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6132A - 반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반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6132A
KR20010106132A KR1020007014587A KR20007014587A KR20010106132A KR 20010106132 A KR20010106132 A KR 20010106132A KR 1020007014587 A KR1020007014587 A KR 1020007014587A KR 20007014587 A KR20007014587 A KR 20007014587A KR 20010106132 A KR20010106132 A KR 20010106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drive
driving
rail
trav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4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1301B1 (ko
Inventor
구로사와간지
고가분이찌로
이또히데끼
기리야마시게루
히구찌시즈오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가부시키가이샤 닛뽄 슈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가부시키가이샤 닛뽄 슈터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10106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1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13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45Ball or roller bearings having rolling elements journaled in one of the mov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12Systems with propulsion devices between or alongside the rails, e.g. pneumatic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Liquid Crystal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반송 시스템은 반송로를 형성하는 주행레일 (1) 과, 이 주행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행레일상을 주행 가능한 반송체 (3) 를 갖는다. 주행레일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가요성의 구동튜브 (5) 가 배열설치된다. 반송체는 주행레일상을 전동 가능한 주행륜 (4) 과, 구동튜브를 눌러 찌부러뜨리면서 이 구동튜브에 공급되는 압력매체의 압력에 의해 회전구동력을 받아 구동튜브상을 전동 가능한 구동륜 (2) 을 갖는다. 주행레일은 복수의 반송구간을 가지며, 반송체는 반송구간마다 구동튜브로부터 회전구동력을 받을 수 있다. 반송구간의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반송경로를 전환하기 위한 반송로 전환기를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송 시스템{TRANSFER SYSTEM}
종래부터, 병원, 고층빌딩, 창고, 공장 등에서 공기를 이용하여 서류나 물품의 반송을 행하는 경우에는 반송하는 곳 (delivery point) 과 반송되는 곳 (destination) 을 기송관 (pneumatic transport tube) 으로 접속하여 반송물을 수용한 기송자 (pneumatic transport element) 를 이 기송관에 넣어 공기로 반송하는 기송관 설비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 기송자와 반송체에 자석을 장착하고, 기송자의 이동에 따라 기송관의 외측에서 반송체를 이동시키는 반송 시스템도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4-81718 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기송관 설비에서는 기송자 중에 서류나 물품을 수용하여 반송하므로 반송물의 크기나 형상에 제약이 있고, 또한 큰 반송물을 반송하기 위해서는 기송자 및 기송관의 직경을 크게 해야 하고, 그에 따라 배풍기 등의 공기설비도 대규모로 되어 있다. 또, 기송자와 반송체에 자석을 장착하고, 기송자의 이동에 따라 기송관의 외측에서 반송체를 이동시키는 반송 시스템에서는 자석의 강도로 반송중량이 제한되거나, 반송체가 파이프상을 슬라이딩하므로, 기송자에 추종하기 어렵다.또한, 반송체는 자석의 흡입만으로 파이프상을 슬라이딩하고 있으므로, 수직주행시에는 낙하 등의 우려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송해야 하는 서류나 물품 등의 크기나 중량이나 형상에 큰 제약을 받지 않고, 장거리라도 그들을 용이하게 또한 고속으로 반송할 수 있는 반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평 또는 수직으로 구부러진 주행레일상을 순조롭게 주행할 수 있는 반송 시스템용 반송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행레일상을 따라 동시에 복수의 반송체를 주행시킬 수 있는 반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행레일로의 구동튜브장착의 용이성 및 빠짐 방지를 위한 경도성능과, 압력매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반송체를 주행구동하기 위한 구동튜브의 경도성능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고, 더욱이 제조가 용이한 반송 시스템용 레일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행레일상을 이동하면서 주행레일에 구동튜브를 장착할 수 있는 반송 시스템용 구동튜브장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반송 시스템에서의 반송체의 주행로를 분기 또는 합류시킬 수 있는 반송 시스템용 주행로 전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기체, 액체 등의 압력매체로 리니어구동하는 반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련되는 반송 시스템의 주행레일과 반송체와 컨테이너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반송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반송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4A, 도 4B 는 각각 주행레일 구동튜브에 대한 가압공기 공급방법을 나타내는 반송 시스템의 요부 개략 평면도이다.
도 5 는 반송로로서의 주행레일을 입체적으로 설치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환승기구를 갖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에 나타내는 환승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관련되는 반송 시스템의 공기공급계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관련되는 반송 시스템의 도 10 중 9-9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 은 도 9 에 나타내는 반송 시스템의 도 9 중 10-10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A, 도 11B, 도 11C 는 각각 구동튜브에 대한 가압공기 공급방법을 나타내는 반송 시스템의 요부 개략 측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관련되는 반송 시스템의 도 13 중의 12-12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 은 도 12 에 나타낸 반송 시스템의 도 12 중 13-13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관련되는 반송 시스템의 도 15 중 14-14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 는 도 14 에 나타낸 반송 시스템의 도 14 중 15-15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관련되는 시스템의 도 17 중 16-16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7 은 도 16 에 나타낸 반송 시스템의 도 16 중 17-17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관련되는 반송 시스템의 도 19 중 18-18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9 는 도 18 에 나타낸 반송 시스템의 도 18 중의 19-19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0 은 반송로로서의 주행레일을 입체적으로 설치한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1 은 환승기구를 갖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파선 단면도이다.
도 22 는 도 21 에 나타낸 반송 시스템의 도 21 중 22-22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3 은 도 21 에 나타낸 반송 시스템의 도 22 중 23-23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4 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관련되는 반송 시스템의 공기공급계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5 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관련되는 반송 시스템의 도 26 중의 25-25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6 은 도 25 에 나타낸 반송 시스템의 도 25 중 26-26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7 은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관련되는 반송 시스템의 주행레일과 반송체와 컨테이너와의 관계를 나타낸 일부단면 평면도이다.
도 28 은 도 27 에 나타낸 반송 시스템의 도 27 중 28-28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9 는 도 27 에 나타낸 반송 시스템의 도 28 중 29-29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0 은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를 나타내는 반송 시스템의 종단면도이다.
도 31 은 본 발명의 반송 시스템에서의 구동튜브 눌러 찌부러뜨리기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32 는 본 발명의 반송 시스템에서의 구동튜브 눌러 찌부러뜨리기 구조의 다른 변형에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33 은 본 발명의 반송 시스템에서의 구동튜브 눌러 찌부러뜨리기 구조의다른 변형에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34 는 본 발명의 반송 시스템에서의 구동튜브 눌러 찌부러뜨리기 구조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35 는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에 관련되는 반송 시스템의 튜브 환승부 근방에 있어서의 일부 파단 요부측면도이다.
도 36 은 도 35 에 나타낸 반송 시스템의 튜브환승부 근방에 있어서의 도 35 중 36-36 선을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37 은 도 35 에 나타낸 반송 시스템의 도 35 중 37-37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8 은 도 35 에 나타낸 반송 시스템의 도 35 중 38-38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9 는 도 35 에 나타낸 반송 시스템의 반송체에 있어서의 요부확대단면도이다.
도 40 은 도 35 에 나타낸 반송 시스템의 반송체가 수평으로 커브된 주행레일 상을 주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1 은 도 35 에 나타낸 반송 시스템의 반송체가 세로방향으로 벤드한 주행레일상을 주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2(a) 및 도 42(b) 는 각각 도 35 의 반송 시스템에 사용되는 구동튜브의 바람직한 구조 및 그 장착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3 은 구동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4 는 주행레일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5 는 주행레일에 구동튜브를 장착하기 위한 구동튜브 장착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6 은 도 45 에 나타낸 구동튜브 장착구조의 도 45 중 46-46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7 은 본 발명의 제 17 실시예를 나타낸 반송 시스템의 요부측면도이다.
도 48 은 도 47 에 나타낸 반송 시스템의 도 47 중 48-48 선을 따른 일부단면도 저면도이다.
도 49 는 도 47 에 나타낸 반송 시스템의 도 47 중 49-49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0 은 도 47 에 나타낸 반송 시스템의 도 48 중 50-50 선을 따른 일부단면 저면도이다.
도 51 은 반송 시스템에 사용하는 구동튜브로의 압력매체 공급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동튜브 단부 근방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2 는 도 51 에 나타낸 접속관의 측면도이다.
도 53 은 도 51 에 나타낸 접속관의 도 52 중 53-53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4 는 반송 시스템에 사용하는 반송로 전환기의 일시예를 나타내는 내부구조의 개략 수평단면평면도이다.
도 55 는 도 54 에 나타낸 반송로 전환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개략 종단면측면도이다.
도 56 은 도 54 에 나타낸 반송로전환기의 우단면도이다.
도 57 은 도 54 에 나타낸 반송로 전환기의 좌단면도이다.
도 58 은 도 54 에 나타낸 반송로 전환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59 는 도 54 에 나타낸 반송로 전환기의 진로전환동작설명도이다.
도 60 은 도 51 에 나타낸 반송로전환기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 59 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61 은 반송로전환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내부구조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62 는 도 60 에 나타낸 반송로전환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3 은 도 60 에 나타낸 반송로전환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64 는 도 60 에 나타낸 반송로전환기의 진로전환동작을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65 는 도 60 에 나타낸 반송로전환기의 다른 진로전환동작을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행레일 1a ∼ 1c : 레일본체
2 : 구동륜 2a : 구동륜의 축체
3, 21 : 반송체 4 : 주행륜
4a : 주행륜의 축체 5 : 구동튜브
6 : 컨테이너 7 : 돌기부
8 : 공기원 장치 9, 17 : 중공로
11 : 환승용 구동륜 12 : 반송하는 곳 스테이션
13 : 반송되는 곳 스테이션 16 : 환승용 튜브
20 : 환승레일
발명의 개시
본 발명에 의하면, 반송로를 형성하는 주행레일과, 이 주행레일을 따라 주행레일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가요성의 구동튜브와, 이 구동튜브를 눌러 찌부러뜨리도록 하여 설치되고, 이 구동튜브에 공급되는 가압공기의 압력에 의해 이 구동튜브상을 주행하는 구동륜과, 상기 주행레일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부에 맞물리도록 설치된 주행륜과, 상기 구동륜과 주행륜의 축체에 지지된 반송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구성의 반송 시스템에서는 주행레일에 장착된 구동튜브내에 공급되는 공기로, 더욱이 구동륜 전후의 압력차에 의해 구동륜이 회전하면서 튜브상을 이동한다. 이 때, 구동륜과 접속되어 있는 반송체도 레일상을 이동한다. 반송물을 적재하는 반송체는 반송체에 장착되어 있는 주행륜에 의해 주행레일을 따라 주행한다. 주행레일의 형상에 따라 곡선이나 수직방향으로도 이동하며, 주행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모든 장소로 이동한다.
상기 구성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행레일이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된 복수개의 레일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튜브가 각 레일본체의 구간마다 그 측면에 장착됨과 동시에, 서로 인접하는 레일본체의 단부 근방의 측면에 가요성의 환승 구동튜브가 장착되고, 상기 반송체에는 환승 구동튜브에 공급되는 가압공기의 압력에 의해 이 환승 구동튜브상을 주행하는 환승 구동륜이 추가로 설치된다.
상기 구성의 반송 시스템에서는 반송체가 각 레일본체를 환승하여 이동할 때, 레일본체의 단부에서 구동륜이 일단 구동튜브로부터 떨어지는데, 그 사이 환승용 구동륜 (transfer drive wheels) 이 환승용 튜브내의 압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한다. 따라서, 레일본체의 단부에서 구동륜이 구동튜브로부터 떨어져도 반송체를 지장 없이 다음의 레일본체상에 환승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행레일의 상기 레일본체에는 상기 구동튜브 또는 상기 환승 구동튜브와 접속되는 중공부가 형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레일본체를 유효 이용하여 구동튜브 또는 환승 구동튜브로의 가압공기 공급경로를 구축할 수 있으므로,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레일과, 이 주행레일상을 주행하는 주행륜을 갖는 반송체와,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배열설치된 가요성의 구동튜브와, 이 구동튜브를 눌러 찌부러뜨리도록 상기 반송체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구동튜브에 공급되는 가압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구동튜브상을 주행하는 구동륜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구성의 반송 시스템에서는 주행레일상을 주행하는 주행륜을 갖는 반송체에 구동륜이 설치되어 있고, 이 구동륜이 주행레일을 따라 배열설치된 가요성의 구동튜브를 눌러 찌부러뜨리고 있기 때문에, 구동륜의 전후의 구동튜브내에 선택적으로 가압유체를 공급함으로써 구동륜의 전후의 구동튜브내에 압력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압력차에 의해 구동륜을 회전시키면서 반송체와 함께 튜브상을 이동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행레일이 수평반송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주벽면과, 수평반송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벽면을 가지며, 상기 구동튜브가 상기 주행레일의 상기 주벽면상에 배열설치된다.
그리고, 주행레일의 배열설치형태로서는 수평반송만 행하는 수평배열설치,수직반송만 행하는 수직배열설치, 또는 수평반송과 수직반송을 행하는 3 차원 배열설치 등이 가능하다.
