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5259A - 전동식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식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5259A
KR20010105259A KR1020010027110A KR20010027110A KR20010105259A KR 20010105259 A KR20010105259 A KR 20010105259A KR 1020010027110 A KR1020010027110 A KR 1020010027110A KR 20010027110 A KR20010027110 A KR 20010027110A KR 20010105259 A KR20010105259 A KR 20010105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m
shaft portion
drive gear
pressing body
rad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7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2198B1 (ko
Inventor
킨메시게타카
야마모토타츠히로
이마가키스스무
사노오사무
오카쿠니히로
타케이토모유키
코바야시마사노리
이토요시오
오츠카타츠오
Original Assignee
이노우에 히로시
코요 세이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0288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02194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0575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037094A/ja
Application filed by 이노우에 히로시, 코요 세이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노우에 히로시
Publication of KR20010105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5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1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9Electric motor acting on the steering colum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9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97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several liquids from different source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F16H2057/0213Support of worm gear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12Arrangements for adjusting or for taking-up backlash not provided for elsewhere
    • F16H2057/126Self-adjusting during operation, e.g.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22Toothed members; Worms for transmissions with crossing shafts, especially worms, worm-gears
    • F16H55/24Special devices for taking up backla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642Directly cooperating gears
    • Y10T74/19698Spiral
    • Y10T74/19828Worm
    • Y10T74/19842Distribution of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Gears, Ca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타보조용 모터의 회전에 연동하는 웜이 가지는 축부의 레이얼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고, 웜을 웜휠방향으로 누르는 누름체(押壓體)를 구비하고, 누름체에 축부의 2개의 주방향위치에 맞닿는 V자형의 맞닿음부(當接部)와, 누름체가 축부의 레이디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는 환상의 탄성체를 설치한 전동식조향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동식조향장치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동식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타보조력의 발생원으로서 모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전동식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조향은, 자동차 내부에 배치된 조타륜의 회전동작을, 조타용 차륜(일반적으로는 전륜)의 조향을 위해서 차동차 외부에 배치된 조타기구에 전달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전동식 조향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감속기구부분의 단면도이다.
자동차용 전동식조향장치로서는, 도 1 에 나타내듯이 예를 들면, 조향을 위한 조타륜(100)에 상단이 연결되는 제 1 조타축(101)과, 제 1 조타축(101)의 하단에 토션바(102)를 통해서 그 상단이 동축적으로 연결되고, 그 하단이 차륜에 이어지는 조향기구에 연결되는 제 2 조타축(103)과, 조타륜(100)을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제 1 조타축(101)에 가해지는 토오크를 토션바(102)에 발생하는 비틀림에 의해서 검출하는 토오크센서(104)와, 토오크센서(104)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구동되는 조타보조용 모터(105)와, 모터(105)의 출력축에 연결되고, 출력축의 회전을 감속하여 제 2 조타축(103)에 전달하는 웜(106) 및 웜휠(107)를 가지는 감속기구를 구비하고, 조타륜(100)의 회전에 따른 조향기구의 동작을 모터(105)의 회전에 의해 보조하고, 조향을 위한 운전자의 노력부담을 경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감속기구를 구성하는 웜(106)은, 도 2 와 같이 한쌍의 구름베어링(108, 108)을 통해서 하우징(110)의 끼워맞춤구멍에 지지되어 있고, 웜휠(107)이 설치되어 있는 제 2 조타축(103)은 한쌍의 구름베어링(109, 109)를 통해서 하우징(110)의 끼워맞춤구멍에 지지되어 있고, 웜(106) 및 웜휠(107)의 레이디얼(원심) 방향 및 액셜(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고 있다.
이와 같이 웜(106) 및 웜휠(107)이 이용된 조향장치에서는, 그 이맞물림부(치합부가)의 백래시량이 클 때는 백래시 음(소리)이 발생하고, 백래시음이 자동차의 실내로 들어오게 된다. 그래서, 웜(106) 및 웜휠(107)의 이맞물림부의 백래시량을 적게 하여, 백래시에 의한 비팅사운드(beating sound)를 없애기 위해, 웜(106) 및 웜휠(107)의 회전중심간 거리와, 구름베어링(108, 109)이 끼워 맞추어지는 끼워맞춤구멍의 중심간 거리가 허용범위내에서 일치하도록 가공된 웜(106), 웜휠(107), 구름베어링(108, 109), 제 2 조타축(103), 하우징(110)이 선택되어 조립되어 있지만, 이 조립에 많은 시간을 요하게 된다. 더욱이, 이 조립후, 웜(106) 및 웜휠(107)에 고부하를 가하여 회전하고, 그 이맞물림부를 순응시키는 부하작업이 이루어 지고 있지만, 이 부하작업에 많은 시간을 요하게 되어, 그 개선책이 요망되고 있었다.
또, 웜(106) 및 웜휠(107)의 이(齒)의 마모가 증대하거나, 합성수지제인 웜휠(107)의 분위기 온도가 변화하거나, 웜휠(107)이 습기를 흡수하는 것에 의해서 백래시량이 증가한다. 더욱이, 이맞물림부의 토오크가 혼란해지게 되고,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선택하여 조립되는 것에 의해 재고가 많아진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모터측 축부가 구름베어링을 통해서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웜의 모터와 반대측 축부를 레이디얼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그 축부에 끼워 맞추어진 베어링의 주면에 맞닿아서 그 베어링을 이동시키고, 웜을 웜휠방향으로 누르는 탄성체 등의 누름(押壓)수단을 설치하고, 누름수단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회전중심간 거리를 조정하고, 백래시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전동식조향장치를 제안하고 있다(특개 2000 - 43739호).
또, 이 특개 2000 - 43739호에는, 모터와 반대측 축부가 구름베어링을 통해서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웜의 모터측 축부를 레이디얼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그 축부에 끼워맞추어진 베어링의 주면에 맞닿아서 그 베어링을 이동시키고, 웜을 웜휠방향으로 누르는 누름수단을 설치하는 동시에, 웜의 모터측 축부와 모터의 출력축의 연결부를 등속조인트로 연결하는 것에 의해, 웜을 모터와 반대측 축부가 지지되는 베어링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가능하게 하고, 누름수단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회전중심간 거리를 조정하여, 백래시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전동식조향장치도 기재되어 있다.
한편, 실공평 2 - 8124호공보에 기재되는 것과 같이, 웜의 일단의 축부에 끼워 맞추어진 베어링이 삽입되는 삽입구멍을 가지고, 축부의 레이디얼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누름수단을 설치하고, 누름수단에 의해 웜을 웜휠방향으로 누르도록 구성되거나, 웜의 2개의 주방향 위치에 맞닿는 한쌍의 롤러를 가지고, 웜의 레이디얼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누름수단을 설치하고, 누름수단에 의해 웜을 웜휠방향으로 누르도록 구성된 웜식 감속기가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종래의 누름수단은 웜을 수용하는 하우징에 설치한 안내구멍 내에서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대해서, 감속기구의 웜휠(107) 등은 회전중심선에 대해 그 잇줄이 회전방향으로 비틀어져 있다. 따라서, 웜(106)에서 웜휠(107)로 회전토오크가 가해질 때, 다시말하면, 모터(105)의 회전에 의해서 조타보조할 때, 웜(106)이 웜휠(107)의 잇줄을 따라서 레이디얼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비교적 커다란 분력이 발생하고, 그 분력에 의해 웜(106)이 레이디얼방향으로 강하게 눌러지게 된다. 이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누름수단을 이용하여 백래시량을 적게하도록 구성된 종래의 전동식조향장치에서는, 웜(106)에 가해지는 누름력(분력)에 의해서 누름수단이 안내구멍 내에서 그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누름수단이 안내구멍에 맞닿아서 소리가 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특개평 2000 - 43739호의 전동식조향장치는, 안내구멍 내에 설치된 누름수단이, 웜의 일단의 축부에 끼워 맞추어지고, 레이디얼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있는 베어링의 주면에 맞닿게 하고 있을 뿐이고, 누름수단은 베어링이 누름수단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저지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누름수단이 웜을 웜휠를 향해서 누르고, 웜의 회전중심선이 비누름시(누르지 않았을 때)의 회전중심선에 대해서 경사한 상태로 조타보조할 때, 상술한 레이디얼방향으로의 분력에 의해서 누름시(눌렀을 때)의 회전중심선에 대해서 웜이 레이디얼방향으로 움직이고, 웜이 편심회전, 다시말하면, 변칙회전하게 되고, 이맞물림부의 이맞물림 불량 및 불균일한 토오크가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도 있다. 또, 웜의 축부에 끼워 맞추는 베어링 및 베어링의 주면에 맞닿는 누름수단이 필요하게 되어, 부품점수가 많아져 고코스트의 요인이 된다는 문제도 있다.
또, 실공평 2 - 8124호공보의 웜식 감속기는, 일단부(一端部)가 안내구멍 내에 설치되고, 타단부가 안내구멍에서 외측으로 연출(延出)된 누름수단의 타단부에 웜의 일단의 축부를 끼워맞추어 지지, 다시말하면, 안내구멍에 대해서 축부를 오버행 지지하거 나, 또는, 안내구멍에서 외측으로 연출된 타단부가 한쌍의 롤러를 통해서 웜을 지지하고 있다. 축부 또는 웜이 누름수단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저지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누름수단이 웜을 웜휠방향으로 누르고, 웜의 회전중심선이 누르지 않았을 때의 회전중심에 대해서 경사한 상태에서 조타보조할 때, 상술한 레이디얼방향으로의 분력에 의해서 누름시의 회전중심선에 대해서 웜이 레이디얼방향으로 움직이고, 웜이 편심회전, 다시 말하면 변전(변칙회전)하게 되어, 이맞물림부의 이맞물림 불량 및 불균일한 토오크가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도 있다. 또, 누름수단에 한쌍의 롤러를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부품점수가 많아져서 고코스트의 요인이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특개 2000 - 43739호의 전동식조향장치에서는, 조향륜의 연석에 올라앉는 것에 의해서 조향륜에서 조타축을 통해서 역입력 하중이 전달된 경우, 웜이 웜휠을 향해서 레이디얼방향으로 이간하도록 눌러지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누름수단에 의해서 백래시량을 적게하도록 한 전동식조향장치에서는, 역입력 하중이 웜에서 누름수단으로 가해지고, 누름수단이 과잉하게 탄성변화하는 동시에, 웜의 회전중심이 과잉하게 경사하여, 웜의 타단을 지지하는 구름베어링에 걸터앉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웜이 파손할 가능성이 있었다.
