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8550A - 차량용 교류발전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교류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8550A
KR20020018550A KR1020010025419A KR20010025419A KR20020018550A KR 20020018550 A KR20020018550 A KR 20020018550A KR 1020010025419 A KR1020010025419 A KR 1020010025419A KR 20010025419 A KR20010025419 A KR 20010025419A KR 20020018550 A KR20020018550 A KR 20020018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connection
lead
out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5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5264B1 (ko
Inventor
다나카가즈노리
미야모토게이이치
오노우에시게루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20020018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8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2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04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rectification
    • H02K11/049Rectifiers associated with stationary parts, e.g. stator cores
    • H02K11/05Rectifiers associated with casings, enclosures or brack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8Layout of windings or of connections between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Abstract

조립공정의 자동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발열이 억제되며 냉각성이 좋아져, 신뢰성이 향상되는 차량용 교류발전기를 얻는다.
고정자(8)는 출력용 인출단부a1,a2,b1,b2,c1,c2 및 접속용 인출단부Na1,Na2, Nb1,Nb2,Nc1,Nc2를 형성하는 인출선이 다수 고정자철심(15)의 축 방향으로 대략 평행되게 인출되어 있고, 접속용 인출단부Na1,Na2,Nb1,Nb2,Nc1,Nc2는 정류장치(12)와 별개의 고정자(8)의 축 방향 측면에 배치된 중계접속부재(30)에 접속되어서 고정자권선(16)이 소정의 결선상태가 되도록 결선되며, 출력용 인출단부a1,a2,b1,b2,c1, c2로부터는 교류출력이 출력되고 정류장치(12)에 접속되어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교류발전기{VEHICLE-ONBOARD AC GENERATOR}
본 발명은 차량에 사용되는 차량용 교류발전기, 특히 그 고정자권선의 접속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도 15는 종래의 교류발전기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에서 이 발전기는 알루미늄제의 프론트브래킷(1) 및 리어브래킷(2)로 구성된 케이스(3)와, 이 케이스 (3)내에 설치되고 일단부에 풀리(4)가 고정된 샤프트(6)와, 이 샤프트(6)에 고정된 런델형의 회전자(7)와, 회전자(7)의 양측면에 고정된 팬(5)과 케이스(3)내의 내 벽면에 고정된 고정자(8)와, 샤프트(6)의 타단부에 고정되고 회전자(7)에 전류을 공급하는 슬립링(9)과 슬립링(9)에 작동하는 한 쌍의 브러시(10)와, 이 브러시(10)를 수납한 브러시 홀더(11)와 고정자(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고정자(8)에서 생긴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는 전류기(12)와, 브러시홀더(11)에 접착된 히트싱크(17)와 이 히트싱크(17)에 접착되고 고정자(8)에서 발생한 교류전압의 크기를 조정하는 레귤레이터(18)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자(7)는 전류를 흘려서 자속을 발생하는 회전자코일(13)과, 이 회전자코일(13)을 덮어서 설치되고 그 자속에 의해 자극이 형성되는 폴코어를 구비하고 있다.
이 폴코어는 한 쌍의 서로 맞물린 제 1의 폴코어체(20) 및 제 2의 폴코어체 (21)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자(8)은 고정자철심(15)과 이 고정자철심(15)에 도선이 감겨지고 회전자(7)의 회전에 따라 회전자 코일(13)로부터의 자속의 변화로 교류가 생기는 고정자권선 (16)을 구비하고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교류발전기에서는 배터리(도시않음)로부터 브러시(10), 슬립링(9)을 통해서 회전자코일(13)에 전류가 공급되어 자속이 발생하고, 제 1의 폴코어체(20)에는 N극이 착자되고, 제 2의 폴코어체(21)에는 S극이 착자된다.
한편, 엔진에 의해 풀리(4)는 구동되고, 샤프트(6)에 의해 회전자(7)가 회전하므로 고정자권선에는 회전자계가 부여되며, 고정자권선(16)에는 기전력이 생기는 이 교류의 기전력은, 정류기(12)를 통해 직류로 정류되는 동시에 레귤레이터(18)에 의해 그 크기가 조정되어서 배터리에 충전된다.
도 16은 종래의 고정자를 표시하는 사시도 이다.
도 17은 종래의 고정자의 회로도 이다.
도 16에서 고정자권선(16)은 환선도체로 되고, 고정자철심(15)에 형성되는 슬롯 내에 수납된다. 그리고 고정자권선(16)은 수납부(161)와 철심(15)의 양측에 돌출하는 코일앤드부(162)로 구성된다.
도 17에서 고정자권선(16)은 3상 교류발전기회로를 구성하기 위해 권선은 스타형결선 된다. 3개의 도체단부를 결합, 중성점으로 하기위하여 중성점 결선부(22 )이 형성되어있다. 또 정류기(12)와의 결선부(출력결선부)(23)를 구비한다. 또 중성점(22)에 발생하는 중성점 전압으로부터 출력을 회수하기 위해 중성점 결선부 (22)에 다시 출력인출선 (24)을 결합하는 경우도 있고, 이때는 중성점 결선부(22)에 4개의 도체단이 결선된다.
