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6295Y1 - 자동차용 응급조치용 팬벨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응급조치용 팬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6295Y1
KR200176295Y1 KR2019990022214U KR19990022214U KR200176295Y1 KR 200176295 Y1 KR200176295 Y1 KR 200176295Y1 KR 2019990022214 U KR2019990022214 U KR 2019990022214U KR 19990022214 U KR19990022214 U KR 19990022214U KR 200176295 Y1 KR200176295 Y1 KR 2001762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fan
wire
fastening means
fan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2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맹예
Original Assignee
박맹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맹예 filed Critical 박맹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62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62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3/00Belt fastenings, e.g. for conveyor belts
    • F16G3/12Joining belts by la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7/00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67/04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 F02B67/06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driven by means of chains, belts, or like endless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3/00Belt fastenings, e.g. for conveyor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7/00V-belt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행도중 팬벨트의 이완, 손상 및 절단 등으로 냉각팬의 작동이 중단되는 응급사태에 용이하게 대응하도록 하는 자동차 응급조치용 팬벨트에 관한 것이다.
주행중에서 팬벨트를 교체 장착해야 하는 경우, 팬벨트가 하나의 원을 이루어 열림부가 없기 때문에, 제네레이터풀리를 이동시켜 장력을 조정ㆍ고정하는 등의 장착 작업이 일반인들이 수행하기에는 너무 힘들고 벅찬 일이어서, 운전자들에게 커다란 위협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단면은 통상의 자동차 팬벨트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소정길이로 형성되는 벨트(100)와, 상기 벨트(100)의 양단에 벨트(100)를 연결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200)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벨트(100)는 후술하는 와이어(210) 삽입을 위하여 상부에 관통공(110)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110)에, 와이어(210)로 이루어진 체결수단(200)을 삽입ㆍ관통시켜 양단부에서 상기 와이어(210)의 양단을 체결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수단(200)은, 벨트(100)의 일단에는 제자리회전볼트(230)를, 다른 일단에는 상기 제자리회전볼트(230)에 대응하는 통공랙(240)을 부여하되, 그 중 어느 하나는 제자리돌기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누구나 용이하게 장작가능하고, 동력전달손실도 없는 것임.