또, 특개 2000 - 43739호의 전동식조향장치에서는, 웜의 일단측 축부가 레이디얼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타단측 축부는 일반적인 구름베어링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있을 뿐이기 때문에, 누름수단에 의한 상기 회전중심간 거리의 조정마진은 일반적인 구름베어링의 코너여유(corner clearance), 다시말하면, 구름베어링의 내륜의 경사각에 의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중심간 거리의 조정마진, 나아가서는, 조향륜이 연석에 올라앉는 것에 의해서 조향륜에서 조타축을 통해서 웜에 역입력하중이 전달된 경우, 웜의 누름수단측이 웜휠에 대해서 레이디얼방향으로 이간 이동하여, 웜이 요동하게 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중심간 거리의 조정마진이 베어링의 코너여유에 의존하는 전동식조향장치에서는, 역입력하중에 의해서 웜의 요동량이 비교적 많아지게 되는 경우, 웜의 타단을 지지하는 구름베어링에 걸터앉는 현상이 발생하여, 구름베어링이 파손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저코스트로 소리를 제거할 수 있는 전동식조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술한 것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역입력하중에 의한 누름수단, 베어링, 웜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식조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 1 발명의 전동식조향장치는, 조타보조용 모터의 회전에 연동하고, 레이디얼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축부를 가지는 구동기어와, 구동기어에 맞물리고, 조향기구에 연결되는 종동기어와, 축부를 레이디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구동기어를 종동기어방향으로 누루는 누름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누름체(押壓체, pressing body)는 축부의 주면에 맞닿는 맞닿음부(당접부)를 가지고 있고, 누름체의 주변에, 누름체가 레이디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는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기어가 종동기어의 잇줄을 따르도록 레이디얼방향으로 눌러지고, 이 누름력이 누름체에 가해졌을 때, 누름체의 주변에 설치된 탄성체에 의해서 누름체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누름체가 움직여 하우징에 맞닿아서 내는 소리를 없앨 수 있다. 더구나, 누름체가 구동기어의 축부에 맞닿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베어링에 맞닿는 누름체, 롤러를 이용한 것에 비교해서 부품점수를 적게할 수 있어서,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제 1 발명의 전동식조향장치에서는, 맞닿음부는 누름체의 상기 레이디얼방향의 대략 중간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탄성체는 상기 레이디얼방향에 떨어져서 설치되어 있다. 구동기어가 종동기어의 잇줄을 따르도록 레이디얼방향으로 눌러지고, 이 누름력이 누름체에 가해졌을 때, 탄성체에 의해서 누름체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누름체가 기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누름체의 상기 레이디얼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제 2 발명의 전동식조향장치는, 조타보조용 모터의 회전에 연동하고, 레이디얼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축부를 가지는 구동기어와, 구동기어에 맞물리고, 조향기구에 연결되는 종동기어와, 축부를 레이디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구동기어를 종동기어방향으로 누루는 누름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누름체는 축부의 적어도 2개의 주방향위치에 맞닿는 맞닿음부를 가지고 있다. 축부의 2개의 주방향위치에 맞닿음부가 맞닿아서 구동기어를 종동기어방향으로 누르고 있기 때문에, 구동기어가 종동기어의 잇줄을 따르도록 레이디얼방향으로 눌러졌을 때, 축부가 누름체에 대해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축부와 누름체의 부딪침에 의한 소리를 없앨 수 있다. 또 누름체가 구동기어의 축부에 맞닿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베어링에 맞닿는 누름체, 롤러를 이용한 것에 비교해서 부품점수를 적게할 수 있어서,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제 2 발명의 전동식조향장치에서, 맞닿음부는 누름체의 상기 레이디얼방향의 대략 중간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레이디얼방향에 떨어지고, 누름체가 상기 레이디얼방향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기어가 종동기어의 잇줄에 따르도록 레이디얼방향으로 눌러지고, 이 누름력이 누름체에 가해졌을 때, 탄성체에 의해서 누름체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누름체가 경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누름체를 상기 레이디얼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제 3 발명의 전동식조향장치는, 조타보조용 모터의 회전에 연동하고, 레이디얼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축부를 가지는 구동기어와, 구동기어에 맞물리고, 조향기구에 연결되는 종동기어와, 축부를 레이디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구동기어를 종동기어방향으로 누루는 누름체와, 누름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구멍이 설치된 안내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누름체는, 안내구멍을 따르는 상기 레이디얼방햐의 대략 중간위치에 축부가 끼워맞추어진 끼워맞춤구멍을 가지고, 끼워맞춤구멍을 사이에 두고 상기 레이디얼방향의 양단부 위치에 안내구멍에 접촉하여 상기 레이디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저지하는 움직임저지부를 가지고 있다.
구동기어의 축부가 끼워 맞추어진 끼워맞춤구멍에 대해 누름체의 안내구멍을 따른 상기 레이디얼방향의 양단부 위치에 설치된 움직임저지부가 안내구멍에 접촉하고, 누름체가 상기 레이디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저지하여, 축부를 안내구멍에 대해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누름체가 웜을 웜휠을 향해서 누르고, 웜의 회전중심이 누르지 않았을 때의 회전중심선에 대해서 경사한 상태로 조타보조할 때, 상술한 레이디얼방향으로의 분력에 의해서 누름시의 회전중심선에 대해서 웜이 레이디얼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웜의 변칙회전을 방지할 수 있어서, 이맞물림부를 양호하게 맞물리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불균일한 토오크를 없앨 수 있다. 또, 누름체가 축부를 지지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베어링을 이용하여 축부를 지지하도록 한 것에 비교해서 부품점수를 적게할 수 있어서, 코스트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3 발명의 전동식조향장치에서, 끼워맞춤구멍 부분에는 축부의 축방향으로 미끄러짐을 허용하는 미끄럼베어링이 설치되어 있다. 웜의 축부가 미끄럼베어링에 끼워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웜에 가해지는 레이디얼방향의 누름력의 분력이 축방향에 전달되었다고 하더라도, 웜을 축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서, 웜의 회전저항을 적게할 수 있다.
제 3 발명의 전동식조향장치에서, 끼워맞춤구멍 및 축부 사이에, 끼워맞춤구멍의 중심에 대해서 축부의 경사를 허용하는 틈새가 설치되어 있다. 누름체가 웜을 웜휠방향으로 누르고, 웜의 회전중심선이 비누름시의 회전중심선에 대해서 경사한 상태로 조타보조할 때, 웜의 축부를 양호하게 경사시킬 수 있어서, 웜의 회전저항을 적게할 수 있다.
제 4 발명의 전동식조향장치는, 조타보조용 모토의 회전에 연동하고, 레이디얼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구동기어와, 구동기어에 맞물리고, 조향기구에 연결되는 종동기어와, 구동기어를 종동기어방향으로 누루는 누름체와, 구동기의 종동기어에 대한 격리이동을 제한하는 제한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누름체에 의해서 이맞물림부의 백래시량을 적게할 수 있고, 더구나, 구동기어에 가해진 역입력하중을 누름체와는 별개로 설치된 제한수단이 부담하여, 구동기의 종동기어에 대한 격리이동을 제한하기 때문에, 역입력하중에 의한 누름체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어서, 구동기어를 지지하는 베어링에 걸터 앉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웜이 파손하는 것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 5 발명의 전동식조향장치는, 제 4 발명에서, 구동기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르르 구비하고 있고, 제한수단은 구동기어 및 지지부재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어 있다. 구동기어의 지지부재에 제한수단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제한수단의 구조를 간소하게 할 수 있고, 제한수단의 가공, 조립작업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어서, 비교적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제 6 발명의 전동식조향장치는, 제 5 발명에서, 구동기어는 축방향 일단에 축부를 구비하고 있고, 지지부재는 축부가 삽입되는 오목구멍(凹孔) 및 오목구멍의내측에 면하고, 누름체를 지지한 지지구멍을 가지고 있고, 제한수단은 축부 및 오목구멍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설치되어 있다. 구동기어의 축부 및 축부가 삽입되는 오목구멍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제한수단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한수단을 비교적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어서, 제한수단에 의한 감속기구부분의 대형화를 피할 수 있다.
제 6 발명의 전동식 조향장치에서, 제한수단은 오목구멍의 내측에 장착된 링이다. 구동기어의 축부가 삽입되는 비교적 소형치수의 오목구멍에 링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기어의 기존의 지지구조를 바꾸는 일 없이 제한수단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제 6 발명의 전동식조향장치에서, 제한수단은 축부와 일체로 형성된 후경부(太徑部, thicker-diameter portion)이다. 구동기어의 축부를 가공할 때, 축부와 함께 제한수단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제한수단의 조립작업이 필요없게 되어, 더 한층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제 6 발명의 전동식조향장치에서, 제한수단은 축부에 장착된 링이다. 구동기어의 축부에 링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기어의 기존 지지구조를 바꾸는 일 없이 제한수단을 간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제 7 발명의 전동식조향장치는, 조타보조용 모터의 회전에 연동하고, 하우징내에 베어링을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구동기어와, 구동기어에 맞물리고, 조향기구에 연결되는 종동기어와, 구동기어의 유단측(遊端側, 자유단측, free end side)에서 구동기어를 종동기어방향으로 누르는 누름체를 구비하고 있고, 베어링의내주측부분 및 외주측 부분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구동기어의 요동을 허용하는 볼록부(凸部, convex)가 설치되어 있다.
