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9470A - 액셀 페달 모듈 - Google Patents

액셀 페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9470A
KR20020019470A KR1020017016564A KR20017016564A KR20020019470A KR 20020019470 A KR20020019470 A KR 20020019470A KR 1020017016564 A KR1020017016564 A KR 1020017016564A KR 20017016564 A KR20017016564 A KR 20017016564A KR 20020019470 A KR20020019470 A KR 20020019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spring
friction member
connection portio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6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타인들잔드라
메이어디르크
휘스게스마리오
카바라덱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20019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47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4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means connecting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to propulsion uni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3Means for enhancing the operator's awareness of arrival of the controlling member at a command or datum position; Providing feel, e.g. means for creating a counterfo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28Foot operated
    • Y10T74/20534Acceler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28Foot operated
    • Y10T74/2054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구동 엔진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운전자의 발에 의해 작동되는 센서에 있어서, 운전시 편안한 기분을 얻기 위한 마찰 히스테리시스를 발생시키기 위해 하나의 마찰 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셀 페달 모듈(1)에 있어서, 페달 레버(3)의 설치는 전적으로 마찰 히스테리시스의 발생에 따라 좌우된다. 이로 인해 매우 양호한, 특히 안정적이면서 엇물림 없는 페달 레버(3)의 설치가 이루어지고, 마찰 히스테리시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인서트(10)가 특히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액셀 페달 모듈은 지동차 구동 엔진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해 제공된다.

Description

액셀 페달 모듈{Accelerator pedal module}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60-99729호(JP-A-60-99729)에는 고정 구조물에 선회 가능하도록 지지된 페달 레버 및 페달 레버의 각 위치를 검출하면서 상응하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센서 및 페달 레버를 휴지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는 액셀 페달 모듈이 공지되어 있다. 베어링 페그를 통해 페달 레버는 매우 양호하고 정확하게 그리고 엇물림 없이 자동차 차체에 고정된 고정 구조물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JP-A-60-99729호에 공지된 액셀 페달로부터 출발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페달 레버가 정확하게 지지되고, 페달 레버의 작동시 마찰 히스테리시스가 발생되도록 하는데 있으며, 상기 마찰 히스테리시스는 간단한 수단에 의해 달성되어 정확하게 규정될 수 있어야 하며, 추가로 페달 레버의 작동이 증가할 경우 상기 마찰 히스테리시스도 증가되어야 한다.
미국 특허 US 5,408,899호에는 마찰을 발생시키기 위해 다수의 스페이서가 제공되고, 복귀 스프링의 코일이 상기 스페이서 상에 지지되어 있는 페달 장치가공지되어 있다. 페달 레버의 운동시 스페이서와 복귀 스프링 사이에 상대 운동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스페이서와 베어링 페그 사이의 마찰 및 아래로 나란히 배치된 스페이서 사이의 마찰, 그리고 스페이서와 복귀 스프링 사이의 마찰도 발생한다. 이러한 매우 복잡한 구조에 있어서, 마찰은 부품의 치수 공차에 따라 매우 크게 좌우된다는 단점을 가지며, 추가 단점으로서 스페이서와 복귀 스프링 사이의 마찰을 들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로 인해 안전성에 관련된 부품인 복귀 스프링이 오랜 기간 사용될 경우 매우 쉽게 고장날 수 있기 때문이다. 추가 단점은 마찰이 복귀력과 직접적인 관계를 가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국제 공개 공보 WO 97/12780호에는 페달 레버에 상대적으로 큰 반지름을 가진 세미써클(semicircle)이 제공되는 액셀 페달 모듈이 공지되어 있고, 고정 구조물은 그 내에 페달 레버의 세미써클이 지지되어 있는 베어링 셸을 포함한다. 상기 세미써클 및 베어링 셸의 반지름은 원하는 마찰을 달성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커야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단점은 페달 레버의 지지와 원하는 마찰의 발생이 동일한 위치에서 직접 발생한다는 점이다. 상기 세미써클과 베어링 셸 사이에 제공된 마찰면은 마찰력의 발생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페달 레버의 지지를 위해서도 사용되기 때문에, 마찰면의 형태 정확성 및 표면질 및 동심성이 상당히 요구되어야 한다. 다른 말로 하면, 지지 위치는 페달 레버의 베어링뿐만 아니라, 마찰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도 사용되기 때문에, 구조적인 구현시 지지 측면뿐만 아니라 마찰 측면도 고려되어야 한다. 이로 인해 절충안이 받아들여져야 하고, 그 결과로 전체 구조는 대략 불안정해지고, 페달 레버가 특별히 정확하게 지지되지는 않으며, 이것은 전기 신호의 발생시 해상도가 높을 경우에 확인될 수 있다. 또한 공지된 액셀 페달 모듈의 제조 비용은 상당히 높다.
독일 공개 공보 DE 44 26 549 A1호에 페달 레버가 마찰 라이닝이 제공된 2 개의 짧은 셸 아치 내에 지지되어 있는 액셀 페달 모듈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셸 아치는 충분한 마찰을 달성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큰 지름을 가진다. 상기 셸 아치의 지름이 크고, 상기 셸 아치가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이러한 페달 레버의 지지 상태에서 페달 레버의 지지가 상당히 불안정하다는 것이 확인되어야 한다. 이 때문에 이러한 액셀 페달 모듈에서는 정확한 전기 신호가 고려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의 대상에 따른 액셀 페달 모듈 또는 청구항 제 12항의 대상에 따른 액셀 페달 모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2는 제 1 실시예의 상세도.
도 3은 제 1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4는 제 2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5는 제 2 실시예의 상세도.
