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3855A -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3855A
KR20020003855A KR1020017006689A KR20017006689A KR20020003855A KR 20020003855 A KR20020003855 A KR 20020003855A KR 1020017006689 A KR1020017006689 A KR 1020017006689A KR 20017006689 A KR20017006689 A KR 20017006689A KR 20020003855 A KR20020003855 A KR 20020003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row
unit
image
enlar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6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6728B1 (ko
Inventor
히로사와마사시
야마노우에마사후미
Original Assignee
마찌다 가쯔히꼬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찌다 가쯔히꼬,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찌다 가쯔히꼬
Publication of KR20020003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3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7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1Resolution modifying circuits, e.g. variable screen forma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8Segmentation of character regions
    • G06V30/158Segmentation of character regions using character size, text spacings or pitch esti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5Zooming at least part of an image, i.e. enlarging it or shrinking 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haracter Input (AREA)

Abstract

조작성에 편리하게 확대 또는 축소된 화상을 볼 수 있는 화상 표시 장치는 입력 화상에 포함되는 행 영역을 행 방향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행 분할 영역을 추출하는 행 분할 영역 추출부(2)와, 행 분할 영역 추출부(2)에 접속되며 추출된 행 분할 영역을 단위로 하여 배열순을 유지한채 행 분할 영역을 소정의 확대 축소율로 확대 또는 축소하여 출력 화상 상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처리부(4, 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 표시 장치{IMAGE DISPLAY DEVICE}
문자, 그림 또는 사진 등을 포함하는 문서 화상을 화상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확대 또는 축소 표시하기 위해서는 화상 전체를 단순하게 확대 또는 축소하는 수법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워드 프로세서나 WWW(World Wide Web) 브라우저와 같이, 텍스트 데이터의 1행당 문자수를 표시 화면이나 인쇄 용지의 크기에 따라 변경하고, 문자나 화상의 재배치를 행하고 표시 또는 인쇄하는 방법도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화상 데이터로 구성되는 문서 화상에 주목하면, 일본 특개평 9-16713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문서 화상 중 문자 영역을 비문자 영역으로 구별하여 추출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또한 일본 특개평 5-328097호 공보에 도시되어 있듯이, 화상 데이터로부터 본문의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한 본문의 영역을 행 단위 또는 블록 단위로 재배치하여 출력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책의 각 페이지를 읽는 경우에 문자가 작아서 읽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때, 화상 전체를 단순하게 확대하는 방법으로는 확대 또는 축소한 화상이 표시 화면보다 커져서 표시 화면으로부터 문자가 누락된다는 문제가 있다.
누락된 부분을 보기 위해서 화상 표시 장치에 스크롤 바를 설치하여 스크롤 바를 조작하면 된다. 그러나, 세로 또는 가로 방향으로 화상을 이동시키는 조작이 필요하여 조작성에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화상 중에서부터 필요한 부분만을 확대 또는 축소하기 위해서는 확대 또는 축소의 배율(이하, 「확대 축소율」이라고 한다)을 차례대로 지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책의 페이지의 페이지 레이아웃이 바뀔 때마다 확대 축소율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조작성에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세로 길이 또는 가로 길이의 화상을 화상을 축소하여 화상 전체가 표시 화면 내에 들어가게 하면 표시 화면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화상의 미표시 영역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표시 화면이 유효하게 이용되지 않고 표시되는 정보량이 적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본 특개평 5-328097호 공보에 개시 방법으로는 재배치의 단위가 행 단위 또는 블록 단위이기 때문에 1행당 문자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없다. 또한, 그림 영역 또는 사진 영역과 문자 영역이 혼재하는 경우에 양쪽을 적절한 크기로 표시할 수 없다.
본 발명은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자, 그림 또는 사진 등을 포함하는 문서 화상을 보기 쉽게 확대 또는 축소하여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3은 도 1의 행 분할 영역 추출부(2)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화상의 세로축 및 가로축으로의 투영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화상 중 문자열이 세로행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도 4의 가장 위의 가로행의 화상과 그 화상의 가로축으로의 투영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구형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화상의 각 행을 분할수에 기초하여 분할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4의 화상의 각 행을 기준폭에 기초하여 분할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4의 화상의 각 행으로부터 문자 영역을 추출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병합 전의 외접 구형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병합 후의 외접 구형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행 분할 영역 정보를 저장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의 배치 결정부(4)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5는 도 14의 단계 S21의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6은 도 15의 단계 S30의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7은 도 14의 단계 S27의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8은 도 14의 단계 S23의 세로 위치를 구하는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9는 도 14의 단계 S23의 가로 위치를 구하는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0은 도 1의 확대 축소 배치부(5)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1은 도 8의 처리 결과로부터 얻어지는 출력 화상의 도면이다.
도 22는 도 9의 처리 결과로부터 얻어지는 출력 화상의 도면이다.
도 23은 도 8의 처리 결과로부터 얻어지는 출력 화상의 도면이다.
도 24는 입력 화상을 단순하게 확대 또는 축소한 경우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입력 화상과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에 의해 얻어지는 출력 화상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조판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배경 모양을 갖는 입력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배경 모양을 갖는 입력 화상을 2배로 확대한 출력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배경 모양을 제거한 입력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배경 모양을 제거한 입력 화상을 2배로 확대한 출력 화상의 일례를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2는 그림 영역 검출부(50)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3은 도 32의 단계 S92의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4는 도 32의 단계 S93의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5는 도 32의 단계 S94의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6은 입력 화상과,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에 의해 얻어지는 출력 화상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8은 입력 화상과,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에 의해 얻어지는 출력 화상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0은 입력 화상과,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에 의해 얻어지는 출력 화상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은 재배치의 계산이 간단해진다는 제4 실시예의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2는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3은 행 분할 영역을 1.4배로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4는 행 분할 영역을 1.9배로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5는 도 43에 도시되는 행 분할 영역을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에 의해 구해지는 확대 축소율로 확대 또는 축소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6은 도 44에 도시되는 행 분할 영역을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에 의해 구해지는 확대 축소율로 확대 또는 축소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제1 실시예]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는 입력 화상을 저장하는 IC 메모리나 자기 메모리 등에 의해 구성되는 입력 화상 저장부(1)와, 입력 화상 저장부(1)에 접속되며, 입력 화상 저장부(1)에 저장된 입력 화상을 페이지 단위로 처리하고, 각 페이지로부터 복수의 행 영역을 추출하고, 각 행 영역을 분할하여 복수의 행 분할 영역을 추출하는 행 분할 영역 추출부(2)와, 행 분할 영역을 표시할 때의 확대 축소율과, 출력 화상의 사이즈를 지정하는 확대 축소 정보 지정부(3)를 포함한다.
화상 표시 장치는 또한 행 분할 영역 추출부(2) 및 확대 축소 정보 지정부(3)에 접속되어 행 분할 영역 추출부(2)로부터 출력되는 행 분할 영역의 정보 및 확대 축소 정보 지정부(3)로부터 출력되는 확대 축소율 및 출력 화상 사이즈에 기초하여 각 행 분할 영역의 출력 화상 상에서의 배치 위치를 계산하는 배치 결정부(4)와, 입력 화상 저장부(1), 확대 축소 지정부(3) 및 배치 결정부(4)에 접속되고 입력 화상 저장부(1)에 저장된 입력 화상으로부터 행 분할 영역을 추출하여 확대 또는 축소한 후, 출력 화상 상에 배치되는 확대 축소 배치부(5)와 확대 축소 배치부(5)에 접속되어 확대 축소 배치부(5)의 출력을 저장하는 출력 화상 저장부(6)를 포함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입력 화상이 페이지 단위로 재배치 처리되어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 화상 저장부(6)에 저장된다.
압력 화상 저장부(1)는 스캐너, 비디오 캡쳐 보드 또는 통신 포트 등을 포함해도 된다.
입력 화상 저장부(1)에 저장되는 입력 화상은 소설이나 만화 등의 책을 페이지 단위로 스캐너 등을 이용하여 판독한 화상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문서 화상으로, 책의 페이지 단위로 화상 데이터의 순서가 정해져 저장되고 있다. 화상 데이터는 페이지 단위에서의 저장뿐만아니라, 좌우 양면 페이지 단위 또는 단조 단위 등 소정의 단위로 저장되어 있어도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페이지 단위로 화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확대 축소 정보 지정부(3)는 미리 정해진 확대 축소율 및 출력 화상 사이즈를 기억하고 있고, 이들에 기초하여 확대 축소율 및 출력 화상 사이즈의 지정을 행한다. 또는 확대 축소 정보 지정부(3)는 소정의 방법에 기초하여 확대 축소율 및 출력 화상 사이즈를 계산하여 지정을 행한다. 또는 확대 축소 정보 지정부(3)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확대 축소율 및 화상 사이즈를 지정한다.
도 2를 참조하여, 화상 표시 장치는 또한 입력 화상 저장부(1)에 저장된 입력 화상 또는 출력 화상 저장부(6)에 저장된 출력 화상을 표시하는 CRT 또는 액정 패널 등으로 이루어지는 비트맵 표시 가능한 표시 화면(100)과, 입력 화상 저장부(1)에 저장된 입력 화상의 표시와 출력 화상 저장부(6)에 저장된 출력 화상의 표시와의 전환을 지시하는 버튼(101)과, 페이지를 넘기기 위한 버튼(102)을 포함한다. 표시 화면(100)에 입력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버튼(102)을 누름으로써, 페이지 단위로 입력 화상이 순차 전환된다. 표시 화면(100)에 출력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버튼(102)을 누름으로써 페이지 단위로 출력 화상이 순차 전환된다.
표시 화면(100)에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이용하여 확대 축소 정보 지정부(3)가 구성되며, 확대 축소율 지정을 위한 소프트 버튼이 표시되어 있다. 확대 축소 정보 지정부(3)에 의한 확대 축소율 지정은 키보드 입력, 버튼 입력 또는 음성 입력 등이라도 좋고, 하드 버튼 또는 소프트 버튼을 누르면 일정 간격으로 확대 축소율이 증감하는 것이라도 좋다. 확대 축소 배치부(5)는 확대 축소율의 증감에 따라 출력 화상을 리얼 타임으로 변화시켜도 된다. 이에 따라, 확대 축소율의 변화가 시각적으로 인식되어 사용자가 알기 쉽게 한다.
확대 축소 정보 지정부(3)에 의해 지정되는 확대 축소율에 따라 출력 화상은 임의의 사이즈로 변경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에서는 표시되는 출력 화상은 입력 화상과 동일 사이즈의 화상으로 한다. 또한, 표시 화면(100)에 표시된 화상을 스크롤시키기 때문에 화상 표시 장치에 죠그 다이얼(도시하지 않음) 등을 설치해도된다.
도 3을 참조하여, 행 분할 영역 추출부(2)는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행 분할 영역 추출부(2)는 입력 화상의 농도값을 세로축 및 가로축으로 투영한다(단계 S1).
도 4를 참조하여, 입력 화상(10)의 농도값을 가로축(이하, 「x축」이라고 한다)으로 투영하면 절선 그래프(11)가 얻어지고, 세로축(이하, 「y축」이라고 한다)으로 투영하면 절선 그래프(12)가 얻어진다. 도면 중, 그래프(11)의 우측 방향을 투영 위치를 나타내는 Px축으로 하고, 상측 방향을 투영치를 나타내는 Vx축으로 한다. 또한, 그래프(12)의 하측 방향을 투영 위치를 나타내는 Py축으로 하고, 상측 방향을 투영치를 나타내는 Vy축으로 한다. 투영치는 입력 화상이 2치 화상인 경우에는 흑 화소의 수에 상당하고, 다중값 화상인 경우에는 농도값의 합에 상당한다. 도 4에서는 알기쉽게 투영 결과의 투영치와 입력 화상(10)의 투영에 사용된 화소의 위치가 x축 방향으로 가지런해지도록, 그래프(12)와 입력 화상(10)을 열거하고 있다. 그래프(11)도 마찬가지로, 투영 결과의 투영치와 입력 화상(10)의 투영에 사용된 화소의 위치가 가지런해지도록 표시하고 있다. 각 위치의 투영 결과를, 예를 들면 16비트의 정수치로 표현하면, 전 투영 결과는 16비트값을 요소로 하는 화상폭과 동일 크기의 배열로 받아들이게 된다.
재차 도 3을 참조하여, 행 분할 영역 추출부(2)는 입력 화상 중의 문자열이 세로행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 문자열이 가로행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단계 S2에서 NO), 행 분할 영역 추출부(2)는 입력 화상을 복수의 행으로분할하고, 복수의 행 영역을 추출한다(단계 S6). 행 분할 영역 추출부(2)는 행 영역마다 가로축으로의 투영을 취한다(단계 S7). 행 분할 영역 추출부(2)는 행 영역마다 행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행 분할 영역을 추출한다(단계 S8).
입력 화상 중 문자열이 세로행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단계 S2에서 YES), 가로와 세로를 교환하고 단계 S6 ∼ 단계 S8의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하여, 복수의 행 분할 영역을 추출한다(단계 S3 ∼ 단계 S5). 이 때문에, 단계 S3 ∼ 단계 S5의 처리의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도 5를 참조하여, 도 3의 단계 S2의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행 분할 영역 추출부(2)는 세로축으로의 투영이 규칙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 규칙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생각된다. 예를 들면, 투영 결과를 주파수 해석하여 특정 주파수에 뾰족한 피크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로 판단하는 방법도 있다. 여기서는 간단하여 투영 결과를 임계치로 2치화한다. 예를 들면, 0, 0, 1, 0, 0, 0, 1, 1, 1, 0, 0, 0, 1, 1, l, 0, 0, 0, 1, 1, 1, 0, 0 등과 같은 값을 갖는 배열이 얻어진다. 0인 런의 런 랭스(run-length)와 1인 런의 런 랭스를 조사하여 런랭스의 횟수 분포를 조사한다. 상기 예에서는 0인 런에 관한 것으로, 런랭스가 3인 횟수가 3, 런랭스가 2인 횟수가 2이다. 1인 런에 관한 것으로, 런랭스가 1인 횟수가 1, 런랭스가 3인 횟수가 3이다. 런랭스가 임계치 T1보다 크고 그 횟수가 임계치 T2보다 큰 경우에 규칙적이라고 판단한다. 예를 들면, T1을 2, T2를 2로 하면, 상기 예에서는 0인 런의 런랭스 및 1인 런의 런랭스 모두 3인 횟수가3이기 때문에, 이 조건을 만족하여 규칙적이라고 판단한다.
세로축으로의 투영이 규칙적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단계 S10에서 YES) 단계 S11로 진행하고, 세로축으로의 투영이 규칙적이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단계 S10에서 NO) 단계 S12로 진행한다.
단계 S11에서는 가로축으로의 투영이 규칙적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가로축으로의 투영이 규칙적인 경우에는(단계 S11에서 YES) 단계 S13으로 진행하고, 가로축으로의 투영이 규칙적이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S11에서 NO), 입력 화상의 문자열은 가로행이라고 판단되어 결합자 P3으로 진행한다. 가로축으로의 투영이 규칙적인지의 여부의 판단은 단계 S10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행해진다. 이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단계 S13에서는 세로축 투영을 행하였을 때에 얻어지는 배경부의 폭과 가로축 투영을 행하였을 때에 얻어지는 배경부의 폭이 비교된다. 상술한 런의 예를 들면, 배경부에 대응하는 0인 런의 런랭스를 비교하는 것에 상당한다. 런랭스가 임계치 T1보다 크고, 그 횟수가 임계치 T2보다 크고, 0인 런의 런랭스가 복수 있는 경우에는 가장 횟수가 큰 런랭스가 비교의 대상이 된다. 상기 예에서는 런랭스가 3으로 그 횟수가 3의 0인 런과, 런랭스가 2로 그 횟수가 2의 0인 런이 조건을 만족하지만, 이 중 가장 횟수가 큰 런랭스가 3으로 그 횟수가 3의 0인 런이 비교 대상이 된다. 세로축 투영과 가로축 투영으로 비교 대상이 된 0인 런의 런랭스를 비교하고, 런랭스가 큰 쪽이 배경부의 폭이 크다고 판단된다. 세로축 투영에 의해 얻어지는 배경부의 폭이 가로축 투영에 의해 얻어지는 배경부의 폭보다도 큰 경우에는(단계 S13에서 YES) 입력 화상의 문자열이 가로행이라고 판단되어 결합자 P3으로 진행한다. 세로축 투영에 의해 얻어지는 배경부의 폭이 가로축 투영에 의해 얻어지는 배경부의 폭 이하인 경우에는(단계 S13에서 NO), 입력 화상의 문자열이 세로행이라고 판단되어 결합자 P2로 진행한다.
