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3871A - 생사 주형으로부터 주형 재료와 주형 생사를 붕괴하고분리시키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생사 주형으로부터 주형 재료와 주형 생사를 붕괴하고분리시키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3871A
KR20010113871A KR1020017012446A KR20017012446A KR20010113871A KR 20010113871 A KR20010113871 A KR 20010113871A KR 1020017012446 A KR1020017012446 A KR 1020017012446A KR 20017012446 A KR20017012446 A KR 20017012446A KR 20010113871 A KR20010113871 A KR 20010113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green sand
sand mold
green
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2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료지 카나야마
히사시 하라다
히로아키 토키타
카즈오 스기모토
타케히코 마츠모토
히로야스 마키노
야스노리 요시다
시게아키 야마모토
쿠니야스 모리
Original Assignee
니시 마코토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1975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0542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1977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0542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8784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6976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0437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8702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1424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300718A/ja
Application filed by 니시 마코토,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시 마코토
Publication of KR20010113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387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5/00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dressing or handling the mould material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B22C5/08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dressing or handling the mould material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by sprinkling, cooling, or drying
    • B22C5/085Cooling or drying the sand together with the cas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5/00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dressing or handling the mould material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405Rotating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9/00Removing castings from moulds, not restricted to casting processes covered by a single main group; Removing cores; Handling ing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 Casting Devices For Molds (AREA)
  • Mold Materials And Core Materials (AREA)

Abstract

주입된 생사 주형을 붕괴시킴으로써 서로 분리되게 용융 금속에 의해 열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 주형 생사와 주조 재료에 부착된 용융 금속에 의해 열적으로 영향을 받는 주형 생사를 수집할 수 있는 주입된 생사 주형으로부터 샌드를 분리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방법 및 장치에서 수송될 주조된 생사 주형은 붕괴된 위치에서 기밀식으로 둘러싸이며, 상기 둘러싸인 생사 주형은 열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 주형 생사로부터 주조 재료에 부착된 열적으로 영향을 받는 주형 생사를 갖는 주형 재료를 분리시키기 위해 분해되고 붕괴되며 그리고 상기 주조 재료는 주조 재료로부터 열적으로 영향을 받은 주형 생사를 분리시키기 위해 붕괴된 위치와 상이한 위치에서 진동되며, 이에 의해 열적으로 영향을 받은 주형 생사와 열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은 주형 생사가 서로 분리되게 수집될 수 있다.

Description

생사 주형으로부터 주형 재료와 주형 생사를 붕괴하고 분리시키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COLLAPSING AND SEPARATING MOLD MATERIAL AND MOLD GREEN SAND FROM GREEN SAND MOLD}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주형 생사를 수집하는 통상적인 순환 방법은 주형의 조형 단계, 상기 주형 내에 코어를 삽입하는 단계, 용융 금속을 코어를 갖는 주형으로 주조하는 단계, 주형 재료가 응고된 후에 주형을 파괴 또는 붕괴시키는 단계, 주형 재료를 추출하는 단계, 및 주형 생사를 수집/재사용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통상적인 방법에서 생사 주형은 생사 주형의 낙하 충격, 회전 드럼의 진동 또는 기계적 외력에 의해 붕괴되고, 모든 분리된 주형 생사는 처리될 단일 기계로 보내진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 2575713호에 개시된 장치에서, 분리된 생사는 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은 부분이 열에 의해 영향을 받는 부분으로부터 분리되어 처리되도록 단지 처리된다. 그러므로, 주 생사 조형의 일부가 열에 의해 영향을 받는 부분과 독립되어 시스템적으로 붕괴되고, 분리되며, 수집되는 방법은 여기서 전혀개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주형 재료와 주형 생사를 분리시키기 위해 생사를 용이하게 붕괴시키는 방법 및 장치, 보다 구체적으로 생사의 열적 내력에 따라 생사 주형으로부터 생사를 분리시키고 회수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주형 생사를 수집하기 위한 소정의 통상적인 공정을 도시하는 블록 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하는 수직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주요부분의 작동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또다른 주요부분의 작동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정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주요부분의 작동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주형 생사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분리시키는 통상적인 방법이 없고, 보다 큰 외력이 고강도 생사 주형, 특히 최근에 제조된 고경도 생사 주형을 붕괴시키는데 필요하기 때문에, 통상적인 붕괴 방법이 사용될 때 주형 재료의 손상은 불가피하다. 