Description

자동차용 응급조치용 팬벨트{A FAN BELT FOR CAR EMERGENCY MEASURE}
본 고안은 자동차의 팬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행시 팬벨트의 이완, 손상 및 절단 등으로 냉각팬의 작동이 중단되는 응급사태에 용이하게 대응하도록 하는 자동차 응급조치용 팬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블록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풀리(20)에 전달된 동력이 물펌프와 제네레이터에 전달되도록 물펌프풀리(30) 및 제네레이터풀리(40)를 연결하는 팬벨트(10)가 장착되는데, 상기 팬벨트(10)는 특히 장거리 주행 중에 과열로 장력이 이완되거나, 벗겨지고, 손상을 입어 절단되는 등의 응급사태가 왕왕 발생된다.
이렇게 도로 주행중에서 팬벨트(10)를 교체 장착해야 하는 경우, 종래에는 제네레이터풀리(40)를 움직여 새로운 팬벨트(10)를 풀리에 끼운 후, 다시 제네레이터풀리(40)를 이동시켜 팬벨트(10)의 장력을 조정하여 고정하였다.
즉, 팬벨트(10)가 하나의 원을 이루어 열림부가 없기 때문에, 벨트가 끼워지도록 제네레이터풀리(40)를 안으로 이동시켜 팬벨트(10)를 각각의 풀리에 끼운 후, 벨트가 팽팽하게 장력을 갖도록 다시 제네레이터풀리(40)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장력을 조정ㆍ고정하게 된다.
상기한 팬벨트(10)의 장착과정에서 육중한 제네레이터풀리(40)의 고정을 풀어 이동시키고, 다시 이동시켜 체결 고정하는 등의 일련의 작업은 일반인들이 수행하기에는 너무 힘들고 벅찬 일이어서, 실제 이러한 작업은 통상 자동차 수리점에서나 가능하며,
고속도로 등에서 주행 중 일어나는 팬벨트의 손상은 운전자들, 특히 여성운전자들에게 커다란 위협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주행 중 팬벨트의 응급수단으로 스타킹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스타킹은 풀리와의 마찰이 적어 동력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사고위험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제네레이터풀리를 이동시키지 않고, 팬벨트의 장력을 조정하면서 간단하게 장착하도록 하여,
주행 중 일어나는 팬벨트의 손상 등으로 팬벨트를 새로 장착해야하는 응급사태시 누구나 용이하게 장착하도록 하는 한편, 동력전달도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차 응급조치용 팬벨트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팬벨트의 구성 및 조립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
도 4는 도 2의 절단면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의 절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일부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체결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응급조치용 팬벨트 100 : 벨트
110 : 관통공 200 : 체결수단
210 : 와이어 230 : 제자리회전볼트
231 : 금속밴드 240 : 통공랙
241 : 금속밴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응급조치용 팬벨트는,
단면은 통상의 자동차 팬벨트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소정길이로 형성되는 벨트와;
상기 벨트의 양단에 벨트를 연결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벨트는 후술하는 와이어 삽입을 위하여 단면 상부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에 와이어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을 삽입ㆍ관통시켜 양단부에서 상기 와이어의 양단을 체결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수단은, 벨트의 일단에는 제자리회전볼트를, 다른 일단에는 상기 볼트에 대응하는 통공랙을 부여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자동차 응급조치용 팬벨트에 대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응급조치용 팬벨트(1)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절단면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응급조치용 팬벨트(1)는, 통상의 동력전달용 벨트의 재질인 합성고무로 이루어지고, 그 단면은 통상의 자동차 팬벨트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소정길이로 형성되는 벨트(100)와, 상기 벨트(100)의 양단에 벨트(100)를 연결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20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벨트(100)는 후술하는 와이어(210) 삽입을 위하여 단면 상부에 관통공(110)을 형성하고, 직선 또는 곡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통공(110)에, 와이어(210)로 이루어진 체결수단(200)을 삽입ㆍ관통시켜 양단부에서 상기 와이어(210)의 양단을 묶어 체결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벨트(100)는 와이어(210) 삽입을 위한 관통공(110)을 형성하기 위하여 통상의 팬벨트 단면형상의 상부에 덧살이 추가형성되고, 여기에 관통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와이어(210)는 섬유 또는 강선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이 통상 사용되는 적용풀리의 형상이 다른 예에 적용된 팬벨트의 절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체결수단(200)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체결상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체결수단(200)은, 벨트(100)의 일단에는 통상 원주밴드에 사용되는 제자리회전볼트(230)를, 다른 일단에는 상기 제자리회전볼트(230)에 대응하는 통공랙(240)을 부여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자리회전볼트(230)는 벨트의 일단을 감으며 압입고정되는 금속밴드 상에 지지되며, 상기 통공랙(240)은, 벨트(100)의 타단에 벨트(100)를 감으며 압입고정되는 금속밴드(241) 상에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을 지닌 본 고안의 작용 상태를 살펴본다.
벨트(100)가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됨으로써, 벨트 장착시, 제네레이터풀리(40)를 제자리에 그대로 둔 상태에서, 크랭크풀리(10), 물펌프풀리(20)에 둘러 끼운 후, 양단에 형성된 체결수단(200)을 연결체결하는 것으로 간편하게 장착작업이 완료된다.
상기 체결수단(200)의 체결에서, 와이어(210)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은 양측을 최대한 당겨서 매듭을 지으면 간단하게 장착이 완료된다.
차종에 따라 조금씩 벨트의 길이가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이 때에는 벨트(100)의 길이를 적정하게 절단조정한다.
또한 단면이 풀리에 대응하는 마찰면을 갖도록 이루어진 통상의 팬벨트의 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져 동력전달손실이 거의 없다.
이렇게 장착된 응급조치용 벨트(1)는 본 출원인의 다수회에 걸친 실험결과 적어도 25시간 이상을 주행할 수 있어서, 적어도 주행 중의 안전은 충분히 보장하게 되며, 항시 차량에 휴대하고, 주행중 유사시에 즉시로 간편하게 교체 장착한다.
체결수단(200)이 제자리회전볼트(230)와 통공랙(240)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볼트(230)의 하부에 통공랙(240)을 삽입시키고, 볼트(230)를 제자리에서 회전시켜 통공랙(240)을 진입 또는 후퇴시킴으로써, 벨트의 체결고정을 단단히 하고 장력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응급조치용 팬벨트는, 도로 주행중 발생되는 팬벨트의 손상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팬벨트로서,
장착에 특별한 공구가 필요없어 누구나 간단히 장착할 수 있음으로, 특히 기계조작에 자신이 없는 운전자들도 안심하고 장거리 운행에 나설 수 있도록 하고,
동력의 전달손실이 거의 없어 안전성도 보장되는 아주 유익한 기술이다.

