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3284A - 액상 조미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상 조미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3284A
KR20010113284A KR1020000033560A KR20000033560A KR20010113284A KR 20010113284 A KR20010113284 A KR 20010113284A KR 1020000033560 A KR1020000033560 A KR 1020000033560A KR 20000033560 A KR20000033560 A KR 20000033560A KR 20010113284 A KR20010113284 A KR 20010113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lavor
seasoning composition
garlic
liquid seas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3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봉
왕승호
최일
Original Assignee
손 경 식
제일제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 경 식, 제일제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 경 식
Priority to KR1020000033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13284A/ko
Publication of KR20010113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328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 조미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쇠고기 추출액, 저당물엿, 사골엑기스, 간장, 마늘엑기스, 효모추출물, 정제수, 산탄검, 이노신산나트륨, 식염, 양파향, 마늘향, 수프베이스 플레이버 및 우지를 포함하는 본 발명 액상 조미료 조성물은 MSG를 전혀 함유하지 않으며 천연재료로부터 얻은 추출물과 이노신산나트륨 및 효모추출물로 맛을 내므로 조미료 특유의 느끼한 맛이 없어 소비자 기호도가 높은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액상 조미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Liquid type seasoning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액상 조미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모노소듐 글루타메이트(Monosodium Glutamate; MSG)를 함유하지 않으면서 음식의 맛을 내는 액상 조미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회의 핵가족화 추세와 소득 증대를 위한 맞벌이부부의 증가에 따라 소비자들은 음식조리에 있어서 편이성을 요구하게 되었다. 또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높아져 천연소재의 조미료에 대한 관심도 높아져가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즐겨 사용하는 조미료의 경우 MSG가 함유되어 있어 거부감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분말 조미료 사용시 분말이 고화하여 불편한 문제점이있었다. 즉,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MSG에 대한 거부감은 천연지향, 본물지향의 액상 조미료에 대한 요구를 더욱 강하게 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쇠고기 추출액, 사골엑기스, 간장 등에 마늘엑기스와 같은 생야채추출물을 첨가하여 음식 조리시 즉석에서 사용하여 맛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상 조미료를 제조하므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특히 본 발명자들은 액상 조미료에 효모추출물과 이노신산나트륨을 첨가하여 MSG 없이도 찌개·전골의 맛을 간편하게 향상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쇠고기 추출액, 사골엑기스, 간장, 생야채 추출물, 효모추출물 및 이노신산나트륨 등을 포함하는 액상 조미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액상 조미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노신산나트륨과 효모추출물(Yeast Extract, YE)을 다양한 배합비로 함유하는 액상 조미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제조한 각각의 액상 조미료 조성물을 관능검사하여 최적의 이노신 모노 포스페이트와 효모추출물의 배합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이노신 모노 포스페이트와 효모추출물의 배합비에 따라 이노신산나트륨과 효모추출물을 포함하고 다양한 양의 쇠고기추출액, 저당물엿, 사골엑기스, 간장, 마늘엑기스, 정제수, 산탄검, 식염, 양파향, 마늘향, 수프베이스 플레이버, 우지를 포함하는 액상 조미료 조성물을 제조한 후 관능평가하고 MSG를 함유하는 조미료 조성물과 그 결과를 비교하므로써 달성하였다.
