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0583B1 -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0583B1
KR100800583B1 KR1020070005613A KR20070005613A KR100800583B1 KR 100800583 B1 KR100800583 B1 KR 100800583B1 KR 1020070005613 A KR1020070005613 A KR 1020070005613A KR 20070005613 A KR20070005613 A KR 20070005613A KR 100800583 B1 KR100800583 B1 KR 100800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haft
receiving groove
support
motor
power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민
Original Assignee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5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05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05F15/697Motor units therefor, e.g. geared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는 지지체와, 지지체와, 워엄이 형성되어 있는 출력축을 가지며 상기 지지체에 지지된 모터와, 상기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워엄에 맞물린 워엄휠을 구비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워엄 및 그 워엄에 맞물린 워엄휠이 회전하고 그 워엄휠의 회전에 연동되어 자동차의 윈도우 등이 구동되는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모터의 출력축의 자유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모터의 출력축이 그 출력축의 반경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출력축의 자유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베어링 부재와, 그 베어링 부재에 인접하며 상기 출력축의 일단면이 접촉 지지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모터의 작동 중 상기 출력축에 발생하는 추력에 의해 상기 워엄 또는 워엄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부재가 상기 수용홈부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수용홈부의 바닥면에 접촉되고 상기 수용홈부의 내주면과는 이격된 탄성지지부; 및 상기 탄성지지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수용홈부의 내주면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접촉되는 유격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Motor assembly for driving power window}
도 1은 종래의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터 조립체의 "A"부위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Ⅲ-Ⅲ 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탄성부재가 변형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모터 조립체의 "B"부위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모터 조립체의 Ⅶ-Ⅶ 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모터 조립체의 Ⅷ-Ⅷ 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탄성부재가 변형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
12...지지체 14...수용홈부
15...수용홈부의 바닥면 20...모터 21...모터의 출력축 22...워엄 30...워엄휠 35...베어링 부재 37...관통공 40...지지 플레이트 42...고정홈 44...끼움가이드 50...탄성부재 52...탄성지지부 54...유격방지부 58...결합홈 141...제1수용부 145...제2수용부 351...몸체부 353...연장부 541...접촉부 545...골부 546...골부의 바닥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윈도우 구동을 위한 구동원으로서 사용되는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의 작동시 모터의 출력축에 발생하는 추력 방향 전환시에 의해 지지체와 출력축 사이의 틈을 보상하여 반전음 발생을 억제하는 추력 지지 구조를 개선하여 진동을 현저하게 감소시킨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에는 도어 윈도우를 승하강 시키기 위한 승강장치로 핸들을 회전시키는 것을 통해 승하강시키는 수동식과, 모터에 의해 승하강시키는 전동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근래에 들어와서는 자동차의 고급화 및 사용자 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전동식이 널리 적용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전동식 승하강장치(이하 "파워 윈도우"라 함)는 윈도우의 승하강을 가이드 하기 위한 레귤레이터 모듈(미도시)이 상기 윈도우(미도시)에 연결되고 상기 레귤레이터 모듈은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는 도어 윈도우가 승하강시 또는 승하강 방향이 바뀔 때 모터의 출력축에 발생하는 추력을 흡수하고 그 모터가 설치된 지지체와 그 모터의 출력축 사이의 틈을 보상하여 반전음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의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1)는 지지체(12)와, 워엄(22)이 형성되어 있는 출력축(21)을 가지며 상기 지지체(12)에 지지된 모터(20)와, 상기 지지체(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워엄(22)에 맞물린 워엄휠(30)을 구비하여, 상기 모터(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워엄(22) 및 그 워엄(22)에 맞물린 워엄휠(30)이 회전하고 그 워엄휠(30)의 회전에 연동되어 자동차의 윈도우 등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모터(20)가 회전하면 그 모터(20)의 출력축(21)에 마련된 워엄(22)에 맞물린 워엄휠(30)이 회전하게 되고 그 워엄휠(30)의 회전축에 연결된 레귤레이터 모듈이 그 레귤레이터 모듈에 연결된 윈도우를 승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1)에서 상기 출력축(21)에 발생하는 추력을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체(12)에는 수용홈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홈부(14)에는 상기 출력축(21)의 자유단부를 수용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그 출력축(21)이 그 출력축(21)의 반경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베어링 부재(35)가 설치되어있다. 