단계 S12에서는 입력 화상의 가로축으로의 투영이 규칙적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판단 수법은 단계 S11의 수법과 마찬가지이다. 그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입력 화상의 가로축으로의 투영이 규칙적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단계 S12에서 YES), 입력 화상의 문자열이 세로행이라고 판단되어 결합자 P2로 진행한다. 입력 화상의 가로축으로의 투영이 규칙적이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단계 S12에서 NO), 상술한 단계 S13으로 진행한다.
도 3의 단계 S6에서는, 단계 S2에서 입력 화상의 문자열이 세로행이 아니라고 판단되어 있어, 행 분할 영역 추출부(2)는 입력 화상으로부터 가로행의 영역을 추출한다. 도 6을 참조하여, 행 분할 영역 추출부(2)는 우선 도 4의 가장 위의 가로행을 추출한다. 예를 들면, 상술한 런의 예에서는 1인 런의 런랭스가 임계치 T3을 넘는 부분이 행으로서 추출된다. 행이라고 판단된 부분을 도 6의 구형 영역과 같이 가로로 추출함으로써 행 영역이 추출된다. 실제로는 행 영역에 상당하는 구형의 좌표 정보, 즉 좌측 상단 각의 좌표치(left, top)와 구형의 폭 및 높이의 정보(width, height)가 얻어지면 충분하다.
도 7을 참조하여, 단계 S6의 처리에서 n개의 행이 추출된 경우에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저장되는 구형의 좌표 정보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나째의 구형rect[0]의 좌측 상단 코너의 좌표치(left[0], top[0])는 셀(20, 21)로 저장된다. 구형 rect[0]의 폭 및 높이의 정보(width[0], height[0])는 셀(22, 23)로 저장된다. 각 셀은 2 바이트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면, rect[0]의 top[0]의 어드레스치는 left[0]의 어드레스치에 2 바이트 더하여 구한다. width[0] 및 height[0]의 어드레스도 마찬가지로, left[0]의 어드레스에 4 바이트 및 6 바이트를 각각 더하여 구한다. 2행째의 구형 rect[1]의 어드레스[셀(24)의 어드레스]는 (rect[0]의 어드레스+8)로 표현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행의 구형 정보를 액세스할 수 있다.
단계 S7에서는, 단계 S6에서 얻어진 구형 정보를 이용하여 구형(행 영역)마다 가로축으로의 투영을 취한다. 도 6을 참조하여, 1행째의 행 영역에 대하여 투영을 취하면 절선 그래프가 얻어진다.
단계 S8에서는, 단계 S6에서 얻어진 구형 정보와 단계 S7에서 얻어진 투영 결과로부터 행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다. 분할수가 미리 정해져 있는 경우에는 행 영역의 행 방향의 폭을 분할수로 나누어서 행 분할 영역의 평균의 크기를 구한다. 행 분할 영역 추출부(2)는 행 영역을 평균의 크기로 분할하고, 가상의 분할 위치를 구한다. 행 분할 영역 추출부(2)는 단계 S7에서 구해진 가로축으로의 투영 결과를 2치화하고, 가상의 분할 위치에 가장 가까운 농도 0의 위치를 분할 위치로 한다. 실제로는, 분할 위치에서 행 영역을 완전히 분할하고 행 분할 영역을 구하지는 않고, 농도 0의 부분에는 문자가 없다고 가정하여 행 분할 영역에 포함시키지 않아도 된다. 행 영역의 끝의 부분도 마찬가지로 농도 0의 부분은 분할 영역으로부터 제외해도 된다. 행 분할 영역의 높이에 관해서는 행 영역의 높이가 그대로 이용된다.
도 4의 화상의 각 행을 두개의 행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면 도 8과 같아진다. 여기서는, 알기 쉽게 화상에 중첩하여 행 분할 영역을 실선인 사각으로 둘러싸여 있다. 1행째의 좌측 분할 영역의 맨 뒤의 문자와 우측의 행 분할 영역의 맨 앞의 문자 사이에는 배경 영역(농도 0의 영역)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 부분은 행 분할 영역에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좌우의 행 분할 영역은 접하지 않다. 4행째의 선두 부분은 1문자분 줄바꿈되기 때문에, 줄바꿈된 부분은 행 분할 영역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이와 같이 농도 0인 부분을 제외하는 것으로, 행 분할 영역의 폭이 0이 된 경우에는 그 영역은 행 분할 영역으로부터 제외해도 된다. 예를 들면, 3행째에는 행 분할 영역이 하나밖에 없지만, 이것은 우측의 행 분할 영역에 관한 것으로 농도 0인 부분을 제외하면 영역의 폭이 0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3행째의 행 분할 영역의 개수는 하나가 된다.
또, 도 8에서 설명한 예에서는 분할수에 기초하여 행 영역의 분할을 행하였지만, 행 분할 영역의 기준폭을 미리 정해두고 이 기준폭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행 영역을 분할하도록 해도 된다.
기준폭을 결정하여 분할한 예를 도 9에 도시한다. 여기서는, 기준폭을 2문자 정도로 하기 위해서 행 분할 영역의 높이의 2배를 기준폭으로 하고 있다.
분할수나 기준폭을 결정하지 않고 농도 1인 런의 최저폭만을 미리 정하여 1인 런의 런랭스가 최저폭 이상인 영역을 행 분할 영역으로서 추출하고, 1인 런의 런랭스가 최저폭 미만인 영역을 노이즈로 하여 무시하거나 주위의 행 분할 영역에병합하는 방법도 있다.
각 행의 분할수를 미리 정해두면, 확대 축소 배치부(5)에서의 입력 화상을 정수배로 확대하거나 정수분의 1로 축소할 때 처리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면, 분할수가 2인 경우에 확대 축소율이 2배이면, 재배치의 계산 처리가 간단해진다.
기준폭 또는 최저폭을 미리 정해두면 노이즈 등의 제거에 유효하다. 또, 기준폭 또는 최저 폭을 출력 화상의 폭의 정수분의 1정도로 하면, 재배치 시에 보다 유효하게 출력 화상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문자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한 문자 영역을 행 분할 영역으로 하면, 도 10과 같아진다. 문자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배경의 농도값이 문자 부분의 농도치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행 분할 영역 추출부(2)는 입력 화상을 2치화하고 연결된 흑화소 영역을 추출하기 위해서 라벨링 처리를 행한다. 행 분할 영역 추출부(2)는 각 흑화소의 연결 영역의 외접 구형을 구한다. 하나의 연결 영역의 정보는 라벨링치 및 외접 구형의 좌측 상단 위치 좌표 및 크기로 표현된다. 행 분할 영역 추출부(2)에 의한 처리 결과는 연결 영역의 개수와, 각 연결 영역의 정보에 의해 구성되어 메모리에 저장된다. 또, 외접 구형의 면적이 임계치 Ta 이하인 것은 노이즈라고 간주하여 이하의 처리로부터는 제외된다.
연결 영역마다 외접 구형을 구하면 도 11과 같아진다. 여기서는 알기 쉽게, 외접 구형 영역(40 ∼ 47) 및 문자 양쪽을 표시하고 있다. 외접 구형 간에서 거리가 구해지며, 거리가 임계치 Td 이하인 것은 동일 문자 영역의 일부라고 간주하여병합된다. 구형 u의 x축 방향의 범위를 u1 ∼ u2(u1≤u2)로 하고, 구형 v인 x축 방향의 범위를 v1 ∼ v2(v1≤v2)로 한다. u1<u2≤v1≤v2의 경우에는 (v1-u2)가 거리이다. v1≤u2≤v2 또는 u1≤v2≤u2인 경우에는 거리는 0이다. v1≤v2≤u1≤u2인 경우에는 (u1-v2)가 거리이다.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y축 방향의 거리가 구해지며,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거리 중 작은 쪽의 거리가 외접 구형 간의 거리가 된다.
외접 구형의 병합이란, 병합되는 복수의 연결 영역의 라벨링치를 그 중 하나로 통일하여 외접 구형 영역을 다시 구하는 것을 말한다. 화상 상에서 통일되는 쪽의 라벨링치를 갖는 화소를 찾고, 통일하는 쪽의 라벨링치로 치환한다. 또한, 상술한 방법으로 처리 결과가 저장되어 있는 것이면 행 분할 영역 추출부(2)는 통일한 쪽의 라벨링 정보쪽에 새로운 외접 구형의 위치 및 크기를 대입하고 통일된 쪽의 라벨링 정보를 소거한다. 또한, 연결 영역의 개수를 하나 줄인다.
이상의 병합 처리를 병합하는 외접 구형이 없어질 때까지 반복한다. 이 일련의 처리에 의해 문자 영역이 추출된다. 도 12를 참조하여, 도 11의 외접 구형 영역(41 ∼ 43)이 병합되어 문자 영역(48)이 되고 도 11의 외접 구형 영역(46 ∼ 47)이 병합되어 문자 영역(49)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문자 영역이 행 분할 영역이 된다. 그 밖에, 행 영역의 분할수 또는 기준폭 등에 기초하여 문자 영역을 통합하여 행 분할 영역을 추출해도 되며 문자 영역을 일정 문자수씩 통합하여 행 분할 영역을 추출해도 된다. 또한 외접 구형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행 분할 영역을 추출해도 된다.
단계 S8의 처리에서 얻어지는 행 분할 영역의 정보는 도 13과 같은 형식으로 메모리에 저장된다. 셀(30)에는 입력 화상의 문자열의 모든 행수가 저장된다. 셀(31)에는 맨 앞의 행에 존재하는 행 분할 영역의 개수 s[0]이 저장되며, 메모리 공간 상에서는 영역(48) 후에 s[0] 개수분만큼의 행 분할 영역의 영역 정보가 저장된다. 셀(32 ∼ 35)에는 맨 앞의 행의 맨 앞의 행 분할 영역의 영역 정보가 저장된다. 즉, 셀(32, 33)에는 행 분할 영역의 좌측 상단 코너 좌표치(L[0, 0], T[0, 0])가 저장되며, 셀(34, 35)에는 행 분할 영역의 폭 및 높이(W[0, 0], H[0, 0])가 저장된다. 셀(35) 이후에는 마찬가지의 순서대로 행 분할 영역의 영역 정보가 저장된다. 따라서, 맨 앞의 행의 맨 뒤의 행 분할 영역 정보를 저장하는 셀(37)에는 s[0]번째의 행 분할 영역의 높이 H[0, s[0]-1]이 저장된다. 메모리 공간 상에서 셀(37)의 다음에 위치하는 셀(38)에는 다음의 행의 행 분할 영역의 개수 s[1]이 저장된다. 셀(38) 이후의 셀에는 맨 앞의 행과 마찬가지로, 행 분할 영역 정보가 저장된다. 행 분할 영역의 영역 정보를 저장하는 각 셀은 2 바이트로 구성되며 행 분할 영역의 개수를 저장하는 셀이 1바이트로 구성되어 있다고 한다. 2행째의 3번째의 행 분할 영역 폭의 정보가 저장된 셀로의 포인터는 ((s[0]의 포인터값)÷(1+(8×s[0]))+(1+8×2+2×(3-1)))에 의해 계산된다.
도 14를 참조하여, 도 1의 배치 결정부(4)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설명을 위해서 입력 화상 중의 행 분할 영역을 입력 행 분할 영역, 배치 결정부(4)에 의해 배치된 행 분할 영역을 출력 행 분할 영역이라고 부른다. 배치 결정부(4)에 의해서 결정된 출력 행 분할 영역 정보도 도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저장되게 한다. 단, 출력 화상이 1페이지에 들어가지 않고, 복수 페이지에 걸치는 경우에는 출력 행 분할 영역 정보가 복수 확보된다. 확보된 복수의 출력 행 분할 영역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경우, 각 출력 행 분할 영역 정보로의 포인터값(4 바이트로 나타내는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배열이 작성되며, 이 배열에 기초하여 출력 행 분할 영역 정보가 관리된다. 이 배열을 출력 배치 배열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예를 들면, n번째의 출력 행 분할 영역 정보를 액세스하기 위해서는 출력 배치 배열의 n번째의 요소의 값을 참조함으로써 출력 행 분할 영역 정보를 액세스하면 된다. 출력 배치 배열의 n번째의 요소는 0번째의 요소가 저장되어 있는 어드레스에 (n×4)를 더한 어드레스에 저장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출력 행 분할 영역 정보를 액세스할 때는 특히 기록하지 않는 한, 상기한 방법으로 출력 행 분할 영역 정보를 액세스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현재 몇번째의 출력 행 분할 영역 정보의 배치를 작성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전류 출력 페이지 번호를 처음에는 0으로 해둔다. 출력 페이지의 총 수는 지정된 확대 축소율과 재배치하는 방법에 의해서 정해진다. 예를 들면, 1페이지의 입력 화상을 2배로 한 경우에는 출력 페이지의 총 수는 4페이지 정도가 된다.
배치 결정부(4)는 처리 대상이 되는 다음의 입력 행 분할 영역을 얻는다(단계 S20). 배치 결정부(4)는 현재 처리하고 있는 입력 행 분할 영역이 몇행째에 위치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이하, 「입력 행 인덱스치」라고 한다)과, 그 행 중 몇번째의 행 분할 영역인지를 나타내는 값(이하, 「입력 행 분할 영역 인덱스치」라고한다)을 보유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따라 입력 행 분할 영역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계 S20에서는 배치 결정부(4)는 입력 행 분할 영역 인덱스치에 1을 더한 값을 현재 처리하고 있는 행의 행 분할 영역수와 비교하여 입력 행 분할 영역 인덱스치가 행 분할 영역수를 넘은 경우에는 다음 행의 선두의 행 분할 영역을 얻는다. 즉, 입력 행 인덱스치를 하나 늘려서 입력 행 분할 영역 인덱스치를 0으로 한다.
배치 결정부(4)는 단계 S20에서 얻어진 다음의 입력 행 분할 영역을 마지막으로 배치한 출력 행 분할 영역 후에 배치하는 것이 적당한지의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스텝 S21). 다음의 입력 행 분할 영역을 맨 뒤의 출력부 분할 영역 후에 배치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단계 S21에서 YES) 단계 S25에서 진행하여 적당하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단계 S21에서 NO) 단계 S27로 진행한다.
단계 S25에서는, 배치 결정부(4)는 앞의 행 분할 영역이 단어 접속 문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영문에서는 긴 영어 단어가 행말에 올 때에 적당한 장소에서 영어 단어를 분할하여 전반 부분에 「-」(하이픈)을 붙여 행말에 두고 후반 부분은 다음 행으로 넘기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말하는 단어 접속 문자란 하이픈을 말한다. 행의 분할 단위가 문자 단위로 되어 있지 않으면 하이픈인지의 여부의 판단은 곤란하다. 이 때문에, 행의 분할 단위가 문자 단위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25 및 S26의 처리를 생략한다.
