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3495Y1 - 자동차용 엔진의 알터네이터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엔진의 알터네이터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495Y1
KR200153495Y1 KR2019950050194U KR19950050194U KR200153495Y1 KR 200153495 Y1 KR200153495 Y1 KR 200153495Y1 KR 2019950050194 U KR2019950050194 U KR 2019950050194U KR 19950050194 U KR19950050194 U KR 19950050194U KR 200153495 Y1 KR200153495 Y1 KR 2001534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bolt
alternator
presen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01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1894U (ko
Inventor
정인수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501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495Y1/ko
Publication of KR9700418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18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4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4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0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generators driven by a machine different from the vehicle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엔진의 동력으로써 발전을 하는 알터네이터의 장착구조에 대한 것으로 고안의 주된 목적은 엔진의 구동에 대해 진동을 예방하고, 체결력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시켜 발전효율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한 특징적인 구성은 엔진의 외벽으로 부터 연장하되, 장공이 천공된 브라켓트와, 나사구멍이 천공된 알터네이터의 돌편을 보울트로 체결하되, 상기한 보울트에 주철재의 원통부재를 길이방향으로 끼운후 체결하므로서 진동방지및 체결력이 보강되도록 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엔진의 알터네이터 장착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제2(a)(b)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알터네이터 2 : 브라켓트
3 : 보울트 4 : 원통부재
11,14 : 돌편 12 : 통공
21 : 장공 41 : 수직구멍
본 고안은 자동차용 엔진의 일측에 부착하여 그 동력으로써 전기를 발전하는 알터네이터의 장착구조에 대한 것으로 더 자세히 말하자면 장착시 체결력을 보강하면서 진동을 방지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발전장치가 필요하므로 엔진의 크랭크축으로부터 동력을 얻어 발전을 할 수 있는 알터네이터를 부착하게 되는데 이는 제3도 도면에서와 같다.
엔진(a)의 크랭크축에 축설된 원동풀리(b)와 엔진(a)의 일측에서 브라켓트(c)로 취부한 알터네이터(d)의 종동풀리(e)를 벨트(f)로 연결하여 엔진(a)이 구동하는 동안 발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 지도록 하는바, 이러한 종래의 알터네이터(d) 취부 구조를 보면 엔진(a)에 돌설한 브라켓트(c)에 단순히 보울트(g)만으로 체결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예컨데 버스는 트럭에 비해 알터네이터가 크고 무겁기 때문에 장기간 엔진(a)이 구동하게 되면 진동에 의해 보울트(g)의 체결력이 느슨해 지고, 이는 풀리 벨트(f)의 긴장력을 적당히 유지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발전효율을 저하시키며, 체결상태가 양호하더라도 떨림이 심하면 회전불균형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고안의 주된 목적은 엔진의 구동에 대해 진동을 예방하고, 체결력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시켜 발전효율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상세한 구성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알터네이터(1)의 장착 사시도로서 엔진(도시하지 않았음)측으로 부터 연장된 브라켓트(2)와 알터네이터(1)의 돌편(11)을 보울트(3)로써 체결하게 되는데 이때의 브라켓트(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21)이 형성되어 있고, 돌편(11)에는 통공(12)이 형성되어 있는바, 이들 통공(12)및 장공(21)으로 보울트(3)를 끼우기 전에 상기 보울트(3)에 원동풀리(4)를 삽입한 후, 체결한다.
