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0717B1 - 대리기사용 셔틀버스 안내시스템 - Google Patents

대리기사용 셔틀버스 안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0717B1
KR101790717B1 KR1020160087580A KR20160087580A KR101790717B1 KR 101790717 B1 KR101790717 B1 KR 101790717B1 KR 1020160087580 A KR1020160087580 A KR 1020160087580A KR 20160087580 A KR20160087580 A KR 20160087580A KR 101790717 B1 KR101790717 B1 KR 101790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le bus
information
shuttle
map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달빛기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달빛기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달빛기사
Priority to KR1020160087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07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06F17/3010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리기사가 사용하는 단말기에 지도와 표시되면 지도에 매칭되는 셔틀버스 정보를 함께 표시되도록 하고, 해당 셔틀버스의 운행노선마다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여 대리기사가 간단하게 셔틀버스를 구별할 수 있는 대리기사용 셔틀버스 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도와 특정노선을 정기적으로 운행하는 셔틀버스에 대한 정보를 셔틀버스 관리서버(100)에 요청하고, 지도서버에서 제공받은 지도정보와 셔틀버스 관리서버(100)에서 제공받은 셔틀버스 정보를 지도에 함께 표시하는 단말기(200)와; 단말기(200)의 지도요청 내용을 지도서버(300)로 제공하고, 지도에 표시되는 셔틀버스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로 제공하는 셔틀버스 관리서버(100)와; 셔틀버스 관리서버(100)로부터 요청받은 지도정보를 단말기(200)로 제공하는 지도서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리기사용 셔틀버스 안내시스템{Shuttle bus guidance system for replacement driver}
본 발명은 대리기사가 사용하는 단말기에 지도와 표시되면 지도에 매칭되는 셔틀버스 정보를 함께 표시되도록 하고, 해당 셔틀버스의 운행노선마다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여 대리기사가 간단하게 셔틀버스를 구별할 수 있는 대리기사용 셔틀버스 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리운전서비스를 제공하는 대리기사는 서비스제공을 완료한 후 심야시간대의 이동에 있어서 비교적 저렴한 비용인 버스나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중교통의 운행이 중단된 시간부터는 이동 및 귀가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택시를 이용해야 하거나 아니면 버스나 지하철의 운행이 시작되는 아침까지 오랜시간 불필요한 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대리기사를 위하여 심야시간대에 대중교통의 버스와 같이 특정한 노선을 정기적으로 운행하는 셔틀버스가 운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셔틀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대리기사가 단말기 등에서 개별적으로 셔틀버스의 노선과 운행정보를 확인해야 하지만 도심지 등의 경우 지도에 다수개의 셔틀버스노선이 통과하기 때문에 셔틀버스가 운행하는 노선과 운행정보를 정확하게 확인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리기사가 사용하는 단말기에 지도와 함께 현재 운영 중인 대리기사용 셔틀버스의 노선을 표시하여 대리기사가 셔틀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대리기사용 셔틀버스 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해결과제는 대리기사가 사용하는 단말기에 표시되는 셔틀버스의 운행노선마다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여 대리기사가 간단하게 셔틀버스를 구별할 수 있는 대리기사용 셔틀버스 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단말기에 표시되는 셔틀버스의 노선 등이 클릭되면 셔틀버스의 운전기사 또는 셔틀버스를 이용하는 대리기사들과 음성 또는 문자로 채팅할 수 있는 채팅창을 제공하여 셔틀버스에 대한 첫차 막차의 운행시간, 