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3716A -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과 그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과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3716A
KR20020013716A KR1020010045422A KR20010045422A KR20020013716A KR 20020013716 A KR20020013716 A KR 20020013716A KR 1020010045422 A KR1020010045422 A KR 1020010045422A KR 20010045422 A KR20010045422 A KR 20010045422A KR 20020013716 A KR20020013716 A KR 20020013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ustomer
vehicle
transport
transpor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5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4525B1 (ko
Inventor
기준성
Original Assignee
기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준성 filed Critical 기준성
Priority to EP01955729A priority Critical patent/EP1384218B1/en
Priority to US10/344,508 priority patent/US7499714B2/en
Priority to PCT/KR2001/001348 priority patent/WO2002017270A1/en
Priority to DE60136103T priority patent/DE60136103D1/de
Priority to AT01955729T priority patent/ATE410762T1/de
Priority to EP08017469A priority patent/EP2034447A3/en
Priority to AU2001277796A priority patent/AU2001277796A1/en
Publication of KR20020013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3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525B1/ko
Priority to US12/359,581 priority patent/US8116836B2/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27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to a central station ; Indicators in a central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G08G1/202Dispatching vehicles on the basis of a location, e.g. taxi dispatc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3/00Taximet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운송수단을 상시적으로 연락가능한 상태로 광범위하게 관리하는 상태에서, 운송 서비스를 희망하는 고객과 운송수단을 다양한 통신망을 통해서 직접 연결시킴에 의해 신속하고 정확한 운송 서비스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운송차량에 의한 운송서비스를 희망하는 고객의 조작에 의해 운송차량과 직접 통화 접속되는 고객용 통신수단과, 운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송차량에 구비되어 상기 고객용 통신수단과 직접 통화 접속되는 다수의 운송차량용 통신수단, 상기 다수의 운송차량과 그 운송차량용 통신수단에 대한 회원정보와, 각 운송차량용 통신수단의 접속이력정보 및 고객용 통신수단에 대한 서비스 이용요금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정보 데이터베이스수단, 상기 고객용 통신수단이 운송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접속하면,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수단의 회원정보와 접속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용 통신수단에 대해 상기 다수의 운송차량용 통신수단을 미리 결정된 순번에 따라 순차적으로 직접 통화 접속시키기 위한 호스트 서버수단 및, 상기 호스트 서버수단의 호출명령에 따라 지정된 운송차량용 통신수단을 호출하여 상기 고객용 통신수단과 직접 통화 접속시키는 데이터 중계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과 그 방법{System For Processing Transportation Information Using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과 운송수단과의 연결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대중교통 노선에 대한 정보를 고객과의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불특정 지역에 위치하는 고객을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까지 운송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승용 차량을 이용한 택시서비스가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바, 그러한 택시서비스의 경우에는 일정한 노선을 규칙적으로 운행하는 서비스 형태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불특정한 지역을 불규칙하게 순회하면서 탑승 고객을 유치해야 하는 상시적인 불편함이 야기된다.
그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택시회사 단위로 폐쇄적으로 운영되는 콜택시 전화서비스를 개설하여, 별도의 상담원을 통한 고객과의 유선 또는 무선의 통화에 의해 해당 고객의 위치와 목적지가 파악되면, 상담원이 해당 택시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택시 중에서 소정의 택시와 무선 통화를 시도하여 고객과 연결시킬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있다.
한편, 관광버스나 렌트차량 등과 같은 차량 렌탈 서비스의 경우에는 광고지나 전화번호부에 기재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통해 고객이 해당되는 렌탈 서비스회사에 전화를 걸어서 원하는 차량의 렌탈 예약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사고 차량의 수리 및 점검을 담당하는 수리업체의 경우에는 차량의 사고지점과는 무관하게 사고차량의 고객이 개인적으로 입수한 수리업체의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해당 수리업체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재의 콜택시 전화서비스를 이용한 고객의 택시 이용방안의 경우에는 고객이 별도의 상담자를 매개하여 택시 운전자와 연결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택시 운전자와 재차 통화연락을 거쳐서 고객의 현재 위치를 확인해야 하는 절차가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되면서 고객과의 접촉을 위한 통화횟수가 불필요하게 증가될 뿐만 아니라, 고객의 콜택시 신청으로부터 택시 이용시간까지 장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콜택시 전화서비스의 경우에는 각 택시회사 단위로 폐쇄적으로 운영되고 있어서 해당 택시회사가 소유하고 있는 택시 대수가 한정적인데 비해서 콜택시 서비스를 요청하는 고객의 위치가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콜택시 서비스가 가능한 지역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현재의 차량 렌탈 서비스의 경우에는 고객의 위치와는 전혀 무관하게 고객이 광고지나 전화번호부 등으로부터 입수한 전화번호를 통해 렌탈 서비스회사와 접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의 렌탈 요청으로부터 실제적인 차량의 이용까지는 장시간이 소요된다는 불리함이 있다.
또한, 사고를 당한 차량의 수리 및 점검을 위해 고객이 수리업체와 접촉하기 위해서는 해당 차량이 사고를 당한 위치와는 무관하게 해당 고객이 개인적으로 입수된 연락처의 수리업체를 통상적으로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수리업체를 통한 차량의 수리 서비스까지는 장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사고차량의 장시간 방치에 의한 교통체증이 빈발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다수의 운송수단을 상시적으로 연락가능한 상태로 광범위하게 관리하는 상태에서, 운송 서비스를 희망하는 고객과 운송수단을 다양한 통신망을 통해서 직접 연결시킴에 의해 신속하고 정확한 운송 서비스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운송수단을 상시적으로 연락가능한 상태로 광범위하게 관리하는 상태에서, 운송 서비스를 희망하는 고객과 운송수단을 다양한 통신망을 통해서 직접 연결시킴에 의해 신속하고 정확한 운송 서비스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송 서비스를 희망하는 고객의 위치와, 그 고객의 위치 부근으로 운행하는 운송수단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검출함에 의해, 고객에 대해 근거리에 위치한 운송수단에 의한 서비스 연결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송 서비스를 희망하는 고객의 위치와, 그 고객의 위치 부근으로 운행하는 운송수단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검출함에 의해, 고객에 대해 근거리에 위치한 운송수단에 의한 서비스 연결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송 서비스를 희망하는 고객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파악하여 운송수단 측에 고객의 위치정보를 제공함에 의해, 운송수단에서 고객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송 서비스를 희망하는 고객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파악하여 운송수단측에 고객의 위치정보를 제공함에 의해, 운송수단에서 고객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신망을 이용한 고객의 대중교통 노선에 대한 정보요청에 의해, 고객이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까지 최단시간의 대중교통 노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를 통해 운송고객의 위치가 검색되는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실시예에 따라 운송고객의 위치가 문자서비스를 통해 검색되는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6실시예에 따라 고객이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까지의 대중교통 노선정보가 문자서비스를 통해 검색되는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13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다른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P1∼MP5,A1∼An,B1∼Bn,E1∼En,H1∼Hn,:이동통신 단말기,
TP1,TP2:유선통신 단말기, NC1∼NC3:네트워크 컴퓨터,
HSV1∼HSV8:호스트 서버, DC1∼DC6:데이터 중계장치,
DB1∼DB9:정보 데이터베이스, C1∼Cn:인터페이스장치,
D1∼Dn:운행 미터기, F1∼Fn:데이터 인터페이스,
G1∼Gn:차량용 네비게이션장치, PG,J1∼Jn:양방향 무선호출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운송차량에 의한 운송서비스를 희망하는 고객의 조작에 의해 운송차량과 직접 통화 접속되는 고객용 통신수단과, 운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송차량에 구비되어 상기 고객용 통신수단과 직접 통화 접속되는 다수의 운송차량용 통신수단, 상기 다수의 운송차량과 그 운송차량용 통신수단에 대한 회원정보와, 각 운송차량용 통신수단의 접속이력정보 및 고객용 통신수단에 대한 서비스 이용요금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정보 데이터베이스수단, 상기 고객용 통신수단이 운송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접속하면,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수단의 회원정보와 접속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용 통신수단에 대해 상기 다수의 운송차량용 통신수단을 미리 결정된 순번에 따라 순차적으로 직접 통화 접속시키기 위한 호스트 서버수단 및, 상기 호스트 서버수단의 호출명령에 따라 지정된 운송차량용 통신수단을 호출하여 상기 고객용 통신수단과 직접 통화 접속시키는 데이터 중계수단으로 구성된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이 제공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는 콜택시 서비스나 사고차량에 대한 수리업체의 차량이송 서비스 또는 차량의 렌탈 서비스, 택배차량에 의한 화물의 택배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운송수단에 의한 운송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고객이 해당 운송서비스에 대해 할당된 전화번호로 유/무선 통화수단 및 인터넷 전화수단을 통해서 통화를 시도하게 되면, 호스트 서버에서는 운송 서비스를 위해 회원으로 가입된 다수의 운송수단에 구비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순차적으로 고객의 통신수단과 직접 통화연결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동 도면에서,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1)는 운송수단에 의한 운송서비스에 대해 할당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무선통신망을 통해서 무선으로 호스트 서버(HSV1)와 통화접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호스트 서버(HSV1)에 의해 소정 운송수단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직접 통화연결이 수행되어 해당 운송수단의 운전자와 운송계약을 위한 정보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유선통신 단말기(TP1)는 운송수단에 의한 운송서비스에 대해 할당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공중전화망(PSTN)을 통해 유선으로 호스트 서버(SHV1)와 통화접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호스트 서버(HSV1)에 의해 소정 운송수단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직접 통화연결이 수행되어 해당 운송수단의 운전자와 운송계약을 위한 정보교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네트워크 컴퓨터(NC1)는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유선 또는 무선의 모뎀과 전용의 웹브라우저 프로그램을 갖추고서,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서 인터넷 전화서비스를 위한 웹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상기 호스트 서버(HSV1)에 구비되어 있는 인터넷 전화서비스에 접속하여 운송수단에 의한 운송서비스의 요청을 수행하게 되면, 상기 호스트 서버(HSV1)에 의해 소정 운송수단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직접 통화연결이 수행되어 해당 운송수단의 운전자와 운송계약을 위한 정보교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컴퓨터(NC1)를 이용하여 운송수단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직접 통화접속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인터넷 통신망과 상기 운송수단의 이동통신 단말기 측에 형성되어 있는 무선 통신망에는 인터넷과 일반 전화망의 데이터교환을 위한 게이트웨이장비를 필수적으로 통하도록 되어 있다.
동 도면에서, 다수의 운송수단에 각각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A1∼An)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호스트 서버(HSV1)로부터 중계되는 소정 고객의 통신수단(즉,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1)나 유선통신 단말기(TP1) 또는 네트워크 컴퓨터(NC1))과 직접 통화 접속되어 운송계약을 위한 정보교환을 음성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정보 데이터베이스(DB1)는 상기 다수의 운송수단과, 그 다수의 운송수단에 각각 갖추어진 이동통신 단말기(A1∼An)에 대한 차량번호 및 전화번호 등과 같은 회원정보가 저장되고, 고객과 순차적으로 통화 접속되는 다수의 운송수단에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접속이력정보가 저장되며, 고객이 통신망을 통해서 운송수단에 의한 운송서비스를 부여받은 댓가로서의 이용요금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동 도면에서, 상기 호스트 서버(HSV1)는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1)와 무선으로 통화접속이 이루어지거나, 공중전화망(PSTN)을 통해 유선통신 단말기(TP1)와 유선으로 통화접속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네트워크 컴퓨터(NC1)와 인터넷 전화에 의한 통화접속이 이루어지면,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DB1)의 운송수단에 대한 회원정보와 접속이력정보에 기초하여 고객의 통신수단이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A1∼An)에 대해 순차적으로 직접 통화접속이 이루어지도록 동작한다.
또한, 데이터중계장치(DC1)는 상기 호스트 서버(HSV1)에 의한 직접 통화접속의 명령에 따라,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다수의 운송수단에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A1∼An) 중에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호출하여 고객의 통신수단과 직접 통화 접속시키기 위한 중계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중계장치(DC1)는 상기 호스트 서버(HSV1)에 의해 지정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호출하는 경우에,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중이거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 의해 고객과 직접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예상되면, 호출실패정보를 상기 호스트 서버(HSV1)에 전송하고, 상기 호스트 서버(HSV1)는 호출실패정보가 수신되면, 호출이 실패한 이동통신 단말기 다음 순번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호출을 실행한다.
한편, 상기 호스트 서버(HSV1)는 예컨대 한국통신 등과 같은 통신 서비스회사와 연계하여 업무 제휴계약을 수행함에 의해, 운송수단에 의한 운송서비스를 요구하기 위해 해당 서비스에 할당된 전화번호로 전화통화를 수행한 고객의 통신수단에 대해 서비스 이용요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A1∼An)는 특정한 기능버튼의 조작 등에 의해 각 운송수단의 공차 여부를 나타내는 공차정보를 무선통신망과 데이터 중계장치(DC1)를 통해서 상기 호스트 서버(HSV1)에 전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호스트 서버(HSV1)에서는 상기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A1∼An) 중에 공차정보를 전송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서만 운송 서비스의 유효기능을 부여하여 고객과의 직접 통화연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동작에 대해도 2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의 플로우차트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대해서는 운송수단에 의한 운송서비스로서 택시에 의한 택시호출 서비스를 일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택시의 탑승을 희망하는 고객이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1)를 조작함에 의해 택시호출 서비스에 대해 할당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호스트 서버(HSV1)에 접속하거나, 유선통신 단말기(TP1)를 조작하여 공중전화망(PSTN)을 통해서 상기 호스트 서버(HSV1)에 접속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컴퓨터(NC1)를 조작하여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 전화기능에 따라 호스트 서버(HSV1)와 접속하게 되면(단계 S10), 상기 호스트 서버(HSV1)는 정보데이터베이스(DB1)에서 다수의 택시에 대한 회원정보와, 다수의 택시에 각각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A1∼An)의 접속이력정보를 참조하여 소정 순번의 택시에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을 수행하게 된다(단계 S11).