또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상기 구동튜브가 상기 주행레일상에 병설된다. 이 경우, 구동튜브의 갯수를 늘림으로써 반송체의 추력이 증가하고, 고하중의 반송물을 적재했을 때의 반송체의 이동, 또는 반송체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을 지장 없이 행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행레일의 상기 주벽면 또는 측벽면에 상기 주행륜과 걸어 맞춰지는 볼록부가 이 주행륜의 주행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 경우, 볼록부가 주행레일의 주벽면 또는 측벽면에 형성된 볼록부에 주행륜이 맞물려서 볼록부를 따라 주행륜이 주행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상기 주행레일이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튜브가 상기 주행레일마다 상기 주벽면에 장착되며, 서로 인접하는 주행레일의 단부 근방에 있어서 상기 주행레일의 주벽면에 가요성 환승 구동튜브가 장착되고, 상기 반송체에는 환승 구동튜브에 공급되는 가압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환승용 튜브상을 주행하는 환승 구동륜이 설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반송체가 복수개의 주행레일을 환승하여 이동할 때, 각 주행레일의 단부에서 구동륜이 일단 구동튜브에서 떨어지는데, 그 사이 환승용 구동륜이 환승용 튜브내의 압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한다. 따라서, 주행레일의 단부에서 구동륜이 구동튜브에서 떨어져도 반송체를 지지 없이 다음 주행레일로 환승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상기 구동튜브가 상기 주행레일상에 갈짓자형상으로 번갈아 배열설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주행레일이 길이방향으로 길 때 또는 길이방향으로 짧게 구동튜브를 구획할 필요가 있을 때 등, 주행레일에 번갈아 구동튜브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환승용 구동레일을 주행레일에 장착할 필요 없이 주행레일상에서 구동튜브의 환승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환승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행레일에 중공로가 형성되며, 이 중공로에는 상기 구동튜브가 접속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주행레일 자체를 유효 이용하여 구동튜브로의 가압유체 공급경로를 구축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륜으로 눌러 찌부러진 상기 구동튜브의 구동륜의 하류측 내부의 유체가 상기 중공로를 통해 배출 가능해진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행레일에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튜브에는 상기 오목홈에 끼워 맞춰지는 볼록돌조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과 상기 볼록돌조부의 끼워맞춤에 의해 상기 구동튜브가 상기 주행레일에 장착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행레일과 상기 구동륜은 상기 구동륜에 의한 구동튜브의 눌러 찌부러뜨림 구간의 양단에 상기 구동튜브의 절곡단부가 각각 튀어나오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레일상을 주행하는 반송체로서, 섀시와, 이 섀시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레일에 배열설치된 구동튜브를 눌러 찌부러뜨리면서 상기 주행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전동 가능한 구동륜을 갖고, 상기 구동튜브에 공급되는 기체 또는 액체상의 압력매체에 의해 구동륜이 회전구동력을 받도록 구성된 반송체에 있어서,
상기 구동륜의 전후에 있어서 상기 섀시에는 1 쌍의 주행륜 지지 프레임이 각각 자유이음매를 통해 장착되고, 상기 각 주행륜 지지 프레임에는 상기 주행레일을 사이에 두면서 상기 주행레일상을 전동하는 복수의 주행륜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체.
상기 구성의 반송체는, 주행륜으로 주행레일을 사이에 둔 상태에서 주행레일상을 주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평주행 뿐만 아니라 수직주행, 상하반전주행 등도 가능하다. 또한, 구동륜의 전후에 있어서 섀시에는 1 쌍의 주행륜 지지 프레임이 자유이음매를 통해 장착되어 있으며, 이 전후의 주행륜 지지 프레임에 주행레일상을 전동 가능한 주행륜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주행레일이 수평방향으로 커브하거나 또는 수직방향으로 벤드하고 있을 때에는, 섀시가 그 커브구간 또는 벤드구간을 통과하는 동안, 양 주행륜 지지 프레임의 방향을 주행레일의 커브방향 또는 벤드방향과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주행륜의 방향도 주행레일의 커브방향 또는 벤드방향과 일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주행륜과 주행레일 사이의 마찰저항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흔들림도 없이 반송체를 주행레일의 커브구간 또는 벤드구간을 원활하게 통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주행륜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주행레일의 커브구간 또는 벤드구간에 있어서의 반송체의 실속(失速)을 방지하면서 안정하게 주행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의 반송체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행륜은 상기 주행레일의 양측을 서로 예각을 이루어 사이에 두면서 상기 주행레일상을 전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주행륜 지지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배열설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최소 갯수의 주행륜으로 수평주행, 수직주행 및 상하반전주행에 대응할 수 있는 반송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반송체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륜은 상기 섀시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고, 또한 상기 구동튜브를 눌러 찌부러뜨리는 방향으로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되어 설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주행레일상을 주행 중에 구동튜브에 대한 구동륜의 가압력을 스프링력에 의해 항상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튜브내에 공급되는 압력매체에 의해 구동륜에 부여되는 회전구동력, 즉 반송체에 대한 추력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송체에 있어서, 상기 자유이음매는 상기 섀시 또는 상기 주행륜 지지 프레임 중 어느 일측에 설치되고 또한 측면이 구면형상을 이룬 구면축과, 상기 섀시 또는 상기 주행륜 지지 프레임 중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면축의 구면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포지(抱持)하는 구면좌 (spherical seat) 와, 상기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면축의 선단면을 가압하는 스프링을 갖는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섀시와 주행륜 지지 프레임 사이의 자유이음매를 최소부품점수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섀시에 대하여 주행륜 지지 프레임을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중립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반송구간을 갖는 주행레일과, 상기 주행레일의 반송구간마다 배열설치되는 복수의 구동튜브와, 상기 각 구동튜브의 일단 또는 타단으로부터 선택적으로 그 내부로 기체 또는 액체상의 압력매체를 공급하거나 또는 압력매체를 배출하기 위한 압력매체 공급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레일상을 주행 가능한 반송체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륜이 상기 구동튜브내에 공급되는 압력매체에 의해 추력을 받아 상기 구동튜브를 눌러 찌부러뜨리면서 전동하도록 구성된 반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반송구간의 경계부의 전후에 위치하는 상기 구동튜브의 단부에는 각각 환승 파이프의 일단이 삽입되고, 상기 압력매체는 환승 파이프를 통해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튜브내에 공급되거나 또는 상기 구동튜브내에서 배출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환승 파이프는 그 일단이 상기 주행레일내에 침입 (沈入) 할 수 있도록 상기 주행레일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동시에, 링크를 통해 서로 연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상기 링크는 상기 1 쌍의 환승 파이프가 상기 주행레일내에 침입할 때에 상기 반송구간의 경계부 전후의 상기 구동튜브 사이에서 상기 구동륜을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구성의 반송 시스템에 있어서는, 주행레일의 반송구간마다 배열설치된 복수의 구동튜브에 대하여 압력매체를 개별적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주행레일의 반송구간마다 반송체를 주행시키기 위한 추력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거리가 긴 반송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반송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복수의 반송체를 주행시킬 수도 있다.더욱이, 반송구간의 경계부에서는 그 전후에 위치하는 구동튜브의 단부에 1 쌍의 환승 파이프의 일단이 각각 삽입되어 있고, 이 1 쌍의 환승 파이프는 그 일단이 그 주행레일 내에 침입할 수 있도록 주행레일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동시에, 링크를 통하여 서로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더욱이 링크는 1 쌍의 환승 파이프가 주행레일 내에 침입했을 때 반송구간의 경계부 전후에 위치하는 구동튜브 간에서 구동륜을 안내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행레일의 반송구간의 경계부 전후에 위치하는 구동튜브 간의 간격이 떨어져 있어도 반송체의 구동륜을 지장 없이 통과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반송구간을 갖는 주행레일과, 그 주행레일의 반송구간마다 배열설치되는 복수의 구동튜브와, 각 구동튜브의 일단 또는 타단으로부터 선택적으로 그 내부에 기체 또는 액체상의 압력매체를 공급하거나 또는 압력매체를 배출하기 위한 압력매체 공급장치를 구비하고, 주행레일상을 주행 가능한 반송체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륜이 구동튜브내에 공급되는 압력매체에 의해 추력을 받아 구동튜브를 눌러 찌부러뜨리면서 전동하도록 구성된 반송 시스템에 있어서, 각 구동튜브의 단부는 눌러 찌부러뜨린 상태에서 봉착되어 있고, 각 구동튜브의 단부 근방에 접속관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구성의 반송 시스템에 있어서는, 주행레일의 반송구간마다 배열설치된 복수의 구동튜브에 대하여 압력매체를 개별적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주행레일의 반송구간마다 반송체를 주행시키기 위한 추력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거리가 긴 반송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반송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복수의 반송체를 주행시킬 수도 있다. 더욱이, 반송구간의 경계부에서는 그 전후에 위치하는 구동튜브의 단부가 눌러 찌부러진 상태로 봉착되어 있고, 또 구동튜브의 단부 근방에 접속관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접속관을 통하여 압력매체의 공급 및 배출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반송체의 구동륜을 지장 없이 통과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륜을 갖는 반송체를 주행시기키 위한 주행레일과, 그 주행레일의 구동튜브 장착면에 장착되어 반송체의 구동륜에 의해 눌러 찌부러짐과 동시에 내부에 공급되는 압력매체의 압력에 의해 그 구동륜에 회전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튜브를 갖는 반송 시스템용 레일장치로서,
상기 주행레일에는 그 구동튜브 장착면에 개구하는 개구부의 폭이 내부의 폭보다도 작은 홈이 형성되고, 그 구동튜브는 그 반송체의 그 구동륜에 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메인튜브와, 그 홈의 개구부로부터 그 홈 내에 매립 장착하기 위한 장착튜브를 서로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용 레일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구성의 레일장치에서는, 메인튜브에는 반송체의 주행구동에 적당한 경도가, 또 장착튜브에는 홈 내에 장착이 가능하고 홈에서 용이하게 이탈하지 않기 위한 적도의 경도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레일장치에서는 메인튜브와 장착튜브를 접합하여 구동튜브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각각을 요구성능에 맞춘 경도로 제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양자를 접합함으로써 구동튜브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레일에 형성된 튜브 장착홈에 구동튜브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튜브를 매립하면서 주행레일 상을 이동할 수 있는 구동튜브 장착장치로서,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대차, 그 대차에 장착되어 주행레일의 홈 상부에서 구동튜브를 좌우로부터 끼우는 안내 롤러, 그 안내 롤러의 후방에서 그 대차에 형성되며 구동튜브를 홈을 향해 누르는 장착 롤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용 구동튜브 장착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구성의 구동튜브 장착장치는 주행레일 상을 이동하면서 주행레일에 구동튜브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튜브 장착장치의 후방에서 구동튜브 내에 압력매체를 공급하고자 하면, 압력매체의 압력에 의해 구동튜브 장착장치를 주행시키면서 구동튜브의 장착작업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일측의 적어도 하나의 주행레일과 타측의 복수의 주행레일 사이에 배열설치되는 회전체와, 그 회전체에 형성된 복수의 접속용 주행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용 주행레일은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일단이 상기 일측의 주행레일에 접속됨과 동시에 타단이 상기 타측의 주행레일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용 주행로 전환기가 제공된다.
상기 구성의 주행로 전환기에서는, 회전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접속용 주행레일을 통하여 일측의 주행레일과 타측의 주행레일을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으므로, 반송체를 접속용 주행레일 상에 정지시킬 필요가 없어 그 위를 통과하여 일측의 주행레일 및 타측의 주행레일 상을 연속 주행시킬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1 은 주행레일에 반송체 및 컨테이너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그 측면도, 도 3 은 단면도이다. 도, 도 4(a), 도 4(b) 는 구동튜브로의 가압공기 공급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 ∼ 도 3 에 있어서, 1 은 병원, 고층빌딩, 창고, 공장 등에 설치되는 반송로로서의 주행레일로, 레일본체 (1a) 로 이루어져 있다. 이 주행레일 (1) 의 레일본체 (1a) 의 양측면에는 각각 1개씩 구동튜브 (5) 가 주행레일 (1) 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 주행레일 (1) 의 레일본체 (1a) 의 양측면에는 돌기부 (7) 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부 (7) 에 4 개의 핸드드럼 (hand-drum) 형상의 주행륜 (4) 이 맞물려 있다. 그리고 구동튜브 (5) 를 눌러 찌부러뜨리도록 하여 구동륜 (2) 이, 주행레일 (1) 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구동륜 (2) 의 축체 (2a) 와 각 주행륜 (4) 에 축체 (4a) 는 각각 반송물을 올려 반송하는 반송체 (3) 의 저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 반송체 (3) 상에는, 반송물을 수용하는 컨테이너 (6) 가 고정되어 탑재되어 있다.
구동륜 (2) 은 원통형상을 하고 있고, 그 중심에 베어링을 통하여 축체 (2a) 가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륜 (2) 은 주행레일 (1) 의 측면에서 구동튜브 (5) 를 눌러 찌부러뜨리고 있다. 한편, 주행륜 (4) 은 통 (barrel) 형상을 이루고, 그 중심에는 베어링을 통하여 축체 (4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주행륜 (4) 의 축체 (4a) 로 반송체 (3) 와 컨테이너 (6) 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당연, 반송물의 하중도 이 주행륜 (4) 의 곳에서 지지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행륜을 4 대 형성하고 있으나, 반송물의 하중 등에 의해 대수를 늘릴 수 있다. 또, 주행륜 (4) 이 맞물려 있는 주행레일 (1) 의 돌기부 (7) 는 구면형상이 바람직하다.
주행레일 (1) 의 레일본체 (1a) 는 단면 세로길이의 장방형상을 이루고, 알루미늄 등으로 압출하여 성형된 것이지만, 이 외의 형재 등도 사용할 수 있다. 구동튜브 (5) 는 주행레일 (1) 의 레일본체 (1a) 를 따라 장착된 단면형상이 중공의 원형을 한 가요성의 튜브로, 구동륜 (2) 으로 눌러 찌부러진 후, 원형으로 복원되는 플라스틱이나 고무튜브 등이 사용된다.
도 1 및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레일본체 (1a) 에 그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로 (9)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레일 (1) 의 레일본체 (1a) 양측의 구동튜브 (5) 의 일단은 직접 전환밸브 (10) 의 포트에, 또, 구동튜브 (5) 의 타단은 레일본체 (1a) 내에 형성된 중공로 (9) 를 통하여 전환밸브 (10) 의 포트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전환밸브 (10) 의 내부플랜저 (도시생략) 의 전환동작에 이해 구동튜브 (5) 의 일단이 전환밸브 (10) 를 통하여 공기원 장치 (8) 에 접속될 때에는 타단이 대기에 해방되고, 또, 구동튜브(5) 의 타단이 공기원 장치 (8) 에 접속될 때는 일단이 대기에 해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구동륜 (2) 의 전후에서 구동튜브 (5) 내에 압력차가 발생하고, 이 압력차를 동력으로 하여 구동륜 (2) 을 회전시키면서 구동튜브 (5) 상을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4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레일 (1) 의 레일본체 (1a) 양측의 구동튜브 (5) 의 양단을 각각 전환밸브 (10) 를 통하여 공기원 장치 (8) 에 접속하고, 2 개의 공기원 장치 (8) 를 선택적으로 가동시킴과 동시에, 전환밸브 (10) 를 전환 동작시킴으로써 구동튜브 (5) 의 일단 (또는 타단) 으로부터 소정압력의 가압공기를 공급할 때에 타단 (또는 일단) 을 대기에 해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도 4(b) 의 구성예의 다른 변형예로서, 공기원 장치 (8) 를 1 기(基)만으로 하고, 이 공기원 장치 (8) 의 송기구에 접속한 배관을 분기시켜 각각 전자전환밸브 (10, 10) 에 접속하고, 양 전환밸브 (10, 10) 에 구동튜브 (5) 의 일단 및 타단을 각각 접속하여도 된다.