웜을 하우징 내에 지지하는 베어링의 내주측 부분 및 외주측 부분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설치되 볼록부가 구동기어의 요동을 허용하기 때문에, 구동기어를 레이디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누름체에 의해서 웜을 요동시킬 수 있고, 백래시량의 조정마진을 많게 할 수 있다. 또, 역입력하중이 구동기어에 전달되었을 경우, 볼록부를 지점으로 하여 베어링의 코너여우 이상의 요동각도로 구동기어를 요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역입력하중에 의한 베어링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제 7 발명의 전동식조향장치에서, 하우징 및 구동기어는 베어링이 끼워 맞추어지는 끼워맞춤부를 가지고 있고, 볼록부는 끼워맞춤부의 축방향의 단면형상이 호상(弧狀)이 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하우징 및 구동기어의 끼워맞춤부가 호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특별 부품이 필요없게 되어,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고, 더구나, 기존 베어링을 사용할 수 있고, 게다가, 구동기어의 축방향 길이를 비교적 짧게 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전동식조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종래의 전동식조향장치의 감속기구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조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조향장치의 제 1 실시예의 감속기구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4의 A - A선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조향장치의 제 2 실시예의 감속기구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6의 B - B선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조향장치의 제 3 실시예의 감속기구와 모터와의 연결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조향장치의 제 4 실시예의 감속기구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0 은 도 9의 C - C선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1 은 도 9의 D - D선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조향장치의 제 4 실시예의 감속기구부분의평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조향장치의 제 5 실시예의 감속기구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4 는 도 13의 E - E 선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조향장치의 제 6 실시예의 감속기구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6 은 도 15의 F - F 선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조향장치의 제 6 실시예의 감속기구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조향장치의 제 7 실시예의 감속기구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9 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조향장치의 제 8 실시예의 감속기구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20 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조향장치의 제 9 실시예의 감속기구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2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조향장치의 제 10 실시예의 감속기구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22 는 도 21 의 G - G 선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23 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조향장치의 제 10 실시예의 감속기구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24 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조향장치의 제 11 실시예의 감속기구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25 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조향장치의 제 12 실시예의 감속기구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
1 : 조타륜 2 : 제 1 조타축
3 : 토션바 4 : 제 2 조타축
5 : 토오크센서 6 : 모터
7 : 감속기구 8 : 모터
8a : 제 1 수용부 8b : 제 2 수용부
8c : 제 3 수용부 9, 19, 59, 90 : 누름체(pressing body)
10, 18 : 스냅링 11 : 구름베어링
12 : 실린더 13, 23, 24, 46, 49, 51 : 탄성체
14, 47 : 부세수단 15 : 조정나사
17, 25 : 덮개체 60 : 출력축
71 : 웜 71a,71b : 축부
72 : 웜휠 80 : 안내부재
83 : 환상홈 84 : 안내구멍
91, 91a : 맞닿음부 92 : 삽입구멍
94 : 끼워맞춤구멍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조향장치의 단면도이다. 전동식조향장치는, 일단이 조향을 위한 조타륜(1)에 연결되고, 타단에 원통부를 가지는 제 1 조타축(2)과, 그 원통부 내에 삽입되고 그 일단이 제 1 조타축(2)의 타단에 동축적으로 연결되고, 조타륜(1)에 가해지는 조타토오크의 작용에 의해서 비틀리는 토션바(3)와, 그 일단부가 그 원통부의 주변에 삽입되고, 그 타단이 토션바(3)의 타단에 동축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조타축(4)과, 토션바(3)의 비틀림에 따른 제 1 및 제 2 조타축(2,4)의 상대회전변위량에 의해서 조타륜(1)에 가해지는 조타토오크를 검출하는 토오크센서(5)와, 토오크센서(5)가 검출한 토오크에 의거하여 구동되는 조타보조용 모터(6)와, 모터(6)의 회전에 연동하고, 그 회전을 감속하여 제 2 조타축(4)에 전달하는 구동기어(이하, '웜' 이라 한다)(71) 및 종동기어(이하, '웜휠' 이라 한다)(72)를 가지는 감속기구(7)과, 토오크센서(5) 및 감속기구(7)가 수용되는 하우징(8)를 구비하고, 이 하우징(8)에 모터(6)이 장착되어 있다.
하우징(8)은, 토오크센서(5)를 수용하는 제 1 수용부(8a)와, 제 1 수용부 (8a)에 연속하고, 웜휠(72)를 수용하는 제 2 수용부(8b)와, 제 2 수용부(8b)에 연속하고, 웜(71)을 수용하는 제 3 수용부(8c)를 구비하고 있고, 이 제 3 수용부(8c)에 연동하는 케이스를 가지는 모터(6)이 하우징(8)에 장착되어 있다.
도 4 는 감속기구부분의 단면도이다. 제 3 수용부(8c)는 웜(71)의 축방향으로 길게 되어 있고, 그 긴쪽방향 일단에, 웜(71)의 일단에 설치된 축부(71a)가 삽입되는 오목구멍(81) 및 오목구멍(81)의 내면에 면하고, 축부(71a)의 레이디얼방향을 향해서 뚫어 설치된 원주형의 안내구멍(84)를 가지는 안내부재(80)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 제 3 수용부(8c)의 타단에는 끼워맞춤구멍(82) 및 끼워맞춤구멍 (82)에 연속하는 환상홈(annula groove)(83)이 설치되고, 환상홈(83)에 스냅링 (snap ling) (10)이 끼워맞추어져 있다.
감속기구(7)는, 모터(6)의 출력축(60)에 연결되는 웜(71)과, 제 2 조타축(4)의 중간에 끼워맞춰 고정되고, 조향기구에 연결되는 웜휠(72)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웜(71) 및 웜휠(72)의 이맞물림에 의해 출력축(60)의 회전을 감속하여 제 2 조타축(4)로 전달하고, 제 2 조타축(4)에서 유니버셜조인트를 거쳐, 예를 들면 래크피니언식의 조향기구(미도시)로 전달하도록 하고 있다.
웜(71)은 제 2 조타축의 축심(軸芯, core)과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그 양단에 축부(71a, 71b)가 설치되어 있다. 일단의 축부(71a)는 오목구멍(81)에 삽입되고, 게다가 안내구멍(84)에 축방향 이동가능하게 수용된 누름체(押壓體)(9)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타단의 축부(71b)는 구름베어링(11)을 통해서 끼워맞춤구멍(8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있고, 환상홈(83)에 끼워 맞추어진 스냅링(10)에 의해서 구름베어링(11)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하고 있다. 또, 타단의 축부(71b)가 실린더(12)의 내면에 스플라인 끼워맞춤되어 출력축(60)에 연결되어 있다. 축부(71b)는 도 4 와 같이 그 주면이 축심에 대해 볼록형으로 완곡하고 있고, 이 완곡주면을 중심으로 하여 웜(71)을 요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5 는 도 4의 A - A 선의 확대단면도이다. 누름체(9)는 합성수지재료에 의해서 원주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축방향의 대략 중간위치, 다시말하면, 안내구멍(84)을 따라서 이동하는 이동방향(축부(71a)의 레이디얼 방향)의 대략 중간위치에 축부(71a)의 주면에 맞닿는 맞닿음부(91)를 가지고 있다. 또, 축부(71a)가 삽입되는 삽입구멍(92)이 누름체(9)에 설치되어 있고, 맞닿음부(91)에 대해 상기 이동방향의 양측위치에, 누름체(9)가 상기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는 환상의 탄성체(13, 13)가 설치되어 있다. 이밖에, 누름체(9)는 소직경부와 대직경부를 가지고, 이 소직경부 및 대직경부에 탄성체(13, 13)를 설치하고 있지만, 이밖에 전체길이에 걸쳐서 거의 같은 직경이라도 좋으며, 그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탄성체(13, 13)는 합성고무제의 O(오)링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누름체(9)의 주면에 격리하여 형성된 한쌍의 환상홈(93, 93)에 끼워져 있고, 탄성체(13, 13)가 안내구멍(84)의 내면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누름체(9)의 상기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있다. 맞닿음부(91)는 축부(71a)의 적어도 2개의 주방향위치에 맞닿도록 거의 V자형의 경사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맞닿음부(91)가 축부(71a)에 맞닿은 상태에서 누름체(9)를 축부(71a)의 레이디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웜(71)을 웜휠(72)방향으로 누르도록 하고 있다. 또, 누름체(9)는 부세수단(付勢手段, energizing means)(14)은 코일스프링 등의 탄성체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안내구멍(84)의 개방연부(開方緣部)에 나사고정된 조정나사(15)와 누름체(9) 사이에 개재(介在)되어 있고, 부세수단(14)의 힘에 의해서 누름체(9)의 맞닿은부(91)를 비교적 작은 힘으로 축부(71a)로 눌러, 웜(71)을 웜휠(72)과의 이맞물림점으로 부세하고 있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웜(71)를 편입하는 경우, 조정나사(15)의 조작에 의해 누름체(9)를 이동시키고, 웜(71)을 웜휠(72)에 접속시켜, 웜휠(72)를 회전시켜서 백래시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하는 것에 의해서 웜(71) 및 웜휠(72)의이맞물리부의 백래시량을 없앨 수 있다.
조타보조에 의해서 웜(71)이 웜휠(72)의 잇줄을 따르도록 레이디얼방향으로 눌러지고, 이 누름력이 축부(71a)에서 누름체(9)의 맞닿음부(91)에 가해졌을 때, 누름체(9)의 주면에 설치된 탄성체(13, 13)에 의해서 누름체(9)의 누름력에 의한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누름체(9)가 하우징(8)의 안내구멍(84)에 맞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 맞닿음에 의한 소리를 없앨 수 있다. 더구나, 누름체(9)의 맞닿음부(91)는 축부(71a)의 2개의 주방향위치에 맞닿고 있기 때문에, 다시말하면, 2점 접촉으로 축부(71a)를 누르고 있기 때문에, 웜(71)에 누름력이 가해졌을 때, 축부(71a)가 누름체(9)에 대해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축부(71a)의 움직임에 의한 소리를 없앨 수 있다.
더욱이, 누름체(9)의 맞닿음부(91)는, 누름체(9)의 안내구멍(84)를 따르는 이동방향(축부(71a)의 레이디얼방향)의 대략 중간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맞닿음부(91)에 대해 그 이동방향의 양측위치에 환상의 탄성체(13, 13)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누름체(9)가 맞닿음부(91)를 중심으로 하여 기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웜(71)이 웜휠(72)의 잇줄을 따르도록 레이디얼방향으로 눌러졌을 때, 누름체(9)가 기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누름체(9)를 상기 이동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즉, 탄성체(13, 13)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누름력에 의해서 누름체(9)가 안내구멍(84) 내에서 기울고, 이 기운 누름체 (9)의 단연(端緣)이 안내구멍(84)의 내면에 잠식하도록 하여 걸리(係止)는 경우가 있고, 이 상태에서는 누름체(9)의 이동이 잠기게(lock) 되고, 웜(71)을 웜휠(72)방향으로 누를 수 없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누름체(9)가 기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누름체(9)의 이동은 잠기지 않는다. 또, 누름체(9)는 부세수단(14)에 의해서 부세되어 있기 때문에, 웜(71) 및 웜휠(72)의 이(齒)가 마모한 경우에 있어서도 백래시를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밖에, 이상에 설명한 제 1 실시예에서는, 누름체(9)의 주면에 탄성체(13)를 설치했지만, 이외에, 이 탄성체(13)는 누름체(9)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구멍 (84)의 주면에 설치해도 좋다. 또, 탄성체(13)는 환상이외에, 판상으로 하고, 접착제에 의한 고정, 가황접착에 의한 고정, 또는 누름체(9) 및 안내구멍(84)의 한쪽 주면에 설치된 오목한 곳으로의 끼우는 것 등에 의해 설치해도 좋다.
