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9740B1 - 택시 자동등록 통신단말기 및 통신망을 통한 택시이용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택시 자동등록 통신단말기 및 통신망을 통한 택시이용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9740B1
KR100359740B1 KR1020000038915A KR20000038915A KR100359740B1 KR 100359740 B1 KR100359740 B1 KR 100359740B1 KR 1020000038915 A KR1020000038915 A KR 1020000038915A KR 20000038915 A KR20000038915 A KR 20000038915A KR 100359740 B1 KR100359740 B1 KR 100359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xi
passenger
taxi driver
information
regis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5268A (ko
Inventor
박상환
Original Assignee
(주)위트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트콤 filed Critical (주)위트콤
Priority to KR1020000038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9740B1/ko
Publication of KR20020005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5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9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97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04W4/022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with dynamic range vari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비스 등록된 택시기사의 요청시 또는 등록된 승객의 요청시에, 택시기사와 승객간을 통신망을 통해 중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접속된 승객의 등록요청에 따라, 상기 승객의 위치정보와 접근번호를 포함하는 등록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 1단계;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접속된 택시기사의 등록승객에 대한 조회요청에 따라, 상기 택시기사의 현재위치를 파악하는 제 2단계; 상기 저장된 등록정보로 부터, 상기 위치파악된 택시기사와 근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승객을 검색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검색된 승객의 이동통신단말기 접근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된 승객과 상기 제 2단계에 의해 접속상태에 있는 택시기사를 직접 호연결(Call Forwarding)시키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승객 입장에서는 택시기사와의 전화통화를 통해 현재 택시가 이동중임을 확인할 수 있어 신뢰감과 이용의 편리성을 제공하여 이에 따른 서비스 이용 증대의 효과가 있으며, 또한 택시기사 입장에서는 자신의 택시가 공차인 경우에는 언제든지 서버에 승객탑승을 요청하여 택시이용을 원하는 승객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어, 수익증대와 편리성을 제공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택시 자동등록 통신단말기 및 통신망을 통한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방법{Communications equipment and method for providing taxi service through network}
본 발명은, 서비스 등록된 택시기사의 요청시 또는 등록된 승객의 요청시에, 택시기사와 승객간을 통신망을 통해 중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콜 택시 이용방법에 있어서는, 택시를 이용하고자 하는 승객은 콜 택시 운영사에 전화를 걸어 택시이용을 요청하게 되며, 이에 따라 해당 콜 택시 운영사에서는 승객의 현재위치를 대화내용을 통해 파악한 뒤 모든 소속 택시기사들의 통신단말기를 통해, 특정위치에 택시 이용승객이 있음을 무선으로 음성안내한다. 이와 같은 음성안내를 통해 현재 택시를 이용하고자 하는 승객과 근거리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한 택시기사는 자신이 소속되어 있는 콜 택시 운영사에 전화를 걸어 자신이 해당 승객한테로 이동하겠다고 통보한 뒤, 해당 승객한테로 이동함으로써 승객이 택시를 이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콜 택시 이용방법의 경우, 콜 택시 운영사는 언제 승객이 전화를 걸어 택시이용을 요청할지 모르므로 24시간 담당직원이 대기하여야 하므로, 이에 따른 값비싼 인건비를 지불하여야 하고, 택시이용을 희망하는 승객입장에서는 콜 택시 운영사에 전화를 걸어 택시이용을 요청한 뒤부터는 자신의 요청에 따라 현재 택시가 도착예정인지, 아니면 좀더 기다려야 하는지의 상황을 전혀 알 수가 없어, 무작정 택시가 도착할 때까지 기다리거나 다시 콜 택시 운영사에 전화를 걸어 현재의 상황을 확인하여야 하므로 통화요금을 낭비해야 하는 문제점과 번거로움 및 시간낭비의 문제점이 있으며, 택시기사 입장에서도 일방적으로 어느 위치에 택시이용 승객이 있음을 통보받는 형식이어서 능동적으로 승객을 찾지 못하므로 운행계획을 세우기 어려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승객과 택시기사간을 중개하여 쌍방간의 직접 통신을 통해 승객의 택시이용 및 택시에 승객탑승이 보다 저렴한 이용요금으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택시 자동등록 통신단말기 및 통신망을 통한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방법이 구현된 전체 네트워크의 구성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2는 도1의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조를 통합하여 도식화한 것이고,
도3 및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고,
도4 및 도6은 도2의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의 등록자 관리모듈(DB)에 저장되는 등록정보의 형태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고,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택시 자동등록 통신단말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8 ∼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입력회로 20 : CDMA 모뎀
30 : RF부 40 : 음성 입출력부
50 : 마이컴 60 : 위치인식기(GPS)
70 :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 80 : 표시부
90 : 롬 100 :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
101 : 망접속 모듈 102 : 데이터 송수신모듈
103 : 패킷데이터 모듈 104 : 호처리 모듈
105 : 음성처리 모듈 106 : 운용모듈
107 : 데이터 서비스모듈 110 : 데이터 저장모듈
120 : 시계부 130 : 응용 프로토콜 모듈
140 : 등록자 관리모듈 200 : 데이터 네트워크
300 : 왑서버 400 : CDMA 이동통신망