상기 베어링 부재(35)는 상기 수용홈부(14)에 억지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 부재(35)는 관통공(37)을 가지고 있어서, 그 관통공(37)에 상기 출력축(21)의 자유단부가 관통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 부재(35)와 인접하여 상기 출력축(21)의 자유단부가 접촉 지지되는 지지 플레이트(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2)는 상기 수용홈부(14)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2)는 상기 베어링 부재(35)에 대해 상대 회전하지 못하도록 상기 베어링 부재(35)에 구속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2)는 상기 베어링 부재(35)에 대해 상대회전은 제한되며, 상기 출력축(21)의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은 가능하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2)와 상기 수용홈부(14)의 바닥면(15) 사이에는 탄성부재(3)가 설치되어 있디. 상기 탄성부재(3)는 고무 등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일단부가 상기 수용홈부(14)의 바닥면(15)에 접촉 지지 되어 있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2)에 접착제 등에 의해 상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20)의 출력축(21)이 추력에 의해 그 출력축(21)의 길이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는 경우 상기 출력축(21)의 자유단부가 접촉지지된 지지 플레이트(2)를 밀게되고 그 지지 플레이트(2)에 상대고정된 탄성부재(3)가 상기 수용홈부(14)의 바닥면(15)과의 사이에서 압축변형되면서 그 출력축(21)의 추력을 흡수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탄성부재(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경이 일정한 원기 둥 형상이다. 상기 탄성부재(3)는 상기 압축변형시에 그 부피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므로 그 압축변형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 즉 반경방향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하게 된다. 따라서, 그 팽창되는 양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부재(3)의 외주면과 상기 수용홈부(14)의 내주면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빈 공간 때문에 상기 탄성부재(3)가 탄성작용에 의해 변형될때 유동이 발생되고 상기 수용홈부(14)의 내주면과 단속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진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지지 플레이트(2)에 상대고정된 탄성부재(3)가 상기 수용홈부(14)에 조립되는 공정에서 상기 수용홈부(14)의 내주면에 접촉될 수 있기 때문에 조립품질의 산포도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모터의 구동시 그 모터의 출력축에 발생되는 추력을 흡수하기 위한 탄성부재의 진동을 억제하고 그 탄성부재의 조립품질이 향상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는 지지체와, 워엄이 형성되어 있는 출력축을 가지며 상기 지지체에 지지된 모터와, 상기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워엄에 맞물린 워엄휠을 구비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워엄 및 그 워엄에 맞물린 워엄휠이 회전하고 그 워엄휠의 회전에 연동되어 자동차의 윈도우 등이 구동되는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모터의 출력축의 자유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모터의 출력축이 그 출력축의 반경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출력축의 자유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베어링 부재와, 그 베어링 부재에 인접하며 상기 출력축의 일단면이 접촉 지지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모터의 작동 중 상기 출력축에 발생하는 추력에 의해 상기 워엄 또는 워엄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부재가 상기 수용홈부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수용홈부의 바닥면에 접촉되고 상기 수용홈부의 내주면과는 이격된 탄성지지부; 및
상기 탄성지지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수용홈부의 내주면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접촉되는 유격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수용홈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반경이 커지는 원뿔대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격방지부에는 상기 수용홈부의 내주면과 대응하는 외주면에 골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부의 내주면과 상기 골부 사이에 빈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골부는 복수개가 마련되며, 그 골부들은 상기 유격방지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골부들은 90°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골부의 바닥면은 상기 모터의 출력축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단면이 원호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탄성부재에 마련된 결합공과, 그 결합공의 탄성변형에 의해 그 결합공에 억지 끼워지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서 연장 돌출된 끼움가이드에 의해 상대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6은는 도 5에 도시된 모터 조립체의 "B"부위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모터 조립체의 Ⅶ-Ⅶ 선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모터 조립체의 Ⅷ-Ⅷ 선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5에 도시된 탄성부재가 변형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10)는, 지지체(12)와, 워엄(22)이 형성되어 있는 출력축(21)을 가지며 상기 지지체(12)에 지지된 모터(20)와, 상기 지지체(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워엄(22)에 맞물린 워엄휠(30)을 구비하여, 상기 모터(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워엄(22) 및 그 워엄(22)에 맞물린 워엄휠(30)이 회전하고 그 워엄휠(30)의 회전에 연동되어 자동차의 윈도우(미도시) 등이 구동되는 점은 종래의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1)와 다를 바 없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요소는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10)는 수용홈부(14)와, 베어링 부재(35)와, 지지 플레이트(40)와, 탄성부재(5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수용홈부(14)는 상기 지지체(12)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수용홈부(14)는 상기 모터(20)의 출력축(21)의 자유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수용홈부(14)는 상기 출력축(21)의 자유단부를 향해 열려 있는 원통형 홈이며, 그 수용홈부(14)의 바닥면은 밀폐되어 있다. 