도 6은 제 2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도 7은 제 3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도 8은 제 4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도 9는 제 5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10은 페달 레버의 작동 거리(s)에 따른 작동력의 종속 관계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
이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청구항 제 1항의 특징 또는 청구항 제 12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액셀 페달 모듈은 적은 비용으로 페달 레버의 정확한 지지가 고정 구조물에서 달성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며, 페달 레버의 작동된 회전각에 따라 좌우되는 마찰력이 달성될 수 있다. 페달 레버의 지지 및 마찰력의 발생이 서로 무관한 수단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점은 매우 바람직하다. 페달 레버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 및 마찰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은 각각 그 자체로 또는 각각의 목적을 위해 최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정확성에 대한 높은 척도가 페달 레버의 지지시 달성될 수 있다. 페달 레버의 정확한 지지는 페달 레버의 위치를 제공하는 정확한 전기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종속항에서 구현된 조치에 의해 주 청구항에서 제시된 액셀 페달 모듈의 바람직한 개선예 및 개선 사항이 가능하다.
2 개의 마찰면과 2 개의 마찰 부재가 제공되면, 이것은 페달 레버의 베어링이 지지 위치의 영역에서 실제로 반사대칭형으로 설계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되고, 이로 인해 페달 레버의 지지시 정확성이 약간 개선될 수 있다. 특히 2 개의 마찰면과 마찰 부재는 페달 레버의 종방향에서 관찰할 경우 대칭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크로스 브리지에 의해 2 개의 마찰 부재가 매우 간단하게 서로 연결될 수 있고, 복귀 스프링은 상기 크로스 브리지에 작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구조는 전체적으로 매우 간단하게 형성되고, 바람직한 방법으로 복귀 스프링의 힘이 2 개의 마찰 부재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커플링 레버에 의해 바람직한 방법으로 복귀 스프링의 힘이 마찰 부재에 전달될 수 있다.
커플링 레버가 일체형-관절형으로 고정 구조물과 연결되면, 이것은 적은 수의 부품이 조립되어야 하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하게 선택된,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면에서 간단하게 도시되고, 하기의 설명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라 실행되는 액셀 페달 모듈(1)은 상이한 구동 엔진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엔진은 예컨대 오토(Otto) 엔진이고, 그 스로틀 밸브는 서보 엔진에 의해 조절된다. 이러한 경우 액셀 페달 모듈은 스로틀 밸브를 조절하는 서보 엔진에 공급된 전기 신호의 송출을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또한 상기 구동 엔진은 예컨대 디젤 엔진 또는 전기 엔진일 수 있고, 또한 이러한 경우 상응하게 변형되어 구동 엔진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기 신호가 액셀 페달 모듈(1)로부터 출발한다.
액셀 페달 모듈(1)은 바람직하게 자동차 운전자의 작동 범위에서 자동차의 차량 부분에 직접 고정된다. 액셀 페달 모듈(1)의 페달 레버(3)는 종종 액셀로서도 표기된다.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동일하게 작용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제공된다. 반대되는 부분이 설명되지 않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는다면, 도면 중 하나에 의해 설명되거나 도시된 부분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해당된다. 설명부에서 다른 부분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상이한 실시예의 상세도는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도 1,2 및 3은 바람직하게 선택된, 매우 바람직한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은 액셀 페달 모듈(1)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절단면 및 주시 방향은 도 3에서 I-I로 표시된다. 도 2는 액셀 페달 모듈(1) 내에 조립되기 이전의 액셀 페달 모듈(1)의 브레이크 인서트(10)를 도시한다. 도 3은 액셀 페달 모듈(1)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절단면 및 주시 방향은 도 1에서 III-III으로 표시된다.
액셀 페달 모듈(1)은 고정 구조물(2) 및 페달 레버(3)를 포함한다. 고정 구조물(2)은 하우징 형태로 형성된다. 고정 구조물(2)은 기저면(2a), 후면(2b), 상부면(2c), 제 1 측벽(2d), 제 2 측벽(2e) 및 개구(2f)를 포함한다. 페달 레버(3)는 런닝 플레이트(running plate)(3a), 섕크(3b) 및 지지 영역(3c)을 포함한다. 페달 레버(3)의 종방향에 대해 횡으로 지지 영역(3c)의 측면에 제 1 프로젝션(3d) 및 제 2 프로젝션(3e)이 지지 영역(3c)에 걸쳐 있다. 페달 레버(3)의 지지 영역(3c)에는 보어(3g)가 존재한다; 그리고 하우징 보어(2g)가 고정 구조물(2)의 측벽(2d,2e)을 통해 연장된다. 고정 구조물(2)의 하우징 보어(2g) 및 페달 레버(3)의 보어(3g) 내로 베어링 페그(6)가 삽입된다. 베어링 페그(6)는 프레싱에 의해 페달 레버(3)의 보어(3g) 내에 조립되고, 더 가벼운 프레싱에 의해 고정 구조물(2)의 제 1 측벽(2d) 및 제 2 측벽(2e) 내에 조립된다. 베어링 페그(6)에 의해페달 레버(3)가 흔들림 없이 세밀하고 정확하게 고정 구조물(2)에 선회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것이 보장된다.
고정 구조물(2)은 자동차의 차체 부분(8)에 고정된다. 페달 레버(3)의 지지 영역(3c)은 하우징 형태의 고정 구조물(2)의 내부에 위치한다. 페달 레버(3)의 섕크(3b)는 개구(2f)를 통해 고정 구조물(2)로부터 돌출한다. 섕크(3b)의 이격된 단부에는 런닝 플레이트(3a)가 위치한다.
액셀 페달 모듈(1)에 브레이크 인서트(10)가 제공된다. 브레이크 인서트(10)는 도 2에서 경사진 측면도로서 별도로 도시된다.