근년에는 고출력화에 따라 고정자 권선의 도체직경도 굵게 되어있고, 하나의 도체를 2개로 분할한 권선방식(두줄감기 또는 W감기)가 주류로 되어있다.
이 경우 중성점 결선부(22)는 두줄감기의 경우 한쪽에 1개소, W감기의 경우 양사이드에 2개소가 필요하게되고 또 중성점 출력을 회수하는 경우는 각각의 중성점 결선부(22)로 부터 인출된 출력 인출선(24)으로 구성된다.
이 출력인출선(24)에는 인성구리가 사용되고 있으며, 결선부의 어느 접합도 납땜으로 실시된다. 또 중성점 결선부(22)는 납땜 후 절연튜브(25)를 씌워서 내진동성 때문에 코일앤드 측으로 눕혀서 와니스 등으로 고정하고 있다. 다른 종래 예로서 일본국 특개평 7-115743호 공보에 있듯이 이 종금속에 의해 결합하는 개시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차량용 교류발전기에서는 고정자(8)내에서 결선처리를 할 때, 환선도체의 출력인출선(24)을 코일앤드(162)의 원주상에서 돌릴 필요가 있고 기계에 의한 결선의 자동화가 곤란했었다.
또 결선부(22)는 튜브(25)가 씌워지고, 코일앤드(162)에 눕혀서 와니스 고정되어 있으므로, 다른 부위의 코일에 대해 방열성이 뒤지고 코일의 온도 상승치가 높게 되어 있다. 이로써 결선부코일의 열열화가 촉진되고 고정자 전체의 내구성 저하의 요인이 되었다.
또 이러한 결선처리인 튜브삽입 후 코일앤드(162)로의 고정처리는 자동화가곤란하고 가공비 저감의 네크가 되어 있었다.
한편 일본국 특개평 9-19119호 공보에 서키드보드를 사용한 개시 예가 있으나, 모든 리드선이 하나의 서키드보드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고정자 전체의 강성이 대단히 높게 되어있다.
이로써 고정자를 발전기의 본체에 조립할 때에 발생하는 정류기와의 위치 어긋남을 수정하기 쉽게 되어, 결과로서 서키드보드에 강제변위력을 가하게되어 내구성 저하의 요인이 되거나 조립작업성이 현저하게 나쁘므로 서키드보드가 깨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 일본국 특개평 9-19119호 공보의 서키드보드는 일채로 몰딩된 계접속부와 출력단부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냉각성이 나쁘고 정류기로의 온도에 악영향을 주고있었다.
또 단락이 발생한 경우에 대전류가 흘렀을 때에 결선부터미널이 레이아웃 상 길고 저항이 크기 때문에, 발열에 의해 몰드가 타고 2차 불량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서키드보드의 스페이스와의 제약에 의해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고출력화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된 것으로 조립공정의 자동화를 쉽게 할 수가 있고, 생산 공정의 합리화가 가능해지는 동시에 발열이 억제되고 냉각성이 양호해지며, 신뢰성이 향상되는 차량용 교류발전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한 실시의 형태를 표시하는 고정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의 형태의 고정자의 부분적인 정면도,
도 3은 본 실시의 형태의 고정자의 회로도,
도 4는 본 실시의 형태의 고정자와 결선터미널과 정류장치의 접속위치관계를 표시한 도면,
도 5는 중계접속부재로서의 결선터미널의 상세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a)는 정면도, (b)는 (a)의 D-D선에 따른 화살표방향단면도,
도 6은 정류장치의 이면에 설치되는 서키드보드와 결선터미널의 사시도,
도 7은 결선터미널의 서키드보드에 감합고정되는 모습을 표시하는 부분적인 정면도,
도 8은 도 7의 E-E선에 따른 화살표방향 단면도,
도 9는 서키드보드 내에 몰딩 된 인서트터미널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다른 예를 표시하는 중계접속부재의 상세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a)는 정면도, (b)는 (a)의 F-F선을 따른 화살표방향단면도,
도 11은 본 실시의 형태의 중계접속부재와 정류장치의 접속의 위치관계를 표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또 다른 예를 표시하는 중계접속부재의 상세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a)는 정면도, (b)는 (a)의 G-G선을 따른 화살표방향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또 다른 예를 표시하는 중계접속부재의 상세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a)는 정면도, (b)는 (a)의 H-H선에 따른 화살표방향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또 다른 예를 표시하는 서키드보드 내에 몰딩된 인서트터미널의 정면도,
도 15는 종래의 교류발전기를 표시하는 단면도,
도 16은 종래의 고정자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17은 종래의 고정자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회전자, 8 : 고정자, 12 : 정류장치,
12a : 서키드보드, 12a1 : 수납홈, 12a2 : 凸부,
12a3 : 인서트터미널, 15 : 고정자철심, 16 : 고정자권선,
162 : 코일앤드, 30,31,32,33,34 : 결선터미널(중계접속부재),
a1,a2,b1,b2,c1,c2 : 출력용 인출단부,
Na1,Na2, Nb1,Nb2,Nc1,Nc2 : 접속용 인출단부.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교류발전기는 고정자철심과 다수의 고정자권선으로 되는 고정자와, 고정자철심에 내포된 회전자와, 고정자 권선의 교류출력을 정류하는 정류장치를 구비한 교류발전기로서 고정자는, 출력용 인출단부 및 접속용 인출단부를 형성하는 인출선이 다수 고정자철심의 축 방향으로 거의 평행되게 인출되어 있고, 접속용 인출단부는 정류장치와 별개의 고정자의 축 방향측면에 배치된 중계접속부재에 접속되어 고정자권선이 소정의 결선상태가 되도록 결선되고, 출력용 인출단부에서는 교류출력이 출력되어 정류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접속용 인출단부는 중성점 출력용 인출부도 형성하고, 정류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또 중게접속부재는 권선도체와 동종의 동계금속으로 되는 결선터미널이다.