500a1, 500a2,..., 500b1, 500b2,... : 데이터 단말기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접속된 승객의 등록요청에 따라, 상기 승객의 위치정보와 접근번호를 포함하는 등록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 1단계;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접속된 택시기사의 등록승객에 대한 조회요청에 따라, 상기 택시기사의 현재위치를 파악하는 제 2단계; 상기 저장된 등록정보로 부터, 상기 위치파악된 택시기사와 근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승객을 검색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검색된 승객의 이동통신단말기 접근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된 승객과 상기 제 2단계에 의해 접속상태에 있는 택시기사를 직접 호연결(Call Forwarding)시키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택시 자동등록 통신단말기는, 이동통신망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수단;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압축데이터화하여 상기 통신수단에 제공하고, 상기 수신되는 디지털 압축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복원하여 출력하는 신호 변환수단; 상기 통신수단을 이동통신망에게 유일하게 특정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수단; 택시미터기로 부터 주행요금 계산상태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접속수단; 및 상기 접속수단의 수신신호 상태의 변화에 따라, 그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공차등록 또는 공차해제의 정보를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외부의 서버로 제공토록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택시 자동등록 통신단말기 및 통신망을 통한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방법이 구현된 전체 네트워크의 구성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그 구성으로서는 등록된 등록자의 위치정보 및 발신전화번호를 CDMA 이동통신망(400) 또는 인터넷망과 같은 데이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여, 이를 등록된 현재시간과 함께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DB의 내용으로 부터 택시를 이용하고자 하는 승객과 택시기사간을 중개하는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 이동통신단말기의 왑(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왑서버(300); 상기 CDMA 이동통신망(400)을 통해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에 접속하여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승객과 택시기사의 이동전화기(휴대폰) 등과 같은 통신단말기(500a1,500a2,..., 500b1, 500b2,...)가 포함된다.
도2는 도1의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조를 통합하여 도식화한 것으로서, CDMA 이동통신망(400)과 연결된 링크와 왑서버(300)와 직접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망접속 모듈(101)과, 상기 망접속 모듈(101)을 기반으로 하여 링크에 연결된 상대측 네트워크 장치, 예를 들어 교환기와, 소정길이 단위로 시퀀스 번호(sequence number)가 부여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형태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모듈(102)과, 상기 CDMA 이동통신망(400)을 통해 연결된 상대측 종단(end) 통신단말기와의 패킷데이터의 인캡슐과 디캡슐(encapsulizing decapsulizing)을 수행하는 패킷데이터 모듈(103)과, 외부 통신단말기에 제공해야할 각종 웹 페이지 데이터, 음성 안내메시지 및 등록자들에 대한 등록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모듈(DB)(110)과, 네트워크를 통한 접속요청을 처리하는 호처리 모듈(104)과, 접속된 휴대폰(500ax또는 500bx)에의 음성안내를 위한 음성처리 모듈(105)과, 상기 송수신되는 패킷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파일, 하이퍼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를 구성하여 송신 또는 수신하는 응용 프로토콜 모듈(130)과, 상기 응용 프로토콜 모듈(130)을 통해, 문자, 그림 또는 파일 등을 하이퍼 텍스트 형태의 문서(이하, "웹 페이지(web page) 문서"라 함)로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모듈(107)과, 현재의 날짜 및 시각을 제공하는 시계부(120)와, 등록된 등록자에 대한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110)에 기록하여 관리하는 등록자 관리모듈(140)과, 등록자, 즉 승객과 택시기사의 서비스 등록 및 해제를 가능하게 하고, 등록된 등록자간의 중개를 위해, 필요한 각 모듈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운용모듈(106)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가 도1의 네트워크 상에서 수행하는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해 도2의 구성 및 도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택시를 이용하고자 하는 승객은 휴대폰(500ax) 등과 같은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CDMA 이동통신망(400)을 통해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에 접속하게 되는데,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와의 접속을 위해 승객은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의 기 지정된 착신전화번호를 상기 휴대폰(500ax) 상에 구비된 다이얼 버튼을 이용하여 직접 다이얼링(dialing)하거나, 또는 왑(WAP), ME(Mobile Explore)와 같은 무선 데이터 통신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통신단말기의 경우에는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의 인터넷 주소를 상기 통신단말기 상에서 입력함으로써, 상기 CDMA 이동통신망(400)을 통해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에 접속하게 된다.
왑 또는 ME와 같은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서버(100)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먼저 해당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왑서버(300)에 접속한 다음, 상기 왑서버(300)를 경유하여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에 접속하게 된다. 이때는 텍스트의 형태로 휴대폰과 상기 서버(100) 사이에 통신이 이루어지고, 왑서버(300)는 필요한 경우 하이퍼 텍스트의 문서를 텍스트로 변환하게 된다.
상기 휴대폰(500ax)을 통해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에 접속된 승객은,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로 부터 제공되는 음성안내 또는 텍스트 안내에 따라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게 된다. 이때 음성안내 또는 텍스트 안내의 선택은 상기 망접속 모듈(101)에 착신되는 호의 형태에 따라 결정된다. 즉, 전화망을 통한 호착신 프레임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음성안내를, 데이터 네트워크(200)를 통한 접속패킷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텍스트 안내를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하며, 이러한 결정은 호처리 모듈(104)이 수행한다. 상기 호처리 모듈(104)이 안내방식을 결정하면 그에 따른 이후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처리방식도 결정되는데, 음성안내의 경우, 이후 송수신 데이터의 처리는 음성처리 모듈(105)과 운용모듈(106)이, 텍스트 안내의 경우 송수신 데이터의 처리는 데이터 서비스모듈(107)과 운용모듈(106)이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공된 안내메시지에 근거하여, 승객이 택시를 타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음성안내 또는 텍스트 안내를 통해 제공되는 선택메뉴 중 "택시타기 등록메뉴"에 해당하는 번호를 선택함으로써, 택시타기를 희망한다는 의사를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에 전달하게 된다(S10).