또, 이상에 설명한 제 1 실시예에서는, 누름체(9)의 맞닿음부(91)를 거의 V 자형의 경사면에 의해서 형성하였지만, 그외에, 이 맞닿음부(91)는 예를 들면 원호형, 거의 U 자형이라도 좋으며, 그 형상은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 2 실시예
도 6 은 제 2 실시예의 감속기구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7 은 도 6 의 B - B 선의 확대단면도이다. 이 제 2 실시예의 전동식조향장치는, 맞닿음부(91)를 누름체(9)의 상기 이동방향의 대략 중간위치에 설치하는 대신에, 누름체(9)의 일단에 축부(71a)에 맞닿는 거의 U자형의 맞닿음부(91a)를 설치하고, 누름체(9)의 주면에 환상홈(93)을 설치하고, 환상홈(93)에 탄성체(13)을 끼워 넣는 것에 의해서 설치하고 있다.
또, 안내구멍(84)의 개방연부(open edge portion)에는 주면에 봉링(실링링,sealing ring)(16)을 가지는 덮개체(17)와, 덮개체(17)의 이동을 금지하는 스냅링 (18)이 끼워맞추어지고, 덮개체(17)와 누름체(9) 사이에 부세수단(14)의 코일스프링이 개재하여 있다. 이밖에, 맞닿음부(91a)는, 제 1 실시예의 맞닿음부(91)와 같이 축부(71a)의 2개의 주방향위치에 맞닿도록 거의 V자형의 경사면에 의해서 형성된 형상으로 해도 좋으며, 그 형상은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기타 구성 및 작용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부품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 및 작용의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실시예
도 8 은 제 1 실시예의 감속기구와 모터의 연결부분의 단면도이다. 이 제 3 실시예의 전동식조향장치는, 축부(71b)를 볼록형의 완곡주면으로 하는 대신에, 스플라인이 설치된 실린더(12)의 내면을 축심에 대해 오목형으로 완곡시키고, 이 완곡주면에 축부(71b)를 스플라인 끼워맞추게 하는 것에 의해, 완곡주면을 중심으로 하여 웜(71)을 요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하고 있다. 경사면에 의해서 형성된 형상으로 해도 좋으며, 그 형상은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기타 구성 및 작용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부품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 및 작용의 설명을 생략한다.
제 4 실시예
도 9 는 제 4 실시예의 감속기구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10 은 도 9 의 C - C 선의 확대단면도이고, 도 11 은 도 9 의 D - D 선의 확대단면도이도, 도 12 는 감속기구부분의 평면도이다. 이 제 4 실시예의 전동식조향장치는, 맞닿음부(91,91a)가 설치된 누름체(9)를 대신하여, 상기 이동방향(축부(71a)의 레이디얼방향)의 대략 중간위치에 축부(71a)가 끼워맞추어진 끼워맞춤구멍(94)를 가지고, 끼워맞춤구멍(94)에 대해 상기 이동방향의 양단부 위치에 안내구멍(84)에 접촉하여 상기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저지하는 움직임저지부(90a, 90a)가 설치되어 있는 누름체(90)를 안내구멍(84)에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축부(71a)를 안내구멍(84)에 대해서 지지하는 것이다.
제 4 실시예에서, 누름체(90)는 금속재료에 의해서 원주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축방향의 대략 중간위치, 다시말하면, 안내구멍을 따라서 이동하는 이동방향의 대략 중간위치에 끼워맞춤구멍(9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끼워맞춤구멍(94) 부분은, 끼워맞춤구멍(94)의 내경치수보다도 대직경치수로 형성된 관통구멍에 합성수지제의 원통형의 미끄럼베어링(95)를 끼워맞춰 고정하는 것에 의해 형성하고 있고, 미끄럼베어링(95)이 축부(71a)의 축방향으로의 미끄러짐을 허용한다. 또, 끼워맞춤구멍(94) 및 축부(71a) 사이에는, 끼워맞춤구멍(94)의 중심에 대해서 축부(71a)으 경사, 다시말하면, 누름체(90)가 웜(71)을 웜휠(72)방향으로 눌렀을 때 웜(71)이 경사하는 것을 허용하는 틈새가 설치되어 있다. 이 틈새는 약 5/100 내지 8/100 mm 로 하고 있다.
또, 누름체(90)는 부세수단(14)에 의해서 상기 이동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이 부세수단(14)은 코일스프링 등의 탄성체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안내구멍(84)의 개방연부에 나사로 고정된 조정나사(15)와 누름체(90) 사이에 개장되어 있고, 부세수단(14)의 힘에 의해서 누름체(90)를 비교적 작은 힘으로 눌러, 웜(71)을 웜휠(72)의 이맞물림점으로 부세하고 있다.
제 4 실시예에서는, 웜(71)을 편입하는 경우, 조정나사(15)의 조작에 의해 누름체(90)를 이동시키고, 웜(71)을 웜휠(72)에 접촉시켜서, 웜휠(72)를 회전시켜서 백래시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하는 것에 의해서 웜(71) 및 웜휠(72)의 이맞물림부의 백래시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웜(71)을 편입했을 때, 웜(71)의 축부(71a)는 누름체(90)의 축방향의 대략 중간위치에 설치된 끼워맞춤구멍(94)에 끼워맞추고 있고, 더욱이, 이 끼워맞춤구멍(94)에 대해 누름체(90)의 안내구멍(84)을 따르는 이동방향의 양단부 위치에 설치된 움직임저지부(90a, 90a)가 안내구멍 (84)에 접촉하고, 누름체(90)가 상기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저지하고, 축부(71a)를 안내구멍(84)에 대해서 지지하고 있다. 조타보조에 의해서 웜(71)이 웜휠(72)의 잇줄을 따르도록 레이디얼방향으로 눌러지고, 이 누름력, 다시말하면, 상술한 레이디얼방향으로의 분력이 축부(71a)에서 누름체(90)의 끼워맞춤구멍(94)에 가해졌을 때, 끼워맞춤구멍(94)에 대해 누름체(90)의 상기 이동방향의 양단부 위치에 설치된 움직임저지부(90a, 90a)에 의해서, 누름체(90)가 누름력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누름체(90)가 웜(71)을 웜휠(72)방향으로 누르고, 웜(71)의 회전중심선이 비 누름시의 회전중심선에 대해서 경사한 상태로 조타보조할 때, 웜(71)의 변칙회전을 방지할 수 있고, 이맞물림부를 양호하게 이맞물리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이맞물림부의 불균일한 토오크를 없앨 수 있다.
또, 끼워맞춤구멍(94) 및 축부(71a) 사이에, 끼워맞춤구멍(94)의 중심에 대해서 축부(71a)의 경사를 허용하는 틈새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웜(71)의 회전중심선이 비누름시의 회전중심선에 대해서 경사한 상태에서 조타보조할 때, 웜(71)의 축부(71a)를 양호하게 경사시킬 수 있으며, 웜(71)의 회전저항을 적게할 수 있다. 웜(71)의 축부(71a)는 미끄럼베어링(95)에 끼워맞추고 있기 때문에, 웜(71)에 가해지는 레이디얼방향의 누름력의 분력이 축방향으로 가해졌다고 하여도, 웜(71)을 축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서, 웜(71)의 회전저항을 적게할 수 있다. 기타 구성 및 작용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부품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 및 작용설명은 생략한다.
제 5 실시예
도 13 은 제 5 실시예의 감속기구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14 는 도 13 의 E - E 선의 확대단면도이다. 이 제 5 실시예의 전동식조향장치는, 금속제의 누름체(90)의 끼워맞춤구멍(94) 부분을 합성수지제의 미끄럼베어링(95)로 하는 대신에, 미끄럼베어링(95)을 없애고, 끼워맞춤구멍(94)을 가지는 누름체(90)의 전체를 합성수지제로 한 것이다.
이 제 5 실시예에서는, 미끄럼베어링(95)이 없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구름베어링 또는 롤러를 이용하는 것에 비해서 부품점수를 적게할 수 있어서,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기타 구성 및 작용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부품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 및 작용설명은 생략한다.
제 6 실시예
도 15는 제 6 실시예의 감속기구부분의 단면도이다. 제 3 수용부(8c)는웜(71)의 축방향으로 길게 되어 있고, 그 긴쪽방향의 일단에, 웜(71)의 일단에 설치된 축부(71a)가 삽입되는 원주형의 오목구멍(31) 및 오목구멍(31)의 내주면(내측)에 면하고, 축부(71a)의 레이디얼방향을 향해서 뚫어 설치된 원주형의 지지구멍(32)을 가지는 지지부재(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부재(30)는 하우징(8)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외에, 하우징(8)과 별체로 하여, 볼트 등의 장착수단에 의해서 하우징(8)에 장착해도 좋다.
오목구멍(31)은 그 축방향의 길이가 지지구멍(32)의 내경치수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고, 오목구멍(31)의 축방향의 중간에 지지구멍(32)이 면하고 있다. 또, 제 3 수용부(8c)의 타단에는 끼워맞춤구멍(33) 및 끼워맞춤구멍(33)에 연속하는 환상홈(34)가 설치되고, 환상홈(34)에 스냅링(20)이 끼워 맞추어져 있다.
웜(71)은 제 2 조타축(4)의 축심과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그 양단에 축부(71a,71b)가 설치되어 있다. 일단의 축부(71a)는 오목구멍(31)에 삽입되고, 더욱이 지지구멍(32)에 축방향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누름체(19)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타단의 축부(71b)는 구름베어링(21)을 통해서 끼워맞춤구멍(3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환상홈(34)에 끼워맞추어진 스냅링(20)에 의해서 구름베어링(21)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하고 있다. 또, 타단의 축부(71b)가 실린더(22)의 내면에 스플라인 끼워맞추어져서 출력축(60)에 연결되어 있다. 축부(71b)는 도 15와 같이 그 주면이 축심에 대해 볼록형으로 완곡하고 있고, 이 완곡주면을 중심으로하여 웜(71)을 요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6 은 도 15의 F - F 선의 확대단면도이다. 누름체(19)는 합성수지재료에의해서 원주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축방향의 대략 중간위치, 다시말하면, 지지구멍(32)을 따라서 이동하는 이동방향(축부(71a)의 레이디얼방향)의 대략 중간위치에 축부(71a)의 주면에 맞닿는 맞닿음부(91)를 가지고, 축부(71a)가 삽입되는 삽입구멍(92)이 설치되어 있고, 맞닿음부(91)에 대해 상기 이동방향의 양측위치에, 누름체(19)가 상기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는 환상의 탄성체(23, 23)가 설치되어 있다. 이밖에, 누름체(19)는 소직경부와 대직경부를 가지고, 이 소직경부 및 대직경부에 탄성체(23, 23)를 설치하고 있지만, 이외에, 전장(全長)에 걸쳐서 거의 동일 직경으로 해도 좋으며, 그 형상은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탄성체(23, 23)는 합성고무제의 O 링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누름체(19)의 주면에 격리하여 형성된 한쌍의 환상홈(93, 93)에 끼워 넣어져 있고, 탄성체(23, 23)이 지지구멍(32)의 내면과 접속하는 것에 의해 누름체(19)의 상기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있다. 맞닿음부(91)는 축부(71a)의 적어도 2개의 주방향위치에 맞닿도록 거의 V자형의 경사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맞닿음부(91)가 축부(71a)에 맞닿은 상태에서 누름체(19)를 축부(71a)의 레이디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웜(71)을 웜휠(72)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 누름체(19)는 코일스프링 등의 탄성체(24)에 의해서 상기 이동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이 탄성체(24)는 지지구멍(32)의 개방연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로 고정된 덮개체(25)와 누름체(19)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탄성체(24)의 힘에 의해서 누름체(19)를 이동시키고, 누름체(19)의 맞닿음부(91)를 비교적 작은 힘으로 축부(71a)를 눌러, 웜(71)을 웜휠(72)의 이맞물림점으로 부세하고 있다. 이밖에, 탄성체(24)에 의해서 부세된 누름체(19)와 덮개체(25) 사이에는 적당한 치수의 틈새가 발생하고 있다.