앞의 문자(행 분할 영역)가 하이픈으로 또한 그 행의 마지막 문자였다면 배치 결정부(4)는 앞의 행 분할 영역이 단어 접속 문자라고 판단하고(단계 S25에서YES), 단계 S26으로 진행한다. 배치 결정부(4)는 앞의 행 분할 영역이 단어 접속 문자가 아니라고 판단하면(단계 S25에서 NO), 결합자 P22를 경유하여 단계 S22로 진행한다. 하이픈인지의 여부의 판단은 일반적으로 문자 인식 처리에 의해 행해지지만, 여기서는 간이한 처리라도 충분하다. 즉, 행 분할 영역의 가로폭(문자폭)이 다른 행 분할 영역(문자 영역)과 거의 동일하지만, 행 분할 영역의 높이가 거의 없고, 높이 방향의 중심 부근에 문자가 위치하는 것은 하이픈이라고 판단하면 된다. 앞의 행 분할 영역의 위치를 (Lp, Tp)로 하고 크기를 (Wp, Hp)로 한다. 또한, 현재 판단 대상으로 하고 있는 행 분할 영역의 위치를 (Lg, Tg)로 하고, 크기 (Wg, Hg)로 한 경우, 하이픈인지의 여부의 판단은 다음 3개의 식을 전부 만족하는지의 여부로 나타낸다. 여기서, abs()는 절대치를 나타내고 Tw, Th, Tp는 임계치를 나타낸다.
abs(Wg-Wp)<Tw
Hg/Hp<Th
abs((Tg-Wg/2)-(Tp+Wp/2))<Tp
단계 S26에서는, 단계 S25의 처리에서 단어 접속 문자라고 판단되고 있으므로 배치 결정부(4)는 앞의 문자, 즉 하이픈 문자를 출력 화상으로부터 제외한다. 이에 따라, 두개로 분할되어 있는 단어가 최종적으로 출력 화상 상에서 접속되게 된다. 출력 행 분할 영역만을 제거하여도 입력 행 분할 영역이 남아 있으면 후술하는 확대 축소 배치부(5)에서의 처리가 번거로워진다. 이 때문에, 대응하는 입력 행 분할 영역도 모두 제외하게 되는 쪽이 좋다. 입력 행 분할 영역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해당하는 행의 분할 영역수를 하나 줄이고 해당하는 행 분할 영역 정보의 저장 장소에 이후의 행 분할 영역 정보를 하나의 행 분할 영역 정보의 바이트 수만큼 어긋나게 하면서 마지막까지 복사하면 된다. 출력 행 분할 영역쪽은 작성 도중이므로 단순히 분할 영역수를 하나 줄이고 분할 영역 인덱스치를 하나 줄이는 것만으로 좋다. 단계 S26의 처리 후, 결합자 P22를 거쳐서 단계 S22의 처리가 행해진다.
단계 S22에서는 다음의 입력 행 분할 영역을 맨 뒤의 출력 행 분할 영역의 후에 배치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판단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배치 결정부(4)는 다음의 입력 행 분할 영역을 맨 뒤의 출력 행 분할 영역 후의 위치에 배치한다. 그 후, 결합자 P24를 거쳐서 단계 S24의 처리가 행해진다.
한편, 단계 S27에서는, 배치 결정부(4)는 현재의 출력 행에 위치하는 출력 행 분할 영역끼리의 간격이 균등해지도록 출력 행 분할 영역을 재배치한다. 배치 결정부(4)는 입력 행 분할 영역의 배치 위치를 다음의 출력 행의 맨 앞의 위치로 설정한다(단계 S23). 그 후, 결합자 P24를 거쳐서 단계 S24로 진행한다.
단계 S22 또는 단계 S23의 처리 후, 배치 결정부(4)는 입력 행 분할 영역이 맨 뒤의 행 분할 영역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4). 입력 행 분할 영역이 맨 뒤의 행 분할 영역이면(단계 S24에서 YES), 배치 결정부(4)에서의 처리를 종료한다. 입력 행 분할 영역이 맨 뒤의 행 분할 영역이 아니면(단계 S24에서 NO), 결합자 P20을 거쳐서 단계 S20으로 진행한다.
도 15를 참조하여, 도 14의 단계 S21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배치 결정부(4)는 앞의 입력 행 분할 영역 후에 행바꿈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0). 앞의 입력 행 분할 영역이 행바꿈되어 있다고 판단되고 있으면(단계 S30에서 YES), 다음의 입력 행 분할 영역은 다음 행의 행두로서 배치되므로, 맨 뒤의 출력 행 분할 영역 후에 다음의 입력 행 분할 영역을 배치하는 것은 적당하지 못하다고 판단되어 결합자 P23으로 진행한다. 앞의 입력 행 분할 영역이 행바꿈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다음의 입력 행 분할 영역이 다음 행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입력 화상 중의 행바꿈이 출력 화상에도 반영되게 되며, 조판 처리의 일종의 행바꿈 보존을 실현할 수 있다. 행바꿈에는 문맥 상 의미의 이음매 등 통상 어느 하나의 의미를 함축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그 효과를 출력 화상 상에서도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앞의 입력 행 분할 영역이 행바꿈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단계 S30에서 NO), 배치 결정부(4)는 행 분할 영역 중 문자가, 금칙(禁則) 문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4). 금칙 문자란 「。」, 「,」, 「.」, 「,」, 「?」 및 「!」 등의 통상, 행두에는 두지 않는 문자이다. 금칙 문자인지의 여부의 판단은 행의 분할 단위가 문자 단위가 아니면 곤란하다. 이 때문에, 행의 분할 단위가 문자 단위가 아닌 경우에는 이 처리를 생략하여 단계 S30으로부터 직접 단계 S31로 진행한다.
금칙 문자인지의 여부의 판별은 일반적으로 문자 인식 처리에 의해 행해지지만, 대상으로 하는 문자수가 적으므로 간단한 인식 처리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문자가 「。」, 「,」, 「. 」 또는 「,」이면, 다른 문자 영역에 비하여 면적이 작아서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행 분할 영역의 영역 정보가 이것에 적합한 경우에는 금칙 문자라고 간주하면 된다.
「?」 또는 「!」까지를 인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 및 「!」의 2치 비트맵을 적당한 크기로 미리 작성해두고, 행 분할 영역을 비트맵의 크기에 적합하도록 확대 축소한 후, 2치화한다. 그 후, 행 분할 영역과 비트맵을 패턴 매칭하고 일치하는 화소수를 계수한다. 일치 화소수가 임의의 임계치를 넘은 경우에 「?」 또는 「!」라고 판단된다. 이상의 처리에서 행 분할 영역의 문자가 금칙 문자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단계 S34에서 NO), 다음의 입력 행 분할 영역은 다음 행의 행두로서 배치되므로, 맨 뒤의 출력 행 분할 영역 후에 다음의 입력 행 분할 영역을 배치하는 것은 적당하다고 판단되어 단계 S25로 진행한다.
행 분할 영역의 문자가 금칙 문자라고 판단된 경우에는(단계 S34에서 YES), 배치 결정부(4)는 맨 뒤의 출력 행 분할 영역의 위치를 얻는다(단계 S31). 이것은 전회에 배치한 출력 행 분할 영역의 위치를 유지해 두면 간단히 얻어진다. 배치 결정부(4)는 맨 뒤의 출력 행 분할 영역 다음의 위치를 얻는다(단계 S32). 「다음의 위치」란, 배열한 행 분할 영역이 연속된 행과 같이 보이는 위치를 가리킨다. 도 8의 화상을 예로 들면, 행 분할 영역(25)의 다음의 위치는 우측 옆의 행 분할 영역(26)의 위치이다.
배치 결정부(4)는 맨 뒤의 출력 행 분할 영역의 다음의 위치에 다음의 입력 행 분할 영역을 배치한 경우에 출력 화상으로부터 비어져 나오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3). 입력 행 분할 영역이 출력 화상으로부터 비어져 나온다고 판단되면(단계 S33에서 YES), 그 입력 행 분할 영역을 맨 뒤의 출력 행 분할 영역 후에 배치하는 것은 적당하지 않다고 판단하고(단계 S21에서 NO), 결합자 P23으로 진행한다. 입력 행 분할 영역이 출력 화상으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단계 S33에서 NO), 그 입력 행 분할 영역을 맨 뒤의 출력 행 분할 영역 후에 배치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판단하고 단계 S25 또는 결합자 P22로 진행한다.
도 16을 참조하여, 도 15의 단계 S30에 대하여 상술한다. 배치 결정부(4)는 주목하는 입력 행 분할 영역이 입력 행 분할 영역이 위치하는 행의 맨 뒤의 입력 행 분할 영역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0). 그 행의 맨 뒤의 입력 행 분할 영역이 아니라고 판단되면(단계 S40에서 NO), 주목하는 입력 행 분할 영역 후의 위치에서 행바꿈되지 않기 때문에 결합자 P30으로 진행한다.
주목하는 입력 행 분할 영역이 행의 맨 뒤의 입력 행 분할 영역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단계 S40에서 YES), 그 후에 행바꿈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배치 결정부(4)는 모든 입력 행 분할 영역의 포함 영역(외접 구형)을 구한다(단계 S41). 포함 영역의 좌측 상단 좌표를 (Lc, Tc)와, 포함 영역의 우측 하단 좌표를 (Rc, Bc)로 한다. 좌측 상단 X 좌표 Lc는 모든 입력 행 분할 영역의 좌단 위치의 최소값으로, 좌측 상단 Y 좌표 Tc는 모든 입력 행 분할 영역의 상단 위치의 최소값이다. 또한, 우측 하단 X 좌표 Rc는 모든 입력 행 분할 영역의 우단 위치(좌단 위치 상부 폭)의 최대치이고, 우측 하단 Y 좌표 Bc는 입력 행 분할 영역의 하단 위치(상단 위치+높이)의 최대치이다.
배치 결정부(4)는 행 방향에서 주목하는 입력 행 분할 영역의 말미와 포함영역의 프레임의 간격이 임계치 Tr1보다도 비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2). 간격이 크게 비어 있으면, 행바꿈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목하는 입력 행 분할 영역의 좌측 상단 좌표를 (L1, T1), 크기를 (W1, H1)한다. 이 행이 가로방향의 행인 경우에는,
(Rc-(L1+ W1)>Tr1)
되는 관계가 성립하면, 간격이 비어 있다고 판단한다. 임계치 Tr1은 고정값이라도 좋고, 1 문자분에 상당하는 H1 또는 2 문자분에 상당하는 (H1×-2)라고 설정해도 된다. 또한, H1이 아니라 각 행마다 각 입력 행 분할 영역의 높이의 중앙치 등을 취하여, 1문자에 상당하는 임계치로 해도 좋다. 또는, 후술한 바와 같이 문자 단위로 행 분할이 행해지는 것이면, 그 문자의 폭이나 높이를 그대로 사용해도 된다. 간격이 임계치 Tr1보다도 비어 있다고 판단하면(단계 S42에서 YES), 앞의 행 분할 영역 후에 행바꿈되어 있다고 판단되어 결합자 P23으로 진행한다.
간격이 임계치 Tr1 이하라고 판단되면(단계 S42에서 NO), 배치 결정부(4)는 다음의 입력 행 분할 영역의 선두와 포함 영역의 프레임 간격이 임계치 Tr2보다도 비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3). 이것은 단락 맨 앞의 줄바꿈 등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앞의 단락의 행말에 공백이 없을 정도로 문자가 기입되어 있는 경우라고 해도 다음의 행이 줄바꿈되어 있으면 행바꿈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판단 수법은 단계 S42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면, 다음의 입력 행 분할 영역의 좌측 상단 좌표를 (L2, T2)로 하고 크기를 (W2, H2)로 한다. 이 행이 가로 방향인 행의 경우에는,
L2-Lc>Tr2
가 되는 관계가 성립하면 간격이 비어 있다고 판단한다. 임계치 Tr2는 임계치 Tr1과 마찬가지로 결정해도 된다. 간격이 임계치 Tr2보다 비어 있는, 즉 줄바꿈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단계 S43에서 YES), 앞의 행 분할 영역 후에 행바꿈되어 있다고 판단되며 결합자 P23으로 진행한다.
간격이 임계치 Tr2 이하라고 판단되면(단계 S43에서 NO), 배치 결정부(4)는 주목하는 입력 행 분할 영역과 다음의 입력 행 분할 영역과의 행 간격이 임계치 Tr3보다도 비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4). 행간격이 임계치 Tr3보다도 비어 있으면, 다음 행으로 줄바꿈은 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단락의 통합이 그 행으로 끝난다고 생각되어 행바꿈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목하는 입력 행 분할 영역의 좌측 상단 좌표를 (L1, T1)로 하고, 크기를 (W1, H1)로 한다. 또한, 다음의 입력 행 분할 영역의 좌측 상단 좌표를 (L2, T2)로 하고 크기를 (W2, H2)로 한다. 이 행이 가로 방향의 행인 경우에는,
T2-(T1+H1)>Tr3
이 되는 관계가 성립하면 행바꿈이 있다고 판단한다. 임계치 Tr3은, 예를 들면, 2행분의 높이, (H1×2) 또는 (H2×2)라고 하면 된다.
상술한 관계가 성립하는 경우에는(단계 S44에서 YES), 앞의 행 분할 영역 후에 행바꿈되어 있다고 판단되어 결합자 P23으로 진행한다. 상술한 관계가 성립하지 않으면(단계 S44에서 NO), 앞의 행 분할 영역 후에 행바꿈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고 결합자 P30으로 진행한다.
재차 도 15를 참조하여, 단계 S32의 처리에서 맨 뒤에 배치한 출력 행 분할 영역의 다음의 위치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예를 들면, 마지막으로 배치한 출력 행 분할 영역의 좌측 상단 좌표를 (L3, T3)으로 하고, 크기 (W3, H3)으로 한다. 다음의 입력 행 분할 영역의 크기를 (W4, H4)로 하고, 확대 축소 정보 지정부(3)로부터 얻어지는 세로 방향, 가로 방향의 확대 축소율을 (Rx, Ry), 행 분할 영역의 간격을 Ir로 한다. 또, 행은 가로 방향의 행이라고 한다. 이 때, 다음의 입력 행 분할 영역의 배치 후의 크기 (W5, H5)는,
W5=W4×Rx
H5=H4×Ry
로 나타내고 좌측 상단 좌표 (L5, T5)는,
L5=L3+W3+Ir
T 5=T3+(H3/2)-(H4×Ry/2)
로 나타낸다. 여기서, 행 분할 영역의 세로 위치는 동일 행의 행 분할 영역의 중심 위치가 가지런해지도록 정해진다.
간격 Ir은 후술한 바와 같이, 행 분할이 문자 단위로 행해지는 것이면, 문자 영역 간이 평균적인 간격을 산출하여 Rx배한 값으로도 된다. 그 이외의 경우에는 도 3의 단계 S6의 처리라도 설명한 바와 같이, 행 분할 영역의 투영 결과를 2치화하여, 배경 화소의 런랭스치를 문자 영역의 간격이라고 간주하고 인접하는 입력 행 분할 영역의 간격의 평균치를 구하고, 그 평균치를 간격 Ir로 해도 된다.
재차 도 15를 참조하여, 단계 S33에서는 다음의 입력 행 분할 영역을 단계S32에서 구해진 위치에 배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행이 가로 방향의 행인 경우, 입력 행 분할 영역을 배치했을 때에 우단이 출력 화상으로부터 비어져 나오는지의 여부를 본다. 입력 행 분할 영역을 배치했을 때의 우단의 X 좌표치 R5는,
R5=L5+W5
로 나타내고, 이것과 출력 화상의 가로폭 Wo를 비교하여 R5가 Wo보다 크면, 입력 행 분할 영역이 비어져 나온다고 판단한다. 또, 출력 화상에 마진을 갖게 하는 경우에는 우측 마진량 Mr로 한 경우에 R5가 (Wo-Mr)보다 크면, 입력 행 분할 영역이 비어져 나온다고 판단한다.