또한, 주형 생사의 요구된 양을 최소로 유지시키기 위해, 열에 의해 영향을 받은 부분을 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은 부분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공지된 내력을 갖는 주형 생사를 분리시키고 수집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렇지 않으면, 초과 생사가 다음 공정에서 꺼내질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소정의 주형 재료가 손상받지 않고 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은 주형 생사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붕괴시키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시스템적으로 및 순환 방식으로 주물사를 처리함으로써 추출되거나 소비될 주형 생사의 양을 최소로 유지시켜 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부분을 주형 재료에 부착되고 열에 의해 영향을 받는 부분으로부터 분리되게 수집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생사 주형을 붕괴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용융 금속이 주조될 생사 주형을 기밀식으로 둘러싸는 단계와, 용융 금속에 의해 열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 생사 주형의 일부가 붕괴되도록 기밀식으로 둘러싸인 생사 주형을 감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라, 용융 금속이 주조될 생사 주형을 기밀식으로 둘러싸는 단계와, 생사 주형이 붕괴되도록 기밀식으로 둘러싸인 생사 주형을 감압시킴으로써 주형 재료로부터 생사 주형을 분리시키는 단계와, 그리고 기밀식으로 둘러싸인 생사 주형이 해체된 후에 주형 재료를 꺼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사 주형을 붕괴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라, 용융 금속이 주조될 생사 주형을 기밀식으로 둘러싸는 단계와, 수분의 끓는 점을 상승시키도록 기밀식으로 둘러싸인 생사 주형을 가압하는 단계와, 생사 주형이 붕괴되도록 기밀식으로 둘러싸인 생사 주형을 감압시킴으로써 주형 재료로부터 생사 주형을 분리시키는 단계와, 그리고 기밀식으로 둘러싸인 생사 주형이 해체된 후에 주형 재료를 꺼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형 재료를 분리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라, 생사 주형을 하나씩 붕괴시키는 위치로 용융 금속이 주조될 생사 주형을 주입하는 단계와, 용융 금속이 주조될 생사 주형을 기밀식으로 둘러싸는 단계와, 고온의 수분을 비등시킴으로써 생사 주형을 붕괴시키기 위해 기밀식으로 둘러싸인 생사 주형을 감압시키는 단계와, 그리고 주형 재료로부터 생사 주형을 분리시키고 분리된 주형 재료를 추출하기 위해 붕괴된 생사 주형과 주형 재료를 진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형 재료를 분리/추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라, 약한 진동에 의해 붕괴되는 주형 생사를 붕괴/분리시키기 위해 주형이 붕괴되는 위치에 배열되고 주형을 위한 마운트(5)를 갖는 수단과, 진동기(5A)와, 경사질 수 있는 트레이(3)가 장착되는 플레이트(2), 및 개폐 밸브를 경유해서 진공원(6)과 연통하고, 상하로 이동 가능한 밀폐통(8), 및 강한 진동에 의해 주형 재료로부터 주형 생사를 분리시키고 진동 발생기(15A)를 구비한 추출 포크(15)를 갖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마운트(5)는 상기 수단에 고정되고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추출 포크는 상하로 이동되고 진동될 수 있도록 붕괴/분리 위치의 한 측면에 배열되는 주형 재료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라, 용융 금속이 주조되고 주형이 붕괴되는 위치로 수송되는 생사 주형을 기밀식으로 둘러싸는 단계와, 열에 의해 영향을 받는 주형 생사가 부착되는 주형 재료를 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주물사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와, 열에 의해 영향을 받는 주형 생사를 주형 재료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주형이 붕괴되는 위치와 상이한 위치에서 주형 재료를 진동시키는 단계와, 그리고 열에 의해 영향을 받는 주형 생사와 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주형 생사를 분리하여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형 생사를 수집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라, 약한 진동에 의해 붕괴되는 주형 생사를 붕괴/분리시키도록 제 1 붕괴 및 분리 스테이션에 배열된 제 1 수단과 강한 진동에 의해 주형 재료로부터 주형 생사를 분리시키도록 제 2 붕괴 및 분리 스테이션에 배열된 제 2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수단은 상기 수단에 고정되고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진동발생기(5A)를 갖는 주형을 위한 마운트(5)와, 경사질 수 있는 트레이(3)가 장착된 플레이트(2)와, 마운트(5) 상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며 개폐 밸브(7)를 경유해서 진공원(6)과 연통하는 밀폐통(8)과, 그리고 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주형 생사를 수집하기 위한 제 1 수집 슈트(12)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수단은 발생기(15A)를 갖는 추출 포크(15)와 열에 의해 영향을 받는 주형 생사를 수집하는 제 2 슈트(13)를 갖는 주형 생사를 수집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소위 약한 강도의 응축된 수분층이 주형의 주형 재료 부근에 형성된다. 주형 재료의 열로 인해, 응축된 수분층의 온도는 다른 부분보다 높으며, 많은 수분이 응축된 수분층에 모인다. 본 발명은 생사 주형이 주형된 직후 흡수에 의해 기밀식으로 둘러싸이고 급속하게 감압될 때 수분의 끓는 점 감소로 인해 고온의 수분이 비등되기 때문에, 주형 재료와 주형 생사가 경계로서 작용하는 응축된수분층에서 용이하게 붕괴되고 분리된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주형이 주조된 직후"란 용융 금속이 응고되고, 응축된 수분층의 수분은 수분이 비등될 수 있도록 가열된 주형 재료에 의해 가열되는 시점을 지칭한다. 밀폐 조건 하에서 수행된 감압의 정도는 주형 내의 모든 수분의 끓는 점을 감소시킴으로써 비등되어, 전술된 응축된 수분층을 용이하게 붕괴할 수 있는 음의 압력 정도를 제공한다.