또 결선터미널이 몰딩 되어있다.
또 결선터미널이 미리 서키드보드내에 끼워져서 고정되어있다.
또 결선터미널이 미리 인서트터미널에 용접된 후 몰딩 되어있다.
또 결선터미널을 표면 처리된 금속강판으로 제작되어있다.
또 결선터미널은 나동선으로 제작되어있다.
또 결선터미널은 단면 L자형이다.
또 접속용 인출단부에 환단자가 설치되고 접속용 인출단부와 중계접속부재와의 접속은 나사로 되어 있다.
또 출력용 인출단부에 환단자가 설치되고 출력용 인출단부와 정류장치와의접속은 나사에 의해 되어 있다.
또 중계접속부재의 접속용 인출단부와의 접속부에 U자형부가 형성되고 접속용 인출단부는 U자형부에 압착되어 고정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한 실시의 형태를 표시하는 고정자의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실시의 형태의 고정자의 부분적인 정면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고정자권선(16)은 환선도체로 되어있고, 고정자철심 (15)의 슬롯에 2개의 권선을 하나의 선같이 겹쳐서 감는 소위 두줄감기로 감겨진 2조의 권선(16a),(16b)로 되어있다. 고정자권선(16)은 이와 같이 감겨서, 고정자철심(15)의 양측에 돌출한 코일앤드부(162)와 고정자철심(15)에 수납된 수납부(161)를 형성하고 있다.
한쪽의 코일앤드부(162)로부터는 인출선으로서의 출력용 인출단부(a1),(a2) ,(b1),(b2),(c1) 및 (c2)와 인출선으로서의 접속용 인출단부(Na1),(Na2),(Nb1), (Nb2),(Nc1) 및 (Nc2)가 고정자철심(15)의 중심축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인출되어있다.
각각의 인출단부의 선단은 두줄감기의 2개인 (a1)과 (a2),(b1)과 (b2),(c1)과 (c2),(Na1)과 (Na2),(Nb1)과 (Nb2),(Nc1)과 (Nc2)가 정리되어서 각각 환단자 (A),(B),(C),(Na),(Nb),(Nc),가 압착되어 있다. 환단자(A),(B),(C),(Na),(Nb),(Nc)는 후에 기술하는 결선터미널(30) 및 정류기(12)와 접속되기 쉽게 원주상에 소정의 각도 떨어져서 설치되어있다.
도 3은 본 실시의 형태의 고정자(8)의 회로도이다. 도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출력용 인출단부(a1),(a2),(b1),(b2),(c1) 및 (c2)로 부터는 고정자권선(16)의 교류출력이 출력된다. 이 때문에 출력용 인출단부(a1),(a2),(b1),(b2),(c1) 및 (c2)는 정류기(12)의 단자(Ar),(Br),(Cr)에 접속되어있다.
한편 접속용 인출단부(Na1),(Na2),(Nb1),(Nb2),(Nc1) 및 (Nc2)는 스타형결선 되어 중성점이 되는 권선의 단부가 외부로 인출된 것이다. 외부로 인출된 접속용 인출단부(Na1),(Na2),(Nb1),(Nb2),(Nc1) 및 (Nc2)는 각각 중계접속부재로서의 결선터미널(30)의 단자(Nat),(Nbt),(Nct)에 접속되고 이 결과로서 고정자권선(16)이 스타형이 되도록 결선된다. 결선터미널(30)의 단자(Nbt)는 중성점 출력용 인출부도 형성하고 정류장치(12)에 접속되어있다.
도 4는 본 실시의 형태의 고정자(8)와 결선터미널(30)과 정류장치(12)와의 접속의 위치관계를 표시한 도면이다. 고정자권선(16)에 설치된 환단자(A),(B),(C) ,(Na),(Nb),(Nc)는 상술한 바와 같이 원주상에 소정의 각도 떨어져 설치되어 있다.