또한, 반송체 (3) 를 왕복 이동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간단히 구동튜브 (5) 의 일단을 공기원 장치 (8) 에, 또 타단을 대기에 해방하면 된다.
도 1 ∼ 도 4 의 실시예에서는, 구동튜브 (5) 를 주행레일 (1) 의 양측에 1개씩 설치하고 있으나, 반송물의 중량이나 반송속도에 따라 주행레일 (1) 의 편측에만 1 개 설치하여도 되고, 편측에 2 개 이상, 양측 합하여 3 개 이상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 는 주행레일을 3차원적으로 설치한 태양을 나타낸 반송 시스템의 개략 사시도이다. 여기에서는 주행레일 (1) 은 구간 (A), 구간 (B), 구간 (C) 로 3 분할되어 있고, 3 개의 레일본체 (1a, 1b, 1c) 로 이루어져 있다. 각 구간의 경계부에는, 환승부 (14, 15)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반송하는 곳의 스테이션 (12) 으로부터 반송되는 곳 스테이션 (13) 에 반송체 (3) 를 순차적으로 주행레일 (1) 의 구간 (A), 구간 (B) 및 구간 (C) 를 따라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 의 실시예에서는 주행레일 (1) 의 양측의 구동튜브 (5) 는 각각 주행레일 (1) 의 전구간에 걸쳐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 은 주행레일간을 반송체가 환승하는 경우의 환승 기구의 측면도로, 도 7 은 환승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 의 실시예에서는, 반송로로서의 주행레일 (1) 은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1 ∼ 제 3 의 레일본체 (1a, 1b, 1c) 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제 2 레일본체 (1b) 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환승레일 (20) 과, 제 1, 제 2 레일본체 (1a, 1b) 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튜브 (5) 와, 동일하게 환승레일 (20) 에 장착되어 있는 환승용 튜브 (16) 와, 제 1, 제 2 의 레일본체 (1a, 1b) 의 돌기부(7) 에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있는 주행륜 (4) 과, 구동튜브 (5) 를 눌러 찌부러뜨리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는 구동륜 (2) 과, 환승용 튜브 (16) 를 눌러 찌부러뜨리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는 환승용 구동륜 (11) 과, 구동륜 (2, 11) 과 주행륜 (4) 과 접속되어 있는 반송체 (21) 와, 이 반송체 (21) 에 장착되어 있는 반송물을 수용하기 위한 컨테이너 (6) 와, 구동튜브 (5) 와, 환승용 튜브 (16) 에 소정의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공기원으로 구성된다.
환승용 레일 (20) 은, 주행레일 (1) 이 장거리에 걸친 경우나, 방화도어, 분기·합류장치가 있는 경우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 1 ∼ 제 3 레일본체 (1a ∼ 1c) 간의 환승을 위한 레일이다. 환승용 레일 (20) 은 제 2 레일본체 (1b) 의 양측면에 1 개씩 설치되어 있고, 또, 제 3 레일본체 (1c) 에도 동일한 환승레일이 설치된다.
환승용 튜브 (16) 는, 환승용 레일 (20) 을 따라 장착된, 구동튜브 (5) 와 동일한 단면형상이 중공의 원형을 한 가요성의 튜브이다. 환승용 튜브 (16) 는, 구동튜브 (5) 와 동일한 원리로 환승용 구동륜 (11) 에 동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내부에 보내지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환승용 구동륜 (11) 이 회전하면서, 환승용 튜브 (16) 상을 주행한다.
주행륜 (4) 은, 주행레일 (1) 의 본체 (1a ∼ 1c) 에 형성된 돌기부 (7) 에 맞물리도록 설치된 주행륜으로, 이 주행륜 (4) 에 의해 반송체 (21) 는, 주행레일 (1) 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 주행륜 (4) 에 의해 반송체 (21) 와 컨테이너 (6) 는 지지되어 있으므로, 반송물의 하중은 여기에서 지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6 을 사용하여 환승의 동작을 설명한다.
반송체 (21) 는 구동륜 (2) 이 제 1 레일본체 (1a) 의 구동튜브 (5) 로부터 동력을 얻어 도면 중 화살표 (22) 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반송체 (21) 의 구동륜 (2) 이 제 1 및 제 2 의 레일본체 (1a, 1b) 의 이음매 개소에 접어들면, 제 1 레일본체 (1a) 상의 구동튜브 (5) 와 제 2 레일본체 (1b) 상이 구동튜브 (5) 가 이간되어 있으므로, 양 구동튜브 (5, 5) 간에서는 구동륜 (2) 은 이동용의 동력을 얻을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이 반송체 (21) 가 환승레일 (20) 에 옮겨지기 시작하면, 먼저, 환승용 구동륜 (11) 이 환승용 튜브 (16) 에 도달하고, 이 환승용 튜브 (16) 로부터 동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구동륜 (2) 이 구동튜브 (5, 5) 로부터 떨어져 있는 동안에는 환승용 튜브 (16) 로부터 동력을 얻고 있는 환승용 구동륜 (11) 에 의해 반송체 (21) 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반송체 (21) 는 지장 없이 제 2 레일본체 (1b) 상에 환승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륜 (2) 이 제 2 레일본체 (1b) 상의 구동튜브 (5) 상에 환승한 후에는 구동륜 (2) 이 그 구동튜브 (5) 로부터 동력을 받으므로 제 2 레일본체 (1b) 상을 이동할 수 있다.
반송체 (21) 가 상기의 설명과 반대 방향으로부터 즉 제 2 레일본체 (1b) 상으로부터 제 1 레일본체 (1a) 상으로 이동할 때도, 구동륜 (2) 으로의 동력이 중단될 때 환승 구동튜브 (16) 및 환승 구동륜 (11) 에 의해 환승용의 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4 실시예를 도 8 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 은, 주행레일 중에 설치한 공기공급계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반송로가 길어져 주행레일 (1) 을 복수개의 레일본체 (1a∼1c) 로 구성하는 경우에, 하기의 구동튜브에 공급하는 공기를 소요의 레일본체의 중공부로부터 공급하는 것이며, 도 8 에 있어서, 주행레일 (1) 에서의 구간 A, 구간 B, 구간 C 의 3 개의 레일본체 (1a∼1c) 상의 구동튜브 (5) 에 가압공기를 공급하고 있다.
구간 A 의 레일본체 (1a) 에는, 주행레일 (1) 의 길이방향을 향하여 2 개의 기밀의 중공로 (17) 가 설치되어 있고, 이 중공로 (17) 의 좌단은 공기원 장치로부터 공기가 공급되고 있다. 그리고 1 개의 중공로 (17) 는, 우단에서 구간 B 의 레일본체 (1b) 상의 구동튜브 (5) 와 접속되어 있고, 또한 다른 1 개는, 구간 B 의 레일본체 (1b) 의 중공로 (17) 와 접속되어 있다. 중공로의 구멍 직경은, 주행레일의 길이, 공기압력과 구동륜을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동력 등으로 결정된다. 또, 중공로의 갯수는 주행레일을 구성하고 있는 레일본체의 갯수 등에 따라 선정할 수 있다.
구간 A 내의 레일본체 (1a) 상의 구동튜브 (5) 에는 직접 공기원 장치로부터 압축공기가 공급된다. 한편, 구간 B 내의 중공로 (17) 의 우단은, 구간 C 내의 레일본체 (1c) 상의 구동튜브 (5) 와 접속되어 있다. 각 구동튜브 (5) 의 양단 또는 일단에 가압공기를 공급하는 방법으로는, 예컨대 도 4B 에 나타낸 구성예 또는 도 4B 의 구성의 또 다른 변형예로서 기술한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의 공급을 구성함으로써, 별도로, 주행레일을 따라서 부설하는 공기공급배관이 불필요해진다. 또, 도시는 생략하지만, 환승 구동튜브 (16) 에 대해서도 레일본체내의 중공로를 통하여 가압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예의 반송 시스템은, 반송되는 서류나 물품을 적재하여 이동시키는 반송체가, 반송용 튜브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어, 주행레일을 따라서 이동하기 때문에, 반송하는 서류나 물품의 형상이 제한되는 경우 없이 반송할 수 있고, 또 구동륜과 주행륜과 반송체가,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반송체가 추종되지 않을 우려도 없어 장거리를 고속으로 반송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9 는 주행레일에 반송체 및 컨테이너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0 중 9-9 선에 따른 단면도, 도 10 은 도 9 에 나타내는 반송 시스템의 도 9 중 10-10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 에 있어서, 주행레일 (101) 은 병원, 고층 빌딩, 창고, 공장 등에 설치되어 반송로를 형성하고 있고, 이 주행레일 (101) 은 수평반송에 있어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주벽면, 즉, 도 9 및 도 10 중 상면 (101a) 및 하면 (101b) 과, 수평반송에 있어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벽면 (101c, 101d) 을 가지고 있다. 주행레일 (101) 의 주벽면 (101a, 101b) 에는 각각 1 개씩 구동튜브 (105) 가 주행레일 (101) 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주행레일 (101) 의 주벽면 (101a, 101b) 에는 오목홈 (101e) 이 형성되고, 구동튜브 (105) 에는 오목홈 (101e) 에 감합하는 볼록돌조부 (105c) 가 형성되고, 오목홈 (101e) 과 볼록돌조부 (105c) 와의 감합에 의해 구동튜브 (105) 가 주행레일 (101) 에 장착되어 있다. 또, 주행레일 (101) 의 주벽면 (101a, 101b) 에는 볼록부 (107) 가 주행레일 (101) 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고, 이 볼록부 (107) 에 4 개의 핸드드럼형상의주행륜 (104) 이 맞물려 있다. 그리고 구동튜브 (105) 를 눌러 찌부러뜨리게 하여 구동륜 (102) 이, 주행레일 (101) 의 주벽면 (101a, 101b) 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구동륜 (102) 의 축체 (102a) 와 각 주행륜 (104) 의 축체 (104a) 는, 반송물을 실어 반송하는 반송체 (3) 에 고정되어 있다. 이 반송체 (3) 상에는, 반송물을 수용하는 컨테이너 (106) 가 고정되어 얹어놓여져 있다. 콘테이터 (106) 는 개폐 가능한 뚜껑 (106a) 을 갖는다.
구동륜 (102) 은, 원통형상을 이루며, 그 중심에 베어링을 통하여 축체 (102a) 가 설치되어 있고, 구동륜 (102) 은 주행레일 (101) 의 주벽면 (101a, 101b) 상에서 구동튜브 (105) 를 눌러 찌부러뜨리고 있다.
한편, 주행륜 (104) 은, 핸드드럼형상을 이루며, 그 중심에는 베어링을 통하여 축체 (104a) 가 설치되어 있다. 이 주행륜 (104) 의 축체 (104a) 에서 반송체 (103) 와 컨테이너 (106) 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당연히, 반송물의 하중도 이 주행륜 (104) 에서 지지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행륜을 4 개 설치하고 있는데, 반송물의 하중 등에 의해 갯수를 늘릴 수 있다. 또, 주행륜 (104) 이 맞물려 있는 주행레일 (101) 의 볼록부 (107) 는 구면상이 바람직하다.
주행레일 (101) 은 단면 가로가 긴 장방형상을 이루고, 알루미늄 등으로 압출하여 성형된 것인데, 이 외의 형재 등도 사용할 수 있다. 구동튜브 (105) 는 주행레일 (101) 을 따라서 장착된 단면형상이 중공의 원형을 이룬 가요성의 튜브이며, 구동륜 (102) 으로 눌러 찌부러진 후, 원형으로 복원할 수 있다. 구동튜브(105) 는 플라스틱이나 고무튜브 등으로 만들 수 있다.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주행레일 (101) 에 그 내부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부 (9)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레일 (101) 의 주벽면 (101a, 101b) 에 설치된 구동튜브 (105) 의 일단은 각각 직접 전환밸브 (110) 의 포트에 접속되고, 또 타단은 주행레일 (101) 내에 설치된 중공로 (9) 를 통하여 전환밸브 (110) 의 포트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전환밸브 (110) 의 내부 플런저 (도시생략) 의 전환동작에 의해 구동튜브 (105) 의 일단이 전환밸브 (110) 를 통하여 가압유체 공급장치로서의 가압공기 공급장치 (108) 에 접속될 때는 타단이 대기에 해방되고, 또, 구동튜브 (105) 의 타단이 가압공기 공급장치 (108) 에 접속될 때는 일단이 대기에 해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구동륜 (102) 의 전후에 있어서 구동튜브 (105) 내에 압력차가 발생하여, 이 압력차를 동력으로 하여 구동륜 (102) 을 회전시키면서 구동튜브 (105) 상을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1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레일 (101) 의 레일본체 (101a) 의 주벽면에 설치된 구동튜브 (105) 의 양단을 각각 전환밸브 (110) 를 통하여 가압공기 공급장치 (108) 에 접속하고, 2 개의 가압공기 공급장치 (108) 를 선택적으로 가동시킴과 동시에, 전환밸브 (110) 를 전환 동작시킴으로써 구동튜브 (105) 의 일단 (또는 타단) 으로부터 소정 압력의 가압공기를 공급할 때 타단 (또는 일단) 을 대기에 해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도 11B 의 구성예의 또 다른 변형예로서, 가압공기 공급장치 (108) 를 1 기만으로 하여, 이 가압공기 공급장치 (108) 의송기구에 접속한 배관을 분기시켜 각각 전환밸브 (110,110) 에 접속하고, 양 전환밸브 (110,110) 에 구동튜브 (105) 의 일단 및 타단을 각각 접속해도 된다.