도 1은 본 발명 액상 조미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전체공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이노신산나트륨과 효모추출물을 여러 배합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액상 조미료 조성물을 관능요원 30인을 대상으로 관능평가하는 단계와 쇠고기 추출액, 사골엑기스, 간장, 생야채추출물 등의 재료를 배합비와 제조 조건을 변형시켜 제조한 본 발명 액상 조미료 조성물과 MSG를 첨가한 조미료조성물을 관능요원 30인을 대상으로 관능평가하여 맛에 대한 기호도를 조사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액상 조미료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스제조기를 60℃로 가온한 후 쇠고기추출액, 저당물엿, 사골엑기스, 간장, 마늘엑기스, 효모추출물, 정제수의 순서로 투입하여 교반한 후 85℃로 승온시키면서 산탄검, 이노신산나트륨을 투입하고 85℃의 온도가 되면 식염은 체로 걸러서 투입하는 제 1 공정; 85℃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양파향, 마늘향, 수프베이스 플레이버와 우지를 상기 제 1공정에서 제조한 균질액에 넣고 교반하는 제 2 공정; 상기 제 2공정의 균질하게 교반한 생산품을 60∼85℃로 30∼45분간 살균하는 제 3 공정; 상기 제 3공정의 생산품을 호모-펌프(Homo-pump)에 투입한 후 균질화하는 제 4 공정; 상기 제 4 공정에서 균질화한 생산품을 포장재에 충전하고 밀봉하는 제 5 공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공정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액상 조미료 조성물은 MSG를 전혀 함유하지 않으며 쇠고기추출액 12∼18%, 저당물엿 18∼30%, 사골엑기스 8∼12%, 간장 5∼7%, 마늘엑기스 7∼10%, 효모추출물 9∼15%, 정제수 3.9∼19%, 산탄검 0.1∼0.5%, 이노신산나트륨 3∼5%, 식염 3∼5%, 양파향 0.2∼0.5%, 마늘향 1∼2%,수프베이스 플레이버 0.3∼0.5%, 우지 2∼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상 조미료 조성물은 조미료 특유의 맛과 향을 내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사용하였던 MSG를 배제하고 이노신산나트륨과 효모추출물을 첨가하여 음식의 맛을 내는 효과가 있으며 MSG를 전혀 함유하지 않고 천연재료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사용하므로써 소비자 기호도가 높은 효과가 있다 .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이노신산나트륨과 효모추출물의 최적 배합비
본 실시예에서는 MSG를 대체하기 위해서 경제적이면서도 감칠맛을 낼수 있는 재료의 혼합비를 결정하기 위해 핵산의 일종인 이노신산나트륨(IMP)과 효모추출물(Yeast extract, YE)을 여러 배합비로 사용하여 액상 조미료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 조성물의 관능검사를 관능검사 요원 30인을 대상으로 5점 척도 검사 (5: 매우 좋다, 3: 보통이다, 1: 매우 나쁘다)로 실시하였으며 상기 조성물에 물을 1:50의 비율로 희석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5점을 기준 점수로하여 나머지 시료들을 채점한 후 분산분석과 다중비교를 통해 유의차를 검정하였다. 실험결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IMP 대 YE의 비가 1:1, 1:2, 1:3 까지는 맛품질 기호에 있어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으나 1:4의 경우에는 급격한 저하를 나타내고 있음에 따라 본 조미료의 제조에 있어 IMP와 YE의 사용비율을 1:3으로 선정하였다.
IMP와 효모추출물의 배합비에 따른 관능평가
IMP100% IMP:YE=1:1 IMP:YE=1:2 IMP:YE=1:3 IMP:YE=1:4 YE100%
관능검사(5점 척도) 3.0 3.5 3.7 4.3 3.4 3.2
실시예 2: MSG 첨가 조미료와 본 발명 액상 조미료 조성물의 관능평가 I