기밀식으로 둘러싸인 생사 주형이 가압될 때, 수분의 끓는 점은 100℃ 보다 상승되며, 그렇게 형성된 수분은 약한 강도의 응축된 수분층을 형성하도록 한다. 용융 금속이 주조될 기밀식으로 둘러싸인 생사 주형이 급속하게 감압될 때, 수분의 끓는 점은 떨어지며, 생사 주형이 용이하게 붕괴되도록 고온의 수분이 비등된다. 기밀식으로 둘러싸인 생사 주형은 바람직하게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으로 감압된다. 본 발명에서, "용융 금속이 주조되는 생사 주형"은 틀을 갖지 않는, 즉 주형이 틀을 갖도록 주형된 직후 분리되는 주형을 의미하거나, 주형이 주조된 직후에 소정의 틀이 없는 주형을 의미한다.
이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의 중앙 하부, 즉, 본 발명의 신규한 붕괴/분리가 행해지는 제 1 붕괴/분리 스테이션에 승강 실린더(1)가 배열된다. 승강 실린더(1)는 장착 플레이트(2)가 고정된 상부 상에 피스톤 로드(1A)를 갖는다. 장착 플레이트(2)의 상부에 경사질 수 있는 트레이(3)는 결합 핀(4) 상에서 축회전된다. T 형태의 주형 장착 테이블(5)은 트레이(3)의 중심부 상에 고정된다. 복수의 그루브는 도 2의 정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많은 I형 강판을 전후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시킴으로써 주형 장착 테이블(5)의 상부면에 형성된다. 테이블(5)은 진동발생기(5B)를 구비하고 있다. 진동발생기(5B)는 상하, 좌우, 경사, 및 회전 이동을 수반하는 진동을 발생시킨다. 테이블(5)은 붕괴되고 분리되어 떨어지는 생사를 안내하는 제 1 슈트 또는 호퍼(12)와 제 1 수송 컨베이어(12C)를 구비하고 있다.
생사 주형을 감압시키는 장치는 주형 장착 테이블(5) 상에 배열된다. 감압 장치는 개폐 밸브를 경유하여 진공원(6)과 연통하는 역 U자형 밀폐 또는 기밀통(8)과 밀폐통(8) 주위에 배열된 시일(9, seal)을 포함한다.
붕괴/분리 스테이션의 한 측면에 생사 주형을 제 1 붕괴/분리 스테이션에 수송하는 스테이션이 제공된다. 수송 스테이션은 틀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16)과, 생사 주형 추출 플레이트(10)와, 그리고 생사 주형을 통과시키거나 안내하는 플레이트(11)를 포함한다. 주형틀(F)을 갖고, 용융 금속이 주조되는 생사 주형(M)은 승강 실린더(13)의 로드 상부에 고정된 틀 제거 플레이트(14) 상에 장착된다. 생사 주형은 틀 제거 수단(16)을 통해 추출되어 틀이 생사 주형으로부터 제거된다. 틀이 없는 생사 주형(M)은 주형 통과 플레이트(11)를 경유해서 주형 장착 테이블(5) 상의 왕복 실린더(도시 않음)에 고정된 주형 추출 플레이트(10)에 의해 추출된다.
제 1 붕괴/분리 스테이션의 또다른 측면에, 주형 생사를 분리시키고 수집하는 제 2 분리/수집 스테이션이 제공된다. 제 2 분리/수집 스테이션은 상하로 이동 가능하고 생사 주형을 추출하는 포크 부재(15)와, 상하, 좌우, 경사, 및 회전 이동을 수반하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기(15A)와, 주형 재료(W)의 주변에 부착되고, 열에 의해 영향을 받는 주형 생사를 분리시키고 수집하는 제 2 슈트 또는 호퍼(25)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도 2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 수송 스테이션에서, 틀이 제거되는 생사 주형(M)은 주형 장착 테이블(5)과 동일한 위치인 주형 통과 플레이트(10)까지 당겨지며, 통과 플레이트(11)를 경유하여 주형 장착 테이블(5) 상의 주형 추출 플레이트(10)에 의해 수송된다.