여기서, 상기 호스트 서버(HSV1)는 데이터중계장치(DC1)를 통해 수행되는 고객의 통신수단과 해당 순번의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직접 통화 접속이 이루어지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2).
상기 판단 결과, 해당 순번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미 통화 중이거나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등의 사정에 의해 단말기의 호출이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상기 고객의 통신수단과 직접 통화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호스트 서버(HSV1)는 정보데이터베이스(DB1)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다음 순번의 택시에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호출하게 되고(단계 S13), 상기 단계 S12로 재진행하여 고객의 통신수단과 직접 통화가 이루어지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단, 상기 호스트 서버(HSV1)는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A1∼An) 중에서 공차정보를 미리 전송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서만 상기 고객의 통신수단과 직접 통화 접속이 유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고객의 통신수단과 해당 순번의 택시에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직접 통화 접속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호스트 서버(HSV1)는 데이터중계장치(DC1)를 통해서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1)나 유선통신 단말기(TP1) 또는 네트워크 컴퓨터(NC1)와 택시의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에 직접 통화 접속이 이루어져서, 음성통화나 문자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한다(단계 S14).
그 상태에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한 택시에서는 통신망을 통해 고객과 탑승계약을 수행한 상태에서, 고객이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까지 운송하는 서비스를 수행하게 되고(단계 S15), 상기 호스트 서버(HSV1)에서는 고객의 이동통신 단말기(MP1)나 유선통신 단말기(TP1) 또는 네트워크 컴퓨터(NC1)에 대해서 택시호출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이용요금의 정산을 수행하게 된다(단계 S16).
다음에,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르면, GPS 위성을 통해 탐지되는 운송수단의 운행위치정보를 호스트 서버에서 수신받은 상태에서, 소정의 고객이 다양한 통신수단을 통해서 운송수단에 의한 운송서비스의 요청을 위한 통화 접속을 시도하게 되면, 그 고객 측의 통신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고객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고객의 현재 위치에 근접하여 운행되는 운송수단을 검출함에 의해, 근접 운행되는 운송수단과 고객이 통신망을 통해 직접 통화 접속을 수행하여 운송계약을 위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동 도면에서,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2)는 GPS 위성(SAT1)으로부터 전송되는 위치정보를 수신받아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해당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상대방 측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하고서, 운송수단에 의한 운송서비스에 할당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호스트 서버(HSV2)와 접속하고 상기 GPS 위성(SAT1)으로부터 수신받은 단말기의 고객위치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호스트 서버(HSV2)에 의해 GPS 위성(SAT1)에 따른 고객위치정보를 기초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MP2)를 갖춘 고객의 현재 위치와 근접하게 운행되는 운송수단이 탐지되면, 그 운송수단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직접 통화 접속이 이루어져서 운송계약을 위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유선통신 단말기(TP2)는 운송수단에 의한 운송서비스에 대해 할당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공중전화망(PSTN)을 통해서 호스트 서버(HSV2)와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호스트 서버(HSV2)에 의한 음성자동응답 서비스(ARS)를 통해서 고객의 현재 위치정보를 전송하게 되면, 해당 고객의 현재 위치와 근접하게 운행되는 운송수단과 직접 통화 접속이 자동으로 이루어져서 운송계약을 위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선통신 단말기(TP2)에 대한 위치는 상기 공중전화망에 포함되는 전화 교환기기에서의 과금 컴퓨터가 보유하고 있는 전화번호 정보 즉, 해당 유선통신 단말기(TP2)에 할당된 전화번호의 사용자정보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는 바, 전화 교환망의 과금 컴퓨터로부터 사용자정보가 호스트 서버(HSV2)에 전송되면, 그 호스트 서버(HSV2)에서는 그 사용자정보에 포함된 주소를 참조하여 상기 유선통신 단말기(TP2)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동 도면에서, 네트워크 컴퓨터(NC2)는 인터넷 전화기능을 통해서 운송수단에 의한 운송서비스에 대해 할당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호스트 서버(HSV2)와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호스트 서버(HSV2)에 구축되어 있는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고객의 위치정보를 웹메일 등의 형태로 전송하게 되면, 해당 고객의 현재 위치에 근접하여 운행되는 운송수단과 인터넷 전화기능을 통한 음성통화가 수행되어 운송계약을 위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정보 데이터베이스(DB2)는 상기 다수의 운송수단과, 그 다수의 운송수단에 각각 갖추어진 이동통신 단말기(B1∼Bn)에 대한 차량번호 및 전화번호 등과 같은 회원정보가 저장되고, 각 운송수단의 이동통신 단말기(B1∼Bn)로부터 수신받은 운행위치정보를 소정 기간 단위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며, 고객이 통신망을 통해서 운송수단에 의한 운송서비스를 부여받은 댓가로서의 이용요금에 대한 정보가저장된다.
상기 호스트 서버(HSV2)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2)로부터 수신받은 GPS 위성(SAT1)에 의한 고객위치정보를 통해서 고객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면,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DB2)의 회원정보와 다수의 운송수단에 대한 운행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의 현재 위치와 가장 근접하게 운행되는 운송수단을 검색함에 의해, 근접 운행하는 운송수단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직접 통화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호스트 서버(HSV2)는 고객의 위치정보를 탐지하기 위한 음성자동응답 시스템이 구축되고서, 공중전화망(PSTN)을 통해서 유선통신 단말기(TP2)와 통화 접속되면 상기 음성자동응답 시스템(ARS)의 서비스를 가동함에 의해 고객의 위치정보를 입력받도록 하고, 그 고객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고객의 현재 위치와 근접하게 운행되는 운송수단을 검출함에 의해 해당 운송수단과 고객 사이의 직접 통화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호스트 서버(HSV2)는 음성자동응답 시스템을 이용한 위치정보의 입력 기능 이외에, 공중전화망에 포함된 전화 교환망의 과금 컴퓨터로부터 상기 유선통신 단말기(TP2)의 전화번호에 대한 사용자정보를 수신받아 사용자의 주소를 확인함에 의해, 해당 유선통신 단말기(TP2)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호스트 서버(HSV2)는 고객의 위치정보를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서 입력받음과 더불어 인터넷 전화기능을 갖춘 웹사이트가 구축되고서,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서 네트워크 컴퓨터(NC2)가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웹메일의 형태로 고객의위치정보를 전송하게 되면, 그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고객의 현재 위치에 근접하게 운행되는 운송수단을 검출함에 의해, 인터넷 전화기능을 통해서 근접 운행되는 운송수단과 고객 사이에 직접 통화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동 도면에서, 데이터중계장치(DC2)는 상기 호스트 서버(HSV2)에 의한 직접 통화접속의 명령에 따라,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다수의 운송수단에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B1∼Bn) 중에 고객의 현재 위치에 근접하게 운행하는 운송수단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호출하여 고객의 통신수단과 직접 통화 접속시키기 위한 중계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중계장치(DC2)는 상기 호스트 서버(HSV2)에 의해 지정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호출하면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중이거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 의해 고객과 직접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예상되면, 호출실패정보를 상기 호스트 서버(HSV2)에 전송한다. 이 때, 상기 호스트 서버(HSV2)는 호출실패정보가 수신되면, 호출이 실패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한 운송수단 대신에 상기 고객의 현재 위치에 근접하게 운행되는 다른 운송수단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호출이 실행되도록 한다.
동 도면에서, 상기 다수의 운송수단에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B1∼Bn)는 GPS 위성(SAT2)으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추고서, 통화가 오프된 상태에서도 상기 GPS 위성(SAT2)으로부터의 위치정보를 해당 운송수단의 운행위치정보로서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수시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그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고객의 통신수단과 직접 통화 접속에 의한 음성 통화 및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B1∼Bn)는 각각의 운송수단에 구비된 다수의 운행 미터기(D1∼Dn)와 다수의 인터페이스장치(C1∼Cn)를 매개하여 신호 연결되어 있는 바, 상기 다수의 운행 미터기(D1∼Dn)는 해당 운송수단이 예컨대 택시인 경우에 택시 미터기로서 작용하여 고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운행된 거리 및 시간을 적산하여 산출된 운행요금의 값을 전기적인 운행신호로서 발생하게 되고, 다수의 인터페이스장치(C1∼Cn)는 각각의 운행 미터기(D1∼Dn)로부터 발생되는 운행신호를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B1∼Bn)에서 전송이 가능한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B1∼Bn)는 소정의 고객이 탑승하여 운행 미터기(D1∼Dn)가 작동함에 따라, 고객의 운송이 완료된 시점에서 각 운행 미터기(D1∼Dn)로부터 발생되는 운행요금에 따른 운행데이터를 각각의 인터페이스장치(C1∼Cn)를 통해서 수신받아 무선 통신망과 데이터중계장치(DC2)을 통해서 호스트 서버(HSV2)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호스트 서버(HSV2)에서는 상기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B1∼Bn)로부터 전송받은 각 운송수단의 운행데이터를 분석하여 운행요금을 산출하고, 그 운행요금의 액수에 따라 상기 고객의 운송수단에 의한 운송서비스의 이용요금을 차별적으로 부과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B1∼Bn)는 특정한 기능버튼의 조작 등에 의해 각 운송수단의 공차 여부를 나타내는 공차정보를 무선통신망과 데이터 중계장치(DC2)를 통해서 상기 호스트 서버(HSV2)에 전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호스트 서버(HSV2)에서는 상기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B1∼Bn) 중에 공차정보를 전송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서만 운송 서비스의 유효기능을 부여하여 고객과의 직접 통화연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B1∼Bn)는 해당 운송차량의 운행지역 별로 부여된 고유코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공차정보를 상기 호스트 서버(HSV2)에 전송할 때 운송차량의 운행지역을 나타내는 고유코드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운송차량이 택시이고, 운행지역이 인천지역으로 한정되어 있는 경우에, 그 운송차량에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인천지역을 나타내는 고유코드 정보가 저장되어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호스트 서버(HSV2)는 상기 고객의 이동통신 단말기(MP2)와 특정한 운송수단에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운송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정보교환을 위해서 직접 통화 접속이 이루어진 이후에, 상기 고객의 이동통신 단말기(MP2)와 운송수단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각각 전송하는 각 GPS 위성(SAT1,SAT2)에 의한 위치정보가 일정한 시간동안 동일한 위치인 것으로 탐지되면, 상기 고객이 해당 운송수단에 대해 운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그 운송수단 측의 운행 미터기로부터 수신받은 운행요금을 상기 고객의 운송서비스 이용댓가로서의 요금인 것으로 결정하게 된다.
이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동작에 대해 도 4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의 플로우차트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대해서는 운송수단에 의한 운송서비스로서 택시에 의한 택시호출 서비스를 일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호스트 서버(HSV2)에서는 데이터중계장치(DC2)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다수의 택시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B1∼Bn)로부터 전송되는 GPS 위성(SAT2)에 의한 운행위치정보를 각각 수신받아 예컨대 5분과 같은 소정 기간 단위로 정보 데이터베이스(DB2)에 업데이트하여 저장하게 된다(단계 S20).
또한, 상기 호스트 서버(HSV2)에서는 상기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B1∼Bn) 중에 공차정보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서 택시호출 서비스의 유효기능을 부여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서만 고객의 통신수단과의 직접 통화 접속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 상태에서, 택시의 탑승을 희망하는 고객이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2)를 조작하여 택시호출 서비스에 대해 할당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호스트 서버(HSV2)에 접속하거나, 유선통신 단말기(TP2)를 조작하여 공중전화망(PSTN)을 통해서 상기 호스트 서버(HSV2)에 접속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컴퓨터(NC2)를 조작하여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호스트 서버(HSV2)에 구축된 웹사이트에 접속하게 된다(단계 S21).
이 때, 상기 호스트 서버(HSV2)에서는 상기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2)로부터 전송되는 GPS 위성(SAT1)에 의한 고객위치정보를 수신받거나, 자체적으로 구축된 음성자동응답 시스템(ARS)을 가동하여 상기 유선통신 단말기(TP2)의 조작에의해서 해당 고객의 위치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컴퓨터(NC2)에 의해 웹사이트 상에서 웹메일의 형태로 고객의 위치정보를 수신받게 된다(단계 S22).
한편, 상기 호스트 서버(HSV2)는 상기 고객의 통신수단으로부터 전송받은 위치정보를 통해 해당 고객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고서,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DB2)의 택시 회원정보와 운행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고객의 현재 위치 부근에서 운행하는 택시를 검출하여 데이터중계장치(DC2)를 통해서 해당 택시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호출하게 된다(단계 S23).