상기 수용홈부(14)는 상기 지지체(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소재에 의해 사출성형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부(14)는 제1수용부(141)와 제2수용부(14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수용부(141)의 내경의 크기는 상기 제2수용부(145)의 내경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홈부(14)에는 후술하는 베어링 부재(35)와, 지지 플레이트(40)와, 탄성부재(50)가 수용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 부재(35)는 몸체부(351)와, 연장부(35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몸체부(351)는 상기 제2수용부(145)의 내주면에 억지 끼움 방식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351)의 중앙에는 관통공(3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37)에는 상기 모터(20)의 출력축(21)의 자유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장부(353)는 상기 몸체부(351)에서 상기 모터(20)의 출력축(2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상기 연장부(353)는 그 몸체부(351)의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2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 부재(35)는 상기 제2수용부(145)에 억지 끼움 등의 방식에 의해 상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 부재(35)는 상기 수용홈부(14)의 반경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는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40)는 상기 제2수용부(145)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40)는 상기 제2수용부(145)에 대해 상기 모터(20)의 출력축(2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40)에는 상기 베어링 부재(35)의 연장부(353)에 대응하는 고정홈(42)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홈(42)들은 상기 연장부(353)들을 각각 수용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40)가 상기 베어링 부재(35)의 둘레방향으로 상대 회전되는 것이 제한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40)에는 상기 모터(20)의 출력축(21)의 자유단부가 접촉 지지 되어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40) 양측면 중 상기 모터(20)의 출력축(21)의 자유단부가 접촉 지지 되어 있는 면의 반대면에는 끼움가이드(4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움가이드(44)는 상기 반대면에서 수직하게 상기 제1수용부(141)의 바닥면(15)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상기 끼움가이드(44)는 원형 단면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제1수용부(141)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50)는 탄성지지부(52)와, 유격방지부(54)와, 결합홈(58)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탄성지지부(52)는 상기 제1수용부(141)의 바닥면(15)에 접촉되어 있다. 상기 탄성지지부(52)는 상기 제1수용부(141)의 바닥면(15)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반경이 커지는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탄성지지부(52)의 외경은 상기 제1수용부(141)의 내주면보다 작아 상기 탄성지지부(52)의 외주면과 상기 제1수용부(141)의 내주면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격방지부(54)는 상기 탄성지지부(52)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격방지부(54)는 접촉부(541)와, 골부(54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접촉부(541)는 상기 제1수용부(141)의 내주 면에 접촉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접촉부(541)는 상기 제1수용부(141)의 내주면보다 커서 압축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1수용부(141)의 내주면에 억지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골부(545)는 상기 수용홈부(14)의 내주면과 대응하는 상기 유격방지부(54)의 외주면에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골부(545)들은 상기 유격방지부(54)의 둘레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골부(545)들은 90°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골부(545)들에 의해 상기 접촉부(541)는 4개가 형성되며, 그 접촉부(541)가 압축 탄성 변형되더라도 그 압축 탄성 변형에 의해 팽창되는 부피를 상기 골부(545)들이 흡수할 수 있다. 상기 골부(545)들은 바닥면(546)을 가지며, 그 바닥면(546)은 상기 모터(20)의 출력축(21)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인 단면에서 원호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홈(58)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40)와 마주하는 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홈(58)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40)의 끼움가이드(44)와 결합하여 상기 탄성부재(50)를 상기 지지 플레이트(4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10)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상기 탄성부재(50)의 작용에 초점을 맞추어 그 작용을 서술하도록 한다.
먼저, 본 실시예의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10)가 차량에 조립되어 있고 차량의 윈도우는 최저 위치에 있는 상태로부터 설명을 시작한다.