도 17 은 감속기구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이와 같이 누름체(19)에 의해서 레이디얼방향으로 이동하는 웜(71)의 축부(71a)가 삽입된 오목구멍(31)에, 축부(71a)의 주면이 맞닿아서 웜(71)의 웜휠(72)에 대한 격리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부(26)(제한수단)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한부(26)는, 오목구멍(31)의 지지구멍 (32)에 대해서 제 3 수용부(8c)와 반대측의 구멍부분(31a)의 내경치수를, 지지구멍 (32)에 대해서 제 3 수용부(8c) 측의 구멍부분(31b)의 내경치수보다도 소직경의 치수로 하는 것에 의해 형성하고 있다.
제한부(26)는 역입력하중에 의해서 웜(71)이 웜휠(72)에 대해서 레이디얼방향으로 격리이동했을 때, 누름체(19)에 누름체(19)의 허용응력이상의 응력이 가해지기까지의 사이(동안)에 축부(71a)가 제한부(26)에 맞닿고, 웜(71)의 격리이동을 저지하고, 누름체(19)에 과잉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역입력하중에 의해서 누름체(19)와 덮개체(25) 사이의 틈새량을 누름체(19)가 이동하고, 누름체(19)가 허용한도이하로 휘었을 때 축부(71a)가 제한부(26)에 맞닿고, 웜(71)의 격리이동을 저지하도록 하고 있다.
제 6 실시예에서, 웜(71)을 편입한 경우, 덮개체(25)의 나사고정에 의해 탄성체(24)를 통해서 누름체(19)를 이동시키고, 웜(71)을 웜휠(72)에 접촉시켜서, 웜휠(72)를 회전시켜서 백래시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는 것에 의해서 웜(71)및 웜힐(72)의 이맞물림부의 백랙시량을 없앨 수 있다.
조향륜의 연석올라앉음 등에 의해서 조향륜에서 제 2 조타축(4)을 통해서 웜(71) 및 웜휠(72)의 이맞물림부에 역입력하중이 전달되고, 역입력하중에 의해서 웜(71)이 웜휠(72)에 대해서 레이디얼방향으로 격리이동할 때, 웜(71)의 축부(71a)에 맞닿아 있는 누름체(19)가 탄성체(24)의 힘에 저항하여 이동하고, 누름체(19)가 덮개체(25)에 맞닿아 누름체(19)의 이동이 저지되고, 역입력하중에 의해서 합성수지제인 누름체(19)가 휘어, 누름체(19)에 과잉응력이 가해지기까지의 사이에 축부(71a)의 단연부(端緣部)가 제한부(26)에 맞닿아, 웜(71)의 격리이동이 저지된다. 따라서, 누름체(19)에 과잉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역입력하중에 의한 누름체(19)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서, 이 누름체(19)의 파손에 따른 구름베어링(21)의 걸터앉는 현상 및 웜(7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웜(71)의 축부(71a)가 삽입되는 오목구멍(31)을 제한부(26)로 하고 있기 때문에, 오목구멍 (31)을 가공할 때, 오목구멍(31)과 함께 제한부(26)을 설치할 수 있어서, 제한부(26)의 편입작업이 필요하지 않다.
이밖에, 이상 설명한 제 6 실시예에서는 탄성체(24)에 의해서 부세된 누름체(19)와 덮개체(25) 사이에 적당 치수의 틈새가 발생하도록 했지만, 이외에, 누름체(19)와 덮개체(25)를 접속시켜서, 그 틈새를 없애도 좋다. 이 경우, 역입력하중에 의해서 합성수지제의 누름체(19)가 휘고, 누름체(19)에 과잉응력이 가재지기까지의 사이에 축부(71a)의 단연부가 제한부(26)에 맞닿고, 웜(71)의 격리이동을 저지하도록 구성한다. 또, 이상에 설명한 제 6 실시예에서는, 누름체(19)를 합성수지제로 했지만, 이외에, 누름체(19)를 금속제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맞닿음부(91)을 합성수지제로 하거나, 누름체(19) 및 덮개체(25) 또는 스페이서를 휘게 하여, 웜(71)을 약간 격리이동시키도록 해도 좋다.
제 7 실시예
도 18 은 제 7 실시예의 감속기구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이 제 7 실시예의 전동식조향장치는, 웜(71)의 축부(71a)가 삽입되는 오목구멍(31) 자체를 제한수단으로 하는 대신에, 오목구멍(31)의 내주면(내측)에, 오목구멍(31)의 내경치수보다도 소직경의 내경치수를 가지는 원형의 링(27)을 장착하고, 링(27)을 제한수단으로 한 것이다. 제 7 실시예에 있어서, 링(27)은 합성수지제이고, 오목구멍(31)의 지지구멍 (32)에 대해서 제 3 수용부(3c)와 반대측의 구멍부분(31a)에 압입에 의해서 고정하고 있다.
제 7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역입력하중에 의해서 웜(71)이 웜휠(72)에 대해 레이디얼방향으로 격리이동할 때, 웜(71)의 축부(71a)에 맞닿아 있는 누름체(19)가 탄성체(24)의 힘에 저항하여 이동하고, 누름체(19)가 덮개체(25)에 맞닿아서 누름체(19)의 이동이 저지되고, 역입력하중에 의해서 누름체(19)가 휘고, 누름체(19)에 과잉응력이 가해지기 까지의 사이에 축부(71a)의 단연부가 링(27)에 맞닿고, 웜(71)의 격리이동이 저지된다. 또 링(27)은 비교적 소직경 치수의 오목구멍(31)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웜(71)의 기존 지지구조를 바꾸는 일 없이 제한수단을 간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기타 구성 및 작용은 제 6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부품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 및 작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 8 실시예
도 19 는 제 8 실시예의 감속기구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이 제 8 실시예의 전동식조향장치는, 웜(71)의 축부(71a)가 삽입되는 오목구멍(31)을 제한부로 하거나, 오목구멍(31)에 링(27)을 장착하는 대신에, 축부(71a)와 일체로 형성된 후경부(28)를 제한수단으로 한 것이다. 제 8 실시예에서, 축부(71a)는, 그 기단부에 축부(71a)와 일체의 후경부(28)를 단면이 원형이 되도록 형성하고, 후경부(28)가 오목구멍(31)의 지지구멍(32)에 대해서 제 3 수용부(8c) 측의 구멍부분(31b)에 맞닿는 것이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제 8 실시예에서는, 역입력하중에 의해서 웜(71)이 웜휠(72)에 대해 레이디얼방향으로 격리이동할 때, 웜(71)의 축부(71a)에 맞닿고 있는 누름체(19)가 탄성체(24)의 힘에 저항하여 이동하고, 누름체(19)가 덮개체(25)에 맞닿아 누름체(19)의 이동이 저지되고, 역입력하중에 의해서 누름체(19)가 휘고, 누름체(19)에 과잉응력이 가해지기 까지의 사이에 축부(71a)의 후경부(28)가 오목구멍(31)의 지지구멍(32)에 대해서 제 3 수용부(8c) 측의 구멍부분(31b)에 맞닿고, 웜(71)의 격리이동이 저지된다. 또, 축부(71a)를 가공할 때, 축부(71a)와 함께 후경부(28)를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제한수단의 편입작업이 필요없다. 기타 구성 및 작용은 제 6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부품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 및 작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 9 실시예
도 20 은 제 9 실시예의 감속기구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이 제 9 실시예의전동식조향장치는, 웜(71)의 축부(71a)와 일체로 제한수단을 설치하는 대신에, 축부(71a)의 기단부에 축부(71a)의 외경치수보다도 대직경의 외경치수를 가지는 원형의 링(29)을 장착하고, 링(29)을 제한수단으로 한 것이다. 제 9 실시예에서, 링(29)은 합성수지제이고, 축부(71a)의 기단부에 압입에 의해서 고정하고 있다.
제 9 실시예에서는, 역입력하중에 의해서 웜(71)이 웜휠(72)에 대해서 레이디얼방향으로 격리이동할 때, 웜(71)의 축부(71a)에 맞닿아 있는 누름체(19)가 탄성체(24)에 저항하여 이동하고, 누름체(19)가 덮개체(25)에 맞닿아 누름체(19)의 이동이 저지되고, 역입력하중에 의해서 누름체(19)가 휘고, 누름체(19)에 과잉응력이 가해지기 까지의 사이에 축부(71a)의 링(29)이 오목구멍(31)의 지지구멍(32)에 대해서 제 3 수용부(8c)측의 구멍부분(31b)에 맞닿고, 웜(71)의 격리이동이 저지된다. 또, 링(29)는 비교적 소직경치수의 축부(71a)에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웜(71)의 기존 지지구조를 바꾸는 일 없이 제한수단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기타 구성 및 작용은 제 6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부품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 및 작용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밖에, 이상 설명한 제 5 ∼ 제 9 실시예에서는, 축부(71a) 및 오목구멍(31)의 한쪽에 제한수단을 설치하였지만, 이외에, 이 제한수단은 축부 (71a) 및 오목구멍(31)의 양쪽에 예를 들면, 1/2로 나누어서 설치해도 좋다.