도 1,2 및 3을 위해 선택된 실시예에서 브레이크 인서트(10)는 실제로 제 1 마찰 부재(11) 및 제 2 마찰 부재(12) 및 크로스 브리지(14)로 이루어진다. 마찰 부재(11)는 기저면 측의 연결 부분(11a), 마찰 영역(11b) 및 스프링측 연결 부분(11c)을 포함한다. 마찰 영역(11b)은 양 연결 부분(11a 및 11c) 사이 구간의 대략 1/2 지점에 위치한다. 제 2 마찰 부재(12)는 마찰 부재(11)에 대해 반사 대칭으로 형성되고, 마찰 부재(11)에 대해 평행하게 작용한다. 제 2 마찰 부재(12)는 기저면 측의 연결 부분(12a), 마찰 영역(12b) 및 스프링 측 연결 부분(12c)을 포함한다, 제 2 마찰 영역(12b)은 양 연결 부분(12a 및 12c) 사이 구간의 대략 1/2 지점에 위치한다. 크로스 브리지(14)는 마찰 부재(11)의 스프링측 연결 부분(11c)을 제 1 마찰 부재(12)의 스프링측 연결 부분(12c)에 연결시킨다. 양 마찰 부재(11,12)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크로스 브리지(14)에 팩 보어 형태로 형성된 스프링 연결 부분(16)이 제공된다. 크로스 브리지(14)는 스프링측 연결부분(11c)을 스프링측 연결 부분(12c)과 연결시킨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2 및 3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마찰 부재(11,12) 및 크로스 브리지(14)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인서트(10)는 일체로 형성된다. 완전한 브레이크 인서트(10)는 공동으로 사출 성형에 의해 함께 제조될 수 있다.
고정 구조물(2)에는 페달 레버(3)의 반대편에 있는 고정면(18)이 제공된다.
페달 레버(3)의 프로젝션(3d)에는 베어링 페그(6)와 실질적으로 동심으로 형성된 마찰면(21)이 제공된다; 그리고 페달 레버(3)의 제 2 프로젝션(3e)에는 베어링 페그(6)와 실질적으로 동심으로 형성된 제 2 마찰면(22)이 제공된다.
마찰 부재(11)의 기저면 측 연결 부분(11a)은 고정 구조물(2)의 고정면(18)에 고정된다. 다른 말로 하면, 기저면 측 연결 부분(11a) 및 고정면(18)은 마찰 부재(11)가 고정 구조물(2)에 걸려서 상기 고정 구조물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페달 레버(3)의 마찰면(21)은 고정 구조물(2)의 기저면(2a)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향한다. 마찰 부재(11)의 마찰 영역(11b)은 페달 레버(3)의 마찰면(21)에 인접한다. 기저면 측 연결 부분(11a) 및 스프링측 연결 부분(11c)은 마찰면(21)을 돌출한다. 마찰면(21) 및 마찰 영역(11b)은 기저면 측 연결 부분(11a)과 스프링측 연결 부분(11c) 사이에 위치한다.
페달 레버(3)는 작동되지 않는 휴지 위치(R)와 완전하게 작동되는 최종 위치(E) 사이에서 조절될 수 있다. 페달 레버(3)는 그의 휴지 위치(R)에서 도시된다. 페달 레버(3)가 그의 최종 위치(E)에 있을 경우, 추가로 도 1에서는 페달 레버(3)의 개별적인 영역이 파선으로 도시된다.
액셀 페달 모듈(1)은 복귀 스프링(24)을 포함한다. 복귀 스프링(24)은 페달 레버(3)에 고정시키는 제 1 작동면(24a) 및 2 개의 마찰 부재(11 또는 12)의 스프링측 연결 부분(11c) 및 스프링측 연결 부분(12c)에 고정된 제 2 작동면(24b)을 가진다. 페달 레버(3)에 스프링 연결 부분(26)이 제공된다. 스프링 연결 부분(26)은 팩 보어 형태로 구현되므로, 복귀 스프링(24)의 제 1 부분을 수용하고, 복귀 스프링(24)을 가이드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형성된다. 스프링 연결 부분(16 및 26)의 2 개의 팩 보어는 실제로 서로 일직선상에 놓인다. 복귀 스프링(24)은 나사 형태로 감긴 가압 스프링의 형태를 가진다. 또한 복귀 스프링(24)은 다수의 평행하게 나란히 작용하는 개별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작동면(24a)은 스프링 연결 부분(26)의 팩 보어 내부에 위치하고, 복귀 스프링(24)의 제 2 작동면(24b)은 스프링 연결 부분(16)의 팩 보어 내부에 위치한다.
복귀 스프링(24)은 페달 레버(3)를 작동되지 않는 그의 휴지 위치(R)로 가압한다.
복귀 스프링(24)의 제 2 작동면(24b)은 크로스 브리지(14) 및 스프링측 연결 부분(11c)을 통해 마찰 부재(11)의 마찰 영역(11b)을 페달 레버(3)에 제공된 마찰면(21)에 대해 가압한다. 고정 구조물(2)의 고정면(18)은 실제로 복귀 스프링(24)을 스프링측 연결 부분(11c)에 작용시키는 힘과 동일한 크기의 힘을 가진 마찰 부재(11)의 기저면 측 연결 부분(11a)을 고정시킨다. 기저면 측 연결 부분(11a)을 통해 마찰 부재(11)에 작용하는 힘 및 스프링측 연결 부분(11c)을 통해 작용하는 힘은 벡터로 가산되는 마찰 부재(11)의 마찰 영역(11b)을 페달 레버(3)의마찰면(21)에 대해 가압시키는 힘으로 산출된다. 브레이크 인서트(10)의 마찰 영역(11b)을 페달 레버(3)의 마찰면(21)에 대해 가압시키는 힘에 의해, 페달 레버(3)의 작동시 페달 레버(3)의 운동에 대항하는 마찰력이 발생된다.