이와 같이 승객의 택시타기 희망의사가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에 전달됨에 따라,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는 현재 접속상태에 있는 휴대폰(500ax)에 대한 발신전화번호(이동전화번호) 및 위치정보를 상기 CDMA 이동통신망(400)에 요청하여, 상기 승객에 대한 발신전화번호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발신전화번호 및 위치정보는 상기의 요청과정 없이 CDMA 이동통신망(400)에서 상기 서버(100)로 호착신시에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정보는 CDMA 이동통신망(400)의 기지국 코드 또는 그 코드의 기지국이 있는 위치명이며, 휴대폰에 GPS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신 GPS 신호로 부터 해석되는 위치정보가 된다.
상기 운용모듈(106)은 택시타기를 희망한 승객에 대한 등록정보로서, 상기 수신된 발신전화번호 및 위치정보와 상기 시계부(120)의 진행시간으로 부터 확인되는 현재시각을, 상기 등록자 관리모듈(140)에 전달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110)에 저장한다(S11), 도4는 그 저장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4의 저장예에서, '숨김여부'와, '택시기사 전화번호' 필드의 기능과 용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 필드의 초기값은 숨기지 않는 것으로 'NO'이다.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에 접속하여 택시타기 등록요청을 완료한 승객은, 그때부터 대기하면서 택시기사로 부터의 연락을 기다리게 된다.
한편, 택시에 승객을 태우고자 하는 택시기사는 휴대폰(500bx) 등과 같은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CDMA 이동통신망(400)을 통해 승객이 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에 접속하게 된다.
상기 휴대폰(500bx)을 통해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에 접속된 택시기사는,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로 부터 제공되는 음성안내 또는 텍스트 안내에 따라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택시를 타고자 하는 승객을 조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음성안내 또는 텍스트 안내를 통해 제공되는 선택메뉴 중 "승객 조회메뉴"에 해당하는 번호를 선택함으로써, 택시타기를 희망하는 승객에 대한 조회의사를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에 전달하게 된다(S20).
이와 같이 승객조회 희망의사가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에 전달됨에 따라,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는 현재 접속상태에 있는 휴대폰(500bx)에 대한 위치정보를 CDMA 이동통신망(400)으로 부터 수신하게 되고, 상기 운용모듈(106)은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로 부터 택시기사의 현재위치를 파악한 뒤(S21), 상기 등록자 관리모듈(140)에 요청하여 상기 택시기사와 근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등록된 승객들을 조회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요청에 따라, 상기 등록자 관리모듈(140)은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110)의 도4와 같은 저장내용 중 승객 등록자들에 대한 위치정보로 부터상기 택시기사와 인접되어 있는 승객 등록자들을 조회한다. 이때 조회대상은 '숨김여부' 필드의 값이 'NO'인 것만을 대상으로 한다. 상기 운용모듈(106)은 이와 같이 조회된 승객들에 대한 발신전화번호와 위치정보를 차례로 독출하여(S22) 이를 최근접이라고 판단되는 순서대로 상기 운용모듈(106)에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운용모듈(106)은 음성안내 또는 텍스트 안내를 통해 상기 조회된 승객들에 대한 발신전화번호와 위치정보를 접속상태에 있는 상기 택시기사의 휴대폰(500bx)으로 전송하게 된다(S23). 만약 상기 택시기사의 휴대폰(500bx)이 음성통화 전용인 경우에는 발신전화번호 및 위치정보의 안내를 상기 음성처리 모듈(105)을 통해 음성으로, 데이터 통신 지원단말기인 경우에는 상기 응용 프로토콜 모듈(130)을 통해 텍스트로 안내되도록 한다.
상기 휴대폰(500bx)을 통한 음성안내 또는 텍스트 데이터에 의해 택시타기를 희망하는 승객들에 대한 발신전화번호를 제공받은 택시기사는, 이중 가장 최근접이라고 판단되는 전화번호 하나를 선택하여 호접속하게 되고, 호접속된 승객과의 대화를 통해 승객의 현재위치를 상세히 파악한 다음 승객이 위치한 장소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에 등록요청한 승객이 택시타기를 포기하거나 다른 택시를 이용하게 되어 등록을 취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시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에 접속하여 등록해제를 요청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로 부터 음성안내 또는 텍스트 안내를 통해 제공되는 선택메뉴 중 "택시타기 등록취소 메뉴"에 해당하는 번호를 선택함으로써 등록을 취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의 운용모듈(106)은 상기 등록자 관리모듈(140)에 요청하여 등록취소를 요청한 승객에 대한 등록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110)에서 삭제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서비스 제공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운용모듈(106)은 상기 등록자 관리모듈(140)을 통해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110)의 등록정보 중 등록시간을 계속해서 확인하여, 등록시간이 상기 시계부(120)에 의해 확인되는 현재시간을 기준으로 소정시간(예를 들어, 20분) 경과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그 승객에 대한 등록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110)에서 삭제하여 등록해제하고, 이 사실, 즉 등록해제된 사실을 해당 승객의 통신단말기를 통해 통보하게 된다. 이때의 통보방식으로는 이동통신서비스 중의 하나인 단문메시지, 호접속 후의 음성안내, 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서비스에 근거한 텍스트 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중 단문메시지의 경우를 예를 들면, 상기 운용모듈(106)은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내용, 예를 들어 "귀하의 택시타기 등록이 취소되었습니다"와 이 메시지를 수신하게 될 해당 승객의 발신전화번호를 상기 호처리 모듈(104)로 전달하여 단문메시지의 발송을 요청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호처리 모듈(104)은 CDMA 이동통신망(400)이 해석할 수 있는 착신지 이동전화번호의 단문메시지를 구성하여 이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모듈(102)을 통해 CDMA 이동통신망(400)으로 발송함으로써,상기 이동전화번호를 갖는 휴대폰(500ax)을 통해 해당 승객 등록자가 단문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하도록 한다.