현재 위치 등 운행정보를 편리하게 얻을 수 있는 대리기사용 셔틀버스 안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리기사용 셔틀버스 안내시스템은, 지도정보와 특정노선을 정기적으로 운행하는 셔틀버스에 대한 정보를 셔틀버스 관리서버(100)에 요청하고, 지도서버(300)에서 제공받은 지도정보와 셔틀버스 관리서버(100)에서 제공받은 셔틀버스 정보를 지도에 함께 표시하는 단말기(200)와; 단말기(200)의 지도정보요청 내용을 지도서버(300)로 제공하고, 지도에 표시되는 셔틀버스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로 제공하는 셔틀버스 관리서버(100)와; 셔틀버스 관리서버(100)로부터 요청받은 지도정보를 단말기(200)로 제공하는 지도서버(300);를 포함하되,
셔틀버스 관리서버(100)는, 대리기사용 셔틀버스에 대한 운행정보를 관리하는 셔틀버스정보 관리부(110)와; 단말기(200)와 통신하면서 단말기(200)로부터 셔틀버스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는 셔틀버스정보 요청수신부(120)와; 단말기(200)로부터 셔틀버스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으면 지도서버(300)에서 실시간으로 단말기(200)로 지도정보가 제공되도록 관리하는 지도정보 제공부(130)와; 단말기에 지도가 표시되면 지도영역에 일정 반경 내에 현재 시각에 운행중인 셔틀버스정보가 존재하는 여부를 확인하는 셔틀버스 확인부(140)와; 셔틀버스 확인부(140)에서 확인된 셔틀버스의 운행노선과 정류장, 운행시간 등의 정보를 단말기(200)에 표시되는 매칭되도록 제공하거나 문자로서 리스트형식으로 제공하는 셔틀버스 지도 매칭부(150)와; 단말기(200)에서 셔틀버스의 채팅창(60)에 접속하면 셔틀버스의 운전자 또는 셔틀버스의 채팅창에 접속한 대리기사들이 서로 문자 및 음성으로 실시간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채팅 관리부(170);를 포함하며, 단말기(200)는, 지도서버(300)로부터 제공받은 지도(10)와 셔틀버스 관리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셔틀버스에 대한 운행노선(20)과, 운행정보(30)를 화면에 표시하는 셔틀버스정보 표시부(210);와 셔틀버스 전체노선 표시부를 통해서 클릭된 셔틀버스의 전체노선이 화면에 표시되면 해당 셔틀버스의 운전자 또는 해당셔틀버스에 접속한 다른 대리기사들이 서로 문자 또는 음성으로 대화할 수 있는 채팅창을 표시하는 셔틀버스 채팅창 표시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단말기(200)의 셔틀버스정보 표시부(210)는 제공받은 셔틀버스가 다수개인 경우에는 셔틀버스의 노선(20)을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는 셔틀버스노선 표시부(211)와, 셔틀버스의 노선명, 색상 등의 운행정보(30)를 화면에 문자로 표시하는 운행정보 표시부(2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단말기(200)는 단말기(200)의 검색창을 통해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서 운행하는 셔틀버스의 운행정보를 셔틀버스 관리서버(100)로 요청하고, 셔틀버스 관리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셔틀버스의 노선명, 운행노선, 정거장, 운행시간 등의 운행정보를 표시하는 셔틀버스 검색부(220);를 더 포함하고, 셔틀버스 관리서버(100)는 단말기(200)의 검색창을 통해서 셔틀버스 정보를 요청받으면 요청받은 셔틀버스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단말기(200)로 제공하는 셔틀버스 검색결과 제공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셔틀버스 채팅창 표시부(240)의 채팅창(60)은 운전자와 1:1로 문자 또는 음성으로 대화할 수 있도록 설정되거나 또는 참여한 모든 사람들에게 문자 또는 음성으로 대화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고, 셔틀버스 관리서버(100)의 채팅 관리부(170)는 단말기(200)에서 운전자와 1:1 채팅으로 설정되면 운전자에게만 문자 또는 음성으로 대화할 수 있도록 관리하고, 단말기(200)에서 참여한 모든 사람들에게 대화할 수 있도록 설정되면 모든 참여자에게 문자 또는 음성으로 대화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대리기사용 셔틀버스 안내시스템은 대리기사가 사용하는 단말기에 지도와 함께 운행 중인 대리기사용 셔틀버스의 노선을 표시하여 대리기사가 셔틀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말기에 표시되는 셔틀버스의 운행노선마다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대리기사가 간단하게 셔틀버스를 구별하면서 노선의 위치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말기에 표시되는 셔틀버스의 노선 등이 클릭되면 셔틀버스의 운전기사 또는 셔틀버스를 이용하는 대리기사들과 음성 또는 문자로 채팅할 수 있는 채팅창을 