붕괴/분리 스테이션에서, 주형 추출 플레이트(10)가 회수된 후에, 주형 장착 테이블(5) 상에 수송된 생사 주형(M)은 승강 실린더에 의해 트레이의 상부면이 역 U형태의 밀폐통(8)에 인접할 때까지 상승되며, 트레이의 상부면과 밀폐통(8)에 의해 형성된 기밀식 챔버 내에 수용된다. 상기와 같이 수용된 상태에서 개폐 밸브(7)는 기밀식 챔버가 진공원(6)과 연통하도록 개방되어 기밀식 챔버는 신속하게 감압된다. 이에 의해, 주형 재료(W) 부근의 응축된 수분층 내에 존재하는 많은 양의 고온 수분은 비등되며, 생사 주형(M)은 주형의 외측과 감압 챔버의 내측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붕괴된다. 주형이 붕괴되고, 개폐 밸브(7)가 밀폐된 후에, 공기 공급 밸브(도시 않음)는 기밀식 챔버 내의 압력을 대기압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개방되며, 붕괴된 생사 주형(M) 및 주형 재료(W)와 함께 주형 장착 테이블(5)은 승강 실린더(1)의 하방향 이동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위치로 하방향 이동한다. 테이블(5)이 하강하기 시작하는 때와 동시에, 진동발생기(5B)는 주형 장착 테이블(5)을 경유해서 붕괴된 생사 주형(M)과 주형 재료(W)에 약한 진동을 제공하도록 작동되어, 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주형 생사가 주형 재료(W)로부터 분리된다. "약한 진동"이란 용어는 주형 생사를 주형 재료로부터 분리시키기에 충분한 진동을 의미한다. 진동은 예를 들어 가속도 또는 진폭의 양에 의해 구별가능하다. 붕괴 대신에, 주형 재료가 추출된 후에, 트레이(3)는 연결 핀(4)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축상회전 가능하며, 트레이(3)와 조형 테이블(5) 상의 주형 생사는 샌드 슈트 또는 호퍼(12)를 경유해서 수송 컨베이어(12C) 내에 수집될 수 있다. 그러므로, 주형 재료(W)는 다른 부재와 접촉하는 재료(W) 없이, 하나씩 추출되어 다음 공정에 보내진다.
제 2 분리/수집 스테이션에서, 추출 포크(15)는 그루브 또는 오목 공간 내에 삽입되고, 주형 재료(W)를 담기 위해 약간 상승되고 후퇴되어 주형 재료(W)를 다른 제 2 분리/수집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동과 동시에, 진동발생기(15A)는 추출 포크(15)를 경유해서 주형 재료(W)에 강한 진동을 제공하도록 작동되어 열에 의해 영향을 받는 주형 생사가 주형 재료(W)로부터 분리되고, 분리된 주형 생사가 슈트 또는 호퍼(25)를 통해 제 2 컨베이어(25C) 내에 수집되어 다음 공정으로 보내진다. "강한 진동"이란 용어는 붕괴된 주형 재료(W)에 부착된 주형 생사(H)를 분리시키기에 충분한 진동을 의미한다. 진동은 예를 들어, 가속도 또는 진폭의 크기에 따라 구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붕괴된 주형 재료(W)는 상이한 위치에서 수행되지만, 분리는 동일한 조형 테이블(5) 내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주형 생사가 약한 진동을 통해 분리된 후에, 주형 재료(W)에 부착된 주형 생사(H)는 강한 진동을 통해 분리될 수도 있다. 또한, 분리된 주형 생사와 주형 재료(W)에 부착된주형 생사(H)는 강한 진동을 통해 동시에 분리될 수도 있다.
주형 재료(W)로부터 주형 생사를 분리시키는 방법은 밀폐 챔버 내의 압력이 대기압으로 복귀된 후에 조형 테이블(5) 상의 주형 재료를 진동시킴으로써 수행된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또한 밀폐 챔버가 감압되는 상태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진동발생기(5B)를 조형 테이블(5) 내에 배치시키는 것이 곤란할 때, 추출 포크 부재(15) 내에 배열된 진동발생기(15A)가 제 1 및 제 2 스테이션 내의 주형 생사를 분리시키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틀을 갖지 않고, 용융 금속이 주조될 생사 주형(M)은 틀이 제거된 후에 용융 금속이 주조되는 주형일 수도 있으며 용융 금속이 주조된 후에 틀이 제거되는 주형일 수도 있다.