결선터미널(30)에는 환단자(Na),(Nb),(Nc)의 위치와 맞도록 단자(Nat),(Nbt) ,(Nct)가 설치되어있다.
환단자(Na),(Nb),(Nc)와 단자(Nat),(Nbt),(Nct)와는 조립시에 나사 고정되어서 접합된다. 한편 정류장치(12)에는 환단자(A),(B),(C)의 위치와 맞도록 단자 (Ar),(Br),(Cr)가 설치되어 있다. 환단자(A),(B),(C)와 단자(Ar),(Br),(Cr)는 조립시에 나사로 고정되어 접합된다. 결선터미널(30)의 단자(Nbt)는 중성점 출력용 인출부도 형성하고 정류장치(12)에 접속되어있다.
도 5는 중계접속부재로서의 결선터미널(30)의 상세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a)는 정면도, (b)는 (a)의 D-D선에 따른 화살표방향 단면도이다.
결선터미널(30)은 예를 들면 권선도체와 같은 종류의 동계금속으로 되고 표면 처리된 금속강판을 뚫어서 제작되고, 환단자(Na),(Nb),(Nc)의 위치에 따르도록 성형된 개략만곡형상의 원호부(30a)와, 이 원호부(30a)로부터 개략 방사상으로 뻗는 다수의 단자부(30b)로 되어있다. 결선터미널(30)은 후에 설명하는 서키드보드 (12a)내에 수납되어도 금속의 주면을 외부에 노출하므로 발열성이 대단히 좋다.
도 6은 정류장치(12)의 이면에 설치되는 서키드보드(12a)와 결선터미널의 사시도 이다. 서키드보드(12a)에는 결선터미널이 수납되기 위한 수납홈(12a1)이 형성되어 있다.
수납홈(12a1)은 개략 결선터미널(30)과 같은 형의 오목(凹)부형상을 이루고, 저부에 후에 설명하는 인서트터미널의 단자가 노출되어 있다.
또 도 6에서 결선터미널은 후의 도 13에서 설명하는 원호부를 수지로 몰딩된 것으로 되어 있다.
도 7은 결선터미널(30)의 서키드보드(12a)에 끼워서 고정되는 모양을 표시하는 부분적인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E-E선에 따른 화살표방향단면도이다. 결선터미널(30)은 수납홈(12a1)내에 수납되고, 수납홈(12a1)내에 설치된 다수의 볼록 (凸)부 (12a2)에 의해 측면에 맞닿고 끼워져서 고정되어있다.
결선터미널(30)은 볼록(凸)부(12a2)와의 마찰에 의해 수납홈(12a1)내에 수납된 후는 그곳에서 탈락하는 일이 없다.
도 9는 서키드보드(12a)내에 몰딩된 인서트터미널(12a3)의 정면도이다.
인서트터미널(12a3)은 예를 들면 권선도체와 같은 종류의 동계금속으로 된 강판을 뚫어 제작되고 환단자 A,B,C,Na,Nb,Nc의 위치와 맞도록 구멍이 형성되어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교류발전기에서는, 고정자(8)는 출력용 인출단부 (a1),(a2),(b1),(b2),(c1),(c2) 및 접속용 인출단부(Na1),(Na2),(Nb1),(Nb2),(Nc1) ,(Nc2)를 형성하는 인출선이 다수 고정자철심(15)의 축 방향으로 대략 평행되게 인출되어 있고, 접속용 인출단부(Na1),(Na2),(Nb1),(Nb2),(Nc1),(Nc2)는 정류장치 (12)와 별체의 고정자(8)의 축 방향 측면에 배치된 중계접속부재(30)에 접속되어 고정자권선(16)이 소정의 결선상태가 되도록 결선되고, 출력용 인출단부(a1),(a2), (b1),(b2),(c1),(c2)로부터는 교류출력이 출력되며 정류장치(12)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발전기의 고정자(8)내에서의 결선처리를 폐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결선 ·튜브삽업 ·코일앤드(162)에 고정 등의 자동화가 곤란하였던 공정이 없어지고 생산공정의 합리화가 될 수있다. 그리고 종래의 결선처리를 정류장치 (12)의 서키드보드 (12a)내에 중계접속부재(30)로서의 전용터미널을 추가설치 함으로써 대체하였으므로 부품수의 증가에 의해 재료비는 증가하나, 상술한 생산공정의 합리화가 가능해지므로 전체적인 제품코스트는 대폭적으로 저감된다. 또 코일앤드(162)의 발열이 억제되고 냉각성도 높아지므로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 접속용 인출단부(Na1),(Na2),(Nb1),(Nb2),(Nc1),(Nc2)는 중성점 출력용 인출단부도 형성하고 정류장치(12)에 접속되어있다. 이 때문에 중성점 출력이 쉬워지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 중계 접속부재는 권선도체와 같은 종류의 동계금속으로 되는 결선터미널 (30)이다. 이 때문에 정류시의 발열이 억제되어 온도가 과대해지는 일은 없다.