여기서, 상기 호스트 서버(HSV2)는 상기 고객의 현재 위치 부근에서 운행되는 택시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고객의 통신수단과 직접 통화 접속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4).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택시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미 통화 중이거나 전원이 오프되어, 고객의 통신수단과 직접 통화 접속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DB2)에 저장된 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고객의 현재 위치 부근에서 운행하는 다른 택시의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통화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단계 S25).
상기 단계 S25의 수행 이후에, 상기 단계 S24로 재진행하여 통화 접속을 시도한 택시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고객의 통신수단과 직접 통화 접속이 가능한 지의 여부를 재차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단계 S24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택시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고객의 통신수단이 직접 통화 접속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호스트 서버(HSV2)는 데이터중계장치(DC2)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고객의 이동통신 단말기(MP2)나 유선통신 단말기(TP2) 또는 네트워크 컴퓨터(NC2)가 해당 택시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직접적으로 통화 접속이 이루어져서, 음성통화나 문자데이터 등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한다(단계 S26).
그 다음에, 상기 고객과의 직접 통화 접속에 의해 택시의 탑승을 위한 정보 교환이 이루어진 택시에서는 상기 고객을 탑승하여 원하는 목적지까지의 운행을 수행하게 되고, 해당 택시에 설치된 운행 미터기에서는 고객이 탑승한 거리 및 운행시간을 적산하여 택시 운행요금을 산출하게 된다(단계 S27).
이 때, 상기 운행 미터기로부터의 운행신호가 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해서 데이터 변환되어 해당 택시의 이동통신 단말기 측으로 전송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상기 운행 미터기에 의해 산출된 운행데이터가 무선 통신망과 데이터중계장치를 통해서 호스트 서버(HSV2) 측으로 전송됨에 따라, 상기 호스트 서버(HSV2)에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운행데이터를 입수하게 된다(단계 S28).
따라서, 상기 호스트 서버(HSV2)는 상기 택시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서 수신받은 운행 미터기로부터의 운행데이터를 통해서 택시의 운행요금을 산출하고, 그 운행요금의 액수에 따라 택시에 의한 택시호출 서비스의 이용요금을 차별적으로 산정하게 된다(단계 S29).
단, 상기 호스트 서버(HSV2)에서는 상기 고객의 통신수단 중에서 이동통신 단말기(MP2)로부터 전송되는 GPS위성(SAT1)에 의한 위치정보가 그 이동통신단말기(MP2)와 직접 통화 접속이 이루어진 택시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GPS위성(SAT2)으로부터의 위치정보와 일정시간동안 일치하거나 유사한 위치인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고객이 택시에 탑승하여 택시호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해당 택시의 운행 미터기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서 전달받은 운행데이터를 택시호출 서비스의 유효한 이용요금으로서 처리하게 된다.
다음에,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면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르면, GPS 위성을 통해 탐지되는 운송수단의 운행위치정보를 호스트 서버에서 수신받은 상태에서, 고객이 다양한 통신수단을 통해서 운송수단에 의한 운송서비스의 요청을 위한 통화 접속을 시도하게 되면, 그 고객 측의 통신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고객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고객의 현재 위치에 근접하여 운행되는 운송수단을 검출함에 의해, 근접 운행되는 운송수단과 고객이 통신망을 통해 직접 통화 접속을 수행하여 운송계약을 위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객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운송수단 내에 설치되는 차량용 네비게이션장치를 통해서 해당 고객의 현재 위치가 가시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동 도면에서, 호스트 서버(HSV3)에서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2)와 접속하여 GPS 위성(SAT1)에 의한 고객의 위치정보를 수신받아서 고객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면, 정보 데이터베이스(DB2)의 회원정보와 다수의 운송수단에 대한 운행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의 현재 위치와 가장 근접하게 운행되는 운송수단을 검색함에 의해, 근접 운행하는 운송수단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직접 통화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호스트 서버(HSV3)는 고객의 위치정보를 탐지하기 위한 음성자동응답 시스템이 구축되고서, 공중전화망(PSTN)을 통해서 유선통신 단말기(TP2)와 통화 접속되면 상기 음성자동응답 시스템(ARS)의 서비스를 가동함에 의해 고객의 위치정보를 입력받도록 하고, 그 고객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고객의 현재 위치와 근접하게 운행되는 운송수단을 검출함에 의해 해당 운송수단과 고객 사이의 직접 통화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호스트 서버(HSV3)는 음성자동응답 시스템을 이용한 위치정보의 입력 기능 이외에, 공중전화망에 포함된 전화 교환망의 과금 컴퓨터로부터 상기 유선통신 단말기(TP2)의 전화번호에 대한 사용자정보를 수신받아 사용자의 주소를 확인함에 의해, 해당 유선통신 단말기(TP2)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호스트 서버(HSV3)는 고객의 위치정보를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서 입력받음과 더불어 인터넷 전화기능을 갖춘 웹사이트가 구축되고서,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서 네트워크 컴퓨터(NC2)가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웹메일의 형태로 고객의 위치정보를 전송하게 되면, 그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고객의 현재 위치에 근접하게운행되는 운송수단을 검출함에 의해, 인터넷 전화기능을 통해서 근접 운행되는 운송수단과 고객 사이에 직접 통화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호스트 서버(HSV3)는 상기 고객의 통신수단을 통해서 검출되는 고객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지도위치데이터를 작성하고, 상기 지도위치데이터를 상기 고객의 현재 위치와 근접하게 운행하는 운송수단 측에 제공하게 된다.
동 도면에서, 정보 데이터베이스(DB3)는 상기 다수의 운송수단과, 그 다수의 운송수단에 각각 갖추어진 이동통신 단말기(E1∼En)에 대한 차량번호 및 전화번호 등과 같은 회원정보가 저장되고, 각 운송수단의 이동통신 단말기(E1∼En)로부터 수신받은 운행위치정보를 소정 기간 단위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며, 고객의 위치정보에 대한 지도위치데이터 작성을 위한 지도정보데이터가 저장되고, 고객이 통신망을 통해서 운송수단에 의한 운송서비스를 부여받은 댓가로서의 이용요금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다수의 운송수단에 갖추어진 이동통신 단말기(E1∼En)는 GPS 위성(SAT2)으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추고서, 통화가 오프된 상태에서도 상기 GPS 위성(SAT2)으로부터의 위치정보를 해당 운송수단의 운행위치정보로서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수시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그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고객의 통신수단과 직접 통화 접속에 의한 음성 통화 및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E1∼En)는 각각의 데이터 인터페이스(F1∼Fn)를 매개하여 차량용 네비게이션장치(G1∼Gn)와 각각 신호 연결되어 있는 바,상기 호스트 서버(HSV3)로부터 제공되는 고객의 지도위치데이터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수신받아 데이터 인터페이스(F1∼Fn)를 통한 데이터변환을 거쳐서 차량용 네비게이션장치(G1∼Gn)의 표시화면 상에 재현되는 전자지도에 해당 고객의 현재 위치가 가시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다수의 차량용 네비게이션장치(G1∼Gn)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GPS 위성(SAT2)으로부터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표시화면의 전자지도 상에 해당 운송수단의 현재 운행위치를 나타내는 제 1표시심볼(2)이 가시적으로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데이터 인터페이스(F1∼Fn)를 매개하여 이동통신 단말기(E1∼En)를 통해서 수신받은 고객의 지도위치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좌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화면의 전자지도 상에 고객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제 2표시심볼(4)이 표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서 운송수단에 의한 운송서비스를 택시에 의한 택시호출 서비스를 일예로 하여 설명하면, 상기 호스트 서버(HSV3)에서는 다수의 택시에 갖추어진 이동통신 단말기(E1∼En)를 통해서 GPS 위성(SAT2)에 의한 운행위치정보를 각각 수신받아 각 택시의 현재 운행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택시의 탑승을 희망하는 소정의 고객이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2)를 조작하여 택시호출 서비스에 대해 할당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호스트 서버(HSV3)에 접속하거나, 유선통신 단말기(TP2)를 조작하여 공중전화망(PSTN)을 통해서 상기 호스트 서버(HSV3)에 접속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컴퓨터(NC2)를 조작하여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호스트 서버(HSV3)에 구축된 웹사이트에 접속하게 되면, 상기 호스트 서버(HSV3)에서는 상기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2)로부터 전송되는 GPS 위성(SAT1)에 의한 고객위치정보를 수신받거나, 자체적으로 구축된 음성자동응답 시스템(ARS)을 가동하여 상기 유선통신 단말기(TP2)의 조작에 의해서 해당 고객의 위치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컴퓨터(NC2)에 의해 웹사이트 상에서 웹메일의 형태로 고객의 위치정보를 수신받게 된다.
한편, 상기 호스트 서버(HSV3)는 상기 고객의 통신수단으로부터 수신받은 위치정보를 통해서 해당 고객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있는 상태에서, 정보 데이터베이스(DB3)에 저장된 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고객의 현재 위치에 근접하게 운행되는 택시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고객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고객의 위치를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지도위치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그와 더불어, 상기 호스트 서버(HSV3)는 데이터중계장치(DC2)를 통해서 고객의 현재 위치에 근접하게 운행되는 택시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호출함에 따라, 상기 고객의 통신수단과 택시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직접 통화 접속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고객의 위치정보를 갖춘 지도위치데이터를 상기 택시의 이동통신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택시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수신받은 지도위치데이터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매개로 택시의 차량용 네비게이션장치에 입력되면서 표시화면의 전자지도 상에 가시적으로 표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운송수단 측에서는 차량용 네비게이션장치(G1∼Gn)에 가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고객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그 전자지도 상에 나타나 있는 경로를 따라 최단시간 내에 고객을 탑승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호스트 서버(HSV3)는 상기 고객의 이동통신 단말기(MP2)와 특정한 운송수단에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운송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정보교환을 위해서 직접 통화 접속이 이루어진 이후에, 상기 고객의 이동통신 단말기(MP2)와 운송수단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각각 전송하는 각 GPS 위성(SAT1,SAT2)에 의한 위치정보가 일정한 시간동안 동일한 위치인 것으로 탐지되면, 상기 고객이 해당 운송수단에 대해 운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판정하게 된다.
다음에,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7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르면, 운송수단의 운송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소정의 운송수단과 직접 통화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에, 호스트 서버에서는 무선 통신망으로부터 검지되는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고객의 현재 위치를 파악함과 더불어, 다수의 운송수단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검지하여 해당 운송수단의 운행위치를 파악하고서, 해당 고객의 현재 위치와 근접하게 운행되는 운송수단과 고객을 직접 통화 접속시키는 한편, 상기고객의 위치정보에 의해 해당 고객의 위치를 가시적으로 알리기 위한 문자데이터를 운송수단의 이동통신 단말기 측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동 도면에서,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3)는 운송수단에 의한 운송서비스에 대해 할당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호스트 서버(HSV4)와 접속하고, 그 호스트 서버(HSV4)에 의해 호출되는 소정 운송수단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직접 통화 접속됨에 의해 운송계약을 위한 정보교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무선 통신망을 구성하는 이동통신 기지국(10)에서는 상기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3)와 고주파수 신호를 교신함에 의해 해당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3)의 위치를 파악하게 되고, 그 파악된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3)에 대한 위치정보를 이동통신 중계기(12)를 매개하여 이동통신 교환기(14)에 전달한다.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14)는 상기 이동통신 중계기(12)를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10)으로부터 전송되는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3)에 대한 위치정보를 호스트 서버(HSV4)에 제공하게 된다.