또한, 호접속 후의 음성안내를 통한 통보의 경우에는, 상기 운용모듈(106)은 해당 승객의 발신전화번호를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110)에서 확인하여 이를 상기 호처리 모듈(104)에 전송하면서 그 전화번호를 갖는 휴대폰(500ax)과 호접속하기를 요청하게 된다. 이와 같은 요청에 의해 상기 호처리 모듈(104)은 호요구 데이터를 구성하여 이를 데이터 송수신모듈(102)을 통해 프레임화시켜 상기 CDMA 이동통신망(400)의 교환기로 송신함으로써, 해당 전화기에 링(ring)신호가 착신되도록 한다.
링신호에 의해 수신자가 응답을 하면 그에 따른 응답데이터가 상기 CDMA 이동통신망(400)으로 부터 데이터 송수신모듈(102)을 통해 호처리 모듈(104)에 전달되고, 상기 호처리 모듈(104)은 호연결 사실을 상기 운용모듈(106)에 통지하게 된다. 호연결이 되었음을 인지하면 상기 운용모듈(106)은 상기 음성처리 모듈(105)을 통해 상기 호접속된 휴대폰(500ax)에 등록해제 되었음을 음성 통보하게 된다.
상기 운용모듈(106)의 이와 같은 등록해제 통보시에는,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의 전화번호 또는 인터넷 주소와 같은 접근번호(callback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해당 승객이 단문메시지, 음성안내, 텍스트 데이터 등을 통해 등록해제됨을 인식하고, 재등록을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접근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에 간단히 접속하여 재등록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는 이와 같이 등록된 승객들에 대한 위치정보를 CDMA 이동통신망(400)에 주기적으로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로 부터 승객의 현재위치를 파악하여 승객의 위치에 변동이 생긴 경우에는 승객이 택시타기를 포기하였거나 다른 택시를 이용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승객에 대한 등록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110)에서 삭제하도록 하고, 해당 승객에서 등록해제 사실을 전술한 바와 같이 통보하게 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택시기사의 요청에 따라 조회된 승객들에 대한 발신전화번호를 택시기사에게 제공하여 이로 부터 택시기사와 호접속이 이루어진 승객에 대해서는 '숨김여부' 필드의 값을 'YES'로 변경하여 기록하고, 택시기사의 발신전화번호도 함께 기록한다. 이로써, 다른 택시기사에게 승객의 발신전화번호가 중복 제공되어 승객에게 빈번히 전화를 걸어 번거롭게 하는 문제점을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가 택시기사와 호접속이 이루어진 승객을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택시기사의 휴대폰(500bx)에 대해서 무선 데이터 통신서비스의 접속 중 발신가능한 서비스를 지원하거나 3자 통화 서비스를 지원함으로써, 승객조회와 조회된 승객과의 새로운 호연결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통화 또는 데이터 서비스 중 새로이 연결요청하는 착신자 전화번호를 CDMA 이동통신망(400)을 통해서 받게 된다. 이와 같이 착신자번호를 수신하게 되면 그 번호의 '숨김여부' 필드는 'YES'로 수정하게 된다.