제공되기 때문에 채팅창을 통해 셔틀버스에 대한 정보를 편리하게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리기사용 셔틀버스 안내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셔틀버스 관리서버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리기사용 셔틀버스 안내시스템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지도에 셔틀버스노선 및 운행노선정보가 표시되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기준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셔틀버스를 검색하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셔틀버스의 전체노선과 채팅창이 표시되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대리기사용 셔틀버스 안내시스템의 이용과정에 대한 플로차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리기사용 셔틀버스 안내시스템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리기사용 셔틀버스 안내시스템은 대리기사 등이 사용하는 단말기(200)에서 지도정보와 특정노선을 정기적으로 운행하는 셔틀버스에 대한 정보를 셔틀버스 관리서버(100)에 요청하면, 셔틀버스 관리서버(100)는 지도서버(300)에서 지도정보요청 내용을 단말기(200)로 제공하도록 요청하고, 지도에 표시되는 셔틀버스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로 제공하며, 단말기(200)에서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에 셔틀버스의 운행노선 등이 매칭되어 표시되는 것을 기본개념으로 한다. 이때, 단말기(200)는 스마트폰, PDA, 태블릿 PC 등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셔틀버스 관리서버를 자세히 살펴보면, 셔틀버스 관리서버(100)는 셔틀버스정보 관리부(110), 셔틀버스정보 요청수신부(120), 지도정보 제공부(130), 셔틀버스 확인부(140), 셔틀버스 지도 매칭부(150), 셔틀버스 검색결과 제공부(160), 채팅 관리부(170)를 포함한다.
셔틀버스정보 관리부(110)는 대리기사용 셔틀버스에 대한 정보를 셔틀버스DB(111)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셔틀버스에 대한 정보는 셔틀버스가 운행하는 노선의 좌표정보와 정류장의 위치, 운행시간을 포함한다. 이때, 셔틀버스의 노선좌표정보와 정류장의 위치는 셔틀버스가 운행하는 노선에 탑승하여 실측된 GPS 좌표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셔틀버스정보 요청수신부(120)는 단말기(200)와 통신하면서 단말기(200)로부터 셔틀버스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는다.
지도정보 제공부(130)는 단말기(200)로부터 셔틀버스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으면 지도서버(300)에서 실시간으로 단말기(200)로 지도정보가 제공되도록 관리한다. 지도정보는 지도와 함께 대중교통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지도정보 제공부(130)에 의해서 단말기(200)로부터 지도정보의 축척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게 되면 지도서버(300)로 제공하여 단말기에서 요청한 내용을 제공하도록 하게 된다.
셔틀버스 확인부(140)는 단말기(200)에 지도가 표시되면 지도영역에 일정 반경 내에 현재시각에 운행중인 셔틀버스정보가 존재하는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셔틀버스 확인부(140)는 지도의 축적이 일정 이상인 경우에만 셔틀버스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셔틀버스 확인부(140)에 의해서 운행이 종료된 셔틀버스가 지도에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셔틀버스 지도 매칭부(150)는 셔틀버스 확인부(140)에서 확인된 셔틀버스의 운행노선, 정류장, 운행시간 등의 운행정보를 단말기(200)에 표시되는 지도에 매칭되도록 제공하거나 문자로서 리스트형식으로 제공한다.
셔틀버스 검색결과 제공부(160)는 단말기(200)의 검색창을 통해서 셔틀버스 정보를 요청받으면 요청받은 셔틀버스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단말기(200)로 제공한다. 이때, 셔틀버스에 대한 정보는 노선명, 운행노선, 운행방향, 운행시간, 운행거리 등을 포함하고,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받은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하는 거리조건, 셔틀버스의 운행방향조건 등의 검색조건에 대응되는 셔틀버스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게 된다.