제 10 실시예
도 21 은 제 10 실시예의 감속기구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G - G 선의 확대단면도이고, 도 23 은 감속기구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제 3수용부(8c)는 웜(71)의 축방향에 길게 되어 있고, 그 긴쪽방향 일단부에 웜(71)의 일단에 설치된 축부(71a)가 삽입되는 오목구멍(53)이 설치되고 있다. 제 3 수용부(8c)의 타단에는 환상의 단부(54a)를 가지는 끼워맞춤부(54) 및 끼워맞춤부(54)에 연속하는 나사구멍(55)이 설치되고, 나사구멍(55)에 웜(71)의 축방향위치를 조절하는 나사링(40)이 나사고정되어 있고, 나사링(40)에 로크너트(41)가 나사고정되어 있다. 또, 하우징(8)에는 제 3 수용부(8c)의 일단측에 오목구멍 (53)의 내면에 면하고, 축부(71a)의 레이디얼방향을 향해서 뚫어 설치된 안내구멍(56)이 설치되어 있다.
웜(71)은 제 2 조타축(4)의 축심과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그 양단에 축부(71a, 71b)가 설치되어 있다. 타단의 축부(71b)는 출력축(60)에 실린더(42)를 통해서 연결되는 연결부(71c) 및 구름베어링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베어링(43)의 내륜이 끼워맞추어진 끼워맞춤부(71d)를 가진다. 끼워맞춤부(71d)에는 웜(71)의 요동을 허용하는 볼록부(44)가 전주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이 볼록부(44)는 축방향의 단면형상이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호상이 되도록 형성하고 있고, 베어링(43)에 대해서 웜(71)을 볼록부(44)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볼록부(44)와 연결부(71c) 사이의 환상오목부에는 베어링(43)의 내륜의 일단과 마주보고, 웜(71)의 축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C형 링 등의 규제링(54)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연결부(71c)는 도 21과 같이 그 주면이 축심에 대해 볼록형으로 완곡하고 있고, 이 완곡주면을 실린더(42)의 내면에 스플라인 끼워맞추게 하는 것에 의해, 볼록부(44)를 중심으로 하여 웜(71)을 요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밖에, 연결부(71c)는 실린더(42)를 이용하여 출력축(60)에 연결하는 것 이외에, 등속조인트 등의 축이음매를 이용하여 출력축(60)에 연결하여도 좋다.
일단의 축부(71a)는 오목구멍(53)에 삽입되고, 더욱이 안내구멍(56)에 축방향 이동가능하게 수용된 누름체(59)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누름체(59)는 합성수지재료에 의해서 원주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축방향의 대략 중간위치, 다시말하면, 안내구멍(56)을 따라서 이동하는 이동방향(축부(71a)의 레이디얼방향)의 대략 중간위치에 축부(71a)의 주면에 맞닿는 맞닿음부(91)를 가지고, 축부(71a)가 삽입되는 삽입구멍(92)가 설치되어 있고, 맞닿음부(91)에 대해 상기 이동방향의 양측위치에, 누름체(59)가 상기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는 환상의 탄성체(46, 46)가 설치되어 있다. 이밖에, 누름체(59)는 소직경부와 대직경부를 가지고, 이 소직경부 및 대직경부에 탄성체(46, 46)를 설치하고 있지만, 이외에, 전장에 걸쳐서 거의 동일 직경으로 해도 좋으며, 그 형상은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탄성체(46, 46)은 합성고무제이 O 링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누름체(59)의 주면에 격리하여 형성된 한쌍의 환상홈(93, 93)에 끼워 넣어져 있고, 탄성체(46, 46)가 안내구멍(56)의 내면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누름체(59)의 상기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있다. 맞닿음부(91)는 축부(71a)의 적어도 2개의 주방향위치에 맞닿도록 거의 V자형의 경상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맞닿음부(91)가 축부(71a)에 맞닿은 상태에서 누름체(59)를 축부(71a)의 레이디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웜(71)을 웜휠(72)방향으로 누르도록 하고 있다. 또, 누름체(59)는 부세수단(47)에 의해서 상기 이동방향으로 부세되고 있다. 이 부세수단(47)은 코일스프링 등의 탄성체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안내구멍(56)의 개방연부에 나사고정된 조정나사(48)와 누름체(59)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부세수단(47)의 힘에 의해서 누름체(59)의 맞닿음부(91)를 비교적 작은 힘으로 축부(71a)으로 눌러, 웜(71)을 웜휠(72)의 이맞물림점으로 부세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전동식조향장치에 있어서, 웜(71)을 편입하는 경우, 끼워맞춤부(54)에서 제 3 수용부(8c)에 웜(71)를 삽입하고, 웜(71)의 일단의 축부(71a)를 오목구멍(53)에서 누름체(59)의 삽입구멍(92)에 삽입하고, 그 주면을 맞닿음부(91)로 지지하는 동시에, 끼워맞춤구멍(54)에 베어링(43)의 외륜을 끼워맞추며, 또, 타단의 축부(71b)의 볼록부(44)에 베어링(43)의 내륜을 끼워맞추고, 나사링(40)을 나사구멍(55)에 나사고정한다.
이 나사링(40)의 회전조작력은 베어링(43)의 외륜을 통해서 하우징(8)의 단부(54a)에 가해지고, 베어링(43)이 하우징(8)에 고정되어, 베어링(43)의 내륜과 웜(71)의 이(齒)부분 사이에 웜(71)의 요동을 허용하는 축방향의 틈새가 발생한다. 또, 조정나사(48)의 조작에 의해 누름체(59)를 이동시키고, 누름체(59)의 맞닿음부 (91)에 맞닿아 있는 축부(71a)를 레이디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웜(71) 및 웜휠(72)의 이맞물림부의 백래시량을 조정한다. 이때, 웜(71)이 볼록부(44)를 교점으로 하여 요동하기 때문에, 웜(71)을 베어링(43)의 코너여유 이상의 요동각도로 요동시킬수 있고, 백래시량의 조정마진을 많게 할 수 있다.
또, 역입력하중이 웜(71)에 전달된 경우, 부세수단(47)의 힘에 저항하고, 볼록부(44)를 지점으로 하여 베어링(43)의 코너여유 이상의 요동각도로 웜(71)을 웜휠(72)에 대해서 격리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역입력하중에 의한 베어링(43)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누름체(59)는 부세수단(47)에 의해서 부세되고 있기 때문에, 웜(71) 및 웜휠(72)의 이가 마모한 경우에 있어서도 백래시량을 양호하게 적게할 수 있다.
제 11 실시예
도 24 는 제 11 실시예의 감속기구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이 제 11 실시예의 전동식조향장치는, 제 10 실시예와 같이 베어링(43)의 내륜과 웜(71)의 이(齒)부분 사이에 발생한 틈새에 웜(71)의 요동을 허용하는 합성고무제의 환상의 탄성체(49)를 설치한 것이다.
제 11 실시예에 있어서는, 웜(71)의 축방향의 틈새를 탄성체(49)에 의해서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웜(71)의 축방향의 덜컹거림을 양호하게 없앨 수 있다. 기타 구성 및 작용은 제 10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부품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 및 작용의 설명을 생략한다.
제 12 실시예
도 25 는 제 12 실시예의 감속기구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이 제 12 실시예의 전동식조향장치는, 축부(71b)의 끼워맞춤부(71d)에 볼록부(44)를 설치하는 대신에, 하우징(8)의 끼워맞춤부(54)에 웜(71)의 요동을 허용하는 볼록부(50)를 전주에 걸쳐서 설치하고, 나사구멍(55), 나사링(40) 및 로크너트(41)를 없앤 것이다. 볼록부(50)는 축방향의 단면형상이 호상이 되도록 형성하고 있고, 구름베어링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베어링(43)을 통해서 웜(71)을 하우징(8)에 대해서 요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볼록부(50)의 양단측에는 베어링(43)의 외륜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합성고무제의 환상의 탄성체(51)를 설치하고, 끼워맞춤부(54)에 대한 베어링(43)의 안정성을 양호하게 하고 있다. 또, 끼워맞춤부(54)의 오목구멍(53)과 반대측 위치에는 환상홈(57)이 설치되어 있고, 환상홈(57)에 베어링(43)의 외륜의 일단과 마주보고, 베어링(43)의 축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C 형 링 등의 규제링(52)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기타 구성 및 작용은 제 10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 및 작용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밖에, 이상에 설명한 제 10, 제 11 실시예에서는, 베어링(43)의 내주측부분인 축부(71b)의 끼워맞춤부(71d)에 볼록부(44)를 설치했지만, 이외에, 베어링(43)의 내주면에 볼록부를 설치해도 좋다. 또, 제 12 실시예에서는, 베어링(43)의 외주측부분인 하우징(8)의 끼워맞춤부(54)에 볼록부(50)을 설치했지만, 이외에, 베어링(43)의 외주면에 볼록부를 설치해도 좋다. 또, 볼록부(44, 50)는 베어링(43)의 내주측 부분 및 외주측 부분의 한쪽에 설치하는 것 이외에, 양쪽에 설치해도 좋다. 또, 볼록부(44, 50)는 축부(71b) 또는 하우징(8)과 일체인 것 이외에, 별체로 하고, 압입등의 장착수단에 의해서 장착해도 좋다.
또, 이상 설명한 제 5 ∼ 제 12 실시예에서는, 웜(71)를 웜휠(72)방향으로 누르는 누름수단으로서 원주형의 누름체(19, 59)를 가지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외에, 축부(71a)의 주변에 편의구멍(deflecting hole)을 가지는 탄성링을 설치하거나, 축부(71a)를 레이디얼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 등의 탄성체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으며, 그 구성은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 이상에 설명한 각 실시예의 감속기구(7)는, 웜인 구동기어(71) 및 웜휠인 종동기어(72)를 구비한 웜기어인 것 이외에, 하이포이드피니언인 구동기어 및 하이포이드휠인 종동기어를 구비한 하이포이드기어라도 좋다. 더욱이, 감속기구는 베벨기어라도 좋다.
이상에 설명한 제 1 발명의 전동식조향장치에서는, 맞닿음부는 누름체의 상기 레이디얼방향의 대략 중간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탄성체는 상기 레이디얼방향에 떨어져서 설치되어 있다. 구동기어가 종동기어의 잇줄을 따르도록 레이디얼방향으로 눌러지고, 이 누름력이 누름체에 가해졌을 때, 탄성체에 의해서 누름체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누름체가 기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누름체의 상기 레이디얼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제 2 발명의 전동식조향장치에서, 맞닿음부는 누름체의 상기 레이디얼방향의 대략 중간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레이디얼방향에 떨어지고, 누름체가 상기 레이디얼방향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기어가 종동기어의 잇줄에 따르도록 레이디얼방향으로 눌러지고, 이 누름력이 누름체에 가해졌을 때, 탄성체에 의해서 누름체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누름체가 경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누름체를 상기 레이디얼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제 3 발명의 전동식조향장치에서, 끼워맞춤구멍 부분에는 축부의 축방향으로 미끄러짐을 허용하는 미끄럼베어링이 설치되어 있다. 웜의 축부가 미끄럼베어링에 끼워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웜에 가해지는 레이디얼방향의 누름력의 분력이 축방향에 전달되었다고 하더라도, 웜을 축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서, 웜의 회전저항을 적게할 수 있다.