또 조립공정 전에 결선터미널(30)은 미리 서키드보드(12a)내에 끼워져서 고정되어있다. 이 때문에 발전기의 조립공정에서 결선터미널(30)이 탈락하는 일 없이, 생산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종래의 제조라인을 유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결선터미널(30)은 끼워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서키드보드(12a)와 결선터미널 (30)의 공진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내진성도 높다.
또 결선터미널(30)은 표면 처리된 금속강판으로 제작되어있다.
결선터미널의 표면이 표면처리 되어 있으므로 높은 내식성능을 소유하고 발전기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 접속용 인출단부(Na1),(Na2),(Nb1),(Nb2),(Nc1),(Nc2)와 출력용 인출단부 (a1),(a2),(b1),(b2),(c1),(c2)에는 환단자가 설치되고, 접속용 인출단부(Na1), (Na2),(Nb1),(Nb2),(Nc1),(Nc2)와 결선터미널(30)과의 접속 및 출력용 인출단부 (a1),(a2),(b1),(b2),(c1),(c2)와 정류장치(12)의 접속은 나사에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각각의 접속작업이 쉬워지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접속이 확실해지고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의 결선터미널(30)은 금속강판으로 제작되어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나동선으로 제작되어도 된다. 결선터미널(30)을 나동선으로 제작함으로써 더욱 값 싼 결선구조를 구축할 수 있고, 수율을 향상시키는데 적합하다.
실시의 형태 2.
도 10은 본 발명의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다른 예를 표시하는 중계접속부재의 상세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a)는 정면도 (b)는 (a)의 F-F선에 따른 화살표방향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의 형태의 중계접속부재와, 정류장치의 접속의 위치관계를 표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중계접속부재로서의, 결선터미널(31)의 단자부(31b)의 선단에는 잘라 일으킨 U자형부가 형성되어있다.
즉 본 실시의 형태의 차량용 교류발전기는 중계접속부재로서의 결선터미널 (31)의 접속용 인출단부(Na1),(Na2),(Nb1),(Nb2),(Nc1),(Nc2)와의 접속부에 U자형부가 형성되고 접속용 인출단부(Na1),(Na2),(Nb1),(Nb2),(Nc1),(Nc2)는 U자형부에 압착되어 고정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접속용 인출단부 (Na1), (Na2),(Nb1),(Nb2),(Nc1),(Nc2)에는 환단자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결선터미널(31)의 접속용 인출단부(Na1),(Na2),(Nb1),(Nb2),(Nc1),(Nc2)와의 접속작업이 쉬워지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접속이 확실해지고 신뢰성 향상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결선터미널(31)의 단자부(31a)의 선단뿐 아니라, 정류장치(12)의 단자부에도 잘라 일으킨 U자형부가 형성되어있다.
실시의 형태3.
도 12는 본 발명의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또 다른 예를 표시하는 중계접속부재의 상세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a)는 정면도 (b)는 (a)의 G-G선에 따른 화살표방향 단면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중계접속부재로서의, 결선터미널(32)은 한쪽의 가장자리부가 주면에 대해 직각으로 구부려져 단면 L자형으로 되어 있다. 결선터미널(32 )을 단면 L자형으로 함으로써, 강도가 향상되고 신뢰성이 향상된다.
실시의 형태 4.
도 13은 본 발명의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또 다른 예를 표시하는 중계접속부재의 상세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a)는 정면도 (b)는 (a)의 H-H선에 따른 화살표방향 단면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중계접속부재로서의 결선터미널(33)은 원호부(33a)를 수지로 몰딩 되어있다. 이와 같이 결선터미널(33)을 수지 등으로 몰딩 함으로써, 냉각 팬 대향면을 평활화 할 수가 있고 소음의 악화를 억제 할 수가 있다. 또 내식성을 향상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5.
도 14는 본 발명의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또 다른 예를 표시하는 서키드보드내에 몰딩된몰딩된터미널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중계접속부재로서의 결선터미널(34)이 미리 인서트터미널(12a3)에 용접된 후 서키드보드(12a)에 몰딩 되어있다. 이 같은 구성은 비교적 발전능력이 낮은 기종에 적응이 가능하나, 별채의 결선터미널(34)을 추가설치하지 않고, 미리 인서트터미널(12a)에 결선터미널(34)을 저항용접 또는 융접으로 접합함으로써, 결선터미널의 삽입공정이 생략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교류발전기는, 고정자철심과 다수의 고정자권선으로 되는 고정자와, 고정자철심에 내포된 회전자와, 고정자권선의 교류출력을 정류하는 정류장치를 구비한 교류발전기로서, 고정자는, 출력용 인출단부 및 접속용 인출단부를 형성하는 인출선이 다수, 고정자철심의 축 방향에 대략 평행하게 인출되어 있고, 접속용 인출단부는 정류장치와 별개의 고정자의 축 방향측면에 배치된, 중계접속부재에 접속되어 고정자권선이 소정의 결선상태가 되도록 결선되고, 출력용 인출단부로부터는 교류출력이 출력되며 정류장치에 접속되어있다.