채팅 관리부(170)는 단말기(200)에서 셔틀버스의 채팅창(60)에 접속하면 셔틀버스의 운전자 또는 셔틀버스의 채팅창에 접속한 대리기사가 문자 또는 음성으로 실시간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채팅 관리부는 단말기(200)에서 운전자와 1:1 채팅으로 설정되면 운전자에게만 문자 또는 음성으로 대화할 수 있도록 관리하고, 또한, 단말기(200)에서 참여한 모든 사람들에게 대화할 수 있도록 설정되면 모든 참여자에게 문자 또는 음성으로 대화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또한, 단말기가 채팅창으로 접속한 후 접속자가 본인의 현재위치 전송을 요청하면 그 접속자의 현재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하여 운전자 또는 채팅창에 접속한 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채팅 관리부(240)에 의해서 셔틀버스의 운전기사 또는 셔틀버스를 이용 중이거나 이용하고자 하는 다른 대리기사들과 문자 또는 음성으로 통화할 수 있고, 채팅창에 접속한 대리기사의 현재위치가 셔틀버스 운전자에게 제공되어 셔틀버스의 운전기사는 셔틀버스를 기다리는 대리기사의 위치를 확인하여 픽업할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단말기에 자세히 살펴보면, 단말기(200)는 셔틀버스정보 표시부(210), 셔틀버스 검색부(220), 셔틀버스 전체노선 표시부(230), 셔틀버스 채팅창 표시부(2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단말기(200)의 각 구성은 앱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셔틀버스정보 표시부(210)는 지도서버(300)로부터 제공받은 지도(10)와 셔틀버스 관리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셔틀버스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셔틀버스에 대한 정보는 셔틀버스의 노선(20)과, 운행정보(30)를 포함한다. 셔틀버스정보 표시부(210)는 제공받은 셔틀버스가 다수개인 경우에는 셔틀버스의 노선(20)을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는 셔틀버스노선 표시부(211)와, 셔틀버스의 노선명, 색상 등의 운행정보(30)를 화면에 문자로 표시하는 운행정보 표시부(212)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셔틀버스정보 표시부(210)에 의해서 셔틀버스 관리서버(100)로부터 다수의 셔틀버스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면 셔틀버스의 노선(20)이 서도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간단하게 구별하면서 빠르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셔틀버스의 노선명은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셔틀버스의 출발점과 종점의 명칭을 함께 기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셔틀버스 검색부(220)는 단말기(200)의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서 운행하는 셔틀버스의 운행정보를 셔틀버스 관리서버(100)로 요청하고, 셔틀버스 관리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셔틀버스의 노선명, 운행노선, 운행방향, 정거장, 운행시간 등의 운행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단말기(200)는 GPS 위치정보를 셔틀버스 관리서버(100)로 함께 제공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틀버스 검색부(220)는 단말기(200)를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 거리내의 셔틀버스만을 검색할 수 있도록 '거리선택' 메뉴(40)를 제공하고, 셔틀버스의 도착지까지의 방향을 선택할 수 있도록 '방향선택' 메뉴(50)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5와 같이, '기준선택' 메뉴(40)를 통해서 500m, 1km 등과 같이 단말기(200)를 중심으로 하는 기준거리를 선택할 수 있고, '방향선택' 메뉴(50)를 통해서 셔틀버스의 방향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셔틀버스 전체노선 표시부(230)는 지도에 표시되는 셔틀버스의 노선명 또는 셔틀노선 검색부(220)를 통해서 검색된 운행정보가 클릭되면 클릭된 셔틀버스의 전체노선을 화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6과 같이, 강일-교보를 운행하는 셔틀버스가 선택되면 셔틀버스의 전체노선이 지도에 표시되게 된다.
셔틀버스 채팅창 표시부(240)는 셔틀버스의 노선명 또는 셔틀노선 검색부(220)를 통해서 검색된 운행정보가 클릭되면 해당 노선의 셔틀버스 운전자 또는 해당셔틀버스에 접속한 다른 대리기사들이 서로 문자 또는 음성으로 대화할 수 있는 채팅창(60)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6과 같이, 채팅창(60)에는 참여인원이 함께 표시되며, 특히, 운전자와 1:1로 문자 또는 음성으로 대화할 수 있도록 설정하거나 또는 참여한 모든 사람들에게 문자 또는 음성으로 대화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채팅창에 접속하면 접속자의 현재위치가 셔틀버스의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채팅창(60)을 통해서 셔틀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대리기사는 셔틀버스의 운전기사 및 셔틀버스를 이용 중이거나 이용하고자 하는 다른 대리기사들과 문자 또는 음성으로 통화하면서 셔틀버스의 운행정보, 위치와 함께 대리기사의 사업정보 등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채팅창(60)으로 접속한 후 접속자가 본인의 현재위치 전송을 요청하면 그 접속자의 현재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하여 셔틀버스 운전자 또는 채팅창에 접속한 자에게 그 현재위치 정보를 제공되어 셔틀버스의 운전기사는 셔틀버스를 기다리는 대리기사의 위치를 확인하여 픽업할 수 있게 된다.