또, 제 3 발명의 전동식조향장치에서, 끼워맞춤구멍 및 축부 사이에, 끼워맞춤구멍의 중심에 대해서 축부의 경사를 허용하는 틈새가 설치되어 있다. 누름체가 웜을 웜휠방향으로 누르고, 웜의 회전중심선이 비누름시의 회전중심선에 대해서 경사한 상태로 조타보조할 때, 웜의 축부를 양호하게 경사시킬 수 있어서, 웜의 회전저항을 적게할 수 있다.
제 4 발명의 전동식 조향장치에서는, 조타보조용 모토의 회전에 연동하고, 레이디얼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구동기어와, 구동기어에 맞물리고, 조향기구에 연결되는 종동기어와, 구동기어를 종동기어방향으로 누루는 누름체와, 구동기의 종동기어에 대한 격리이동을 제한하는 제한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누름체에 의해서 이맞물림부의 백래시량을 적게할 수 있고, 더구나, 구동기어에 가해진 역입력하중을 누름체와는 별개로 설치된 제한수단이 부담하여, 구동기의 종동기어에 대한 격리이동을 제한하기 때문에, 역입력하중에 의한 누름체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어서, 구동기어를 지지하는 베어링에 걸터 앉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웜이 파손하는 것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 5 발명의 전동식조향장치에서는, 제 4 발명에서, 구동기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르르 구비하고 있고, 제한수단은 구동기어 및 지지부재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어 있다. 구동기어의 지지부재에 제한수단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제한수단의 구조를 간소하게 할 수 있고, 제한수단의 가공, 조립작업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어서, 비교적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제 6 발명의 전동식조향장치에서는, 제 5 발명에서, 구동기어는 축방향 일단에 축부를 구비하고 있고, 지지부재는 축부가 삽입되는 오목구멍(凹孔) 및 오목구멍의 내측에 면하고, 누름체를 지지한 지지구멍을 가지고 있고, 제한수단은 축부 및 오목구멍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설치되어 있다. 구동기어의 축부 및 축부가 삽입되는 오목구멍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제한수단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한수단을 비교적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어서, 제한수단에 의한 감속기구부분의 대형화를 피할 수 있다.
또, 제 6 발명의 전동식 조향장치에서, 제한수단은 오목구멍의 내측에 장착된 링이다. 구동기어의 축부가 삽입되는 비교적 소형치수의 오목구멍에 링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기어의 기존의 지지구조를 바꾸는 일 없이 제한수단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 제 6 발명의 전동식조향장치에서, 제한수단은 축부와 일체로 형성된 후경부(太徑部, thicker-diameter portion)이다. 구동기어의 축부를 가공할 때, 축부와 함께 제한수단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제한수단의 조립작업이 필요없게 되어, 더 한층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 6 발명의 전동식조향장치에서, 제한수단은 축부에 장착된 링이다. 구동기어의 축부에 링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기어의 기존 지지구조를 바꾸는 일 없이 제한수단을 간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제 7 발명의 전동식조향장치에서, 하우징 및 구동기어는 베어링이 끼워 맞추어지는 끼워맞춤부를 가지고 있고, 볼록부는 끼워맞춤부의 축방향의 단면형상이 호상(弧狀)이 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하우징 및 구동기어의 끼워맞춤부가 호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특별 부품이 필요없게 되어,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고, 더구나, 기존 베어링을 사용할 수 있고, 게다가, 구동기어의 축방향 길이를 비교적 짧게 할 수 있다.

Claims (15)

  1. 조타보조용 모터(6)의 회전에 연동하고, 레이디얼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축부(71a)를 가지는 구동기어(71)와, 이 구동기어(71)에 이맞물림하고, 조향기구에 연결되는 종동기어(72)와, 상기 축부(71a)를 상기 레이디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구동기어(71)를 상기 종동기어(72)방향으로 누르는 누름체(9)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6)의 회전에 의해서 조타보조하도록 한 전동식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누름체(9)는 상기 축부(71a)의 주면에 맞닿는 맞닿음부(91, 91a)를 가지고 있고,
    상기 누름체(9)의 주변에, 상기 누름체(9)가 상기 레이디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는 탄성체(1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조향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91, 91a)는 상기 누름체(9)의 상기 레이디얼방향의 대략 중간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탄성체(13)는 상기 맞닿음부(91, 91a) 및/또는 상기 축부(71a)와는 레이디얼방향으로 떨어져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조향장치.
  3. 조타보조용 모터(6)의 회전에 연동하고, 레이디얼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축부(71a)를 가지는 구동기어(71)와, 이 구동기어(71)에 이맞물림하고, 조향기구에 연결되는 종동기어(72)와, 상기 축부(71a)를 상기 레이디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구동기어(71)를 상기 종동기어(72)방향으로 누르는 누름체(9)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6)의 회전에 의해서 조타보조하도록 한 전동식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누름체(9)는 상기 축부(71a)의 적어도 2개의 주방향위치에 맞닿는 맞닿음부(91,91a)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조향장치.
  4.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91, 91a)는 상기 누름체(9)의 상기 레이디얼방향의 대략 중간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맞닿음부(91, 91a) 및/또는 상기 축부(71a)와는 상기 레이디얼방향으로 떨어지고, 상기 누름체(9)가 상기 레이디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탄성체(1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조향장치.
  5. 조타보조용 모터(6)의 회전에 연동하고, 레이디얼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축부(71a)를 가지는 구동기어(71)와, 이 구동기어(71)에 이맞물림하고, 조향기구에 연결되는 종동기어(72)와, 상기 축부(71a)를 상기 레이디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구동기어(71)를 상기 종동기어(72)방향으로 누르는 누름체(90)와,이 누름체(9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구멍(84)이 설치된 안내부재(90)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6)의 회전에 의해서 조타보조하도록 한 전동식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누름체(90)는, 상기 안내구멍(84)을 따르는 상기 레이디얼방향의 대략 중간위치에 상기 축부(71a)가 끼워맞추어진 끼워맞춤구멍(94)을 가지고,
    이 끼워맞춤구멍(94)을 사이에 끼우고 상기 레이디얼방향의 양단부 위치에 상기 안내구멍(84)에 접촉하여 상기 레이디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저지하는 움직임저지부(90a)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조향장치.
  6.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구멍(94) 부분에는 상기 축부(71a)의 축방향으로 미끄러짐을 허용하는 미끄럼베어링(95)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조향장치.
  7. 청구항 5 또는 6 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구멍(94) 및 상기 축부(71a) 사이에, 상기 끼워맞춤구멍(94)의 중심에 대해서 상기 축부(71a)의 경사를 허용하는 틈새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조향장치.
  8. 조타보조용 모터(6)의 회전에 연동하고, 레이디얼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축부(71a)를 가지는 구동기어(71)와, 상기 조향기구에 연결되는 종동기어(72)와, 상기 축부(71a)를 상기 레이디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구동기어(71)를 상기 종동기어(72)방향으로 누르는 누름체(19)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6)의 회전에 의해서 조타보조하도록 한 전동식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71)의 상기 종동기어(72)에 대한 격리이동을 제한하는 제한수단(26)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조향장치.
  9. 청구항 8 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7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0)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한수단(26)은 상기 구동기어(71) 및 상기 지지부재(30)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조향장치.
  10. 청구항 9 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71)는 축방향 일단에 축부(71a)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축부(71a)가 삽입되는 오목구멍(31) 및 이 오목구멍(31)의 내측에 면하고, 상기 누름체(19)를 지지한 지지구멍(32)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한수단(26)은 상기 축부(71a) 및 상기 오목구멍(31)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조향장치.
  11. 청구항 10 에 있어서,
    상기 제한수단(26)은 상기 오목구멍(31)의 내측에 장착된 링(2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조향장치.
  12. 청구항 10 에 있어서,
    상기 제한수단(26)은 상기 축부(71a)와 일체로 형성된 후경부(2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조향장치.
  13. 청구항 10 에 있어서,
    상기 제한수단(26)은 상기 축부(71a)에 장착된 링(29)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조향장치.
  14. 조타보조용 모터(6)의 회전에 연동하고, 하우징(8) 내에 베어링(43)을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구동기어(71)와, 이 구동기어(71)에 이맞물림하고, 조향기구에 연결되는 종동기어(72)와, 상기 구동기어(71)의 유단측(遊端側, free end side)에서 상기 구동기어 (71)를 상기 종동기어(72)방향으로 누르는 누름체(59)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6)의 회전에 의해서 조타보조하도록 한 전동식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43)의 내주측 부분 및 외주측 부분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상기 구동기어(71)의 요동을 허용하는 볼록부(44, 5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조향장치.
  15. 청구항 14 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8) 및 상기 구동기어(71)는 상기 베어링(43)이 끼워맞추어지는 끼워맞춤부(54)를 가지고 있고,
    상기 볼록부(44, 50)는 상기 끼워맞춤부(54)의 축방향의 단면형상이 호상(弧狀)으로 되도록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조향장치.