도 10에는 작동 거리(s)에 좌우되는 작동력(F)이 도시된다. 작동력(F)은 페달 레버(3)가 작동되는 동안 런닝 플레이트(3a)에 작용하는 힘이다. 페달 레버(3)가 휴지 위치(R)로부터 최종 위치(E)로 작동할 경우, 작동력(F)은 실제로 페달 레버(3)가 작동되는 최종 위치(E)로부터 휴지 위치(R)로 복귀 작동될 경우 나타나는 작동력(F)보다 크다. 도 10에서 경사져서 진행되는 상부 라인은 페달 레버(3)가 휴지 위치(R)로부터 최종 위치(E)로 작동할 경우의 작동력(F)을 도시하고, 경사져서 진행되는 하부 라인은 페달 레버(3)가 최종 위치(E)로부터 휴지 위치(R)로 작동하는 동안의 작동력(F)을 도시한다.
휴지 위치(R)의 영역에서 복귀 스프링(24)은 덜 긴장되기 때문에, 또한 이 때문에 복귀 스프링(24)에 의해 제공된 힘은 페달 레버(3)가 작동된 최종 위치(E)에 있는 동안 복귀 스프링(24)에 의해 제공된 힘보다 작기 때문에, 페달 레버(3)가 휴지 위치(R)에 있을 경우의 마찰력은 페달 레버(3)가 최종 위치(E)의 영역에 있을 경우보다 작다. 또한 이것은 도 10에 도시되며, 도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휴지 위치(R)의 영역에서 경사져서 진행되는 상부 라인과 경사져서 진행되는 하부 라인 사이의 간격은 작동된 최종 위치(E) 영역에서보다 확실히 작다. 이것은 페달 레버(3)의 작동시 운전자 발을 위해 원하는, 특히 편안한 기분을 발생시킨다.
브레이크 인서트(10)는 제 2 마찰 부재(12)의 영역에서 마찰 부재(11)의 영역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되고, 제 2 마찰 부재(12)는 마찰 부재(11)와 동일한 방식으로 페달 레버(3)에 작용한다.
고정 구조물(2)에 하나의 센서(28)가 제공된다. 센서(28)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 레버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 레버의 운동은 페달 레버(3)의 운동에 연결된다. 상기 센서 레벨 또는 페달 레버(3)의 조절에 따라, 센서(28)는 도시되지 않은 전기 라인을 통해 전기 신호를 도시되지 않은 전기 제어 장치에 제공한다. 전기 제어 장치는 다시 예컨대 도시되지 않은 스로틀 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스로틀 밸브에 의해 구동 엔진의 출력이 제어될 수 있다. 센서(28)와 페달 레버(3) 사이의 연결은 예컨대 WO 97/12780호에서 상세하게 기술되고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마찰 부재(11)는 적어도 그의 중간 영역에서, 즉 마찰 영역(11b)에서 완전히 휨으로써, 마찰 영역(11b)은 복귀 스프링(24)의 힘에 의해 양호하게 마찰면(21)에 밀착된다. 이것은 마찰면(21)의 형태의 정확성 및 동심성이 아주 적게 요구되어야 한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마찰 부재(11)의 제조 및 형태 정확성도 아주 적게 요구될 수 있다. 이것은 마찰면(21 및 22)이 매우 적은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마찰 부재(11 및 12)는 매우 간단하고, 매우 간단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 때문에, 페달 레버(3)와 브레이크 인서트(10)는 복잡하지 않은 방법에 의해, 예컨대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마찰면(21 및 22)의 후처리와 또한 마찰 부재(11 및 12)의 후처리가 요구되지 않는다.
도 3,4,5 및 6은 바람직하게 선택된 매우 바람직한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에서도 적용된다. 도 3에 도시된 절단면은 도 4에서도 III-III 으로 표시된다. 도 4는 액셀 페달 모듈(1)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절단면은 도 3에서 I-I로, 도 6에서는 IV-IV로 표시된다. 도 5는 제 2 실시예의 브레이크 인서트(10)를 상세도로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절단면 및 주시 방향은 도 4에서 VI-VI로 표시된다.
도 2에 도시된 브레이크 인서트(10)와는 달리 도 5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의브레이크 인서트(10)는 일체형이 아니고, 브레이크 인서트(10)는 마찰 부재(11), 제 2 마찰 부재(12)와 크로스 브리지(14)로 조합되어 이루어진다.
기저면 측 연결 부분(11a 및 11b)의 영역에서 브레이크 인서트(10)는 제 2 실시예에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고정 구조물(2)에 연결된다.
제 2 실시예에서 크로스 브리지(14)에 계단식으로 구현된 관통 개구(14a) 및 마찬가지로 계단식으로 구현된 관통 개구(14b)가 존재한다. 관통 개구(14a)의 곡선에 고정면(30)이 존재한다. 고정면(30)은 페달 레버(3)의 반대편에 있다. 마찰 부재(11)의 스프링측 연결 부분(11c)은 갈고리형으로 구현된다. 연결 부분(11c)은 약한 프레싱에 의해 관통 개구(14a)내로 가압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스프링측 연결 부분(11c)이 다시 관통 개구(14a)로부터 돌출되는 것은 실제로 불가능하며, 그 이유는 이 경우 갈고리 형태의 스프링측 연결 부분(11c)이 크로스 브리지(14)에 제공된 고정면(30)에 지지되기 때문이다. 제 2 마찰 부재(12)는 마찰 부재(11)와 동일한 방식으로 크로스 브리지(14)에 연결된다.