동 도면에서, 다수의 운송수단에 구비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H1∼Hn)는 상기 호스트 서버(HSV4)에 의한 통화 호출을 통해서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3)와 직접 통화 접속되어 음성 통화를 진행함과 더불어,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호스트 서버(HSV4)로부터 전송되는 고객의 위치정보에 따른 문자데이터를 수신받아 표시부에 가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무선 통신망을 구성하는 다수의 이동통신 중계기(I1∼In)는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H1∼Hn)와 고주파수 신호를 교신함에 의해 각 이동통신 단말기(H1∼Hn)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게 되고, 상기한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H1∼Hn)에 대한 위치정보를 이동통신 중계기(16)를 매개하여 이동통신 교환기(18) 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18)는 상기 이동통신 중계기(16)를 통해서 각각의 이동통신 기지국(I1∼In)으로부터 수신받은 각 이동통신 단말기(H1∼Hn)에 대한 위치정보를 데이터중계장치(DC4)를 통해서 호스트 서버(HSV4)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 호스트 서버(HSV4)는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10)과 이동통신 중계기(12) 및 이동통신 교환기(14)를 통해서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3)와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10)에 의해 검지되는 해당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3)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해당 고객의 현재 위치를 파악함에 따라, 정보 데이터베이스(DB4)에 저장된 정보를 통해서 상기 고객의 현재 위치 부근에서 운행하는 운송수단의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운송수단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호출하고, 상기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따라 해당 고객의 위치를 알리는 문자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운송수단의 이동통신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호스트 서버(HSV4)는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10)에 의해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3)의 현재 위치가 검지되면,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14)를 통하여 해당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3)에 위치검출의 허용을 문의하는 안내메시지를 문자정보(예컨대 "귀하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운송차량에 전달할까요?"와 같은 문의 메시지)의 형태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3)로부터 위치검출을 허용하는 키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고객의 위치를 알리는 문자데이터를 상기 운송수단의 이동통신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DB4)는 상기 다수의 운송수단과, 그 다수의 운송수단에 각각 갖추어진 이동통신 단말기(H1∼Hn)에 대한 차량번호 및 전화번호 등과 같은 회원정보가 저장되고, 각 운송수단의 이동통신 단말기(H1∼Hn)로부터 수신받은 운행위치정보를 소정 기간 단위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며, 고객의 위치정보에 대한 문자데이터의 작성을 위한 지리문자정보의 데이터가 저장되고, 고객이 통신망을 통해서 운송수단에 의한 운송서비스를 부여받은 댓가로서의 이용요금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한편, 상기 다수의 운송수단에 구비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H1∼Hn)는 상기 호스트 서버(HSV4)로부터 고객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문자데이터를 수신받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표시부 상에 고객이 현재 위치하는 지역의 지명이나 건물명을 문자 형태로 표시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서, 상기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H1∼Hn)는 특정한 기능버튼의 조작 등에 의해 각 운송수단의 공차 여부를 나타내는 공차정보를 이동통신 기지국(I1∼In)과 이동통신 중계기(16), 이동통신 교환기(18) 및, 데이터 중계장치(DC4)를 통해서 상기 호스트 서버(HSV4)에 전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호스트 서버(HSV4)에서는 상기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H1∼Hn) 중에 공차정보를 전송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서만 운송 서비스의 유효기능을 부여하여고객과의 직접 통화연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호스트 서버(HSV4)는 상기 고객의 이동통신 단말기(MP3)와 특정한 운송수단에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운송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정보교환을 위해서 직접 통화 접속이 이루어진 이후에, 소정의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각각 탐지되는 상기 고객의 이동통신 단말기(MP3)에 대한 고객위치정보와 상기 운송수단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운행위치정보가 일정한 시간동안 동일한 위치이거나 근거리의 위치인 것으로 탐지되면, 상기 고객이 해당 운송수단에 대해 운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해당 운송서비스의 이용요금을 부과하게 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동작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서는 운송수단에 의한 운송서비스에 대해 택시에 의한 택시호출 서비스를 일예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다수의 택시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H1∼Hn)가 통화 오프된 상태에서도 각각의 이동통신 기지국(I1∼In)과 고주파수 신호를 교신하게 되면, 상기 다수의 이동통신 기지국(I1∼In)에서는 고주파수 신호의 교신기능에 의해서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H1∼Hn)에 대한 현재의 위치를 수시로 파악할 수 있게 되고, 그러한 위치정보는 이동통신 중계기(18)와 이동통신 교환기(18)를 통해서 데이터중계장치(DC4)에 전달된다.
한편, 상기 데이터중계장치(DC4)는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I1∼In)으로부터 수신받은 각 이동통신 단말기(H1∼Hn)의 위치정보를 호스트 서버(HSV4)에 전송하게되고, 상기 호스트 서버(HSV4)에서는 각 이동통신 단말기(HSV4)의 위치정보를 소정 기간 단위로 업데이트시켜서 정보 데이터베이스(DB4)에 저장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H1∼Hn) 중에 택시호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공차로 운행되는 택시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특정의 이동통신 기지국과 이동통신 중계기(16), 이동통신 교환기(18) 및, 데이터 중계장치(DC4)를 통해서 상기 호스트 서버(HSV4)에 공차정보를 전송하게 되고, 그 호스트 서버(HSV4)에서는 공차정보를 전송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서만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3)와의 직접 통화 접속이 유효하도록 설정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택시호출 서비스를 희망하는 소정의 고객이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3)를 조작하여 이동통신 기지국(10)과 이동통신 중계기(12) 및 이동통신 교환기(14)를 통해서 호스트 서버(HSV4)와 접속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10)에서는 상기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3)와의 고주파수 신호 교신에 의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MP3)에 대한 현재 위치를 파악하게 되고, 그러한 위치정보는 이동통신 중계기(12)와 이동통신 교환기(14)를 통해서 호스트 서버(HSV4)에 전송된다.
상기 호스트 서버(HSV4)에서는 상기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HSV4)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받은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3)에 대한 위치정보를 통해서 해당 고객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서,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DB4)에 저장된 정보를 통해서 고객의 현재 위치에 근접하게 운행되는 택시의 정보를 추출하게 되고, 상기 데이터중계장치(DC4)를통해서 해당 택시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호출을 시도하게 된다.
그와 더불어, 상기 호스트 서버(HSV4)는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DB4)의 지리문자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고객의 위치정보를 알리기 위한 문자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문자데이터를 데이터중계장치(DC4)를 통해서 고객의 현재 위치 부근으로 운행되는 택시의 이동통신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객의 현재 위치 부근에서 운행되는 택시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데이터중계장치(DC4)에 의한 호출 시도에 따라 이동통신 교환기(18)와 이동통신 중계기(16) 및 이동통신 기지국을 통해서 상기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3)와 직접 통화 접속되어 음성 통화가 진행되는 동시에, 해당 고객의 현재 위치를 알리는 문자데이터를 수신받아 표시부를 통해 가시적으로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택시의 운전자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서 택시의 이용을 희망하는 고객과 음성 통화를 진행하면서, 표시부 상에 표시되는 문자정보를 통해서 해당 고객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호스트 서버(HSV4)는 소정의 이동통신 기지국을 통해서 탐지되는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3)의 고객위치정보와, 상기 택시에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행위치정보가 일정시간동안 상호 동일하거나 근거리의 위치인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고객이 택시의 호출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탑승한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택시호출 서비스에 대한 이용요금을 청구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9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송수단에 양방향 무선호출기를 설치하여 그 양방향 무선호출기를 통해 각 운송수단의 운행위치를 판별하고, 고객의 통신수단으로부터의 운송서비스 요청의 메시지를 상기 양방향 무선호출기에 전송하여 고객과 운송수단의 서비스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동 도면에서, 고객용 양방향 무선호출기(PG)는 운송수단에 의한 운송서비스의 호출을 위한 별도의 서비스 호출기능을 갖추고서, 무선호출 통신망을 통해서 호스트 서버(HSV5)에 접속하여 운송서비스의 이용을 요청하는 호출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무선호출 통신망에서는 상기 고객용 무선호출기(PG)의 현재 위치를 탐지하여 그 고객의 위치정보를 호스트 서버(HSV5)에 전송하게 된다.
또한,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4)에서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호스트 서버(HSV5)에 접속하여 운송 서비스의 요청을 위한 메시지를 음성의 형태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무선 통신망에 구비되어 있는 이동통신 기지국에서는 상기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4)의 현재 위치를 탐지하고, 이동통신 교환기에 의해 그 고객의 위치정보가 작성되어 상기 호스트 서버(HSV5)에 전송된다.
상기 호스트 서버(HSV5)는 상기 고객용 양방향 무선호출기(PG)로부터의 운송서비스의 이용을 요청하는 호출을 수신받고, 상기 무선호출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고객용 양방향 무선호출기(PG)의 현재 위치정보를 전송받게 되면, 상기 고객의 현재 위치에 대해 근거리에서 운행되는 운송수단의 양방향 무선호출기를 검색하고, 상기 운송수단의 양방향 무선호출기에 상기 고객의 운송 서비스 요청정보와 해당 고객의 현재 위치정보를 문자메시지를 통해 통보하게 된다.
또한, 상기 호스트 서버(HSV5)는 상기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4)로부터 운송 서비스의 이용을 요청하는 음성메시지를 수신받고, 상기 무선 통신망으로부터 해당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4)의 현재 위치정보를 전송받게 되면, 상기 고객의 현재 위치에 대해 근거리에서 운행하는 운송수단의 양방향 무선호출기를 검색하고, 상기 운송수단의 양방향 무선호출기에 상기 고객의 운송 서비스 요청정보와 더불어 고객의 현재 위치정보를 문자메시지를 통해 통보하게 된다.
동 도면에서, 정보 데이터베이스(DB5)에는 상기 다수의 운송수단과, 그 다수의 운송수단에 각각 갖추어진 양방향 무선호출기(J1∼Jn)에 대한 차량번호 및 접속번호 등과 같은 회원정보가 저장되고, 각 운송수단의 양방향 무선호출기(J1∼Jn)의 운행 위치를 탐색한 운행위치정보를 소정 기간 단위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며, 고객의 위치정보에 대한 문자데이터의 작성을 위한 문자정보의 데이터가 저장되고, 고객이 통신망을 통해서 운송수단에 의한 운송서비스를 부여받은 댓가로서의 이용요금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상기 운송수단에 구비된 양방향 무선호출기(J1∼Jn)는 무선호출 통신망을 통해서 각 무선호출기의 현재 위치가 탐색되는데 따른 운행위치정보가 상기 호스트 서버(HSV5)에 전송되는 상태에서, 상기 호스트 서버(HSV5)로부터의 고객의운송 서비스의 이용 요청에 따른 메시지와, 해당 고객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문자메시지를 수신받아 각 액정화면 상에 가시적으로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양방향 무선호출기(J1∼Jn)는 특정한 기능버튼의 조작 등에 의해 각 운송수단의 공차 여부를 나타내는 공차정보를 무선호출 통신망과 데이터 중계장치(DC5)를 통해서 상기 호스트 서버(HSV5)에 전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호스트 서버(HSV5)에서는 상기 다수의 양방향 무선호출기(J1∼Jn) 중에 공차정보를 전송한 양방향 무선호출기에 대해서만 운송 서비스의 유효기능을 부여하여 고객과의 직접 통화연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호스트 서버(HSV5)는 상기 고객용 양방향 무선호출기(PG) 또는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4)로부터의 운송 서비스의 이용 요청정보가 특정한 운송수단에 설치된 양방향 무선호출기에 전소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호출 통신망이나 무선 통신망의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각각 탐지되는 상기 고객용 양방향 무선호출기(PG)나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4)에 대한 고객위치정보와 상기 운송수단의 양방향 무선호출기에 대한 운행위치정보가 일정한 시간동안 동일한 위치이거나 근거리의 위치인 것으로 탐지되면, 상기 고객이 해당 운송수단에 대해 운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해당 운송서비스의 이용요금을 부가하게 된다.
다음에,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서는 시내버스나 지하철 등과 같은 대중교통수단의 이용을 희망하는 고객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망을 통하거나, 네트워크 컴퓨터를 이용하여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서 호스트 서버에 접속하고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를 입력하게 되면, 호스트 서버에서는 상기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 소요되는 대중교통노선에 대한 전반적인 노선안내정보를 음성자동응답기능 또는 문자정보전송기능을 통해서 전달하게 되고, 네트워크 컴퓨터의 경우에는 전용의 웹사이트를 통해서 노선안내정보를 멀티미디어 방식의 웹정보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동 도면에서,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5)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호스트 서버(HSV6)와 접속하여 대중교통노선에 대한 노선안내정보를 음성 자동응답장치(ARS)를 통해서 음성의 형태로 전달받거나, 문자정보 처리장치(TEX)를 통해서 문자정보로서 제공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음성 자동응답장치(ARS)는 상기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5)의 선택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바, 호스트 서버(HSV6)에서 상기 고객의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 단시간의 교통노선정보를 음성정보로서 가공하여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5)에 전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문자정보 처리장치(TEX)는 상기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5)의 선택 조작에 따라 상기 음성 자동응답장치(ARS)와 별도로 선택적으로 동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바, 상기 호스트 서버(HSV6)로부터 산출된 해당 고객의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교통노선정보를 문자데이터로 가공하여 상기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5)에 전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동 도면에서, 상기 네트워크 컴퓨터(NC3)는 인터넷 접속에 필요한유선 또는 무선의 모뎀을 갖춤과 더불어 웹검색 전용의 브라우저 프로그램이 내장되고서,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서 웹서버(WSV)에 구축되어 있는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고객의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단시간의 교통노선정보를 멀티미디어 정보의 형태로 조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웹서버(WSV)는 자체적으로 구축된 웹사이트를 통해서 상기 네트워크 컴퓨터(NC3)를 소유한 고객의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교통노선정보를 문자, 화상, 음성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정보의 형태로 제공하게 된다.
동 도면에서, 정보 데이터베이스(DB6)에는 전국 시, 도, 군에 걸쳐서 분포되어 있는 시내 버스, 시외 버스, 지하철 등과 같은 대중교통수단에 대한 노선과, 운행시간, 운행요금, 소요시간 등의 다양한 대중교통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호스트 서버(HSV6)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5)와 접속되거나,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서 네트워크 컴퓨터(NC3)와 접속된 상태에서, 고객의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DB6)에 저장된 대중교통정보를 통해서 상기 고객이 목적지까지 단시간에 이동할 수 있는 대중교통노선의 노선안내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고객에게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호스트 서버(HSV6)는 소정의 목적지로 이동하고자 하는 고객이이동통신 단말기(MP5)를 통해서 접속한 상태에서는 해당 고객의 현재 위치와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를 입력할 것을 요구하는 안내메시지가 음성 자동응답장치(ARS)를 통해서 음성 자동응답방식으로 송출되도록 하는 바, 상기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5)에 구비된 번호키와 기능키의 선택 조작에 따라 조합되는 한글 형태의 키코드신호를 통해서 해당 고객의 현재 위치와 목적지의 지명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문자정보 처리장치(TEX)에서 상기 호스트 서버(HSV6)로부터 제공되는 고객의 노선안내정보를 문자정보의 형태로 가공하는 경우에, 상기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5)의 표시부 상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객의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 단시간 내에 이동할 수 있는 버스 노선, 지하철 노선 또는 버스 및 지하철을 연계한 복합 노선을 문자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그러한 대중교통노선의 안내와 더불어 각 대중교통수단의 이용요금과 소요시간 등의 부가정보가 함께 표시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대해 도 12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여 소정의 목적지로 이동하고자 하는 고객이 이동통신 단말기(MP5)를 조작하여 대중교통노선의 안내 서비스에 대해 할당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함에 의해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호스트 서버(HSV6)에 접속하거나, 네트워크 컴퓨터(NC3)를 이용하여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웹서버(WSV)에 구축된 웹사이트에 접속하게 된다(단계 S30).