재차 도 14를 참조하여, 단계 S22에서 다음 입력 행 분할 영역을 맨 뒤의 출력 행 분할 영역 후에 배치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행이 가로방향의 행이라고 하면, 가로 방향의 배치 위치는 도 15의 단계 S32의 처리에서 얻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그 값이 이용된다. 세로 방향의 배치 위치는 단계 S32의 처리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맨 뒤의 출력 행 분할 영역의 중심과 배치하는 행 분할 영역의 중심이 같아지도록 배치해도 된다. 또한, 배치하는 행에 속하는 모든 출력 행 분할 영역의 세로 위치의 평균치 또는 중앙치를 사용하여 세로 방향의 중심이 맞도록 배치해도 좋다. 출력 행 분할 영역의 크기는 단계 S32의 처리에서 구해진 값, 즉 입력 행 분할 영역의 크기를 (Rx, Ry)배한 값으로 해두면 된다.
행 분할 영역 정보가 도 10에 도시되는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는 것이면, 마찬가지의 저장 영역을 확보하고, 배치 장소가 결정된 순서로 행 분할 영역 정보를추가 저장하면 된다. 행 분할 영역 정보를 추가할 때는 그 행에 포함되는 행 분할 영역수를 1 늘린다. 행 분할 영역의 배치 장소가 다음 행의 맨 앞으로 옮긴 경우에는 행 분할 영역 정보도 다음 행의 맨 앞의 행 분할 영역으로서 추가하도록 한다.
도 17을 참조하여, 도 14의 단계 S27의 처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현재의 출력 행 중 출력 행 분할 영역이 대상으로, 행 방향이 가로라고 한다. 배치 결정부(4)는 행두의 출력 행 분할 영역의 위치를 고정하고, 행말의 출력 행 분할 영역의 위치를 출력 화상의 배치 가능 범위 끝에 배치한다고 하는 경우의 출력 행 분할 영역 간의 평균 간격 Se를 계산한다(단계 S80). 예를 들면, 출력 행 분할 영역이 n개 있으며 i번째의 행 분할 영역의 좌단 좌표를 L[i]로 하고, 폭을 W[i]로 한다(i=0 ∼ n-1). 평균 간격 Se는,
Se=(Wo-Mr-L[0]-(W[0]+…+W[n-1]))/(n-1)
로 표현된다.
배치 결정부(4)는 평균 간격 Se와 소정의 임계치 Te를 비교한다(단계 S81). 평균 간격 Se가 소정의 임계치 Te보다 큰 경우에는(단계 S81에서 YES), 평균 간격 Se에서 재배치를 행하면, 행 분할 영역 간의 간격이 너무 넓다고 판단하고, 단계 S82 이후의 처리를 행한다. 평균 간격 Se가 소정의 임계치 Te 이하인 경우에는(단계 S81에서 NO), 단계 S84의 처리를 행한다.
단계 S82에서는 배치 결정부(4)는 행두와 행말의 출력 행 분할 영역의 위치를 고정하고, 이하의 식에 기초하여 출력 행 분할 영역 간의 평균 간격 Sm을 계산한다.
Sm=(L[n-1]-L[0]-(W[0]+…+W[n-1]))/(n-1)
배치 결정부(4)는 평균 간격 Sm을 이용하여 출력 행 분할 영역을 재배치하고(단계 S83), 단계 S23으로 진행한다. 재배치 후의 i번째의 행 분할 영역의 좌단 좌표 L[i]는 다음식으로 구해진다(i=1 ∼ n-1).
L[i]=L[i-1]+W[i-l]+Sm
단계 S84에서는 배치 결정부(4)는 평균 간격 Se를 이용하여, 출력 행 분할 영역을 재배치하고(단계 S84), 단계 S23으로 진행한다. 재배치 후의 i번째의 행 분할 영역의 좌단 좌표 L[i]는 다음식으로 구해진다(i=1 ∼ n-1).
L[i]=L[i-1]+W[i-1]+Se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도 14의 단계 S23의 처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배치 결정부(4)는 평균행 간격 Lm을 산출한다(단계 S50). 평균행 간격이란, 인접하는 행끼리의 간격(행 방향이 가로인 경우, 상단 행으로 한 행 간격)의 평균이다. 따라서, 행수를 n으로 한 경우, 평균행 간격 Lm은 T[d+1, 0]-T[d, 0](d=0 ∼ n-2)의 평균치를 계산함으로써 구해진다. 일부 행에 큰 문자나 그림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평균을 취하는 대신에 중앙치를 평균행 간격 Lm으로 해도 된다.
배치 결정부(4)는 입력 행 분할 영역과 앞의 행의 입력 행 분할 영역과의 상부 위치의 간격을 평균행 간격 Lm으로 나눈 값을 계산하고 계산한 값이 임계치 Tm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1). 계산한 값이 임계치 Tm 이상인 경우에는(단계 S51에서 YES), 앞의 행 사이에 비어있는 행이 있다고 판단하여 단계 S52 이후의 처리를 행한다. 계산한 값이 임계치 Tm 미만인 경우에는(단계 S51에서 NO), 앞의 행 사이에 비어있는 행이 없다고 판단하여 단계 S53 이후의 처리를 행한다. 대부분의 경우, 임계치 Tm은 1.5 ∼ 2.0 정도로 설정해 두면 된다.
단계 S52에서는 단계 S51의 처리에서 앞의 행 사이에 비어있는 행이 있다고 판단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배치 결정부(4)는 행 방향이 가로인 경우, (앞의 행 간격×Ry)를 앞의 행의 출력 행 분할 영역의 상 위치에 가산한 값을 새로운 출력 행 분할 영역의 상 위치로 한다. 비어있는 행은 단락의 이음매 등 어떠한 의미를 갖는 경우가 많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입력 화상 중의 비어있는 행이 출력 화상에서도 보존된다. 이 때문에, 조판 처리의 일종의 비어있는 행의 보존이 행해진다.
단계 S53에서는, 단계 S51의 처리에소 앞의 행 사이에 비어있는 행이 없다고 판단되고 있다. 이 때문에, 배치 결정부(4)는 행 방향이 가로인 경우, (Lm×Ry)를 앞의 행의 출력 행 분할 영역의 상 위치에 가산한 값을 새로운 출력 행 분할 영역의 상부 위치로 한다.
단계 S52 또는 단계 S53의 처리 후, 배치 결정부(4)는 구한 배치 위치에 따라 행 분할 영역을 배치한 경우, 출력 화상의 배치 가능 범위를 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4). 여기서, 단계 S52 또는 단계 S53에서 구해진 출력 행 분할 영역의 상단 위치를 Ta로 하고, 입력 행 분할 영역의 높이를 Ha로 하면 출력 행 분할 영역의 하단 Ba는 이하의 식으로 나타낸다.
Ba=Ta+Ha×Ry
출력 화상의 하부 마진량을 Mb로 한 경우에 배치 결정부(4)는 이하의 식,
Ba<Wo-Mb
를 만족하는 경우에 행 분할 영역이 출력 화상의 배치 가능 범위를 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다음식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에 행 분할 영역이 출력 화상의 배치 가능 범위를 넘고 있다고 판단한다. 즉, 단계 S54에서는 배치하는 행 분할 영역이 전류 출력 페이지에 받아들이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행 분할 영역이 출력 화상의 크기를 넘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단계 S54에서 YES), 배치 결정부(4)는 새로운 출력 화상용 출력 행 분할 영역 정보를 저장하는 영역을 확보한다. 또한, 배치 결정부(4)는 출력 배치 배열에 새롭게 확보한 영역의 포인터값을 추가하고, 전류 출력 페이지 번호를 1 늘려서 출력 행 인덱스치 및 입력 행 분할 영역 인덱스치를 0으로 한다. 그 후, 배치 결정부(4)는 출력 행 분할 영역의 세로 위치를 정보 영역에 기록한다(단계 S55). 행 분할 영역은 1행째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출력 행 분할 영역의 세로 위치는 출력 화상의 마진량 Mt로 설정하면 된다.
단계 S55의 처리 후 또는 행 분할 영역이 출력 화상의 크기를 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단계 S54에서 NO), 배치 결정부(4)는 대상으로 하는 입력 행 분할 영역이 입력 화상 상에서 행두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0). 행두인지의 여부는 행 분할 영역 인덱스치가 0인지의 여부를 조사하면 알 수 있다.
입력 행 분할 영역이 입력 화상 상에서 행두에 위치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단계 S60에서 YES), 배치 결정부(4)는 그 행 분할 영역이 출력 화상 상에서도 행두가 되도록 배치하고(단계 S61), 결합자 P24로 진행한다. 입력 행 분할 영역의 가로 위치를 Li, 출력 화상의 좌측 마진을 M1로 하면, 출력 행 분할 영역의 좌단 위치는 다음식으로 나타난다.
출력 행 분할 영역의 좌단 위치=(Li-Lc)×Rx+M1
입력 행 분할 영역이 입력 화상 상에서 줄 머리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단계 S60에서 NO), 배치 결정부(4)는 입력 행 분할 영역이 배치되는 위치의 출력 행 인덱스치가 입력 화상의 모든 행수를 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2). 이 판단은 도 18의 단계 S50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이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출력 행 인덱스치가 입력 화상의 모든 행수를 넘는 경우에는(단계 S62에서 YES), 도 16의 단계 S41의 처리에서 구해지는 모든 입력 행 분할 영역의 포함 영역의 좌단 위치를 출력 행 분할 영역의 가로 위치로서 설정하고(단계 S63), 결합자 P24로 진행한다. 단계 S62에서 출력 행 인덱스치가 입력 화상의 모든 행수를 넘고 있다고 판단되고 있다. 이 때문에, 출력 행 분할 영역의 가로 위치를 결정으로 할 때 참고로 할 수 있는 행이 없다. 이 때문에, 여기서는 출력 화상의 좌측 마진폭 M1을 출력 행 분할 영역의 좌단 위치로서 이용하고 있다.
출력 행 인덱스치가 입력 화상의 모든 행수를 넘지 않는 경우에는(단계 S62에서 NO), 배치 결정부(4)는 출력 행 인덱스치와 동일 행 인덱스치를 갖는 입력 행의 행두의 입력 행 분할 영역이 줄바꿈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단계 S64).행두의 입력 행 분할 영역이 줄바꿈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은 도 16의 단계 S43의 줄바꿈 검출과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이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행두의 입력 행 분할 영역이 줄바꿈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단계 S64에서 NO) 단계 S65의 처리가 행해진다. 단계 S65에서는, 단계 S60에서 입력 행 영역은 행두가 아니라고 판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출력 행 인덱스치를 Ln으로 한 경우, 입력 행 인덱스치가 Ln이 되는 행의 맨 앞의 입력 행 분할 영역의 가로 위치 L[Ln-1, 0]을 출력 행 분할 영역의 가로 위치로 한다(단계 S65). 그 후, 결합자 P24로 진행한다.
줄 머리의 입력 행 분할 영역이 줄바꿈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단계 S64에서 YES), 단계 S66의 처리가 행해진다. 단계 S66에서는, 단계 S60에서 입력 행 분할 영역이 행두가 아니라고 판단되어 있지만, 단계 S64에서 줄 머리의 입력 행 분할 영역이 줄바꿈되어 있다고 판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줄바꿈되어 있는 입력 행 분할 영역의 행두 위치를 출력 행 분할 영역의 가로 위치의 산출에는 이용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배치 결정부(4)는 단계 S63의 처리와 동일하고, 출력 화상의 좌측 마진폭 M1을 출력 행 분할 영역의 좌단 위치로서 설정하고 결합자 P24로 진행한다.
도 20을 참조하여, 도 1의 확대 축소 배치부(5)는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확대 축소 배치부(5)는 출력 페이지 번호, 입력 행 인덱스치, 입력 행 분할 영역 인덱스치, 출력 행 인덱스치 및 출력 행 분할 영역 인덱스치를 0으로 설정한다(단계 S70). 이후, 액세스하는 출력 행 분할 영역 정보는 출력 배치 배열 중 출력 페이지 번호 및 출력 행 인덱스 번호에 의해 특정된다.
확대 축소 배치부(5)는 다음에 처리를 행하는 입력 행 분할 영역 및 출력 행 분할 영역의 정보를 얻는다(단계 S71). 이것은 입력 행 인덱스치, 입력 행 분할 영역 인덱스치, 출력 행 인덱스치 및 출력 행 분할 영역 인덱스치를 사용하여 저장 영역을 액세스함으로써 얻어진다.
확대 축소 배치부(5)는 확대 축소율을 얻는다(단계 S72). 확대 축소 정보 지정부(3)에서 고정된 확대 축소율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값을 그대로 이용한다. 또, 후술한 바와 같이 행 분할 영역에 의해서 확대 축소율이 다른 경우에는 출력 행 분할 영역의 크기를 입력 행 분할 영역의 크기로 나누어 확대 축소율을 구한다. 입력 행 분할 영역과 출력 행 분할 영역 간에 종횡비가 동일하면, 세로 또는 가로방향의 확대 축소율만을 계산하면 되지만, 종횡비가 다른 경우에는 세로 확대 축소율 및 가로 확대 축소율을 폭 및 높이의 비로부터 각각 계산할 필요가 있다.
확대 축소 배치부(5)는 확대 축소된 출력 행 분할 영역의 화상을 출력 화상 상에 배치한다(단계 S73). 출력 행 분할 영역의 화소를 좌측 상단로부터 우측 하단으로 래스터 스캔하면서 화소치를 계산하고 그 화소에 대입해가면 된다. 예를 들면, 출력 행 분할 영역의 범위가 (Lo, To) ∼ (Lo+ Wi, To+ Ho)로, 입력 행 분할 영역의 범위가 (Li, Ti)∼(Li+ Wi, Ti+ Hi)로 한다. 확대 축소율 (Rx, Ry)는 이하의 식에 의해 구해진다.
Rx=Wo/Wi
Ry=Ho/Hi
임의의 출력 위치 (Xo, Yo)에 대응하는 입력 위치(Xi, Yi)는 다음식으로 구해진다.
Xi=Li+(Xo-Lo)/Rx
Yi=Ti+(Yo-To)/Ry
출력 위치(Xo, Yo)의 화소치를 f(Xo, Yo)로 하고 입력 위치 (Xi, Yi)의 화소치를 g(Xi, Yi)라고 하면, 다음식에 따라 화소치 g(Xi, Yi)를 화소치 f(Xo, Yo)에 대입함으로써 출력 화상의 화소치가 구해진다.
f(Xo, Yo)=g(Xi, Yi)
Xo를 Lo ∼ Lo+Wo 간에서 하나씩 변화시키고, Yo를 To ∼ To+Ho 간에서 하나씩 변화시키면서 출력 위치(Xi, Yi)를 계산하고, 그 화소치 g(Xi, Yi)를 얻음으로써 출력 행 분할 영역의 모든 화소치를 얻을 수 있다. 또, Xo와 Yo는 독립적으로 변화시킨다. 출력 위치 (Xo, Yo)가 정수치인 경우, 입력 위치 (Xi, Yi)는 정수치라고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입력 위치 (Xi, Yi)의 소수점 이하를 사사오입하여 정수치로 하고, 최근방의 입력 화소치를 화소치 f(Xo, Yo)로 한다. 또는 근방의 4점의 입력 화소치을 이용하여 g(Xi, Yi)를 보간하여 화소치 f(Xo, Yo)를 구해도 된다. 즉, 입력 위치 (Xi, Yi)의 정수 부분을 (Xii, Yii)로 하고, 소수 부분을 (Xis, Yis)로 하면 f(Xo, Yo)는 이하의 식에 의해 구해진다.
f(Xo, Yo)=(1-Yis)×((1-Xis)×g(Xii, Yii)+Xis×g(Xii+1, Yii))+Yis×((1-Xis)×g(Xii, Yii+1)+Xis×g(Xii+1, Yii+1))
일반적으로 보간된 화소치쪽을 이용하는 쪽이 매끄러운 표시가 된다.