만약 상기의 실시예에서, 택시타기를 희망하는 승객에 대한 정보를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로 부터 제공받은 택시기사가 상기 제공받은 정보로 부터 택시타기를 희망하는 특정 승객과 전화통화하여 특정 승객의 위치정보를 제공받은 상태에서, 다른 승객을 태우거나 또는 부득이한 사정으로 인해 전화통화한 승객에게 이동할 수 없는 경우 등을 고려하여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에서는 택시 탑승승객에 대한 신고를 하도록 한다. 즉 택시기사는 자신이 운행하는 택시에 특정 승객이 탑승하게 되면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에 전술한 방법으로 접속하게 되고, 접속된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로 부터 제공되는 음성안내 또는 텍스트 안내에 따라 원하는 메뉴, 즉 "탑승승객 신고메뉴"에 해당하는 번호를 선택하여, 탑승승객에 대해 신고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는 CDMA 이동통신망(400)으로 부터 획득되는 발신자 전화번호를 도4의 데이터베이스의 '택시기사 전화번호' 필드에서 검색하여 탑승합의한 승객의 등록전화번호를 바로 독출하여 안내메시지를 구성한다. 따라서 택시기사는,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로 부터 '011-315-XXXX 전화번호의 승객이 탑승하였습니까?"와 같이 제공되는 물음에 "Y" 또는 "N"로 간단히 답함으로써 탑승승객에 대해 신고하게 된다. 다르게는 택시기사가 이동전화번호 등과 같이 탑승승객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휴대폰(500bx) 상에서 직접 입력하여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로 부터 택시탑승이 확인된 승객에 대해서는 상기 운용모듈(106)이 상기 등록자 관리모듈(140)을 통해, 해당 승객에 대한 등록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110)에서 삭제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가 상기와 같은 이유등으로 인해 특정 승객에 대해 자동으로 등록해제하기 전에, 등록된 승객의 등록시간으로 부터 소정시간이 경과하여도 탑승신고가 이루어지지 않은 승객에 대해서는 그 승객들의 기 저장된 발신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승객의 휴대폰(500ax)에 접속하게 되고, 접속된 휴대폰(500ax)을 통해 택시 탑승여부를 문의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의 접근번호를 제공하여 원하는 경우에 한해 해당 승객이 간단히 재등록할 수 있도록 하며, 재등록 요청인 경우에는 그 등록승객의 '숨김여부' 필드의 값은 다시 'NO'로 설정하고, 또한 기재된 '택시기사 전화번호' 필드의 내용은 삭제하여 NULL로 만든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도5의 흐름도를 참조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자신의 택시가 공차임을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에 등록하고자 하는 택시기사는 승객이 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휴대폰(500bx) 등과 같은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에 접속하게 된다.
상기 휴대폰(500bx)을 통해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에 접속된 택시기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로 부터 제공되는 음성안내 또는 텍스트 안내에 따라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게 되는데, 승객탑승을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음성안내 또는 텍스트 안내를 통해 제공되는 선택메뉴 중 "공차 등록메뉴"에 해당하는 번호를 선택함으로써, 승객탑승을 희망한다는 의사를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에 전달하게 되는데(S30), 이때에도 역시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는 현재 접속상태에 있는 휴대폰(500bx)에 대한 발신전화번호 및 위치정보를 상기 CDMA 이동통신망(400)에 요청하여 수신하게 된다.
상기 운용모듈(106)은 승객탑승을 희망한 택시기사에 대한 등록정보로서, 상기 수신된 발신전화번호 및 위치정보와 상기 시계부(120)의 진행시간으로 부터 확인되는 현재시각을, 상기 등록자 관리모듈(140)에 전달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110)에 저장하는데, 도6은 그 저장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때에도 '숨김여부'와 '승객 전화번호' 필드의 기능과 용도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에 접속하여 승객탑승 요청을 완료한 택시기사는, 그때부터 대기하면서 승객으로 부터의 연락을 기다리게 된다.
한편, 택시탑승을 희망하는 승객은 휴대폰(500ax) 등과 같은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CDMA 이동통신망(400)을 통해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에 접속하게 되고,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로 부터 제공되는 음성안내 또는 텍스트 안내에 따라 "공차 조회메뉴"의 항목번호를 선택함으로써, 공차에 대한 조회의사를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에 전달하게 된다(S40).
이와 같은 요청에 따라, 상기 운용모듈(106)은 CDMA 이동통신망(400)으로 부터 수신한 현재 접속상태에 있는 휴대폰(500ax)에 대한 위치정보로 부터 공차 조회를 요청한 승객의 현재위치를 파악하고(S41), 상기 등록자 관리모듈(140)에 요청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110)의 도6과 같은 저장내용 중 택시기사 등록자들에 대한 위치정보로 부터 공차 조회요청한 승객과 인접되어 있는 택시기사 등록자들을 조회하도록 하는데, 이때에도 역시 조회대상은 '숨김여부' 필드의 값이 'NO'인 것만을 대상으로 한다. 상기 운용모듈(106)은 이와 같이 조회된 택시기사들에 대한 발신전화번호와 위치정보를 차례로 독출하여(S42) 이를 최근접이라고 판단되는 순서대로 상기 운용모듈(106)에 제공하여 상기 승객의 휴대폰(500ax)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휴대폰(500ax)을 통한 음성안내 또는 텍스트 데이터에 의해 승객탑승을 희망하는 택시기사들에 대한 발신전화번호를 제공받은 승객은, 이중 가장 최근접이라고 판단되는 전화번호 하나를 선택하여 호접속하게 되고, 호접속된 택시기사와의 대화를 통해 자신의 현재위치를 상세히 제공함으로써, 택시기사로 하여금 자신이 위치한 장소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에 등록요청한 택시기사가 승객탑승을 포기하거나 다른 승객을 탑승시킨 경우 등으로 인해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에 접속하여 "공차 등록취소 메뉴"에 해당하는 번호를 선택함으로써 등록취소를 요청하게 되면, 이에 따라 상기 운용모듈(106)은 상기 등록자 관리모듈(140)에 요청하여 등록취소를 요청한 택시기사에 대한 등록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110)에서 삭제하도록 함으로써 등록 취소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운용모듈(106)은 전술한 바와 같이 등록시간이 소정시간(예를 들어, 20분) 경과한 택시기사에 대해서는 그 택시기사의 등록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110)에서 삭제하여 등록해제하고, 등록해제 사실을 해당 택시기사의 통신단말기를 통해 통보하며, 이때에도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의 접근번호(callback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해당 택시기사가 통신단말기를 통해 등록해제됨을 인식하고, 재등록을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접근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에 간단히 접속하여 재등록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는 이와 같이 등록된 택시기사들에 대한 위치정보를 CDMA 이동통신망(400)으로 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110)의 해당 택시기사에 대한 현재 위치정보를 계속해서 갱신저장하며, 또한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는 승객과 호접속이 이루어진 택시기사에 대해서는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110)의 '숨김여부' 필드의 값을 'YES'로 변경하여 기록하게 된다.