브레이크 인서트(10)는 매우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는 마찰 부재(11,12)와 크로스 브리지(14)가 간단한 핀으로 고정됨으로써 조합될 수 있다.
도 7은 바람직하게 선택된, 매우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절단면은 대략 제 2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절단면에 상응한다. 도 7에 도시된 상세도는 실제로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의해 설명된 상세도에 상응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플링 레버(33)가 고정 구조물(2)에 일체로 형성된다. 커플링 레버(33)는 고정 구조물(2)과 함께 공동으로 주조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커플링 레버(33)는 매우 좁은 영역에서만 고정 구조물(2)과 연결된다. 이로 인해 좁은 영역에서 커플링 레버(33)와 고정 구조물(2) 사이의 일체형-관절형 연결부(35)가 형성된다. 관절형 연결부(35)는 커플링 레버(33)의 단부, 그리고 커플링 레버(33)의 마주 놓인 단부에 위치하고, 커플링 레버(33)에는 관통 개구(14a)가 제공된다. 연결부(35)는 커플링 레버(33)와 고정 구조물(2) 사이의 힌지로서 사용된다. 특히 도 5에 의해 제 2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커플링 레버(33)의 관통 개구(14a)내에 마찰 부재(11)의 스프링측 연결 부분(11c)이 인서팅된다.
스프링 연결 부분(16)은 커플링 레버(23)에 제공된다. 복귀 스프링(24)은 스프링 연결 부분(16)을 통해 커플링 레버(33)에 작용하고, 커플링 레버(33) 및 스프링측 연결 부분(11c)을 통해 마찰 부재(11)에 작용한다. 이로 인해 복귀스프링(24)은 제 3 실시예에서도 마찰 부재(11)의 마찰 영역을 페달 레버(3)에 제공된 마찰면(21)에 대항해 가압한다.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그리고 제 2 실시예와는 달리 제 3 실시예에서는 제 2 마찰 부재(12)가 생략된다. 이로 인해 제 3 실시예에서는 더 적은 수의 부품이 제조되어 조립되어야 한다.
제 3 실시예에서는 제 2 마찰 부재(12)가 생략되기 때문에, 페달 레버(3)에서는 제 2 마찰면(22)과 제 2 프로젝션(3e)도 생략될 수 있다.
도 8은 바람직하게 선택된, 매우 바람직한 제 4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일체형-관절형 연결부가 커플링 레버(33)와 고정 구조물(2) 사이에 제공되지 않고, 일체형-관절형 연결부(35)는 커플링 레버(33)와 마찰 부재(11)의 스프링측 연결 부분(11c) 사이에 위치한다. 이것은 마찰 부재(11) 및 커플링 레버(33)가 공동으로 주조 기술 또는 사출 성형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커플링 레버(33)는 연결부(35)의 반대편에 있는 커플링 레버(33)의 단부에서 연결(피버팅) 베어링(37)을 통해 고정 구조물(2)의 기저면(2a)에 지지된다. 이로 인해 복귀 스프링(24)의 제 2 작용면(24b)으로부터 커플링 레버(33)에 작용하는 힘이 커플링 레버(33)를 통해, 그리고 일체형-관절형 연결부(35)를 통해 마찰 부재(11)로 전달되고, 마찰 부재(11)로부터 페달 레버(3)의 마찰면(21)으로 전달되는 것이 보장된다.
도 9는 바람직하게 선택된, 매우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8에서 예시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마찰 부재(11) 및 경우에 따라서는 제 2 마찰 부재(12)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인서트(10)가 고정 구조물(2)에 할당된다. 이에 상응하게 마찰면(21)은 페달 레버(3)에 할당된다. 페달 레버(2)의 작동시 브레이크 인서트(10)의 마찰 부재(11,12)는 정지되고, 페달 레버(3)에 할당된 마찰면(21)은 브레이크 인서트(10)의 정지된 마찰 영역(11b.12b)을 따라 운동한다. 이와는 달리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마찰면(21) 및 경우에 따라 추가 마찰면(22)은 고정 구조물(2)에 할당된다. 따라서 마찰면(21) 및 경우에 따라 추가 마찰면(22)은 페달 레버(3)가 작동할 경우에도 정지한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마찰 부재(11) 및 경우에 따라서는 추가 마찰 부재(12)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인서트(10)가 페달 레버(3)에 할당된다. 페달 레버(3)가 운동할 경우 마찰 부재(11) 및 경우에 따라서는 추가 마찰 부재(12)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인서트(10)가 페달 레버(3)와 함께 운동된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복귀 스프링(24)의 제 1 작동면(24a)은 정지된 고정 구조물(2)로 가압되고, 복귀 스프링(24)의 제 2 작동면(24b)은 브레이크 인서트(10)의 크로스 브리지(14)로 가압되므로, 페달 레버(3)의 작동시 운동되는 마찰 부재(11)의 마찰 영역(11b)으로 고정된 마찰면(21)에 대항해 가압된다. 복귀 스프링(24)의 제 2 작동면(24b)은 크로스 브리지(14), 마찰 부재(11) 및 페달 레버(3)에 인접한 마찰 부재(11)의 연결 부분(11a)을 통해, 페달 레버(3)를 그의 휴지 위치(R)로 이동시키려는 노력에 의해 페달 레버(3)에 작용한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8 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브레이크 인서트(10), 그리고 마찰 부재(11 및 12), 및 마찰면(22)의 할당이 교환된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마찰 부재(11 및 12)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인서트(10)는 고정 구조물(2)에 할당되지 않고, 페달 레버(3)에 할당된다. 그리고 마찰면(21)은 페달 레버(3)에 할당되지 않고, 고정 구조물(2)에 할당된다. 모든 다른 세부 사항은 선택적으로 도 1 내지 8 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의해 상응하게 매칭되어 구현될 수 있다. 불필요한 반복을 방지하기 위해, 도 9에 도시되지 않은 상세도 때문에 도 1 내지 8이 참조된다.