그 상태에서, 호스트 서버(HSV6)에서는 상기 고객이 이동통신 단말기(MP5)를통해 접속하게 되면, 대중교통 노선의 노선안내정보를 음성 자동응답 방식으로 조회할 것인지 또는, 문자정보의 형태로 조회할 것인지의 여부를 선택할 것을 요구하게 되고, 해당 고객의 현재 위치와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안내메시지를 음성으로 송출한다.
그에 따라, 상기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5)에서는 해당 고객에 의해 현재의 위치와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를 번호키와 기능키의 선택 조작에 의해 조합되는 한글문자 형태의 키코드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상기 호스트 서버(HSV6)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P5)로부터의 키코드신호에 의해 해당 고객의 현재 위치와 목적지의 지명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 반면에, 상기 고객이 네트워크 컴퓨터(NC3)를 이용하여 웹서버(WSV)의 웹사이트에 접속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웹사이트 상에서 입력되는 현재 위치 및 목적지의 입력정보를 통해 해당 고객의 현재 위치 및 목적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단계 S31).
그에 따라, 상기 호스트 서버(HSV6)는 상기 고객의 현재 위치와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의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데이터베이스(DB6)에 저장된 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고객이 단시간 내에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는 최적의 교통편을 안내하기 위한 노선안내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호스트 서버(HSV6)는 상기 고객이 이동통신 단말기(MP5)를 사용하여 대중교통노선의 노선안내정보를 음성 자동응답장치(ARS)를 통하여 음성 자동응답 방식으로 조회하기 위한 선택 조작을 수행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S32).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고객이 이동통신 단말기(MP5)를 사용하여 음성 자동응답 방식으로 노선안내정보를 조회하고자 하는 선택 조작이 수행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호스트 서버(HSV6)는 상기 음성 자동응답장치(ARS)에서 대중교통노선의 노선안내정보가 음성정보의 형태로 가공되도록 하고 나서(단계 S33),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5)에 음성으로 송출되도록 한다(단계 S34).
한편, 상기 단계 S32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고객이 이동통신 단말기(MP5)를 사용하여 노선안내정보를 음성 자동응답 방식으로 조회하기 위한 선택 조작이 수행되지 않고 있다고 판단되면, 문자정보 처리장치(TEX)에 의해 문자정보의 형태로 조회하고자 하는 선택 조작이 이루어졌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5).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호스트 서버(HSV6)는 상기 고객이 이동통신 단말기(MP5)를 이용하여 노선안내정보를 문자정보의 형태로 조회하기 위한 선택 조작이 수행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문자정보 처리장치(TEX)를 통해서 노선안내정보가 문자데이터로 변환되고(단계 S36),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P5)의 표시부 상에 문자로서 송출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37).
그 반면에, 상기 단계 S35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고객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호스트 서버(HSV6)에서는 상기 고객이 네트워크 컴퓨터(NC3)를 조작하여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서 웹서버(WSV)에 구축된 웹사이트를 접속하고 있다고 판단하게 되어, 상기 노선안내정보를 멀티미디어 방식의 웹정보의 형태로 가공하게 되고(단계 S38), 상기 웹정보 형태의 노선안내정보가 웹사이트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컴퓨터(NC3)에 의해 조회가 가능하도록 게재시키게 된다(단계 S39).
그 결과, 상기 단계 S34와 단계 S37 및 단계 S39의 수행 이후에, 상기 호스트 서버(HSV6)에서는 상기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MP5)와 네트워크 컴퓨터(NC3)에 대해 대중교통노선에 대한 노선안내정보를 조회한 대가로서의 이용요금을 산정하게 된다(단계 S40).
다음에,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13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은, 예컨대 택시와 같은 다수의 운송차량(K1∼Kn)에 설치된 각각의 주행 미터기(L1∼Ln)와 이동통신 터미널(M1∼Mn) 및 이동통신 단말기(HP1∼HPn)와, 다수의 이동통신 기지국(N1∼Nn), 이동통신 중계국(20), 이동통신 교환기(22), 게이트웨이 서버(24), 호스트 서버(HSV7), 지리정보 처리서버(26), 정보 데이터베이스(DB7), 개인용 컴퓨터단말(28), 교통정보 관리서버(30)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서, 상기 다수의 주행 미터기(L1∼Ln)는 예컨대 택시와 같은 각각의 운송차량(K1∼Kn)에 대한 운행시간 및 운행거리를 환산하여 운송요금을 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운송요금을 산출하기 위한 운행시간 및 운행거리의 정보를각 이동통신 터미널(M1∼Mn)을 통해서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HP1∼HPn)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 다수의 이동통신 터미널(M1∼Mn)은 각각의 주행 미터기(L1∼Ln)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HP1∼HPn) 간을 연결하여 각 주행 미터기(L1∼Ln)로부터의 운행시간 및 운행거리의 정보를 각 이동통신 단말기(HP1∼HPn)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HP1∼HPn)는 각각의 운송차량(K1∼Kn)에 구비되고서, 상기 이동통신 터미널(M1∼Mn)를 통해 각각의 주행 미터기(L1∼Ln)로부터 운행시간 및 운행거리의 정보를 전송받게 되면, 상기 호스트 서버(HSV7)에서 할당된 전화번호로 호접속을 수행하여 운행시간 및 운행거리의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게 된다.
동 도면에서, 다수의 이동통신 기지국(N1∼Nn)은 상기 운송차량(K1∼Kn)이 운행가능한 다수의 지역에 분산적으로 배치되고서, 해당 운송차량(K1∼Kn) 내에 탑재된 각 이동통신 단말기(HP1∼HPn)와 무선으로 정보통신을 진행함과 더불어, 각 이동통신 단말기(HP1∼HPn)의 위치를 검출하여 위치정보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 이동통신 중계국(20)은 상기 다수의 이동통신 기지국(N1∼Nn)과 이동통신 교환기(22)와의 사이에 교신되는 정보를 중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22)는 상기 각 이동통신 단말기(HP1∼HPn)의 호접속 시도에 따라 상기 호스트 서버(HSV7)에 할당된 전화번호로 호접속을 수행하고, 각 이동통신 단말기(HP1∼HPn)로부터 제공되는 각 운송차량(K1∼Kn)의 운행시간 및 운행거리의 정보와, 이동통신 기지국(N1∼Nn)에 의해 검출되는 이동통신 단말기(HP1∼HPn)의위치정보를 상기 호스트 서버(HSV7)에 전송한다.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24)는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22)와 인터넷 통신망을 통한 호스트 서버(HSV7) 사이에 교환되는 정보 데이터의 프로토콜을 변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호스트 서버(HSV7)는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22)로부터 전송되는 각 이동통신 단말기(HP1∼HPn)로부터의 운행시간 및 운행거리의 정보와, 각 이동통신 기지국(N1∼Nn)에 의해 검출되는 이동통신 단말기(HP1∼HPn)의 위치정보를 인터넷 웹정보의 형태로 수신받게 되고, 상기 지리정보 처리서버(26)는 상기 호스트 서버(HSV7)로부터 수신받은 각 이동통신 단말기(HP1∼HPn)의 위치정보(즉, 각 운송차량(K1∼Kn)의 위치정보)와, 그 운행시간 및 운행거리의 정보를 토대로 인터넷 웹정보의 형태로 전자 맵(Map)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리정보 처리서버(26)에 의해 작성되는 전자 맵정보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HP1∼HPn)의 위치정보와, 운행시간 및 운행거리에 대해 산출되는 데이터에 의해, 각 도로구간의 차량에 대한 평균 운행속도와 구간별 도로정체 상태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래픽정보와 문자/숫자 정보의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DB7)는 상기 호스트 서버(HSV7)를 통하여 수신받은 각 운송차량(K1∼Kn)의 위치정보와, 운행시간 및 운행거리의 정보를 저장하게 되고, 그러한 정보들을 토대로 작성된 전자 맵정보의 데이터값을 저장하게 된다.
한편, 동 도면에서 개인용 컴퓨터단말(28)에서는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지리정보 처리서버(26)의 맵정보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소망하는 도로구간에 대한 도로 운행상태에 대한 전자 맵정보의 웹페이지 데이터를 상기 지리정보 처리서버(26)로부터 수신받아 가시적으로 조회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개인용 컴퓨터단말(28)은 상기 지리정보 처리서버(26)에 대해 일반 회원으로서 회원계정이 이루어진 개인 사용자가 전자 맵정보의 조회를 위해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교통정보 관리서버(30)는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지리정보 처리서버(26)와 접속하여 상기 다수의 운송차량(K1∼Kn)에 대한 평균 운행속도와 도로정체 상태의 전자 맵정보를 수신받음에 의해, 그 전자 맵정보를 교통정보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데이터로서 활용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르면, 예컨대 택시와 같이 광범위한 도로구간을 수시로 운행하는 다수의 운송차량(K1∼Kn)에 대한 운행시간과 운행속도의 정보를 해당 운송차량(K1∼Kn) 내에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HP1∼HPn)를 통해서 수신받고, 각 이동통신 단말기(HP1∼HPn)에 대한 현재의 위치정보가 검출되면, 지리정보 처리서버(26)에서는 상기 다수의 운송차량(K1∼Kn)에 대한 운행시간과 운행거리의 정보와 위치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평균 운행속도와 도로정체 구간을 산출한 전자 맵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지리정보 처리서버(26)는 상기 운송차량(K1∼Kn)의 평균 운행속도와 도로정체 구간에 대한 정보를 갖춘 전자 맵정보를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서 온라인으로 특정한 개인용 컴퓨터단말(28)이나 교통정보 관리서버(30)에 제공함에 의해서 개인 사용자가 개인적인 용도로 교통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교통정보 관리서버(30)에서 전자 맵정보를 통해서 공공목적의 교통정보 관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에,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14는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은, 소정의 운송차량 내에 탑재되는 주행미터기(LL)와 이동통신 터미널(MM) 및 이동통신 단말기(HPL1)와, 이동통신 기지국(32), 이동통신 중계국(34), 이동통신 교환기(36), 게이트웨이 서버(38), 호스트 서버(HSV8), 정보 데이터베이스(DB8), 데이터 처리서버(40), 다수의 운행정보 관리서버(P1∼Pn)로 구성된다.
상기 주행 미터기(LL)는 예컨대 택시와 같은 운송차량 내에 탑재되고서, 해당 운송차량 내에 승객이 탑승하거나 소정 화물이 적재된 상태에서의 운행시간 및 운행거리를 환산하여 운송요금을 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운송요금을 산출하기 위한 운행시간 및 운행거리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터미널(MM)을 통해서 이동통신 단말기(HPL1)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 이동통신 터미널(MM)은 상기 주행 미터기(LL)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HPL1) 간을 연결하여, 해당 주행 미터기(LL)로부터의 운행시간 및 운행거리의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HPL)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HPL1)는 상기 이동통신 터미널(MM)을 통해 주행 미터기(LL)로부터 운행시간 및 운행거리의 정보를 전송받게 되면, 상기 호스트 서버(HSV8)에서 할당된 전화번호로 호접속을 수행하여 운행시간 및 운행거리의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HPL1)는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수신받은 정보를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예컨대 LCD와 같은 박형의 표시소자로 이루어진 표시수단(도시되지 않음)을 갖추고 있고, 상기 호스트 서버(HSV7)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수신받게 되면 그 정보의 수신상태를 가시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표시수단을 반복적으로 점멸구동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 도면에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32)은 상기 운송차량 내에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HPL1)와 무선으로 정보통신을 진행함과 더불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HPL1)의 위치를 검출하여 위치정보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 이동통신 중계국(34)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32)과 이동통신 교환기(36)와의 사이에 교신되는 정보를 중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36)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HPL1)의 호접속 시도에 따라 상기 호스트 서버(HSV8)에 할당된 전화번호로 호접속을 수행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HPL1)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운송차량에 승객이 탑승하거나 소정 화물이 적재된 상태에서의 운행시간 및 운행거리의 정보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32)에 의해 검출되는 이동통신 단말기(HPL1)의 위치정보를 상기 호스트 서버(HSV8)에 전송한다.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38)는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36)와 인터넷 통신망을 통한 호스트 서버(HSV8) 사이에 교환되는 정보 데이터의 프로토콜을 변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호스트 서버(HSV8)는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36)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HPL1)로부터의 운행시간 및 운행거리의 정보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32)에 의해 검출되는 이동통신 단말기(HPL1)의 위치정보를 인터넷 웹정보의 형태로 수신받게 된다.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40)는 상기 호스트 서버(HSV8)로부터 수신받은 운행시간 및 운행거리의 정보 즉, 상기 운송차량에 승객이 탑승하거나, 소정 화물이 적재된 상태에서의 운행시간 및 운행거리의 정보와, 해당 운송차량의 위치정보를 통해 운행요금 정보와, 차량 관리정보, 구간별 운행빈도의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자료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HPL1)를 탑재한 운송차량의 소속처에 관련정보를 온라인으로 제공한다.