생사 주형(M)을 붕괴 위치에 수송하는데 사용되는 주형 통과 플레이트(10)는 주형 재료(W)를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추출 포크(15)와 유사한 부재로 교체될 수도 있다.
코어의 코어받이부는 떨어지기 때문에, 코어받이부는 바람직하게 제 2 수송 컨베이어(25C)의 후공정에 배열된 스크린에 의해 수집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가 후술되며 동일한 부재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생사 주형(M)의 표면에 스크래치를 형성하고, 붕괴 작업을 개시하도록 작동하는 돌출 부재(22, 24)를 포함하는 수단이 부가적으로 제공된다. 또한 생사 주형을 지지하는 수단(20)이 제 1 실시예의 조형 테이블(5)을 교체하기 위해 제공된다. 전술된 것과 다른 구성과 작동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참조하라.
이제 새로 제공된 스크래치 수단과 조형 테이블(5)을 대체하는 통 형태의 트레이(20)를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스크래치 수단은 틀 제거 수단(16) 상에 부가적으로 배치된다. 스크래치 수단은 다수의 수직 돌출부(22)와 다수의 측면 돌출부(24)를 포함한다. 수직 및 측면 돌출부(22, 24)는 상부 및 하부 생사 주형의 표면 각각에 수직 및 측면 스크래치를 형성하도록 프레임 몸체(21, 23)를 통과한다.
통형태의 트레이(20)는 제 1 실시예의 T형 장착 테이블(5)을 교체하기 위해 장착 플레이트(20)의 상부 내의 연결 핀(4) 상에 경사지게 축회전한다. 통형 트레이(20)에서, 측면으로 연장하고 승강 실린더(1)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복수의 밴드와 같은 플레이트(17)와 복수의 로드 형태의 부재(19)가 제공된다.
이제 스크래치 수단과 통형태의 트레이의 작동을 설명한다. 생사 주형(M)은 실린더(13)에 의해 상부 및 하부 틀(F)로부터 틀 제거 수단(16)과 상부 및 하부 생사 주형(M)의 표면을 통해 추출되고, 상부 및 하부 생사 주형(M)의 표면은 수직 돌출부(22)에 의해 수직으로 스크래치된다. 다음, 생사 주형(M)은 스크래치 수단의 프레임 몸체(23) 내측을 통해 통형 트레이(20)로 추출되며, 상부 및 하부 생사 주형(M)의 표면은 측면 돌출부(24)에 의해 측면으로 스크래치된다. 수직 및 측면으로 스크래치된 생사 주형(M)은 복수의 밴드와 같은 플레이트(17) 상에 그리고 스크래치 수단의 프레임 몸체(21, 23)를 통과하는 통형 트레이(20) 내에 지지된다. 생사 주형(M)은 복수의 밴드와 같은 플레이트(17)가 실린더(1)에 의해 아래로 이동된후에 로드(19)의 선단부 상에 장착된다. 생사 주형(M)은 트레이(20)가 역 U형 밀폐통(8)에 인접할 때까지 다음의 붕괴/분리 공정 동안 승강 실린더에 의해 위로 이동된다.
이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 감압 수단과 역 U형 밀폐통(8)을 가압하는 수단이 부가적으로 사용된다. 전술된 수단에 대한 것과 다른 구성과 작동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참조하라.
이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제 3 실시예의 가압 및 감압 수단을 설명한다. 개폐 밸브(31), 도관(32), 및 압축 공기 공급원(33)을 포함하는 가압 수단(30)이 밀폐통(8)에 연통되게 연결된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조형 테이블(5) 상에 장착된 생사 주형(M)이 트레이와 밀폐통(8)에 의해 형성된 기밀식 챔버 내에 수용된 후 압축 공기 공급원(33)이 개폐 밸브(31)를 개방시킴으로써 기밀식 챔버와 연통될 때, 강도가 다른 부분보다 약한 응축된 수분층(34)의 일부가 가압되어 상기 층의 수분의 끓는 점이 상승되며, 100℃ 이상의 고온의 수분이 응축된 수분층과 생사 주형(M)을 통해 생성된다. 다음, 개폐 밸브(31)가 밀폐되어 기밀식 챔버로의 압축 공기 공급원이 정지될 때, 동시에 개폐 밸브(7)는 개방되어 기밀식 챔버는 급격히 감압되며, 전체 응축된 수분층과 생사 주형(M)의 수분의 끓는 점은 100℃ 이하로 감소되어 비등된다. 이에 의해, 도 7b에 도시된 것처럼, 생사 주형(M)은 붕괴되고 동시에 분리된다. 그 후 기밀식 챔버 내의 압력은 개폐 밸브(7)를 밀폐시키고 밀폐통(8) 내에 배열된 대기압 복귀 밸브(도시 않음)를 개방시킴으로써 대기압으로 복귀될 수도 있다.