이 때문에 발전기의 고정자 내에서의 결선처리를 폐지함으로써, 결선, 튜브삽입, 코일앤드에 고정등의 자동화가 곤란했던 공정이 없어지고 생산공정의 합리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종래의 결선처리를 정류장치의 서키드보드내에 중계접속부재로서의 전용터미널을 추가 설치함으로써 대체하였으므로, 부품수의 증가에 의해 재료비는 증가하나 상술한 생산공정의 합리화가 가능해지므로 전체적으로 보아 제품코스트는 대폭적으로 저감된다.
또 코일앤드의 발열이 억제되고 냉각성도 높아지므로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 중계접속부재가 고정자와 접속 또는 일체화되어 있지 않고 고정자를 정류장치와 별개로 되어있으므로 발전기의 본체에 조립할 때에 가해지는 강제변위력이 완화되고, 조립작업성이 향상되며 또 서키드보드가 깨지는 등의 좋지 않은 일이 없어진다.
또 중계접속부재가 정류장치와 별개로 되어있으므로, 중계접속부재의 금속부분이 노출되고 냉각성이 높아져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 접속용 인출단부는 중성점 출력용 인출단부도 형성하고 정류장치에 접속되어있다. 이 때문에 중성점 출력이 쉬워지고 생산성도 향상된다.
또 중계접속부재는 권선도채와 같은 종류의 동계금속으로 되는 결선터미널이다.
중계접속부재를 전기전도도가 좋은 동종의 동계 금속터미널로 함으로써, 정류시의 발열이 억제되어 온도가 과대해지는 일은 없다.
또 결선터미널이 몰딩 되어있다. 결선터미널을 수지로 몰딩 함으로써 냉각 팬 대향면을 평활화 할 수가 있고, 소음의 악화를 억제할 수가 있다. 또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결선터미널이 미리 서키드보드 내에 끼워져서 고정되어있다. 미리 서키드보드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발전기의 조립공정에서 결선터미널이 탈락하는 일이 없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종래의 제조라인을 유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결선터미널이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서키드보드와 결선터미널의 공진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내진성도 높다.
또 결선터미널이 미리 인서트터미널에 용접된 후 몰딩 되어있다. 비교적 발전능력이 낮은 기종에 적응 가능하다.
별개의 결선터미널을 추가설치 하지 않고 미리 인서트터미널에 결선터미널을 저항용접 또는 융접으로 접합함으로써, 결선터미널의 삽입공정이 생략가능해지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 결선터미널은 표면 처리된 금속강판으로 제작되어 있다.
결선터미널의 표면이 표면처리 되어있으므로, 높은 내식성능을 갖고 발전기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 결선터미널은 나동선으로 제작되어있다. 결선터미널을 나동선으로 제작함으로써, 더욱 값싸게 결선구조를 구축할 수 있고 수율을 향상시키는데 적합하다.
또 결선터미널은 단면 L자형이다. 결선터미널을 단면 L자형으로 함으로써, 강도가 향상되고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 접속용 인출단부에 환단자가 설치되고 접속용 인출단부와 중계 접속부재의 접속은 나사에 의해 되어있다.
이 때문에 접속용 인출단부와 중계접속부재와의 접속작업이 쉬워지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접속이 확실해지고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 출력용 인출단부에 환단자가 설치되고, 출력용 인출단부와 정류장치의 접속은 나사로 되어있다. 이 때문에 출력용 인출단부와 정류장치와의 접속작업이 쉬워지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접속이 확실해지고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 중계접속부재의 접속용 인출단부와의 접속부에 U자형부가 형성되고, 접속용 인출단부는 U자형부에 압착되어서 고정된다. 이 때문에 중계접속부재의 접속용 인출단부와의 접속작업이 용이해지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접속이 확실해지고 신뢰성이 향상된다.

Claims (3)

  1. 고정자철심과 다수의 고정자권선으로 되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철심에 내포된 회전자와 상기 고정자권선의 교류출력을 정류하는 정류장치를 구비한 교류발전기로서, 상기 고정자는 출력용 인출단부 및 접속용 인출단부를 형성하는 인출선이 여러개, 상기 고정자철심의 축 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인출되어 있고, 상기 접속용 인출단부는 정류장치와 별개의 상기 고정자의 축 방향측면에 배치된 중계 접속부재에 접속되어, 상기 고정자권선이 소정의 결선상태가 되도록 결선되며, 상기 출력용 인출단부로부터는 교류출력이 출력되고, 상기 정류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교류발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용 인출단부는 중성점 출력용 인출부도 형성하고, 상기 정류장치에 접속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교류발전기.