동 도면에서, 다수의 운행정보 관리서버(P1∼Pn)는 예컨대 택시회사나, 화물운송 회사, 지정 정비영업소 등에 설치되어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40)와 인터넷 통신망 또는 전용선망으로 접속되고서,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40)로부터 해당 운송차량에 대한 운행요금 정보와, 차량 관리정보, 구간별 운행빈도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가공정보를 온라인으로 수신받아 경영정책 자료나, 차량의 정비관리 자료 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르면, 예컨대 택시로 운행되는 소정의 운송차량에서 승객을 탑승시킨 상태에서 운행하는 경우에, 주행미터기(LL)에서는 해당 운송차량의 운행시간 및 운행거리를 연산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이동통신 터미널(MM)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HPL1)에 전송하게 되고,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HPL1)에서는 호스트 서버(HSV8)에 할당된 전화번호로 자동 호접속을 수행하여 상기 주행 미터기(LL)로부터 수신받은 운행시간 및 운행거리의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이동통신 기지국(32)에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HPL1)와 무선 통신을 진행함에 의해서 상기 운송차량의 운행시간 및 운행거리의 정보를 전달하게 되고, 그 이동통신 단말기(HPL1)의 위치를 검출하는데 따른 위치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그에 따라, 이동통신 교환기(36)에서는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32)으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운송차량의 운행시간 및 운행거리의 정보와, 위치정보를 게이트웨이 서버(38)를 통하여 호스트 서버(HSV8)에 전송하게 되고, 데이터 처리서버(40)에서는 상기 호스트 서버(HSV8)를 통해서 수신되는 상기 운송차량의 운행시간 및 운행거리의 정보와,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운행요금 정보와, 차량의 관리정보, 구간별 운행빈도 정보 등과 같은 정보자료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40)에 의해 생성된 각종의 정보자료는 정보의 특성에 따라 다수의 운행정보 관리서버(P1∼Pn) 중에서 해당되는 운행정보 관리서버에 각각 전송된다.
다음에,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15는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다른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다른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은,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HPL2)와, 호스트 서버(HSV9), 정보 데이터베이스(DB9), 문자인식 처리서버(42), 데이터 중계장치(DC6), 다수의 차량용 이동통신 단말기(Q1∼Qn)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서, 상기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HPL2)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호스트 서버(HSV9)와 호접속을 수행하여 고객의 키입력 조작에 따라 자신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문자메시지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호스트 서버(HSV9)에서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HPL2)로부터의 문자메시지 정보를 수신받게 되고, 상기 문자인식 처리서버(42)에 의해 상기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HPL2)의 현재 위치가 검출되면, 다수의 운송차량용 이동통신 단말기(Q1∼Qn) 중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HPL2)의 위치에 근접한 운송차량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호출하여 고객과 통화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DB9)에서는 다수의 운송차량의 이동통신 단말기(Q1∼Qn)에 대한 전화번호와, 각 운송차량의 소속지역 코드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호스트 서버(HSV9)를 통해서 수신받은 문자메시지 정보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HPL2)의 전화번호 정보와 함께 저장함과 더불어, 각 운송차량용 이동통신 단말기(Q1∼Qn)로부터의 문자메시지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 문자인식 처리서버(42)는 상기 호스트 서버(HSV9)로부터 수신받은 문자메시지 정보에 대한 문자내용을 인식하여 해당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HPL2)의 현재 위치와, 상기 운송차량용 이동통신 단말기(Q1∼Qn)의 운행위치를 검출하게 되고, 상기 데이터 중계장치(DC6)는 상기 문자인식 처리서버(42)의 문자인식 처리의 결과로 검출되는 위치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소정의 운송차량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HPL2)와의 통화 접속이 가능하도록 한다.
동 도면에서, 상기 다수의 운송차량용 이동통신 단말기(Q1∼Qn)는 예컨대 택시 등과 같은 운송차량의 내부에 탑재되고서,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호스트 서버(HSV9)에 각 운송차량의 현재 운행위치를 알리는 문자메시지 정보를 작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호스트 서버(HSV9)에 의해 상기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HPL2)와의 직접 통화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운송차량용 이동통신 단말기(Q1∼Qn)에서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호스트 서버(HSV9)에 해당 운송차량을 초기 등록시키는 경우에, 각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각 운송차량이 소속되어 있는 지역의 소속지역 코드정보(예컨대 택시의 회사가 소속되어 있는 지역코드)를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호스트 서버(HSV9)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 실시양태에 구애받지않고 그 요지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음성 통화 또는 문자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나 인터넷 전화기능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운송서비스 및 노선안내 서비스가 구현되도록 하고 있지만, 예컨대 IMT2000과 같은 음성과 정지화상, 동화상을 통한 통화가 가능한 화상 전화기에도 얼마든지 적용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운송서비스는 택시에 의한 택시호출 서비스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고객의 차량에서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 사고차량의 수리업무를 담당하는 수리업체에 의한 차량이송 서비스와, 관광버스나 중/소형 렌트 차량에 대한 차량 렌탈 서비스에도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운송서비스는 주로 소형 화물의 운송을 담당하는 택배용 운송수단에 의한 택배 운송서비스에 본 발명의 기능을 부여하여 운송수단과 화주와의 사이에 서비스 이용을 위한 직접 통화 접속과, 상호간의 위치확인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에서는 호스트 서버에 의해 고객과 운송차량 간의 운송서비스를 위한 통화연결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지만, 해당 고객의 통신단말과 호스트서버 간에 임의의 교환수가 개입되어 있고, 그 교환수가 고객의 현재위치 및 목적지를 통화동작에 의해 수신받게 되면, 호스트서버를 통한 운송차량의 통신단말과의 통신접속에 의해 교환수가 고객의 위치와 목적지 및전화번호 등의 문자정보를 입력하게 되고, 호스트서버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의 조작에 의해 교환수에 의해 입력된 문자정보 중에서 고객의 위치에 대한 문자를 인식하게 되는 한편, 해당 고객의 위치에 인접하는 운송차량을 검색하여 문자서비스에 의해서 운송차량용 통신단말에 문자메시지 형태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최종적으로 고객과 운송차량이 신속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택시의 호출 서비스나 차량의 렌탈 서비스 또는 사고차량의 수리업체를 통한 수리 서비스 등과 같은 운송수단에 의한 운송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이 별도의 상담원을 통한 서비스 접수나 양자 간의 반복적인 연락을 통하지 않고서도, 1회의 직접 통화 접속에 의해 소망하는 운송수단에 의한 운송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보다 신속한 서비스의 연결이 가능함과 더불어, 별도의 상담원을 두거나 운송수단과 고객 간에 반복적인 전화 연락을 수행해야 하는 인적, 비용적 부담이 경감됨에 따라 저비용의 서비스 실현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운송서비스를 희망하는 고객의 위치와, 운송을 담당하는 운송수단의 운행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고객과 운송수단의 서비스 연결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운송수단의 운영비용 절감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대중교통을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이 대중교통노선의 노선안내 서비스를 통해서 효율적인 교통노선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안내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고객이 대중교통노선의 노선안내정보를 참조하여 단시간 내에 원하는 목적지까지 신속하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34)

  1. 운송차량에 의한 운송서비스를 희망하는 고객의 조작에 의해 운송차량과 직접 통화 접속되는 고객용 통신수단과,
    운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송차량에 구비되어 상기 고객용 통신수단과 직접 통화 접속되는 다수의 운송차량용 통신수단,
    상기 다수의 운송차량과 그 운송차량용 통신수단에 대한 회원정보와, 각 운송차량용 통신수단의 접속이력정보 및 고객용 통신수단에 대한 서비스 이용요금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정보 데이터베이스수단,
    상기 고객용 통신수단이 운송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접속하면,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수단의 회원정보와 접속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용 통신수단에 대해 상기 다수의 운송차량용 통신수단을 미리 결정된 순번에 따라 순차적으로 직접 통화 접속시키기 위한 호스트 서버수단 및,
    상기 호스트 서버수단의 호출명령에 따라 지정된 운송차량용 통신수단을 호출하여 상기 고객용 통신수단과 직접 통화 접속시키는 데이터 중계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용 통신수단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무선으로 통화 접속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용 통신수단은 공중전화망을 통해 유선으로 통화 접속되는 유선통신 단말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용 통신수단은 인터넷 통신을 위한 유/무선 모뎀과 전용의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갖추고서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 전화기능에 따른 통화 접속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컴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운송차량용 통신수단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무선으로 통화 접속을 수행하여, 상기 호스트 서버수단에 운송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공차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
  6. 운송차량에 의한 운송서비스를 희망하는 고객이 통신수단을 사용하여 운송서비스에 대해 할당된 전화번호를 통해 통화 접속을 수행하는 단계와,
    운송서비스를 관리하는 호스트 서버에서 고객용 통신수단으로부터 통화 접속이 이루어지면, 다수의 운송차량에 각각 구비된 통신수단 중에서 미리 결정된 순번의 운송차량용 통신수단을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운송차량용 통신수단의 호출 처리에 의해, 해당 운송차량용 통신수단과 고객용 통신수단을 직접 통화 접속시켜서 운송계약을 위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에서, 운송차량에 의한 운송서비스는 택시에 의한 택시호출 서비스에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에서, 운송차량에 의한 운송서비스는 사고차량에 대한 수리업체의 차량이송 서비스에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에서, 운송차량에 의한 운송서비스는 각종 렌트차량에 대한 차량 렌탈 서비스에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에서, 운송차량에 의한 운송서비스는 택배차량에 의한 택배 서비스에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차량용 통신수단을 호출하는 단계에서, 미리 결정된 순번의 운송차량용 통신수단에서 호출에 대한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다음 순번의 운송차량용 통신수단을 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방법.