상기한 원동풀리(4)는 주철로 이루어진 것이며, 제2(a)도에서 보듯이 길이방향으로 끼울 수도 있고, 제2(b)도에서 보듯이 가로방향으로 천공한 수직구멍(41)을 통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끼울 수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4는 알터네이터의 또 다른 하부돌편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알터네이터(1)의 돌편(11)과 엔진측의 브라켓트(2)를 연결 취부함에 있어서, 대부분의 엔진은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놓여져 있으므로 브라켓트(2)및 돌편(11)에 끼우는 보울트(3)는 엔진의 전방을 향하게 되는데 이때는 제2(a)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울트(3)에 끼우는 원통부재(4)를 길이방향으로 끼워 고정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며, 또한 엔진의 측편으로 고정하게 되는 알터네이터(1)의 하부돌편(14)에 끼워 고정하게 되면 보울트(3)는 측편을 향하게 되는데 이때는 제2(b)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울트(3)에 끼우는 원동부재(4)를 길이방향으로 끼우는 것이 아니라 수직구멍(41)으로 직교되게 끼워 고정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보울트(3)에 원통부재(4)를 끼워 고정하되, 경우에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또는 직교방향으로 끼워 진동을 예방하도록 하였으며, 또한 체결력이 보강되었기 때문에 엔진의 구동에 대해 장기간 경과되어도 풀리거나 느슨해지지 않고, 알터네이터(1)의 발전효율을 최상의 상태로 지속시키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엔진의 외벽으로 부터 연장하되, 장공(21)이 천공된 브라켓트(2)와, 통공(12)이 천공된 알터네이터(1)의 돌편(11)을 보울트(3)로 체결하되, 상기한 보울트(3)에 주철재의 원통부재(4)를 길이방향으로 끼운후 체결하므로서 진동방지및 체결력이 보강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의 알터네이터 체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보울트(3)에 원통부재(4)를 끼우되, 그 원동부재(4)의 중단에서 가로로 천공한 수직구멍(41)으로 끼운후, 체결하므로서 진동방지 및 체결력이 보강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의 알터네이터 체결구조.
KR2019950050194U 1995-12-28 1995-12-28 자동차용 엔진의 알터네이터 장착구조 KR2001534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0194U KR200153495Y1 (ko) 1995-12-28 1995-12-28 자동차용 엔진의 알터네이터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0194U KR200153495Y1 (ko) 1995-12-28 1995-12-28 자동차용 엔진의 알터네이터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1894U KR970041894U (ko) 1997-07-29
KR200153495Y1 true KR200153495Y1 (ko) 1999-08-02

Family

ID=19440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0194U KR200153495Y1 (ko) 1995-12-28 1995-12-28 자동차용 엔진의 알터네이터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49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1894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3495Y1 (ko) 자동차용 엔진의 알터네이터 장착구조
KR20040029736A (ko) 엔진의 보조기구류 장착용 브라켓
JP3978618B2 (ja) 自動車用補機部品の取付構造
JP2001115852A (ja) エンジン補機の取付構造
KR200152527Y1 (ko) 자동차용 타이밍 벨트 커버
KR100205897B1 (ko) 와이어링 고정용 클램프
KR200160023Y1 (ko) 케이블 및 와이어링 고정용 더블 클립 어셈블리
KR19980049680A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브라켓
KR0134325Y1 (ko) 라이센스 램프용 나비 너트의 유동방지구조
KR0158348B1 (ko) 피로시험용 부시취부구조
KR19980060255U (ko) 자동차용 엔진의 엔진 브라켓
KR20010060613A (ko) 자동차의 보기류 브라켓 체결구조
KR100219089B1 (ko) 자동차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고정방법
KR200151906Y1 (ko) 자동차의 보조구동용 아이들 브라켓구조
KR200150227Y1 (ko) 발전기의 장착구조
KR100435692B1 (ko) 자동 텐셔너 장착용 브라켓
KR19980016846U (ko) 차량용 발전기의 구동 벨트 장력 조정 장치
KR19980047187U (ko) 자동차용 냉각수 보조탱크
KR0121032Y1 (ko) 엔진 마운팅용 보조 브라켓
KR200155479Y1 (ko) 자동차의 알터네이터고정용 브라켓트
KR19980059664A (ko) 자동차의 배터리 장착 구조
KR19980062185A (ko) 자동차의 와이어하니스 고정용 클립구조
KR980001664A (ko) 차량의 루프랙 마운팅 구조
KR19980017349A (ko) 엔진 마운팅의 엔진 브래킷
KR970041116A (ko) 체결 구조를 개선시킨 엔진 마운팅 부재와 차체 보디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