입력 화소치 g(x, y)는 입력 화상 저장부(1)에 저장된 입력 화상 상의 위치(x, y)의 화상치로부터 얻어진다. 출력 화소치 f(x, y)는 출력 화상 저장부(6)에 저장된 출력 화상 상의 위치 (x, y)의 화소에 대입하면 된다.
확대 축소 배치부(5)는 현재 처리하고 있는 출력 행 분할 영역이 현재의 출력 행 분할 영역 정보 중 맨 뒤의 행 분할 영역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4). 즉, 출력 행 인덱스치가 (행수-1)과 같고 출력 행 분할 영역 인덱스치가 그 행의 (행 분할 영역수-1)과 같으면, 맨 뒤의 행 분할 영역이다. 현재 처리하고 있는 출력 행 분할 영역이 맨 뒤이면(단계 S74에서 YES) 단계 S75 이후의 처리가 행해지고, 맨 뒤가 아니면(단계 S74에서 NO) 단계 S77 이후의 처리가 행해진다.
단계 S75에서는, 확대 축소 배치부(5)는 현재 처리하고 있는 출력 페이지가 마지막 페이지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배치 결정부(4)에서 사용된 전류 출력 페이지 번호의 맨 뒤의 값과 출력 페이지 번호가 같으면 마지막 페이지라고 판단된다. 현재 처리하고 있는 출력 페이지가 마지막 페이지이면(스텝 S75에서 YES) 확대 축소 배치부(5)의 처리를 종료한다.
현재 처리하고 있는 출력 페이지가 마지막 페이지가 아니면(단계 S75에서 NO) 확대 축소 배치부(5)는 출력 페이지 번호를 하나 늘려 출력 화상 저장부(6)에 페이지 전환 신호를 보낸다. 또한, 입력 행 분할 영역을 하나 진행시켜 출력 행 인덱스치와 출력 행 분할 영역 인덱스치를 0으로 한다(단계 S76). 그 후, 결합자P70으로 진행한다. 입력 행 분할 영역을 하나 진행시키기 위해서는 입력 행 분할 영역 인덱스치를 하나 늘린다. 그 결과, 입력 행 분할 영역 인덱스치가 현재의 행 중 행 분할 영역수와 같으면, 입력 행 인덱스치를 하나 늘려 입력 행 분할 인덱스치를 0로 한다.
단계 S77에서는, 확대 축소 배치부(5)는 입력 행 분할 영역 및 출력 행 분할 영역을 각각 하나 진행시켜서 결합자 P70으로 진행한다. 입력 행 분할 영역 및 출력 행 분할 영역을 진행시키는 방법은 단계 S76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이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확대 축소 배치부(5)로부터 액세스되는 출력 화상은 페이지마다 출력 화상 저장부(6)에 저장된다.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이상의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출력 화상의 예를 설명한다. 도 21은 도 8의 입력 행 분할 영역을 다시 배치한 것이다. 도 21에서는 가로폭을 입력 화상의 폭으로 하고, 확대 축소율을 2배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가로폭은 입력 화상과 변하지 않지만, 세로 폭은 약 4배로 되어 있다.
도 22는 도 9의 입력 행 분할 영역을 재배치한 것이다. 도 22에서는 가로폭을 입력 화상의 폭으로 하고 확대 축소율을 3배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가로 폭은 입력 화상으로 바뀌지 않지만 세로폭은 약 9배로 되어 있다.
도 23은 도 8의 입력 행 분할 영역을 재배치한 것이다. 도 23에서는 가로폭을 입력 화상의 폭으로 하고 확대 축소율을 1/2배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가로폭은 입력 화상으로 바뀌지 않지만 세로 폭은 약 1/4배로 되어 있다.
상술한 처리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출력 화상은 입력 화상과 동일 사이즈의 표시 영역을 갖고 동일한 표시 화면(100)에 표시된다.
종래의 문제점을 재차 설명한다. 예를 들면, 입력 화상이 100×100의 크기로 표시 화면도 100×100의 크기로 한다. 확대 축소율을 2배로 한 경우에는 출력 화상은 200×200의 크기가 된다. 입력 화상 DIN, 출력 화상 DOUT 및 표시 화상 DD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아진다. 출력 화상 DOUT의 크기에 비하여 표시 화상 DD의 크기는 작다. 이 때문에, 표시 화상 DD에 표시된 출력 화상 DOUT 전체를 보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스크롤 바 B에 의한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 각각의 스크롤 조작을 행해야만 하고 조작성에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입력 화상 DIN, 출력 화상 DOUT 및 표시 화상 DD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아진다. 여기서는 행 영역의 분할수를 2로 하고, 입력 화상 DIN을 (분할수×2)배로 확대하고 출력 화상 DOUT을 얻고 있다. 이 때문에, 배치 계산 처리는 간단해진다. 또한, 출력 화상의 가로폭을 입력 화상의 가로폭과 동일하며 출력 화상의 세로 폭을 확대하고 있다. 즉, 출력 화상이 100×400의 크기가 된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스크롤 바 B에 의한 세로 스크롤 조작만으로 출력 화상 DOUT의 전체를 볼 수 있어(문장을 읽을 수 있고) 조작성이 향상된다. 출력 화상의 세로 폭을 입력 화상의 세로 폭과 동일하게 하여 출력 화상의 가로폭을 확대한 경우에는 사용자는 가로 스크롤 조작만으로 문장을 읽을 수 있어 마찬가지로 조작성이 향상된다.
도 25에서는 출력 화상이 1매의 페이지에 수납되는 경우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입력 화상 및 출력 화상의 가로 방향의 사이즈가 동일한 경우에는 출력 화상의 세로 방향의 길이가 모자라게 된다. 이 때문에, 복수 페이지분의 출력 화상이 필요해진다. 이와 같이, 입력 화상, 출력 화상 및 표시 화상의 크기를 같게 하고, 출력 화상을 복수의 페이지로 이루어지는 화상이라고 하면 사용자는 페이지를 넘기기 위한 버튼(102)을 누르는 것만으로 페이지를 넘길 수 있다. 이 때문에, 스크롤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더 조작성이 향상된다. 출력 화상을 정수 페이지로 하기 위해서는 입력 화상의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의 사이즈가 출력 화상의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의 사이즈의 정수배로 하는 쪽이 페이지를 넘기는 조작을 하기에는 바람직하다.
입력 화상의 크기를 100×100으로 하고 확대 축소율을 1/2배로 한다. 또한, 출력 화상의 크기를 100×100로 한다. 이 경우, 입력 화상을 단순하게 1/2배하면 50×50이 된다. 출력 화상은 100×100이므로 4개의 입력 화상으로 하나의 출력 화상을 구성할 수 있다. 출력 화상을 정수 페이지로 하기 때문에 입력 화상의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사이즈를 출력 화상의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사이즈의 정수분의 1배로 하는 쪽이 페이지를 넘기는 조작에는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행 분할 영역을 재배치할 필요가 없어 처리가 간단해진다.
도 26을 참조하여, 조판 처리의 행바꿈 보존의 예를 설명한다. 도 26에서는 행 영역을 4 분할하고 행 분할 영역을 1.5배로 확대한 것이다. 입력 화상 DIN의 2행째의 행바꿈이 출력 화상 DOUT 상에서도 유지되어 있다.
도 27 ∼ 도 30을 참조하여, 입력 화상으로부터 배경 제거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27과 같이 배경 모양으로서 얇은 경사 스트라이프가 입력 화상의 일부에 그려져 있고 그 위에 문자가 흑으로 덧씌우기되어 있으면 한다. 이 입력 화상을 2배로 확대한 출력 화상은 도 28과 같아지며, 출력 화상 작성 시에 행 분할이 잘 되지 않거나 또는 배경 모양이 잘 연결되지 않는다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 그래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입력 화상을 그대로 이용하지 않고, 미리 배경 제거 처리한 입력 화상을 이용하는 것이다. 배경 모양을 제외하는 처리는, 단순하게 행하면, 예를 들면 배경 모양은 문자 등에 비하여 농도가 옅다고 가정하여 행해도 된다. 우선, 입력 화상으로부터 2치화 임계치를 얻는다. 이것은 판별 분석법으로 구해도 되고 고정치라도 된다. 가장 단순한 방법은 이 임계치 이하의 화소를 전부 배경 농도(예를 들면, 흰색 등)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농도가 옅은 배경 모양은 제거되며, 도 29와 같은 입력 화상이 얻어진다. 도 29의 화상으로부터 도 30과 같은 출력 화상이 얻어진다. 또, 배경 제거는 행 분할 영역 추출부(2)에 의해 행해져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는 입력 화상의 행 영역을 분할한 행 분할 영역을 단위로 하여 확대 또는 축소하기 때문에, 입력 화상 중 문자의 배열순이 뒤바뀌지 않게 문장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출력 화상의 한쪽 변의 길이를 적당하게 정해두면 사용자는 한 방향으로 스크롤 바를 조작시키는 것만으로 문장을 읽을 수 있다. 또한, 행 분할 영역을 단위로 하여 재배치가 행해지기 때문에, 단순하게 입력 화상을 확대하는 경우에 비하여 1매의출력 화상에 표시되는 정보량을 많게 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 화상에 그림·사진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에, 그림 영역 검출부(50)와 그림 확대 축소율 산출부(51)가 부가된 것이다. 그림 영역 검출부(50)는 입력 화상 저장부(1)에 접속되며, 입력 화상 중에서부터 그림 영역 및 사진 영역(이하, 「그림·사진 영역」이라 함)을 검출한다. 그림 확대 축소율 산출부(51)는 확대 축소 정보 지정부(3) 및 그림 영역 검출부(50)에 접속되며, 확대 축소 정보 지정부(3)로부터 지정된 출력 화상의 크기 및 확대 축소율을 얻고, 그림 영역 검출부(50)에서 검출된 그림·사진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했을 때 출력 화상보다 커지지 않도록 제한한 확대 축소율을 구한다.
배치 결정부(4)에서 다루기 쉽게 하기 위해서 행 분할 영역 추출부(2)는 그림·사진 영역을 행 분할 영역으로서 취급한 그 정보를 문자에 대응하는 행 분할 영역의 정보와 마찬가지로 도 13에 도시하는 저장 영역에 저장한다.
그 밖의 구성 부품은 도 1에 도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구성 부품과 마찬가지이다. 이 때문에,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도 32를 참조하여, 그림 영역 검출부(50)의 동작을 설명한다. 그림·사진 영역을 검출하는 처리는 소위 화상 영역 분리 처리라고 불리며 여러가지의 방법이제안되어 있어, 일례를 이하에 나타낸다.
그림 영역 검출부(50)는 입력 화상을 2치화한다(단계 S90). 2치화 임계치는 판별 분석법으로 구해도 되며 화상에 따라서는 고정값이라도 좋다. 그림 영역 검출부(50)는 2치화된 화상에 대하여 라벨링 처리를 행하고, 라벨 첨부된 각 영역의 외접 구형을 구하고, 거리가 가까운 것을 병합한다(단계 S91). 단계 S91의 처리는 행 분할 영역 추출부(2)가 행하는 처리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행해진다.
그림 영역 검출부(50)는 모든 외접 구형 중에서부터 문자 영역 후보를 선택한다(단계 S92). 그림 영역 검출부(50)는 모든 문자 영역 후보로부터 문자 영역을 선택한다(단계 S93). 여기서, 문자 후보 영역에서부터 문자 영역을 추출할 수 있어 그림·사진 영역을 정의할 수 있는 것이지만, 문자 영역이 아닌 것은 전부 그림·사진 영역으로 하거나 문자 영역에서도 문자 후보 영역도 아닌 것을 그림·사진 영역으로 할지의 판단을 알 수 있다. 만약, 문자 영역에서는 문자 후보 영역도 아닌 것을 그림·사진 영역으로 하면 단계 S93의 처리는 필요하지 않다.
그림 영역 검출부(50)는 거리가 가까운 그림·사진 영역을 병합하고(단계 S94) 처리를 종료한다. 그림·사진 영역의 정보는 도 13과 마찬가지의 구조로 1행분의 정보로서 저장된다.
도 33을 참조하여, 도 32의 단계 S92의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림 영역 검출부(50)는 맨 앞의 외접 구형 영역을 선택한다(단계 S100). 즉, 단계 S91에서 구해진 외접 구형 정보의 번호를 나타내는 외접 구형 인덱스 q0을 0으로 세트한다.
그림 영역 검출부(50)는 외접 구형 인덱스 q0에 대응한 구형 영역(이하, 「 구형 영역 q0」이라고 함)의 크기 (W6, H6)과 그 종횡비로부터 구형 영역 q0이 문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다음의 3개의 식을 전부 만족하는 경우에 문자라고 판정된다.
Twmin<W6<Twmax
Thmin<H6<Thmax
Trmin<W6/H6<Trmax
여기서, Twmin, Twmax, Thmin, Thmax, Trmin 및 Trmax는 임계치이다. 구형 영역이 문자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단계 S101에서 NO), 외접 구형 인덱스 q0의 값을 하나 늘리고(단계 S104) 단계 S10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구형 영역이 문자라고 판정된 경우에는(단계 S101에서 YES), 구형 영역 qO을 문자 후보 영역으로서 구별하기 위해서 외접 구형 정보 중 라벨링의 값을 -1로 설정한다(단계 S102). 그림 영역 검출부(50)는 모든 구형 영역에 대하여 일련의 처리를 행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3). 이 판단은 정보 저장 영역의 선두의 외접 구형수(라벨링수)와 (q0+1)을 비교하여 동일하면 모든 구형 영역에 대한 처리가 종료된다고 판단한다.
미처리의 구형 영역이 있는 경우에는(단계 S103에서 NO), 외접 구형 인덱스 q0의 값을 하나 늘려서(단계 S104), 단계 S10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모든 구형 영역에 대하여 처리를 행하면(단계 S103에서 YES), 결합자 P91을 경유하여 단계 S93의 처리로 진행한다.
도 34를 참조하여, 도 32의 단계 S93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림 영역 검출부(50)는 외접 구형 인덱스 q1을 0으로 설정한다(단계 S110). 그림 영역 검출부(50)는 외접 구형 인덱스 q1에 대응하는 구형 영역(이하, 「구형 영역 q1」이라고 함)이 문자 후보 영역인지의 여부를 조사한다(단계 S111). 구형 영역이 문자 후보 영역인지의 여부는 구형 영역의 라벨링치가 -1인지의 여부를 조사함으로써 행해진다.
구형 영역이 문자 후보 영역이면(단계 S111에서 YES) 단계 S112로 진행하고, 문자 후보 영역이 아니면(단계 S111에서 NO) S117로 진행한다.
단계 S112에서는 그림 영역 검출부(50)는 외접 구형 인덱스 q2를 0으로 설정한다. 그림 영역 검출부(50)는 외접 구형 인덱스 q2에 대응한 구형 영역(이하, 「구형 영역 q2」라고 한다)이 문자 영역이나 문자 후보 영역으로 또한 q1≠q2인지의 여부를 조사한다(단계 S113). 문자 영역의 경우에는 후술하는 처리에 의해 라벨링치가 -2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문자 영역인지의 여부의 판단을 행하기 위해서는 라벨링치가 -2인지의 여부를 조사하면 된다.