  12. 운송차량에 의한 운송서비스를 희망하는 고객의 조작에 의해 현재의 위치를 알리는 위치정보를 전송함과 더불어, 운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송차량과 직접 통화 접속되는 고객용 통신수단과,
    운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송차량에 구비되어, 해당 운송차량의 운행위치를 알리는 운행정보를 전송함과 더불어, 상기 고객용 통신수단과 직접 통화 접속되는 다수의 운송차량용 통신수단,
    상기 다수의 운송차량과 그 운송차량용 통신수단에 대한 회원정보와, 각 운송차량용 통신수단의 현재 운행위치정보 및 고객용 통신수단에 대한 서비스 이용요금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정보 데이터베이스수단,
    상기 고객용 통신수단이 운송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접속하면,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수단의 회원정보와 각 운송차량에 대한 운행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용 통신수단의 현재 위치에 근접하게 운행하는 운송차량을 검색하고, 그 근접 운행하는 운송차량의 통신수단과 고객용 통신수단을 직접 통화 접속시키기 위한 호스트 서버수단 및,
    상기 호스트 서버수단의 호출명령에 따라 지정된 운송차량용 통신수단을 호출하여 상기 고객용 통신수단과 직접 통화 접속시키는 데이터 중계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용 통신수단은 GPS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위치정보를 수신받아 고객위치정보로서 상기 호스트 서버수단에 전송하고, 무선 통신망을 통해 무선으로 통화 접속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서버수단은 고객의 현재 위치의 입력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 자동응답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객용 통신수단은 공중전화망을 통해 유선으로 통화 접속되어 상기 음성 자동응답 시스템의 서비스 실행에 의해 고객의 현재 위치정보를 입력하고, 소정의 운송차량용 통신수단과 직접 통화 접속되는 유선통신 단말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용 통신수단은 공중전화망을 통해 유선으로 통화 접속되면, 상기 공중전화망의 전화 교환기에서 파악되는 전화번호에 의한 사용자정보를 통해서 고객의 현재 위치가 파악되고, 소정의 운송차량용 통신수단과 직접 통화 접속되는 유선통신 단말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서버수단은 상기 고객용 통신수단의 조작에 의해 해당 고객의 현재 위치를 입력하고 인터넷 전화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인터넷 웹사이트를 구축하고 있고,
    상기 고객용 통신수단은 인터넷 통신을 위한 유/무선 모뎀과 전용의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갖추고서,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상기 호스트 서버수단에 구축된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해당 고객의 현재 위치를 입력함과 더불어, 인터넷 전화기능에 따른 통화 접속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컴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운송차량용 통신수단은 GPS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위치정보를 수신받아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각 운송차량의 운행위치정보로서 전송함과 더불어,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고객용 통신수단과 직접 통화 접속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
  18. 제 13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서버수단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이루어진 고객용 통신수단과 운송차량용 통신수단으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GPS위성에 의한 위치정보가 일정시간 동안 각각 근접한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탐지함에 의해 고객의 운송서비스 이용 여부가 확인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수단에 저장된 운행위치정보는 소정 기간 단위에 따라 수시로 업데이트되어 저장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서버수단은 상기 고객이 통신수단을 이용한 운송서비스의 서비스 접속 횟수에 따라 이용요금을 부과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
  21.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차량이 고객을 탑승하고 운행한 거리와 시간을 적산하여 운행요금을 산정하고, 그 운행요금을 운행정보로서 전송하는 운행 측정수단과, 상기 운행 측정수단으로부터의 운행정보를 각 운행차량용 통신수단을 통해 전송 가능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인터페이스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호스트 서버수단은 상기 운행차량용 통신수단을 통해 수신되는 운행 측정수단으로부터의 운행정보에 의한 운행요금에 따라 고객의 서비스 이용요금을 차별적으로 부과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
  22.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서버수단은 상기 고객의 위치정보에 따라지도위치데이터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고객의 현재 위치에 근접하게 운행되는 운행차량의 통신수단 측으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지고,
    각 운송차량 내에 탑재되어 GPS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운송서비스를 희망하는 고객의 지도위치데이터를 수신받아 표시화면의 전자지도 상에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차량용 네비게이션장치와, 해당 운행차량용 통신수단을 통해 수신되는 지도위치데이터를 데이터 변환하여 상기 차량용 네비게이션장치에 출력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
  2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운송차량용 통신수단은 각 운송차량에 대해 미리 결정된 운행지역별 고유코드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운행정보의 전송시에 상기 고유코드 정보를 함께 전송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
  24. 운송수단에 의한 운송서비스를 희망하는 고객의 조작에 의해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운송차량과 직접 통화 접속하기 위한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와 고주파수 신호의 교신에 의해 통화가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제 1무선 통신망 수단,
    운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송차량에 구비되어,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와 직접 통화 접속하기 위한 운송차량용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운송차량용 이동통신 단말기와 고주파수 신호의 교신에 의해 통화가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제 2무선 통신망 수단,
    상기 다수의 운송차량과 그 운송차량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회원정보와, 각 운송차량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운행위치정보 및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서비스 이용요금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정보 데이터베이스수단,
    상기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가 운송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접속하면, 상기 제 1무선 통신망 수단에 의해 파악되는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대해 상기 제 2무선 통신망 수단에 의해 파악되는 운송차량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행위치를 검색하고,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근접하게 운행하는 운송차량을 호출하여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와 직접 통화 접속시키기 위한 호스트 서버수단 및,
    상기 호스트 서버수단의 호출명령에 따라 지정된 운송차량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호출하여 상기 고객용 이동통신 단말기와 직접 통화 접속시키는 데이터 중계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
  25. 운송수단에 의한 운송서비스를 희망하는 고객의 조작에 의해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운송차량에 대해 운송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고객용 무선 통신수단과,
    상기 고객용 무선 통신수단과 고주파수 신호의 교신에 의해 무선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해당 무선 통신수단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제 1무선 통신망 수단,
    운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송차량에 구비되어,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고객용 무선 통신수단으로부터의 운송 서비스의 요청에 응답하는 무선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운송차량용 무선 통신수단,
    상기 운송차량용 무선 통신수단과 고주파수 신호의 교신에 의해 무선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해당 무선 통신수단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제 2무선 통신망 수단,
    상기 다수의 운송차량과 그 운송차량용 무선 통신수단에 대한 회원정보와, 각 운송차량용 무선 통신수단의 현재 운행위치정보 및 고객용 무선 통신수단에 대한 서비스 이용요금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정보 데이터베이스수단,
    상기 고객용 무선 통신수단이 운송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접속하면, 상기 제 1무선 통신망 수단에 의해 파악되는 고객용 무선 통신수단의 현재 위치에 대해 상기 제 2무선 통신망 수단에 의해 파악되는 운송차량용 무선 통신수단의 운행위치를 검색하고, 고객용 무선 통신수단의 현재 위치에 근접하게 운행하는 운송차량을 호출하여 고객용 무선 통신수단과 무선 교신이 가능하도록 고객정보를 전송하는 호스트 서버수단 및,
    상기 호스트 서버수단의 호출명령에 따라 지정된 운송차량용 무선 통신수단을 호출하여 상기 고객용 무선 통신수단과의 무선 교신을 위한 중계처리를 수행하는 데이터 중계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서버수단은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수단에 의해 고객용 무선 통신수단의 현재 위치가 검출되면, 상기 고객용 무선 통신수단에 위치검출의 허용을 문의하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고객용 무선 통신수단으로부터 위치검출을 허용하는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고객용 무선 통신수단의 현재 위치를 알리는 문자메시지를 운송차량용 무선 통신수단에 전송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
  27. 대중교통노선의 노선안내 서비스를 희망하는 고객이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통신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고객이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고객의 현재 위치와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를 입력하는 단계,
    노선안내 서비스를 관리하는 호스트 서버에서 고객의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 단시간 내에 이동할 수 있는 대중교통노선을 검색하여 노선안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수단으로 노선안내정보를 음성정보와 문자정보 및 멀티미디어정보의 형태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방법.
  28. 다수의 운송차량 내에 각각 탑재되어 각 운송차량의 주행정보를 생성하여 무선으로 전송하는 다수의 주행정보 전송수단과,
    상기 다수의 주행정보 전송수단과의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각 주행정보 전송수단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무선 통신망수단,
    상기 무선 통신망수단을 통해 상기 다수의 주행정보 전송수단에 대한 주행정보와, 위치정보를 수신받아 각 도로구간별 교통상황을 위한 지리정보를 작성하는 지리정보 처리서버,
    상기 다수의 주행정보 전송수단에 대한 주행정보와,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데이터베이스수단 및,
    정보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지리정보 처리서버로부터의 지리정보를 온라인으로 수신받는 지리정보 수취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주행정보 전송수단은 각 운송차량의 주행거리와 주행시간의 정보를 생성하는 주행 미터기와, 상기 주행 미터기로부터의 주행거리 및 주행시간의 정보를 수신받아 무선으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주행 미터기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정보 교환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이동통신 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지리정보 처리서버에서 작성되는 지리정보는 각 도로구간의 차량에 대한 평균 운행속도와 구간별 도로정체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갖는 인터넷 웹정보 형태의 전자 맵정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
  31. 승객을 탑승시키거나, 소정 화물을 탑재하여 운행되는 다수의 영업용 운송차량에 대한 운송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운송차량 내에 각각 탑재되어 각 운송차량의 영업을 위한 운행에 따른 주행정보를 생성하여 무선으로 전송하는 다수의 주행정보 전송수단과,
    상기 다수의 주행정보 전송수단과의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각 주행정보 전송수단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무선 통신망수단,
    상기 무선 통신망수단을 통해 상기 다수의 주행정보 전송수단에 대한 주행정보와, 위치정보를 수신받아 각 운송차량에 대한 영업관리 정보를 작성하는 데이터 처리서버,
    상기 다수의 주행정보 전송수단에 대한 주행정보와,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데이터베이스수단 및,
    정보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로부터의 영업관리 정보를 온라인으로 수신받아 각 운송차량의 영업관리를 수행하는 영업정보 수취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주행정보 전송수단은 각 운송차량의 영업을 위한 운행에 따른 주행거리와 주행시간의 정보를 생성하는 주행 미터기와, 상기 주행 미터기로부터의 주행거리 및 주행시간의 정보를 수신받아 무선으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주행 미터기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정보 교환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이동통신 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서버에서 작성되는 영업관리 정보는 운행요금 정보와, 차량 관리정보, 구간별 운행빈도의 정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
  34. 운송차량에 의한 운송서비스를 희망하는 고객의 조작에 의해 현재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문자정보를 전송함과 더불어, 운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송차량과 직접 통화 접속되는 고객용 통신수단과,
    운송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운송차량에 각각 구비되어, 각 운송차량의 운행위치를 알리는 문자메시지 정보를 전송함과 더불어, 상기 고객용 통신수단과 직접 통화 접속되는 다수의 운송차량용 통신수단,
    상기 다수의 운송차량용 통신수단의 접속번호와, 각 운송차량의 소속지역 코드정보가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고객용 통신수단으로부터 수신받은 고객의 현재 위치에 대한 문자메시지 정보와, 다수의 운송차량용 통신수단으로부터의 각 운송차량의 운행위치에 대한 문자메시지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데이터베이스수단,
    상기 고객용 통신수단과 다수의 운송차량용 통신수단으로부터 각각 수신받은 문자메시지 정보에 대한 문자내용을 인식하여 고객의 현재 위치정보 및 각 운송차량의 운행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문자인식 처리수단,
    상기 문자인식 처리수단으로부터 생성되는 고객의 현재 위치정보를 기초로, 고객의 현재 위치와 근접하는 운행위치의 운송차량용 통신수단과 고객용 통신수단을 직접 통화접속 시키기 위한 호스트 서버수단 및,
    상기 호스트 서버수단의 호출명령에 따라 지정된 운송차량용 통신수단을 호출하여 상기 고객용 통신수단과 직접 통화 접속시키는 데이터 중계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
KR10-2001-0045422A 2000-08-10 2001-07-27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과 그 방법 KR100494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1955729A EP1384218B1 (en) 2000-08-10 2001-08-08 Transportation information system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US10/344,508 US7499714B2 (en) 2000-08-10 2001-08-08 Transportation information using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thereof
PCT/KR2001/001348 WO2002017270A1 (en) 2000-08-10 2001-08-08 Transportation information using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thereof
DE60136103T DE60136103D1 (de) 2000-08-10 2001-08-08 Transportinformationssystem unter verwendung eines kommunikationsnetzes
AT01955729T ATE410762T1 (de) 2000-08-10 2001-08-08 Transportinformationssystem unter verwendung eines kommunikationsnetzes
EP08017469A EP2034447A3 (en) 2000-08-10 2001-08-08 System for processing transportation information using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thereof
AU2001277796A AU2001277796A1 (en) 2000-08-10 2001-08-08 Transportation information using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thereof
US12/359,581 US8116836B2 (en) 2000-08-10 2009-01-26 Transportation information using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323A KR20000063909A (ko) 2000-08-10 2000-08-10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과 그 방법
KR1020000046323 2000-08-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3716A true KR20020013716A (ko) 2002-02-21
KR100494525B1 KR100494525B1 (ko) 2005-06-10

Family

ID=1968261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323A KR20000063909A (ko) 2000-08-10 2000-08-10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과 그 방법
KR10-2001-0045422A KR100494525B1 (ko) 2000-08-10 2001-07-27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과 그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323A KR20000063909A (ko) 2000-08-10 2000-08-10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과 그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499714B2 (ko)
EP (1) EP2034447A3 (ko)
KR (2) KR20000063909A (ko)
AT (1) ATE410762T1 (ko)
DE (1) DE60136103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20844A1 (en) * 2007-04-02 2008-10-09 Chi Seung Won Chartered flight swapping business mod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7476B2 (en) * 1997-10-22 2015-11-03 American Vehicular Sciences Llc Method and system for guiding a person to a location
KR100408931B1 (ko) * 2000-12-08 2003-12-11 우종현 통신망을 이용한 승객/화물 운송 최적화 시스템 및 방법
KR100430897B1 (ko) * 2001-01-19 2004-05-10 팅크웨어(주) 이동단말 위치확인 기법에 의한 호출 서비스 제공장치 및방법
KR100433734B1 (ko) * 2001-06-18 2004-06-04 이재욱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자동연결 서비스 방법
US20030054837A1 (en) * 2001-09-17 2003-03-20 Ennis Mark Kieran Telephone call routing system and method
KR20010100190A (ko) * 2001-10-29 2001-11-14 장태관 유선 전화기를 이용한 콜 서비스 방법
KR100846535B1 (ko) * 2001-12-31 2008-07-15 주식회사 케이티 지능망 서비스에서 이동 단말의 근거리 라우팅 장치 및 그 방법
US20050227620A1 (en) * 2002-05-29 2005-10-1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system
MD3405B2 (ro) * 2004-06-21 2007-09-30 БЕРЕКЕЛЯ Анатолий Procedeu şi sistem automatizat de comandă a serviciilor de taximetru
US7962381B2 (en) * 2004-10-15 2011-06-14 Rearden Commerce, Inc. Service designer solution
EP1810467A4 (en) * 2004-11-09 2010-07-21 Anthony L Trujillo AUTOMATIC TELEPHONE NUMBER FOR SYSTEM AND METHOD FOR LINKING TO A WEB SITE
US8180796B1 (en) 2005-03-29 2012-05-15 Rearden Commerce, Inc. Supplier integration with services business language
US7353034B2 (en) 2005-04-04 2008-04-01 X One, Inc. Location sharing and tracking using mobile phones or other wireless devices
US20080004980A1 (en) * 2006-06-30 2008-01-03 Rearden Commerce, Inc. System and method for regulating supplier acceptance of service requests
ES2323997B1 (es) * 2006-12-29 2010-05-24 France Telecom España, S.A. Procedimiento para optimizar el establecimiento de llamada en funcion de la localizacion del llamante.