Claims (3)

  1. 단면은 통상의 자동차 팬벨트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소정길이로 형성되는 벨트(100)와;
    상기 벨트(100)의 양단에 상기 벨트(100)를 연결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200)을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응급조치용 팬벨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100)는 후술하는 와이어(210) 삽입을 위하여 단면 상부에 관통공(110)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110)에, 와이어(210)로 이루어진 체결수단(200)을 삽입ㆍ관통시켜 양단부에서 상기 와이어(210)의 양단을 체결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응급조치용 팬벨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200)은, 벨트(100)의 일단에는 제자리회전볼트(230)를, 다른 일단에는 상기 제자리회전볼트(230)에 대응하는 통공랙(240)을 부여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응급조치용 팬벨트.
KR2019990022214U 1999-10-15 1999-10-15 자동차용 응급조치용 팬벨트 KR20017629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803A KR20010037345A (ko) 1999-10-15 1999-10-15 자동차용 응급조치용 팬벨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4803A Division KR20010037345A (ko) 1999-10-15 1999-10-15 자동차용 응급조치용 팬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6295Y1 true KR200176295Y1 (ko) 2000-03-15

Family

ID=1961554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4803A KR20010037345A (ko) 1999-10-15 1999-10-15 자동차용 응급조치용 팬벨트
KR2019990022214U KR200176295Y1 (ko) 1999-10-15 1999-10-15 자동차용 응급조치용 팬벨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4803A KR20010037345A (ko) 1999-10-15 1999-10-15 자동차용 응급조치용 팬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0037345A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761U (ko) * 1993-08-17 1995-03-21 김승호 벨트 연결구
KR970000635Y1 (en) * 1993-09-10 1997-01-30 Daewoo Motor Co Ltd Temporary belt of automotive engine
KR960031955U (ko) * 1995-03-06 1996-10-24 김기태 직선형 벨트
KR970014254U (ko) * 1995-09-20 1997-04-28 박찬식 비상용 팬 벨트
KR970014253U (ko) * 1995-09-29 1997-04-28 박근목 응급처리 휀 벨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345A (ko) 200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65466A (en) Drive apparatus for vehicle mounted generator
US6098950A (en) Adjustable accessory mounting system for automobile motor
US4512752A (en) Belt tensioning device
US4750851A (en) Self-aligning pivot bolt
US7448973B2 (en) Belt tensioner and method
KR200176295Y1 (ko) 자동차용 응급조치용 팬벨트
DE102006058206A1 (de) Aggregatantrieb mit Zugmittel und Spanneinrichtung sowie Verfahren zum Spannen desselben
KR100326610B1 (ko) 자동차용 브이 벨트 장력 조절장치
CN214946154U (zh) 一种皮带轮紧固机构
KR100461399B1 (ko) 자동차용 브이벨트 장력조절장치 및 장력조절방법
KR200152527Y1 (ko) 자동차용 타이밍 벨트 커버
JP2001115852A (ja) エンジン補機の取付構造
KR0130548Y1 (ko) 자동차용 호스의 고정구조
KR200158959Y1 (ko) 자동차 타이밍 벨트용 텐셔너의 구조
KR0128687Y1 (ko) 자동차의 응급조치용 구동벨트
KR0126054Y1 (ko) 자동차용 엔진의 진동흡수장치
KR200213882Y1 (ko) 크랭크 샤프트와 오일펌프 구동기어의 체결구조
KR200152914Y1 (ko) 자동차용 발전기 고정구조
KR200174854Y1 (ko) 내연기관의 발전기 장착구조
JP3387389B2 (ja) エンジンの補機交換方法および補機取付構造
KR200153495Y1 (ko) 자동차용 엔진의 알터네이터 장착구조
KR0158812B1 (ko) 자동차의 도어 윈도우 조절기 설치구조
KR19980034891U (ko) 자동차용 비상벨트
KR200148274Y1 (ko) 자동차 도어의 내측핸들 고정용 브라켓트 취부구조
CN2228423Y (zh) 用于紧固汽车防滑带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