선택된, 도 1 내지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베어링 페그(6)가 고정 구조물(2)의 하우징 보어(2g) 내에, 그리고 페달 레버(3)의 보어(3g) 내에 지지된다. 그러나 또한 베어링 페그(6)를 페달 레버(3)에 직접 측면으로 돌출하도록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보어(3g)가 생략된다. 이 외에도 베어링 페그(6)를 직접 고정 구조물(2)에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하우징 보어(2g)가 생략된다.
도 1 내지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마찰 부재(11,12)가 기저면 측에 있는 연결 부분(11a, 11b)에서 고정 구조물(2)에 클립핑된다. 또한 마찰 부재(11,12)가 기저면 측에 있는 연결 부분(11a, 11b)에서 일체형으로 고정 구조물(2)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상응하게 해당된다. 여기서 예컨대 마찰 부재(11)는 그의 기저면 측에 있는 연결 부분(11a)에서 일체형으로 페달 레버(3)에 형성될 수 있다.

Claims (14)

  1. 베어링 페그(6)를 통해 고정 구조물(2)에 선회 가능하도록 지지된 페달 레버(3)와, 상기 페달 레버(3)의 각 위치를 검출하고 상응하는 전기 신호를 제어 장치에 전달하는 센서(28)와, 제 1 작동면(24a) 및 제 2 작동면(24b)을 가진 복귀 스프링(24)을 포함하고, 상기 복귀 스프링(24)의 제 1 작동면(24a)이 상기 페달 레버(3)를 휴지 위치(R)로 복귀시키기 위해 상기 페달 레버(3)에 작용되는 지동차 구동 엔진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액셀 페달 모듈에 있어서,
    상기 페달 레버(3)에는 상기 베어링 페그(6)와 실질적으로 동심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마찰면(21)과, 상기 마찰면(21)에 인접된 적어도 하나의 마찰 부재(10,11,12)가 제공되고, 상기 마찰 부재(10,11,12)는 기저면 측 연결 부분(11a,12a)과 스프링 측 연결 부분(11c,12c)을 포함하고, 상기 마찰면(21)은 상기 기저면 측 연결 부분(11a,12a)과 스프링 측 연결 부분(11c,12c)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기저면 측 연결 부분(11a,12a)은 상기 고정 구조물(2)에 연결되고, 상기 복귀 스프링(24)의 제 2 작동면(24b)은 상기 마찰 부재(10,11,12)의 스프링 측 연결 부분(11c,12c)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 페달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레버(3)에 상기 베어링 페그(6)와 실질적으로 동심으로 형성된 제 2 마찰면(22)이 제공되고, 상기 액셀 페달 모듈(1)은 기저면 측 연결 부분(12a)과 스프링 측 연결 부분(12c)을 가진, 상기 제 2 마찰면(22)에인접한 제 2 마찰 부재(12)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마찰면(22)은 상기 제 2 마찰 부재(12)의 기저면 측 연결 부분(12a)과 스프링 측 연결 부분(12c)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복귀 스프링(24)의 제 2 작동면(24b)은 상기 제 2 마찰 부재(12)의 스프링 측 연결 부분(12c)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 페달 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제 1 마찰 부재(11)의 스프링 측 연결 부분(11c)과 제 2 마찰 부재(12)의 스프링 측 연결 부분(12c)은 크로스 브리지(14)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 페달 모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브리지(14)는 상기 제 1 마찰 부재(11)와 상기 제 2 마찰 부재(12)와 함께 일체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 페달 모듈.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브리지(14) 및 상기 제 1 마찰 부재(11)와 상기 제 2 마찰 부재(12)는 다수의 조립된 개별 부품(10,11,12,1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 페달 모듈.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브리지(14)는 적어도 하나의 마찰 부재(11)와 관절형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 페달 모듈.
  7. 제 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스프링(24)은 상기 크로스 브리지(14)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 페달 모듈.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스프링(24)은 상기 고정 구조물에 지지되는 커플링 레버(33)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마찰 부재(11)의 스프링 측 연결 부분(11c)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 페달 모듈.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레버(33)는 일체형-관절형 연결부(35)를 통해 고정 구조물(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 페달 모듈.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레버(33)는 상기 일체형-관절형 연결부(35)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마찰 부재(11)의 스프링 측 연결 부분(11c)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 페달 모듈.
  11.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레버(33)는 적어도 하나의 마찰 부재(11)의 스프링 측 연결 부분(11c)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 페달 모듈.