단계 S113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S113에서 NO), 외접 구형 인덱스 q2를 하나 늘려서(단계 S118), S113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 S113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단계 S113에서 YES), 그림 영역 검출부(50)는 구형 영역 q1과 구형 영역 q2가 같은 크기로 또한 인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단계 S114). 인접하고 있는지의 여부는 구형 간의 거리가 임계치 Tt 이하인지의 여부로 판단하면 된다. 구형 간의 거리는 병합 처리에서 정의한 거리와 같아도 된다. 같은 크기인지의 여부는, 예를 들면 구형 영역 q1의 크기를 (W7, H7), 구형 영역 q2의 크기를 (W8, H8)로 하면, 다음 두개의 식 양쪽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조사하면 된다.
abs(W7/W8-1)<Twt
abs(H7/H8-1)<Tht
단, Twt, Tht는 임계치이다.
구형 영역 q1과 구형 영역 q2가 다른 크기인지 또는 인접하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S114에서 NO), 단계 S118로 진행한다. 구형 영역 q1과 구형 영역 q2가 같은 크기로 또한 인접하고 있는 경우에는(단계 S114에서 YES), 그림 영역 검출부(50)는, 구형 영역 q1과 구형 영역 q2를 모두 문자 영역이다고 하고, 외접 구형 정보 중 라벨링의 값을 문자 영역을 나타내는 -2로 설정한다(단계 S115).
그림 영역 검출부(50)는 모든 구형 영역 q2에 대하여 처리를 행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6). 이것은 정보 저장 영역의 선두의 외접 구형수(라벨링수)와 (q2+1)을 비교하여, 같으면 모든 구형 영역 q2에 대하여 처리를 행한다고 판단한다. 모든 구형 영역 q2에 대하여 처리를 행하지 않으면(단계 S116에서 NO), 단계 S118로 진행한다.
모든 구형 영역 q2에 대하여 처리를 행하고 있으면(단계 S116에서 YES), 모든 구형 영역 q1에 대하여 처리를 행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7). 이것은 정보 저장 영역의 선두 외접 구형수(라벨링수)와 (q1+1)을 비교하여, 같으면 모든 구형 영역 q1에 대하여 처리를 행한다고 판단한다. 미처리의 구형 영역 q1이있으면(단계 S117에서 NO), 외접 구형 인덱스 q1의 값을 하나 늘려서(단계 S119), 단계 S11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모든 구형 영역 q1에 대한 처리를 종료하고 있으면(단계 S117에서 YES), 결합자 P92를 경유하여 단계 S94로 진행한다.
도 35를 참조하여, 도 32의 단계 S94의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림·사진 영역의 정의에 대해서는 단계 S93의 처리의 설명에서 진술한 바와 같다. 문자 영역이 아닌 것을 그림·사진 영역이라고 정의하면, 라벨링치가 -2인 것 이외가 그림·사진 영역이다. 문자 영역에서도 문자 후보 영역도 아닌 것을 그림·사진 영역이라고 정의하면 라벨링치가 -2 또는 -1인 것 이외가 그림·사진 영역이다.
그림 영역 검출부(50)는 외접 구형 인덱스 q1을 0으로 설정한다(단계 S120). 그림 영역 검출부(50)는 구형 영역 q1이 그림·사진 영역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21). 구형 영역 q1이 그림·사진 영역이면(단계 S121에서 YES), 단계 S122로 진행하고, 그림·사진 영역이 아니면(단계 S121에서 NO), 단계 S127로 진행한다.
단계 S122에서는, 그림 영역 검출부(50)는 외접 구형 인덱스 q2를 0으로 설정한다. 그림 영역 검출부(50)는 구형 영역 q2가 그림·사진 영역에서 또한 q1≠q2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23).
단계 S123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단계 S123에서 NO), 외접 구형 인덱스 q2를 하나 늘리고(단계 S128), 단계 S123 이하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 S123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단계 S123에서 YES), 그림 영역 검출부(50)는 구형 영역 q1과 구형 영역 q2가 인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단계 S124). 인접하고 있는지의 여부는 구형 간의 거리가 임계치 Tp 이하인지의 여부로 판단하면 된다. 구형 간의 거리는 병합 처리에서 정의한 거리와 동일해도 된다. 구형 영역 q1과 구형 영역 q2가 인접하지 않으면(단계 S124에서 NO) 단계 S128로 진행한다.
구형 영역 q1과 구형 영역 q2가 인접하면(단계 S124에서 YES), 구형 영역 q1과 구형 영역 q2를 병합한다(단계 S125). 병합은 이하와 같이 행해진다. 외접 구형 q1과 외접 구형 q2와의 외접 구형을 구하고, 구해진 외접 구형의 위치와 크기를 외접 구형 q1의 정보로서 갱신 등록한다. 외접 구형 q2의 정보를 제거하기 위해서, 외접 구형 q2의 정보 후에 이어지는 구형 정보를 어긋나게 하면서 복사한다. 마지막으로 선두에 저장하여 있는 외접 구형수(라벨링수)를 하나 줄인다.
그림 영역 검출부(50)는 모든 외접 구형 q2에 대하여 처리를 행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26). 이것은 정보 저장 영역 선두의 외접 구형수(라벨링수)와 (q2+1)을 비교하여, 같으면 모든 외접 구형 q2에 대하여 처리를 행한다고 판단한다. 미처리의 외접 구형 q2가 존재하면(단계 S126에서 NO), 단계 S128로 진행한다.
모든 외접 구형 q2에 대하여 처리를 행하고 있는지(단계 S126에서 YES) 또는 구형 영역 q1은 그림·사진 영역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단계 S121에서 NO), 모든 외접 구형 q1에 대하여 처리를 행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27). 이것은 정보 저장 영역 선두의 외접 구형수 (라벨링수)와 (q1+1)을 비교하여, 같으면모든 외접 구형 q1에 대하여 처리를 행한다고 판단한다. 미처리의 외접 구형 q1이 존재하면(단계 S127에서 NO), 외접 구형 인덱스 q1을 하나 늘려서(단계 S129), 단계 S12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모든 외접 구형 q1에 대하여 처리를 종료하면(단계 S127에서 YES), 결합자(93)를 경유하여 그림 영역 검출부(50)에서의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에, 도 31의 그림 확대 축소율 산출부(51)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림 확대 축소율 산출부(51)는 그림 영역 검출부(50)에서 검출된 그림·사진 영역을 확대 축소했을 때에 출력 화상보다 커지지 않도록 제한한 확대 축소율을 구한다. 지정된 출력 화상의 크기나 확대 축소율은 확대 축소 정보 지정부(3)로부터 얻어진다. 출력 화상의 크기를 (Wo, Ho)로 하고, 출력 화상의 상하 좌우의 마진을 Mt, Mb, Ml 및 Mr로 하고, 그림·사진 영역의 크기를 (Wpic, Hpic)로 한다. 입력 화상을 출력 화상의 화상폭에 맞추어 확대 축소하기 위해서는 가로 방향의 확대 축소율 Rh 및 세로 방향의 확대 축소율 Rv를 다음식에 의해 구하면 된다.
Rh=Wpic/(Wo-Ml-Mr)
Rv=Hpic/(Ho-Mt-Mb)
확대 축소 정보 지정부(3)에서 지정된 확대 축소율이 (Rx, Ry)라고 한다. 만약, 종횡비가 원래의 그림·사진 영역으로 바뀌더라도 상관없으면, Rx<Rh일 때는 Rh=Rx로 하고, Ry<Rv일 때는 Rv=Ry로 하고 그림·사진 영역의 확대 축소율로서 (Rh, Rv)를 사용하면 된다. 종횡비가 원래의 그림·사진 영역으로 바뀌지 않도록 하는 것이면, 다음 수순 (1) ∼ (3)에 의해 확대 축소율의 제한을 행한다.
(1) Rh>Rv이면 Rm=Rv로 하고, 그렇지 않으면 Rm=Rh로 한다.
(2) Rx>Ry이면 Ri=Ry로 하고, 그렇지 않으면 Ri=Rx로 한다.
(3) Ri<Rn이면 Rn=Ri로 하고, 그림·사진 영역의 확대 축소율로서 (Rn, Rn)을 이용한다.
얻어진 확대 축소율은 개개의 그림·사진 영역에 따라 다르므로, 개개의 영역 정보와 맞춰서 확대 축소율을 저장할 필요가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개개의 영역 정보, 즉 구형 영역의 좌측 상단의 좌표치와 크기 외에 확대 축소율을 맞춰서 저장된다.
그림·사진 영역의 확대 축소율은 배치 결정부(4)로 보내진다. 그림·사진 영역은 행 분할 영역 추출부(2)에서 행 분할 영역으로서 등록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배치 결정부(4)는 도 14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으로 행 분할 영역의 배치를 행한다. 단, 확대 축소율이 문자 영역과 그림·사진 영역이 다르다. 이 때문에, 배치 결정부(4)는 확대 축소율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배치하고자 하는 행 분할 영역이 그림·사진 영역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그림·사진 영역이면 그림 확대 축소율 산출부(51)로부터 얻어진 확대 축소율을 이용하여 배치를 행한다. 그림·사진 영역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행 분할 영역 및 그림·사진 영역의 위치와 크기를 비교하여 양자의 위치와 크기가 일치하면 주목하는 행 분할 영역은 그림·사진 영역이라고 판단하면 된다.
도 36을 참조하여, 이상의 처리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36에서는 확대 축소 정보 지정부(3)에 의해 지정된 입력 화상 DIN의 확대 축소율이 2배라고 한다.각 행 분할 영역은 2배로 확대되지만, 그림·사진 영역 P를 2배로 하면, 출력 화상 DOUT(이 경우, 입력 화상과 동일 사이즈)으로부터 비어져 나온다. 이 때문에, 그림·사진 영역 P를 확대했을 때 출력 화상 DOUT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은 확대 축소율을 계산한다. 그 결과, 그림·사진 영역 P는 1.5배로 확대된다. 그림·사진 영역은 통상 전체를 일람할 수 있는 쪽이 바람직한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문자 영역의 확대 축소율을 변경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그림·사진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했을 때, 출력 화상보다 커지지 않도록 그림·사진 영역의 확대 축소율이 정해진다. 또한, 이 확대 축소율은 문자 부분의 확대 축소율과는 다르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화면을 비어져 나오지 않게 적절한 크기로 확대 또는 축소된 그림, 사진 및 문장을 볼 수 있다.
[제3 실시예]
입력 화상에 그림·사진 영역을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에 그림 영역 검출부(50)와 출력 화상 사이즈 산출부(52)가 부가된 것이다.
그 밖의 구성 부품은 도 1에 도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구성 부품과 마찬가지이다. 이 때문에,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그림 영역 검출부(50)는 입력 화상 저장부(1)에 접속된다. 그림 영역 검출부(50)는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이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출력 화상 사이즈 산출부(52)는 그림 영역 검출부(50)에 접속되며 그림 영역 검출부(50)로부터 얻어지는 그림·사진 영역을 확대 축소 정보 지정부(3)로부터 얻어지는 확대 축소율로 확대한 크기와, 확대 축소 정보 지정부(3)로부터 얻어지는 출력 화상의 크기(이하, 「구출력 화상 사이즈」라고 함)를 비교하고 큰 쪽의 크기를 출력 화상이 새로운 크기(이하, 「신출력 화상 사이즈」라고 함)로 한다. 구출력 화상 사이즈는 배치 결정부(4)로 보내지며 신출력 화상 사이즈는 확대 축소 배치부(5)로 보내진다. 배치 결정부(4)는 구출력 화상 사이즈를 이용하여 행 분할 영역의 배치 계산을 행한다. 그림·사진 영역은 기본적으로 문자의 행 분할 영역은 마찬가지로 배치 계산되지만, 그림·사진 영역을 구출력 화상 사이즈의 화상 상에 배치한 경우에 비어져 나온다고 해도 그대로 배치시켜둔다. 출력 화상 저장부(6)에 저장되는 출력 화상은 신출력 화상 사이즈로 작성된다. 이 때문에, 그림·사진 영역을 구출력 화상 사이즈의 화상 상에 배치하였다고 해도 확대 축소 배치부(5)에서 실제로 배치될 때에는 출력 화상으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경우는 없다. 즉, 그림·사진 영역은 신출력 화상 사이즈의 출력 화상 상에 확대하여 재배치되며, 행 분할 영역의 문자 부분은 구출력 화상 사이즈로 확대하여 재배치된다.
도 38을 참조하여, 상술한 처리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38에서는, 확대 축소 정보 지정부(3)에 의해 지정된 입력 화상의 확대 축소율이 2배라고 한다. 이 때, 그림·사진 영역 P를 포함하는 각 행 분할 영역이 2배로 확대된다. 그림·사진 영역은 신출력 화상 사이즈의 출력 화상으로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문자의 행 분할 영역은 입력 화상과 동일 폭으로 배치된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그림·사진 영역을 보기 위해서는,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의 양쪽 스크롤 조작이 필요해지지만, 문장을 읽기 위해서는 세로 방향의 스크롤 조작만으로 해결되어 사용자는 조작성에 편리하게 문장을 읽거나 그림을 볼 수 있다.
[제4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데이터를 본체 영역과 주변 영역으로 나누어서 처리한다.
도 3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는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에 본체 주변 영역 검출부(53)가 부가된 것이다.
그 밖의 구성 부품은 도 1에 도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 또는 도 31에 도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와 마찬가지이다. 이 때문에,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본체 주변 영역 검출부(53)는 행 분할 영역 추출부(2) 및 그림 영역 검출부(50)에 접속되며, 행 분할 영역 추출부(2) 및 그림 영역 검출부(50)로부터 얻어지는 정보로부터 본체(본문) 영역 및 주변 영역을 검출한다. 본체 영역 및 주변 영역의 검출은 행 분할 영역 및 그림·사진 영역의 위치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즉, 입력 화상 중 상하단이나 상하의 코너에 위치하는 행 분할 영역 또는 그림·사진 영역은 페이지 번호 또는 장 타이틀 등이라고 간주되어 주변 영역이라고 판단된다.
예를 들면, 입력 화상의 상하단으로부터 10% 이내의 크기의 범위에 들어가는 행 분할 영역 또는 그림·사진 영역은 상하단에 위치한다고 판단된다. 또한 가로 방향에 관한 것으로, 끝에서부터 10% 이내의 크기의 범위로 행 분할 영역 또는 그림·사진 영역이 들어가는 경우에는 그 영역은 상하의 코너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이라고 판단된다.
주변 영역인지의 여부는 1매의 입력 화상으로부터만으로는 판별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입력 화상을 처리하는 경우에는 앞의 입력 화상의 처리 결과를 기록해두고, 그것과 현재 처리 중인 입력 화상의 처리 결과를 대조하여 주변 영역을 검출해도 된다. 예를 들면, 앞의 입력 화상의 행 분할 영역 및 그림·사진 영역의 위치 및 크기를 기록해두고, 다음의 입력 화상의 행 분할 영역 및 그림·사진 영역의 위치 및 크기와 비교한다. 위치 및 크기가 거의 변하지 않은 영역이 있고 또한 그것이 입력 화상의 중심 부근에 위치하지 않으면 주변 영역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치의 어긋남이 Tp 화소 이내 크기의 차가 Tr3% 이내, 위치가 주변에서부터 Tr4% 이내이면 주변 영역이라고 판단된다. 여기서 Tp, Tr3, Tr4는 소정의 임계치로 한다.
본체 주변 영역 검출부(53)에서 얻어진 정보는 배치 결정부(4)로 보내진다. 배치 결정부(4)는 주변 영역을 본체 영역과는 별도로 배치한다. 주변 영역은 페이지 번호나 장 타이틀 등이기 때문에, 페이지 내에서의 상대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면, 위치 (X9, Y9), 크기 (W9, H9)의 주변 영역이 있다고 하고, 입력 화상의 크기가 (Win, Hin), 출력 화상의 크기가 (Wo, Ho), 확대 축소율이 (Rx,Ry)로 하면, 주변 영역의 출력 위치 (X10, Y10)은 이하의 식에 의해 나타낸다.