도 7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하여 대리기사용 셔틀버스 안내시스템의 이용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대리기사 등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200)가 특정지역의 지도정보와 셔틀버스정보를 셔틀버스 관리서버(100)에 요청하면(단계 S101), 셔틀버스 관리서버(100)는 지도서버(300)에게 지도정보를 단말기(200)로 제공하도록 요청하고(단계 S102), 지도서버(300)는 단말기(200)로 지도정보를 제공한다(단계 S103).
그리고, 셔틀버스 관리서버(100)는 지도의 영역에 매칭되는 셔틀버스가 존재하는 지를 확인하고, 확인된 셔틀버스의 운행노선, 운행방향, 정류장, 운행시간 등의 운행정보를 단말기(200)로 제공한다(단계 S104). 이때, 단말기(200)로 제공되는 지도정보에는 지도와 대중교통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한편, 단말기(200)는 지도서버(300)로부터 제공받은 지도를 화면에 표시하면서 셔틀버스 관리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셔틀버스의 운행정보를 지도와 함께 매칭시켜 표시하거나 또는 문자로서 리스트형식으로 지도의 일측에 표시한다(단계 S105). 이때, 제공받은 셔틀버스가 다수개인 경우에는 셔틀버스의 노선(20)을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셔틀버스의 노선과 운행노선정보가 서로 다른 색상으로 지도에 표시되면 대리기사는 운행노선정보에 대응되는 셔틀버스의 노선을 간단하게 구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말기(200)는 셔틀버스 검색부(220)를 통해서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서 운행하는 셔틀버스에 대한 정보를 셔틀버스 관리서버(100)로 요청하면(단계 S106), 셔틀버스 관리서버(100)는 요청받은 셔틀버스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셔틀버스의 노선명, 운행노선, 정거장, 운행시간 등의 운행정보를 단말기(200)로 제공하게 되며(단계 S107), 단말기(200)는 제공받은 셔틀버스의 노선명, 운행노선, 정거장, 운행시간 등의 운행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단계 S108). 이때, 단말기(200)는 '거리선택' 메뉴(40)를 통해서 일정한 거리내의 셔틀버스만을 검색하거나 또는 '방향선택' 메뉴(50)를 통해서 셔틀버스의 도착지까지의 방향을 선택하여 셔틀버스 관리서버(100)로 요청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200)에서 지도에 표시되는 셔틀버스의 노선명 또는 셔틀버스 검색부(220)를 통해서 검색된 운행정보가 클릭되면(단계 S109), 클릭된 셔틀버스의 전체노선을 화면에 표시되고(단계 S110), 해당 노선의 셔틀버스 운전자 또는 해당셔틀버스에 접속한 다른 대리기사들이 서로 문자 또는 음성으로 대화할 수 있는 채팅창이 표시된다(단계 S111). 이러한 채팅창을 이용하여 셔틀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대리기사는 셔틀버스의 운전기사 및 셔틀버스를 이용 중이거나 이용하고자 하는 다른 대리기사들과 문자 또는 음성으로 통화하면서 각종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셔틀버스 관리서버 110 : 셔틀버스정보 관리부
120 : 셔틀버스정보 요청수신부 130 : 지도정보 제공부
140 : 셔틀버스 확인부 150 : 셔틀버스 지도 매칭부
160 : 셔틀버스 검색결과 제공부 170 : 채팅 관리부
200 : 단말기 210 : 셔틀버스정보 표시부
220 : 셔틀버스 검색부 230 : 셔틀버스 전체노선 표시부
240 : 셔틀버스 채팅창 표시부 300 : 지도서버

Claims (14)

  1. 지도정보와 특정노선을 정기적으로 운행하는 셔틀버스에 대한 운행정보를 셔틀버스 관리서버에 요청하고, 지도서버에서 제공받은 지도정보와 셔틀버스 관리서버에서 제공받은 셔틀버스 운행정보를 지도에 함께 표시하는 단말기와; 단말기의 지도정보요청 내용을 지도서버로 제공하고, 지도에 표시되는 셔틀버스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로 제공하는 셔틀버스 관리서버와; 셔틀버스 관리서버로부터 요청받은 지도정보를 단말기로 제공하는 지도서버;를 포함하되,
    셔틀버스 관리서버는,
    대리기사용 셔틀버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셔틀버스정보 관리부와;
    단말기와 통신하면서 단말기로부터 셔틀버스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는 셔틀버스정보 요청수신부와;
    단말기로부터 셔틀버스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으면 지도서버에서 실시간으로 단말기로 지도정보가 제공되도록 관리하는 지도정보 제공부와;
    단말기에 지도가 표시되면 지도영역에 일정 반경 내에 현재 시각에 운행중인 셔틀버스정보가 존재하는 여부를 확인하는 셔틀버스 확인부와;
    셔틀버스 확인부에서 확인된 셔틀버스의 운행노선과 정류장, 운행시간 등의 운행정보를 단말기에 표시되는 지도에 매칭되도록 제공하거나 문자로서 리스트형식으로 제공하는 셔틀버스 지도 매칭부와;