또, 도 11C, 도 11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레일 (101) 의 주벽면 (101a, 101b) 에 설치한 구동튜브 (105) 의 양단을 각각 제 1 전환밸브 (110a) 및 제 2 전환밸브 (110b) 에 접속하고, 제 1 전환밸브 (110a) 로부터 가압공기 공급장치 (108) 에 접속하고, 제 2 전환밸브 (110b) 로부터 주행레일 (101) 내의 중공로 (109) 를 통해 타측의 제 2 전환밸브 (110b) 에 접속해도 된다. 이 구성예에서는, 2 개의 가압공기 공급장치 (108) 를 선택적으로 가동함과 동시에, 제 1 전환밸브 (110a) 및 제 2 전환밸브 (110b) 를 각각 전환 동작시킴으로써 구동튜브 (105) 의 일단 (또는 타단) 으로부터 소정 압력의 가압공기를 공급할 때 타단 (또는 일단) 으로부터 중공로 (109) 를 통해 대기에 개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공로 (109) 를 통해 배기를 행하도록 구성하면, 구동튜브 (105) 로부터 직접 대기에 개방하는 경우에 비해 중공로 (109) 내에서 대폭적으로 배기음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음의 저감화를 위한 소음기 등의 소음기 구성부품을 삭감할 수 있고, 스페이스 절약화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반송체 (103) 를 왕복이동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단지 구동튜브 (105) 의 일단을 가압공기 공급장치 (108) 에, 또 타단을 대기에 해방하면 된다.
또한, 반송체 (103) 를 수직반송할 때, 또는 상하에 낙차가 있는 경사구간에서 반송할 때에는 반송체 (103) 의 하강이동시에 구동륜 (102) 의 진행방향 전방의 구동튜브 (105) 내에도 가압공기를 공급함으로써 구동륜 (102) 의 전후의 구동튜브(105) 내의 압력차를 컨트롤하여 반송체 (103) 의 하강속도를 조정하거나, 반송체 (103) 를 도중에서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2 및 도 1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2 는 주행레일에 반송체 및 컨테이너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3 중 12-12 선에 따른 단면도, 도 13 은 도 12 에 나타내는 반송 시스템의 도 12 중 13-13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 5 실시예에서는 주행레일 (101) 의 주벽면 (수평반송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벽면) 인 상면 (101a) 및 하면 (101b) 에 각각 1 개씩 구동튜브 (105) 가 주행레일 (101) 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제 6 실시예에서는 주행레일 (101) 의 상면 (101a) 에만 1 개의 구동튜브 (105) 가 주행레일 (101) 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튜브 (105) 를 눌러 찌부러뜨리도록 하여 구동륜 (102) 도 주행레일 (101) 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튜브 (105) 및 구동륜 (102) 은 주행레일 (101) 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데, 하면에 설치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14 및 도 1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4 는 주행레일에 반송체 및 컨테이너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5 중 14-14 선에 따른 단면도, 도 15 는 도 14 에 나타내는 반송 시스템의 도 14 중 15-15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 6 실시예에서는 주행레일 (101) 의 상면 (101a) 에 볼록부 (107) 가 주행레일 (101) 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 (107) 에 4 개의 핸드드럼형상의 주행륜 (104) 이 맞물려 있는 것에 대하여, 제 7 실시예에서는 주행레일 (101) 의 측면 (101c, 101d) 에 볼록부 (107) 가 주행레일 (101) 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 (107) 에 핸드드럼형상의 주행륜 (104) 이 맞물려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행륜 (104) 이 4 개 설치되어 있는데, 반송물의 하중 등에 따라 그 갯수를 증감할 수 있다. 또, 구동륜 (102) 및 구동튜브 (105) 는 주행레일 (101) 의 상면 (101a) 에 설치되어 있는데, 하면 (101b) 에 설치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16 및 도 1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6 은 주행레일에 반송체 및 컨테이너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7 중 16-16 선에 따른 단면도, 도 17 은 도 16 에 나타내는 반송 시스템의 도 16 중 17-17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 1 실시예에서는 주행레일 (101) 의 주벽면인 상면 (101a) 및 하면 (101b) 에 각각 1 개씩 구동튜브 (105) 가 주행레일 (101) 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제 4 실시예에서는 주행레일 (101) 의 주벽면인 상면 (101a) 및 하면 (101b) 에 각각 2 개씩 구동튜브 (105) 가 주행레일 (101) 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또, 구동튜브 (105) 를 눌러 찌부러뜨리도록 하여 구동륜 (102) 도 주행레일 (101) 의 상면 (101a) 및 하면 (101b) 에 각각 2 개씩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튜브 (105) 및 구동륜 (102) 은 주행레일 (101) 의 주벽면 (101a, 101b) 에 각각 2 세트씩 설치되어 있는데, 반송물의 하중 등에 따라 3 세트, 또는 4 세트로 늘리거나, 상면 (101a) 또는 하면 (101b) 에만 복수개의 구동튜브 (105) 를 설치하거나, 상면 (101a) 과 하면 (101b) 에 설치하는 구동튜브 (105) 를 각각 다른 갯수로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8 및 도 19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8 은 주행레일에 반송체 및 컨테이너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9 중 18-18 선에 따른 단면도, 도 19 는 도 18 에 나타내는 반송 시스템의 도 18 중 19-19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 8 실시예에서는 주행레일 (101) 의 주벽면 (수평반송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벽면) (101a, 101b) 에 각각 2 개씩 구동튜브 (105) 가 주행레일 (101) 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이들 구동튜브 (105) 를 눌러 찌부러뜨리도록 하여 구동륜 (102) 도 주행레일 (101) 의 주벽면 (101a, 101b) 에 각각 2 개씩 설치되어 있었던 것에 대하여, 제 9 실시예에서는 주행레일 (101) 의 주벽면 (101a, 101b) 에 각각 2 개씩 구동튜브 (105) 가 주행레일 (101) 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이들 구동튜브 (105) 를 눌러 찌부러뜨리도록 하여 길이 긴 구동륜 (126) 이 주행레일 (101) 의 주벽면 (101a, 101b) 에 각각 1 개씩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튜브 (105) 는 주행레일 (101) 의 주벽면 (101a, 101b) 에 각각 2 개씩 설치되어 있는데, 반송물의 하중 등에 따라 3 개, 또는 4 개로 늘릴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0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20 은 복수의 주행레일을 3 차원적으로 연이어 설치한 모습을 나타내는 반송 시스템의 개략 사시도이다. 여기에서는 주행레일 (101) 은 반송경로의 제 1 구간 (S1), 제 2 구간 (S2) 및 제 3 구간 (S3) 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각 구간의 사이에는 환승부 (114, 115)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반송하는 곳의 스테이션 (112) 으로부터 반송되는 곳 스테이션 (113) 에 반송체 (103) 를 순차적으로 제 1 ∼ 제 3 구간 (S1 ∼ S3) 의 반송레일 (101) 을 따라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튜브 (105) 는 주행레일 (101) 의 전구간에 걸쳐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1 ∼ 도 2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1 은 주행레일 사이를 반송체가 환승하는 경우의 환승기구의 평면도이고, 도 22 는 반송 시스템의 도 21 중 22-22 선에 따른 단면도, 도 23 은 도 22 에 나타내는 반송 시스템의 도 22 중 23-23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주행레일 (101) 이 제 10 실시예와 동일하게 반송경로의 제 1 ∼ 제 3 구간 (S1 ∼ S3) 에 배치되어 연결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구간 (S2) 의 주행레일 (101) 상에 설치되어 있는 환승레일 (120) 과, 제 1 및 제 2 구간 (S1, S2) 의 주행레일 (101) 상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튜브 (105) 와, 마찬가지로 환승레일 (120) 에 장착되어 있는 환승용 튜브 (116) 와, 제 1 및 제 2 구간 (S1, S2) 의 주행레일 (101) 의 볼록부 (107) 에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있는 주행륜 (104) 과, 구동튜브 (105) 를 눌러 찌부러뜨리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는 구동륜 (102) 과, 환승용 튜브 (116) 를 눌러 찌부러뜨리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는 환승용 구동륜 (111) 과, 구동륜 (102, 111) 과 주행륜 (104) 과 접속하고 있는 반송체 (121) 와, 반송체 (121) 에 장착되어 있는 반송물을 수용하기 위한 컨테이너 (106) 와, 구동튜브 (105) 와, 환승용 튜브 (116) 에 소정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도시되어 있지 않은 공기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환승용 튜브 (116) 는 환승용 레일 (120) 을 따라 장착된, 구동튜브 (105) 와 동일한 원형 단면을 갖는 중공 가요성 튜브이다. 환승용 튜브 (116) 는 구동튜브 (105) 와 동일한 원리로 환승용 구동륜 (111) 에 동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내부에 보내지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환승용 구동륜 (111) 이 회전하면서 환승용 튜브 (116) 상을 주행한다.
주행륜 (104) 은 주행레일 (101) 의 주벽면 (101a, 101b) 에 형성된 볼록부 (107) 에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 주행륜 (104) 에 의해 반송체 (121) 는 주행레일 (101) 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 주행륜 (104) 에 의해 반송체 (121) 와 컨테이너 (106) 는 지지되어 있으므로, 반송물의 하중은 여기에서 지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21 을 참조하여 환승의 동작을 설명한다.
반송체 (121) 는 구동륜 (102) 이 제 1 구간 (S1) 내의 주행레일 (101) 상에 있는 구동튜브 (105) 로부터 동력을 얻어 우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한다. 반송체 (121) 의 구동륜 (102) 이 제 1 구간 (S1) 의 주행레일 (101) 과 제 2 구간 (S2) 의 주행레일 (101) 의 이음매 개소에 접어들면, 제 1 구간 (S1) 내의 주행레일 (101) 의 주벽면 (101a, 101b) 상의 구동튜브 (105) 와 제 2 구간 (S2) 내의 주행레일 (101) 의 주벽면 (101a, 101b) 상의 구동튜브 (105) 가 이간되어 있기 때문에, 양 구동튜브 (105, 105) 사이에서는 구동륜 (102) 이 이동용 동력을 얻을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이 반송체 (121) 가 환승레일 (120) 로 옮겨지기 시작하면, 우선 환승용 구동륜 (111) 이 환승용 튜브 (116) 에 도달하여, 이 환승용 튜브 (116) 로부터 동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구동륜 (102) 이 구동튜브 (105, 105) 로부터 떨어져 있는 동안은 환승용 튜브 (116) 로부터 동력을 얻고 있는 환승용 구동륜 (111) 에 의해 반송체 (121) 를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반송체 (121) 는 지장 없이 제 2 구간 (S2) 내의 주행레일 (101) 의 주벽면 (101a, 101b) 상으로 환승이 가능하다. 그리고, 구동륜 (102) 이 그 구동튜브 (105) 상으로 환승한 후에는 구동륜 (102) 이 구동튜브 (105) 로부터 동력을 받기 때문에 제 2 구간 (S2) 내의 주행레일 (101) 상을 이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4 는 주행레일 중에 설치된 공기공급계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 제 12 실시예는, 반송경로가 길어져서, 복수개의 주행레일 (101) 을 연이어 설치하는 경우, 각 주행레일 (101) 상의 구동튜브 (105) 에 공급하는 공기를 소요의 다른 주행레일 (101) 의 중공로 (117) 로부터 공급하는 것이다.
제 1 구간 (S1) 내의 주행레일 (101) 에는, 2 개의 기밀한 중공로 (117) 가 설치되어 있고, 이 중공로 (117) 의 좌단에는 가압공기 공급장치로부터 가압공기가 공급되고 있다. 그리고 하나의 중공로 (117) 는, 우단에서 제 2 구간 (S2) 내의 주행레일 (101) 상의 구동튜브 (105) 와 접속되어 있고, 또 다른 하나는 제 2구간 (S2) 내의 주행레일 (101) 의 중공로 (117) 와 접속되어 있다. 중공로 (117) 의 구멍의 직경은, 주행레일 (101) 의 길이, 공기압력과 구동륜을 구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동력 등에 의해 결정된다. 또, 중공로 (117) 의 갯수는 주행레일 (101) 의 갯수 등에 따라 선정할 수 있다.
제 1 구간 (S1) 에 있는 주행레일 (101) 상의 구동튜브 (105) 에는 직접 가압공기 공급장치로부터 압축공기가 공급된다. 한편, 제 2 구간 (S2) 내의 주행레일 (101) 의 중공로 (117) 의 우단은, 제 3 구간 (S3) 내의 주행레일 (101) 상의 구동튜브 (105) 와 접속하고 있다. 각 구동튜브 (105) 의 양단 또는 일단에 가압공기를 공급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도 11A 에 나타낸 구성예 또는 도 11B 의 구성의 추가적인 변형예로서 기술한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의 공급을 구성함으로써, 별도로 주행레일 (101) 을 따라 부설하는 공기공급배관이 불필요해 진다. 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환승용 튜브 (116) 에 대해서도 주행레일 (101) 내의 중공로 (117) 를 통해 가압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5 및 도 2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5 는 주행레일에 주행가이드 기능을 겸한 구동륜이 접속된 반송체 및 컨테이너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26 중 25-25 선을 따른 단면도, 도 26 은 도 25 에 나타내는 반송 시스템의 도 25 중 26-26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5 및 도 26 에서, 주행레일 (101) 은 병원, 고층빌딩, 창고, 공장 등에 설치되어 반송로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 주행레일 (101) 의 상하의 주벽면 (101a,101b) 에는 각각 단면이 대략 사다리꼴형상의 볼록면부가 형성되고, 이 볼록면부에 각각 하나씩 구동튜브 (105) 가 주행레일 (101) 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주행레일 (101) 의 상하의 주벽면 (101a, 101b) 에 대응하여 반송체 (103) 에는 주행레일 (101) 의 주벽면 (101a, 101b) 에 형성된 볼록면부와 맞물리는 구동륜 (125) 이 하나씩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으며, 각 구동륜 (125) 은 볼록면부 상의 구동튜브 (105) 를 눌러 찌부러뜨리도록 핸드드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에는 오목부 (125b) 를 가지고 있다.