X10=(Wo-X9×Rx)×(X9/(Win-W9))
Y10=(Ho-X9×Ry)×(Y9/(Hin-H9))
이것은 본체 영역과 본체 주변 영역을 구별하지 않고 확대 축소를 행한 경우에 주변 영역에 있는 페이지 번호 등이 예기치 못한 위치에 나타나게 된다는 문제점을 없애기 위해서이다.
도 40을 참조하여, 이상의 처리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40에서는 확대 축소 정보 지정부(3)에 의해 지정되는 입력 화상의 확대 축소율이 2배라고 한다. 2분할된 각 행이 본체 영역으로, 「13」라는 페이지 번호가 주변 영역이다. 본체 영역은 재배치된다. 주변 영역은 본체 영역과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변화시키지 않고 2배로 확대된다. 또, 주변 영역은 본체 영역과 다른 확대 축소율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도 2의 버튼(101)은 본래, 입력 화상 전체를 일람하고자 하는 경우 등에 누르는 것이지만, 행 분할 처리 또는 재배치 처리 등이 잘못된 경우에 입력 화상으로 전환함으로써 오류를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입력 화상의 크기와 확대 축소율과의 곱이 출력 화상의 크기의 소정수분의 소정수가 될 때는 효율적인 재배치 계산을 할 수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 분수의 분모는 출력 화상 상의 1행 중 고정폭 행 분할 영역수를 나타내고, 분자는 입력 화상 상의 1행분의 고정폭 행 분할 영역수를 나타낸다. 단순한 정수가 아니라 소정수로 한 것은 수가 크면 1행 중에 그것만의 행 분할 영역을 만들 수 있다고는 한하지 않고 행 분할 영역수가 적은 쪽이 재배치 계산이 단순해지기 때문이다. 행분할 영역을 고정폭으로 함으로써 또한 재배치 계산이 단순해진다.
예를 들면, 도 40과 같이, 입력 화상과 출력 화상과의 가로폭이 동일하여 확대 축소율이 2일 때, 입력 화상의 크기와 확대 축소율과의 곱은 출력 화상의 크기의 1/2이 된다. 이 때문에, 출력 화상 상의 1행 중의 고정폭 행 분할 영역수는 1이 되며 입력 화상 상의 1행 중의 고정폭 행 분할 영역수는 2가 된다. 즉, 입력 화상과 출력 화상과의 행 분할 영역의 수를 분수 표현한 확대 축소율에 대응시키면, 재배치 계산이 단순해진다.
도 41을 참조하여, 입력 화상과 출력 화상과의 가로폭이 동일하고 확대 축소율이 2/3일 때, 입력 화상의 크기와 확대 축소율과의 곱은 출력 화상의 크기의 2/3가 된다. 이 때문에, 출력 화상 상의 1행 중 고정폭 행 분할 영역수는 3이 되고, 입력 화상 상의 1행 중 고정폭 행 분할 영역수가 2개가 된다. 따라서, 입력 화상 상의 1행 중에 고정폭 행 분할 영역을 2개 취하고 출력 화상의 1행에 행 분할 영역을 3개씩 재배치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영역과 주변 영역을 구별하지 않고 확대 또는 축소했을 때, 페이지 번호 등이 예기하지 않은 장소에 표시된다는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다.
[제5 실시예]
제1 ∼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는 원칙으로서 입력 화상을 페이지마다 처리하고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는 입력 화상을 복수 페이지 단위로 처리한다.
도 4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는 입력 화상 저장부(1)와, 입력 화상 저장부(1)에 접속되며, 입력 화상 중의 본체 영역을 추출하는 본체 영역 추출부(60)와, 본체 영역 추출부(60)에 접속되며, 본체 영역 추출부(60)로부터 얻어진 본체 영역이 입력 화상과 동일 크기가 되도록 확대율을 구하는 확대율 산정부(61)와, 본체 영역 추출부(60) 및 확대율 산정부(61)에 접속되며 확대율 산정부(61)로부터 출력되는 복수의 입력 화상의 확대율로부터 공통된 확대율을 산출하는 확대율 공통화부(62)와, 본체 영역 추출부(60), 확대율 공통화부(62) 및 입력 화상 저장부(1)에 접속되며 확대율 공통화부(62)로부터 얻어진 공통 확대율로 본체 영역 추출부(60)로부터 얻어진 본체 영역을 확대하여 출력 화상에 출력하는 확대부(63)와, 확대부(63)에 접속되어 출력 화상을 저장하는 출력 화상 저장부(6)를 포함한다.
입력 화상 저장부(1) 및 출력 화상 저장부(6)는 도 1의 화상 표시 장치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다. 이 때문에,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본체 영역 추출부(60)는 도 39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수법으로, 주변 영역을 추출하여 그 나머지를 본체 영역으로 한다. 단, 행 분할 영역을 이용하지 않아도 행 영역만을 이용해도 본체 영역을 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행 분할 영역을 구하는 처리를 생략해도 된다. 본체 영역은 하나의 구형으로서 나타내고 좌측 상단 위치와 크기로 표현된다.
확대율 산정부(61)는 상술된 바와 같이 본체 영역 추출부(60)로부터 얻어진본체 영역의 정보가, 입력 화상과 동일 크기가 되도록 확대율을 구한다. 입력 화상의 크기를 W10×H10으로 하고 본체 영역의 위치를 (X11, Y11)로 하고, 본체 영역의 크기를 (W11, H11)로 한다. 가로 방향의 확대율 Rx 및 세로 방향의 확대율 Ry는 다음식에 의해 나타낸다.
Rx=W11/W10
Ry=H11/H10
확대율 Rx 및 Ry가 작은 쪽의 값을 확대율 Ra로 한다. 구한 확대율 Ra는 확대율 공통화부(62)로 공급된다.
확대율 공통화부(62)는 확대율 산정부(61)로부터 출력되는 복수의 입력 화상의 확대율을 배열의 형태로 저장해두고, 이들의 평균치 또는 중앙치 등을 계산에 의해 구함으로써 공통 확대율을 얻는다. 평균치 또는 중앙치를 구할 때 모든 입력 화상의 확대율을 이용해도 되며 과거 수매분의 입력 화상의 확대율만을 이용해도 된다. 맨 앞의 몇매의 화상에서는 샘플수가 적기 때문에, 평균치 등이 안정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에는, 미리 일정 매수만큼 입력 화상을 처리하여 확대율을 구하고 샘플수를 늘려두고 그 후 1장째에서부터 다시 공통 확대율을 계산한다. 이에 따라, 공통 확대율이 안정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확대율 공통화부(62)는 본체 영역 추출부(60)로부터 얻어지는 본체 영역의 좌측 상단 위치를 배열의 형태로 저장해두고, 이들의 홀수번째와 짝수번째의 좌측 상단 위치를, 평균치 또는 중앙치 등을 계산에 의해 구함으로써 홀수번째와 짝수번째 각각의 공통 좌측 상단 위치를 얻는다. 안정된 공통 좌측 상단 위치는 공통 확대율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얻어진 공통 확대율 및 홀수번째와 짝수번째 각각의 공통 좌측 상단 위치는 확대부(63)로 보내진다.
확대부(63)는 상술된 바와 같이 확대율 공통화부(62)로부터 얻어진 공통 확대율로, 본체 영역 추출부(60)로부터 얻어진 본체 영역을 확대하여 출력 화상 저장부(6)에 출력 화상으로서 기입한다. 확대율 공통화부(62)에서 홀수번째와 짝수번째 각각의 공통 좌측 상단 위치를 구하고 있는 경우에는 확대부(63)에서는 현재 처리하고 있는 입력 화상이 홀수번째인지 짝수번째인지에 따라 홀수번째나 짝수번째의 공통 좌측 상단 위치가 확대 후에 출력 화상의 좌측 상단에 오도록 확대 처리한다. 확대 처리는 도 20의 단계 S73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하여 실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도 43 ∼ 도 46을 참조하여, 확대율을 공통화하는 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3 및 도 44는 본체 영역의 확대율을 일치시키지 않고 출력 화상을 가득 채우도록 출력한 결과이고, 도 43에서는 1.4배, 도 44에서는 1.9배로 행 분할 영역이 각각 확대되고 있다. 입력 화상 중에서 거의 동일 크기의 문자가 각 페이지마다 다른 크기의 문자로 확대되면 매우 읽기 어려워지게 된다.
상술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도 45 및 도 46과 같은 출력 화상이 얻어지며 모든 출력 화상에서도 문자의 크기는 동일하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위화감없이 책을 읽을 수 있다.
여기서는 입력 화상 중 본체 영역만을 확대 처리하여 출력 화상에 출력하여 표시하였지만, 입력 화상 전체를 구한 확대율로 확대 처리하여 출력 화상에 표시하고, 확대한 본체 영역이 표시 화면(100) 내에 정확하게 들어가는 위치에 상하좌우 스크롤 바를 설치하여 표시해도 된다. 이 경우, 단순한 확대 표시 처리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가령 본체 영역 추출 처리 등이 잘못되었다고 해도 스크롤 위치를 조정하거나 확대율을 조정하거나 함으로써 오류를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다. 통상의 종이 서적 등에서는 좌우 양면 2페이지로 보기 쉽게 디자인되어 있다. 예를 들면 좌우 양면의 종서인 책에서는, 본체 영역의 사이즈나 세로 위치는 우측 페이지나 좌측 페이지가 그다지 바뀌지 않지만 가로 위치는 다른 경우가 많다. 홀수번째와 짝수번째 각각의 공통 좌측 상단 위치를 구하는 경우에는 좌우 페이지의 가로 위치의 어긋남에 대응할 수 있게 되어 스크롤 위치를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조정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도 2의 버튼(101)은 본래 입력 화상 전체를 일람하고자 하는 경우 등으로 전환하는 것이지만, 행 분할 처리, 재배치 처리 등이 잘못되었을 때 입력 화상을 전환함으로써 오류를 용이하게 수정하기 위해서도 이용될 수 있다.
이상, 화상 표시 장치의 각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행 분할 영역의 재배치를 사전에 실행하여 잘 재배치할 수 없을 때, 그 재배치를 정지하거나 사용자에게 경고하거나 사용자에게 재배치의 힌트를 제공해도 된다. 또한, 확대 축소한 문자의 폰트를 스무징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화상 간에서 공통되는 확대율이 정해진다. 이 때문에, 출력 화상 간에서 출력 화상에 표시되는 문자의 사이즈를 거의 균일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는 위화감없이 문장을 읽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각 실시예의 처리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지만, 이 프로그램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직접 또는 통신 회선을 통해 플로피 디스크 또는 하드디스크 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해두고, 필요에 따라 컴퓨터에 인스톨하여 이용해도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확대 또는 축소된 화상을 조작성에 편리하게 볼 수 있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1매의 출력 화상에 표시되는 정보량을 많게 유지한채 입력 화상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1매의 입력 화상 중에 그림 영역 또는 사진 영역과 문자 영역이 혼재해도 양쪽을 적절한 크기로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력 화상을 확대했을 때 입력 화상의 주변 영역에 위치하는 페이지 번호 등이 출력 화상 상에서 적절한 위치에 표시되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임의의 국면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는, 입력 화상에 포함되는 행 영역을 행 방향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행 분할 영역을 추출하는 행 분할 영역 추출부와, 행 분할 영역 추출부에 접속되어 추출된 행 분할 영역을 단위로서 배열순을 유지한채 행 분할 영역을 소정의 확대 축소율로 확대 또는 축소하고, 출력 화상 상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입력 화상의 행 영역을 분할한 행 분할 영역을 단위로 하여 확대 또는 축소하기 위해서 입력 화상 중 문자의 배열순이 뒤바뀌지 않게 문장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출력 화상의 한쪽 변의 길이를 적당하게 정해두면 사용자는 한방향으로 출력 화상을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문장을 읽을 수 있어 문서 화상이 보기 쉬워진다. 또한, 행 분할 영역을 단위로 하여 재배치가 행해지기 때문에 단순하게 입력 화상을 확대하는 경우에 비하여 1매의 출력 화상에 표시되는 정보량을 많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처리부는 행 분할 영역이 소정 사이즈의 출력 화상 내에 배치할 수 없게 된 시점에서 새로운 출력 화상을 준비하여 행 분할 영역을 배치한다.
행 분할 영역이 1매의 출력 화상 내에 들어가지 못하는 경우에는 연속하는 복수의 출력 화상으로 나누어서 출력된다. 출력 화상은 소정 사이즈를 갖는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출력 화상의 전환 조작에 의해 순차 표시 내용을 볼 수 있어 조작성이 향상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화상 표시 장치는 입력 화상으로부터 그림 영역 및 사진 영역을 검출하는 그림 영역 검출부와, 그림 영역 검출부에 접속되어 그림 영역 검출부에서 검출된 그림 영역 및 사진 영역을 확대 또한 축소할 때 출력 화상의 사이즈보다 크지 않게 소정의 확대 축소율과의 관계에서 새로운 확대 축소율을 정하는 그림 확대 축소율 산출부를 더욱 포함한다. 행 분할 영역 추출부는 그림 영역 검출부에 접속되며 그림 영역 검출부에서 검출된 그림 영역 및 사진 영역을 행 분할 영역으로서 추출한다. 처리부는 행 분할 영역 추출부 및 그림 확대 축소율 산출부에 접속되어 새로운 확대 축소율에 기초하여 그림 영역 및 사진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고 출력 화상 상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그림 확대 표시부와, 행 분할 영역 추출부에 접속되며 소정의 확대 축소율에 기초하여 그림 영역 및 사진 영역 이외의 행 분할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고 출력 화상 상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문자 확대 표시부를 포함한다.
그림 영역 및 사진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했을 때에 출력 화상보다 커지지 않도록 그림 영역 및 사진 영역의 확대 축소율이 정해진다. 또한, 이 확대 축소율은 문자 부분의 확대 축소율과는 다르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화면을 비어져 나오지 않게 적당한 크기로 확대 또는 축소된 그림 영역, 사진 영역 및 문장을 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화상 표시 장치는 입력 화상으로부터 그림 영역 및 사진 영역을 검출하는 그림 영역 검출부와, 그림 영역 검출부에 접속되어 그림 영역 검출부에서 검출된 그림 영역 또는 사진 영역을 소정의 확대 축소율로 확대 또는 축소할 때의 그림 영역 또는 사진 영역 사이즈와 출력 화상 사이즈를 비교하여 큰 쪽의 사이즈를 새로운 출력 화상 사이즈라고 정한 출력 화상 사이즈 산출부를 더욱 포함한다. 처리부는 영역 검출부, 행 분할 영역 추출부 및 출력 화상 사이즈 산출부에 접속되며 소정의 확대 축소율에 기초하여 그림 영역 및 사진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고, 새로운 출력 화상 사이즈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출력 화상 상의 위치에 배치하고 표시하는 그림 확대 표시부와, 영역 검출부, 행 분할 영역 추출부 및 출력 화상 사이즈 산출부에 접속되어 소정의 확대 축소율에 기초하여 그림 영역 및 사진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고, 원래의 출력 화상 사이즈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출력 화상 상의 위치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문자 확대 표시부를 포함한다.
그림 영역 및 사진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했을 때의 크기에 따라 출력 화상의 사이즈가 정해진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그림 영역 및 사진 영역의 확대 축소율을 자유롭게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원래의 출력 화상의 사이즈를 표시 영역과 같게 정해두면, 사용자는 문장을 읽을 때는 한 방향의 스크롤 조작만으로 문장을 읽을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화상 표시 장치는 행 분할 영역 추출부에 접속되며 행 분할 영역 중 입력 화상 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본체 주변 영역으로서 검출하는 본체 주변 영역 검출부를 더 포함한다. 처리부는 본체 주변 영역 검출부 및 행 영역 추출부에 접속되며, 본체 주변 영역을 입력 화상 상에서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유지한채 출력 화상 상에 배치하여 표시한다.