차량의 파워 윈도우를 상승시키는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모터(20)의 출력축(21)이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출력축(21)에 마련된 워엄(22)과 맞물려 있는 워엄휠(3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워엄휠(30)에 전달된 회전력은, 상기 워엄휠(30)에 연결된 레귤레이터 모듈(미도시)를 구동시키게 되고 그 레귤레이터 모듈에 결합된 도어 윈도우가 상승하게 된다. 그 도어 윈도우가 상승을 계속하여 최대 상승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윈도우는 도어 프레임에 걸려 더 이상 상승할 수 없게 된다. 이때 순간적으로 상기 윈도우와 상기 도어 프레임 사이에 발생된 반발역은 상기 레귤레이터 모듈과, 워엄휠(30)과, 워엄(22)을 거쳐 상기 모터(20)의 출력축(21)에 추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터(20)의 출력축(21)의 자유단부는 그 출력축(21)의 길이 방향으로 변위가 생기게 되며, 상기 출력축(21)의 자유단부와 접촉 지지 되어 있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40)를 밀어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40)는 상기 제2수용부(14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출력축(21)의 자유단부에 의해 밀리게 되면 상기 제2수용부(145)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때, 상기 지지 플레이트(40)에 상대 고정되어 있는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제1수용부(141)의 바닥면(15)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40) 사이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40)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압축력을 받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50)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지지부(52)와 유격방지부(54)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유격방지부(54)는 상기 제1수용부(141)의 내주면에 접촉 지지 되어 있으므로 압축 탄성 변형시에 변형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반면에 탄성지지부(52)는 상기 제1수용부(141)의 내주면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외주면을 구비하고 있어서 압축 탄성 변형시에 그 반경방향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피가 팽창되면서 상기 모터(20)의 출력축(21)의 추력을 흡수하게 된다. 이 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50) 중 유격방지부(54)는 상기 제1수용부(141)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수용부(141)의 반경방향으로의 유동이 일어나지 않으며, 상기 출력축(21)의 추력은 상기 탄성지지부(52)가 흡수하게 되므로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제1수용부(141)의 내주면과 단속적인 접촉을 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유격방지부(54)는 항상 상기 제1수용부(141)의 내주면과 접촉하고 있는 상태가 되며, 상기 탄성지지부(52)는 상기 제1수용부(141)의 내주면과 접촉되지 않고 항상 간격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50)와 상기 제1수용부(141)와의 단속적인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 현저하게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50)를 상기 제1수용부(141)에 조립하는 공정에서 상기 유격방지부(54)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50)의 위치가 일정하게 설정될 뿐만 아니라, 상기 결합홈(58)과 상기 끼움가이드(44)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50)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40)가 상대고정되므로 종래의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보다 일정한 위치에 상대 고정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50)의 조립산포도가 종래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10)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위와 같은 효과는 상기 도어 윈도우가 최대 하강위치에 도달하는 경우나, 그 도어 윈도우의 승하강 도중에 장애물에 의해 그 윈도우의 움직임이 방해 받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발생할 수 있음을 쉽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수용홈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반경이 커지는 원뿔대 형상인 것으로 도시하고 서술하였으나, 상기 탄 성지지부가 상기 수용홈부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그 탄성지지부가 탄성변형되더라도 상기 수용홈부의 내주면과 접촉되지 않는 경우라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유격방지부에는 상기 수용홈부의 내주면과 대응하는 외주면에 골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부의 내주면과 상기 골부 사이에 빈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서술하였으나, 상기 골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골부는 복수개가 마련되며, 그 골부들은 상기 유격방지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골부가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경우가 아니거나 그 골부가 1개 마련된 경우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골부들은 90°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골부들이 90°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골부의 바닥면은 상기 모터의 출력축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단면이 원호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골부의 바닥면의 단면이 원호형상이 아니라도 상기 골부가 상기 수용홈부의 내주면과 사이에 빈 공간을 가지는 경우라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탄성부재에 마련된 결합공과, 그 결합공의 탄성변형에 의해 그 결합공에 억지 끼워지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서 연장 돌출된 끼움가이드에 의해 상대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서술하였으나, 상기 결합공과 끼움가이드가 마련되지 않는 경우라도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접착제 등에 의해 상대고정된 경우라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그러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에서 유격 방지부와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탄성부재는 제수용홈부의 내주면과 단속적인 접촉을 하지 않게 되므로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수용홈부와의 단속적인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 현저하게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수용홈부에 조립하는 공정에서 상기 유격지지부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의 위치가 일정하게 설정되어 