구동륜 (125) 은, 그 오목부 (125b) 의 테이퍼 부분이 주행레일 (101) 의 볼록면부의 테이퍼 부분과 접촉하면서 안내 주행한다. 주행륜 (128) 은 구동륜 (125) 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주행레일 (101) 의 상하의 주벽면 (101a, 101b) 에 형성된 볼록면부에 각각 하나씩 주행륜 (128) 의 오목부 (128b) 가 맞물려져 있다. 이 주행륜 (128) 은, 구동튜브 (105) 를 눌러 찌부러뜨리지 않거나, 반송체 (103) 의 주행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주행륜 (128) 의 오목부 (128b) 의 깊이 치수가 커져 있다. 구동륜 (125) 의 축체 (125a) 와 주행륜 (128) 의 축체 (128a) 는 반송체 (103) 의 프레임 (129) 에 베어링을 통해 축지지되어 있다. 반송체 (103) 상에는 반송물을 수용하는 컨테이너 (106) 가 고정하여 탑재되어 있다. 따라서, 반송체 (103) 는 프레임 (129) 을 통해 구동륜 (125) 의 축체 (125a) 및 주행륜 (128) 의 축체 (128a) 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반송물의 하중도 이들 구동륜 (125) 및 주행륜 (128) 부분에서 지지되어 있다.
주행레일 (101) 은 단면 세로가 긴 장방형으로 주벽면 (수평반송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벽면 : 101a, 101b) 에 볼록면부를 가지고, 알루미늄 등으로 압출 성형된 것이다.
다음으로, 도 27 ∼ 도 29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7 은 주행레일 상에 구동튜브를 갈짓자형상으로 상호 번갈아 배열설치한 반송 시스템의 일부 단면 평면도이고, 도 28 은 도 27 에 나타내는 반송 시스템의 도 27 중의 28-28 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29 는 도 27 에 나타내는 반송 시스템의 도 28 중 29-29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이 제 14 실시예에서는, 주행레일 (101) 의 주벽면 (수평반송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벽면) 인 상면 (101a) 에 구동튜브 (105a, 105b) 가 갈짓자형상으로 좌우 번갈아 환승대를 형성하여 장착되어 있다. 그 구동튜브 (105a, 105b) 를 눌러 찌부러뜨리도록 길이가 긴 구동륜 (127) 이 주행레일 (101)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구동륜 (127) 은 반송체 (103) 에 고정된 축체 (127a) 에 베어링 (127b) 을 통해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도 27 은, 구동륜 (2) 이 주행레일 (101) 상의 구동튜브 (105a) 로부터 동력을 얻어 회전하면서 반송체 (103) 와 함께 도면중 좌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반송체 (103) 의 긴 구동륜 (127) 이 구동튜브 (105a, 105b) 의 환승대에 타기 시작하면 구동륜 (127) 은 구동튜브 (105a, 105b) 의 양쪽에서 동력을 얻는다. 반송체 (103) 는 접속하여 좌방향으로 이동하며, 그 후 환승대을 통과한 구동륜 (127) 은 구동튜브 (105b) 에서만 동력을 얻어 회전하면서좌방향으로의 이동을 계속할 수 있다.
상기 제 14 실시예에서는, 주행레일 (101) 의 상면 (101a) 에만 복수개의 구동튜브 (105a, 105b) 가 갈짓자형상으로 번갈아 장착되어 있지만, 구동튜브 (105a, 105b) 를 주행레일 (101) 의 하면 (101b) 에만 갈짓자형상으로 번갈아 설치해도 된다. 또, 구동튜브 (105a, 105b) 를 주행레일 (101) 의 상면 (101a) 및 하면 (101b) 에 차례로 번갈아 장착해도 된다. 또한, 제 14 실시예에 있어서는, 주행레일 (101) 의 측면 (101c, 101d) 에 볼록부 (107) 가 설치되어 있고, 반송체 (103) 에는 이 볼록부 (107) 와 서로 맞물려 주행하는 핸드드럼형상의 주행륜 (104) 이 설치되어 있는데, 볼록부 (107) 를 주행레일 (101) 의 주벽면 (101a) 에 설치해도 된다.
도 30 은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를 나타낸 반송 시스템의 종단면도이다. 이 제 15 실시예의 주행레일 (101) 은 반송체 (103) 를 수평으로 반송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 수평반송상태에 있어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주벽면인 상면 (101a) 및 하면 (101b) 과 측면 (101c, 101d) 을 갖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2 개의 구동튜브 (105) 가 주행레일 (101) 의 측면 (101c, 101d) 에 장착되어 있고, 주행레일 (101) 의 양측에는 2 개의 구동륜 (130) 이 각각 구동튜브 (105) 를 눌러 찌부러뜨리듯이 배치되어 있고, 각 구동륜 (130) 은 반송체 (103) 에 고정된 축체 (130a) 에 베어링 (130b) 을 통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주행레일 (101) 의 주벽면인 상면 (101a) 및 하면 (101b) 에는 볼록부 (107) 가 설치되어 있고, 반송체 (103) 에 축체 (104a) 를 통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된 주행륜 (104) 이 각각 주행레일 (101) 의 상하에 배치되어 볼록부 (107) 와 걸어 맞춰지고 있다.
이 제 15 실시예의 반송 시스템에 있어서도, 구동튜브 (105) 에 공급되는 가압유체 (예를 들면 가압공기) 의 압력에 의해 구동륜 (130) 을 회전시키면서 주행레일 (101) 상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반송체 (103) 및 그 반송체 (103) 에 고정설치된 컨테이너 (106) 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1 ∼ 도 34 는 각각 본 발명의 반송 시스템에서의 구동튜브 눌러 찌부러뜨림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어떤 변형예에 있어서도, 주행레일 (101) 과 구동륜 (2) 은 구동륜에 의한 구동튜브의 눌러 찌부러뜨림 구간의 양측에 구동튜브의 절곡단부가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31 의 변형예에서는, 가요성을 갖는 구동튜브 (105) 가 주행레일 (131) 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설치되어 있다. 주행레일 (131) 의 벽면 (131a) 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홈 (131b) 이 형성되어 있고, 구동튜브 (105) 에는 이 오목홈 (131b) 에 끼워 맞추는 볼록돌조부 (105c) 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홈 (131b) 으로의 볼록돌조부 (105c) 의 끼워맞춤에 의해 구동튜브 (105) 가 주행레일 (131) 의 벽면에 장착되어 있다. 이 구동튜브 (105) 를 눌러 찌부러뜨리듯이 구동륜 (132) 이 도시되지 않은 반송체에 축체 (132a) 를 통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구동륜 (132) 의 외주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양단의 각부에 둥글게 되어 있고, 구동륜 (132) 의 원통부의 길이 (L1) 는, 구동튜브 (105) 를 그 구동륜 (132) 에 의해 눌러 찌부러뜨렸을 때의 구동튜브 (105) 의 길이 (L2) 보다도 짧은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튜브 (105) 는 구동륜 (132) 의 원통부에 의해 대략 길이 (L1) 의 구간에 걸쳐 눌러 찌부러뜨려진다. 그리고, 구동륜 (132) 에 의한 구동튜브 (105) 의 눌러 찌부러뜨림 구간의 양측에 구동튜브 (105) 의 절곡단부 (105f) 가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동튜브 (105) 의 절곡단부 (105f) 가 구동륜 (132) 과 주행레일 (131) 에서 눌러 찌부러뜨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튜브 (105) 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2 의 변형예에서는, 가요성을 갖는 구동튜브 (105) 가 주행레일 (133) 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설치되어 있다. 주행레일 (133) 의 벽면 (133a) 에는 주행레일 (133) 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이 대략 사다리꼴형상의 볼록부 (133b) 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 (133b) 의 정상면상에 오목홈 (133c) 이 형성되어 있고, 구동튜브 (105) 에는 이 오목홈 (133c) 에 끼워 맞추는 볼록돌조부 (105c) 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홈 (133c) 으로의 볼록돌조부 (105c) 의 끼워맞춤에 의해 구동튜브 (105) 가 주행레일 (133) 에 장착되어 있다. 이 구동튜브 (105) 를 눌러 찌부러뜨리듯이 구동륜 (134) 이 도시되지 않은 반송체에 축체 (132a) 를 통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구동륜 (134) 의 외주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주행레일 (133) 의 볼록부 (133b) 의 정상면의 길이 (L1) 는, 구동튜브 (105) 를 그 구동축 (134) 에 의해 눌러 찌부러뜨렸을 때의 구동튜브 (105) 의 길이 (L2) 보다도 짧은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튜브 (105) 는 구동륜 (134) 에 의해 대략 길이 (L1) 의 구간에 걸쳐 눌러 찌부러뜨려진다.그리고, 구동륜 (134) 에 의한 구동튜브 (105) 의 눌러 찌부러뜨림 구간의 양측에 구동튜브 (105) 의 절곡단부 (105f) 가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동튜브 (105) 의 절곡단부 (105f) 가 구동륜 (132) 과 주행레일 (131) 에서 눌러 찌부러뜨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튜브 (105) 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3 의 변형예에서는, 주행레일 (135) 이 단면이 대략 사다리꼴형상의 볼록부 (135b) 를 갖고 있고, 구동륜 (136) 의 외주에는 이 볼록부 (135a) 와 맞물리는 볼록부 (136b) 가 형성되어 있고, 구동륜 (136) 은 주행레일 (135) 의 볼록부 (135a) 와 맞물려 주행하는 주행륜을 겸한 것으로 되어 있다.
가요성을 갖는 구동튜브 (105) 가 주행레일 (135) 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행레일 (135) 의 볼록부 (135a) 의 정상면상에 배열설치되어 있다. 볼록부 (135a) 의 정상면에는 오목홈 (135b) 이 형성되어 있고, 구동튜브 (105) 에는 이 오목홈 (135b) 에 끼워 맞추는 볼록돌조부 (105c) 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홈 (135b) 으로의 볼록돌조부 (105c) 의 끼워맞춤에 의해 구동튜브 (105) 가 주행레일 (135) 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튜브 (105) 는 주행레일 (135) 의 볼록부 (135a) 의 정상면과 구동륜 (136) 의 오목부 (136b) 의 저면부의 사이에서 눌러 찌부러뜨려진다.
구동륜 (136) 의 오목부 (136b) 의 저면부의 길이는 볼록부 (135a) 의 정상면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며 또 구동튜브 (105) 를 그 구동륜 (136) 에 의해 눌러 찌부러뜨렸을 때의 구동튜브 (105) 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다. 그러나 구동륜(136) 의 오목부 (136b) 의 저면부의 양단에는 각각 오목홈 (136c) 이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튜브 (105) 의 눌러 찌부러뜨림 구간의 양측의 절곡단부 (105f) 는 각각 구동륜 (136) 의 오목부 (136b) 의 저면부의 양단의 오목홈 (136c) 이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구동튜브 (105) 의 절곡단부 (105f) 가 구동륜 (136) 과 주행레일에서 (135) 에서 눌러 찌부러뜨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튜브 (105) 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4 의 변형예에서는, 주행레일 (137) 이 단면이 대략 사다리꼴형상의 볼록부 (137a) 를 갖고 있고, 구동륜 (138) 의 외주에는 이 볼록부 (137a) 와 맞물리는 오목부 (138a) 가 형성되어 있고, 구동륜 (138) 은 주행레일 (137) 의 볼록부 (137a) 와 맞물려서 주행하는 주행륜을 겸한 것으로 되어 있다.
가요성을 갖는 구동튜브 (105) 는 주행레일 (137) 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행레일 (137) 의 볼록부 (137a) 의 정상면 상에 배열설치되어 있다. 볼록부 (137a) 의 정상면에는 오목 홈 (137b) 이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튜브 (105) 에는 이 오목 홈 (137b) 에 끼워 맞추는 볼록돌조부 (105c) 가 형성되어 있으며, 오목 홈 (137b) 으로의 볼록돌조부 (105c) 의 끼워맞춤에 의해 구동튜브 (105) 가 주행레일 (137) 에 장착되고 있다. 따라서, 구동튜브 (105) 는 주행레일 (137) 의 볼록부 (137a) 의 정상면과 구동륜 (138) 의 오목부 (138a) 의 저면부 사이에서 눌러 찌부러뜨려진다.
구동륜 (138) 의 오목부 (138a) 의 저면부의 길이 (L2) 는 구동튜브 (105) 를 상기 구동륜 (138) 에 의해 눌러 찌부러뜨렸을 때의 구동튜브 (105) 의 길이와거의 동일하지만, 주행레일 (137) 의 볼록부 (137a) 의 정상면의 길이 (L1) 는 구동륜 (138) 의 오목부 (138a) 의 저면부의 길이 (L2) 보다도 짧은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튜브 (105) 의 눌러 찌부러뜨림 구간의 양측 절곡단부 (105f) 는 각각 주행레일 (137) 의 볼록부 (137a) 의 정상면의 양단에서 삐져나오게 형성된다. 따라서, 구동튜브 (105) 의 절곡단부 (105f) 가 구동륜 (138) 과 주행레일 (137) 로 눌러 찌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튜브 (105) 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5 내지 제 15 실시예의 반송 시스템에서는, 서류나 물품을 적재하여 이동시키는 반송체가 구동튜브의 외측에 설정되어 있으며,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반송되는 서류나 물품의 형상에 제약을 받지 않고 그들을 반송할 수 있다. 또, 구동륜과 주행륜 및 반송체가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반송체가 추종하지 않는다는 염려도 없이 장거리를 고속으로 반송할 수 있다.