US9232076B2 (en) 2007-01-08 2016-01-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of providing status message calling
WO2008086412A2 (en) * 2007-01-09 2008-07-17 Iskoot, Inc.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udio data between computing devices
WO2008100909A2 (en) * 2007-02-12 2008-08-21 Iskoot,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in a user-device environment
CN101652789A (zh) 2007-02-12 2010-02-17 肖恩·奥沙利文 共享运输系统和服务网络
WO2008121965A2 (en) * 2007-03-29 2008-10-09 Iskoot,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server-based mobile chat
KR100830832B1 (ko) 2007-05-17 2008-05-2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단말과 텔레메틱스 단말 간의 단말 전환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KR100862151B1 (ko) * 2007-05-17 2008-10-0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텔레메틱스 단말과 이동 통신 단말 간의 단말 전환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08151033A2 (en) * 2007-05-30 2008-12-11 Iskoot,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pagating information across a network
US8391848B2 (en) * 2007-06-07 2013-03-05 Qualcomm Iskoot, Inc. Telecommunication call support for mobile devices with presence features
CN106209908B (zh) * 2007-12-14 2021-06-25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因特网通信环境和移动通信环境之间呼叫建立方法和装置
US8131307B2 (en) 2008-01-03 2012-03-06 Lubeck Olaf M Method for requesting transportation services
US7724652B2 (en) * 2008-01-08 2010-05-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of reducing network congestion
TWI402782B (zh) * 2009-03-20 2013-07-21 Taiwan Mobile Comm 車輛派遣方法、車輛派遣系統及應用其中之導航主機
US10453011B1 (en) 2009-08-19 2019-10-22 Allstate Insurance Company Roadside assistance
US9384491B1 (en) 2009-08-19 2016-07-05 Allstate Insurance Company Roadside assistance
US8645014B1 (en) 2009-08-19 2014-02-04 Allstate Insurance Company Assistance on the go
US9412130B2 (en) 2009-08-19 2016-08-09 Allstate Insurance Company Assistance on the go
US9659301B1 (en) 2009-08-19 2017-05-23 Allstate Insurance Company Roadside assistance
US10002198B2 (en) 2009-10-28 2018-06-19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obile taxi dispatch system
US9230292B2 (en) 2012-11-08 2016-01-05 Uber Technologies, Inc. Providing on-demand services through use of portable computing devices
WO2011069170A1 (en) 2009-12-04 2011-06-09 Uber, Inc. System and method for arranging transport amongst parties through use of mobile devices
CA2726165A1 (en) * 2009-12-30 2011-06-30 Trapeze Software Inc. Method and system for planning paratransit runs
US20130086229A1 (en) * 2010-06-15 2013-04-04 Yury Vitalevich Misolin Method for data interchange in a computer network (variants)
JP5488321B2 (ja) * 2010-08-05 2014-05-14 富士通株式会社 制御プログラム、中継サーバ装置及び中継制御方法
US20120278130A1 (en) * 2011-04-28 2012-11-01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Mobile traffic forecasting using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KR101110639B1 (ko) 2011-06-22 2012-06-12 팅크웨어(주) 세이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5772332B2 (ja) * 2011-07-20 2015-09-02 富士通株式会社 巡回路決定についてのプログラム、方法及び装置
US10055804B2 (en) 2011-09-20 2018-08-21 Metrobee, Llc Roaming transport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US10438146B2 (en) 2011-09-20 2019-10-08 Metrobee, Llc Roaming transport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CN102572697A (zh) * 2012-02-26 2012-07-11 沈哲 基于手持移动终端的出租车呼叫系统及方法
US9157748B2 (en) 2012-07-31 2015-10-13 Flatiron Apps LLC System and method for hailing taxicabs
US9671233B2 (en) 2012-11-08 2017-06-06 Uber Technologies, Inc. Dynamically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of a transit object to a computing device
JP6157344B2 (ja) * 2013-12-26 2017-07-05 アルパイン株式会社 電子装置および無線機器確認方法
US9888087B2 (en) 2014-03-31 2018-02-06 Uber Technologies, Inc. Adjusting attributes for an on-demand service system based on real-time information
US9654587B2 (en) * 2014-04-16 2017-05-16 Go Daddy Operating Company, LLC System for location-based website hosting optimization
US10467896B2 (en) 2014-05-29 2019-11-05 Rideshare Displays, Inc. Vehicle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9892637B2 (en) 2014-05-29 2018-02-13 Rideshare Displays, Inc. Vehicle identification system
WO2016031027A1 (ja) * 2014-08-28 2016-03-03 株式会社C-Grip 受付装置、受付システム、受付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52039A (ko) * 2014-11-03 2016-05-1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정확한 위치 정보를 자동으로 운행자에게 전송하는 기술 및 그 방법
KR20160052038A (ko) * 2014-11-03 2016-05-1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 정보를 이용한 승객 운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52042A (ko) * 2014-11-03 2016-05-1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부분 경로 매칭을 이용한 승객 안심기능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52040A (ko) * 2014-11-03 2016-05-1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호출한 승객과 운행자간의 정확한 연결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52041A (ko) * 2014-11-03 2016-05-1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 정보 기반 승객예약 운송 시스템 및 그 비용 처리 방법
WO2016127109A1 (en) 2015-02-05 2016-08-11 Uber Technologies, Inc. Programmatically determining location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a transport service
US10026506B1 (en) 2015-02-06 2018-07-17 Brain Trust Innovations I, Llc System, RFID chip, server and method for capturing vehicle data
US10009306B2 (en) * 2015-05-15 2018-06-26 Uber Technologies, Inc. Methods to mitigate communication delays between systems in connection with a transport service
JP6567376B2 (ja) * 2015-09-25 2019-08-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装置
US9939279B2 (en) 2015-11-16 2018-04-10 Uber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shared transport
US9813510B1 (en) 2016-09-26 2017-11-07 Uber Technologies, Inc. Network system to compute and transmit data based on predictive information
US10977604B2 (en) 2017-01-23 2021-04-13 Uber Technologies, Inc. Systems for routing and controlling vehicles for freight
US9898791B1 (en) 2017-02-14 2018-02-20 Uber Technologies, Inc. Network system to filter requests by destination and deadline
WO2018184536A1 (zh) * 2017-04-07 2018-10-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传输的方法和发送端设备
US10839695B2 (en) 2017-05-11 2020-11-17 Uber Technologies, Inc. Network computer system to position service providers using provisioning level determinations
CN109284880B (zh) * 2017-07-20 2021-09-07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装置、服务器、移动终端和可读存储介质
US11250372B2 (en) 2017-09-22 2022-02-15 Uber Technologies, Inc Freight network system using modularized trailers
US10293832B2 (en) 2017-10-25 2019-05-21 Uber Technologies, Inc. Network computer system to evaluate an operator of a freight vehicle
US11748817B2 (en) 2018-03-27 2023-09-05 Allstate Insurance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 assessment of safety parameters using sensors and sensor data
US11348170B2 (en) 2018-03-27 2022-05-31 Allstate Insurance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nd transferring digital assets
US11392881B2 (en) 2018-04-16 2022-07-19 Uber Technologies, Inc. Freight vehicle matching and operation
DE102018215636A1 (de) * 2018-09-13 2020-03-1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Computerprogramme und Vorrichtungen für eine Netzwerkkomponente und für ein Endgerät, Netzwerkkomponente, Endgerät, System
US11155263B2 (en) 2019-03-08 2021-10-26 Uber Technologies, Inc. Network computer system to control freight vehicle operation configurations
KR102117413B1 (ko) * 2019-05-09 2020-06-0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호출한 승객과 운행자간의 정확한 연결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371849B2 (en) * 2019-07-26 2022-06-28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vehicle usage
US11239874B2 (en) * 2020-01-30 2022-02-01 Deeyook Location Technologies Ltd.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location tag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69771B (sv) * 1990-11-27 1993-09-06 Leif Christer Ryden Saett foer att med hjaelp av en telefonvaexel kunna erbjuda en selektiv genomkoppling av en fast abonnentapparat till en naerbelaegen mobil abonnentapparat
JPH06150193A (ja) 1992-11-04 1994-05-31 Miura Senden:Kk タクシーの乗車報知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タクシー呼出装置
US5953673A (en) * 1994-06-10 1999-09-14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of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a calling subscriber of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a called mobile target subscriber of a mobile radio network
US5835376A (en) * 1995-10-27 1998-11-10 Total Technology, Inc. Fully automated vehicle dispatching, monitoring and billing
US5945919A (en) * 1996-05-30 1999-08-31 Trimble Navigation Limited Dispatcher free vehicle allocation system
JP3338619B2 (ja) 1996-09-18 2002-10-28 ソニー株式会社 管理局装置及び移動局端末装置
DE19646954B4 (de) * 1996-11-13 2006-09-21 T-Mobile Deutschland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einer Flotte aus Land- und/oder Wasserfahrzeugen
FR2757726B1 (fr) 1996-12-20 1999-03-19 Bannery Jacques Procede et systeme d'appel centralise pour acceder a un service, notamment pour l'appel centralise de taxis
KR100466997B1 (ko) * 1997-02-25 2006-03-24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택시 지령 시스템 및 그 지령 제어방법
JPH1146164A (ja) 1997-07-29 1999-02-16 Sony Corp 移動物体呼び出しシステム
IL123420A0 (en) * 1998-02-24 1998-09-24 Jaffe Shai Request dispatch system
JPH11283186A (ja) 1998-03-27 1999-10-15 Aisin Seiki Co Ltd 配車管理システム
JPH11283188A (ja) 1998-03-27 1999-10-15 Aisin Seiki Co Ltd 配車管理システム
KR100322257B1 (ko) * 1998-04-03 2002-02-07 강대섬 자기 위치 측정시스템과 이동전화 통신망을 이용한 영업용차량의 운영시스템
KR19980033511A (ko) * 1998-04-21 1998-07-25 윤인상 글로벌 위치설정 시스템과 페이저망을 이용한 택시 운행 장치및 방법
US6308060B2 (en) * 1998-06-15 2001-10-23 @Track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 path using a paging network
IL126364A0 (en) * 1998-09-25 1999-05-09 Sivanir Ltd Method and system of interlinking
JP2000222690A (ja) 1999-02-04 2000-08-11 Toyo Commun Equip Co Ltd 配車システム
KR19990046519A (ko) 1999-03-24 1999-07-05 최건 대규모차량군에적용가능한위치의존적차량호출방법과장치
JP2000341397A (ja) 1999-05-25 2000-12-08 Hiroyoshi Toyokawa 携帯電話とgpsを使った全国共通番号タクシー呼び出しシステム
JP2001119484A (ja) 1999-10-19 2001-04-27 Hiroyoshi Toyokawa インターネット移動端末を使ったタクシー呼び出しシステム
US6819919B1 (en) * 1999-10-29 2004-11-16 Telcontar Method for providing matching and introduction services to proximate mobile users and service providers
GB0008084D0 (en) 2000-04-04 2000-05-24 Healey Mark P Telecommunications system
KR20010097444A (ko) * 2000-04-22 2001-11-08 조진원 이동전화, 유선전화 또는 인터넷을 이용한 근접 차량 호출방법
KR20010103905A (ko) * 2000-05-10 2001-11-24 이준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추적 시스템을 이용한 콜 서비스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00050157A (ko) * 2000-05-19 2000-08-05 안병익 인터넷을 이용한 도로 정보 서비스 방법
KR20010106613A (ko) * 2000-05-22 2001-12-07 박규진 이기종 통신시스템에서의 차량 호출 서비스 방법
KR100359740B1 (ko) * 2000-07-07 2002-11-07 (주)위트콤 택시 자동등록 통신단말기 및 통신망을 통한 택시이용서비스 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20844A1 (en) * 2007-04-02 2008-10-09 Chi Seung Won Chartered flight swapping business mod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34447A3 (en) 2009-06-03
KR100494525B1 (ko) 2005-06-10
KR20000063909A (ko) 2000-11-06
US20040106399A1 (en) 2004-06-03
US8116836B2 (en) 2012-02-14
DE60136103D1 (de) 2008-11-20
US7499714B2 (en) 2009-03-03
EP2034447A2 (en) 2009-03-11
US20090176483A1 (en) 2009-07-09
ATE410762T1 (de) 200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4525B1 (ko)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과 그 방법
US8150614B2 (en) Routing guide mediation system, routing guide mediation server, and routing guide method
CN101520950B (zh) 出租车即时呼叫分派管理系统及呼叫分派管理方法
CN201181988Y (zh) 出租车即时呼叫分派管理系统
US8335648B2 (en) Route searching system, route searching server and route searching method
JP2002073758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JP4531603B2 (ja) 乗車案内システム、降車案内装置および案内端末装置
JP2004227262A (ja) 即応型車両乗降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100023A (ja) 交通費管理システムおよび交通費管理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3563666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
JP4405417B2 (ja) 乗車案内システム、情報配信サーバおよび案内端末装置
JP2000357295A (ja) 車両運行管理システム
KR20110129733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택시 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134921B1 (ko) 공공자전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4612016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経路案内方法
JP4628574B2 (ja) 経路案内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経路案内配信サーバ
JP4878693B2 (ja) 携帯通信装置、経路案内情報配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20041171A (ko) 이동전화를 이용한 버스 운행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000050157A (ko) 인터넷을 이용한 도로 정보 서비스 방법
EP1384218B1 (en) Transportation information system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KR101790717B1 (ko) 대리기사용 셔틀버스 안내시스템
JP2000172991A (ja) 車載型車両誘導装置及び通信サーバシステム並びに運送車両誘導システム
KR100731014B1 (ko) 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20000054139A (ko)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지역정보제공시스템 및지역정보제공방법
JP2006163939A (ja) タクシー会社営業支援システム、タクシー会社営業支援方法及びタクシー会社端末営業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