  12. 베어링 페그(6)를 통해 고정 구조물(2)에 선회 가능하도록 지지된 페달 레버(3)와, 상기 페달 레버(3)의 각 위치를 검출하고 상응하는 전기 신호를 제어장치에 전달하는 센서(28)와, 제 1 작동면(24a) 및 제 2 작동면(24b)을 가진 복귀 스프링(24)을 포함하고, 상기 복귀 스프링(24)의 제 1 작동면(24a)은 상기 페달 레버(3)를 휴지 위치(R)로 복귀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 구조물(2)에 작용하는 지동차 구동 엔진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액셀 페달 모듈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조물(2)에는 상기 베어링 페그(6)와 실질적으로 동심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마찰면(21)과, 상기 마찰면(21)에 인접된 적어도 하나의 마찰 부재(10,11,12)가 제공되고, 상기 마찰 부재(10,11,12)는 기저면 측 연결 부분(11a,12a)과 스프링 측 연결 부분(11c,12c)을 포함하고, 상기 마찰면(21)은 상기 기저면 측 연결 부분(11a,12a)과 스프링 측 연결 부분(11c,12c)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기저면 측 연결 부분(11a,12a)은 상기 고정 구조물(2)에 연결되고, 상기 복귀 스프링(24)의 제 2 작동면(24b)은 상기 마찰 부재(10,11,12)의 스프링 측 연결 부분(11c,12c)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 페달 모듈.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조물(2)에 상기 베어링 페그(6)와 실질적으로 동심으로 형성된 제 2 마찰면(22)이 제공되고, 상기 액셀 페달 모듈(1)은 기저면 측 연결 부분(12a)과 스프링 측 연결 부분(12c)을 가진, 상기 제 2 마찰면(22)에 인접한 제 2 마찰 부재(12)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마찰면(22)은 상기 제 2 마찰 부재(12)의 기저면 측 연결 부분(12a)과 스프링 측 연결 부분(12c)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복귀 스프링(24)의 제 2 작동면(24b)은 상기 제 2 마찰 부재(12)의 스프링 측 연결 부분(12c)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 페달 모듈.
  14. 제 13항에 있어서, 제 1 마찰 부재(11)의 스프링 측 연결 부분(11c)과 제 2 마찰 부재(12)의 스프링 측 연결 부분(12c)은 크로스 브리지(14)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 페달 모듈.
KR1020017016564A 2000-04-26 2001-04-25 액셀 페달 모듈 KR200200194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20486A DE10020486A1 (de) 2000-04-26 2000-04-26 Fahrpedalmodul
DE10020486.4 2000-04-26
PCT/DE2001/001575 WO2001081110A1 (de) 2000-04-26 2001-04-25 Fahrpedalmodu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470A true KR20020019470A (ko) 2002-03-12

Family

ID=7640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6564A KR20020019470A (ko) 2000-04-26 2001-04-25 액셀 페달 모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834564B2 (ko)
EP (1) EP1278647B1 (ko)
JP (1) JP2003531058A (ko)
KR (1) KR20020019470A (ko)
CN (1) CN1280123C (ko)
BR (1) BR0106096A (ko)
CZ (1) CZ297226B6 (ko)
DE (2) DE10020486A1 (ko)
WO (1) WO20010811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863B1 (ko) * 2002-10-04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답력 조절 기능을 갖춘 전자식 가속 페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6619B1 (en) 1998-12-09 2002-07-30 Cts Corporation Pedal with integrated position sensor
JP4724340B2 (ja) * 1999-09-14 2011-07-13 株式会社ミクニ アクセルペダル装置
JP4743948B2 (ja) * 2000-10-10 2011-08-10 株式会社ミクニ アクセルペダル装置
DE10212904A1 (de) * 2001-03-23 2002-10-24 Aisin Seiki Beschleunigerpedalvorrichtung
DE10218627A1 (de) * 2002-04-25 2003-11-06 Siemens Ag Fahrpedaleinheit
JP2004009821A (ja) * 2002-06-05 2004-01-15 Aisan Ind Co Ltd アクセル装置
US6860170B2 (en) * 2002-09-09 2005-03-01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Electronic throttle control hysteresis mechanism
CN1826568B (zh) * 2003-05-29 2010-11-03 Cts公司 用于机动车辆的加速踏板
US8042430B2 (en) 2004-05-27 2011-10-25 Cts Corporation Accelerator pedal for a vehicle
KR100605009B1 (ko) * 2004-12-27 2006-07-2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차량용 공용 페달 장치
EP1875157A4 (en) * 2005-01-18 2010-06-23 Teleflex Inc RETROGRADATION MECHANISM FOR A PEDAL AND MECHANISM FOR FIXING A PEDAL
US7992575B2 (en) * 2005-02-28 2011-08-09 U.S. Smokeless Tobacco Company Use of chlorate, sulfur or ozone to reduce tobacco specific nitrosamines
US7793566B2 (en) * 2005-10-31 2010-09-14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Company, Division Of Jsj Corporation Pedal with hysteresis mechanism
US8011270B2 (en) * 2006-12-20 2011-09-06 Wabash Technologies, Inc. Integrated pedal assembly having a hysteresis mechanism
US9271524B1 (en) 2007-09-07 2016-03-01 U.S. Smokeless Tobacco Company Tobacco having reduced tobacco specific nitrosamine content
DE102008003296B4 (de) * 2008-01-05 2016-04-28 Hella Kgaa Hueck & Co. Fahrpedal
CN101508243B (zh) * 2008-12-25 2012-11-07 联合汽车电子有限公司 车用电子油门踏板
JP2010211581A (ja) * 2009-03-11 2010-09-24 Denso Corp ペダル装置
US8534157B2 (en) 2010-02-17 2013-09-17 Ksr Technologies Co. Electronic throttle control pedal assembly with hysteresis
EP2548094A1 (en) 2010-03-18 2013-01-23 CTS Corporation Accelerator pedal for a vehicle and mounting rack therefor
JP5059180B2 (ja) * 2010-09-15 2012-10-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操作ペダル組立体