도 35 내지 도 42 는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35 는 반송 시스템의 튜브 환승부 근방에서의 일부 파단요부 측면도, 도 36 은 도 35 에 나타내는 반송 시스템의 튜브 환승부 근방에서의 도 35 중 36-36 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37 은 도 35 에 나타내는 반송 시스템의 도 35 중 37-37 선에 따른 단면도, 도 38 은 도 35 에 나타내는 반송 시스템의 도 35 중 38-38 선에 따른 단면도, 도 39 는 도 35 에 나타내는 반송 시스템의 반송체에서의 요부확대단면도, 도 40 은 도 35 에 나타내는 반송 시스템의 반송체가 수평으로 커브한 주행레일 상을 주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1 은 도 35 에 나타내는 반송 시스템의 반송체가 상방에 벤드된 주행레일 상을 주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2A 및 42B 는 각각 도 35 의 반송 시스템에 사용되는 구동튜브의 바람직한 구조 및 그 장착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35 에서 도 38 까지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의 반송 시스템 (200) 은 복수의 주행 구간 (S1, S2…) 을 갖는 주행레일 (201) 과, 이 주행레일 (201) 상을 주행하는 반송체 (250) 을 갖는다. 주행레일 (201) 의 각 주행 구간내에는 탄성을 갖는 좌우 1 쌍의 구동튜브 (220) 가 주행레일 (201) 의 길이방향 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주행레일 (201) 의 각 주행 구간내의 구동튜브 (220) 는 그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선택적으로 그 내부에 기체 또는 액체 형상의 압력매체를 공급하며, 또는 압력매체를 배출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주행레일 (201) 은 반송 기준면 (201a) 을 갖고, 이 반송 기준면 (201a) 은 주행레일 (201) 이 수평으로 설치될 때는 수평으로 배치되며, 또한 주행레일 (201) 이 수직으로 설치될 때는 수직으로 배치된다.
또, 주행레일 (201) 은 구동튜브 (220) 를 장착하기 위한 튜브 장착면 (202) 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는 튜브 장착면 (202) 은 주행레일 (201) 의 반송 기준면 (201a) 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반송체 (250) 는 섀시 (251) 와 상기 섀시 (251) 에 형성된 1 쌍의 구동륜 (252, 253) 을 갖고, 1 쌍의 구동륜 (252, 253) 은 각각 상기 주행레일 (201) 상에 배열 설치된 구동튜브 (220) 를 눌러 찌부러뜨리면서 상기 주행레일(201) 의 길이방향으로 전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튜브 (220) 내에 공급되는 압력매체에 의해 구동륜 (252, 253) 이 회전 구동력을 받아, 이로써 반송체 (250) 가 주행레일 (201) 을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동륜 (252, 253) 의 전후에서 상기 섀시 (251) 에는 1 쌍의 주행륜 지지 프레임 (254, 255) 가 각각 자유이음매 (256) 를 개재하여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각 주행륜 지지 프레임 (254, 255) 에는 상기 주행레일 (201) 상을 전동하는 4 개의 주행륜 (257, 258, 259,260) 이 상기 주행레일 (201) 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3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4 개의 주행륜 (257 내지 260) 은 주행레일 (201) 의 양측에 각각 서로 예각, 특히 약 45 도의 각도를 이루어 2 개씩 배치되어 있으며, 이로써 4 개의 주행륜 (257 내지 260) 은 주행레일 (201) 의 양측부를 각각 서로 예각을 이루어 낀 상태에서 주행레일 (201) 상을 전동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반송체 (250) 는, 구동륜 (252, 253) 의 전후에 각각 4 개씩 배열 설치된 주행륜 (257 내지 260) 에 의해 주행레일 (201) 을 낀 상태에서 주행레일 (201) 상을 주행할 수 있기 때문에, 수평 주행뿐만 아니라 수직 주행, 상하 반전 주행 등도 가능하다. 또한, 구동륜 (252, 253) 의 전후에서 섀시 (251) 에는 1 쌍의 주행륜 지지 프레임 (254, 255) 이 자유이음매 (256) 를 개재하여 장착되어 있으며, 이 전후의 주행륜 지지 프레임 (254, 255) 에 주행레일 (201) 상을 전동 가능한 주행륜 (257 내지 260) 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행레일 (201) 이수평 방향으로 커브하며 (도 40 참조), 또는 수직 방향으로 벤드하고 있을 때 (도 41 참조) 는 섀시 (251) 가 그 커브구간 또는 벤드구간을 통과하는 사이, 양 주행륜 지지 프레임 (254, 255) 의 방향을 주행레일 (201) 의 커브 방향 또는 벤드 방향에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주행륜 (257 내지 260) 의 방향도 주행레일 (201) 의 커브 방향 또는 벤드 방향에 일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주행륜 (257 내지 260) 과 주행레일 (201) 사이의 마찰 저항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며, 또한 덜컹거림도 없이 반송체 (250) 를 주행레일 (201) 의 커브구간 또는 벤드구간을 원활하게 통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주행륜 (257 내지 260) 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주행레일 (201) 의 커브구간 또는 벤드구간에서의 반송체 (250) 의 실속을 방지하면서 안정되게 주행시킬 수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구동륜 (252, 253) 의 전후의 주행륜 지지 프레임 (254, 255) 에 각각 4 개의 주행륜 (257 내지 260) 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4 개의 주행륜 (257 내지 260) 에 의해 주행레일 (201) 의 양측을 서로 예각을 이루어 사이에 두면서 상기 주행레일 (201) 상을 전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전후 각각 최소 갯수의 주행륜 (257 내지 260) 으로 반송체 (250) 의 수평 주행, 수직 주행 및 상하 반전 주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3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구동륜 (252, 253) 은 섀시 (251) 에 대해 변위 가능하게 또한 구동튜브 (220) 을 눌러 찌부러뜨리는 방향에 각각 스프링 (216) 으로 탄성지지되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반송체 (250) 가 주행레일 (201) 상을 주행하는 동안, 주행레일 (201) 이나 구동튜브(220) 에 다소 요철이 있어도 구동튜브 (220) 에 대한 구동륜 (252, 253) 의 가압력을 스프링 (261) 의 스프링력에 의해 항상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튜브 (220) 내에 공급되는 압력매체에 의해 구동륜 (252, 253) 에 주어지는 회전구동력, 즉 반송체 (250) 에 주어지는 추력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반송체 (250) 에서는, 각 자유이음매 (256) 는 도 39 에 상세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섀시 (251) 에 형성된 구면축 (262) 과, 주행륜 지지 프레임 (254 (또는 (255)) 에 형성되어 구면축 (262) 의 구면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포지(抱持)하는 구면좌 (263) 를 지니고 있고, 주행륜 지지 프레임 (254 (255)) 에는 또한 구면축 (262) 의 선단면을 가압하는 스프링 (264) 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섀시 (251) 와 주행륜 지지 프레임 (254, 255) 사이의 자유이음매 (256) 을 각각 최소 부품점수로 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반송체 (250) 가 주행레일 (201) 의 커브구간 또는 벤드구간을 통과한 후에, 섀시 (251) 에 대해 주행륜 지지 프레임 (254, 255) 을 스프링 (264) 의 가압력에 의해 원래의 중위 위치로 자동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주행레일 (201) 에서의 반송구간 (S1, S2…) 의 경계부의 전후에 위치하는 2 개의 구동튜브 (220) 의 단부에는 각각 환승 파이프 (223, 224) 의 일단이 삽입되어 있고, 압력매체는 이들 환승 파이프 (223, 224) 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구동튜브 (220) 내에 공급되거나 또는 상기 구동튜브 (220) 내로부터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구동튜브 (220) 의 일단및 타단은 환승 파이프 (223, 224) 를 통하여 각각 전자밸브 (221) 에 접속되어 있고, 전자밸브 (221) 는 도시하지 않은 에어컴프레서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2 개의 전자밸브 (221) 는 일측의 전자밸브 (221) 가 구동튜브 (220) 의 일단을 에어컴프레서에 접속하는 경우는, 타측의 전자밸브 (221) 가 구동튜브 (220) 의 타단을 대기에 해방하고, 또한 타측의 전자밸브 (221) 가 구동튜브 (220) 의 일단을 에어컴프레서에 접속하는 경우는 일측의 전자밸브 (221) 가 구동튜브 (220) 의 타단을 대기에 해방하도록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러에 의해 동작제어 가능하다.
또한, 주행레일 (201) 의 반송구간 경계부 근방에는 반송체 (250) 를 검출하는 센서 (도시생략) 가 배열설치되고, 컨트롤러는 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전자밸브 (221) 를 시퀀셜 (sequential)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하여, 주행레일 (201) 의 길이방향에 병렬된 구동튜브 (220) 에 대해 차례로 압력매체로서의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반송체 (250) 를 연속적으로 주행시킬 수 있다.
전후 1 쌍의 환승 파이프 (223, 224) 는 반송체 (250) 의 통과 시에 그 일단이 주행레일 (201) 내에 침입할 수 있도록 지지축 (225, 226) 을 통하여 주행레일 (201) 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환승 파이프 (223, 224) 의 일단은 구동륜 (252, 253) 이 원활하게 그 위에 올라 탈 수 있도록 완만한 경사각도로 컷되어 있다.
또한, 전후 1 쌍의 환승 파이프 (223, 224) 는 그 일측이 주행레일 (201) 내로 침입할 때에는 타측도 함께 침입하도록 핀 (229) 과 긴 구멍 (230) 을 통하여연결된 전후 1 쌍의 링크 (227, 228) 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양 링크 (227, 228) 는 도 35 에서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1 쌍의 환승 파이프 (223, 224) 가 주행레일 (201) 내로 침입했을 때에 전후의 구동튜브 (220) 사이에서 구동륜 (252, 253) 을 각각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링크 (227, 228) 는 전후 1 쌍의 환승 파이프 (223, 224) 가 주행레일 (201) 내로 침입할 때에, 구동륜 (252, 253) 에 의해 눌러 찌부러뜨려지는 구동튜브 (220) 와 거의 같은 높이의 안내면을 형성하므로, 전후 1 쌍의 구동튜브 (220) 사이에서 구동륜 (250) 을 원활하게 통과시킬 수 있다.
도 36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좌우 1 쌍의 구동륜 (252, 253) 는 전후에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섀시 (251) 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1 쌍의 구동륜 (252, 253) 중의 일측이 반송구간의 경계부를 통과할 때에 타측의 구동륜에 구동튜브 (220) 로부터의 구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체 (25) 가 반송구간의 경계부를 통과할 때에 구동튜브 (220) 로부터의 구동력이 도중에서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반송 시스템에서는 주행레일 (201) 의 반송구간 (S1, S2…) 마다 배열설치된 복수의 구동튜브 (220) 에 대해 압력매체를 개별적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주행레일 (201) 의 반송구간 마다 반송체를 주행시키기 위한 추력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거리가 긴 반송에도 용이하게 대응 가능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복수의 반송체 (250) 를 주행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 42A 및 도 4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반송 시스템에서는, 주행레일 (201) 의 튜브장착면 (202) 에 튜브장착홈 (203) 이 형성되어 있고, 이 튜브장착홈 (203) 은 튜브장착면 (202) 에 개구하는 개구부 (204) 의 폭이 내부의 홈폭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구동튜브 (220) 는 반송체 (250) 의 구동륜 (252, 253) 에 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메인튜브 (231) 와, 튜브장착홈 (203) 의 개구부 (204) 로부터 상기 홈 (203) 내로 매립장착하기 위한 장착튜브 (232) 를 접착제 또는 열용착 등의 수단으로 서로 접합하여 형성한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구동튜브 및 그 장착구조에서는 메인튜브 (231) 와 장착튜브 (232) 는 각각의 요구성능을 만족하도록 개별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즉, 메인튜브 (231) 는 반송체 (250) 의 주행구동에 적합한 경도를 가지도록 제조할 수 있고, 한편, 장착튜브 (232) 는 튜브장착홈 (203) 내로의 장착이 가능하며, 또한 홈 (203) 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기 위한 적당한 경도를 가지도록 제조할 수 있다. 그 경우, 메인튜브 (231) 와 부착튜브 (232) 는 열팽창계수가 거의 동등한 탄성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경도가 상이한 메인튜브 (231) 와 장착튜브 (232) 를 접합하여 구동튜브 (220) 를 형성하므로, 각부의 요구특성을 만족하는 구동튜브 (220) 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 메인튜브 (231) 와 장착튜브 (232) 는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뗄 수 있기 때문에, 구동튜브 (220) 의 단부처리, 예컨대 장착튜브 (232) 의 일부를 절제하는 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43 및 도 44 는 각각 구동튜브 (220) 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3 에 나타내는 구동륜 (270) 은 중앙부가 부풀어 오른 통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구동륜 (270) 을 사용하면, 구동튜브 (220) 의 중앙부를 강하게 눌러 찌부러뜨리면서 구동튜브 (220) 의 좌우 양측단의 절곡부에 발생하는 응력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구동튜브 (220) 의 피로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44 에 나타나는 구동륜 (271) 은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구동륜 (252, 253) 과 동일하게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으나, 주행레일 (201) 의 튜브 장착면 (202) 에 있어서, 구동튜브 (220) 의 양 우측단 절곡부 근방에 오목부 (205)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주행레일 (201) 을 사용하면, 구동튜브 (220) 의 중앙부를 구동륜 (271) 에 의해 강하게 눌러 찌부러뜨리면서 구동튜브 (220) 의 좌우 양측단의 절곡부에 발생하는 응력을 주행레일(201) 의 오목부 (205) 에 의해 경감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튜브 (220) 의 피로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다음은, 주행레일에 구동튜브를 장착하는 방법 및 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5 및 도 46 은 상기 제 16 실시예의 주행레일 (201) 에 적용 가능한 구동튜브 장착장치를 나타내며, 도 45 는 구동튜브 장착장치의 단면도, 도 46 은 도 45 에 나타나는 튜브 장착장치의 도 45 중 46-46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구동튜브 장착장치 (280) 는, 대차 (281) 와, 그 대차 (281) 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주행레일 (201) 과 걸어맞춤하여 주행레일 (201) 위를 전동 가능한 복수개의 주행륜 (282) 과, 대차 (281) 에 장착되어 주행레일 (201) 의 홈의 상부에서 각 구동튜브 (220) 을 좌우에서 끼우는 1 쌍의 안내롤러 (283, 284) 와, 그 안내롤러 (283,284) 의 후방에서 그 대차 (281) 에 설치되고, 또한 각 구동튜브 (220) 를 튜브 장착홈 (204) 을 향하여 누르는 장착롤러 (285) 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의 구동튜브 장착장치는, 주행레일 (201) 의 튜브장착홈 (204) 에 구동튜브 (220) 의 장착튜브 (232) 를 밀어 넣어 매립하면서 주행레일 (201) 상을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튜브 장착장치 (280) 의 후방에서 구동튜브 (220) 내에 압력매체를 공급하도록 하면, 압력매체의 압력에 의해 구동튜브 장착장치 (280) 를 주행시키면서 구동튜브 (220) 의 장착작업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 47 ∼ 도 50 은, 본 발명의 제 17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47 은 반송 시스템의 요부 측면도, 도 48 은 도 47 에 나타내는 반송 시스템의 도 48 중 48-48 선을 따른 일부 단면 저면도, 도 49 는 도 47 에 나타내는 반송 시스템의 도 47 중 49-49 선을 따른 단면도, 도 50 은 도 47 에 나타내는 반송 시스템의 도 48 중 50-50 선을 따른 일부 단면 저면도이다.