  3. 제 1항에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접속부재는 권선도체와 같은 종류의 동계금속으로 되는 결선터미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교류발전기.
KR10-2001-0025419A 2000-09-01 2001-05-10 차량용 교류발전기 KR1004552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65353 2000-09-01
JP2000265353A JP2002084723A (ja) 2000-09-01 2000-09-01 車両用交流発電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550A true KR20020018550A (ko) 2002-03-08
KR100455264B1 KR100455264B1 (ko) 2004-11-09

Family

ID=18752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5419A KR100455264B1 (ko) 2000-09-01 2001-05-10 차량용 교류발전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64677B2 (ko)
EP (1) EP1184960B1 (ko)
JP (1) JP2002084723A (ko)
KR (1) KR100455264B1 (ko)
DE (1) DE60102875T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655B1 (ko) * 2007-01-19 2008-11-03 에스앤티대우(주) 자동차용 브러쉬리스 모터의 버스바를 이용한 병렬 권선결합구조
KR101393318B1 (ko) * 2008-01-23 2014-05-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교류 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0027B2 (ja) * 2000-11-06 2009-11-1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交流発電機
US7129612B2 (en) 2002-01-24 2006-10-3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Stator assembly with cascaded wind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170211B2 (en) * 2002-01-24 2007-01-30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Stator winding having transitions
US6882077B2 (en) * 2002-12-19 2005-04-19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Stator winding having cascaded end loops
KR100864001B1 (ko) 2002-06-14 2008-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장치
US6949857B2 (en) * 2003-03-14 2005-09-27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Stator of a rotary electric machine having stacked core teeth
JP4350974B2 (ja) * 2003-05-22 2009-10-28 ヤマハモーター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電機子用端子
CN1833345B (zh) 2003-07-10 2010-11-03 磁应用股份有限公司 紧凑的大功率交流发电机
FR2859834A1 (fr) * 2003-09-11 2005-03-1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Ensemble comprenant un alternateur et un organe d'accouplement a un moteur, notamment a un moteur de vehicule automobile
US7245111B2 (en) * 2003-11-17 2007-07-17 Ballard Commercial Industries Inc. Regulator system for alternator
US6940202B1 (en) 2004-05-19 2005-09-06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Electrical machine having a stator winding with a plurality of filars
US7081697B2 (en) * 2004-06-16 2006-07-25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Dynamoelectric machine stator core with mini caps
US7386931B2 (en) * 2004-07-21 2008-06-17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of forming cascaded stator winding
US7269888B2 (en) * 2004-08-10 2007-09-18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of making cascaded multilayer stator winding with interleaved transitions
CA2597185A1 (en) 2005-02-02 2006-08-10 Magnetic Applications, Inc. Pulse generator for a controlled rectifier
US20060192447A1 (en) * 2005-02-28 2006-08-31 Bradfield Michael 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stator phase leads
JP2007037280A (ja) * 2005-07-27 2007-02-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インバータ一体型回転電機
US7768165B2 (en) 2006-02-02 2010-08-03 Magnetic Applications, Inc. Controller for AC generator
EP1994629A1 (en) * 2006-02-22 2008-11-26 Magnetic Applications Inc. Compact high power alternator
US7439713B2 (en) * 2006-09-20 2008-10-21 Pratt & Whitney Canada Corp. Modulation control of power generation system
US20080218035A1 (en) * 2007-03-09 2008-09-11 C.E. Niehoff & Co. Rotating rectifier assembly
JP4433023B2 (ja) 2007-09-05 2010-03-1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交流発電機
MX2010008783A (es) 2008-02-07 2011-03-01 Magnetic Applications Inc Star Alternador compacto de alta potencia.