제 3 실시예에서 트레이와 밀폐통(8)에 의해 형성된 기밀식 챔버는 가압된 후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으로 감압되지만, 기밀식 채버 내의 압력은 가압후 회수 밸브를 개방시킴으로써 대기압으로 회복된다.
발명의 효과
생사 주형을 붕괴시켜 주형 재료와 생사를 수집하는 방법 및 장치에 따른 전술된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것처럼, 주형 재료 및 생사는 용융 금속에 의해 영향을 받는 주형 생사와 용융 금속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부분을 분리하여 수집하고, 각각의 제조 내력을 정확하게 이해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어, 본 발명은 연소된 벤토나이트의 품질과 유사한 주형 생사의 품질을 유지하고 첨가제 등을 절약하는 다양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26)

  1. 생사 주형을 붕괴시키는 방법으로서,
    용융 금속이 주조될 생사 주형을 기밀식으로 둘러싸는 단계와,
    용융 금속에 의해 열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 생사 주형의 일부가 붕괴되도록 상기 기밀식으로 둘러싸인 생사 주형을 감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사 주형의 감압 전에 상기 기밀식으로 둘러싸인 생사 주형을 가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용융 금속이 주조될 상기 생사 주형을 기밀식으로 둘러싸기 전에 상기 생사 주형의 표면을 스크래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생사 주형을 붕괴시키는 장치로서,
    용융 금속이 주조될 생사 주형을 기밀식으로 둘러싸는 수단과,
    상기 기밀식으로 둘러싸인 생사 주형을 감압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5. 생사 주형으로부터 주형 재료를 분리시키는 방법으로서,
    용융 금속이 주조될 생사 주형을 기밀식으로 둘러싸는 단계와,
    상기 생사 주형을 붕괴시키도록 상기 기밀식으로 둘러싸인 생사 주형을 감압시킴으로써 상기 주형 재료로부터 상기 생사 주형을 분리시키는 단계와,
    상기 기밀식으로 둘러싸인 생사 주형을 해방시킨 후 상기 주형 재료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용융 금속이 주조될 상기 생사 주형을 기밀식으로 둘러싸기 전에 상기 생사 주형의 표면을 스크래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생사 주형을 감압하기 전에 상기 기밀식으로 둘러싸인 생사 주형을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식으로 둘러싸인 생사 주형을 감압하는 단계에서,
    상기 기밀식으로 둘러싸인 생사 주형이 대기압 이하로 감압되는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용융 금속이 주조될 상기 생사 주형이 틀 없는 생사 주형인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틀 없는 생사 주형이 주조될 때 틀을 수송하는 상기 생사 주형으로부터 틀을 제거함으로써 달성되는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틀 없는 생사 주형이 주조될 때 틀 없는 상태에 있는 방법.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틀 없는 생사 주형이 절반으로 분할된 주형인 방법.
  13. 생사 주형으로부터 주형 재료를 분리시키는 장치로서,
    용융 금속이 주조될 생사 주형을 기밀식으로 둘러싸는 수단과,
    상기 기밀식으로 둘러싸인 생사 주형을 감압하는 흡수 수단과, 그리고
    상기 감압된 상태가 해방된 후에 상기 붕괴된 생사 주형으로부터 상기 주형 재료를 분리시키고 추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용융 금속이 주조될 상기 생사 주형의 표면을 스크래치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식으로 둘러싸인 생사 주형을 가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16. 주형 재료를 분리/추출하는 방법으로서,
    용융 금속이 주조될 생사 주형을 붕괴 위치로 하나씩 투입하는 단계와,
    용융 금속이 주조될 상기 투입된 생사 주형을 기밀식으로 둘러싸는 단계와,
    소정의 고온의 수분을 비등시킴으로써 상기 생사 주형을 붕괴시키도록 상기 기밀식으로 둘러싸인 생사 주형을 감압시키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주형 재료로부터 상기 생사 주형을 분리시키도록 상기 붕괴된 생사 주형과 주형 재료를 진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분리된 주형 재료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생사 주형과 주형 재료를 진동시키는 단계가,
    상기 생사 주형이 기밀식으로 둘러싸인 위치에 약한 진동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주형 재료로부터 상기 붕괴된 주형 재료를 분리시키는 단계와,
    그후 상기 생사 주형이 기밀식으로 둘러싸인 위치와 상이한 위치에 강한 진동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주형 재료로부터 상기 생사 주형을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 16 항 및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융 금속이 주조될 상기 생사 주형이 틀 없는 주형인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용융 금속이 주조된 후에 상기 틀 없는 생사 주형이 상기 주형틀로부터 추출되는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용융 금속이 주조되기 전에 상기 틀 없는 생사 주형이 상기 주형틀로부터 추출되는 방법.