    단말기에서 셔틀버스의 채팅창에 접속하는 셔틀버스의 운전자 및 셔틀버스의 채팅창에 접속한 대리기사들이 서로 문자 또는 음성으로 실시간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채팅 관리부;를 포함하고,
    단말기는,
    지도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지도와 셔틀버스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셔틀버스에 대한 운행노선과 정류장 및 운행시간 등의 운행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셔틀버스정보 표시부와;
    셔틀버스의 노선명 또는 셔틀노선 검색부를 통해서 검색된 운행정보가 클릭되면 해당 노선의 셔틀버스의 운전자 또는 해당셔틀버스에 접속한 다른 대리기사들이 서로 문자 또는 음성으로 대화할 수 있는 채팅창을 표시하는 셔틀버스 채팅창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기사용 셔틀버스 안내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셔틀버스에 대한 정보는 셔틀버스가 운행하는 노선의 좌표정보와 정류장의 위치, 운행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기사용 셔틀버스 안내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셔틀버스의 노선좌표정보와 정류장의 위치는 실측된 GPS좌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기사용 셔틀버스 안내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단말기의 셔틀버스정보 표시부는 제공받은 셔틀버스가 다수개인 경우에는 셔틀버스의 노선을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는 셔틀버스노선 표시부와, 셔틀버스의 노선명, 색상 등의 운행정보를 화면에 문자로 표시하는 운행정보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기사용 셔틀버스 안내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셔틀버스의 노선명은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셔틀버스의 출발점과 종점의 명칭을 함께 기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기사용 셔틀버스 안내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단말기는 단말기의 검색창을 통해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서 운행하는 셔틀버스의 운행정보를 셔틀버스 관리서버로 요청하고, 셔틀버스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셔틀버스의 노선명, 운행노선, 정거장, 운행시간 등의 운행정보를 표시하는 셔틀버스 검색부;를 더 포함하고,
    셔틀버스 관리서버는 단말기의 검색창을 통해서 셔틀버스 정보를 요청받으면 요청받은 셔틀버스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단말기로 제공하는 셔틀버스 검색결과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기사용 셔틀버스 안내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셔틀버스 검색부는 단말기를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 거리내의 셔틀버스만을 검색할 수 있도록 '거리선택' 메뉴를 제공하고, 셔틀버스의 도착지까지의 방향을 선택할 수 있도록 '방향선택'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기사용 셔틀버스 안내시스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셔틀버스 검색결과 제공부에서 단말기로 제공되는 셔틀버스에 대한 정보는 노선명, 운행노선, 정거장, 운행방향, 운행시간, 운행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기사용 셔틀버스 안내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단말기는, 지도에 표시되는 셔틀버스의 노선명 또는 셔틀노선 검색부를 통해서 검색된 운행정보가 클릭되면 클릭된 셔틀버스의 전체노선을 화면에 표시하는 셔틀버스 전체노선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기사용 셔틀버스 안내시스템.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셔틀버스 관리서버의 채팅 관리부는 단말기가 채팅창으로 접속한 후 접속자가 본인의 현재위치 전송을 요청하면 그 접속자의 현재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하여 셔틀버스운전자 또는 채팅창에 접속한 자에게 그 현재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기사용 셔틀버스 안내시스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셔틀버스 채팅창 표시부의 채팅창은 운전자와 1:1로 문자 또는 음성으로 대화할 수 있도록 설정되거나 또는 참여한 모든 사람들에게 문자 또는 음성으로 대화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고,