DE102010062371A1 (de) 2010-12-02 2012-06-06 Robert Bosch Gmbh Pedalwertgeberanordnung
DE102010062370A1 (de) 2010-12-02 2012-06-06 Robert Bosch Gmbh Pedalwertgeberanordnung
DE102011076264A1 (de) * 2011-05-23 2012-11-29 Robert Bosch Gmbh Pedalwertgeberanordnung
DE112012004175T5 (de) 2011-10-07 2014-07-24 Cts Corporation Fahrzeugpedalanordnung mit Hystereseanordnung
DE102011087580A1 (de) * 2011-12-01 2013-06-06 Robert Bosch Gmbh Pedalwertgeberanordnung
FR2995101B1 (fr) * 2012-08-31 2014-08-29 Coutier Moulage Gen Ind Pedalier allege renforce vis-a-vis des efforts de commande decales
DE102012111315A1 (de) 2012-11-23 2014-05-28 Hella Kgaa Hueck & Co. Pedalsystem für die Erzeugung eines Kraftverlaufs mit Hysterese
DE102014210983A1 (de) * 2014-06-10 2015-12-17 Robert Bosch Gmbh Fahrpedaleinheit
CN105004294A (zh) * 2015-05-21 2015-10-28 苏州市吴中区胥口广博模具加工厂 汽车油门蹋板检测装置的中部弹簧销稳定测量机构
US10869497B2 (en) 2015-09-08 2020-12-22 R.J. Reynolds Tobacco Company High-pressure cold pasteurization of tobacco material
US9506540B1 (en) * 2015-12-29 2016-11-29 Honda Motor Co., Ltd. Pedal apparatus
DE102017207417B4 (de) * 2016-06-03 2022-08-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orrichtung zur Kraftsimulation an einem Betätigungselement eines Fahrzeugs und elektrisch betätigtes Kupplungssystem
DE102016219622B4 (de) * 2016-10-10 2019-06-1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Erkennung einer Prellbewegung eines Pedal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9729A (ja) 1983-11-04 1985-06-03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アクセル装置
US4976166A (en) * 1988-12-28 1990-12-11 Dana Corporation Electronic foot pedal
US5013930A (en) * 1989-03-29 1991-05-07 General Motors Corporation Remote control lever module
US4944269A (en) * 1989-09-18 1990-07-31 Siemens-Bendix Automotive Electronics L.P. Accelerating pedal for electronic throttle actuation system
US5233882A (en) * 1990-07-12 1993-08-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Remote control lever module
US5408899A (en) * 1993-06-14 1995-04-25 Brecom Subsidiary Corporation No. 1 Foot pedal devices for controlling engines
DE4426549C2 (de) 1994-07-27 1999-05-20 Mannesmann Vdo Ag Fahrpedal mit Sollwertgeber
DE19521821C1 (de) * 1995-06-16 1996-12-12 Hella Kg Hueck & Co Fahrpedaleinrichtung
DE19531734C2 (de) * 1995-08-29 1998-09-10 Daimler Benz Ag Trägerrahmen für eine Fahrpedaleinheit von Kraftfahrzeugen
DE19536606A1 (de) * 1995-09-30 1997-04-03 Bosch Gmbh Robert Fahrpedalmodul
DE19536699A1 (de) 1995-09-30 1997-04-03 Bosch Gmbh Robert Fahrpedalmodul
US6098971A (en) 1998-05-19 2000-08-08 General Motor Corporation Pedal module with variable hysteresis
US6186025B1 (en) * 1999-03-24 2001-02-13 Teleflex, Inc. Break away pedal
GB2349447B (en) * 1999-04-30 2003-07-09 Birkbys Plastics Ltd A control pedal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863B1 (ko) * 2002-10-04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답력 조절 기능을 갖춘 전자식 가속 페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78647B1 (de) 2004-07-07
CZ20014483A3 (cs) 2003-03-12
BR0106096A (pt) 2002-02-26
US6834564B2 (en) 2004-12-28
DE50102797D1 (de) 2004-08-12
CN1280123C (zh) 2006-10-18
DE10020486A1 (de) 2001-10-31
EP1278647A1 (de) 2003-01-29
US20030047023A1 (en) 2003-03-13
JP2003531058A (ja) 2003-10-21
WO2001081110A1 (de) 2001-11-01
CZ297226B6 (cs) 2006-10-11
CN1366496A (zh) 2002-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19470A (ko) 액셀 페달 모듈
US8042430B2 (en) Accelerator pedal for a vehicle
EP2390752B1 (en) Accelerator Pedal For A Vehicle
KR100930662B1 (ko) 차량용 전자식 가속페달의 히스테리시스 발생장치
EP0702749B1 (en) Foot pedal devices for controlling engines
US6070490A (en) Accelerator pedal module
CN1826568B (zh) 用于机动车辆的加速踏板
KR100724700B1 (ko) 차량용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
US7296494B2 (en) Accelerator pedal module
KR100319807B1 (ko) 히스테리시스-발생 구조물을 구비한 전자식 스로틀 제어장치용 페달 조립체
US20060185469A1 (en) Pedal for motorized vehicle
JP2002542109A (ja) ペダル値信号発生装置
JP2008238908A (ja) アクセルペダル装置
WO1999042715A1 (fr) Mecanisme de pedale d'accelerateur pour vehicule
JP2002347471A (ja) ヒステリシス発生構造を有する電気制御ペダル組立体
JPH1083224A (ja) 車両用アクセルペダル装置
US8281682B2 (en) Accelerator operating device
JP2003237405A (ja) アクセルペダルモジュール
JP4724382B2 (ja) アクセルペダル装置
JP2001082184A (ja) アクセル装置
JP4078826B2 (ja) ダンパ及びこのダンパを用いたアクセルペダル装置
JPH09290663A (ja) 電子式アクセルペダル構造
WO2022181327A1 (ja) ペダル装置
KR100839472B1 (ko) 가속페달 장치
JPS6092126A (ja) トランスミツシヨンの遠隔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