  21. 주형 재료를 추출하는 장치로서,
    약한 진동에 의해 붕괴된 주형 생사를 붕괴/분리시키도록 주형이 붕괴될 위치에 배열되고, 고정되고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진동발생기(5A)를 갖는 테이블(5), 경사질 수 있는 트레이가 장착된 플레이트(2), 및 상하로 이동 가능하고 개폐 밸브(7)를 경유해서 진공원(6)과 연통하는 밀폐통(8)을 갖는 수단과,
    강한 진동에 의해 상기 주형 재료로부터 상기 주형 생사를 분리시키고 진동발생기(15A)를 갖고 상기 붕괴 수단의 일 측면에 배열되어 상하로 이동되고 진동될 수 있는 추출 포크(15)를 갖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사 주형을 상기 조형 테이블(5)과 주형 통과 플레이트(11) 상에 수송하는 주형 추출 플레이트(10)를 갖는 주형 수송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주형 수송 수단은 상기 붕괴/분리 수단의 또다른 측면에 제공되는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 수송 수단이 상기 생사 주형으로부터 틀을 제거하기 위한 틀 제거 플레이트(14)를 더 포함하며, 상기 틀 제거 플레이트(14)는 상기 주형 통과 플레이트(11)의 외측에 제공되는 장치.
  24. 주형 생사를 수집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용융 금속이 주조되고 주형이 붕괴될 위치로 수송되는 생사 주형을 기밀식으로 둘러싸는 단계와,
    열에 의해 영향을 받는 상기 주형 생사가 부착된 상기 주형 재료를 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상기 주물사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상기 기밀식으로 둘러싸인 생사 주형을 감압/붕괴시키는 단계와,
    열에 의해 영향을 받는 상기 주형 생사를 상기 주형 재료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상기 주형 재료를 상기 주형이 붕괴되는 위치와 상이한 위치에서 진동시키는 단계와, 그리고
    열에 의해 영향을 받는 상기 주형 생사와 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주형 생사를 분리되게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용융 금속이 주조될 상기 생사 주형이 틀 없는 상태인 방법.
  26. 주형 생사를 수집하는 장치로서,
    약한 진동에 의해 붕괴되는 주형 생사를 붕괴/분리시키고, 제 1 붕괴/분리 스테이션에 배열된 제 1 수단과,
    강한 진동에 의해 상기 주형 생사를 상기 주형 재료로부터 분리시키고, 제 2 붕괴 및 분리 스테이션에 배열된 제 2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수단은 상기 제 1 수단에 고정되고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진동발생기(5A)를 갖는 상기 주형을 위한 주형 장착 테이블(5), 경사질 수 있는 트레이(3)가 장착된 플레이트(2), 상기 테이블(5) 상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열되고 개폐 밸브(7)를 경유해서 진공원(6)과 연통하는 밀폐통(8), 및 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상기 주형 생사를 수집하는 제 1 수집 슈트(12)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수단은 진동발생기(15A)를 갖는 추출 포크(15)와 열에 의해 영향을 받는 상기 주형 생사를 수집하는 제 2 슈트(13)를 갖는 장치.