이들의 도면을 참조하면, 이 제 17 실시예의 반송 시스템 (300) 은, 주행레일 (301) 과, 이 주행레일 (301) 위를 주행하는 반송체 (350) 를 구비한다. 주행레일 (301) 에는 탄성을 갖는 좌우 1 쌍의 구동튜브 (320) 가 주행레일 (301) 의길이방향을 따라서 서로 평행하게 배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튜브 (320) 는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선택적으로 그 내부에 기체 또는 액체상의 압력매체를 공급하며 또는 압력매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도시하지 않은 압력매체 공급시스템에 접속된다.
주행레일 (301) 은 반송기준면 (301a) 을 갖고, 이 반송기준면 (301a) 은, 주행레일 (301) 이 수평으로 설치될 때는 수평으로 배치되고, 또 주행레일 (301) 이 수직으로 설치될 때는 수직으로 배치된다.
또, 주행레일 (301) 은 구동튜브 (320) 를 장착하기 위한 튜브 장착면 (302) 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는 튜브 장착면 (302) 은 주행레일 (301) 의 반송기준면 (301a) 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반송체 (305) 는, 섀시 (351) 와 그 섀시 (351) 에 설치된 1 쌍의 구동륜 (352, 353) 을 구비하며, 1 쌍의 구동륜 (352, 353) 은 각각 그 주행레일 (301) 의 튜브 장착면 (302) 위에 배열설치된 구동튜브 (320) 를 눌러 찌부러뜨리면서 그 주행레일 (301) 의 길이방향으로 전동 가능하게 되어있고, 그 구동튜브 (320) 내에 공급되는 압력매체에 의해 규동륜 (352, 353) 이 회전구동력을 받아, 이것으로써 반송체 (350) 가 주행레일 (301) 을 따라서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동륜 (352,353) 의 전후에서 상기 섀시 (351) 에는 1 쌍의 주행륜 지지 프레임 (354, 355) 이 각각 자유이음매 (356) 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고, 그 각 주행륜 지지 프레임 (354, 355) 에는, 상기 주행레일 (301) 위를 전동하는 4 개의 주행륜 (357, 358, 359, 360) 이 그 주행레일 (301) 을 둘러싸듯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7 실시예에서의 반송체 (350) 의 주행륜 지지 프레임 (354,355) 및 주행륜 (357 ∼ 360) 의 구성은 상기 제 16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 17 실시예의 반송체 (350) 에 있어서는, 좌우 1 쌍의 구동륜 (352, 353) 이 섀시 (351) 에 피벗축 (390, 391) 을 통하여 피벗지지된 지지아암 (392, 393) 에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고, 또 튜브 장착면 (302) 위의 구동튜브 (320) 를 눌러 찌부러뜨리는 방향으로 각각 스프링 (361) 으로 탄성지지되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반송체 (350) 가 주행레일 (301) 위를 주행하는 동안, 주행레일 (301) 및 구동튜브 (320) 에 다소의 요철이 있어도 구동튜브 (320) 에 대한 구동륜 (352, 353) 의 가압력을 스프링 (361) 의 스프링력에 의해 항상 대략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튜브 (320) 내에 공급되는 압력매체에 의해 구동륜 (352, 353) 에 부여되는 회전구동력, 즉, 반송체 (350) 에 부여되는 추력을 대략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51 ∼ 도 53 은, 반송 시스템에 사용되는 구동튜브로의 압력매체 공급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51 은 구동튜브 단부 근방의 단면도, 도 52 는 구동튜브의 단부에 장착되는 접속관의 측면도, 도 53 은 도 52 에 나타내는 접속관의 도 52 중 53-53 선을 다른 단면도이다.
이들의 도면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는 구동튜브 (420) 의 단부는 눌러 찌부러진 상태에서 열용착 또는 접착제 등의 수단에 의해 봉착되어 있다. 구동튜브 (420) 의 단부 근방의 측면부에는 장착구멍 (421)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구동튜브 (420) 의 단부 측면에는 접속관 (430) 이 장착되어 있다. 이 접속관 (430) 은, 축부 (431) 와 그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 (432) 를 구비하며, 이 접속관 (430) 은 구동튜브 (420) 의 단부를 봉착하기 전에 구동튜브 (420) 의 단부에서 구동튜브 (420) 내에 삽입되고, 이어서 구동튜브 (420) 의 내부에서 그 축부 (431) 가 구동튜브 (420) 의 장착구멍 (421) 에 삽입됨으로써 구동튜브 (420) 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구동튜브 (420) 의 외부에서 접속관 (430) 의 축부 (431) 에는 와셔 (433), 시일용의 O-링 (434), 가압 링 (435) 등이 장착되고, 접속관 (430) 의 축부 (431) 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에 너트관 (440) 을 조여서 체결함으로써, 구동튜브 (420) 의 장착구멍 (421) 과 접속관 (430) 사이를 공기가 통하지 않게 봉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구동튜브 (420) 의 장착구멍 (421) 과 접속관 (430) 간을 전자밸브에 접속할 수 있다.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너트관 (440) 은 접속 호스를 통하여 전자밸브에 접속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의 구동튜브 (420) 를 사용할 때에는 상기 제 16 실시예에서 설명한 환승 파이프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도 5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순히 2 개의 구동튜브 (420) 를 주행레일 (201) 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병렬로 배열 설치하는 것만으로 반송체를 구간마다 구동시킬 수 있는 반송 시스템을 실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4 ~ 도 58 은 상기 반송 시스템에 사용되는 반송로 전환기의 1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4 는 반송로 전환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개략 수평단면 평면도, 도 55 는 도 54 에 나타낸 반송로 전환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개략 종단면 측면도, 도 56 은 도 54 에 나타낸 반송로 전환기의 우측 가장자리면도, 도 57 은 도 54 에 나타낸 반송로 전환기의 좌측 가장자리면도, 도 58 은 도 54 에 나타낸 반송로 전환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59 는 도 54 에 나타낸 반송로 전환기의 동작 설명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의 반송로 전환기 (500) 는 일측 (도 54 중 우측) 의 하나의 주행레일 (501) 과, 타측 (도면 중 좌측) 의 3 개의 주행레일 (502, 503, 504) 을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타측의 3 개의 주행레일 (502 ~ 504) 중의 중앙의 주행레일 (502) 은, 일측의 주행레일 (501) 과 동일 축선 상에 배치되고, 타측의 나머지 주행레일 (503, 504) 은 중앙의 주행레일 (502) 에 의해 병렬로 배열 설치되어 있다.
반송로 전환기 (500) 는, 케이스 (501) 와, 양 가장자리가 상기 케이스 (501) 내에 베어링 (511, 512) 을 통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 회전체 (513) 와, 상기 회전체 (513) 에 형성된 복수 (여기에서는 3 개) 의 접속용 주행레일 (514, 515, 516) 과, 회전체 (513) 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 (517) 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용 주행레일 (504 ~ 516) 의 갯수는 상기 타측의 주행레일 (502~504) 의 갯수에 대응하고 있고, 접속용 주행레일 (514 ~ 516) 은 각각 회전체 (513) 의 회전에 의해 일단이 일측의 주행레일 (501) 에 접속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나아가, 3 개의 접속용 주행레일 (514 ~ 516) 중의 중앙의 접속용 주행레일 (514) 은, 그 일단이 일측의 주행레일 (501) 에 접속될 때 타단이 중앙의 주행레일 (502) 에 접속되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나머지 2 개의 접속용주행레일 (515, 516) 은 각각 일단이 일측의 주행레일 (501) 에 접속될 때 타단이 나머지 2 개의 주행레일 (502) 에 각각 접속되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주행로 전환기 (500) 에 의하면, 회전체 (513) 를 구동모터 (517) 로 회전시킴으로써, 접속용 주행레일 (514 ~ 516) 을 통하여 일측의 주행레일 (501) 과 타측의 3 개의 주행레일 (502 ~ 504) 을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반송체 (550) 를 접속용 주행레일 (514 ~ 516) 상에 정지시킬 필요가 없이 접속용 주행레일 (514~516) 중에서 선택된 1 개 위를 통과시켜 일측의 주행레일 (501) 과 타측의 3 개의 주행레일 (502 ~ 504) 중의 1 개를 따라서 연속 주행시킬 수 있다 (도 59 참조).
상기 실시예에서의 주행레일 (501 ~ 504) 은 상기 각 반송 시스템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접속용 주행레일 (514 ~ 516) 은 주행레일 (501 ~ 504) 과 마찬가지로 구동튜브를 구비할 수도 있고, 구동튜브를 생략하고 접속용 주행레일 (514 ~ 516) 상에는 반송체 (550) 를 타성으로 통과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의 반송로 전환기 (500) 는 일측의 1 개의 주행레일 (501) 과 타측의 3 개의 주행레일 (502 ~ 504) 간의 분기 또는 합류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도 6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의 1 개의 주행레일 (501) 과 타측의 2 개의 주행레일 (505, 506) 간의 분기 또는 합류용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한 타측의 주행레일이 4 개 이상이라도 접속용 주행레일의 갯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반송로 전환기 (500) 는 회전식으로서, 접속용 주행레일의 설치에 필요한 스페이스는 이들 회전반경 내에 들어가므로, 케이스 (510) 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1 ~ 도 65 는 반송로 전환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51은 반송로 전환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2 는 도 61 에 나타낸 반송로 전환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63 은 도 61 에 나타낸 반송로 전환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좌측 가장자리면도, 도 64 및 도 65 는 각각 도 61 에 나타낸 반송로 전환기의 진로전환 동작을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먼저, 도 61, 도 64, 도 65 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의 반송로 전환기 (600) 는 일측 (도 61 중 우측) 의 2 열의 주행레일 (601, 602) 과, 타측 (도면 중 좌측) 의 2 열의 주행레일 (603, 604) 간에 형성되고, 2 열의 주행레일을 동시에 평행하게 접속하거나, 일측의 제 1 열째의 주행레일 (601) 과 타측의 제 2 열째의 주행레일 (604) (도 64 참조), 또는 일측의 제 2 열째의 주행레일 (602) 과 타측의 제 1 열째의 주행레일 (603) (도 65 참조) 을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1 ~ 도 6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로 전환기 (600) 는, 케이스 (601) 와, 양 가장자리가 상기 케이스 (601) 내에 도시되지 않은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 회전체 (613) 와, 상기 회전체 (613) 에 형성된 복수 (여기에서는 합계 4 개) 의 접속용 주행레일 (614, 615, 616, 617) 과, 회전체 (613) 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 (618) 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주행로 전환기 (600) 에 의하면, 회전체 (613) 를 구동모터 (617) 로 회전시킴으로써, 접속용 주행레일 (614~617) 을 통하여 일측의 2 열의 주행레일 (601, 602) 과 타측의 2 열의 주행레일 (603 ~ 604) 을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으므로, 반송체 (650) 를 접속용 주행레일 (614 ~ 617) 상에 정지시킬 필요 없이 접속용 주행레일 (614 ~ 617) 중에서 선택된 1 개 위를 통과시켜 연속 주행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의 주행레일 (601 ~ 604) 은 상기 각 반송 시스템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접속용 주행레일 (614 ~ 617) 은 주행레일 (601 ~ 604) 과 마찬가지로 구동튜브를 구비할 수도 있으나, 구동튜브를 생략하고 접속용 주행레일 (614 ~ 617) 상에서는 반송체 (650) 를 타성으로 통과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도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의 태양에만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각 구성 요건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반송 시스템, 반송체, 레일장치, 반송로 전환기는 병원, 고층빌딩, 창고, 공장 등에서의 서류나 물품의 반송용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2)

  1. 반송로를 형성하는 주행레일과, 이 주행레일을 따라 주행레일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가요성의 구동튜브와, 상기 구동튜브를 눌러 찌부러뜨리도록 하여 설치되고, 이 구동튜브에 공급되는 압력매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구동튜브상을 주행하는 구동륜과, 상기 주행레일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부에 맞물리도록 설치된 주행륜과, 상기 구동륜과 주행륜의 축체에 지지된 반송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레일이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된 복수개의 레일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튜브가 각 레일본체의 구간마다 그 측면에 장착됨과 동시에, 서로 인접하는 레일본체의 단부 근방의 측면에 가요성의 환승 구동튜브가 장착되고, 상기 반송체에는 환승 구동튜브에 공급되는 압력매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환승 구동튜브상을 주행하는 환승 구동륜이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레일의 상기 레일본체에는 상기 구동튜브 또는 상기 환승 구동튜브와 접속되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시스템.