조립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결합홈과 상기 끼움가이드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상대 고정되면, 종래의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보다 일정한 위치에 상대 고정되게 되므로 상기 탄성부재의 조립산포도가 종래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지지체와, 워엄이 형성되어 있는 출력축을 가지며 상기 지지체에 지지된 모터와, 상기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워엄에 맞물린 워엄휠을 구비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워엄 및 그 워엄에 맞물린 워엄휠이 회전하고 그 워엄휠의 회전에 연동되어 자동차의 윈도우 등이 구동되는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모터의 출력축의 자유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모터의 출력축이 그 출력축의 반경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출력축의 자유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베어링 부재와, 그 베어링 부재에 인접하며 상기 출력축의 일단면이 접촉 지지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모터의 작동 중 상기 출력축에 발생하는 추력에 의해 상기 워엄 또는 워엄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부재가 상기 수용홈부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수용홈부의 바닥면에 접촉되고 상기 수용홈부의 내주면과는 이격된 탄성지지부; 및
    상기 탄성지지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수용홈부의 내주면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접촉되는 유격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수용홈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반경이 커지는 원뿔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방지부에는 상기 수용홈부의 내주면과 대응하는 외주면에 골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부의 내주면과 상기 골부 사이에 빈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골부는 복수개가 마련되며, 그 골부들은 상기 유격방지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골부들은 90°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골부의 바닥면은 상기 모터의 출력축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단면이 원호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탄성부재에 마련된 결합공과, 그 결합공의 탄성변형에 의해 그 결합공에 억지 끼워지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서 연장 돌출된 끼움가이드에 의해 상대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
KR1020070005613A 2007-01-18 2007-01-18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 KR100800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613A KR100800583B1 (ko) 2007-01-18 2007-01-18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613A KR100800583B1 (ko) 2007-01-18 2007-01-18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0583B1 true KR100800583B1 (ko) 2008-02-04

Family

ID=39342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613A KR100800583B1 (ko) 2007-01-18 2007-01-18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05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8018A (ko) 2016-11-02 2018-05-10 주식회사 유성전자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의 접속 터미널
CN111720519A (zh) * 2019-03-20 2020-09-29 博世汽车部件(长沙)有限公司 蜗杆机构、车窗升降装置以及装配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2196A (ja) * 1995-03-22 1996-12-03 Mitsuba Electric Mfg Co Ltd 減速機構付モータ
KR20050023370A (ko) 2000-05-18 2005-03-09 코요 세이코 주식회사 전동식조향장치
KR20060042792A (ko) 2004-11-10 2006-05-15 동양기전 주식회사 와이퍼 구동용 모터 조립체
KR20060124878A (ko) 2005-05-26 2006-12-06 동양기전 주식회사 와이퍼 구동용 모터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2196A (ja) * 1995-03-22 1996-12-03 Mitsuba Electric Mfg Co Ltd 減速機構付モータ
KR20050023370A (ko) 2000-05-18 2005-03-09 코요 세이코 주식회사 전동식조향장치
KR20060042792A (ko) 2004-11-10 2006-05-15 동양기전 주식회사 와이퍼 구동용 모터 조립체
KR20060124878A (ko) 2005-05-26 2006-12-06 동양기전 주식회사 와이퍼 구동용 모터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8018A (ko) 2016-11-02 2018-05-10 주식회사 유성전자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의 접속 터미널
CN111720519A (zh) * 2019-03-20 2020-09-29 博世汽车部件(长沙)有限公司 蜗杆机构、车窗升降装置以及装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1093B1 (ko) 랙 구동식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US9903452B2 (en) Structure of linear actuator
CN108397487B (zh) 用于减小电动机组件中的噪声的方法和设备
JP2013048550A (ja) ギアモータ組立体
FR2964713A1 (fr) Embrayage et moteur
KR100800583B1 (ko)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
KR102101664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의 베어링 홀더 구조체
US20210164290A1 (en) Window covering and driving device thereof
KR100817910B1 (ko)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
KR102018496B1 (ko) 차량용 슬라이딩 기어박스
KR20110088045A (ko) 단일의 수직 샤프트를 구비하는 이동 로봇의 구동휠 어셈블리
US20240116403A1 (en) Seat moving apparatus for vehicle
JP5606621B2 (ja) パネル駆動装置
KR20070049754A (ko) 아마츄어 샤프트의 축방향 유격 조정 장치
KR102031844B1 (ko) 완충 및 제진 구조가 구비된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
CN210013952U (zh) 手自一体分离机构
KR101351933B1 (ko) 반전 소음이 감소한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
JP3783922B2 (ja) モータ装置
JP2002130419A (ja) アクチュエータ
JP3562721B2 (ja) 電子装置
CN215804018U (zh) 便捷式平移开窗机及平移窗
JP4110721B2 (ja) 車両用ミラー駆動装置のホルダベース構造
KR100227858B1 (ko) 완충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드레일
KR101141715B1 (ko) 파워윈도우 모터용 감속기어
JP2001271845A (ja) 回転駆動力の伝達構造及びモ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13