만약 상기의 실시예에서, 승객탑승을 희망하는 택시기사에 대한 정보를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로 부터 제공받은 승객이 상기 제공받은 정보로 부터 승객탑승을 희망하는 특정 택시기사와 전화통화하여 자신의 위치정보를 제공한 상태에서, 만약 다른 택시에 탑승하거나 또는 택시타기를 포기하는 경우 등을 고려하여,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에서는 상기 택시기사로 하여금 택시 탑승승객에 대한 신고를 하도록 하는데, 상기 택시기사의 탑승승객 신고과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운용모듈(106)은 소정시간이 경과하여도 승객 탑승신고를 하지 않은 택시기사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객 탑승여부를 문의하게 되고, 이때에도 역시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의 접근번호를 제공하여 원하는 경우에 한해 해당 택시기사가 간단히 재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상기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택시기사가 휴대폰(500bx)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으나, 택시기사는 정차하거나 휴대폰의 핸즈프리(Hands Free) 기능을 이용하여야 하므로, 택시기사의 이와 같은 번거로움을 해소시키기 위해서 휴대폰 기능이 내장된 별도의 전용 통신단말기를 구성하여 이를 통해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용 통신단말기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입력을 위한 키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입력회로(10); RF부(30)를 통해 CDMA 이동통신망(400)으로 데이터를 무선 송신하고, 또한 상기 CDMA 이동통신망(400)으로 부터 데이터를 무선 수신하는 CDMA 모뎀(20); 입력되는 디지털 오디오데이터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이어폰으로 출력하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는 디지털 오디오데이터로 변환출력하는 코덱(CODEC : Coder-Decoder)을 포함하는 음성 입출력부(40); 저궤도 인공위성에서 송신되어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GPS 신호로 부터 이동체(택시)의 현재경도, 위도, 고도의 좌표데이터 및 절대시각을 해독하는 위치인식기(GPS)(60); 외부 택시미터기와 연결접속되어 택시미터기 신호를 수신하는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70); 각종 메뉴화면 및 수신된 데이터 등을 출력표시하기 위한 표시부(80); 휴대폰의 고유번호인 전자 일련번호(ESN : Electronic Serial Number) 또는 휴대폰 전화번호(MIN : Mobile Identification Number)와, 그리고 상기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서버(100)의 기 지정된 접근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롬(ROM)(90); 및 호처리 및 이동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변복조 및 구성요소간의 데이터 흐름등을 제어하는 마이컴(5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용 통신단말기에서는, 상기 마이컴(50)이 상기 롬(90)에 저장되어 있는 서버(100)의 접근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100)와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접속이 이루어진 다음에는 상기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70)를 통해 수신되는 택시미터기 신호로 부터 공차상태인지 아닌지를 상기 롬(90)에 저장되어 있는 휴대폰 전화번호와, 그리고 상기 위치인식기(60)로 부터 확인되는 현재의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접속된 서버(100)에 자동으로 송신되도록 하여, 상기 서버(100)에 공차등록하거나 또는 등록해제할 수 있도록 하고, 그밖의 동작과정은 전술한 휴대폰(500bx)에서와 동일하다.