본체 주변 영역과 그 이외의 영역을 구별하지 않고 확대 또는 축소했을 때, 페이지 번호 등이 예기치 못한 장소에 표시된다는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는 복수의 입력 화상 각각에 대하여, 입력 화상의 단부를 제외한 본체 영역을 추출하는 본체 영역 추출부와, 본체 영역 추출부에 접속되며, 복수의 입력 화상 각각에 대하여 본체 영역을 확대했을 때 입력 화상의 사이즈와 동일 사이즈가 되는 확대율을 산정하는 확대율 산정부와, 확대율 산정부에 접속되어 확대율 산정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공통된 확대율을 정하는 확대율 공통화부와, 본체 영역 추출부 및 확대율 공통화부에 접속되어 복수의 입력 화상 각각에 대하여 본체 영역을 공통된 확대율로 확대하여 표시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입력 화상 간에서 공통되는 확대율이 정해진다. 이 때문에, 출력 화상 간에서 출력 화상에 표시되는 문자의 사이즈를 거의 균일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는 위화감 없이 문장을 읽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입력 화상의 행 영역을 분할한 행 분할 영역을 단위로서 확대 또는 축소하기 위해서 입력 화상 중의 문자의 배열순이 뒤바뀌지 않게 문장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출력 화상의 한쪽 변의 길이를 적당하게 정해두면, 사용자는 한 방향으로 출력 화상을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화상을 볼 수 있어 조작성 좋게 확대 또는 축소된 화상을 보는데 적합하다.

Claims (18)

  1.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입력 화상에 포함되는 행 영역을 행 방향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행 분할 영역을 추출하는 행 분할 영역 추출부와,
    상기 행 분할 영역 추출부에 접속되어 추출된 상기 행 분할 영역을 단위로 하여 배열순을 유지한 채로 상기 행 분할 영역을 소정의 확대 축소율로 확대 또는 축소하고 출력 화상 상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 분할 영역 추출부는,
    상기 입력 화상의 농도값을 세로축 및 가로축으로 투영하는 농도 투영부와,
    상기 농도 투영부에 접속되어 농도 투영 결과에 기초하여 행 영역을 추출하는 행 영역 추출부와,
    상기 행 영역 추출부 및 상기 농도 투영부에 접속되어 농도 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행 영역을 분할하여 행 분할 영역을 추출하는 행 영역 분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 분할 영역 추출부는, 상기 입력 화상으로부터 문자 영역을 추출하여 상기 문자 영역에서부터 행 분할 영역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행 분할 영역에서부터 하이픈을 제거하거나 추가하면서 상기 행 분할 영역의 상기 출력 화상 상에서의 배치 위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행 분할 영역이 소정 사이즈의 상기 출력 화상 내에 배치할 수 없게 된 시점에서 새로운 출력 화상을 준비하고, 상기 행 분할 영역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화상의 행 방향의 길이는, 상기 입력 화상의 행 방향의 길이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미리 정해진 종류의 문자가 줄 머리에 오지 않도록 상기 행분할 영역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입력 화상 상에서의 행바꿈 위치를, 상기 출력 화상 상에서도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 분할 영역 추출부는, 상기 입력 화상으로부터 배경 모양을 제거한 후, 상기 행 분할 영역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화상으로부터 그림 영역 및 사진 영역을 검출하는 그림 영역 검출부와,
    상기 그림 영역 검출부에 접속되며, 상기 그림 영역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그림 영역 및 상기 사진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했을 때에 상기 출력 화상의 사이즈보다 커지지 않게 상기 소정의 확대 축소율과의 관계에서 새로운 확대 축소율을 정하는 그림 확대 축소율 산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행 분할 영역 추출부는, 상기 그림 영역 검출부에 접속되어 상기 그림 영역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그림 영역 및 상기 사진 영역을 상기 행 분할 영역으로서 추출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행 분할 영역 추출부 및 상기 그림 확대 축소율 산출부에 접속되어 상기 새로운 확대 축소율에 기초하여 상기 그림 영역 및 상기 사진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고, 상기 출력 화상 상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그림 확대 표시부와,
    상기 행 분할 영역 추출부에 접속되어 상기 소정의 확대 축소율에 기초하여 상기 그림 영역 및 상기 사진 영역 이외의 상기 행 분할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고, 상기 출력 화상 상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문자 확대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화상으로부터 그림 영역 및 사진 영역을 검출하는 그림 영역 검출부와,
    상기 그림 영역 검출부에 접속되어 상기 그림 영역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그림 영역 또는 상기 사진 영역을 상기 소정의 확대 축소율로 확대 또는 축소했을 때의 상기 그림 영역 또는 상기 사진 영역의 사이즈와, 상기 출력 화상의 사이즈를 비교하여 큰 쪽의 사이즈를 새로운 출력 화상 사이즈라고 정하는 출력 화상 사이즈 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영역 검출부, 상기 행 분할 영역 추출부 및 상기 출력 화상 사이즈 산출부에 접속되어 상기 소정의 확대 축소율에 기초하여 상기 그림 영역 및 상기 사진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고, 상기 새로운 출력 화상 사이즈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출력 화상 상의 위치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그림 확대 표시부와,
    상기 영역 검출부, 상기 행 분할 영역 추출부 및 상기 출력 화상 사이즈 산출부에 접속되어 상기 소정의 확대 축소율에 기초하여 상기 그림 영역 및 상기 사진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고, 원래의 출력 화상 사이즈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출력 화상 상의 위치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문자 확대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 분할 영역 추출부에 접속되어 상기 행 분할 영역 중 입력 화상의 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본체 주변 영역으로서 검출하는 본체 주변 영역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본체 주변 영역 검출부 및 상기 행 영역 추출부에 접속되어 상기 본체 주변 영역을 상기 입력 화상에서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유지한 채 상기 출력 화상 상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화상의 화상 사이즈와 상기 출력 화상의 화상 사이즈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화상의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 중 적어도 한쪽 사이즈와 상기 확대 축소율과의 곱이 상기 출력 화상의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 중 적어도 한쪽 사이즈의 정수분의 정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입력 화상과 출력 화상과의 표시의 전환을 지시하는 전환 지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6.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입력 화상 각각에 대하여, 입력 화상의 단부를 제외한 본체 영역을 추출하는 본체 영역 추출부와,
    상기 본체 영역 추출부에 접속되어 상기 복수의 입력 화상 각각에 대하여, 상기 본체 영역을 확대했을 때 상기 입력 화상의 사이즈와 동일 사이즈가 되는 확대율을 산정하는 확대율 산정부와,
    상기 확대율 산정부에 접속되어 상기 확대율 산정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공통된 확대율을 정하는 확대율 공통화부와,
    상기 본체 영역 추출부 및 상기 확대율 공통화부에 접속되어 상기 복수의 입력 화상 각각에 대하여 상기 본체 영역을 상기 공통된 확대율로 확대하여 표시하는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입력 화상과 출력 화상과의 표시의 전환을 지시하는 전환 지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율 공통화부는 상기 본체 영역 추출부에 또한 접속되고, 상기 본체 영역 추출부로부터 얻어지는 상기 입력 화상의 본체 영역의 위치를 홀수번째와 짝수번째의 입력 화상별로 공통화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확대율 공통화부로부터 얻어지는 홀수번째와 짝수번째의 공통된 본체 영역의 위치가 확대 표시되도록 상기 본체 영역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01-7006689A 1998-11-30 1999-11-25 화상 표시 장치 KR1003967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8-338654 1998-11-30
JP10338654A JP2000163044A (ja) 1998-11-30 1998-11-30 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3855A true KR20020003855A (ko) 2002-01-15
KR100396728B1 KR100396728B1 (ko) 2003-09-02

Family

ID=18320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6689A KR100396728B1 (ko) 1998-11-30 1999-11-25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20965B1 (ko)
EP (1) EP1136980A4 (ko)
JP (1) JP2000163044A (ko)
KR (1) KR100396728B1 (ko)
CN (1) CN1167043C (ko)
WO (1) WO200003328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77288A1 (en) * 2003-02-26 2004-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browser graphic according to aspect ratio
KR100594554B1 (ko) * 2003-06-10 2006-06-30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문자 발생 장치, 문자 발생 방법, 및 저장 매체
US7629976B2 (en) 2004-12-03 2009-12-08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52593B1 (en) * 1999-05-13 2015-07-15 Canon Kabushiki Kaisha Form search apparatus and method
KR20040069865A (ko) * 2003-01-30 2004-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화면 내의 글자영역 확장장치 및 방법
JP4242796B2 (ja) * 2004-03-12 2009-03-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認識方法及び画像認識装置
US7664751B2 (en) * 2004-09-30 2010-02-16 Google Inc. Variable user interface based on document access privileges
US7603355B2 (en) 2004-10-01 2009-10-13 Google Inc. Variably controlling access to content
JP4720529B2 (ja) * 2005-03-10 2011-07-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574467B2 (ja) 2005-06-30 2010-11-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735262B1 (ko) * 2005-12-29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자동표시방법
JP2007199919A (ja) * 2006-01-25 2007-08-09 Infocity Inc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2007256529A (ja) * 2006-03-22 2007-10-04 Ricoh Co Ltd 文書画像表示装置、情報処理装置、文書画像表示方法、情報処理方法、文書画像表示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データ構造
KR100787977B1 (ko) * 2006-03-30 2007-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데이터 크기 조절 장치 및 방법
JP4956202B2 (ja) * 2007-01-16 2012-06-2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90025066A1 (en) * 2007-07-17 2009-01-22 Protectia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first and second party authentication
US8238662B2 (en) * 2007-07-17 2012-08-07 Smart Technologies Ulc Method for manipulating regions of a digital image
JP2009153068A (ja) 2007-12-21 2009-07-09 Canon Inc 楽譜の加工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
JP2009153067A (ja) 2007-12-21 2009-07-09 Canon Inc 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
CN101471064B (zh) * 2007-12-24 2012-01-18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图象连续缩放的方法及其系统
CN102111661B (zh) * 2009-12-29 2014-12-24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机顶盒逐行解压显示图片的方法
CN101783900A (zh) * 2010-03-10 2010-07-21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图像分区缩放的方法和装置
JP5743443B2 (ja) * 2010-07-08 2015-07-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2083500A (ja) * 2010-10-08 2012-04-26 Canon Inc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CN102982326B (zh) * 2011-09-02 2016-05-25 汉王科技股份有限公司 文字处理方法、装置和电子翻译笔
US9489121B2 (en) * 2011-11-02 2016-11-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ptimal display and zoom of objects and text in a document
JP5752572B2 (ja) * 2011-11-24 2015-07-22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8755606B2 (en) 2011-12-16 2014-06-17 Harri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 feature extraction accuracy using imperfect extractors
US8832593B2 (en) * 2011-12-16 2014-09-09 Harri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 spatial feature analysis
US8855427B2 (en) 2011-12-16 2014-10-07 Harri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ly and accurately detecting changes in spatial feature data
JP6152633B2 (ja) * 2012-10-31 2017-06-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203069B2 (ja) * 2014-01-29 2017-09-27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257525B2 (en) * 2016-10-31 2019-04-09 Futurewei Technologies, Inc. Image storage and reconstruction based on sub-images
JP6903966B2 (ja) * 2017-03-16 2021-07-14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570760B1 (ko) * 2018-12-12 2023-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전압 센싱 회로,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집적 회로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10109546A (zh) * 2019-05-05 2019-08-09 南京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视力强弱的字符缩放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4181A (ja) * 1985-09-27 1987-04-04 Sony Corp 文字認識装置
JP2635311B2 (ja) 1986-03-31 1997-07-30 キヤノン 株式会社 文書処理装置
JP2667435B2 (ja) * 1987-05-01 1997-10-27 株式会社リコー 領域抽出方法
US4939670A (en) * 1988-11-18 1990-07-03 Unisys Corporation PC driven print file utilities for mainframe computer printing
JP3016515B2 (ja) * 1989-01-31 2000-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文字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H0378020A (ja) 1989-08-22 1991-04-03 Nec Corp 情報処理装置
JP2930612B2 (ja) * 1989-10-05 1999-08-0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H03290774A (ja) * 1990-04-06 1991-12-20 Fuji Facom Corp 文書画像の文章領域抽出装置
JP3244768B2 (ja) 1992-05-18 2002-01-0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方向指定機能付き複写機
JPH06309468A (ja) 1993-04-20 1994-11-04 Yokogawa Electric Corp データ表示装置
US5774110A (en) * 1994-01-04 1998-06-30 Edelson; Steven D. Filter RAMDAC with hardware 11/2-D zoom function
JP3400151B2 (ja) * 1994-12-08 2003-04-28 株式会社東芝 文字列領域抽出装置および方法
JP3476595B2 (ja) 1995-06-26 2003-12-10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領域分割方法、および画像2値化方法
JP3354754B2 (ja) * 1995-07-10 2002-12-09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カーニング処理方法
JPH1051701A (ja) 1996-08-02 1998-02-20 Sanyo Electric Co Ltd インターネットテレビジョン
US6367080B1 (en) 1996-08-02 2002-04-02 Sanyo Electric Co., Ltd. Internet information displaying apparatus
JPH10193735A (ja) 1996-12-28 1998-07-28 Casio Comput Co Ltd イメージデータ出力方法、イメージデータ出力装置、及び記憶媒体
JPH10207887A (ja) 1997-01-08 1998-08-07 Kano Densan Hongkong Yugenkoshi 電子メール表示方法および装置
JPH1125222A (ja) * 1997-07-08 1999-01-29 Sharp Corp 文字切り出し方法及び文字切り出し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77288A1 (en) * 2003-02-26 2004-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browser graphic according to aspect ratio
KR100594554B1 (ko) * 2003-06-10 2006-06-30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문자 발생 장치, 문자 발생 방법, 및 저장 매체
US7629976B2 (en) 2004-12-03 2009-12-08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KR100945363B1 (ko) * 2004-12-03 2010-03-08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인코포레이티드 표시장치,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및 정보기억매체
US7773089B2 (en) 2004-12-03 2010-08-1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Displaying character strings based on font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33289A1 (fr) 2000-06-08
CN1328677A (zh) 2001-12-26
JP2000163044A (ja) 2000-06-16
EP1136980A4 (en) 2013-05-08
EP1136980A1 (en) 2001-09-26
KR100396728B1 (ko) 2003-09-02
US6720965B1 (en) 2004-04-13
CN1167043C (zh) 2004-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6728B1 (ko) 화상 표시 장치
EP0690415B1 (en) Editing scanned document images using simple interpretations
JP3825820B2 (ja) ページ解析システム
US4893258A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having enlargement/reduction functions capable of setting different magnification in different directions
US5025484A (en) Character reader device
US6466694B2 (en) Document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US4802104A (en) Dual screen document processing system
US4953225A (en) Handwritten character-recogniz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d displaying character frames
CN87100869A (zh) 显示处理器
JPH09171557A (ja) イメージ処理方法及び装置
EP0531060A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EP1217601A2 (en) Event-for-change oriented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ing the same method
JP3083314B2 (ja) 文書処理方法及び装置
JP3993025B2 (ja) 文書画像変換方法、文書画像変換プログラム及び文書画像変換装置
JP4094512B2 (ja) 画面スクロール制御装置
JP3389433B2 (ja) 文字データ処理装置、文字データ処理方法及び文字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JPH0521266B2 (ko)
JP4741916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該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画像処理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H06274303A (ja) マルチウィンドウ表示方法
JP4867400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H0830725A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JPH11242716A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H08263588A (ja) 文字認識装置
JP3283894B2 (ja) 表示装置および入力装置
JPH09288714A (ja) 表認識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