  4. 주행레일과,
    상기 주행레일상을 주행하는 주행륜을 갖는 반송체와,
    상기 주행레일에 장착된 가요성의 구동튜브와,
    상기 구동튜브를 눌러 찌부러뜨리도록 상기 반송체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구동튜브에 공급되는 압력매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구동튜브상을 주행하는 구동륜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레일이 수평반송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주벽면과, 수평반송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벽면을 가지며, 상기 구동튜브는 상기 주행레일의 상기 주벽면상에 배열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구동튜브가 상기 주행레일상에 병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레일의 상기 주벽면 또는 측벽면에 상기 주행륜과 걸어 맞춰지는 볼록부가 상기 주행륜의 주행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주행레일이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튜브가 상기 주행레일마다 상기 주벽면에 장착되고, 서로 인접하는주행레일의 단부 근방에서 상기 주행레일의 주벽면에 가요성의 환승 구동튜브가 장착되고, 상기 반송체에는 환승 구동튜브에 공급되는 압력매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환승용 튜브상을 주행하는 환승 구동륜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9. 제 4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구동튜브가 상기 주행레일상에 갈짓자형상으로 번갈아 배열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10. 제 4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레일에는 중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중공로에 상기 구동튜브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륜으로 눌러 찌부러진 상기 구동튜브의 구동륜의 하류측 내부의 유체가 상기 중공로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레일에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튜브에는 상기 오목홈에 끼워 맞춰지는 볼록돌조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과 상기 볼록돌조부의 끼워맞춤에 의해 상기 구동튜브가 상기 주행레일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레일과 상기 구동륜은 상기 구동륜에 의한 상기 구동튜브의 눌러 찌부러뜨림 구간의 양측에 상기 구동튜브의 절곡단부가 각각 튀어나오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14. 섀시와, 상기 섀시에 설치되어 주행레일에 배열설치된 구동튜브를 눌러 찌부러뜨리면서 상기 주행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전동 가능한 구동륜을 가지며, 상기 구동튜브에 공급되는 기체 또는 액체상의 압력매체에 의해 구동륜이 회전구동력을 받도록 구성된 반송 시스템용 반송체에 있어서,
    상기 구동륜의 전후에 있어서 상기 섀시에는 1 쌍의 주행륜 지지 프레임이 각각 자유이음매를 통해 장착되고, 상기 각 주행륜 지지 프레임에는 상기 주행레일을 사이에 두면서 이 주행레일상을 전동하는 복수의 주행륜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륜은 상기 주행레일의 양측을 서로 예각을 이루어 사이에 두면서 상기 주행레일상을 전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주행륜 지지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배열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체.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륜은 상기 섀시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고, 또한 상기 구동튜브를 눌러 찌부러뜨리는 방향에 스프링으로 탄성지지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체.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이음매는 상기 섀시 또는 상기 주행륜 지지 프레임 중 어느 일측에 설치되고 또한 측면이 구면형상을 이룬 구면축과, 상기 섀시 또는 상기 주행륜 지지 프레임 중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면축의 구면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포지하는 구면좌와, 상기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면축의 선단면을 가압하는 스프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체.
  18. 복수의 반송구간을 갖는 주행레일과, 상기 주행레일의 반송구간마다 배열설치되는 복수의 구동튜브와, 상기 각 구동튜브의 일단 또는 타단으로부터 선택적으로 그 내부에 기체 또는 액체상의 압력매체를 공급하거나 또는 압력매체를 배출하기 위한 압력매체 공급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레일상을 주행 가능한 반송체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륜이 상기 구동튜브 내에 공급되는 압력매체에 의해 추력을 받아 상기 구동튜브를 눌러 찌부러뜨리면서 전동하도록 구성된 반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반송구간의 경계부의 전후에 위치하는 상기 구동튜브의 단부에는 각각 환승 파이프의 일단이 삽입되고, 상기 압력매체는 상기 환승 파이프를 통해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튜브 내에 공급되거나 또는 상기 구동튜브 내에서 배출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환승 파이프는 그 일단이 상기 주행레일내에 침입 (沈入) 할 수 있도록 상기 주행레일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동시에, 링크를 통해 서로 연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상기 링크는 상기 1 쌍의 환승 파이프가 상기 주행레일내에침입했을 때 상기 반송구간의 경계부 전후의 상기 구동튜브 사이에서 상기 구동륜을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19. 복수의 반송구간을 갖는 주행레일과, 상기 주행레일의 반송구간마다 배열설치되는 복수의 구동튜브와, 상기 각 구동튜브의 일단 또는 타단으로부터 선택적으로 그 내부에 기체 또는 액체상의 압력매체를 공급하거나 또는 압력매체를 배출하기 위한 압력매체 공급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레일상을 주행 가능한 반송체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륜이 상기 구동튜브 내에 공급되는 압력매체에 의해 추력을 받아 상기 구동튜브를 눌러 찌부러뜨리면서 전동하도록 구성된 반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 구동튜브의 단부는 눌러 찌부러뜨린 상태에서 봉착되어 있고, 각 구동튜브의 단부 근방에 접속관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20. 구동륜을 갖는 반송체를 주행시기키 위한 주행레일과, 이 주행레일의 구동튜브 장착면에 장착되고, 또한 반송체의 구동륜에 의해 눌러 찌부러짐과 동시에, 내부에 공급되는 압력매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구동륜에 회전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튜브를 갖는 반송 시스템용 레일장치로서,
    상기 주행레일에는 상기 구동튜브 장착면에 개구하는 개구부의 폭이 내부의 폭보다도 작은 홈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튜브는 상기 반송체의 상기 구동륜에 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메인튜브와, 상기 홈의 개구부로부터 상기 홈 내에 매립 장착하기 위한 장착튜브를 서로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용레일장치.
  21. 주행레일에 형성된 튜브 장착홈에 구동튜브에 설치되어 있는 장착튜브를 매립하면서 주행레일상을 이동 가능한 구동튜브 장착장치로서,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대차와, 이 대차에 장착되어 주행레일의 홈 상부에서 구동튜브를 좌우에서 끼우는 1 쌍의 안내 롤러와, 이 안내 롤러의 후방에서 상기 대차에 설치되고, 또한 구동튜브를 홈을 향해 누르는 장착 롤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용 구동튜브 장착장치.
  22. 일측의 적어도 하나의 주행레일과 타측의 복수의 주행레일 사이에 배열설치되는 회전체와, 이 회전체에 설치된 복수의 접속용 주행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용 주행레일은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일단이 상기 일측의 주행레일에 접속됨과 동시에, 타단이 상기 타측의 주행레일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용 주행로 전환기.
KR1020007014587A 1999-04-21 1999-04-21 반송 시스템 KR1006913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9/002128 WO2000064720A1 (fr) 1999-04-21 1999-04-21 Systeme de transfe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132A true KR20010106132A (ko) 2001-11-29
KR100691301B1 KR100691301B1 (ko) 2007-03-12

Family

ID=14235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4587A KR100691301B1 (ko) 1999-04-21 1999-04-21 반송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564722B1 (ko)
EP (1) EP1101682B1 (ko)
JP (1) JP4196539B2 (ko)
KR (1) KR100691301B1 (ko)
CN (1) CN1292947C (ko)
AT (1) ATE409629T1 (ko)
DE (1) DE69939652D1 (ko)
WO (1) WO20000647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49081B2 (en) * 2000-06-21 2008-11-1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improving the emission of electron field emitters
TWI233913B (en) * 2002-06-06 2005-06-11 Murata Machinery Ltd Automated guided vehicle system
US6971318B2 (en) * 2004-04-28 2005-12-06 Coakley David B Passive monorail switch for a box shaped track
NL2005398C2 (en) * 2010-09-27 2012-03-28 Handicare Stairlifts B V Friction drive lift.
EP2789866A4 (en) * 2011-12-05 2016-01-20 Beltran Andrés Ernesto Salguero COMPACT LINEAR ROLLER GUIDE
CN105000338A (zh) * 2014-04-25 2015-10-28 徐建宁 气囊导轨
CN104084366B (zh) * 2014-06-10 2015-08-12 长兴宏能电热膜元件厂 一种电热管烘烤方法
CN104084367B (zh) * 2014-06-10 2015-08-12 长兴宏能电热膜元件厂 电热管烘烤装置
CN104555311A (zh) * 2014-12-24 2015-04-29 厦门赛恩机电科技有限公司 地面双轨自动导航车用挤压铝合金轨道
EP3098085A1 (de) 2015-05-28 2016-11-30 Schoeller Technocell GmbH & Co. KG Transfer-material für den sublimationsdruck
TWI542797B (zh) * 2015-08-03 2016-07-21 精浚科技股份有限公司 線性滑軌及其導輪座組件
CN205010926U (zh) * 2015-08-20 2016-02-03 江苏华安科研仪器有限公司 一种机械式运输底座
CN105460534B (zh) * 2015-12-29 2018-10-26 青岛百瑞吉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温室大棚内部运输装置
IT201600091512A1 (it) 2016-09-12 2018-03-12 Marchesini Group Spa Sistema di trasporto
PL3323624T3 (pl) * 2016-11-16 2019-04-30 Schoeller Technocell Gmbh & Co Kg Adhezyjny mikroporowy materiał transferowy
CN106629004A (zh) * 2016-11-28 2017-05-10 无锡特恒科技有限公司 双滑台穿梭机构
CN106986148B (zh) * 2017-05-31 2022-08-19 佛山市工芯精密机械有限公司 两个滚轮构成一个滑块的导轨装置
CN109987114B (zh) * 2017-12-29 2022-02-0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用于输送单轨车辆的移载车
CN109435972A (zh) * 2018-12-05 2019-03-08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红河供电局 单轨道机器人行走装置
EP3696124B1 (en) 2019-02-18 2021-11-10 Valmet Technologies Oy Reeling shaft transfer rail system and method of transferring reeling shafts on a reeling shaft transfer rail system
CN110451191B (zh) * 2019-08-30 2021-01-22 合肥市兴烨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轨道式搬运装置
US11215224B2 (en) * 2020-04-01 2022-01-04 Punching Concepts, Inc. Rolling apparatus with profiled V-guide
CA3206643A1 (en) * 2020-12-29 2022-07-07 Riino Inc. Track structure with hollow center rail usable as ventilation duct
CN112499148B (zh) * 2021-02-07 2021-04-27 上海建工四建集团有限公司 一种材料水平运输装置
HRP20240345T1 (hr) 2021-03-02 2024-05-24 Felix Schoeller Gmbh & Co. Kg Prijenosni materijal za sublimacijski tisak na bazi papira, koji je nosač koji služi kao barijera za tinte
JP2023078566A (ja) * 2021-11-26 2023-06-07 日本トムソン株式会社 直曲案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8807A (en) * 1911-02-27 1913-07-29 Michael D Murray Switching appliance.
US1800722A (en) * 1927-12-15 1931-04-14 Elmer R Edson Railway crossover
GB1053150A (ko) * 1963-12-17 1900-01-01
US3635166A (en) * 1970-06-23 1972-01-18 Billy L Peterson Route-changing device especially for a supported-type monorail system
US3805705A (en) * 1970-07-15 1974-04-23 Rockwell International Corp Fluid pressure device
JPS5052713A (ko) * 1973-09-12 1975-05-10
FR2318769A1 (fr) * 1975-07-25 1977-02-18 Francaise Convoyeurs Sa Propulsion de charges roulantes par tuyaux sous pression
JPS6118974U (ja) * 1984-07-09 1986-02-03 日立造船株式会社 走路切換装置
JPS61115766A (ja) * 1984-11-09 1986-06-03 松本 良三 駆動システム機構
JPH01297364A (ja) * 1988-05-25 1989-11-30 Masaya Nagashima 搬送装置
JP2849782B2 (ja) * 1991-06-01 1999-01-27 新明工業株式会社 エア駆動式の搬送装置
DE4313074A1 (de) * 1993-04-21 1994-10-27 Schaeffler Waelzlager Kg Führungsschiene für rollende Lastenträger
JPH07156795A (ja) * 1993-12-06 1995-06-20 Kilony Sangyo Kk 台車ユニット
DE4416934C1 (de) * 1994-05-13 1995-07-27 Continental Ag Druckmittelbetätigter Linearantrieb
JPH08171889A (ja) 1994-12-19 1996-07-02 Fuji Photo Film Co Ltd 電源ユニット
DE19512078C2 (de) * 1995-04-03 2001-09-13 Schueco Int Kg Transportsystem
JPH0975387A (ja) * 1995-09-13 1997-03-25 Kiribai Kagaku Kk カイロ
US5735214A (en) * 1996-12-27 1998-04-07 Tsuboi; Nobuyuki Streamline track system with carriers and rail
FR2765521B1 (fr) * 1997-07-02 1999-09-24 Heidelberger Druckmasch Ag Dispositif d'engagement de bandes de papier dans des machines rotatives a impri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92947C (zh) 2007-01-03
ATE409629T1 (de) 2008-10-15
EP1101682B1 (en) 2008-10-01
EP1101682A1 (en) 2001-05-23
KR100691301B1 (ko) 2007-03-12
EP1101682A4 (en) 2004-12-22
JP4196539B2 (ja) 2008-12-17
US6564722B1 (en) 2003-05-20
CN1312761A (zh) 2001-09-12
DE69939652D1 (de) 2008-11-13
WO2000064720A1 (fr) 200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1301B1 (ko) 반송 시스템
CA2190271C (en) Tilting tray package sorting apparatus
US6446782B1 (en) Shuttle top diverter
CA2038024C (en) Drive system roller apparatus
US6907983B2 (en) Conveying device for conveying stock on pallets or the like with change of direction
JPS5957060A (ja) 搬送物の受渡し装置
JP3801918B2 (ja) 往復作動単一ベローを含む傾倒トレー・コンベヤ
EP1081065A1 (en) Trolley with passive discharge mechanism
JP2000079878A (ja) キャリア式搬送装置
US5086908A (en) Apparatus for moving bins simultaneously in arcuate and linear paths
CN101715422A (zh) 悬浮装置及悬浮输送装置
JPH11115754A (ja) 搬送装置
JPH082623A (ja) 駆動ローラコンベヤならびに駆動ローラコンベヤ使用の棚設備
CN220738553U (zh) 一种具有物料感应输送的分拣机
JPH07277409A (ja) 搬送装置
CN219135507U (zh) 一种离合式动力传动机构
JP2597216B2 (ja) ローラコンベヤ
CN210676011U (zh) 输送装置及轴承密封自动分拣设备
JP2982904B2 (ja) ローデイング・アンローデイング装置
JPH0344730Y2 (ko)
JP2504181Y2 (ja) 搬送装置
JP2023037277A (ja) 物品搬送車
JPH0351203A (ja) 搬送装置使用の棚設備
JPS63272705A (ja) ロ−ラコンベヤの動力継断装置
JPH06247291A (ja) 流体圧駆動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