도8∼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택시를 타고자 하는 승객이 상기 서버(100)에 접속하여 등록요청하고, 상기 서버(100)는 택시기사가 등록된 승객을 조회요청하면 등록된 승객 중 상기 택시기사와 근접한 승객을 조회하여 이들에 대한 정보를 택시기사에게 제공하여 택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승객탑승을 희망하는 택시기사가 상기 서버(100)에 접속하여 등록요청하고, 상기 서버(100)는 승객이 등록된 택시기사를 조회요청하면 등록된 택시기사 중 상기 승객과 근접한 택시기사를 조회하여 이들에 대한 정보를 승객에게 제공하여 승객탑승이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으나, 이와는 달리 도8에서와 같이 택시를 타고자 하는 승객과 승객탑승을 원하는 택시기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서버(100)에 각각 접속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서버(100)에서는 도9에서와 같이 택시타기를 희망하는 승객의 인근위치에 승객탑승을 희망하는 택시기사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접속상태에 있는 승객에게 "택시로 바로 연결해 드리겠습니다"와 같은 안내메시지를 음성안내 또는 텍스트 안내를 통해 통보한 후 해당 택시기사와 즉시 호연결시키고(Call Forwarding), 만약 승객의 인근위치에 승객탑승을 희망하는 택시기사가 없는 경우에는 "대기승객으로 등록되었습니다"와 같은 안내메시지를 해당 승객에게 음성안내 또는 텍스트 안내를 통해 통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서버(100)는 승객탑승을 희망하는 택시기사에 대해서도 도10에서와 같이 인근위치에 택시타기를 희망하는 승객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접속상태에 있는 택시기사에게 "승객에게 바로 연결해 드리겠습니다"와 같은 안내메시지를 통보한 후 해당 승객과 즉시 호연결시키고(Call Forwarding), 만약 택시기사의 인근위치에 택시탑승을 희망하는 승객이 없는 경우에는 "공차로 등록되었습니다"와 같은 안내메시지를 해당 택시기사에게 통보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기 서버(100)가 상기 승객 또는 택시기사에게 호연결시킨 후에는 해당 승객과 택시기사에게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단문메시지 형태로 제공하여 호연결된 상대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택시 자동등록 통신단말기 및 통신망을 통한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방법은, 택시와 승객간을 자동적으로 연결시켜 줌으로써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으며, 택시를 이용하는 승객 입장에서는 서버에 한번 호접속하는 것에 의해 직접 택시기사와 전화통화할 수 있어 저렴한 통화요금으로 택시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여 이에 따른 서비스 이용 증대의 효과가 있으며, 또한 택시기사 입장에서는 고액의 월회비 등을 부담하지 않고서도 저렴한 통화요금의 지불만으로도 자신의 택시가 공차인 경우에는 언제든지 서버에 승객탑승을 요청하여 택시이용을 원하는 승객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어, 수익증대와 편리성을 제공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7)

  1. 택시이용을 원하는 승객과 승객탑승을 원하는 택시기사간을 통신망을 통해 중개하는 서버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접속된 승객의 등록요청에 따라, 상기 승객의 위치정보와 접근번호를 포함하는 등록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 1단계;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접속된 택시기사의 등록승객에 대한 조회요청에 따라, 상기 택시기사의 현재위치를 파악하는 제 2단계;
    상기 저장된 등록정보로 부터, 상기 위치파악된 택시기사와 근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승객을 검색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검색된 승객의 이동통신단말기 접근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된 승객과 상기 제 2단계에 의해 접속상태에 있는 택시기사를 직접 호연결(Call Forwarding)시키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신망을 통한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접근번호를 수신한 택시기사가 상기 이통통신단말기를 통하여 승객 탑승을 신고하면, 상기 탑승신고된 해당 승객에 대한 기 저장된 등록정보를 삭제하는 제 5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접속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택시기사가 등록요청한 승객에게 호요청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그 승객에 대한 기 저장된 등록정보는 타 택시기사의 조회요청에 나타나지 않도록 표시해두는 제 5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등록정보는 그 등록된 시간정보를 포함하고 그 등록된 승객의 등록시간으로 부터 소정시간 경과시까지 승객 탑승신고가 이루어지지 않은 승객에 대해서는, 해당 승객의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무선데이터 또는 음성안내를 통해, 택시 탑승여부 및 재등록여부를 문의하는 제 5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 또는 택시기사의 현재 위치정보는, 호 발신된 CDMA 기지국의 위치정보로 부터 파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 또는 택시기사의 현재 위치정보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된 위치정보 시스템이 수신한 위치 좌표값으로 부터 파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는, 검색된 하나이상의 등록정보를 택시기사의 위치에 근접된 순으로 구성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 의해 등록된 승객의 현재위치를 계속해서 확인하여, 상기 승객의 현재위치가 등록요청시의 위치와 상이한 경우, 해당 승객에 대한 기 저장된 등록정보를 삭제하는 제 5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등록정보는 그 등록된 시간정보를 포함하고 그 등록된 승객의 등록시간으로 부터 소정시간 경과한 경우에는 해당 승객의 기 저장된 등록정보를 삭제하고, 그 사실을 상기 서버의 접근번호와 함께 단문메시지 또는 무선데이터 형태로, 해당 승객의 이동통신단말기에 통보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방법.
  10. 승객탑승을 원하는 택시기사와 택시이용을 원하는 승객간을 통신망을 통해 중개하는 서버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접속된 택시기사의 등록요청에 따라, 상기 택시기사의 위치정보와 접근번호를 포함하는 택시기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 1단계;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접속된 승객의 등록 택시기사에 대한 조회요청에 따라, 상기 승객의 현재위치를 파악하는 제 2단계;
    상기 저장된 택시기사 정보로 부터, 상기 위치파악된 승객과 근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택시기사를 검색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검색된 택시기사의 이동통신단말기 접근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된 택시기사와 상기 제 2단계에 의해 접속상태에 있는 승객을 직접 호연결(Call Forwarding)시키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신망을 통한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접근번호를 수신한 택시기사가 이통통신단말기를 통하여 승객 탑승을 신고하면, 상기 탑승신고한 해당 택시기사에 대한 기 저장된 택시기사 정보를 삭제하는 제 5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접속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승객이 등록요청한 택시기사에게 호요청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그 택시기사에 대한 기 저장된 택시기사 정보는 타 승객의 조회요청에 나타나지 않도록 표시해두는 제 5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택시기사 정보는 그 등록된 시간정보를 포함하고, 그 등록된 택시기사의 등록시간으로 부터 소정시간 경과시까지 승객 탑승신고가 이루어지지 않은 택시기사에 대해서는, 해당 택시기사의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무선데이터 또는 음성안내를 통해, 승객 탑승여부 및 재등록여부를 문의하는 제 5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는, 검색된 하나이상의 택시기사 정보를 승객의 위치에 근접된 순으로 구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택시기사 정보는 그 등록된 시간정보를 포함하고, 그 등록된 택시기사의 등록시간으로 부터 소정시간 경과한 경우에는 해당 택시기사의 기 저장된 택시기사 정보를 삭제하고, 그 사실을 상기 서버의 접근번호와 함께 단문메시지 또는 무선데이터 형태로, 해당 택시기사의 이동통신단말기에 통보하는 제 5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택시 이용서비스 제공방법.