본 실시예에서는 쇠고기 추출액 18%, 저당 물엿 20%, 사골 엑기스 12%, 간장 7%, 마늘엑기스 10%, 효모추출물 15%, 정제수 3.9%를 투입하고 산탄검 0.1%, 이노신산나트륨 5%, 식염 5%는 체로 걸러서 소스 제조기에 투입하여 균질화한 후 양파향 0.5%, 마늘향 2%, 수프베이스 플레이버 0.5%, 우지 3%를 투입하여 60℃로 30분간 살균하고 호모-펌프(Homo-pump)를 통해 균질화하여 MSG 무첨가 액상 조미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관능검사는 상기 제조된 액상 조미료 조성물에 대하여 물을 1:50의 비율로 희석한 시료를 사용하였으며 관능검사요원 30인에 대해 5점 척도 기호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대조시료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효모추출물 및 이노신산나트륨을 제거하고 이와 동일한 양의 MSG를 첨가한 시료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조한 MSG 무첨가 액상조미료 조성물은 MSG 첨가 대조시료보다 느끼한 맛이 없고 선호도 및 전반적인 맛의 기호도에서도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MSG 첨가 조미료 조성물과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본 발명 액상 조미료 조성물의 관능평가
실시예 2 대조시료
느끼한 맛(강도) 3.1 3.7
깔끔한 맛(선호도) 4.1 3.7
전반적인 맛(기호도) 4.2 3.5
실시예 3: MSG 첨가 조미료와 본 발명 액상 조미료 조성물의 관능평가 Ⅱ
본 실시예에서는 쇠고기 추출액 12%, 저당물엿 30%, 사골엑기스 8%, 간장 5%, 마늘엑기스 7%, 효모추출물 9%, 정제수 19.4%를 투입하고 산탄검 0.1%, 이노신산나트륨 3%, 식염 3%는 체로 걸러서 소스 제조기에 투입하여 균질화한 후 양파향 0.2%, 마늘향 1%, 수프베이스 플레이버 0.3%, 우지 2%를 투입하여 60∼80℃로 30∼40분간 살균하고 50℃까지 냉각한 후 교반하여 MSG 무첨가 액상 조미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액상 조미료 조성물에 물을 1:50의 비율로 희석하여 관능검사요원 30인에 대해 5점 척도 기호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대조시료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효모추출물 및 이노신산나트륨을 제거하고 이와 동일한 양의 MSG를 첨가한 시료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조한 MSG 무첨가 액상 조미료 조성물 시료가 MSG 첨가 조성물 대조시료보다 느끼는 맛의 강도가 월등히 낮았고 맛의 선호도 및 전반적인 맛에 있어서 우수하였다.
MSG 첨가 조미료 조성물과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본 발명 액상 조미료 조성물의 관능평가
실시예 3 대조시료
느끼한 맛(강도) 2.8 3.5
깔끔한 맛(선호도) 4.0 3.3
전반적인 맛 3.8 3.1
실시예 4: MSG 첨가 조미료와 본 발명 액상 조미료 조성물의 관능평가 Ⅲ
실시예 2와 동일하게 MSG 무첨가 액상 조미료 조성물을 제조하되 살균온도를 85℃에서 45분간으로 조정하였다. 관능검사도 역시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경우보다 살균온도를 25℃ 상승시키고 45분간 가열하여 살균강도를 높혀도 MSG 무첨가 액상조미료 조성물 시료가 MSG 첨가 대조시료에 비하여 느끼한 맛의 강도를 비롯한 선호도, 전반적인 맛에 있어서 우수한 점수를 얻었다. 이 결과는 높은 온도로 장시간 살균하여도 생산품의 품질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MSG 첨가 조미료 조성물과 실시예 4에서 제조한 본 발명 액상 조미료 조성물의 관능평가
실시예 4 대조시료
느끼한 맛(강도) 3.1 3.5
깔끔한 맛(선호도) 3.6 3.1
전반적인 맛(기호도) 3.7 3.0
이상,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쇠고기 추출액, 저당물엿, 사골엑기스, 간장, 마늘엑기스, 효모추출물, 정제수, 산탄검, 이노신산나트륨, 식염, 양파향, 마늘향, 수프베이스 플레이버, 우지를 포함하는 본 발명 액상 조미료 조성물은 MSG를 전혀 함유하지 않으며 천연재료로부터 얻은 추출물과 이노신산나트륨 및 효모추출물로 맛을 내므로 조미료 특유의 느끼한 맛이 없어 소비자 기호도가 높은 효과가 있으므로 식품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고 사료된다.

Claims (2)

  1. 쇠고기 추출액, 저당물엿, 사골엑기스, 간장, 마늘엑기스, 정제수, 산탄검, 식염, 양파향, 마늘향, 수프 베이스 플레이버 및 우지를 포함하는 조미료 조성물에 있어서, MSG 대신 효모추출물 및 이노신산나트륨이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조미료 조성물.