    셔틀버스 관리서버의 채팅 관리부는 단말기에서 운전자와 1:1 채팅으로 설정하면 운전자에게만 문자 또는 음성으로 대화할 수 있도록 관리하고, 단말기에서 참여한 모든 사람들에게 대화할 수 있도록 설정하면 모든 참여자에게 문자 또는 음성으로 대화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기사용 셔틀버스 안내시스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셔틀버스 채팅창 표시부는 채팅창에 접속하면 접속자의 현재위치를 셔틀버스 관리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기사용 셔틀버스 안내시스템.
KR1020160087580A 2016-07-11 2016-07-11 대리기사용 셔틀버스 안내시스템 KR101790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580A KR101790717B1 (ko) 2016-07-11 2016-07-11 대리기사용 셔틀버스 안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580A KR101790717B1 (ko) 2016-07-11 2016-07-11 대리기사용 셔틀버스 안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0717B1 true KR101790717B1 (ko) 2017-12-28

Family

ID=60939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580A KR101790717B1 (ko) 2016-07-11 2016-07-11 대리기사용 셔틀버스 안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07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332A (ko) * 2018-08-08 2020-02-18 이영우 택시를 이용하여 대리기사의 픽업이 가능한 택시-대리기사 매칭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332A (ko) * 2018-08-08 2020-02-18 이영우 택시를 이용하여 대리기사의 픽업이 가능한 택시-대리기사 매칭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167679B1 (ko) 2018-08-08 2020-10-19 이영우 택시를 이용하여 대리기사의 픽업이 가능한 택시-대리기사 매칭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0533B2 (en) Map display system, method of inputting conditions for searching for POI, method of displaying guidance to POI, and terminal device
JP4420471B1 (ja) 経路案内仲介システム、経路案内仲介サーバおよび経路案内方法
KR20020013716A (ko)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과 그 방법
JP2017524195A (ja) 所定の位置データ点の決定およびサービス提供者への供給
CN106104208A (zh) 导航服务器和程序
KR20120090480A (ko) 위치 정보를 이용한 차량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00024714A (ko) 관심 지점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016967A (ja) 車両予約システム、車両予約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085153A (ko) 콜택시 예약서비스 방법
JP2009286365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プログラム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5346634A (ja) タクシー配車システム及びタクシー配車プログラム
US202001754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axi dispatch, and program for controlling taxi dispatch requests
JP2006276940A (ja) 乗車案内システム、降車案内装置および案内端末装置
JP5325954B2 (ja) 経路探索装置、誘導端末装置、経路探索システム
KR101790717B1 (ko) 대리기사용 셔틀버스 안내시스템
JP2005100023A (ja) 交通費管理システムおよび交通費管理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20120044437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예약 방법
US11042819B2 (en) Server, client, and information sharing system
KR100466997B1 (ko) 택시 지령 시스템 및 그 지령 제어방법
JP4801130B2 (ja) ポイント管理装置、ポイント管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7111497A (ja) 旅行者位置情報確認システム、旅行者位置情報確認方法
JP3852605B2 (ja) 駅構内案内システム
KR20000050157A (ko) 인터넷을 이용한 도로 정보 서비스 방법
US10631137B2 (en) Client, server, and information sharing system
JP2002373397A (ja) 広告情報提供装置と予約情報提供装置および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