KR10-2001-0027110A 2000-05-18 2001-05-18 전동식조향장치 KR1005321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47046 2000-05-18
JP2000147046 2000-05-18
JP2000202889A JP2002021943A (ja) 2000-07-04 2000-07-04 電動式舵取装置
JP2000-202889 2000-07-04
JP2000205752A JP2002037094A (ja) 2000-05-18 2000-07-06 電動式舵取装置
JP2000-205752 2000-07-06
JP2000219368A JP3653611B2 (ja) 2000-05-18 2000-07-19 電動式舵取装置
JP2000-219368 2000-07-19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6495A Division KR100535934B1 (ko) 2000-05-18 2005-01-25 전동식조향장치
KR10-2005-0006496A Division KR100535931B1 (ko) 2000-05-18 2005-01-25 전동식조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259A true KR20010105259A (ko) 2001-11-28
KR100532198B1 KR100532198B1 (ko) 2005-11-30

Family

ID=2748130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110A KR100532198B1 (ko) 2000-05-18 2001-05-18 전동식조향장치
KR10-2005-0006496A KR100535931B1 (ko) 2000-05-18 2005-01-25 전동식조향장치
KR10-2005-0006495A KR100535934B1 (ko) 2000-05-18 2005-01-25 전동식조향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6496A KR100535931B1 (ko) 2000-05-18 2005-01-25 전동식조향장치
KR10-2005-0006495A KR100535934B1 (ko) 2000-05-18 2005-01-25 전동식조향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08796B2 (ko)
JP (1) JP3653611B2 (ko)
KR (3) KR100532198B1 (ko)
DE (1) DE10123767A1 (ko)
FR (1) FR28090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732B1 (ko) * 2005-11-02 2007-05-30 주식회사 만도 웜 기어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한 전동식 동력 보조조향장치
KR100764208B1 (ko) * 2003-12-09 2007-10-05 주식회사 만도 칼럼형 동력조향장치용 감속기의 유격흡수구조
KR100854773B1 (ko) * 2007-03-02 2008-08-27 주식회사 만도 유격 보상장치가 구비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CN113715900A (zh) * 2021-09-26 2021-11-30 浙江万达汽车方向机股份有限公司 一种转向器间隙调节机构及调节方法及车辆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0529A (ja) * 1999-07-15 2001-03-27 Koyo Seiko Co Ltd 動力舵取装置及び動力伝達継手
US6867516B2 (en) * 2001-07-02 2005-03-15 Valeo Motoren Und Aktuatoren Gmbh Drive device with anti-lash mechanism
US7077235B2 (en) 2001-12-03 2006-07-18 Nsk Lt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DE10161715A1 (de) * 2001-12-15 2003-06-18 Zf Lenksysteme Gmbh Elektrische Hilfskraftlenkung für Kraftfahrzeuge
JP4207449B2 (ja) * 2002-04-04 2009-01-14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減速歯車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DE10230602A1 (de) * 2002-07-08 2004-01-29 Zf Lenksysteme Gmbh Anpressvorrichtung
JP4442421B2 (ja) * 2002-12-09 2010-03-31 日本精工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3951913B2 (ja) * 2002-12-24 2007-08-01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101113759A (zh) * 2003-02-20 2008-01-30 日本精工株式会社 电动动力转向装置
EP2371675B1 (en) * 2003-04-18 2012-10-17 Jtekt Corporatio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JP4716679B2 (ja) * 2003-06-25 2011-07-06 日本精工株式会社 ウォーム減速機及び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4506341B2 (ja) * 2004-08-05 2010-07-21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歯車装置の製造方法
JP2006219029A (ja) * 2005-02-10 2006-08-24 Shimano Inc 自転車用電動駆動装置
KR100695450B1 (ko) * 2005-06-22 2007-03-15 주식회사 만도 웜 기어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한 전동식 동력 보조조향장치
KR100646443B1 (ko) 2005-11-22 2006-11-14 주식회사 만도 유격 보상 장치가 구비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US7721616B2 (en) * 2005-12-05 2010-05-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Sprung gear set and method
DE102006016429A1 (de) 2006-04-07 2007-10-11 Zf Lenksysteme Gmbh Lenk-Hilfsantrieb
US7845475B2 (en) * 2006-05-19 2010-12-07 Her Yuan Chyun Co., Ltd. Controller for magnetic wheels
US8250940B2 (en) * 2006-07-20 2012-08-28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act between members in operable communication
KR100755909B1 (ko) 2006-07-24 2007-09-06 주식회사 만도 전기식 조향장치의 유격보상구조
DE102006039740A1 (de) * 2006-08-24 2008-02-28 Schaeffler Kg Hilfsantrieb für ein Lenkgetriebe
KR100817910B1 (ko) 2007-01-18 2008-03-31 동양기전 주식회사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
KR100800583B1 (ko) 2007-01-18 2008-02-04 동양기전 주식회사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
DE102007028101B4 (de) * 2007-06-19 2011-01-1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Zahnradgetriebe
DE102007047369B4 (de) * 2007-10-02 2020-12-31 Knorr-Bremse Steeringsystems GmbH Lenk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9002940A1 (de) * 2009-05-08 2010-11-11 Zf Lenksysteme Gmbh Lagerung einer Schnecke in einem Lenkgetriebe
DE102010000845A1 (de) * 2010-01-13 2011-07-14 ZF Lenksysteme GmbH, 73527 Schraubradgetriebe für eine Lenkung eines Kraftfahrzeugs
DE102010002285A1 (de) * 2010-02-24 2011-08-25 ZF Lenksysteme GmbH, 73527 Schraubradgetriebe für eine Lenkung eines Kraftfahrzeugs
JP5641195B2 (ja) 2010-04-13 2014-12-17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1230646A (ja) * 2010-04-27 2011-11-17 Jtekt Corp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8590412B2 (en) * 2010-06-18 2013-11-26 Macauto Industrial Co., Ltd. Driving apparatus with a vibration limiter for worm gear
DE102010031425A1 (de) * 2010-07-16 2012-01-19 Zf Friedrichshafen Ag Schneckengetriebe, Mehrstufengetriebe und Verwendung
JP5618146B2 (ja) 2010-12-24 2014-11-05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095979B1 (ko) * 2011-04-08 2011-12-19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DE102012105544A1 (de) * 2012-06-26 2014-03-20 Zf Lenksysteme Gmbh Lenkgetriebe
JP6195432B2 (ja) 2012-10-03 2017-09-13 Ntn株式会社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
JP6052988B2 (ja) * 2012-12-26 2016-12-27 Kyb株式会社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DE102013207142B4 (de) * 2013-04-19 2014-12-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chneckengetriebe
DE102013213708A1 (de) * 2013-07-12 2015-01-1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chneckengetriebe für eine Lenkhilfevorrichtung eines Kraftfahrzeuges mit Spielausgleich
KR101491304B1 (ko) * 2013-08-27 2015-02-06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DE102013020599B4 (de) * 2013-12-13 2020-06-10 Thyssenkrupp Presta Ag Verfahren zum Einlaufen eines Schneckenradgetriebes
JP6118750B2 (ja) * 2014-03-26 2017-04-19 株式会社ショーワ ウォーム付勢構造体
DE102014107073A1 (de) 2014-05-20 2015-11-26 Robert Bosch Automotive Steering Gmbh Lenkgetriebe
JP2016055732A (ja) * 2014-09-09 2016-04-2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ステアリング株式会社 バックラッシュ調整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2281674B1 (ko) * 2015-01-12 2021-07-27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감속기
DE102015216707B4 (de) * 2015-06-19 2019-09-05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Getriebemotor, Vorrichtung zum Spielfreistellen einer Welle, und Fahrzeugsitz
JP6679380B2 (ja) * 2016-03-30 2020-04-15 Ntn株式会社 電動アクチュエータ
CN109690131B (zh) * 2016-09-21 2022-04-05 日本精工株式会社 蜗轮减速器
DE102017209563A1 (de) * 2017-06-07 2018-12-13 Robert Bosch Gmbh Loslager, Lenkgetriebe und Lenksystem
KR101993295B1 (ko) * 2017-12-19 2019-06-26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DE102018123960A1 (de) * 2018-09-27 2020-04-02 Trw Automotive Gmbh Elektromotorisch unterstütztes Lenksystem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enksystemen
CN112977599B (zh) * 2019-12-17 2022-06-21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转向器、车辆转向系统及车辆
CN112178132B (zh) * 2020-09-16 2022-06-24 湖北华中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蜗轮蜗杆中心距调节装置
KR20220110954A (ko) * 2021-02-01 2022-08-09 주식회사 만도 스토퍼와 이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장치의 구동부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124A (ja) 1988-06-22 1990-01-11 Ikegami Tsushinki Co Ltd 原稿給送装置
JPH03112784A (ja) * 1989-09-27 1991-05-14 Mazda Motor Corp 車両の後輪操舵装置
JP2819484B2 (ja) * 1990-10-26 1998-10-30 自動車機器株式会社 電動式動力舵取装置
JPH0644674U (ja) * 1992-11-25 1994-06-14 日本精工株式会社 電動式舵角付与装置
JP3139225B2 (ja) 1993-07-08 2001-02-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弾性表面波フィルタ
JPH08207792A (ja) 1995-01-31 1996-08-13 Koyo Seiko Co Ltd 動力舵取装置
JPH1111333A (ja) * 1997-06-25 1999-01-19 Honda Motor Co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3613693B2 (ja) * 1998-07-27 2005-01-26 光洋精工株式会社 電動式舵取装置
US6390230B1 (en) * 1999-10-06 2002-05-21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208B1 (ko) * 2003-12-09 2007-10-05 주식회사 만도 칼럼형 동력조향장치용 감속기의 유격흡수구조
KR100723732B1 (ko) * 2005-11-02 2007-05-30 주식회사 만도 웜 기어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한 전동식 동력 보조조향장치
KR100854773B1 (ko) * 2007-03-02 2008-08-27 주식회사 만도 유격 보상장치가 구비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CN113715900A (zh) * 2021-09-26 2021-11-30 浙江万达汽车方向机股份有限公司 一种转向器间隙调节机构及调节方法及车辆
CN113715900B (zh) * 2021-09-26 2022-09-09 浙江万达汽车方向机有限公司 一种转向器间隙调节机构及调节方法及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08796B2 (en) 2004-03-23
KR100535934B1 (ko) 2005-12-12
FR2809071A1 (fr) 2001-11-23
JP3653611B2 (ja) 2005-06-02
US20020017420A1 (en) 2002-02-14
DE10123767A1 (de) 2001-11-22
KR100532198B1 (ko) 2005-11-30
KR20050023369A (ko) 2005-03-09
FR2809071B1 (fr) 2006-02-03
KR20050023370A (ko) 2005-03-09
JP2002029434A (ja) 2002-01-29
KR100535931B1 (ko) 2005-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2198B1 (ko) 전동식조향장치
KR100854472B1 (ko) 전동식 조향장치
EP1225117B1 (en) A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EP1623908B1 (e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JP3613693B2 (ja) 電動式舵取装置
WO2004051101A1 (ja) ウォーム支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パワーアシストユニット
JP5062465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3658683B2 (ja) 電動式舵取装置
KR101364930B1 (ko)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의 기어 치합 상태 유지장치
JP2002096749A (ja) 電動式舵取装置
JP2002021943A (ja) 電動式舵取装置
JP2002249056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3579779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2037094A (ja) 電動式舵取装置
EP1772347A1 (en) Steering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JP2003002218A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4085802B2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3004105A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3002217A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7278359A (ja) ウォーム減速機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230108861A (ko)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
JP2003327140A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3301891A (ja) 減速歯車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3063427A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