verkleidungssystems und Verfahren zur Montage des Verkleidungssystems
CA3192146A1 (en) * 2020-08-27 2022-03-03 Timothy BRIGGS Building surface product including attachment clip, building surface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220136235A1 (en) * 2020-10-29 2022-05-05 Mason Industries, Inc. Wall and ceiling acoustical isolator
USD985802S1 (en) * 2021-05-24 2023-05-09 Super Stud Building Products, Inc. Isolated resilient channel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97939A (en) 1930-10-28 1935-04-16 James F Loucks Sheet metal building construction
CH368918A (de) * 1962-01-30 1963-04-30 H Ickler Oskar Platten-, insbesondere Zementasbestplatten-Fassad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US3333379A (en) 1964-02-21 1967-08-01 Nat Gypsum Co Resilient furring channel
US3421281A (en) 1965-10-04 1969-01-14 Fibreboard Corp Resilient channel member
US3606720A (en) * 1968-05-20 1971-09-21 Cookson Sheet Metal Dev Ltd Roofing and siding sheets and the like and fastening means therefor
US3708943A (en) * 1970-04-22 1973-01-09 Olin Corp Aluminum facing and roofing sheet system
US4063393A (en) * 1973-05-10 1977-12-20 Toti Andrew J Panel assembly structure and procedure for assembling same
DE2610998C3 (de) 1976-03-16 1978-11-23 Fulguritwerke Seelze Und Eichriede In Luthe Bei Hannover Adolf Oesterheld, 3050 Wunstorf Halterung zur Befestigung von Bekleidungsplatten vor einer Bauwerkswand
US4321780A (en) * 1979-07-12 1982-03-30 Atlantic Building Systems, Inc. Snap cap for architectural wall panel
DE3134973C2 (de) * 1981-01-23 1983-12-29 Veith Pirelli AG, 6128 Höchst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r flexiblen Bahn an einer Wandung
DE3210326A1 (de) 1982-03-20 1983-09-22 M.A.N. Maschinenfabrik Augsburg-Nürnberg AG, 8000 München Vorrichtung zur halterung von verkleidungsplatten
DE3232106C2 (de) 1982-08-28 1995-11-09 Bwm Duebel & Montagetech Befestigungssystem für eine vorgehängte Wand- oder Deckenverkleidung mit einer Tragschiene oder -platte
FR2540160A1 (fr) 1983-02-01 1984-08-03 Prefabrication Indle Et Dispositif d'accrochage de panneaux de facade prefabriques sur la structure d'un batiment
US4779313A (en) * 1984-07-30 1988-10-25 Voplex Corporation Retainer for molded panel
JPH042260Y2 (ko) * 1985-10-08 1992-01-27
CH678882A5 (en) * 1989-04-03 1991-11-15 Eternit Ag Facade-tile invisible mounting - comprises hat-section rails with holes engaged by holding clamps
JPH0748849Y2 (ja) * 1989-05-18 1995-11-08 松下電工株式会社 外装板の取付構造
JPH0369759A (ja) * 1989-08-07 1991-03-26 Sukemasa Umeda コーキング無しの外壁パネル貼り
AU108976S (en) * 1990-07-23 1990-09-12 Structual cladding
JP2500014Y2 (ja) * 1991-03-13 1996-06-05 三洋工業株式会社 外装パネルの取付構造
CN1068087C (zh) * 1992-11-06 2001-07-04 东陶机器株式会社 镶板连接机构
CH688323A5 (it) * 1993-02-26 1997-07-31 Bitra Ag Dispositivo di fissaggio per un rivestimento di facciata.
US5557903A (en) * 1994-08-01 1996-09-24 Haddock; Robert M. M. Mounting clip for paneled roof
JP3183199B2 (ja) * 1996-02-27 2001-07-03 三菱化学株式会社 形材枠一体パネ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5176A (ko) * 2003-02-20 2004-08-27 주식회사 미앤지산업 내외장패널 조립용 서브프레임과 패널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85747A1 (en) 2002-03-13
EP1185747A4 (en) 2003-04-09
ATE269922T1 (de) 2004-07-15
BR0010678A (pt) 2002-02-05
MXPA01010523A (es) 2002-03-14
CA2370233C (en) 2008-07-15
CA2370233A1 (en) 2000-10-26
CN1351687A (zh) 2002-05-29
BR0010678B1 (pt) 2009-01-13
CZ299127B6 (cs) 2008-04-30
US7191570B1 (en) 2007-03-20
EP1185747B1 (en) 2004-06-23
JP2002542412A (ja) 2002-12-10
PL351435A1 (en) 2003-04-22
HK1044359B (zh) 2004-12-17
AU778903B2 (en) 2004-12-23
CZ20013718A3 (cs) 2002-03-13
HK1044359A1 (en) 2002-10-18
CN1204326C (zh) 2005-06-01
DE60011769D1 (de) 2004-07-29
JP4717220B2 (ja) 2011-07-06
KR100696906B1 (ko) 2007-03-20
NZ514832A (en) 2003-06-30
AUPP980399A0 (en) 1999-05-13
AU3649200A (en) 2000-11-02
WO2000063506A1 (en) 200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6906B1 (ko) 변형가능한 빌딩 시트 배튼
US7874117B1 (en) Standing seam roof assembly
US4059933A (en) Strip for fastening and sealing sheets of construction material
US6088992A (en) Roof deck termination structure
US4597234A (en) Standing seam roof assembly
CA2563509A1 (en) Rib vent system for roofing panels
US20050005553A1 (en) Expansion and seismic joint covers
GB2137673A (en) Support structures for walls or roofs
JP2018071057A (ja) 止水部材、止水構造および止水部材の施工方法
US5704176A (en) Snap-on coping holddown
NZ540602A (en) A composite roof panel with flat external sheet, profiled internal sheet and insulating core with wedge faces at ends for adjacent panel inter-engagement
AU2003100891A4 (en) Cladding sheet mounting system
US20050016102A1 (en) Waterproof structure of building waterproof structure
JPH10245941A (ja) 屋根板の接続構造
CN111600531A (zh) 一种屋顶太阳能电板的安装装置
GB2138465A (en) Fastening strips for roof sheeting
JP2563525Y2 (ja) 止水板の取付装置
EP1209297B1 (en) Composite panels
JPS5947108B2 (ja) 外囲体
AU2006101045A4 (en) A Backing Strip
JPS60156852A (ja) 断熱嵌合外囲体
AU718964B2 (en) A stud wall frame
GB2369379A (en) Composite thermally insulating panels
JPS6073945A (ja) 断熱嵌合外囲体
GB2385335A (en) Sealing strip for a roof 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