  16. 이동통신망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수단;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압축데이터화하여 상기 통신수단에 제공하고, 상기 수신되는 디지털 압축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복원하여 출력하는 신호 변환수단;
    상기 통신수단을 이동통신망에게 유일하게 특정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수단;
    택시미터기로 부터 주행요금 계산상태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접속수단; 및
    상기 접속수단의 수신신호 상태의 변화에 따라, 그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공차등록 또는 공차해제의 정보를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외부의 서버로 제공토록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택시 자동등록 통신단말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수신되는 GPS 신호로 부터 현재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서버로 더 제공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 자동등록 통신단말기.
KR1020000038915A 2000-07-07 2000-07-07 택시 자동등록 통신단말기 및 통신망을 통한 택시이용서비스 제공방법 KR100359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915A KR100359740B1 (ko) 2000-07-07 2000-07-07 택시 자동등록 통신단말기 및 통신망을 통한 택시이용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915A KR100359740B1 (ko) 2000-07-07 2000-07-07 택시 자동등록 통신단말기 및 통신망을 통한 택시이용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5268A KR20020005268A (ko) 2002-01-17
KR100359740B1 true KR100359740B1 (ko) 2002-11-07

Family

ID=19676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915A KR100359740B1 (ko) 2000-07-07 2000-07-07 택시 자동등록 통신단말기 및 통신망을 통한 택시이용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97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525B1 (ko) * 2000-08-10 2005-06-10 기준성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과 그 방법
KR101492176B1 (ko) * 2005-07-07 2015-02-13 주식회사 어가람닷컴 택시요금의 협상 및 안심택시 운영에 관한 시스템과 그방법
CN108319267A (zh) * 2018-01-30 2018-07-24 深圳汇通智能化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驾驶出租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734B1 (ko) * 2001-06-18 2004-06-04 이재욱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자동연결 서비스 방법
KR20030069725A (ko) * 2002-02-22 2003-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거리 전용 통신을 이용한 차량 호출 시스템
KR100931685B1 (ko) * 2003-06-05 2009-12-14 주식회사 케이티 단거리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차량호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1815326B1 (ko) 2012-01-31 2018-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을 기반으로 한 타겟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1680311B1 (ko) * 2014-11-14 2016-11-29 이원석 택시 바우처 발권 장치
KR101647635B1 (ko) * 2014-12-12 2016-08-11 (주)에이텍티앤 승객 탐색형 택시 운행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914A (ko) * 1997-02-25 1998-10-26 안민구 택시 지령 시스템 및 그 지령 제어방법
KR19990064789A (ko) * 1999-05-10 1999-08-05 이선희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sms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914A (ko) * 1997-02-25 1998-10-26 안민구 택시 지령 시스템 및 그 지령 제어방법
KR19990064789A (ko) * 1999-05-10 1999-08-05 이선희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sms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525B1 (ko) * 2000-08-10 2005-06-10 기준성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정보 처리시스템과 그 방법
KR101492176B1 (ko) * 2005-07-07 2015-02-13 주식회사 어가람닷컴 택시요금의 협상 및 안심택시 운영에 관한 시스템과 그방법
CN108319267A (zh) * 2018-01-30 2018-07-24 深圳汇通智能化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驾驶出租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5268A (ko) 2002-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7841A (en) Cellular phone network that provides location-based information
US6985744B2 (en) Cellular phone and a base station thereof
US7317705B2 (en) Mobile data device and method of locating mobile data service
US92320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nding local information from a wireless browser to a web server
KR100722461B1 (ko) 특정 번호 서비스국으로 이동 호출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KR100466727B1 (ko) 전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JP3437822B2 (ja) 無線通信端末
US7486947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position search method
JP2000322361A (ja) 無線網における加入者の状態及び位置の利用方法並びにシステム
JP2000287249A (ja) 状態通知方法及び状態通知システム
KR100359740B1 (ko) 택시 자동등록 통신단말기 및 통신망을 통한 택시이용서비스 제공방법
US20030074412A1 (en) Electronic mail communication system and portable terminal for the same
KR20010086611A (ko) 이동 콜택시 서비스 방법
JPH10336739A (ja) 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20020041721A (ko)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콜택시 호출 서비스 시스템및 방법
JPH11239379A (ja) 携帯通信端末の位置検索方法
JPH0624525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9130482A (ja) 緊急通報時の位置情報転送システム
JPH1123292A (ja) 簡易型車両管理システム
KR20030013669A (ko)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무선 이동 단말기를 통한위치정보 서비스 방법
JPH06165244A (ja) 移動無線電話システム
JP3501030B2 (ja) 移動体通信端末システム
KR20010106613A (ko) 이기종 통신시스템에서의 차량 호출 서비스 방법
KR100375658B1 (ko) 차량 음성정보 제공장치 및 제공방법
JP2002101443A (ja) 移動電話機の自己位置通知システム及び自己位置通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