  2. 쇠고기 추출액, 저당물엿, 사골엑기스, 간장, 마늘엑기스, 효모추출물, 정제수를 60℃로 가온한 소스 제조기에 투입하여 교반한 후 85℃로 승온시키면서 산탄검, 이노신산나트륨을 투입하고 85℃가 되면 식염을 체로 걸러서 투입하는 제 1 공정, 85℃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양파향, 마늘향, 수프베이스 플레이버, 우지를 상기 제 1공정에서 제조한 균질액에 넣고 교반하는 제 2 공정, 상기 제 2공정의 균질하게 교반한 생산품을 60∼85℃로 30∼45분간 살균하는 제 3 공정, 상기 제 3공정의 생산품을 호모-펌프(Homo-pump)에 투입한 후 균질화하는 제 4 공정, 및 상기 제 4 공정에서 균질화한 생산품을 포장재에 충전하고 밀봉하는 제 5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조미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00033560A 2000-06-19 2000-06-19 액상 조미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101132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3560A KR20010113284A (ko) 2000-06-19 2000-06-19 액상 조미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3560A KR20010113284A (ko) 2000-06-19 2000-06-19 액상 조미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3284A true KR20010113284A (ko) 2001-12-28

Family

ID=19672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3560A KR20010113284A (ko) 2000-06-19 2000-06-19 액상 조미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1328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171A (ko) * 2001-11-12 2003-05-17 장종환 쇠고기맛 액상 복합조미료의 제조방법
KR100761519B1 (ko) * 2006-10-23 2007-10-04 조영식 복합조미료의 제조방법
WO2010074431A3 (ko) * 2008-12-24 2010-08-12 씨제이제일제당 (주) 액젓 조미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58337B1 (ko) * 2010-09-16 2012-06-22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양파와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양념간장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38770B1 (ko) * 2012-10-31 2014-09-19 김종일 쌀 함유 액체 메주로 만든 간장을 이용하여 제조한 조미용 간장
CN104172056A (zh) * 2014-08-06 2014-12-03 成都珪一食品开发有限公司 一种青花椒汁及其生产工艺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171A (ko) * 2001-11-12 2003-05-17 장종환 쇠고기맛 액상 복합조미료의 제조방법
KR100761519B1 (ko) * 2006-10-23 2007-10-04 조영식 복합조미료의 제조방법
WO2010074431A3 (ko) * 2008-12-24 2010-08-12 씨제이제일제당 (주) 액젓 조미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58337B1 (ko) * 2010-09-16 2012-06-22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양파와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양념간장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38770B1 (ko) * 2012-10-31 2014-09-19 김종일 쌀 함유 액체 메주로 만든 간장을 이용하여 제조한 조미용 간장
CN104172056A (zh) * 2014-08-06 2014-12-03 成都珪一食品开发有限公司 一种青花椒汁及其生产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49415B (zh) 一种酱香鲜酱油的制作工艺方法
JP5788566B1 (ja) 低エキスのノンアルコールビールテイスト飲料
CN105053951A (zh) 一种鸡肉香精
US4258072A (en) Mixed seasoning
KR100709611B1 (ko) 조미 고추냉이, 이를 함유한 고추냉이 피클 및 고추냉이샐러드 드레싱의 제조방법
KR100538824B1 (ko) 떡볶이 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20010113284A (ko) 액상 조미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0140930A (zh) 一种液态浓缩卤水调味汁及其制备方法
JPH11169131A (ja) 食品の塩から味、酸味、香りをマスキングする方法
JP5290721B2 (ja) 鰹節抽出物または鰹節抽出物入り調味料の風味向上方法
KR100512206B1 (ko) 떡볶이 조리용 양념 조성물
KR100302321B1 (ko) 페이스트상 된장찌개 양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8007633A (ja) ヨーグルト様高清澄飲料およびヨーグルト様高清澄飲料の後味改善方法
JP2021170964A (ja) 香り及び/又は味の濃さを調節した味噌製品を生産する方法
KR100303399B1 (ko) 초밥초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JP2020120691A (ja) すぐれた官能を有する醤油
KR102328662B1 (ko) 표고버섯을 이용한 구운계란 장조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62558A (ko) 닭도리탕 및 그의 제조방법
CN114847466B (zh) 一种具有日式风味的复合调味液及其制备方法
KR100482843B1 (ko) 조리용 술 및 그 제조방법
JPS603459B2 (ja) 調味料の製造方法
JPH02107179A (ja) 調味用酒粕納豆の製造法
JP4111303B2 (ja) 赤ワイン加工調味料
KR100368642B1 (ko) 쇠불고기용양념장의조성물
KR20190056086A (ko) 비빔우동용 혼합다시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