JP5290612B2 (ja) * 2008-04-15 2013-09-18 アスモ株式会社 ステータ、モータ及びステータの製造方法
EP2184835B1 (fr) 2008-11-05 2016-07-20 Valeo Equipements Electriques Moteur Machine électrique tournante
FR2938132B1 (fr) * 2008-11-05 2014-10-31 Valeo Equip Electr Moteur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JP5070248B2 (ja) * 2009-06-30 2012-11-07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回転電機とその製造方法
JP2010220477A (ja) * 2010-07-09 2010-09-30 Mitsubishi Electric Corp 車両用交流発電機
JP2012110188A (ja) * 2010-11-19 2012-06-07 Nippon Densan Corp 中間接続部材、ステータ及びモータ
JP5389771B2 (ja) * 2010-11-19 2014-01-15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交流発電機の整流装置
DE112013005795T5 (de) * 2012-12-04 2015-08-20 Remy Technologies, Llc Elektrische Maschine mit elektrischer Sammelschiene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JP5505530B1 (ja) * 2013-02-15 2014-05-28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
JP6812975B2 (ja) 2015-08-10 2021-01-13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モータの製造方法、およびステータユニット
DE102016201447A1 (de) * 2016-02-01 2017-08-03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bindung zwischen einer Wicklung und einer Platine
US11171536B2 (en) * 2016-11-07 2021-11-09 Lg Innotek Co., Ltd. Cover assembly and motor including same
DE102019215717A1 (de) * 2019-10-14 2021-04-15 Vitesco Technologies Germany Gmbh Aktivteil einer rotierenden elektrischen Maschine
DE102019215716A1 (de) * 2019-10-14 2021-04-15 Vitesco Technologies Germany Gmbh Verschalten von Leitern einer Spulenanordnung
CN114204725B (zh) * 2022-02-16 2022-05-31 珠海英搏尔电气股份有限公司 定子组件、电机、动力总成和交通工具
WO2023155510A1 (zh) * 2022-02-16 2023-08-24 珠海英搏尔电气股份有限公司 定子组件、电机、动力总成和交通工具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4963A (en) 1969-11-26 1971-09-14 Nippon Denso Co Prefabricated connector plate for use with a plurality of different ac to dc generator circuits
GB1589717A (en) 1976-10-22 1981-05-20 Lucas Industries Ltd Multiphase full-wave rectifier assembly
JPH0119584Y2 (ko) 1980-05-09 1989-06-06
JPS5872358A (ja) 1981-10-23 1983-04-30 Hitachi Ltd 交流発電機
DE3728081A1 (de) 1987-08-22 1989-03-02 Bosch Gmbh Robert Gleichrichterlagereinrichtung
DE4018710A1 (de) 1990-06-12 1991-12-19 Bosch Gmbh Robert Elektrische maschine, vorzugsweise drehstromgenerator fuer fahrzeuge
JP2710878B2 (ja) * 1991-07-05 1998-02-10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交流発電機の出力端子装置
JPH06233483A (ja) 1993-01-29 1994-08-19 Honda Motor Co Ltd ステータに於けるコイル巻線の結線構造
US5451823A (en) * 1993-02-11 1995-09-19 Transpo Electronics, Inc. Vehicular thermoconductive lead frame rectifier assembly
US5508571A (en) 1994-12-12 1996-04-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Neutral connection for wire wound stator
JP3342978B2 (ja) 1994-12-27 2002-11-11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交流発電機
JP3342987B2 (ja) 1995-06-28 2002-11-11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交流発電機
US5949166A (en) * 1997-09-25 1999-09-07 Denso Corporation Rectifying apparatus for an automotive AC generator
JP3956524B2 (ja) * 1999-03-03 2007-08-0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交流発電機
US6275404B1 (en) * 1999-03-30 2001-08-14 Denso Corporation Rectifier arrangement of vehicle AC generator
JP3443363B2 (ja) * 1999-05-26 2003-09-02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交流発電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655B1 (ko) * 2007-01-19 2008-11-03 에스앤티대우(주) 자동차용 브러쉬리스 모터의 버스바를 이용한 병렬 권선결합구조
KR101393318B1 (ko) * 2008-01-23 2014-05-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교류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33646A1 (en) 2002-03-21
EP1184960B1 (en) 2004-04-21
DE60102875T2 (de) 2005-03-31
DE60102875D1 (de) 2004-05-27
KR100455264B1 (ko) 2004-11-09
JP2002084723A (ja) 2002-03-22
EP1184960A1 (en) 2002-03-06
US6664677B2 (en) 2003-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5264B1 (ko) 차량용 교류발전기
US20210367459A1 (en) Interconnector for stator of electrical machine and the stator comprising the interconnector
US7952245B2 (en) Power distribution unit for rotary electric machine with linear conductor connecting ring having terminal section with axially extending hole for connecting stator coil, and method for assembling rotary electric machine
US6624544B2 (en) Neutral-point joint portion of stator winding for an alternator
JP3964122B2 (ja) 車両用交流発電機およびその固定子巻線に適用される導体線の接続係止部形成方法
US6935012B2 (en) Dynamo electric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327063B2 (en) Rotary electric machine for vehicles
US6429556B1 (en) AC generator for vehicle
US6326715B1 (en) Stator for an automotive alternator
KR20020090913A (ko) 차량용 교류발전기
US9479020B2 (en) Electric machine with stator&#39;s welded-side pitch less that rotor&#39;s pitch
US20100033044A1 (en) Motor for a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KR20010067104A (ko) 차량용 교류발전기
JP4344695B2 (ja) アウタロータ型多極発電機用ステータ及びその組立方法
JP4854721B2 (ja) 車両用回転電機
JP6165454B2 (ja) 回転電機
US7816835B2 (en) Tandem AC generator for vehicle and method of producing brush assembly thereof
US7342340B2 (en) Alternator with identical conductor segments
JPS63294242A (ja) 車両用交流発電機の固定子
US2006019244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stator phase leads
JP4934635B2 (ja) 回転電機
JP6584659B2 (ja) 車両用回転電機
JP5575259B2 (ja) 車両用交流発電機の整流装置
JP3746024B2 (ja) 車両用回転電機
JP2018148622A (ja) ステータコアにおける巻線の結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