KR1020017012446A 2000-01-28 2001-01-24 생사 주형으로부터 주형 재료와 주형 생사를 붕괴하고분리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200101138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019753 2000-01-28
JPJP-P-2000-00019772 2000-01-28
JP2000019753A JP2001205422A (ja) 2000-01-28 2000-01-28 生砂主型の崩壊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0019772A JP2001205424A (ja) 2000-01-28 2000-01-28 生型と鋳物素材の分離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0087847A JP2001269768A (ja) 2000-03-28 2000-03-28 生砂型と鋳物素材の分離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JP-P-2000-00087847 2000-03-28
JP2000104378A JP2001287020A (ja) 2000-04-06 2000-04-06 注湯済生砂鋳型からの鋳物素材取出し方法及びその装置
JPJP-P-2000-00104378 2000-04-06
JP2000114247A JP2001300718A (ja) 2000-04-14 2000-04-14 注湯済み生砂鋳型の砂回収方法及びその装置
JPJP-P-2000-00114247 2000-04-14
PCT/JP2001/000444 WO2001054845A1 (fr) 2000-01-28 2001-01-24 Procede et dispositif permettant l'affaissement et la separation du materiau de moulage et du sable vert du moule en sable ve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3871A true KR20010113871A (ko) 2001-12-28

Family

ID=27531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2446A KR20010113871A (ko) 2000-01-28 2001-01-24 생사 주형으로부터 주형 재료와 주형 생사를 붕괴하고분리시키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205270A4 (ko)
KR (1) KR20010113871A (ko)
CN (1) CN1362901A (ko)
BR (1) BR0104248A (ko)
WO (1) WO20010548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581A (ko) * 2019-01-11 2020-07-21 이정수 진동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주물 분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80872A (zh) * 2018-05-09 2018-09-28 福州荣益行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化的手术各科的专用或精细手术器械设备
CN110899673A (zh) * 2019-12-20 2020-03-24 六安七茗道机电科技有限公司 铸造砂模中铸模的振动分离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05113C3 (de) * 1974-02-02 1980-02-14 Alb. Klein Kg, 5241 Niederfischbach Verfahren zur Rückgewinnung von mit Bindemittel versetztem Formstoff sowie Anlag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4620586A (en) * 1977-03-23 1986-11-04 General Kinematics Method and apparatus for reclaiming foundry sand
JPS53125935A (en) * 1977-04-11 1978-11-02 Asahi Malleable Iron Co Ltd Removement of casting sand
AU524386B2 (en) * 1977-11-09 1982-09-16 Commonwealth Industrial Gases Limited, The Cooling sand
JPS59215243A (ja) * 1983-05-23 1984-12-05 Nippon Kokan Keishiyu Kk 鋳物砂の再生方法
DE3323697C1 (de) * 1983-07-01 1985-02-28 Gerhard 5905 Freudenberg Müller-Spät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Giessstueckes in einer Giessform
DE3400648A1 (de) * 1984-01-11 1985-07-18 Delta Engineering Beratung und Vermittlung Gesellschaft mbH, Irdnin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regeneration von giesserei-schuttsand
JP2575713B2 (ja) * 1987-06-19 1997-01-29 マツダ株式会社 鋳物砂の処理方法
CH681434A5 (ko) * 1990-01-31 1993-03-31 Fischer Ag Georg
CH681067A5 (ko) * 1990-09-05 1993-01-15 Fischer Ag Georg
US5103578A (en) * 1991-03-26 1992-04-14 Amoco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soils
JP2940338B2 (ja) * 1993-03-15 1999-08-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中子砂の砂落し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581A (ko) * 2019-01-11 2020-07-21 이정수 진동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주물 분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05270A1 (en) 2002-05-15
WO2001054845A1 (fr) 2001-08-02
EP1205270A4 (en) 2004-11-17
BR0104248A (pt) 2002-01-08
CN1362901A (zh) 200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51293A1 (en) Molding machine and a pattern carrier used therefor
EP0681877B2 (en) Method of producing molds
CN106239712A (zh) 一种垂直高压注浆成型机脱模工艺
KR20010113871A (ko) 생사 주형으로부터 주형 재료와 주형 생사를 붕괴하고분리시키는 방법 및 장치
WO2001005538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separation d'un materiau de coulage provenant d'un moule en sable vert coule
JPH10146648A (ja) 鋳型造型方法及び造型機
EP1092491A1 (en) Method for separating green sand mold and as-cast product and apparatus therefor
CN103945957B (zh) 脱箱铸型造型装置、脱箱铸型造型方法以及托砂装置
KR20090101466A (ko) 조형기 및 조형방법
CN207549027U (zh) 带有防卡砖功能的气囊液压成型机
DK2301692T3 (en) METHOD AND DEVICE FOR Unpacking and sand broadcast mold pieces
EP1897637B1 (en) Low-pressure production of cast article
JPS5837361B2 (ja) 真空粉末成形法
JP2001071121A (ja) 注湯済生砂鋳型からの鋳物素材取出し方法
JPH09108775A (ja) 消失模型鋳造における砂充填方法及び装置
JP3314765B2 (ja) 生砂型と鋳物素材の分離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42417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removal of sand bales containing castings from molding boxes of poured foundry molds
JP3341998B2 (ja) 生砂型と鋳物素材の分離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1287020A (ja) 注湯済生砂鋳型からの鋳物素材取出し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3170268A (ja) 鋳物の取り出し方法及び鋳物の取り出し装置
JP2001071123A (ja) 枠付生砂鋳型からの鋳物素材取出しシステム
JP2000288717A (ja) 生砂型と鋳物素材の分離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1300718A (ja) 注湯済み生砂鋳型の砂回収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1087851A (ja) 注湯済生砂鋳型からの鋳物素材取出し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1269768A (ja) 生砂型と鋳物素材の分離方法およ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